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95676A - 강, 용접용 소모품, 주조 제품, 단조 제품 또는 전신 제품, 용접 방법, 용접 제품 및 열처리 방법 - Google Patents

강, 용접용 소모품, 주조 제품, 단조 제품 또는 전신 제품, 용접 방법, 용접 제품 및 열처리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95676A
KR20180095676A KR1020187020730A KR20187020730A KR20180095676A KR 20180095676 A KR20180095676 A KR 20180095676A KR 1020187020730 A KR1020187020730 A KR 1020187020730A KR 20187020730 A KR20187020730 A KR 20187020730A KR 20180095676 A KR20180095676 A KR 2018009567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lding
less
steel
nickel
consumabl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70207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리차드 스탠리 굿윈
버나드 라프 어니스트 굿윈
스테픈 로버츠
스티븐 찰스 버크스
Original Assignee
굿윈 피엘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GB1522777.0A external-priority patent/GB2545722A/en
Application filed by 굿윈 피엘씨 filed Critical 굿윈 피엘씨
Publication of KR201800956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9567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18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 C22C38/4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with nickel
    • C22C38/52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with nickel with cobalt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18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 C22C38/4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with nickel
    • C22C38/44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with nickel with molybdenum or tungste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35/00Rods, electrodes, materials, or media, for use in soldering, welding, or cutting
    • B23K35/02Rods, electrodes, materials, or media, for use in soldering, welding, or cutting characterised by mechanical features, e.g. shape
    • B23K35/0255Rods, electrodes, materials, or media, for use in soldering, welding, or cutting characterised by mechanical features, e.g. shape for use in weld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35/00Rods, electrodes, materials, or media, for use in soldering, welding, or cutting
    • B23K35/02Rods, electrodes, materials, or media, for use in soldering, welding, or cutting characterised by mechanical features, e.g. shape
    • B23K35/0255Rods, electrodes, materials, or media, for use in soldering, welding, or cutting characterised by mechanical features, e.g. shape for use in welding
    • B23K35/0261Rods, electrodes, wi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35/00Rods, electrodes, materials, or media, for use in soldering, welding, or cutting
    • B23K35/22Rods, electrodes, materials, or media, for use in soldering, welding, or cutting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or nature of the material
    • B23K35/24Selection of soldering or welding materials proper
    • B23K35/30Selection of soldering or welding materials proper with the principal constituent melting at less than 1550 degrees C
    • B23K35/3053Fe as the principal constituent
    • B23K35/308Fe as the principal constituent with Cr as next major constituent
    • B23K35/3086Fe as the principal constituent with Cr as next major constituent containing Ni or Mn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1/00General methods or devices for heat treatment, e.g. annealing, hardening, quenching or tempering
    • C21D1/18Hardening; Quenching with or without subsequent tempering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6/00Heat treatment of ferrous alloys
    • C21D6/004Heat treatment of ferrous alloys containing Cr and Ni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6/00Heat treatment of ferrous alloys
    • C21D6/005Heat treatment of ferrous alloys containing Mn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6/00Heat treatment of ferrous alloys
    • C21D6/007Heat treatment of ferrous alloys containing Co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6/00Heat treatment of ferrous alloys
    • C21D6/008Heat treatment of ferrous alloys containing Si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9/00Heat treatment, e.g. annealing, hardening, quenching or tempering,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Furnaces therefor
    • C21D9/50Heat treatment, e.g. annealing, hardening, quenching or tempering,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Furnaces therefor for welded joints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001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N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004Very low carbon steels, i.e. having a carbon content of less than 0,01%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02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silicon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04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manganese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06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aluminium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18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 C22C38/4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with nickel
    • C22C38/42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with nickel with copper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18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 C22C38/4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with nickel
    • C22C38/46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with nickel with vanadium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18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 C22C38/4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with nickel
    • C22C38/48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with nickel with niobium or tantalum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2211/00Microstructure comprising significant phases
    • C21D2211/001Austenite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2211/00Microstructure comprising significant phases
    • C21D2211/005Ferrit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Heat Treatment Of Steel (AREA)
  • Arc Welding In General (AREA)
  • Heat Treatment Of Articles (AREA)

Abstract

강으로서, 질량%로, 0.005 내지 0.015%의 탄소, 0.05 내지 0.35%의 실리콘, 7.45 내지 8.4%의 니켈, 1.00% 이하의 망가니즈, 0.025% 이하의 황, 0.030% 이하의 인, 24.0 내지 26.0%의 크롬, 0.50 내지 1.00%의 구리, 3.0 내지 4.0%의 몰리브데넘, 0.002 내지 0.010% 니오븀, 0.75% 이하의 코발트, 0.015% 이하의 알루미늄, 0.20 내지 0.30%의 질소, 0.50 내지 0.85%의 텅스텐, 잔부의 철 및 부수적 불순물을 포함한다.

Description

강, 용접용 소모품, 주조 제품, 단조 제품 또는 전신 제품, 용접 방법, 용접 제품 및 열처리 방법
본 발명은 강, 용접용 소모품, 주조 제품, 단조 제품 또는 전신(wrought) 제품, 용접 방법, 용접 제품 및 열처리 방법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ASTM A995-13 Gr 6A(2013년 12월 1일)에 해당하는 것과 같은 강 및 상기 강 및 유사 강을 용접하기에 적합한 용접용 소모품 및 용접 여부와 무관하게 상기 강에 적합한 열처리에 관한 것이다.
ASTM A995-13 Gr 6A(2013년 12월 1일)(6A)는 25 %의 크롬 슈퍼 듀플렉스 스테인리스 강(주로 페라이트 및 오스테나이트를 포함함)이다. 이러한 슈퍼 듀플렉스 강은 40 년 이상 제조되어왔다. 슈퍼 듀플렉스 스테인리스 강은 316 또는 주조 버전인 ASTM A351 CF8M과 같은 종래의 18/8/3 스테인리스 강에 비해 더 높은 강도 및 내식성을 필요로 하는 곳에서 광범위하게 사용된다.
전통적으로 CF8M은 액화 천연 가스(LNG) 설비와 같은 극저온 응용분야에 사용되어왔으며, 여전히 사용되고 있다. 이것은 CF8M이 두꺼운 벽 부분에서도 -196℃까지 우수한 충격 특성을 제공하기 때문이고, 반면에 ASTM A995-13 6A(2013년 12월 1일)와 같은 슈퍼 듀플렉스 스테인리스 강은 전통적으로 -46℃까지만 합리적인 충격 특성을 가지며, 벽 두께가 200mm이거나 심지어 250mm 이상인 매우 두꺼운 벽의 부품에서는 ½두께(T1/2)에서 합리적인 충격 특성을 가지지 않는다.
이러한 이유로 6A 등급의 Norsok 사양 M630은 -46℃에서만 충격 시험이 실시될 필요가 있고, 다음의 조건이 주조물의 생산을 위해 충족되어야 한다.
Norsok M630 재료 데이터 시트 MDS-D56: 45J 평균/35J 단일 최소 -46° ¼ 두께 (T1/4).
Norsok는 세계적으로 최상의 프랙티스가 무엇인지 그리고 고품질 제조업체가 달성가능한 것이 무엇인지를 연구한 많은 재료 사양을 기록하고 있다. Norsok 사양은 특히 오일 및 가스 회사에서 많은 금속학자 및 엔지니어링 디자이어에 의해 다양한 합금에서 달성될 수 있는 야금학적 특성에 대한 권위있는 가이드로서 사용된다.
많은 25 %의 Cr 슈퍼 듀플렉스 스테인리스 강 주물이 40 년 이상 제조되어 왔다. 그러나, 이것은 -46℃에서 Norsok 사양에 명시된 것보다 높은 충격 특성을 보장할 수 없었으며, 심지어 (예를 들면, 150 mm를 초과하는 두께 또는 200mm를 초과하는 두께 또는 250mm를 초과하는 두께를 갖는) 두꺼운 벽의 부품에서도 보장할 수 없었다.
본 발명은 -46℃에서 Norsok 사양보다 최대 150% 더 높은 우수한 충격 특성을 일관되게 제공하고, 또한 -101℃에서 허용가능한 충격 특성(45J 평균/35J 최소)을 제공하는 ASTM A995-13 Gr 6A(2013년 12월 1일) 유형의 슈퍼 듀플렉스 합금에 대한 특정 화학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ASTM A488 용접 적격 표준은 깊은 충격 시험(즉 용접부의 깊이를 통한 시험)을 요구하지 않으며, 용접 금속의 거의 모든 충격 시험은 통상적으로 용접 루트(root)가 아닌 용접 캡(cap) 근처에서 실시된다.
이러한 이유로 두꺼운 듀플렉스 용접에서 충격 특성에 대한 지식이 거의 없다. 시판되는 듀플렉스 용접 와이어나 전극을 이용하는 광범위한 테스트 프로그램에 의해 생성되는 데이터는 용접후 용체화 처리된 주물에서 -46℃에서 용접 금속의 충격 특성이 용접 캡으로부터 하방으로의 시험 진행을 심각하게 감소시키는 것을 보여주었다. 50mm 내지 100mm의 깊이에서 충격 특성은 한자리 숫자이므로 허용될 수 없다.
25% Cr 슈퍼 듀플렉스 합금을 위한 용접 전극에 적용되는 본 발명의 강에서 결정된 것과 동일하거나 유사한 화학적 제한을 채택하면, 용접 캡으로부터 25 mm를 초과하는 깊이의 충격 특성이 크게 향상된다.
본 발명은 질량%로 0.005 내지 0.015%의 탄소, 0.05 내지 0.35%의 실리콘, 7.45 내지 8.4%의 니켈, 1.00% 이하의 망가니즈, 0.025% 이하의 황, 0.030% 이하의 인, 24.0 내지 26.0%의 크롬, 0.50 내지 1.00%의 구리, 3.0 내지 4.0%의 몰리브데넘, 0.75% 이하의 코발트, 0.010% 이하의 니오븀, 0.015% 이하의 알루미늄, 0.20 내지 0.30%의 질소 및 0.50 내지 0.85%의 텅스텐, 잔부의 철 및 부수적 불순물을 포함하는 또는 이것으로 이루어지는 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특정 화학조성물을 채용하면 본 발명의 (시그마 상의 존재를 최소화하기 위해) C, Si, Ni, Nb, 및 W를 제어하여 다음이 얻어진다.
1) 200mm 두께 부분에서 ¼T 및 ½T의 둘 모두에서 -46℃에서 140J 평균/100J 단일의 최소 이상을 달성하고, 또한 ASTM 사양에 명시된 바와 같은 요구되는 항복, UTS, 연신율 및 부식 특성을 달성하는 ASTM A995-13 6A(2013년 12월 1일)에 따른 충격 특성.
2) 200mm 두께 부분에서 ASTM A995-13 6A(2013년 12월 1일)로 -101 ℃에서 45J 평균 및 35 J 최소를 일관되게 달성하는 충격 특성.
이러한 수준의 기계적 성능 및 안전 한계는 역사적으로 두꺼운 단면의 주물에서 결코 일관되게 달성할 수 없었다.
3) ASTM 사양보다 엄격한 동일하거나 유사한 화학조성물의 제한이 용접용 소모품(예를 들면, 충전재 용접 금속 및 용접 전극)에 적용되는 경우, ASTM A995 6A와 같은 200mm 두께의 슈퍼 듀플렉스 스테인리스 강에서 100 mm 깊이의 용접에서의 충격 특성은, 용접후 열처리(용체화 처리 및 물 ?칭)된 상태에서 또는 용접된 그대로의 상태에서, 용접 부분 두께의 전체를 통해 -46℃에서 최대 100J 평균/80J 단일의 충격 특성을 제공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질량%로 다음을 포함하거나 다음으로 이루어지는 용접용 소모품을 제공한다. 0.015 % 이하의 탄소, 0.05 내지 0.35%의 실리콘, 7.45 내지 10.5%의 니켈, 2.00% 이하의 망가니즈, 0.025% 이하의 황, 0.030% 이하의 인, 24.0 내지 27.0%의 크롬, 0.00 내지 1.00%의 구리, 3.0 내지 4.5%의 몰리브데넘, 0.75% 이하의 코발트, 0.010% 이하의 니오븀, 0.015% 이하의 알루미늄, 0.20 내지 0.30%의 질소, 0.00 내지 1.00%의 텅스텐, 잔부의 철 및 부수적 불순물.
본 발명은 또한 액체 석유 가스(LPG) 설비에서 강 또는 용접용 소모품의 용도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또한 용접 상태 또는 비용접 상태에서 듀플렉스 스테인리스 강의 주조 제품, 단조 제품, 또는 전신 제품의 바람직한 열처리 방법을 제공하며, 이 방법은 1100 내지 1150℃의 제 1 온도까지 상기 제품의 온도를 상승시키고, 상기 제 1 온도에서 유지시키는 단계; 1040 내지 1070℃의 제 2 온도까지 상기 제품의 온도를 하강시키고, 상기 제 2 온도에서 유지시키는 단계; 및 상기 제 2 온도로부터 상기 제품을 수중에서 ?칭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주조품 및 단조품은 주조품의 온도를 1100 내지 1150℃의 제 1 온도까지 상승시키고 이 제 1 온도에서 유지시킴으로써 보다 통상적으로 열처리될 수 있다. 이들 2 개의 사이클 모두는 용접된 주조품에도 적용된다.
본 발명에 관련되는 열처리는 본 발명의 강 및 본 발명의 용접용 소모품 뿐만 아니라 다른 슈퍼 듀플렉스 스테인리스 강에 적용될 수 있다. 대조는 ASTM 열처리와 달리 열이 주조물을 통과할 수 있도록 1120℃에서 (주조물의 최대 단면의 1 인치 당 약 1 시간 동안) 유지하고, 다음에 온도를 1050℃까지 하강시키고, 추가 시간(예를 들면, 5 시간) 동안 유지하고, 다음에 물 ?칭된다.
이 열처리 공정의 채택 또는 용접후 열처리가 전혀 실시되지 않는 용접의 경우에도 향상된 화학적 조성물로 인해 정상보다 약 50% 더 우수한 충격 특성을 생성할 수 있으나, 본 발명의 단계적 열처리는 본 발명의 베이스 금속/강 및 본 발명의 용접용 소모품으로 형성된 용접부의 둘 모두의 충격 특성을 더 향상시킨다.
본 발명의 듀플렉스 스테인리스 강은 열처리된 상태에서 주물 내에 높은 충격 특성을 갖는다. 이미 열처리된 주조물은 충전재 또는 로드로 본 발명의 화학 조성물에 용접될 수 있고, 용접후 열처리가 가해지지 않고, 베이스 주조 금속 및 용접 금속의 둘 모두에서 여전히 탁월한 내충격성을 갖는다. 우수한 내충격성 및 내식성은 강의 미세구조 내에 시그마 상의 체적 분율이 낮기 때문인 것으로 생각된다. 시그마 상은 탄화물, 질화물 등과 함께 미세구조의 나머지를 구성하는 오스테나이트 및 페라이트에 더하여 듀플렉스 스테인리스 강에 존재할 수 있는 금속간 화합물이다. 상당량의 시그마 상의 존재하지 않는다는 것은 대형 주조물의 열처리 시의 온도 상승 및 하강 시에 균열이 발생되지 않음을 의미한다. 종래에는 슈퍼 듀플렉스의 대형 주조물의 온도를 서서히 상승시키더라도 주조물에 균열이 발생하였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비제한적인 실시례에 의해 본 발명을 설명한다.
도 1은 ASTM A995-13 Gr 6A(2013년 12월 1일) 강에 대한 조성 범위의 표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례와 비교 실시례의 조성 및 충격 강도의 표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례의 조성 및 충격 강도의 표이고;
도 4는 용접용 소모품의 조성의 일례의 표이고;
도 5는 200mm 용접 시험 플레이트의 치수의 개략도이고;
도 6은 도 4의 용접용 소모품으로 제조되는 용접부에 대한 충격 결과를 보여주는 표이고;
도 7은 용접된 상태에서 종래의 용접용 소모품에 비교한 본 발명의 용접용 소모품의 내충격성의 향상을 보여주는 막대 그래프이고;
도 8은 용접후 열처리된 상태에서 종래의 용접용 소모품에 비교한 본 발명의 용접용 소모품의 내충격성의 향상을 보여주는 막대 그래프이다.
본 발명은 ASTM A995-13 Gr 6A(2013년 12월 1일)에 속하는, 그리고 항복, UTS, 연신율, 및 내식성과 같은 ASTM A995-13 Gr 6A(2013년 12월 1일)의 기타 물리적 필요조건을 유지하면서 특히 두께 부분 및 깊은 깊이에서 저온 내충격성을 증가시키는 더 엄밀한 조성을 갖는 강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강은 ASTM A995-13 Gr 6A(2013년 12월 1일)에 속하는 다른 강에 비해 향상된 내식성을 갖는 것으로 생각된다. 또한 향상된 내식성이 달성된다.
ASTM A995-13 듀플렉스 등급 6A(2013년 12월 1일)에 비해 본 발명에서는 실리콘 함량이 상대적으로 제한되고 및/또는 니켈 함량이 상대적으로 증가되고, 뿐만 아니라 특정 양의 탄소 및 텅스텐은 니오븀 및 알루미늄의 양을 제한하는 것과 결합되어 향상된 특성을 제공하고, 이것은 공칭 1120℃에서의 용체화 열처리 후의 ?칭 중에 형성되는 시그마 상의 존재가 감소되는 것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인되는 것으로 생각된다.
이하에서 ASTM A995-13 Gr 6A(2013년 12월 1일)에 비해 본 발명의 듀플렉스 스테인리스 강의 화학적 조성을 제한하는 이유를 설명한다. ASTM 표준과 다르지 않은 첨가물의 효과에 대한 설명은 생략된다.
모든 %는 달리 표시되지 않는 한 중량%이다. 본원에서 사용되는 "이루어지다"라는 용어는 조성물의 100%가 언급되고, 추가 성분의 존재는 배제되어 그 백분율이 최대 100%로 되는 것을 의미한다.
탄소(C)
탄소는 오스테나이트계 상을 안정화시키는데 효과적이다. 바람직한 양은 0.005% 이상이다. 그러나, 탄소의 양은 페라이트와 오스테나이트의 둘 모두에서 그 용해도가 제한되므로 제한된다. 따라서 탄소량을 0.020%, 즉 0.005 내지 0.020으로 제한함으로써 탄화물, 특히 크롬 탄화물이 석출될 위험성이 감소된다. 실험 결과 탄소를 제한하면 더 높은 내충격성이 얻어진다는 것이 밝혀졌다. 본 발명에서, 탄소는 0.015% 이하, 바람직하게는 0.0145% 이하로 제한된다. 특히 용접용 소모품(예를 들면, 전극)의 경우, 0.0145% 이하의 더 낮은 수준의 탄소가 바람직하다.
실리콘(Si)
실리콘은 탈산제로서 제공된다. 0.05% 이상, 바람직하게는 0.1% 이상의 최소량의 실리콘은 충분한 탈산화를 달성한다. 그러나, 실리콘의 존재는 시그마 상을 포함하는 불필요한 금속간 상의 석출을 초래할 수 있다. 따라서, 실리콘의 양은 0.35 질량%로, 그러나 바람직하게는 0.30%, 바람직하게는 0.25%로 제한된다. 더 높은 농도의 실리콘의 경우에 주조물 중의 그 존재는 후술되는 실시례에 의해 보여지는 바와 같이 높은 니켈 조성에 의해 어느 정도까지 완화될 수 있음이 밝혀졌다. 바람직하게는 실리콘의 양은 0.30% 또는 심지어 0.25%까지 제한됨으로써 시그마 상의 석출의 가능성을 감소시킨다. 최상의 특성은 7.45 내지 8.4% 또는 바람직하게는 7.5 내지 8.4%, 더 바람직하게는 7.8 내지 8.4%, 더 바람직하게는 8.05 내지 8.4%, 가장 바람직하게는 8.1 내지 8.4%의 높은 니켈 함량과 조합된 낮은 실리콘 함량(0.35% 이하, 또는 바람직하게는 0.30% 이하, 바람직하게는 0.25% 이하)의 조합으로 달성된다. 7.45 내지 7.8% 미만의 니켈 함량은 높은 충격 성능을 달성하지만, 충격 성능은 7.8% 이상의 니켈에서 한층 더 향상된다.
니켈(Ni)
니켈은 오스테나이트 안정화 원소이다. 실험 결과 증가된 니켈 함량은 내충격성을 향상시킨다는 것이 밝혀졌다. 7.45%의 최소량의 니켈은 실리콘의 존재가 0.35% 이하로 제한되는 경우에 높은 내충격성을 유발한다. 최소량인 7.8 %의 니켈은 최대 0.45 %의 비교적 고농도의 실리콘에서도 높은 내충격성을 달성한다. 그러나, 최상의 결과는, 실리콘의 농도에 무관하게, 니켈의 농도가 7.45% 내지 8.4%, 바람직하게는 7.5% 내지 8.4%, 더 바람직하게는 7.8 내지 8.4%, 더욱 더 바람직하게는 8.05 내지 8.4%, 가장 바람직하게는 8.10 내지 8.4%인 경우에 달성된다.
니오븀(Nb)
니오븀은 ASTM A995-13(2013년 12월 1일의 표준)에 언급되어 있지 않다. 그러나, 니오븀은 본 발명자들에 의해 발견된 바와 같이 탄화물 및/또는 질화물의 형성에 의해 충격 특성에 유해하다. 니오븀은 질소에 대해 높은 친화성을 가지며, 따라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의도적인 합금 원소로서 강 내에 존재하는 질소와 결합하는 질화물을 형성한다. 니오븀은 바람직하게는 0.002% 이상 또는 0.003% 이상의 양으로 포함된다. 그러나, 0.017%를 초과하는 양으로 니오븀이 포함되면 첨부한 실시례에 의해 밝혀지는 바와 같이 강의 충격 강도가 감소될 수 있다. 따라서, 니오븀의 양은 최상의 성능을 위해 0.010%로 제한된다. 0.010% 이하의 니오븀의 농도는 통상적으로 0.015% 내지 0.03%의 농도를 갖는 대부분의 제조되는 강에 비해 매우 낮지만, 니오븀은 주로 이들 농도에 분포하므로 정확한 농도는 제어되거나 보고되지 않는다. ASTM 사양은 니오븀의 농도에 대한 어떤 제한도 두지 않는다. 낮은 니오븀 농도를 달성하기 위해, 아르곤 산소 탈탄(AOD) 정련 또는 순수 크롬의 유도 용융 및 ARMCO의 사용이 필요하다. AOD 정련에서 다른 원소를 제거하지 않으면서 니오븀을 제거하기 위해 산소가 취입되는 동안에 온도 및 실리콘 농도가 제어된다. AOD 공정을 사용하는 장점은 원료비를 낮게 유지하기 위해 스크랩 금속(예를 들면, 스테인리스, 플레이트 등)을 사용할 수 있다는 점이다. 유도 용융의 경우, 스크랩은 너무 많은 니오븀을 함유하므로 스크랩 금속이 사용될 수 없고, 따라서 고가의 출발 재료를 구입해야 한다.
텅스텐(W)
텅스텐은 내식성, 특히 피팅(pitting) 및 틈새 부식에 대한 저항성을 향상시킨다. 본 발명에서 텅스텐의 양은 0.50 내지 0.85%인데, 시험 결과 이는 우수한 저온 내충격성을 위해 최상의 범위임이 밝혀졌다. 바람직하게는 텅스텐의 양은 0.64 내지 0.84% 또는 0.66 내지 0.84%이다.
알루미늄
알루미늄은 ASTM A995-13(2013년 12월 1일의 표준)에 언급되어 있지 않다. 그러나, 알루미늄의 양은 알루미늄 질화물의 석출을 감소시키기 위해 제한되어야 하며, 이것이 존재하면 내식성 및 인성이 손실될 수 있다. 따라서, 알루미늄의 양은 0.015% 이하, 바람직하게는 0.010% 이하로 제한된다.
강 내의 황화물의 형성을 방지하고, 따라서 내충격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ASTM 사양에 의해 허용되는 것보다 낮은 농도의 황이 바람직하다. 0.010% 이하의 황의 농도가 바람직하다.
코발트
코발트는 2 개의 원소가 함께 발견되므로 종종 소스(source) 니켈 중에 존재한다. 코발트는 니켈과 유사한 방식으로 거동하므로, 0.75% 이하, 바람직하게는 0.60% 이하, 더 바람직하게는 0.50% 이하, 가장 바람직하게는 0.20% 이하로 제공될 수 있다.
부수적 불순물은 바람직하게는 최대 0.20%까지 존재할 수 있다. 바나듐은 부수적 불순물로 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바나듐은 0.10% 이하의 농도로 존재한다.
시그마 상의 존재는 내충격성에 해로운 영향을 줄 수 있다. 따라서 바람직하게는 강 중의 체적 분율 시그마 상은, ASTM A923 2014, 바람직하게는 ASTM A923-14 방법 C의 처리수순들 중 임의의 것에 의해 측정된 바와 같이, 0.25% 미만, 바람직하게는 0.1% 미만, 가장 바람직하게는 검출가능한 시그마 상이 없는 것이다.
바람직한 강
바람직한 강은 질량%로 다음을 포함하거나 다음으로 이루어진다. 0.005 내지 0.015%의 탄소, 0.05 내지 0.35(또는 바람직하게는 0.30%)의 실리콘, 7.45 내지 8.4%의 니켈(바람직하게는 7.8 내지 8.4%의 니켈); 1.00% 이하의 망가니즈, 0.025% 이하의 황, 0.030% 이하의 인, 24.0 내지 26.0%의 크롬, 0.50 내지 1.00%의 구리, 3.0 내지 4.0%의 몰리브데넘, 0.75% 이하의 코발트, 0.010% 이하의 니오븀, 0.015% 이하의 알루미늄, 0.20 내지 0.30%의 질소 및 0.50 내지 0.85%의 텅스텐, 잔부의 철 및 부수적 불순물. 더욱 더 바람직하게는 바람직한 강은 0.25% 이하의 실리콘 및/또는 0.0145% 이하의 탄소 및/또는 8.0% 이상의 니켈 및/또는 8.05% 이상의 니켈 및/또는 0.010% 이하의 황 및/또는 0.002% 이상의 니오븀 및/또는 0.003% 이상의 니오븀을 포함한다.
바람직한 용접용 소모품
바람직한 용접용 소모품은 질량%로 다음을 포함하거나 다음으로 이루어진다. 0.015% 이하의 탄소, 0.05 내지 0.35(또는 바람직하게는 0.30%)의 실리콘, 7.45 내지 10.5%의 니켈(바람직하게는 7.8 내지 10.5%의 니켈), 2.00% 이하의 망가니즈, 0.025% 이하의 황, 0.030% 이하의 인, 24.0 내지 27.0%의 크롬, 0.00 내지 1.00%의 구리, 3.0 내지 4.5%의 몰리브데넘, 0.75% 이하의 코발트, 0.010% 이하의 니오븀, 0.015% 이하의 알루미늄, 0.20 내지 0.30%의 질소 및 0.00 내지 1.00%의 텅스텐, 잔부의 철 및 부수적 불순물. 더욱 더 바람직하게는 바람직한 용접용 소모품은 0.25% 이하의 실리콘 및/또는 0.0145% 이하의 탄소 및/또는 8.0% 이상의 니켈 및/또는 8.05% 이상의 니켈 및/또는 9.1% 이상의 니켈 및/또는 9.3% 이상의 니켈 및/또는 9.4% 이상의 니켈 및/또는 0.010% 이하의 황 및/또는 0.002% 이상의 니오븀 및/또는 0.003% 이상의 니오븀을 포함한다.
실시례
도 2에 도시된 화학 조성을 갖는 슈퍼 듀플렉스 스테인리스 강을 제조하였다. 200 mm 두께의 주조물을 제조하였다. 이 주조물을 1120℃에서 열처리하고, 여기서 관통 가열(through heating)을 허용하는 시간(예를 들면, 1인치 두께에 대해 1 시간) 동안 유지하고, 다음에 온도를 1050℃까지 하강시키고, 여기서 5 시간 동안 유지하고, 다음에 물 ?칭시켰다. 실시례 3의 경우에 주조물은 150 mm의 두께였다.
열처리는 모든 시그마 상이 1120℃에서 오스테나이트 상 및 페라이트 상 내에 용해되도록 설계된다. 다음에 온도를, 냉각 중에 가능한 한 시그마 및 질화물 석출을 방지하도록 주조물의 전체 두께를 통해 최대 냉각 속도가 달성될 수 있도록, 시그마의 솔버스 온도의 바로 위의 1050℃까지 하강시킨다.
샤프피 충격 시험은 ASTM E23 표준 "금속 재료의 노치부 바 충격 시험의 시험 방법" 개정 2012-C에 따라 10mm x 10mm x 55mm 시험편을 사용하여 -46℃에서 1/2 두께로 실시하였고, 결과는 도 2에 제공되어 있다.
도 2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표 1의 모든 실시례는 ASTM A995 Gr 6A(2013년 12월 1일) 내에 속하는 조성을 갖는다. 그러나, 탄소 농도가 0.02% 미만, 니켈 농도가 7.10 내지 8.4%인 경우에는 실리콘 농도가 0.05-0.35%, 니켈 농도가 7.8 내지 8.4%인 경우에는 실리콘 농도가 0.05-0.45%, 이로븀 함량이 0.017% 이하, 알루미늄 함량이 0.015% 이하, 그리고 텅스텐 조성이 0.50-0.85%인 실시례에서만 약 120 줄을 초과하는 평균 충격 강도 및 약 108 줄을 초과하는 최소 3 회의 시험이 달성된다. 바나듐은 부수적 불순물로서 존재한다. 코발트는 0.75% 미만으로 존재한다. 코발트는 종종 니켈 소스와 함께 존재하므로 존재한다.
본 발명에서 (200mm 두께의 제품에 대해) ½T에서 평균 충격 강도는 -46℃에서 ASTM E23, 2012-C에 의해 측정되었을 때 바람직하게는 100 J 이상 및 최소 3 회 시험의 80 J 이상이다.
실시례 2 내지 4는 충격 강도의 면에서 최상의 성능이고, 이들은 0.05-0.35%의 실리콘 농도 뿐만 아니라 7.8-8.4%의 니켈 농도를 갖는다. 실시례 2 및 4는 최상의 성능을 가지며, 0.015% 이하의 탄소, 0.30% 미만의 실리콘, 및 7.8% 이상의 Ni의 농도를 가진 가장 바람직한 조성에 속한다. 실시례 5는 0.014%의 낮은 탄소, 0.33%의 실리콘, 및 7.46%의 합리적으로 높은 니켈 농도를 갖는다. 이 조합은 더 높은 탄소 농도를 갖는 실시례 1보다 우수한 121 줄의 충격 강도를 제공한다.
실시례 6 내지 11은 조성 면에서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고, 80 줄 미만의 내충격성을 갖는다. 그러나 이들 실시례 조차도 지금까지 6A 강으로 달성된 내충격성과 비교하여 증가된 내충격성을 나타낸다.
실시례 6은 0.33%의 낮은 실리콘 농도를 가지지만, 이것의 7.09%의 낮은 니켈 농도로 인해 75 줄의 충격 강도만을 갖는다.
실시례 8 내지 11의 모두는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난 양의 실리콘 및 니켈을 포함하며, 62 내지 72 줄의 낮은 충격 강도를 제공한다.
실시례 12는 90 줄의 실시례 1 내지 5에 비해 비교적 낮은 충격 강도를 갖는다. 그러나 실시례 12는 10 시간 동안 1120℃에서 용체화 열처리로 단일 단계로 열처리되고, 다음에 물 ?칭되었다. 이것은 실시례 1 내지 5에 비해 내충격성이 더 낮은 이유인 것으로 생각되고, 그러나 내충격성은 바람직한 조성을 벗어났으나 본 발명의 2 단계 열처리를 실시한 실시례 6 내지 11의 것보다 우수하다. 도 2의 최상의 성능의 실시례(실시례 2 내지 5 및 12)의 모두는 0.015% 이하의 탄소, 0.35% 이하의 실리콘, 0.010% 이하의 니오븀 및 7.45% 이상의 니켈을 갖는다.
실시례 12는 본 발명의 2 단계 열처리를 적용하여 내충격성을 향상시킨 것과 본 발명의 강 조성이 종래의 열처리에 의해서도 내충격성의 이익을 달성하는 것을 도시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열처리 방법은 시그마 상이 오스테나이트 및 페라이트 상으로 용해되는 제 1 온도까지 주조 온도를 상승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2 단계 열처리이다. 제 1 온도는 1100 내지 1150℃의 범위 내에 있다. 주조물은 주조물의 전체가 제 1 온도에 도달하도록 주조물의 전체를 관통하여 가열되기에 충분한 시간 동안 제 1 온도에 유지된다. 일례로서, 주조물은 주조물의 인치 단위의 (최대) 두께를 2로 나눈 최소 시간 동안, 바람직하게는 1로 나눈 최소 시간(즉, 두께 1 인치 당 1 시간) 동안 제 1 온도에 유지될 수 있다. 다음에 주조 온도는 시그마 상의 솔버스 점 바로 위인 제 2 온도까지 감소된다. 제 2 온도는 이것이 시그마 솔버스 온도를 초과하는 한 1040 내지 1070℃의 범위일 수 있다. 주조물은 온도가 안정화되는 충분히 긴 시간 동안 이 온도에 유지된다. 일례로서, 주조물은 주조물의 인치 단위의 (최대) 두께를 4로 나눈 최소 시간 동안, 바람직하게는 2로 나눈 최소 시간(즉, 두께 1 인치 당 1/2 시간) 동안 제 2 온도에 유지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주조물은 여기서 3 시간 이상, 예를 들면, 5 시간 동안 유지된다. 제 1 온도 및 제 2 온도의 각각에서 유지되는 시간은 과도한 결정립 성장을 방지하기 위해 제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 1 온도 및 제 2 온도의 유지되는 시간은 위에서 명시한 최대 최소 시간의 2 배를 초과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3은 도 2의 결과에 기초한 추가의 실험의 결과를 보여준다. 도 3은 상이한 주조물 크기 및 상이한 온도에서의 충격 시험 결과 뿐만 아니라 부식 시험, UTS 및 항복 강도의 결과를 포함한다. 주조물의 제조 방법 및 시험 방법은 도 3에서 설명된 주조물 조성, 크기, 및 충격 시험 온도를 제외하고 도 2의 실시례 1 내지 11을 참조하여 설명된 것과 동일하다.
실시례 E는 실시례 4의 것에 근접한 조성을 가지며, 모든 온도에서 50 내지 100 mm의 1/2T에서 우수한 내충격성을 수행한다. 따라서 실시례 2, 4 및 A 내지 E는 실리콘을 0.30%로 제한하고, 탄소를 0.015%로 제한하고, 7.8% 이상의 니켈 및 0.010% 미만의 니오븀을 가지면 매우 우수한 충격 특성이 얻어진다는 것을 보여준다. 그러나, 더 한정된 탄소 및 실리콘 농도를 갖는 실시례 A, B, C 및 D는 이와 관련하여 시험된 다른 영역의 성능을 손상시키지 않고 더 우수한 성능을 갖는다.
실시례 A 내지 D는 50 mm 내지 150 mm(및 200 mm로 예상됨)의 단면 크기에 대해 ASTM E23, 2012-C로 -46℃에서 측정된 경우에 140J 이상의 1/2T에서의 평균 충격 강도 및 105J 이상의 이들 시험의 최소치를 달성하는 것이 가능함을 보여준다. -76℃에서 90J 이상의 평균 및 65J 이상의 최소치가 달성가능하고, -101℃에서 60J 이상의 평균 및 45J의 최소치가 달성될 수 있다.
S. Roberts의 "충격 특성 및 내식성의 향상을 추진하기(Forging ahead with improvements in impact properties and corrosion resistance)"에 보고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범위 외에 속하는 종래의 6A 화학에 대해 측정된 24 시간 내에 8-65 g/m2의 중량 손실과 비교되고, ASTM A995 Gr 6A는 50℃에서 4 g/m2 미만의 중량 손실을 필요로 하고, 이것은 본 발명에 의해 용이하게 달성된다.
슈퍼 듀플렉스 스테인리스 강의 대형 주조물은 종종 용접을 필요로 한다. 이것은 부품들(또는 부품들의 일부)를 함께 결합하거나, 또는 보다 일반적으로는 주조 결함의 용접 수리로서 결합하기 위한 것이다. 다른 부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두꺼운 용접부의 내충격성은 관련된 ASTM 표준에서는 두꺼운 용접부의 시험을 필요로 하지 않으므로 이전에는 조사되지 않았다. 시험 결과 현재 이용가능한 용접봉을 사용하는 6A 듀플렉스의 깊은 용접은 200 mm 두께의 주조물에서 100 mm 깊이의 용접부에 대해 깊은 깊이(예를 들면, 25mm, 50 mm, 75mm 및 98.5 mm)에서 매우 낮은 내충격성이 달성된다는 것이 밝혀졌다. 종종 이러한 용접은 이러한 깊이에서 -46℃에서 불과 수십 줄의 내충격성을 달성할 뿐이고, 용접부의 깊이 및/또는폭을 일관되게 통과하지 않는다.
본 발명자들은 6A 강의 용접 시에 용접용 소모품에서 본 발명의 강의 조성을 채용함으로써 용접부의 깊은 깊이 및 폭의 전체에 걸쳐 내충격성이 대폭 향상됨을 발견하였다. 실제로, 용접부의 보다 좋은 충격 특성은 보다 높은 니켈 농도 및 보다 낮은 탄소 농도에서 달성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것에 의해 용접된 상태에서 밸런스 페라이트가 확보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니켈 함량이 10.5% 이하(바람직하게는 10.0% 이하)이고, 탄소를 0.015% 이하, 바람직하게는 0.0145% 이하로 제한하는 것을 제외하고, 용접용 소모폼이 본 발명의 강의 조성을 가지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일 실시형태에서, 용접용 소모품은 8.05% 이상의 니켈, 바람직하게는 8.1% 이상의 니켈, 더 바람직하게는 9.1% 이상의 니켈, 더욱 더 바람직하게는 9.3% 이상의 니켈, 가장 바람직하게는 9.4% 이상의 니켈을 갖는다. 니켈 농도의 증가는 시그마 형성을 더 최소화하는 것으로 생각된다. 일 실시형태에서, 베이스 금속에 비해 망가니즈의 양은 2.00%까지 증가될 수 있으므로 용접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일 실시형태에서 구리 및 텅스텐의 어느 것과도 합금되지 않는 2507 유형의 용접용 소모품을 고려하여 베이스 금속에 비해 구리 및 텅스텐의 양을 감소시킬 수 있다(각각 0.00 내지 1.00% 및 0.00 내지 1.00%. 일 실시형태에서 용접 금속 사양에서 조성의 밸런스 조정이 가능하도록 베이스 금속과 비교하여 더 많은 크롬 (24.0 내지 27.0%) 및/이상 몰리브데넘(3.0 내지 4.5%)이 허용된다.
도 4는 예시적인 용접용 소모품의 조성을 보여준다. 이 용접용 소모품을 사용하여 도 5에 치수가 표시된 200mm 시험 플레이트 내의 100 mm 깊이의 그루브를 충전하였다. 도 6은 용접된 그대로의 상태(위)와 용접후 열처리된 상태(위에서 설명한 주조물에 적용한 것과 동일한 조건, 즉 1120℃, 다음에 1050℃, 다음에 물 ?칭)에서 용접 금속의 다양한 깊이를 통해 실시된 충격 시험의 결과를 보여준다. 결과가 보여주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용접용 소모품은 용접된 그대로의 상태에서는 매우 높은 내충격성을 제공하고, 열처리된 상태에서는 약간 더 낮지만 허용가능한 것보다는 높은 내충격성을 제공한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용접용 소모품(충전재)(최상의 결과), 니켈과 오버(over) 합금된 종래의 용접용 소모품(중간의 결과), 및 ASTM 사양 내에 속하는 조성을 가진 종래의 용접용 소모품(최악의 결과)에 대해 200 mm x 330 mm의 기다란 블록에서 90 mm의 폭을 가진 100 mm 깊이의 용접부에 대해 용접 중심에서 다양한 깊이(25 mm, 50 mm 및 98.7 mm)에서 -46℃에서 y축 상에 용접된 그대로의 상태의 충격 에너지(J)를 보여주는 막대 그래프이다.
2 개의 종래의 충전재의 조성은 다음과 같다.
C Si Mn S P Ni Cr Cu W Mo N
오버 합금된 Ni 충전재 0.03 0.69 1.07 0.005 0.017 9.6 24.6 0.10 0.03 3.5 0.22
6A 적합 충전재 (Cu) 0.025 0.61 1.01 0.015 0.019 7.8 24.6 0.65 0.71 3.6 0.27
도 8은 샘플이 용접후 열처리된 상태인 점을 제외하고 도 7과 동일하다(1 인치 두께 당 1 시간 동안 1120℃에서 용체화 처리, 다음에 균등화될 때까지 1050℃ , 다음에 물 ?칭). 도 7 및 도 8의 결과는 종래의 용접용 소모품에 비해 본 발명의 내충격성이 향상된 것을 보여준다.

Claims (45)

  1. 강으로서,
    질량%로, 0.005 내지 0.015%의 탄소, 0.05 내지 0.35%의 실리콘, 7.45 내지 8.4%의 니켈, 1.00% 이하의 망가니즈, 0.025% 이하의 황, 0.030% 이하의 인, 24.0 내지 26.0%의 크롬, 0.50 내지 1.00%의 구리, 3.0 내지 4.0%의 몰리브데넘, 0.010% 이하의 니오븀, 0.75% 이하의 코발트, 0.015% 이하의 알루미늄, 0.20 내지 0.30%의 질소, 0.50 내지 0.85%의 텅스텐, 잔부의 철 및 부수적 불순물을 포함하는,
  2. 제 1 항에 있어서,
    7.5% 이상의 니켈, 바람직하게는 7.8% 이상의 니켈, 가장 바람직하게는 8.00% 이상의 니켈을 포함하는,
    강.
  3. 제 1 항에 있어서,
    8.05% 이상의 니켈을 포함하는,
    강.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8.1% 이상의 니켈을 포함하는,
    강.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0.005 내지 0.0145%의 탄소를 포함하는,
    강.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0.05 내지 0.30%의 실리콘, 바람직하게는 0.05 내지 0.25%의 실리콘, 가장 바람직하게는 0.10 내지 0.25%의 실리콘을 포함하는,
    강.
  7.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0.002% 이상의 니오븀을 포함하는,
    강.
  8.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0.003% 이상의 니오븀을 포함하는,
    강.
  9. 제 1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0.010% 이하의 황을 포함하는,
    강.
  10. 제 1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0.64 내지 0.84%의 텅스텐, 바람직하게는 0.66% 내지 0.84%의 텅스텐을 포함하는,
    강.
  11. 제 1 항 내지 제 10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0.010% 이하의 알루미늄을 포함하는,
    강.
  12. 제 1 항 내지 제 11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강 내의 시그마 상의 체적 분율은, ASTM A923 2014 하에서 측정되었을 때, 0.25% 미만, 바람직하게는 0.1% 미만, 가장 바람직하게는 검출가능한 시그마 상이 없는,
    강.
  13. 제 1 항 내지 제 12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강은 ASTM A995-13 Gr 6A(2013년 12월 1일)에 따른 강인,
    강.
  14. 제 1 항 내지 제 1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½T에서 평균 충격 강도는 -46℃에서 ASTM E23, 2012-C에 의해 측정되었을 때 100 J 이상 및 최소 3 회 시험의 80 J 이상인,
    강.
  15. 제 1 항 내지 제 1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½T에서 평균 충격 강도는 -46℃에서 ASTM E23, 2012-C에 의해 측정되었을 때 140 J 이상 및 최소 3 회 시험의 105 J 이상인,
    강.
  16. 제 1 항 내지 제 15 항에 따른 강으로 형성된 주조 제품, 단조 제품 또는 전신(wrought) 제품.
  17. 용접용 소모품으로서,
    질량%로, 0.015% 이하의 탄소, 0.05 내지 0.35%의 실리콘, 7.45 내지 10.5%의 니켈, 2.00% 이하의 망가니즈, 0.025% 이하의 황, 0.030% 이하의 인, 24.0 내지 27.0%의 크롬, 0.00 내지 1.00%의 구리, 3.0 내지 4.5%의 몰리브데넘, 0.75% 이하의 코발트, 0.010% 이하의 니오븀, 0.015% 이하의 알루미늄, 0.20 내지 0.30%의 질소, 0.00 내지 1.00%의 텅스텐, 잔부의 철 및 부수적 불순물을 포함하는,
    용접용 소모품.
  18. 제 17 항에 있어서,
    1.00% 이하의 망가니즈 및/또는 24.0 내지 26.0%의 크롬을 포함하는,
    용접용 소모품.
  19. 제 17 항 또는 제 18 항에 있어서,
    10.0% 이하의 니켈,
    용접용 소모품.
  20. 제 17 항 또는 제 18 항에 있어서,
    0.50 내지 1.00%의 구리를 포함하는,
    용접용 소모품.
  21. 제 17 항 또는 제 18 항에 있어서,
    3.0 내지 4.0%의 몰리브데넘 및 0.50 내지 0.85%의 텅스텐을 포함하는,
    용접용 소모품.
  22. 제 17 항 내지 제 21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7.8% 이상의 니켈, 바람직하게는 8.05% 이상의 니켈, 더 바람직하게는 8.1% 이상의 니켈, 더욱 더 바람직하게는 9.1% 이상의 니켈, 더욱 더 바람직하게는 9.3% 이상의 니켈, 가장 바람직하게는 9.4% 이상의 니켈을 포함하는,
    용접용 소모품.
  23. 제 17 항 내지 제 22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0.01 내지 0.015%의 탄소, 바람직하게는 0.005 내지 0.0145%의 탄소를 포함하는,
    용접용 소모품.
  24. 제 17 항 내지 제 2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0.05 내지 0.30%의 실리콘, 바람직하게는 0.10 내지 0.25%의 실리콘을 포함하는,
    용접용 소모품.
  25. 제 17 항 내지 제 2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0.002% 이상의 니오븀을 포함하는,
    용접용 소모품.
  26. 제 17 항 내지 제 2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0.003% 이상의 니오븀을 포함하는,
    용접용 소모품.
  27. 제 17 항 내지 제 2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0.010% 이하의 황을 포함하는,
    용접용 소모품.
  28. 제 17 항 내지 제 2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0.64 내지 0.84%의 텅스텐, 바람직하게는 0.66% 내지 0.84%의 텅스텐을 포함하는,
    용접용 소모품.
  29. 제 17 항 내지 제 2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0.010% 이하의 알루미늄을 포함하는,
    용접용 소모품.
  30. 제 17 항 내지 제 2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용접용 소모품은 충전재 용접 금속 또는 용접 전극인,
    용접용 소모품.
  31. 제 17 항 내지 제 30 항 중 어느 한 항의 용접용 소모품을 사용하는,
    베이스 강의 용접 방법.
  32. 제 31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강은 ASTM A995-13 Gr 6A(2013년 12월 1일)에 따른 강인,
    베이스 강의 용접 방법.
  33. 제 31 항 또는 제 32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강은 제 1 항 내지 제 15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강인,
    베이스 강의 용접 방법.
  34. 제 31 항 내지 제 3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용접 방법은 제 16 항에 따른 제품을 형성하는 방법인,
    베이스 강의 용접 방법.
  35. 베이스 금속 및 용접 금속을 포함하는 용접 제품으로서,
    상기 베이스 금속은 듀플렉스 강이고, 상기 용접 금속은 질량%로, 0.015 % 이하의 탄소, 0.05 내지 0.35%의 실리콘, 7.45 내지 10.5%의 니켈, 2.00% 이하의 망가니즈, 0.025% 이하의 황, 0.030% 이하의 인, 24.0 내지 27.0%의 크롬, 0.00 내지 1.00%의 구리, 3.0 내지 4.5%의 몰리브데넘, 0.75% 이하의 코발트, 0.010% 이하의 니오븀, 0.015% 이하의 알루미늄, 0.20 내지 0.30%의 질소, 0.00 내지 1.00%의 텅스텐, 잔부의 철 및 부수적 불순물을 포함하는,
    용접 제품.
  36. 제 35 항에 있어서,
    10.0% 이하의 니켈, 1.00% 이하의 망가니즈, 24.0 내지 26.0%의 크롬, 0.50 내지 1.00%의 구리, 3.0 내지 4.0%의 몰리브데넘, 및 0.50 내지 0.85%의 텅스텐을 포함하는,
    용접 제품.
  37. 제 35 항 또는 제 36 항에 있어서,
    상기 듀플렉스 강은 ASTM A995-13 type Gr 6A(2013년 12월 1일)에 따른 강인,
    용접 제품.
  38. 제 35 항 내지 제 3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듀플렉스 강은 제 1 항 내지 제 15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강인,
    용접 제품.
  39. 용접 상태 또는 비용접 상태에서 듀플렉스 스테인리스 강의 주조 제품, 단조 제품 또는 전신 제품의 열처리 방법으로서,
    상기 제품의 온도를 1100 내지 1150℃의 제 1 온도까지 상승시키고, 상기 제 1 온도에서 유지시키는 단계; 상기 제품의 온도를 1040 내지 1070℃의 제 2 온도까지 하강시키고, 상기 제 2 온도에서 유지시키는 단계; 및 상기 제품을 상기 제 2 온도로부터 수중에서 ?칭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듀플렉스 스테인리스 강의 열처리 방법.
  40. 제 39 항에 있어서,
    상기 제품은 인치로 측정된 상기 제품의 두께를 2로 나눈 것보다 큰 시간 동안 상기 제 1 온도에서 유지되는,
    듀플렉스 스테인리스 강의 열처리 방법.
  41. 제 39 항 또는 제 40 항에 있어서,
    상기 제품은 인치로 측정된 상기 제품의 두께를 4로 나눈 것보다 큰 시간 동안 상기 제 2 온도에 유지되는,
    듀플렉스 스테인리스 강의 열처리 방법.
  42. 제 39 항 내지 제 41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듀플렉스 강은 ASTM A995-13 Gr 6A(2013년 12월 1일)에 따른 강인,
    듀플렉스 스테인리스 강의 열처리 방법.
  43. 제 39 항 내지 제 42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듀플렉스 강은 제 1 항 내지 제 15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강인,
    듀플렉스 스테인리스 강의 열처리 방법.
  44. 실질적으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 설명된 바와 같은 및/또는 첨부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은 강, 주조 제품, 단조 제품 또는 전신 제품, 용접용 소모품 또는 용접 제품.
  45. 실질적으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 설명된 바와 같은 및/또는 첨부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은 용접 방법 또는 열처리 방법.
KR1020187020730A 2015-12-23 2016-12-22 강, 용접용 소모품, 주조 제품, 단조 제품 또는 전신 제품, 용접 방법, 용접 제품 및 열처리 방법 KR20180095676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7)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GB1522777.0A GB2545722A (en) 2015-12-23 2015-12-23 A steel, a welding consumable, a cast, forged or wrought product, a method of welding, a welded product and a method of heat treating
GB1522777.0 2015-12-23
GB201606014 2016-04-08
GB1606014.7 2016-04-08
GB1615834.7 2016-09-16
GB1615834.7A GB2545768B (en) 2015-12-23 2016-09-16 A steel, a cast, forged or wrought product and a welded product
PCT/GB2016/054047 WO2017109501A1 (en) 2015-12-23 2016-12-22 A steel, a welding consumable, a cast, forged or wrought product, a method of welding, a welded product and a method of heat treating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95676A true KR20180095676A (ko) 2018-08-27

Family

ID=572886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7020730A KR20180095676A (ko) 2015-12-23 2016-12-22 강, 용접용 소모품, 주조 제품, 단조 제품 또는 전신 제품, 용접 방법, 용접 제품 및 열처리 방법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1) US20190003023A1 (ko)
EP (2) EP3763476A1 (ko)
JP (2) JP7023230B2 (ko)
KR (1) KR20180095676A (ko)
CN (1) CN108603256B (ko)
AU (2) AU2016375999B2 (ko)
ES (1) ES2839125T3 (ko)
GB (2) GB2545768B (ko)
SA (1) SA518391857B1 (ko)
WO (1) WO201710950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01717981D0 (en) * 2017-10-31 2017-12-13 Goodwin Plc Container
JP6510714B1 (ja) * 2018-08-08 2019-05-08 日本冶金工業株式会社 低温靭性に優れる二相ステンレス鋼
CN114952191B (zh) * 2022-06-01 2023-08-04 昆明理工大学 一种高镍含氮双相不锈钢的高性能焊接热影响区热加工方法

Family Cites Families (2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93593A (ja) * 1981-11-27 1983-06-03 Sumitomo Metal Ind Ltd 高クロム低ニツケル系2相ステンレス鋼用溶接材料
SE453838B (sv) * 1985-09-05 1988-03-07 Santrade Ltd Hogkvevehaltigt ferrit-austenitiskt rostfritt stal
US4816085A (en) * 1987-08-14 1989-03-28 Haynes International, Inc. Tough weldable duplex stainless steel wire
JPH02295678A (ja) * 1989-05-02 1990-12-06 Nippon Steel Corp 溶接金属部の耐孔食性に優れた2相ステンレス鋼の溶接方法
IT1257695B (it) * 1992-04-24 1996-02-01 Acciaio austeno-ferritico avente alta resistenza alla corrosione ed elevato carico di snervamento allo stato solubizzato.
JP3164978B2 (ja) * 1994-08-16 2001-05-14 新日本製鐵株式会社 高Cr鋼の溶接方法
EP0864663B1 (en) * 1995-09-27 2003-05-14 Sumitomo Metal Industries, Ltd. High-strength welded steel structures having excellent corrosion resistance
WO1998010888A1 (fr) * 1996-09-13 1998-03-19 Sumitomo Metal Industries, Ltd. Materiau d'apport pour la soudure d'aciers inoxydables
US6042782A (en) * 1996-09-13 2000-03-28 Sumikin Welding Industries Ltd. Welding material for stainless steels
JP3454354B2 (ja) * 1999-06-25 2003-10-06 日鐵住金溶接工業株式会社 オーステナイト・フェライト系二相ステンレス鋼溶接材料およびそれを用いた高Cr鋼の溶接方法
KR100460346B1 (ko) * 2002-03-25 2004-12-08 이인성 금속간상의 형성이 억제된 내식성, 내취화성, 주조성 및열간가공성이 우수한 슈퍼 듀플렉스 스테인리스강
JP5098217B2 (ja) * 2005-09-28 2012-12-12 新日鐵住金株式会社 溶接部の耐食性および耐亜鉛脆化割れ性に優れた亜鉛めっき鋼板の溶接継手並びにその製造方法
CN101972903B (zh) * 2010-10-08 2012-08-29 洛阳双瑞特种装备有限公司 用于双相不锈钢6a铸造后缺陷的补焊焊丝
JP5013030B1 (ja) * 2011-02-14 2012-08-29 住友金属工業株式会社 二相ステンレス溶接継手
CN102319941A (zh) * 2011-08-26 2012-01-18 蓬莱巨涛海洋工程重工有限公司 超级双相不锈钢薄壁管的焊接工艺
FI125854B (fi) * 2011-11-04 2016-03-15 Outokumpu Oy Dupleksi ruostumaton teräs
ES2709028T3 (es) * 2012-03-30 2019-04-12 Nippon Steel & Sumitomo Metal Corp Proceso para la producción de junta soldada
CN102626769B (zh) * 2012-04-10 2013-09-04 遵义拓特铸锻有限公司 超级双相不锈钢离心泵泵体铸件制作工艺
EP2737972A1 (en) * 2012-11-28 2014-06-04 Sandvik Intellectual Property AB Welding material for weld cladding
CN103042316A (zh) * 2012-12-21 2013-04-17 武汉市润之达石化设备有限公司 超低温奥氏体不锈钢实芯焊丝
KR20140083169A (ko) * 2012-12-24 2014-07-04 주식회사 포스코 듀플렉스 스테인리스강 및 그 제조방법
KR101554787B1 (ko) * 2013-12-24 2015-09-21 주식회사 포스코 내식성 및 열가공성이 우수한 슈퍼 듀플렉스 스테인리스강
JP6442852B2 (ja) * 2014-04-03 2018-12-26 新日鐵住金株式会社 二相ステンレス鋼溶接継手
EP3169470B1 (en) * 2014-07-16 2018-06-13 Chemetics Inc. Method of welding ferritic stainless steel to carbon steel using a filler material made of duplex stainless steel ; corresponding welded article
JP5951060B1 (ja) * 2015-02-27 2016-07-13 鈴木住電ステンレス株式会社 底引き網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GB2546661A (en) 2017-07-26
GB201705909D0 (en) 2017-05-24
GB2546661B (en) 2018-04-25
EP3394308B1 (en) 2020-10-28
GB2545768A (en) 2017-06-28
GB201615834D0 (en) 2016-11-02
AU2016375999B2 (en) 2022-04-14
AU2016375999A1 (en) 2018-06-28
CN108603256B (zh) 2020-08-18
AU2022202215B2 (en) 2023-08-31
JP7230102B2 (ja) 2023-02-28
ES2839125T3 (es) 2021-07-05
JP7023230B2 (ja) 2022-02-21
CN108603256A (zh) 2018-09-28
WO2017109501A1 (en) 2017-06-29
EP3394308A1 (en) 2018-10-31
SA518391857B1 (ar) 2022-09-06
EP3763476A1 (en) 2021-01-13
JP2021142567A (ja) 2021-09-24
GB2545768B (en) 2018-04-25
AU2022202215A1 (en) 2022-04-28
JP2019505677A (ja) 2019-02-28
US20190003023A1 (en) 2019-01-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613152B2 (ja) ステンレス鋼製品、その製品の使用およびその製造方法
AU2022202215B2 (en) A steel, a welding consumable, a cast, forged or wrought product, a method of welding, a welded product and a method of heat treating
KR20100113642A (ko) 용접 열 영향부의 내식성과 인성이 양호한 저합금 2상 스테인리스강
JP6384610B2 (ja) オーステナイト系耐熱合金及び溶接構造物
TW201839152A (zh) 高錳鋼及其製造方法
KR102048482B1 (ko) 오스테나이트계 내열합금 및 용접 구조물
CN111041358A (zh) 双相铁素体奥氏体不锈钢
KR102450006B1 (ko) 미세 합금강 및 상기 강을 제조하기 위한 방법
CA3078333C (en) Austenitic stainless steel weld metal and welded structure
WO2019069998A1 (ja) オーステナイト系ステンレス鋼
EP3686306B1 (en) Steel plat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ame
GB2545722A (en) A steel, a welding consumable, a cast, forged or wrought product, a method of welding, a welded product and a method of heat treating
JP3617591B2 (ja) Tig溶接方法及びtig溶接材料
JPH07179943A (ja) 耐食性に優れた高靭性マルテンサイト系ステンレス鋼継目無鋼管の製造法
JP5890342B2 (ja) 二相系ステンレス鋼材および二相系ステンレス鋼管
JPH0688130A (ja) 耐食性に優れたマルテンサイト系ステンレス鋼継目無鋼管の製造法
KR20150076992A (ko) 강판 및 그 제조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