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94858A - 복합 필기구 - Google Patents

복합 필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94858A
KR20180094858A KR1020187013997A KR20187013997A KR20180094858A KR 20180094858 A KR20180094858 A KR 20180094858A KR 1020187013997 A KR1020187013997 A KR 1020187013997A KR 20187013997 A KR20187013997 A KR 20187013997A KR 20180094858 A KR20180094858 A KR 2018009485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m
writing
inclined portion
barrel
end s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70139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타다오 오다카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고도부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고도부키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고도부키
Publication of KR201800948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9485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KIMPLEMENTS FOR WRITING OR DRAWING
    • B43K24/00Mechanisms for selecting, projecting, retracting or locking writing units
    • B43K24/10Mechanisms for selecting, projecting, retracting or locking writing units for selecting, projecting and locking several writing units
    • B43K24/14Mechanisms for selecting, projecting, retracting or locking writing units for selecting, projecting and locking several writing units operated by turning means
    • B43K24/146Mechanisms for selecting, projecting, retracting or locking writing units for selecting, projecting and locking several writing units operated by turning means with cam contro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KIMPLEMENTS FOR WRITING OR DRAWING
    • B43K24/00Mechanisms for selecting, projecting, retracting or locking writing units
    • B43K24/10Mechanisms for selecting, projecting, retracting or locking writing units for selecting, projecting and locking several writing units
    • B43K24/14Mechanisms for selecting, projecting, retracting or locking writing units for selecting, projecting and locking several writing units operated by turn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KIMPLEMENTS FOR WRITING OR DRAWING
    • B43K24/00Mechanisms for selecting, projecting, retracting or locking writing units
    • B43K24/10Mechanisms for selecting, projecting, retracting or locking writing units for selecting, projecting and locking several writing units
    • B43K24/18Mechanisms for selecting, projecting, retracting or locking writing units for selecting, projecting and locking several writing units and for feeding the writing-cores
    • B43K24/183Mechanisms for selecting, projecting, retracting or locking writing units for selecting, projecting and locking several writing units and for feeding the writing-cores with push-butt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KIMPLEMENTS FOR WRITING OR DRAWING
    • B43K27/00Multiple-point writing implements, e.g. multicolour; Combinations of writing imp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KIMPLEMENTS FOR WRITING OR DRAWING
    • B43K27/00Multiple-point writing implements, e.g. multicolour; Combinations of writing implements
    • B43K27/08Combinations of pens
    • B43K27/12Combinations of pens of ball-point pe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KIMPLEMENTS FOR WRITING OR DRAWING
    • B43K27/00Multiple-point writing implements, e.g. multicolour; Combinations of writing implements
    • B43K27/02Combinations of pens and pencils

Landscapes

  • Mechanical Pencils And Projecting And Retracting Systems Therefor, And Multi-System Writing Instruments (AREA)

Abstract

일 실시 형태에 따른 복합 필기구는, 선단 측에 개구부가 설치된 축통과, 축통 내에 수납되는 복수의 필기축과, 축통의 중심축선 주위로 회전하는 캠 본체로서, 선단 측을 향해 돌출하는 캠 돌기와, 캠 돌기를 따라 선단 측에 면하는 끝 면과, 캠 돌기의 정점 부분에 설치된 계지 오목부를 가지는 캠 본체와, 복수의 필기축 각각의 후단에 접속되는 복수의 슬라이더로서, 후단 측에 면하여 단면에 압압되는 접접면이 설치됨과 더불어, 캠 본체의 계지 오목부에 계지 가능하게 형성된 캠을 가지는 복수의 슬라이더를 갖추되, 끝 면은 캠 돌기에 있어서 선단 측에 위치하고, 중심축선에 대해 제1 경사 각도로 경사지는 제1 경사부와, 캠 돌기에 있어서 제1 경사부보다 후단 측에 위치하고, 제1 경사 각도보다 큰 제2의 경사 각도로 경사지는 제2 경사부를 가진다.

Description

복합 필기구
본 발명은, 복수의 필기축을 축통에 수납하고, 그 복수의 필기축 중 선택적으로 1개의 필기축의 선단을 축통으로부터 돌출 가능하게 한 복합 필기구에 관한 것이다.
종래, 볼펜 필기축, 샤프펜슬 필기축 등의 임의의 복수의 필기축을 축통에 수납하고, 이 축통의 선단에 설치된 개구부로부터 1개의 필기축의 선단을 선택적으로 돌출 가능하게 한 복합 필기구가 알려져 있다.
이러한 복합 필기구로서, 예를 들어 앞 축통과 앞 축통에 대해 상대 회전 가능한 뒤 축통으로 이루어진 축통과, 뒤 축통에 대해 회전 불가능한 캠 본체와, 앞 축통에 대해 회전 불가능하게 되어 각 필기축의 후단부에 연결된 슬라이더를 갖추고, 전방으로 향해 돌출하는 V자 모양의 캠 돌기와, 캠 돌기를 따라 전방에 면하는 캠면과, 캠면의 캠 돌기의 정점 부분의 계지부를 캠 본체에 설치하고 후방으로 향해 돌출하는 V자 모양의 캠과, 캠을 따라 후방에 면하는 접접면(摺接面)을 슬라이더에 설치하고 슬라이더의 접접면이 캠 본체의 캠면에 압압되어 뒤 축통과 앞 축통이 상대 회전됨으로써, 선택적으로 필기축의 선단이 축통의 선단 개구로부터 돌출하는 복합 필기구가 알려져 있다(특허문헌 1 참조).
특허문헌 1 : 특개 2005-161829호 공보(예를 들어, 단락 0008 참조)
종래, 복합 필기구의 필기축을 축통의 선단 개구로부터 종래보다 큰 돌출량으로 돌출시키는 것, 및 필기축을 축통의 선단 개구로부터 종래보다 끌어들여 수납시키는 것이 요구되고 있었다. 이 종래의 요구를 충족시키는 복합 필기구를 제공하기 위해서, 뒤 축통과 앞 축통을 상대 회전시켜 필기축의 선단을 돌출시키는 복합 필기구에 있어서는, 축통에 수납된 상태에서의 필기축의 선단의 위치로부터 축통의 선단 개구로부터 돌출된 상태에서의 필기축의 선단의 위치까지의 거리인 이동량을 증대시키는 것이 요구된다.
필기축의 이동량을 증대시키는 방법으로서는, 필기축의 돌출량을 증대시키는, 즉 돌출 상태에서의 필기축의 선단의 위치를 보다 선단 측으로 하는 것을 생각할 수 있다. 여기서, 필기축의 돌출량을 증대시킨 캠 본체에 대해 설명한다.
도 12에 나타낸 캠 본체는, 필기축의 돌출량을 증대시키고 있지 않은, 끝 면(70) 및 계지 오목부(70a)가 설치된 캠 돌기와 비교해서, 보다 선단측으로 돌출된 캠 돌기를 가지고, 그 끝 면(71)은 끝 면(70)과 비교해서 급격한 경사를 가지며, 그 계지 오목부(71a)는 계지 오목부(70a)와 비교해서 보다 선단 측에 위치한다. 캠 본체는, 각각이 필기축(90)의 후단에 접속되어 후단 측에 면하는 접접면을 가지는 거의 V자 모양의 캠(80a)을 가지는 3개의 슬라이더(80)를 복합 필기구의 선단 측으로 이동시키는 것이다.
필기축(90)을 축통 내에 수납한 수납 상태로부터 필기축(90)을 축통으로부터 돌출시킨 돌출 상태로 하는 경우, 끝 면(70) 및 계지 오목부(70a)가 설치된 캠 돌기에 의한 경우에는, 돌출하는 필기축(90)에 대응하는 캠(80a)은 끝 면(70)을 접접해서 계지 오목부(70a)까지 도달하여 계지된다. 여기서, 나머지 2개의 캠(80a)은 그 접접면이 끝 면(70)에 접촉하고, 이 접촉에 의해 계지된 캠(80a)이 계지 오목부(70a)를 넘을 때에 회전 반력을 발생시킬 수가 있어, 유저는 회전 조작을 정지할 수가 있기 때문에, 필기축(90)은 안정되어 돌출된다.
한편, 캠 돌기의 정점, 즉 계지 오목부(71a)를 보다 선단측으로 되도록, 끝 면(71)과 같이 비교적 급격한 경사를 형성한 경우, 필기축을 돌출시킨 때에 계지 오목부(71a)에 계지되어 있는 캠 이외의 2개의 캠(80a)과 끝 면(71)과의 사이에 간극(틈)이 생긴다. 이 간극이 생기면 위에서 설명한 회전 반력이 생기지 않고, 계지된 캠(80a)이 계지 오목부(71a)를 용이하게 넘게 되어, 필기축(90)은 안정되어 돌출되지 않는다.
한편으로, 도 12에 나타낸 끝 면(71)을, 도 13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필기축의 수납 위치를 보다 후단측으로 하도록 형성된 끝 면(72)으로서 더 변경하는 경우에는, 수납 위치에 있는 필기축에 대응하는 캠(80a)의 접접면과 끝 면(72)과의 거리를 좁혀, 캠(80a)과 끝 면(72)과의 사이의 간극(틈)을 없앨 수가 있다. 그러나, 도 12에 나타낸 끝 면(71), 도 13에 나타낸 끝 면(72)의 어느 것에 대해서도, 그 경사 각도는 급격하게 됨으로써, 뒤 축통과 앞 축통과의 상대 회전, 즉 축통의 중심축선 주위의 캠 본체의 회전 조작에 필요한 회전 토크가 증대해, 복합 필기구의 조작성이 저하한다. 즉, 필기축의 이동량을 증대시킴에 있어, 캠 본체의 회전 조작에 필요한 회전 토크도 또한 증대한다고 하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의 실시 형태는, 위에서 설명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으로서, 필기축의 이동량의 증대에 따르는 캠 본체의 회전 조작에 필요한 회전 토크의 증대를 억제할 수가 있는 복합 필기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위에서 설명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 형태의 복합 필기구는, 선단 측에 개구부가 설치된 축통과, 그 축통 내에 수납되는 복수의 필기축과, 그 축통의 중심축선 주위로 회전하는 캠 본체로서, 그 복합 필기구(및 그 축통)의 선단 측을 향해 돌출하는 캠 돌기와, 그 캠 돌기를 따라 그 복합 필기구(및 그 축통)의 선단 측에 면하는 끝 면과, 그 캠 돌기의 정점 부분에 설치된 계지 오목부를 가지는 캠 본체와, 그 복수의 필기축 각각의 후단에 접속되는 복수의 슬라이더로서, 그 복합 필기구의 후단 측에 면하여 그 캠 본체의 단면에 압압되는 접접면이 설치됨과 더불어, 그 캠 본체의 계지 오목부에 계지 가능하게 형성된 캠을 가지는 복수의 슬라이더를 갖추되, 그 캠 본체의 단면은, 그 캠 돌기에 있어서 그 복합 필기구의 선단 측에 위치하고, 그 축통의 중심축선에 대해 제1 경사 각도로 경사지는 제1 경사부와, 그 캠 돌기에 있어서 그 제1 경사부보다 그 복합 필기구의 후단 측에 위치하고, 그 제1 경사 각도보다 큰 제2의 경사 각도로 그 축통의 중심축선에 대해 경사지는 제2 경사부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르면, 필기축의 이동량의 증대에 수반하는 캠 본체의 회전 조작에 필요한 회전 토크의 증대를 억제할 수가 있는 복합 필기구를 제공할 수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의 형태에 따른 복합 필기구를 그 복합 필기구의 중심축선을 포함한 평면에서 절단해서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의 형태에 따른 복합 필기구를 분해해서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의 형태에 따른 캠 본체를 후방로부터 보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도 3에 나타낸 캠 본체를 그 캠 본체의 중심축선을 포함한 하나의 평면에서 절단해서 A-A 화살표 방향으로부터 보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3에 나타낸 캠 본체를 그 캠 본체의 중심축선을 포함한 다른 평면에서 절단해서 B-B 화살표 방향으로부터 보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4의 C화살표의 방향으로부터 보아 나타낸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의 형태에 따른 캠 본체의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의 형태에 따른 캠 본체의 단면을 평면상에 전개해서 나타낸 전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의 형태에 따른 수납 상태에서의 캠 본체와 캠과의 관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의 형태에 따른 수납 상태에서의 캠 본체와 캠과의 관계를 평면상에 전개해서 나타낸 전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의 형태에 따른 돌출 상태에서의 캠 본체와 캠과의 관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의 형태에 따른 돌출 상태에서의 캠 본체와 캠과의 관계를 평면상에 전개해서 나타낸 전개도이다.
도 12는 복합 필기구에 있어서 필기축의 돌출량을 증대시킨 경우의 캠 본체와 캠과의 관계를 설명하기 위해서, 그 필기축의 돌출량을 증대시킨 경우의 캠 본체와 캠을 평면상에 전개해서 나타낸 전개도이다.
도 13은 복합 필기구에 있어서 필기축의 인입량을 증대시킨 경우의 캠 본체와 캠과의 관계를 설명하기 위해서, 그 필기축의 인입량을 증대시킨 경우의 캠 본체와 캠을 평면상에 전개해서 나타낸 전개도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에 따른 하나의 실시 형태에 대해 설명한다.
우선, 하나의 실시의 형태에 따른 복합 필기구(1)의 구성에 대해 설명한다. 이 복합 필기구(1)는, 복수의 필기축을 축통 내에 수납함과 더불어, 수납한 필기축 중 1개를 선택적으로 돌출시키는 필기구이다. 이후의 설명에 있어서, 복합 필기구의 중심축선의 연재 방향(기둥 모양으로 구성되는 복합 필기구의 길이 방향)을 중심축선 방향(혹은, 단순하게 「축선 방향」), 축선 방향에서의 필기축을 돌출시키는 방향의 끝부분을 복합 필기구의 선단, 그 반대측 끝부분을 복합 필기구의 후단으로 한다. 도 1은 샤프펜슬 필기축을 선택적으로 돌출시킨 상태의 복합 필기구(1)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2는 복합 필기구(1)를 분해해서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복합 필기구(1)는, 앞 축통(11), 뒤 축통(12), 몸통 링(13), 지우개 받침대(14a), 지우개(14b), 지우개 커버(14c), 감합통(21), 안내통(22), 흑색 및 적색 잉크의 2개의 볼펜 필기축(30), 필기심을 척(chuck) 및 송출 가능한 1개의 샤프펜슬 필기축(31), 슬라이더(41), 스프링(42)을 갖춘다.
앞 축통(11)은, 뒤 축통(12)에 대해 서로 상대 회전 가능하게 되도록, 후에 상세히 설명하는 감합통(21) 등을 매개로 해서 뒤 축통(12)에 접속되어 복합 필기구(1)의 축통을 구성하는 거의 원통모양의 부재이다. 본 실시 형태의 축통은, 복수의 필기축으로서의 2개의 볼펜 필기축(30) 및 1개의 샤프펜슬 필기축(31)을 수납한다. 또, 앞 축통(11)에는, 수납된 복수의 필기축의 어느 하나가 선택적으로 돌출되는 개구부(11a)가, 끝으로 갈수록 가늘어지도록 형성된 복합 필기구(1)의 선단 측에 형성된다.
뒤 축통(12)은, 후에 상세히 설명하는 감합통(21) 등을 매개로 해서, 앞 축통(11)에 서로 상대 회전 가능하게 접속됨으로써 복합 필기구(1)의 축통을 구성하는 원통모양의 부재이다.
몸통 링(13)은, 그 내주가 뒤 축통(12)의 선단 외주부에 감합되는 원통모양의 부재로서, 앞 축통(11)과 뒤 축통(12)과의 접속 부분을 피복한다.
지우개 받침대(14a)는 원통모양의 외주벽을 가지며, 후에 상세히 설명하는 바와 같이, 그 중앙부에 설치된 격벽으로부터 전방으로 향해 돌출하는 계합 돌기의 선단이, 뒤 축통(12) 내에 고정된 캠 본체(23) 내에서, 안내통(22)의 계지 날밑(계지 차양; 22b)과 상대 회전 가능하게 계합하도록 구성된다. 지우개 받침대(14a)에는, 그 후 단부 측으로부터 지우개(14b)가 삽입됨과 더불어 지우개 커버(14c)가 피착된다. 또, 지우개 받침대(14a)의 앞부분 외주면에는 나사가 형성되고, 캠 본체(23)의 뒤부분 내주면에 형성된 나사와 체결되어 클립(15)의 기초부를 뒤 축통(12)의 후단에 협착한다.
감합통(21)은, 축통 내에 배치되는 원통모양의 부재로서, 앞 축통(11)에 대해 착탈 가능한 동시에 상대 회전 불가능하게 감합됨과 더불어, 뒤 축통(12)에 대해 상대 회전 가능하게 계지된 안내통(22)에 결합된다. 감합통(21)의 뒤부분 내주면은, 안내통(22)의 앞부분 외주면에 결합됨과 더불어, 감합통(21) 및 안내통(22)의 통 내에는 복수의 필기축이 삽통된다.
안내통(22)은, 축통 내에 배치되어 앞부분이 원통모양이고 뒤부분이 원주모양의 부재이다. 안내통(22)의 원통모양의 앞부분과 원주모양의 뒤부분과의 중간부에는 사절부(22c)가 설치된다. 안내통(22)의 앞부분은, 감합통(21)의 뒤부분에 결합됨으로써, 앞 축통에 대해 상대 회전 불가능하게 된다. 안내통(22)의 뒤부분은, 후에 상세히 설명하는 바와 같이, 뒤 축통(12)에 고정된 캠 본체(23)에 대해 상대 회전 가능하게 계지된다. 안내통(22)의 뒤부분의 둘레방향으로 소정간격만큼 이간된 3개소에는, 후단으로부터 선단 측으로 향해 연재하는 3개의 안내홈(22a)이 형성된다. 각 안내홈(22a)은, 후에 상세히 설명하는 슬라이더(41)의 축선 방향으로의 접동을 가이드한다. 안내통(22)의 후단부에는 3개의 계지 날밑(22b)이 형성되고, 이들 3개의 계지 날밑(22b)은 후에 상세히 설명하는 캠 본체(23)의 내주벽의 내주 계단부(23a)(도 3 참조)에 상대 회전 가능하게 계지된다.
캠 본체(23)는, 선단 측으로 돌출하는 캠 돌기(230)가 형성된 거의 원통모양의 부재로서, 뒤 축통(12) 내에 고정해서 배치된다. 캠 본체(23)의 내주벽에는, 그 후방으로부터 보았을 때에 원형의 개구를 형성하는 내주 계단부(23a)(도 3 참조)가 형성된다. 이 캠 본체(23)의 내주 계단부(23a)(원형 개구의 주변부)에 선단측으로부터 안내통(22)의 계지 날밑(22b)이 삽입되어 계지된다. 이와 같이 계지된 상태의 3개의 계지 날밑(22b)의 중앙에, 지우개 받침대(14a)의 격벽으로부터 전방으로 돌출하는 계합 돌기의 선단부가 후단 측으로부터 삽입됨으로써, 안내통(22)은 캠 본체(23)에 상대 회전 가능하게 계지된다. 캠 본체(23)의 외주벽에는 계지홈(23b)이 형성된다. 이 계지홈(23b)이 뒤 축통(12)의 내주벽으로부터 내경 방향을 향해 돌출하는 돌기부(12a)와 계합함으로써, 캠 본체(23)는 뒤 축통(12)에 대해 상대 회전 불가능하게 고정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일체로서 맞붙여진 안내통(22), 감합통(21) 및 앞 축통(11)은, 캠 본체(23) 및 뒤 축통(12)에 대해 상대 회전 가능하게 된다. 앞 축통(11)과 뒤 축통(12)은, 축통의 중심축선을 회전축으로 해서 상대 회전하기 때문에, 캠 본체(23)는 축통의 중심축선 주위로 회전한다.
볼펜 필기축(30)은, 회전해서 잉크를 토출하는 볼을 가지는 필기 팁과 잉크를 수용하는 심 파이프를 가지는 리필(301), 후단축(302), 및 이음매(303)를 갖춘다. 리필(301)은 그 후단이 이음매(303)의 선단과 접속되고, 후단축(302)은 그 선단이 이음매(303)의 후단과 접속된다.
샤프펜슬 필기축(31)은, 필기심을 수용하는 심 탱크(312)와, 심 탱크(312)에 수용된 필기심을 선단 측으로 송출하여 척(chuck)할 수가 있는 척을 가지는 필기 팁(311)을 갖춘다. 필기 팁(311)은 그 후단이 심 탱크(312)의 선단과 접속된다.
슬라이더(41)는, 복수의 필기축 각각의 후단, 구체적으로는 볼펜 필기축(30)의 후단축(302)의 후단, 또는 샤프펜슬 필기축(31)의 심 탱크(312)의 후단에 연결되는 부재이다. 슬라이더(41)에는, 축통을 향해 외경 방향으로 돌출하는 캠(41a)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 캠(41a)은, 복합 필기구(1)의 후단 측에 면하고, 외경 방향으로부터 보아 거의 V자형 모양으로 연재하는 접접면을 가진다. 3개의 슬라이더(41)는, 앞 축통(11)과 뒤 축통(12)이 상대 회전할 때의 회전축심으로 되는 복합 필기구(1)의 중심축선 주위의 둘레방향에 있어서, 서로 120° 이간된 위치에 배치된다.
스프링(42)은, 복수의 필기축의 각각(보다 상세하게는, 후단 축(302), 또는 심 탱크(312))의 주위에 감겨져 슬라이더(41)와 안내통(22)의 사절부(22c)와의 사이에 개재되어 삽입되는 압축 코일 스프링이다. 스프링(42)은, 그 복원력에 의해 슬라이더(41)를 후단측으로 상시 부세한다. 이 때문에, 복합 필기구(1)의 후단 측에 면하도록(접촉면을 향하도록) 형성된 슬라이더(41)의 캠(41a)의 접접면은, 복합 필기구(1)의 선단 측에 면하도록(접촉면을 향하도록) 형성된 캠 본체(23)의 단면(캠 구동 곡면)에 상시 부세된다.
도 3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캠 본체(23)의 단면(캠 구동 곡면)에 대해 설명한다. 도 3은 캠 본체(23)를 후방로부터 보아 나타내고, 도 4는 캠 본체(23)을 그 중심축선을 포함한 평면에서 절단해서 A-A방향으로부터 보아 나타내며, 도 5는 캠 본체(23)을 그 중심축선을 포함해 도 4의 절단면과 직교하는 평면에서 절단해서 B-B 방향으로부터 보아 나타내고, 도 6은 캠 본체(23)를 도 4의 C화살표 방향으로부터 보아 나타낸 도면이다. 캠 본체(23)는, 복합 필기구(1)의 선단 측을 향해 돌출하는 캠 돌기(230)와, 캠 돌기(230)를 따라 복합 필기구(1)의 선단 측에 면하도록 형성된 끝 면(231)과, 캠 돌기(230)의 정점 부분에 슬라이더(41)의 캠(41a)의 계지부로서 형성된 계지 오목부(232)를 가진다. 여기서 캠 돌기(230)의 정점 부분이란, 캠 돌기(230)의 돌출의 중앙 부분을 가리키며, 끝 면(231)에 있어서, 가장 선단 측에 위치하는 부분을 나타낸다. 끝 면(231)에 대향하여 배치되는 슬라이더(41)의 캠(41a)의 접접면은, 끝 면(231)에 대해 접접하고, 필기축이 선단 측으로 돌출하는 돌출 상태에서는, 계지 오목부(232) 내에 계지된다.
도 7을 참조하여, 캠 본체(23)의 끝 면(231)에 대해 더 설명한다. 도 7은 중심축선(A)의 둘레방향으로 연재하는 캠 본체(23)의 끝 면(231)의 전 둘레를 평면상에 전개해서 나타낸 전개도이다. 끝 면(231)은, 그 선단 측의 교차 각도(제1 선단 각도)가 2θa로 형성된 선단 측의 제1 경사부(231a)와, 그 선단 측의 교차 각도(제2 선단 각도)가 2θb로 형성된 후단 측의 제2 경사부(231b)를 가진다. 여기서, 제1 경사부(231a)의 제1 선단 각도 2θa는 평면상에 전개한 상태에서 38°, 즉 축통의 중심축선(A)으로부터의 제1 경사 각도 θa는 19°이며, 종래의 복합 필기구와 비교해서 보다 작은 중심축선(A)에 대한 경사 각도(급격)로 형성되어 있다. 한편, 제2 경사부(231b)의 제2 선단 각도 2θb는 평면상에 전개한 상태에서 46°, 즉 중심축선(A)으로부터의 제2 경사 각도 θb는 23°이고, 제1 경사부(231a)의 제1 경사 각도 θa보다 큰 중심축선(A)에 대한 경사 각도(완만)로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하는 경우에는, 제1 경사부(231a)의 중심축선(A)에 대한 제1 경사 각도 θa를 종래보다 감소시켜 필기축의 이동량을 증대시킨 경우에도, 캠 본체(23)의 회전 조작에 필요한 회전 토크의 증대를 억제할 수가 있다. 제2 경사부(231b)를 설치함으로써, 유저는 캠 본체(23)의 회전 조작의 초동(初動)에 있어서 용이하게 회전 조작을 개시할 수가 있기 때문에, 복합 필기구(1)의 조작성을 향상시킬 수가 있다. 또, 유저에 의한 회전 조작의 회전 속도(회전 관성)가 어느 정도 얻어진 상태에서 제1 경사부(231a)에서의 회전 조작을 시행할 수가 있기 때문에, 유저는 용이하게 필기축을 돌출시킬 수가 있다. 또, 제1 경사부(231a)를 중심축선(A)에 대해 종래보다 작은 제1 경사 각도 θa로 경사지도록 형성함으로써, 복합 필기구(1)의 축통으로부터 종래보다 큰 돌출량으로 필기축을 돌출시켜 이용할 수가 있기 때문에, 유저는 보다 용이하게 복합 필기구(1)를 이용할 수가 있다. 또, 필기축을 축통 내에 수납할 때에는, 스프링(42)에 의해 후방으로 상시 부세된 필기축은, 중심축선(A)에 대해 종래보다 작은 제1 경사 각도 θa로 경사지도록 형성된 제1 경사부(231a)에 의해 종래보다 가속되어 축통 내에 수납된다. 이 때문에, 종래보다 재빠르게 필기축을 축통 내에 수납할 수가 있기 때문에, 복합 필기구(1)의 조작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가 있다.
캠 본체(23)의 끝 면(231)은, 제1 경사부(231a)와 제2 경사부(231b)를 접속하는 제3 경사부(231c)를 더 가진다. 제3 경사부(231c)의 중심축선(A)에 대한 제3의 경사 각도는, 제2 경사부(231b)의 제2의 경사 각도 θb보다 더욱 크게(완만하게) 형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하는 경우에는, 제3 경사부(231c)에 접접하는 슬라이더(41)의 캠(41a)을 제2 경사부(231b)에 접접하는 경우보다 더 작은 회전 토크에 의해 전진 구동시킬 수가 있다. 이 때문에, 슬라이더(41)의 캠(41a)이 제1 경사부(231a)로의 접접을 개시함으로써 생기는 캠 본체(23)의 회전 조작에 필요한 회전 토크의 급증을 상쇄할 수가 있도록, 유저에 의한 캠 본체(23)의 회전 조작의 회전 속도(회전 관성)를 미리 급격하게 증가시켜 둘 수가 있다. 이에 따라, 복합 필기구(1)의 조작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가 있다.
또, 제1 경사부(231a)와 제3 경사부(231c)와의 접속부 및 제2 경사부(231b)와 제3 경사부(231c)와의 접속부는 곡면으로서 구성되어 있고, 더욱이 경사부간의 경사 각도가 연속적으로 변화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하는 경우에는, 캠 본체(23)의 회전 조작에 필요한 회전 토크의 변동을 억제할 수가 있고, 더욱이 회전 토크의 변동을 연속적인 것으로 할 수가 있다. 이 때문에, 복합 필기구(1)의 조작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가 있다.
캠 본체(23)의 끝 면(231)은, 제4 경사부(231d)를 더 가진다. 이 제4 경사부(231d)는, 캠 본체(23)의 둘레방향에 있어서 계지 오목부(232)와 대향하는 위치에서, 가장 필기축의 인입량이 크게 되는 후단 오목부를 형성하도록 경사진다. 이와 같이 구성하면, 필기축의 인입량을 더욱 크게 할 수가 있게 됨과 더불어, 필기축의 인입량이 최대로 되는 회전 위치로 캠 본체(23)의 회전을 유도하는 방향으로 회전 반력을 발생시킬 수가 있다. 유저는 제4 경사부(231d)가 발생하는 회전 반력을 감지하면서 캠 본체(23)의 회전 조작을 시행할 수가 있기 때문에, 필기축이 가장 인입된 수납 위치에 필기축을 수납시킬 수가 있다. 이 때문에, 필기축이 파손해 버리는 일이 없도록 필기축을 축통 내에 충분히 인입하여 수납할 수가 있게 됨과 더불어, 의도하지 않은 필기축의 돌출을 방지할 수가 있다.
또, 위에서 설명한 제3 경사부(231c)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제4 경사부(231d)와 제2 경사부(231b)와의 접속부를 곡면으로서 구성하고, 더욱이 경사부간의 경사 각도가 연속적으로 변화하도록 형성하는 경우에는, 캠 본체(23)의 회전 조작에 필요한 회전 토크의 변동을 억제할 수가 있고, 더욱이 회전 토크의 변동을 연속적인 것으로 할 수가 있기 때문에, 복합 필기구(1)의 조작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가 있다.
도 8 내지 도 11을 참조하여, 복합 필기구(1)의 회전 조작에 대해 더 설명한다. 도 8 및 도 9는, 수납 상태에서의 캠 본체(23)와 슬라이더(41)의 캠(41a)과의 관계를 나타낸 도면으로서, 도 9는 캠 본체(23)와 슬라이더(41)의 캠(41a)과의 관계를 평면상에 전개해서 나타낸 전개도이다. 도 8 및 도 9에 나타낸 수납 상태에서는, 제4 경사부(231d)가 형성하는 후단 오목부 내에 1개의 캠(41a)이 위치하고, 나머지 2개의 캠(41a)이 제1 경사부(231a)에 위치함으로써, 모든 필기축이 후단 측으로 인입되어 축통 내에 수납된다. 제1 경사부(231a)에 위치하는 2개의 캠(41a)은, 축통의 축선 방향에 있어서 거의 동위치에 위치하여, 2개의 캠(41a) 각각의 스프링(42)간의 부세력이 균형을 이루도록 하고, 더욱이 1개의 캠(41a)이 후단 오목부 내에 위치하기 때문에, 수납 상태에서의 3개의 캠(41a)의 위치가 안정된다. 복합 필기구(1)를 돌출 상태로부터 수납 상태로 할 때에는, 1개의 캠(41a)이 후단 오목부 내에 위치함으로써, 복합 필기구(1)가 수납 상태로 된 것을 클릭감에 의해 유저에게 전달할 수가 있다.
도 10 및 도 11은, 돌출 상태에서의 캠 본체(23)와 슬라이더(41)의 캠(41a)과의 관계를 나타낸 도면으로서, 도 11은 캠 본체(23)와 슬라이더(41)의 캠(41a)과의 관계를 평면상에 전개해서 나타낸 전개도이다. 도 10 및 도 11에 나타낸 돌출 상태에서는, 1개의 캠(41a)이 계지 오목부(232) 내에 위치하고, 나머지 2개의 캠(41a)이 제2 경사부(231b)에 위치함으로써, 1개의 필기축을 개구부(11a)로부터 돌출시킨다.
종래의 복합 필기구에서는, 중심축선에 대한 캠 본체의 끝 면의 경사각을 작게 하면, 필기축의 돌출시의 관성에 의해 슬라이더의 캠이 캠 본체의 계지 오목부에 계합하기 어렵게 되어, 계지 오목부와 계합하지 않고, 계지 오목부를 뛰어넘어 회전되어 버린다고 하는 문제도 생길 가능성이 있었다. 그러나, 복합 필기구(1)에서는, 유저가 선택한 1개의 필기축이 돌출한 상태에서, 나머지 2개의 필기축의 캠(41a)의 접접면이 제2 경사부(231b)에 접촉하고, 이 접촉에 의해 계지 오목부(232)에 계지되는 캠(41a)이 계지 오목부(232)를 넘을 때에 회전 반력을 일으키게 할 수가 있다. 이 때문에, 유저는 선택한 필기축이 계지 오목부(232)에 계지된 돌출 상태에서 회전 조작을 정지할 수가 있고, 선택한 필기축을 안정하게 돌출시킬 수가 있다.
본 발명의 실시 형태는, 예로서 제시한 것으로서,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의도하고 있지 않다. 이들 신규한 실시 형태는, 그 외의 여러 가지 형태로 실시되는 것이 가능하고, 발명의 요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여러 가지의 생략, 치환, 변경을 시행할 수가 있다. 이들 실시 형태나 그 변형은, 발명의 범위나 요지에 포함됨과 더불어,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과 그 균등한 범위에 포함된다.
1 복합 필기구
11 앞 축통
12 뒤 축통
23 캠 본체
30 볼펜 필기축
31 샤프펜슬 필기축
41 슬라이더
41a 캠
230 캠 돌기
231 끝면
231a 제1 경사부
231b 제2 경사부
231c 제3 경사부
231d 제4 경사부
232 계지 오목부

Claims (3)

  1. 선단 측에 개구부가 설치된 축통과,
    상기 축통 내에 수납되는 복수의 필기축과,
    선단 측을 향해 돌출하는 캠 돌기와, 그 캠 돌기를 따라 선단 측에 면하는 끝 면과, 그 캠 돌기의 정점 부분에 설치된 계지 오목부를 가지며, 상기 축통의 중심축선 주위로 회전하는 캠 본체와,
    후단 측에 면하여 상기 단면에 압압되는 접접면이 설치됨과 더불어, 상기 캠 본체의 계지 오목부에 계지 가능하게 형성된 캠을 가지며, 상기 복수의 필기축 각각의 후단에 접속되는 복수의 슬라이더를 갖추되,
    상기 끝 면은, 상기 캠 돌기에 있어서 선단 측에 위치하고, 상기 중심축선에 대해 제1 경사 각도로 경사지는 제1 경사부와, 상기 캠 돌기에 있어서 상기 제1 경사부보다 후단 측에 위치하고, 그 제1 경사 각도보다 큰 제2의 경사 각도로 그 중심축선에 대해 경사지는 제2 경사부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필기구.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끝 면은, 상기 제1 경사부와 상기 제2 경사부를 접속하고, 상기 중심축선에 대해 상기 제2의 경사 각도보다 큰 제3의 경사 각도로 경사지는 제3 경사부를 더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필기구.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1 경사부와 상기 제3 경사부와의 접속부, 및 상기 제2 경사부와 상기 제3 경사부와의 접속부는, 곡면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필기구.
KR1020187013997A 2015-12-17 2016-11-11 복합 필기구 KR20180094858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5246473 2015-12-17
JPJP-P-2015-246473 2015-12-17
PCT/JP2016/083523 WO2017104324A1 (ja) 2015-12-17 2016-11-11 複合筆記具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94858A true KR20180094858A (ko) 2018-08-24

Family

ID=590560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7013997A KR20180094858A (ko) 2015-12-17 2016-11-11 복합 필기구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10589563B2 (ko)
EP (1) EP3392055A4 (ko)
JP (1) JP6679619B2 (ko)
KR (1) KR20180094858A (ko)
CN (1) CN108136813B (ko)
PH (1) PH12018501245A1 (ko)
SG (1) SG11201804953WA (ko)
TW (1) TW201726440A (ko)
WO (1) WO201710432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7033895B2 (ja) * 2017-11-28 2022-03-11 三菱鉛筆株式会社 多機能ペン
US20220134797A1 (en) * 2020-11-04 2022-05-05 Suresh Konti Writing instrument with pen and pencil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AU516718B2 (en) * 1978-01-31 1981-06-18 Zebra Co. Ltd. Combination pen
JPS54138730A (en) * 1978-04-19 1979-10-27 Ancos Co Ltd Rotary mechanical pencil
HUT57653A (en) * 1986-08-07 1991-12-30 Kotobuki & Co Ltd Double writing materials of refillable type
US5642953A (en) * 1993-11-02 1997-07-01 Mitsubishi Pencil Kabushiki Kaisha Multiplex writing implement
JP3417519B2 (ja) * 1995-08-28 2003-06-16 三菱鉛筆株式会社 複式筆記具
JP2001150872A (ja) * 1999-11-30 2001-06-05 Pentel Corp 回転繰出式複合筆記具
JP3770044B2 (ja) * 2000-04-14 2006-04-26 コクヨ株式会社 筆記具
JP4359033B2 (ja) * 2002-10-15 2009-11-04 フジコピアン株式会社 複合保持具
US7128491B2 (en) * 2003-09-24 2006-10-31 Mitsubishi Pencil Co., Ltd. Composite writing instrument
JP4583769B2 (ja) 2003-11-12 2010-11-17 株式会社壽 複合筆記具
JP4476696B2 (ja) * 2004-05-25 2010-06-09 株式会社壽 複合筆記具
JP2006272666A (ja) * 2005-03-28 2006-10-12 Kotobuki & Co Ltd 回転繰出し式筆記具
FR2926244B1 (fr) * 2008-01-16 2010-02-19 Bic Soc Instrument d'ecriture muni d'une gomme protegee par un manchon
US8734040B2 (en) * 2011-06-09 2014-05-27 A.T.X. International, Inc. Multi-function writing instrument with propulsion mechanis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8136813A (zh) 2018-06-08
SG11201804953WA (en) 2018-07-30
WO2017104324A1 (ja) 2017-06-22
JP6679619B2 (ja) 2020-04-15
JPWO2017104324A1 (ja) 2018-10-04
CN108136813B (zh) 2020-09-01
TW201726440A (zh) 2017-08-01
PH12018501245A1 (en) 2019-01-28
US20180319202A1 (en) 2018-11-08
EP3392055A4 (en) 2019-08-14
EP3392055A1 (en) 2018-10-24
US10589563B2 (en) 2020-03-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599404B2 (ja) 回転繰出し式筆記具
KR20180094858A (ko) 복합 필기구
JP5389422B2 (ja) シャープペンシル
JP2006272666A (ja) 回転繰出し式筆記具
JP5006110B2 (ja) 筆記具の軸構造
JP2007050610A (ja) 筆記具
US11390111B2 (en) Writing implement
JP6038570B2 (ja) 回転操作式筆記具
JP2010036483A (ja) 筆記具
JP7057124B2 (ja) 筆記具
JP5666371B2 (ja) 回転繰出式の多芯筆記具
JP5731556B2 (ja) 筆記具
JP2023013018A (ja) 筆記具
JP2004358747A (ja) キャップレス保持具
JP6047194B2 (ja) 筆記具
JP2011025579A (ja) 多芯筆記具のスライド部材における筆記体との連接構造
US11065907B2 (en) Hand tools, cosmetic devices and writing instruments
JP2006150725A (ja) 出没式筆記具
JP6811124B2 (ja) ノック式筆記具
JP2017030197A (ja) 芯繰出具
JP2019119202A (ja) シャープペンシル
JP2010064405A (ja) 回転繰出式筆記具
JP2560149Y2 (ja) 複式筆記具
JP2011121278A (ja) 回転繰出式の複合筆記具
JP2011110706A (ja) 回転繰出式の複合筆記具