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85271A - 사료 첨가제용 코팅 산화아연, 그 제조방법 및 이를 함유하는 가축 사료 - Google Patents

사료 첨가제용 코팅 산화아연, 그 제조방법 및 이를 함유하는 가축 사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85271A
KR20180085271A KR1020170008783A KR20170008783A KR20180085271A KR 20180085271 A KR20180085271 A KR 20180085271A KR 1020170008783 A KR1020170008783 A KR 1020170008783A KR 20170008783 A KR20170008783 A KR 20170008783A KR 20180085271 A KR20180085271 A KR 2018008527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zinc oxide
vegetable fat
coated
weight
fe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087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20438B1 (ko
Inventor
이광용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모닝바이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모닝바이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모닝바이오
Priority to KR10201700087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20438B1/ko
Publication of KR201800852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8527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204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2043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20/00Accessory food factors for animal feeding-stuffs
    • A23K20/20Inorganic substances, e.g. oligoelemen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20/00Accessory food factors for animal feeding-stuffs
    • A23K20/10Organic substances
    • A23K20/158Fatty acids; Fats; Products containing oils or fa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20/00Accessory food factors for animal feeding-stuffs
    • A23K20/10Organic substances
    • A23K20/174Vitamin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Zo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Fodder In General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료 첨가제용 코팅 산화아연, 그 제조방법 및 이를 함유하는 가축 사료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식물성 지방을 용해하는 단계와, 상기 용해된 식물성 지방에 산화아연 분말을 혼합하여 현탁액을 제조하는 단계와, 상기 혼합된 현탁액을 냉각 챔버에 분사하여 고형화시킴으로써, 코팅 산화아연 입자를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코팅 산화아연 입자는, 식물성 지방을 포함하는 매트릭스와, 상기 매트릭스 내에 분산된 산화아연 분말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산화아연-식물성 지방의 매트릭스 구조를 갖는 코팅 산화아연의 제조가 가능하여, 저농도의 코팅 산화아연을 급여하더라도 고농도의 산화아연을 급여하는 것과 동일하거나, 더 우수한 설사방지 및 증체 효과를 나타내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사료 첨가제용 코팅 산화아연, 그 제조방법 및 이를 함유하는 가축 사료{ COATED ZINC OXIDE FOR FEED ADDITIVE COMPOSITION, COATING METHOD OF THE ZINC OXIDE AND FEED CONTAINING THEREOF}
본 발명은 사료 첨가제용 코팅 산화아연, 그 제조방법 및 이를 함유하는 가축 사료에 관한 것이다.
사료(飼料; feed)는 가축이 생명을 유지하고 축산물(계란, 우유, 고기, 털 등)을 생산하고 성장, 번식, 수유(授乳)하는데 필요한 유기태(有機態), 무기태(無機態) 영양소를 함유하고 있는 물질을 말하고, 단미사료란 다른 것과 섞지 아니한 가축사료로 배합사료의 원료가 되는 사료를 말한다.
미량광물질은 가축에 공급되는 사료 중 단미사료에 속한다. 이 미량광물질 중 아연의 공급 물질에는 산화아연, 아미노산 킬레이트 아연, 펩타이드 아연, 황산 아연 등이 있다. 이 중 산화아연은 설사 방지 목적으로 이유자돈에 2,500ppm까지 사용할 수 있도록 사료관리법에 규정하고 있다.
1989년 Dr. Hanne Poulsen이 과학 포럼에서 최초로 산화아연이 이유자돈의 설사를 방지하여 증체 효과를 보일 수 있다고 발표하였는바, 이유자돈의 설사 방지를 목적으로 사료에 산화아연을 1,500~3,000ppm의 약리적 수준으로 첨가하기 시작하였다.
1993년 David Baker는 다른 아연 공급 물질(예를 들어, 황산 아연, 메치오닌 킬레이트 아연)들에 비해 산화아연이 이유자돈의 설사 방지 및 증체에 탁월한 효과가 있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그 이후에 많은 연구자들은 산화아연 2,500~3,000ppm을 2~3주간 이유자돈에 급여할 경우, 설사 방지와 증체에 탁월한 효과가 있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즉, 상기와 같이 2,500~3,000ppm의 고농도로 산화아연을 이유자돈에 급여하면 설사를 방지하고, 증체량이 향상되어 생산성이 향상되며, 향상된 생산성으로 인해 양돈 농가의 수익창출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그 외 고농도의 산화아연은 이유자돈의 장 미생물 균총을 조절하고, 장 융모에 형태적 변화를 주어 영양소의 흡수율을 증가시키고, 면역을 개선하는 등의 효과를 보이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고농도의 산화아연을 급여할 경우 다양한 문제 역시 유발되고 있다. 첫 번째로, 가독성 유발이다. 아연은 구리와 같이 중금속에 속하기 때문에 과량의 섭취는 동물에 독성을 유발할 수 있다. 게다가, 아연은 체내 흡수율이 낮아 고농도로 사료에 첨가할 경우 86%가 분변으로 배출된다. 따라서, 이러한 분변을 퇴비로 이용하였을 때 토양의 미생물과 식물에 독성을 유발할 수 있다. 그래서 선진국인 독일은 분변 내 아연량을 400ppm으로 제한하고 있다.
두 번째로, 항생제의 저항성 유발이다. 즉, 산화아연을 고농도로 사용할수록 항생제 내성균의 생성이 증가한다고 보고되었다.
세 번째로, 아연이 분변으로 다량 배출되어 분내 미생물의 발효를 저하시킨다는 것이다. 국내 연구진에 의하면 돈분뇨 중 아연의 농도가 1,000ppm 이상이면 분뇨 발효에 악영향을 미친다고 보고되었다.
마지막으로, 돈분이 퇴비로 다량 사용되기 때문에 아연이 토양에 축적됨으로써, 축적된 아연으로 인해 곡물의 생산성이 떨어진다는 것이다. 즉, 토양 내 아연의 함량이 많으면 식물에 백화현상이 유발되는 데 이는 식물의 잎에 엽록소가 충분히 생성되지 않아 생기는 현상이다. 즉, 엽록소가 만들어질 때 철분이 필수적으로 요구되는 데 아연이 토양 내 다량 함유되면 철분 흡수를 방해하기 때문에 백화현상이 생긴다. 그리고 불충분한 엽록소는 광합성의 불충분으로 이어져 결국 식물이 제대로 성장하지 못하여 곡물의 생산이 감소하게 된다. 이런 우려로 EU에서는 아연의 사료 내 첨가량을 150ppm으로 제한하고 있다.
상기와 같이 고농도의 산화아연을 사료 조성물로 사용할 경우 나타나는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시중에는 다양한 제품들이 개발되었다.
이러한 제품들로는 유기태 아연, 나노 산화아연, 다공성 산화아연, 코팅 산화아연 등이 있다.
먼저, 상기 유기태 아연은 체내에서 흡수 이용률이 높고, 분변 내 아연 배출량이 적다는 장점이 있으나, 아연의 함량이 낮아 설사 방지 및 증체의 효과 역시 낮다는 단점이 있다.
그리고 상기 나노 산화아연은 소화관과 장내 미생물이 접촉할 수 있는 표면적이 넓다는 장점이 있으나, 나노 사이즈이기 때문에 생체 내 외부물질로 인식할 수 있어 독성을 유발할 수 있다는 단점이 있다.
상기 다공성의 산화아연은 일반 산화아연에 비해 표면적이 10배 이상 넓어 소화관과 미생물에 접촉하는 면적이 넓다는 장점이 있으나, 제품 제작이 어렵고, 제조단가가 높아 시장경쟁력이 떨어진다는 단점이 있다.
상기 코팅 산화아연은 낮은 농도에서도 고농도의 산화아연을 급여한 것과 같은 효과를 볼 수 있다는 장점이 있으나, 구조의 특성상 열 및 물리적 마찰에 의해 쉽게 변형된다는 단점이 있다. 즉, 종래 일반적인 산화아연의 코팅방법은 산화아연 입자의 표면에 코팅제를 분사하는 방법으로 이루어졌는바, 이러한 구조의 코팅 입자는 열과 물리적 마찰에 의해 쉽게 변형되거나 쪼개짐이 발생되어 코팅 입자로서의 장점이 거의 없었다.
KR 10-1352993 B1 KR 10-0863607 B1 KR 10-0745569 B1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종래의 코팅 산화아연이 갖는 제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 일반적인 코어-쉘 구조의 코팅 산화아연이 아닌, 매트릭스 구조의 코팅 산화아연을 제조함으로써, 열 및 물리적 마찰에 안정적인 사료 첨가제용 코팅 산화아연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저농도의 산화아연을 이유자돈에게 급여하더라도 이유자돈의 설사를 방지하고, 성장을 촉진시켜 증체량이 향상되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사료 첨가제용 코팅 산화아연은, 식물성 지방을 포함하는 매트릭스와, 상기 매트릭스 내에 분산된 산화아연 분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식물성 지방은 팜경화유이고, 상기 매트릭스는 유화제 및 비타민 E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식물성 지방, 산화아연 분말, 유화제 및 비타민 E의 배합비는, 상기 식물성 지방 100중량부에 대하여 산화아연 분말 80~120중량부, 유화제 3~20중량부 및 비타민 E 0.1~1중량부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에 의한 사료 첨가제용 코팅 산화아연의 제조방법은, 식물성 지방을 용해하는 단계와, 상기 용해된 식물성 지방에 산화아연 분말을 혼합하여 현탁액을 제조하는 단계와, 상기 혼합된 현탁액을 냉각 챔버에 분사하여 고형화시킴으로써, 코팅 산화아연 입자를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코팅 산화아연 입자는, 식물성 지방을 포함하는 매트릭스와, 상기 매트릭스 내에 분산된 산화아연 분말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에 의한 가축 사료는 상기한 사료 첨가제용 코팅 산화아연 300~2,000ppm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산화아연-식물성 지방의 매트릭스 구조를 갖는 코팅 산화아연의 제조가 가능하여, 저농도의 코팅 산화아연을 급여하더라도 고농도의 산화아연을 급여하는 것과 동일하거나, 더 우수한 설사방지 및 증체 효과를 나타내는 장점이 있다.
또한, 저농도의 산화아연을 급여함으로써, 다량의 산화아연이 분변으로 배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종래 코팅 산화아연 입자의 개략적인 구조를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코팅 산화아연 입자의 개략적인 구조를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코팅 산화아연의 제조순서를 나타낸 도면.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종래의 사료 첨가제용 코팅 산화아연은, 도 1과 같이, 산화아연(10)을 입자 형태로 성형하고, 이를 코팅제(20)로 코팅하여서 되는 코어-쉘 구조의 입자였다. 이러한 코어-쉘 구조의 코팅 산화아연은 열에 의해 쉘을 이루는 코팅제의 형태가 쉽게 변형되어 코어인 산화아연이 외부로 노출되거나, 물리적인 마찰 및 변형에 의해 입자가 쉽게 쪼개짐으로써 코어인 산화아연이 외부로 노출되는 단점이 있었다. 즉, 이러한 구조의 코팅 산화아연은 코팅 입자로서의 장점을 갖지 못하는바, 위산에 의한 소화로부터 산화아연이 보호되지 못해 분변 내 아연 배출량이 높고, 고농도의 코팅 산화아연을 급여하여야만 설사방지 및 증체의 효과를 가질 수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러한 종래 코팅 산화아연의 단점을 해소하고자, 열 및 물리적인 마찰에 의한 입자의 변형 또는 쪼개짐이 발생하더라도 산화아연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고 코팅제에 의해 안정적으로 보호되도록 한 것이다.
더욱 구체적으로는, 도 2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코팅 산화아연 입자는 식물성 지방을 포함하는 매트릭스(2)와, 상기 매트릭스 내에 분산된 산화아연 분말(1)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산화아연 분말(1)이 식물성 지방에 산재된 형태인 산화아연-식물성 지방의 매트릭스 구조이다.
따라서, 상기 코팅제인 식물성 지방의 매트릭스(2) 구조에 유효성분인 산화아연 분말(1)이 분산되어 분포됨으로써, 입자의 변형 및 쪼개짐이 발생하더라도 매트릭스(2)를 구성하는 식물성 지방에 의해 산화아연 분말(1)이 안정적으로 보호되어, 위산에 의한 소화로부터 산화아연 분말(1)이 보호되고, 십이지장으로 분비되는 리파아제에 의해 매트릭스(2)를 구성하는 식물성 지방이 분해되면서 유효성분인 산화아연 분말(1)이 천천히 장에서 용출되는 것이다.
그러므로 상기와 같은 구조를 갖는 코팅 산화아연은 사료에 저농도로 배합되더라도 장 내에 서서히 용출되므로, 종래 고농도 산화아연과 같은 급여 가축의 설사 방지, 증체의 효과를 갖는 것은 물론, 급여 가축의 면역력 증강에 도움을 주는 것이다.
아울러, 상기 코팅 산화아연의 매트릭스(2)는 비타민 E 및 유화제를 더 포함하는바, 상기 유화제는 식물성 지방이 안정적으로 매트릭스 구조를 형성하기 위하여 사용되고, 상기 비타민 E는 산화 방지를 목적으로 사용된다.
이때, 상기 코팅 산화아연의 배합비는, 식물성 지방 100중량부에 대하여 산화아연 분말 80~120중량부, 유화제 3~20중량부 및 비타민 E 0.1~1중량부인 것이 바람직하나, 이를 반드시 제한하는 것은 아니다.
아울러, 상기 식물성 지방의 종류 역시 제한하지 않으나, 가장 바람직한 형태는 팜경화유이다. 그리고 상기 유화제로는 프로필렌글리콜 지방산 에스테르, 레시틴, 글리세린 지방산 에스테르, 자당 지방산 에스테르, 소르비탄 지방산 에스테르,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 지방산 에스테르 및 폴리옥시에틸렌 글리세롤 지방산 에스테르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인 것을 사용가능한 바, 이외에도 공지된 다양한 종류의 유화제를 사용할 수 있는 것으로, 이를 한정하지 않는다.
.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사료 첨가제용 코팅 산화아연은 식물성 지방에 의해 산화아연 분말이 안정적으로 보호되어, 종래 코어-쉘 구조의 코팅 산화아연에 비해 그 안정성이 월등히 우수하다는 장점이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코팅 산화아연의 제조방법에 대해 첨부된 도 3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제조방법을 설명함에 있어서, 앞서 코팅 산화아연에서 충분히 설명된 구성은 설명을 생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코팅 산화아연의 제조방법은, 식물성 지방을 용해하는 단계와, 상기 용해된 식물성 지방에 산화아연 분말을 혼합하여 현탁액을 제조하는 단계와, 상기 혼합된 현탁액을 냉각 챔버에 분사하여 고형화시킴으로써, 코팅 산화아연 입자를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먼저, 도 3에서와 같이 식물성 지방을 용해하고, 혼합 탱크(Mix tank)에 투입한다. 이때, 상기 지방의 용해방법은 제한하지 않음은 당연하며, 혼합 탱크 내에서 용해할 수도 있음은 당연하다.
그리고 산화아연 분말, 유화제 및 비타민 E를 상기 혼합 탱크에 투입하여 상기 용해된 식물성 지방과 혼합한다. 여기서, 유화제 및 비타민 E는 식물성 지방에 용해되지만, 산화아연 분말은 용해되지 않으므로 현탁액 상태가 된다.
다음으로, 상기 현탁액을 냉각챔버(Cooling Chamber) 내에 노즐로 분사하여 고형화시킴으로써, 코팅 산화아연 입자를 제조한다. 이때, 노즐의 크기, 분사압력, 냉각챔버 내의 온도 등은 제한하지 않는다. 예시적으로, 상기 노즐의 입구경은 0.1~3mm, 분사압력은 10~200kg/㎠, 냉각챔버 내의 온도는 -50∼0℃ 등이면 족하다.
상기와 같이 제조한 코팅 산화아연은 다른 사료와 배합된 배합사료의 형태로 가축에게 급여되는데, 상기 코팅 산화아연은 300~2,000ppm으로 배합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그 배합량이 적으며 산화아연의 효과, 즉 설사방지, 증체, 면역력 증강의 효과가 충분하지 못하고, 과량이 되면 고농도로 인해 산화아연으로 인한 다양한 문제점이 발생될 수 있기 때문이다.
아울러, 본 발명의 가축 사료는 산화아연의 급여가 요구되는 다양한 종류의 가축에게 급여될 수 있지만, 가장 바람직하게는 이유자돈에게 급여되는 것이나, 이를 제한하는 것은 아니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를 통해 상세히 설명한다.
(실시예 1)
본 발명에 따른 코팅 산화아연의 제조.
팜경화유 500g을 용해하고, 이에 소르비탄 지방산 에스테르 중 HLB가가 4.3인 유화제 30g 비타민 E 2g, 산화아연 분말 500g을 혼합하여 현탁액을 제조하였다. 그리고 상기 현탁액을 구경이 1mm인 노즐로 30kg/㎠의 압력으로 -20℃의 냉각챔버 내로 분사하여 코팅 산화아연 입자를 제조하였다. 상기 제조된 산화아연 입자는 팜경화유의 매트릭스 내에 산화아연 분말이 분산된 형태를 나타냈다.
(시료의 준비)
시중에서 구입한 통상의 이유자돈용 사료(기초 사료)를 준비하였다. 그리고 상기 실시예 1의 코팅 산화아연을 상기 기초 사료에 300ppm(T1 처리구), 500ppm(T2 처리구), 1,000ppm(T3 처리구), 2,000ppm(T4 처리구)로 첨가하여 각각의 시료를 준비하였다. 대조군(CON)으로는 기초사료만을, 양성 대조군(PC)으로는 기초사료에 코팅되지 않은 산화아연을 2,500ppm으로 첨가하여 시료를 준비하였다
(시험예 1)
동물 사양시험을 통하여 실시예 1의 이유자돈에 대한 생산성 향상 효과를 시험하였다.
이유자돈 120두(처리구당 20두)를 준비하고, 처리구당 각각의 돈방에 배치한 후, 매일 아침 8시 무제한 자유 급여하였으며, 익일 아침 8시에 잔량을 계량하여 일평균사료섭취량을 결정하였다
일평균사료섭취량(ADFI : Average Daily Feed Intake, kg/두/일)은 하기 식(1)과 같이 급여된 사료에 남은 사료를 빼고 남은 량을 구하였다. 개체당 일평균사료섭취량을 계산하였다.
일평균증체량(ADG : Average Daily Gain, kg/두)은 하기 식(2)와 같이 계산하였다.
사료효율(G/F)은 1kg의 증체에 필요한 사료량(kg)을 뜻하는 것으로서 하기 식(3)과 같이 일평균증체량을 일평균사료섭취량으로 나누어 계산하였다.
(1) 일평균사료섭취량(ADFI, kg/두)= ((급여된 사료(kg)- 남은사료(kg))/두
(2) 일평균증체량(ADG, kg/두)= (최종 체중(kg)- 최초 체중(kg))/두
(3) 사료효율(G/F, %)= (일평균증체량(kg/두)/일평균사료섭취량(kg/두))
그리고 그 결과를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시험예 1 결과.
구분 CON PC T1 T2 T3 T4 SE
week 3

ADG(g) 340b 360ab 345b 363ab 370a 366ab 13
ADFI(g) 515 540 510 533 537 545 20
G/F 0.641 0.668 0.678 0.681 0.689 0.670 0.009
week 6

ADG(g) 493b 520ab 526ab 532ab 574a 535ab 20
ADFI(g) 804 847 830 831 847 824 38
G/F 0.614 0.614 0.634 0.640 0.677 0.649 0.031
Overall

ADG(g) 416b 439ab 435ab 447ab 466a 450ab 11
ADFI(g) 660 693 670 682 692 684 21
G/F 0.631 0.633 0.649 0.655 0.674 0.658 0.025
SE: Standard error of means.
a,b,cMeans in the same row with different superscripts differ (P < 0.05).
상기 표 1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실시예 1의 코팅 산화아연을 적용한 T1 내지 T4의 전 처리구는 6주 후 모두 고농도의 산화아연을 적용한 양성 대조군(PC)에 비해 증체량의 개선효과가 우수하였다. 다만, T1 처리구는 양성 대조군과 유사한 수준을 나타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코팅 산화아연은 종래 일반 산화아연에 비하여 그 사용량을 약 6% 수준으로 줄이더라도 유사한 수준의 증체량을 나타내며, 약 10~40% 수준에서 월등히 우수한 수준의 증체량을 나타냄을 확인하였다.
(시험예 2)
사료 급여에 따른 분변 특성을 확인하였다.
상기 시험예 1의 시험방법과 동일한 사육방법을 통해 이유자돈을 사육한 후, 사육 경과일이 7일마다 동일 시각에 발생된 각각의 이유자돈의 분변을 확인하였다.
시험예 2 결과.
Fecal score CON PC T1 T2 T3 T4 SE
Week 1 4.18a 3.25b 3.27b 3.18b 3.20b 3.21b 0.09
Week 2 3.66a 3.16b 3.11b 3.16b 3.16b 3.11b 0.05
Week 3 3.45a 3.14b 3.16b 3.09b 3.09b 3.11b 0.04
Week 4 3.20 3.07 3.11 3.14 3.09 3.13 0.03
Week 5 3.14 3.07 3.13 3.11 3.14 3.11 0.05
Week 6 3.16 3.07 3.09 3.09 3.09 3.14 0.04
Fecal score: 1 = hard, dry pellets in a small, hard mass;
2 = hard, formed stool that remains firm and soft;
3 = soft, formed, and moist stool that retains its shape;
4 = soft, unformed stool that assumes the shape of the container;
5 = watery, liquid stool that can be poured
SE: Standard error of means.
a,b,cMeans in the same row with different superscripts differ (P < 0.05).
상기 표 2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분변지수 역시 T1 내지 T4 처리구 모두 양성 대조군(PC)과 유사한 수준으로 개선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일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 산화아연 분말 2: 매트릭스

Claims (7)

  1. 식물성 지방을 포함하는 매트릭스와,
    상기 매트릭스 내에 분산된 산화아연 분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료 첨가제용 코팅 산화아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식물성 지방은 팜경화유이고,
    상기 매트릭스는,
    유화제 및 비타민 E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료 첨가제용 코팅 산화아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식물성 지방, 산화아연 분말, 유화제 및 비타민 E의 배합비는,
    상기 식물성 지방 100중량부에 대하여 산화아연 분말 80~120중량부, 유화제 3~20중량부 및 비타민 E 0.1~1중량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료 첨가제용 코팅 산화아연.
  4. 식물성 지방을 용해하는 단계와,
    상기 용해된 식물성 지방에 산화아연 분말을 혼합하여 현탁액을 제조하는 단계와,
    상기 혼합된 현탁액을 냉각 챔버에 분사하여 고형화시킴으로써, 코팅 산화아연 입자를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코팅 산화아연 입자는,
    식물성 지방을 포함하는 매트릭스와, 상기 매트릭스 내에 분산된 산화아연 분말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사료 첨가제용 코팅 산화아연의 제조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식물성 지방은 팜경화유이고,
    상기 현탁액을 제조하는 단계 시,
    유화제 및 비타민 E를 더 혼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료 첨가제용 코팅 산화아연의 제조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현탁액을 제조하는 단계는,
    상기 식물성 지방 100중량부에 대하여 산화아연 분말 80~120중량부, 유화제 3~20중량부 및 비타민 E 0.1~1중량부를 혼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료 첨가제용 코팅 산화아연의 제조방법.
  7.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의 사료 첨가제용 코팅 산화아연 300~2,000ppm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축 사료.
KR1020170008783A 2017-01-18 2017-01-18 사료 첨가제용 코팅 산화아연, 그 제조방법 및 이를 함유하는 가축 사료 KR10192043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08783A KR101920438B1 (ko) 2017-01-18 2017-01-18 사료 첨가제용 코팅 산화아연, 그 제조방법 및 이를 함유하는 가축 사료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08783A KR101920438B1 (ko) 2017-01-18 2017-01-18 사료 첨가제용 코팅 산화아연, 그 제조방법 및 이를 함유하는 가축 사료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85271A true KR20180085271A (ko) 2018-07-26
KR101920438B1 KR101920438B1 (ko) 2018-11-20

Family

ID=630479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08783A KR101920438B1 (ko) 2017-01-18 2017-01-18 사료 첨가제용 코팅 산화아연, 그 제조방법 및 이를 함유하는 가축 사료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2043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836711A (zh) * 2022-12-27 2023-03-24 四川品信饲料有限公司 一种粉粒混合型乳猪教槽饲料及其制备方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45569B1 (ko) 2005-12-06 2007-08-02 양태식 유기태 아연과 망간이 함유된 오리 사육용 사료 및 그사료를 이용한 오리의 사육방법
KR100863607B1 (ko) 2006-10-18 2008-10-15 이종덕 홍삼박 및 한약재박을 포함하는 동물용 사료 첨가제 조성물및 이의 제조방법
KR101352993B1 (ko) 2013-05-23 2014-02-05 김현수 비육우의 육질개선을 위한 사료첨가용 조성물 및 그 제조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554185A4 (en) * 2010-03-29 2014-09-24 Kaneka Corp COATING FAT COMPOSITION AND PARTICLE COMPOSITION THEREWITH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45569B1 (ko) 2005-12-06 2007-08-02 양태식 유기태 아연과 망간이 함유된 오리 사육용 사료 및 그사료를 이용한 오리의 사육방법
KR100863607B1 (ko) 2006-10-18 2008-10-15 이종덕 홍삼박 및 한약재박을 포함하는 동물용 사료 첨가제 조성물및 이의 제조방법
KR101352993B1 (ko) 2013-05-23 2014-02-05 김현수 비육우의 육질개선을 위한 사료첨가용 조성물 및 그 제조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836711A (zh) * 2022-12-27 2023-03-24 四川品信饲料有限公司 一种粉粒混合型乳猪教槽饲料及其制备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20438B1 (ko) 2018-11-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530168A (zh) 一种有机锌饲料添加剂及其制备方法和用途
CN110892947A (zh) 一种禽用复合酸化剂及其制备方法和应用
CN100482094C (zh) 鱼饲料及其用途
CN104286577A (zh) 温室养殖模式专用中华鳖幼鳖粉状配合饲料
CN108142688B (zh) 一种不含氧化锌的保育料
CN110583890A (zh) 一种无抗生素的半湿乳猪饲料
CN109329610A (zh) 一种用于猪的饲料添加剂及其制备方法
CN104522423A (zh) 一种45%小保育浓缩料及其制备方法
KR101920438B1 (ko) 사료 첨가제용 코팅 산화아연, 그 제조방법 및 이를 함유하는 가축 사료
CN109393187A (zh) 一种抗腹泻的猪饲料添加剂及其制备方法与应用
CN108651709A (zh) 抗菌抑菌促生长剂及其制备方法和用途
DE3229109A1 (de) Futtermittel und futtermittelzusaetze zur foerderung der gewichtszunahme von nutztieren
EP0729708A1 (de) Verwendung von Enzymen von Krill in Futtermitteln
CN111149945A (zh) 一种无抗饲料添加剂、雏鸡无抗破碎配合饲料及其制备方法和应用
RU2284703C1 (ru) Способ кормления поросят
EP4378320A1 (en) Use of furan formic acid compound in preparing animal feed additive
CN104304801A (zh) 温室养殖模式专用中华鳖成鳖粉状配合饲料
CN104397369A (zh) 温室养殖模式专用中华鳖稚鳖粉状配合饲料
CN111011601A (zh) 一种动物饲料用天然复合抗氧化剂及其制备方法
CN105724779A (zh) 一种复方饲用组合物及其在制备动物饲料添加剂中的应用
KR101925546B1 (ko) 사료 첨가제용 코팅 유기산, 그 제조방법 및 이를 함유하는 가축 사료
CN112205527A (zh) 一种酸化剂及其制备方法和应用
CN114947000B (zh) 一种饲料用抗菌促生长复合添加剂及其制造方法和应用
CN110179006A (zh) 禽用降污保健促长饲料添加剂及其工艺方法
KR101851994B1 (ko) 생광석 미네랄 블록 및 그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