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06993B1 - 파워 윈도우 스위치 모듈 - Google Patents

파워 윈도우 스위치 모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06993B1
KR101606993B1 KR1020140077046A KR20140077046A KR101606993B1 KR 101606993 B1 KR101606993 B1 KR 101606993B1 KR 1020140077046 A KR1020140077046 A KR 1020140077046A KR 20140077046 A KR20140077046 A KR 20140077046A KR 101606993 B1 KR101606993 B1 KR 10160699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unger
switch
stage
knob
seesaw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770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00483A (ko
Inventor
서형천
정영식
Original Assignee
대성전기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성전기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대성전기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0770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06993B1/ko
Publication of KR201600004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0048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069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06993B1/ko

Links

Images

Landscapes

  • Tumbler Switch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배치되는 인쇄회로기판부; 상기 인쇄회로기판부에 배치되고 접점 상태 변화 가능하여 차량 윈도우를 승하강시키는 윈도우 모터의 작동 상태를 변화시키는 시소 스위치 유니트; 상기 하우징에 회동 가동 가능하게 배치되어 상기 시소 스위치 유니트를 가동 가능하게 하는 스위치 노브; 상기 시소 스위치 유니트와 상기 스위치 노브 사이에 개재되고, 일측은 상기 스위치 노브에, 타측은 상기 시소 스위치 유니트에 접하여 상기 스위치 노브의 시소 운동력을 상기 시소 스위치 유니트로 전달하는 스위치 플런저;가 구비되고, 상기 스위치 플런저는: 일측이 상기 스위치 노브에 접하는 어퍼 스위치 플런저와, 일측은 상기 시소 스위치 유니트에 접하고, 타측은 상기 어퍼 스위치 플런저에 접하는 로워 스위치 플런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워 윈도우 스위치 모듈파워 윈도우 스위치 모듈을 제공한다.

Description

파워 윈도우 스위치 모듈{VEHICLULAR POWER WINDOW SWITICHING MODULE UNIT}
본 발명은 파워 윈도우 스위치 모듈에 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보다 원활한 가동과 컴팩트한 배치 구조를 가능하게 하는 간단한 구조의 파워 윈도우 스위치 모듈에 관한 것이다.
자동차 등의 차량에는, 이동 수단으로서의 기능을 넘어서 사용자로 하여금 보다 안정적이면서도 편안한 주행 상태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각종 편의 수단으로서 기능이 요구되고 있다. 따라서, 차량에는 다양한 편의 시설과 이를 작동 및 제어하기 위한 각종 스위치들이 구비된다.
통상적으로 대향되는 방향으로의 작동이 요구되는 경우, 예를 들어 차량의 윈도우 개폐와 같이 윈도우의 상하 방향 이동이 전단부 및 후단부의 작동에 대응하도록 하는 시소 스위치 장치 또는 슬라이딩 스위치 장치가 사용되고 각각의 작동 모드를 선택하기 위한 경우 로터리 스위치가 사용된다. 특히, 운전자의 좌석 주위에 다양한 스위치 장치 및 편의 시설이 설치되므로, 이러한 스위치 장치들은 컴팩트화가 요구되는바, 스위치 장치들간의 간섭 방지가 설계의 필수 사항이다.
한편, 종래 기술에 따른 윈도우 스위치에 구비되는 2단 동작 구현을 가능하게 하여 1단 동작 시 차량 윈도우의 소정의 승하강을, 그리고 2단 동작시 풀 승하강을 이루는 구조를 취한다. 이러한 구조를 취하여 종래 기술에 따른 차량 윈도우 스위치(1)의 경우 노브(11)가 기판(40) 상에 배치되는 스위치(20)를 가동시켜 소정의 신호 변화를 통한 윈도우 승하강을 실행하고 노브(11)와 스위치(20) 사이에 가동부(14)가 배치되어 가압 상태 전달 구조를 형성한다.
이때, 가동부(14)는 두 개가 병렬 배치되어 하나의 가동부는 차량 윈도우를 소정의 작동 상태만큼 내지 전체 하강 시키도록 스위치를 가압하고, 다른 하나의 가동부(14)는 차량 윈도우를 소정 작동 상태만큼 내지 전체 승강시키도록 스위치를 가압하는 구조를 취한다.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위치(20)는 1단 및 2단 동작의 승하강을 위하여 총 4개의 스위치(20-1u,20-1d,20-2u,20-2d)가 배치되고, 스위치(20-1u,20-1d)는 1단 승하강에, 스위치(20-2u,20-2d)는 2단 승하강에 사용된다. 이때, 노브(11)는 케이스의 노브 힌지(12)에 회동 간으하게 장착되고, 노브(11)의 하단에 배치되는 하나의 노브 연장부(13)는 하나의 가동부(14)를 가압하여 1단 하강 내지 2단 하강 동작을 실행하여 스위치(20-1d)가 작동된 후(도 4 참조), 순차적으로 스위치(20-2d)가 함께 가동되도록 한다(도 5 참조).
하지만, 이와 같은 구조의 경우 가동부의 수평 병렬 배치되는 구조를 통하여 노브의 폭, 궁극적으로 스위치 장치의 폭을 증대시켜 차량 실내 장착시 컴팩트한 실내 인테리어 구성에 한계가 따르고, 개별적인 스위치 개수의 고정으로 인하여 제조 공간이 한정되고 이에 따른 공정의 어려움 내지 공정 원가 증대를 수반하고, 다단 동작시 래틀이 소음 발생 가능성이 증대되는 문제점이 수반되었다.
또한, 가동부가 실질적으로 회동 변위 발생 구조를 이루어 작동시 오작동 발생 가능성이 증대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부품 개수 저감을 통한 제조 원가 및 공정 원가 절감과 더불어, 오작동 발생 가능성을 최소화하고 컴팩트한 구성을 가능하게 하여 설계 디자인 자유도를 증대시키고 작동 소음 발생 방지 내지 최소화를 통한 감성 품질 향상을 이루는 구조의 파워 윈도우 스위치 모듈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배치되는 인쇄회로기판부; 상기 인쇄회로기판부에 배치되고 접점 상태 변화 가능하여 차량 윈도우를 승하강시키는 윈도우 모터의 작동 상태를 변화시키는 시소 스위치 유니트; 상기 하우징에 회동 가동 가능하게 배치되어 상기 시소 스위치 유니트를 가동 가능하게 하는 스위치 노브; 상기 시소 스위치 유니트와 상기 스위치 노브 사이에 개재되고, 일측은 상기 스위치 노브에, 타측은 상기 시소 스위치 유니트에 접하여 상기 스위치 노브의 시소 운동력을 상기 시소 스위치 유니트로 전달하는 스위치 플런저;가 구비되고, 상기 스위치 플런저는: 일측이 상기 스위치 노브에 접하는 어퍼 스위치 플런저와, 일측은 상기 시소 스위치 유니트에 접하고, 타측은 상기 어퍼 스위치 플런저에 접하는 로워 스위치 플런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워 윈도우 스위치 모듈파워 윈도우 스위치 모듈을 제공한다.
상기 파워 윈도우 스위치 모듈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 노브는 상기 하우징에의 회동 중심을 기준으로 각 방향으로 이단 동작 가능할 수도 있다.
상기 파워 윈도우 스위치 모듈에 있어서, 상기 시소 스위치 유니트는 세 개가 일렬 배치되되, 일렬 배치 상태에서 각 단부에 위치하여 상기 스위치 노브의 해당 방향으로 1단 회동시 선택적으로 가동 가능한 다운 1단 스위치 및 업 1단 스위치를 포함하는 1단 스위치 및 상기 각 단부에 배치되는 1단 스위치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스위치 노브의 어느 방향으로의 2단 회동 경우라도 가동 가능한 2단 스위치를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 파워 윈도우 스위치 모듈에 있어서, 상기 2단 스위치의 가동시, 상기 스위치 노브의 해당 방향에 대한 상기 1단 스위치와 함께 가동할 수도 있다.
상기 파워 윈도우 스위치 모듈에 있어서, 상기 로워 스위치 플런저는: 상기 다운 1단 스위치 및 상기 2단 스위치에 배치되는 로워 스위치 다운 플런저와, 상기 업 1단 스위치 및 상기 2단 스위치에 배치되는 로워 스위치 업 플런저를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 파워 윈도우 스위치 모듈에 있어서, 상기 로워 스위치 다운 플런저(150d)는: 상기 다운 1단 스위치와 접촉 가능한 다운 플런저 접촉부와, 상기 다운 플런저 접촉부가 연결되고, 일면이 상기 어퍼 스위치 플런저와 접촉 가능한 다운 플런저 바디와, 상기 다운 플런저 바디의 단부로 상기 다운 플런저 접촉부의 반대편에 배치되는 다운 플런저 링크부를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 파워 윈도우 스위치 모듈에 있어서, 상기 로워 스위치 업 플런저(150u)는: 상기 업 1단 스위치와 접촉 가능한 업 플런저 접촉부와, 상기 업 플런저 접촉부가 연결되고, 일면이 상기 어퍼 스위치 플런저와 접촉 가능한 업 플런저 바디와, 상기 업 플런저 바디의 단부로 상기 업 플런저 접촉부의 반대편에 배치되고 상기 다운 플런저 링크부와 접촉 가능한 업 플런저 링크부를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 파워 윈도우 스위치 모듈에 있어서, 상기 다운 플런저 링크부와 상기 업 플런저 링크부는 서로 중첩 배치되되, 상기 다운 플런저 링크부와 상기 업 플런저 링크부 중의 하나는 요홈 구조로 형성되어 하부에 배치되고, 다른 하나는 대응되는 돌출 구조로 형성되어 맞물림되어 상부에 중첩 배치될 수도 있다.
상기 파워 윈도우 스위치 모듈에 있어서, 상기 다운 플런저 링크부와 상기 업 플런저 링크부는 서로 중첩 삽입 배치되되, 상기 다운 플런저 링크부와 상기 업 플런저 링크부 중의 하나는 측면에 수용 구조로 형성되고, 다른 하나는 대응되는 돌출 구조로 형성되어 맞물림되어 삽입 배치될 수도 있다.
상기 파워 윈도우 스위치 모듈에 있어서, 상기 업 플런저 링크부는 돌출 구조로 형성되고, 상기 업 플런저 링크부는 측면 돌출 형성되는 업 플런저 링크 가이드(155ua)가 구비되고, 상기 업 플런저 링크 가이드의 대응되는 위치로 상기 다운 플런저 링크부에는 상기 업 플런저 링크 가이드를 지지 회동 안내하는 다운 플런저 링크 가이드(156da)가 구비될 수도 있다.
상기 파워 윈도우 스위치 모듈에 있어서, 상기 어퍼 스위치 플런저는: 상기 스위치 노브에 의하여 가동되는 상기 다운 플런저 바디와 접촉 가능한 어퍼 플런저 다운 포션과, 상기 스위치 노브에 의하여 가동되고 상기 어퍼 플런저 다운 포션에 대향하여 반대편에 배치되고 상기 업 플런저 바디와 접촉 가능한 어퍼 플런저 업 포션을 구비할 수도 있다.
상기 파워 윈도우 스위치 모듈에 있어서, 상기 어퍼 스위치 플런저는, 상기 어퍼 플런저 다운 포션과 상기 어퍼 플런저 업 포션을 연결하는 어퍼 플런저 링키지(145)를 더 구비할 수도 있다.
상기 파워 윈도우 스위치 모듈에 있어서, 상기 어퍼 플런저 다운 포션(140d)은, 상기 다운 플런저 바디와 접촉하는 다운 포션 바디(141d) 및 상기 다운 포션 바디와 상기 상기 어퍼 플런저 링키지를 연결하는 다운 포션 커넥터(143d)를 포함하고 상기 어퍼 플런저 업 포션(140u)은, 상기 업 플런저 바디와 접촉하는 업 포션 바디(141u) 및 상기 업 포션 바디와 상기 상기 어퍼 플런저 링키지를 연결하는 업 포션 커넥터(143u)를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 파워 윈도우 스위치 모듈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어퍼 플런저 관통구를 구비하고, 상기 어퍼 스위치 플런저와 상기 로워 스위치 플런저의 사이에는 상기 하우징의 적어도 일부가 배치되고, 상기 다운 포션 바디 및 상기 업 포션 바디는 상기 어퍼 플런저 관통구를 관통 가능할 수도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파워 윈도우 스위치 모듈은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갖는다.
첫째, 본 발명에 따른 파워 윈도우 스위치 모듈은, 시소 운동의 간단한 구조 및 부품 수 절감을 통하여 구현시킴으로써, 제조 원가의 절감 조립자의 공정 효율을 증대시키고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둘째, 본 발명에 따른 파워 윈도우 스위치 모듈은, 일렬 배치되고 공용 가능한 스위치를 구비하는 시소 스위치 유니트의 구조를 취하여 컴팩트한 배치 구조를 가능하게 하여 장착 공간을 최소화시키고 제조 원가를 절감시킬 수도 있다.
셋째, 본 발명에 따른 파워 윈도우 스위치 모듈은, 스위치 플런저의 가압 위치를 실질적인 수직 변위 구조를 형성하여 위치 변동으로 인한 오작동 발생 가능성을 최소화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일실시예들을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 청구 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도 1 내지 도 5는 종래 기술에 따른 차량용 스위치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파워 윈도우 스위치 모듈에 대한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파워 윈도우 스위치 모듈에 대한 개략적인 부분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파워 윈도우 스위치 모듈에 대한 개략적인 부분 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파워 윈도우 스위치 모듈의 시소 스위치 유니트에 대한 개략적인 평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파워 윈도우 스위치 모듈의 시소 스위치 유니트의 스위치에 대한 부분 단면도이다.
도 11 내지 도 1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파워 윈도우 스위치 모듈의 스위치 플런저 및 시소 스위치 유니트에 대한 개략적인 부분 사시도 및 저면도 및 부분 분해 사시도 및 부분 절개 사시도이다.
도 15 내지 도 1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파워 윈도우 스위치 모듈에 대한 개략적인 작동 상태도이다.
도 19 및 도 20은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파워 윈도우 스위치 모듈의 로워 스위치 플런저에 대한 개략적인 사시도 및 부분 평단면도이다.
이하에서는 파워 윈도우 스위치 모듈에 대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파워 윈도우 스위치 모듈(10)은 차량에 장착되어 차량 윈도우의 승하강을 이루기 위한 스위치 모듈로 사용되는데, 파워 윈도우 스위치 모듈(10)의 조작에 의하여 차량 윈도우 모터(미도시)의 작동이 제어되고 차량 윈도우 모터에 연결되는 차량 윈도우(미도시)의 승하강이 이루어진다.
파워 윈도우 스위치 모듈(10)은 하우징(100)과 인쇄회로기판부(400, 도 7 참조)과 시소 스위치 유니트(200)와 스위치 노브(110)와 스위치 플런저(140,150)를 포함하는데, 인쇄회로기판부(400)와 시소 스위치 유니트(200)는 하우징(100,101)에 안정적으로 배치되나 인쇄회로기판부와 하우징의 위치 관계에 대하여는 하기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중요 구성에 초점을 마추어 하우징은 하우징 바디가 단일의 구성으로 도시하였으나, 하우징(100)은 하우징 커버(미도시)와 하우징 바디(101)와 하우징 베이스(미도시)를 포함하고, 하우징 바디는 하우징 커버와 하우징 베이스의 사이에 배치되고 이들은 체결되어 내부 공간을 형성하여 다른 구성요소를 안정적으로 배치하는 구조를 취할 수 있다.
하우징 커버(미도시)에는 다른 구성요소 들의 외부 노출을 최소화하되 하기되는 스위치 노브(110)의 상단의 외부 노출을 허용하는 하우징 커버 관통구(미도시) 등이 배치될 수 있다.
하우징 베이스(미도시)가 하우징 바디(101)와 맞물려 형성하는 내부 공간에는 다른 구성요소들이 안정적으로 배치되는데, 여기서 명확하게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하우징 바디를 지지하기 위한 장착 리브와 같은 체결부가 더 구비될 수도 있고, 볼트와 같은 별도의 체결 수단이 더 구비될 수도 있는 등 하우징 바디를 하우징 베이스와 하우징 커버가 형성하는 내부 공간에 안정적으로 지지하는 범위에서 다양한 구조가 가능하다.
하우징(100)의 하우징 바디(101)는 하기되는 스위치 노브(110)의 하우징 바디 돌출부(102)가 형성되고, 하우징 바디 돌출부(102)에는 하우징 노브 장착부(120)가 형성되는데, 하우징 노브 장착부(120)는 스위치 노브(110)의 시소 운동을 지지한다. 하우징 노브 장착부(120)의 중앙에는 하우징 노브 장착 공간부(123)가 형성되고, 하우징 노브 장착부(120)의 내측에는 하우징 노브 장착 돌기(121)가 형성되는데, 하우징 노브 장착 돌기(121)는 선 I-I(도 6 참조)로 지시되는 스위치 노브(110)의 시소 스위치 노브 회동부(111, 도 8 참조)와 회동 가능하게 맞물리어 회전축을 형성한다.
본 발명의 스위치 노브(110)는 하우징(100)에의 회동 중심을 기준으로 각 방향으로 이단 동작 가능한 구조를 취하는데, 스위치 노브(110)가 어느 방향으로도 사전 설정된 범위 내에서의 지속적인 회동을 이루는 구조를 취하고, 각 방향으로의 다단, 본 실시예에서는 1단 및 2단 스위칭 동작을 이루는 시소 스위치 유니트와의 연동을 통하여 이단 동작 구동 가능하다. 스위치 노브(110)의 하단에는 노브 가동부(113, 도 8 참조)가 형성되어 하기되는 스위치 플런저(140,150)에 회동력을 전달한다.
인쇄회로기판부(400)는 하우징(100)의 하우징 바디(101)의 내부에 위치 고정되어 배치된다. 인쇄회로기판부(400)는 스위치 노브(110)의 회동축에 수평하게 배치될 수 있다. 인쇄회로기판부(400)의 일면 상에는 각종 소자 및 하기되는 시소 스위치 유니트(200)가 배치되고, 커넥터부(미도시)를 통하여 외부 전기 장치와의 전기적 소통 구조를 형성한다.
시소 스위치 유니트(200)는 인쇄회로기판부(400)에 배치되고 접점 상태를 접점 상태 변화 가능하여 차량의 차량 윈도우를 승하강시키는 윈도우 모터(미도시)의 작동 상태를 변화시킨다. 시소 스위치 유니트(200)는 하나 이상의 시소 스위치(300)를 구비하는데, 본 실시예에서 시소 스위치 유니트(200)는 복수 개의 스위치로 형성된다. 시소 스위치 유니트(200)의 복수 개의 스위치를 포함하는데, 각 스위치는 본 실시예에서 러버 패드 타입의 푸시 스위치로 형성된다(도 10 참조).
시소 스위치 유니트(200)의 스위치(200d)는 스위치 가동 접점(210)과 스위치 고정 접점(220)과 스위치 가동부(202,203)을 포함한다. 스위치 고정 접점(220)가 형성된다. 인쇄회로기판부(400) 상에는 러버 패드(201)가 배치되고, 러버 패드(201)에는 스위치 가동부(202,203)가 배치된다. 스위치 가동부(202,203)는 러버 패드(201)에 연결 배치되는데, 스위치 가동부(202,203)는 스위치 고정 접점(220)의 대응 위치 배치된다. 스위치 가동부(202,203)는 스위치 가동 연결부(202)와 스위치 가동 대응부(203)를 포함하는데, 스위치 가동 연결부(202)는 러버 패드(201)에 연결되고, 스위치 가동 대응부(203)는 스위치 가동 연결부(202)의 타단에 연결 배치된다. 스위치 가동 대응부(203)의 저면에는 스위치 가동 접점(210)이 배치되는데, 스위치 가동 접점(210)은 스위치 노브(110)의 가동에 의하여 운동하는 스위치 플런저(140,150)를 통하여 가동됨으로써 소정의 접점 상태 변화를 형성한다.
본 실시예에서 스위치는 러버 패드 스위치로 구현되었으나 이는 일예로서 소정의 푸시 동작을 통하여 가동되는 범위에서 다양한 푸시 스위치로 구현될 수 있다.
시소 스위치 유니트(200)의 스위치는 도 7 내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 세 개의 일렬 배치되는 복수 개의 스위치로 구현되는데, 시소 스위치 유니트(200)의 스위치(200d,200-2,200u)를 포함한다. 스위치(200d,200-2,200u)는 1단 스위치(200d,200u)와 2단 스위치(200u)를 포함하는데, 1단 스위치(200d,200u)는 일렬 배치 상태에서 각 단부에 위치하여 스위치 노브(110)의 해당 방향으로의 1단 회동시 선택적으로 가동 가능한 다운 1단 스위치(200d)와 업 1단 스위치(200u)를 포함하고, 2단 스위치(200u)는 각 단부에 배치되는 1단 스위치(200d,200u) 사이에 배치되어 스위치 노브(110)의 어느 방향으로의 2단 회동 경우라도 가동 가능한 구조를 취한다. 즉, 일렬 배치되는 시소 스위치 유니트(200)의 스위치(200d,200-2,200u)는 다운 1단 스위치(200d), 2단 스위치(200-2), 업 1단 스위치(200u)를 구비하는 구조를 취한다. 여기서, 1단 및 2단의 표현은 시소 스위치 노브(110)를 어느 방향으로의 회동시 최초 발생하는 스위칭 동작이 이루어지는 상태를 1단, 그리고 1단 후에 해당 방향으로의 지속적인 회동시 두번째 발생하는 스위칭 동작이 이루어지는 상태를 2단으로 지칭한다.
이때, 일렬 배치되는 다운 1단 스위치(200d), 2단 스위치(200-2), 업 1단 스위치(200u)에 있어 2단 스위치 가동시, 1단 스위치의 다운 1단 스위치(200d)와 업 1단 스위치(200u) 중 어느 하나가 함께 가동하는 구조를 취한다. 즉, 시소 스위치 노브(110)의 업 동작이 이루어짐과 동시에 2단 스위치가 동작하는 경우, 실제 스위칭되어 온 상태를 형성하는 스위치는 업 1단 스위치(200u)와 2단 스위치(200-2)이고 다운 1단 스위치(200d)는 오프 상태를 형성한다. 반면, 시소 스위치 노브(110)의 다운 동작이 이루어짐과 동시에 2단 스위치가 동작하는 경우, 실제 스위칭되어 온 상태를 형성하는 스위치는 다운 1단 스위치(200d)와 2단 스위치(200-2)이고 업 1단 스위치(200u)는 오프 상태를 형성한다.
이와 같은 스위칭 조합을 통하여 소정의 안정적이고 정확하면서도 최소 스위치 개수를 유지하여 제조 원가를 저감시킬 수 있는 스위치 조합을 제공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스위치 노브(110)와 시소 스위치 유니트(200) 사이에는 스위치 플런저(140,150)가 개재되는데, 스위치 플런저(140,150)는 일측이 스위치 노브9110)에 그리고 타측이 시소 스위치 유니트9200)에 접하여 스위치 노브(110)의 시소 운동력을 시소 스위치 유니트(200)로 전달한다.
스위치 플런저(140,150)는 종전의 업 스위칭 동작을 위한 단독적인 플런저 및 다운 스위칭 동작을 위한 단독적인 플런저의 수평 배치 구조를 벗어나 복수 개의 플런저가 수직 배치되고, 하부에 배치되는 플런저가 공용 사용되는 2단 스위치(200-2)를 업, 다운 스위칭 동작에 상관없이 2단 스위칭 동작시 공용 작동 가능하게 가동시키는 구조를 취한다.
즉, 스위치 플런저(140,150)는 어퍼 스위치 플런저(140)와 로워 스위치 플런저(150)를 구비한다. 어퍼 스위치 플런저(140)는 일측이 스위치 노브(110)에 접하고, 로워 스위치 플런저(150)의 일측은 시소 스위치 유니트(200)에 접하고 타측이 어퍼 스위치 플런저(140)에 접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로워 스위치 플런저(150)는 시소 스위치 노브(110)와 인쇄회로기판부(400) 상의 시소 스위치 유니트(200)의 사이에 배치되고, 어퍼 스위치 플런저(140)는 시소 스위치 노브(110)와 로워 스위치 플런저(150)의 사이에 배치된다.
로워 스위치 플런저(150)는 로워 스위치 다운 플런저(150d)와 로워 스위치 업 플런저(150u)를 포함한다. 로워 스위치 다운 플런저(150d)는 다운 1단 스위치(200d)와 2단 스위치(200-2)에 배치되고, 로워 스위치 업 플런저(150u)는 업 1단 스위치(200u)와 2단 스위치(200-2)에 배치된다. 즉, 로워 스위치 다운 플런저(150d)와 로워 스위치 업 플런저(150u)는 대응되는 스위치와 접촉 가능하도록 서로 연속 배치되는 구조를 취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로워 스위치 다운 플런저(150d)는 다운 플런저 접촉부(151d)와 다운 플런저 바디(153d)와 다운 플런저 링크부(155d)를 포함한다. 다운 플런저 접촉부(151d)는 다운 1단 스위치(200d)와 접촉 가능하도록 돌출 배치되는 구조를 취하고, 다운 플런저 바디(153d)는 일측에서 다운 플런저 접촉부(151d)가 연결 배치되고, 일면이 어퍼 스위치 플런저(140)와 접촉 가능한 구조를 취하여, 스위치 노브(110) 및 어퍼 스위치 플런저(140)를 통하여 전달되는 시소 회동력을 하부에 배치되는 다운 1단 스위치(200d)로 전달하여 소정의 다운 방향으로의 1단 스위칭 동작을 구현한다. 다운 플런저 링크부(155d)는 다운 플런저 바디(153d)의 단부로 다운 플런저 접촉부(151d)의 반대편에 배치되고 인쇄회로기판부(400)에 대응 배치되는 2단 스위치(200-2)를 가동 가능하게 하는데, 다운 플런저 링크부(155d)는 하기되는 로워 스위치 업 플런저(150u)와 연결된다.
업 플런저 접촉부(151u)는 업 1단 스위치(200u)와 접촉 가능하도록 돌출 배치되는 구조를 취하고, 업 플런저 바디(153u)는 일측에서 업 플런저 접촉부(151u)가 연결 배치되고, 일면이 어퍼 스위치 플런저(140)와 접촉 가능한 구조를 취하여, 스위치 노브(110) 및 어퍼 스위치 플런저(140)를 통하여 전달되는 시소 회동력을 하부에 배치되는 업 1단 스위치(200u)로 전달하여 소정의 업 방향으로의 1단 스위칭 동작을 구현한다. 업 플런저 링크부(155u)는 업 플런저 바디(153u)의 단부로 업 플런저 접촉부(151u)의 반대편에 배치되고 인쇄회로기판부(400)에 대응 배치되는 2단 스위치(200-2)를 가동 가능하게 하는데, 업 플런저 링크부(155u)는 상기한 로워 스위치 다운 플런저(150d)와 연결된다.
상기한 다운 플런저 바디(153d) 및 업 플런저 바디(153u)는 단순한 플레이트로 형성될 수도 있으나, 본 실시예에서는 재료 원가를 절감하고 불필요한 자중 증가를 방지하고자 소정의 사각 프레임 구조를 취하는데 이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 한편, 본 실시예에서 다운 플런저 링크부(155d)와 업 플런저 링크부(155u)는 서로 중첩 배치되어 2단 스위치(200-2)의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되는 구조를 취한다. 본 실시예에서 다운 플런저 링크부(155d)는 요홈 구조를 취하고, 업 플런저 링크부(155u)는 돌출 돌기 구조를 취하는데 이들은 서로 맞물리는 구조를 취하여 업 플런저 링크부(155u)가 이에 상응하는 요홈 구조를 갖는 다운 플런저 링크부(155d)에 수용 배치되고, 어퍼 스위치 플런저(140)의 가동에 의하여 가압되는 경우, 다운 플런저 바디(153d) 내지 업 플런저 바디(153u)를 통하여 가압력을 전달하여 인쇄회로기판부(400) 상에 배치되는 2단 스위치(200-2)를 가동시킬 수 있고, 2단 스위치(200-2)는 앞서 기술된 바와 같이 스위치 노브의 업 동작 내지 다운 동작 모두에 대하여 혼용 사용되는 구조를 취한다.
본 실시예에서 다운 플런저 링크부(155d)는 요홈 구조를 취하고, 업 플런저 링크부(155u)는 돌출 돌기 구조를 취하였으나, 이에 국한되지 않고 서로 반대되는 구조를 취할 수도 있는 등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의 다운 플런저 링크부(155d)와 업 플런저 링크부(155u)는 서로 중첩 배치되어 2단 스위치(200-2)의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되어 소정의 2단 동작을 가능하게 하는 범위에서 다양한 구조 형성이 가능한데, 도 19 및 도 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운 플런저 링크부(155da)와 업 플런저 링크부(155ua)를 지면에 대하여 투영시킨 경우 중첩 배치되되 어느 하나가 다른 하나에 측면 수용 삽입 배치되는 구조를 취할 수도 있다.
즉, 다운 플런저 링크부(155da)와 업 플런저 링크부(155ua)는 서로 중첩되는 구조를 이루되, 두 개 중의 어느 하나는 측면에 수용 구조를 형성하고 다른 하나가 돌출 구조를 형성하여 측면에서 삽입되어 상대 회동 가능한 구조를 형성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다운 플런저 링크부(155da)는 수용 구조를, 그리고 업 플런저 링크부(155ua)는 돌출 돌기 구조를 형성하는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서로 반대되는 구성을 취할 수도 있다.
업 플런저 링크부(155ua)는 돌출 구조를 형성하되 측면 돌출 형성되는 업 플런저 링크 가이드(156ua)를 구비한다. 즉, 업 플런저 링크부(155ua)는 업 플런저 링크 가이드 바디(157ua)와 업 플런저 링크 가이드(156ua)를 구비하는데,
업 플런저 링크 가이드 바디(157ua)는 업 플런저 바디(153a)의 단부에서 돌출 형성되고, 업 플런저 링크 가이드(156ua)는 업 플런저 가이드 바디(157ua)의 측면으로부터 돌출되어 다운 플런저 링크부(155da)와 연결되어 회동하는 회동축(선 A-A)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 형성되는 구조를 형성한다.
또한, 다운 플런저 링크부(155da)는 다운 플런저 바디(153a)의 단부 측면에서 업 플런저 링크부(155ua)를 수용 가능한 구조로 형성되는데, 업 플런저 링크 가이드(156ua)의 대응되는 위치로 다운 플런저 링크부(155ua)에는 다운 플런저 링크 가이드(156ua)가 형성된다. 즉, 다운 플런저 링크 가이드(156ua)는 다운 플런저 가이드 바디(157ua)의 측면에 수용 구조로 형성되는 공간으로서의 다운 플런저 링크부(155da)의 내면에서 부분 돌출 형성되어 업 플런저 링크 가이드(156ua)와 접촉 가능한 구조를 취함으로써 다운 플런저 링크부(155ua)의 회동 지지 안내 구조를 형성하여 다운 플런저 링크부(155ua)와 업 플런저 링크부(155ua) 간의 안정적인 상대 회동을 허용할 수 있다. 또한, 다운 플런저 링크부(155da)에는 충분한 공간이 형성되어 업 플런저 가이드 바디(157ua)와의 간섭이 방지될 수 있다.
또 한편, 본 발명의 어퍼 스위치 플런저(140)는 로워 스위치 플런저(150)의 상부로 스위치 노브와 로워 스위치 플런저 사이에 개재되는데, 어퍼 스위치 플런저(140)는 어퍼 플런저 다운 포션(140d)와 어퍼 플런저 업 포션(140u)를 포함한다.
어퍼 플런저 다운 포션(140d)는 스위치 노브(110)에 의하여 가동되는 다운 플런저 바디(153d)와 접촉 가능하고, 어퍼 플런저 업 포션(140u)는 스위치 노브(110)에 의하여 가동되고 어퍼 플런저 다운 포션(140d)에 대향하여 반대편에 배치되고 업 플런저 바디(153u)와 접촉 가능하다.
어퍼 스위치 플런저(140)는 개별 요소로 형성될 수도 있으나 본 실시예에서는 일체형 구조를 취하여 조립 공정을 간소하게 할 수 있다. 즉, 어퍼 스위치 플런저(140)는 어퍼 플런저 링키지(145)를 더 포함하는데, 어퍼 플런저 링키비(145)는 어퍼 플런저 다운 포션(140d)와 어퍼 플런저 업 포션(140u)를 연결하는 구조를 취한다.
어퍼 플런저 다운 포션(140d)은 다운 포션 바디(141d)와 다운 포션 링키지(143d)를 포함한다. 다운 포션 바디(141d)는 다운 플런저 바디(153d)와 접촉 가능하고, 다운 포션 링키지(143d)는 다운 포션 바디(141d)와 어퍼 플런저 링키지(145)를 연결하는 구조를 취한다. 어퍼 플런저 업 포션(140u)은 업 포션 바디(141u)와 업 포션 링키지(143u)를 포함한다. 업 포션 바디(141u)는 업 플런저 바디(153u)와 접촉 가능하고, 업 포션 링키지(143u)는 업 포션 바디(141u)와 어퍼 플런저 링키지(145)를 연결하는 구조를 취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부에서 볼 때, 어퍼 스위치 플런저는 H자 형상을 구비하고, 측면에서 볼 때 어프 스위치 플런저는 눕혀진 'ㄷ'형상을 구비한다.
한편, 본 발명의 어퍼 스위치 플런저와 다운 스위치 플런저의 배치 공간은 적어도 하우징의 일부 구성을 통하여 부분 분리되는 구조를 취할 수 있다. 즉 도 13 및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100)의 하우징 노브 장착부(120)의 내측에는 플런저 관통구(125)가 구비되고, 어퍼 스위치 플런저(140)의 일부, 즉 다운 포션 바디(141d)와 업 포션 바디(141u)가 관통 가능한 구조를 취하고 어퍼 스위치 플런저(140)의 어퍼 플런저 링키지(145) 등의 구성은 상부에 배치되는 구조를 취한다. 이와 같이 어퍼 스위치 플런저(140)의 공간 분리 배치 구조를 통하여 어퍼 스위치 플런저(140)의 안정적인 장착 상태를 유지하고 스위치 노브를 통하여 전달되는 가압력에 의하여 어퍼 스위치 플런저(140)의 위치 변동 등을 통한 오작동 발생 가능성을 차단할 수도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파워 윈도우 스위치 모듈(10)의 구조를 살펴보았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파워 윈도우 스위치 모듈(10)의 동작 과정을 설명한다.
먼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위치 노브(110)에 외력이 인가되지 않은 경우 스위치 노브(110)는 정위치 상태를 유지한다. 스위치 노브(110)의 정위치 유지는 시소 스위치 유니트(200) 및 스위치 플런저(140,150)을 통하여 평형 상태 형성이 이루어진다.
도 15 및 도 16에는 스위치 노브(110)의 다운 시소 동작에 따른 시소 스위치 유니트의 다운 스위칭 1단 및 2단 동작이 도시되고, 도 17 및 도 18에는 스위치 노브(110)의 업 시소 동작에 따른 시소 스위치 유니트의 업 스위칭 1단 및 2단 동작이 도시된다.
다운 스위칭 1단 동작의 경우, 스위치 노브(110)가 스위치 노브(110)에 형성된 시소 스위치 노브 회동부(111)를 중심으로 회동하는 경우, 즉 도 15에서는 반시계 방향 회동하는 경우, 시소 스위치 노브(110)의 하부에 배치되는 노브 가동부(113)는 스위치 플런저(140)의 어퍼 스위치 플런저(140)의 어퍼 플런저 다운 포션(140d)와 접촉하고, 어퍼 플런저 다운 포션(140d)은 로워 스위치 플런저(150)의 로워 스위치 다운 플런저(150d)를 가압하고, 로워 스위치 다운 플런저(150d)의 다운 플런저 접촉부(151d)는 시소 스위치 유니트(200)의 다운 1단 스위치(200d)를 가동시킨다. 이때, 스위치 노브(110)의 시소 회동 각변위는 1단 동작 범위에 속하여 2단 스위치(200-2)의 2단 스위칭 동작을 활성화시키지는 않는다.
그런 후, 스위치 노브(110)가 해당 방향, 즉 반시계 방향으로 지속적인 회동 상태를 형성하는 경우, 스위치 노브(110)의 가압력은 증대되어 로워 스위치 다운 플런저(150d)로 하여금 지속적인 가압 상태 및 변위를 형성하여 2단 스위치(200-2)를 가동시킨다. 이때, 로워 스위치 플런저(150)의 로워 스위치 업 플런저(150u)는 로워 스위치 다운 플런저(150d)와 상대 회동 가능하게 일부가 중첩 배치되는 구조를 취함으로써 로워 스위치 업 플런저(150u)의 회동으로 인한 업 1단 스위치(200u)의 상태 변화를 형성하지 않는다. 스위치 노브(110)의 가압력은 증대되어 로워 스위치 다운 플런저(150d)의 다운 플런저 링크부(155d)를 가동시켜 2단 스위치를 가동시킨다. 이와 같이 2단 다운 스위칭 동작의 경우 다운 1단 스위치 및 2단 스위치의 작동 상태 변화로 정확한 차량 윈도우의 모터를 가동시킴에 있어 다운 2단 동작을 구현할 수 있다.
반대로, 업 스위칭 1단 동작의 경우, 스위치 노브(110)가 스위치 노브(110)에 형성된 시소 스위치 노브 회동부(111)를 중심으로 회동하는 경우, 즉 도 17에서는 시계 방향 회동하는 경우, 시소 스위치 노브(110)의 하부에 배치되는 노브 가동부(113)는 스위치 플런저(140)의 어퍼 스위치 플런저(140)의 어퍼 플런저 업 포션(140u)와 접촉하고, 어퍼 플런저 업 포션(140u)은 로워 스위치 플런저(150)의 로워 스위치 업 플런저(150u)를 가압하고, 로워 스위치 업 플런저(150u)의 업 플런저 접촉부(151u)는 시소 스위치 유니트(200)의 업 1단 스위치(200u)를 가동시킨다. 이때, 스위치 노브(110)의 시소 회동 각변위는 1단 동작 범위에 속하여 2단 스위치(200-2)의 2단 스위칭 동작을 활성화시키지는 않는다.
그런 후, 스위치 노브(110)가 해당 방향, 즉 반시계 방향으로 지속적인 회동 상태를 형성하는 경우, 스위치 노브(110)의 가압력은 증대되어 로워 스위치 업 플런저(150u)로 하여금 지속적인 가압 상태 및 변위를 형성하여 2단 스위치(200-2)를 가동시킨다. 이때, 로워 스위치 플런저(150)의 로워 스위치 다운 플런저(150d)는 로워 스위치 업 플런저(150u)와 상대 회동 가능하게 일부가 중첩 배치되는 구조를 취함으로써 로워 스위치 다운 플런저(150d)의 회동으로 인한 다운 1단 스위치(200d)의 상태 변화를 형성하지 않는다. 스위치 노브(110)의 가압력은 증대되어 로워 스위치 업 플런저(150u)의 업 플런저 링크부(155u)를 가동시켜 2단 스위치를 가동시킨다. 이와 같이 2단 업 스위칭 동작의 경우 업 1단 스위치 및 2단 스위치의 작동 상태 변화로 정확한 차량 윈도우의 모터를 가동시킴에 있어 업 2단 동작을 구현할 수 있다.
상기 실시예들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일예들로, 본 발명이 이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다. 안정적인 시소 운동을 이루도록 하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10...파워 윈도우 스위치 모듈 100...하우징
101..하우징 바디 140,150...스위치 플런저
200...시소 스위치 유니트 400...인쇄회로기판부

Claims (14)

  1.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배치되는 인쇄회로기판부; 상기 인쇄회로기판부에 배치되고 접점 상태 변화 가능하여 차량 윈도우를 승하강시키는 윈도우 모터의 작동 상태를 변화시키는 시소 스위치 유니트; 상기 하우징에 회동 가동 가능하게 배치되어 상기 시소 스위치 유니트를 가동 가능하게 하는 스위치 노브; 상기 시소 스위치 유니트와 상기 스위치 노브 사이에 개재되고, 일측은 상기 스위치 노브에, 타측은 상기 시소 스위치 유니트에 접하여 상기 스위치 노브의 시소 운동력을 상기 시소 스위치 유니트로 전달하는 스위치 플런저;가 구비되고, 상기 스위치 플런저는: 일측이 상기 스위치 노브에 접하는 어퍼 스위치 플런저와, 일측은 상기 시소 스위치 유니트에 접하고, 타측은 상기 어퍼 스위치 플런저에 접하는 로워 스위치 플런저를 구비하고,
    상기 스위치 노브는 상기 하우징에의 회동 중심을 기준으로 각 방향으로 이단 동작 가능하고,
    상기 시소 스위치 유니트는 세 개가 일렬 배치되되, 일렬 배치 상태에서 각 단부에 위치하여 상기 스위치 노브의 해당 방향으로 1단 회동시 선택적으로 가동 가능한 다운 1단 스위치 및 업 1단 스위치를 포함하는 1단 스위치 및 상기 각 단부에 배치되는 1단 스위치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스위치 노브의 어느 방향으로의 2단 회동 경우라도 가동 가능한 2단 스위치를 포함하고,
    상기 2단 스위치의 가동시, 상기 스위치 노브의 해당 방향에 대한 상기 1단 스위치와 함께 가동하고,
    상기 로워 스위치 플런저는: 상기 다운 1단 스위치 및 상기 2단 스위치에 배치되는 로워 스위치 다운 플런저와, 상기 업 1단 스위치 및 상기 2단 스위치에 배치되는 로워 스위치 업 플런저를 포함하고, 상기 로워 스위치 다운 플런저(150d)는: 상기 다운 1단 스위치와 접촉 가능한 다운 플런저 접촉부와, 상기 다운 플런저 접촉부가 연결되고, 일면이 상기 어퍼 스위치 플런저와 접촉 가능한 다운 플런저 바디와, 상기 다운 플런저 바디의 단부로 상기 다운 플런저 접촉부의 반대편에 배치되는 다운 플런저 링크부를 포함하고, 상기 로워 스위치 업 플런저(150u)는: 상기 업 1단 스위치와 접촉 가능한 업 플런저 접촉부와, 상기 업 플런저 접촉부가 연결되고, 일면이 상기 어퍼 스위치 플런저와 접촉 가능한 업 플런저 바디와, 상기 업 플런저 바디의 단부로 상기 업 플런저 접촉부의 반대편에 배치되고 상기 다운 플런저 링크부와 접촉 가능한 업 플런저 링크부를 포함하고,
    상기 어퍼 스위치 플런저는: 상기 스위치 노브에 의하여 가동되는 상기 다운 플런저 바디와 접촉 가능한 어퍼 플런저 다운 포션과, 상기 스위치 노브에 의하여 가동되고 상기 어퍼 플런저 다운 포션에 대향하여 반대편에 배치되고 상기 업 플런저 바디와 접촉 가능한 어퍼 플런저 업 포션을 구비하고,
    상기 어퍼 스위치 플런저는, 상기 어퍼 플런저 다운 포션과 상기 어퍼 플런저 업 포션을 연결하는 어퍼 플런저 링키지(145)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워 윈도우 스위치 모듈.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다운 플런저 링크부와 상기 업 플런저 링크부는 서로 중첩 배치되되,
    상기 다운 플런저 링크부와 상기 업 플런저 링크부 중의 하나는 요홈 구조로 형성되어 하부에 배치되고, 다른 하나는 대응되는 돌출 구조로 형성되어 맞물림되어 상부에 중첩 배치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워 윈도우 스위치 모듈.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다운 플런저 링크부와 상기 업 플런저 링크부는 서로 중첩 삽입 배치되되,
    상기 다운 플런저 링크부와 상기 업 플런저 링크부 중의 하나는 측면에 수용 구조로 형성되고, 다른 하나는 대응되는 돌출 구조로 형성되어 맞물림되어 삽입 배치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워 윈도우 스위치 모듈.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업 플런저 링크부는 돌출 구조로 형성되고, 상기 업 플런저 링크부는 측면 돌출 형성되는 업 플런저 링크 가이드(155ua)가 구비되고,
    상기 업 플런저 링크 가이드의 대응되는 위치로 상기 다운 플런저 링크부에는 상기 업 플런저 링크 가이드를 지지 회동 안내하는 다운 플런저 링크 가이드(156da)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워 윈도우 스위치 모듈.
  11. 삭제
  12. 삭제
  1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어퍼 플런저 다운 포션(140d)은, 상기 다운 플런저 바디와 접촉하는 다운 포션 바디(141d) 및 상기 다운 포션 바디와 상기 상기 어퍼 플런저 링키지를 연결하는 다운 포션 커넥터(143d)를 포함하고
    상기 어퍼 플런저 업 포션(140u)은, 상기 업 플런저 바디와 접촉하는 업 포션 바디(141u) 및 상기 업 포션 바디와 상기 상기 어퍼 플런저 링키지를 연결하는 업 포션 커넥터(143u)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워 윈도우 스위치 모듈.
  1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어퍼 플런저 관통구를 구비하고,
    상기 어퍼 스위치 플런저와 상기 로워 스위치 플런저의 사이에는 상기 하우징의 적어도 일부가 배치되고, 다운 포션 바디 및 업 포션 바디는 상기 어퍼 플런저 관통구를 관통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워 윈도우 스위치 모듈.

KR1020140077046A 2014-06-24 2014-06-24 파워 윈도우 스위치 모듈 KR10160699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77046A KR101606993B1 (ko) 2014-06-24 2014-06-24 파워 윈도우 스위치 모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77046A KR101606993B1 (ko) 2014-06-24 2014-06-24 파워 윈도우 스위치 모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00483A KR20160000483A (ko) 2016-01-05
KR101606993B1 true KR101606993B1 (ko) 2016-04-12

Family

ID=551644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77046A KR101606993B1 (ko) 2014-06-24 2014-06-24 파워 윈도우 스위치 모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06993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20841Y2 (ja) * 1992-04-27 1996-12-18 ホシデン株式会社 2段アクション・シーソースイッチ
JP2004139945A (ja) * 2002-10-21 2004-05-13 Alps Electric Co Ltd 2段動作シーソースイッチ装置
JP2004146069A (ja) 2002-10-21 2004-05-20 Alps Electric Co Ltd 2段動作シーソースイッチ装置
JP2012119213A (ja) 2010-12-02 2012-06-21 Omron Automotive Electronics Co Ltd スイッチ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20841Y2 (ja) * 1992-04-27 1996-12-18 ホシデン株式会社 2段アクション・シーソースイッチ
JP2004139945A (ja) * 2002-10-21 2004-05-13 Alps Electric Co Ltd 2段動作シーソースイッチ装置
JP2004146069A (ja) 2002-10-21 2004-05-20 Alps Electric Co Ltd 2段動作シーソースイッチ装置
JP2012119213A (ja) 2010-12-02 2012-06-21 Omron Automotive Electronics Co Ltd スイッチ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00483A (ko) 2016-01-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285039A (en) Seesaw type switch
KR100777343B1 (ko) 스위치장치
CN103295821A (zh) 开关装置
KR101203688B1 (ko) 텀블러 스위치 유니트
KR101606993B1 (ko) 파워 윈도우 스위치 모듈
KR200450668Y1 (ko) 차량용 썬루프 작동 스위치
KR200470874Y1 (ko) 운전석 파워 윈도우 스위치 모듈
KR101188955B1 (ko) 로터리 스위치 유니트
KR101141329B1 (ko) 스위치 유니트
KR100500086B1 (ko) 스위치장치
KR101271313B1 (ko) 레버 스위치 유니트
KR20100006451U (ko) 파워 윈도우 스위치 유니트
KR200461776Y1 (ko) 시트 워머 스위치 장치
KR20180083189A (ko) 차량용 파워 윈도우 스위치 모듈
KR20120002614U (ko) 슬라이더 스위치 유니트
JP6113032B2 (ja) 節度モジュール、操作スイッチ
KR20170091201A (ko) 차량용 윈도우 스위치 장치
KR100521984B1 (ko) 자동차의 미러 조정 스위치
KR101077442B1 (ko) 미러 스위치 유니트
KR101414293B1 (ko) 차량용 레버 스위치 장치
KR102474828B1 (ko) 회전 손잡이 구조를 갖는 전기자동차의 스윙거동 개폐식 충전도어 장치
KR200488668Y1 (ko) 차량의 사이드 미러 컨트롤러
KR200446204Y1 (ko) 차량용 창문잠금 모듈스위치
KR100623386B1 (ko) 차량용 래치조립체의 램프 스위치 구조
KR20170049776A (ko) 파워 윈도우 스위치 모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