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93551A - 난좌 자동 적재기 - Google Patents

난좌 자동 적재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93551A
KR20180093551A KR1020170019812A KR20170019812A KR20180093551A KR 20180093551 A KR20180093551 A KR 20180093551A KR 1020170019812 A KR1020170019812 A KR 1020170019812A KR 20170019812 A KR20170019812 A KR 20170019812A KR 20180093551 A KR20180093551 A KR 2018009355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ader
idle
discharge conveyor
control unit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198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30154B1 (ko
Inventor
윤택진
이은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그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그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그텍
Priority to KR10201700198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30154B1/ko
Publication of KR201800935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9355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301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3015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57/00Stacking of articles
    • B65G57/02Stacking of articles by adding to the top of the stack
    • B65G57/03Stacking of articles by adding to the top of the stack from abov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57/00Stacking of articles
    • B65G57/02Stacking of articles by adding to the top of the stack
    • B65G57/16Stacking of articles of particular shape
    • B65G57/20Stacking of articles of particular shape three-dimensional, e.g. cubiform, cylindric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1/00Indexing codes relating to handling devices, e.g. convey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roduct or load being conveyed or handled
    • B65G2201/02Articles
    • B65G2201/0202Agricultural and processed food products
    • B65G2201/0208Eg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814/00Indexing codes relating to loading or unloading articles or bulk materials
    • B65G2814/03Loading or unloading means
    • B65G2814/0301General arrangements
    • B65G2814/0304Stacking devices
    • B65G2814/0305Adding to the top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난좌 자동 적재기에 관한 것으로, 계란이 담겨진 계란판을 계란선별기로부터 자동으로 한 판씩 이송하여 소정 높이(적어도 3~5판)로 지그재그 방향으로 엇갈리도록 적재하여 다음 공정으로 쉽게 이송할 수 있도록 한 것을 개시하고 있다.

Description

난좌 자동 적재기{Auto Tray Stacker for Egg Packing Tray}
본 발명은 계란이 포장된 난좌(卵座, 계란판)를 자동으로 적재하여 주는 난좌 자동 적재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계란이 담겨진 난좌를 계란선별기로부터 자동으로 한 판씩 이송하여 소정 높이(적어도 3~5판)로 지그재그 방향으로 엇갈리도록 적재하여 다음 공정으로 이송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간결한 구성으로 실행될 수 있게 한 난좌 자동 적재기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는 계란 선별기로부터 빈 난좌에 30개씩 담겨진 난좌를 사람이 직접 다음 공정으로 나르거나 박스에 포장하는 일을 하였다. 이로 인해서 고임금에 따른 높은 생산 단가가 발생하는 문제가 있었으며, 또한 장시간의 동일 작업은 작업자들로 하여금 근골격계 질환 발생의 요인이 되게 하여 작업자들에게 고통을 주는 사례도 발생하였다.
이러한 문제 해소를 위하여 제안된 것이 공개 실용 번호 제20-2009-0008165호에 공표된 '계란이 안치된 난좌의 이송 및 적재장치'이다.
이 장치에는 계란이 안치된 난좌를 이송시키며 벨트콘베아 구동모터(미도시)에 의해 무한 회전하는 통상의 벨트콘베아와, 벨트콘베아를 구동시키며, 벨트콘베아 구동모터와 연결된 벨트콘베아 구동기어가 회전되도록 고정된 벨트콘베아 구동기어 고정커버와, 상기 벨트콘베아의 일측 상부에 설치되어 이동되는 계란의 난좌를 점검하는 센서와, 상기 센서와 일정간격 이격되어 전방에 설치되며 상하로 이동되는 스토퍼와, 상기 센서와 스토퍼사이에 설치되며, 난좌를 난좌집게로 집은 다음 상하로 이동하는 장치와, 상하로 이동된 장치를 좌우로 이송시키는 장치로 구비된 난좌이송장치와, 상기 난좌이송장치에 의해 난좌를 안치하는 난좌적재장치로 구성된 것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선행기술은 계란이 포장된 난좌를 난좌이송장치를 이용하여 90도로 회전되는 턴테이블 상에 이동시킨 후, 턴테이블을 90도로 회전시켜 지그재그로 적재하도록 적재하고, 상기와 같은 동작을 반복하여 턴테이블에 원하는 난좌의 갯수가 적층 (5개 또는 10개)되면, 상기 턴테이블의 일측에 별도 설치된 난좌밀대구동모터의 작동으로 이 모터에 연결된 난좌밀대구동실린더의 난좌밀대가 적층된 난좌를, 난좌적재장치의 전방에 설치된 두개의 이송체인콘베아에 안치됨과 동시에 체인콘베아로 옮겨진 난좌는 체인콘베아의 회전에 의해 전방으로 이동시킬수 있도록 하고 있기 때문에, 적재장치의 구성이 복잡하고 부피가 커지는 경향이 있다.
즉, 상기 선행기술은 선별기로부터 이송된 계란이 포장된 난좌를 지그 재그로 적재(5개 또는 10개)함에 있어서, 선별기로부터 난좌를 이송하는 난좌이송장치와, 난좌를 지그재그로 적재되게 하는 회전되게 구성된 턴테이블과, 턴테이블에 적재된 난좌를 체인콘베아로 이동시키는 난좌밀대등을 각각 구비하여 적재 및 이송하도록 된 구성이기 때문에, 그 구성이 복잡하고, 또한 구성이 복잡해지는 만큼 부피가 크게되어 실내에 설치시 점유 공간을 많이 차이하게 되는 문제도 있다.
따라서, 선별기로부터 계란이 담겨진 난좌판의 이송부터 난좌판의 지그재그 적재 그리고 적재된 난좌판들에 대한 다음 공정으로의 이동수단을 하나의 기체에 밀집적으로 배치하여 콤팩트(Compact)하게 한 난좌 자동 적재기의 개발이 절실하게 요구되고 있다.
KR 공개실용신안 제20-2009-0008165호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보완하고 다양한 추가 장점을 제공하기 위해 개발된 것으로서, 선별기로부터 계란이 담겨진 난좌판의 이송부터 난좌판의 지그재그 적재 및 적재된 난좌판들에 대한 다음 공정으로의 이동을 모두 한 곳에서 실행될수 있도록 간결하게 구성하여, 제작 원가절감은 물론 유지관리 비용을 절감하는 경제성을 갖게 한 난좌 자동 적재기를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제공되는 난좌 자동 적재기에 의하여 달성된다.
본 발명의 일 양상에 따라 제공되는 난좌 자동 적재기는, 바닥부에 이동이 편리하게 위치되는 기체(機體); 상기 기체의 상측부위에서 상,하방향이동, 어느 양방향 이동 및 90°회전이동 이동할 수 있게 설치되어 계란이 담겨진 난좌판들을 한판씩 이동시켜 적재할수 있게 하는 난좌 로더(Loader); 상기 난좌 로더와 같이 상기 기체의 상부에 설치되어 상기 난좌 로더를 어느 양측 방향으로 왕복이동 시킴에 필요한 구동력을 부여하는 난좌로더 왕복구동부; 상기 기체에서 상기 난좌로더의 직하방에 설치되어 상기 난좌 로더에 의하여 이송되는 계란이 담겨진 난좌를 지그 재그 순서로 소정높이로 적재할 수 있게 함과 아울러 적재 완료시에는 다음 공정으로 배출할수 있게 구동하는 난좌 적재 및 배출부; 상기 기체의 최하부인 상기 난좌 적재 및 배출부의 하방에 설치되어 상기 상기 난좌 적재 및 배출부를 상기 난좌로더와 근접하게 상승 이동시키거나 혹은 이격위치로 하강 이동시키기 위한 구동력을 부여하는 난좌 상,하강이동부;및 상기 기체의 최상부 위치에 배치되어 기 프로그래밍된 제어프로그램에 의해 상기 난좌 로더(Loader), 난좌로더 왕복구동부, 난좌 적재 및 배출부(130), 및 난좌 상,하강이동부를 순차적으로 구동되게 제어하는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로 상기 난좌로더는, 상,하부로 대향 위치되는 상,하부지판을 구비하되, 상부 지지판은 상기 난좌로더 왕복구동부에 결합하는 반면, 상기 하부 지지판으로는 계란이 담겨진 난좌의 양측을 집을수 있도록 한 집게판들의 지지틀의 상단부분이 힌지부를 지지점으로 하여 외측으로 벌어졌다가 원래 상태로 오무려지는 상태로 회동되게 설치하고, 또한 상기 집게판들의 양측으로 확개되었다가 원래 상태로의 복귀작용은 상기 하부 지지판의 하부에서 지지틀을 건너지르는 상태로 위치하여 그 양단이 각각 지지틀에 결합된 난좌 집게판 가동실린더에 의하여 실행되고, 상기 집게판들과 지지틀이 일체로 설치된 하부지지판의 90°정역회전 작동을 위하여 하부지지판에는 정역 회전모터 혹은 실린더 가 일체로 장착되고 이 정역 회전모터는 다수개의 지지바들에 의하여 상부 지지판에 견실하게 고정되고, 또한 정역 회전모터의 상부로는 난좌로더 상,하강 실린더가 상부 지지판에 지지된 상태를 이루면서 상기 정역 회전모터측에 일체로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다른 실시예로 상기 난좌 로더 왕복구동부는, 상기 기체에 장착된 정역구동모우터와 이 정역 구동모우터로부터 전달되는 동력으로 회전되는 타이밍 벨트와 이 타이밍 벨트를 회전되게 지지하는 회전풀리들로 이루어져, 상기 타이밍 벨트의 어느 일면이 상기 난좌로더의 상부 지지판에 결합되어, 상기 타이밍 벨트로부터 상기 난좌 로더의 왕복 이동에 필요한 구동력이 부여되도록 하며, 상기 난좌로더의 안정적인 왕복 이동을 위하여 상부 지지판의 양단은 상기 기체의 상부에 평행하게 수평을 이루며 설치된 안내바들에 결합되어, 상기 안내바들을 따라 왕복 이동이 보다 안정적으로 실행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다른 실시예로 상기 난좌 적재 및 배출부는 상기 기체의 하부로부터 좌우 양측으로 대향 입설된 지지판들의 사이에 무단상으로 회전되게 지지된 난좌 배출 컨베이어와 이 난좌 배출 컨베이어의 일측에 장착되어 난좌 배출 컨베이어를 회전시키는 구동력을 부여하는 구동 모우터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또 다른 실시예로 상기 난좌 상,하강이동부는, 상기 난좌 배출 컨베이어 상,하강 구동수단과 안내수단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난좌 배출 컨베이어 상,하강 구동수단은 상기 난좌 배출 컨베이어의 하부 위치에 고정설치된 구동모우터와 그리고 상기 난좌 배출 컨베이어의 저부로부터 하방을 향하여 길게 연장된 상태를 이루어 상기 구동모우터에 상,하강 이동하게 결합된 가동바로 이루어져, 상기 구동모우터의 정역 회전에 따라 구동모우터에 이동되게 결합된 가동바의 상,하강 이동으로 난좌 적재 및 배출부의 전체가 상기 난좌로더를 향하여 상부로 이동하거나 혹은 하부로 이동하게 하고, 상기 안내수단은 상기 난좌 적재 및 배출부의 난좌 배출 컨베이어의 양측에 설치되어 지지판들의 길이 방향을 따라 수직으로 길게 설치된 지지바들 및 상기 지지판들에 고정설치되어 상기 지지바들을 상하로 이동되게 안내하는 안내부재들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난좌판의 지그재그 형태로의 적재와 그리고 적재된 난좌판들에 대한 다음 공정으로의 이동을 모두 한 곳에서 실행되게 하는 간결한 구성에 의하여, 제작 원가절감과 아울러 유지관리 비용이 적게 소요되는 효과를 부여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난좌 자동 적재기의 외부를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도1에서 일부를 제거하고 내부를 보이게 하여 표시한 사시도이고,
도 3은 도2의 반대쪽이 보이도록 표시한 사시도이고,
도 4는 도2의 상부 일부만을 확대 표시한 부분 확대 사시도이고,
도 5는 도4의 저부 방향에서 보아 표시한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1에서 난좌 로더만을 일부 분리하여 정면에서 보아 확대 표시한 부분 확대도이고,
도 7a,7b는 난좌 로더의 작동 상태를 보여주기 위하여 도 1을 정면에서 보아 각각 표시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에 따른 난좌 자동 적재기의 보다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 할수 있고 여러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써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므로 그 정의는 본 발명을 설명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만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난좌 자동 적재기의 외부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면 표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난좌 자동 적재기(100)의 구성을 대별(大別)하면, 난좌 로더(Loader)(110), 난좌로더 왕복구동부(120), 난좌 적재 및 배출부(130), 난좌 상,하강이동부(140), 및 제어부(150)로 이루어지며, 이들 각 부들은 바닥으로부터 수직으로 입설되게 소정 형태로 구성한 기체(機體)(102)에 모두 밀집되게 배치한 간결한 구조에 의해, 유지관리를 경제적으로 할수 있음은 물론 운반 이동을 편리하게 하고, 또한 좁은 공간에도 쉽게 설치하여 사용할 수 있는 공간 활용성을 높인 유리한 이점이 있다. 상기 난좌 로더(Loader)(110)를 포함한 각 부들에 대한 상세 구성 및 작용은 후술하는 도 2 내지 도5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2는 도1에서 일부를 제거하고 내부를 보이게 하여 표시한 사시도이고, 도 3은 도2의 반대쪽이 보이도록 표시한 사시도이며, 도 4는 도2의 상부 일부만을 확대 표시한 부분 확대 사시도이고, 도 5는 도4의 저부 방향에서 보아 표시한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1에서 난좌 로더만을 일부 분리하여 정면에서 보아 확대 표시한 부분 확대도이다.
<난좌로더(110)>
도면 표시와 같이, 기체(102)의 상측부위에 설치된 난좌 로더(Loader)(110)는, 후술하는 난좌로더 왕복구동부(120)에 의하여 왕복 작동되면서 미도시한 선별기로부터 계란이 담겨진 난좌(10)를 집게로 집는 상태로 이송하여 3판 혹은 5판의 높이로 지그재그 방향으로 엇갈리도록 자동 적재시키는 작용을 한다.
이러한 작용을 실행하는 난좌로더(110)는, 도2, 도4 및 도6의 표시와 같이, 상,하부로 대향 위치되는 상,하부지판(111,112)중, 상부 지지판(111)은 난좌로더 왕복구동부(120)에 결합되는 반면, 하부 지지판(112)으로는 계란이 담겨진(포장) 난좌(10)의 양측을 집을수 있도록 한 집게판들(116-1)의 지지틀(116-2)의 상단부분이 힌지부(114)를 지지점으로 하여 외측으로 벌어졌다가 원래 상태로 오무려지도록 회동되게 설치되고, 또한 집게판들(116-1)의 양측으로 확개되었다가 원래 상태로의 복귀작용은 상기 하부 지지판(112)의 하부에서 지지틀(116-2)을 건너지르는 상태로 위치하여 그 양단이 각각 지지틀(116-2)에 결합된 난좌 집게판 가동실린더(115)에 의하여 실행된다. 또한 집게판들(116-1)과 지지틀(116-2)이 일체로 설치된 하부지지판(112)의 90°정역회전 작동을 위하여 하부지지판(112)에는 정역 회전모터(113)(혹은 실린더)가 일체로 장착되고, 이 정역 회전모터(113)는 다수개의 지지바들(117)에 의하여 상부 지지판(111)에 견실하게 고정된 상태로 되어 있다.
또한 정역 회전모터(113)의 상부로는 난좌로더 상,하강 실린더(118)가 상부 지지판(111)에 지지된 상태를 이루면서 정역 회전모터(113)측에 일체로 결합되어, 상기한 난좌 로더(Loader)(110)의 전체를 상,하강 시키고 있다.
<난좌 로더 왕복구동부(120)>
도2, 도3 및 도4의 표시와 같이, 난좌로더 왕복구동부(120)는 기체(102)의 최 상부 위치 즉, 난좌 로더(Loader)(110)와 인접되는 직상방에 설치되어 난좌로더(110)를 계란선별기(미도시)로부터 계란이 포장된 난좌(10)를 집어서 적재 위치로 이동시키는 왕복 작동을 실행시키는 것으로, 이 난좌 로더 왕복구동부(120)는 기체(102)에 장착된 정역구동모우터(121)와 이 정역구동모우터(121)로부터 전달되는 동력으로 회전되는 타이밍 벨트(122)와, 이 타이밍 벨트(122)를 회전되게 지지하는 회전풀리들(123-1,123-2)로 이루어지고, 상기 타이밍 벨트(122)의 어느 일면이 상기 난좌로더110)의 상부 지지판(111)에 결합되어, 상기 타이밍 벨트(122)로부터 난좌 로더(Loader)(110)의 왕복 이동에 필요한 구동력을 부여하고 있는데, 이때 난좌로더(110)의 안정적인 왕복 이동을 위하여 상부 지지판(111)의 양단은 기체(102)의 상부에 평행하게 수평을 이루며 설치된 안내바들(124)에 결합되어, 안내바들(124)을 따라서 왕복 이동이 보다 안정적으로 실행되게 하였다.
<난좌 적재 및 배출부(130)>
도2, 도3 및 도5의 표시와 같이, 난좌 적재 및 배출부(130)는 기체(102)의 최하부에는 난좌로더(110)로부터 이송되는 계란이 포장된 난좌(10)를 소정 높이로 적재함과 아울러 다음공정으로 배출할 수 있는 작용을 하는 것으로, 기체(102)의 하부로부터 좌,우양측으로 대향 입설된 지지판들(105)의 사이에 무단상으로 회전되게 지지된 난좌 배출 컨베이어(131)와 이 난좌 배출 컨베이어(131)의 일측에 장착되어 난좌 배출 컨베이어(131)를 회전시키는 구동력을 부여하는 구동 모우터(132)로 이루어져, 계란이 담겨진 난좌(10)를 계란선별기(미도시)로부터 자동으로 한 판씩 이송하여 소정 높이(적어도 3판 혹은 5판)로 지그재그 방향으로 엇갈리도록 적재할수 있는 적재 공간을 제공함과 아울러 다단상으로 적재된 난좌(10)를 다음 공정으로 신속히 배출 시키는 작용을 한다.
<난좌 상,하강이동부(140)>
도2, 도3 및 도5의 표시와 같이, 난좌 상,하강이동부(140)는 계란이 담겨진 난좌(10)를 상기 난좌 적재 및 배출부(130)에 쉽게 적재할 수 있도록 하고자, 난좌 적재 및 배출부(130)전체를 상기 난좌로더(120)측으로 상부로 이동되게 하거나 혹은 하부로 이동시키는 작용을 하는 것으로, 이 난좌 상,하강이동부(140)는 난좌 배출 컨베이어 상,하강 구동수단(142)과 안내수단(144)으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난좌 배출 컨베이어 상,하강 구동수단(142)은 상기 난좌 배출 컨베이어(131)의 하부 위치에 고정설치된 구동모우터(142-1)와 그리고 난좌 배출 컨베이어(131)의 저부로부터 하방을 향하여 길게 연장된 상태를 이루어 상기 구동모우터(142-1)에 상,하강 이동하게 결합된 가동바(142-2)로 이루어져, 상기 구동모우터(142-1)의 정역 회전에 따라 구동모우터(142-1)에 이동되게 결합된 가동바(142-2)의 상,하강 이동으로 난좌 적재 및 배출부(130)의 전체가 상기 난좌로더(120)를 향하여 상부로 이동하거나 혹은 하부로 이동한다. 이러한 난좌 적재 및 배출부(130)의 안정적인 상하강 이동은 상기 안내수단(144)에 의하여 실행되는데, 이 안내수단(144)은 상기 난좌 적재 및 배출부(130)의 난좌 배출 컨베이어(131)의 양측에 설치되어 상기 지지판들(105)의 길이 방향을 따라 수직으로 길게 설치된 가동 지지바들(144-1) 및 상기 지지판들(105)에 고정 설치되어 상기 가동 지지바들(144-1)을 상,하방으로의 이동이 자유롭게 안내하는 안내홈들을 제공하는 안내부재들(144-2)로 이루어져 있다.
<제어부(150)>
도 2내지 도5의 표시와 같이, 상기 제어부(150)는 기체(102)의 최상부에 설치되어, 제어부(150)에 기 프로그래밍된 제어프로그램에 의해 상기 난좌 로더(Loader)(110), 난좌로더 왕복구동부(120), 난좌 적재 및 배출부(130), 및 난좌 상,하강이동부(140)에 대하여 순차적으로 구동되게 제어하는 제어신호를 출력하게 되는데, 이때의 제어 신호들은 상기 기체(102)에 배치된 케이블(152,153)을 통하여 보내거나 받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150)에 설치된 제어프로그램은 다양하게 변형실시 될 수 있는 것이어서 본 실시예에서는 어느 하나만을 특정하여 설명하는 것은 생략한다.
도 7a,7b는 난좌 로더의 작동 상태를 보여주기 위하여 도 1을 정면에서 보아 각각 표시한 도면이다. 이 도면과 같이 상기 도 1내지 도6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작용 과정을 설명한다.
도 7a는 기체(102)의 상부측에 위치한 난좌 로더(110)가 계란이 담겨진 난좌(10)한판씩을 이송하여 난좌 적재 및 배출부(130)에 내려놓으면서 계란이 담겨진 난좌(10)가 소정 높이(적어도 3판 혹은 5판)로 적재된 상태를 나타낸 것인데, 이러한 일련의 상세한 동작은 아래와 같다.
첫번째 적재 동작은 이전 공정에서 계란이 포장된 난좌(10)가 출고되는 경우 이때의 출고 시그널이 제어부(150)로 신속히 전송되고, 출고 시그널을 받게 되는 제어부(150)는 기 설정된 프로그램에 따라 난좌 집게판 가동실린더(115)를 신장되게 제어하여, 도 7a 표시의 난좌 로더(110)의 집게판들(116-1)을 도 7b의 표시와 같이, 지지틀(116-2)의 힌지부(114)를 지지점으로 하여 열림상태를 이루게 함과 아울러 제어부(150)에 기 설정된 제어프로그램에 따라 순차적으로 난좌로더 상,하강 실린더(118) 및 난좌로더 왕복구동부(120)를 작동되게 제어한다.
상기 난좌로더 상,하강 실린더(118)를 수축되게 작동하면, 도면2의 표시와 같이, 난좌 로더(Loader)(110)의 전체가 상승 이동된다. 또한 난좌로더 왕복구동부(120)의 작동 제어는 정역 구동모우터(121)와 이 정역 구동모우터(121)로부터 전달되는 동력으로 타이밍 벨트(122) 및 회전풀리들(123-1,123-2)을 회전되게 하여(도2참조), 상기 타이밍 벨트(122)로 하여금 상부 지지판(111)를 이동되게 함으로써, 상부 지지판(111)에 결합된 난좌로더(110)가 안내바들(124)을 따라서 출고된 난좌가 있는 위치(도면1,2에서 보아 좌측 위치)로 신속히 이동되게 한다.
상기 난좌로더(110)가 출고된 계란이 담겨진 난좌(10) 위치에 도달하게 되면, 제어부(150)의 지령에 의한 난좌로더 상,하강 실린더(118)의 하강 작동 지령으로 상승 이동상태로 있던 난좌로더(110)는 계란이 담겨진 난좌(10)를 향해 하강 작동을 개시하여 계란이 담겨진 난좌(10)와 인접되게 하고, 이어서 그동안 신장상태로 있던 난좌 집게판 가동실린더(115)는 수축되게 제어한다.
난좌 집게판 가동실린더(115)의 수축 작동은 도 7a 표시와 같이, 난좌 로더(110)의 집게판들(116-1)이 지지틀(116-2)의 힌지부(114)를 지지점으로 하여 닫힘 상태를 이루게 하여 계란이 담겨진 난좌(10)의 양측을 집게판들(116-1)이 견실하게 잡는 상태를 이루게 한다.
상기 난좌 로더(110)의 집게판들(116-1)이 계란이 담겨진 난좌(10)를 견실하게 잡아서 지지하였다는 것을 제어부(150)가 확인하게 되는 경우(집게판들(116-1)이 계란이 담겨진 난좌(10)를 견실하게 지지하였다는 확인은 집게판(116-1)에 설치된 센서 등을 통하여 확인할수 있다.). 상기 난좌로더(110)는 제어부(150)의 제어 신호를 받게 되는 난좌로더 상,하강 실린더(118)의 상승 작동과 아울러 난좌로더 왕복구동부(120)의 작동에 의하여, 도2, 도3 및 도5의 표시와 같이, 난좌 적재 및 배출부(130)와 대면하는 상부로 이동한 다음, 상기 난좌로더 상,하강 실린더(118)의 하강 작동 지령으로 상승 이동상태로 있던 난좌로더(110)는 난좌 적재 및 배출부(130)로 하강하여 계란이 담겨진 난좌(10)를 내려놓음과 아울러 수축 상태로 있던 난좌 집게판 가동실린더(115)을 다시 신장 작동되게 하여 도 7b의 표시와 같이, 난좌 로더(110)의 난좌 집게판들(116-1)이 지지틀(116-2)의 힌지부(114)를 지지점으로 하여 난좌(10)로부터 열림 상태를 유지하면서 다음의 난좌(10)에 대한 출고 신호를 대기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난좌 이송에 이어서, 계란들이 담겨진 난좌(10)에 대한 출고신호에 의한 제어부(150)의 지령으로 상기 난좌로더(110)가 상기와 같은 작용으로 계란이 담겨진 난좌판(10)을 난좌 적재 및 배출부(130)의 기 적재된 난좌판 위치까지 이동하게 한 경우, 난좌로더(110)의 소정위치에 설치한 감지센서(미도시)로부터의 난좌 적재 및 배출부(130)에 기 적재된 난좌(10)의 존재 여부 감지신호가 제어부(150)에 입력됨에 따라 제어부(150)는 난좌로더(110)의 정역 회전모터(113)를 90°회전되게 제어한 상태에서 난좌로더(110)로부터 이송된 난좌(10)를 기 적재된 난좌(10)위에 내려놓게 함과 아울러 상기와 같이 난좌 집게판들(116-1)이 이송된 난좌(10)로부터 열림 상태를 유지하면서 다음의 난좌(10)에 대한 출고 신호를 대기하게 된다.
또한 상기에서 난좌로더(110)로부터 이송된 계란이 담겨진 난좌(10)가 난좌 적재 및 배출부(130)에 한판, 한판씩 적재될 때 마다, 제어부(150)는 난좌 배출 컨베이어 상,하강 구동수단(142)의 제어 즉, 구동모우터(142-1)의 회전에 따라 이 구동모우터(142-1)에 이동되게 결합된 가동바(142-2)의 하강 이동으로 인한 난좌 적재 및 배출부(130)의 전체가 안내수단(144)의 가동 지지바들(144-1)이 안내부재들(144-2)을 따라서 하강 이동하게 함으로써, 상기 난좌 적재 및 배출부(130)의 난좌 배출 컨베이어(131)상에 계란이 담겨진 난좌(10)가 도 7a 및 도 7b의 표시와 같이, 지그 재그 순서로 3판 혹은 5판씩 적재되게 할 수가 있다. 본 실시에에서는 난좌가 5판 적재하는 것을 일예로 들어 표시하였다.
상기 난좌 배출 컨베이어(131)상에 계란이 담겨진 난좌(10)가 도 7a 및 도 7b의 표시와 같이 3판 혹은 5판씩 적재 완료됨이 확인되면, 상기 난좌 배출 컨베이어(131)의 구동 모우터(132)를 회전 구동되게 제어함으로써 난좌 배출 컨베이어(131)상에 소정 높이로 적재된 계란이 담겨진 난좌(10)를 다음 공정으로 배출할수 있게 한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위하여 단계적으로 설명하였으나, 실제로는 계란이 담겨진 난좌(10)가 공급되는 한 연속하여 실시됨을 도면을 포함한 상기 실시예들로부터 쉽게 이해 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계란이 포장된 난좌를 자동으로 적재하는 데 사용할 수 있는 유용성이 있다.
10 : 계란이 담겨진 난좌판
100 : 난좌 자동 적재기
110 : 난좌 로더(Loader)
120 : 난좌로더 왕복구동부
130 : 난좌 적재 및 배출부
140 : 난좌 상,하강이동부
150 : 제어부

Claims (5)

  1. 바닥부에 이동이 편리하게 위치되는 기체(機體);
    상기 기체의 상측부위에서 상하 방향이동, 어느 양방향 이동 및 90°회전이동 이동할 수 있게 설치되어 계란이 담겨진 난좌판들을 한판씩 이동시켜 적재할수 있게 하는 난좌 로더(Loader);
    상기 난좌 로더와 같이 상기 기체의 상부에 설치되어 상기 난좌 로더를 어느 양측 방향으로 왕복이동 시킴에 필요한 구동력을 부여하는 난좌로더 왕복구동부;
    상기 기체에서 상기 난좌로더의 직하방에 설치되어 상기 난좌 로더에 의하여 이송되는 계란이 담겨진 난좌를 지그 재그 순서로 소정높이로 적재할 수 있게 함과 아울러 적재 완료시에는 다음 공정으로 배출할수 있게 구동하는 난좌 적재 및 배출부;
    상기 기체의 최하부인 상기 난좌 적재 및 배출부의 하방에 설치되어 상기 상기 난좌 적재 및 배출부를 상기 난좌로더와 근접하게 상승 이동시키거나 혹은 이격위치로 하강 이동시키기 위한 구동력을 부여하는 난좌 상,하강이동부;및
    상기 기체의 최상부 위치에 배치되어 기 프로그래밍 된 제어프로그램에 의해 상기 난좌 로더(Loader), 난좌로더 왕복구동부, 난좌 적재 및 배출부(130), 및 난좌 상,하강이동부를 순차적으로 구동되게 제어하는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난좌 자동 적재기.
  2. 청구항1에 있어서,
    상기 난좌로더는, 상,하부로 대향 위치되는 상,하부지판을 구비하되, 상부 지지판은 상기 난좌로더 왕복구동부에 결합하는 반면, 상기 하부 지지판으로는 계란이 담겨진 난좌의 양측을 집을수 있도록 한 집게판들의 지지틀의 상단부분이 힌지부를 지지점으로 하여 외측으로 벌어졌다가 원래 상태로 오무려지는 상태로 회동되게 설치하고, 또한 상기 집게판들의 양측으로 확개되었다가 원래 상태로의 복귀작용은 상기 하부 지지판의 하부에서 지지틀을 건너지르는 상태로 위치하여 그 양단이 각각 지지틀에 결합된 난좌 집게판 가동실린더에 의하여 실행되고, 상기 집게판들과 지지틀이 일체로 설치된 하부지지판의 90°정역회전 작동을 위하여 하부지지판에는 정역 회전모터 혹은 실린더 가 일체로 장착되고 이 정역 회전모터는 다수개의 지지바들에 의하여 상부 지지판에 견실하게 고정되고, 또한 정역 회전모터의 상부로는 난좌로더 상,하강 실린더가 상부 지지판에 지지된 상태를 이루면서 상기 정역 회전모터측에 일체로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좌 자동 적재기.
  3. 청구항1에 있어서,
    상기 난좌 로더 왕복구동부는, 상기 기체에 장착된 정역구동모우터와 이 정역 구동모우터로부터 전달되는 동력으로 회전되는 타이밍 벨트와 이 타이밍 벨트를 회전되게 지지하는 회전풀리들로 이루어져, 상기 타이밍 벨트의 어느 일면이 상기 난좌로더의 상부 지지판에 결합되어, 상기 타이밍 벨트로부터 상기 난좌 로더의 왕복 이동에 필요한 구동력이 부여되도록 하며, 상기 난좌로더의 안정적인 왕복 이동을 위하여 상부 지지판의 양단은 상기 기체의 상부에 평행하게 수평을 이루며 설치된 안내바들에 결합되어, 상기 안내바들을 따라 왕복 이동이 보다 안정적으로 실행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좌 자동 적재기.
  4. 청구항1에 있어서,
    상기 난좌 적재 및 배출부는 상기 기체의 하부로부터 좌우 양측으로 대향 입설된 지지판들의 사이에 무단상으로 회전되게 지지된 난좌 배출 컨베이어와 이 난좌 배출 컨베이어의 일측에 장착되어 난좌 배출 컨베이어를 회전시키는 구동력을 부여하는 구동 모우터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하는 난좌 자동 적재기.
  5. 청구항1에 있어서,
    상기 난좌 상,하강이동부는, 상기 난좌 배출 컨베이어 상,하강 구동수단과 안내수단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난좌 배출 컨베이어 상,하강 구동수단은 상기 난좌 배출 컨베이어의 하부 위치에 고정설치된 구동모우터와 그리고 상기 난좌 배출 컨베이어의 저부로부터 하방을 향하여 길게 연장된 상태를 이루어 상기 구동모우터에 상,하강 이동하게 결합된 가동바로 이루어져, 상기 구동모우터의 정역 회전에 따라 구동모우터에 이동되게 결합된 가동바의 상,하강 이동으로 난좌 적재 및 배출부의 전체가 상기 난좌로더를 향하여 상부로 이동하거나 혹은 하부로 이동하게 하고,
    상기 안내수단은 상기 난좌 적재 및 배출부의 난좌 배출 컨베이어의 양측에 설치되어 지지판들의 길이 방향을 따라 수직으로 길게 설치된 지지바들 및 상기 지지판들에 고정설치되어 상기 지지바들을 상하로 이동되게 안내하는 안내부재들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난좌 자동 적재기.

KR1020170019812A 2017-02-14 2017-02-14 난좌 자동 적재기 KR10193015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19812A KR101930154B1 (ko) 2017-02-14 2017-02-14 난좌 자동 적재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19812A KR101930154B1 (ko) 2017-02-14 2017-02-14 난좌 자동 적재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93551A true KR20180093551A (ko) 2018-08-22
KR101930154B1 KR101930154B1 (ko) 2018-12-18

Family

ID=634528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19812A KR101930154B1 (ko) 2017-02-14 2017-02-14 난좌 자동 적재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30154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332785A (zh) * 2020-03-05 2020-06-26 江苏仁康蛋业有限公司 上蛋系统
KR20230053022A (ko) * 2021-10-13 2023-04-21 에스엘 주식회사 완제품 자동 이송 설비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08165U (ko) 2008-02-11 2009-08-14 김장권 계란이 안치된 난좌의 이송 및 적재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08165U (ko) 2008-02-11 2009-08-14 김장권 계란이 안치된 난좌의 이송 및 적재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332785A (zh) * 2020-03-05 2020-06-26 江苏仁康蛋业有限公司 上蛋系统
KR20230053022A (ko) * 2021-10-13 2023-04-21 에스엘 주식회사 완제품 자동 이송 설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30154B1 (ko) 2018-12-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RE35066E (en) Load former-palletizer
CN105668250B (zh) 一种箱体叠放系统及叠放方法
US7798763B2 (en) Conveyor system apparatus for stacking arrayed layers of objects
CN112193849A (zh) 一种全自动开装封箱码垛一体机
CN110790180B (zh) 一种托盘升降机构
KR20180093551A (ko) 난좌 자동 적재기
CN104986374B (zh) 一种水果自动装箱机及水果装箱方法
US3035716A (en) Bale stacker
CN215098635U (zh) 一种拆垛分盒对接送料装置
CN212173836U (zh) 一种码垛机的整理机构
CN205708740U (zh) 一种用于板材生产线上的数控集料接料装置
US6402456B1 (en) Lifting device for lifting and/or lowering an ordered stack of articles
JP3340843B2 (ja) 折畳みコンテナの移載組立方法及び装置
CN110386466B (zh) 一种酒瓶卸垛装置
CN113983778B (zh) 全自动平躺式烘烤线
CN219619482U (zh) 一种快速型大板包装机
CN213864422U (zh) 一种全自动开装封箱码垛一体机
JP2019135191A (ja) 果菜自動箱詰め排出方法、果菜収容箱自動積み重ね排出方法、果菜自動箱詰め排出装置、果菜収容箱自動積み重ね排出装置
CN220077797U (zh) 一种装车分类堆放装置
CN220948709U (en) High-efficient big board packagine machine
KR102529211B1 (ko) 시공마루 자동적재 이송장치
CN220392619U (zh) 石膏基自流平码垛装置
CN113998362B (zh) 一种根据大小归类的仓储物流多层分拣系统
CN105731053A (zh) 一种用于板材生产线上的数控集料接料系统
CN113682725B (zh) 一种用于饲料生产的可移动码垛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