KR200469827Y1 - 금형 자동교환 기능을 갖는 열풍 융착장치 - Google Patents

금형 자동교환 기능을 갖는 열풍 융착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69827Y1
KR200469827Y1 KR2020110010314U KR20110010314U KR200469827Y1 KR 200469827 Y1 KR200469827 Y1 KR 200469827Y1 KR 2020110010314 U KR2020110010314 U KR 2020110010314U KR 20110010314 U KR20110010314 U KR 20110010314U KR 200469827 Y1 KR200469827 Y1 KR 20046982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ld
fusion
hot air
frame
sli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1001031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03184U (ko
Inventor
여성운
Original Assignee
한일이화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일이화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일이화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11001031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69827Y1/ko
Publication of KR2013000318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03184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6982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69827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5/00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 B29C65/02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by heating, with or without pressure
    • B29C65/10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by heating, with or without pressure using hot gases (e.g. combustion gases) or flames coming in contact with at least one of the parts to be join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5/00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 B29C65/70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by mould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6/00General aspects of processes or apparatus for joining preformed parts
    • B29C66/80General aspects of machine operations or constructions and parts thereof
    • B29C66/83General aspects of machine operations or constructions and parts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movement of the joining or pressing tools
    • B29C66/832Reciprocating joining or pressing too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6/00General aspects of processes or apparatus for joining preformed parts
    • B29C66/80General aspects of machine operations or constructions and parts thereof
    • B29C66/87Auxiliary operations or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6/00General aspects of processes or apparatus for joining preformed parts
    • B29C66/90Measuring or controlling the joining process
    • B29C66/92Measuring or controlling the joining process by measuring or controlling the pressure, the force, the mechanical power or the displacement of the joining tools
    • B29C66/922Measuring or controlling the joining process by measuring or controlling the pressure, the force, the mechanical power or the displacement of the joining tools by measuring the pressure, the force, the mechanical power or the displacement of the joining tools
    • B29C66/9231Measuring or controlling the joining process by measuring or controlling the pressure, the force, the mechanical power or the displacement of the joining tools by measuring the pressure, the force, the mechanical power or the displacement of the joining tools by measuring the displacement of the joining too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Lining Or Join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 Moulds For Moulding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금형 자동 교체 기능을 갖는 열풍 융착 장치에 관한 것으로, 로딩부와 융착작업부가 구비되는 프레임과, 융착작업을 수행하는 제1융착금형이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프레임에 승강되도록 결합되는 제1슬라이더와, 상기 제1슬라이더를 승강시키는 제1실린더와, 상기 로딩부에서 융착작업부로 왕복 이동되며 내장부품이 안착되는 제2융착금형이 안착되는 제2슬라이더와, 상기 제2슬라이더를 왕복 이동시키는 제2실린더를 포함하고, 상기 제1융착금형과 제2융착금형이 서로 결합되어 열풍 융착금형을 형성하는 금형결합부와, 상기 제2슬라이더에서 상기 열풍 융착금형을 이격시키기 위한 이격수단과, 상기 융착작업부의 일측에 구비되는 금형적재소로 상기 열풍 융착금형을 이동시키기 위한 제1이동수단과, 상기 금형적재소에 있는 다른 열풍 융착금형을 상기 융착작업부로 직선 이동되는 지점으로 이동시키는 제2이동수단과, 상기 각 부품들의 작동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를 포함함으로써, 금형 교체 작업을 신속하게 수행할 수 있어 제품의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이다.

Description

금형 자동교환 기능을 갖는 열풍 융착장치 {DEVICE FOR HEAT FUSION HAVING MOLD AUTOMATIC EXCHANGE FUNCTION}
본 고안은 열풍 융착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융착작업을 수행하는 융착금형을 자동으로 교체할 수 있는 금형 자동교환기능을 갖는 열풍 융착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 부품 중 내장재는 소정 형상의 플라스틱 부품을 일부분을 서로 겹친 후에 접합하여 하나의 부품으로 제작하는 경우가 많은데, 이때 겹쳐진 부분에 열 및 열풍이나 초음파로 융착하여 접합하는 장치를 융착장치라 하며, 고온의 에어를 가하여 부품의 융착 작업을 수행하는 것을 열풍 융착장치라 한다.
이러한 열풍 융착장치는 지그에 부품을 올려놓고, 열풍 융착으로 접합되는 부분의 위쪽에서 가동금형을 수직으로 왕복 이동시키면서 고정금형에 올려진 부품을 접합하도록 구성된다. 이 열풍 융착장치의 일예가 한국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47477호에 개시되어 있다.
개시된 종래의 열풍 융착장치는 프레임과, 자동차 내장재인 개개의 플라스틱 부품의 열풍융착을 행하도록 하는 융착금형과, 융착금형이 결합되는 슬라이드와, 슬라이드를 승하강시키기 위한 메인 실린더와, 장치의 작동과 기타 기능을 설정하기 위한 제어패널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즉, 종래의 열풍 융착장치에서 열풍융착을 행하는 융착금형은 상측금형과 하측금형으로 구성되고, 상측금형은 슬라이드에 결합되어 메인 실린더에 의해 상하 이동되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하측금형은 열풍 융착장치의 측부에서 상측금형의 하측으로 수평방향으로 왕복 이동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종래의 열풍 융착장치에서 융착금형을 교체하기 위해서는 하측금형이 상측금형의 하측에 있는 상태에서 제어패널에서 조작방식을 수동으로 변경한 후에, 열풍 융착금형의 히터를 오프시켜 열풍 발생 기능을 정지시킨다.
그런 다음, 메인실린더를 작동시켜 상측금형을 하강시켜 하측금형과 합형을 시킨 후에, 상측금형을 슬라이드에서 분리하고, 작업자가 열풍 융착장치에 올라가서 프레임 내에 있는 융착금형을 다른 융착금형이 구비되어 있는 금형적재소까지 밀어서 이동시킨다. 이후에, 작업자가 금형 적재소에서 다른 융착금형과 위치를 바꾼 후에, 다시 위치가 바뀐 다른 융착금형을 열풍 융착장치로 밀어서 열풍 융착장치의 프레임 내로 이동시킨다.
종래의 열풍 융착장치에서 열풍 융착 작업을 위한 내장재 부품이 바뀌어서 융착금형을 교체하기 위해서는 상기와 같이 작업자가 열풍 융착장치에 올라가서 열풍 융착장치에서 분리된 융착금형을 밀어서 적재소로 이동시키는 등의 일련의 작업을 직접 해야 함으로써, 금형의 교체 작업이 매우 힘들뿐 아니라 이에 많은 시간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열풍 융착장치에서 융착금형에서 분리하고 다른 융착금형으로 교체하여 결합하는 일련의 과정을 자동으로 수행하도록 구성하여, 금형 교체 작업을 매우 편리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한 금형 자동교환기능을 갖는 열풍 융착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로딩부와 융착작업부가 구비되는 프레임과, 융착작업을 수행하는 제1융착금형이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프레임에 승강되도록 결합되는 제1슬라이더와, 상기 제1슬라이더를 승강시키는 제1실린더와, 상기 로딩부에서 융착작업부로 왕복 이동되며 내장부품이 안착되는 제2융착금형이 안착되는 제2슬라이더와, 상기 제2슬라이더를 왕복 이동시키는 제2실린더를 포함하고, 상기 제1융착금형과 제2융착금형이 서로 결합되어 열풍 융착금형을 형성하는 금형결합부와, 상기 제2슬라이더에서 상기 열풍 융착금형을 이격시키기 위한 이격수단과, 상기 융착작업부의 일측에 구비되는 금형적재소로 상기 열풍 융착금형을 이동시키기 위한 제1이동수단과, 상기 금형적재소에 있는 다른 열풍 융착금형을 상기 융착작업부로 직선 이동되는 지점으로 이동시키는 제2이동수단과, 상기 각 부품들의 작동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프레임과 상기 제1슬라이더 사이에는 상기 프레임의 상부에 상기 제1슬라이더를 일시 고정하기 위한 록킹수단이 더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록킹수단은, 상기 프레임에서 하측으로 돌출 형성되고, 제1끼움홀이 형성되는 제1브래킷과, 상기 제1슬라이더의 윗면에 상측으로 돌출 형성되고, 제2끼움홀이 형성되는 제2브래킷과, 상기 프레임에 상기 제1슬라이더가 밀착되어 상기 제1끼움홀과 제2끼움홀이 일치될 때, 상기 제1 및 제2끼움홀에 끼워져 록킹 작용을 수행하는 끼움부재와, 상기 끼움부재를 왕복 운동시키기 위한 구동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금형결합부는, 상기 제1융착금형에 돌출 형성되고, 단부에 결합돌부가 형성되는 제1지지바와, 상기 제2융착금형에 돌출 형성되고, 상기 결합돌부와 결합되는 결합홈부가 단부에 형성되는 제2지지바와, 상기 프레임의 측부에 구비되어, 상기 제2융착금형의 하강되는 위치를 검출하는 위치 검출 센서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이격수단은, 상기 제2슬라이더의 하측에서 상기 프레임에 구비되어 상기 제2슬라이더의 이동을 가이드하고, 유압이나 탄성부재에 의해 작동되어 상기 제2슬라이더를 리프트 시켜서 뜨게 하는 다이 리프터(Die Lifter)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1이동수단은, 상기 프레임의 융착작업부에 구비되어, 상기 열풍 융착금형을 상기 융착작업부의 외측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제1롤러부와, 상기 제1롤러부에 연결되며, 상기 융착작업부의 외측에서 상기 프레임에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제2롤러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1롤러부는, 상기 프레임의 융착작업부 내에서 회동 가능하게 고정되는 복수의 파워몰러(Power Moller)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2롤러부는, 상기 제1롤러부에 연결되되 상기 열풍 융착금형의 이동방향에 대하여 직교되는 방향으로 직선 이동하는 이동프레임과, 상기 이동프레임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파워몰러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2이동수단은, 상기 이동프레임의 이동방향으로 설치되는 제3실린더와, 상기 이동프레임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가이드부재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2이동수단은 상기 제1이동수단에서 이동되는 상기 열풍 융착금형의 끝부분이 상기 이동프레임의 단부까지 완전히 이동된 것을 감지하는 금형 감지센서와, 상기 이동프레임에 구비되어 제2이동수단으로 완전히 이동이 완료된 열풍 융착금형을 록킹시켜 이동을 방지하는 금형 록킹부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금형 록킹부는, 상기 이동프레임에 돌출 형성되며, 상단에 끼움돌기부가 형성되는 끼움부재와, 상기 이동프레임으로 이동되는 상기 융착금형의 제2금형에 형성되며 상기 끼움돌기부가 끼워져 록킹되는 끼움홀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고안에 의하면, 융착금형이 제어부의 간단한 조작에 의해 다른 융착금형으로 교체됨으로써, 종래와 같이 작업자가 장치에 올라가서 융착금형을 밀지 않아도 됨으로 작업자의 근골격계 질병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금형 교체 작업을 신속하게 수행할 수 있어 제품의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금형 자동 교환 기능을 갖는 열풍 융착 장치를 보인 정면도.
도 2는 도 1의 측면도.
도 3은 도 1의 평면도.
도 4는 도 1의 A부를 상세하게 보인 정단면도.
도 5는 도 1의 B부를 상세하게 보인 측단면도.
도 6은 도 1의 C부를 상세하게 보인 측단면도.
도 7은 도 1의 D부를 상세하게 보인 정단면도.
도 8 내지 도 12는 도 1의 열풍 융착 장치의 열풍 융착 금형의 교체과정을 보인 도면.
본 고안의 실시를 위한 구체적인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이러한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고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써,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열풍 융착장치의 금형 자동 교환장치를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금형 자동 교환 기능을 갖는 열풍 융착 장치를 보인 정면도이고, 도 2는 도 1의 측면도이며, 도 3은 도 1의 평면도이다. 도 4는 도 1의 A부를 상세하게 보인 정단면도이고, 도 5는 도 1의 B부를 상세하게 보인 측단면도이다. 도 6은 도 1의 C부를 상세하게 보인 측단면도이고, 도 7은 도 1의 D부를 상세하게 보인 정단면도이다. 도 8 내지 도 12는 도 1의 열풍 융착 장치의 융착금형의 교체과정을 보인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금형 자동 교환기능을 갖는 열풍 융착장치(100)는, 프레임(110), 제1슬라이더(120), 제1실린더(130), 제2슬리이더(140), 제2실린더(150)을 포함하되, 금형결합부(220), 이격수단(230), 제1이동수단, 제2이동수단(260), 제어부(20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먼저, 프레임(110)은 열풍 융착장치(100)의 외형을 형성하는 것으로, 융착 작업을 수행하기 위하여 공간으로 형성되는 융착작업부(101)를 구비하고, 이 융착작업부(101)의 전방에 융착 작업을 위한 내장부품을 로딩하고 언로딩하는 로딩부(102)가 구비된다. 여기서, 로딩부(102)는 융착 작업을 위한 내장부품을 로딩시킬 뿐만 아니라, 융착 작업이 완료된 내장부품을 언로딩시키는 작업도 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프레임(110)의 융착작업부(101)에서 일측으로 일정거리 이격되어 열풍 융착작업을 위한 열풍 융착금형(300)이 적재되는 금형적재소(103)가 구비된다. 여기서, 금형적재소(103)는 후술하는 제2롤러부의 양측에 구비되어 적어도 하나의 금형 적재소(103)에는 다른 열풍 융착금형(300)이 구비되어 있고, 다른 한곳의 금형 적재소(103)에는 비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프레임(110)의 상부에는 제1슬라이더(120)가 제1실린더(130)에 의해 수직으로 승강되도록 구성되며, 제1실린더(130)는 프레임(110)의 상부에 고정된다. 여기서, 제1실린더(130)는 별도의 에어펌프(미도시)에서 공급되는 에어에 의해 작동되도록 구성된다.
제1슬라이더(120)에는 후술하는 제2융착금형(320)에 안착되는 내장부품을 융착 성형하기 위한 제1융착금형(310)이 착탈 가능하게 결합된다. 그리고, 제1슬라이더(120)에는 제1융착금형(310)을 착탈시키기 위한 제1클램프(121)가 구비된다.
이 제1클램프(121)는 제1슬라이더(120)의 하측 사방에 구비되어, 제1슬라이더(120)의 밑면에 밀착되는 제1융착금형(310)의 가장자리를 결합하도록 구성된다.
이 제1클램프(121)는 유압에 의해 작동되는 것으로, 제1슬라이더(120)에 구비되는 바디부(121a)와, 바디부(121a)에서 왕복 이동되어 제1슬라이더(120)의 밑면에 밀착되는 제1융착금형(310)의 프레임부의 밑면 가장자리를 잡아주는 홀딩부재(121b)를 포함한다.
즉, 제1슬라이더(120)가 제1실린더(130)에 의해 하강하여 제1슬라이더(120)의 밑면에 제1융착금형(310)의 프레임부(311)의 윗면에 밀착되면 제어부(200)에 의해 제1클램프(121)가 작동되고, 제1클램프(121)의 홀딩부재(121b)가 돌출되어 제1융착금형(310)의 프레임부(311)를 결합하게 된다.
그리고, 프레임(110)과 제1슬라이더(120) 사이에는 제1실린더(130)의 구동에 의해 왕복이동되도록 구성되는 제1슬라이더(120)가 낙하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제1슬라이더(120)를 프레임(110)에 록킹시키기 위한 록킹수단(210)이 더 구비된다.
록킹수단(210)은 프레임(110)에서 하측으로 돌출 형성되고 제1끼움홀(211a)이 형성되는 제1브래킷(211)과, 제1슬라이더(210)에서 상측으로 돌출 형성되고 제2끼움홀(212a)이 형성되는 제2브래킷(212)과, 프레임(110)에 제1슬라이더(120)가 밀착되어 제1끼움홀(211a)과 제2끼움홀(212a)이 일치될 때 제1 및 제2끼움홀(211a)(212a)에 끼워져 록킹 작용을 수행하는 끼움부재(213)와, 끼움부재(213)를 왕복 이동시키기 위한 구동부(214)를 포함한다.
여기서, 구동부(214)는 실린더로 구성되고 끼움부재(213)가 실린더 로드로 구성된다.
즉, 록킹수단(210)은 열풍 융착장치(100)를 사용하지 않거나, 열풍 융착금형(300)을 교체할 때, 제1슬라이더(120)를 프레임(110)의 상부로 이동시켜서 프레임(110)의 상부에 결합하여 록킹시키도록 구성되는 것이다.
또한, 프레임(110)의 융착작업부(101)의 전방에는 융착 작업을 위한 내장부품을 안착시키거나 제2융착금형(320)에서 내장부품을 언로딩하기 위한 로딩부(102)가 구비된다.
로딩부(102)는 작업자가 제2융착금형(320)에 융착작업을 위한 내장부품이 안착시키거나 융착작업이 완료된 내장부품을 제2융착금형(320)에서 꺼내기 위한 것으로, 제2융착금형(320)이 제2슬라이더(140)에 의해 로딩부(120)에서 융착작업부(101)로 이동되도록 구성된다. 즉, 제2슬라이더(140)는 제2융착금형(320)이 안착되는 것으로, 프레임(110)의 하부에 구비되는 제2실린더(150)에 의해 로딩부(102)에서 융착작업부(101)로 직선 왕복 이동되도록 구성된다. 이 제2실린더(150)는 제2슬라이더(140)를 융착작업부(101)까지만 이동되도록 구성된다.
여기서, 제2융착금형(320)은 제2슬라이더(140)의 윗면에 안착되어 융착작업부(101)로 이동될 때 제2슬라이더(140)에 구비되는 제2클램프(141)에 의해 결합되어 제2슬라이더(140)의 윗면에서 이동되거나 이탈되는 것을 방지되도록 구성된다.
즉, 제2융착금형(320)은 하부에 구비되는 프레임부가 제2슬라이더(140)의 윗면에 안착될 때, 프레임부의 윗면 가장자리를 제2클램프(141)로 사방에서 가압하여 제2슬라이더(140)에 임시로 결합되도록 구성되는 것이다.
그리고, 제2클램프(141)는 제1클램프(121)와 같이 유압에 의해 구동되도록 구성되되,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슬라이더(140)의 가장자리에 구비되는 바디부(141a)와, 바디부(141a)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되 제2융착금형(320)의 프레임부 가장자리를 윗쪽에서 가압하도록 구성되는 가압부재(141b)로 구성된다.
또한, 프레임(110)의 하부와 제2슬라이더(140) 사이에도 제2슬라이더(140)가 이동되지 않도록 프레임(110)에 록킹시키기 위한 록킹수단(미도시)이 구비된다.
이 록킹수단은 상기에서 언급한 프레임(110)과 제1슬라이더(120) 사이에 구비되는 록킹수단(210)의 구성과 동일하게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록킹수단은 프레임에 돌출 형성되고 끼움홀이 형성되는 고정브래킷과, 고정브래킷의 근방에 위치되며 제1슬라이더에 돌출 형성되며 끼움홀이 형성되는 유동브래킷과, 고정브래킷의 끼움홀과 유동브래킷의 끼움홀이 일치될 때 끼워져서 록킹작용을 수행하는 끼움돌기로 구성된다.
한편, 상기와 같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의한 열풍 융착장치(100)에서 융착작업을 수행하는 제1융착금형(310)과, 내장부품이 안착되는 제2융착금형(320)이 서로 결합되어 하나의 열풍 융착금형(300)을 형성하게 되는데, 다른 내장부품의 융착작업을 위해서는 내장부품의 융착 성형에 맞는 열풍 융착금형(300)으로 교체한 후에 다른 내장부품의 융착 성형을 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열풍 융착장치(100)에는 제1융착금형(310)이 제1슬라이더(120)에 의해 하강하여 제2융착금형(320)의 상부에 결합되어 하나의 열풍 융착금형(300)으로 구성하기 위한 금형결합부(220)가 구비된다.
이 금형결합부(220)는 제1융착금형(310)의 하부에 돌출 형성되고 단부에 결합홈이 형성되는 제1결합부재(221)와, 결합홈에 끼워져 결합되는 결합돌부가 단부에 형성되고 제2융착금형(320)의 윗면에 돌출 형성되는 제2결합부재(222)와, 제1슬라이더(120)가 하강할 때 제1융착금형(310)의 하강되는 위치를 검출하는 위치검출센서(223)를 포함한다.
그리고, 프레임(110)에는 제2슬라이더(140)의 직선 왕복이동을 가이드함과 동시에 일정이상 높이로 승하강시켜서 제2슬라이더(140)에 올려지는 제2융착금형(320)이 제2슬라이더(140)에서 일정간격 이격시키기 위한 이격수단(230)이 구비된다.
이격수단(230)은 제2슬라이더(140)를 약간 승하강시키도록 구성되어, 제2슬라이더(140)의 윗면에서 열풍 융착금형(300)의 제2융착금형(320)을 이격시키는 역할을 하게 된다.
즉, 이격수단(230)에 의해 제2슬라이더(140)가 약간 하강되며, 이때 열풍 융착금형(300)이 제2슬라이더(140)의 윗면에서 이격되어 제1이동수단에 지지되어 금형적재소(103)에 이동될 수 있도록 준비되는 것이다.
여기서, 이격수단(230)은 제2슬라이더(140)의 하측에서 프레임(110)에 구비되어 제2슬라이더(140)의 이동을 가이드하고, 유압이나 스프링과 같은 탄성부재의 탄성에 의해 작동되어 제2슬라이더(140)를 약간 리프트시켜서 뜨게 하는 다이 리프터(Die Lifter)로 구성된다.
이 다이 리프터는 금형 등에 이미 사용되고 있는 공지된 기술로서 금형의 반출, 반입을 쉽게 하기 위하여 금형을 약간 리프트시켜서 뜨게 하기 위한 것으로, 볼스터에 롤러를 내장시킨 바로 구성되고, 이 바를 리프트하게 하는 것은 스프링, 편심캠, 유압 등으로 구성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와 같이 이격수단(230)에 의해 제2슬라이더(140)로부터 열풍 융착금형(300)이 이격되어 제1이동수단에 지지되면, 제어부(200)에 의해 구동되는 제1이동수단에 의해 금형적재소(103)로 이동되는 것이다.
또한, 이격수단(230)을 후술하는 다수의 파워몰러가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고정프레임을 승강시키는 실린더로 구성할 수도 있다.
제1이동수단은 프레임(110)의 융착작업부(101)에 구비되며 열풍 융착금형(300)이 올려지며, 이 열풍 융착금형(300)을 이동시키기 위한 제1롤러부(240)와, 제1롤러부(24)에 연결되는 제2롤러부(250)로 구성된다.
제1롤러부(24)는 프레임(110)의 융착작업부(101) 내에서 회동 가능하게 고정되는 파워몰러(Power Moller)로 구성된다. 여기서, 파워몰러는 롤러내부에 소형모터와 감속기를 내장한 콘베이어 구동용 모터롤러를 칭하는 것으로, 이미 공지된 기술로서 공장의 생산라인, 배송센터, 물류업계 등에서 많이 사용되고 있다.
또한, 제2롤러부(250)는 제1롤러부(240)에 연결되며, 제1롤러부(240)에서 이동되는 열풍 융착금형(300)의 이동방향에 대하여 직교되는 방향으로 직선 이동되도록 설치되는 이동프레임(251)과, 이동프레임(251)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파워몰러(252)를 포함한다.
이 파워몰러(252)는 제1롤러부(240)를 구성하는 것과 같이, 롤러내부에 소형모터와 감속기를 내장한 콘베이어 구동용 모터롤러로 구성된다.
또한, 제2이동수단(260)은 프레임(110)에 고정되되 제1롤러부(240)에서 이동되는 열풍 융착금형(300)의 이동방향에 대해 직교되는 방향으로 이동프레임(251)을 이동시키기 위한 것으로, 이동프레임(251)의 길이 방향에 대해 직교되는 방향으로 설치되는 제3실린더(261)와, 이동프레임(251)의 길이 방향에 대해 직교되는 방향으로 설치되어 이동프레임(251)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가이드부재(262)로 구성된다.
여기서, 제2이동수단(260)은 적어도 2개 이상으로 구비되어, 적어도 1개의 제2이동수단(260)에 열풍 융착금형(300)이 구비되어 있어, 융착작업부(101)에서 분리되는 열풍 융착금형(300)과 교체하여 제1슬라이더(120)와 제2슬라이더(140)에 열풍 융착금형(300)을 설치할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2이동수단(260)에는 제1이동수단에서 이동되는 열풍 융착금형(300)의 끝부분이 이동프레임(251)의 단부까지 완전히 이동된 것을 감지하는 금형 감지센서(미도시)와, 이동프레임(251)에 구비되어 제2이동수단(260)으로 완전히 이동이 완료된 열풍 융착금형(300)을 록킹시켜 금형의 이동을 방지하는 금형 록킹부(270)가 더 구비된다.
금형 록킹부(270)는 이동프레임(251)의 상면에 돌출 형성되며 상단에 끼움돌기부(271a)가 형성되는 끼움부재(271)와, 이동프레임(251)으로 이동되는 제2융착금형(320)에 형성되며 끼움돌기부(271a)가 끼워져 록킹되는 끼움홀(272)로 구성된다. 열풍 융착금형(300)의 하부를 이동프레임(251)에 록킹시켜서 이동프레임(251)에서 낙하되거나 이탈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즉, 금형 록킹부(270)는 열풍 융착금형(300)의 하부를 일시 결합하기 위한 것으로, 제어부(200)에 의해 작동되도록 구성되며, 열풍 융착금형(300)의 이동이 완료되어 제1이동수단의 제1롤러부(240)와 제2롤러부(250) 및 제2이동수단(260)의 구동이 정지되면 작동되도록 구성된다.
또한, 제어부(200)는 제1실린더(130), 제2실린더(150), 위치 검출 센서(223), 이격수단(230), 제1이동수단, 제2이동수단(260), 제1클램프(121), 제2클램프(141), 금형록킹부(270) 등의 부품에 각각 연결되고, 이 부품들의 작동을 제어하도록 구성된다.
즉, 제어부(200)에는 부품들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도록 PLC(Programmable Logic Controller) 프로그램이 구성되어 있다.
제어부(200)의 PLC 프로그램은 열풍 융착금형(300)에서 열풍 융착작업을 수행하기 위하여 열을 발생하기 위한 히터(미도시)가 켜 있는 상태에서는 금형 교환 작업이 수행되지 않도록 구성된다. 즉, 작업자가 부주의로 히터가 켜 있는 상태에서 금형 교환용 버튼을 누르더라도 금형 교환 작업이 이루어지지 않도록 제어부의 PLC 프로그램에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어부(200)에는 열풍 융착장치(100)의 융착작업을 수행하는 융착작업용 스위치부와, 열풍 융착금형(300)을 교체하기 위한 금형 교체용 스위치부가 각각 구비된다.
이하,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의한 금형 자동교환기능을 갖는 열풍 융착 장치에서 금형을 자동으로 교환하는 작동을 간략하게 살펴보기로 한다.
먼저, 열풍 융착장치(100)에서 열풍 융착금형(300)이 융착 작업상태 즉, 제1융착금형(310)이 제1슬라이더(120)에 결합되어 있고, 제2융착금형(320)이 제2슬라이더(140)에 결합되어 있을 때, 다른 내장부품의 융착작업을 수행하기 위해 다른 열풍 융착금형(300)으로 교환하고자 제어부(200)에서 작업자가 조작하여 열풍 융착금형(300)의 열을 발생시키는 히터의 작동을 중지시키고, 제어부(200)의 금형교체용 스위치부를 조작한다.
여기서, 제어부(200)의 금형교체용 스위치부를 조작하기 위해서는 먼저, 제1융착금형(310)은 도 2와 같이 제1슬라이더(120)에 결합되어 융착작업부(101)의 상부에 위치되어 있고, 제2융착금형(320)은 제2슬라이더(140)에 안착되어 로딩부(102)에 위치된 상태에 있어야 한다.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작업자에 의해 제어부(200)의 금형 교체용 스위치가 조작되면 제어부(200)에 의해 제2실린더(140)가 작동되어 로딩부(102)에 있는 제2슬라이더(140)가 도 8과 같이, 융착작업부(101)로 이동된다. 이렇게 제2융착금형(320)이 안착된 제2슬라이더(140)가 융착작업부(101)로 이동되면, 제어부(200)는 제2실린더(140)의 작동이 완료된 것을 판단하여 프레임(110)과 제2슬라이더(140) 사이에 구비되는 록킹수단을 작동시켜서 프레임(110)에 제2슬라이더(140)를 록킹시킨다.
이렇게 제2슬라이더(140)가 프레임(110)에 록킹되면, 제어부(200)는 제1슬라이더(120)와 프레임(110) 사이에 구비되는 록킹수단(210)을 작동시켜 제1슬라이더(120)의 록킹을 해제시킨 후에, 제1실린더(130)를 구동시킨다.
그러면, 제1실런더(130)가 구동되어, 제1융착금형(310)이 결합된 제1슬라이더(120)가 도 9와 같이 하강되어 제1융착금형(310)의 제1결합부재(221)가 제2융착금형(320)의 제2결합부재(222)에 결합되면서 제1융착금형(310)이 위치 검출 센서(223)에 의해 검출되면 제1실린더(130)의 작동이 중지된다.
이렇게, 제1융착금형(310)과 제2융착금형(320)이 서로 결합되어 하나의 열풍 융착금형(300)이 형성되면, 제어부(200)는 제1슬라이더(120)에 구비되는 제1클램프(121)를 작동시켜 제1융착금형(310)의 록킹을 해제시킨다. 그런 다음, 제어부(200)는 제1실린더(130)를 구동하여 제1슬라이더(120)를 도 10과 같이, 상승시킨 후에 다시 록킹수단(210)을 작동시켜 프레임(110)에 제1슬라이더(120)를 록킹시킨다.
이후에, 제어부(200)는 이격수단(230)인 다이 리프터를 작동시켜 제2슬라이더(140)를 하강시키고 제2슬라이더(140)의 윗면에서 열풍 융착금형(300)을 이격시킨다. 그러면, 열풍 융착금형(300)의 밑면이 제1롤러부(240)의 파워몰러에 접촉된다. 이때, 제어부(200)는 제1롤러부(240)와 제2롤러부(250)를 구동시킨다. 그러면, 제1 및 제2롤러부(240)(250)에 각각 구비되는 복수의 파워몰러(241)(252)의 회동운동에 의해 열풍 융착금형(300)은 융착 작업부(101)에서 직선 이동하여 도 11a와 같이, 제2롤러부(250)로 이동되어, 도 11b와 같은 상태가 된다.
이렇게 열풍 융착금형(300)이 제2롤러부(250)까지 이동되면, 제어부(200)는 제1롤러부(240)와 제2롤러부(250)의 작동을 중지시키고 이동프레임(251)에 구비되는 금형록킹부(260)를 작동시켜 열풍 융착금형(300)을 이동프레임(251)에 록킹시킨다.
이후에, 제어부(200)는 제2이동수단(260)의 제3실린더(261)를 구동하게 되고, 이 제3실린더(261)의 구동에 의해 제2롤러부(250)의 이동프레임(251)이 제1롤러부(240)와 제2롤러부(250)의 이동방향에 대하여 직교 방향으로 이동되어 제2롤러부(250)의 일측에 구비되는 금형 적재소(103)로 이동이 완료됨과 동시에 제2롤러부(250)의 타측에 구비되는 금형적재소(103)에 구비되는 다른 열풍 융착금형(300)이 구비되는 제2롤러부(250)가 도 12와 같이 제1롤러부(240)와 동일한 직선상에 배치된다.
이후의 열풍 융착 장치 작동은 상기의 작동에 대하여 역순으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와 같이,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열풍 융착 장치(100)에서 열풍 융착 금형(300)이 제어부(200)의 간단한 조작에 의해 다른 열풍 융착금형(300)으로 교체됨으로써, 종래와 같이 작업자가 장치에 올라가서 열풍 융착금형(300)을 밀지 않아도 됨으로 작업자의 근골격계 질병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금형 교체 작업이 신속하게 이루어짐으로 제품의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 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00 : 열풍 융착 장치 110 : 프레임
120 : 제1슬라이더 130 : 제1실린더
140 : 제2슬라이더 150 : 제2실린더
200 : 제어부 210 : 록킹수단
220 : 금형결합부 230 : 이격수단
240 : 제1롤러부 250 : 제2롤러부
260 : 제2이동수단 270 : 금형록킹부
300 : 열풍 융착금형 310 : 제1융착금형
320 : 제2융착금형

Claims (11)

  1. 로딩부와 융착작업부가 구비되는 프레임과, 융착작업을 수행하는 제1융착금형이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프레임에 승강되도록 결합되는 제1슬라이더와, 상기 제1슬라이더를 승강시키는 제1실린더와, 상기 로딩부에서 융착작업부로 왕복 이동되며 내장부품이 안착되는 제2융착금형이 안착되는 제2슬라이더와, 상기 제2슬라이더를 왕복 이동시키는 제2실린더를 포함하고,
    상기 제1융착금형과 제2융착금형이 서로 결합되어 열풍 융착금형을 형성하는 금형결합부와,
    상기 제2슬라이더에서 상기 열풍 융착금형을 이격시키기 위한 이격수단과,
    상기 융착작업부의 일측에 구비되는 금형적재소로 상기 열풍 융착금형을 이동시키기 위한 제1이동수단과,
    상기 금형적재소에 있는 다른 열풍 융착금형을 상기 융착작업부로 직선 이동되는 지점으로 이동시키는 제2이동수단과,
    상기 제1,2 실린더 및 상기 프레임과 상기 제1,2 슬라이더 사이에 구비된 록킹수단 및 상기 제1,2 슬라이더에 각각 구비된 제1,2클램프 및 상기 금형결합부의 위치검출센서 및 상기 이격수단의 다이 리프트 및 상기 제1 이동수단의 제1,2롤러부 및 상기 제2 이동수단의 제3 실린더와 금형록킹부의 작동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형 자동교환기능을 갖는 열풍 융착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과 상기 제1슬라이더 사이에는 상기 프레임의 상부에 상기 제1슬라이더를 일시 고정하기 위한 록킹수단이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형 자동교환기능을 갖는 열풍 융착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록킹수단은,
    상기 프레임에서 하측으로 돌출 형성되고, 제1끼움홀이 형성되는 제1브래킷과,
    상기 제1슬라이더의 윗면에 상측으로 돌출 형성되고, 제2끼움홀이 형성되는 제2브래킷과,
    상기 프레임에 상기 제1슬라이더가 밀착되어 상기 제1끼움홀과 제2끼움홀이 일치될 때, 상기 제1 및 제2끼움홀에 끼워져 록킹 작용을 수행하는 끼움부재와,
    상기 끼움부재를 왕복 운동시키기 위한 구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금형 자동교환기능을 갖는 열풍 융착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금형결합부는,
    상기 제1융착금형에 돌출 형성되고, 단부에 결합돌부가 형성되는 제1지지바와,
    상기 제2융착금형에 돌출 형성되고, 상기 결합돌부와 결합되는 결합홈부가 단부에 형성되는 제2지지바와,
    상기 프레임의 측부에 구비되어, 상기 제2융착금형의 하강되는 위치를 검출하는 위치 검출 센서;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형 자동교환기능을 갖는 열풍 융착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격수단은,
    상기 제2슬라이더의 하측에서 상기 프레임에 구비되어 상기 제2슬라이더의 이동을 가이드하고, 유압이나 탄성부재에 의해 작동되어 상기 제2슬라이더를 리프트시켜서 뜨게 하는 다이 리프터(Die Lifter)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형 자동교환기능을 갖는 열풍 융착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이동수단은,
    상기 프레임의 융착작업부에 구비되어, 상기 열풍 융착금형을 상기 융착작업부의 외측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제1롤러부와,
    상기 제1롤러부에 연결되며, 상기 융착작업부의 외측에서 상기 프레임에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제2롤러부;
    를 특징으로 하는 금형 자동교환기능을 갖는 열풍 융착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롤러부는,
    상기 프레임의 융착작업부 내에서 회동 가능하게 고정되는 복수의 파워몰러(Power Moller)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형 자동교환기능을 갖는 열풍 융착 장치.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2롤러부는,
    상기 제1롤러부에 연결되되 상기 열풍 융착금형의 이동방향에 대하여 직교되는 방향으로 직선 이동하는 이동프레임과,
    상기 이동프레임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파워몰러;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형 자동교환기능을 갖는 열풍 융착 장치.
  9. 제1항 또는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2이동수단은,
    상기 이동프레임의 이동방향으로 설치되는 제3실린더와,
    상기 이동프레임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가이드부재;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형 자동교환기능을 갖는 열풍 융착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2이동수단은,
    상기 제1이동수단에서 상기 이동프레임으로 이동된 상기 열풍 융착금형을 감지하는 금형 감지센서와,
    상기 이동프레임에 구비되어 제2이동수단으로 완전히 이동이 완료된 열풍 융착금형을 록킹시키기 위한 금형 록킹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형 자동교환기능을 갖는 열풍 융착 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금형 록킹부는,
    상기 이동프레임에 돌출 형성되며, 상단에 끼움돌기부가 형성되는 끼움부재와,
    상기 이동프레임으로 이동되는 상기 융착금형의 제2금형에 형성되며 상기 끼움돌기부가 끼워져 록킹되는 끼움홀;
    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형 자동교환기능을 갖는 열풍 융착 장치.
KR2020110010314U 2011-11-21 2011-11-21 금형 자동교환 기능을 갖는 열풍 융착장치 KR20046982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10010314U KR200469827Y1 (ko) 2011-11-21 2011-11-21 금형 자동교환 기능을 갖는 열풍 융착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10010314U KR200469827Y1 (ko) 2011-11-21 2011-11-21 금형 자동교환 기능을 갖는 열풍 융착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03184U KR20130003184U (ko) 2013-05-29
KR200469827Y1 true KR200469827Y1 (ko) 2013-11-08

Family

ID=507412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10010314U KR200469827Y1 (ko) 2011-11-21 2011-11-21 금형 자동교환 기능을 갖는 열풍 융착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69827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01475U (ko) * 2014-10-28 2016-05-10 주식회사 서연이화 차량용 부품의 융착 장치
KR20190051099A (ko) 2017-11-06 2019-05-15 주식회사 서연이화 열풍 융착 장치 및 방법
KR20200047114A (ko) * 2018-10-26 2020-05-07 (주)서연오토비전 열융착기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열융착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91128B1 (ko) * 2013-08-28 2015-02-10 한일이화 주식회사 열풍융착기의 융착유니트세트 교환장치
CN108115945B (zh) * 2017-12-22 2024-08-27 天津信泰汽车零部件有限公司 一种汽车前风挡饰条熔接模具
KR102165694B1 (ko) * 2018-12-18 2020-10-14 주식회사 서연이화 차량용 내장재 융착장치
KR102248417B1 (ko) * 2019-10-31 2021-05-06 주식회사 서연이화 플라스틱 제품 가공용 열풍융착 모듈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26414A (ko) * 2006-09-20 2008-03-25 강성민 좌우 도어 겸용이 가능한 차량의 도어 트림 열융착 설비
KR101058335B1 (ko) 2010-12-29 2011-09-01 주식회사 우성티오티 자동차 램프용 열융착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26414A (ko) * 2006-09-20 2008-03-25 강성민 좌우 도어 겸용이 가능한 차량의 도어 트림 열융착 설비
KR101058335B1 (ko) 2010-12-29 2011-09-01 주식회사 우성티오티 자동차 램프용 열융착장치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01475U (ko) * 2014-10-28 2016-05-10 주식회사 서연이화 차량용 부품의 융착 장치
KR200482274Y1 (ko) 2014-10-28 2017-01-09 주식회사 서연이화 차량용 부품의 융착 장치
KR20190051099A (ko) 2017-11-06 2019-05-15 주식회사 서연이화 열풍 융착 장치 및 방법
KR20200047114A (ko) * 2018-10-26 2020-05-07 (주)서연오토비전 열융착기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열융착 방법
KR102126221B1 (ko) 2018-10-26 2020-06-25 (주)서연오토비전 열융착기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03184U (ko) 2013-05-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69827Y1 (ko) 금형 자동교환 기능을 갖는 열풍 융착장치
KR101057803B1 (ko) 브리더 어셈블리의 자동 조립장치
KR101999990B1 (ko) 내장재의 마감 작업용 자동화 설비
KR101513594B1 (ko) 자동연속식 진공포장장치
KR101938355B1 (ko) 내장재의 마감 작업용 자동화 설비
JP4936137B2 (ja) 下型走行式成形設備
CN104148513B (zh) 模具、用于模具的顶杆顶起装置及方法
KR20090109003A (ko) 차량용 타이어 로딩장치
KR101220689B1 (ko) 차량용 내장재의 인몰드 성형 장치
JP3131610U (ja) 上下交互式瓶吹込成形機
CN104890294A (zh) 一种阀口袋阀口折叠成型装置
CN209796680U (zh) 一种带有钉框中部支撑的钉框皮料上料工位
CN203356395U (zh) 自动化成型模具
CN203198146U (zh) 一种注塑机取料机械手
CN111590242A (zh) 自动点焊及翻转装置
CN106182759B (zh) 焊接装置及包含其的混药器组装机
CN204451183U (zh) 一种阀口袋阀口折叠成型装置
CN104309078A (zh) 一种带升降机构的注塑机取料机械手
CN207930856U (zh) 一种应用于制砖机的自动送料脱模出砖机构
CN216806935U (zh) 机器人自动上料装置
KR200440608Y1 (ko) 수직 교대형 보틀블로우어
CN220668057U (zh) 一种自动激活背胶机构
KR101384626B1 (ko) 업다운 방식을 이용한 포장용기 가공 프레스의 이송판 로딩장치.
KR102346735B1 (ko) 프레스 컨베이어 장치 및 이를 구비한 본딩 설비
CN221136591U (zh) 一种硫化机硫化机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1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27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