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87514A - 광촉매 필터를 포함하는 전자장치 - Google Patents

광촉매 필터를 포함하는 전자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87514A
KR20180087514A KR1020170010898A KR20170010898A KR20180087514A KR 20180087514 A KR20180087514 A KR 20180087514A KR 1020170010898 A KR1020170010898 A KR 1020170010898A KR 20170010898 A KR20170010898 A KR 20170010898A KR 20180087514 A KR20180087514 A KR 2018008751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emitting
blowing fan
current value
emitting unit
photocatalytic fil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108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629959B1 (ko
Inventor
조홍관
김지용
배아현
신명주
조일용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0108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29959B1/ko
Priority to EP18152775.5A priority patent/EP3360584A3/en
Priority to EP19180501.9A priority patent/EP3593827A1/en
Priority to US15/878,029 priority patent/US11058790B2/en
Priority to CN201810067589.5A priority patent/CN108344055A/zh
Publication of KR201800875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8751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299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2995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16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physical phenomena
    • A61L9/18Radiation
    • A61L9/20Ultraviolet radiation
    • A61L9/205Ultraviolet radiation using a photocatalyst or photosensitiser
    • F24F3/1603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3/00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 B01D53/34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 B01D53/74General processes for purification of waste gases; Apparatus or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01D53/86Catalytic processes
    • B01D53/8678Removing components of undefined structure
    • B01D53/8687Organic compon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3/00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 B01D53/34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 B01D53/74General processes for purification of waste gases; Apparatus or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01D53/86Catalytic processes
    • B01D53/8696Controlling the catalytic proce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3/00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 B01D53/34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 B01D53/74General processes for purification of waste gases; Apparatus or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01D53/86Catalytic processes
    • B01D53/88Handling or mounting catalys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3/00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 B01D53/34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 B01D53/74General processes for purification of waste gases; Apparatus or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01D53/86Catalytic processes
    • B01D53/88Handling or mounting catalysts
    • B01D53/885Devices in general for catalytic purification of waste gas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3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for purposes related to the operation of the system, e.g. for safety or monitor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3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for purposes related to the operation of the system, e.g. for safety or monitoring
    • F24F11/32Responding to malfunctions or emergencies
    • F24F11/39Monitoring filter performanc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5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user interfaces or communication
    • F24F11/52Indication arrangements, e.g. display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5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user interfaces or communication
    • F24F11/61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user interfaces or communication using tim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62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control or by internal processing, e.g. using fuzzy logic, adaptive control or estimation of values
    • F24F11/63Electronic processing
    • F24F11/64Electronic processing using pre-stored data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62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control or by internal processing, e.g. using fuzzy logic, adaptive control or estimation of values
    • F24F11/63Electronic processing
    • F24F11/65Electronic processing for selecting an operating mod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70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70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 F24F11/72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for controlling the supply of treated air, e.g. its pressure
    • F24F11/74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for controlling the supply of treated air, e.g. its pressure for controlling air flow rate or air velocity
    • F24F11/77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for controlling the supply of treated air, e.g. its pressure for controlling air flow rate or air velocity by controlling the speed of ventila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8Arrangement or mounting of filt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32Supports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or ventilation uni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8/0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 F24F8/1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 F24F8/15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by chemical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8/0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 F24F8/1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 F24F8/15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by chemical means
    • F24F8/167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by chemical means using catalytic reac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8/0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 F24F8/2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terilisation
    • F24F8/22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terilisation using UV ligh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8/0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 F24F8/90Cleaning of purification apparatu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9/00Aspects relating to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2209/10Apparatus features
    • A61L2209/11Apparatus for controlling air treatm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9/00Aspects relating to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2209/10Apparatus features
    • A61L2209/14Filter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55/00Catalysts
    • B01D2255/20Metals or compounds thereof
    • B01D2255/207Transition metals
    • B01D2255/20707Titaniu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55/00Catalysts
    • B01D2255/20Metals or compounds thereof
    • B01D2255/207Transition metals
    • B01D2255/2073Manganes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55/00Catalysts
    • B01D2255/20Metals or compounds thereof
    • B01D2255/207Transition metals
    • B01D2255/20776Tungste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55/00Catalysts
    • B01D2255/20Metals or compounds thereof
    • B01D2255/207Transition metals
    • B01D2255/20792Zinc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55/00Catalysts
    • B01D2255/80Type of catalytic reaction
    • B01D2255/802Photocatalytic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57/00Components to be removed
    • B01D2257/70Organic compounds not provided for in groups B01D2257/00 - B01D2257/602
    • B01D2257/708Volatile organic compounds V.O.C.'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57/00Components to be removed
    • B01D2257/90Odorous compounds not provided for in groups B01D2257/00 - B01D2257/708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57/00Components to be removed
    • B01D2257/91Bacteria; Microorganis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58/00Sources of waste gases
    • B01D2258/06Polluted ai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59/00Type of treatment
    • B01D2259/45Gas separation or purification devices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 B01D2259/4508Gas separation or purification devices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for cleaning air in build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59/00Type of treatment
    • B01D2259/80Employing electric, magnetic, electromagnetic or wave energy, or particle radiation
    • B01D2259/804UV light
    • F24F2003/1667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110/00Control inputs relating to air properties
    • F24F2110/50Air quality properti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221/00Details or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4F2221/02Details or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with lighting fixtur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30/00Energy efficient heating, ventilation or air conditioning [HVAC]
    • Y02B30/70Efficient control or regulation technologies, e.g. for control of refrigerant flow, motor or hea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uzzy System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AREA)
  • Fluid Mechanics (AREA)

Abstract

개시된 발명의 일 측면은 송풍팬의 풍량이나 특정 가스의 농도변화에 따라 광촉매 필터의 공기 정화 성능을 조절할 수 있는 전자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개시된 발명의 일 측면은 광촉매 필터의 탈취성능 회복 기능을 포함하는 전자장치를 제공한다. 개시된 실시예에 따른 전자장치는 송풍팬; 및 상기 송풍팬에 의해 유동하는 공기를 정화시키는 필터장치; 및 상기 필터 장치로 인가되는 전류를 조절하는 컨트롤러;를 포함하고, 상기 필터 장치는, 자외선을 출력하는 복수의 발광부가 장착된 발광 모듈; 상기 발광부와 마주하도록 마련된 광촉매 필터; 및 상기 발광 모듈과 광촉매 필터를 미리 정해진 간격 만큼 이격된 상태로 지지하는 지지 프레임;을 포함한다.

Description

광촉매 필터를 포함하는 전자장치{ELECTRONIC APPARATUS COMPRISING PHOTOCATALYTIC FILTER}
개시된 발명은 광촉매 필터를 포함하는 공기조화기, 공기청정기 또는 환기장치와 같은 전자장치에 관한 발명이다.
공기조화기, 공기 청정기 또는 환기장치 등과 같이 외기를 흡입하여 배출하는 전자장치들은 악취를 생성시키는 입자나 유해가스 등을 제거하기 위한 필터를 포함한다.
필터 중 광촉매 필터는 광촉매와 자외선의 광화학 반응을 통해 우수한 살균 및 탈취 효과를 제공한다. 광촉매 필터는 휘발성 유기 화합물을 산화시키고, 광촉매 표현에 흡착된 미생물들을 제거하는 효과를 갖는 수산화 라디칼 및 옥사이드 이온들을 생성시킨다.
광촉매는 반영구적으로 사용될 수 있고, 인체에 무해하여 안정적으로 운용될수 있다.
개시된 발명의 일 측면은 송풍팬의 풍량이나 특정 가스의 농도변화에 따라 광촉매 필터의 공기 정화 성능을 조절할 수 있는 전자장치를 제공한다.
개시된 발명의 일 측면은 광촉매 필터의 탈취성능 회복 기능을 포함하는 전자장치를 제공한다.
개시된 실시예에 따른 전자장치는 송풍팬; 및 상기 송풍팬에 의해 유동하는 공기를 정화시키는 필터장치; 및 상기 필터 장치로 인가되는 전류를 조절하는 컨트롤러;를 포함하고, 상기 필터 장치는, 자외선을 출력하는 복수의 발광부가 장착된 발광 모듈; 상기 발광부와 마주하도록 마련된 광촉매 필터; 및 상기 발광 모듈과 광촉매 필터를 미리 정해진 간격 만큼 이격된 상태로 지지하는 지지 프레임;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송풍팬의 풍량의 세기에 대응하여 상기 발광부로 인가되는 전류를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송풍팬의 풍량의 세기가 제1모드보다 강한 제2모드로 변경되면, 상기 발광부에 인가되는 전류값을 상기 제1모드에 대응하는 제1전류값보다 큰 제2전류값으로 증가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송풍팬의 풍량의 세기가 제2모드보다 약한 제1모드로 변경되면, 상기 발광부에 인가되는 전류값을 상기 제2모드에 대응하는 제2전류값보다 작은 제1전류값으로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송풍팬에 의해 유입되는 공기에 포함된 미리 정해진 가스를 감지하는 가스 센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가스 센서에 의해 감지된 상기 가스의 농도에 대응하여 상기 발광부에 인가되는 전류를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가스 센서에 의해 감지된 상기 가스의 농도가 제1기준농도보다 높으면 상기 발광부에 인가되는 전류값을 상기 기준농도에 대응하는 기준 전류값보다 증가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가스 센서에 의해 감지된 상기 가스의 농도가 제1기준농도보다 낮으면 상기 발광부에 인가되는 전류값을 상기 기준농도에 대응하는 기준 전류값보다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가스 센서에 의해 감지된 상기 가스의 농도가 제2기준농도보다 높거나 상기 가스의 누적 농도가 제3기준농도보다 높으면, 상기 송풍팬이 동작 중인 경우 상기 송풍팬의 구동을 정지시키고, 미리 정해진 시간 동안 발광부를 동작시켜 상기 광촉매 필터에 자외선이 조사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컨트롤러는, 탈취 성능의 회복을 위한 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송풍팬이 동작 중인 경우 상기 송풍팬의 구동을 정지시키고, 미리 정해진 시간 동안 발광부를 동작시켜 상기 광촉매 필터에 자외선이 조사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송풍팬의 동작이 정지되면, 상기 광촉매 필터의 탈취 성능이 회복되도록, 미리 정해진 시간 동안 발광부를 동작시켜 상기 광촉매 필터에 자외선이 조사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전자장치의 공기 정화량(CADR, Clean Air Delivery Rate)이 미리 정해진 기준값에 도달하면, 상기 송풍팬이 동작 중인 경우 상기 송풍팬의 구동을 정지시키고, 상기 광촉매 필터의 탈취 성능이 회복되도록, 미리 정해진 시간 동안 발광부를 동작시켜 상기 광촉매 필터에 자외선이 조사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송풍팬이 미리 정해진 구동 시간 이상 구동 중이면, 상기 송풍팬의 구동을 정지시키고, 상기 광촉매 필터의 탈취 성능이 회복되도록, 미리 정해진 시간 동안 발광부를 동작시켜 상기 광촉매 필터에 자외선이 조사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광촉매 필터는, 베이스 및 상기 베이스에 도포된 광촉매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광촉매는 이산화티타늄(Titanium Dioxide), 삼산화텅스텐(tungsten trioxide), 이산화망간(manganese dioxide), 산화아연(zinc oxide), 티타늄 테트라이소프로폭사이드(Titanium tetraisopropoxide)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베이스는 코디어라이드(cordierite) 및 멀라이트(mulite)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발광부는 315nm 이상 400nm 이하의 파장의 광을 출력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장치의 제어방법은 송풍팬이 구동 중인 경우, 상기 송풍팬의 풍량의 세기를 결정하고; 상기 송풍팬의 풍량의 세기에 따라 발광부로 인가되는 전류를 조절하고; 송풍팬의 구동이 정지되면, 미리 정해진 시간 동안 발광부를 동작시켜 광촉매 필터에 자외선이 조사되도록 하는 것;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송풍팬의 풍량의 세기에 따라 발광부로 인가되는 전류를 조절하는 것은, 상기 송풍팬의 풍량의 세기가 제1모드보다 강한 제2모드로 변경되면, 상기 발광부에 인가되는 전류값을 상기 제1모드에 대응하는 제1전류값보다 큰 제2전류값으로 증가시키고; 상기 송풍팬의 풍량의 세기가 제2모드보다 약한 제1모드로 변경되면, 상기 발광부에 인가되는 전류값을 상기 제2모드에 대응하는 제2전류값보다 작은 제1전류값으로 감소시키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송풍팬의 풍량의 세기에 따라 발광부로 인가되는 전류를 조절하는 것은, 가스 센서에 의해 감지된 가스의 농도가 제1기준농도보다 높으면 상기 발광부에 인가되는 전류값을 상기 기준농도에 대응하는 기준 전류값보다 증가시키고; 상기 가스 센서에 의해 감지된 가스의 농도가 제1기준농도보다 낮으면 상기 발광부에 인가되는 전류값을 상기 기준농도에 대응하는 기준 전류값보다 감소시키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송풍팬의 구동이 정지되면, 미리 정해진 시간 동안 발광부를 동작시켜 광촉매 필터에 자외선이 조사되도록 하는 것은, 상기 전자장치의 공기 정화량(CADR, Clean Air Delivery Rate)이 미리 정해진 기준값에 도달하면, 상기 송풍팬이 동작 중인 경우 상기 송풍팬의 구동을 정지시키고; 상기 광촉매 필터의 탈취 성능이 회복되도록, 미리 정해진 시간 동안 발광부를 동작시켜 상기 광촉매 필터에 자외선이 조사되도록 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송풍팬의 구동이 정지되면, 미리 정해진 시간 동안 발광부를 동작시켜 광촉매 필터에 자외선이 조사되도록 하는 것은, 상기 송풍팬이 미리 정해진 구동 시간 이상 구동 중이면, 상기 송풍팬의 구동을 정지시키고; 상기 광촉매 필터의 탈취 성능이 회복되도록, 미리 정해진 시간 동안 발광부를 동작시켜 상기 광촉매 필터에 자외선이 조사되도록 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송풍팬의 구동이 정지되면, 미리 정해진 시간 동안 발광부를 동작시켜 광촉매 필터에 자외선이 조사되도록 하는 것은, 가스 센서에 의해 감지된 가스의 농도가 제2기준농도보다 높거나 상기 가스의 누적 농도가 제3기준농도보다 높으면, 상기 송풍팬이 동작 중인 경우 상기 송풍팬의 구동을 정지시키고; 미리 정해진 시간 동안 발광부를 동작시켜 상기 광촉매 필터에 자외선이 조사되도록 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개시된 발명의 일 측면은, 송풍팬의 풍량이나 특정 가스의 농도변화에 따라 광촉매 필터의 공기 정화 성능을 조절할 수 있는 전자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개시된 발명의 일 측면은 광촉매 필터의 탈취성능 회복 기능을 포함하는 전자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 및 도 2는 일 실시예에 의한 전자장치의 필터장치와 송풍팬을 도시한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필터장치가 조립된 형태를 도시한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의한 전자장치의 발광 모듈을 도시한다.
도 5 및 도 6은 일 실시예에 의한 전자장치의 광촉매 필터를 확대하여 도시한다.
도 7은 일 실시예에 의한 전자장치의 구성을 도시한다.
도 8은 일 실시예에 의한 전자장치의 광촉매 필터의 성능 변화를 도시한 그래프이다.
도 9 내지 도 14는 일 실시예에 의한 전자장치의 제어방법을 도시한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개시된 발명의 바람직한 일 예에 불과할 뿐이며, 본 출원의 출원시점에 있어서 본 명세서의 실시예와 도면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개시된 발명을 제한 및/또는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예를 들어, 본 명세서에서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의 조합이 존재함을 표현하고자 하는 것이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의 조합의 추가적인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배제하지 않는다.
또한,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되며, 상기 하나의 구성요소들을 한정하지 않는다.
또한, "~부", "~기", "~블록", "~부재",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용어들은 FPGA (field-programmable gate array)/ ASIC (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 등 적어도 하나의 하드웨어, 메모리에 저장된 적어도 하나의 소프트웨어 또는 프로세서에 의하여 처리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스를 의미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개시된 발명의 일 실시예가 상세하게 설명된다. 첨부된 도면에서 제시된 동일한 참조번호 또는 부호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부품 또는 구성요소를 나타낼 수 있다.
도 1 및 도 2는 일 실시예에 의한 전자장치의 필터장치와 송풍팬을 도시하고, 도 3은 도 1에 도시된 필터장치가 조립된 형태를 도시한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의한 전자장치의 발광 모듈(300)을 도시하고, 도 5 및 도 6은 일 실시예에 의한 전자장치의 광촉매 필터를 확대하여 도시한다.
개시된 실시예에 따른 전자장치는 송풍팬(100)과 필터장치를 포함하는 전자장치로, 공기조화기, 공기청정기 또는 환기장치 등과 같이 외기를 흡입하여 배출함으로써 공기의 유동을 일으키는 장치를 포함한다.
도 1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장치는 외기를 흡입하는 송풍팬(100), 송풍팬(100)에 의해 흡입된 외기를 정화시키는 필터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필터장치는 자외선을 출력하는 복수의 발광부(310)가 장착된 발광모듈(300), 발광부(310)와 마주하도록 마련된 광촉매 필터(400) 및 발광모듈(300)과 광촉매 필터(400)를 미리 정해진 간격만큼 이격된 상태로 지지하는 지지 프레임(200)을 포함할 수 있다.
광촉매 필터(400)는 베이스와 베이스에 도포되는 광촉매를 포함할 수 있다. 베이스는 도 5에 도시된 것처럼, 비정형의 홀을 포함하는 폼(foam)형상의 플레이트로 구현될 수 있다. 또는 도 6에 도시된 것처럼, 광촉매 필터(400)의 베이스는 허니컴(honey-comb) 형상의 플레이트로 구현될 수 있다.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광촉매 필터(400)의 형상은 일 예일 뿐 광촉매 필터(400)의 베이스의 형상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개시된 실시예에 따른 광촉매 필터(400)의 베이스는 세라믹 소재(ceramic material)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면, 광촉매 필터(400)의 베이스는 알루미나(alumina)와 실리카(silica)로 구성된 코디어라이트(cordierlite) 또는 멀라이트(mulite)로 구현되거나 코디어라이트와 멀라이트가 조합된 재료로 구현될 수 있다.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광촉매 필터(400)는 전술한 베이스에 광촉매가 도포된 것으로, 개시된 실시예에 따른 광촉매는 이산화티타늄(Titanium Dioxide), 삼산화텅스텐(tungsten trioxide), 이산화망간(manganese dioxide), 산화아연(zinc oxide), 티타늄 테트라이소프로폭사이드(Titanium tetraisopropoxide)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광촉매는 베이스에 스프레이 방식으로 도포될 수 있고, 함침 방식으로 도포될 수도 있다.
광촉매, 예를 들면 이산화 티타늄의 경우, 자외선이 조사되면 가전자대의 전자가 여기되어 전도대로 이동하게 되고, 가전자대에는 정공이 생성된다. 이산화 티타늄의 경우 3.2eV의 밴드 갭 에너지를 가지는데 자외선이 조사되어 밴드 갭 에너지 이상의 에너지가 흡수되면, 전술한 것처럼 전자가 여기되고 정공이 생성된다.
전자와 정공이 각각 공기 중의 산소 및 수분과 반응하면, 옥사이드 이온과 수산화 라디칼이 생성되고, 수산화 라디칼과 옥사이드 이온은 각종 세균 및 바이러스나 유기화합물을 산화시켜 화학적으로 분해함으로써 흡입된 외기를 정화시킬 수 있다. 광촉매는, 유기염소화합물, 휘발성탄화수소, 알데히드, 케톤, 알코올, 페놀류, 암모니아, 황화수소, 질소산화물, 유황산화물 등을 제거하여 외기를 정화시킬 수 있다.
발광모듈(300)은 자외선을 방출할 수 있는 복수의 발광부(310)와 발광부(310)가 설치된 지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
발광부(310)는 UV-A파장대(315nm~400nm)의 자외선을 방출할 수 있는 UV-LED로 구현될 수 있다. 발광부(310)는 360nm~370nm를 주요 파장대로 갖는 자외선을 방출할 수 있고, 110도 이상의 조사각도를 갖도록 마련될 수 있다.
발광부(310)는 도 4에 도시된 것처럼 지지부에 미리 정해진 간격만큼 이격된 상태로 설치될 수 있고, 설치 간격과 개수 및 배열은 발광부(310)의 조사 각도 및 광촉매 필터(400)와의 간격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 있다.
발광모듈(300)의 지지부는 1mm~2mm의 두께로 마련될 수 있고, 알루미늄으로 형성되거나 방열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발광모듈(300)의 지지부는 도 4에 도시된 것처럼, 발광부(310)가 설치되는 부분과 외곽 프레임을 제외하고는 송풍팬(100)에 의해 유입된 외기가 통과할 수 있도록 구멍(312)이 형성된다.
광촉매 필터(400)와 발광모듈(300)을 지지하는 지지 프레임(200)은 광촉매 필터(400)와 발광모듈(300)이 이격되어 설치될 수 있도록 마련된 홈(212a, 212b)을 포함할 수 있다. 지지 프레임(200)의 홈은 광촉매 필터(400)와 발광모듈(300) 간의 간격이 15mm~25mm가 될 수 있도록 마련될 수 있다.
광촉매 필터(400)와 발광모듈(300)은 도 3에 도시된 것처럼, 지지 프레임(200)의 홈에 각각 장착되어 이격된 상태로 설치될 수 있다.
한편, 도 2에 도시된 것처럼,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자장치는 광촉매 필터(400)와 함께 탈취 필터(500) 및 집진 필터(600) 중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것처럼, 집진 필터(600) 및 탈취 필터(500)는 광촉매 필터(400)의 전방에 마련될 수 있다.
집진 필터(600)는 프리필터(pre-filter), 헤파필터(HEPA(High Efficiency Particulate Air) filter) 및 전기 집진기를 포함할 수 있고, 탈취 필터(500)로는 활성탄 필터가 사용될 수 있다. 그러나, 집진 필터(600)와 탈취 필터(500)는 전술한 예에 한정되지 않고, 공지된 다양한 종류의 필터로 구현될 수 있다.
한편, 도 7은 일 실시예에 의한 전자장치의 구성을 도시하고, 도 8은 일 실시예에 의한 전자장치의 광촉매 필터(400)의 성능 변화를 도시한 그래프이다.
도 7에 도시된 것처럼, 일 실시예에 의한 전자장치는 특정 가스의 농도를 검출하는 가스 센서(710), 전자장치의 동작과 관련된 명령을 입력받는 입력부(720), 광촉매 필터(400)에 자외선을 조사하는 발광부(310), 외기를 유입시키는 송풍팬(100)을 포함한다.
가스 센서(710)는 특정 가스, 예를 들면 포름알데히드 등을 측정할 수 있는 가스 센서(710)로, 반도체식 가스 센서, 접촉 연소식 센서, 전기화학 센서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반도체식 가스 센서는 측정 대상 물질이 산화 또는 환원되면서 저항 성분이 바뀌는 영향을 측정함으로써 가스의 농도를 측정하고, 전기화학식 가스 센서는 전해질에 용존된 가스를 산화/환원시켜 발생하는 이온의 양을 측정함으로써 가스의 농도를 측정할 수 있다.
가스 센서(710)는 공지된 다양한 가스 센서를 채용할 수 있고, 가스 센서(710)가 검출할 수 있는 가스는 전술한 포름알데히드에 국한되지 않고, 다양한 가스를 검출할 수 있는 가스 센서로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서로 다른 가스를 검출할 수 있는 복수의 가스 센서가 채용될 수도 있다.
가스 센서(710)는 송풍팬(100)에 의해 유입된 외기에 포함된 가스를 검출할 수 있도록 송풍팬(100)의 주변이나 필터장치의 주변에 설치될 수 있다. 또는 복수의 가스 센서(710)가 송풍팬(100) 주변이나 필터장치의 주변에 서로 다른 위치에 설치될 수도 있다.
가스 센서(710)는 검출된 가스의 농도에 대한 데이터를 컨트롤러(700)로 전송한다.
입력부(720)는 송풍팬(100)의 풍량을 조절하기 위한 명령을 입력 받을 수 있고, 후술할 광촉매 필터(400)의 탈취성능 회복을 위한 명령을 입력 받을 수 있도록 마련될 수 있다. 입력부(720)는 전자장치의 동작과 관련된 다양한 명령을 입력받을 수 있도록 마련된 복수의 입력수단, 예를 들면, 버튼, 조이스틱, 조그셔틀, 터치패널, 음성입력장치, 동작인식장치, 리모트 컨트롤러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저장부(130)는 전자장치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프로그램 및 제어 데이터와 사용자 입력에 따라 다양한 기능을 수행하는 다양한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 및 어플리케이션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저장부(130)는 전자장치에 포함된 구성 및 자원(소프트웨어 및 하드웨어)를 관리하는 OS (operating system) 프로그램을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저장부(130)은 전원이 차단되더라도 프로그램 또는 데이터가 손실되지 않는 비휘발성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저장부(130)는 대용량 플래시 메모리 또는 반도체 소자 드라이브(Solid State Drive, SSD)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컨트롤러(700)는 입력부(720)를 통해 입력된 송풍팬(100)의 풍량을 조절하기 위한 명령이나 탈취성능 회복을 위한 명령 또는 가스 센서(710)에 의해 검출된 가스의 농도에 대한 데이터 등에 기초하여 송풍팬(100) 또는 발광부(310)의 구동을 제어할 수 있다.
컨트롤러(700)는 입력부(720)를 통하여 수신된 사용자 입력, 가스 센서(710)에 의해 검출된 가스의 농도 및/또는 저장부(130)에 저장된 프로그램 및 데이터에 따라 전자장치에 포함된 발광부(310) 및 송풍팬(100)을 제어할 수 있다.
이러한 컨트롤러(700)는 전자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연산을 수행하는 마이크로프로세서, 마이크로프로세서의 연산 동작과 관련된 프로그램 및 데이터를 저장/기억하는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다.
마이크로프로세서는 메모리에 저장/기억된 프로그램에 따라 메모리에 저장/기억된 데이터를 불러오고, 불러온 데이터에 대하여 산술 연산 또는 논리 연산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마이크로프로세서는 산술 연산 또는 논리 연산의 결과를 메모리에 출력할 수 있다.
메모리는 전원 공급이 중단되면 기억된 데이터를 상실하는 휘발성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다. 휘발성 메모리는 앞서 설명된 저장부(130)으로부터 프로그램 및 데이터를 불러오고, 불러온 데이터를 임시로 기억할 수 있다. 또한, 휘발성 메모리는 기억된 프로그램 및 데이터를 마이크로프로세서에 제공할 수 있으며, 마이크로프로세서로부터 출력된 데이터를 기억할 수 있다. 이러한 휘발성 메모리는 S램, D랩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메모리는 필요에 따라 비휘발성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다. 비휘발성 메모리는 전원 공급이 중단되면 기억된 데이터를 보존할 수 있다. 비휘발성 메모리는 전자장치에 포함된 각종 구성들을 관리하고 초기화시키기 위한 펌웨어(firmware)를 저장할 수 있다. 이러한 비휘발성 메모리는 롬, 이피롬, 이이피롬, 플래시 메모리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마이크로프로세서와 메모리는 기능적으로 구별되어 설명되었으나, 마이크로프로세서와 메모리가 반드시 물리적으로 구별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마이크로프로세서와 메모리는 별도의 칩으로 구현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하나의 칩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이처럼, 컨트롤러(700)는 전자장치의 동작 전반을 제어할 수 있으며, 아래에서 설명하는 전자장치의 동작은 컨트롤러(700)의 제어에 의하여 수행되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컨트롤러(700) 및 저장부(130)가 기능적으로 구별되어 설명되었으나, 컨트롤러(700) 및 저장부(130)가 반드시 물리적으로 구별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컨트롤러(700) 및 저장부(130)가 하나의 칩으로 구현되거나, 컨트롤러(700) 및 저장부(130) 각각이 별도의 칩으로 구현될 수 있다.
개시된 실시예에 따른 전자장치는 송풍팬(100)의 풍량의 변화에 따라, 발광부(310)에 인가되는 전류값을 제어하여, 광촉매 필터(400)의 성능을 조절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컨트롤러(700)는 입력부(720)를 통해 송풍팬(100)의 풍량을 제1모드에서 제2모드로 변경하는 명령, 즉 송풍팬(100)의 풍량을 증가시키는 명령이 입력되면 발광부(310)로 인가되는 전류값을 증가시킨다.
제1모드와 제2모드는 상대적인 개념으로, 제1모드는 제2모드보다 송풍팬(100)의 풍량이 약한 모드이고, 제2모드는 제1모드보다 송풍팬(100)의 풍량이 강한 모드이다. 예를 들면, 제1모드가 소위 약(弱) 모드이면, 제2모드는 소위 중(中) 모드이거나 소위 강(强) 모드일 수 있고, 제1모드가 중(中) 모드이면, 제2모드는 강(强) 모드일 수 있다. 마찬가지로, 제2모드가 강(强) 모드이면, 제1모드는 약(弱) 모드이거나 중(中) 모드일 수 있고, 제2모드가 소위 중(中) 모드이면, 제1모드는 약(弱) 모드일 수 있다.
컨트롤러(700)는 제1모드를 제2모드로 변경하는 명령이 입력되면, 제1모드에 대응하여 발광부(310)로 인가되는 전류값인 제1전류값을 제2모드에 대응하여 발광부(310)로 인가되는 전류값인 제2전류값으로 증가시킨다. 예를 들어, 컨트롤러(700)는 제1모드에서 발광부(310)로 100mA의 제1전류값을 인가하고 있다가, 제1모드가 제2모드로 변경되면, 300mA의 제2전류값으로 증가된 전류를 발광부(310)에 인가할 수 있다.
송풍팬(100)의 풍량이 증가하면, 기준 시간 당 유입되는 외기의 양이 증가하게 되므로, 풍량이 증가되기 전에 광촉매 필터(400)에 조사되는 자외선의 세기로는, 증가된 외기의 유입량에 대응하여 요구되는 광촉매 필터(400)의 공기 정화 성능을 충족시킬 수 없다.
따라서, 송풍팬(100)의 풍량이 증가하면, 광촉매 필터(400)의 공기 정화 성능을 증가시키기 위해, 발광부(310)에서 광촉매 필터(400)로 조사되는 자외선의 세기를 증가시킬 필요가 있다. 이에 개시된 실시예에 따른 컨트롤러(700)는 송풍팬(100)의 풍량을 증가시키는 모드 변경 명령이 입력되면, 발광부(310)로 인가되는 전류값을 증가시켜 광촉매 필터(400)의 공기 정화 성능을 증가시킨다.
또한, 컨트롤러(700)는 입력부(720)를 통해 송풍팬(100)의 풍량을 제2모드에서 제1모드로 변경하는 명령, 즉 송풍팬(100)의 풍량을 감소시키는 명령이 입력되면 발광부(310)로 인가되는 전류값을 감소시킨다.
컨트롤러(700)는 제2모드를 제1모드로 변경하는 명령이 입력되면, 제2모드에 대응하여 발광부(310)로 인가되는 전류값인 제2전류값을 제1모드에 대응하여 발광부(310)로 인가되는 전류값인 제1전류값으로 감소시킨다. 예를 들어, 컨트롤러(700)는 제2모드에서 발광부(310)로 300mA의 제2전류값을 인가하고 있다가, 제2모드가 제1모드로 변경되면, 100mA의 제1전류값으로 증가된 전류를 발광부(310)에 인가할 수 있다.
송풍팬(100)의 풍량이 감소하면, 기준 시간 당 유입되는 외기의 양이 감소하게 되므로, 풍량이 감소되기 전에 광촉매 필터(400)에 조사되는 자외선의 세기는, 감소된 외기의 유입량에 대응하여 요구되는 광촉매 필터(400)의 공기 정화 성능에 비해 불필요하게 높은 공기 정화 성능을 제공한다. 이는 전력의 낭비로 이어질 수 있다.
따라서, 송풍팬(100)의 풍량이 감소하면, 광촉매 필터(400)의 공기 정화 성능을 감소시키기 위해, 발광부(310)에서 광촉매 필터(400)로 조사되는 자외선의 세기를 감소시킬 필요가 있다. 이에 개시된 실시예에 따른 컨트롤러(700)는 송풍팬(100)의 풍량을 감소시키는 모드 변경 명령이 입력되면, 발광부(310)로 인가되는 전류값을 감소시켜 광촉매 필터(400)의 공기 정화 성능을 감소시킨다.
전술한 것처럼, 개시된 실시예에 따른 전자장치는 송풍팬(100)의 풍량의 변화에 대응하여 발광부(310)에 인가되는 전류값을 조절함으로써 광촉매 필터(400)의 공기 정화 성능을 가변적으로 조절할 수 있다.
또한, 개시된 실시예에 따른 전자장치는 가스 센서(710)에서 검출되는 특정 가스의 농도가 증가하면, 발광부(310)에 인가되는 전류값을 제어하여, 광촉매 필터(400)의 성능을 조절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컨트롤러(700)는 가스 센서(710)에서 검출된 포름알데히드의 농도가 제1기준농도 이상이면, 발광부(310)로 인가되는 전류값을 증가시킨다. 포름알데히드는 일 예일 뿐 다른 가스가 검출 대상 가스일 수 있음은 물론이다.
즉, 컨트롤러(700)는 포름알데히드의 검출농도가 제1기준농도 이상이면, 보다 강력한 공기 정화 성능이 요구된다고 판단하고, 제1기준농도에 대응하여 설정된 기준 전류값보다 증가된 전류값을 발광부(310)로 인가하여, 광촉매 필터(400)에 조사되는 자외선의 세기가 증가되도록 할 수 있다.
컨트롤러(700)는 포름알데히드의 검출농도가 제1기준농도보다 감소하면, 강력한 공기 정화 성능이 요구되는 상황이 해제되었다고 판단하고, 제1기준농도에 대응하여 설정된 기준 전류값보다 감소된 전류값을 발광부(310)로 인가하여, 광촉매 필터(400)에 조사되는 자외선의 세기가 감소되도록 할 수 있다.
전술한 제1기준농도는 포름알데히드의 특정 농도값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포름알데히드 농도의 특정 범위를 의미할 수도 있다. 제1기준농도가 포름알데히드의 특정 농도범위를 의미할 경우, 해당 범위의 상한값 이상의 가스 농도가 검출되거나 해당 범위의 하한값 이하의 가스 농도가 검출되면, 전술한 것처럼 발광부(310)에 인가되는 전류값을 해당 범위의 상한값에 대응하는 기준 전류값 이상으로 증가시키거나 해당 범위의 하한값에 대응하는 기준 전류값 이하로 감소시킬 수 있다.
전술한 것처럼, 개시된 실시예에 따른 전자장치는 가스 센서(710)에서 검출된 특정가스의 농도 변화에 대응하여 발광부(310)에 인가되는 전류값을 조절함으로써 광촉매 필터(400)의 공기 정화 성능을 가변적으로 조절할 수 있다.
또한, 개시된 실시예에 따른 전자장치는 광촉매 필터(400)의 공기 정화 성능, 즉탈취 및 살균 성능을 회복시킬 수 있다. 즉 전자장치의 컨트롤러(700)는 광촉매 필터(400)가 오염되었다고 판단될 수 있는 조건이 충족되면, 광촉매 필터(400)의 공가 정화 성능 회복을 위한 제어를 수행한다.
예를 들면, 입력부(720)를 통해 탈취성능 회복을 위한 명령이 입력되면, 컨트롤러(700)는 송풍팬(100)이 동작 중인지 여부를 결정한다. 컨트롤러(700)는 송풍팬(100)이 동작 중이면, 송풍팬(100)의 구동을 정지시키고, 미리 정해진 시간 동안 발광부(310)를 동작시켜, 광촉매 필터(400)에 자외선이 미리 정해진 시간 동안 조사되도록 한다. 컨트롤러(700)는 송풍팬(100)이 동작 중이지 않으면, 바로 미리 정해진 시간 동안 발광부(310)를 동작시킬 수 있다.
사용자에 의해 탈취성능 회복을 위한 명령이 입력되면, 컨트롤러(700)는 우선 송풍팬(100)이 동작 중인지 확인한다. 송풍팬(100)이 동작 중인 상태에서 광촉매 필터(400)에 자외선이 조사되면, 광촉매 필터(400)에 의한 탈취 및 살균이 수행되는 것과 다르지 않기 때문에, 컨트롤러(700)는 송풍팬(100)이 동작 중인지 확인한다.
송풍팬(100)에 의한 외기 유입이 중지된 상태에서, 광촉매 필터(400)에 자외선이 조사되면, 광촉매와 자외선의 반응에 의해 광촉매 필터(400)에 붙어 있던 오염물질들이 분해되거나 제거되어, 광촉매 필터(400)의 탈취 및 살균 성능이 회복될 수 있다.
입력부(720)는, 사용자가 탈취성능회복을 위한 명령을 입력할 때, 탈취성능의 회복 시간을 선택하도록 구현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입력부(720)는 15분 동안의 탈취성능회복을 위한 명령을 입력 받을 수 있도록 마련된 입력수단과 1시간 동안의 탈취성능회복을 위한 명령을 입력받을 수 있도록 마련된 입력수단을 각각 포함할 수 있다. 또는 탈취성능 회복을 위한 명령을 입력 받을 수 있도록 마련된 입력수단과 탈취성능 회복을 위한 시간을 선택할 수 있도록 마련된 입력수단을 포함할 수도 있다.
즉, 탈취성능회복을 위해 발광부(310)가 구동되는 시간은 입력부(720)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만약, 별도의 시간 입력이 없는 경우, 미리 정해진 시간 동안 발광부(310)가 구동될 수 있다.
전술한 입력부(720)를 통한 탈취성능 회복 명령이 입력되지 않아도, 컨트롤러(700)는 공기정화량이 기준값 이하로 떨어지면 탈취성능의 회복을 위한 제어를 자동적으로 수행할 수도 있다. 공기 정화량은 시간 당 정화되는 공기의 부피를 나타내는 CADR(Clean Air Delivery Rate)값으로 표현될 수 있고, 그 단위는 m3/h로 표현될 수 있다.
즉, 컨트롤러(700)는 공기 정화량이 기준값 이하로 떨어지면, 송풍팬(100)이 동작 중인지 여부를 결정한다. 컨트롤러(700)는 송풍팬(100)이 동작 중이면, 송풍팬(100)의 구동을 정지시키고, 미리 정해진 시간 동안 발광부(310)를 동작시켜, 광촉매 필터(400)에 자외선이 미리 정해진 시간 동안 조사되도록 한다. 컨트롤러(700)는 송풍팬(100)이 동작 중이지 않으면, 바로 미리 정해진 시간 동안 발광부(310)를 동작시킬 수 있다. 발광부(310)가 미리 정해진 시간 동안 구동될 때 발광부(310)로 인가되는 전류값은 미리 설정되어 저장될 수 있고, 컨트롤러(700)는 미리 설정되어 저장된 전류값을 발광부(310)로 인가할 수 있다.
컨트롤러(700)는 공기 정화량이 기준값 이하로 떨어지면, 우선 송풍팬(100)이 동작 중인지 확인한다. 송풍팬(100)이 동작 중인 상태에서 광촉매 필터(400)에 자외선이 조사되면, 광촉매 필터(400)에 의한 탈취 및 살균이 수행되는 것과 다르지 않기 때문에, 컨트롤러(700)는 송풍팬(100)이 동작 중인지 확인한다.
송풍팬(100)에 의한 외기 유입이 중지된 상태에서, 광촉매 필터(400)에 자외선이 조사되면, 광촉매와 자외선의 반응에 의해 광촉매 필터(400)에 붙어 있던 오염물질들이 분해되거나 제거되어, 광촉매 필터(400)의 탈취 및 살균 성능이 회복될 수 있다.
전술한 입력부(720)를 통한 탈취성능 회복 명령이 입력되지 않아도, 컨트롤러(700)는 송풍팬(100)의 구동 시간이 미리 정해진 구동 시간 이상이 되면, 탈취성능의 회복을 위한 제어를 자동적으로 수행할 수도 있다. 여기서 송풍팬(100)의 구동시간은 누적 구동 시간일 수 있다.
즉, 컨트롤러(700)는 송풍팬(100)의 누적 구동 시간이 미리 정해진 구동 시간, 예를 들면 10시간 이상이면, 송풍팬(100)이 동작 중인지 여부를 결정한다. 송풍팬(100)의 동작 중에 누적 구동시간 10시간을 초과할 수도 있고, 송풍팬(100)의 누적 구동시간이 10시간을 초과한 후 얼마되지 않아 전자장치의 구동이 정지되어 송풍팬(100)의 구동이 정지된 상태일 수도 있으므로, 컨트롤러(700)는 송풍팬(100)이 동작 중인지 여부를 결정한다.
컨트롤러(700)는 송풍팬(100)이 동작 중이면, 송풍팬(100)의 구동을 정지시키고, 발광부(310)를 미리 정해진 시간 동안 구동시켜 광촉매 필터(400)로 자외선이 미리 정해진 시간 동안 조사되도록 한다. 송풍팬(100)이 동작 중이지 않으면, 바로 발광부(310)를 미리 정해진 시간 동안 구동시킨다. 발광부(310)가 미리 정해진 시간 동안 구동될 때 발광부(310)로 인가되는 전류값은 미리 설정되어 저장될 수 있고, 컨트롤러(700)는 미리 설정되어 저장된 전류값을 발광부(310)로 인가할 수 있다.
송풍팬(100)에 의한 외기 유입이 중지된 상태에서, 광촉매 필터(400)에 자외선이 조사되면, 광촉매와 자외선의 반응에 의해 광촉매 필터(400)에 붙어 있던 오염물질들이 분해되거나 제거되어, 광촉매 필터(400)의 탈취 및 살균 성능이 회복될 수 있다.
전술한 입력부(720)를 통한 탈취성능 회복 명령이 입력되지 않아도, 컨트롤러(700)는 가스 센서(710)에 의해 검출된 특정 가스의 농도가 제2기준농도보다 높거나, 특정 가스의 누적 검출 농도가 제3기준농도보가 높으면, 탈취성능의 회복을 위한 제어를 자동적으로 수행할 수도 있다. 가스 센서(710)에서 검출된 특정 가스의 농도의 비교 대상이 되는 기준값으로 전술한 제1기준농도, 제2기준농도 및 제3기준농도는 저장부(130)나 메모리에 미리 저장될 수 있다. 제1 내지 제3기준농도는 실험적으로 결정되어 미리 저장될 수 있고, 서로 다른 값을 가질 수 있다. 또는 제1 내지 제3기준농도는 사용자가 원하는 값으로 설정되어 저장될 수도 있을 것이다.
예를 들면, 컨트롤러(700)는 가스 센서(710)에 의해 검출된 포름알데히드의 농도가 제2기준농도 이상이거나, 가스 센서(710)에 의해 검출된 포름알데히드의 누적농도가 제3기준농도 이상이면, 송풍팬(100)이 동작 중인지 여부를 결정한다.
컨트롤러(700)는 송풍팬(100)이 동작 중이면, 송풍팬(100)의 구동을 정지시키고, 발광부(310)를 미리 정해진 시간 동안 구동시켜 광촉매 필터(400)로 자외선이 미리 정해진 시간 동안 조사되도록 한다. 송풍팬(100)이 동작 중이지 않으면, 바로 발광부(310)를 미리 정해진 시간 동안 구동시킨다. 발광부(310)가 미리 정해진 시간 동안 구동될 때 발광부(310)로 인가되는 전류값은 미리 설정되어 저장될 수 있고, 컨트롤러(700)는 미리 설정되어 저장된 전류값을 발광부(310)로 인가할 수 있다.
송풍팬(100)에 의한 외기 유입이 중지된 상태에서, 광촉매 필터(400)에 자외선이 조사되면, 광촉매와 자외선의 반응에 의해 광촉매 필터(400)에 붙어 있던 오염물질들이 분해되거나 제거되어, 광촉매 필터(400)의 탈취 및 살균 성능이 회복될 수 있다.
하기의 표 1은 개시된 실시예에 따른 광촉매 필터(400)를 채용한 공기 정화기(B)와 종래의 활성탄 필터를 채용한 공기 정화기(A)의 공기 정화량을 측정한 표이다.
하기 표에 나타낸 데이터는 탈취 필터로 사용된 필터가 광촉매 필터(400)와 활성탄 필터로 차이가 있을 뿐 다른 조건은 동일한 상태에서 획득되었다.
포름알데히드 누적양 (mg) A B
0 40 m3/h 40 m3/h
600 34 m3/h 34 m3/h
1200 27 m3/h 28 m3/h
1800 20 m3/h 26 m3/h
2400 15 m3/h 24 m3/h
3000 12 m3/h 23 m3/h
3600 4 m3/h 22 m3/h
4200 - 23 m3/h
4800 - 22 m3/h
시험 방법은 중국 GBT규격의 CCM법에 의한 수명예측 시험을 적용했으며, B로 나타낸 개시된 실시예에 따른 광촉매 필터(400)를 적용한 공기 정화기가 포름알데히드 누적양이 증가할수록 공기 정화량에서 우위에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도 8은 일 실시예에 의한 전자장치의 광촉매 필터(400)의 성능 변화를 도시한 그래프이다. 도 8의 그래프의 가로축은 포름알데히드의 누적량을 나타내고, 세로축은 공기정화량을 나타낸다.
도 8을 참조하면, 개시된 실시예에 따른 광촉매 필터(400)의 초기 공기 정화량은 40 m3/h이고, 포름 알데히드의 누적량이 대략 2000mg ~ 4500mg 인 구간에서는 대략 22 m3/h의 값을 가진다.
개시된 실시예에 따른 광촉매 필터(400)의 전술한 탈취성능 회복의 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공기 정화량을 대략 7m3/h까지 감소시킨 후, 송풍팬(100)을 정지시킨 상태에서 발광부(310)를 각각 15분 및 10시간 동안 구동시켰다.
발광부(310)가 15분 동안 구동된 경우, 공기 정화량은 대략 18 m3/h까지 증가하였다(도 8의 그래프에서 a). 또한, 발광부(310)가 10시간 동안 구동된 경우, 공기 정화량은 대략 29 m3/h까지 증가한 것을 확인할 수 있다(도 8의 그래프에서 b).
즉, 개시된 실시예에 따른 광촉매 필터(400)는 도 8에 도시된 것처럼, 탈취성능 회복 기능을 통해 반영구적으로 사용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도 9 내지 도 14는 일 실시예에 의한 전자장치의 제어방법을 도시한다. 이하 도 9 내지 도 14를 참조하여, 개시된 실시예에 따른 전자장치의 제어방법을 설명한다.
도 9를 참조하면, 컨트롤러(700)는 송풍팬(100)의 모드가 제1모드에서 제2모드로 변경되면(800, 810), 발광부(310)에서 인가되는 전류값을 제1전류값에서 제2전류값으로 증가시킨다(820).
컨트롤러(700)는 제1모드를 제2모드로 변경하는 명령이 입력되면, 제1모드에 대응하여 발광부(310)로 인가되는 전류값인 제1전류값을 제2모드에 대응하여 발광부(310)로 인가되는 전류값인 제2전류값으로 증가시킨다. 예를 들어, 컨트롤러(700)는 제1모드에서 발광부(310)로 100mA의 제1전류값을 인가하고 있다가, 제1모드가 제2모드로 변경되면, 300mA의 제2전류값으로 증가된 전류를 발광부(310)에 인가할 수 있다.
송풍팬(100)의 풍량이 증가하면, 기준 시간 당 유입되는 외기의 양이 증가하게 되므로, 풍량이 증가되기 전에 광촉매 필터(400)에 조사되는 자외선의 세기로는, 증가된 외기의 유입량에 대응하여 요구되는 광촉매 필터(400)의 공기 정화 성능을 충족시킬 수 없다. 따라서, 송풍팬(100)의 풍량이 증가하면, 광촉매 필터(400)의 공기 정화 성능을 증가시키기 위해, 발광부(310)에서 광촉매 필터(400)로 조사되는 자외선의 세기를 증가시킬 필요가 있다. 이에 개시된 실시예에 따른 컨트롤러(700)는 송풍팬(100)의 풍량을 증가시키는 모드 변경 명령이 입력되면, 발광부(310)로 인가되는 전류값을 증가시켜 광촉매 필터(400)의 공기 정화 성능을 증가시킨다.
컨트롤러(700)는 제2모드에서 제1모드로 송풍팬(100)의 모드가 변경되면(830), 발광부(310)에 인가되는 전류값을 제2전류값에서 제1전류값으로 감소시킨다(840).
컨트롤러(700)는 제2모드를 제1모드로 변경하는 명령이 입력되면, 제2모드에 대응하여 발광부(310)로 인가되는 전류값인 제2전류값을 제1모드에 대응하여 발광부(310)로 인가되는 전류값인 제1전류값으로 감소시킨다. 예를 들어, 컨트롤러(700)는 제2모드에서 발광부(310)로 300mA의 제2전류값을 인가하고 있다가, 제2모드가 제1모드로 변경되면, 100mA의 제1전류값으로 증가된 전류를 발광부(310)에 인가할 수 있다.
송풍팬(100)의 풍량이 감소하면, 기준 시간 당 유입되는 외기의 양이 감소하게 되므로, 풍량이 감소되기 전에 광촉매 필터(400)에 조사되는 자외선의 세기는, 감소된 외기의 유입량에 대응하여 요구되는 광촉매 필터(400)의 공기 정화 성능에 비해 불필요하게 높은 공기 정화 성능을 제공한다. 이는 전력의 낭비로 이어질 수 있다.
따라서, 송풍팬(100)의 풍량이 감소하면, 광촉매 필터(400)의 공기 정화 성능을 감소시키기 위해, 발광부(310)에서 광촉매 필터(400)로 조사되는 자외선의 세기를 감소시킬 필요가 있다. 이에 개시된 실시예에 따른 컨트롤러(700)는 송풍팬(100)의 풍량을 감소시키는 모드 변경 명령이 입력되면, 발광부(310)로 인가되는 전류값을 감소시켜 광촉매 필터(400)의 공기 정화 성능을 감소시킨다.
도 10을 참조하면, 컨트롤러(700)는 가스농도가 제1기준농도 이상이면(850), 발광부(310)에 인가되는 전류값을 기준 전류값보다 증가시키고(860), 제1기준농도보다 낮으면 발광부(310)에 인가되는 전류값을 기준 전류값보다 감소시킨다(870).
예를 들면, 컨트롤러(700)는 가스 센서(710)에서 검출된 포름알데히드의 농도가 제1기준농도 이상이면, 발광부(310)로 인가되는 전류값을 증가시킨다. 즉, 컨트롤러(700)는 포름알데히드의 검출농도가 제1기준농도 이상이면, 보다 강력한 공기 정화 성능이 요구된다고 판단하고, 제1기준농도에 대응하여 설정된 기준 전류값보다 증가된 전류값을 발광부(310)로 인가하여, 광촉매 필터(400)에 조사되는 자외선의 세기가 증가되도록 할 수 있다.
컨트롤러(700)는 포름알데히드의 검출농도가 제1기준농도보다 감소하면, 강력한 공기 정화 성능이 요구되는 상황이 해제되었다고 판단하고, 제1기준농도에 대응하여 설정된 기준 전류값보다 감소된 전류값을 발광부(310)로 인가하여, 광촉매 필터(400)에 조사되는 자외선의 세기가 감소되도록 할 수 있다.
도 11을 참조하면, 탈취 성능의 회복을 위한 명령이 입력되면(880), 컨트롤러(700)는 송풍팬(100)이 동작 중인지 결정하고(890), 송풍팬(100)이 동작 중이면 송풍팬(100)의 구동을 정지시키고(900), 미리 정해진 시간 동안 발광부(310)를 동작시킨다(910).
사용자에 의해 탈취성능 회복을 위한 명령이 입력되면, 컨트롤러(700)는 우선 송풍팬(100)이 동작 중인지 확인한다. 송풍팬(100)이 동작 중인 상태에서 광촉매 필터(400)에 자외선이 조사되면, 광촉매 필터(400)에 의한 탈취 및 살균이 수행되는 것과 다르지 않기 때문에, 컨트롤러(700)는 송풍팬(100)이 동작 중인지 확인한다.
컨트롤러(700)는 송풍팬(100)이 동작 중이면, 송풍팬(100)의 구동을 정지시키고, 발광부(310)를 미리 정해진 시간 동안 구동시켜 광촉매 필터(400)로 자외선이 조사되도록 한다. 송풍팬(100)이 동작 중이지 않으면, 바로 발광부(310)를 미리 정해진 시간 동안 구동시킨다.
송풍팬(100)에 의한 외기 유입이 중지된 상태에서, 광촉매 필터(400)에 자외선이 조사되면, 광촉매와 자외선의 반응에 의해 광촉매 필터(400)에 붙어 있던 오염물질들이 분해되거나 제거되어, 광촉매 필터(400)의 탈취 및 살균 성능이 회복될 수 있다.
도 12를 참조하면, 공기 정화량이 기준값 이하이면(920), 컨트롤러(700)는 송풍팬(100)이 동작 중인지 결정하고(930), 송풍팬(100)이 동작 중이면 송풍팬(100)의 구동을 정지시키고(940), 미리 정해진 시간 동안 발광부(310)를 동작시킨다(950).
전술한 입력부(720)를 통한 탈취성능 회복 명령이 입력되지 않아도, 컨트롤러(700)는 공기정화량이 기준값 이하로 떨어지면 탈취성능의 회복을 위한 제어를 자동적으로 수행할 수도 있다. 즉, 컨트롤러(700)는 공기 정화량이 기준값 이하로 떨어지면, 송풍팬(100)이 동작 중인지 여부를 결정한다. 컨트롤러(700)는 송풍팬(100)이 동작 중이면, 송풍팬(100)의 구동을 정지시키고, 미리 정해진 시간 동안 발광부(310)를 동작시켜, 광촉매 필터(400)에 자외선이 미리 정해진 시간 동안 조사되도록 한다. 컨트롤러(700)는 송풍팬(100)이 동작 중이지 않으면, 바로 미리 정해진 시간 동안 발광부(310)를 동작시킬 수 있다.
컨트롤러(700)는 공기 정화량이 기준값 이하로 떨어지면, 우선 송풍팬(100)이 동작 중인지 확인한다. 송풍팬(100)이 동작 중인 상태에서 광촉매 필터(400)에 자외선이 조사되면, 광촉매 필터(400)에 의한 탈취 및 살균이 수행되는 것과 다르지 않기 때문에, 컨트롤러(700)는 송풍팬(100)이 동작 중인지 확인한다.
컨트롤러(700)는 송풍팬(100)이 동작 중이면, 송풍팬(100)의 구동을 정지시키고, 발광부(310)를 미리 정해진 시간 동안 구동시켜 광촉매 필터(400)로 자외선이 조사되도록 한다. 송풍팬(100)이 동작 중이지 않으면, 바로 발광부(310)를 미리 정해진 시간 동안 구동시킨다. 발광부(310)가 미리 정해진 시간 동안 구동될 때 발광부(310)로 인가되는 전류값은 미리 설정되어 저장될 수 있고, 컨트롤러(700)는 미리 설정되어 저장된 전류값을 발광부(310)로 인가할 수 있다.
도 13을 참조하면, 송풍팬(100)의 구동 시간이 미리 정해진 구동 시간 이상이면(960), 컨트롤러(700)는 송풍팬(100)이 동작 중인지 결정하고(970), 송풍팬(100)이 동작 중이면 송풍팬(100)의 구동을 정지시키고(980), 미리 정해진 시간 동안 발광부(310)를 동작시킨다(990).
전술한 입력부(720)를 통한 탈취성능 회복 명령이 입력되지 않아도, 컨트롤러(700)는 송풍팬(100)의 구동 시간이 미리 정해진 구동 시간 이상이 되면, 탈취성능의 회복을 위한 제어를 자동적으로 수행할 수도 있다. 여기서 송풍팬(100)의 구동시간은 누적 구동 시간일 수 있다.
즉, 컨트롤러(700)는 송풍팬(100)의 누적 구동 시간이 미리 정해진 구동 시간, 예를 들면 10시간 이상이면, 송풍팬(100)이 동작 중인지 여부를 결정한다. 송풍팬(100)의 동작 중에 누적 구동시간 10시간을 초과할 수도 있고, 송풍팬(100)의 누적 구동시간이 10시간을 초과한 후 얼마되지 않아 전자장치의 구동이 정지되어 송풍팬(100)의 구동이 정지된 상태일 수도 있으므로, 컨트롤러(700)는 송풍팬(100)이 동작 중인지 여부를 결정한다.
컨트롤러(700)는 송풍팬(100)이 동작 중이면, 송풍팬(100)의 구동을 정지시키고, 발광부(310)를 미리 정해진 시간 동안 구동시켜 광촉매 필터(400)로 자외선이 조사되도록 한다. 송풍팬(100)이 동작 중이지 않으면, 바로 발광부(310)를 미리 정해진 시간 동안 구동시킨다. 발광부(310)가 미리 정해진 시간 동안 구동될 때 발광부(310)로 인가되는 전류값은 미리 설정되어 저장될 수 있고, 컨트롤러(700)는 미리 설정되어 저장된 전류값을 발광부(310)로 인가할 수 있다.
도 14를 참조하면, 가스의 농도가 제2기준농도보다 높거나 가스의 누적 농도가 제3기준농도보다 높으면(1000), 컨트롤러(700)는 송풍팬(100)이 동작 중인지 결정하고(1010), 송풍팬(100)이 동작 중이면 송풍팬(100)의 구동을 정지시키고(1020), 미리 정해진 시간 동안 발광부(310)를 동작시킨다(1030).
전술한 입력부(720)를 통한 탈취성능 회복 명령이 입력되지 않아도, 컨트롤러(700)는 가스 센서(710)에 의해 검출된 특정 가스의 농도가 제2기준농도보다 높거나, 특정 가스의 누적 검출 농도가 제3기준농도보가 높으면, 탈취성능의 회복을 위한 제어를 자동적으로 수행할 수도 있다. 가스 센서(710)에서 검출된 특정 가스의 농도의 비교 대상이 되는 기준값으로 전술한 제1기준농도, 제2기준농도 및 제3기준농도는 저장부(130)나 메모리에 미리 저장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컨트롤러(700)는 가스 센서(710)에 의해 검출된 포름알데히드의 농도가 제2기준농도 이상이거나, 가스 센서(710)에 의해 검출된 포름알데히드의 누적농도가 제3기준농도 이상이면, 송풍팬(100)이 동작 중인지 여부를 결정한다.
컨트롤러(700)는 송풍팬(100)이 동작 중이면, 송풍팬(100)의 구동을 정지시키고, 발광부(310)를 미리 정해진 시간 동안 구동시켜 광촉매 필터(400)로 자외선이 조사되도록 한다. 송풍팬(100)이 동작 중이지 않으면, 바로 발광부(310)를 미리 정해진 시간 동안 구동시킨다. 발광부(310)가 미리 정해진 시간 동안 구동될 때 발광부(310)로 인가되는 전류값은 미리 설정되어 저장될 수 있고, 컨트롤러(700)는 미리 설정되어 저장된 전류값을 발광부(310)로 인가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개시된 발명의 일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개시된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요지를 벗어남 없이 개시된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함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개시된 발명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될 수 없다.
100: 송풍팬
130: 저장부
200: 지지 프레임
300: 발광모듈
310: 발광부
400: 광촉매 필터
500: 탈취 필터
600: 집진 필터
700: 컨트롤러
710: 가스 센서
720: 입력부

Claims (23)

  1. 송풍팬;
    상기 송풍팬에 의해 유동하는 공기를 정화시키는 필터장치; 및
    상기 필터 장치로 인가되는 전류를 조절하는 컨트롤러;를 포함하고,
    상기 필터 장치는,
    자외선을 출력하는 복수의 발광부가 장착된 발광 모듈;
    상기 발광부와 마주하도록 마련된 광촉매 필터; 및
    상기 발광 모듈과 광촉매 필터를 미리 정해진 간격 만큼 이격된 상태로 지지하는 지지 프레임;을 포함하는 전자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송풍팬의 풍량의 세기에 대응하여 상기 발광부로 인가되는 전류를 조절하는 전자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송풍팬의 풍량의 세기가 제1모드보다 강한 제2모드로 변경되면, 상기 발광부에 인가되는 전류값을 상기 제1모드에 대응하는 제1전류값보다 큰 제2전류값으로 증가시키는 전자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송풍팬의 풍량의 세기가 제2모드보다 약한 제1모드로 변경되면, 상기 발광부에 인가되는 전류값을 상기 제2모드에 대응하는 제2전류값보다 작은 제1전류값으로 감소시키는 전자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송풍팬에 의해 유입되는 공기에 포함된 미리 정해진 가스를 감지하는 가스 센서;를 더 포함하는 전자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가스 센서에 의해 감지된 상기 가스의 농도에 대응하여 상기 발광부에 인가되는 전류를 조절하는 전자장치.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가스 센서에 의해 감지된 상기 가스의 농도가 제1기준농도보다 높으면 상기 발광부에 인가되는 전류값을 상기 기준농도에 대응하는 기준 전류값보다 증가시키는 전자장치.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가스 센서에 의해 감지된 상기 가스의 농도가 제1기준농도보다 낮으면 상기 발광부에 인가되는 전류값을 상기 기준농도에 대응하는 기준 전류값보다 감소시키는 전자장치.
  9.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가스 센서에 의해 감지된 상기 가스의 농도가 제2기준농도보다 높거나 상기 가스의 누적 농도가 제3기준농도보다 높으면, 상기 송풍팬이 동작 중인 경우 상기 송풍팬의 구동을 정지시키고, 미리 정해진 시간 동안 발광부를 동작시켜 상기 광촉매 필터에 자외선이 조사되도록 하는 전자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는,
    탈취 성능의 회복을 위한 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송풍팬이 동작 중인 경우 상기 송풍팬의 구동을 정지시키고, 미리 정해진 시간 동안 발광부를 동작시켜 상기 광촉매 필터에 자외선이 조사되도록 하는 전자장치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송풍팬의 동작이 정지되면, 상기 광촉매 필터의 탈취 성능이 회복되도록, 미리 정해진 시간 동안 발광부를 동작시켜 상기 광촉매 필터에 자외선이 조사되도록 하는 전자장치.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전자장치의 공기 정화량(CADR, Clean Air Delivery Rate)이 미리 정해진 기준값에 도달하면, 상기 송풍팬이 동작 중인 경우 상기 송풍팬의 구동을 정지시키고, 상기 광촉매 필터의 탈취 성능이 회복되도록, 미리 정해진 시간 동안 발광부를 동작시켜 상기 광촉매 필터에 자외선이 조사되도록 하는 전자장치.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송풍팬이 미리 정해진 구동 시간 이상 구동 중이면, 상기 송풍팬의 구동을 정지시키고, 상기 광촉매 필터의 탈취 성능이 회복되도록, 미리 정해진 시간 동안 발광부를 동작시켜 상기 광촉매 필터에 자외선이 조사되도록 하는 전자장치.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광촉매 필터는,
    베이스 및 상기 베이스에 도포된 광촉매를 포함하는 전자장치.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광촉매는 이산화티타늄(Titanium Dioxide), 삼산화텅스텐(tungsten trioxide), 이산화망간(manganese dioxide), 산화아연(zinc oxide), 티타늄 테트라이소프로폭사이드(Titanium tetraisopropoxide)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전자장치.
  16.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는 코디어라이드(cordierite) 및 멀라이트(mulite)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전자장치.
  1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부는 315nm 이상 400nm 이하의 파장의 광을 출력하는 전자장치.
  18. 송풍팬이 구동 중인 경우, 상기 송풍팬의 풍량의 세기를 결정하고;
    상기 송풍팬의 풍량의 세기에 따라 발광부로 인가되는 전류를 조절하고;
    송풍팬의 구동이 정지되면, 미리 정해진 시간 동안 발광부를 동작시켜 광촉매 필터에 자외선이 조사되도록 하는 것;을 포함하는 전자장치의 제어방법.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송풍팬의 풍량의 세기에 따라 발광부로 인가되는 전류를 조절하는 것은,
    상기 송풍팬의 풍량의 세기가 제1모드보다 강한 제2모드로 변경되면, 상기 발광부에 인가되는 전류값을 상기 제1모드에 대응하는 제1전류값보다 큰 제2전류값으로 증가시키고;
    상기 송풍팬의 풍량의 세기가 제2모드보다 약한 제1모드로 변경되면, 상기 발광부에 인가되는 전류값을 상기 제2모드에 대응하는 제2전류값보다 작은 제1전류값으로 감소시키는 것;을 포함하는 전자장치의 제어방법.
  20.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송풍팬의 풍량의 세기에 따라 발광부로 인가되는 전류를 조절하는 것은,
    가스 센서에 의해 감지된 가스의 농도가 제1기준농도보다 높으면 상기 발광부에 인가되는 전류값을 상기 기준농도에 대응하는 기준 전류값보다 증가시키고;
    상기 가스 센서에 의해 감지된 가스의 농도가 제1기준농도보다 낮으면 상기 발광부에 인가되는 전류값을 상기 기준농도에 대응하는 기준 전류값보다 감소시키는 것;을 포함하는 전자장치의 제어방법.
  21. 제18항에 있어서,
    송풍팬의 구동이 정지되면, 미리 정해진 시간 동안 발광부를 동작시켜 광촉매 필터에 자외선이 조사되도록 하는 것은,
    상기 전자장치의 공기 정화량(CADR, Clean Air Delivery Rate)이 미리 정해진 기준값에 도달하면, 상기 송풍팬이 동작 중인 경우 상기 송풍팬의 구동을 정지시키고;
    상기 광촉매 필터의 탈취 성능이 회복되도록, 미리 정해진 시간 동안 발광부를 동작시켜 상기 광촉매 필터에 자외선이 조사되도록 하는 것;을 포함하는 전자장치의 제어방법.
  22. 제18항에 있어서,
    송풍팬의 구동이 정지되면, 미리 정해진 시간 동안 발광부를 동작시켜 광촉매 필터에 자외선이 조사되도록 하는 것은,
    상기 송풍팬이 미리 정해진 구동 시간 이상 구동 중이면, 상기 송풍팬의 구동을 정지시키고;
    상기 광촉매 필터의 탈취 성능이 회복되도록, 미리 정해진 시간 동안 발광부를 동작시켜 상기 광촉매 필터에 자외선이 조사되도록 하는 것;을 포함하는 전자장치의 제어방법.
  23. 제18항에 있어서,
    송풍팬의 구동이 정지되면, 미리 정해진 시간 동안 발광부를 동작시켜 광촉매 필터에 자외선이 조사되도록 하는 것은,
    가스 센서에 의해 감지된 가스의 농도가 제2기준농도보다 높거나 상기 가스의 누적 농도가 제3기준농도보다 높으면, 상기 송풍팬이 동작 중인 경우 상기 송풍팬의 구동을 정지시키고;
    미리 정해진 시간 동안 발광부를 동작시켜 상기 광촉매 필터에 자외선이 조사되도록 하는 것;을 포함하는 전자장치의 제어방법.
KR1020170010898A 2017-01-24 2017-01-24 광촉매 필터를 포함하는 전자장치 KR102629959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10898A KR102629959B1 (ko) 2017-01-24 2017-01-24 광촉매 필터를 포함하는 전자장치
EP18152775.5A EP3360584A3 (en) 2017-01-24 2018-01-22 Electronic apparatus having photocatalytic filter
EP19180501.9A EP3593827A1 (en) 2017-01-24 2018-01-22 Electronic apparatus having photocatalytic filter
US15/878,029 US11058790B2 (en) 2017-01-24 2018-01-23 Electronic apparatus having photocatalytic filter
CN201810067589.5A CN108344055A (zh) 2017-01-24 2018-01-24 具有光催化过滤器的电子装置及其控制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10898A KR102629959B1 (ko) 2017-01-24 2017-01-24 광촉매 필터를 포함하는 전자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87514A true KR20180087514A (ko) 2018-08-02
KR102629959B1 KR102629959B1 (ko) 2024-01-31

Family

ID=611319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10898A KR102629959B1 (ko) 2017-01-24 2017-01-24 광촉매 필터를 포함하는 전자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11058790B2 (ko)
EP (2) EP3360584A3 (ko)
KR (1) KR102629959B1 (ko)
CN (1) CN108344055A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48123B1 (ko) * 2019-11-12 2020-08-26 퓨리바이드 주식회사 복합 필터링모듈 및 이를 이용한 공기 정화장치
KR102211993B1 (ko) * 2020-05-04 2021-02-08 한국공조엔지니어링 주식회사 헤파필터 장착용 살균모듈과 이를 포함하는 공기청정기 또는 공기조화기
WO2021107391A1 (ko) * 2019-11-27 2021-06-03 삼성전자주식회사 공기 정화기
KR102353603B1 (ko) * 2020-11-12 2022-01-21 주식회사 클린인프라 광살균 모듈 및 수명 예측 모듈이 구비된 필터 시스템
KR20230174340A (ko) * 2022-06-20 2023-12-28 제로웰 주식회사 공기 청정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871295B2 (en) * 2017-08-30 2020-12-22 Seoul Viosys Co., Ltd. Air cleaning module
KR20190090959A (ko) * 2018-01-26 2019-08-05 서울바이오시스 주식회사 유체 처리 장치
CN108887374A (zh) * 2018-08-31 2018-11-27 山东商业职业技术学院 一种纳米光催化保鲜设备及控制方法
CN109289518B (zh) * 2018-10-16 2021-08-31 温州泰昌铁塔制造有限公司 基于过氧化氢膜的废气催化氧化装置
JP7453077B2 (ja) * 2019-09-10 2024-03-19 シャープ株式会社 空気清浄装置及び空気清浄装置の制御方法
DE102019217111A1 (de) * 2019-11-06 2021-05-06 Wilhelm Bruckbauer Geruchsfilter für eine Dunstabzugsvorrichtung
KR102469482B1 (ko) * 2020-02-11 2022-11-23 (주)에이스원 광 촉매 필터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공기 청정기
IT202000018508A1 (it) * 2020-07-30 2022-01-30 Vortice S P A Apparato e metodo di ventilazione
KR20220038227A (ko) * 2020-09-18 2022-03-28 삼성전자주식회사 광촉매 필터 및 그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CN114681635A (zh) * 2020-12-30 2022-07-01 青岛海尔电冰箱有限公司 杀菌模块及具有其的家电
JP7074247B1 (ja) 2021-02-19 2022-05-24 富士電機株式会社 空気清浄機
JP6958754B1 (ja) * 2021-02-19 2021-11-02 富士電機株式会社 空気清浄機
CN113108412B (zh) * 2021-04-23 2022-11-01 重庆美的制冷设备有限公司 一种空调系统及空气处理方法
DE102021124798A1 (de) 2021-09-24 2023-03-30 Dr. Schneider Kunststoffwerke Gmbh Reinigungskassette und Belüftungssystem mit Reinigungskassette
IT202100025853A1 (it) * 2021-10-08 2023-04-08 Fmi Fan Motors Italia Srl Sistema di sanificazione per aria o altro fluido aeriforme e procedimento per utilizzarlo.
CN114484713A (zh) * 2022-02-28 2022-05-13 青岛海尔空调器有限总公司 空调器的控制方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71191A (ja) * 1996-08-30 1998-03-17 Daikin Ind Ltd 空気清浄機
KR200403240Y1 (ko) * 2005-09-16 2005-12-08 장윤정 신선도 유지장치
JP2008245693A (ja) * 2007-03-29 2008-10-16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空気清浄機
KR20130053337A (ko) * 2011-11-15 2013-05-23 삼성전자주식회사 광촉매-함유 필터 재료 및 이를 채용한 광촉매 필터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309329A (ja) * 1996-05-23 1997-12-02 Aqueous Res:Kk 自動車用空気浄化装置及び吸着剤の再生方法
JPH1071323A (ja) * 1996-08-30 1998-03-17 Aqueous Res:Kk 空気浄化フィルタ及び自動車用空気浄化装置
JP2001079069A (ja) 1999-09-10 2001-03-27 Shimadzu Corp 空気清浄機
JP3754601B2 (ja) 2000-06-16 2006-03-15 株式会社東芝 冷蔵庫
US7056476B2 (en) * 2000-06-15 2006-06-06 Kabushiki Kaisha Toshiba Refrigerator and deodorizer producing ozone by high-voltage discharge
CN2633628Y (zh) 2003-08-02 2004-08-18 朱鲁曰 车载空气净化器
KR20060017572A (ko) 2005-09-22 2006-02-24 주식회사 천우엔지니어링 악취제거용 광촉매 필터
CN101370579A (zh) 2006-01-19 2009-02-18 大金工业株式会社 除臭功能再生装置及包括再生装置的空调装置
EP2104517B1 (en) 2006-08-22 2012-01-11 Northrock Distribution, Inc. Photocatalyst, methods for deodorizing, and methods for making a deodorizer system
KR101353581B1 (ko) 2007-05-11 2014-01-22 서울반도체 주식회사 자외선 발광 다이오드를 이용한 유체 정화 장치
US7820100B2 (en) 2007-05-17 2010-10-26 Garfield Industries, Inc. System and method for photocatalytic oxidation air filtration using a substrate with photocatalyst particles powder coated thereon
EP2252376B1 (en) * 2008-02-01 2014-11-19 Carrier Corporation Uv-pco air purifier with control system
CN101371929A (zh) 2008-10-14 2009-02-25 广东工业大学 一种发光二极管为光源的光催化空气净化器
JP4806108B2 (ja) * 2009-03-23 2011-11-02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脱臭デバイス
KR101249885B1 (ko) 2011-03-16 2013-04-03 한국광기술원 플라즈몬을 이용한 광촉매 정수장치
WO2015139606A1 (zh) * 2014-03-17 2015-09-24 罗瑞真 空气净化装置
CN203829870U (zh) 2014-04-15 2014-09-17 浙江商业职业技术学院 一种自身可恢复吸附性能的车载空气净化装置
DE102016117797A1 (de) * 2016-09-21 2016-12-01 Dr. Schneider Kunststoffwerke Gmbh Luftreinigungsvorrichtung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71191A (ja) * 1996-08-30 1998-03-17 Daikin Ind Ltd 空気清浄機
KR200403240Y1 (ko) * 2005-09-16 2005-12-08 장윤정 신선도 유지장치
JP2008245693A (ja) * 2007-03-29 2008-10-16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空気清浄機
KR20130053337A (ko) * 2011-11-15 2013-05-23 삼성전자주식회사 광촉매-함유 필터 재료 및 이를 채용한 광촉매 필터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48123B1 (ko) * 2019-11-12 2020-08-26 퓨리바이드 주식회사 복합 필터링모듈 및 이를 이용한 공기 정화장치
WO2021107391A1 (ko) * 2019-11-27 2021-06-03 삼성전자주식회사 공기 정화기
KR102211993B1 (ko) * 2020-05-04 2021-02-08 한국공조엔지니어링 주식회사 헤파필터 장착용 살균모듈과 이를 포함하는 공기청정기 또는 공기조화기
KR102353603B1 (ko) * 2020-11-12 2022-01-21 주식회사 클린인프라 광살균 모듈 및 수명 예측 모듈이 구비된 필터 시스템
KR20230174340A (ko) * 2022-06-20 2023-12-28 제로웰 주식회사 공기 청정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360584A3 (en) 2018-11-21
EP3593827A1 (en) 2020-01-15
US11058790B2 (en) 2021-07-13
US20180207311A1 (en) 2018-07-26
CN108344055A (zh) 2018-07-31
KR102629959B1 (ko) 2024-01-31
EP3360584A2 (en) 2018-08-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629959B1 (ko) 광촉매 필터를 포함하는 전자장치
US9597627B2 (en) Regenerative air purification system and method
US9974881B2 (en) Air purifying apparatus using ultra violet light emitting diode
US20190030202A1 (en) Air purifier using ultraviolet rays
AU2019200274A1 (en) Purified hydrogen peroxide gas generation methods and devices
US10005019B2 (en) Carbon dioxide concentration-controlling device and electronic apparatus
JP5301772B2 (ja) 空調システム
JP2002065836A (ja) イオン発生装置を備えた空気清浄機並びに空気調和機
WO2020255875A1 (ja) 空気質制御システム、空気質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20210283297A1 (en) Fluid processing module and storage device comprising fluid processing module
JP2008036168A (ja) 脱臭装置
JP2022106652A (ja) 室内空気汚染の知能的な防止及び解決方法
JP2004089708A (ja) ガス浄化方法およびガス浄化装置
JP2008035926A (ja) 空気浄化装置および空気調節装置
JP2006340813A (ja) ゴミ収集場脱臭システム
KR20200005116A (ko) 의류 관리기
JP2004028433A (ja) 空気清浄機
JP2005274004A (ja) 空気調節装置
JP2022167775A (ja) 車内空気汚染防除システム
JP2009295359A (ja) イオン発生装置
TW202331161A (zh) 防治空污清淨機
JP2007311227A (ja) 空気清浄機
JP2011038673A (ja) 脱臭空調システム
USRE46804E1 (en) Regenerative air purification system and method
TWI796113B (zh) 防治空污抽風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