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88668Y1 - 차량의 사이드 미러 컨트롤러 - Google Patents

차량의 사이드 미러 컨트롤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88668Y1
KR200488668Y1 KR2020160006957U KR20160006957U KR200488668Y1 KR 200488668 Y1 KR200488668 Y1 KR 200488668Y1 KR 2020160006957 U KR2020160006957 U KR 2020160006957U KR 20160006957 U KR20160006957 U KR 20160006957U KR 200488668 Y1 KR200488668 Y1 KR 20048866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knob
operating
contact
rod
mova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6000695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01705U (ko
Inventor
서보경
정원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서연전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서연전자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서연전자
Priority to KR202016000695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8668Y1/ko
Publication of KR2018000170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01705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866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8668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00Optical viewing arrangements; Real-time viewing arrangements for drivers or passengers using optical image capturing systems, e.g. cameras or video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or on vehicles
    • B60R1/02Rear-view mirror arrangements
    • B60R1/06Rear-view mirror arrangements mounted on vehicle exterior
    • B60R1/062Rear-view mirror arrangements mounted on vehicle exterior with remote control for adjusting position
    • B60R1/064Rear-view mirror arrangements mounted on vehicle exterior with remote control for adjusting position by manually powered actua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00Optical viewing arrangements; Real-time viewing arrangements for drivers or passengers using optical image capturing systems, e.g. cameras or video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or on vehicles
    • B60R1/02Rear-view mirror arrangements
    • B60R1/06Rear-view mirror arrangements mounted on vehicle exterior
    • B60R1/062Rear-view mirror arrangements mounted on vehicle exterior with remote control for adjusting position
    • B60R1/07Rear-view mirror arrangements mounted on vehicle exterior with remote control for adjusting position by electrically powered actua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60R16/023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for transmission of signals between vehicle parts or subsystem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5/00Switches with compound movement of handle or other operating part
    • H01H25/04Operating part movable angularly in more than one plane, e.g. joystick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221/00Actuators
    • H01H2221/008Actuators other then push button
    • H01H2221/012Joy stick typ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ultimedia (AREA)
  • Switches With Compound Operations (AREA)
  • Rear-View Mirror Devices That Are Mounted On The Exterior Of The Vehicl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차량의 사이드 미러 컨트롤러에 관한 것으로서, 차량의 사이드 미러의 배치각도를 조절하기 위한 조작력이 입력되는 조작부, 상기 조작부에 조작력이 입력되면 이동되는 작동로드, 고정단자, 상기 고정단자가 배치된 인쇄회로기판 및 상기 작동로드가 이동되면 하강 되어 상기 고정단자와 접촉되어 소정의 전기적 신호를 발생시키고, 상기 조작력이 소멸되면 상승되어 상기 작동 로드를 원 위치로 복귀시킴과 아울러 상기 고정단자와 접촉이 해제되는 가동단자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차량의 사이드 미러 컨트롤러{Side mirror controller of Vehicles}
본 고안은 차량의 사이드 미러 컨트롤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차량에 설치되고, 탑승자의 조작에 의하여 차량의 사이드 미러의 반사각도를 조절할 수 있는 컨트롤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 좌ㆍ우측 외부에는 후방을 용이하게 관찰 할 수 있도록 사이드미러가 설치되나, 운전자의 체격에 따라 후방에 보이는 각도와 방향이 모두 다르기 때문에 사이드미러의 설치된 각도 및 방향을 개별적으로 조정해야한다. 따라서, 최근에는 이러한 사이드미러를 운전석에서 원격으로 조정할 수 있도록 한 사이드미러 컨트롤러가 출시되고 있다.
종래의 사이드미러 컨트롤러는 사용자의 조작을 받아들이는 조작부, 인쇄회로기판에 배치된 고정단자, 상기 고정단자와 소정의 전기적 접점을 발생시키는 가동단자, 상기 가동단자를 움직이고 조작부에 의해 움직이는 작동로드, 상기 작동로드의 움직임을 제어하는 러버포인트로 구성된다.
상기 작동로드는 기역자 형태의 로드로서, 일단부의 일면은 상기 조작부와 접촉되고, 타면은 탄성 소재의 상기 러버포인트와 접촉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작동로드의 타단부는 상기 이동단자와 연결되어 있다. 조작력이 작용하면 상기 작동로드가 하강하면서, 상기 러버 포인트를 누름과 동시에, 작동로드의 타단부와 결합한 이동단자가 슬라이드 운동 통해 상기 고정단자와 전기 접점한다. 그리고 조작력이 소멸하게 되면, 상기 러버포인트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작동로드를 원래 위치로 복원시킨다. 그러면서 이동단자가 슬라이드 운동을 통해 제자리로 돌아오면서 전기 접점이 해제 된다.
또한, 사이드 미러를 조작하는 방법은, 우선 사용자는 좌,우 미러를 선택한 한다. 다음으로 선택한 사이드 미러의 위,아래,좌,우를 조작 할 수 있다. 사용자가 위,아래,좌,우중에서 한가지를 선택하여 조작을 하면 2개의 작동로드가 움직여서 2개의 가동단자를 이동시켜 전기적 신호를 발생시킨다. 따라서 차량의 사이드 미러 스위치는 상기 2개의 전기적신호를 조작에 대응하는 모터로 전달하기 위해서 복잡한 회로가 구성된 인쇄회로기판을 포함한다.
그러나, 종래 기술에 따른 차량의 아웃사이드 미러 컨트롤러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을 가진다.
동작을 복원 시키는 상기 러버포인트와 전기적 접점을 발생시키는 상기 가동단자가 분리되어 있는 복잡한 구조는 생산성 저하와 불량률이 증가를 초래하였고, 상기 이동단자와 상기 고정단자 간에 발생하는 마찰력은 감성품질의 저하를 야기하였으며, 또한 상기 마찰력으로 인해, 상기 이동단자가 원래 위치로 복원이 원활하게 이루지지 않는 고질적 품질 문제가 존재하였거, 복잡한 회로 구성은 전기적 신호의 전달을 지연시켜, 사용자의 조작에 바로 반응하지 못하는 문제가 존재 하였다.
본 고안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차량의 사이드 미러 컨트롤러의 생산성을 향상시키고 불량률을 감소시키는데 있다.
본 고안의 다른 과제는 차량의 사이드 미러 컨트롤러의 품질을 향상시키는 것이다.
본 고안의 또 다른 과제는 사용자의 조작에 사이드 미러가 빠르게 반응하도록 하는 컨트롤러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고안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고안에 따른 차량의 사이드 미러 컨트롤러는, 전후 및 좌우로 회동 가능하게 배치된 조작부와 상기 조작부의 회동 방향 4개소에 해당되는 하부에 배치되어 각각의 접점에 따른 전기적 신호를 발생시키도록 배치된 4개의 가동단자와상기 4개의 가동단자와 접점 되는 4개의 고정단자와 각각의 상단이 상기 조작부의 하부로 연장되게 배치되고, 각각의 하단이 상기 4개의 가동단자를 가압하도록 배치된 4개의 작동로드를 포함한다.
기타 실시예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고안에 따른 차량의 사이드 미러 컨트롤러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하나 혹은 그 이상 있다.
첫째, 작동구조가 간단 해져서, 제작 및 조립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둘째, 고정단자와 가동단자간의 마찰력을 제거하여 조작을 용이하게 하고, 조작력 소멸 시 원위치로 복원하는 기능을 향상 시킬 수 있다.
셋째, 회로를 단순화 하여 회로 지연 문제를 제거할 수 있다.
본 고안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사이드 미러 컨트롤러 장치를 나타낸 분해도이며,
도 2는 도 1의 구성 중 노브홀더를 도시한 것이며,
도 3은 도 1의 구성 중 상부 하우징 일부를 도시한 것이며,
도 4는 도 1의 구성 중 상부 하우징 일부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며,
도 5은 도 1의 구성 중 작동로드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며,
도 6은 도 1의 전기 접점 발생 구조를 도시한 것이며,
도 7은 도 1의 구성 중 조작부를 나타낸 단면도이며,
도 8은 도 1의 작동로드 및 가이드부의 결합 방식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며,
도 9는 인쇄회로기판에 배치된 회로를 나타낸 것이다.
본 고안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고안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고안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고안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고안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이하, 본 고안의 실시예들에 의하여 차량의 사이드 미러 컨트롤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을 참고하여 본 고안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사이드 미러 컨트롤러 장치를 나타낸 분해도 이며, 도 2는 도 1의 구성 중 노브홀더를 도시한 것이며, 도 3은 도 1의 구성 중 상부 하우징의 일부를 도시한 것이며, 도 4는 도 1의 구성 중 상부 하우징 일부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며, 도 5은 도 1의 구성 중 작동로드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며, 도 6은 도 1의 전기 접점 발생 구조를 도시한 것이며, 도 7은 도 1의 구성 중 조작부를 나타낸 단면도이며, 도 8은 도 1의 작동로드 및 가이드부의 결합 방식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며, 도 9는 인쇄회로기판에 배치된 회로를 나타낸 것이다.
본 고안의 차량의 사이드 미러 컨트롤러는 전후 및 좌우로 회동 가능하게 배치되어 조작력을 받아들이는 조작부와 상기 조작부의 회동 방향 하부에 배치되어 각각의 접점에 따른 전기적 신호를 발생시키도록 배치된 복수의 가동단자와 상기 가동단자와 접점되는 복수의 고정단자와 상기 조작부에 의해 이동되어 상기 가동단자를 가압하는 복수의 작동로드를 포함하며, 조작력 작용시, 하나의 작동로드가 이동되어 한가지 전기적 신호를 발생시킨다. 상기 가동단자는 상기 작동로드가 이동되면 하강 되어 상기 고정단자와 접촉됨으로서 소정의 전기적 신호를 발생시키고, 상기 조작력이 소멸되면 상승되어 상기 작동로드를 원 위치로 복귀시킴과 아울러 상기 고정단자와 접촉이 해제된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사이드 미러 컨트롤러는 전후 및 좌우로 회동 가능하게 배치된 조작부와 상기 조작부의 회동 방향 4개소에 해당되는 하부에 배치되어 각각의 접점에 따른 전기적 신호를 발생시키도록 배치된 4개의 가동단자와 상기 4개의 가동단자와 접점 되는 4개의 고정단자와 각각의 상단이 상기 조작부의 하부로 연장되게 배치되고, 각각의 하단이 상기 4개의 가동단자를 가압하도록 배치된 4개의 작동로드를 포함한다.
또한 차량의 사이드 미러 컨트롤러는 상기 고정단자(30), 상기 가동단자(40) 및 상기 작동로드(20)를 수용하는 하우징(70)을 더 포함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우징(70) 내부에는 상기 인쇄회로기판(60)이 배치될 수 있다.
조작부(10)는 전후 및 좌우로 회동 가능하게 배치되어 조작력을 받아들인다.조작부(10)는 사용자의 조작을 받아들이는 노브(11)와 상기 노브(11)의 움직임을 구현하는 노브홀더(16)를 포함할 수 있다.
노브(11)는 사용자의 조작을 받아들인다. 노브(11)는 조작력을 받아들여 전후 및 좌우로 회전하면서 움직인다. 노브(11)는 조작력을 작동로드(20)로 전달하여 소정의 전기적 신호를 발생시킨다.
노브(11)는 갓 형태 또는 덮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노브(11)의 형상은 원의 형상에서 아래 부분이 오픈된 형상일 수 있고, 상측 머리부와 하측 몸통부의 외경이 상이할 수 있다. 노브(11)의 내부는 노브홀더(16)와 결합할 수 있는 제 1홈(13)이 형성될 수 있다.
노브(11)는 노브홀더(16)가 결합되는 상부노브(12)와 조작력을 전달하는 하부노브(14)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상부노브(12)의 상측에는 사용자의 편의성을 위해서, 정보표시를 위한 문자 등이 표시될 수 있고, 차량 실내 인테리어와의 조화를 위해서 각종 디자인이 첨가 될 수 있다.
상기 제 1홈(13)은 상기 상부노브(12)의 내부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노브(11)의 내부에는 상기 작동로드(20)와 접촉하여 조작력을 전달하는 단(15)이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즉 상기 하부 노브(14)의 내부면은 조작력을 상기 작동로드(20)에 직접적으로 전달하기 위한 단(15)이 형성 되어 있을 수 있다.
상기 단(15)은 회전하는 조작력을 상기 작동로드(20)가 가동단자(40)에 직접적으로 전달할 수 있도록 상기 작동로드(20)를 이동시킨다. 노브(11)의 구조는 이에 한정하지 않고, 당업자가 변경 가능한 범위에서 다양한 형상을 가질 수 있음은 자명하다.
노브홀더(16)는 상기노브(11)의 전후 및 좌우 회동 운동을 구현한다. 노브홀더(16)는 상기 하우징(70) 및 상기노브(11)와 결합하여 사용자의 조작이 입력된 상기노브(11)가 전후 및 좌우의 움직임을 구현할 수 있도록 한다.
도 2를 참조하면, 노브홀더(16)는 내부가 빈 사각 기둥의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노브홀더(16)의 바라보는 양면에는 상기노브(11)와 결합되는 제 1돌출부(18)가 형성될 수 있으며, 바라보는 다른 두 옆면에는 상기 하우징(70)과 결합하는 제 2홀(17)이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고 당업자가 변경가능한 범위에서 다양한 형상을 가질 수 있음은 자명하다.
하우징(70)은 상부 하우징(71)과 하부 하우징(75)을 포함한다. 도 3을 참조하면, 상부 하우징(71)은 결합부(73)와 가이드부(72)를 포함한다.
결합부(73)는 상부 하우징(71)의 상 측으로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결합부(73)의 형상은 내부가 빈 사각 기둥의 형상으로, 내측 바라보는 양면에 다른 구성과 결합할 수 있는 제 2돌출부(74)가 형성 될 수 있다. 상기 제 2돌출부(74)는 노브홀더(16)에 형성되어 있는 제 2홀(17)과 결합할 수 있다. 상기 결합부(73)는 상기 조작부(10)와 결합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가이드부(72)는상부 하우징(71)의 상 측으로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부(72)는 상기 작동로드(20)가 상, 하 움직임을 구현할 수 있도록 상 측으로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가이드부(72)는 상기 단(15)과 저촉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결합부(73)와 이격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가이드부(72)는 작동로드(20)의 단면과 대응하여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부(72)는 내부단면이 사각형인 관통홀로, 상부 하우징(71)의 상측으로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가이드부(72)는 바라보는 양면에 상, 하 방향으로 연장되어 돌출된 편심방지돌출부(72a)를 포함할 수 있다.
가이드부(72)는 작동로드(20)의 개수에 대응하여 상기 상부 하우징(71)에 형성될 수 있다. 본 고안의 일실시예로서 4개의 작동로드에 대응하여 4개의 가이드부(72)가 형성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하지 않고 당업자가 변경 가능한 범위에서 가이드부(72)의 개수를 변경할 수 있음은 자명하다.
작동로드(20)는 차량의 사이드 미러 컨트롤러 내부에서 조작력이 입력되면 이동하여 상기 가동단자(40)를 가압한다. 즉 상기 작동로드(20)는 상기 조작부(10)의 조작력을 전달받아 상기 가동단자(40)로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작동로드(20)는 작동로드상부(21)와 작동로드 하부(22)로 이루어 질 수 있다.작동로드 상부(21)는 선형의 막대형상으로 이루어 질 수 있다. 상기 작동로드 상부(21)의 단면은 사각형, 타원형 또는 원형일 수도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작동로드 상부(21)는 상기 작동로드(20)가 편심되지 않도록 하는 편심방지함몰부(21a)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작동로드 상부(21) 양측면에 편심방지함몰부(21a)가 내각되어 있을 수 있다. 상기 편심방지함몰부(21a)는 상기 편심방지돌출부(72a)와 결합하여 상기 작동로드(20)가 편심되는 것을 방지 할 수 있다.
작동로드 하부(22)는 직경확개부(22a)를 형성할 수 있다. 직경확개부(22a)는 반지름이 일정하지 않은 비원형의 단면을 가진 기둥으로 형성될 수 있다. 직경확개부(22a)는 조작력을 가동단자로 효율적으로 전달하기 위함이다. 직경확개부(22a)의 형상은 이에 한정하지 않고, 조작력을 효과적으로 전달할 수 있는 모든 형상을 포함한다.
가동단자(40)는 고무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가동단자(40)는 탄성을 가지면서 볼록한 형상인 볼록부(41)를 가질 수 있다. 상기 볼록부(41)는 조작력이 없을 때, 전기접점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고, 사용자의 조작력을 용이하게 받아들이기 위해서 상기 작동로드(20) 방향으로 볼록한 형상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볼록부(41)의 하측으로는 상기 조작력이 작용했을 때 상기 고정 단자(30)와 전기적 접점을 일으키기 위한 도전체(44)가 배치 될 수 있다.
가동단자(40)는 볼록부(41) 중심을 기준으로 하측으로 고정단자(30)와 전기적 접점이 용이하게 발생시키기 위해서 돌출된 하측돌출부(43)가 형성 될 수 있고, 상기 하측돌출부(43)의 저면에는 상기 도전체(44)가 배치 될 수 있다. 조작력이 작용할 때, 상기 하측돌출부(43)는 하강하여 상기 하측돌출부(43)의 저면에 배치된 상기 도전체(44)와 상기 고정단자(30)는 접촉하여 소정의 전기적신호를 발생시킨다. 본 고안의 실시예로서, 상기 하측돌출부(43)는 반지름이 일정하지 않은 비원형의 단면을 가진 기둥으로 형성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하지 않고, 통상의 기술자가 용이하게 변경할 수 있는 형태를 포함한다.
가동단자(40)는 볼록부(41) 중심을 기준으로 상기 작동로드(20)의 상측 조작력을 용이하게 전달받기 위하여 상측으로 돌출된 상측돌출부(42)가 형성 될 수 있다. 상기 상측돌출부(42)는 상기 작동로드(20)와 접촉하여 상기 작동로드(20)의 조작력을 전달 받는다. 본 고안의 실시예로서, 상측돌출부(42)는 상기 하측돌출부(43)와 대응되게, 반지름이 일정하지 않은 비원형의 단면을 가진 기둥으로 형성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하지 않고, 통상의 기술자가 용이하게 변경할 수 있는 형태를 포함한다.
가동단자(40)는 탄성력을 갖는 러버컨택터일 수 있다. 상기 탄성력은 재료 자체에서 발생 할 수 있고, 구조적으로도 발생할 수 있다. 상기 구조는 수직방향의 조작력을 수평방향의 조작력으로 변경하여 전기접점을 발생시키는 슬라이딩 방식의 전기 접점방식에서 수직방향의 조작력을 방향의 변경 없이 전기접점을 발생시킬 수 있다. 이는 슬라이딩 과정에서 발생하는 마찰을 제거함으로서, 조작력을 최소화하여 조작을 용이하게 하고, 조작력이 소멸한 후에 조작하기 전으로 복원하는 기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고안은 러버 재질의 판재(50)를 더 포함 할 수 있다. 가동단자(40)는 상기 판재(50)상에 돌출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로서 판재(50)와 가동단자(40)가 같은 재질로 일체를 이루어 제작될 수 있다.
본 고안은 인쇄회로기판(6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정단자(30)는 상기 인쇄회로기판(60)에 인쇄되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판재(50)는 상기 인쇄회로기판(60)과 상기 가동단자(40)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가동단자(40)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판재(50)는 상기 인쇄회로기판(60)의 상단부를 전체적으로 덮을 수 있다. 즉, 상기 판재(50)가 상기 가동단자(40)와 일체를 이루면서 상기 인쇄회로기판(60)의 상단부를 전체적으로 덮을 수 있다. 이는 인쇄회로기판에 수분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상기 가동단자(40)를 효과적으로 고정할 수 있으며, 제작을 용이하게 하는 효과를 가진다.
고정단자(30)는 전압이 인가되는 제 1전극(31)과 접지되는 제 2전극(32)으로 이루어 질 수 있다. 상기 가동단자(40)와 상기 고정단자(30)가 접촉하여 전기 접점이 발생하면 상기 제 1전극(31)에 의해 전압이 인가되어 모터(미도시)가 작동하고 상기 전압은 상기 제 2전극(32)로 전달되어 접지가 일어날 수 있다. 상세한 작동 회로는 후술한다. 상기 전극들(31,32)과 접점하여 전기적 신호를 발생시키기 위해서 상기 도전체(44)는 2개가 이격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돔 스위치의 하강 시, 상기 도전체(44) 각각이 상기 제 1,2전극(31,32)과 접촉되어 소정의 전기적 신호를 발생시킬 수 있다. 상기 도전체(44)가 일체로 이루어지면, 인가되는 전압이 바로 접지되어, 전기적 신호가 발생하지 않을 수 있기 때문에, 2개의 도전체(44)가 이격적으로 분리하여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사이드 미러를 제어하기 위해서 사용자는 좌,우,상,하 방향 중 한가지 방향을 선택하여 상기 조작부(10)에 조작력을 가한다. 조작력이 가해지면, 그에 대응되는 한 개의 작동로드(20)가 하강하여, 한 개의 가동단자(40)와 제 1,2전극(31,32)이 접점을 일으킬 수 있다. 상기 접점에 의해 제 1전극(31)에 전압이 인가되어 모터(미도시)를 구동하고, 상기 전압은 제 2전극(32)으로 접지하는 방식으로 차량의 사이드 미러를 조작할 수 있다. 하나의 조작에 하나의 동작이 구현되는 단순한 회로는 기존의 복잡한 회로상에서 발생하는 회로 지연문제를 해결하여 사용자의 조작에 즉각적으로 사이드 미러가 동작할 수 있도록 한다.
이하, 각 구성요소들 간의 결합관계를 살펴본다.
도 7을 참조하면, 상부 하우징(71)에 형성된 제 2돌출부(74)와 노브홀더(16)에 형성된 제 2홈(17)이 끼움방법에 의해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노브홀더(16)에 형성된 제 1돌출부(18)와 상부 노브(12)에 형성된 제 1홈(13)이 끼움 방법에 의해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하부 노브(14)의 내부면에는 단(15)이 형성 될 수 있다. 상기 단(15)은 상기 작동로드 상부(21)의 상단과 접촉하여 상기 작동로드(20)를 이동 시킬 수 있다. 상기 작동로드(20)는 상기 하우징(70) 내부에서부터 상기 제 3홀(72)을 따라 상 측으로 연장,돌출되어, 상기 노브(11)의 조작력을 상기 가동단자(40)로 전달 할 수 있다.
작동로드 상부(21)는 가이드부(72)에 삽입되어 노브(11)의 조작력을 가동단자(40)에 전달한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로가이드부(72)은 사각 단명의 관통홀을 형성하고, 작동로드 상부(21)의 상측 단면도 이에 대응하여 형성된다.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로, 도8를 참조하면, 작동로드 상부(21) 양 면에 내각된 편심방지함몰부(21a)가 가이드부(72)에 돌출되어 형성된 편심방지돌출부(72a)에 결합하도록 상기 작동로드 상부(21)가 상기 가이드부(72)에 삽입될수 있다.
그리고 상기 편심방지함몰부(21a)와 상기 편심방지돌출부(72a)의 결합이 밀착되어 형성 될 수 있다. 상기 결합은 작동로드가 조작력이 작용해도 편심되게 가동단자(40)를 이동시키지 않도록 한다. 즉 상기 단(15)과 접촉하지 않기 위하여 상기 결합부(73)와 이격적으로 배치된 가이드부(72)는 상기노브(11)의 회동하는 동작으로 인해 상기 작동로드(20)가 편심되는 것을 방지해준다.
본 고안의 전기 접점 구동방식에 대한 실시예로는 다음과 같다. 상기 조작부(10) 상단에는 방향을 표시하는 부분이 존재한다. 사용자가 상기 부분을 조작하면, 상기 조작부(10)에서 전달되는 조작력으로 인해 작동로드(20)가 이동하여 하강한다. 그리고 상기 작동로드(20)의 직경확개부(22a)가 가동단자(40)의 상측돌출부(42)를 누른다.
상기 가동단자(40)의 원주 방향 둘레가 압착됨에 따라 상기 가동단자(40)의 하측돌출부(43)의 도전체(44)와 고정단자(30)의 제 1,2전극(31,32)이 접점하여 소정의 전기를 발생시킨다. 발생된 전기는 회로를 따라 이동하고, 이에 대응하는 모터를 구동하여 사이드 미러를 동작시키다. 그리고 조작을 마친 뒤 조작력이 제거되면, 상기 가동단자(40)의 압착된 부분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작동로드(20)가 원래 위치로 복원 되면서, 접점은 해제된다.
본 고안의 효과로서, 전기적으로 접점되는 기능과 복원되는 기능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는 가동단자(40)를 설치함으로써, 종래의 스위치보다 구조가 간단해졌다. 이는 제작 및 조립을 용이하게 하여, 생산성을 증대 시킬 수 있다. 또한 간단한 구조로 인해 오작동이 잘 일어나지 않아 불량률을 개선할 수 있다. 또한 종래의 스위치에서 발생하는 마찰력을 제거할 수 있다. 이는 조작시 조작력이 덜 필요하게 되어 조작을 용이하게 하여 감성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조작 후에 복원이 용이하게 하여 품질을 개선 할 수 있다.
도 9을 참조하면, 상기 가동단자(40)와 상기 고정단자(30)의 접점에 의해 사이드 미러가 제어되는 방법에 대한 일 실시예이다. 사용자의 좌,우,상,하 방향의 조작 시 각각 다른 부분에서 접점이 일어나고, 전압이 흐르는 방향이 다를 수 있다. 즉 총 4가지의 경우가 있으나, 이하에서는 상 방향의 조작력을 부가했을 시에 사이드 미러가 제어 방법에 대해서 서술한다. 상기 제어 시스템은 전압이 인가되는 전원부(61), 전압이 접지되는 접지부(62), 신호를 송수신하는 신호부(63), 차량의 사이드 미러를 움직이는 모터부(80)로 이루어 질 수 있다. 상기 인쇄회로기판(60)에는 상기 전원부(61), 상기 접지부(62), 상기 신호부(63)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 1전극(31)은 상기 전원부(61), 상기 제 2전극(32)은 상기 접지부(62)로 이루어 질 수 있다. 상기 제 1전극(31)과 상기 도전체(44)의 접점에 의해 신호가 발생되고, 상기 신호는 상기 신호부(63)로 전달될 수 있다.
상기 신호부(63)는 별도의 스위치(미도시)로 좌측,우측의 사이드 미러를 선택할 수 있다. 상기 신호부(63)는 상기 신호를 사용자의 선택에 대응하여 상기 모터부(80)로 전달한다. 모터는 상기 신호를 전달받아 구동을 하고, 상기 접지부(62)로 상기 신호를 전달한다. 상기 접지부(62)는 상기 신호를 전달받아 외부로 전압을 접지하여 사이드 미러 제어를 종료한다.
기존 스위치에서는 여러 부분에서 접점이 발생하므로, 전기적 신호를 처리하기 위해서, 본 고안보다, 제어 시스템이 복잡했다. 하지만 본 고안은 이를 해소하여 사용자의 조작에 빠르게 대응하여 사이드 미러를 제어할 수 있고, 인쇄회로기판(60)의 공간 활용도를 높일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고안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고안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될 것이다.
10: 조작부 11: 노브
12:상부노브 13: 제 1홈
14: 하부 노브 15: 단
16: 노브홀더 17: 제 2홀
18: 제 1돌출부 20: 작동로드
21: 작동로드 상부 22: 작동로드 하부
22a: 직경확개부 30: 고정단자
31: 제 1전극 32: 제 2전극
40: 가동단자 41: 볼록부
42: 상측돌출부 43:하측돌출부
44:도전체 50: 판재
51: 홈 60: 인쇄회로기판
61: 전원부 62: 접지부
63: 신호부 70: 하우징
71: 상부 하우징 72: 가이드부
72a: 편심방지돌출부 73: 결합부
74: 제 2돌출부 75: 하부 하우징
80: 모터부 21a: 편심방지함몰부

Claims (12)

  1. 전후 및 좌우로 회동 가능하게 배치된 조작부;
    상기 조작부의 회동 방향 4개소에 해당되는 하부에 배치되어 각각의 접점에 따른 전기적 신호를 발생시키도록 배치된 4개의 가동단자;
    상기 4개의 가동단자와 접점 되는 4개의 고정단자; 및
    각각의 상단이 상기 조작부의 하부로 연장되게 배치되고, 각각의 하단이 상기 4개의 가동단자를 가압하도록 배치된 4개의 작동로드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단자, 상기 가동단자 및 상기 작동로드를 수용하는 하우징을 더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은 상부 하우징과 하부 하우징을 포함하고,
    상기 상부 하우징은 상기 작동로드가 상, 하 움직임을 구현할 수 있도록 상 측으로 연장된 가이드부를 포함하는 차량의 사이드 미러 컨트롤러.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가동단자는 탄성력을 갖는 러버컨택터인 차량의 사이드 미러 컨트롤러.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가동단자는 상측으로 돌출된 상측돌출부와 하측으로 돌출된 하측돌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상측돌출부는 상기 작동로드와 접촉하며, 상기 하측돌출부의 저면에는 상기 고정단자와 접촉되는 도전체가 배치된 차량의 사이드 미러 컨트롤러.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상측돌출부 및 상기 하측돌출부는 반지름이 일정하지 않은 비원형의 단면을 가진 기둥으로 형성된 차량의 사이드 미러 컨트롤러.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고정단자는 제 1전극과 제 2전극으로 이루어진 차량의 사이드 미러 컨트롤러.
  6. 삭제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상부 하우징은 상기 조작부와 결합하는 결합부를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결합부와 이격적으로 형성된 차량의 사이드 미러 컨트롤러.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조작부는 조작력을 받아들이는 노브와 상기 노브 및 상기 결합부와 결합하는 노브홀더를 포함하며,
    상기 노브홀더는 상기 노브의 전후 및 좌우 회동운동을 구현하며,상기 노브의 내부에는 상기 작동로드와 접촉하여 조작력을 전달하는 단이 형성되어 있는 차량의 사이드 미러 컨트롤러.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작동로드는 양면에 편심방지함몰부가 내각되어 있고,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편심방지함몰부에 결합하여 상기 작동로드가 편심되는 것을 방지하는 편심방지돌출부를 형성하는 차량의 사이드 미러 컨트롤러.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KR2020160006957U 2016-11-30 2016-11-30 차량의 사이드 미러 컨트롤러 KR20048866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60006957U KR200488668Y1 (ko) 2016-11-30 2016-11-30 차량의 사이드 미러 컨트롤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60006957U KR200488668Y1 (ko) 2016-11-30 2016-11-30 차량의 사이드 미러 컨트롤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01705U KR20180001705U (ko) 2018-06-08
KR200488668Y1 true KR200488668Y1 (ko) 2019-03-06

Family

ID=625985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60006957U KR200488668Y1 (ko) 2016-11-30 2016-11-30 차량의 사이드 미러 컨트롤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8668Y1 (ko)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287786A (ja) * 1995-04-12 1996-11-01 Ichikoh Ind Ltd 4方向スイッチ装置
JPH08287787A (ja) * 1995-04-12 1996-11-01 Ichikoh Ind Ltd 4方向スイッチ装置
JP3880756B2 (ja) * 1999-10-19 2007-02-14 アルプス電気株式会社 スイッチ装置
KR200437331Y1 (ko) * 2006-10-02 2007-11-23 대성전기공업 주식회사 사이드미러 제어스위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01705U (ko) 2018-06-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62599B1 (ko) 스위치 장치
KR100762600B1 (ko) 스위치 장치
US5285039A (en) Seesaw type switch
US20050109591A1 (en) Multiple detent switch
KR200488668Y1 (ko) 차량의 사이드 미러 컨트롤러
KR20190046215A (ko) 차량용 파워시트 스위치 유닛 및 이를 갖는 차량용 파워시트 스위치 모듈
KR200471418Y1 (ko) 슬라이딩 스위치 유니트 및 이를 구비하는 파워 시트 스위치 모듈
KR101902554B1 (ko) 다 방향 슬라이드 스위치
KR101077442B1 (ko) 미러 스위치 유니트
KR100521984B1 (ko) 자동차의 미러 조정 스위치
WO1995015000A1 (en) Multiple position manual switch
KR101244117B1 (ko) 차량용 미러 스위치 장치
US20170263395A1 (en) Switch Cell Apparatus having a Non-Electrical Tactile Feedback Pad
KR101155265B1 (ko) 다방향 스위치 장치
KR101070028B1 (ko) 버튼 스위치 유니트
KR100346068B1 (ko) 자동차의 백미러 조정 스위치
KR20180083189A (ko) 차량용 파워 윈도우 스위치 모듈
KR200317774Y1 (ko) 자동차용 사이드미러 조정스위치
KR200357140Y1 (ko) 자동차용 사이드미러 제어스위치
KR100190901B1 (ko) 자동차용 백미러의 원격조정스위치
KR20180020453A (ko) 차량의 사이드 미러의 각도 조절을 위한 스위치 및 이를 이용한 각도 조절 장치
KR101271313B1 (ko) 레버 스위치 유니트
KR101606993B1 (ko) 파워 윈도우 스위치 모듈
KR20180096162A (ko) 차량용 선루프 스위치 유닛
KR20050106754A (ko) 자동차용 사이드미러 제어스위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