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83189A - 차량용 파워 윈도우 스위치 모듈 - Google Patents

차량용 파워 윈도우 스위치 모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83189A
KR20180083189A KR1020170005440A KR20170005440A KR20180083189A KR 20180083189 A KR20180083189 A KR 20180083189A KR 1020170005440 A KR1020170005440 A KR 1020170005440A KR 20170005440 A KR20170005440 A KR 20170005440A KR 20180083189 A KR20180083189 A KR 2018008318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unger
switch knob
housing
switching terminal
conta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054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노동운
Original Assignee
엘에스오토모티브테크놀로지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에스오토모티브테크놀로지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에스오토모티브테크놀로지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0054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083189A/ko
Priority to CN201820051422.5U priority patent/CN207818447U/zh
Publication of KR201800831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8318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3/00Tumbler or rocker switches, i.e. switches characterised by being operated by rocking an operating member in the form of a rocker button
    • H01H23/02Details
    • H01H23/12Movable parts; Contacts mounted thereon
    • H01H23/14Tumbl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1/00Windows; Windscreens; Accessories therefor
    • B60J1/08Windows; Windscreens; Accessories therefor arranged at vehicle sides
    • B60J1/12Windows; Windscreens; Accessories therefor arranged at vehicle sides adjustabl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3/00Tumbler or rocker switches, i.e. switches characterised by being operated by rocking an operating member in the form of a rocker button
    • H01H23/02Details
    • H01H23/12Movable parts; Contacts mounted thereon
    • H01H23/16Driving mechanism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231/00Applications
    • H01H2231/026Ca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300/00Orthogonal indexing scheme relating to 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or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covered by H01H
    • H01H2300/01Application power window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umbler Switches (AREA)
  • 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단순한 구조로 사이즈 및 제조 비용을 줄일 수 있는 새로운 구조의 차량용 파워 윈도우 스위치 모듈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파워 윈도우 스위치 모듈은, 하우징과, 하우징의 내부에 설치되고 접점 상태 변화로 차량 윈도우를 승하강시키는 윈도우 모터의 작동 상태를 변화시키기 위한 복수의 접점부를 갖는 스위칭 단자부와, 스위칭 단자부를 각기 다른 접점 상태로 작동시킬 수 있도록 하우징에 각각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 1 플런저 및 제 2 플런저와, 하우징에 회전 운동 가능하게 배치되는 스위치 노브와, 스위치 노브가 기설정된 일방향으로 회전할 때만 제 1 플런저를 스위칭 단자부를 작동시키는 방향으로 가압하도록 스위치 노브에 구비되는 제 1 가압부재와, 스위치 노브가 기설정된 타방향으로 회전할 때만 제 2 플런저를 스위칭 단자부를 작동시키는 방향으로 가압하도록 스위치 노브에 구비되는 제 2 가압부재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차량용 파워 윈도우 스위치 모듈{POWER WINDOW SWITCH MODULE FOR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용 파워 윈도우 스위치 모듈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간단한 구조로 차량 윈도우의 업-다운 동작을 구현할 수 있는 차량용 파워 윈도우 스위치 모듈에 관한 것이다.
자동차 등의 차량은 이동 수단으로서의 기능을 넘어서 사용자로 하여금 보다 안정적이면서도 편안한 주행 상태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각종 편의 수단으로서 기능이 요구되고 있다. 따라서 차량에는 다양한 편의 장치와 이를 작동 및 제어하기 위한 각종 스위치들이 구비된다.
편의 장치의 하나로 차량의 윈도우를 개폐하기 위한 파워 윈도우 스위치는 각 좌석마다 장착되어 각 좌석의 승객이 윈도우를 개폐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파워 윈도우 스위치는 복수의 스위치가 하우징 내에 설치된 스위치 모듈로 도어의 아암 레스트 상에 장착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도 1은 종래의 파워 윈도우 스위치 모듈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도 1에 나타낸 것과 같이, 종래의 파워 윈도우 스위치 모듈은, 하우징 베이스(10)와, 하우징 베이스(10) 위에 설치되는 스위치 박스(12)와, 스위치 박스(12) 위에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슬라이더(14)와, 스위치 박스(12)를 덮도록 하우징 베이스(10) 위에 결합되는 커버 박스(16)와, 커버 박스(16) 위에 피봇 결합되는 스위치 노브(18)를 포함한다. 스위치 박스(12)의 내부에는 슬라이더(14)에 의해 작동하는 스위치 접점이 구비된다. 이러한 종래 파워 스위치 모듈은 사용자가 스위치 노브(18)를 설정된 각도로 회전시키면 슬라이더(14)가 스위치 노브(18)와 연동하여 스위치 박스(12)의 스위치 접점을 작동시키게 된다.
그런데 종래의 파워 윈도우 스위치 모듈은 먼지 등 이물질의 유입을 방지하기 위해 스위치 접점이 내장된 스위치 박스 이외에 스위치 박스(12)를 더 포함하고, 스위치 접점을 작동시키기 위해 수평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하는 슬라이더(14)를 포함하므로, 사이즈가 커지고, 제조 비용이 상승하는 문제점이 있다.
등록특허공보 제1459920호 (2014. 11. 07)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단순한 구조로 사이즈 및 제조 비용을 줄일 수 있는 새로운 구조의 차량용 파워 윈도우 스위치 모듈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른 차량용 파워 윈도우 스위치 모듈은,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설치되고, 접점 상태 변화로 차량 윈도우를 승하강시키는 윈도우 모터의 작동 상태를 변화시키기 위한 복수의 접점부를 갖는 스위칭 단자부; 상기 스위칭 단자부를 각기 다른 접점 상태로 작동시킬 수 있도록 상기 하우징에 각각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 1 플런저 및 제 2 플런저; 상기 하우징에 회전 운동 가능하게 배치되는 스위치 노브; 상기 스위치 노브가 기설정된 일방향으로 회전할 때만 상기 제 1 플런저를 상기 스위칭 단자부를 작동시키는 방향으로 가압하도록 상기 스위치 노브에 구비되는 제 1 가압부재; 및 상기 스위치 노브가 기설정된 타방향으로 회전할 때만 상기 제 2 플런저를 상기 스위칭 단자부를 작동시키는 방향으로 가압하도록 상기 스위치 노브에 구비되는 제 2 가압부재;를 포함한다.
상기 제 1 가압부재는 상기 스위치 노브가 기설정된 일방향으로 회전할 때만 상기 제 1 플런저의 끝단에 접하여 상기 제 1 플런저를 가압할 수 있도록 상기 제 1 플런저에 대해 경사지게 배치되는 제 1 경사 가압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 2 가압부재는 상기 스위치 노브가 기설정된 타방향으로 회전할 때만 상기 제 2 플런저의 끝단에 접하여 상기 제 2 플런저를 가압할 수 있도록 상기 제 2 플런저에 대해 경사지게 배치되는 제 2 경사 가압부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제 1 가압부재의 제 1 경사 가압부의 법선과 상기 제 2 가압부재의 제 2 경사 가압부의 법선은 비평행 상태인 것이 좋다.
상기 스위치 노브의 회전 중심축을 포함하는 평면 중 상기 스위치 노브의 회전 중심축에 수직한 선분에 대하여, 상기 제 1 경사 가압부와 상기 제 2 경사 가압부 중 어느 하나는 예각을 이루고, 다른 하나는 둔각을 이루는 것이 좋다.
상기 제 1 플런저와 상기 제 2 플런저는 상기 스위치 노브의 회전 중심축 방향을 따라 나란하게 좌우 대칭을 이루도록 배치되는 것이 좋다.
상기 제 1 플런저와 상기 제 1 경사 가압부 사이의 각도와, 상기 제 2 플런저와 상기 제 2 경사 가압부 사이의 각도가 같은 것이 좋다.
상기 스위칭 단자부는, 상기 하우징에 고정되는 고정 접점부와, 상기 제 1 플런저에 의해 가압되어 상기 고정 접점부와 접촉할 수 있도록 상기 하우징에 탄성 변형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 1 가동 접점부와, 상기 제 2 플런저에 의해 가압되어 상기 고정 접점부와 접촉할 수 있도록 상기 제 1 가동 접점부와 이격된 상태로 상기 하우징에 탄성 변형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 2 가동 접점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파워 윈도우 스위치 모듈은, 상기 스위치 노브에 대해 원위치시키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가할 수 있도록 상기 하우징에 배치되는 탄성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차량용 파워 윈도우 스위치 모듈은,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설치되고, 접점 상태 변화로 차량 윈도우를 승하강시키는 윈도우 모터의 작동 상태를 변화시키기 위한 복수의 접점부를 갖는 스위칭 단자부; 상기 스위칭 단자부를 상기 윈도우 모터가 상기 차량 윈도우를 하강시키는 접점 상태로 작동시킬 수 있도록 상기 하우징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 1 플런저; 상기 스위칭 단자부를 상기 윈도우 모터가 상기 차량 윈도우를 상승시키는 접점 상태로 작동시킬 수 있도록 상기 하우징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 2 플런저; 상기 하우징에 회전 운동 가능하게 배치되는 스위치 노브; 및 상기 스위치 노브가 기설정된 일방향으로 회전할 때 상기 제 1 플런저의 끝단을 상기 스위칭 단자 쪽으로 가압하여 상기 제 1 플런저를 작동시키고, 상기 스위치 노브가 기설정된 타방향으로 회전할 때 상기 제 2 플런저의 끝단을 상기 스위칭 단자 쪽으로 가압하여 상기 제 2 플런저를 작동시키도록 상기 스위치 노브에 구비되는 작동부;를 포함한다.
상기 작동부는 상기 제 1 플런저 및 제 2 플런저 각각의 끝단과 접하여 상기 제 1 플런저 및 제 2 플런저 각각을 가압하는 가압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플런저의 끝단에는 상기 작동부의 가압부에 대해 일측 방향으로 하향 경사지게 배치되는 제 1 경사부가 마련되고, 상기 제 2 플런저의 끝단에는 상기 작동부의 가압부에 대해 타측 방향으로 하향 경사지게 배치되는 제 2 경사부가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제 1 플런저와 상기 제 2 플런저는 상기 스위치 노브의 회전 중심축 방향을 따라 나란하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가압부와 상기 제 1 경사부 사이의 각도와, 상기 가압부와 상기 제 2 경사부 사이의 각도가 같은 것이 좋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파워 윈도우 스위치 모듈은, 스위치 노브에 배치되는 작동부가 스위치 노브가 기설정된 일방향으로 회전할 때 제 1 플런저를 스위칭 단자 쪽으로 가압하여 스위칭 단자의 접점 상태를 변화시키고, 스위치 노브가 기설정된 타방향으로 회전할 때 제 2 플런저를 스위칭 단자부 쪽으로 가압하여 스위칭 단자부의 접점 상태를 다르게 변화시키는 단순한 구조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종래에 비해 사이즈를 줄일 수 있고, 제조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파워 윈도우 스위치 모듈은 구조가 단순하여 고장 발생 위험이 작다.
도 1은 종래의 파워 윈도우 스위치 모듈을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파워 윈도우 스위치 모듈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파워 윈도우 스위치 모듈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파워 윈도우 스위치 모듈의 스위칭 단자부의 전기 회로를 설명하기 위한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파워 윈도우 스위치 모듈의 스위치 노브를 나타낸 저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파워 윈도우 스위치 모듈의 스위치 노브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7은 도 6에 나타낸 스위치 노브를Ⅰ-Ⅰ 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도 8은 도 6에 나타낸 스위치 노브를 Ⅱ-Ⅱ 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파워 윈도우 스위치 모듈의 작동부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것이다.
도 10 및 도 1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파워 윈도우 스위치 모듈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다.
도 12 및 도 1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파워 윈도우 스위치 모듈의 주요 구성을 나타낸 것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파워 윈도우 스위치 모듈을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파워 윈도우 스위치 모듈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파워 윈도우 스위치 모듈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2 및 도 3에 나타낸 것과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파워 윈도우 스위치 모듈(100)은 하우징(110)과, 접점 상태 변화로 차량 윈도우를 승하강시키는 윈도우 모터(50)의 작동 상태를 변화시키기 위한 스위칭 단자부(120)와, 스위칭 단자부(120)를 작동시키기 위해 하우징(110)에 가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 1 플런저(130) 및 제 2 플런저(135)와, 하우징(110)에 회전 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스위치 노브(140)와, 제 1 플런저(130) 및 제 2 플런저(135)를 작동시키기 위해 스위치 노브(140)에 구비되는 작동부(150)를 포함한다. 이러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파워 윈도우 스위치 모듈(100)은 사용자의 스위치 노브(140) 조작에 의해 스위칭 단자부(120)의 접점 상태가 변함으로써 윈도우 모터(50)를 작동시키기 위한 전기적 신호를 발생시킬 수 있다.
하우징(110)은 하우징 베이스(112)와, 하우징 커버(114)를 포함한다. 하우징 베이스(112)는 스위칭 단자부(120)를 지지하고, 하우징 커버(114)는 하우징 베이스(112) 위에 결합된다. 하우징 커버(114)는 스위칭 단자부(120)를 덮도록 하우징 베이스(112)에 결합되는 커버 바디(115)와, 스위치 노브(140)를 지지할 수 있도록 커버 바디(115) 상측에 구비되는 스위치 노브 지지부(116)를 갖는다. 커버 바디(115)의 내부에는 빈 공간이 마련된다. 스위치 노브 지지부(116)의 양측에는 스위치 노브(140)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회전축부(117)가 구비된다. 스위치 노브(140)는 회전축부(117)에 결합되어 하우징 커버(114)에 대해 일정 각도 범위 내에서 일방향(예컨대, 반시계 방향) 또는 타방향(예컨대, 시계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스위치 노브 지지부(116)의 안쪽에는 설치구멍(118)이 마련된다. 설치구멍(118)에는 스위치 노브(140)에 구비된 작동부(150)와, 제 1 플런저(130) 및 제 2 플런저(135) 등이 수용될 수 있다.
스위칭 단자부(120)는 하우징 베이스(112)의 내부에 설치된다. 스위칭 단자부(120)는 접점 상태 변화로 차량 윈도우를 승하강시키는 윈도우 모터(50)의 작동 상태를 변화시키기 위한 복수의 접점부(121)(122)(123)를 갖는다. 스위칭 단자부(120)는 하우징 베이스(112)에 고정되는 고정 접점부(121)와, 고정 접점부(121)와 접촉할 수 있도록 하우징 베이스(112)에 탄성 변형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 1 가동 접점부(122) 및 제 2 가동 접점부(123)를 포함한다. 제 1 가동 접점부(122)는 제 1 플런저(130)에 의해 가압되어 탄성 변형됨으로써 고정 접점부(121)와 접촉할 수 있도록 고정 접점부(121)의 상측에 배치된다. 제 2 가동 접점부(123)는 제 2 플런저(135)에 의해 가압되어 탄성 변형됨으로써 고정 접점부(121)와 접촉할 수 있도록 고정 접점부(121)의 상측에 제 1 가동 접점부(122)와 이격되어 배치된다.
도 4에 나타낸 것과 같이, 스위칭 단자부(120)의 고정 접점부(121)는 전원 공급을 위한 배터리(6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제 1 가동 접점부(122) 및 제 2 가동 접점부(123)는 각각 윈도우 모터(50)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제 1 가동 접점부(122)가 제 1 플런저(130)에 의해 가동되어 고정 접점부(121)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때, 윈도우 모터(50)에 전기 신호가 인가되어 윈도우 모터(50)가 차량 윈도우를 하강시키도록 작동한다. 반면, 제 2 가동 접점부(123)가 제 2 플런저(135)에 의해 가동되어 고정 접점부(121)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때, 윈도우 모터(50)에 전기 신호가 인가되어 윈도우 모터(50)가 차량 윈도우를 상승시키도록 작동하게 된다.
도 3을 참조하면, 제 1 플런저(130) 및 제 2 플런저(135)는 스위칭 단자부(120)를 각기 다른 접점 상태로 작동시킬 수 있도록 스위칭 단자부(120)와 스위치 노브(140) 사이에 배치된다. 이들 제 1 플런저(130)와 제 2 플런저(135)는 하우징 커버(114)의 내측에서 상하 이동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 1 플런저(130)는 스위칭 단자부(120)의 제 1 가동 접점부(122)를 고정 접점부(121) 쪽으로 가압할 수 있도록 제 1 가동 접점부(122)의 상측에 상하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그리고 제 2 플런저(135)는 제 2 가동 접점부(123)를 고정 접점부(121) 쪽으로 가압할 수 있도록 제 2 가동 접점부(123)의 상측에 상하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제 1 플런저(130)와 제 2 플런저(135)는 동일한 구조로 이루어지며, 스위치 노브(140)의 회전 중심축 방향(X축 방향)을 따라 나란하게 좌우 대칭을 이루도록 배치된다. 이렇게 제 1 플런저(130)와 제 2 플런저(135)를 나란하게 좌우 대칭을 이루도록 배치하면, 제 1 플런저(130)와 제 2 플런저(135)를 위한 설치 공간을 줄일 수 있어 차량용 파워 윈도우 스위치 모듈(100)의 사이즈를 줄이는데 유리하다.
도 2, 도 3,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스위치 노브(140)는 하우징 커버(114)의 스위치 노브 지지부(116)에 회전 운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스위치 노브(140)는 스위치 노브 지지부(116)에 구비되는 회전축부(117)와의 결합을 위한 결합구멍(141)을 갖는다. 스위치 노브(140)는 그 결합구멍(141)에 회전축부(117)가 삽입되는 방식으로 스위치 노브 지지부(116)에 결합되어 하우징 커버(114)에 대해 일정 각도 범위 내에서 일방향 또는 타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스위치 노브(140)가 하우징 커버(114)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구조는 도시된 구조 이외에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도 3, 도 5,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 작동부(150)는 스위치 노브(140)의 회전 운동 시 제 1 플런저(130) 및 제 2 플런저(135)를 가동시킬 수 있도록 스위치 노브(140)의 내측에 배치된다. 작동부(150)는 제 1 플런저(130)를 가동시키기 위한 제 1 가압부재(152)와, 제 2 플런저(135)를 가동시키기 위한 제 2 가압부재(155)를 포함한다.
제 1 가압부재(152)는 스위치 노브(140)가 기설정된 일방향(예컨대,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할 때만 제 1 플런저(130)를 스위칭 단자부(120)를 작동시키는 방향으로 가압한다. 제 1 가압부재(152)의 끝단에는 제 1 플런저(130)에 대해 경사지게 배치되는 제 1 경사 가압부(153)가 구비된다. 제 1 가압부재(152)는 제 1 경사 가압부(153)가 제 1 플런저(130)의 끝단에 압착됨으로써 제 1 플런저(130)를 스위칭 단자부(120) 쪽으로 가압할 수 있다. 도 6에 나타낸 것과 같이, 제 1 경사 가압부(153)는 제 1 플런저(130)에 대해 경사지게 배치됨으로써, 스위치 노브(140)가 기설정된 일방향으로 회전할 때만 제 1 경사 가압부(153)로 제 1 플런저(130)를 가압할 수 있다. 반면, 스위치 노브(140)가 타방향으로 회전할 때, 제 1 경사 가압부(153)는 제 1 플런저(130)를 가동시킬 수 없다.
제 2 가압부재(155)는 스위치 노브(140)가 기설정된 타방향(예컨대, 시계 방향)으로 회전할 때만 제 2 플런저(135)를 스위칭 단자부(120)를 작동시키는 방향으로 가압한다. 제 2 가압부재(155)의 끝단에는 제 2 플런저(135)에 대해 경사지게 배치되는 제 2 경사 가압부(156)가 구비된다. 제 2 가압부재(155)는 제 2 경사 가압부(156)가 제 2 플런저(135)의 끝단에 압착됨으로써 제 2 플런저(135)를 스위칭 단자부(120) 쪽으로 가압할 수 있다. 제 2 경사 가압부(156)는 제 2 플런저(135)에 대해 경사지게 배치됨으로써, 스위치 노브(140)가 기설정된 일방향으로 회전할 때만 제 2 플런저(135)를 가압할 수 있고, 스위치 노브(140)가 타방향으로 회전할 때는 제 2 플런저(135)를 가압할 수 없다.
이와 같이, 작동부(150)는 제 1 가압부재(152) 및 제 2 가압부재(155)를 통해 스위치 노브(140)의 회전 운동 상태에 따라 제 1 플런저(130) 또는 제 2 플런저(135)를 선택적으로 가동시킬 수 있다. 이러한 작동부(150)의 동작은 서로 다른 방향으로 기울어진 제 1 경사 가압부(153)와 제 2 경사 가압부(156)를 각각 구비하는 제 1 가압부재(152)와 제 2 가압부재(155)의 작용에 의한 것이다.
도 7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제 1 경사 가압부(153)와 제 2 경사 가압부(156)의 경사 방향이 다르므로, 제 1 경사 가압부(153)의 법선(L1)과 제 2 경사 가압부(156)의 법선(L2)은 비평행하다. 또한 스위치 노브(140)의 회전 중심축(C)을 포함하는 평면(X-Y 평면) 중 스위치 노브(140)의 회전 중심축(C)에 수직한 선분(Y축)에 대하여 제 1 경사 가압부(153)는 예각(α1)을 이루고, 제 2 경사 가압부(156)는 둔각(α2)을 이룬다(반시계 방향 기준). 또한 제 1 플런저(130)와 제 1 경사 가압부(153) 사이의 각도와, 제 2 플런저(135)와 제 2 경사 가압부(156) 사이의 각도는 같은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스위칭 단자부(120)나, 제 1 플런저(130) 또는 제 2 플런저(135) 등의 구조에 따라 제 1 플런저(130)와 제 1 경사 가압부(153) 사이의 각도나, 제 2 플런저(135)와 제 2 경사 가압부(156) 사이의 각도는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다.
이 밖에,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파워 윈도우 스위치 모듈(100)은 도 3에 나타낸 것과 같이 탄성부재(160)를 포함한다. 탄성부재(160)는 스위치 노브(140)에 대해 원위치시키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가하기 위한 것이다. 탄성부재(160)는 스위치 노브(140)를 탄력적으로 지지할 수 있도록 하우징 커버(114)의 내측에 설치된다. 사용자가 스위치 노브(140)를 눌러 스위치 노브(140)를 일방향으로 회전시킬 때 탄성부재(160)가 탄성 변형되며, 사용자가 스위치 노브(140)에서 손을 떼면 탄성부재(160)의 탄성력에 의해 스위치 노브(140)가 원래 각도로 복원된다. 또한 사용자가 스위치 노브(140)를 들어 올려 스위치 노브(140)를 타방향으로 회전시키는 경우에도 탄성부재(160)의 탄성력에 의해 스위치 노브(140)가 원래 각도로 복원될 수 있다. 탄성부재(160)는 도시된 구조 이외에 스위치 노브(140)에 탄성력을 가할 수 있는 다양한 다른 구조로 변경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파워 윈도우 스위치 모듈(100)의 작용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0에 나타낸 것과 같이, 사용자에 의해 스위치 노브(140)가 일방향으로 회전하면, 작동부(150)의 제 1 가압부재(152)가 제 1 플런저(130)를 스위칭 단자부(120) 쪽으로 가압하여 스위칭 단자부(120)를 작동시킨다. 구체적으로, 제 1 가압부재(152)의 제 1 경사 가압부(153)가 제 1 플런저(130)의 끝단에 접하여 제 1 플런저(130)를 스위칭 단자부(120) 쪽으로 가압하고, 제 1 플런저(130)는 하강하여 스위칭 단자부(120)의 제 1 가동 접점부(122)를 눌러 고정 접점부(121)에 제 1 가동 접점부(122)를 접촉시킨다. 이때, 전기 신호가 윈도우 모터(50)에 인가되어 윈도우 모터(50)가 차량 윈도우를 하강시키도록 작동한다. 이렇게 작동부(150)의 제 1 가압부재(152)가 제 1 플런저(130)를 가동시키는 동안, 제 2 가압부재(155)는 제 2 플런저(135)에 대해 가압력을 작용시키지 않아 제 2 플런저(135)는 정지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한편, 도 11에 나타낸 것과 같이, 사용자에 의해 스위치 노브(140)가 타방향으로 회전하면, 작동부(150)의 제 2 가압부재(155)가 제 2 플런저(135)를 스위칭 단자부(120) 쪽으로 가압하여 스위칭 단자부(120)를 작동시킨다. 구체적으로, 제 2 가압부재(155)의 제 2 경사 가압부(156)가 제 2 플런저(135)의 끝단에 접하여 제 2 플런저(135)를 스위칭 단자부(120) 쪽으로 가압하고, 제 2 플런저(135)는 하강하여 스위칭 단자부(120)의 제 2 가동 접점부(123)를 눌러 고정 접점부(121)에 제 2 가동 접점부(123)를 접촉시킨다. 이때, 전기 신호가 윈도우 모터(50)에 인가되어 윈도우 모터(50)가 차량 윈도우를 상승시키도록 작동한다. 이렇게 작동부(150)의 제 2 가압부재(155)가 제 2 플런저(135)를 가동시키는 동안, 제 1 가압부재(152)는 제 1 플런저(130)에 대해 가압력을 작용시키지 않아 제 1 플런저(130)는 정지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상술한 것과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파워 윈도우 스위치 모듈(100)은 스위치 노브(140)에 배치되는 작동부(150)가 스위치 노브(140)가 기설정된 일방향으로 회전할 때 제 1 플런저(130)를 스위칭 단자부(120) 쪽으로 가압하여 스위칭 단자부(120)의 접점 상태를 변화시키고, 스위치 노브(140)가 기설정된 타방향으로 회전할 때 제 2 플런저(135)를 스위칭 단자부(120) 쪽으로 가압하여 스위칭 단자부(120)의 접점 상태를 다르게 변화시키는 단순한 구조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종래에 비해 사이즈를 줄일 수 있으며, 제조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한편, 도 12 및 도 1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파워 윈도우 스위치 모듈의 주요 구성을 나타낸 것이다.
도 12 및 도 13에 나타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파워 윈도우 스위치 모듈(200)은 앞서 설명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파워 윈도우 스위치 모듈(100)과 대부분의 구성이 같으며, 다만 일부 구성 요소의 구조가 변형된 것이다. 이러한 차량용 파워 윈도우 스위치 모듈(200)은 도 3에 나타낸 차량용 파워 윈도우 스위치 모듈(100)과 같이 하우징(110)과, 접점 상태 변화로 윈도우 모터(50)의 작동 상태를 변화시키는 스위칭 단자부(120)와, 스위칭 단자부(120)를 작동시키기 위한 제 1 플런저(210) 및 제 2 플런저(215)와, 하우징(110)에 회전 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스위치 노브(220)와, 제 1 플런저(210) 및 제 2 플런저(215)를 작동시키기 위해 스위치 노브(220)에 구비되는 작동부(225)를 포함한다. 스위치 노브(220)는 회전 운동 시 원위치될 수 있도록 탄성부재(160)에 의해 탄력적으로 지지될 수 있다.
이러한 차량용 파워 윈도우 스위치 모듈(200)은 사용자의 스위치 노브(220) 조작에 의해 스위칭 단자부(120)의 접점 상태가 변함으로써 윈도우 모터(50)를 작동시키기 위한 전기적 신호를 발생시킬 수 있다. 여기에서, 하우징(110)과 스위칭 단자부(120)는 앞서 설명한 것과 같은 것으로, 이에 대한 도면과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제 1 플런저(210) 및 제 2 플런저(215)는 앞서 설명한 차량용 파워 윈도우 스위치 모듈(100)의 제 1 플런저(130) 및 제 2 플런저(135)와 같이, 스위칭 단자부(120)를 각기 다른 접점 상태로 작동시킬 수 있도록 스위칭 단자부(120)와 스위치 노브(220) 사이에 배치된다. 제 1 플런저(210)는 스위칭 단자부(120)의 제 1 가동 접점부(122)를 고정 접점부(121) 쪽으로 가압할 수 있도록 제 1 가동 접점부(122)의 상측에 상하 이동 가능하게 배치된다. 제 2 플런저(215)는 제 2 가동 접점부(123)를 고정 접점부(121) 쪽으로 가압할 수 있도록 제 2 가동 접점부(123)의 상측에 상하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제 1 플런저(210)와 제 2 플런저(215)는 스위치 노브(220)의 회전 중심축(C) 방향(X축 방향)을 따라 나란하게 배치된다.
제 1 플런저(210)의 끝단에는 제 1 경사부(211)가 마련된다. 제 1 경사부(211)는 스위치 노브(220)의 회전 중심축(C)을 포함하는 평면(X-Y 평면) 중 스위치 노브(220)의 회전 중심축(C)에 수직한 선분(Y축)에 대하여 예각(θ1)(시계 방향 기준)을 이루도록 일측 방향(도면상 우측 방향)으로 하향 경사지게 배치된다.
제 2 플런저(215)의 끝단에는 제 2 경사부(216)가 마련된다. 제 2 경사부(216)는 스위치 노브(220)의 회전 중심축(C)을 포함하는 평면(X-Y 평면) 중 스위치 노브(220)의 회전 중심축(C)에 수직한 선분(Y축)에 대하여 둔각(θ2)(시계 방향 기준)을 이루도록 타측 방향(도면상 좌측 방향)으로 하향 경사지게 배치된다.
작동부(225)는 스위치 노브(220)의 회전 운동 시 제 1 플런저(210) 및 제 2 플런저(215)를 가동시킬 수 있도록 스위치 노브(220)의 내측에 배치된다. 작동부(225)는 제 1 플런저(210) 및 제 2 플런저(215) 각각의 끝단과 접하여 제 1 플런저(210) 및 제 2 플런저(215) 각각을 가압하는 가압부(226)를 갖는다. 가압부(226)는 스위치 노브(220)가 어느 쪽으로도 회전하지 않은 초기 상태에서 스위치 노브(220)의 회전 중심축(C)에 수직한 선분(Y축)과 평행하다. 제 1 플런저(210)의 제 1 경사부(211)가 가압부(226)에 대해 기울어진 각도와, 제 2 플런저(215)의 제 2 경사부(216)가 가압부(226)에 대해 기울어진 각도는 같다. 그러나 스위칭 단자부(120)나, 제 1 플런저(210) 또는 제 2 플런저(215) 등의 구조에 따라 제 1 플런저(210)의 제 1 경사부(211)가 가압부(226)에 대해 기울어진 각도나, 제 2 플런저(215)의 제 2 경사부(216)가 가압부(226)에 대해 기울어진 각도는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다.
작동부(225)는 도 12에 나타낸 것과 같이, 스위치 노브(220)가 기설정된 일방향(예컨대,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할 때 제 1 플런저(210)의 끝단을 스위칭 단자부(120) 쪽으로 가압하여 제 1 플런저(210)를 작동시킬 수 있다. 또한 작동부(225)는 도 13에 나타낸 것과 같이, 스위치 노브(220)가 기설정된 타방향(예컨대, 시계 방향)으로 회전할 때 제 2 플런저(215)의 끝단을 스위칭 단자부(120) 쪽으로 가압하여 제 2 플런저(215)를 작동시킬 수 있다. 도면에는 작동부(225)가 제 1 플런저(210) 및 제 2 플런저(215) 각각의 끝단과 접할 수 있는 하나의 가압부(226)를 갖는 것으로 나타냈으나, 작동부(225)는 제 1 플런저(210)와 제 2 플런저(215)를 각각 가압할 수 있는 한 쌍의 가압부를 갖는 다른 구조로 변경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파워 윈도우 스위치 모듈(200)은 스위치 노브(220)에 배치되는 작동부(225)가 스위치 노브(220)가 기설정된 일방향으로 회전할 때 제 1 플런저(210)를 스위칭 단자부(120) 쪽으로 가압하여 스위칭 단자부(120)의 접점 상태를 변화시키고, 스위치 노브(220)가 기설정된 타방향으로 회전할 때 제 2 플런저(215)를 스위칭 단자부(120) 쪽으로 가압하여 스위칭 단자부(120)의 접점 상태를 다르게 변화시키는 단순한 구조를 갖는다.
이상 본 발명에 대해 바람직한 예를 들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가 앞에서 설명되고 도시되는 형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도면에는 하우징(110)이 하우징 베이스(112) 위에 하우징 커버(114)가 결합되는 구조를 갖는 것으로 나타냈으나, 하우징의 구조는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또한 스위칭 단자부도 도시된 구조 이외에, 제 1 플런저(130) 및 제 2 플런저(135)에 의해 각기 다른 접점 상태가 되어 각기 다른 전기 신호를 발생할 수 있는 다양한 다른 구조로 변경될 수 있다.
50 : 윈도우 모터 60 : 배터리
100, 200 : 차량용 파워 윈도우 스위치 모듈
110 : 하우징 112 : 하우징 베이스
114 : 하우징 커버 115 : 커버 바디
116 : 스위치 노브 지지부 120 : 스위칭 단자부
121 : 고정 접점부 122, 123 : 제 1, 2 가동 접점부
130, 210 : 제 1 플런저 135, 215 : 제 2 플런저
140, 220 : 스위치 노브 150, 225 : 작동부
152, 155 : 제 1, 2 가압부재 153, 156 : 제 1, 2 경사 가압부
160 : 탄성부재 211, 216 : 제 1, 2 경사부
226 : 가압부

Claims (14)

  1.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설치되고, 접점 상태 변화로 차량 윈도우를 승하강시키는 윈도우 모터의 작동 상태를 변화시키기 위한 복수의 접점부를 갖는 스위칭 단자부;
    상기 스위칭 단자부를 각기 다른 접점 상태로 작동시킬 수 있도록 상기 하우징에 각각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 1 플런저 및 제 2 플런저;
    상기 하우징에 회전 운동 가능하게 배치되는 스위치 노브;
    상기 스위치 노브가 기설정된 일방향으로 회전할 때만 상기 제 1 플런저를 상기 스위칭 단자부를 작동시키는 방향으로 가압하도록 상기 스위치 노브에 구비되는 제 1 가압부재; 및
    상기 스위치 노브가 기설정된 타방향으로 회전할 때만 상기 제 2 플런저를 상기 스위칭 단자부를 작동시키는 방향으로 가압하도록 상기 스위치 노브에 구비되는 제 2 가압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파워 윈도우 스위치 모듈.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가압부재는 상기 스위치 노브가 기설정된 일방향으로 회전할 때만 상기 제 1 플런저의 끝단에 접하여 상기 제 1 플런저를 가압할 수 있도록 상기 제 1 플런저에 대해 경사지게 배치되는 제 1 경사 가압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 2 가압부재는 상기 스위치 노브가 기설정된 타방향으로 회전할 때만 상기 제 2 플런저의 끝단에 접하여 상기 제 2 플런저를 가압할 수 있도록 상기 제 2 플런저에 대해 경사지게 배치되는 제 2 경사 가압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파워 윈도우 스위치 모듈.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가압부재의 제 1 경사 가압부의 법선과 상기 제 2 가압부재의 제 2 경사 가압부의 법선은 비평행 상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파워 윈도우 스위치 모듈.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 노브의 회전 중심축을 포함하는 평면 중 상기 스위치 노브의 회전 중심축에 수직한 선분에 대하여, 상기 제 1 경사 가압부와 상기 제 2 경사 가압부 중 어느 하나는 예각을 이루고, 다른 하나는 둔각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파워 윈도우 스위치 모듈.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플런저와 상기 제 2 플런저는 상기 스위치 노브의 회전 중심축 방향을 따라 나란하게 좌우 대칭을 이루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파워 윈도우 스위치 모듈.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플런저와 상기 제 1 경사 가압부 사이의 각도와, 상기 제 2 플런저와 상기 제 2 경사 가압부 사이의 각도가 같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파워 윈도우 스위치 모듈.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칭 단자부는,
    상기 하우징에 고정되는 고정 접점부와,
    상기 제 1 플런저에 의해 가압되어 상기 고정 접점부와 접촉할 수 있도록 상기 하우징에 탄성 변형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 1 가동 접점부와,
    상기 제 2 플런저에 의해 가압되어 상기 고정 접점부와 접촉할 수 있도록 상기 제 1 가동 접점부와 이격된 상태로 상기 하우징에 탄성 변형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 2 가동 접점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파워 윈도우 스위치 모듈.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 노브에 대해 원위치시키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가할 수 있도록 상기 하우징에 배치되는 탄성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파워 윈도우 스위치 모듈.
  9.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설치되고, 접점 상태 변화로 차량 윈도우를 승하강시키는 윈도우 모터의 작동 상태를 변화시키기 위한 복수의 접점부를 갖는 스위칭 단자부;
    상기 스위칭 단자부를 상기 윈도우 모터가 상기 차량 윈도우를 하강시키는 접점 상태로 작동시킬 수 있도록 상기 하우징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 1 플런저;
    상기 스위칭 단자부를 상기 윈도우 모터가 상기 차량 윈도우를 상승시키는 접점 상태로 작동시킬 수 있도록 상기 하우징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 2 플런저;
    상기 하우징에 회전 운동 가능하게 배치되는 스위치 노브; 및
    상기 스위치 노브가 기설정된 일방향으로 회전할 때 상기 제 1 플런저의 끝단을 상기 스위칭 단자 쪽으로 가압하여 상기 제 1 플런저를 작동시키고, 상기 스위치 노브가 기설정된 타방향으로 회전할 때 상기 제 2 플런저의 끝단을 상기 스위칭 단자 쪽으로 가압하여 상기 제 2 플런저를 작동시키도록 상기 스위치 노브에 구비되는 작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파워 윈도우 스위치 모듈.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부는 상기 제 1 플런저 및 제 2 플런저 각각의 끝단과 접하여 상기 제 1 플런저 및 제 2 플런저 각각을 가압하는 가압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플런저의 끝단에는 상기 작동부의 가압부에 대해 일측 방향으로 하향 경사지게 배치되는 제 1 경사부가 마련되고,
    상기 제 2 플런저의 끝단에는 상기 작동부의 가압부에 대해 타측 방향으로 하향 경사지게 배치되는 제 2 경사부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파워 윈도우 스위치 모듈.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플런저와 상기 제 2 플런저는 상기 스위치 노브의 회전 중심축 방향을 따라 나란하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파워 윈도우 스위치 모듈.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부와 상기 제 1 경사부 사이의 각도와, 상기 가압부와 상기 제 2 경사부 사이의 각도가 같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파워 윈도우 스위치 모듈.
  13.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칭 단자부는,
    상기 하우징에 고정되는 고정 접점부와,
    상기 제 1 플런저에 의해 가압되어 상기 고정 접점부와 접촉할 수 있도록 상기 하우징에 탄성 변형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 1 가동 접점부와,
    상기 제 2 플런저에 의해 가압되어 상기 고정 접점부와 접촉할 수 있도록 상기 제 1 가동 접점부와 이격된 상태로 상기 하우징에 탄성 변형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 2 가동 접점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파워 윈도우 스위치 모듈.
  14.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 노브에 대해 원위치시키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가할 수 있도록 상기 하우징에 배치되는 탄성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파워 윈도우 스위치 모듈.
KR1020170005440A 2017-01-12 2017-01-12 차량용 파워 윈도우 스위치 모듈 KR20180083189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05440A KR20180083189A (ko) 2017-01-12 2017-01-12 차량용 파워 윈도우 스위치 모듈
CN201820051422.5U CN207818447U (zh) 2017-01-12 2018-01-12 用于车辆的电动车窗开关模块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05440A KR20180083189A (ko) 2017-01-12 2017-01-12 차량용 파워 윈도우 스위치 모듈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83189A true KR20180083189A (ko) 2018-07-20

Family

ID=631035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05440A KR20180083189A (ko) 2017-01-12 2017-01-12 차량용 파워 윈도우 스위치 모듈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180083189A (ko)
CN (1) CN207818447U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790100B1 (en) * 2019-04-01 2020-09-29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Panel assembly switch having a sensing elem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59920B1 (ko) 2013-06-20 2014-11-07 대성전기공업 주식회사 파워 윈도우 스위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59920B1 (ko) 2013-06-20 2014-11-07 대성전기공업 주식회사 파워 윈도우 스위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207818447U (zh) 2018-09-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689095A (en) Switching device
JP2003141971A (ja) スイッチ装置
US5285039A (en) Seesaw type switch
JP2002033030A (ja) キースイッチ
KR20180083189A (ko) 차량용 파워 윈도우 스위치 모듈
US20020104742A1 (en) Multifunction switch assembly for power adjusted vehicle passenger seat
CN101258573B (zh) 电开关装置
KR101602496B1 (ko) 슬라이드 스위치 유니트 및 이를 구비하는 파워 윈도우 스위치 모듈
US11201023B2 (en) Change-over switch and switch device
KR20180062216A (ko) 차량용 파워 윈도우 스위치 모듈
KR200461776Y1 (ko) 시트 워머 스위치 장치
KR20070034791A (ko) 파워윈도우 스위치 모듈
KR100521984B1 (ko) 자동차의 미러 조정 스위치
KR101077442B1 (ko) 미러 스위치 유니트
KR20170091201A (ko) 차량용 윈도우 스위치 장치
JP3593468B2 (ja) 防塵スイッチ装置
KR101271313B1 (ko) 레버 스위치 유니트
KR100929323B1 (ko) 미러 스위치 장치
JPH0236186Y2 (ko)
JPS6140044Y2 (ko)
KR101606993B1 (ko) 파워 윈도우 스위치 모듈
BRPI0706637A2 (pt) comutador elétrico
KR200488668Y1 (ko) 차량의 사이드 미러 컨트롤러
JPH06260059A (ja) 切換えスイッチ
JP2516066Y2 (ja) スイッチ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