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59920B1 - 파워 윈도우 스위치 - Google Patents

파워 윈도우 스위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59920B1
KR101459920B1 KR20130070736A KR20130070736A KR101459920B1 KR 101459920 B1 KR101459920 B1 KR 101459920B1 KR 20130070736 A KR20130070736 A KR 20130070736A KR 20130070736 A KR20130070736 A KR 20130070736A KR 101459920 B1 KR101459920 B1 KR 10145992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unger
contact
auto
vertical
horizont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00707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영식
Original Assignee
대성전기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성전기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대성전기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300707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5992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599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5992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1/00Switches operated by an operating part in the form of a pivotable member acted upon directly by a solid body, e.g. by a hand
    • H01H21/02Details
    • H01H21/18Movable parts; Contacts mounted thereon
    • H01H21/22Operating parts, e.g. handle
    • H01H21/24Operating parts, e.g. handle biased to return to normal position upon removal of operating force
    • H01H21/28Operating parts, e.g. handle biased to return to normal position upon removal of operating force adapted for actuation at a limit or other predetermined position in the path of a body, the relative movement of switch and body being primarily for a purpose other than the actuation of the switch, e.g. door switch, limit switch, floor-levelling switch of a lif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1/00Windows; Windscreens; Accessories therefor
    • B60J1/08Windows; Windscreens; Accessories therefor arranged at vehicle sides
    • B60J1/12Windows; Windscreens; Accessories therefor arranged at vehicle sides adjustabl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203/00Form of contacts
    • H01H2203/036Form of contacts to solve particular problems
    • H01H2203/044Form of contacts to solve particular problems to achieve a predetermined sequence of switch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231/00Applications
    • H01H2231/026Ca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300/00Orthogonal indexing scheme relating to 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or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covered by H01H
    • H01H2300/01Application power window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umbler Switch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파워 윈도우 스위치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스위치 몸체와; 상기 스위치 몸체의 바닥에 구비된 것으로 매뉴얼 1단 접점과 오토 2단 접점을 갖는 접점부재와; 상기 매뉴얼 1단 접점과 오토 2단 접점에 맞대어진 수평 플런져와; 상기 수평 플런져의 상부에 직립되게 맞대어진 수직 플런져와; 상기 수직 플런져의 상부에 맞대어진 가압 플런져와;상기 스위치 몸체의 상부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된 오토 버튼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동작 메커니즘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가운데 조작의 정확성 내지는 신뢰성을 높일 수 있도록 하고, 아울러 부품들의 치수편자를 줄여 조작감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고, 이를 통해 조작 감성을 높일 수 있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파워 윈도우 스위치{Power window switch}
본 발명은 파워 윈도우 스위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오토 버튼의 가압 플런져에 의하여 수직 플런져가 수직방향으로 이동하는 가운데 스위치 몸체의 바닥으로 구비된 매뉴얼 1단 접점과 오토 2단 접점을 갖는 접점부재에 수평 플런져가 순차적으로 눌려 지도록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은 이동 수단으로서의 기능을 넘어서 사용자로 하여금 보다 안정적이면서도 편안한 주행 상태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각종 편의 수단으로서 기능이 요구되고 있다. 이러한 차량에는 다양한 편의 시설과 이를 작동 및 제어하기 위한 각종 스위치들이 구비된다. 예를 들어 차량의 윈도우 개폐와 같이 윈도우의 상하 방향 이동이 전단부 및 후단부의 작동에 대응하도록 하는 시소 스위치 장치 또는 슬라이딩 스위치 장치가 사용되고 각각의 작동 모드를 선택하기 위한 경우 로터리 스위치가 사용된다.
이와 같이 차량 윈도우 개폐를 위한 파워 윈도우 스위치는 각 좌석마다 장착되어 각 좌석의 승객이 윈도우를 개폐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또한 운전석의 아암 레스트 상에는 운전자가 모든 좌석에 대한 윈도우 개폐를 조작할 수 있도록 하는 운전자용 파워 윈도우 스위치가 장착된다.
도3은 종래 기술에 따른 파워 윈도우 스위치의 내, 외부를 절개하여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4a 내지 도4c는 종래 기술에 따른 파워 윈도우 스위치의 작동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이러한 파워 윈도우 스위치는 도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위치 몸체(90)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된 버튼(노브)(91)을 누름과 동시에 버튼(91)이 회전하면서 수직 플런져(92)를 하부로 가압시킴에 따라 수직 플런져(92)의 하단이 오토 플런져(93)의 상부를 가압시켜 도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오토 플런져(93)의 오른쪽이 루버단자편(94)의 매뉴얼 1단 접점(941)을 누르게 된다.
이후, 버튼(91)을 더 누르면 오토 플런져(93)가 도4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소방식으로 이동하여 오토 플런져(93)의 왼쪽이 루버단자편(94)의 오토 2단 접점(942)을 누르게 된다.
그러나 이러한 방식은 루버단자편(94)의 매뉴얼 1단 접점(941)과 오토 2단 접점(942)이 도3에 도시된 바와같이, 스위치의 길이방향을 따라 좌,우로 반복 대칭되게 배열되는 형태로 위치됨에 따라 부품들의 치수편차와 간격이 넓어 조작감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오토 플런져(93)가 시속방식으로 작동됨에 따라 회동(전)범위가 커 동작 메커니즘이 불안정적인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이로 인해 스위치의 조작 감성이 낮아지면서 소음이 발생되는 또 다른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오토 플런져의 회동 범위를 줄여 동작 메커니즘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가운데 조작의 정확성 내지는 신뢰성을 높일 수 있도록 하고, 아울러 부품들의 치수편자를 줄여 조작감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고, 이를 통해 조작 감성을 높일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본 발명은 스위치 몸체(10)와; 상기 스위치 몸체(10)의 바닥에 구비된 것으로 매뉴얼 1단 접점(21)과 오토 2단 접점(22)을 갖는 접점부재(20)와; 상기 매뉴얼 1단 접점(21)과 오토 2단 접점(22)에 맞대어진 수평 플런져(30)와; 상기 수평 플런져(30)의 상부에 직립되게 맞대어진 수직 플런져(40)와; 상기 수직 플런져(40)의 상부에 맞대어진 가압 플런져(50)와; 상기 스위치 몸체(10)의 상부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된 오토 버튼(60)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수평 플런져(30)는 수평부재(31)의 일측에 매뉴얼 1단 접점(21)의 상부가 삽입되도록 관통된 제1 접점 삽입홀(32)과; 상기 제1 접점 삽입홀(32)과 대응되도록 상기 수평부재(31)의 타측에 관통된 제2 접점 삽입홀(33)이 일체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가압 플런져(50)는 몸체(10)의 수직 가이드(11)에 상,하 왕복 슬라이드 이동가능하게 삽입된 가압 플런져 몸체(51)와; 상기 가압 플런져 몸체(51)의 하부에 가압편(52)이 일체로 형성되되, 상기 가압 플런져 몸체(51)는 정사각형의 단면을 갖도록 형성되고, 상기 가압편(52)은 하부 외측 모서리에 만곡부(53)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오토 버튼(60)은 버튼 몸체(61)의 양측에 형성된 힌지홀(611)과; 상기 힌지홀(611)이 스위치 몸체(10)의 상부에 형성된 힌지편(12)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수직 플런져(40)는 사각형태의 단면이 수직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수직 플런져 몸체(41)와; 상기 수직 플런져 몸체(41)의 상부가 상기 가압 플런져(50)의 하부에 맞대어지고, 상기 수직 플런져 몸체(41)의 하부에 상기 가압편(42)이 형성되되, 상기 가압편(42)은 하단이 반원형태를 갖도록 형성되어 상기 수평 플런져(30)의 상부와 점접촉이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접점부재(20)에 구비된 매뉴얼 1단 접점(21)과 오토 2단 접점(22)은 스위치의 길이방향에 대해 상,하로 반복되며 비대칭되게 배열되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오토 버튼의 가압 플런져에 의하여 수직 플런져가 수직방향으로 이동하는 가운데 스위치 몸체의 바닥으로 구비된 매뉴얼 1단 접점과 오토 2단 접점을 갖는 접점부재에 수평 플런져가 순차적으로 눌려지도록 함으로써, 눌림 포인트가 항상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이를 통해 스위치 조작의 품질이 일정하기 유지될 수 있도록 하여 조작의 정확성 내지는 신뢰성을 높일 수 있는 효과를 더 얻을 수 있다.
또한, 부품들의 치수편차를 줄여 조작감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더 얻을 수 있다.
그리고 리턴 과정에서 발생되는 복귀 터치음인 래틀 노이즈 발생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더 얻을 수 있다.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파워 윈도우 스위치의 내,외부를 절개하여 도시한 사시도.
도2a 내지 도2c는 본 발명에 따른 파워 윈도우 스위치의 작동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3은 종래 기술에 따른 파워 윈도우 스위치의 내,외부를 절개하여 도시한 사시도.
도4a 내지 도4c는 종래 기술에 따른 파워 윈도우 스위치의 작동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파워 윈도우 스위치의 내,외부를 절개하여 도시한 사시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파워 윈도우 스위치는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위치 몸체(10), 접점부재(20), 수평 플런져(30), 수직 플런져(40), 가압 플런져(50) 및 오토 버튼(60)으로 구성되어 상기 접점부재(20)에 수평 플런져(30)가 순차적으로 눌려지도록 구성되어 있다.
여기에서, 상기 스위치 몸체(10)는 절연이 이루어질 수 있는 플라스틱을 이용하여 사출성형 된 것으로 바닥을 갖는 상부가 개방된 형태를 갖도록 형성되고, 이러한 상기 스위치 몸체(10)의 내부에는 수직 가이드(11)가 형성되어 후술하는 가압 플런져 몸체(51)가 정확하게 슬라이딩 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스위치 몸체(10)는 내부에 힌지편(12)이 형성되어 오토 버튼(60)의 버튼 몸체(61)가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는 가운데 원활한 회동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스위치 몸체(10)의 바닥에는 상기 접점부재(20)가 안정적이게 얹혀진 상태로 결합되어 있다.
상기 접점부재(20)는 스위치 몸체(10)의 바닥에 구비된 것으로 일측의 매뉴얼 1단 접점(21)이 형성되고, 상기 매뉴얼 1단 접점(21)과 대응되는 오토 2단 접점(22)이 타측에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상기 접점부재(20)는 외부에 쿠션을 갖는 루버가 감싸여지거나 커버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접점부재(20)에 구비된 매뉴얼 1단 접점(21)과 오토 2단 접점(22)은 도1의 확대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위치의 길이 방향에 대해 상,하로 반복되며 비대칭되게 배열되어짐으로써, 부품 치수편차와 간격을 좁혀 조작감을 거의 느끼지 않은 상태로 된다.
상기 수평 플런져(30)는 평상시 상기 매뉴얼 1단 접점(21)과 오토 2단 접점(22)에 얹혀진 상태로 맞대어지게 구비되어 오토 버튼(60)의 회동에 의하여 직접적으로 매뉴얼 1단 접점(21)과 오토 2단 접점(22)이 순차적으로 눌려질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수평 플런져(30)는 수평부재(31)의 일측에 제1 접점 삽입홀(31)이 관통되게 형성되어 매뉴얼 1단 접점(21)의 상부가 삽입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1 접점 삽입홀(31)과 대응되도록 상기 수평부재(31)의 타측에 제2 접점 삽입홀(32)이 관통된 형태를 갖도록 일체로 형성되어 오토 2단 접점(22)이 삽입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수직 플런져(40)는 가압 플런져(50)에 의하여 하부로 가압되는 과정에서 항상 수직인 방향으로 슬라이드 왕복 이동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으로 상기 수평 플런져(30)의 상부에 직립되게 맞대어지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상기 수직 플런져(40)는 사각형태의 단면이 수직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수직 플런져 몸체(41) 상부가 상기 가압 플런져(50)의 하부에 맞대어지고, 상기 수직 플런져 몸체(41)의 하부에 상기 가압편(42)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가압편(42)은 하단이 반원형태를 갖도록 형성되어 상기 수평 플런져(30)의 상부와 점접촉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가압 플런져(50)는 오토 버튼(60)의 버튼 몸체(61)에 상단이 결합된 것으로 버튼 몸체(61)의 누름력에 의하여 하부로 이동되는 과정에서 가압 플런저(50)의 각도가 가변 되더라도 항상 수직 플런져 몸체(41)의 상부가 가압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를 위해, 상기 가압 플런져(50)는 스위치 몸체(10)의 수직 가이드(11)에 상·하 왕복 슬라이드 이동가능하게 가압 플런져 몸체(51)가 삽입되고, 상기 가압 플런져 몸체(51)의 하부에 가압편(52)이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가압 플런져 몸체(51)는 정사각형의 단면을 갖도록 형성되고, 상기 가압편(52)은 하부 외측 모서리에 만곡부(53)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오토 버튼(60)은 상기 스위치 몸체(10)의 상부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된 것으로 시소형태로 작동될 수 있도록 결합되어 있다.
이러한 상기 오토 버튼(60)은 버튼 몸체(61)의 양측에 힌지홀(611)이 형성되어 스위치 몸체(10)의 상부에 형성된 힌지편(12)에 상기 힌지홀(611)이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다.
이와 같은 파워 윈도우 스위치는 먼저, 도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점접부재(20)의 매뉴얼 1단 접점(21)과 오토 2단 접점(22)에 수평 플런져(30)의 하부가 맞대어진 상태가 유지된다. 이때, 수평 플런져(30)의 상부에는 수직 플런져(40)의 가압편(42)이 얹혀진 상태로 맞대어지고, 수직 플런져(30)의 상부에는 버튼 몸체(61)에 결합된 가압 플런져(50)의 가압 플런져 몸체(51)에 형성된 가압편(52)이 맞대어진 상태가 유지된다.
다음, 오토 버튼(60)을 누름과 동시에 버튼 몸체(61)가 힌지편(12)을 중심으로 반시계방향으로 회동하면서 도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압 플런져(50)의 수직 가이드(11)를 누름에 따라 가압편(52)이 수평 플런져(30)의 상부를 가압시켜 접점부재(20)의 매뉴얼 1단 접점(21)이 수평부재(31)에 형성된 제1접점 삽입홀(32)에 삽입되면서 일측으로 기울어진 상태로 접속되게 된다.
다음, 오토 버튼(60)을 더 누름과 동시에 버튼 몸체(61)가 힌지편(12)을 중심으로 시계방향으로 더 회동하면서 도2c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압 플런져(50)의 수직 가이드(11)를 누름에 따라 가압편(52)이 수평 플런져(30)의 상부를 가압시켜 접점부재(20)의 매뉴얼 1단 접점(21)이 수평부재(31)에 형성된 제1접점 삽입홀(32)에 삽입된 상태에서 접점부재(20)의 오토 2단 접점(22)이 수평부재(31)에 형성된 제2접점 삽입홀(33)에 삽입된 상태로 접속되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동작 메커니즘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가운데 조작의 정확성 내지는 신뢰성을 높일 수 있는 한편, 아울러 부품들의 치수편자를 줄여 조작감을 향상시킬 수 있고, 이를 통해 조작 감성을 높일 수 있다.
10:스위치 몸체
20:접점부재
21:매뉴얼 1단 접점
22:오토 2단 접점
30:수평 플런져
40:수직 플런져
50:가압 플런져
60:오토 버튼

Claims (6)

  1. 스위치 몸체(10)와;
    상기 스위치 몸체(10)의 바닥에 구비된 것으로 매뉴얼 1단 접점(21)과 오토 2단 접점(22)을 갖는 접점부재(20)와;
    상기 매뉴얼 1단 접점(21)과 오토 2단 접점(22)에 맞대어진 수평 플런져(30)와;
    상기 수평 플런져(30)의 상부에 직립되게 맞대어진 수직 플런져(40)와;
    상기 수직 플런져(40)의 상부에 맞대어진 가압 플런져(50)와;
    상기 스위치 몸체(10)의 상부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된 오토 버튼(60)으로 구성되고,
    상기 가압 플런져(50)는 스위치 몸체(10)의 수직 가이드(11)에 상,하 왕복 슬라이드 이동가능하게 삽입된 가압 플런져 몸체(51)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워 윈도우 스위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 플런져(30)는 수평부재(31)의 일측에 매뉴얼 1단 접점(21)의 상부가 삽입되도록 관통된 제1 접점 삽입홀(32)과;
    상기 제1 접점 삽입홀(32)과 대응되도록 상기 수평부재(31)의 타측에 관통된 제2 접점 삽입홀(33)이 일체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파워 윈도우 스위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 플런져 몸체(51)의 하부에 가압편(52)이 일체로 형성되되, 상기 가압 플런져 몸체(51)는 정사각형의 단면을 갖도록 형성되고, 상기 가압편(52)은 하부 외측 모서리에 만곡부(53)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파워 윈도우 스위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오토 버튼(60)은 버튼 몸체(61)의 양측에 형성된 힌지홀(611)과;
    상기 힌지홀(611)이 스위치 몸체(10)의 상부에 형성된 힌지편(12)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파워 윈도우 스위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 플런져(40)는 사각형태의 단면이 수직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수직 플런져 몸체(41)와;
    상기 수직 플런져 몸체(41)의 상부가 상기 가압 플런져(50)의 하부에 맞대어지고, 상기 수직 플런져 몸체(41)의 하부에 가압편(42)이 형성되되, 상기 가압편(42)은 하단이 반원형태를 갖도록 형성되어 상기 수평 플런져(30)의 상부와 점접촉이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파워 윈도우 스위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접점부재(20)에 구비된 매뉴얼 1단 접점(21)과 오토 2단 접점(22)은 스위치의 길이방향에 대해 상,하로 반복되며 비대칭되게 배열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파워 윈도우 스위치.
KR20130070736A 2013-06-20 2013-06-20 파워 윈도우 스위치 KR10145992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70736A KR101459920B1 (ko) 2013-06-20 2013-06-20 파워 윈도우 스위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70736A KR101459920B1 (ko) 2013-06-20 2013-06-20 파워 윈도우 스위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59920B1 true KR101459920B1 (ko) 2014-11-07

Family

ID=522875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30070736A KR101459920B1 (ko) 2013-06-20 2013-06-20 파워 윈도우 스위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59920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62216A (ko) 2016-11-30 2018-06-08 엘에스오토모티브테크놀로지스 주식회사 차량용 파워 윈도우 스위치 모듈
KR20180083189A (ko) 2017-01-12 2018-07-20 엘에스오토모티브테크놀로지스 주식회사 차량용 파워 윈도우 스위치 모듈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22744A (ja) * 1994-07-07 1996-01-23 Sumitomo Wiring Syst Ltd 車載用パワーウィンドスイッチ
JPH1186666A (ja) * 1997-09-02 1999-03-30 Toyo Denso Co Ltd パワーウインド用モータ制御装置
KR20040072443A (ko) * 2003-02-12 2004-08-18 대성전기공업 주식회사 파워윈도우 스위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22744A (ja) * 1994-07-07 1996-01-23 Sumitomo Wiring Syst Ltd 車載用パワーウィンドスイッチ
JPH1186666A (ja) * 1997-09-02 1999-03-30 Toyo Denso Co Ltd パワーウインド用モータ制御装置
KR20040072443A (ko) * 2003-02-12 2004-08-18 대성전기공업 주식회사 파워윈도우 스위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62216A (ko) 2016-11-30 2018-06-08 엘에스오토모티브테크놀로지스 주식회사 차량용 파워 윈도우 스위치 모듈
KR20180083189A (ko) 2017-01-12 2018-07-20 엘에스오토모티브테크놀로지스 주식회사 차량용 파워 윈도우 스위치 모듈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00076956A (ja) キ―スイッチ及びキ―ボ―ド
JP2001243850A (ja) 複合スイッチ装置
KR101459920B1 (ko) 파워 윈도우 스위치
JP2016520242A (ja) キーボードのキー用キーモジュールのためのキーリフタ、キーボードのキー用キーモジュール、およびキーモジュールの製造方法
JP2006338961A (ja) キースイッチ装置
JP2016001557A (ja) 2段スイッチ装置
JP6048232B2 (ja) 車両用ゲート部材の操作ハンドル装置
KR100511408B1 (ko) 파워윈도우 스위치
US10121616B2 (en) Window switch assembly of a vehicle
DE19619124B4 (de) Kippschalter, insbesondere für Fensterheber in einem Kraftfahrzeug
KR200470874Y1 (ko) 운전석 파워 윈도우 스위치 모듈
JP6729849B2 (ja) 操作ユニットの組み付け構造
US10152142B2 (en) Foot control for computer processor
EP3312863B1 (en) Switch device in particular for a use in a push pull window lifter mechanism
KR100896416B1 (ko) 차량용 스티어링휠 리모콘
JP2008112687A (ja) 電気機器スイッチ装置
KR100818849B1 (ko) 차량용 푸시스위치 장치
JP2022103825A (ja) スイッチ装置
KR200480834Y1 (ko) 사이드미러 스위치 조립체의 토글스위치 작동 장치
KR102001555B1 (ko) 2단 작동 스위치
KR20160031887A (ko) 차량용 파워 윈도우 스위치 어셈블리
JPH04255622A (ja) パワーシート操作用スイッチ
JP2021059965A (ja) 車両用ドアチェック装置
JP2019110098A (ja) 車載用スイッチユニット
JP4673756B2 (ja) 引戸のラッチ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1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16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