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91065A - 날개 인발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날개 인발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91065A
KR20180091065A KR1020187019360A KR20187019360A KR20180091065A KR 20180091065 A KR20180091065 A KR 20180091065A KR 1020187019360 A KR1020187019360 A KR 1020187019360A KR 20187019360 A KR20187019360 A KR 20187019360A KR 20180091065 A KR20180091065 A KR 2018009106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ng
pulling
turning
ring
tra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70193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38240B1 (ko
Inventor
료타 차키
다다카즈 사카구치
Original Assignee
미츠비시 히타치 파워 시스템즈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츠비시 히타치 파워 시스템즈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미츠비시 히타치 파워 시스템즈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800910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9106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382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3824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DNON-POSITIVE DISPLACEMENT MACHINES OR ENGINES, e.g. STEAM TURBINES
    • F01D25/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other group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DNON-POSITIVE DISPLACEMENT MACHINES OR ENGINES, e.g. STEAM TURBINES
    • F01D5/00Blades; Blade-carrying members; Heating, heat-insulating, cooling or antivibration means on the blades or the members
    • F01D5/005Repairing methods or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P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PERATIONS; UNIVERSAL MACHINE TOOLS
    • B23P19/00Machines for simply fitting together or separating metal parts or objects, or metal and non-metal parts, whether or not involving some deformation; Tools or devices therefor so far as not provided for in other classes
    • B23P19/04Machines for simply fitting together or separating metal parts or objects, or metal and non-metal parts, whether or not involving some deformation; Tools or devices therefor so far as not provided for in other classes for assembling or disassembling par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DNON-POSITIVE DISPLACEMENT MACHINES OR ENGINES, e.g. STEAM TURBINES
    • F01D25/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other groups
    • F01D25/24Casings; Casing parts, e.g. diaphragms, casing fastenings
    • F01D25/246Fastening of diaphragms or stator-r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DNON-POSITIVE DISPLACEMENT MACHINES OR ENGINES, e.g. STEAM TURBINES
    • F01D25/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other groups
    • F01D25/28Supporting or mounting arrangements, e.g. for turbine casing
    • F01D25/285Temporary support structures, e.g. for testing, assembling, installing, repairing; Assembly methods using such structur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DNON-POSITIVE DISPLACEMENT MACHINES OR ENGINES, e.g. STEAM TURBINES
    • F01D9/00Stators
    • F01D9/02Nozzles; Nozzle boxes; Stator blades; Guide conduits, e.g. individual nozzles
    • F01D9/04Nozzles; Nozzle boxes; Stator blades; Guide conduits, e.g. individual nozzles forming ring or sect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CGAS-TURBINE PLANTS; AIR INTAKES FOR JET-PROPULSION PLANTS; CONTROLLING FUEL SUPPLY IN AIR-BREATHING JET-PROPULSION PLANTS
    • F02C7/00Features, components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orm groups F02C1/00 - F02C6/00; Air intakes for jet-propulsion pla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9/00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 F04D29/40Casings; Connections of working fluid
    • F04D29/52Casings; Connections of working fluid for axial pump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9/00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 F04D29/60Mounting; Assembling; Disassembling
    • F04D29/64Mounting; Assembling; Disassembling of axial pump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DNON-POSITIVE DISPLACEMENT MACHINES OR ENGINES, e.g. STEAM TURBINES
    • F01D5/00Blades; Blade-carrying members; Heating, heat-insulating, cooling or antivibration means on the blades or the members
    • F01D5/30Fixing blades to rotors; Blade roots ; Blade spacers
    • F01D5/3023Fixing blades to rotors; Blade roots ; Blade spacers of radial insertion type, e.g. in individual recesses
    • F01D5/303Fixing blades to rotors; Blade roots ; Blade spacers of radial insertion type, e.g. in individual recesses in a circumferential slo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DNON-POSITIVE DISPLACEMENT MACHINES OR ENGINES, e.g. STEAM TURBINES
    • F01D5/00Blades; Blade-carrying members; Heating, heat-insulating, cooling or antivibration means on the blades or the members
    • F01D5/30Fixing blades to rotors; Blade roots ; Blade spacers
    • F01D5/3023Fixing blades to rotors; Blade roots ; Blade spacers of radial insertion type, e.g. in individual recesses
    • F01D5/303Fixing blades to rotors; Blade roots ; Blade spacers of radial insertion type, e.g. in individual recesses in a circumferential slot
    • F01D5/3038Fixing blades to rotors; Blade roots ; Blade spacers of radial insertion type, e.g. in individual recesses in a circumferential slot the slot having inwardly directed abutment faces on both sid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DNON-POSITIVE DISPLACEMENT MACHINES OR ENGINES, e.g. STEAM TURBINES
    • F01D5/00Blades; Blade-carrying members; Heating, heat-insulating, cooling or antivibration means on the blades or the members
    • F01D5/30Fixing blades to rotors; Blade roots ; Blade spacers
    • F01D5/3023Fixing blades to rotors; Blade roots ; Blade spacers of radial insertion type, e.g. in individual recesses
    • F01D5/3046Fixing blades to rotors; Blade roots ; Blade spacers of radial insertion type, e.g. in individual recesses the rotor having ribs around the circumferenc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DNON-POSITIVE DISPLACEMENT MACHINES OR ENGINES, e.g. STEAM TURBINES
    • F01D9/00Stators
    • F01D9/02Nozzles; Nozzle boxes; Stator blades; Guide conduits, e.g. individual nozzles
    • F01D9/04Nozzles; Nozzle boxes; Stator blades; Guide conduits, e.g. individual nozzles forming ring or sector
    • F01D9/042Nozzles; Nozzle boxes; Stator blades; Guide conduits, e.g. individual nozzles forming ring or sector fixing blades to sta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5INDEXING SCHEMES RELATING TO ENGINES OR PUMPS IN VARIOUS SUBCLASSES OF CLASSES F01-F04
    • F05DINDEXING SCHEME FOR ASPECTS RELATING TO NON-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OR ENGINES, GAS-TURBINES OR JET-PROPULSION PLANTS
    • F05D2220/00Application
    • F05D2220/30Application in turbin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5INDEXING SCHEMES RELATING TO ENGINES OR PUMPS IN VARIOUS SUBCLASSES OF CLASSES F01-F04
    • F05DINDEXING SCHEME FOR ASPECTS RELATING TO NON-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OR ENGINES, GAS-TURBINES OR JET-PROPULSION PLANTS
    • F05D2230/00Manufacture
    • F05D2230/70Disassembly metho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5INDEXING SCHEMES RELATING TO ENGINES OR PUMPS IN VARIOUS SUBCLASSES OF CLASSES F01-F04
    • F05DINDEXING SCHEME FOR ASPECTS RELATING TO NON-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OR ENGINES, GAS-TURBINES OR JET-PROPULSION PLANTS
    • F05D2240/00Components
    • F05D2240/10Stators
    • F05D2240/12Fluid guiding means, e.g. van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Structures Of Non-Positive Displacement Pumps (AREA)
  • Cleaning In General (AREA)
  • Wind Motors (AREA)
  • Lift-Guide Devices, And Elevator Ropes And Cables (AREA)
  • Harvesting Machines For Root Crops (AREA)

Abstract

익환의 내주측에 있어서 상기 익환의 둘레방향으로 연장되는 홈에 결합된 날개를 상기 홈을 따라서 상기 둘레방향으로 인발하기 위한 날개 인발 장치는, 상기 날개를 견인하기 위한 견인부와, 상기 견인부와 상기 날개를 접속하는 끈형상 부재와, 상기 끈형상 부재 중 상기 견인부와 상기 날개의 사이의 부위에 접촉하도록 상기 익환에 장착되며, 상기 끈형상 부재를 거쳐서 전달되는 견인력의 방향을 전향시키기 위한 제 1 전향부를 구비한다.

Description

날개 인발 장치 및 방법
본 개시는, 정익을 익환(翼環)으로부터 인발하기 위한 날개 인발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부터, 익환에 장착된 날개를 익환의 둘레방향으로 이동시키고, 익환으로부터 날개를 인발하기 위한 날개 인발 장치가 알려져 있다.
예를 들면, 특허문헌 1에는, 익환의 외주부에 고정되는 지그 본체와, 정익 블록에 장착되는 클로부와, 클로부와 지그 본체에 연결된 선재(線材)와, 선재를 지그 본체측으로 끌어당기는 권취기를 구비하는 날개 인발 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특허문헌 1의 날개 인발 장치의 클로부는, 정익 블록과 차열환의 간극에 삽입되는 클로를 갖고 있으며, 클로부가 정익 블록에 고정되는 것에 의해 정익 블록에 클로부가 고정되도록 되어 있다.
또한, 특허문헌 2에는, 익환에 가이드 레일을 장착하고, 가이드 레일 또는 익환에 가동 브래킷을 장착하는 동시에, 가동 브래킷을 유압 실린더에 의해 슬라이드 할 수 있게 구성한 날개 인발 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일본 특허 공개 제 2002-371805 호 공보 일본 특허 공개 제 2002-257966 호 공보
그렇지만, 특허문헌 1에 기재된 날개 인발 장치에서는, 권취기로부터의 견인력의 방향이 익환의 둘레방향을 따르고 있지 않은 경우에, 익환으로부터의 날개의 인발을 부드럽게 실행하는 것이 어렵다. 이 때문에, 인발 대상인 날개의 이동을 따라서, 견인부로서의 권취기의 위치를 이동시킬 필요가 있다.
또한, 특허문헌 2에 기재된 날개 인발 장치에 있어서도, 유압 실린더에 의한 견인력의 방향(유압 실린더의 실린더 축방향)이 익환의 둘레방향을 따르고 있지 않은 경우, 익환으로부터의 날개의 인발을 부드럽게 실행하는 것이 어렵다. 이 때문에, 인발 대상인 날개의 이동에 따라서, 견인부로서의 유압 실린더의 고정 위치를 이동시킬 필요가 있다.
상술의 사정을 감안하여, 본 발명의 적어도 몇 가지의 실시형태는, 날개 인발 장치의 견인부의 인발 대상 날개에 대한 위치 관계가 변화하여도 부드럽게 날개의 인발을 실행할 수 있는 날개 인발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1) 본 발명의 적어도 몇 가지 실시형태에 따른 날개 인발 장치는,
익환의 내주측에 있어서 상기 익환의 둘레방향으로 연장되는 홈에 결합된 날개를 상기 홈을 따라서 상기 둘레방향으로 인발하기 위한 날개 인발 장치로서,
상기 날개를 견인하기 위한 견인부와,
상기 견인부와 상기 날개를 접속하는 끈형상 부재와,
상기 끈형상 부재 중 상기 견인부와 상기 날개의 사이의 부위에 접촉하도록 상기 익환에 장착되며, 상기 끈형상 부재를 거쳐서 전달되는 견인력의 방향을 전향시키기 위한 제 1 전향부를
구비한다.
상기 (1)의 구성에 의하면, 견인부에 의한 견인력의 방향을 제 1 전향부에 의해 전향시킨 후에 날개에 전달되도록 했으므로, 인발 대상 날개에 대하여 적절한 위치에 제 1 전향부를 설치만 해두면, 견인부의 인발 대상 날개에 대한 위치 관계가 변화하여도 부드럽게 날개의 인발을 실행할 수 있다. 즉, 인발 대상 날개와 제 1 전향부를 연결하는 직선이 익환의 둘레방향을 따르도록 한 위치에 제 1 전향부를 설치하면, 제 1 전향부를 거쳐서 인발 대상 날개에 전달되는 견인력의 방향이 익환의 둘레방향을 따르게 되어, 날개의 인발을 부드럽게 실행할 수 있다.
(2) 몇 가지 실시형태에서는, 상기 (1)의 구성에 있어서,
상기 제 1 전향부는, 상기 끈형상 부재를 거쳐서 상기 날개에 전달되는 상기 견인력의 방향을, 상기 견인부와 상기 제 1 전향부의 사이의 상기 끈형상 부재를 따른 제 1 견인방향으로부터, 상기 제 1 전향부와 상기 날개의 사이의 상기 끈형상 부재를 따른 제 2 견인방향으로 전향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제 2 견인방향은, 상기 제 1 견인방향보다 상기 익환의 접선방향에 가깝다.
상기 (2)의 구성에 의하면, 날개에 직접 작용하는 인장력을, 접선방향에 가깝게 하거나, 또는, 접선방향에 일치시킬 수 있기 때문에, 날개의 인발을 보다 부드럽게 실행할 수 있다. 즉, 상기 (1)의 구성의 날개 인발 장치를 이용하는 경우, 날개는, 익환의 둘레방향으로 연장되는 홈을 따라서 둘레방향으로 인발된다. 그래서, 상기 (2)의 구성에서는, 제 1 전향부와 날개의 사이의 끈형상 부재를 따른 제 2 견인방향을 제 1 견인방향보다 익환의 접선방향에 가까운 방향으로 하고 있다. 이 때문에, 날개에 직접 작용하는 인장력의 방향을, 날개의 인발방향에 가깝게 하거나, 또는, 날개의 인발방향에 일치시킬 수 있다. 따라서, 견인부에 의한 견인력이 날개의 인발에 유효하게 이용되며, 또한 날개의 인발방향 이외로의 힘 성분이 작아지므로, 날개의 인발을 보다 부드럽게 실행할 수 있다.
(3) 몇 가지 실시형태에서는, 상기 (1) 또는 (2)의 구성에 있어서,
상기 제 1 전향부는, 상기 익환 또는 상기 익환에 장착되는 차열환에 상기 둘레방향을 따라서 형성된 홈에 결합되며, 상기 둘레방향을 따라서 이동할 수 있게 구성되어 있다.
상기 (3)의 구성에 의하면, 제 1 전향부가, 익환 또는 차열환의 홈에 결합된 상태에서 익환의 둘레방향을 따라서 이동할 수 있게 구성되어 있으므로, 제 1 전향부를 용이하게 이동시킬 수 있다. 따라서, 제 1 전향부의 이동 시에, 예를 들면 용접 등에 의해 제 1 전향부를 매회 착탈하는 경우에 비하여, 인발 작업의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예를 들면, 익환의 이동에 따라서, 상기 (2)의 구성에 기재한 바와 같이 제 2 견인방향이 제 1 견인방향보다 익환의 접선방향에 가까워지도록 한 위치로, 제 1 전향부를 용이하게 이동할 수 있게 된다.
(4) 몇 가지의 실시형태에서는, 상기 (1) 내지 (3) 중 어느 하나의 구성에 있어서,
상기 제 1 전향부는, 상기 익환의 축방향에 있어서 상기 날개가 차지하는 범위 내에 상기 끈형상 부재가 위치하도록, 상기 익환의 내주측에 장착된다.
상기 (4)의 구성에 의하면, 제 1 전향부가 익환의 내주측에 장착되는 것에 의해, 익환의 축방향에 있어서 제 1 전향부를 날개와 거의 동일한 위치에 설치할 수 있다. 그 때문에, 제 1 전향부가 익환의 측벽면에 장착되는 경우에 비하여, 날개와 제 1 전향부를 연결하는 직선의 방향(날개의 견인방향)을 익환의 둘레방향(날개의 이동방향)을 따르게 할 수 있어서, 날개를 보다 한층 부드럽게 인발할 수 있다.
(5) 몇 가지의 실시형태에서는, 상기 (1) 내지 (4) 중 어느 하나의 구성에 있어서,
상기 제 1 전향부는, 상기 끈형상 부재에 접촉하는 동시에 회전할 수 있게 구성된 활차(滑車)이다.
상기 (5)의 구성에 의하면, 날개의 인발시, 끈형상 부재와 제 1 전향부의 마찰을 저감할 수 있어서, 날개 인발 장치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6) 몇 가지 실시형태에서는, 상기 (1) 내지 (5) 중 어느 하나의 구성에 있어서,
원호형상으로 분할된 상태의 상기 익환의 양단부에 걸쳐 놓아지도록 상기 익환에 장착되며, 상기 견인부를 지지하기 위한 프레임을 추가로 구비한다.
상기 (6)의 구성에 의하면, 분할된 익환에 장착된 프레임에 견인부를 지지시키는 것에 의해, 견인부에 작용하는 반력(날개의 인장력에 대한 반력)을 프레임에서 받을 수 있다. 이에 의해, 익환을 강고하게 기대 등에 고정하지 않아도, 익환에 작용하는 하중 밸런스를 확보하면서 날개의 인발 작업을 실행할 수 있게 된다.
(7) 몇 가지 실시형태에서는, 상기 (6)의 구성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은,
상기 익환의 양단부에 각각 접속되는 한쌍의 지주부와,
상기 한쌍의 지주부에 걸쳐 놓아지도록 마련되며, 상기 견인부를 지지하는 지지봉을 포함한다.
상기 (7)의 구성에 의하면, 지지봉에 지지되는 견인부를, 한쌍의 지주부에 의해, 익환 단부로부터 이격시킬 수 있기 때문에, 날개가 익환의 단부에 가까운 위치에 도달한 경우에도, 날개를 부드럽게 인발할 수 있다.
(8) 몇 가지 실시형태에서는, 상기 (7)의 구성에 있어서,
상기 견인부는, 상기 지지봉을 따라서 슬라이드 할 수 있게 구성되어 있다.
상기 (8)의 구성에 의하면, 제 1 전향부의 위치에 따라서 견인부를 슬라이드 이동시키면, 프레임에 과대한 하중이 걸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9) 몇 가지 실시형태에서는, 상기 (8)의 구성에 있어서,
상기 견인부는, 상기 견인부와 상기 제 1 전향부의 사이의 상기 끈형상 부재를 따른 제 1 견인방향이 상기 지주부를 따르도록 한 위치에 설치된다.
상기 (9)의 구성에 의하면, 견인부로부터 지주부에 작용하는 힘이 지주부의 축방향을 따르기 때문에, 지주부에 과대한 하중이 걸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10) 몇 가지 실시형태에서는, 상기 (6) 내지 (9) 중 어느 하나의 구성에 있어서,
상기 날개 인발 장치는, 상기 끈형상 부재 중 상기 견인부와 상기 제 1 전향부의 사이의 부위에 접촉하도록 상기 프레임에 장착되며, 상기 끈형상 부재를 거쳐서 전달되는 상기 견인력의 방향을 전향시키기 위한 제 2 전향부를 추가로 구비한다.
상기 (10)의 구성에 의하면, 제 2 전향부를 프레임에 장착하는 것에 의해 견인부의 배향의 자유도가 향상되어서, 제 2 전향부가 없는 경우에 비하여 견인부의 설치에 필요한 공간을 삭감할 수 있게 되고, 프레임을 컴팩트화 할 수 있다.
(11) 몇 가지 실시형태에서는, 상기 (1) 내지 (10) 중 어느 하나의 구성에 있어서,
상기 날개 인발 장치는, 상기 끈형상 부재 중 상기 견인부와 상기 제 1 전향부의 사이의 부위에 접촉하도록 상기 둘레방향에 있어서의 상기 익환의 한쪽의 단부에 장착되며, 상기 끈형상 부재를 거쳐서 전달되는 상기 견인력의 방향을 전향시키기 위한 제 3 전향부를 추가로 구비한다.
상기 (11)의 구성에 의하면, 익환의 둘레방향 단부에 장착한 제 3 전향부를 견인부와 제 1 전향부의 사이의 끈형상 부재의 부분에 접촉시키는 것에 의해, 날개의 위치에 관계없이, 끈형상 부재 중 제 3 전향부보다 날개측의 부위에 전달하는 견인력의 방향을 적절한 범위 내로 유지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익환을 따른 날개의 이동에 맞추어 견인부를 이동시킬 필요가 없어져, 날개 인발 작업을 효율적으로 실행할 수 있다.
(12) 본 발명 중 적어도 몇 가지 실시형태에 따른 날개 인발 방법은,
익환의 내주측에 있어서, 상기 익환의 둘레방향으로 연장되는 홈에 결합된 날개를 상기 홈을 따라서 상기 둘레방향으로 인발하는 날개 인발 방법으로서,
상기 날개와 해당 날개를 견인하기 위한 견인부를 끈형상 부재로 접속하는 끈형상 부재 접속 단계와,
상기 끈형상 부재를 거쳐서 전달되는 견인력의 방향을 전향시키기 위한 제 1 전향부를, 상기 끈형상 부재 중 상기 견인부와 상기 날개의 사이의 부위에 접촉하도록 상기 익환에 장착하는 제 1 전향부 장착 단계와,
상기 견인부에 의해 상기 견인력을 발생시켜, 상기 날개를 상기 둘레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날개 이동 단계를 구비한다.
상기 (12) 방법에 의하면, 견인부에 의한 견인력의 방향을 제 1 전향부에 의해 전향시킨 후에 날개에 전달하도록 했으므로, 인발 대상 날개에 대하여 적절한 위치에 제 1 전향부를 설치만 해 두면, 견인부의 인발 대상 날개에 대한 위치 관계가 변화하여도 부드럽게 날개의 인발을 실행할 수 있다.
(13) 몇 가지 실시형태에서는, 상기 (12)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 1 전향부 장착 단계에서는, 상기 견인부와 상기 제 1 전향부의 사이의 상기 끈형상 부재를 따른 제 1 견인방향으로부터, 상기 제 1 전향부와 상기 날개의 사이의 상기 끈형상 부재를 따른 제 2 견인방향으로 상기 견인력이 전향되도록, 상기 제 1 전향부를 상기 익환에 장착하도록 하고,
상기 제 2 견인방향은, 상기 제 1 견인방향보다 상기 익환의 접선방향에 가깝다.
상기 (13) 방법에 의하면, 날개에 직접 작용하는 인장력을, 접선방향에 가깝게 하거나, 또는, 접선방향에 일치시킬 수 있기 때문에, 날개의 인발을 보다 부드럽게 실행할 수 있다.
또한, 견인부로부터 제 1 전향부를 거쳐서 날개를 인발하도록 하고 있으므로, 견인부의 위치에 관계없이, 제 2 견인방향을 용이하게 접선방향에 가깝게 할 수 있다.
(14) 몇 가지 실시형태에서는, 상기 (12) 또는 (13)의 방법에 있어서,
상기 날개 이동 단계에 있어서의 상기 날개의 이동에 따라서, 상기 제 1 전향부를 상기 둘레방향을 따라서 이동시키는 제 1 전향부 이동 단계를 추가로 구비하고,
상기 제 1 전향부 이동 단계 후, 상기 날개 이동 단계를 다시 실행한다.
상기 (14) 방법에 의하면, 날개의 이동에 따라서, 제 1 전향부를 둘레방향을 따라서 이동시키도록 했으므로, 날개의 위치에 따른 적절한 위치로 제 1 전향부를 이동시키면, 다시 날개를 이동시킬 때에 날개를 부드럽게 인발할 수 있다.
(15) 몇 가지 실시형태에서는, 상기 (14) 방법에 있어서,
상기 날개 인발 방법은, 상기 끈형상 부재를 거쳐서 전달되는 상기 견인력의 방향을 전향시키기 위한 제 3 전향부를, 상기 끈형상 부재 중 상기 견인부와 상기 제 1 전향부의 사이의 부위에 접촉하도록 상기 둘레방향에 있어서의 상기 익환의 한쪽의 단부에 장착하는 제 3 전향부 장착 단계를 추가로 구비하고,
상기 제 3 전향부 장착 단계 후, 상기 제 3 전향부를 상기 익환의 상기 한쪽의 단부에 장착한 상태 그대로, 상기 제 1 전향부 이동 단계를 실행한다.
상기 (15) 방법에 의하면, 견인부와 제 1 전향부의 사이의 끈형상 부재의 부분에 접촉하는 제 3 전향부를 익환의 둘레방향 단부에 장착하는 것에 의해, 날개의 위치에 상관없이, 끈형상 부재 중 제 3 전향부보다 날개측의 부위에 전달하는 견인력의 방향을 적절한 범위 내로 유지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제 3 전향부를 익환의 둘레방향 단부에 장착한 그대로, 날개의 이동에 따라서 제 1 전향부를 이동시키는 것에 의해, 익환에 따른 날개의 이동에 맞추어 견인부를 이동시키지 않아도 날개 인발 작업을 적절히 실행할 수 있다.
(16) 몇 가지 실시형태에서는, 상기 (12) 내지 (15) 중 어느 하나의 방법에 있어서,
원호형상으로 분할된 상태의 상기 익환의 양단부에 걸쳐 놓아지도록, 상기 견인부를 지지하는 프레임을 상기 익환에 장착하는 프레임 장착 단계를 추가로 구비한다.
상기 (16) 방법에 의하면, 견인부가 지지되는 프레임을, 분할된 익환에 장착하도록 했으므로, 견인부에 작용하는 반력(날개의 인장력에 대한 반력)을 프레임에서 받을 수 있다. 이에 의해, 익환을 강고하게 기대 등에 고정하지 않아도, 익환에 작용하는 하중 밸런스를 확보하면서 날개의 인발 작업을 실행할 수 있게 된다.
(17) 몇 가지 실시형태에서는, 상기 (16) 방법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은,
상기 익환의 양단부에 각각 접속되는 한쌍의 지주부와,
상기 한쌍의 지주부에 걸쳐 놓아지도록 마련되며, 상기 견인부를 지지하는 지지봉을 포함하며,
상기 견인부를 상기 지지봉을 따라서 이동시키고, 상기 날개의 위치에 대응하여 상기 견인부를 위치 결정하는 견인부 위치 결정 단계를 추가로 구비한다.
상기 (17) 방법에 의하면, 지지봉에 지지되는 견인부를, 한쌍의 지주부에 의해, 익환 단부로부터 이격시킬 수 있기 때문에, 날개가 익환의 단부에 가까운 위치에 도달한 경우에 있어서도, 날개를 부드럽게 인발할 수 있다.
또한, 견인부를 이동시키고, 날개의 위치에 대응하여 위치 결정하는 것에 의해, 프레임에 과대한 하중이 걸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18) 몇 가지 실시형태에서는, 상기 (16) 또는 (17)의 방법에 있어서,
상기 날개 인발 방법은, 상기 끈형상 부재를 거쳐서 전달되는 견인력의 방향을 전향시키기 위한 제 2 전향부를, 상기 끈형상 부재 중 상기 견인부와 상기 제 1 전향부의 사이의 부위에 접촉하도록 상기 프레임에 장착하는 제 2 전향부 장착 단계를 추가로 구비한다.
상기 (18) 방법에 의하면, 제 2 전향부를 프레임에 장착하는 것에 의해 견인부의 배향의 자유도가 향상되어서, 제 2 전향부가 없는 경우에 비하여 견인부의 설치에 필요한 공간을 삭감할 수 있게 되고, 프레임을 컴팩트화 할 수 있다.
(19) 몇 가지 실시형태에서는, 상기 (12) 내지 (18) 중 어느 하나의 방법에 있어서,
상기 익환으로부터의 인발 대상이, 복수의 정익을 포함한 정익 블록이며,
상기 정익 블록이 인접하는 상기 정익의 사이로부터 적어도 일부가 돌출되도록, 상기 인접하는 상기 정익의 사이에 고정 부재를 설치하는 고정 부재 설치 단계를 추가로 구비하고,
상기 끈형상 부재 접속 단계에서는, 상기 고정 부재의 돌출부보다 상기 정익의 익근측에 있어서, 상기 정익 블록에 상기 끈형상 부재를 접속한다.
상기 (19) 방법에서는, 견인부에 의해 날개를 인발하기 전에, 인접하는 정익의 사이에 고정 부재를 설치하고, 고정 부재의 돌출부보다 정익의 익근측에 있어서, 정익 블록에 끈형상 부재를 접속하도록 하고 있다. 이에 의해, 견인부에 의해 날개를 인장할 때, 끈형상 부재가 날개로부터 빠져버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적어도 몇 가지 실시형태에 의하면, 견인부에 의한 견인력의 방향을 제 1 전향부에 의해 전향시킨 후에 날개에 전달하도록 했으므로, 인발 대상 날개에 대하여 적절한 위치에 제 1 전향부를 설치만 해 두면, 견인부의 인발 대상 날개에 대한 위치 관계가 변화하여도 부드럽게 날개의 인발을 실행할 수 있다.
도 1은 일 실시형태에 따른 날개 인발 장치를 익환에 장착한 상태를 도시하는 전체 구성도이다.
도 2는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날개가 장착된 익환의 단면도(도 1의 A-A 선 단면도)이다.
도 3은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제 1 전향부가 장착된 익환의 단면도(도 1의 B-B선 단면도)이다.
도 4는 일 실시형태에 따른 날개와 제 1 전향부의 위치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일 실시형태에 따른 정익 블록 및 고정 부재를 도시하는 구성도이다.
도 6은 일 실시형태에 따른 날개 인발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일 실시형태에 따른 날개 인발 장치를 익환에 장착한 상태를 도시하는 전체 구성도이다.
도 8은 일 실시형태에 따른 날개 인발 장치를 익환에 장착한 상태를 도시하는 전체 구성도이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몇 가지 실시형태에 대해 설명한다. 단, 실시형태로서 기재되어 있는 또는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구성 부품의 치수, 재질, 형상, 그 상대적 배치 등은, 본 발명의 범위를 이에 한정하는 취지가 아니며, 단순한 설명예에 지나지 않는다.
최초에,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몇 가지 실시형태에 따른 날개 인발 장치(1)의 전체 구성에 대해 개략적으로 설명한다.
여기서, 도 1은, 일 실시형태에 따른 날개 인발 장치(1)를 익환(200)에 장착한 상태를 도시하는 전체 구성도이다. 도 2는,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날개(100)가 장착된 익환(200)의 단면도(도 1의 A-A선 단면도)이다. 도 3은,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제 1 전향부(4)가 장착된 익환(200)의 단면도(도 1의 B-B선 단면도)이다.
또한, 도시되는 날개 인발 장치(1)는, 가스 터빈이나 증기 터빈 등의 터빈 또는 압축기 등의 회전 기계에 장착되는 날개(100)의 인발에 적합하다.
도 1 및 도 2에서는, 인발 대상 날개(100)로서 정익을 예시하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날개(정익)(100)는, 익환(200)의 내주측에 장착된 차열환(204)의 홈(202)에 결합되도록 되어 있다. 차열환(204)의 홈(202)은, 익환(200)의 둘레방향을 따라서 연장되어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익환(200)의 내주측에는, 익환(200)의 축방향(이하, 간략히 축방향이라 말함)으로 다른 위치에 2개의 차열환(204)이 장착되어 있다. 이들 2개의 차열환(204)에는, 각각, 익환(200)의 둘레방향을 따른 홈(202)이 형성되어 있다. 이들 2개의 홈(202)에 날개(100)의 기부가 결합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인발 대상 날개(100), 익환(200) 또는 홈(202)은, 상기 구성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익환(200)은, 차열환(204)이 장착되지 않는 구성이어도 좋고, 날개(100)가 결합되는 홈(202)은, 익환(200) 자체에 형성된 홈이어도 좋다.
도 1 및 도 3에 예시하는 바와 같이, 몇 가지 실시형태에 따른 날개 인발 장치(1)는, 익환(200)의 내주측에 있어서 익환(200)의 둘레방향(이하, 간략히 둘레방향이라 말함)으로 연장되는 홈(202)에 결합된 날개(100)를 홈(202)을 따라서 둘레방향으로 인발하기 위한 장치이다.
날개 인발 장치(1)는, 날개(100)를 견인하기 위한 견인부(2)와, 견인부(2)와 날개(100)를 접속하는 끈형상 부재(3)와, 끈형상 부재(3)를 거쳐서 전달되는 견인력의 방향을 전향시키기 위한 제 1 전향부(4)를 구비한다.
이 구성에 있어서, 제 1 전향부(4)는, 끈형상 부재(3) 중 견인부(2)와 날개(100)의 사이의 부위에 접촉하도록 익환(200)에 장착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끈형상 부재(3)의 한쪽의 제 1 단부(31)는 견인부(2)에 장착되어 있으며, 제 1 단부(31)와는 반대측의 제 2 단부(32)에는, 접속부(33)를 거쳐서 날개(100)가 접속되어 있다. 또한, 끈형상 부재(3)의 제 1 단부(31)와 제 2 단부(32)의 사이에는, 제 1 전향부(4)가 접촉하도록 되어 있다. 그 때문에, 날개(100)를 익환(200)을 따라서 이동시킬 때, 이 제 1 전향부(4)를 지점으로 하여 끈형상 부재(3)는 굴곡 또는 만곡된다. 즉, 제 1 전향부(4)에 의해, 끈형상 부재(3)를 거쳐서 전달되는 견인부(2)의 견인력의 방향이 전향된다.
상기 실시형태에 의하면, 견인부(2)에 의한 견인력의 방향을 제 1 전향부(4)에 의해 전향시킨 후에 날개(100)에 전달하도록 했으므로, 인발 대상 날개(100)에 대하여 적절한 위치에 제 1 전향부(4)를 설치만 해 두면, 견인부(2)의 인발 대상 날개(100)에 대한 위치 관계가 변화하여도 부드럽게 날개(100)의 인발을 실행할 수 있다. 즉, 인발 대상 날개(100)와 제 1 전향부(4)를 연결하는 직선이 익환(200)의 둘레방향을 따르도록 한 위치에 제 1 전향부(4)를 설치하면, 제 1 전향부(4)를 거쳐서 인발 대상 날개(100)에 전달되는 견인력의 방향이 익환(200)의 둘레방향을 따르게 되어, 날개(100)의 인발을 부드럽게 실행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익환(200)에 장착된 날개(100)는, 통상, 익환(200)의 둘레방향을 따라서 이동할 수 있게 되어 있다. 그러나, 고온 분위기에 노출된 날개(100)는 익환(200)[또는 차열환(204)]에 고착되어 버려, 날개(100)를 익환(200)을 따라서 이동시키는 것이 곤란해진다. 상기 실시형태에 의하면 날개(100)를 부드럽게 인발할 수 있기 때문에, 날개(100)가 익환(200)[또는 차열환(204)]에 고착되어 버린 경우에도 적합하다.
또한, 끈형상 부재(3)로서는, 끈(슬링), 로프, 와이어 등을 예로 들 수 있으며, 이들은 나일론 섬유나 금속 선재에 의해 형성되어 있어도 좋다. 또한, 끈형상 부재(3)는, 예를 들면 나일론 섬유에 의해 형성되는 끈(슬링)이어도 좋다. 또한, 끈형상 부재(3)는, 제 1 단부(31)로부터 제 2 단부(32)까지의 사이의 소재와 날개(100)가 접속되는 접속부(33)의 소재를 변경하여도 좋다.
또한, 견인부(2)는, 예를 들면 체인 블록, 레버 호이스트, 크레인, 호이스트 등이어도 좋다.
도 1에 도시하는 실시형태에서는, 제 1 전향부(4)는, 끈형상 부재(3)를 거쳐서 날개(100)에 전달되는 견인력의 방향을, 견인부(2)와 제 1 전향부(4)의 사이의 끈형상 부재(3)[구체적으로는 끈형상 부재(3)의 제 1 부위(35)]를 따른 제 1 견인방향(DL1)으로부터, 제 1 전향부(4)와 날개(100)의 사이의 끈형상 부재(3)[구체적으로는 끈형상 부재(3)의 제 2 부위(36)]를 따른 제 2 견인방향(DL2)으로 전향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제 2 견인방향(DL2)은, 제 1 견인방향(DL1)보다 익환(200)의 접선방향에 가깝다. 예를 들면, 날개(100)와 끈형상 부재(3)의 연결점[제 2 단부(32)]에 대응한 직경 방향 위치(P)에 있어서의 접선방향(TL)과 제 2 견인방향(DL2)이 이루는 각도(θ2)가, 이 접선방향(TL)과 제 1 견인방향(DL1)이 이루는 각도(θ1)보다 작다.
상기 실시형태에 의하면, 날개(100)에 직접 작용하는 인장력을, 접선방향에 가깝게 하거나, 또는, 접선방향에 일치시킬 수 있기 때문에, 날개의 인발을 보다 부드럽게 실행할 수 있다. 즉, 상술한 바와 같이, 날개(100)는, 익환(200)의 둘레방향으로 연장되는 홈(202)을 따라서 둘레방향으로 인발된다. 그래서,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제 1 전향부(4)와 날개(100)의 사이의 끈형상 부재(3)[구체적으로는 끈형상 부재(3)의 제 2 부위(36)]를 따른 제 2 견인방향(DL2)을, 제 1 견인방향(DL1)보다 익환(200)의 접선방향에 가까운 방향으로 하고 있다. 이 때문에, 날개(100)에 직접 작용하는 인장력의 방향을, 날개(100)의 인발방향(C)에 가깝게 하거나, 또는, 날개(100)의 인발방향(C)에 일치시킬 수 있다. 따라서, 견인부(2)에 의한 견인력이 날개(100)의 인발에 유효하게 이용되며, 또한 날개(100)의 인발방향 이외로의 힘 성분이 작아지므로, 날개(100)의 인발을 보다 부드럽게 실행할 수 있다.
또한, 도 3에 예시하는 바와 같이, 제 1 전향부(4)는, 익환(200) 또는 해당 익환(200)에 장착되는 차열환(204)에 둘레방향을 따라서 형성된 오목홈(202)에 결합되며, 둘레방향을 따라서 이동할 수 있게 구성되어 있어도 좋다.
도 3에 예시하는 실시형태에서는, 제 1 전향부(4)가 결합되는 오목홈(202)은, 상술한 날개(100)가 결합되는 홈(202)과 동일하다. 이 경우, 날개(100)의 인발 작업시, 제 1 전향부(4)와 날개(100)는, 둘레방향으로 다른 위치에서 동일한 오목홈(홈)(202)에 결합된다. 이 구성에 의하면, 제 1 전향부(4)가 결합되는 오목홈(202)을 새롭게 마련할 필요가 없다.
또한, 제 1 전향부(4)가 결합되는 오목홈과 날개(100)가 결합되는 홈은, 다른 것이어도 좋다.
종래, 익환에 고착된 날개를 인발할 때에는, 예를 들면 매설 정반(埋設定盤)에 레버 호이스트(견인부)의 받침대를 용접하고, 이 받침대에 레버 호이스트를 설치하고 있었다. 그런데, 날개의 이동방향을 따라서 날개를 인장하는 경우, 날개의 위치에 따라서 레버 호이스트의 위치를 변경할 필요가 생긴다. 레버 호이스트의 받침대가 매설 정반에 용접되어 있는 경우, 날개의 이동에 따라서, 받침대를 매설 정반으로부터 빼고, 다시 별도의 위치에 용접한다는 작업이 필요하게 되어, 날개 인발을 위한 작업이 번잡화되어 버린다는 문제가 있었다.
이 점, 상기 구성에 의하면, 제 1 전향부(4)가 익환(200)의 둘레방향을 따라서 이동할 수 있게 구성되어 있으므로, 제 1 전향부(4)를 용이하게 이동시킬 수 있다. 따라서, 제 1 전향부(4)의 이동시에, 예를 들면 용접에 의해 제 1 전향부(4)를 매회 착탈하는 경우에 비하여, 인발 작업의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예를 들면, 익환(200)의 이동에 따라서, 상술한 바와 같이 제 2 견인방향이 제 1 견인방향보다 익환(200)의 접선방향에 가까워지도록 한 위치로, 제 1 전향부(4)를 용이하게 이동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도 3에 예시하는 바와 같이, 제 1 전향부(4)를 오목홈(202)에 결합시킨 상태에서, 제 1 전향부(4)의 기부(43)가 익환(200)의 개구(207)에 관통 삽입되는 구성으로 하여도 좋다.
도 4는, 일 실시형태에 따른 날개(100)와 제 1 전향부(4)의 위치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에 예시하는 바와 같이, 제 1 전향부(4)는, 익환(200)의 축방향에 있어서 날개(100)가 차지하는 범위(날개 범위) 내에 끈형상 부재(3)가 위치하도록, 익환(200)의 내주측에 장착되어도 좋다. 또한, 제 1 전향부(4)는, 적어도 끈형상 부재(3)의 제 2 부위(36)가 날개 범위 내에 위치하도록 마련되어 있으면 좋다. 물론, 제 1 전향부(4)는, 끈형상 부재(3)의 제 1 부위(35) 및 제 2 부위(36)의 양쪽이 날개 범위 내에 위치하도록 마련되어 있어도 좋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제 1 전향부(4)가 익환(200)의 내주측에 장착되는 것에 의해, 익환(200)의 축방향에 있어서 제 1 전향부(4)를 날개(100)와 대체로 동일한 위치에 설치할 수 있다. 그 때문에, 제 1 전향부(4)가 익환(200)의 측벽면(205, 206)에 장착되는 경우에 비하여, 날개(100)와 제 1 전향부(4)를 연결하는 직선의 방향[날개(100)의 제 2 견인방향]을 익환(200)의 둘레방향[날개(100)의 이동방향]을 따르게 할 수 있어서, 날개(100)를 보다 한층 부드럽게 인발할 수 있다.
도 1 및 도 3에 예시하는 바와 같이, 제 1 전향부(4)는, 끈형상 부재(3)에 접촉하는 동시에 회전할 수 있게 구성된 활차라도 좋다.
이 구성에 의하면, 날개(100)의 인발시, 끈형상 부재(3)와 제 1 전향부(4)의 마찰을 저감할 수 있어서, 날개 인발 장치(1)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다른 실시형태에서는, 제 1 전향부(4)는, 저마찰 부재에 의해 구성되는 미끄럼 접촉 부재(예를 들면 슈) 등과 같이, 다른 구성이어도 좋다.
도 1에 예시하는 바와 같이, 몇 가지 실시형태에 따른 날개 인발 장치(1)는, 원호형상으로 분할된 상태의 익환(200)의 양단부(210, 212)에 걸쳐 놓아지도록 익환(200)에 장착되며, 견인부(2)를 지지하기 위한 프레임(5)을 추가로 구비한다.
이와 같이, 분할된 익환(200)에 장착된 프레임(5)에 견인부(2)를 지지시키는 것에 의해, 견인부(2)에 작용하는 반력[날개(100)의 인장력에 대한 반력]을 프레임(5)에서 받을 수 있다. 이에 의해, 익환(200)을 강고하게 기대 등에 고정하지 않아도, 익환(200)에 작용하는 하중 밸런스를 확보하면서 날개(100)의 인발 작업을 실행할 수 있게 된다.
일 실시형태에서는, 프레임(5)은, 익환(200)의 양단부(210, 212)에 각각 접속되는 한쌍의 지주부(51, 52)와, 한쌍의 지주부(51, 52)에 걸쳐 놓아지도록 마련되며, 견인부(2)를 지지하는 지지봉(54)을 포함한다.
이에 의하면, 지지봉(54)에 지지되는 견인부(2)를, 한쌍의 지주부(51, 52)에 의해, 익환(200)의 단부(210, 212)로부터 이격시킬 수 있기 때문에, 날개(100)가 익환(200)의 단부(210, 212)에 가까운 위치에 도달한 경우에 있어서도, 날개(100)를 부드럽게 인발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한쌍의 지주부(51, 52)는 서로 평행하게 마련되며, 이들 지주부(51, 52)의 연장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을 따라서 지지봉(54)이 마련되어 있다. 즉 프레임(5)은 문형형상을 이루고 있다. 각 지주부(51, 52)는, 익환(200)의 단부(210, 212)에 볼트 체결되어도 좋다. 이 경우, 익환(200)이 조립되었을 때, 세로로 반분하는 구조의 익환(200)의 섹션끼리를 접속하기 위한 볼트 구멍을 이용하여, 각 지주부(51, 52)를 익환(200)의 단부(210, 212)에 볼트 체결하여도 좋다.
단, 프레임(5)의 구성은 이것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프레임(5)은, 예를 들면 사다리꼴 형상, 역사다리꼴 형상, 만곡된 U자형상 또는 C자형상 등과 같이, 다른 형상을 갖고 있어도 좋다.
상기 실시형태에 있어서, 견인부(2)는, 지지봉(54)을 따라서 슬라이드 할 수 있게 구성되어 있어도 좋다.
이와 같이, 제 1 전향부(4)의 위치에 따라서 견인부(2)를 슬라이드 이동시키면, 프레임(5)에 과대한 하중이 걸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견인부(2)는, 제 1 견인방향(DL1)이 지주부(51, 52)를 따르도록 한 위치에 설치되어도 좋다.
이 구성에 의하면, 견인부(2)로부터 지주부(51, 52)에 작용하는 힘이 지주부(51, 52)의 축방향을 따르기 때문에, 지주부(51, 52)에 과대한 하중이 걸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다음에, 도 5 및 도 6을 참조하여, 몇 가지 실시형태에 따른 날개 인발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도 5는, 일 실시형태에 따른 정익 블록(110) 및 고정 부재(8)를 도시하는 구성도이다. 도 6은, 일 실시형태에 따른 날개 인발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서는, 상술한 도 1 내지 도 4에 나타낸 부호를 적절히 이용하고 있다.
몇 가지 실시형태에 있어서, 날개 인발 방법은, 익환(200)의 내주측에 있어서 익환(200)의 둘레방향으로 연장되는 홈(202)에 결합된 날개(100)를, 이 홈(202)을 따라서 둘레방향으로 인발하기 위한 방법이다.
이 날개 인발 방법은, 날개(100)와 견인부(2)를 접속하는 끈형상 부재 접속 단계와 제 1 전향부(4)를 익환(200)에 장착하는 제 1 전향부 장착 단계와 날개를 둘레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날개 이동 단계를 구비한다.
끈형상 부재 접속 단계는, 날개(100)와 해당 날개(100)를 견인하기 위한 견인부(2)를 끈형상 부재(3)로 접속한다.
날개 이동 단계는, 견인부(2)에 의해 견인력을 발생시켜, 날개를 둘레방향으로 이동시킨다. 또한, 통상, 익환(200)에는 날개(100)가 둘레방향에 있어서 조밀하게 배열되어 있기 때문에, 날개(100)의 인발 작업에 있어서는, 둘레방향의 한쪽의 방향에 있어서만 날개(100)를 이동할 수 있게 된다.
제 1 전향부 장착 단계는, 끈형상 부재(3)를 거쳐서 전달되는 견인력의 방향을 전향시키기 위한 제 1 전향부(4)를, 끈형상 부재(3) 중 견인부(2)와 날개의 사이의 부위에 접촉하도록 익환(200)에 장착한다.
또한, 제 1 전향부 장착 단계에서는, 견인부(2)와 제 1 전향부(4)의 사이의 끈형상 부재(3)의 제 1 부위(35)를 따른 제 1 견인방향으로부터, 제 1 전향부(4)로 날개(100)의 사이의 끈형상 부재(3)의 제 2 부위(36)를 따른 제 2 견인방향으로 견인력이 전향되도록, 제 1 전향부(4)를 익환(200)에 장착하도록 하여도 좋다. 이 경우, 제 2 견인방향은, 제 1 견인방향보다 익환(200)의 접선방향에 가깝다.
이에 의해, 날개(100)에 직접 작용하는 인장력을, 접선방향에 가깝게 하거나, 또는, 접선방향으로 일치시킬 수 있기 때문에, 날개(100)의 인발을 보다 부드럽게 실행할 수 있다.
또한, 견인부(2)로부터 제 1 전향부(4)를 거쳐서 날개(100)를 인장하도록 하고 있으므로, 견인부(2)의 위치에 상관없이, 제 2 견인방향을 용이하게 접선방향에 가깝게 할 수 있다.
상기 방법에 의하면, 견인부(2)에 의한 견인력의 방향을 제 1 전향부(4)에 의해 전향시킨 후에 날개에 전달하도록 했으므로, 인발 대상 날개(100)에 대하여 적절한 위치에 제 1 전향부(4)를 설치만 해 두면, 견인부(2)의 인발 대상 날개(100)에 대한 위치 관계가 변화하여도 부드럽게 날개(100)의 인발을 실행할 수 있다.
일 실시형태에 따른 날개 인발 방법은, 날개 이동 단계에 있어서의 날개(100)의 이동에 따라서, 제 1 전향부(4)를 둘레방향을 따라서 이동시키는 제 1 전향부 이동 단계를 추가로 구비한다.
이 경우, 제 1 전향부 이동 단계 후, 날개 이동 단계를 다시 실행한다.
이 방법에 의하면, 날개(100)의 이동에 따라서, 제 1 전향부(4)를 둘레방향을 따라서 이동시키도록 했으므로, 날개(100)의 위치에 따른 적절한 위치에 제 1 전향부(4)를 이동시키면, 다시 날개(100)를 이동시킬 때에 날개(100)를 부드럽게 인발할 수 있다.
도 6의 (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인발방향(C)에 있어서 후방측의 단부(210)의 부근에 날개(100)가 위치하고 있는 경우, 견인부(2)로부터 제 1 전향부(4)에 작용하는 힘은, 반경방향의 성분이 커진다. 그 때문에, 제 1 전향부(4)를 익환(200)으로부터 떼어 놓는 방향으로의 힘이 커지기 때문에, 이 경우에는, 제 1 전향부(4)를 익환(200)의 오목홈(202)에 결합시키는 동시에, 제 1 전향부(4)의 기부를 익환(200)에 볼트 체결하도록 하여도 좋다.
한편, 도 6의 (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인발방향(C)에 있어서의 전방측의 단부(212)의 부근에 날개(100)가 위치하고 있는 경우, 견인부(2)로부터 제 1 전향부(4)에 작용하는 힘은, 반경방향의 성분이 작아져, 둘레방향의 성분이 커진다. 그 때문에, 제 1 전향부(4)를 익환(200)으로부터 떼어 놓는 방향으로의 힘은 작아진다. 이 경우에는, 제 1 전향부(4)를 익환(200)의 오목홈(202)에 결합시키기만 하는 것으로도 제 1 전향부(4)를 고정할 수 있다.
또한, 날개(100)가, 인발방향(C)에 있어서의 전방측의 단부(212)까지 한층 가까워지면, 제 1 전향부(4)를 거치지 않고, 견인부(2)에 의해 날개(100)를 직접 인장하여도 좋다.
일 실시형태에서는, 날개 인발 방법은, 원호형상으로 분할된 상태의 익환(200)의 양단부(210, 212)에 걸쳐 놓아지도록, 견인부(2)를 지지하는 프레임(5)을 익환(200)에 장착하는 프레임 장착 단계를 추가로 구비한다.
이 방법에 의하면, 견인부(2)가 지지되는 프레임(5)을, 분할된 익환(200)에 장착하도록 했으므로, 견인부(2)에 작용하는 반력[날개(100)의 인장력에 대한 반력]을 프레임(5)에서 받을 수 있다. 이에 의해, 익환(200)을 강고하게 기대 등에 고정하지 않아도, 익환(200)에 작용하는 하중 밸런스를 확보하면서 날개(100)의 인발 작업을 실행할 수 있게 된다.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프레임(5)이, 익환(200)의 양단부(210, 212)에 각각 접속되는 한쌍의 지주부(51, 52)와 한쌍의 지주부(51, 52)에 걸쳐 놓아지도록 마련되며, 견인부(2)를 지지하는 지지봉(54)을 포함하는 경우, 날개 인발 방법은, 견인부 위치 결정 단계를 추가로 구비하고 있어도 좋다.
견인부 위치 결정 단계는, 견인부(2)를 지지봉(54)을 따라서 이동시키고, 날개(100)의 위치에 대응하여 견인부(2)를 위치 결정한다.
이 방법에 의하면, 지지봉(54)에 지지되는 견인부(2)를, 한쌍의 지주부(51, 52)에 의해, 익환(200) 단부로부터 이격시킬 수 있기 때문에, 날개가 익환(200)의 단부에 가까운 위치에 도달한 경우에서도, 날개를 부드럽게 인발할 수 있다.
또한, 견인부(2)를 이동시키고, 날개의 위치에 대응하여 위치 결정하는 것에 의해, 프레임(5)에 과대한 하중이 걸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익환(200)의 한쪽의 단부(210)를 0°로 하고, 다른쪽의 단부(212)를 180°로 했을 때, 지지봉(54)을 따른 견인부(2)의 이동 가능 범위는, 적어도 45° 이상 135° 이하의 각도 범위에 대응한 축방향 범위라도 좋다.
도 5에 예시하는 바와 같이,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 익환(200)으로부터의 인발 대상이 복수의 정익(100)을 포함하는 정익 블록(110)인 경우, 날개 인발 방법은, 정익(100)의 사이에 고정 부재(8)를 설치하는 고정 부재 설치 단계를 추가로 구비한다.
고정 부재 설치 단계는, 정익 블록(110)이 인접하는 정익(100)의 사이로부터 적어도 일부가 돌출되도록, 인접하는 정익(100)의 사이에 고정 부재(8)를 설치한다.
이 경우, 끈형상 부재 접속 단계에서는, 고정 부재(8)의 돌출부보다 정익(100)의 익근측에 있어서, 정익 블록(110)에 끈형상 부재(3)를 접속한다.
또한, 정익 블록(110)은, 높이 방향으로 복수단 적층할 수 있는 구성으로 하여도 좋다. 이에 의해, 높이가 다른 종류의 날개(100)에 대해서도, 이 정익 블록(110)을 적용할 수 있다.
상기 방법에서는, 견인부(2)에 의해 날개(100)를 인발하기 전에, 인접하는 정익(100)의 사이에 고정 부재를 설치하고, 고정 부재(8)의 돌출부보다 정익(100)의 익근측에 있어서, 정익 블록(110)에 끈형상 부재(3)를 접속하도록 하고 있다. 이에 의해, 견인부(2)에 의해 날개를 인장할 때, 끈형상 부재(3)가 날개로부터 빠져버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적어도 몇 가지 실시형태에 의하면, 견인부(2)에 의한 견인력의 방향을 제 1 전향부(4)에 의해 전향시킨 후에 날개에 전달하도록 했으므로, 인발 대상 날개에 대하여 적절한 위치에 제 1 전향부(4)를 설치만 해 두면, 견인부(2)의 인발 대상 날개에 대한 위치 관계가 변화하여도 부드럽게 날개의 인발을 실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형태에 한정되는 일은 없으며, 상술한 실시형태에 변형을 가한 형태나, 이들 형태를 적절히 조합한 형태도 포함한다.
예를 들면, 상술의 실시형태에서는, 날개 인발 장치(1)가 견인부(2)와 날개(100)의 사이에 제 1 전향부(4)만을 구비하는 예를 나타냈지만, 제 1 전향부(4)에 부가하여 다른 전향부를 마련하여도 좋다.
도 7은, 다른 실시형태에 따른 날개 인발 장치를 익환에 장착한 상태를 도시하는 전체 구성도이다. 또한, 상술의 날개 인발 장치(1)와 공통되는 구성 요소에 대해서는, 도 7에 있어서 날개 인발 장치(1)와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고, 여기에서는 그 설명을 생략한다.
도 7에 도시하는 날개 인발 장치(300)는, 도 1에 도시한 날개 인발 장치(1)의 구성에 부가하여, 프레임(5)에 장착되는 제 2 전향부(304)를 추가로 구비한다. 제 2 전향부(304)는, 끈형상 부재(3) 중 견인부(2)와 제 1 전향부(4)의 사이의 부위에 접촉한다. 이와 같이, 날개 인발 장치(300)는, 날개(100)와 견인부(2)의 사이에 제 1 전향부(4)와 제 2 전향부(304)를 구비하고 견인부(2)에 의한 견인력의 방향이 제 2 전향부(304) 및 제 1 전향부(4)에 의해 전향되도록 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견인부(2)에 의한 견인력은, 제 2 전향부(304)에 의해, 견인부(2)와 제 2 전향부(304)의 사이의 끈형상 부재(3)를 따른 견인방향으로부터, 제 2 전향부(304)와 제 1 전향부(4)의 사이의 끈형상 부재(3)를 따른 견인방향[제 1 견인방향(DL1)]으로 전향된다. 또한, 제 1 견인방향(DL1)의 견인력은, 제 1 전향부(4)에 있어서, 제 1 전향부(4)와 날개(100)의 사이의 끈형상 부재(3)를 따른 제 2 견인방향(DL2)으로 전향된다. 여기서, 도 7에 도시하는 예에서는, 제 2 견인방향(DL2)은, 제 1 견인방향(DL1)보다 익환(200)의 접선방향에 가깝다(θ1>θ2).
상기 구성에 의하면, 제 2 전향부(304)를 프레임(5)에 장착하는 것에 의해, 견인부(2)의 배향의 자유도가 향상되어서, 제 2 전향부(304)가 없는 경우에 비하여 견인부(2)의 설치에 필요한 공간을 삭감할 수 있게 되고, 프레임(5)을 컴팩트화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견인부(2)를 프레임(5)의 지지봉(54)을 따라서 배향시키면, 견인부(2)의 현수구 등을 위한 공간을 프레임(5)의 지주부(51, 52)를 따른 방향으로 확보할 필요가 없어져, 지주부(51, 52)를 짧게 할 수 있다.
제 2 전향부(304)는, 도 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프레임(5)의 지지봉(54)에 장착되어도 좋다. 혹은, 다른 실시형태에서는, 제 2 전향부(304)는, 프레임(5)의 한쌍의 지주부(51, 52) 중, 날개 인발방향(C)의 하류측에 위치하는 지주부(52)에 장착된다.
또한, 제 2 전향부(304)의 구체적 구성은, 상술의 제 1 전향부(4)와 동일하여도 좋다. 즉, 제 2 전향부(304)는, 끈형상 부재(3)에 접촉하는 동시에 회전할 수 있게 구성된 활차라도 좋고, 끈형상 부재(3)에 접촉하도록 구성된 미끄럼 접촉 부재라도 좋다.
몇 가지 실시형태에서는, 적어도 제 2 전향부(304)는, 프레임(5)의 지지봉(54)을 따른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게 지지봉(54)에 장착된다. 예를 들면, 지지봉(54)에 마련된 안내 레일에 의해 제 2 전향부(304)가 안내되어 지지봉(54)을 따른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게 구성되어도 좋다.
이에 의해, 날개(100)의 위치의 변화에 맞추어 제 2 전향부(304)를 이동시키는 것에 의해, 끈형상 부재(3) 중 제 2 전향부(304)보다 날개(100)측의 부위에 전달되는 견인력의 방향을 적절한 범위 내로 유지할 수 있다. 제 2 전향부(304)를 이동시킬 때, 날개(100) 또는 제 1 전향부(4)의 위치에 따라서 제 2 전향부(304)의 위치는 적절히 결정할 수 있다. 이 때문에, 도 7에는, 제 2 전향부(304)와 제 1 전향부(4)의 사이의 끈형상 부재(3)가 지주부(51, 52)를 따라서 연장되도록 한 위치에 제 2 전향부(304)가 마련되어 있지만, 제 2 전향부(304)의 구성이 이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 2 전향부(304)의 위치는, 예를 들면, 제 2 전향부(304)를 거쳐서 프레임(5)에 작용하는 하중이나 끈형상 부재(3)를 거쳐서 제 1 전향부(4), 날개(100) 또는 익환(200) 등에 작용하는 하중이 저감되도록 제 2 전향부(304)의 위치를 결정하여도 좋다.
한편, 견인부(2)는, 도 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 2 전향부(304)와 마찬가지로, 프레임(5)의 지지봉(54)을 따른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게 지지봉(54)에 장착되어도 좋다. 혹은, 제 2 전향부(304)가 지지봉(54)을 따른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는 경우, 견인부(2)는, 제 1 전향부(4)에서 보아, 프레임(5)의 한쌍의 지주부(51, 52) 중, 날개 인발방향(C)의 상류측에 위치하는 지주부(51) 부근의 위치에 고정되어 있어도 좋다.
상기 구성의 날개 인발 장치(300)를 이용하여 날개(100)를 인발하는 경우, 제 1 전향부(4)를 익환(200)에 장착하는 동시에(전술의 제 1 전향부 장착 단계), 끈형상 부재(3) 중 견인부(2)와 제 1 전향부(4)의 사이의 부위에 접촉하도록 제 2 전향부(304)를 프레임(5)에 장착한다(제 2 전향부 장착 단계). 그리고, 견인부(2)에 의한 견인력의 견인방향을 제 2 전향부(304) 및 제 1 전향부(4)에 의해 순차적으로 전향시켜, 끈형상 부재(3)를 거쳐서 견인부(2)에 의해 날개(100)를 익환(200)의 둘레방향으로 이동시킨다.
이와 같이, 제 2 전향부(304)를 프레임(5)에 장착하는 것에 의해 견인부(2)의 배향의 자유도가 향상되어서, 제 2 전향부(304)가 없는 경우에 비하여 견인부(2)의 설치에 필요한 공간을 삭감할 수 있게 되고, 프레임(5)을 컴팩트화 할 수 있다.
또한, 날개(100)의 이동에 따라서, 제 1 전향부(4)의 설치 위치를 익환(200)의 둘레방향으로 변화시키는 동시에, 제 2 전향부(304)를 프레임(5)의 지지봉(54)을 따라서 이동시켜도 좋다. 마찬가지로, 견인부(2)는, 날개(100)의 위치에 맞추어 프레임(5)의 지지봉(54)을 따라서 이동시켜도 좋다. 혹은, 날개 인발 작업 중에 견인부(2)를 이동시키는 일 없이, 제 1 전향부(4)에서 보아, 프레임(5)의 한쌍의 지주부(51, 52) 중, 날개 인발방향(C)의 상류측에 위치하는 지주부(51) 부근의 위치에 견인부(2)를 고정한 그대로라도 좋다.
도 8은, 또한 다른 실시형태에 따른 날개 인발 장치를 익환에 장착한 상태를 도시하는 전체 구성도이다. 또한, 상술의 날개 인발 장치(1)와 공통되는 구성 요소에 대해서는, 도 8에 있어서 날개 인발 장치(1)와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고, 여기에서는 그 설명을 생략한다.
도 8에 도시하는 날개 인발 장치(400)는, 도 1에 도시한 날개 인발 장치(1)의 구성에 부가하여, 익환(200)의 둘레방향에 있어서의 한쪽의 단부에 장착되는 제 3 전향부(404)를 추가로 구비한다. 제 3 전향부(404)는, 끈형상 부재(3) 중 견인부(2)와 제 1 전향부(4)의 사이의 부위에 접촉한다. 이와 같이, 날개 인발 장치(400)는, 날개(100)와 견인부(2)의 사이에 제 1 전향부(4)와 제 3 전향부(404)를 구비하고, 견인부(2)에 의한 견인력의 방향이 제 3 전향부(404) 및 제 1 전향부(4)에 의해 전향되도록 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견인부(2)에 의한 견인력은, 제 3 전향부(404)에 의해, 견인부(2)와 제 3 전향부(404)의 사이의 끈형상 부재(3)를 따른 견인방향으로부터, 제 3 전향부(404)와 제 1 전향부(4)의 사이의 끈형상 부재(3)를 따른 견인방향[제 1 견인방향(DL1)]으로 전향된다. 또한, 제 1 견인방향(DL1)의 견인력은, 제 1 전향부(4)에 있어서, 제 1 전향부(4)와 날개(100)의 사이의 끈형상 부재(3)를 따른 제 2 견인방향(DL2)으로 전향된다. 여기에서, 도 8에 도시하는 예에서는, 제 2 견인방향(DL2)은, 제 1 견인방향(DL1)보다 익환(200)의 접선방향에 가깝다(θ1>θ2).
상기 구성에 의하면, 익환(200)의 둘레방향 단부에 장착한 제 3 전향부(404)를 견인부(2)와 제 1 전향부(4)의 사이의 끈형상 부재(3)의 부분에 접촉시키는 것에 의해, 날개(100)의 위치에 상관없이, 끈형상 부재(3) 중 제 3 전향부(404)보다 날개(100)측의 부위에 전달되는 견인력의 방향을 적절한 범위 내로 유지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익환(200)을 따른 날개(100)의 이동에 맞추어 견인부(2)를 이동시킬 필요가 없어져, 날개 인발 작업을 효율적으로 실행할 수 있다.
또한, 제 3 전향부(404)의 구체적 구성은, 상술의 제 1 전향부(4)와 동일하여도 좋다. 즉, 제 3 전향부(404)는, 끈형상 부재(3)에 접촉하는 동시에 회전할 수 있게 구성된 활차라도 좋고, 끈형상 부재(3)에 접촉하도록 구성된 미끄럼 접촉 부재라도 좋다.
상기 구성의 날개 인발 장치(400)를 이용하여 날개(100)를 인발하는 경우, 제 1 전향부(4)를 익환(200)에 장착하는 동시에(전술의 제 1 전향부 장착 단계), 끈형상 부재(3) 중 견인부(2)와 제 1 전향부(4)의 사이의 부위에 접촉하도록 제 3 전향부(404)를 익환(200)에 장착한다(제 3 전향부 장착 단계). 이 때, 제 3 전향부(404)는, 익환(200)의 둘레방향에 있어서의 한쌍의 단부(210, 212) 중, 날개 인발방향(C)의 하류측에 위치하는 단부(212)에 장착된다. 그리고, 견인부(2)에 의한 견인력의 견인방향을 제 3 전향부(404) 및 제 1 전향부(4)에 의해 순서대로 전향시키고, 끈형상 부재(3)를 거쳐서 견인부(2)에 의해 날개(100)를 익환(200)의 둘레방향으로 이동시킨다.
이와 같이, 견인부(2)와 제 1 전향부(4)의 사이의 끈형상 부재(3)의 부분에 접촉하는 제 3 전향부(404)를 익환(200)의 둘레방향 단부(212)에 장착하는 것에 의해, 날개(100)의 위치에 상관없이, 끈형상 부재(3) 중 제 3 전향부(400)보다 날개(100)측의 부위에 전달되는 견인력의 방향[제 1 견인방향(DL1)]을 적절한 범위 내로 유지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제 3 전향부(404)를 익환(200)의 둘레방향 단부(212)에 장착한 그대로, 날개(100)의 이동에 따라서 제 1 전향부(4)를 이동시키는 것에 의해, 익환(200)을 따른 날개(100)의 이동에 맞추어 견인부(2)를 이동시키지 않아도 날개 인발 작업을 적절히 실행할 수 있다.
또한, 견인부(2) 및 제 3 전향부(404)의 위치를 고정한 그대로, 제 1 전향부(4)의 위치를 날개(100)의 위치에 따라서 변경시키면서 날개(100)를 익환(200)의 둘레방향 단부(212)의 부근까지 이동시키면, 제 1 전향부(4)를 날개 인발방향(C)으로 더욱 움직이는 것이 어려워진다. 이 경우, 제 1 전향부(4)를 익환(200)으로부터 분리하고, 제 3 전향부(404)를 이용하여 견인부(2)에 의한 견인력을 전향시키고 날개(100)에 전달하여, 날개(100)를 날개 인발방향(C)으로 더욱 이동시켜도 좋다. 이렇게 하여, 익환(200)의 둘레방향 단부(212)[제 3 전향부(404)의 근방]까지 날개(100)를 이동시킨 후, 제 3 전향부(404)를 익환(200)으로부터 분리하고, 날개(100)를 익환(200)으로부터 인발하여도 좋다.
또한, 다른 실시형태에서는, 도 7에 도시한 제 2 전향부(304)와 도 8에 도시한 제 3 전향부(404)를 제 1 전향부(4)와 병용하여도 좋다. 또한, 각 전향부(4, 304, 404)의 개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각 전향부(4, 304, 404)를 복수 마련하여도 좋다. 또한, 상술한 전향부(4, 304, 404) 이외의 다른 전향부를 추가로 마련하고, 견인부(2)에 의한 견인력을 해당 다른 전향부에 의해 전향시키고 날개(100)에 전달하여도 좋다.
또한, 익환(200)으로부터 날개(100)를 인발할 때, 익환(200)[및 프레임(5)]을 수평 자세로 지면 등에 둔 상태에서 날개 인발 작업을 실행하여도 좋고, 익환(200)[및 프레임(5)]을 연직 자세로 보지한 상태에서 날개 인발 작업을 실행하여도 좋다.
또한 본 명세서에 있어서, 「어느 방향으로」, 「어느 방향을 따라서」, 「평행」, 「직교」, 「중심」, 「동심」 혹은 「동축」 등의 상대적 혹은 절대적인 배치를 나타내는 표현은, 엄밀하게 그러한 배치를 나타낼 뿐만 아니라, 공차, 혹은, 동일한 기능을 얻을 수 있는 정도의 각도나 거리를 가지고 상대적으로 변위하고 있는 상태도 나타내는 것으로 한다.
예를 들면, 「동일」, 「동일하다」 및 「균질」 등의 사물이 동일한 상태인 것을 나타내는 표현은, 엄밀하게 동일한 상태를 나타낼 뿐만 아니라, 공차, 혹은, 동일한 기능을 얻을 수 있는 정도의 차이가 존재하고 있는 상태도 나타내는 것으로 한다.
예를 들면, 사각형상이나 원통형상 등의 형상을 나타내는 표현은, 기하학적으로 엄밀한 의미에서의 사각형상이나 원통형상 등의 형상을 나타낼 뿐만 아니라,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는 범위에서, 요철부나 면취부 등을 포함하는 형상도 나타내는 것으로 한다.
한편, 하나의 구성 요소를 「구비한다」, 「포함한다」, 또는, 「갖는다」라는 표현은, 다른 구성 요소의 존재를 제외하는 배타적인 표현은 아니다.
1 : 날개 인발 장치
2 : 견인부
3 : 끈형상 부재
4 : 제 1 전향부
5 : 프레임
8 : 고정 부재
31 : 제 1 단부
32 : 제 2 단부
33 : 접속부
35 : 제 1 부위
36 : 제 2 부위
51, 52 : 지주부
54 : 지지봉
100 : 날개(정익)
110 : 정익 블록
200 : 익환
202 : 홈 또는 오목홈
204 : 차열환
210 : 단부
212 : 단부
300, 400 : 날개 인발 장치
304 : 제 2 전향부
404 : 제 3 전향부

Claims (19)

  1. 익환의 내주측에 있어서 상기 익환의 둘레방향으로 연장되는 홈에 결합된 날개를 상기 홈을 따라서 상기 둘레방향으로 인발하기 위한 날개 인발 장치에 있어서
    상기 날개를 견인하기 위한 견인부와,
    상기 견인부와 상기 날개를 접속하는 끈형상 부재와,
    상기 끈형상 부재 중 상기 견인부와 상기 날개의 사이의 부위에 접촉하도록 상기 익환에 장착되며, 상기 끈형상 부재를 거쳐서 전달되는 견인력의 방향을 전향시키기 위한 제 1 전향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날개 인발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 1 전향부는, 상기 끈형상 부재를 거쳐서 상기 날개에 전달되는 상기 견인력의 방향을, 상기 견인부와 상기 제 1 전향부의 사이의 상기 끈형상 부재를 따른 제 1 견인방향으로부터, 상기 제 1 전향부와 상기 날개의 사이의 상기 끈형상 부재를 따른 제 2 견인방향으로 전향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제 2 견인방향은, 상기 제 1 견인방향보다 상기 익환의 접선방향에 가까운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날개 인발 장치.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 1 전향부는, 상기 익환 또는 상기 익환에 장착되는 차열환에 상기 둘레방향을 따라서 형성된 오목홈에 결합되며, 상기 둘레방향을 따라서 이동할 수 있게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날개 인발 장치.
  4.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전향부는, 상기 익환의 축방향에 있어서 상기 날개가 차지하는 범위 내에 상기 끈형상 부재가 위치하도록, 상기 익환의 내주측에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날개 인발 장치.
  5.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4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전향부는, 상기 끈형상 부재에 접촉하는 동시에 회전할 수 있게 구성된 활차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날개 인발 장치.
  6.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5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원호형상으로 분할된 상태의 상기 익환의 양단부에 걸쳐 놓아지도록 상기 익환에 장착되며, 상기 견인부를 지지하기 위한 프레임을 추가로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날개 인발 장치.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은,
    상기 익환의 양단부에 각각 접속되는 한쌍의 지주부와,
    상기 한쌍의 지주부에 걸쳐 놓아지도록 마련되며, 상기 견인부를 지지하는 지지봉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날개 인발 장치.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견인부는, 상기 지지봉을 따라서 슬라이드 할 수 있게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날개 인발 장치.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견인부는, 상기 견인부와 상기 제 1 전향부의 사이의 상기 끈형상 부재를 따른 제 1 견인방향이 상기 지주부를 따르도록 한 위치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날개 인발 장치.
  10. 청구항 6 내지 청구항 9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끈형상 부재 중 상기 견인부와 상기 제 1 전향부의 사이의 부위에 접촉하도록 상기 프레임에 장착되며, 상기 끈형상 부재를 거쳐서 전달되는 상기 견인력의 방향을 전향시키기 위한 제 2 전향부를 추가로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날개 인발 장치.
  11.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10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끈형상 부재 중 상기 견인부와 상기 제 1 전향부의 사이의 부위에 접촉하도록 상기 둘레방향에 있어서의 상기 익환의 한쪽의 단부에 장착되며, 상기 끈형상 부재를 거쳐서 전달되는 상기 견인력의 방향을 전향시키기 위한 제 3 전향부를 추가로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날개 인발 장치.
  12. 익환의 내주측에 있어서 상기 익환의 둘레방향으로 연장되는 홈에 결합된 날개를 상기 홈을 따라서 상기 둘레방향으로 인발하는 날개 인발 방법에 있어서,
    상기 날개와 상기 날개를 견인하기 위한 견인부를 끈형상 부재로 접속하는 끈형상 부재 접속 단계와,
    상기 끈형상 부재를 거쳐서 전달되는 견인력의 방향을 전향시키기 위한 제 1 전향부를, 상기 끈형상 부재 중 상기 견인부와 상기 날개의 사이의 부위에 접촉하도록 상기 익환에 장착하는 제 1 전향부 장착 단계와,
    상기 견인부에 의해 상기 견인력을 발생시켜, 상기 날개를 상기 둘레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날개 이동 단계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날개 인발 방법.
  13.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제 1 전향부 장착 단계에서는, 상기 견인부와 상기 제 1 전향부의 사이의 상기 끈형상 부재를 따른 제 1 견인방향으로부터, 상기 제 1 전향부와 상기 날개의 사이의 상기 끈형상 부재를 따른 제 2 견인방향으로 상기 견인력이 전향되도록, 상기 제 1 전향부를 상기 익환에 장착하도록 하고,
    상기 제 2 견인방향은, 상기 제 1 견인방향보다 상기 익환의 접선방향에 가까운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날개 인발 방법.
  14. 청구항 12 또는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날개 이동 단계에 있어서의 상기 날개의 이동에 따라서, 상기 제 1 전향부를 상기 둘레방향을 따라서 이동시키는 제 1 전향부 이동 단계를 추가로 구비하고,
    상기 제 1 전향부 이동 단계 후, 상기 날개 이동 단계를 다시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날개 인발 방법.
  15. 청구항 14에 있어서,
    상기 끈형상 부재를 거쳐서 전달되는 상기 견인력의 방향을 전향시키기 위한 제 3 전향부를, 상기 끈형상 부재 중 상기 견인부와 상기 제 1 전향부의 사이의 부위에 접촉하도록 상기 둘레방향에 있어서의 상기 익환의 한쪽의 단부에 장착하는 제 3 전향부 장착 단계를 추가로 구비하고,
    상기 제 3 전향부 장착 단계 후, 상기 제 3 전향부를 상기 익환의 상기 한쪽의 단부에 장착한 상태 그대로, 상기 제 1 전향부 이동 단계를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날개 인발 방법.
  16. 청구항 12 내지 청구항 15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원호형상으로 분할된 상태의 상기 익환의 양단부에 걸쳐 놓아지도록, 상기 견인부를 지지하는 프레임을 상기 익환에 장착하는 프레임 장착 단계를 추가로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날개 인발 방법.
  17. 청구항 16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은,
    상기 익환의 양단부에 각각 접속되는 한쌍의 지주부와,
    상기 한쌍의 지주부에 걸쳐 놓아지도록 마련되며, 상기 견인부를 지지하는 지지봉을 포함하며,
    상기 견인부를 상기 지지봉을 따라서 이동시키고, 상기 날개의 위치에 대응하여 상기 견인부를 위치 결정하는 견인부 위치 결정 단계를 추가로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날개 인발 방법.
  18. 청구항 16 또는 청구항 17에 있어서,
    상기 끈형상 부재를 거쳐서 전달되는 견인력의 방향을 전향시키기 위한 제 2 전향부를, 상기 끈형상 부재 중 상기 견인부와 상기 제 1 전향부의 사이의 부위에 접촉하도록 상기 프레임에 장착하는 제 2 전향부 장착 단계를 추가로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날개 인발 방법.
  19. 청구항 12 내지 청구항 18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익환으로부터의 인발 대상이, 복수의 정익을 포함하는 정익 블록이며,
    상기 정익 블록이 인접하는 상기 정익의 사이로부터 적어도 일부가 돌출되도록, 상기 인접하는 상기 정익의 사이에 고정 부재를 설치하는 고정 부재 설치 단계를 추가로 구비하고,
    상기 끈형상 부재 접속 단계에서는, 상기 고정 부재의 돌출부보다 상기 정익의 익근측에 있어서, 상기 정익 블록에 상기 끈형상 부재를 접속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날개 인발 방법.
KR1020187019360A 2016-01-13 2017-01-10 날개 인발 장치 및 방법 KR10203824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6004112 2016-01-13
JPJP-P-2016-004112 2016-01-13
PCT/JP2017/000464 WO2017122632A1 (ja) 2016-01-13 2017-01-10 翼引き抜き装置及び方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91065A true KR20180091065A (ko) 2018-08-14
KR102038240B1 KR102038240B1 (ko) 2019-10-29

Family

ID=593117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7019360A KR102038240B1 (ko) 2016-01-13 2017-01-10 날개 인발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10954791B2 (ko)
EP (1) EP3404219B1 (ko)
JP (1) JP6499777B2 (ko)
KR (1) KR102038240B1 (ko)
CN (1) CN108474264B (ko)
TW (1) TWI636181B (ko)
WO (1) WO201712263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876827A (zh) * 2021-02-05 2022-08-09 创科无线普通合伙 吹风机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57966A (ja) 2001-02-28 2002-09-11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センサ信号伝達装置
JP2002371805A (ja) 2001-06-19 2002-12-26 Mitsubishi Heavy Ind Ltd 静翼の着脱用治具
JP2010077966A (ja) * 2008-09-24 2010-04-08 General Electric Co <Ge> ロータが所定位置にある状態で、ガスタービン圧縮機ステータベーンセグメントを取り外すための装置及び方法
JP2014177888A (ja) * 2013-03-14 2014-09-25 Mitsubishi Heavy Ind Ltd 静翼環の取外・取付方法、及びこの方法に用いる静翼セグメントの補助支持装置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08549Y2 (ja) * 1991-03-08 1996-08-28 三菱重工業株式会社 静翼環引抜き装置
US5685693A (en) * 1995-03-31 1997-11-11 General Electric Co. Removable inner turbine shell with bucket tip clearance control
JP4486532B2 (ja) * 2005-03-17 2010-06-23 三菱重工業株式会社 静翼挿入引抜き装置、翼環の組み立て方法及び静翼引抜き方法
WO2008012195A1 (de) * 2006-07-24 2008-01-31 Siemens Aktiengesellschaft Verfahren zum herausdrehen einer ringhälfte eines insgesamt ringförmigen leitapparats aus einer unteren gehäusehälfte einer axial durchströmbaren, stationären strömungsmaschine, montagevorrichtung, montagevorrichtungsverbund und hilfshalbring hierfür
GB2489003B8 (en) * 2011-03-15 2013-08-07 Rolls Royce Plc Method and apparatus for removing an aerofoil structure from a casing section of a rotary machine
US8757962B2 (en) * 2011-06-16 2014-06-24 General Electric Company System and method for adjusting a shroud block in a casing
JP5999845B2 (ja) * 2013-11-20 2016-09-28 三菱重工業株式会社 タービンロータ組立体およびタービンロータ組立体における翼止板並びに翼止板の組付け方法
JP6238056B2 (ja) 2013-11-26 2017-11-29 三菱日立パワーシステムズ株式会社 静翼セグメントの取外用ダミーリングアッセンブリ、及びこれを用いた静翼セグメントの取外方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57966A (ja) 2001-02-28 2002-09-11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センサ信号伝達装置
JP2002371805A (ja) 2001-06-19 2002-12-26 Mitsubishi Heavy Ind Ltd 静翼の着脱用治具
JP2010077966A (ja) * 2008-09-24 2010-04-08 General Electric Co <Ge> ロータが所定位置にある状態で、ガスタービン圧縮機ステータベーンセグメントを取り外すための装置及び方法
JP2014177888A (ja) * 2013-03-14 2014-09-25 Mitsubishi Heavy Ind Ltd 静翼環の取外・取付方法、及びこの方法に用いる静翼セグメントの補助支持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7122632A1 (ja) 2017-07-20
TW201730425A (zh) 2017-09-01
KR102038240B1 (ko) 2019-10-29
EP3404219B1 (en) 2020-08-19
US20190003310A1 (en) 2019-01-03
JPWO2017122632A1 (ja) 2018-07-26
TWI636181B (zh) 2018-09-21
CN108474264A (zh) 2018-08-31
US10954791B2 (en) 2021-03-23
CN108474264B (zh) 2020-10-09
EP3404219A1 (en) 2018-11-21
JP6499777B2 (ja) 2019-04-10
EP3404219A4 (en) 2019-09-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923349B2 (en) Arrangement for guiding a cable between a wing and an aerodynamic body movably supported relative thereto; wing of an aircraft having such an arrangement and aircraft having such a wing
CN105189054A (zh) 用于引导铰接臂机械手的至少一条线路的设备以及铰接臂机械手
KR20180091065A (ko) 날개 인발 장치 및 방법
JP2013176812A (ja) 工作機械の2段式連動スライドドア
RU2015110475A (ru) Неподвижная конструкция устройства реверса тяги
KR20130096178A (ko) 케이블류 보호 안내 장치
US9325159B2 (en) Power conducting device for large angles of twist
CN112750543A (zh) 传热管检查装置
CN103782062A (zh) 带安装夹具
US10711651B2 (en) Rotating device for a gas turbine and method for rotating a component
JP4854657B2 (ja) 二重ケーブル取入れ口を備えるケーブル引締め装置
JP5602083B2 (ja) 安全帯の移動用ケーブル
WO2016042212A1 (en) Base frame for supporting and lifting an internal combustion piston engine
CN212360658U (zh) 供能装置和成像医学设备
CN220468825U (zh) 一种斜拉端部节点及光伏管桩
KR101159449B1 (ko) 홀링 케이블의 마찰을 이용한 캣워크 로프 캐리어
KR101516293B1 (ko) 족장 지지대
CN102598452B (zh) 用于高压线缆的梳状法兰
JP5458378B2 (ja) 配管溶接用の接続冶具
CN210710313U (zh) 用于生产线中的吊具的高度检测组件
EP4219936A1 (en) Containerized mobile wind power generation apparatus
CN217463097U (zh) 皮带安装工具
JP2010156423A (ja) 配管用レール装置
JP2018065656A (ja) 着脱機構
CN117782782A (zh) 应用于海洋柔性管缆动态疲劳试验装置的可移动式张力加载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