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71418Y1 - 슬라이딩 스위치 유니트 및 이를 구비하는 파워 시트 스위치 모듈 - Google Patents

슬라이딩 스위치 유니트 및 이를 구비하는 파워 시트 스위치 모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71418Y1
KR200471418Y1 KR2020090014784U KR20090014784U KR200471418Y1 KR 200471418 Y1 KR200471418 Y1 KR 200471418Y1 KR 2020090014784 U KR2020090014784 U KR 2020090014784U KR 20090014784 U KR20090014784 U KR 20090014784U KR 200471418 Y1 KR200471418 Y1 KR 20047141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witch
switch knob
seesaw
movable part
dispos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9001478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05022U (ko
Inventor
엄기석
Original Assignee
대성전기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성전기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대성전기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9001478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71418Y1/ko
Publication of KR2011000502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05022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7141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71418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5/00Switches with compound movement of handle or other operating part
    • H01H25/04Operating part movable angularly in more than one plane, e.g. joystick
    • H01H25/041Operating part movable angularly in more than one plane, e.g. joystick having a generally flat operating member depressible at different locations to operate different contro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0224Non-manual adjustments, e.g. with electrical operation
    • B60N2/0226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seat adjustment
    • B60N2/0228Hand-activated mechanical switch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02Details
    • H01H13/12Movable parts; Contacts mounted thereon
    • H01H13/14Operating parts, e.g. push-butt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5/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actuation in opposite directions, e.g. slide switch
    • H01H15/02Details
    • H01H15/06Movable parts; Contacts mounted thereon
    • H01H15/10Operating par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3/00Tumbler or rocker switches, i.e. switches characterised by being operated by rocking an operating member in the form of a rocker button
    • H01H23/02Details
    • H01H23/12Movable parts; Contacts mounted thereon
    • H01H23/14Tumbl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300/00Orthogonal indexing scheme relating to 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or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covered by H01H
    • H01H2300/008Application power sea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witch Cases, Indication, And Locking (AREA)
  • Slide Switch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인쇄회로기판; 상기 인쇄회로기판 상에 배치되는 스위치 노브 하우징과 상기 스위치 노브 하우징에 슬라이딩 운동 가능하게 배치되는 스위치 노브 바디를 구비하는 스위치 노브부; 상기 스위치 바디에 의하여 가동되고 상기 스위치 노브 하우징에 회동 가능하게 배치되는 시소 가동부; 상기 인쇄회로기판 상에 배치되고 상기 시소 가동부의 단부가 상기 스위치 노브 하우징을 관통하여 가동시키는 푸시 스위치를 구비하고, 상기 푸시 스위치는 쌍을 이루어 상기 시소 가동부 각각의 단부에 배치되고, 상기 푸시 스위치와 상기 시소 가동부는 상시 접촉 상태를 이루고 상기 시소 가동부가 시소 운동을 하는 경우 상기 푸시 스위치가 가동되는 슬라이딩 스위치 유니트 및 이를 구비하는 파워 시트 스위치 모듈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슬라이딩 스위치 유니트 및 이를 구비하는 파워 시트 스위치 모듈{SLIDING SWITCH UNIT AND POWER WINDOW SWITCHING DEVICE UNIT WITH THE SAME}
본 고안은 스위치 장치에 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간단한 조작 및 조립성을 개선한 구조의 슬라이드 스위치 및 이를 구비하는 파워 시트 스위치에 관한 것이다.
자동차 등의 차량에는, 이동 수단으로서의 기능을 넘어서 사용자로 하여금 보다 안정적이면서도 편안한 주행 상태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각종 편의 수단으로서 기능이 요구되고 있다. 따라서, 차량에는 다양한 편의 시설과 이를 작동 및 제어하기 위한 각종 스위치들이 구비된다.
일예로 차량 시트의 조작을 위한 스위치가 배치되는데, 종래의 기술에 따른 차량 시트 스위치는 통상적인 시소 스위치 구조를 취하고 소정의 절도 동작을 이루기 위한 절도부가 구비되었다. 하지만, 종래 기술에 따른 차량 시트 스위치는 구성요소가 많고 조립 구조가 복잡하여 조립자가 소형의 스위치를 조립하는 경우 구성요소의 장착 과정에 상당한 어려움이 수반되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스위치의 간단한 구조로 조립성을 향상시키고 조립 및 분해시 부품의 이탈 가능성을 방지하고 안정적인 스위칭 동작을 이루도록 하는 구조의 슬라이딩 스위치 유니트 및 이를 구비하는 파워 시트 스위치 모듈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배치되는 인쇄회로기판; 상기 인쇄회로기판과 전기적 소통을 이루는 푸시 스위치와, 상기 푸시 스위치를 가동시키는 시소 가동부와, 상기 인쇄회로기판 상부에서 슬라이딩 운동하여 상기 시소 가동부를 시소 운동시키는 스위치 노브부를 구비하는 슬라이딩 스위치 유니트;를 구비하고, 상기 푸시 스위치는 쌍을 이루어 상기 시소 가동부의 각각의 단부에 배치되고, 상기 푸시 스위치와 상기 시소 가동부는 상시 접촉 상태를 이루고 상기 시소 가동부가 시소 운동을 하는 경우 상기 푸시 스위치가 가동되는 파워 시트 스위치 모듈을 제공한다.
상기 파워 시트 스위치 모듈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 노브부는: 상기 하우징에 위치 고정되어 배치되는 스위치 노브 하우징과, 상기 스위치 노브 하우징에 의하여 지지되고 슬라이딩 운동을 이루는 스위치 노브 바디를 구비할 수도 있다.
상기 파워 시트 스위치 모듈에 있어서, 상기 시소 가동부는 상기 스위치 노브 하우징에 회동 가능하게 지지 장착되되, 상기 시소 가동부의 단부는 상기 인쇄회로기판을 향하여 상기 스위치 노브 하우징을 관통하여 배치되고 상기 푸시 스위 치와 상시 접촉될 수도 있다.
상기 파워 시트 스위치 모듈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 노브 바디의 외주에는 노브 바디 가이드가 연장 형성되고, 상기 노브 바디 가이드는 상기 스위치 노브 하우징의 단부 상에서 슬라이딩 운동 가능할 수도 있다.
상기 파워 시트 스위치 모듈에 있어서, 상기 시소 가동부는: 측부에 배치되고 상기 시소 가동부의 회동 운동을 지지하기 위한 가동부 회동 지지부와, 단부에 쌍을 이루며 배치되고 상기 푸시 스위치와 접촉 상태를 형성하는 가동부 가압부를 구비할 수도 있다.
상기 파워 시트 스위치 모듈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딩 스위치 유니트는 상기 시소 가동부의 시소 운동 후 원위치 복귀시키는 스위치 노브 디텐트가 더 구비하고, 상기 스위치 노브 디텐트는: 상기 스위치 노브부에 가동 가능하게 수용되는 수용되는 디텐트 탄성부와, 일단이 상기 디텐트 탄성부에 의하여 탄성 지지되는 디텐트 핀과, 상기 시소 가동부의 일면 상에 배치되고 상기 디텐트 핀의 타단과 상시 접촉 상태를 형성하는 가동부 컨택부를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 파워 시트 스위치 모듈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딩 스위치 유니트는 복수 개가 구비되고, 상기 스위치 노브부는 상기 하우징에 차량 시트 형상으로 배치되고, 상기 스위치 노브부는 상기 스위치 노브 바디의 가동을 안내하는 스위치 노브 가이드가 구비될 수도 있다.
본 고안의 다른 일면에 따르면, 본 고안은 인쇄회로기판; 상기 인쇄회로기판 상에 배치되는 스위치 노브 하우징과 상기 스위치 노브 하우징에 슬라이딩 운동 가능하게 배치되는 스위치 노브 바디를 구비하는 스위치 노브부; 상기 스위치 바디에 의하여 가동되고 상기 스위치 노브 하우징에 회동 가능하게 배치되는 시소 가동부; 상기 인쇄회로기판 상에 배치되고 상기 시소 가동부의 단부가 상기 스위치 노브 하우징을 관통하여 가동시키는 푸시 스위치를 구비하고, 상기 푸시 스위치는 쌍을 이루어 상기 시소 가동부 각각의 단부에 배치되고, 상기 푸시 스위치와 상기 시소 가동부는 상시 접촉 상태를 이루고 상기 시소 가동부가 시소 운동을 하는 경우 상기 푸시 스위치가 가동되는 슬라이딩 스위치 유니트를 제공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고안에 따른 슬라이딩 스위치 유니트 및 이를 구비하는 파워 시트 스위치 모듈은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갖는다.
첫째, 본 고안에 따른 슬라이딩 스위치 유니트 및 이를 구비하는 파워 시트 스위치 모듈은, 간단한 구조를 통하여 조립성을 향상시키고 분해 조립시 구성요소의 분리 이탈 가능성을 방지함으로써, 공정 효율을 증대시키고 유지 보수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둘째, 본 고안에 따른 슬라이딩 스위치 유니트 및 이를 구비하는 파워 시트 스위치 모듈은, 스위치 노브부의 스위치 노브 바디는 슬라이딩 운동을 이루고 슬라이딩 운동하는 스위치 노브 바디에 의하여 가동되는 시소 가동부는 푸시 스위치를 가동하되 시소 가동부는 스위치 노브 하우징에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고 단부가 스위치 노브 하우징을 관통하여 쌍을 이루어 배치되는 푸시 스위치와 상시 접촉 상태를 형성함으로써 소정의 원활하면서도 간결한 스위칭 동작을 제공할 수도 있다.
셋째, 본 고안에 따른 슬라이딩 스위치 유니트 및 이를 구비하는 파워 시트 스위치 모듈은, 스위치 노브 하우징에 하우징에 하면에 장착되는 구조를 통하여 유지 보수를 위한 분리시 구성요소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다.
본 고안은 도면에 도시된 일실시예들을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실용신안등록 청구 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이하에서는 본 고안에 따른 슬라이딩 스위치 유니트 및 이를 구비하는 파워 시트 스위치 모듈에 대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에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딩 스위치 유니트(300)을 구비하는 파워 시트 스위치 모듈(10)에 대한 개략적인 사시도가 도시되고, 도 2에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딩 스위치 유니트(300)을 구비하는 파워 시트 스위치 모듈(10)에 대한 다른 시점에 따른 개략적인 사시도가 도시되고, 도 3에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딩 스위치 유니트(300)을 구비하는 파워 시트 스위치 모듈(10)에 대한 개략적인 분해 사시도가 도시되고, 도 4에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파워 시트 스위치 모듈(10)의 개략적인 정면도가 도시되고, 도 5에는 도 4의 선 A-A를 따라 취한 개략적인 단면도가 도시되고, 도 6에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딩 스위치 유니트(300)의 개략적인 부분 분해 사시도가 도시되고, 도 7 및 도 8에는 슬라이딩 스위치 유니트(300)에 대한 개략적인 부분 확대 단면도가 도시된다.
파워 시트 스위치 모듈(10)은 하우징(100)과 인쇄회로기판(200)과 슬라이딩 스위치 유니트(300)를 포함하는데, 하우징(100)은 내부 공간을 구비하여 다른 구성요소들의 안정적인 장착 및 가동을 가능하게 한다.
하우징(100)은 하우징 바디(110)와 하우징 베이스(120)를 포함한다. 하우징 바디(110)와 하우징 베이스(120)는 서로 맞물리어 내부 공간을 형성하고 다른 구성요소들을 수용한다. 하우징 바디(110)의 일면 상에는 바디 관통구(111,115)가 배치되는데, 바디 관통구(111,115)를 통하여 하기되는 슬라이딩 스위치 모듈(300) 또는 다른 스위칭 기능을 수행하는 모드 스위치(400)가 하우징 바디(110)를 관통하여 배치된다. 하우징 바디(110)의 외측에는 바디 장착부(113)가 배치되고 하우징 베이스(120)의 외주로 바디 장착부(113)의 대응되는 위치에는 베이스 장착부(123)가 배치되는데, 바디 장착부(113)와 베이스 장착부(123)는 서로 맞물리어 양자 간의 공고한 결합 상태를 형성한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서 바디 장착부는 요홈 타입으로 그리고 베이스 장착부는 돌기 타입으로 구성되었으나 이는 일예로서 서로 반대되는 구성을 취할 수도 있는 등 양자 간의 결합을 이루는 범위에서 다양한 구성이 가능하다.
하우징 바디(110)의 외측에는 바디 차량 장착부(114)가 더 구비되는데,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파워 시트 스위치 모듈(10)은 볼트와 같은 체결 수단을 통하여 차량 차체(미도시)에 위치 고정되어 배치되는 구조를 취할 수 있다.
하우징 베이스(120)는 하우징 바디(110)와 체결되는 구조를 취하는데, 하우징 베이스(120)에는 베이스 커넥터부(121)가 배치되고 베이스 커넥터부(121)에는 하기되는 인쇄회로기판(200)과 전기적 소통을 이루는 기판 커넥터(210)가 위치 고정되어 배치된다. 하우징 베이스(120)는 소정의 강성을 유지하고 다른 구성요소들을 안정적으로 지지하기 위하여 내측면에 복수 개의 리브가 배치되는 구조를 형성할 수도 있다.
인쇄회로기판(200)은 하우징 바디(110)와 하우징 베이스(120)가 형성하는 내부 공간에 배치되는데, 인쇄회로기판(200) 상에는 수 개의 전기소자 및 소정의 배선 라인이 배치되고 하기되는 슬라이딩 스위치 유니트(300)의 푸시 스위치가 배치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인쇄회로기판(200)의 일단에는 기판 커넥터(210)가 배치되는데, 인쇄회로기판(200)과 외부 전기 장치와의 전기적 소통은 기판 커넥터(210)를 통하여 이룬다.
슬라이딩 스위치 유니트(300)는 하우징(100)에 배치되는데, 슬라이딩 스위치 유니트(300)는 스위치 노브부(310)와 푸시 스위치(320)와 시소 가동부(330)를 구비한다. 푸시 스위치(320)는 인쇄회로기판(200)과 전기적 소통을 이루고, 시소 가동부(330)는 푸시 스위치(320)와 접촉하여 푸시 스위치(320)를 가동시키고, 스위치 노브부(310)는 인쇄회로기판(200)의 상부에 슬라이딩 운동하여 시소 가동부(330)를 시소 운동시킨다.
슬라이딩 스위치 유니트(300)의 푸시 스위치(320)는 인쇄회로기판(200)의 일면 상에 배치되는데, 본 실시예에서 푸시 스위치(320)는 쌍을 이루어 시소 가동 부(330)의 각각의 단부에 대응되도록 배치된다. 즉, 도 3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인쇄회로기판(200)의 일면 상에 푸시 스위치(320)가 배치되는데, 시소 운동을 이루는 시소 가동부(330)에 대응하여 시소 운동의 각각의 단부의 움직임에 의하여 가동되어 소정의 신호를 출력하도록 쌍을 이루며 배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푸시 스위치(320)는 택트 스위치로 구현되는데, 가압력에 의하여 가동되고 사용자에 의한 가압력이 제거되는 경우 원위치로 복귀되는 구조를 이루는 푸시 스위치를 구성하는 범위에서 다양한 구성이 가능하다. 푸시 스위치(320)는 인쇄회로기판(200) 및 기판 커넥터(210)를 통하여 외부 전기 장치와 전기적 소통을 이루는데, 가동되어 발생하는 전기적 신호를 제어부(미도시) 등의 외부 전기 장치로 전달할 수 있다.
도 3 등에 도시되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서 슬라이딩 스위치 유니트는 복수 개가 구비되는데, 이에 대응하여 푸시 스위치는 쌍을 이루며 복수 개가 구비될 수 있고, 하나의 슬라이딩 스위치 유니트에 대하여도 푸시 스위치의 복수 개의 쌍이 구비되는 구성을 취할 수 있는 등 다양한 구성이 가능하다.
스위치 노브부(310)는 시소 가동부(330)를 가동시켜 푸시 스위치(320)를 가동시킬 수 있다. 스위치 노브부(310)는 스위치 노브 하우징(3150)와 스위치 노브 바디(3140)를 포함하는데, 본 실시예에 따른 스위치 노브부(310)는 상기 구성요소 이외에 스위치 노브 커버(3100)와 스위치 노브 가이드(3110)와 스위치 노브 커버 캡(3120) 및 스위치 노브 리스트릭터(3130)을 포함하는 구성을 취하고 이를 기준으로 설명하나 본 고안은 스위치 노브 바디와 스위치 노브 하우징을 구성하는 범위에서 다양한 구성이 가능하다.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파워 시트 스위치 모듈(10)은 복수 개의 슬라이딩 스위치 유니트(300)를 포함하는데, 스위치 노브부(310)는 스위치 노브 가이드(3110)를 포함한다. 하우징 바디(110)의 일면 상으로 바디 관통구(111)에는 소정의 리브가 돌출 형성되는데, 바디 관통구(111)의 인근에 돌출 형성되는 리브의 외주에는 바디 가이드 장착부(112)가 배치되고 바디 가이드 장착부(112)의 대응되는 위치로 스위치 노브 가이드(3110)에는 스위치 노브 가이드 장착부(3113)이 배치된다. 스위치 노브 가이드 장착부(3113)와 바디 가이드 장착부(112)는 서로 맞물림 가능한 구조를 취하는데, 스위치 노브 가이드 장착부(3113)는 요홈 구조로 형성되고 바디 가이드 장착부(112)는 돌기 구조로 형성되어 서로 체결되나 서로 반대되는 구성을 취할 수도 있는 등 설계 사양에 따라 다양한 구성이 가능하다.
스위치 노브 가이드(3110)의 일면 상으로 하기되는 스위치 노브 바디(3140)에 대응하는 위치에는 스위치 노브 바디(3140)의 가동을 안내하기 위한 스위치 노브 가이드 관통구(3111)이 배치되는데, 스위치 노브 가이드 관통구(3111)는 스위치 노브 바디(3140)의 가동 방향을 따라 장방향 형성된다. 이와 같은 구성을 통하여 본 고안에 따른 스위치 노브 바디는 안정적인 가동 상태를 형성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스위치 노브 가이드(3110)는 한 개가 배치되고 스위치 노브 가이드(3110)에 복수 개의 스위치 노브 가이드 관통구(3111)가 배치되는데, 이는 본 고안의 일예로서 스위치 노브 가이드(3110)는 하기되는 각각의 스위치 노브 커버(3100)마다 개별적으로 형성되는 구조를 취할 수도 있는 등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스위치 노브 가이드(3110)의 외측에는 스위치 노브 리스트릭터(3130)가 더 구비될 수 있는데, 이와 같은 구성을 통하여 스위치 노브부를 통하여 이물의 하우징 내부로의 유입 방지 등을 보다 공고하게 이룰 수 있다. 스위치 노브 리스트릭터(3130)의 중앙에는 리스트릭터 관통구(3131)가 배치되고, 리스트릭터 관통구(3131)를 통하여 스위치 노브 가이드(3110)의 일단이 관통 배치된다. 스위치 노브 리스트릭터(3130)의 외주에는 리스트릭터 장착부(3135)가 배치되고 리스트릭터 장착부(3135)의 대응되는 위치로 스위치 노브 가이드(3110)에는 리스트릭터 장착 대응부(3115)가 배치되는데, 리스트릭터 장착부(3135)와 리스트릭터 장착 대응부(3135)는 서로 맞물리어 체결되는 구조를 취한다.
스위치 노브 가이드(3110) 및 스위치 노브 리스트릭터(3130)의 상부에는 스위치 노브 커버(3100)와 스위치 노브 커버 캡(3120)이 배치된다. 스위치 노브 커버(3100)는 스위치 노브 가이드(3110)의 상부에 가동 가능하게 배치되는데, 스위치 노브 커버(3100)의 일면 상에는 노브 커버 캡 장착부(3101)가 구비되고 스위치 노브 커버 캡(3120)에는 노브 커버 캡 장착부(3101)의 대응되는 위치에 캡 장착부(3121)가 배치된다. 캡 장착부(3121)는 노브 커버 캡 장착부(3101)와 서로 맞물리어 체결되는 구조를 취하는데, 스위치 노브 커버 캡(3120)의 스위치 노브 커버(3100)의 일면 상에 안착되는 구조를 취한다. 본 실시예에서 스위치 노브 커버 캡과 스위치 노브 커버는 서로 별개의 구성으로 도시되었으나 설계 사양에 따라 일체로 형성되는 구조를 취할 수도 있는 등 설계 사양에 따라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스위치 노브 바디(3140)는 스위치 노브 가이드(3110)에 형성된 스위치 노브 가이드 관통구(3111)를 관통하여 스위치 노브 가이드(3110)의 상부에 배치되는 스위치 노브 커버(3100)와 연결되어 사용자에 의하여 스위치 노브 커버(3100)에 외력이 가해지는 경우 스위치 노브 커버(3100)에 가해지는 외력은 스위치 노브 바디(3140)로 전달되어 소정의 슬라이딩 운동을 실행한다. 본 실시예에서 스위치 노브 바디(3140)는 로드 타입으로 구현되는데, 스위치 노브 바디(3140)의 일단은 스위치 노브 가이드(3110)의 스위치 노브 가이드 관통구(3111)를 관통하여 스위치 노브 커버(3100)와 연결된다.
도 5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스위치 노브 커버(3100)의 하단에는 스위치 노브 바디 수용부(3103)이 배치되는데, 스위치 노브 바디(3140)의 단부는 스위치 노브 바디 수용부(3103)에 맞물리어 양자 간의 안정적인 상호 체결 구조를 형성한다. 본 실시예에서 스위치 노브 바디(3140)는 이와 같은 구성을 통하여 서로 맞물리는 구조를 취한다. 도 6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스위치 노브 바디(3140)의 단부로 스위치 노브 바디 수용부(3103)을 향한 단부에는 스위치 노브 바디 장착 돌기(3145)가 배치되는데, 스위치 노브 바디 장착 돌기(31450)는 스위치 노브 바디 수용부(3103)에 끼워 맞춤되는 구조를 취함으로써 사용자에 의하여 스위치 노브 커버(3100)를 가압하는 경우 스위치 노브 커버(3100)와 스위치 노브 바디(3140) 간의 이격으로 인한 소음 발생을 방지할 수도 있다.
또한, 이와 같이, 스위치 노브 커버(3100)와 스위치 노브 바디(3140)가 서로 맞물리는 경우 안정적인 슬라이딩 운동을 이루기 위한 구성요소가 더 구비될 수도 있다. 즉, 스위치 노브 가이드(3110)의 일면 상에는 스위치 노브 가이드 커버 지지부(3117)이 배치되는데, 스위치 노브 가이드 커버 지지부(3117)는 스위치 노브 바디(3140)와 스위치 노브 커버(3100)가 스위치 노브 가이드(3110)을 관통하여 상호 체결되고 스위치 노브 커버(3100)에 외력이 인가되는 경우 스위치 노브 커버(3100) 및 스위치 노브 바디(3140)의 원활한 슬라이딩 가동을 지지하는 구조를 취할 수도 있다.
스위치 노브 바디(3140)는 하우징의 내부에서 슬라이딩 가동되는데,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위치 노브부(310)는 하우징(100)에 위치 고정되어 배치되는 스위치 노브 하우징(3150)을 포함한다. 스위치 노브 하우징(3150, 도 6 참조)는 노브 하우징 바디 수용부(3151)와 노브 하우징 장착부(3152)를 구비하는데, 스위치 노브 하우징(3150)의 중앙에는 관통구 내지 수용 공간으로서의 노브 하우징 바디 수용부(3151)가 배치된다. 노브 하우징 바디 관통구(3151)에는 스위치 노브 바디(3140)가 가동 가능하게 수용 배치된다. 스위치 노브 하우징(3150)의 외측에는 노브 하우징 장착부(3152)가 구비되고 하우징 바디(110)의 내측 하면에는 인쇄회로기판(200)을 향하여 연장 형성되는 바디 노브 홀딩부(117)가 배치되고 노브 하우징 장착부(3152)의 대응되는 위치로 바디 노브 홀딩부(117)에는 노브 홀딩 관통구(118)가 배치된다. 노브 하우징 장착부(3152)는 노브 홀딩 관통구(118)에 삽입 장착되는데, 이때 노브 하우징 바디 수용부(3151)에는 스위치 노브 바디(3140)가 수용 배치된다. 따라서, 스위치 노브 바디(3140)는 스위치 노브 하우징(3150)을 통하여 하우징 바디(110)의 하면에 안정적으로 슬라이딩 운동 가능하게 배치된다.
한편,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위치 노브 바디(3140)의 원활한 슬라이딩 운동을 이루기 위한 구성요소가 더 구비될 수도 있다. 즉, 스위치 노브 바디(3140)에는 노브 바디 가이드(3143)가 배치되고 스위치 노브 하우징(3150)의 단부에는 노브 하우징 바디 가이드(3153)가 배치되는데, 노브 바디 가이드(3143)는 스위치 노브 하우징(3150)의 단부 상의 노브 하우징 바디 가이드(3153) 상에서 슬라이딩 운동 가능하게 배치된다. 따라서, 노브 바디 가이드(3143)는 스위치 노브 하우징(3150)의 노브 하우징 바디 가이드(3153)과 면접촉 내지 최소한 선접촉 구조를 이루어 원활하면서도 스위치 노브 바디(3140)의 안정적인 활주 운동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스위치 노브 바디(3140)는 스위치 노브 하우징(3150)의 노브 하우징 바디 관통구(3151)에서 안정적인 가동을 위한 구성요소가 더 구비될 수도 있다. 즉, 도 6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스위치 노브 바디(3140)의 하단으로 스위치 노브 하우징(3150)의 노브 하우징 바디 관통구(3151)에 수용되는 영역에는 노브 바디 측부 가이드(3147)가 더 구비되는데, 노브 바디 측부 가이드(3147)는 일면의 법선이 스위치 노브 바디(3140)의 가동 방향에 수직하도록 배치된다. 즉, 노브 바디 측부 가이드(3147)는 이와 마주하는 스위치 노브 하우징(3150)의 내측면과 평행하게 배치되어 스위치 노브 바디(3140)가 스위치 노브 하우징(3150)의 내부에서 가동되는 경우 원활한 슬라이딩 운동을 이루도록 한다.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파워 시트 스위치 모듈(10)은 시소 가동부(330)을 포함하는데, 시소 가동부(330)는 슬라이딩 운동을 이루는 스위치 노브부(310)에 의하여 가동되어 시소 운동을 함으로써 푸시 스위치(320)를 가동시킨다. 본 실시예에 따른 시소 가동부(330)는 스위치 노브부(310)의 스위치 노브 하우징(3150)에 회동 가능하게 수용 장착된다. 시소 가동부(330)는 가동부 회동 지지부(331)와 가동부 가압부(339)를 포함하는데, 가동부 회동 지지부(331)는 시소 가동부(330)의 측부에 배치된다. 스위치 노브 하우징(3150)의 노브 하우징 시소 지지부(3155)가 배치되고, 노브 하우징 시소 지지부(3155)를 중심으로 양측에는 스위치 노브 하우징(3150)의 관통부가 형성된다.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소 가동부(330)의 가동부 회동 지지부(331)는 스위치 노브 하우징(3150)의 노브 하우징 시소 지지부(3155)에 회동 가능하게 맞물리어 지지되는 구조를 취하고, 시소 가동부(330)의 하단부는 노브 하우징 시소 지지부(3155)의 양측에 형성되는 관통부를 통하여 인쇄회로기판(200)을 향하여 노출 배치된다. 시소 가동부(330)의 인쇄회로기판(200)을 향하여 스위치 노브 하우징(3150)을 관통하여 배치되는 시소 가동부(330)의 단부에는 가동부 가압부(339)가 배치되고, 가동부 가압부(339)는 푸시 스위치와 상시 접촉 상태를 형성한다. 즉, 스위치 노브부에 외력이 가해지지 않은 정상 상태의 경우, 가동부 가압부(339)와 상시 접촉 상태를 이루는 한 쌍의 푸시 스위치(320)는 소정의 탄성력을 구비하여 가동부 가압부(339)를 지지하는 구조를 취한다.
스위치 노브 바디(3140)가 가동되어 시소 가동부(330)의 일측을 가압하는 경우 시소 가동부(330)는 스위치 노브 하우징(3150)에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는 구조를 취하여 시소 가동부(330)가 일측 방향으로 회동하는 경우, 가동부 가압부(339) 는 한 쌍의 푸시 스위치(320) 중 어느 일측의 푸시 스위치를 가압하여 소정의 전기적 신호의 변화 내지 소정의 전기적 신호를 생성한다.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딩 스위치 유니트(300)는 사용자에 의한 외력이 제거되는 경우 스위치 노브부의 소정의 원위치 복귀를 이루기 위한 구성요소를 더 구비할 수도 있다.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위치 유니트(300)는 스위치 노브 디텐트(3160)를 더 구비하는데, 스위치 노브 디텐트(3160)는 디텐트 탄성부(3161)와 디텐트 핀(3163)와 가동부 컨택부(333)을 포함한다. 디텐트 탄성부(3161)는 스위치 노브부(310)에 배치되는데, 스위치 노브부(310)의 스위치 노브 바디(3140)의 하단으로 인쇄회로기판(200)을 향한 일면에는 노브 바디 수용부(3141)가 형성된다. 노브 바디 수용부(3141)에 디텐트 탄성부(3161)가 배치되는데, 디텐트 탄성부(3161)는 노브 바디 수용부(3141)에서 탄성 가압 가능하다. 디텐트 핀(3163)은 일단이 디텐트 탄성부(3161)에 의하여 탄성 지지된다. 가동부 컨택부(333)는 시소 가동부(330)의 상단으로 디텐트 핀(3163)과 마주하는 일면 상에 배치되는데, 가동부 컨택부(333)는 중립 컨택부(335)와 가압 컨택부(337)를 구비한다. 중립 컨택부(335)는 가동부 컨택부(333)의 중앙에 형성되고 가압 컨택부(337)는 중립 컨택부(335)를 사이에 두고 양측에 배치되는데, 중립 컨택부(335)와 가압 컨택부(337)는 V자 형상의 중앙부와 양단을 형성한다. 따라서, 사용자에 의하여 스위치 노브 바디(3140)이 슬라이딩 가동되는 경우 디텐트 핀도 스위치 노브 바디(3140)와 함께 슬라이딩 가동되고 디텐트 핀(3163)의 단부와 접촉 상태를 형성하는 가압 컨택부(337)와 접촉 상태를 형성하여 시소 가동부(330)는 시소 회동 운동을 하고, 시소 가동부(330)는 한 쌍의 푸시 스위치 중 하나를 가압 가동시킨다. 사용자에 의한 외력이 제거되는 경우 디텐트 탄성부(3161)의 복원력에 의하여 언스테이블 상태로서의 가압 컨택부(337)와의 접촉이 해제되고 스테이블 상태로서의 중립 컨택부(335)와 디텐트 핀(3163)의 단부 간의 접촉 상태를 형성하여 시소 가동부(330)의 중립 상태 형성으로 스위치 노브 바디 (3140)의 원위치 복귀를 이룰 수 있다.
한편,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파워 시트 스위치 모듈의 슬라이딩 스위치 유니트는 복수 개가 구비되고, 스위치 노브부가 하우징에 차량 시트 형상으로 배치된다. 즉,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위치 노브부(310)의 스위치 노브 바디(3140)는 복수 개가 배치되는데, 복수 개의 스위치 노브부의 형상은 차량 시트 형상을 구비하도록 배치되어 사용자가 조작하고자 하는 파워 시트 기능을 신속하고 정확하게 조작 가능하다. 예를 들어 시트의 전후 이동 내지 전/후방 승하강 조작을 하고자 하는 경우 사용자는 차량 시트의 착석부에 대응되는 스위치 노브 바디(3140)를 의 전후방 이동에 대응하는 도면 상에서의 좌우 이동 내지 착석부의 전/후방 승하강에 대응하는 스위치 노브 바디의 양단부의 상하 이동으로 조작함으로써 착석부에 대응하는 스위치 노브 바디의 하부에 배치되는 복수 개의 시소 가동부 및 푸시 스위치를 가동시켜 소정의 선택 기능에 대응하는 전기적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차량 시트의 등받이의 경사를 조작하고자 하는 경우 차량 시트 등받이 형상의 슬라이딩 스위치 유니트의 스위치 노브부의 스위치 노브 바디를 회동시켜 소정의 차량 시트 등받이의 경사를 조정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의 슬라이딩 스위치 유니트의 인근에는 다른 스위치 구성요소가 더 구비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파워 시트 스위치 모듈(10)은 버튼 스위치로서의 모드 스위치부(400)가 배치되는데, 모드 스위치부(400)는 모드 스위치 노브부(410)와 모드 스위치(420)를 포함한다. 모드 스위치 노브부(410)는 모드 노브 바디(411)와 모드 바디 블록(412)와 모드 노브 바디 가이드(413)와 모드 노브 바디 리스트릭터(414)와 모드 노브 바디 플런저(415)를 포함하는데, 모드 노브 바디 가이드(413)는 하우징(100)의 모드 스위치부(400)의 장착 위치에 장착된다. 모드 노브 바디 가이드(413)에는 모드 노브 바디(411) 및 모드 노브 바디 블록(412)의 관통을 허용하는 관통구가 배치되고 모드 노브 바디 가이드(413)의 상부에는 모드 노브 바디 리스트릭터(414)가 배치되어 하우징으로의 이물 유입을 방지할 수 있다. 모드 노브 바디(411)와 모드 노브 바디 블록(412)은 서로 개별 구성요소로 구성되었으나 서로 일체로 형성되는 구성을 취할 수도 있는 등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모드 노브 바디 가이드(413)의 대응되는 위치로 하우징(100)에는 모드 노브 바디 관통구(115)을 구비하는데, 모드 노브 바디 가이드(413)에 의하여 가동이 안내 가능한 모드 노브 바디(411)는 모드 노브 바디 관통구(115)를 관통한다. 모드 노브 바디(411)의 하부에는 모드 노브 바디 플런저(415)가 배치되는데, 모드 노브 바디 플런저(415)는 모드 노브 바디(411)에 제공되는 가압력을 모드 스위치(420)로 전달한다. 여기서, 모드 스위치(420)는 본 실시예에서 택트 스위치로 구현되는데, 가압력이 제거된 후 모드 노브 바디(411)을 원위치 복귀시킬 수 있는 소정의 탄성 복원력을 제공하는 범위에서 다양 한 변형이 가능하다. 이와 같은 모드 스위치부(400)는 사용자에 의하여 차량 시트의 소정의 위치 내지 소정의 등받이 경사 내지 소정의 착석부 승하강 위치가 사전 저장될 수 있는데, 저장 데이터는 파워 시트 스위치 모듈(10)의 인쇄회로 기판 상에 배치되거나 외부에 배치될 수 있는 저장부(미도시)에 저장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모드 스위치부(400)를 조작하는 경우 사전 설정되어 저장된 차량 시트에 대한 사전 설정 상태에 따라 차량 시트의 구동부에 소정의 전기적 신호를 인가함으로써 소정의 위치 확보를 이루어 사용자에게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실시예들은 본 고안을 설명하기 위한 일예들로, 본 고안이 이에 국한되지 않고 시소 가동부와 푸시 스위치가 상시 접촉 상태를 이루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딩 스위치 유니트를 구비하는 파워 시트 스위치 모듈에 대한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딩 스위치 유니트를 구비하는 파워 시트 스위치 모듈에 대한 다른 시점에 따른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딩 스위치 유니트를 구비하는 파워 시트 스위치 모듈에 대한 개략적인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파워 시트 스위치 모듈의 개략적인 정면도이다.
도 5는 도 4의 선 A-A를 따라 취한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딩 스위치 유니트의 개략적인 부분 분해 사시도이다.
도 7 및 도 8은 슬라이딩 스위치 유니트에 대한 개략적인 부분 확대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파워 시트 스위치 모듈 100...하우징
200...인쇄회로기판 300...슬라이딩 스위치 유니트
310...스위치 노브부 320...푸시 스위치
330...시소 가동부 400...모드 스위치부

Claims (8)

  1.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배치되는 인쇄회로기판; 상기 인쇄회로기판과 전기적 소통을 이루는 푸시 스위치와, 상기 푸시 스위치를 가동시키는 시소 가동부와, 상기 인쇄회로기판 상부에서 슬라이딩 운동하여 상기 시소 가동부를 시소 운동시키는 스위치 노브부를 구비하는 슬라이딩 스위치 유니트;를 구비하고, 상기 푸시 스위치는 쌍을 이루어 상기 시소 가동부의 각각의 단부에 배치되고, 상기 푸시 스위치와 상기 시소 가동부는 상시 접촉 상태를 이루고 상기 시소 가동부가 시소 운동을 하는 경우 상기 푸시 스위치가 가동되고,
    상기 시소 가동부는: 측부에 배치되고 상기 시소 가동부의 회동 운동을 지지하기 위한 가동부 회동 지지부와, 단부에 쌍을 이루며 배치되고 상기 푸시 스위치와 접촉 상태를 형성하는 가동부 가압부를 구비하고,
    상기 슬라이딩 스위치 유니트는 상기 시소 가동부의 시소 운동 후 원위치 복귀시키는 스위치 노브 디텐트를 더 구비하고, 상기 스위치 노브 디텐트는: 상기 스위치 노브부에 가동 가능하게 수용되는 수용되는 디텐트 탄성부와, 일단이 상기 디텐트 탄성부에 의하여 탄성 지지되는 디텐트 핀과, 상기 시소 가동부의 일면 상에 배치되고 상기 디텐트 핀의 타단과 상시 접촉 상태를 형성하는 가동부 컨택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워 시트 스위치 모듈.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 노브부는:
    상기 하우징에 위치 고정되어 배치되는 스위치 노브 하우징과,
    상기 스위치 노브 하우징에 의하여 지지되고 슬라이딩 운동을 이루는 스위치 노브 바디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워 시트 스위치 모듈.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시소 가동부는 상기 스위치 노브 하우징에 회동 가능하게 지지 장착되되, 상기 시소 가동부의 단부는 상기 인쇄회로기판을 향하여 상기 스위치 노브 하우징을 관통하여 배치되고 상기 푸시 스위치와 상시 접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워 시트 스위치 모듈.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 노브 바디의 외주에는 노브 바디 가이드가 연장 형성되고,
    상기 노브 바디 가이드는 상기 스위치 노브 하우징의 단부 상에서 슬라이딩 운동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워 시트 스위치 모듈.
  5. 삭제
  6. 삭제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딩 스위치 유니트는 복수 개가 구비되고, 상기 스위치 노브부는 상기 하우징에 차량 시트 형상으로 배치되고,
    상기 스위치 노브부는 상기 스위치 노브 바디의 가동을 안내하는 스위치 노브 가이드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워 시트 스위치 모듈.
  8. 인쇄회로기판; 상기 인쇄회로기판 상에 배치되는 스위치 노브 하우징과 상기 스위치 노브 하우징에 슬라이딩 운동 가능하게 배치되는 스위치 노브 바디를 구비하는 스위치 노브부; 상기 스위치 바디에 의하여 가동되고 상기 스위치 노브 하우징에 회동 가능하게 배치되는 시소 가동부; 상기 인쇄회로기판 상에 배치되고 상기 시소 가동부의 단부가 상기 스위치 노브 하우징을 관통하여 가동시키는 푸시 스위치를 구비하고, 상기 푸시 스위치는 쌍을 이루어 상기 시소 가동부 각각의 단부에 배치되고, 상기 푸시 스위치와 상기 시소 가동부는 상시 접촉 상태를 이루고 상기 시소 가동부가 시소 운동을 하는 경우 상기 푸시 스위치가 가동되고,
    상기 시소 가동부는: 측부에 배치되고 상기 시소 가동부의 회동 운동을 지지하기 위한 가동부 회동 지지부와, 단부에 쌍을 이루며 배치되고 상기 푸시 스위치와 접촉 상태를 형성하는 가동부 가압부를 구비하고,
    상기 시소 가동부의 시소 운동 후 원위치 복귀시키는 스위치 노브 디텐트가 더 구비되고, 상기 스위치 노브 디텐트는: 상기 스위치 노브부에 가동 가능하게 수용되는 수용되는 디텐트 탄성부와, 일단이 상기 디텐트 탄성부에 의하여 탄성 지지되는 디텐트 핀과, 상기 시소 가동부의 일면 상에 배치되고 상기 디텐트 핀의 타단과 상시 접촉 상태를 형성하는 가동부 컨택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딩 스위치 유니트.
KR2020090014784U 2009-11-13 2009-11-13 슬라이딩 스위치 유니트 및 이를 구비하는 파워 시트 스위치 모듈 KR20047141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14784U KR200471418Y1 (ko) 2009-11-13 2009-11-13 슬라이딩 스위치 유니트 및 이를 구비하는 파워 시트 스위치 모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14784U KR200471418Y1 (ko) 2009-11-13 2009-11-13 슬라이딩 스위치 유니트 및 이를 구비하는 파워 시트 스위치 모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5022U KR20110005022U (ko) 2011-05-19
KR200471418Y1 true KR200471418Y1 (ko) 2014-02-19

Family

ID=492945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90014784U KR200471418Y1 (ko) 2009-11-13 2009-11-13 슬라이딩 스위치 유니트 및 이를 구비하는 파워 시트 스위치 모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71418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5490Y1 (ko) * 2011-11-24 2013-02-21 대성전기공업 주식회사 스위치 유니트
KR101936896B1 (ko) 2017-06-26 2019-01-11 경창산업주식회사 버튼식 변속제어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62075A (ko) * 2006-12-29 2008-07-03 대성전기공업 주식회사 시소 스위치 모듈
KR20110005785U (ko) * 2009-12-04 2011-06-10 진형진 파워시트 콘트롤 스위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62075A (ko) * 2006-12-29 2008-07-03 대성전기공업 주식회사 시소 스위치 모듈
KR20110005785U (ko) * 2009-12-04 2011-06-10 진형진 파워시트 콘트롤 스위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5022U (ko) 2011-05-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689095A (en) Switching device
US20060243566A1 (en) Power seat operation switch
KR200471418Y1 (ko) 슬라이딩 스위치 유니트 및 이를 구비하는 파워 시트 스위치 모듈
KR101203688B1 (ko) 텀블러 스위치 유니트
KR200465882Y1 (ko) 스티어링 휠 리모컨 스위치 장치
KR102193126B1 (ko) 슬라이드 스위치 유니트
KR100692076B1 (ko) 자동차용 파워 시트 스위치의 컨텍트 구조
KR200400110Y1 (ko) 시트조절용 컨트롤러
KR200459979Y1 (ko) 패들 스위치 유니트
US6303884B1 (en) Safety controller serving as a power switch
KR101077442B1 (ko) 미러 스위치 유니트
KR101181636B1 (ko) 차량용 스티어링 휠 스위치 유니트
KR100896416B1 (ko) 차량용 스티어링휠 리모콘
KR101594626B1 (ko) 파워 윈도우 스위칭 시스템
KR101244117B1 (ko) 차량용 미러 스위치 장치
KR20100006451U (ko) 파워 윈도우 스위치 유니트
KR101271844B1 (ko) 차량 멀티 미러 스위치 유니트
KR101126484B1 (ko) 스위치 장치
CN220651883U (zh) 一种多功能方向盘的开关装置
KR200456539Y1 (ko) 스위치 유니트
JP6113032B2 (ja) 節度モジュール、操作スイッチ
CN211045322U (zh) 一种汽车音量控制组合开关
KR200461776Y1 (ko) 시트 워머 스위치 장치
KR20170090984A (ko) 차량용 스위치 장치
KR200488668Y1 (ko) 차량의 사이드 미러 컨트롤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1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1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16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