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88398A - 개폐체의 잠금장치 - Google Patents

개폐체의 잠금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88398A
KR20180088398A KR1020187014928A KR20187014928A KR20180088398A KR 20180088398 A KR20180088398 A KR 20180088398A KR 1020187014928 A KR1020187014928 A KR 1020187014928A KR 20187014928 A KR20187014928 A KR 20187014928A KR 20180088398 A KR20180088398 A KR 2018008839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ir
base portion
opening
support
locking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70149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43073B1 (ko
Inventor
히사시 나카소네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파이오락꾸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파이오락꾸스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파이오락꾸스
Publication of KR201800883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8839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430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4307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83/00Vehicle lock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types of wing or vehicle
    • E05B83/28Locks for glove compartments, console boxes, fuel inlet covers or the like
    • E05B83/30Locks for glove compartments, console boxes, fuel inlet covers or the like for glove compart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7/00Stowing or holding appliances inside vehicle primarily intended for personal property smaller than suit-cases, e.g. travelling articles, or maps
    • B60R7/04Stowing or holding appliances inside vehicle primarily intended for personal property smaller than suit-cases, e.g. travelling articles, or maps in driver or passenger space, e.g. using racks
    • B60R7/06Stowing or holding appliances inside vehicle primarily intended for personal property smaller than suit-cases, e.g. travelling articles, or maps in driver or passenger space, e.g. using racks mounted on or below dashboard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CBOLTS OR FASTENING DEVICES FOR WINGS, SPECIALLY FOR DOORS OR WINDOWS
    • E05C1/00Fastening devices with bolts moving rectilinearly
    • E05C1/08Fastening devices with bolts moving rectilinearly with latching action
    • E05C1/12Fastening devices with bolts moving rectilinearly with latching action with operating handle or equivalent member moving otherwise than rigidly with the latch
    • E05C1/14Fastening devices with bolts moving rectilinearly with latching action with operating handle or equivalent member moving otherwise than rigidly with the latch the handle or member moving essentially towards or away from the plane of the wing or frame
    • E05C1/145Fastening devices with bolts moving rectilinearly with latching action with operating handle or equivalent member moving otherwise than rigidly with the latch the handle or member moving essentially towards or away from the plane of the wing or frame flush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CBOLTS OR FASTENING DEVICES FOR WINGS, SPECIALLY FOR DOORS OR WINDOWS
    • E05C21/00Arrangements or combinations of wing fastening, securing, or holding devices, not covered by a single preceding main group; Locking kit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CBOLTS OR FASTENING DEVICES FOR WINGS, SPECIALLY FOR DOORS OR WINDOWS
    • E05C3/00Fastening devices with bolts moving pivotally or rotatively
    • E05C3/12Fastening devices with bolts moving pivotally or rotatively with latching action
    • E05C3/16Fastening devices with bolts moving pivotally or rotatively with latching action with operating handle or equivalent member moving otherwise than rigidly with the latch
    • E05C3/22Fastening devices with bolts moving pivotally or rotatively with latching action with operating handle or equivalent member moving otherwise than rigidly with the latch the bolt being spring controlled
    • E05C3/30Fastening devices with bolts moving pivotally or rotatively with latching action with operating handle or equivalent member moving otherwise than rigidly with the latch the bolt being spring controlled in the form of a hook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CBOLTS OR FASTENING DEVICES FOR WINGS, SPECIALLY FOR DOORS OR WINDOWS
    • E05C9/00Arrangements of simultaneously actuated bolts or other securing devices at well-separated positions on the same wing
    • E05C9/04Arrangements of simultaneously actuated bolts or other securing devices at well-separated positions on the same wing with two sliding bars moved in opposite directions when fastening or unfastening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CBOLTS OR FASTENING DEVICES FOR WINGS, SPECIALLY FOR DOORS OR WINDOWS
    • E05C9/00Arrangements of simultaneously actuated bolts or other securing devices at well-separated positions on the same wing
    • E05C9/04Arrangements of simultaneously actuated bolts or other securing devices at well-separated positions on the same wing with two sliding bars moved in opposite directions when fastening or unfastening
    • E05C9/041Arrangements of simultaneously actuated bolts or other securing devices at well-separated positions on the same wing with two sliding bars moved in opposite directions when fastening or unfastening with rack and pinion mechanism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CBOLTS OR FASTENING DEVICES FOR WINGS, SPECIALLY FOR DOORS OR WINDOWS
    • E05C9/00Arrangements of simultaneously actuated bolts or other securing devices at well-separated positions on the same wing
    • E05C9/04Arrangements of simultaneously actuated bolts or other securing devices at well-separated positions on the same wing with two sliding bars moved in opposite directions when fastening or unfastening
    • E05C9/042Arrangements of simultaneously actuated bolts or other securing devices at well-separated positions on the same wing with two sliding bars moved in opposite directions when fastening or unfastening with pins engaging slo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Vehicle Step Arrangements And Article Storage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 Snaps, Bayonet Connections, Set Pins, And Snap Rings (AREA)

Abstract

로드가 연결되는 회전부재를 갖는 링크 유닛을 설치면에 간단히 부착할 수 있는 개폐체의 잠금장치를 제공한다. 이 잠금장치(10)는 잠금부와, 한 쌍의 로드(20,20)와, 잠금부로부터 로드(20)를 결합하거나 결합해제 조작하는 조작 유닛(30)과, 조작 유닛(30)과는 별체(別體)로서 베이스부(50) 및 회전부재(70)를 갖는 링크 유닛(40)을 가지며, 개폐체(5)는 링크 유닛(40)을 설치하는 설치면(7)을 가지며, 설치면(7)에 링크 유닛(40)을 결합시키는 유지부(80)가 마련되어 있고, 베이스부(50)는 휨 가능한 탄성 결합편(65)이 형성되어 있으며, 탄성 결합편(65)이 유지부(80)에 결합함으로써 베이스부(50)가 설치면(7)에 설치된다.

Description

개폐체의 잠금장치
본 발명은 고정체의 개구부에 개폐 가능하게 부착되는 개폐체를 닫힌 상태로 고정하기 위한 개폐체의 잠금장치에 관한 것이다.
예를 들어, 자동차의 글로브 박스 등의 고정체에 형성된 개구부에는 뚜껑 등의 개폐체가 개폐가능하게 부착되어 있다. 그리고, 개구부와 개폐체의 사이에는 개폐체를 닫을 때 잠금과 동시에, 개폐체를 열 때 잠금을 해제할 수 있도록 잠금장치가 설치되어 있다.
이러한 잠금장치로서, 예를 들어, 하기 특허문헌 1에는 글로브 박스의 개구부의 좌우 양측에 설치된 한 쌍의 잠금부와, 뚜껑에 설치되어 기단(基端) 측에 랙 홈을 구비한 한 쌍의 로드와, 계기판의 운전석 가까이에 배치되고 푸시식의 손잡이를 구비한 조작부와, 상기 한 쌍의 로드의 랙 홈에 치합하고 양 로드를 동기화하여 슬라이드시키는 기어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지판과, 일방의 로드를 잠금부 측으로 가압하는 스프링을 구비한 글로브 박스용 개폐 잠금장치가 기재되어 있다. 이 잠금장치에서는 로드를 조작하는 조작부와, 로드를 슬라이딩시키는 기어 및 그것을 지지하는 지지판과는 별개로 되어 있으며, 또한 기어를 지지하는 지지판은 복수의 비스(vis)나 나사 등에 의해 뚜껑에 나사 체결되어 고정되어 있다.
특허문헌1 : 일본 특개2005-104192호 공보
그러나, 상기의 글로브 박스용 잠금장치에서는 한 쌍의 로드의 잠금 홈에 치합하는 장치를 회전지지하는 지지판을, 뚜껑에 대해 복수의 비스(vis)나 나사 등으로 나사 체결하고 고정하여 부착하기 때문에 작업이 번잡하고 귀찮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로드가 연결되는 회전부재를 갖는 링크 유닛을 고정체 또는 개폐체의 설치면에 간단히 부착할 수 있는 개폐체의 잠금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고정체의 개구부에 개폐 가능하게 부착되는 개폐체의 잠금장치로서, 상기 고정체의 개구부 또는 개폐체의 어느 일측에 마련된 잠금부와, 상기 고정체 또는 상기 개폐체의 어느 다른 일측에 배치되고, 상기 잠금부에 결합되거나 결합해제되는 한 쌍의 로드와, 상기 잠금부로부터 상기 로드를 결합하거나 결합해제 조작하는 조작 유닛과, 상기 조작 유닛과는 별체로서, 베이스부 및 상기 베이스부에 지지부를 통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동시에, 상기 한 쌍의 로드가 연결되는 회전부재를 갖는 링크 유닛을 가지며, 상기 개폐체 또는 상기 고정체는 상기 링크 유닛을 설치하는 설치면을 갖고, 상기 설치면에 상기 링크 유닛을 유지하는 유지부가 마련되어 있으며, 상기 베이스부 또는 상기 유지부의 일측에 휨 가능한 탄성 결합편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탄성 결합편이 상기 베이스부 또는 상기 유지부의 다른 일측에 결합함으로써 상기 베이스부가 상기 설치면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개폐체의 잠금장치에 있어서는, 상기 개폐체 또는 상기 고정체의 유지부는 한 쌍의 지지벽을 가지고 있으며, 상기 베이스부는 상기 한 쌍의 지지벽의 내측에 배치되는 한 쌍의 지지편을 가지고 있으며, 상기 설치면에 대하여 수직 방향으로 상기 베이스부를 빠짐 방지하기 위한 빠짐 방지부가 상기 한 쌍의 지지벽 및 상기 한 쌍의 지지편에 설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개폐체의 잠금장치에 있어서는, 상기 베이스부는 상기 로드가 배치되는 바닥면을 가지며, 상기 설치면에 대하여 수직 방향으로 상기 베이스부를 빠짐 방지하기 위한 규제면을 가지는 빠짐 방지부가, 상기 베이스부의 바닥면 이상이고, 또한 상기 로드의 천정면 이하인 위치에 설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개폐체의 잠금장치에 있어서는, 상기 베이스부의 한 쌍의 지지편은 상기 한 쌍의 로드가 상기 회전부재의 회전에 따라 슬라이드할 때의 가이드를 이루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개폐체의 잠금장치에 있어서는, 상기 지지벽에 오목부 또는 구멍(孔)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탄성 결합편은 상기 지지편에 형성되어 상기 오목부 또는 구멍부에 결합함과 동시에, 상기 한 쌍의 지지편의 사이에 배치되는 로드에 의해 휨이 규제되도록 설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개폐체의 잠금장치에 있어서는, 상기 개폐체 또는 상기 고정체의 유지부는 상기 설치면의 수직 방향에 대하여 교차하는 방향으로부터 상기 베이스부를 수용하는 수용부를 가지고 있으며, 상기 탄성 결합편은 상기 베이스부의 바닥면 측에 형성되어 있고, 상기 유지부의 수용부에 상기 베이스부가 삽입되었을 때, 상기 유지부의 수용부의 내측에 결합하여 상기 수용부로부터 상기 베이스부를 빠짐 방지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의하면, 조작 유닛과는 별체로 된 링크 유닛을 고정체 또는 개폐체의 설치면에 배치하고, 베이스부 또는 유지부의 일측에 마련한 탄성 결합편을 베이스부 또는 유지부의 다른 일측에 결합시키는 정도의 간단한 작업을 통해 설치면에 링크 유닛을 부착할 수 있어, 나사 체결 등으로 부착하는 경우에 비해 링크 유닛의 부착 작업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링크 유닛을 조작 유닛과는 별체로 마련함으로써, 레이아웃의 자유도를 높여 잠금장치의 설치 공간을 박형화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개폐체의 잠금장치의 제1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동일 잠금장치의 설명도이다.
도 3은 동일 잠금장치를 구성하는 조작 유닛의 설명도이다.
도 4는 동일 잠금장치를 구성하는 링크 유닛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동일 잠금장치에 있어서, 설치면에 링크 유닛을 부착할 때의 사시도이다.
도 6은 동일 잠금장치에 있어서, 로드를 회전부재에 부착하지 않은 상태에서의 도 2의 A-A 화살표시선의 단면도이다.
도 7은 도 2의 A-A 화살표시선의 단면도이다.
도 8은 동일 잠금장치에 있어서, 개폐체를 닫은 상태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개폐체의 잠금장치의 제2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요부 확대 분해 사시도이다.
도 10은 동일 잠금장치의 설명도이다.
도 11은 동일 잠금장치를 구성하는 링크 유닛의 베이스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2는 도 10의 B-B 화살표시선의 단면도이다.
도 13은 도 10의 C-C 화살표시선의 단면도이다.
도 14는 도 10의 D-D 화살표시선의 단면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개폐체의 잠금장치의 제3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요부 확대 설명도이다.
도 16은 도 15의 E-E 화살표시선의 단면도이다.
도 17은 본 발명에 따른 개폐체의 잠금장치의 제4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요부 확대 단면도이다.
도 18은 본 발명에 따른 개폐체의 잠금장치의 제5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요부 확대 단면도이다.
이하, 도 1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개폐체의 잠금장치의 제1 실시형태에 대해 설명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개폐체의 잠금장치(10)(이하 "잠금장치(10)")는, 예를 들어 차량의 계기판에 설치된 글로브 박스 등의 고정체(1)의 개구부(2)에 개폐 가능하게 부착되는 개폐체(5)를 개폐 잠금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이다.
또한, 개폐체의 잠금장치로는, 예를 들어, 계기판의 개구부에 상자 형상의 글러브 박스가 회동 가능하게 부착된 구조에 적용하거나(이 경우, 계기판이 「고정체」, 글로브 박스가 「개폐체」를 이룬다), 또는 계기판의 개구부에 뚜껑이 개폐 가능하게 부착된 구조(이 경우, 계기판이 「고정체」, 뚜껑이 「개폐체」를 이룬다)에 적용하거나 해도 좋고, 고정체의 개구부를 개폐하는 각종 개폐체에 널리 사용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서는 고정체(1)의 개구부(2)의 내면에 오목(凹) 형상의 잠금부(3,3)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잠금부는 오목 형상이 아니더라도 구멍(孔) 형상이나 돌기 형상, 프레임 형상 등이어도 좋고, 또한 고정체가 아니라 개폐체에 설치해도 좋고,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의 잠금장치(10)는 개폐체(5)에 배치되고, 잠금부(3,3)에 결합되거나 결합해제되는 한 쌍의 로드(20,20)와, 잠금부(3)로부터 로드(20)를 결합하거나 결합해제 조작하는 조작 유닛(30)과, 상기 조작 유닛(30)과는 별체(別體)이며, 베이스부(50) 및 베이스(50)에 지지부를 통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동시에 한 쌍의 로드(20,20)가 연결되는 회전부재(70)를 갖는 링크 유닛(40)을 가지고 있다. 또한, 회전부재(70)를 회전 가압하여 로드(20,20)를 잠금부(3,3) 측으로 향하도록 가압하는 토션 스프링으로 구성된 가압 스프링(25)을 가지고 있다.
또한,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의 개폐체(5)는 가로 방향으로 긴 판(橫長板) 형상을 이루고 있는 동시에, 링크 유닛(40)을 설치하는 설치면(7)을 가지고 있으며, 상기 설치면(7)에 링크 유닛(40)을 유지하는 유지부(80)가 설치되어 있다.
도 5를 함께 참조하면,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유지부(80)는 대향하여 배치된 한 쌍의 지지벽(81,81)을 가지고 있다. 각 지지벽(81)은 설치면(7)으로부터 소정 길이로 입설(立設)된 가늘고 긴 판(細長板) 형상을 이루고 있다. 또한, 지지벽(81)은 그 폭방향 양측에 직교하여 연결된 측벽(83,83)을 가지고 있는 동시에, 각 측벽(83)의 외면 소정 위치로부터 외측으로 연장 돌출된 연장 돌출벽(84,84)을 가지고 있다. 또한, 이 유지부(80)에서는 한 쌍의 지지벽(81,81)이 서로 평행이 되도록 배치되고, 또한 각 지지벽(81)의 측벽(83,83)끼리 서로 떨어진 방향이 되도록 배치되어 있다. 또한, 각 지지벽(81)의 상부 측에는 직사각형 형상(여기에서는 사각형)의 구멍부(85)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쌍의 지지벽(81,81)의 구멍부(85,85)에 링크 유닛(40)의 베이스부(50)의 후술하는 탄성 결합편(65,65)이 결합하여 설치면(7)에 링크 유닛(40)이 설치된다.
또한, 유지부를 구성하는 지지벽으로는 링크 유닛을 유지할 수 있는 형상이라면, 그 형상이나 구조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이 실시형태의 지지벽(81)은 그 상부 측에 구멍부(85)를 설치하여, 개폐체(5)의 설치면(7)에 대하여 소정 틈새를 통해 지지벽 상부 측에 링크 유닛(40)이 설치되어 있지만, 지지벽(81)을 짧게 형성하여 링크 유닛(40)의 베이스부(50)를 설치면(7)에 맞닿은 상태로 설치하여도 물론 좋다. 또한, 지지벽에는 구멍부 대신 관통하지 않는 오목(凹)부를 형성하여도 좋고, 탄성 결합편을 결합 가능하다면 좋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개폐체(5) 측의 설치면(7)을 링크 유닛(40)을 설치하는 설치면으로 했지만, 고정체(1) 측의 설치면을 링크 유닛(40)을 설치하는 설치면으로 해도 좋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로드(20)는 양자 동일 형상이며, 그 축 방향 중간이 크랭크 형상으로 굴곡된 형상을 이루고 있으며, 그 선단부(21)가 잠금부(3)에 결합되거나 결합해제된다. 또한, 각 로드(20)의 기부(22) 측에는 연결 오목부(22a)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연결 오목부(22a)에 회전부재(70)의 후술하는 로드 연결부(77)가 연결되어 회전부재(70)에 한 쌍의 로드(20,20)가 연결된다.
또한, 각 로드(20)의 선단부(21) 가까운 위치에는 프레임 형상부(23)가 형성되어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측의 프레임 형상부(23) 내에는 개폐체(5)의 설치면(7)으로부터 돌출된 가이드 돌기(7a)가 들어가서 로드(20)의 슬라이드 동작이 가이드된다. 다른 일측의 프레임 형상부(23) 내에는 조작 유닛(30)의 조작편(33a)(도 2 및 도 3 참조)이 들어가서 로드(20)가 슬라이드 조작된다. 또한, 로드(20)는 베이스부(50)의 바닥면(51a) 상에 배치되는데(도 7 참조), 로드(20)의 바닥면(51a) 측과는 반대측의 면이 천정면(26)을 이루고 있다.
또한, 로드의 형상이나 구조 등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본 실시형태의 로드(20)는 개폐체 측에 배치되어 있지만, 고정체 측에 배치되어 있어도 좋다.
다음으로, 조작 유닛(30)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 조작 유닛(30)은 링크 유닛(40)과 별체로 설치되어 있는 것으로서, 이 실시형태의 경우, 개폐체(5)에 고정되는 고정체(31)와, 상기 고정체(31)에 개폐체(5)의 면 방향에 대하여 근접이반(近接離反)하도록 부착되는 조작 노브(33)로 이루어진다. 조작 노브(33)에는 조작편(33a)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것이 다른 일측의 로드(20)의 프레임 형상부(23) 내로 들어가서 상기 로드(20)를 슬라이드 조작하도록 되어 있다(도 2 및 도 3 참조).
또한, 조작 유닛(30)은, 예를 들어, 개폐체나 고정체의 면 방향에 따라 회전하는 회전 노브나 회전 핸들, 또는 면 방향에 대하여 밀어 넣는 푸시(push)식으로 해도 좋고, 잠금부(3)로부터 로드(20)를 결합하거나 결합해제 조작 가능하면, 그 구조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조작 유닛(30)은 고정체 측에 부착되어 있어도 좋다.
다음으로, 링크 유닛(40)에 대하여 설명한다.
먼저, 도 4를 참조하여 베이스부(50)에 대해 설명한다. 이 베이스부(50)에는 휨 가능한 탄성 결합편(65)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탄성 결합편(65)이 설치면(7)에 설치된 유지부(80)에 결합함으로써, 베이스부(50)가 설치면(7)에 설치되도록 구성되어 있다(도 6 참조).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의 베이스(50)는 대략 원판 형상을 이루고 바닥부(51)를 가지고 있다. 이 바닥부(51)의 일측의 면이 상기 한 쌍의 로드(20,20)가 배치되는 바닥면(51a)을 이루고 있다.
또한, 바닥부(51)의 바닥면(51a)의 중심으로부터 회전부재(70)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축부(54)가 돌출되어 있다. 상기 축부(54)는 기부 측이 선단 측보다 확경하고, 기부 측 외주에는 가압 스프링(25)의 일단이 삽입 걸림되는 스프링 걸림홈(54a)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축부(54)의 선단 외주로부터는 한 쌍의 돌기(54b,54b)가 돌출되어 있으며, 베이스부(50)에 대하여 회전부재(70)를 빠짐 방지 유지한다.
또한, 도 4 및 후술하는 실시형태의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닥부(51)의 축부(54)의 외주에는 슬릿을 통해 휨 가능한 회전 규제편(53)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 회전부재(70)의 소정 부분에 걸림되어 이 회전부재(70)의 회전 규제를 도모하고 있다.
또한, 상기 바닥부(51)의 외주이며, 원주 방향에 대향하는 부분에는 한 쌍의 연장 돌출부(52,52)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연장 돌출부(52,52)를 통해 한 쌍의 지지편(61 61)이 서로 평행이 되도록 입설(立設)되어 있다. 이들의 한 쌍의 지지편(61,61)이 유지부(80)를 구성하는 한 쌍의 지지벽(81,81)의 내측에 배치된다(도 6 참조). 또한, 본 실시형태의 경우, 한 쌍의 지지편(61,61)의 외면끼리의 거리는 상기 한 쌍의 지지벽(81,81)의 내면 간의 거리에 적합하도록 설정되어 있다(도 6 참조).
또한, 한 쌍의 지지편(61,61)은, 회전부재(70)에 한 쌍의 로드(20,20)가 연결되었을 때, 상기 한 쌍의 로드(20,20)의 외면 측에 배치되고(도 2 및 도 7 참조), 한 쌍의 로드(20,20)가 회전부재(70)의 회전에 따라 슬라이드할 때의 가이드를 이루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각 지지편(61)의 외면 측에는 그 폭 방향 가장자리를 따라 연장하는 측벽(62,62)과, 이러한 측벽(62,62)의 상단(바닥면(51a)으로부터 떨어진 단부)에 연결된 천정벽(63)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로 인해 하방(바닥면(51a) 측) 및 측방이 개구된 대략 コ자 프레임 형상을 이루고 있다. 또한, 한 쌍의 측벽(62,62)의 간격은 상기 유지부(80)의 지지벽(81)의 폭에 적합한 거리로 되어 있다(도 5 참조).
그리고, 한 쌍의 측벽(62,62)의 사이에, 유지부(80)를 구성하는 지지벽(81)의 선단부 측이 삽입됨으로써 지지편(61)의 설치면(7)의 면 방향 측의 위치 어긋남이 방지되는 동시에, 지지벽(81)의 선단부가 천정벽(63)에 걸림되어 지지편(61)이 지지된다(도 5 및 도 6 참조).
또한, 각 지지편(61)에는 대략 コ자 형상을 이룬 슬릿(61a)을 통해, 휨 가능한 탄성 결합편(65)이 형성되어 있다. 이 탄성 결합편(65)은 그 기부 측이 상기 연장 돌출부(52)에 연결되고, 자유단 측을 천정벽(63) 측으로 향하여 형성되어 있다. 또한, 각 탄성 결합편(65)의 외면 측에는 결합 돌기부(66)가 돌출되어 있으며, 상기 결합 돌기부(66)의 규제면(66a)(천정벽(63) 측(63)으로 향한 면)이 유지부(80)의 지지벽(81)의 구멍부(85)의 규제면(85a)(지지벽(81)의 입설 방향 선단측의 내주면)에 결합하여, 설치면(7)에 대하여 수직 방향으로 베이스부(50)를 빠짐 방지한다(도 6 참조).
즉, 본 실시형태에서는 탄성 결합편(65)의 결합 돌기부(66) 및 유지부(80)의지지벽(81)의 구멍부(85)가, 본 발명의 설치면에 대하여 수직 방향으로 베이스부를 빠짐 방지하기 위한 「빠짐 방지부」를 이루고 있다. 또한, 이 빠짐 방지부의 「규제면」, 즉 탄성 결합편(65)의 결합 돌기부(66)의 규제면(66a) 및 지지벽(81)의 구멍부(85)의 규제면(85a)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부(50)의 바닥면(51a) 이상이고, 또한 로드(20)의 천정면(26) 이하인 위치에 설치되어 있다.
또한, 각 탄성 결합편(65)은 한 쌍의 지지편(61,61) 사이에 배치되는 로드(20,20)에 따라 그 휨이 규제되도록 설치되어 있다. 여기에서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부재(70)에 한 쌍의 로드(20,20)가 연결되어 한 쌍의 지지편(61,61)의 사이에 로드(20,20)가 배치되었을 때, 한 쌍의 탄성 결합편(65,65)이 한 쌍의 로드(20,20)의 외면 측에 접촉 또는 근접하여 배치되도록 되어 있으며, 이 로드(20)에 의해 탄성 결합편(65)의 휨이 규제된다.
또한, 상기 탄성 결합편의 형상은 상기 형태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유지부에 결합 가능하다면 좋다. 또한, 탄성 결합편은 구멍부 대신 오목부에 결합하는 형태이어도 상관없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탄성 결합편은 베이스부에 설치되어 있지만, 개폐체 또는 고정체의 설치면에 마련된 유지부에 형성되어도 좋다. 이 경우, 유지부에 마련된 탄성 결합편은 베이스부에 결합하게 된다(이 태양에 대해서는, 후술의 실시형태에서 설명한다). 또한, 상기 「빠짐 방지부」로서는, 예를 들어, 베이스부의 지지편 측에 오목부나 구멍부를 설치하고, 개폐체 또는 고정체에 형성되는 유지부 측에 탄성 결합편을 설치하여도 좋고(이 태양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설치면에 대하여, 베이스부를 수직 방향으로 빠짐 방지 가능하다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탄성 결합편(65)이 설치면(7)에 설치한 유지부(80)에 결합함으로써 베이스부(50)가 설치면(7)에 설치되지만, 본 발명에 있어서의 「베이스부가 설치면에 설치된다」는 베이스부가 설치면 상에 맞닿아 설치되는 경우나, 본 실시형태와 같이 베이스부(50)가 설치면(7)에 맞닿지 않고 소정 틈새를 통해 이격되어 설치된 경우(도 7 참조), 또한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부의 바닥면이 설치면과는 반대측으로 향하도록 설치된 경우도 포함하며, 베이스부가 설치면에 대하여 움직이지 않도록 고정된 상태로 설치되는 것을 의미하고 있다.
다음으로, 회전부재(70)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의 회전부재(70)는 상부 측에 천정판(72)을 설치한 대략 원통 형상을 이룬 본체(71)와, 상기 본체(71)의 기단 개구 측 가장자리이며, 둘레 방향에 대향하는 부분으로부터 바깥쪽으로 연장 설치한 한 쌍의 연출편(延出片;75,75)과, 각 연출편(75)의 표면으로부터 상기 천정판(72) 측으로 향하여 돌출하여 상기 로드(20)의 연결 오목부(22a)에 삽입되어 연결하는, 대략 구형의 로드 연결부(77,77)를 가지고 있다.
또한, 각 로드 연결부(77)가 각 로드(20)의 연결 오목부(22a)에 삽입되어 결합된 상태에서는, 각 로드(20)는 그 길이 방향으로는 유격이 없는 한편, 길이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소정의 유격을 갖도록 연결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상기 천정판(72)의 중앙에는 홈(73a,73a)을 갖는 축공(73)이 형성되어 있다. 이 홈(73a,73a)에 축부(54)의 돌기(54b,54b)를 정합(整合)시켜 축공(73)에 축부(54)를 삽입 관통하고, 회전부재(70)를 회전시킴으로써 베이스부(50)에 대하여 회전부재(70)가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고 또한 빠짐 방지 상태로 장착된다. 즉, 축공(73)과 축부(54)가 본 발명에서의 「지지부」를 이루고 있다. 또한, 이 지지부로는, 예를 들어 축부를 회전부재 측에 설치하고, 축공을 베이스부 측에 설치하여도 좋고, 베이스부에 회전부재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 가능하다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상기와 같이 베이스부(50)에 회전부재(70)를 빠짐 방지시켜 장착된 상태에서는 본체(71)의 원주 벽과, 상기 한 쌍의 지지편(61,61)이 로드(20,20)를 수용 가능한 틈새를 통해 대향 배치되도록 되어 있으며(도 6 참조), 베이스부(50)의 바닥면(51a)에 대해 수직 방향으로부터 로드(20,20)를 삽입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한, 천정판(72)의 축공(73)의 외주 위치는 가압 스프링(25)의 타단을 걸림되게 하는 스프링 걸림편(74)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회전부재(70)는 가압 스프링(25)에 의해 도 2의 화살표 F 방향으로 회전 가압되어 있으며, 이를 통해 회전부재(70)에 연결된 한 쌍의 로드(20,20)가 한 쌍의 잠금부(3,3)에 결합하는 방향으로 가압되어 있다. 또한, 회전부재(70)에 연결된 한 쌍의 로드(20,20)는 동기화하여 슬라이드 동작하도록 되어 있으며, 일측의 로드(20)가 슬라이드 했을 경우에는 그에 연동하여 다른 로드(20)도 슬라이드 한다.
또한, 한 쌍의 로드를 슬라이드 동작시키는 회전부재로는, 본 실시형태와 같은 회전부재(70) 뿐만 아니라, 예를 들어 피니언 기어를 채용함과 동시에 한 쌍의 로드에 랙 홈을 각각 형성하여 이 랙 홈에 상기 피니언 기어를 치합시키고, 일측의 로드를 슬라이드시킴으로써, 피니언 기어를 통해 다른 일측의 로드를 슬라이드 시키도록 하여도 좋고, 특별히 한정은 되지 않는다.
다음으로, 상기 구성으로 이루어진 잠금장치(10)의 작용 효과에 대해 설명한다.
먼저, 링크 유닛(40)의 조립 순서에 대해서 설명한다. 즉, 가압 스프링(25)의 일단을 베이스부(50)의 스프링 걸림홈(54a)에 걸리게 함과 동시에, 이 가압 스프링(25)의 타단을 회전부재(70)의 스프링 걸림편(74)에 걸리게 한 후, 가압 스프링(25)의 회전 가압력에 대항하여 회전부재(70)의 홈(73a,73a)에 축부(54)의 돌기(54b,54b)를 정합시키고 축공(73)에 축부(54)를 삽입 통과시킴으로써, 가압 스프링(25)에 의해 회전부재(70)가 회전 가압되고 축부(54)의 돌기(54b)가 축공(73)의 표면 가장자리에 위치하므로, 베이스부(50)에 회전부재(70)가 회전 가능하게, 또한 빠짐 방지 상태로 장착되어 도 5에 도시된 링크 유닛(40)이 구성된다.
그리고,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부(50)의 한 쌍의 지지편(61,61)을 유지부(80)의 한 쌍의 지지벽(81,81)의 내측에 정합하도록 배치하고, 그 상태에서 링크 유닛(40)을 개폐체(5)의 설치면(7)에 대해 근접하게 한다. 그러면, 지지편 외면의 한 쌍의 측벽(62,62)의 사이에 지지벽(81)의 선단부 측이 삽입되는 동시에 탄성 결합편(65)의 외면이 지지벽(81)에 가압되어 탄성 결합편(65)이 휘어지고, 그 결합 돌기부(66)가 지지벽(81)의 구멍부(85)에 도달하면 탄성 결합편(65)이 탄성 복귀하고, 결합 돌기부(66)의 규제면(66a)이 구멍부(85)의 규제면(85a)에 결합하고, 유지부(80)에 탄성 결합편(65)이 결합함과 동시에 지지벽(81)의 선단부가 지지편(61)의 천정벽(63)에 걸림된다(도 6 참조).
이 상태에서는 지지편(61)의 한 쌍의 측벽(62,62) 사이에 지지벽(81)이 들어감으로써 링크 유닛(40)의 설치면(7)의 면 방향으로의 위치 어긋남을 방지할 수 있는 동시에, 탄성 결합편(65)의 결합 돌기부(66)가 지지벽(81)의 구멍부(85)에 결합함으로써 링크 유닛(40)을 설치면(7)의 수직 방향에 대하여 빠짐 방지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링크 유닛(40)이 설치면(7)에 설치된 상태에서 베이스부(50)의 바닥면(51a)에 대하여 수직 방향으로부터 본체(71)의 원주 벽과 한 쌍의 지지편(61,61)의 틈새에 한 쌍의 로드(20,20)를 각각 꽂아넣고, 로드(20)의 연결 오목부(22a)에 회전부재(70)의 로드 연결부(77)를 연결시킴으로써 한 쌍의 로드(20,20)가 회전부재(70)에 연결된다.
그리고, 이 잠금장치(10)에 의하면, 조작 유닛(30)과는 별체(別體)로 된 링크 유닛(40)을 개폐체(5)의 설치면(7)에 배치하고, 베이스부(50)에 설치한 탄성 결합편(65)을 설치면(7)에 설치한 유지부(80)에 결합시킬 뿐인 간단한 작업에 의해 설치면(7)에 링크 유닛(40)을 부착할 수 있어, 나사 체결 등으로 부착하는 경우에 비해 링크 유닛(40)의 부착 작업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링크 유닛(40)을 조작 유닛(30)과는 별체로 설치함으로써 레이아웃의 자유도를 높이고 잠금장치(10)의 설치 공간을 박형화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지부(80)의 한 쌍의 지지벽(81,81)의 내측에 베이스부(50)의 한 쌍의 지지편(61,61)이 배치되고, 여기에 상기 빠짐 방지부가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한 쌍의 지지벽(81,81)과 한 쌍의 지지편(61,61)이 요동하는 것을 억제하면서 베이스부(50)의 빠짐 방지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설치면(7)에 대하여 수직 방향으로 베이스부(50)를 빠짐 방지하기 위한 규제면(여기에서는 결합 돌기부(66)의 규제면(66a) 및 구멍부(85)의 규제면(85a))을 갖는 빠짐 방지부(여기에서는 탄성 결합편(65)의 결합 돌기부(66) 및 지지벽(81)의 구멍부(85))가 베이스 (50)의 바닥면(51a) 이상이고, 또한 로드(20) 천정면(26) 이하인 위치에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빠짐 방지부와, 로드(20)의 배치 공간을 링크 유닛(40)의 두께 방향으로 랩시켜 배치할 수 있으며, 그것에 의해 링크 유닛(40)을 얇게할 수 있고, 소형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이 실시형태에서는 베이스부(50)의 한 쌍의 지지편(61,61)이 한 쌍의로드(20,20)의 외면 측에 배치되고(도 7 참조), 한 쌍의 로드(20,20)가 회전부재(70)의 회전에 따라 슬라이드할 때의 가이드를 이루도록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한 쌍의 지지편(61,61)을 이용하여 베이스부(50)의 빠짐 방지를 도모하면서 한 쌍의 로드(20,20)의 슬라이드 가이드 구조를 간단히 설치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탄성 결합편(65)은 지지편 (61)에 형성되어 오목 또는 구멍부(여기에서는 구멍부(85))에 결합함과 동시에, 한 쌍의 지지편(61,61)의 사이에 배치되는 로드(20)에 의해 그 휨이 규제되도록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설치면(7)에 베이스부(50)가 빠짐 방지된 상태에서 회전부재(70)에 로드(20)를 연결시키면 탄성 결합편(65)의 휨을 규제할 수 있으며, 유지부(80)에 대한 탄성 결합편(65)의 결합 강도를 높이고, 설치면(7)에 대한 링크 유닛(40)의 부착 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이 잠금장치(10)에서는 고정체(1)의 개구부(2)에 대하여 개폐체(5)를 닫고, 한 쌍의 로드(20,20)의 선단부(21,21)가 고정체(1) 측의 한 쌍의 잠금부(3,3)에 결합함으로써 개폐체(5)가 닫힌 상태로 잠금된다(도 2 참조). 이 상태로부터 조작 유닛(30)의 조작 노브(33)를 조작하고, 조작편(33a)을 통해 일측의 로드(20)가 개폐체(5)의 내측으로 인입하게 되면, 회전부재(70)를 통해 타측의 로드(20)도 개폐체(5)의 내측으로 인입하게 되고, 한 쌍의 로드(20,20)의 선단부(21,21)와 한 쌍의 잠금부(3,3)의 결합이 해제되어, 고정체(1)의 개구부(2)로부터 개폐체(5)를 열 수 있다(도 8 참조).
도 9 내지 14에는 본 발명에 따른 개폐체의 잠금장치의 제2 실시형태가 도시되어 있다. 또한, 상기 실시형태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부분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그 설명을 생략한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의 개폐체의 잠금장치(10A)(이하 「잠금장치(10A)」)는 유지부의 구조가 상기 실시형태와 다르다.
즉,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의 유지부(90)는 설치면(7)의 수직 방향에 대하여 교차하는 방향으로부터 베이스부(50)를 수용하는 수용부(95)를 가지고 있다.
상술하면, 이 유지부(90)는 개폐체(5)의 설치면(7)으로부터 대향하여 배치된 한 쌍의 지지벽(91,91)을 가지고 있다. 또한, 한 쌍의 지지벽(91,91)은 그 상단부에 서로 접근 방향으로 향하여 돌출하는 걸림벽(92,92)을 가지고 있다. 또한, 한 쌍의 지지벽(91,91)의 링크 유닛(40)의 수용 방향 전방 측의 일 측부에는 측벽(93,93)이 각각 형성되어 있고, 상기 걸림벽(92,92)과 함께 한 쌍의 지지벽(91,91)의 내면 측에 오목부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한 쌍의 지지벽(91,91)의 내면 사이의 거리는 링크 유닛(40)의 한 쌍의 지지편(61,61)의 측벽(62,62)의 바깥쪽으로의 돌출 단면끼리의 거리에 적합하도록 설정되어 있다(도 12 참조). 또한, 각 지지벽(91)의 외면 측에는 복수의 보강벽(91a)이 설치되어 있다.
또한, 한 쌍의 지지벽(91,91)의 사이에는 복수의 벽부에 둘러싸임과 동시에 내부가 복수의 분할 벽으로 나누어진 상측이 개구된 박스 형상의 걸림부(97)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걸림부(97)의 상면과 각 지지벽(91)의 걸림벽(92)의 거리는, 링크 유닛(40)의 지지편(61)의 높이(바닥부(51)의 후면으로부터 걸림벽(92)의 상면까지의 거리)에 적합한 길이로 되어 있다(도 12 참조). 그리고, 상기 한 쌍의 지지벽(91,91), 걸림벽(92,92), 측벽(93,93), 그것들의 내면 측의 오목부, 또한 박스 형상의 걸림부(97)에 의해 둘러싸인 공간이 베이스부(50)를 수용하는 수용부(95)를 이루고 있다(도 9 및 도 12 참조).
한편, 이 실시형태에서 링크 유닛(40)은, 베이스부(50A)의 구조가 상기 실시형태의 링크 유닛(40)의 베이스부(50)와 다르다. 즉,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쌍의 지지편(61,61)에는 탄성 결합편(65)이 설치되어 있지 않고, 베이스부(50A)의 바닥면(51a) 측, 여기에서는 바닥부(51)의 원주 방향 소정 위치에, 외면에 결합 돌기부(56)를 갖는 탄성 결합편(55)이 슬릿(55a)을 통해 휨 가능하게 형성되어 있다. 이 탄성 결합편(55)이 형성된 베이스부(50A)의 바닥부(51)가 이 실시형태에서의 본 발명의 「결합부」를 이루고 있다.
그리고,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링크 유닛(40)의 베이스부(50A)가 유지부 (90)의 수용부(95)의 개구 방향으로부터 삽입되면, 베이스부(50A)가 걸림부(97) 상에 배치되고, 그 한 쌍의 지지편(61,61)이 유지부(90)의 한 쌍의 지지벽(91,91)의 내측에 배치되는 동시에(도 12 참조), 각 지지편(61)의 측벽(62)이 각 지지벽(91)의 측벽(93,93)에 맞닿아 베이스부(50A)의 삽입 규제가 이루어진다(도 14 참조).
또한, 베이스부(50A)의 한 쌍의 지지편(61,61)의 천정벽(63,63)의 규제면(63a,63a)(바닥면(51a)으로부터 이반(離反)한 면)이 유지부(90)의 한 쌍의 지지벽(91,91)의 걸림벽(92,92)의 규제면(92a,92a)(설치면(7) 쪽으로 향한 면)에 걸림되고, 설치면(7)에 대하여 수직 방향 측으로 베이스부(50A)가 빠짐 방지된다(도 12 참조). 즉, 본 실시형태에서는 베이스부(50A)의 지지편(61)의 천정벽(63)과, 유지부(90)의 지지벽(91)의 걸림벽(92)이 본 발명의 「빠짐 방지부」를 이루고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빠짐 방지부의 「규제면」, 즉 지지편(61)의 천정벽(63)의 규제면(63a), 및 지지벽(91)의 걸림벽(92)의 규제면(92a)은 로드(20)의 천정면(26)에 일치하는 위치에 설치되어 있다.
또한, 베이스부(50A)의 탄성 결합편(55)의 결합 돌기부(56)가 걸림부(97)의 내면 측 가장자리에 결합하여, 수용부(95)의 개구로부터 베이스부(50A)가 빠져나가지 않도록 베이스부(50A)가 빠짐 방지된다(도 13 참조).
그리고, 본 실시형태에서는, 탄성 결합편(55)은 베이스부(50A)의 바닥면 측에 형성되고, 유지부(90)의 수용부(95)에 베이스부(50A)가 삽입되었을 때 유지부(90)의 수용부(95)의 내측에 결합하여 수용부(95)로부터 베이스부(50A)를 빠짐 방지하도록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설치면(7)의 수직 방향에의 빠짐 방지력이 수용부(95)에 의해 유지되고 탄성 결합편(55)에 걸리지 않아 설치면(7)에 대하여 베이스부(50A)를 단단히 빠짐 방지할 수 있다.
도 15 및 도 16에는 본 발명에 따른 개폐체의 잠금장치의 제3 실시형태가 도시되어 있다. 또한, 상기 실시형태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부분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그 설명을 생략한다.
도 15 및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의 개폐체의 잠금장치(10B)(이하 「잠금장치 10B」)는 링크 유닛(40)의 베이스부(50B)의 설치면(7)에 대한 설치 방향이 다르다.
즉, 본 실시형태에서는 링크 유닛(40)의 베이스부(50B)의 한 쌍의 지지편(61,61)의 기부 측 외주면으로부터 플랜지부(67)가 돌출되어 있다. 그리고, 베이스부(50B)의 한 쌍의 지지편(61,61)의 선단부 측을 설치면(7) 측으로 향하여 한 쌍의 지지벽(81,81)의 사이에 삽입함으로써 한 쌍의 지지벽(81,81)의 선단부가 베이스부(50B)의 플랜지부(67)에 걸림과 동시에, 한 쌍의 탄성 결합편(65,65)의 결합 돌기부(66,66)의 규제면(66a,66a)이 한 쌍의 지지벽(81,81)의 구멍부(85,85)의 규제면(85a,85a)에 결합하여, 설치면(7)에 대해 수직 방향으로 베이스부(50B)를 빠짐 방지하여 설치할 수 있다. 그 후, 베이스부(50B)와 설치면(7)의 공극에 로드(20)를 꽂아넣어 베이스부(50B)를 향해 밀어 넣음으로써, 로드(20)가 회전부재(70)에 연결된다(도 16의 화살표 참조).
이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서는, 베이스부(50B)의 바닥면(51a)이 설치면(7)과는 반대측으로 향하여 설치된다. 또한, 본 실시형태의 경우, 설치면(7)과 베이스부(50B)의 사이에 회전부재(70) 및 한 쌍의 로드(20,20)가 끼어들어 배치되게 되므로, 그것들의 탈락이나 빠짐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도 17에는 본 발명에 따른 개폐체의 잠금장치의 제4 실시형태가 도시되어 있다. 또한, 상기 실시형태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부분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그 설명을 생략한다.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의 개폐체의 잠금장치(10C)(이하 「잠금장치(10C)」)는 개폐체(5)(고정체(1)라도 좋음)의 설치면(7)에 설치한 유지부(80)의, 한 쌍의 지지벽(81,81)에 슬릿(86)을 통해 휨 가능한 탄성 결합편(87)이 형성되어 있다. 이 탄성 결합편(87)의 내면 측에, 설치면(7) 측에 평탄면 형상의 규제면(88a)을 갖는 결합 돌기부(88)가 돌출되어 있다. 한편, 베이스부(50C)의 한 쌍의 지지편(61,61)에는 탄성 결합편(87)의 결합 돌기부(88)가 결합하는 구멍부(68)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베이스부(50C)의 바닥부(51)를 설치면(7)으로 향하여 압입하여, 베이스부(50C)의 한 쌍의 지지편(61,61)에 유지부(80)의 한 쌍의 지지벽(81,81)의 사이에 삽입함으로써, 한 쌍의 탄성 결합편(87,87)의 결합 돌기부(88,88)의 규제면(88a,88a)이 한 쌍의 지지편(61,61)의 구멍부(68,68)의 규제면(68a,68a)에 결합하여, 설치면(7)에 대하여 수직 방향으로 베이스부(50C)를 빠짐 방지하여 부착할 수 있다. 또한, 이 실시형태의 경우, 유지부(80)의 한 쌍의 지지벽(81,81)과, 링크 유닛(40)을 덮는 커버(8)가 설치되어 있다.
도 18에는 본 발명에 따른 개폐체의 잠금장치의 제5 실시형태가 도시되어 있다. 또한, 상기 실시형태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부분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그 설명을 생략한다.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의 개폐체의 잠금장치(10D)(이하 「잠금장치(10D)」)는 상기 제4 실시형태에 대해 링크 유닛(40)의 베이스부(50D)의 설치면(7)에 대한 설치 방향이 다르다. 베이스부(50D)의 구조는 상기 제3 실시형태의 베이스부(50B)와 유사하지만, 한 쌍의 지지편(61,61)에 유지부(80) 측의 탄성 결합편(87)의 결합 돌기부(88)가 들어간 홈부(69,69)가 형성되어 있으며, 그 선단 측 내주면(바닥면(51a)으로부터 이반(離反)한 면)이 빠짐 방지부의 규제면(69a)을 이루고 있다.
그리고, 베이스부(50D)의 한 쌍의 지지편(61,61)의 선단부 측을 설치면(7) 측으로 향하여 한 쌍의 지지벽(81,81)의 사이에 삽입함으로써, 한 쌍의 지지벽(81,81)의 선단부가 베이스부(50D)의 플랜지부(67)에 걸림과 동시에, 한 쌍의 탄성 결합편(87,87)의 결합 돌기부(88,88)의 규제면(88a,88a)이 한 쌍의 지지편(61,61)의 홈부(69,69)의 규제면(69a,69a)에 결합하여, 설치면(7)에 대하여 수직 방향으로 베이스부(50D)를 빠짐 방지하여 부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형태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요지의 범위 내에서 각종의 변형 실시형태가 가능하며, 그러한 실시형태도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
1 : 고정체
2 : 개구부
3 : 잠금부
5 : 개폐체
7 : 설치면
10,10A,10B,10C,10D : 개폐체의 잠금장치(잠금장치)
20 : 로드
26 : 천정면
25 : 가압 스프링
30 : 조작 유닛
40 : 링크 유닛
50,50A,50B,50C,50D : 베이스부
51 : 바닥부
51a : 바닥면
55 : 탄성 결합편
61 : 지지편
65 : 탄성 결합편
70 : 회전부재
80 : 유지부
81 : 지지벽
85 : 구멍부
87 : 탄성 결합편
90 : 유지부
91 : 지지벽
95 : 수용부

Claims (6)

  1. 고정체의 개구부에 개폐 가능하게 부착되는 개폐체의 잠금장치로서,
    상기 고정체의 개구부 또는 개폐체의 어느 일측에 마련된 잠금부와,
    상기 고정체 또는 상기 개폐체의 어느 다른 일측에 배치되고, 상기 잠금부에 결합되거나 결합해제되는 한 쌍의 로드와,
    상기 잠금부로부터 상기 로드를 결합하거나 결합해제 조작하는 조작 유닛과,
    상기 조작 유닛과는 별체(別體)로서, 베이스부 및 상기 베이스부에 지지부를 통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동시에, 상기 한 쌍의 로드가 연결되는 회전부재를 갖는 링크 유닛을 가지며,
    상기 개폐체 또는 상기 고정체는, 상기 링크 유닛을 설치하는 설치면을 갖고, 상기 설치면에 상기 링크 유닛을 유지하는 유지부가 마련되어 있으며,
    상기 베이스부 또는 상기 유지부의 일측에 휨 가능한 탄성 결합편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탄성 결합편이 상기 베이스부 또는 상기 유지부의 다른 일측에 결합함으로써 상기 베이스부가 상기 설치면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폐체의 잠금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개폐체 또는 상기 고정체의 유지부는 한 쌍의 지지벽을 가지고 있으며,
    상기 베이스부는 상기 한 쌍의 지지벽의 내측에 배치되는 한 쌍의 지지편을 가지고 있으며,
    상기 설치면에 대하여 수직 방향으로 상기 베이스부를 빠짐 방지하기 위한 빠짐 방지부가 상기 한 쌍의 지지벽 및 상기 한 쌍의 지지편에 설치되어 있는 개폐체의 잠금장치.
  3. 청구항 1 또는 2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부는 상기 로드가 배치되는 바닥면을 가지고 있으며,
    상기 설치면에 대하여 수직 방향으로 상기 베이스부를 빠짐 방지하기 위한 규제면을 가지는 빠짐 방지부가, 상기 베이스부의 바닥면 이상이고, 또한 상기 로드의 천정면 이하인 위치에 설치되어 있는 개폐체의 잠금장치.
  4.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부의 한 쌍의 지지편은 상기 한 쌍의 로드가 상기 회전부재의 회전에 따라 슬라이드할 때의 가이드를 이루도록 구성되어 있는 개폐체의 잠금장치.
  5.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지지벽에 오목부 또는 구멍(孔)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탄성 결합편은 상기 지지편에 형성되어 상기 오목부 또는 구멍부에 결합함과 동시에, 상기 한 쌍의 지지편의 사이에 배치되는 로드에 의해 휨이 규제되도록 설치되어 있는 개폐체의 잠금장치.
  6. 청구항 2 내지 4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체 또는 상기 고정체의 유지부는 상기 설치면의 수직 방향에 대하여 교차하는 방향으로부터 상기 베이스부를 수용하는 수용부를 가지고 있으며,
    상기 탄성 결합편은 상기 베이스부의 바닥면 측에 형성되어 있고, 상기 유지부의 수용부에 상기 베이스부가 삽입되었을 때, 상기 유지부의 수용부의 내측에 결합하여 상기 수용부로부터 상기 베이스부를 빠짐 방지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개폐체의 잠금장치.
KR1020187014928A 2015-11-27 2016-11-21 개폐체의 잠금장치 KR10244307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5231815 2015-11-27
JPJP-P-2015-231815 2015-11-27
PCT/JP2016/084375 WO2017090545A1 (ja) 2015-11-27 2016-11-21 開閉体のロック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88398A true KR20180088398A (ko) 2018-08-03
KR102443073B1 KR102443073B1 (ko) 2022-09-14

Family

ID=587631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7014928A KR102443073B1 (ko) 2015-11-27 2016-11-21 개폐체의 잠금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0738511B2 (ko)
JP (1) JP6467523B2 (ko)
KR (1) KR102443073B1 (ko)
CN (1) CN108291416B (ko)
GB (1) GB2559300B (ko)
WO (1) WO201709054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00392772A1 (en) * 2017-12-21 2020-12-17 Southco, Inc. Door latch
US11492824B2 (en) * 2018-02-01 2022-11-08 Nifco America Corp. Latch assembly for glovebox
FR3085399B1 (fr) * 2018-09-04 2020-12-11 Reydel Automotive Bv Mecanisme de verrouillage/deverrouillage
CN112867837B (zh) * 2018-10-18 2022-07-08 百乐仕株式会社 开闭体的锁定装置
DE112019005217T5 (de) * 2018-10-18 2021-07-29 Piolax Inc. Verriegelungsvorrichtung für einen Öffnungs- und Schließkörper
JP6985529B2 (ja) * 2018-10-18 2021-12-22 株式会社パイオラックス 開閉体のロック装置
KR102578483B1 (ko) * 2020-11-18 2023-09-13 케이비아이동국실업 주식회사 글로브 박스의 개폐구조
JP7423508B2 (ja) * 2020-12-25 2024-01-29 森六テクノロジー株式会社 開閉体のロック装置、及び、車両用収納装置
CN112814501A (zh) * 2021-01-06 2021-05-18 恒大新能源汽车投资控股集团有限公司 手套箱锁具结构及汽车
US20220251888A1 (en) * 2021-02-11 2022-08-11 Scelzi Enterprises, Inc Rotary actuated slam latch system
WO2024095894A1 (ja) * 2022-11-04 2024-05-10 株式会社パイオラックス 回転付勢装置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40001237Y1 (ko) * 1991-10-31 1994-03-09 은성민 약액 용기
JP2005104192A (ja) 2003-09-29 2005-04-21 Kojima Press Co Ltd グローブボックス用開閉ロック装置
US20110309640A1 (en) * 2010-06-09 2011-12-22 Nifco Inc. Lock device
WO2014030531A1 (ja) * 2012-08-23 2014-02-27 株式会社パイオラックス 開閉体のロック装置
KR20150023389A (ko) * 2012-06-15 2015-03-05 가부시키가이샤 파이오락꾸스 개폐체의 잠금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699160B2 (ja) 2005-10-03 2011-06-08 株式会社パイオラックス サイドロック装置
KR100710442B1 (ko) 2006-01-25 2007-04-24 덕양산업 주식회사 자동차용 글로브박스의 개폐장치
JP5227416B2 (ja) 2008-10-01 2013-07-03 株式会社パイオラックス サイドロック装置
WO2013018496A1 (ja) * 2011-08-02 2013-02-07 株式会社パイオラックス 開閉部材のロック装置
KR102228984B1 (ko) 2012-03-02 2021-03-17 가부시키가이샤 파이오락꾸스 개폐체의 잠금 장치
CN106232921B (zh) 2014-04-24 2018-12-14 百乐仕株式会社 开闭部件的锁止装置
KR102443072B1 (ko) * 2015-11-30 2022-09-14 가부시키가이샤 파이오락꾸스 개폐체의 잠금장치
US10794097B2 (en) * 2017-08-04 2020-10-06 Illinois Tool Works Inc. Compartment cover release system and method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40001237Y1 (ko) * 1991-10-31 1994-03-09 은성민 약액 용기
JP2005104192A (ja) 2003-09-29 2005-04-21 Kojima Press Co Ltd グローブボックス用開閉ロック装置
US20110309640A1 (en) * 2010-06-09 2011-12-22 Nifco Inc. Lock device
KR20150023389A (ko) * 2012-06-15 2015-03-05 가부시키가이샤 파이오락꾸스 개폐체의 잠금 장치
WO2014030531A1 (ja) * 2012-08-23 2014-02-27 株式会社パイオラックス 開閉体のロック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6467523B2 (ja) 2019-02-13
GB201808577D0 (en) 2018-07-11
KR102443073B1 (ko) 2022-09-14
US10738511B2 (en) 2020-08-11
CN108291416A (zh) 2018-07-17
WO2017090545A1 (ja) 2017-06-01
JPWO2017090545A1 (ja) 2018-08-16
GB2559300B (en) 2021-03-10
GB2559300A (en) 2018-08-01
US20180347241A1 (en) 2018-12-06
CN108291416B (zh) 2020-06-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80088398A (ko) 개폐체의 잠금장치
CN108291413B (zh) 开闭体的锁止装置
US11293206B2 (en) Lock device for opening/closing device
US9485336B2 (en) Waterproof structure and electronic apparatus
JP6992196B2 (ja) 開閉体のロック装置
KR20160027026A (ko) 전기 설비용 함체
KR20160055251A (ko) 로크 기구 및 개폐 장치
KR102258640B1 (ko) 팬 장치
CN113039337B (zh) 开闭体的锁定装置
CN113574238B (zh) 开闭体的锁定装置
TWI461595B (zh) 鎖裝置及拉門框
JP5082840B2 (ja) 開閉蓋のロック装置
JP5012501B2 (ja) 開閉蓋のロック装置
JP2009097162A (ja) 電気機器収納用箱の蝶番構造
JP6974629B2 (ja) 開閉体のロック装置
US20230003060A1 (en) Unlocking device
JP2019078058A (ja) サッシおよびサッシに防虫網を配置して構成されるサッシ構造体
JP4564633B2 (ja) 回路遮断器のハンドル位置固定装置
JP6531215B2 (ja) 車両用ボードのハンドル装置
US3062399A (en) Hinge structure
JP2020067148A (ja) 嵌合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