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82274Y1 - 차량용 부품의 융착 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용 부품의 융착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82274Y1
KR200482274Y1 KR2020140007808U KR20140007808U KR200482274Y1 KR 200482274 Y1 KR200482274 Y1 KR 200482274Y1 KR 2020140007808 U KR2020140007808 U KR 2020140007808U KR 20140007808 U KR20140007808 U KR 20140007808U KR 200482274 Y1 KR200482274 Y1 KR 20048227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using
frame
fixing
vehicle component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4000780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01475U (ko
Inventor
이형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서연이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서연이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서연이화
Priority to KR202014000780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2274Y1/ko
Publication of KR2016000147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01475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227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2274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5/00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 B29C65/02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by heating, with or without pressure
    • B29C65/18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by heating, with or without pressure using heated tools
    • B29C65/20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by heating, with or without pressure using heated tools with direct contact, e.g. using "mirr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ning Or Join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차량용 부품의 융착 장치에 관한 것으로, 종래에 고정플레이트에 설치되던 차량용 부품의 고정유닛을 공간적으로 분리시켜, 융착지그에 설치함으로써고정유닛의 설치 및 위치변경 시 융착 장치 내부의 협소한 공간으로 인해 발생하는 작업의 어려움을 해소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차량용 부품의 융착 장치{FUSION EQUIPMENT FOR PARTS OF VEHICLE}
본 고안은 차량용 부품의 융착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융착지그의 일측에 고정유닛을 설치한 차량용 부품의 융착 장치에 관한 것이다.
차량은 많은 부품들의 조립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그 중 내장부품과 외장부품은 차량의 형태나 디자인을 결정짓는 심미적인 요소로 중요성을 갖는다고 할 수 있다.
특히, 자동차에서 도어트림은 도어의 실내 측면에 부착되어 충격으로부터 탑승자를 보호하고 실내 미감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동시에 사용자의 편의를 위해 다양한 부품을 장착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차량의 도어트림은 일정한 녹는점을 갖는 다수의 플라스틱이 결합되어 제작되며, 이러한 결합은 플라스틱 융착 장치가 결합부위를 열융착 시킴으로써 이루어진다.
일반적인 열 융착 장치의 경우, 융착지그에 안착되는 도어트림 같은 차량용 부품에 열풍 융착 작업을 수행하기 위하여 고정 플레이트에 열풍 융착기, 차량용 부품의 고정장치, 융착 시 냉각을 위한 냉각기 등이 설치된다.
도 1은 종래 융착 장치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상술한 바와 같이 고정 플레이트(1)에 열풍 융착기(2)와 차량용 부품을 고정하는 고정장치(3) 및 융착 작업 시 냉각을 위한 냉각기(미도시) 등이 설치되므로 고정 플레이트(1)의 설치공간이 부족하게 된다.
더욱이, 차량용 부품의 융착 작업 시 기밀성 및 접합력 향상을 위하여 융착 부위가 조밀하게 배치된다. 이 경우 고정 플레이트(1)에 고정장치(3)를 조밀하게 장착하여야 하므로, 융착지그(4)에 안착된 차량용 부품을 고정하는 고정장치(3)를 장착하는데 공간적 제약이 따르는 문제가 있다.
또한, 설계가 상이한 차량용 부품에 따라 고정장치(3)를 추가로 장착하거나 고정장치(3)의 위치를 변경하는 작업은 융착 장치 안에서 수행하게 된다. 그런데 융착 장치의 내부는 협소한 공간으로 형성될 뿐만 아니라, 융착 장치의 상부에는 고정 플레이트(1)가 상하로 이동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고정 플레이트(1)에 고정장치(3)를 추가하거나 위치를 변경하기 위해서는 협소한 공간에서 작업자가 머리 위의 고정 플레이트(1)를 바라보고 작업을 하여야 하므로 작업 자세가 불편하며, 고정 플레이트(1)가 하부로 낙하하는 경우 작업자가 상해를 입을 위험이 있다는 문제가 있다.
한국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66802호(등록일 2013. 05. 02)
본 고안의 목적은 종래에 고정플레이트에 설치되던 차량용 부품의 고정유닛을 공간적으로 분리시켜, 고정유닛의 설치 및 위치변경 시 융착 장치 내부의 협소한 공간으로 인해 발생하는 작업의 어려움을 해소하기 위한 차량용 부품의 융착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고안의 차량용 부품의 융착 장치는 수평프레임과 수직프레임을 구비하는 메인프레임, 상기 수평프레임에 설치되는 가이드레일, 상기 가이드레일을 따라 좌우로 이동하며, 상부에는 차량용 부품이 안착되는 융착지그, 상기 융착지그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차량용 부품을 고정하는 고정유닛, 및 상기 메인프레임에 설치되며, 상기 융착지그에 안착된 차량용 부품의 융착 작업을 수행하는 융착기를 포함하는 융착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고정유닛은 상기 융착지그의 일측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축, 상기 회전축의 일단에 연결되어 상기 회전축을 회전시키는 구동부, 상기 회전축에 결합되어 상기 회전축의 회전에 따라 회동하는 수직 지지프레임, 상기 수직 지지프레임에 결합되는 지지판, 및 상기 지지판에 장착되어 상기 차량용 부품을 고정하는 스트립퍼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고정유닛은 상기 수직 지지프레임에 결합되어 상기 지지판을 지지하는 수평 지지프레임을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지지판에는 상기 융착기가 관통되어 융착 작업을 수행하는 관통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고정유닛은 상기 회전축과 이격되어 상기 융착지그에 설치되되, 상기 회전축의 회전에 따라 회동하는 상기 수직 지지프레임 또는 상기 수평 지지프레임을 지지하는 보조고정부를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고정유닛은 일단은 상기 회전축에 힌지 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구동부에 힌지 결합되는 회전로드를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융착부는 상기 메인 프레임에 설치되어 상기 수직프레임을 따라 상하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슬라이드 플레이트, 상기 슬라이드 플레이트로부터 이격되어 설치되며, 상기 융착기가 장착되는 고정플레이트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고정유닛은 상기 수직 지지프레임 또는 상기 수평 지지프레임에 설치되되, 상기 슬라이드 플레이트 하강 시 상기 고정플레이트와 접하도록 돌출된 스토퍼를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스트립퍼는 상기 관통부를 따라서 상기 지지판에 복수 개가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차량용 부품의 융착 장치는 상기 메인 프레임에 설치되어 상기 고정유닛 및 상기 융착부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한다.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부품의 융착 장치는 종래에 융착 작업시 고정플레이트에 설치되던 차량용 부품의 고정유닛을 공간적으로 분리시켜 융착지그에 설치함으로써 협소한 공간으로 인해 고정유닛의 배치가 어려웠던 공간적 제약의 문제점을 해결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수평프레임에 설치되는 융착지그의 일측에 고정유닛이 설치되므로, 융착 작업 시 차량용 부품을 고정하는 스트립퍼를 지지판에 추가로 장착하거나 위치를 조정하는 경우 넓은 공간에서 수행되고 작업자의 작업 자세도 불편하지 않아 작업이 용이한 효과가 있다.
더욱이, 작업자가 제어부의 작업버튼을 누르면, 고정유닛에 의해 융착지그에 안착된 차량용 부품을 자동으로 고정한 후 융착부로 가이드레일을 따라 이송되어 융착 작업이 이루어지며, 융착 작업 완료되면 다시 가이드레일을 따라 이송되어 고정유닛에 의한 고정이 자동으로 해제되므로 작업자의 피로도가 감소되고, 생산성 및 품질도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 차량용 부품의 융착 장치를 나타내는 정면도.
도 2a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부품의 융착 장치를 나타내는 측면도.
도 2b는 도 2a의 차량용 부품의 융착 장치를 나타내는 정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정유닛이 구비된 융착지그의 평면도.
도 4a는 도 3의 측면도.
도 4b는 도 4a에서 고정유닛에 의한 고정이 해제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5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정유닛에 의해 고정된 차량용 부품에 융착부가 융착 작업을 실시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본 고안의 실시를 위한 구체적인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이러한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고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써,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종래 차량용 부품의 융착 장치를 나타내는 정면도이고, 도 2a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부품의 융착 장치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며, 도 2b는 도 2a의 차량용 부품의 융착 장치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또한,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정유닛이 구비된 융착지그의 평면도이고, 도 4a는 도 3의 측면도이며, 도 4b는 도 4a에서 고정유닛에 의한 고정이 해제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5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정유닛에 의해 고정된 차량용 부품에 융착부가 융착 작업을 실시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고안에 따른 차량용 부품의 융착 장치는 융착 작업 시 차량용 부품을 고정하는 스트립퍼와 융착기의 설치를 공간적으로 분리하여 스트립퍼 장착의 편의성을 도모하기 위한 것으로, 메인프레임(100), 가이드레일(200), 융착지그(300a), 고정유닛(300), 융착부(400), 및 제어부(500)를 포함한다.
도 2a 및 2b를 참조하면, 메인프레임(100)은 복수의 수평프레임(110) 및 복수의 수직프레임(120)으로 이루어진다. 복수의 수직프레임(120)은 메인프레임(100)의 횡방향을 따라 이격되어 형성되며, 복수의 수평프레임(110)은 메인프레임(100)의 종방향을 따라 이격되어 형성된다.
또한, 메인프레임(100)의 복수의 수직프레임(120) 및 복수의 수평프레임(110)은 본 고안에 따른 차량용 부품의 융착 장치가 원할하게 작동하기 위하여 상이한 간격으로 이격되어 설치될 수 있다.
가이드레일(200)은 메인프레임(100)에 구비되는 수평프레임(110)에 설치되어 후술하는 융착지그(300a)를 수평프레임(110)을 따라 좌우로 이송한다. 일 실시예로 가이드레일(200)로 LM가이드를 이용하여 에어(air) 실린더(미도시)의 작동으로 융착지그(300a)를 후술하는 융착부(400)로 이송한다.
도 3, 4a, 및 4b를 참조하면, 융착지그(300a)는 융착 작업을 수행하기 위한 차량용 부품이 안착된다. 따라서 융착지그(300a)의 상부에는 도어트림 같은 차량용 부품의 형상에 대응하여 차량용 부품이 안착되는 안착부가 형성된다.
고정유닛(300)은 융착지그 일측에 설치되는 회전축(310), 회전축(310)의 일단에 연결되는 구동부(320), 회전축에 결합되어 회전축의 회전에 따라 회동하는 수직 지지프레임(330), 수직 지지프레임(330)에 결합되는 지지판(340), 및 지지판(340)에 장착되는 스트립퍼(350)를 포함한다.
또한, 고정유닛(300)은 수직 지지프레임(330)에 결합되는 수평 지지프레임(330a), 회전축의 회전에 따라 회동하는 수직 또는 수평 지지프레임(330, 330a)을 지지하는 보조고정부(360), 회전축(310)과 구동부(320)의 사이에 힌지 결합되는 회전로드(380), 및 수직 지지프레임(330) 또는 수평 지지프레임(330a)에 돌출 형성된 스토퍼(390)를 더 포함한다.
회전축(310)은 원형 봉 형상으로 양 단부가 베어링(370)에 삽입되어 지지되며, 상기 베어링(370)은 융착지그(300a)의 일측에 고정됨으로써 회전축(310)을 지지하게 된다.
구동부(320)는 융착지그(300a)의 일측에 설치되며, 베어링(370)을 관통한 회전축(310)의 일단에 연결되어 회전축(310)을 회전시킨다. 일 실시예로 구동부(320)는 실린더가 사용될 수 있으며, 이 경우 회전로드(380)가 추가적으로 필요하다. 회전로드(380)의 일단은 실린더의 구동축에 힌지 결합되며, 타단은 베어링(370)을 관통한 회전축(310)의 일단에 힌지 결합된다.
따라서, 구동부(320)인 실린더가 직선 운동하면 이와 힌지 결합된 회전로드(380)가 회전축(310)을 기준으로 회전하게 된다. 결국, 회전로드(380)의 일단과 힌지 결합된 회전축(310)이 회전하게 된다. 즉, 실린더의 전진 또는 후진에 따라 회전축(310)은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수직 지지프레임(330)은 일단이 회전축(310)의 외주면을 감싸도록 결합된다. 또한, 수직 지지프레임(330)은 회전축(310)에 결합되되, 상호 마주보도록 평행하게 설치된다. 따라서, 구동부(320)에 의해 회전축(310)이 회전하면 수직 지지프레임(330)이 회전축(310)의 회전에 따라 회동하게 된다.
지지판(340)은 판 형상으로서, 양 단부가 수직 지지프레임(330)에 결합된다. 지지판(340)이 수직 지지프레임(330)에 설치되므로 수직 지지프레임(330)의 회동에 따라 함께 회동된다.
또한, 지지판(340)의 면에는 후술하는 융착기(430)가 관통하여 차량용 부품에 융착 작업을 할 수 있도록 관통부(341)가 형성된다. 후술하는 융착기(430)는 융착 작업을 수행해야 하는 차량용 부품의 융착점의 위치를 따라 배치된다. 따라서, 관통부(341)도 융착기(430)가 관통해야 하는 위치를 따라서 지지판(340)의 면상에 형성된다. 관통부(341)는 레이저를 이용하여 지지판(340)의 면상에서 가공된다.
도 3을 참조하면, 관통부(341)는 불규칙한 가지 형상으로 형성되는데, 이는레이저를 이용하여 지지판(340)의 면상에서 가공할 때, 융착기(430)가 융착하는 융착점들을 따라 연속적으로 가공되기 때문이다.
융착기(430)의 설치 위치 별로 관통 구멍을 형성하려면 정확한 위치를 고정하여 구멍을 형성하여야 하지만, 지지판(340)의 면상에서 융착점들을 따라 연속적으로 가공하면 융착기(430)기가 설치되는 정확한 위치에 관통 구멍을 형성하는 것보다 작업이 용이하여 시간과 노력이 절감된다.
한편, 회전축(3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격되어 설치되는 수직 지지프레임(330)에는 수평 지지프레임(330a)이 추가로 설치될 수 있다. 수평 지지프레임(330a)은 수직 지지프레임(330)의 사이에서 직교하도록 설치되되, 상호 마주보도록 평행하게 설치된다. 수평 지지프레임(330a)이 설치되면 수직 지지프레임(330)과 함께 지지판(340)의 단부를 지지하므로, 상기 지지판(340)의 지지력이 증대되는 효과가 있다.
보조고정부(360)는 회전축(310)으로부터 이격되어 융착지그(300a)에 설치된다. 보조고정부(360)는 회전축(310)의 회전에 따라 회동하는 수직 지지프레임(330) 또는 수평 지지프레임(330a)을 지지하게 된다.
도 4b를 참조하면, 구동부(320)인 실린더의 피스톤이 후퇴하여 회전축(310)에 연결된 수직 지지프레임(330)이 회동하여 들어올려진 상태이다. 이에 반해, 도 4a를 살펴보면, 구동부(320)의 피스톤이 전진하여 회전축(310)이 회전하고, 이에 따라 수직 지지프레임(330)이 회동하여 융착지그(300a) 상부로 내려오게 된다.
이때, 보조고정부(360)가 수직 지지프레임(330)의 일측을 지지하면서 고정하게 된다. 도 4a 및 4b를 참조하여 보조고정부(360)가 수직 지지프레임(330)을 지지하는 것을 설명하였으나 수평 지지프레임(330)을 지지하거나, 수평 및 수직 지지프레임을(330, 330a) 모두 지지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보조고정부(360)는 스윙 클램프 실린더(swing clamp cylinder)를 포함하며, 회동하는 수직 지지프레임(330) 또는 수평 지지프레임(330a)의 일측을 클램핑하여 고정하게 된다.
스트립퍼(350)는 융착 작업을 하는 과정에서 차량용 부품을 고정하기 위해 관통부(341)를 따라서 지지판(340)에 장착된다. 융착 작업은 후술하는 융착기(430)기가 지지판(340)에 형성된 관통부(341)를 관통하여 융착지그(300a)에 안착된 차량용 부품의 융착점에서 수행된다.
도어트림 같은 차량용 부품의 융착은 기밀성 및 접합력을 증대 시키기 위해 융착점이 조밀하게 배치되고, 이에 따라 융착기(430)도 조밀하게 배치된다. 따라서 스트립퍼(350)도 각 융착점에 인접하게 배치되도록 지지판(340)에 형성된 가지 모양의 관통부(341)를 따라서 복수 개가 장착된다.
스트립퍼(350)는 융착 작업을 하는 과정에서 차량용 부품을 고정하는 역할을 하며, 특히 융착 작업 완료 후 융착기(430)기가 상승할 때 차량용 부품으로부터 분리될 수 있도록 차량용 부품을 고정하는 역할을 한다.
도 5를 참조하면, 스토퍼(390)는 수직 지지프레임(330) 또는 수평 지지프레임(330a)에 돌출되도록 설치된다. 스토퍼(390)는 후술하는 고정플레이트(420)의 하강 시 하강 가능한 위치를 제한하게 된다.
고정플레이트(420)가 하강하여 스토퍼(390)와 접하게 되면, 고정플레이트(420)는 스토퍼(390)를 하방향으로 가압하게 되고, 이에 따라 스토퍼(390)는 지지판(340)을 가압하게 되어 스트립퍼(350)의 고정력을 향상시킨다.
다음으로, 융착부(400)는 차량용 부품에 융착 작업을 수행하기 위하여 메인프레임(100)에 설치되는 슬라이드 플레이트(410), 슬라이드 플레이트(410)로부터 하방향으로 이격되어 설치되는 고정플레이트(420), 고정플레이트(420)에 장착되는 융착기(430)를 포함한다.
슬라이드 플레이트(410)는 메인프레임(100) 상부의 수평프레임(110) 또는 수직프레임(120)에 설치되되, 상기 수직프레임(120)을 따라 상하이동이 가능하게 설치된다. 즉, 슬라이드 플레이트(410)의 상면이 프레스(press)에 설치되어 상하 이동하게 된다.
고정플레이트(420)는 슬라이드 플레이트(410)의 하방향에 이격되어 설치된다. 고정플레이트(420)는 평판 형상으로서, 후술하는 복수 개의 융착기(430)나 냉각을 위한 냉각기(미도시)가 장착된다.
융착기(430)는 차량용 부품의 융착점 위치에 따라서 고정플레이트(420)에 복수 개가 설치된다. 일 실시예로, 융착점의 위치에 따라 고정플레이트(420)의 면상에 관통구멍을 형성하고, 상기 관통구멍에 융착기(430)기가 관통되어 고정플레이트(420)의 상하부에서 볼트로 고정된다.
제어부(500)는 메인프레임(100)의 일측에 설치되어 고정유닛(300) 및 융착부(400)의 작동을 제어한다. 제어부(500)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이후의 동작 설명을 통하여 대신한다.
지금까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부품의 융착 장치의 구성을 설명하였고, 이후부터 도 1 내지 5를 참조하여 동작을 설명하기로 한다.
수평프레임(110)의 일측에 설치되는 융착지그(300a)에 융착 작업을 수행하려는 차량용 부품이 안착되면, 작업자는 제어부(500)에 형성된 동작버튼(미도시)을 눌러 본 고안인 차량용 부품의 융착 장치를 작동시킨다.
작업자가 동작버튼(미도시)을 누르면, 고정유닛(300)의 구동부(320)가 작동하여 회전축(310)을 회전시킨다. 회전축(310)에는 수직 지지프레임(330)의 일단이 회전축(310)의 외주면을 감싸도록 결합되므로, 회전축(310)의 회전에 따라 수직 지지프레임(330)이 함께 회동된다.
수직 지지프레임(330)에는 평판 형상의 지지판(340)의 각 단부가 결합되므로, 지지판(340)도 회전축(310)의 회전에 따라 함께 회동된다. 지지판(340)이 회동되어 융착지그(300a)의 상부에 위치하게 되면, 수직 또는 수평 지지프레임(330, 330a)의 일측을 보조고정부(360)가 지지하여 고정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고정유닛(300)에 의해 차량용 부품의 고정이 완료되면, 제어부(500)는 융착지그(300a)를 가이드레일(200)을 따라 융착부(400)로 이송한다. 융착지그(300a)가 융착부(400)에 이송되면, 제어부(500)는 융착부(400)의 슬라이드 플레이트(410)를 하강시킨다.
슬라이드 플레이트(410)가 하강함에 따라 고정플레이트(420)도 하강하게 되고, 이에 따라 상기 고정플레이트(420)에 장착된 융착기(430)가 수직프레임(120)을 따라 하강하게 된다.
하강하던 고정플레이트(420)는 스토퍼(390)에 접하면서 스토퍼(390)를 하방향으로 가압하게 된다. 이후 지지판(340)을 관통한 융착기(430)가 융착 작업을 실시하고, 융착을 하는 과정에서 스트립퍼(350)는 차량용 부품을 고정하게 된다.
융착 작업이 완료되면, 제어부(500)는 융착부(400)로부터 융착지그(300a)를 가이드레일(200)을 따라 이송시킨다. 이후, 제어부(500)는 구동부(320)를 반대로 작동시켜 회전축(310)을 회전시키고, 이에 따라 수직 지지프레임(330) 및 지지판(340)이 회전축(310)의 회전에 따라 회동되어 상부로 들어 올려진다.
고정유닛(300)에 의한 고정이 해제되면, 작업자는 융착지그(300a)로부터 차량용 부품을 취출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차량용 부품의 융착 장치는 종래에 융착 작업시 고정플레이트에 설치되던 차량용 부품의 고정유닛을 공간적으로 분리시켜 융착지그에 설치함으로써 협소한 공간으로 인해 고정유닛의 배치가 어려웠던 공간적 제약의 문제점을 해결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수평프레임에 설치되는 융착지그의 일측에 고정유닛이 설치되므로, 융착 작업 시 차량용 부품을 고정하는 스트립퍼를 지지판에 추가로 장착하거나 위치를 조정하는 경우 넓은 공간에서 수행되고 작업자의 작업 자세도 불편하지 않아 작업이 용이한 효과가 있다.
또한, 작업자가 제어부의 작업버튼을 누르면, 고정유닛에 의해 융착지그에 안착된 차량용 부품을 자동으로 고정한 후 융착부로 가이드레일을 따라 이송되어 융착 작업이 이루어지며, 융착 작업 완료되면 다시 가이드레일을 따라 이송되어 고정유닛에 의한 고정이 자동으로 해제되므로 작업자의 피로도가 감소되고, 생산성 및 품질도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앞에서 설명되고 도면에 도시된 본 고안의 일 실시 예는,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고안의 권리범위는 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에 의해서만 제한되고, 본 고안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다양한 형태로 개량 및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이러한 개량 및 변경이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인 한, 본 고안의 권리범위에 속하게 될 것이다.
100 : 메인프레임
110 : 수평프레임
120 : 수직프레임
200 : 가이드레일
300 : 고정유닛
310 : 회전축
320 : 구동부
330 : 수직 지지프레임
330a : 수평 지지프레임
340 : 지지판
350 : 스트립퍼
360 : 보조고정부
370 : 베어링
380 : 회전로드
390 : 스토퍼
300a : 융착지그
400 : 융착부
500 : 제어부

Claims (10)

  1. 수평프레임과 수직프레임을 구비하는 메인프레임;
    상기 수평프레임에 설치되는 가이드레일;
    상기 가이드레일을 따라 좌우로 이동하며, 상부에는 차량용 부품이 안착되는 융착지그;
    상기 융착지그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차량용 부품을 고정하는 고정유닛;
    상기 메인프레임에 설치되며, 상기 융착지그에 안착된 차량용 부품의 융착 작업을 수행하는 융착기를 포함하는 융착부;
    상기 고정유닛은,
    상기 융착지그의 일측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축;
    상기 회전축의 일단에 연결되어 상기 회전축을 회전시키는 구동부;
    상기 회전축에 결합되어 상기 회전축의 회전에 따라 회동하는 수직 지지프레임;
    상기 수직 지지프레임에 결합되는 지지판; 및
    상기 지지판에 장착되어 상기 차량용 부품을 고정하는 스트립퍼; 및
    상기 수직 지지프레임에 결합되어 상기 지지판을 지지하는 수평 지지프레임;
    을 포함하는 차량용 부품의 융착 장치.
  2. 삭제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판에는 상기 융착기가 관통되어 융착 작업을 수행하는 관통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부품의 융착 장치.
  5. 제 1 항 및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유닛은,
    상기 회전축과 이격되어 상기 융착지그에 설치되되, 상기 회전축의 회전에 따라 회동하는 상기 수직 지지프레임 또는 상기 수평 지지프레임을 지지하는 보조고정부를 더 포함하는 차량용 부품의 융착 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유닛은,
    일단은 상기 회전축에 힌지 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구동부에 힌지 결합되는 회전로드를 더 포함하는 차량용 부품의 융착 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융착부는,
    상기 메인 프레임에 설치되어 상기 수직프레임을 따라 상하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슬라이드 플레이트;
    상기 슬라이드 플레이트로부터 이격되어 설치되며, 상기 융착기가 장착되는 고정플레이트;
    를 포함하는 차량용 부품의 융착 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유닛은,
    상기 수직 지지프레임 또는 상기 수평 지지프레임에 설치되되, 상기 슬라이드 플레이트 하강 시 상기 고정플레이트와 접하도록 돌출된 스토퍼를 더 포함하는 차량용 부품의 융착 장치.
  9.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스트립퍼는 상기 관통부를 따라서 상기 지지판에 복수 개가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부품 융착 장치.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프레임에 설치되어 상기 고정유닛 및 상기 융착부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차량용 부품 융착 장치.
KR2020140007808U 2014-10-28 2014-10-28 차량용 부품의 융착 장치 KR20048227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40007808U KR200482274Y1 (ko) 2014-10-28 2014-10-28 차량용 부품의 융착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40007808U KR200482274Y1 (ko) 2014-10-28 2014-10-28 차량용 부품의 융착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01475U KR20160001475U (ko) 2016-05-10
KR200482274Y1 true KR200482274Y1 (ko) 2017-01-09

Family

ID=560238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40007808U KR200482274Y1 (ko) 2014-10-28 2014-10-28 차량용 부품의 융착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2274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19579B1 (ko) * 2020-08-20 2021-02-23 진정주 경제형 로봇 용접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78917Y1 (ko) * 2004-12-21 2005-03-16 (주)건양아이티티 직립형 열풍융착기
KR200447477Y1 (ko) 2008-01-21 2010-01-26 한일이화주식회사 복합 열융착 및 열풍융착 장치
KR200469827Y1 (ko) 2011-11-21 2013-11-08 한일이화주식회사 금형 자동교환 기능을 갖는 열풍 융착장치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183097A (ja) * 1994-12-30 1996-07-16 K U Syst Kk プラスチックフィルムの溶着装置
KR200466802Y1 (ko) 2010-09-16 2013-05-08 한일이화주식회사 융착 설비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78917Y1 (ko) * 2004-12-21 2005-03-16 (주)건양아이티티 직립형 열풍융착기
KR200447477Y1 (ko) 2008-01-21 2010-01-26 한일이화주식회사 복합 열융착 및 열풍융착 장치
KR200469827Y1 (ko) 2011-11-21 2013-11-08 한일이화주식회사 금형 자동교환 기능을 갖는 열풍 융착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19579B1 (ko) * 2020-08-20 2021-02-23 진정주 경제형 로봇 용접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01475U (ko) 2016-05-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09442B1 (ko) 지그장치
KR101550372B1 (ko) 러그 용접장치
KR101550619B1 (ko) 프레스 장치
KR100907057B1 (ko) 스폿 용접용 지그 장치
KR101550611B1 (ko) 차량용 도어 힌지 로딩장치
KR102383263B1 (ko) 행거의 높이 가변장치
KR20110065865A (ko) 범퍼빔용 클램핑 장치
US20160052157A1 (en) Punch for punching polymeric motor vehicle components
KR20120077204A (ko) 용접용 회전테이블
KR101550966B1 (ko) 자동차용 도어프레임 코너용접장치
KR200482274Y1 (ko) 차량용 부품의 융착 장치
KR20200033407A (ko) 초음파 융착장치
CN104858593B (zh) 一种用于精密箱型传感器焊接的定位工装夹具及其使用方法
KR101474109B1 (ko) 클램프를 포함하는 차량용 용접 장치
KR101454649B1 (ko) 레이저 용접용 클램핑 장치
KR20210080740A (ko) 용접용 클램핑 지그 장치
KR101655593B1 (ko) 자동차 부품의 용접장치
KR101451505B1 (ko) 자동차의 시트트랙 작업용 회전식 지그
CN211102369U (zh) 用于减振器的焊接辅助装置
CN203738267U (zh) 自动化焊接装置
CN203864019U (zh) 眼镜钉铰机
CN102974969B (zh) 重型汽车保险杠左段或右段总成的焊接夹具
KR20220030358A (ko) 자동차 범퍼용 센서브래킷 설치 장치 및 방법
KR102146488B1 (ko) 열풍융착장치
KR102165694B1 (ko) 차량용 내장재 융착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