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05785U - 파워시트 콘트롤 스위치 - Google Patents

파워시트 콘트롤 스위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05785U
KR20110005785U KR2020090015750U KR20090015750U KR20110005785U KR 20110005785 U KR20110005785 U KR 20110005785U KR 2020090015750 U KR2020090015750 U KR 2020090015750U KR 20090015750 U KR20090015750 U KR 20090015750U KR 20110005785 U KR20110005785 U KR 20110005785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at
switch
control switch
driver
passenger sea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9001575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진형진
Original Assignee
진형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진형진 filed Critical 진형진
Priority to KR202009001575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10005785U/ko
Publication of KR2011000578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05785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5Electro-mechanical devices, e.g. switch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7/00Stowing or holding appliances inside vehicle primarily intended for personal property smaller than suit-cases, e.g. travelling articles, or maps
    • B60R7/04Stowing or holding appliances inside vehicle primarily intended for personal property smaller than suit-cases, e.g. travelling articles, or maps in driver or passenger space, e.g. using rack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5/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actuation in opposite directions, e.g. slide switch
    • H01H15/02Details
    • H01H15/06Movable parts; Contacts mounted thereon
    • H01H15/10Operating par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eats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자동차의자의 동반석을 운전자의 의지대로 움직일 수 있도록 기존의 막대형 스위치를 보조하는 파워시트 콘트롤 스위치 장치를 개시한다. 동반석의자의 오른쪽(도어방향)에 설치되어진 기존 막대형 스위치와 더불어 운전자의 손이 닿는 기어봉(Shift Lever)의 중앙판넬 근처에 별도의 콘트롤 스위치가 장착되고; 또는 동반석의자의 기존 막대형 스위치를 생략하고 일체형 콘트롤 스위치를 장착하거나 운전석과 동반석의 기존 막대형 스위치를 모두 생략하고 중앙판넬에 통합형 단일 콘트롤 스위치를 장착하여 동반석과 뒷자석 탑승자의 유무와 상황에 따라 운전자가 그때 그때 상황을 판단하여 조작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파워시트 콘트롤 스위치(Powerseat Control Switch), 기어봉(Shift Lever), 중앙판넬, 동반석, 뒷자석

Description

파워시트 콘트롤 스위치{Powerseat control switch}
본 고안은 자동차 동반석의자의 파워시트(전동식 의자)를 작동시키는 콘트롤 스위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운전석에서 운전자의 손이 닿는 거리에 콘트롤 스위치를 보조로 설치하거나 일체형 및 통합형 단일스위치를 설치하여 동반석이나 뒷자석에 앉는 탑승객의 유무 및 상황에 따라 운전자가 동반석의자를 자유롭게 이동 및 설정할 수 있도록 하는 자동차 동반석의자의 파워시트 콘트롤 스위치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자동차 동반석의자의 보조 콘트롤 스위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동반석의자의 오른쪽에만 설치되어있는 콘트롤 스위치(기존 막대형 스위치)를 운전석에서도 조작할 수 있게 기어봉(Shift Lever) 주변의 중앙판넬에 설치함으로써 동반석과 뒷자석의 탑승객 유무와 상황에 따라 운전자가 자유롭게 판단하여 동반석의자를 움직일 수 있도록 하는 자동차 동반석의자의 기존 막대형 스위치를 보조하는 파워시트 콘트롤 스위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동반석의자 파워시트의 스위치는 오른쪽(도어방향)에 설치되고 수직형과 수평형의 두 개의 막대형 스위치로 의자와 등받이의 전`후진을 자동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한 기기이다.
파워시트 아랫쪽에 위치한 두 개의 전기모터가 배터리로부터 동력을 공급받아 작동하게 되고 수평막대스위치는 주로 의자의 전`후진을 담당하고, 수직막대스위치는 등받이의 세워짐과 뉘여짐을 담당한다.
차량의 제작과정에서 휠베이스(Wheelbase)와 윤간거리`축간거리의 설계상의 한계로 실내공간이 비교적 좁을 수 밖에 없고 앞좌석과 뒷자석의 편안함을 동시에 누릴 수 없는 것이 현실이며, 이는 전동식 파워시트가 등장하면서 비교적 해결점을 제공해 왔다.
그러나 이러한 동반석의자의 오른쪽 플라스틱 판넬커버에 설치된 기존 막대형 스위치는 동반석에 탑승자가 있을 때만 그로 인해 조작이 가능하고 부재시에는 운전자가 동반석 스위치까지 손이 닿지 않는 관계로 뒷 자석에 앉아있는 사람을 위해서 의자를 앞으로 밀어주거나 접어주는 적절한 배려를 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물론 동반석 시트의 등받이 왼쪽 측면에 별도의 워크인(Work in)스위치(22)가 있어서 뒷자석 탑승자가 직접 조작이 가능한 차량도 있지만 이는 주로 대형 고급세단에만 적용되며 여전히 운전자가 조작하기에 불편한 위치에 있고 운전중 전방주시의무에 부담을 주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본 고안의 목적은 동반석에 탑승자가 있으나 없으나 운전석에서 모든 상황을 통제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기어봉(Shift Lever)이 있는 중앙판넬에 별도의 스위치를 설치하거나 또는 대시보드(Dashboard)나 운전석 도어트림(Doortrim)에도 설치가 가능하며 다양한 상태에서 사용이 가능하도록 하는 자동차 동반석의 보조,또는 일체형 및 통합형 단일 파워시트 콘트롤 스위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본 고안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자동차 동반석의 보조,또는 일체형 및 통합형 단일 파워시트 콘트롤 스위치는 기어봉이 있는 중앙 판넬에 설치되고 4개의 버튼으로 구성된 스위치로 전`후 버튼은 의자의 전`후진을 담당하고, 좌`우 버튼은 등받이의 세워짐과 뉘어짐을 담당하며, 또한 상기의 기능과 함께 추가로 의자높이의 전체적인(또는 부분) 상승과 하강의 기능을 가지는 버튼을 추가할 수 있고, 스위치 중앙의 버튼은 전체작동의 잠금과 해제기능을 담당하며 차종과 등급에 따라 스위치에 4가지에서 6가지 기능의 버튼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자동차 동반석의 보조,또는 일체형 및 통합형 단일 파워시트 콘트롤 스위치는 운전석에서 모든 상황을 판단하고 통제할 수 있도록 함을 목적으로 동반석과 뒷자석의 상황을 자유롭게 판단하고, 한정된 실내공간을 보다 효율적으로 사용함으로써 탑승자의 불편을 최소화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타인의 차량을 호의동승으로 이용하는 상황에서 미안한 마음에 내차 처럼 편하게 의자의 위치나 자세를 연출하지 못하는 불편한 상황을 감수하며 목적지까지 가야하는 경우가 비일비재(非一非再)하며 이는 운전자의 배려와 관심이 필요조건으로 대두되고 있다. 운전자의 손이 닿는 범위에 파워시트 콘트롤 스위치를 설치하고 적절한 상황에 맞춰 직접 조작을 해 줌으로써 탑승자의 긴장과 불편함을 해소하여 줄 수 있고 본인의 차량을 이용하는 탑승객에게 즐거움과 안락함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의자의 파워시트 콘트롤 스위치는 대부분 막대형 스위치로 구성되며,의자의 측면에 장착되고 눈으로 볼 수 없는 상황에서 조작이 이루워지며 원하는 스위치의 버튼을 바로 찾지 못하여 헤매는가 하면 잘못 누르거나 당겨서 오작동을 일으키는 경우가 많다. 참고로 자동차의 열선시트(Heating Seat)의 스위치도 초기에는 의자의 일측에 장착되어 불편함을 주다가 요즘에 와서는 대시보드(32) 즉 눈에 보이는 공간에 설치되는 추세이다. 파워시트 콘트롤 스위치(10,11,12) 또한 눈에 보이는 중앙판넬(31)이나, 대시보드(32)및 도어트림(33)에 설치함으로써 편리함과 우아함을 아울러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각 의자에 별도로 설치하는 스위치를 통합형으로 바꾸면 생산라인 단축과 부대비용 및 예산절감에도 기여하는 바가 크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 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파워시트가 장착된 자동차 동반석의자의 샤시입체도이고, 도 2는 동반석의자의 측면입체도이고, 도 3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인 파워시트 콘트롤 스위치가 설치된 자동차의 실내 입체도이고, 도 4는 도 3에 도시된 보조 파워시트 콘트롤 스위치(10)의 입체도이며, 도 5는 동반석 파워시트의 기존 막대형 스위치를 생략하고 운전석과 겸용으로 사용할 수 있는 일체형 파워시트 콘트롤 스위치(11)의 입체도이며, 도 6은 운전석과 동반석의 기존 막대형 스위치를 모두 생략하고 하나의 통합형 단일 파워시트 콘트롤 스위치(12)를 장착한 입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바람직한 제1 실시예인 파워시트 콘트롤 스위치(10,11,12)가 장착된 자동차의자는 시트본체와 시트본체의 일측 내부에 형성되는 두 개의 회동모터(40,41)와 레일장치(45)로 이루어지고 회동모터와 레일을 감싸는 프라스틱 판넬커버(50)가 설치되며 그 옆으로 막대형 스위치(20,21)가 장착된다.
파워시트의 전동장치는 제1 회동모터(40)가 시트본체의 일측에 설치되어 외부로부터 공급된 전기동력을 이용해 시트를 전`후로 전진 및 후퇴할 수 있도록 레일장치(45)가 설치되고 회동모터를 구동시키는 구동부가 내설된다. 또한 시트의 등받이의 세워짐과 뉘어짐을 담당하는 또 다른 제2 회동모터(41)가 설치되며 구동부가 내설된다.
상기 기존 막대형 스위치(20,21)는 시트의 아랫부분의 전면과 옆면을 감싸는 프라스틱 판넬커버(50)에 설치되며 등받이의 세워짐과 뉘어짐을 제어하는 수직막대 형 스위치(21); 시트의 전진과 후퇴를 제어하는 수평막대형 스위치(20)가 장착되며 이는 버튼식 스위치로 대신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제1 실시예인 자동차 동반석의 보조 파워시트 콘트롤 스위치(10)가 기존 막대형 스위치(20,21)를 보조하며 작동되는 과정은 다음과 같다.
동반석의자의 기존 막대형 스위치(20,21)와 더불어 기어봉(30)이 있는 중앙판넬(31)에 콘트롤 스위치(10)가 추가로 장착되며 이를 운전자가 파워시트를 사용하기 위해 스위치(10)를 작동시키면 각 4개의 종류별로 스위치의 특성에 따라 의자의 위치가 이동하고 움직이게 된다. 파워시트의 전진버튼(10a)은 의자의 전체적인 전진을, 파워시트의 후진버튼(10b)은 의자의 전체적인 후진을 담당하며, 등받이(51)의 세워짐버튼(10c)은 전방으로의 상승을, 등받이(51)의 뉘어짐버튼(10d)는 후방으로의 하강을 실행하게 된다.
보조 파워시트 콘트롤 스위치(10)의 각 버튼은 누르는 동안만 작동하게 되고 동반석의자 오른쪽 플라스틱 판넬커버(50)에 부착된 기존 막대형 스위치(20,21) 또는 버튼식 스위치와 상호 호환이 되며 한번 누르면 잠기고 다시 누르면 해제되는 잠금장치(15)가 스위치 중앙에 별도로 설치되어 실수로 인한 오작동을 방지하게 된다.
마찬가지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제2 실시예인 자동차 동반석의 일체형 파워시트 콘트롤 스위치(11)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동반석의자 오른쪽 플라스틱 판넬커버(50)에 설치된 기존막대형 스위치(20,21)를 생략하고 기어봉(30)이 있는 중앙판넬(31)에 설치함으로써 동승자는 물론이고 운전자도 동반석의자의 파워시트기능을 동승자와 같이 사용할 수 있는 하나의 일체형 파워시트 콘트롤 스위치(11)를 설치한다. 각 6개의 각기 다른 기능을 가진 버튼이 준비되어있고, 스위치의 특성에 따라 의자의 위치가 이동하고 움직이게 된다.
위에서 언급한바 있는 파워시트의 전진버튼(11a)은 의자의 전체적인 전진을, 파워시트의 후진버튼(11b)은 의자의 전체적인 후진을 담당하며, 등받이의 세워짐버튼(11c)은 전방으로의 상승을, 등받이(51)의 뉘어짐버튼(11d)은 후방으로의 하강을 실행하고, 엉덩이받이(52)의 상승버튼(11e)은 수직상승을, 엉덩이받이(52)의 하강버튼(11f)은 수직하강을 하게 된다.
실시예 1과 같이 일체형 파워시트 콘트롤 스위치(11)는 누르는 동안만 작동하게 되고 잠금장치(15)를 설치하여 한번 누르면 모든 기능이 잠기고 다시 한번 누르면 모든 기능이 해제되는 기능을 갖추는 구조로 구성된다.
마찬가지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제3 실시예인 통합형 단일 파워시트 콘트롤 스위치(12)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운전석의자의 왼쪽에 있는 기존 막대형 스위치(20,21)와 동반석의자의 오른쪽에 있는 기존 막대형 스위치(20,21)를 모두 생략하고 기어봉(30)이 있는 중앙판넬(31)에 하나의 통합형 단일 스위치(12)를 설치한다. 4개에서 6개의 각기 다른 작동기능의 버튼을 가지며 특히 스위치의 중앙에는 운전석과 동반석을 구분해서 작동시킬 수 있는 작은 막대형 레버스위치(16)가 위치한다. 레버를 중앙에 두면 잠금기능(Hold)을 하고 좌측으로 젖히면 운전석의 파워시트기능을, 우측으로 젖히면 동반석의 파워시트기능을 담당하는 구조로 구성되며, 그외의 구성 및 작동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제2 실시예와 동일하다.
이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바람직한 실시예인 자동차 동반석의 보조(10) 또는 일체형(11) 및 통합형 단일(12) 파워시트 콘트롤 스위치는 운전자의 손이 닿는 위치에 이를 장착함으로써 탑승자의 상황에 따라 운전자의 생각과 의지대로 동반석의자의 파워시트기능을 적절히 활용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본 고안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고안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이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된다.
도 1은 본 고안의 이해를 돕기 위한 파워시트 회동모터가 장착된 자동차 동반석의자의 샤시입체도
도 2는 본 고안의 이해를 돕기 위한 워크인(Work-in)스위치가 장착된 동반석의자의 측면입체도
도 3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인 파워시트 콘트롤 스위치가 중앙판넬에 장착된 자동차 실내입체도
도 4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제1 실시예인 보조 파워시트 콘트롤 스위치를 장착한 입체도
도 5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제2 실시예인 일체형 파워시트 콘트롤 스위치를 장착한 입체도
도 6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제3 실시예인 통합형 단일 파워시트 콘트롤 스위치를 장착한 입체도

Claims (4)

  1. 자동차 동반석의자의 파워시트 조작에 있어서 동반석의 오른쪽(도어방향)에 있는 기존 막대형 스위치;
    상기 막대형 스위치를 보조하는 스위치로 운전석에서 운전자의 손이 닿는 범위 안에서 조작할 수 있도록 별도로 설치된 보조 스위치를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동반석의 보조 파워시트 콘트롤 스위치(10)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콘트롤 스위치는
    기어봉이 있는 중앙판넬이나, 운전석 대시보드 및 운전석 도어트림에 설치되어 지며, 4개의 버튼기능과 중앙에 잠금장치버튼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동반석의 보조 파워시트 콘트롤 스위치(10)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콘트롤 스위치는 동반석의자에 장착된 기존 막대형 스위치를 생략하고 기어봉이 있는 중앙판넬에 설치함으로써 운전자와 동반석 탑승자가 겸용으로 사용 가능하고, 6개의 버튼기능과 중앙에 잠금장치버튼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동반석의 일체형 파워시트 콘트롤 스위치(11)
  4. 제 1항에 있어서 콘트롤 스위치는 운전석의자와 동반석의자에 장착된 기존 막대형 스위치를 모두 생략하고 기어봉이 있는 중앙판넬에 통합형 단일 스위치를 설치하여 사용하며, 6개의 버튼기능과 운전석과 동반석의 선택 작동을 위해 중앙에 작은 막대형 스위치가 장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통합형 단일 파워시트 콘트롤 스위치(12)
KR2020090015750U 2009-12-04 2009-12-04 파워시트 콘트롤 스위치 KR20110005785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15750U KR20110005785U (ko) 2009-12-04 2009-12-04 파워시트 콘트롤 스위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15750U KR20110005785U (ko) 2009-12-04 2009-12-04 파워시트 콘트롤 스위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5785U true KR20110005785U (ko) 2011-06-10

Family

ID=492951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90015750U KR20110005785U (ko) 2009-12-04 2009-12-04 파워시트 콘트롤 스위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10005785U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1418Y1 (ko) * 2009-11-13 2014-02-19 대성전기공업 주식회사 슬라이딩 스위치 유니트 및 이를 구비하는 파워 시트 스위치 모듈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1418Y1 (ko) * 2009-11-13 2014-02-19 대성전기공업 주식회사 슬라이딩 스위치 유니트 및 이를 구비하는 파워 시트 스위치 모듈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04870639U (zh) 用于机动车辆的座椅组件
CN102050039A (zh) 用于车辆的座椅
JP4720416B2 (ja) 車両用シート
JP2020516517A (ja) 自動車、特に自律的自動車の座席システム
KR101852883B1 (ko) 자율주행 차량용 전동식 시트 구동 장치
KR200476827Y1 (ko) 시트쿠션 익스텐션 장치
KR20110005785U (ko) 파워시트 콘트롤 스위치
KR101499998B1 (ko) 시트쿠션 익스텐션 장치
CN203766562U (zh) 座椅用坐卧动作机构及使用该机构的座椅
KR101559182B1 (ko) 시트쿠션 익스텐션 장치
JP2016203692A (ja) 車室内構造
JP2022001487A (ja) 乗り物用シート及び乗り物用ユニット
JP2013163402A (ja) 車両用後席シート
CN114728603A (zh) 车辆座椅系统
KR101876922B1 (ko) 듀얼 페달을 통한 안전 및 조작 기능이 강화된 패밀리 전동차량
CZ2008538A3 (cs) Systém ovládání sedadla automobilu
JP2819138B2 (ja) ヘッドレスト制御方法、ヘッドレスト制御装置およびヘッドレスト駆動機構
CN114889505B (zh) 车辆后排座椅及车辆
JP2005306322A (ja) 車両用シート装置
JPH11240365A (ja) 車両のシート装置
CN219115284U (zh) 座椅结构及车辆
KR200424766Y1 (ko) 자동차용 시트
KR100461142B1 (ko) 자동차용 시트쿠션 인출 장치
JP2005118323A (ja) 車両のシート構造
WO2022255470A1 (ja) 表示システム及び車両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