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87323A - 내장형 프로파일 스트립을 갖는 글레이징 - Google Patents

내장형 프로파일 스트립을 갖는 글레이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87323A
KR20180087323A KR1020187017667A KR20187017667A KR20180087323A KR 20180087323 A KR20180087323 A KR 20180087323A KR 1020187017667 A KR1020187017667 A KR 1020187017667A KR 20187017667 A KR20187017667 A KR 20187017667A KR 20180087323 A KR20180087323 A KR 2018008732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terlayer
glazing
sheet
profile section
glass she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70176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한스-베르너 쿠스터
볼크마르 오퍼만
Original Assignee
쌩-고벵 글래스 프랑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쌩-고벵 글래스 프랑스 filed Critical 쌩-고벵 글래스 프랑스
Publication of KR201800873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8732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1/00Windows; Windscreens; Accessories therefor
    • B60J1/001Double glazing for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7/00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 B32B17/06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 B32B17/10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32B17/10005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 B32B17/10009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characterized by the number, the constitution or treatment of glass sheets
    • B32B17/10036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characterized by the number, the constitution or treatment of glass sheets comprising two outer glass she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7/00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 B32B17/06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 B32B17/10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32B17/10005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 B32B17/10165Functional features of the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 B32B17/10293Edge features, e.g. inserts or ho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1/00Windows; Windscreens; Accessories therefor
    • B60J1/02Windows; Windscreens; Accessories therefor arranged at the vehicle front, e.g. structure of the glazing, mounting of the glaz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50/00Layers arrangement
    • B32B2250/033 lay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50/00Layers arrangement
    • B32B2250/40Symmetrical or sandwich layers, e.g. ABA, ABCBA, ABCCBA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15/00Other materials containing non-metallic inorganic compounds not provided for in groups B32B2311/00 - B32B2313/04
    • B32B2315/08Gla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29/00Polyvinylalcohols, polyvinylethers, polyvinylaldehydes, polyvinylketones or polyvinylketals
    • B32B2329/06PVB, i.e. polyinylbutyr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605/00Vehicles
    • B32B2605/006Transparent parts other than made from inorganic glass, e.g. polycarbonate glaz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1/00Windows; Windscreens; Accessories therefor
    • B60J1/004Mounting of windows
    • B60J1/006Mounting of windows characterised by fixation means such as clips, adhesive, etc.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10/00Sealing arrangements
    • B60J10/15Seal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B60J10/18Seal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provided with reinforcements or inser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10/00Sealing arrangements
    • B60J10/30Seal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fasten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10/00Sealing arrangements
    • B60J10/70Seal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windows or windscreens

Abstract

글레이징(1)은 외부 유리 시트(3), 내부 유리 시트(5) 및 상기 유리 시트(3, 5) 사이에 위치된 적어도 하나의 플라스틱 층간 시트(41, 42)를 포함하는 적층형 글레이징된 요소(2), 및 적어도 하나의 에지의 적어도 일부를 따라, 홈을 구비하는 기능부(60) 및 프로파일 섹션을 글레이징된 요소에 고정하기 위한 고정부를 포함하는 프로파일 섹션(6)을 포함한다. 고정부는 단면에서 볼 때, 상기 외부 유리 시트(3)의 층간면과 상기 내부 유리 시트(5)의 층간면 사이에 위치된 층간 플랜지(71)를 포함하고, 층간 플랜지(71)의 내부면과 외부면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면이 플라스틱 층간 시트(41, 42)와 접촉한다.

Description

내장형 프로파일 스트립을 갖는 글레이징
본 설명은 글레이징(glazing), 특히 차량 글레이징에 관한 것이다.
본 설명은 더 구체적으로는 외부 유리 시트, 내부 유리 시트, 및 상기 유리 시트들 사이에 위치된 적어도 하나의 플라스틱 층간 시트를 포함하는 적층형 글레이징된 요소(laminated glazed element)를 포함하는 유형의 글레이징이며,
상기 외부 유리 시트는 외부면, 에지면 및 상기 플라스틱 층간 시트를 향해 지향하는 층간면을 갖고,
상기 내부 유리 시트는 상기 플라스틱 층간 시트를 향해 지향하는 층간면, 에지면 및 내부면을 갖고,
상기 글레이징은 적어도 하나의 에지의 적어도 일부를 따라, 홈을 구비하는 기능부 및 이 프로파일 섹션을 글레이징된 요소에 고정하기 위한 고정부를 포함하는 프로파일 섹션(profile section)을 포함하는, 글레이징에 관한 것이다.
차량 글레이징, 특히 창유리(windshield) 및 후면 스크린(rear screen)은 통상적으로 유출수(runoff water)를 수집하거나 제거하기 위한 시스템과 연계된다.
따라서, 적어도 하나의 에지의 적어도 일부를 따라, 커버편(cover piece), 예를 들어 스커틀 패널(scuttle panel)의 클립 체결(clip-fastening)을 위해, 또는 심지어 유출수를 회수하여 제거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는 홈을 포함하는 프로파일 섹션을 포함하는 글레이징이 공지되어 있다.
이러한 프로파일 섹션은 일반적으로 이 내부면에 대해 접합되어 있는 내부 플랜지를 사용하여 글레이징된 요소의 내부면(또는 내부 유리 시트의 내부면)에 고정된다.
이 내부 플랜지가 글레이징된 요소에 견고하게 부착하게 하기 위해, 이 내부 플랜지는 비교적 넓어야 할 필요가 있다(프로파일 섹션을 단면에서 볼 때).
종래 기술은 2개의 유형의 상황:
- 커버편이, 예를 들어 특허 출원 EP 945 296호, DE 3606566호와 같이, 글레이징된 요소의 외부면 위로 돌출하여 적어도 홈을 덮는 상황; 및
- 커버편이, 예를 들어 특허 출원 WO 2001/045974호 또는 WO 2001/85481호와 같이, 글레이징된 요소의 외부면 위로 돌출하지 않고 적어도 홈을 덮는 상황을 인식하고 있다.
전자의 상황에서, 커버편은 외부로부터 가시화되지 않고 그리고/또는 마스킹 스트립이 내부 플랜지보다 더 외부를 향해 생성되도록 적어도 내부 플랜지를 덮기 위해 충분히 넓어야 한다.
후자의 상황에서, 마스킹 스트립은 외부로부터 가시화되지 않도록 적어도 내부 플랜지를 덮기 위해 내부 플랜지보다 더 외부를 향해 생성된다.
이들 2개의 상황이 공통적인 것은, 커버편 및/또는 마스킹 스트립이 자체로 또는 함께 적어도 내부 플랜지만큼 넓고 일반적으로 내부 플랜지보다 더 넓다는 것이고, 그 결과 글레이징된 요소를 투시하기 위한 가로막히지 않은 영역이 감소된다.
더욱이, 내부 유리 시트의 에지면과 그 내부면 사이의 코너에서 내부 플랜지의 존재에 기인하여, 인접한 차체에 글레이징을 접합하는데 사용된 접착제의 비드가 글레이징의 더 중심을 향해 위치될 필요가 있는데; 이제, 이 접착제의 비드는 마찬가지로 외부로부터 은폐될 필요가 있다.
따라서, 광이 통과하게 허용하는데 사용될 수 없고 따라서 투시를 위한 가로막히지 않은 영역을 감소시키는 홈이 있는 프로파일 섹션을 구비한 글레이징의 에지를 따른 30 내지 35 mm 넓이의 스트립이 존재하는 것을 고려하는 것이 통상의 실시이다.
본 발명의 목적 중 하나는 종래 기술의 단점을 극복하고, 글레이징된 요소에 견고하게 부착된 물 관리 프로파일 섹션을 구비하고, 글레이징된 요소를 투시하기 위한 가로막히지 않은 영역을 증가시키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글레이징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 목적은 외부 유리 시트, 내부 유리 시트 및 상기 유리 시트들 사이에 위치된 적어도 하나의 플라스틱 층간 시트를 포함하는 적층형 글레이징된 요소를 포함하는, 특히 차량 글레이징과 같은 글레이징이며,
상기 외부 유리 시트는 외부면, 에지면 및 상기 플라스틱 층간 시트를 향해 지향하는 층간면을 갖고,
상기 내부 유리 시트는 상기 플라스틱 층간 시트를 향해 지향하는 층간면, 에지면 및 내부면을 갖고,
상기 글레이징은 적어도 하나의 에지의 적어도 일부를 따라, 홈을 구비하는 기능부 및 프로파일 섹션을 글레이징된 요소에 고정하기 위한 고정부를 포함하는 프로파일 섹션을 포함하는, 글레이징에 있어서,
글레이징은, 고정부가 단면에서 볼 때, 상기 외부 유리 시트의 층간면과 상기 내부 유리 시트의 층간면 사이에 위치된 층간 플랜지를 포함하고, 상기 층간 플랜지는 외부 유리 시트를 향해 지향하는 외부면, 내부 유리 시트를 향해 지향하는 내부면 및 에지면을 포함하고,
층간 플랜지의 내부면 및 외부면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면이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플라스틱 층간 시트와 접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글레이징에 의해 성취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프로파일 섹션의 층간 플랜지는 플라스틱 층간 시트(들)를 거쳐 글레이징된 요소에 고정된다.
층간 플랜지는 글레이징된 요소의 외부 및 내부 유리 시트 사이에 적층되기 때문에, 이는 글레이징의 내부면에 간단히 접합되는 것보다 훨씬 더 견고하게 고정된다. 프로파일 섹션의 고정 플랜지는 따라서 덜 넓고, 글레이징을 투시하기 위한 가로막히지 않은 영역이 증가될 수 있다. 더욱이, 본 발명에 따른 글레이징은 쉽게 끼워진다.
단면에서 볼 때, 프로파일 섹션의 기능부는 후크형이다. 본 발명의 특정 용례에서, 이 형상은 빗물이 포획되어 직접 제거되게 한다. 홈은 이어서 배출 채널 또는 홈통(gutter)으로서 작용한다. 다른 용례에서, 홈은 특히 유출수를 관리하는 기능을 갖는 커버편, 예를 들어 스커틀 패널과 협동하도록 의도된다.
본 설명에서, 플라스틱 층간 시트는, 외부 유리 시트 및 내부 유리 시트가 적층형 글레이징을 얻기 위한 이러한 방식으로 서로 부착하게 하는 임의의 시트를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러한 시트는 통상적으로 PU(폴리우레탄) 또는 PVB(폴리비닐 부티랄) 또는 EVA(에틸렌 비닐 아세테이트 코폴리머)로 제조된다.
통상적으로, 층간 플랜지의 에지면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플라스틱 층간 시트와 또한 접촉한다.
하나의 예에 따르면, 층간 플랜지의 외부면 및 층간 플랜지의 에지면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플라스틱 층간 시트와 접촉하고, 층간 플랜지의 내부면은 접촉에 의해 또는 접착 재료의 층의 삽입을 거쳐, 내부 유리 시트의 층간면과 연결된다. 이들 제공에 의해, 커버편이 홈에 고정될 때 프로파일 섹션에 인가된 응력은 내부 유리 시트에 의해 부분적으로 반작용된다. 따라서, 플라스틱 층간 시트는 적은 응력을 경험하고, 글레이징된 요소로의 층간 플랜지의 고정은 보존된다.
하나의 예에 따르면, 글레이징된 요소는 적어도 하나의 외부 층간 시트 및 외부 유리 시트와 내부 유리 시트 사이의 플라스틱으로 제조된 하나의 내부 층간 시트를 포함하고, 층간 플랜지의 외부면은 외부 층간 시트와 접촉하고, 층간 플랜지의 내부면은 내부 층간 시트와 접촉한다.
하나의 예에 따르면, 글레이징된 요소는 외부 층간 시트와 내부 층간 시트 사이에 제3 플라스틱 층간 시트를 더 포함하고, 층간 플랜지의 에지면은 상기 제3 층간 시트의 에지면과 접촉한다.
본 발명에 따른 글레이징은 일반적으로 예를 들어, 차량의 외부 공간(E)과 내부 공간(I) 사이의 분리부를 마킹하도록 의도된다. 따라서, "외부" 및 "내부"의 사상은 이 외부 공간(E) 및 이 내부 공간(I)에 관하여 각각 고려된다.
이 설명의 목적으로, 상기 시트의 상기 외부면 및 에지면이 만나는 점에서 글레이징된 요소의 외부 유리 시트의 외부면에 대한 접선에 직교하는 주 방향은 또한 글레이징의 임의의 횡단 평면에 규정된다.
동일한 횡단 평면에서, 상기 주 방향에 직교하는 횡방향이 규정된다.
본 설명의 맥락에서, 형용사 "말단" 및 "기단"은 프로파일 섹션의 부분을 정의하는데 사용된다. 횡단 평면에서, 프로파일 섹션의 말단부는 동일한 프로파일 섹션의 기단부보다 글레이징된 요소(일반적으로, 홈의 개방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에서)로부터 더 멀리 이격되어 있다는 것이(더 멀리 이격되어 있도록 의도됨) 특히 고려될 수 있을 것이다.
하나의 예에 따르면, 홈은 주 방향으로 지향하는 그 개구를 갖는다. 홈은 횡방향으로 지향하는 그 개구를 또한 가질 수도 있다.
하나의 예에 따르면, 홈은 외부를 향해 개방되어 있다.
하나의 예에 따르면, 프로파일 섹션은 단면에서, 동일한 방향 또는 반대 방향으로 개방되어 있는 2개의 리세스, 즉 홈을 형성하는 제1 리세스 및 외부 유리 시트 위에 끼워지는 제2 리세스를 갖는다.
프로파일 섹션은 따라서 단면에서 m 형상 또는 S 형상을 가질 수도 있다.
하나의 예에 따르면, 층간 플랜지는 5 내지 40 mm, 특히 5 내지 20 mm의 폭(횡방향에서 측정됨)을 갖는다.
그 팽창에 의해 유발되는 층간박리(delamination)를 회피하기 위해, 층간 플랜지는 가능하게는 주름형성될(corrugated) 수도 있다. 특히, 층간 플랜지는 횡방향에 직교하는 종방향에서 볼 때, 주름부를 가질 수도 있다. 대안적인 형태에서, 이 층간 플랜지는 횡단 평면에서 본 주름부를 또한 가질 수도 있다.
하나의 예에 따르면, 프로파일 섹션은 홈을 경계한정하는 열가소성 재료로 제조된 적어도 하나의 본체부, 및 상기 본체부 내로 삽입된 말단부 및 상기 본체부 외부로 돌출하는 기단부를 구비하는 적어도 하나의 고정 인서트를 포함한다.
이 경우에, 층간 플랜지는 고정 인서트의 상기 기단부의 적어도 일부에 구성될 수도 있다.
고정 인서트는 예를 들어, 금속 재료로부터 제조된다. 더 일반적으로, 고정 인서트는 유리의 팽창 계수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팽창 계수를 갖는 재료로부터 제조된다.
글레이징된 요소로의 프로파일 섹션의 고정을 향상시키기 위해, 층간 플랜지는 적어도 하나의 캐비티, 특히 적어도 하나의 관통 개구를 가질 수도 있다. 하나의 구성에 따르면, 캐비티는 주 방향으로 연장한다. 제조시에, 적어도 하나의 층간 시트가 제조되는 그 플라스틱은 상기 캐비티에 진입하여, 횡방향에서 인출력(pullout force)을 받게될 때 고정의 인출 강도를 향상시킨다.
참조를 위해, 층간 플랜지는 그 전체 표면에 걸쳐 균등하게 또는 불균등하게 분포되어 있는 복수의 캐비티, 특히 관통 개구를 갖는다.
하나의 예에 따르면, 프로파일 섹션은 글레이징된 요소의 적어도 하나의 에지를 따라 줄곧 연장한다.
하나의 예에 따르면, 프로파일 섹션은 글레이징된 요소의 2개의 횡방향 에지를 따라 그리고/또는 글레이징된 요소의 상부 에지를 따라 위치된다.
하나의 예에 따르면, 프로파일 섹션은 글레이징된 요소의 하부 에지를 따라 위치된다.
하나의 예에 따르면, 프로파일 섹션은 홈과 층간 플랜지 사이에 밀봉립을 구비한다.
통상적으로, 밀봉립은 외부 유리 시트의 에지면과 접촉한다.
하나의 예에 따르면, 홈은 상기 프로파일 섹션 상에 커버편을 클립 체결하기 위해 구성된다.
본 설명은 또한
- 전술된 바와 같은 글레이징으로서, 홈이 상기 프로파일 섹션 상에 커버편을 클립 체결하기 위해 구성되는, 글레이징, 및
- 단면에서 볼 때, 클립 체결 중에 홈에 진입하는 미늘이 있는 후크(barbed hook)를 포함하는 커버편을 포함하는,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커버편은 예를 들어, 스커틀 패널 또는 트림 요소이다.
본 설명은 또한
- 전술된 바와 같은 글레이징, 및
- 차체 구성요소를 포함하고,
프로파일 섹션은 상기 차체 구성요소에 지탱되는,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하나의 예에 따르면, 차체 구성요소는 주요부 및 상기 주요부에 관하여 내부를 향해 퇴피되어 있고 숄더에 의해 그에 연결된 단부를 갖고, 프로파일 섹션의 기능부는 숄더에 지탱되고, 글레이징된 요소는 상기 단부에 접합에 의해 고정된다.
하나의 특정 구성에 따르면, 프로파일 섹션의 기능부는 상기 구성요소와 밀봉 접촉을 보장하기 위해 차체 구성요소에 대해 탄성 변형된다.
바람직한 구성에 따르면, 프로파일 섹션의 기능부는 차체 구성요소의 형상에 합치한다.
본 설명은 또한 전술된 바와 같은 글레이징용 프로파일 섹션이며, 홈을 경계한정하는 열가소성 재료로 제조된 적어도 하나의 본체부, 및 상기 본체부 내로 삽입된 말단부 및 상기 본체부 외부로 돌출하는 기단부를 구비하는 적어도 하나의 고정 인서트를 포함하는, 프로파일 섹션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프로파일 섹션은 예를 들어, 본체부와 고정 인서트를 오버몰딩함으로써 생성된다. 이 프로파일 섹션은 또한 특히 일정한 단면의 직선형 프로파일 섹션의 경우에, 압출에 의해 생성될 수 있다.
고정 인서트는 통상적으로 금속 재료로부터 제조된다.
하나의 예에 따르면, 본체부는 고정 인서트로부터 별개인 적어도 하나의 보강 인서트에 의해 더 보강된다.
하나의 예에 따르면, 고정 인서트는 단면에서 볼 때 실질적으로 홈의 전체 내부 윤곽을 따라 연장한다. 달리 말하면, 고정 인서트는 홈의 내부 윤곽의 적어도 80%에 걸쳐 계속 연장한다.
하나의 예에 따르면, 층간 플랜지는 복수의 캐비티, 특히 복수의 관통 개구를 갖는다.
본 설명은 또한 전술된 바와 같은 글레이징을 제조하기 위한 방법이며, 적어도 하나의 플라스틱 층간 시트를 사용하여 글레이징된 요소의 외부 유리 시트 및 내부 유리 시트를 적층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적층 단계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층간 시트와 접촉하여 외부 유리 시트와 내부 유리 시트 사이에 프로파일 섹션의 층간 플랜지를 배치하는 단계를 수반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프로파일 섹션은 적층의 순간에 글레이징 내로 합체된다는 것이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통상적으로, 프로파일 섹션의 층간 플랜지는 유리 시트의 다른 하나가 제1 스택 상에 배치되기 전에, 제1 스택을 형성하기 위해 내부 유리 시트 또는 외부 유리 시트와 중첩된다.
하나의 특정 실시예에 따르면, 적층 단계는 이하의 서브단계:
a1) 제1 플라스틱 층간 시트가 제1 유리 시트 상에 배치되는 단계,
b1) 층간 플랜지가 상기 제1 층간 시트, 제1 유리 시트, 제1 층간 시트 및 층간 플랜지와 중첩되어 제1 스택을 형성하는 단계,
c1) 제2 유리 시트가 제1 스택 상에 배치되고, 층간 플랜지가 따라서 제1 및 제2 유리 시트 사이에 배열되고 제1 층간 시트를 거쳐 상기 유리 시트들에 고정되는 단계를 포함한다.
하나의 예에 따르면, 서브단계 c1) 전에, 적어도 하나의 제2 플라스틱 층간 시트가 제2 유리 시트 상에 또는 제1 스택 상에 배치되고, 층간 플랜지는 따라서 서브단계 c1)의 종료시에, 제1 및 제2 층간 시트 사이에 배열된다.
다른 특정 실시예에 따르면, 적층 단계는 이하의 서브단계:
a2) 층간 플랜지가 제1 유리 시트와 중첩되고, 제1 유리 시트 및 층간 플랜지가 제1 스택을 형성하는 단계,
b2) 적어도 하나의 플라스틱 층간 시트 및 하나의 제2 유리 시트가 제1 스택 상에 배치되고, 층간 플랜지가 따라서 제1 및 제2 유리 시트 사이에 배열되고 층간 시트를 거쳐 상기 유리 시트들에 고정되는 단계를 포함한다.
하나의 예에 따르면, 서브단계 a2) 중에, 층간 플랜지는 접착 재료의 층을 사용하여 제1 유리 시트에 고정된다.
하나의 예에 따르면, 층간 플랜지는 인서트의 기단부에 의해 형성되어, 적층 단계 후에, 인서트의 말단부가 적층형 글레이징된 요소 외부로 돌출하게 되고, 방법은 적층 단계 후에, 특히 오버몰딩을 사용하여, 적층형 글레이징된 요소 외부로 돌출하는 인서트의 상기 말단부를 코팅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다양한 실시예 또는 제조예가 본 설명에 설명된다. 그러나, 달리 지정되지 않으면, 일 실시예 또는 제조예에 관련하여 설명된 특징부는 임의의 다른 제조예 또는 실시예에 적용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은 비한정적인 예로서 서술되어 있는 다수의 실시예의 이하의 상세한 설명의 숙독으로부터 명백히 이해될 것이고 그 장점은 더 양호하게 명백해질 것이다. 설명은 첨부 도면을 참조하고, 도면에서:
- 도 1은 제1 실시예에 따른 글레이징을 단면도로 도시하고 있다.
- 도 1a는 도 1의 상세 A의 확대도이다.
- 도 2는 도 1의 프로파일 섹션의 실시예의 대안적인 형태를 도시하고 있다.
- 도 3은 도 1의 프로파일 섹션의 실시예의 대안적인 형태를 도시하고 있다.
- 도 4는 제2 실시예에 따른 글레이징의 단면도이다.
- 도 5는 제3 실시예에 따른 글레이징의 단면도이다.
- 도 6은 제4 실시예에 따른 글레이징의 단면도이다.
- 도 7은 제5 실시예에 따른 글레이징의 단면도이다.
- 도 8은 제6 실시예에 따른 글레이징의 단면도이다.
- 도 9는 제6 실시예에 따른 미조립된 글레이징의 단면도이다.
- 도 10은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의 대안적인 형태를 도시하고 있다.
- 도 11은 일 가능한 구현예에 따른, 도 1의 글레이징의 제조에 있어서의 다양한 단계를 도시하고 있다.
- 도 12는 다른 가능한 구현예를 도시하고 있다.
본 발명은 외부 유리 시트, 내부 유리 시트, 및 상기 유리 시트들 사이에 위치된 적어도 하나의 플라스틱 층간 시트를 포함하는 적층형 글레이징된 요소를 포함하는 유형의 글레이징에 관한 것이다.
예로서, 본 발명에 따른 글레이징의 예는 차량 글레이징의 용례의 맥락에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이하에 설명될 것이고, 이들 글레이징은 차량의 외부에 있는 외부 공간(E)과 차량의 내부에 있는 내부 공간(I) 사이의 분리부를 마킹한다.
도 1의 예에서, 본 발명은 차량 창유리에, 더 구체적으로는 차량 창유리의 하부 에지에 적용된다. 도 1은 차체 개구 내에 설치되고 상기 개구를 폐쇄하도록 의도된 글레이징(1)의 단면도이다. 이 개구의 일 에지는 은촉홈(rabbet)(9)으로서 도 1에 도시되어 있다.
예에서, 글레이징(1)은 외부 유리 시트(3), 내부 유리 시트(5) 및 상기 2개의 유리 시트(3, 5) 사이에 위치된 2개의 플라스틱 층간 시트(41, 42)를 포함하는 적층형 글레이징된 요소(2)를 포함한다.
외부 유리 시트(3)는 외부(E)를 향해 지향하는 외부면(3a), 플라스틱 층간 시트(41, 42)를 향해 지향하는 층간면(3b), 및 이들 2개의 면 사이에 위치된 에지면(3c)을 갖는다. 이 외부 유리 시트는 예를 들어, 1.8 내지 2.5 밀리미터의 두께(e3)를 갖는다.
내부 유리 시트(5)는 플라스틱 층간 시트(4, 4')를 향해 지향하는 층간면(5a), 내부(I)를 향해 지향하는 내부면(5b) 및 이들 2개의 면 사이에 위치된 에지면(5c)을 갖는다. 이 내부 유리 시트는 예를 들어, 1.2 내지 2.5 밀리미터의 두께(e5)를 갖는다.
외부 층간 시트(41)는, 외부 유리 시트(3)의 층간면(3b)을 향해 지향하고 이 경우에 이 층간면(3b)과 접촉하는 외부면(41a), 내부 유리 시트(5)의 층간면(5a)을 향해 지향하는 내부면(41b), 및 에지면(41c)을 갖는다.
내부 층간 시트(42)는 외부 유리 시트(3)의 층간면(3b)을 향해 지향하는 외부면(42a), 내부 유리 시트(5)의 층간면(5a)을 향해 지향하고 이 경우에 이 층간면(5a)과 접촉하는 내부면(42b), 및 에지면(41c)을 갖는다.
예에서, 2개의 층간 시트(41, 42)는 모두 동일한 두께(예를 들어, 0.36 mm 또는 심지어 0.72 mm)를 갖는다. 대안적인 형태에서, 이들 층간 시트는 또한 상이한 두께를 가질 수 있다.
이들 층간 시트는 예를 들어 PVB로 제조된다.
글레이징된 요소(2)는 따라서, 외부 유리 시트(3)의 외부면(3a)에 의해 생성된 외부면, 내부 유리 시트(5)의 내부면(5a)에 의해 생성된 내부면 및 이들 2개의 면 사이에 위치되고 외부 유리 시트(3)의 에지면(3c), 내부 유리 시트(5)의 에지면(5c) 및 2개의 플라스틱 층간 시트의 에지면(41c, 42c)에 대응하는 에지면을 갖고, 이들 에지면은 이 경우에 서로 연속적이다.
글레이징(1)은 내부 유리 시트(5)의 내부면(5b)과 은촉홈(9)의 인접부 사이에 위치되어 있는 접착제(C)의 비드를 사용하여 차체 은촉홈(9)에 접합되도록 의도된다.
글레이징(1)은 글레이징된 요소(2)에 부가하여, 그 (이 경우에 하부) 에지의 적어도 일부를 따라, 단면도에서 볼 때, 이 경우에 프로파일 섹션(6) 상의 커버편(8)의 클립 체결을 위해 의도된 수용 하우징 또는 홈(61)을 구비하는 기능부(60)를 갖는 프로파일 섹션(6), 및 외부 유리 시트(3)의 층간면(3b)과 내부 유리 시트(5)의 층간면(5a) 사이에 위치된 층간 플랜지(71)를 포함하고 이 프로파일 섹션을 글레이징 요소에 고정하기 위한 고정부(70)를 포함한다.
도 1인 단면도에서, 상기 시트(3)의 상기 외부면(3a)면과 에지면(3c)이 만나는 점에서 글레이징된 요소(2)의 외부 유리 시트(3)의 외부면(3a)에 대한 접선에 직교하는 주 방향(Y)이 규정된다.
상기 주 방향(Y)에 직교하는 횡방향(X)이 또한 규정된다.
전술된 방향(X, Y)에 직교하는 방향은 종방향(Z)이라 칭한다.
예에서, 프로파일 섹션(6)은 본 예에서 금속으로 제조된 고정 코어 또는 인서트(64), 및 상기 고정 인서트의 부분을 둘러싸는 열가소성 물질로 제조된 본체부(65)를 포함하는 복합 요소이다.
열가소성 본체부(65)는 예를 들어, 고정 인서트(64) 주위에 오버몰딩된다.
이 열가소성 본체부는 또한 2차원 구성요소(일정한 단면의)의 경우에, 고정 인서트(64) 주위로 압출될 수 있다.
이어지는 설명에서 더 상세하게 설명되는 바와 같이, 이 열가소성 본체부는 모노리식(monolithic)(즉, 재료 내에 계면을 갖지 않음)이고, 또는 다수의 서브부분(하나 이상의 계면에 의해 연결됨), 특히 상이한 재료로 제조된 서브부분으로 구성될 수 있다.
본 예에서 프로파일 섹션(6)의 기능부(60)는 홈(61)을 경계한정하는 열가소성 본체부(65)로 이루어지고, 고정 인서트(64)의 말단부는 이를 상기 본체부(65)에 고정하기 위해 상기 본체부(65) 내로 삽입된다. 도 1의 특정예에서, 고정 인서트(64)의 말단부는 홈(61)의 프로파일에 다소 대응하는 만곡된 형상을 갖는다.
대안적인 형태에 따르면, 고정 인서트(64)의 말단부는 하나 이상의 다른 보강 인서트(들)에 의해 잠재적으로 강화될 수도 있는 본체부(65)의 제한된 부분 위로 연장할 수도 있다.
인서트의 기단부가 본체부 외부로 돌출한다.
본 예에서 프로파일 섹션의 층간 플랜지(71)를 형성하는 것은 인서트(64)의 이 기단부이다.
층간 플랜지(71)는 외부 유리 시트(3)를 향해 지향하는 외부면(71a), 내부 유리 시트(5)를 향해 지향하는 내부면(71b) 및 이들 2개의 면 사이에 위치된 에지면(71c)을 포함한다.
도 1에 더 구체적으로 도시되어 있는 예에서, 층간 플랜지(71)는 2개의 플라스틱 층간 시트(41, 42) 사이에 배열된다.
층간 플랜지(71)의 외부면(71a)은 외부 층간 시트(41)의 내부면(41b)과 접촉하고, 층간 플랜지(71)의 내부면(71b)은 내부 층간 시트(42)의 외부면(42a)과 접촉한다.
층간 플랜지(71)의 에지면(71c)은 2개의 층간 시트(41, 42) 중 하나, 다른 하나 또는 양자 모두와 접촉한다. 도 1에 도시되어 있고 도 1a의 상세에 더 명백하게 가시화되어 있는 것은 이 마지막 시나리오이다.
층간 플랜지(71)는 2개의 플라스틱 층간 시트(41, 42)의 두께의 합보다 작은 두께(e7)를 갖는다. 따라서, 이 층간 플랜지는 외부 및 내부 유리 시트(3, 5)의 층간면과 접촉하게 되지 않는다.
층간 플랜지(71)는 5 내지 40 mm, 또는 심지어 5 내지 20 mm인 횡방향(X)에서 측정된 폭(I)을 갖는다. 이 폭은 2개의 유리 시트(41, 42)의 응집을 방해하는 위험 없이, 외부 층간 시트(41)와 내부 층간 시트(42) 사이의 층간 플랜지(71)의 견고한 보유를 보장하기 위해 충분하다.
참조를 위해, 프로파일 섹션(6)은 글레이징(1)의 하부 에지의 전체 길이(또는 실질적으로 전체 길이)에 걸쳐 연속적으로 연장한다.
예에서, 홈(61)은 외부를 향해 개방되어 있다.
여기서 커버편(8)은 프로파일 섹션(6)보다 더 외부를 향해 위치설정되고 글레이징(1)이 외부(E)로부터 볼 때 적어도 부분적으로 이 프로파일 섹션을 덮도록 의도된다. 여기서, 창유리의 하부 에지로의 적용의 맥락에서, 이 커버편은 동시에 유출수를 채널링하고(channeling) 그리고 동시에 환기 개구(도시 생략)를 통해 엔진 격실의 환기를 제공하면서 창유리와 후드 사이의 시각적 연결을 행하도록 의도된 스커틀 패널이다. 스커틀 패널은 통상적으로 플라스틱 재료로 제조된다. 대안으로서, 특히 창유리 횡방향 또는 상부 에지로의 적용의 맥락에서, 커버편은 동등하게 은촉홈(9)에 맞대어 위치된 립의 존재를 통해 글레이징의 측면을 따른 물의 침입을 제한하도록 의도된 트림 요소일 수 있다.
예에서, 실질적으로 평면형인 스커틀 패널의 외부면(8a)은 유출수, 특히 창유리로부터 흘러내리는 빗물을 제거하도록 의도되고, 대향 내부면(8b)은 클립 체결 중에 프로파일 섹션(6)의 홈(61)에 진입하도록 의도된 미늘이 있는 후크(80)를 구비한다.
홈(61)은 마우스 및 저부를 갖는데: 커버편(8)이 클립 체결될 때, 미늘이 있는 후크(80)는 마우스를 거쳐 홈(61)에 진입하여 저부를 향해 진행하고; 일반적으로, 클립 체결 위치에서, 미늘이 있는 후크(80)는 홈의 저부에 접촉하지 않는다.
미늘이 있는 후크(80)가 그를 거쳐 도입되는 홈의 마우스는 2개의 스로트(throat): 도 1에서 미늘이 있는 후크(80)의 좌측에 위치된 말단 스로트(67), 및 동 도면에서 미늘이 있는 후크(80)의 우측에 위치된 기단 스로트(68)에 의해 생성된다. 이들 2개의 스로트는 클립 체결 중에 홈(60)의 저부를 향해 정확하게 미늘이 있는 후크(80)를 안내하는 목적을 갖는다.
홈(61)의 마우스의 2개의 스로트(67, 68)는 각각 이들의 헤드가 거의 서로를 지향하는 해머 형상이다.
미늘이 있는 후크(80)는 부분적으로 이중 미늘이 있는 후크이고; 단면에서 볼 때, 서로로부터 이격하고 있는 2개의 보스로 구성된다.
클립 체결은 따라서 홈(61)에 진입하는 미늘이 있는 후크(80), 더 구체적으로는 홈(61) 및 2개의 스로트의 아래에 진입하는 미늘이 있는 후크의 2개의 보스로 이루어진다.
정확한 보유를 위해, 2개의 스로트(67, 68) 사이의 최단 거리에서 마우스의 폭은 그 최대폭에서 2개의 보스의 폭보다 작다.
본 제1 실시예에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홈(61)은 외부 유리 시트(3)의 외부면(3a)의 연속부에 위치된 인공 평면을 넘어 연장하지 않는데: 프로파일 섹션은 외부 유리 시트(3)의 외부면(3a)과 동일 높이에 놓인다.
기능부(60)의 말단 외부 에지[도 1에서 글레이징된 요소(2)로부터 가장 멀리 이격되어 있는 홈(61)의 측에서]는 상기 기능부(60)의 기단 외부 에지보다 덜 외부에[도 1에서 글레이징된 요소(2)에 가장 가까운 홈(61)의 측에서] 위치되어, 커버편(8)이 홈(61) 내로 클립결합될 때, 커버편(8)의 외부면(8a)이 외부 유리 시트(3)의 외부면(3a)의 연속부 내에 있을 수 있게 되고; 커버편은 이어서 외부 유리 시트(3)와 "동일 높이에" 있는 것으로 일컬어진다. 프로파일 섹션(6)은 외부 유리 시트(3)의 외부면(3a)보다 더 멀리 외부를 향해 돌출하지 않는다.
커버편(8)이 홈(61) 위에 존재하고 외부면(3a) 위로 돌출하지 않게 하는 것이 따라서 또한 가능하다.
홈(61)의 저부는 자체로 내부면(5b)보다 더 내부를 향해 위치될 수도 있는데; 이는 내부면(5b)과 접착제(C)의 비드를 위한 은촉홈(9) 사이에 공간이 존재하기 때문에, 차체 개구 내의 글레이징의 위치설정을 방해하지 않는다.
프로파일 섹션(6)은 따라서 글레이징된 요소의 2개의 유리 시트(3, 5) 사이에 적층되고, "적층 사이층(lamination interlayer)"으로서 또한 알려져 있는 플라스틱 시트(41, 42)를 거쳐 이들 시트(3, 5)에 고정된다. 이들 플라스틱 시트(41, 42)는 여기서 유리 시트(3, 5)를 함께 고정하고 프로파일 섹션(6)을 글레이징된 요소(2)에 고정하는 역할을 한다.
프로파일 섹션(6)은 따라서, 적어도 부분적으로, 적층시에 글레이징된 요소(2)에 내장된다.
도 11은 일 가능한 실시예에 따른, 도 1의 글레이징(1)의 제조에 있어서의 다양한 단계를 도시하고 있다.
제1 단계(A)에서, 내부 층간 시트(42)가 내부 유리 시트(5)의 층간면(5a) 상에 배치된다.
제2 단계(B)에서, 프로파일 섹션(6)은 층간 플랜지(71)가 상기 내부 층간 시트(42)와 중첩되는 이러한 방식으로 배치된다.
그 순간에, 내부 유리 시트(5), 내부 층간 시트(42) 및 층간 플랜지(71)는 제1 스택을 형성한다.
제3 단계(C)에서, 상부 층간 시트(41)는 제1 스택 상에 배치된다.
제4 단계(D)에서, 외부 유리 시트(3)는 상부 층간 시트(41) 상에 배치된다.
층간 플랜지(71)는 따라서 외부 유리 시트(3)와 내부 유리 시트(5) 사이에 배치되고, 플라스틱 층간 시트(41, 42)를 거쳐 상기 유리 시트(3, 5)에 고정된다.
이어서 적층롤 사이에서[프로파일 섹션(6)이 글레이징된 요소(2)의 외부면(3a)과 내부면(5b)의 연속부를 넘어 연장하지 않을 때], 진공백 내에서, 또는 대안적으로 오토클레이브(autoclave) 내에서, 다양한 층이 플라스틱 층간 시트(41, 42)에 의해 서로 부착하게 하기 위해 충분히 높은 압력이 조립체에 인가된다.
예시된 예에서, 프로파일 섹션(6)은 적층 단계 전에 그 열가소성 본체부(65)를 갖고 형성된다.
실시예의 대안적인 형태에 따르면, 본체부(65)는 또한 적층 후에, 글레이징된 요소(2)의 외부로 돌출하는 고정 인서트(64)의 말단부 주위에 형성될 수도 있다. 일 가능한 실시예에 따르면, 단계 A 내지 D는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술된 것들과 동일하지만 글레이징된 요소(2) 외부로 돌출하는 고정 인서트(64)의 말단부를 코팅하는 단계(E)로 이어질 수도 있다. 코팅 단계(E)는 예를 들어, 열가소성 본체부(65)와 인서트(64)의 말단부의 적어도 일부를 오버몰딩하는 것을 수반하는 단계이다. 본 실시예는, 본체부(65)의 경우에, 적층 단계와 호환성이 없는 재료, 예를 들어 고온 또는 고압을 견디는 것이 불가능한 재료의 사용을 허용하는 장점을 제공한다.
다른 대안적인 형태에 따르면, 적층은 내부 유리 시트(5)의 층간면(5a) 상에서가 아니라 외부 유리 시트(3)의 층간면(3b) 상에서 시작될 수 있다.
플라스틱으로 제조된 층간 시트와 유리 시트 중 적어도 하나를 미리조립하는 것이 또한 가능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도 11의 예에서, 제1 스택 상에 이 미리조립된 조립체를 배열하기 전에 플라스틱 층간 시트(41)와 외부 유리 시트(3)를 미리조립하는 것이 가능할 수도 있다.
도 2는 고정 인서트(64)의 기단부에 의해 형성된 층간 플랜지(71)가 이 경우에 그 표면 상에 균등하게 분포된 복수의 관통 개구(75)를 갖는, 본 발명에 따른 글레이징 내에 사용될 수 있는 프로파일 섹션(6)의 대안적인 형태를 도시하고 있다. 이들 개구는 층간 플랜지(71)의 외부면(71a) 상에 그리고 내부면(71b) 상의 모두에서 개방되어 있다.
대안적인 형태에 따르면, 층간 플랜지(71)는 그 외부면(71a) 및 그 내부면(71b)인 그 면들 중 단지 하나 상에 개방되어 있는 하나 이상의 블라인드 캐비티를 가질 수도 있다.
조립 중에, 압력의 영향 하에서, 층간 시트(들)(41, 42)를 구성하는 플라스틱은 층간 플랜지(71)의 캐비티에 진입하여, 글레이징된 요소(2)로의 프로파일 섹션(6)의 고정을 강화한다.
도 3은 층간 플랜지(71)가 주름 형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글레이징에 사용될 수 있는 프로파일 섹션(6)의 또 다른 대안적인 형태를 도시하고 있다.
예시된 예에서, 층간 플랜지(71)는 종방향 섹션[즉, Y 및 Z를 포함하여 축(X)에 직교하는 평면]에서 파형 형상을 갖는다.
대안적인 형태에 따르면, 이는 단면에서 파형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도 4는 홈이 횡방향에서 개방되어 있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글레이징(1)을 도시하고 있다.
프로파일 섹션(6)은 단면에서 m 형상을 갖는다. m의 제1 리세스는 커버편(8)의 미늘이 있는 후크(80)를 수용하기 위한 홈(61)을 생성하고, m의 제2 리세스는 외부 유리 시트(3) 위에 끼워져서, 바람직하게는 외부 유리 시트(3)의 에지면(3c)에 대해 올라가게 된다.
도 5는 홈이 횡방향에서 개방되어 있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글레이징(1)을 도시하고 있다.
프로파일 섹션 스트립(6)은 단면에서 S 형상을 갖는다. S의 제1 리세스(도 5의 좌측으로 개방되어 있는 상부 리세스)는 커버편(8)의 미늘이 있는 후크(80)를 수용하기 위한 홈(61)을 생성하고, S의 제2 리세스는 외부 유리 시트(3) 위에 끼워져서, 바람직하게는 외부 유리 시트(3)의 에지면(3c)에 대해 올라가게 된다.
도 6은 층간 플랜지(71)의 외부면(71a) 및 에지면(71c)이 플라스틱 층간 시트(41, 42)와 접촉하고 있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글레이징(1)을 도시하고 있다. 더 구체적으로, 예시된 예에서, 층간 플랜지(71)의 외부면(71a)은 상부 층간 시트(41)와 접촉하고, 그 에지면(71c)은 하부 층간 시트(42)와 접촉한다.
층간 플랜지(71)의 내부면(71b)은 접착 재료의 층(77)을 거쳐 내부 유리 시트(5)의 층간면(5a)에 연결된다.
이들 수단에 의해, 홈(61) 상의 커버편(8)의 클립 체결 중에 층간 플랜지에 공급된 하중은 내부 유리 시트에 의해 부분적으로 반작용된다. 내부 플라스틱 층간 시트(42)는 적은 응력을 경험하고, 글레이징된 요소(2)로의 층간 플랜지(71)의 고정이 보존된다.
도시되어 있지 않은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글레이징된 요소(2)는 단일의 플라스틱 층간 시트를 또한 포함할 수 있고, 이 층간 시트는 이어서 프로파일 섹션(6)의 층간 플랜지(71)의 외부면 및 바람직하게는 이 플랜지(71)의 에지면(71c)과 접촉할 것이다.
도 7은 글레이징된 요소(2)가 플라스틱으로 제조된 내부 층간 시트(42)와 외부 층간 시트(41) 사이에, (제3) 플라스틱 중간 층간 시트(43)를 포함하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글레이징(1)을 도시하고 있다.
층간 플랜지(71)의 외부면(71a)은 외부 층간 시트(41)의 내부면(41b)과 접촉하고, 층간 플랜지(71)의 내부면(71b)은 내부 층간 시트(42)의 외부면(42a)과 접촉하고, 층간 플랜지(71)의 에지면(71c)은 상기 중간 층간 시트(43)의 에지면(43c)과 접촉한다.
도 8은 차량 차체 구성요소 상에 조립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글레이징(1), 특히 후면 스크린을 도시하고 있다.
본 예에서, 글레이징(1)의 프로파일 섹션(6)의 홈(61)은 커버편(8)의 클립 체결을 위해 의도되지 않고, 특히 유출수가 유동할 수 있는 유동 채널을 형성하도록 의도된다.
예시된 예에서, 이 홈은 U형 단면을 갖지만 임의의 다른 적합한 단면을 가질 수 있다.
예에서, 프로파일 섹션(6)은 차체 구성요소(9)에 지탱된다.
차체 구성요소(9)는 글레이징(1)이 상기 개구 내에 장착되게 하기 위해, 그 말단 에지 부근에 절결부를 갖는 차체 개구이다.
더 구체적으로, 차체 구성요소(9)는 주요부(91)와, 상기 주요부(91)에 관하여 내부를 향해 퇴피되어 있고 숄더(93)를 거쳐 그에 연결되어 있는 단부(92)[상기 주요부(91)보다 개구의 자유 에지에 더 가까움]를 갖는다.
예에서, 단부(92) 및 그 사이의 숄더(93)는 직각에 가까운 각도를 형성한다.
프로파일 섹션(6)의 기능부(60)는 숄더(93)에 지탱된다. 홈(61)의 말단 스로트(67)를 형성하는 기능부(60)의 부분과 및 홈(61)의 저부는 숄더(93)에 대해 그리고 차체 구성요소의 단부(92)의 외부면에 대해 각각 탄성 변형된다. 따라서, 기능부(60)는 상보형 형상을 가짐으로써 차체 구성요소(9)와 협동하여, 상기 부분이 적소에 유지되는 것을 보장하고 글레이징(1)의 경계에서 밀봉을 보장한다.
글레이징된 요소(2)는 상기 단부(92)에 접합함으로써 고정된다.
참조를 위해,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로파일 섹션(6)은, 조립 후에, 고정부(60)의 말단 외부 에지가 차체 구성요소(9)의 주요부(91)의 외부면(91a)의 연속부 내에 있도록 하는 높이를 갖는다.
도 9는 도 8의 실시예에 따른 글레이징의 미조립된 도면을 도시하고 있다. 이 도 9는 프로파일 섹션(6)의 기능부를 비변형 상태로 도시하고 있다. 화살표는 변형이 수행되는 방식을 지시하고 있다.
도 10은 층간 플랜지(71)가 복수의 관통 개구(75)를 구비하는 도 8의 실시예의 대안적인 형태이다.
본 발명은 임의의 글레이징, 특히 임의의 유형의 차량 글레이징에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이 글레이징의 임의의 에지: 좌측, 우측, 상부 또는 저부, 특히 다수의 이들 에지에 동시에, 또는 심지어 모든 에지에 한번에 적용될 수도 있다.

Claims (29)

  1. 외부 유리 시트(3), 내부 유리 시트(5) 및 상기 유리 시트(3, 5) 사이에 위치된 적어도 하나의 플라스틱 층간 시트(41, 42, 43)를 포함하는 적층형 글레이징된 요소(2)를 포함하는, 특히 차량 글레이징과 같은 글레이징(1)이며,
    상기 외부 유리 시트(3)는 외부면(3a), 에지면(3c) 및 상기 플라스틱 층간 시트(41, 42, 43)를 향해 지향하는 층간면(3b)을 갖고,
    상기 내부 유리 시트(5)는 상기 플라스틱 층간 시트(41, 42, 43)를 향해 지향하는 층간면(5a), 에지면(5c) 및 내부면(5b)을 갖고,
    상기 글레이징(1)은 적어도 하나의 에지의 적어도 일부를 따라, 홈(61)을 구비하는 기능부(60) 및 프로파일 섹션을 글레이징된 요소(2)에 고정하기 위한 고정부(70)를 포함하는 프로파일 섹션(6)을 포함하는 글레이징(1)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70)는 단면에서 볼 때, 상기 외부 유리 시트(3)의 층간면(3b)과 상기 내부 유리 시트(5)의 층간면(5a) 사이에 위치된 층간 플랜지(71)를 포함하고, 상기 층간 플랜지(71)는 상기 외부 유리 시트(3)를 향해 지향하는 외부면(71a), 상기 내부 유리 시트(5)를 향해 지향하는 내부면(71b) 및 에지면(71c)을 포함하고,
    상기 층간 플랜지(71)의 내부면(71b) 및 외부면(71a)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면이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플라스틱 층간 시트(41, 42, 43)와 접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글레이징(1).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층간 플랜지(71)의 외부면(71a) 및 에지면(71c)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플라스틱 층간 시트(41, 42, 43)와 접촉하고, 상기 층간 플랜지(71)의 내부면(71b)은 접촉에 의해 또는 접착 재료의 층(77)의 삽입을 거쳐, 상기 내부 유리 시트(5)의 층간면(5a)과 연결되는, 글레이징(1).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글레이징된 요소(2)는 적어도 하나의 외부 층간 시트(41) 및 상기 외부 유리 시트(3)와 상기 내부 유리 시트(5) 사이의 플라스틱으로 제조된 하나의 내부 층간 시트(42)를 포함하고, 상기 층간 플랜지(71)의 외부면(71a)은 상기 외부 층간 시트(41)와 접촉하고, 상기 층간 플랜지(71)의 내부면(71b)은 상기 내부 층간 시트(42)와 접촉하는, 글레이징(1).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글레이징된 요소(2)는 상기 외부 층간 시트(41)와 상기 내부 층간 시트(42) 사이에 제3 플라스틱 층간 시트(43)를 더 포함하고, 상기 층간 플랜지(71)의 에지면(71c)은 상기 제3 층간 시트(43)의 에지면(43c)과 접촉하는, 글레이징(1).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홈(61)은 외부를 향해 개방되어 있는, 글레이징(1).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파일 섹션(6)은 단면에서, 동일한 방향 또는 반대 방향으로 개방되어 있는 2개의 리세스, 즉 홈(61)을 형성하는 제1 리세스 및 상기 외부 유리 시트(3) 위에 끼워지는 제2 리세스를 갖는, 글레이징(1).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파일 섹션(6)은 단면에서 m 형상을 갖는, 글레이징(1).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파일 섹션(6)은 단면에서 S 형상을 갖는, 글레이징(1).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층간 플랜지(71)는 5 내지 40 mm, 특히 5 내지 20 mm의 폭을 갖는, 글레이징(1).
  10.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층간 플랜지(71)는 주름 형성되는, 글레이징(1).
  11.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파일 섹션(6)은 상기 홈(61)을 경계한정하는 열가소성 재료로 제조된 적어도 하나의 본체부(65), 및 상기 본체부(65) 내로 삽입된 말단부 및 상기 본체부(65) 외부로 돌출하는 기단부를 구비하는 적어도 하나의 고정 인서트(64)를 포함하는, 글레이징(1).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층간 플랜지(71)는 상기 고정 인서트(64)의 기단부의 적어도 일부에 구성되는, 글레이징(1).
  13. 제11항 또는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인서트(64)는 금속 재료로부터 제조되는, 글레이징(1).
  14. 제1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층간 플랜지(71)는 적어도 하나의 캐비티, 특히 적어도 하나의 관통 개구를 갖는, 글레이징(1).
  15. 제1항 내지 제1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파일 섹션(6)은 상기 글레이징된 요소(2)의 2개의 횡방향 에지를 따라 그리고/또는 상기 글레이징된 요소(2)의 상부 에지를 따라 위치되는, 글레이징(1).
  16. 제1항 내지 제1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파일 섹션은 상기 글레이징된 요소(2)의 하부 에지를 따라 위치되는, 글레이징(1).
  17. 제1항 내지 제1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파일 섹션(6)은 홈(61)과 층간 플랜지(71) 사이에 밀봉립(69)을 구비하는, 글레이징(1).
  18. 제1항 내지 제1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홈(61)은 상기 외부 유리 시트(3)의 외부면(3a) 위에 위치되는, 글레이징(1).
  19. 제1항 내지 제1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홈(61)은 상기 프로파일 섹션(6) 상에 커버편(8)을 클립 체결하기 위해 구성되는, 글레이징(1).
  20. - 제1항 내지 제19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글레이징(1)으로서, 홈(61)이 상기 프로파일 섹션(6) 상에 커버편(8)을 클립 체결하기 위해 구성되는, 글레이징(1), 및
    - 단면에서 볼 때, 클립 체결 중에 상기 홈(61)에 진입하는 미늘이 있는 후크(80)를 포함하는 커버편(8)을 포함하는, 조립체.
  2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편(8)은 스커틀 패널 또는 트림 요소인, 조립체.
  22. - 제1항 내지 제19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글레이징(1), 및
    - 차체 구성요소(9)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파일 섹션(6)은 상기 차체 구성요소(9)에 지탱되는, 조립체.
  23.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차체 구성요소(9)는 주요부(91) 및 상기 주요부(91)에 관하여 내부를 향해 퇴피되어 있고 숄더(93)에 의해 그에 연결된 단부(92)를 갖고, 상기 프로파일 섹션(6)의 기능부(60)는 상기 숄더(93)에 지탱되고, 글레이징된 요소(2)는 상기 단부(92)에 접합에 의해 고정되는, 조립체.
  24. 제22항 또는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파일 섹션의 기능부는 상기 구성요소와 밀봉 접촉을 보장하기 위해 상기 차체 구성요소에 대해 탄성 변형되는, 조립체.
  25. 제1항 내지 제19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글레이징용 프로파일 섹션(6)이며, 홈(61)을 경계한정하는 열가소성 재료로 제조된 적어도 하나의 본체부(65), 및 상기 본체부(65) 내로 삽입된 말단부 및 상기 본체부(65) 외부로 돌출하는 기단부를 구비하는 적어도 하나의 고정 인서트(64)를 포함하는, 프로파일 섹션(6).
  26.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65)는 상기 고정 인서트(64)로부터 별개인 보강 인서트(66)에 의해 더 보강되는, 프로파일 섹션.
  27.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인서트(64)는 단면에서 볼 때 실질적으로 상기 홈(61)의 전체 내부 윤곽을 따라 연장하는, 프로파일 섹션.
  28. 제25항 내지 제2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인서트(64)의 기단부는 복수의 관통 개구를 갖는, 프로파일 섹션.
  29. 제1항 내지 제19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글레이징(1)을 제조하기 위한 방법이며, 적어도 하나의 플라스틱 층간 시트(41, 42, 43)를 사용하여 글레이징된 요소(2)의 외부 유리 시트(3) 및 내부 유리 시트(5)를 적층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적층 단계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층간 시트(41, 42, 43)와 접촉하여 외부 유리 시트(3)와 내부 유리 시트(5) 사이에 프로파일 섹션(6)의 층간 플랜지(71)를 배치하는 단계를 수반하는, 방법.
KR1020187017667A 2015-11-23 2016-11-23 내장형 프로파일 스트립을 갖는 글레이징 KR20180087323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FR1561226A FR3043951B1 (fr) 2015-11-23 2015-11-23 Vitrage a profile integre
FR1561226 2015-11-23
PCT/FR2016/053058 WO2017089702A1 (fr) 2015-11-23 2016-11-23 Vitrage a profile integr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87323A true KR20180087323A (ko) 2018-08-01

Family

ID=550730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7017667A KR20180087323A (ko) 2015-11-23 2016-11-23 내장형 프로파일 스트립을 갖는 글레이징

Country Status (11)

Country Link
US (1) US10625576B2 (ko)
EP (1) EP3380349A1 (ko)
JP (1) JP2018534209A (ko)
KR (1) KR20180087323A (ko)
CN (1) CN107000550B (ko)
BR (1) BR112018010017A2 (ko)
CA (1) CA3004500A1 (ko)
FR (1) FR3043951B1 (ko)
MX (1) MX2018006315A (ko)
RU (1) RU2018122770A (ko)
WO (1) WO201708970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S2786258T3 (es) * 2013-09-24 2020-10-09 Saint Gobain Disposición de sellado para un panel de vidrio de un vehículo
DE102016218755B3 (de) * 2016-09-28 2017-11-23 Süddeutsche Aluminium Manufaktur GmbH Fensterschachtleistenanordnung
FR3064544B1 (fr) * 2017-03-30 2021-02-12 Saint Gobain Vitrage comprenant un cordon profile de clipage pour une piece de couverture clipable.
AT520199B1 (de) * 2017-12-05 2019-02-15 Ing Richard Feuerhuber Verkleidungselement
ES2961661T3 (es) * 2020-06-02 2024-03-13 Qinhuangdao Danfeng Tech Co Ltd Tira de sujeción de sellado para rejilla de entrada de aire de automóvil con estructura hueca blanda
DE102021113396B3 (de) 2021-05-25 2022-09-01 Krd Sicherheitstechnik Gmbh Bauelement, und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Bauelements
CN115195415A (zh) * 2022-09-13 2022-10-18 张家港长城汽车研发有限公司 车门夹层玻璃及车辆

Family Cites Families (3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745309A (en) * 1972-10-31 1973-07-10 Gen Electric Electrically heated transparent panel
DE3322799A1 (de) * 1983-06-24 1985-01-03 VEGLA Vereinigte Glaswerke GmbH, 5100 Aachen Glasscheibe fuer kraftfahrzeuge und verfahren zu ihrer herstellung
DE3606566A1 (de) 1986-02-28 1987-09-03 Audi Ag Halterung einer windschutzscheibe an einem kraftfahrzeug
FR2621906B1 (fr) * 1987-10-14 1990-01-26 Saint Gobain Vitrage Amelioration de la trempe du verre
FR2673619B1 (fr) * 1991-03-08 1993-10-01 Saint Gobain Vitrage Internal Vitrage feuillete.
DE29823612U1 (de) * 1998-03-23 1999-09-09 Schade Gmbh & Co Kg Zierleistenbefestigung in Scheibenrandumkapselung
JP2001071938A (ja) * 1999-09-07 2001-03-21 Toyota Auto Body Co Ltd 車両用カウルルーバ後端の固定構造
DE19961706B4 (de) 1999-12-21 2004-09-09 Saint-Gobain Sekurit Deutschland Gmbh & Co. Kg Verbindung einer Fahrzeugscheibe mit einem angrenzenden Bauteil
DE20008555U1 (de) 2000-05-12 2000-08-17 Elkamet Kunststofftechnik Gmbh Abdichtungs-Anordnung für Fahrzeugscheiben
US6818281B2 (en) 2002-07-30 2004-11-16 Ppg Industries Ohio, Inc. Insert for windshield assembly
EP1859931B1 (de) 2006-05-26 2012-04-11 Roof Systems Germany GmbH Transparentes Verbundbauteil für ein Fahrzeug-Dachsystem
DE102008003252A1 (de) * 2008-01-04 2009-07-16 Rehau Ag + Co Scheibenanordnung
US8905460B2 (en) * 2008-02-25 2014-12-09 Ppg Industries Ohio, Inc. Ballistic transparency
DE202008006986U1 (de) * 2008-05-23 2009-10-01 Elkamet Kunststofftechnik Gmbh Profilelement zum Verbinden einer Fahrzeugscheibe mit einem Wasserkasten
US20100227135A1 (en) * 2009-03-06 2010-09-09 E. I. Du Pont De Nemours And Company Light weight glass laminates
JP2010264868A (ja) * 2009-05-14 2010-11-25 Toyota Motor Corp 車両用カウルルーバ構造
DE102009026369B4 (de) * 2009-08-13 2012-04-12 Saint-Gobain Sekurit Deutschland Gmbh & Co. Kg Abdichtungs-Anordnung für Fahrzeugscheiben, Verfahren zu deren Herstellung und deren Verwendung
FR2967117B1 (fr) * 2010-11-09 2012-10-26 Peugeot Citroen Automobiles Sa Dispositif de degivrage et de desembuage d'un pare-brise d'un vehicule automobile
GB201120340D0 (en) * 2011-11-25 2012-01-04 Pilkington Group Ltd Automotive glazing
BE1020513A3 (fr) * 2012-03-02 2013-12-03 Agc Glass Europe Joint de pare-brise.
DE102013204820A1 (de) * 2013-03-19 2014-09-25 Elkamet Kunststofftechnik Gmbh Profilelement zum Verbinden einer Fahrzeugscheibe mit einem Abdeckteil und Profilelementbaugruppe
BR112015026679A2 (pt) * 2013-04-30 2017-07-25 Saint Gobain sistema de vedação para uma vidraça de veículo motorizado
JP6314440B2 (ja) * 2013-11-19 2018-04-25 スズキ株式会社 モールの取付構造
EP3037292B1 (de) * 2014-12-22 2018-10-10 REHAU AG + Co Verbindungs-anordnung für eine fahrzeugscheibe, insbesondere für eine windschutzscheibe
FR3032414B1 (fr) 2015-02-05 2019-05-31 Saint-Gobain Glass France Vitrage feuillete comprenant un cordon profile de clippage.
FR3032680B1 (fr) * 2015-02-13 2017-02-17 Saint Gobain Vitrage comprenant un cordon profile de clippage avec trou
FR3036330B1 (fr) * 2015-05-22 2018-08-31 Saint-Gobain Glass France Vitrage feuillete comprenant un cordon profile de clippage a ruban polymerique supplementaire et cordon profile
CA3041733A1 (en) * 2016-10-28 2018-05-03 Saint-Gobain Glass France Method for producing a composite pane for a motor vehicle
FR3058107B1 (fr) * 2016-10-28 2018-12-07 Saint-Gobain Glass France Vitrage lumineux de vehicule, vehicule l'incorporant
JP6955225B2 (ja) * 2016-12-02 2021-10-27 Agc株式会社 ガラス板、合わせガラス、およびウインドシールド
WO2018123777A1 (ja) * 2016-12-26 2018-07-05 旭硝子株式会社 シール部材付きウインドウガラス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7000550B (zh) 2020-06-16
FR3043951B1 (fr) 2019-03-22
RU2018122770A3 (ko) 2020-03-04
FR3043951A1 (fr) 2017-05-26
JP2018534209A (ja) 2018-11-22
RU2018122770A (ru) 2019-12-25
MX2018006315A (es) 2018-08-01
CN107000550A (zh) 2017-08-01
US10625576B2 (en) 2020-04-21
EP3380349A1 (fr) 2018-10-03
BR112018010017A2 (pt) 2018-11-21
WO2017089702A1 (fr) 2017-06-01
CA3004500A1 (fr) 2017-06-01
US20180345773A1 (en) 2018-12-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80087323A (ko) 내장형 프로파일 스트립을 갖는 글레이징
US8839589B2 (en) Automotive glazing and component assembly
KR101651028B1 (ko) 차량 창을 위한 실링 장치, 그의 제조 방법 및 그의 용도
KR101269016B1 (ko) 적어도 2개의 인접한 유리 성분으로 구성된 복합 칸막이 유리와, 상기 복합 칸막이 유리를 제조하는 방법
US9061574B2 (en) Window frame
US10399423B2 (en) Laminated glazing comprising a clip fastening profiled strip with additional polymer tape and profiled strip
US8500192B2 (en) Whole glass roof for a motor vehicle
JP6634097B2 (ja) 異形帯材、異形帯材を製造するためのシステムおよび方法
KR102524884B1 (ko) 구멍을 갖는 프로파일링된 클립-체결 비드를 포함하는 글레이징
US20050184555A1 (en) Water and sound shield having raised sealing rib
US10239386B2 (en) Laminated glazing comprising profiled clip in beading
WO2010006257A2 (en) Flush quarter glass seal
CN107531022A (zh) 包含发光二极管的层压窗玻璃
JP6528526B2 (ja) ガラスランの固定構造
CN108990416B (zh) 包括用于两个窗玻璃之间的连接的单个型材条的玻璃窗和用于此类玻璃窗的窗玻璃
CN102822014B (zh) 车辆内饰装配件及其生产方法
JP2010526718A (ja) 自動車用の窓ガラスおよび構成部材アセンブリ
JP2010030445A (ja) オープニングトリムウエザストリップ
CN111016815B (zh) 一种车门c柱分缝密封条结构
CN212386289U (zh) 用于车辆的密封条、前风挡玻璃组件及车辆
JP6936173B2 (ja) 車両のドア
CN115413256A (zh) 包括多个邻置板的玻璃窗以及这种玻璃窗的制造方法
CN115397658A (zh) 包括两片玻璃和所述玻璃的装配垫片的玻璃窗
CN113382917A (zh) 用于制造机动车固定车顶元件的方法以及固定车顶元件