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106754A - 자동차용 사이드미러 제어스위치 - Google Patents

자동차용 사이드미러 제어스위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106754A
KR20050106754A KR1020040031781A KR20040031781A KR20050106754A KR 20050106754 A KR20050106754 A KR 20050106754A KR 1020040031781 A KR1020040031781 A KR 1020040031781A KR 20040031781 A KR20040031781 A KR 20040031781A KR 20050106754 A KR20050106754 A KR 2005010675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irror
button
contact
cover
push butt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317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564243B1 (ko
Inventor
박운택
오창묵
Original Assignee
대성전기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성전기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대성전기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0317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64243B1/ko
Publication of KR200501067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10675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642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64243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5/00Switches with compound movement of handle or other operating part
    • H01H25/04Operating part movable angularly in more than one plane, e.g. joystic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00Optical viewing arrangements; Real-time viewing arrangements for drivers or passengers using optical image capturing systems, e.g. cameras or video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or on vehicles
    • B60R1/10Front-view mirror arrangements; Periscope arrangements, i.e. optical devices using combinations of mirrors, lenses, prisms or the like ; Other mirror arrangements giving a view from above or under the vehicl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02Details
    • H01H13/12Movable parts; Contacts mounted thereon
    • H01H13/14Operating parts, e.g. push-butt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3/00Tumbler or rocker switches, i.e. switches characterised by being operated by rocking an operating member in the form of a rocker button
    • H01H23/02Details
    • H01H23/12Movable parts; Contacts mounted there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231/00Applications
    • H01H2231/026Ca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witches With Compound Operations (AREA)

Abstract

자동차용 사이드미러 제어스위치는 커버와 커버 내측에 설치되어 미러의 사방으로의 방향을 제어하는 미러방향제어부 커버 상면에 형성되어, 미러방향제어부에 소정의 신호를 보내는 미러버튼과 미러버튼과 소정 이격 형성되어 소정의 신호를 보내는 폴딩버튼 및 커버와 결합되는 하부커버를 포함한다. 여기서, 미러방향제어부의 제어기판은 미러버튼과 폴딩버튼을 연결하도록 복수개의 누름버튼세트가 그 상면에 솔더링되어 설치되되, 누름버튼세트는 다수개의 스위치부품을 일체형으로 포함하여 형성된다.

Description

자동차용 사이드미러 제어스위치{Side Mirror Control Switch For An Automobile}
본 발명은 자동차용 사이드미러 제어스위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사이드미러의 방향 및 접힘신호를 주기위한 미러 및 폴딩버튼과 연동되는 다수개의 스위치부품을 누름버튼세트로 일체화하여 제어기판 상면에서 솔더링(Soldering)시킨 자동차용 사이드미러 제어스위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 좌·우측 외부에는 운전중이나 정차중에 후방을 용이하게 관찰 할 수 있도록 사이드미러가 설치된다.
그러나, 이와 같이 설치된 사이드미러는 운전석에 앉는 운전자의 체격에 따라 후방에 보이는 각도와 방향이 모두 다르기 때문에 운전자가 필요한 방향의 후방을 용이하게 관찰하기 위해서는 룸미러와 설치된 각도 및 방향을 운전자에 맞게 개별적으로 조정해야 한다.
따라서, 최근에는 이러한 사이드미러를 운전석에서 원격으로 조정할 수 있도록 한 사이드미러 제어장치가 출시되고 있으며, 이러한 사이드미러 제어장치는 두가지 기능으로 크게 보면, 사이드미러의 상·하/좌·우 조정기능과 사이드미러를 접을 수 있는 폴딩기능으로 나눠 볼 수 있다.
이하, 종래의 사이드미러 제어스위치에 대해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사이드미러의 거울을 사방으로 조정하는 미러방향스위치는 자동차의 운전석 주변에 고정되며 원형의 형상에 소정 간격으로 각각 삽입홀(hole)이 형성된 스위치본체와, 스위치본체의 상측에 장착되며 중앙에 소정크기의 끼움홀이 형성되고 상하좌우 방향으로 각각 눌러지는 누름버튼과, 누름버튼의 끼움홀을 통해 스위치본체의 상측에 장착되며 일측과 타측으로 일정각도 좌우 회동되는 변환버튼과, 원형의 스위치본체에 각각 형성된 삽입홀에 각각 개별적으로 끼워지며 누름버튼이 눌러질 경우 누름버튼과 연동되는 다수개의 스위치부품과, 스위치본체의 하측에 장착되며 누름버튼이나 변환버튼이 눌러지거나 회동됨에 따라 사이드미러를 제어해줄 수 있도록하는 제어기판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리고, 미러의 폴딩(Folding)기능을 수행하는 폴딩스위치는 별도로 설치되고, 누름버튼에 의한 누름동작은 상기와 같이 하측에 형성된 다수개의 스위치부품과 연동되어 자동차 내부 소정공간에 설치된 제어부로 신호를 주어 접힘동작을 수행한다.
또한, 종래의 사이드미러 제어스위치에 설치된 제어기판은 그 상면에 누름버튼과 연동되는 다수개의 스위치부품이 설치되되, 제어기판 하면에서 솔더링되도록 접점홀을 구성하고 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솔더링되는 다수개의 스위치부품은 개별 부품으로 형성되어 스위치 조립시 제품조립비용의 상승의 문제점등이 산재해 있다.
또한, 제어기판 상면에 설치된 다수개의 스위치부품을 그 하면에서 솔더링하므로 접촉불량등의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종래의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안출된 것으로, 자동차용 사이드미러의 사방으로의 방향조정기능을 제어하는 제어기판의 일면에 접점판을 형성하여 다수개의 스위치부품을 일체형으로 형성된 누름버튼세트를 제어기판 상면의 접점판에서 솔더링하고, 상기 사이드미러의 접힘 기능을 수행하기위한 폴딩스위치를 한 몸체에 설치하여 제어하여 스위치 제조시 조립비용의 절감과 생산성 향상을 위한 자동차용 사이드미러 제어스위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자동차용 사이드미러 제어스위치는 커버와; 상기 커버 내측에 설치되어 미러의 사방으로의 방향을 제어하는 미러방향제어부와; 상기 커버 상면에 형성되어, 상기 미러방향제어부에 소정의 신호를 보내는 미러버튼과; 상기 미러버튼과 소정 이격 형성되어, 소정의 신호를 보내는 폴딩버튼; 및 상기 커버와 결합되는 하부커버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미러방향제어부는 각 접점판이 소정의 위치에 형성되는 제어기판과; 상기 제어기판 중앙에 접촉되어 슬라이드 이동하는 슬라이더와; 상기 슬라이더와 연결되어 상기 커버 상면에 돌출되게 형성되는 변환버튼; 및 상기 제어기판 소정의 위치에 형성된 접점판에 접점되는 복수개의 누름버튼세트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제어기판은 그 일측에 상기 폴딩버튼과 연결되어 상기 제어기판에 미러의 접힘신호를 주기위한 누름버튼세트가 더 설치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어기판은 2개씩 3개조로 접점이 형성되는 슬라이딩 접점판과; 상기 제어기판 일단에 3개씩 1개조로 형성되어 상기 누름버튼세트가 접점되는 제 1접점판과; 상기 슬라이딩 접점판을 경계로 양측단 및 상기 제어기판 타단의 모서리부분에 3개씩 1개조로 형성되어 상기 복수개의 누름버튼세트가 접점되는 복수개의 접점판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누름버튼세트는 상기 접점판에 접점되되, 상기 제어기판 일면에 솔더링(Soldering)되어 접점되도록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제어기판 일면에 솔더링되어 설치된 상기 누름버튼세트는 상기 누름버튼과 연결되는 누름단과; 상기 누름단과 결합되는 가동접점과; 상기 누름단을 탄지하는 탄성부재와; 상기 누름단의 상부를 커버하는 누름버튼커버와; 상기 누름버튼커버와 결합되는 터미널커버를 포함하여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터미널커버는 상기 가동접점의 동작에 의해 접점연결이 제어되는 3개의 연결접점이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미러버튼은 사방으로 푸시되어지되 상기 누름버튼 하부에 연결되는 상기 3개의 누름단으로 작동되도록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어기판에는 상기 미러버튼 및 상기 폴딩버튼의 조명을 형성하기 위한 발광소자가 더 설치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사이드미러 제어스위치의 구성을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좀 더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과 도 2를 참조하면, 커버(50) 상면에는 일단부에 자동차용 사이드미러의 접힘동작의 신호를 보내주기위한 폴딩버튼(30)이 형성되고, 폴딩버튼(30)은 폴딩버튼 홀(54)에 결착되되, 그 내부에 탄성부재(32)가 삽입되어 결착된다.
또한, 커버(50) 상면에는 폴딩버튼(30)에 소정 이격되어 사이드미러의 사방으로의 방향을 조정하기 위한 미러버튼(10)이 설치되되, 그 중심부에는 상기 커버(50)에 설치되는 변환버튼(40)이 삽입될 수 있는 결합공(12)이 형성된다.
그리고, 4개의 누름돌기(20a, 20b, 20c, 20d)가 형성되는 누름러버(20)는 누름러버(20)의 안착홀(22)과 커버(50) 상면의 안착홈(55)이 결합되어 설치된다.
한편, 상기 변환버튼(40)의 하부에 연장된 힌지레버(미도시)는 슬라이더(60)의 홈(62)과 결합하게 되며, 슬라이더(60)의 하측에는 2개의 제 1, 2터미널(64, 66)이 결합된다.
다음, 커버(50) 내측으로 제어기판(70)이 설치되어진다. 상기 제어기판(70)은 그 상면 중앙에 3개씩 2개조로 형성되는 슬라이딩 접점판(A)을 구성하게 되고, 그 접점판(A)에는 상기 제 1, 2터미널(64, 66)이 나란히 접점되어 변환버튼(40)의 좌우 동작에 의해서 슬라이딩 이동된다.
그리고, 제어기판(70)의 일단부에는 폴딩버튼(30)과 연동되는 제 1누름버튼세트(80)가 형성되고, 상기 슬라이딩 접점판(A)을 경계로 양측단에는 제 2, 3누름버튼세트(82, 84)와 기판(70) 타단부 모서리부분에 제 4누름버튼세트(86)가 형성된다.
다음 도 3a 와 도 3b를 참고로 누름버튼세트(80, 82, 84, 86)가 제어기판(70)에 형성되는 것을 자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은 제 1누름버튼세트(80)는 폴딩버튼(30)과 연결되는 누름단(80b)과 누름단(80b) 상측에서 끼워지는 누름버튼커버(80a)와 누름버튼커버(80a) 내측에 가동접점(80c)이 설치되며 터미널단자(A’)가 형성되는 터미널커버(80e)가 설치되며, 터미널 커버(80e)와 가동접점(80c) 사이에는 탄성부재(80d)가 형성되며, 누름버튼커버(80a)와 터미널커버(80e)가 결합되어 구성된다.
여기서, 제 2,3,4누름버튼세트(82, 84, 86)의 구성 역시 상기의 제 1누름버튼세트(80)의 구성과 마찬가지로 누름단(82a, 84a, 86a)과 터미널단자(B’,C’,D’)를 포함하며, 다른점은 미러버튼(10)과 연동된다.
또한, 상기 누름버튼세트(80, 82, 84, 86)의 터미널단자(A’,B’,C’,D’)는 각 터미널커버(80e)의 일측에 돌출된 형태로 1개의 제 1접촉단(a1’,b1’,c1’,d1’)이 형성되고 타측에 2개의 제 2, 3접촉단(a2’,a3’,b2’,b3’,c2’,c3’,d2’,d3’)이 형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각 누름버튼세트(80, 82, 84, 86) 중 사이드미러의 점힘을 제어하는 제 1누름버튼세트(80)의 제 1접촉단(a1’)은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기판(70) 상면의 일단에 형성된 제 1접점판(a1)에 솔더링되고, 제 2,3접촉단(b1’,c1’)은 제 2,3접점판(b1, c1)에 접점되도록 솔더링된다.
마찬가지로, 사이드미러의 방향조정을 하기위한 제 2,3,4누름버튼세트(82, 84, 86)의 접점연결도 상기와 같은 방식으로 제어기판(70) 상면에서 솔더링된다.
그리고, 제어기판(70)의 소정 위치에 관통되어지게 6개씩 2개조의 핀홀(74)을 형성하며, 상기 핀홀(74)을 통해 하측에서 핀홀(74)에 대응하도록 형성된 단자핀(92)을 형성하는 연결단자(90)가 끼워진다.
이어, 도 2에서 보면, 상기 커버(50)와 결합하기 위하여 하부커버(56)이 설치되고, 하부커버(56)는 체결홀(56a)을 통해 체결나사(2)를 이용하여 조립된다.
상기 하부커버(56)는 연결단자(90)의 단자핀(92)이 연장되어 외부 연결단자와 직접 연결될수 있도록 단자연결부(59)를 형성한다.
또한, 상기 제어기판(70) 상에 미러버튼(10)과 폴딩버튼(30)의 스위치동작을 외부에서 쉽게 식별하여 작동할 수 있도록 LED(light emitting diode)등과 같은 발광소자가 추가로 설치된다.
다음으로,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자동차용 사이드미러 제어스위치(100)의 작동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미러버튼(10)의 누름 작용에 의한 사이드미러의 사방의 방향조정에 관해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작동대상이 될 사이드미러를 선택하기 위해 도 2에 도시된 변환버튼(40)을 좌측 또는 우측으로 변환동작을 수행한다.
도 2 내지 도 3b를 참조하여 상기 변환버튼(40)의 좌·우측 변환동작에 의한 작동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 2에 도시된 변환레버(40)가 중앙에 위치한 상태를 설명하면, 상기와 같이 변환레버(40)가 중앙에 위치한 상태에서는 슬라이더(60)가 제어기판(70)에 형성된 슬라이딩 접점판(A) 중앙에 위치하고, 이때, 슬라이더(60)의 하부에 설치한 제 1,2 터미널(64, 66)이 슬라이딩 접점판(A)에 접촉되지 않음으로써 상부로 접점 되지 않는 상태를 유지한다.
그리고, 미러방향제어부(110)에서는 제 2누름버튼세트(82)의 제 2가동접점(80c)에 의해 제 2접점판(b2) 및 제 3접점판(b3)과 접점 되고, 제 3누름버튼세트(84)의 제 3가동접점(80c)에 의해 제 3가동접점(80c)은 제 2접점판(d2) 및 제 3접점판(d3)과 접점 되며, 제 4누름버튼세트(86)의 제 4가동접점(80c)은 제 2접점판(c2) 및 제 3접점판(c3)과 접점 된다.
이때는, 변환버튼(40)의 좌·우 변환조작으로 슬라이더(60)가 우측으로 변환 될 경우, 제 1,2 슬라이딩 접점판(a1,a2)이 제 1터미널(66)에 의해 접점 되고, 제 5,6 슬라이딩 접점판(b2, b1)이 제 2터미널(64)에 의해 접점 되더라도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이드미러(300)의 제 3,4 모터(301,302)는 구동하지 않는다.
또한, 슬라이더(60)가 좌측으로 변환될 경우, 제 2,3 슬라이딩 접점판(a2, a3)이 제 1터미널(66)에 의해 접점 되고, 제 4,5 슬라이딩 접점판(b3, b2)이 제 2터미널(64)에 의해 접점 되더라도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이드미러(200)의 제 1,2 모터(201,202)는 구동하지 않는다.
상기와 같이 제 1,2,3,4 모터(201,202,301,302)에 (-)전류만 흐르는 상태에서 자동차의 좌측에 고정 설치한 사이드미러(200)를 조정하기 위하여 변환버튼(40)의 상부를 왼쪽으로 이동시키면 커버(50)에 형성되는 변환버튼(40)이 회동하게되고, 이에 따라 하부에 일체로 형성된 힌지레버(미도시)는 오른쪽으로 이동을 하게 되어 상기 힌지레버(미도시)의 하부에 결합되어 있는 슬라이더(60)가 오른쪽으로 함께 이동한다.
그러면, 슬라이더(60)의 하부로 설치한 제 1터미널(66)이 제 2 슬라이딩 접점판(a2)과 제 3슬라이딩 접점판(a3)의 상부에 접촉되어 상호 접점이 형성되고, 제 2터미널(64)은 제 4슬라이딩 접점판(b3)과 제 6 슬라이딩 접점판(b2)의 상부에 접촉되어 상호 접점이 형성된다.
상기와 같이 변환버튼(40)을 좌측으로 변환 시킨 상태에서 미러버튼(10)의 상·하 및 좌·우 누름동작을 설명하도록 한다.
도 2내지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이드미러(200)의 거울을 상향으로 조정하고자 할 때에는 미러버튼(10)의 “상”(상부측)을 누르면 미러버튼(10)이 하부로 이동하게 되고, 미러버튼(10)이 하부로 이동함에 따라 누름러버(20)에 형성된 누름돌기(20a)가 하부로 이동하면서 제 2누름버튼세트(82)와 제 4누름버튼세트(86)의 제 2누름단(82c)과 제 4누름단(86c)을 눌러서 하부로 이동시킨다.
그러면, 제 2누름단(82b)과 제 4누름단(86b)의 하부에 고정 설치되어 있는 제 2가동접점(82c)과 제 4가동접점(86c) 중 제 2가동접점(82d)은 터미널커버(82e)의 제 1, 2연결접점(b1’, b2’)을 통해 제 1, 2 접점판(b1, b2)과 접점이 되고, 제 4가동접점(86c)은 터미널커버(86e)의 제 1, 2연결접점(c1’, c2’)을 통해 제 1, 2 접점판(c1, c2)과 접점이 된다.
그러므로, 도 6a 에 도시한 바와 같이, 좌측 사이드미러(200)의 거울(미도시)을 상·하로 조절하는 제 1모터(201)에는 (+)전류와 (-)전류가 흐르게 되어 정회전을 하게 되고, 거울을 좌우로 조절하는 제 2모터(202)에는 (+)전류만이 흐르게 되어 구동하지 않는다.
이와 같이 제 1모터(201)는 정회전을 하여 사이드미러(200)의 거울이 상향으로 조정된다.
그리고, 미러버튼(10)의 상부를 누르고 있던 압력을 해제하면 제 2 누름단(82b)과 제 4누름단(86b)의 하부에 탄지되어 있는 제 2탄성부재(82d)와 제 4탄성부재(86d)의 원상태로 복원하고자 하는 탄성력에 의해 제 2누름단(82b)과 제 4누름단(86b)이 상부로 이동하게 되고, 상부로 이동하는 제 2, 4누름단(82b, 86b)에 의해 미러버튼(10)이 상부로 이동한다.
그러면 제 2누름단(82b)의 하부에 고정 설치한 제 2가동접점(82c)이 상승하여 제 1 접점판(b1)과 제 2접점판(b2)이 상호 접점 되고, 제 4누름단(86b)의 하부에 고정 설치한 제 4가동접점(86c)이 상승하여 제 1접점판(c1)과 제 2접점판(c2)이 상호 접점 되어 모두 (-)전류만이 흐를 수 있도록 접점 된 상태가 된다.
그러므로, 미러버튼(10)을 누르지 않고는 제 1,2 모터(201,202)가 구동하지 않는다.
사이드미러(200)의 거울을 하향 조정할 때에는 도 2내지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미러버튼(10)의 “하”(하부측)을 누르면 미러버튼(10)이 하부로 이동하게 되고, 미러버튼(10)이 하부로 이동함에 따라 누름러버(20)에 형성된 누름돌기(20c)가 하부로 이동하면서 제 3누름버튼세트(84)의 제 3누름단(84b)을 눌러서 하부로 이동시킨다.
그러면, 제 3누름단(84b)의 하부에 고정 설치되어 있는 제 3가동접점(84c)은 터머널커버(84a)내의 제 1연결접점(d1’)과 제 2연결접점(d2’)을 각각 제 1접점판(d1)과 제 2접점판(d2)에 접점이 된다.
그러므로, 도 6b 에 도시한 바와 같이, 좌측 사이드미러(200)의 거울을 상하로 조절하는 제 1 모터(201)에는 사이드미러(200)의 거울을 상향조정할 때의 전류 방향과 반대 방향인 (+)전류와 (-)전류가 흐르게 되어 역회전을 하게 되고, 이로 인하여 사이드미러(200)의 거울이 하향으로 조정된다.
또한, 거울을 좌우로 조절하는 제 2모터(202)는 구동하지 않는다.
그리고, 미러버튼(10)의 상부를 누르고 있던 압력을 해제하면 제 3 누름단(84b)의 하부에 탄지되어 있는 제 3탄성부재(84d)의 원상태로 복원하고자 하는 탄성력에 의해 제 3누름단(84b)이 상부로 이동하게 되고, 상부로 이동하는 제 3누름단(84b)에 의해 제 1누름버튼(10)이 상부로 이동한다.
그러면 제 3누름단(84b)의 하부에 고정 설치한 제 3가동접점(84c)이 상승하여 터미널커버(84e)의 제 2, 3연결접점(d2’, d3’)이 제 2, 3접점판(d2, d3)과 상호 접점 되어 모두 (-)전류만이 흐를 수 있도록 접점 된 상태가 된다.
그러므로, 미러버튼(10)을 누르지 않고는 제 1,2 모터(201,202)가 구동하지 않는다.
사이드미러미러(200)의 거울을 좌향 조정할 때에는 도 2내지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미러버튼(10)의 “좌”(좌측)을 누르면 미러버튼(10)이 하부로 이동하게 되고, 미러버튼(10)이 하부로 이동함에 따라 누름러버(20)에 형성된 누름돌기(20d)가 하부로 이동하면서 제 4누름버튼세트(86)의 제 4누름단(86b)을 눌러서 하부로 이동시킨다.
그러면, 제 4누름단(86b)의 하부에 고정 설치되어 있는 제 4가동접점(86c)은 터미널커버(86e)의 제 1, 2연결접점(c1’, c2’)은 제 2, 3접점판(c1, c2)과 접점이 된다.
그러므로, 도 6c 에 도시한 바와 같이, 좌측 사이드미러(200)의 거울을 좌우로 조절하는 제 2모터(202)에는 (+)전류와 (-)전류가 흐르게 되어 정회전을 하게 되고, 거울을 상하로 조절하는 제 1모터(201)는 구동하지 않는다.
이와 같이 제 2모터(202)는 정회전을 하여 사이드백미러(200)의 거울이 좌향으로 조정된다.
그리고, 미러버튼(10)의 상부를 누르고 있던 압력을 해제하면 제 4누름단(86b)의 하부에 고정 설치한 제 4가동접점(86c)이 상승하여 제 2, 3연결접점(c2’, c3’)을 통해 제 2, 3접점판(c2, c3)과 상호 접점되어 모두 (-)전류만이 흐를 수 있도록 접점 된 상태가 된다.
그러므로, 누름버튼(9)을 누르지 않고는 제 1,2 모터(201,202)가 구동하지 않는다.
사이드미러(200)의 거울을 우향 조정할 때에는 도 2내지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미러버튼(10)의 “우”(우측)을 누르면 미러버튼(10)이 하부로 이동하게 되고, 미러버튼(10)이 하부로 이동함에 따라 누름러버(20)에 형성된 누름돌기(20b)가 하부로 이동하면서 제 2누름단(82b)과 제 3누름단(84b)을 눌러서 하부로 이동시킨다.
그러면, 제 2누름단(82b)과 제 3누름단(84b)의 하부에 고정 설치되어 있는 제 2가동접점(82c)과 제 3가동접점(84c) 중 제 2가동접점(82d)은 터미널커버(82e)의 제 1, 2연결접점(b1’, b2’)을 통해 제 1, 2 접점판(b1, b2)과 접점이 되고, 제 3가동접점(84c)은 터미널커버(84e)의 제 1, 2연결접점(d1’, d2’)을 통해 제 1, 2 접점판(d1, d2)과 접점이 된다.
그러므로, 도 6d 에 도시한 바와 같이 좌측 사이드미러(200)의 거울을 좌우로 조절하는 제 2모터(202)에는 상기 사이드미러(200)의 거울을 좌향으로 조절할 때의 전류 방향과 반대방향인 (+)전류와 (-)전류가 흐르게 되어 역회전을 하게 되고, 거울을 상하로 조절하는 제 1모터(201)는 구동하지 않는다.
이와 같이 제 2모터(202)는 역회전을 하여 사이드미러(200)의 거울이 우향으로 조정된다.
그리고, 미러버튼(10)의 상부를 누르고 있던 압력을 해제하면 제 2누름단(82b)과 제 3누름단(84b)의 하부에 탄지되어 있는 제 2탄성부재(82d)와 제 3탄성부재(84d)의 탄성력에 의해 제 2,3 누름단(82b, 84b)이 상부로 이동하게 되고, 상부로 이동하는 제 2,3 누름단(82b, 84b)에 의해 미러버튼(10)이 상부로 이동한다.
그러면, 제 2,3가동접점(82c, 84c)이 상승하여 각 제 2접점판(c2,d2)과 제 3접점판(c3, d3)과 상호 접점 되어 모두 (-)전류만이 흐를 수 있도록 접점 된 상태가 된다.
그러므로, 미러버튼(10)을 누르지 않고는 제 1,2모터(201, 202)가 구동하지 않는다.
다음으로, 자동차의 우측에 고정 설치한 사이드미러(300)를 조정하기 위하여 도 2에 도시된 변환버튼(40)의 상부를 오른쪽으로 이동시키면, 상기 커버(30)에 힌지 결합되어 있는 변환버튼(40)의 하부에 일체로 형성한 힌지레버(미도시)는 왼쪽으로 이동을 하게 되고, 상기의 힌지레버(미도시)의 하부에 결합되어 있는 슬라이더(60)가 왼쪽으로 함께 이동한다.
그러면, 도 3a 및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라이더(60)의 하부로 설치한 제 1 터미널(66)이 제 1 슬라이딩 접점판(a1)과 제 2슬라이딩 접점판(a2)의 상부로 접하여 상호 접점이 되고, 제 2 터미널(64)은 제 5슬라이딩 접점판(b2)과 제 6슬라이딩 접점판(b1)의 상부로 접하여 상호 접점이 된다.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도 7a 내지 도 7b를 참고로 하면 미러버튼(10)을 통한 사이드미러의 방향조정에 관한 작동은 상기의 도 6a 내지 도 6b를 참고하여 설명한 바와 같은 방법으로 작동된다.
다음으로, 도 2 내지 도 3b 및 도 8을 참고로 하여 커버(30) 상면 일단에 형성되는 폴딩버튼(30)을 통한 사이드미러의 접힘동작에 대해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폴딩제어부(160)에서는 도 2에 도시된 폴딩버튼(30)을 누름으로써 도 3a 및 도 3b에 도시된 제어기판(70) 상면에 설치되는 제 1누름버튼세트(80)의 제 1누름단(80b)을 누르게 되며, 제 1누름단 (80b)하부에 고정설치되는 제 1가동접점(80c)은 터미널커버(80e)의 연결접점(a1’, a2’)을 연결한다.
즉, 도 8에서 보면, 제 1누름단(80b)을 누름으로써 제어기판(70)의 제 1접점판(a1)과 제 2접점판(a2)을 접점 되게하여 제 1접점판(a1)을 통해 공급되는 (-)전기 신호를 연결단자(90)로 연결되어 제어부(77)로 보내지게 된다.
상기 제어부(77)는 제 1접점판(a1)과 제 2접점판(a2)이 접점됨으로써 보내지는 (-)전기 신호를 인지하여 폴딩모터(400)를 정회전시켜 사이드미러를 접히게 한다.
반대로, 사이드미러를 다시 펴고자할때는 폴딩버튼(30)을 다시 누름으로써 (-)전기 신호를 상기 제어부(77)에 다시 보내지게 된다. 그럼으로써 제어부(77)는 재차 전달되는 (-)전기신호를 인지하여 폴딩모터(400)를 역회전하여 작업을 수행한다.
여기서, 폴딩모터(400)의 회전방향을 결정하는 것은 제 1접점판(a1)과 제 2접점판(a2)이 점점되면서 발생하는 (-)전기 신호를 통해 제어부(77)는 2진법 신호 처리를 하여 미러의 접힘과 펴짐 동작을 하게 된다.
또한. 상기와 같은 미러방향제어부(110)와 폴딩제어부(160)를 제어하기 위해 추가적으로 설치되는 발광소자의 조명으로 운전자가 야간에 스위치동작을 외부에서 쉽게 조정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자동차용 사이드미러의 방향조정 및 접힘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버튼조작부를 함 몸체에 형성시킴으로써 운전자가 버튼 조각시 조작의 용이성을 가져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버튼조작부와 연동되는 다수개의 스위치부품을 누름버튼세트로 일체화하여 제어기판 상면에 형성되는 접점판에 솔더링시킴으로써, 스위치 조립공정시 조립비용을 절감할 수 있고, 스위치의 품질개선을 도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자동차용 사이드미러 제어스위치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사이드미러 제어스위치의 분해 사시도,
도 3a는 제어기판에 설치되는 누름버튼세트를 보여주는 도면,
도 3b는 도 3a에 도시된 누름버튼세트가 미러방향제어부의 제어기판에 결합되는 것을 보여주는 도면,
도 4는 도 3b에 도시된 제어기판 상면에 누름버튼세트가 솔더링된 것을 보여주는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자동차용 사이드미러 제어스위치의 회로도,
도 6은 본 발명의 좌측 사이드미러를 조정하는 상태를 나타낸 회로도,
도 7은 본 발명의 우측 사이드미러를 조정하는 상태를 나타낸 회로도이며,
도 8은 본 발명의 아웃사이드 미러를 폴딩하는 상태를 나타낸 회로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
100 : 자동차용 사이드미러 제어스위치 10 : 미러버튼
20 : 누름러버 30 : 폴딩버튼
40 : 변환버튼 60 : 슬라이더
70 : 제어기판 80, 82, 84, 86 : 누름버튼세트
90 : 연결단자 50: 커버
56 : 하부커버 200 : 좌측 사이드미러
300 : 우측 사이드미러

Claims (9)

  1. 커버;
    상기 커버 내측에 설치되어 미러의 사방으로의 방향을 제어하는 미러방향제어부;
    상기 커버 상면에 형성되어, 상기 미러방향제어부에 소정의 신호를 보내는 미러버튼;
    상기 미러버튼과 소정 이격 형성되어, 소정의 신호를 보내는 폴딩버튼; 및
    상기 커버와 결합되는 하부커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사이드미러 제어스위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미러방향제어부는 각 접점판이 소정의 위치에 형성되는 제어기판과; 상기 제어기판 중앙에 접촉되어 슬라이드 이동하는 슬라이더와; 상기 슬라이더와 연결되어 상기 커버 상면에 돌출되게 형성되는 변환버튼; 및 상기 제어기판 소정의 위치에 형성된 접점판에 접점되는 복수개의 누름버튼세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사이드미러 제어스위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기판은 그 일측에 상기 폴딩버튼과 연결되어 상기 제어기판에 미러의 접힘신호를 주기위한 누름버튼세트가 더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사이드미러 제어스위치.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기판은 2개씩 3개조로 접점이 형성되는 슬라이딩 접점판과; 상기 제어기판 일단에 3개씩 1개조로 형성되어 상기 누름버튼세트가 접점되는 제 1접점판과; 상기 슬라이딩 접점판을 경계로 양측단 및 상기 제어기판 타단의 모서리부분에 3개씩 1개조로 형성되어 상기 복수개의 누름버튼세트가 접점되는 복수개의 접점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사이드미러 제어스위치.
  5.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누름버튼세트는 상기 접점판에 접점되되, 상기 제어기판 일면에 솔더링(Soldering)되어 접점되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사이드미러 제어스위치.
  6.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기판 일면에 솔더링되어 설치된 상기 누름버튼세트는 상기 누름버튼과 연결되는 누름단과; 상기 누름단과 결합되는 가동접점과; 상기 누름단을 탄지하는 탄성부재와; 상기 누름단의 상부를 커버하는 누름버튼커버와; 상기 누름버튼커버와 결합되는 터미널커버를 포함하여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사이드미러 제어스위치.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터미널커버는 상기 가동접점의 동작에 의해 접점연결이 제어되는 3개의 연결접점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사이드미러 제어스위치.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미러버튼은 사방으로 푸시되어지되 상기 누름버튼 하부에 연결되는 상기 3개의 누름단으로 작동되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사이드미러 제어스위치.
  9.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기판에는 상기 미러버튼 및 상기 폴딩버튼의 조명을 형성하기 위한 발광소자가 더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사이드미러 제어스위치.
KR1020040031781A 2004-05-06 2004-05-06 자동차용 사이드미러 제어스위치 KR10056424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31781A KR100564243B1 (ko) 2004-05-06 2004-05-06 자동차용 사이드미러 제어스위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31781A KR100564243B1 (ko) 2004-05-06 2004-05-06 자동차용 사이드미러 제어스위치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12651U Division KR200357140Y1 (ko) 2004-05-06 2004-05-06 자동차용 사이드미러 제어스위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106754A true KR20050106754A (ko) 2005-11-11
KR100564243B1 KR100564243B1 (ko) 2006-03-30

Family

ID=372834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31781A KR100564243B1 (ko) 2004-05-06 2004-05-06 자동차용 사이드미러 제어스위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64243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47222B1 (ko) * 2005-12-08 2007-08-07 기아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택트 스위치
KR100929323B1 (ko) * 2007-12-14 2009-11-27 대성전기공업 주식회사 미러 스위치 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47222B1 (ko) * 2005-12-08 2007-08-07 기아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택트 스위치
KR100929323B1 (ko) * 2007-12-14 2009-11-27 대성전기공업 주식회사 미러 스위치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564243B1 (ko) 2006-03-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749471B2 (en) Combination electronic switch with transformable combination
JPH106999A (ja) ステアリングモジュール
US4499342A (en) Multi-position electric switch
JPH1186666A (ja) パワーウインド用モータ制御装置
US4476356A (en) Multi-position electrical switch
JP2004288393A (ja) 車両用パワーシートスイッチ装置
KR200357140Y1 (ko) 자동차용 사이드미러 제어스위치
KR100564243B1 (ko) 자동차용 사이드미러 제어스위치
US6273593B1 (en) Door and manually actuated vehicle interior lighting system
US20090160374A1 (en) Motor control device
JP2001023469A (ja) 自動車ドアの回路接続構造
JP2755283B2 (ja) スイッチ装置
KR101582738B1 (ko) 차량용 텀블러 스위치 유니트
KR100776588B1 (ko) 차량용 컴비네이션 스위치 장치
KR100521984B1 (ko) 자동차의 미러 조정 스위치
KR100509744B1 (ko) 자동차의 미러 조정 스위치
KR20120004082U (ko) 스티어링 휠 리모컨 스위치 장치
KR200488668Y1 (ko) 차량의 사이드 미러 컨트롤러
JP3319488B2 (ja) バニティミラーを有するサンバイザとその製造方法
KR200456539Y1 (ko) 스위치 유니트
KR100715655B1 (ko) 자동차용 선루프 스위치 구조
KR200317774Y1 (ko) 자동차용 사이드미러 조정스위치
JPH0747774Y2 (ja) スイッチ
JP2002324456A (ja) スイッチ装置
JPH0622902Y2 (ja) 電動工具用スイッチの防塵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0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02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