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81893A - 샤워기거치대를 구비하는 목욕의자 - Google Patents

샤워기거치대를 구비하는 목욕의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81893A
KR20180081893A KR1020170002765A KR20170002765A KR20180081893A KR 20180081893 A KR20180081893 A KR 20180081893A KR 1020170002765 A KR1020170002765 A KR 1020170002765A KR 20170002765 A KR20170002765 A KR 20170002765A KR 20180081893 A KR20180081893 A KR 2018008189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shower
coupling
chair
hea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027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08213B1 (ko
Inventor
이환희
Original Assignee
이환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환희 filed Critical 이환희
Priority to KR102017000276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08213B1/ko
Publication of KR201800818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8189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082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0821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3/00Baths; Douches; Appurtenances therefor
    • A47K3/12Separate seats or body supports
    • A47K3/122Sea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3/00Baths; Douches; Appurtenances therefor
    • A47K3/02Baths
    • A47K3/022Bath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 e.g. for washing the feet, for bathing in sitting posi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5/00Chairs or personal conveyances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wheelchairs
    • A61G5/02Chairs or personal conveyances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wheelchairs propelled by the patient or disabled pers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5/00Chairs or personal conveyances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wheelchairs
    • A61G5/1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pidemiology (AREA)
  • Special Chairs (AREA)
  • Bathtubs, Showers, And Their Attach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노약자나 장애인 등 거동이 불편하여 혼자서는 목욕을 할 수 없는 사람들이 사용하는 목욕의자에 관한 것으로, 특히 혼자서는 목욕을 할 수 없는 사람들의 목욕을 도와주는 간병인이나 보호자가 보다 편안하고 용이하게 목욕을 시킬 수 있도록 샤워기거치대를 구비하는 목욕의자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샤워기거치대를 구비하는 목욕의자는,
의자프레임에 결합되는 결합부와 상기 결합부와 연결되고 내부에 파이프가 삽입될 수 있도록 내부가 빈 파이프 형상의 거치부를 포함하는 지지부재와,
외주 직경이 상기 지지부재의 거치부 내주 직경보다 적은 파이프 형상으로 상기 거치부에 삽입되는 지주프레임과,
상기 지주프레임 상단에 회동관절로 연결되어 회동이 가능한 거치프레임과,
상기 거치프레임에 결합되며 샤워기의 헤드를 걸어 고정할 수 있도록 구비된 샤워기거치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샤워기거치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샤워기거치대를 구비하는 목욕의자{Bath chair with shower supporting stand for the handicapped}
본 발명은 목욕용 의자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노약자나 환자 또는 장애인 등과 같이 거동이 불편하여 혼자 목욕을 할 수 없는 사람을 목욕시키는 간병인이나 보호자가 편안하고 용이하게 목욕시킬 수 있도록 하는 샤워기거치대를 구비하는 목욕의자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노약자나 환자 또는 장애인 등과 같은 사람(이하 ‘피보호자’라 함)은 몸의 거동이 불편하기
때문에 다른 사람의 도움을 받지 않고는 자신이 스스로 목욕하기가 거의 불가능하다.
따라서 정상적인 건강한 간병인이나 보호자(이하 ‘보호자’라 함)의 도움을 받아 목욕을 할 수 밖에 없으나, 이 경우에도 보호자가 목욕을 시킬 때 피보호자가 자유롭게 몸을 움직이지 못하여 목욕자세를 용이하게 취하지 못함으로써 보호자가 상당히 힘들고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기존의 피보호자를 위한 목욕용 의자는 단순하게 피보호자가 앉을 수 있는 기능 및 목욕용 의자 하부에 바퀴를 장착함으로써 실내에서 목욕탕 등 목욕위치로의 이동 편리성만 제공하는 것으로, 목욕을 시키는 보호자의 편의성에 대한 근본적인 해결책이 되지 못하는 문제점이 지속되고 있다.
또한, 피보호자를 목욕용 의자에 앉히고 목욕탕으로 이동하여도 목욕탕에 부착된 샤워기를 사용하기가 힘든 문제점이 있는데 이는 목욕탕에 부착된 샤워기를 사용하려 해도 샤워기가 목욕탕 내 높은 위치에 위치하며 실내가 아주 비좁은 목욕탕 내에서 목욕용 의자가 원하는 위치에 자유롭게 이동하기 어려워 보호자가 샤워기를 사용하기 매우 어렵기 때문이다. 샤워기의 사용이 가능하다고 하여도 손으로 샤워기를 잡고 피보호자의 신체위치에 한동안 샤워기를 대고 있거나 샤워기가 미치지 못하는 경우에는 바가지 등으로 물을 받아 피보호자자의 신체에 뿌려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이후 따로 비누칠을 하거나 신체를 문지른 후에 또 다시 따로 물로 피보호자의 신체를 세척해야 하는 등 불편하고 시간이 많이 드는 문제점과 피보호자의 신체를 물로 세척하면서 동시에 비누칠을 하거나 신체를 목욕타월 등으로 문지르는 등 보호자가 양 손을 동시에 자유롭게 사용하지 못하는 불편한 문제점이 지속되고 있다.
특히 피보호자는 대소변을 자유롭게 볼 수가 없어서 엉덩이 등 국부 세척을 위한 목욕이 많은 비중을 차지하게 된다. 그러나 피보호자가 의자에 착좌한 상태에서 엉덩이 등 국부에 물로 세척하기가 매우 힘든데 이 것은 바닥 쪽 하부에서 물로 세척하기에는 샤워기가 미치지 못하며 바가지로 아래에서 물을 위로 올려 뿌려가며 세척하기가 매우 힘들기 때문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목욕용 의자의 프레임에 샤워기를 거치할 수 있도록 하고, 샤워기의 위치를 원하는 세척위치에
자유롭게 위치시킬 수 있도록 하여 보호자가 보다 편안하고 용이하게 목욕을 시킬 수 있도록 하는
피보호자를 위한 샤워기거치대를 구비하는 목욕용 의자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기존의 목욕의자에도 샤워기거치대를 쉽게 설치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샤워기거치대를 구비하는 목욕의자는,
착좌할 수 있는 좌판(11)과 등을 기댈 수 있는 등받이판(13)과 팔을 거치하거나 손으로 잡을 수 있는 팔걸이대(12)와 상기 좌판(11)과 등받이판(13) 및 팔걸이대(12)를 결합하며 서로 연결하여 지지하는 파이프형상의 의자프레임(14)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목욕의자(10)에 있어서;
의자프레임(14)에 결합되는 결합부(111)와, 상기 결합부(111)와 연결되어 파이프프레임을 거치할 수 있도록 내부가 빈 파이프형상의 거치부(112)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지지부재(110)와;
외주 직경이 상기 거치부(112)의 내주 직경보다 적은 파이프 형상으로 상기 거치부(112)에 삽입되는 지주프레임(120)과;
상기 지주프레임(120) 상단에 회동관절(130)로 연결되어 회동이 가능한 파이프형상의 거치프레임(140);과
상기 거치프레임(140)에 결합되며 샤워기(160)의 헤드를 걸어 고정할 수 있도록 구비된 샤워기거치부(15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샤워기거치대(100)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결합부(111) 중앙부에는 볼트가 삽입될 수 있는 나사산이 형성된 구멍이 구비되며, 이 곳에 삽입되는 볼트와 볼트와 연결되어 잡고서 회전시켜 풀거나 감아 단속할 수 있는 손잡이로 구성되는 결합노브(114)가 더 포함하여 구비됨에 따라 결합부(111)를 목용용 의자 프레임에서 상하로 움직이며 원하는 위치에서 상기 결합노브(114)를 돌려 감아 고정시킬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전체 샤워기 거치대의 상하 높이를 조절할 수 있게 된다.
상기 거치부(112)에도 나사산이 형성된 볼트 삽입구멍이 구비되며, 볼트와 볼트와 연결되어 회전시켜 풀거나 감아 단속할 수 있는 손잡이로 구성되는 거치노브(115)가 구비된다. 상기 거치노브(115)는 거치부(112)에 삽입되는 지주프레임(120)을 원하는 위치에서 돌려 감아 압박하여 고정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지지부재(110)의 거치부(112)에 삽입되는 지주프레임(120)의 외경은 거치부(112)의 내경보다
작기 때문에 파이프 형상의 지주프레임(120)은 거치부(112)내부에서 회전이 가능하게 되어 원하는 회전위치에서 지주프레임(120)을 고정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지주프레임(120)의 상단에는 회동관절(130)이 구비되고 이 곳에 파이프형상의 거치프레임(140)이
연결된다. 상기 회동관절(130)에 연결된 거치프레임(140)은 회동관절(130)을 지지점으로 하여 원하는 위치에서 회전하여 고정될 수 있게 구비된다.
상기 파이프형상의 거치프레임(140)에는 샤워기(160)를 거치할 수 있도록 구성된 샤워기거치부(150)가 결합되어 이 곳에 목욕용 샤워기(160)가 걸리게 된다.
상기 샤워기거치부(150)는 거치프레임(140)에 삽입될 수 있는 삽입공(154)을 구비하는 봉거치부(151)와
샤워기(160)의 헤드를 걸 수 있는 헤드걸개(152)와 상기 헤드걸개(152)를 봉거치부(151)에 압박하여 고정할 수 있도록 구비된 고정노브(153)를 포함하여 구성됨으로써, 샤워기거치부(150)는 상기 거치프레임(140)에서 회전하여 원하는 위치에서 고정될 수 있으며, 동시에 헤드걸개(152)도 봉거치부(151)를 중심으로 회전이 가능하게 구비된다.
상기 설명한 결합부(111)의 이동기능과 거치부(112)에 삽입되는 지주프레임(120)의 회전기능 및
지주프레임(120) 상단의 회동관절(130)에 연결되는 거치프레임(140)의 회전기능, 그리고 거치프레임(140)에 결합되는 샤워기거치부(150)의 회전기능 및 헤드걸개(152)의 회전기능을 적절히 조합하여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됨으로서, 샤워기거치대(100)의 위치와 방향을 최대한 원하는 방향으로 조절할 수 있도록 하여준다.
또, 지면과 가까운 목욕의자의 하부 프레임에는 상기 샤워기거치부(150)와는 별도로 샤워기(160)가 거치될 수 있도록 하부거치대(170)가 구비된다.
상기 하부거치대(170)는 의자프레임(14)에 결합되는 고정부(171)와 샤워기 헤드를 걸 수 있는
하부헤드걸개(173)가 거치암(172)에 의해 연결된 구조로 구성되며, 상기 고정부(171)에는 목욕의자 프레임에 볼트 등으로 고정될 수 있도록 고정공(174)이 구비된다. 상기 하부거치대(170)에 샤워기(160)가 고정되면 목욕의자 좌판의 중앙부에 형성된 홀(피보호자용 목욕용 의자는 착좌한 상태에서 배변 및 국부세척이 용이하도록 좌판의 중앙부에 홀을 형성함)을 통해 목욕의자 좌판 하부에서 물이 올라와 비데와 같이 엉덩이 등의 국부세척이 용이하게 된다.
또, 목욕의자의 프레임에는 호스거치대(180)가 더 구비되어 샤워기(160)에서 연결되어 수도로 연결되는
호스를 걸어 구속함으로써 목욕작업 시 호스가 걸리적 거리는 불편함을 해소할 수 있게 된다.
또, 의자프레임(14)에 설치되며 회전각도를 조절하여 고정할 수 있는 회동장치를 구비하는 제1결합부(210)와, 상기 제1결합부(210)와 맞물려 의자프레임(14)에 체결되는 제2결합부(220)와,
상기 제1결합부(210)와 함께 맞물려 회전각도를 조절하여 고정할 수 있으며 파이프를 삽입하여 거치할 수 있도록 내부가 빈 파이프형상의 공간을 구비하는 회동거치부(23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회동지지부재(200)와;
상기 회동지지부재(200)에 삽입되어 거치되는 파이프 형상의 지주프레임(120)과;
상기 지주프레임(120) 상단에 회동관절(130)로 연결되어 회동이 가능한 파이프형상의 거치프레임(140);과
상기 거치프레임(140)에 결합되며 샤워기(160)의 헤드를 걸어 고정할 수 있도록 구비된 샤워기거치부(15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샤워기거치대(100)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제1결합부(210)는 원형파이프가 반으로 나뉜 반원형의 파이프형상인 반원결합부a(211)와,
톱니나사산a(223)를 구비하는 결합헤드a(212)와,
볼트가 삽입될 수 있는 나사산이 형성된 결합공a(215)와,
내벽에 탭핑처리되어 나사산을 구비하는 고정공a(214)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제2결합부(220)는 상기 반원결합부a(211)와 맞물려 결합하는 원형파이프가 반으로 나뉜 반원형의 파이프형상인 반원결합부b(221)와,
내벽에 탭핑처리되어 나사산을 구비하는 노브결합공a(222)와,
볼트가 삽입될 수 있는 나사산이 형성된 결합공b(223)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회동거치부(230)는 내부가 빈 파이프형상의 공간인 파이프삽입부(236)를 구비하는 결합바디(231)와,
상기 결합헤드a(212)의 톱니나사산a(223)와 상호 각도를 조절하여 결합될 수 있도록 형성된 톱니나사산b(233)를 구비하는 결합헤드b(232)와,
상기 고정공a(214)와 맞물리도록 내벽에 나사산을 구비하는 고정공b(234)와,
내벽에 탭핑처리되어 나사산을 구비하는 노브결합공b(235)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제1결합부(210)와 제2결합부(220)는 결합공a(215)와 결합공b(223)를 관통하는 볼트에 의해 체결되어 의자프레임(14)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좌판(11)을 중심으로 팔걸이대(12) 하부 지면가까이 좌 우측 측면에 의자프레임(14)이 팔걸이대(12)와 평행하게 형성되고, 상기 팔걸이대(12)와 의자프레임(14)사이에 평행하게 설치되는 보조프레임(15)을; 더 포함하여 구비하고,
의자프레임(14)에 설치되며 결합과 분리가 가능하도록 구비된 하부거치부(310)와,
보조프레임(15)에 설치되며 결합과 분리가 가능하도록 구비된 상부거치부(320)와,
상기 하부거치부(310)와 상부거치부(320)에 삽입되어 고정되며 원형의 파이프형상인 하부지주프레임(330)과,
상기 하부지주프레임(330)의 내부에 삽입되며 상기 하부지주프레임(330)에 대해 상하로 높낮이를 조절하여 고정될 수 있도록 구비되는 상부지주프레임(340)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슬라이딩지주부(300)와;
상기 상부지주프레임(340)의 상단에 회동관절(130)로 연결되어 회동이 가능한 파이프형상으로 구비된 거치프레임(140)과;
상기 거치프레임(140)에 결합되며 샤워기(160)의 헤드를 걸어 고정할 수 있도록 구비된 샤워기거치부(15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샤워기거치대(100)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좌판(11) 저면에 변기통(400)을 삽입하여 거치할 수 있도록 변기통결합슬라이드(50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샤워기거치대를 구비하는 목욕용 의자는
샤워기의 위치를 원하는 위치로 자유롭게 변경할 수 있어 보호자가 피보호자를 편안하게 목욕시킬 수 있으며, 샤워기를 틀어 지속적으로 일정하게 물을 뿌려가면서 보호자가 양손을 편히 사용하여 때를 밀거나 비누칠을 할 수 있게 되어 힘이 덜 들고 목욕시간을 단축할 수 있게 된다.
특히, 피보호자가 의자에 착좌한 상태에서도 하부에서 샤워기를 거치할 수 있게 되어 엉덩이 등 국부를 용이하게 세척할 수 있는 아주 중요한 기능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보호자가 혼자서는 목욕하기 힘든 피보호자의 목욕을 편안하고도 용이하게 시킬 수 있으며 동시에 피보호자 역시 편안한 자세에서 원하는 위치에서 충분한 샤워를 즐길 수 있게 된다.
또한, 회동지지부재에 의해 목욕의자의 조립이 완성된 상태에서도 의자프레임(14)의 위치에 상관없이 어느 위치에서도 결합이 가능하고 분리와 결합이 용이하며, 기존의 목욕의자에도 손쉽게 설치하여 사용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샤워기거치대를 구비하는 목욕용 의자는 피보호자가 있는 가정은 물론, 양로원이나 요양원과 요양병원 등 노인보호시설에서 보호자가 매우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어 보호자의 힘든 일을 줄여주고 보다 편안하게 할 수 있도록 하여 주는 작업개선 효과가 매우 크다.
도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샤워기를 거치하는 목욕의자의 개략적인 구성도
도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지지부재를 도시하는 도면
도3는 본 발명에 따른 샤워기거치부를 도시하는 도면
도4는 본 발명에 제1 실시예에 샤워기거치대의 이동 및 회전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하부거치대를 도시하는 도면
도6은 본 발명에 따른 호스거치대를 도시하는 도면
도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회동지지부재(200)를 도시하는 도면
도8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회동지지부재의 상세도면
도9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회동지지부재의 결합상태를 도시하는 도면
도10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압착판의 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11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회동지지부재의 각도조절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12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회동지지부재가 목욕의자에서 회전되는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1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회동지지부재가 목욕의자에서 각도조절 되는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14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샤워기를 거치하는 목욕의자의 개략적인 구성도
도15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상부거치부를 도시하는 도면
도16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하부거치부를 도시하는 도면
도17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상부거치부와 하부거치부의 위치관계를 도시하는 도면
도18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샤워기거치대의 이동 및 회전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19는 본 발명의 변형예에 따른 변기통과 슬라이드삽입바를 도시하는 도면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샤워기거치대를 구비하는 목욕의자의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샤워기거치대를 구비하는 목욕의자의 좌판과 팔받침대, 그리고 등받이판을 지지하며
서로 연결되어 의자를 구성하는 의자프레임은 금속제로서 원형의 파이프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또한 이동의 편의성을 갖추기 위하여 하부에 4개의 바퀴를 장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실시예는 프레임이 금속제 원형파이프로 구성되며, 바퀴를 장착한 목욕의자를 전제로 설명하기로 한다.
<제1 실시예>
첨부된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샤워기거치대를 구비하는 목욕의자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개략적인 구성을으로 표시한 도면으로,
목욕의자(10)는 도면과 같이 혼자서는 자유롭게 움직이기가 힘든 피보호자가 착좌할 수 있는 좌판(11)과 등을 기댈 수 있는 등받이판(13)과 팔을 거치하거나 손으로 잡을 수 있는 팔걸이대(12)와 상기 좌판(11)과 등받이판(13) 및 팔걸이대(12)를 결합하며 서로 연결하여 지지하는 파이프형상의 의자프레임(14)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 목욕의자(10)는 바람직하게는 이동의 편의성을 높이기 위해 목욕용 의자 하부에 전륜(15)과 후륜(16)의 4개 바퀴를 더 포함하여 구비하며, 도면과 같이 좌판(11)에는 중앙에 홀을 형성하여 착좌한 상태에서 배변 및 국부세척이 용이하도록 한다. 또한 상기 좌판(11) 중앙에 형성된 홀의 하부에 변기통을 장착하여 피보호자를 위한 이동변기로도 사용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은 혼자서는 자유롭게 움직이기가 힘든 피보호자를 위하여 목욕을 시키는 보호자가 더욱 편하고 용이하게 목욕을 시킬 수 있도록 샤워기거치대(10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그 특징으로 하는 것으로서, 제1 실시예에 따른 상기 샤워기거치대(100)는 도2에서 표시된 바와 같이, 의자프레임(14)에 결합되는 지지부재(110)와, 상기 지지부재(110)에 연결되는 지주프레임(120)과, 상기 지주프레임(120)상단에 결합되는 회동관절(130)과, 상기 회동관절(130)을 지지점으로 회동이 가능하도록 회동관절(130)에 연결되는 거치프레임(140)과, 상기 거치프레임(140)에서 회전이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샤워기거치부(15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샤워기거치부(150)에 수도꼭지와 호스로 연결되는 샤워기(160)가 결합되어 진다.
도2는 상기 지지부재(110)의 상세한 구조를 설명한 도면으로,
지지부재(110)는 의자프레임(14)에 결합되는 결합부(111)와, 상기 지주프레임(120)을 내부에 삽입하여 고정 거치할 수 있도록 구성된 거치부(112)와, 상기 결합부(111)와 상기 거치부(112)가 일정 간격을 유지하며 연결될 수 있도록 하는 연결부(11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바람직하게는 결합부(111)에 결합되는 결합노브(114)와, 거치부(112)에 결합되는 거치노브(115)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는데, 거치부(112)의 중앙부에는 볼트가 삽입될 수 있도록 나사산을 구비하는 볼트공(미도시)이 형성되고, 여기에 볼트와 회전손잡이로 구성된 거치노브(115)가 회전 결합되어 거치부(112)의 내부에 삽입되는 거치프레임(140)을 압박하여 고정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결합부(111)의 중앙부에도 볼트가 삽입될 수 있도록 대응하는 나사산을 구비하는 볼트공이 형성되고, 여기에 볼트와 회전손잡이로 구성된 결합노브(114)가 회전 결합되어 목욕의자 프레임(14)을 압박하여 원하는 위치에서 거치부(112)고정시킬 수 있게 된다.
도2의 우측그림은 노브의 일반적인 구조로 볼트와 손잡이의 구조로 이루어지며, 결합노브(114)와 거치노브(115)는 동일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도3는 샤워기거치부(150)의 구조와 회전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샤워기거치부(150)는 거치프레임(140)에 삽입될 수 있도록 중앙부에 관통공인 삽입공(154)를 구비하는 봉거치부(151)와, 샤워기(160)의 물이 나오는 헤드부분이 걸리도록 구비된 헤드걸개(152)와, 상기 봉거치부(151)와 헤드걸개(152)를 동시에 압박하여 조임을 가하거나 풀 수 있도록 구성되는 고정노브(15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 때 봉거치부(151)와 고정노브(153)사이에 끼워져 결합되며 샤워기(160)의 물이 나오는 헤드부분이 걸리도록 구비된는 헤드걸개(152)는 고정노브(153)의 조임과 풀림에 따라 도3 우측 그림과 같이 샤워기거치부(150)의 몸체를 따라 회전 및 고정이 가능하게 된다.
도3 우측의 그림(a)와 그림(b)를 비교하면 봉거치부(151)의 위치는 동일한데 헤드걸개(152)의 위치가 다른 것을 알 수 있다.
도4는 본 발명에 의한 샤워기거치대(100) 각 구성부의 이동 및 회전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에 따른 샤워기거치대(100)는 샤워기의 위치를 원하는 방향의 세척위치에 자유롭게 위치시킬 수 있도록 하여 보호자가 보다 편안하고 용이하게 목욕을 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를 위한 각 구성부의 기능을 도4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지지부재(110)의 결합부(111)는 도4에 점선a로 표시된 바와 같이 결합된 위치의 의자프레임(14)에서 상하로 움직일 수 있으며, 원하는 위치에서 결합노브(114)에 의해 고정될 수 있다. 이 때 결합부(111)의 내경은 의자프레임(14)의 외경보다 당연히 크도록 구성된다.
거치부(112)의 내부에 삽입되어 고정되는 지주프레임(120)의 외경은 거치부(112)의 내경보다 작게 구비되며 이에 따라 지주프레임(120)은 도3에 점선b로 표시된 바와 같이 거치부(112)의 내부에서 회전이 자유로와 원하는 회전위치에서 거치노브(115)에 의해 고정될 수 있게 된다.
또한, 지주프레임(120) 상단에 구비된 회동관절(130)에 결합되는 거치프레임(140)은 회동관절(130)을 지지점으로 하여 회전이 자유로우며 회동관절(130)의 단속장치(미도시)에 따라 원하는 위치에서 고정이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회동관절과 회동 단속장치는 기존의 다양한 방식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주지의 기술이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거치프레임(140)에 삽입되어 결합되는 샤워기거치부(150)는 앞서 도3을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거치프레임(140)에서 회전이 자유로우며 동시에 샤워기거치부(150)의 헤드걸개(152)도 회전이 자유롭다.
상기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샤워기거치대(100)는 결합부(111)의 결합된 의자프레임(14)에 대한 이동기능과 거치부(112)에 삽입되는 지주프레임(120)의 회전기능 및 지주프레임(120) 상단의 회동관절(130)에 연결되는 거치프레임(140)의 회전기능, 그리고 거치프레임(140)에 결합되는 샤워기거치부(150)의 회전기능 및 헤드걸개(152)의 회전기능은 각 구성부의 이동과 회전을 조합하여 조절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샤워기거치대의 위치와 방향을 최대한 원하는 방향으로 조절할 수 있도록 하여준다.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인 하부거치대(170)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 도면과 같이 지면과 가까운 목욕의자 하부에 위치하는 의자프레임(14)에 샤워기거치부(150)와는 별도로 샤워기(160)가 거치될 수 있도록 구비된 하부거치대(17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하부거치대(170)는 도5 좌측의 하단 점선박스내 그림과 같이 목욕의자의 프레임에 결합되는 고정부(171)와 샤워기 헤드를 걸 수 있는 하부헤드걸개(173)가 거치암(172)에 의해 연결된 구조로 구성되며, 상기 고정부(171)에는 목욕의자 프레임에 볼트 등으로 고정될 수 있도록 고정공(174)이 다수 구비된다. 상기 하부거치대(170)에 샤워기(160)가 부착되면 도5의 우측 그림과 같이 목욕의자 좌판(11)의 중앙부에 형성된 홀을 통해 목욕의자 좌판 하부에서 물이 올라와 엉덩이 등의 국부세척이 용이하게 된다.
거동이 불편한 피보호자는 대소변을 자유롭게 볼 수가 없어서 엉덩이 등 국부 세척을 위한 목욕이 많은 비중을 차지하게 된다. 그러나 피보호자가 의자에 착좌한 상태에서 엉덩이 등 국부에 물로 세척하기가 매우 힘든데 이 것은 바닥 쪽 하부에서 물로 세척하기에는 샤워기가 미치지 못하며 바가지로 아래에서 물을 위로 올려 뿌려가며 세척하기가 매우 힘들기 때문이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하부거치대(170)에 샤워기(160)을 거치하면 물을 틀어 논 상태에서 보호자가 양손을 사용하여 더욱 편하게 피보호자의 엉덩이와 국부를 세척할 수 있게 되며, 물이 하방향에서 상방향으로 올라오게 되어 피보호자는 용변 후 비데를 사용하여 물로 세척을 하는 것과 같은 편안한 효과를 얻을 수 있게 된다.
도6은 호스거치대(180)을 나타낸 도면으로, 도면과 같이 목욕의자의 프레임에는 호스거치대(180)가 더 구비되어 샤워기(160)에서 연결되어 수도로 연결되는 호스를 걸어 구속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목욕작업 시 호스가 걸리적 거리는 불편함을 해소할 수 있게 된다.
<제2 실시예>
도7내지 도1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샤워기거치대를 구비하는 목욕의자의 개략적인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 상술한 제1실시예에 따른 지지부재(110)의 다른 실시예인 회동지지부재(200)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앞서 도1 내지 도4를 통해 설명한 지지부재(110)와 본 제2 실시예에 따른 회동지지부재(200)의 차이점은
아래와 같다. 첫째로는 의자프레임(14)에 결합되는 지지부재(110)에서는 결합부(111)와 거치부(112)가 연결부(113)로 상호연결 되어져 결합된 하나의 단일 구조로 이루어진 반면, 본 회동지지부재(200)는 두 개로 분리되어 하나의 세트로 구성되는 제1결합부(210)와 제2결합부(220)가 의자프레임(14)에 상호 결합되어 지며, 거치부(112)역할을 하는 회동거치부(230)가 제1결합부(210)에 결합되어 구성되는 것이며,
둘째로는 지주프레임(120)을 고정하는 거치부(112)와 연결되는 연결부(113)가 단일 파이프 형상으로 고정 결합되어 회동이 불가능한 반면에, 회동지지부재(200)에서는 회동거치부(230)가 제1결합부(210)에서 회동이 가능하며 원하는 위치의 각도에서 고정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이다.
본 회동지지부재(200)의 차이점 이외에 다른 구성요소들은 상기 제1 실시예에서 설명한 바와 동일하며,
이에 따라 동일한 기능을 하는 구성요소들의 부호는 이하 설명 상 동일한 부호를 사용한다.
도7은 상기 설명한 지지부재(100)의 다른 실시 예인 회동지지부재(200)를 적용한 실시 예에 따라 샤워기거치대를 표시한 도면이며, 도8내지 도13은 회동지지부재(200)의 상세한 구성과 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 이들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회동지지부재(200)는 목욕의자의 조립이 완성된 상태에서도 의자프레임(14)의 위치에 상관없이 어느 위치에서도 결합이 가능하고 분리와 결합이 용이하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으며, 제1결합부(210)와 제2결합부(220) 및 회동거치부(23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도8에서 보는 바와 같이, 의자프레임(14)에 결합되는 부분이 제1결합부(210)와 제2결합부(220)로 분리되어 구성되며, 제1결합부(210)와 제2결합부(220)에는 각기 의자프레임(14)을 감싸며 상호 결합될 수 있도록 원형파이프가 반으로 나뉜 반원형의 파이프형상인 반원결합부a(211)와 반원결합부b(221)를 구비하며, 반원결합부a(211)와 반원결합부b(221)는 맞물리면 각기 서로 대응하는 위치에 볼트가 삽입될 수 있는 나사산이 형성된 결합공a(215)와 결합공b(223)을 다수 구비하여 이 곳을 통해 볼트(미도시)로서 서로 체결되어 결합된다. 상기 제1결합부(210)와 제2결합부(200)가 서로 볼트에 의해 체결되면 내부직경이 의자프레임(14)의 외경보다 큰 원형의 빈 공간인 프레임삽입부(224)가 형성된다.
상기와 같이 의자프레임(14)에 결합되는 부분이 제1결합부(210)와 제2결합부(220)로 분리되어 구성되는 것은 중요한 의미를 갖는 것으로써, 이와 같이 분리 구성됨에 따라 기존의 목욕의자에도 본 발명에 따른 샤워기거치대(100)를 의자프레임(14)에 손쉽게 거치하여 사용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좌판(11)을 중심으로 좌측의 의자프레임이나 우측의 의자프레임에 선택하여 샤워기거치대(100)를 설치할 수 있게 됨에 따라 실내가 몹시 협소한 목욕탕내로 진입한 목욕의자가 회전을 할 필요 없이 샤워기가 연결된 수도꼭지와 가까운 쪽의 의자프레임(14)에 샤워기거치대(100)를 설치하여 사용할 수 있게 된다.
또한, 회동지지부재(200)는 지주프레임(120)을 고정하며 동시에 원하는 각도로 회동시킬 수 있도록 하는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제1결합부(210)와, 제1결합부(210)와 결합하는 회동거치부(230)는 기어가 서로 맞물려 돌아가는 것처럼 각기 대응하여 결합될 수 있는 톱니나사산a(213)와 톱니나사산b(233)가 형성된 결합헤드a(212)와 결합헤드b(232)에 의해 결합되며, 내벽에 탭핑처리되어 나사산을 구비하는 고정공a(214)와 고정공b(234)를 관통하는 회동고정노브(241)에 의해 고정된다.
도 9는 제1결합부(210)와 제2결합부(220)가 볼트에 의해 서로 결합하고, 또 제1결합부(210)와 회동거치부(230)가 결합헤드a(212)와 결합헤드b(232)에 의해 결합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으로, 그림의 각도를 달리하여 도10의 상부 그림(a)과 하부그림(b)을 각기 표시하였으며, 우측 상단 박스내 그림(c)는 통상적인 노브의 그림으로 볼트가 손잡이와 결합되어 구성되어지며, 우측 하단 박스 내 그림(d)는 제1결합부(210)와 제2결합부(200)가 볼트에 의해 서로 체결되어 내부에 빈 원형으로 형성되는 프레임삽입부(224)와 회동거치부(230)의 결합바디(231) 내부에 형성된 빈 원형 공간인 파이프삽입부(236)의 내부에 삽입되어 각기 의자프레임(14)과 지주프레임(120)을 압착하여 강하게 고정할 수 있도록 하는 압착판(250)을 표시한 그림이다.
상기 압착판(250)은 원형의 파이프를 감쌀 수 있도록 반원형 형상의 원형판재(251)와 상기 원형판재(251)의 일단부에는 형성된 걸림돌기(252)가 포함되어 구성된다.
프레임삽입부(224)와 파이프삽입부(236)의 내부에 삽입된 압착판(250)의 걸림돌기는(252) 도10의 상단 그림(a)와 우측상단 그림(d)를 통해 알 수 있듯이, 제2결합부(220)와 회동거치부(230)에 형성되는 압착판고정공(260)에 외부로 돌출되고 기역자 형상으로 외부로 꺽여져 압착판고정공(260)에 걸리게 된다.
한편, 회동거치부(230)와 제2결합부(220)에는 각기 노브가 결합될 수 있도록 외부로 타원형의 형상으로 돌출되고 내벽에 탭핑으로 나사산을 구비하는 노브결합공b(235)와 노브결합공a(222)가 형성되며 이 곳을 통하여 고정노브b(243)와 고정노브a(242)가 회전삽입되어 결합된다. 도10의 좌측중간 그림(b)에서 알 수 있는 것과 같이 고정노브b(243)의 회전삽입에 따라 압착판(250) 전방으로 힘을 받게 되며, 도 10의 좌측 하단그림(c)와 같이 삽입되어진 지주프레임(120)을 강하게 압착하게 된다.
압착판(250)이 없이 고정노브a(242)의 결합만으로도 지주프레임(120)을 압박하여 고정할 수 있으나 삽입된 지주프레임(120)의 위치를 변경하거나 회전시킬 때 고정노브의 볼트에 의해 지주프레임(120)표면에 스크래치가 쉽게 발생할 수 있으며, 압착하는 면적이 아주 작아 압착위치가 쉽게 이탈될 수도 있으며,압착판이 있을 때 보다 압박하는 힘이 적어지게 된다.
따라서 압착판(250)을 삽입하여 사용함으로써 목욕의자의 프레임이 쉽게 상하는 것을 방지하고 삽입된 파이프를 좀 더 강하게 압박하여 고정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도 11내지 도13은 회동지지부재(200)의 회전조절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 상술한 도8내지 도10의 회동지지부재(200)의 구조와 함께 설명한다.
도11의 좌측그림(a)처럼 파이프삽입부(236)의 내부에 삽입된 지주프레임(120)은 고정노브b(243)를 적당히 풀면 내부에 작은 여분의공간이 형성되어 회전이 자유롭게 된다. 따라서 도12의 좌측그림(a)에서 보듯이 원하는 회전위치에서 지주프레임(120)을 돌려가며 고정할 수 있게 된다. 프레임삽입부(224) 내부에 위치하게 되는 의자프레임(14)도 마찬가지로 고정노브a(242)를 돌려 약간 풀게 되면 내부에 작은 여분의공간이 형성되어 전체 회동지지부재(200)의 회전이 가능하게 되어 도 12의 우측그림(b)처럼 자유롭게 원하는 방향으로 샤워기거치대(100)의 회전을 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도 11의 우측 상단그림(b)과 같이 결합헤드a(222)의 톱니나사산a(223)와 결합헤드b(232)의 톱니나사산b(233)가 원하는 각도에서 맞춰지고 회동고정노브(241)를 감아 돌려서 잠금에 의해 고정될 수 있으며, 하단그림(c)와 같이 다시 회동고정노브(241)를 돌려 풀고 회동거치부(230)의 회동각도를 다시 조절한 후 회동고정노브(241)를 다시 감아 잠금으로써 원하는 회동각도 조절을 쉽게 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결합헤드a(222)의 톱니나사산a(223)와 결합헤드b(232)의 톱니나사산b(233)는 기어가 서로 맞물리듯이 당연히 서로 맞물릴 수 있도록 구성됨은 물론이다. 결합헤드a(212)의 톱니나사산a(223)와 결합헤드b(232)의 톱니나사산b(233)이 물리는 각도에 따라 샤워기거치대(100)의 회동각도가 변하는 것을 도13 의 좌우측 그림의 비교를 통해 쉽게 알 수 있다.
상기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회동지지부재(200)는 그 자체로서 지주프레임(120)과 의자프레임(14)에 대해 자유롭게 회전할 수 있는 동시에, 그 구성요소인 제1결합부(210)와 회동거치부(230)의 각도조절기능에
따라 자유로운 회전각도에서 고정될 수 있음에 따라, 회동관절(130) 및 샤워기거치부(150)의 회전기능과 더불어 지지부재(100)보다 더욱 폭넓고 다양한 위치조절 기능을 제공 할 수 있게 되며, 더불어 압착판(150)의 기능에 따라 목욕의자의 프레임이 쉽게 상하는 것을 방지하고 삽입된 파이프를 좀 더 강하게 압박하여 고정시킬 수 있게 되는 다양한 목적을 동시에 해결할 수 있게 된다.
<제 3실시예>
도14내지 도18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샤워기를 구비하는 목욕의자의 개략적인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 이들 도면을 참조하여 이하 제3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며 제3 실시예의 설명에 있어 상술한 제1 실시예 및 제2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요소들의 부호는 이하 설명 상 동일한 부호를 사용하기로 한다.
제3 실시예에 따른 샤워기를 구비하는 목욕의자는 목욕의자 좌우측면에 보조프레임(15)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보조프레임(15)에서 앞뒤로 이동이 가능한 슬라이딩지주부(300)를 구비하는 것이 그 특징이다.
상기 슬라이딩지주부(300)가 제 1실시예 및 제 2실시예와 다른 점은 먼저, 도 14의 좌측그림(a)와 같이 목욕의자의 좌판(11)을 중심으로 좌우측 측면에 팔걸이대(12) 하부 지면가까이에 의자프레임(14)이 팔걸이대(14)와 평행하게 형성되고, 상기 팔걸이대(12)와 하부의 의자프레임(14)에 평행하게 보조프레임(15)을 더 형성하여 구비하며, 보조프레임(15)에 결합되는 상부거치부(320)와, 의자프레임(14)에 결합되는 하부거치부(310)가 제1 실시예의 지지부재(110)의 기능을 수행하게 되며, 제1 실시예 및 제2 실시예에서는 지주프레임(120)이 하나인 데 반해 본 제3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딩지주부(300)에서는 하부지주프레임(330)과 상부지주프레임(340)의 두 개로 분리되어 구성되는 점이 큰 차이점이라 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보조프레임(15)은 좌판을 중심으로 좌우 측 측면에 각기 좌측보조프레임(15a)과 우측보조프레임(15b)의 한 쌍으로 구비되며, 바람직하게는 도면과 같이 상기 팔걸이대(12)와 의자프레임(14) 사이에 평행하게 위치하게 된다.
상기 하부지주프레임(330)과 상부지주프레임(340)은 내부가 빈 원형의 파이프형상으로서, 상기 상부지주프레임(340)은 하부지주프레임(330)의 내부에 삽입되어지며, 상기 하부지주프레임(330)의 상단에 결합되는 길이조절커플링(350)에 의해 상부지주프레임(340)이 하부지주프레임(330)의 내부에서 상하로 움직여 상부지주프레임(340)의 높이가 조절이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길이조절커플링(350)은 도14 우측 점선박스(b)에서 표시한 바와 같이 삽입된 파이프를 풀거나 조임으로써 길이를 조절하여 고정시킬 수 있는 구조로 이루어진 것으로 밀대걸레의 길이를 조절하는 등 다양하게 사용되고 있는 주지의 방법이라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길이조절커플링(350)에 의해 연결되는 상부지주프레임(340)의 상단에는 제1 실시예 및 제2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회동관절(130)이 구비되어 상부지주프레임(340)과 거치프레임(140)이 회동관절에 의해
결합되어지며, 샤워기거치부(150)가 거치프레임(140)에 연결되는 것도 동일하다.
도15는 상부거치부(320)의 구성을 상세하게 표시한 도면으로, 상부거치부(320)는 도 15의 좌측 상단 점선 박스부분의 상부제1거치부(320a)와, 좌측 그림 하단 점선박스부분의 상부제2거치부(320b)의 2개 부분으로 나뉘어 구성된다.
상부제1거치부(320a)는 상부지주프레임(340)이 관통되는 내부가 빈 원형파이프 형상의 관통부(321)가
연결부인 상부암(322)에 의해 반원형의 파이프 형상을 구비하는 상부결합헤드(323)와 일체형으로 형성되며, 상기 관통부(321)의 중앙부에는 내부에 나사산을 구비하는 노브공(324)이 뚫려 있어 이곳에 볼트와 손잡이로 구성되는 고정노브(325)를 돌려 끼워지도록 구비된다. 또 상부암(322)에는 볼트가 삽입될 수 있도록 상부볼트공(326)이 다수 구비된다.
상부제2거치부(320b)는 상부제1거치부(320a)의 관통부(321)를 제외한 부분과 아래 방향에서 위로 서로 맞물려 결합될 수 있도록, 상부암(322)과 대응하는 하부암(327)이 상부결합헤드(323)와 서로 대응하여 결합되는 하부결합헤드(328)와 연결되며, 상부볼트공(326)과 대응하는 하부볼트공(329)이 하부암(327)에 동일한 위치에 구비된다.
도15의 우측 그림은 상부제1거치부(320a)와 상부제2거치부(320b)가 서로 맞물려 결합한 상태를 도시한 것으로, 상부결합헤드(323)와 하부결합헤드(328)가 결합되면 그림과 같이 원형의 빈 공간인 결합홀(360)이 형성되며, 이 곳 결합홀(360)에는 보조프레임(15)이 관통된다.
이 때 당연히 결합홀(360)의 내경은 보조프레임(15)의 외경보다 크게 형성된다.
또한, 서로 결합되면 동일한 위치에 오도록 구비된 상부볼트공(326)과 하부볼트공(329)에 볼트와 너트로
단단히 결합되며, 관통부(321)에 관통되는 하부지주프레임(330)은 노브공(324)에 회전결합되는 조정노브
(325)에 의해 원하는 회전위치에서 고정될 수 있다.
도 16의 하부거치부(310)도 도면의 좌측 상단 점선박스의 하부제1거치부(310a)와 좌측 하단점선박스의
하부제2거치부(310b)의 두 개 부분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서로 결합할 때 상단부에 위치하게 되는 하부제1거치부(310a)는 하부지주프레임(330)이 삽입되도록 내부가 빈 원형파이프 형상으로 형성된 삽입부(311)가 연결부인 제1결합암(312)에 의해 반원형의 파이프 형상을 구비하는 제1결합헤드(313)와 결합되어 구성된다. 또 제1결합암(312)에는 볼트가 삽입될 수 있도록 상부결합공(314)이 다수 구비된다.
하부제2거치부(310b)는 하부제1거치부(310a)와 맞물려 의자프레임(14)에 결합될 수 있으며, 동시에
샤워기헤드를 거치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을 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이 큰 특징이라 할 수 있다.
도16의 하단 점선박스내 그림처럼 하부제2거치부(310b)는 하부제1거치부(310a)의 제1결합암(312)과 하부에서 맞물릴 수 있도록 형성된 제2결합암(315)이 제1결합헤드(313)와 맞물릴 수 있도록 반원형의 파이프 형상을 한 제2결합헤드(316)와 연결되고, 상기 제2결합헤드(316)는 샤워기의 헤드를 거치할 수 있도록 형성된 하단헤드거치대(318)과 제3결합암(317)에 의해 일체형으로 결합된 형태로 구성된다.
또한 서로 맞물렸을 때 상기 상부결합공(314)과 동일한 위치에서 볼트와 너트에 의해 단단히 고정될 수 있도록 하부결합공(319)이 제2결합암(315)에 형성된다.
제1결합헤드(313)와 제2결합헤드(316)이 맞물리면 도16의 우측그림과 같이 빈 원형 파이프 형상의 공간인 하부결합홀(370)이 형성되어진다.
상기 형성된 하부결합홀(370)에는 의자프레임(14)이 관통되어진다. 따라서 상기 하부결합홀(370)의 내경은 의자프레임(14)의 외경보다 당연히 크게 형성된다.
도 17의 우측그림은 하부거치부(310)와 상부거치부(320)에 하부지주프레임(330)이 결합된 모습을 나타낸 확대도면으로, 하부지주프레임(330)이 일직선상에서 지면과 수직으로 위치하게 되는데 이 것은 도15 내지 도16을 통해 설명한 결합홀(360)에서 관통부(321)사이의 거리와 하부결합홀(370)에서 삽입부(311)사이의 거리가 동일하기 때문인 것을 그림을 통해 쉽게 알 수 있다.
도 18은 제3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딩지주부(300)를 구비하는 샤워기거치대의 이동 및 회전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 상기에서 도14 내지 도18을 통해 설명한 바와 함께 참조하여 설명하면,
도면 내 점선으로 표시된 (a)는 하부거치대(310)과 상부거치대(320)에 삽입되어지고 조정노브(325)에 의해 고정된 하부지주프레임(330)이 보조프레임(15)과 지주프레임(14)에서 좌우로 이동이 가능함을 표시한 것이며, 점선(b)로 표시된 부분은 하부지주프레임(330)이 하부거치대(310)과 상부거치대(320) 내부에서 회전이 가능한 것을 표시하며, 점선(c)는 하부지주프레임(330)에 삽입되어진 상부지주프레임(340)이 상하로 이동하여 높이조절이 가능하며 길이조절커플링(350)에 의해 원하는 높이에서 고정될 수 있음을 표시한 것이다.또한, 점선(d)는 상기 상부지주프레임(340)의 상단에서 회동관절(130)에 의해 연결된 거치프레임(140)이 회동관절(130)을 지지점으로 회동이 가능하여 원하는 지점에서 고정될 수 있음을 표시한 것이며, 점선(e)는 거치프레임(140)에 연결된 샤워기거치부(150)가 거치프레임(140)을 중심으로 회전이 가능한 것을 표시한 것으로 제1 실시예 및 제2 실시예와 동일하다.
상기 설명한 바와 같이 제3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딩지주부(300)는
목욕의자의 좌판(11)의 측면부에서 자유롭게 앞뒤로 이동할 수 있게 됨에 따라 보호자가 목욕을 진행하면서 손으로 손쉽게 앞뒤로 샤워기를 위치하며 조정할 수 있고, 특히 슬라이딩지주부(300)가 측면 등받이판(13) 가까운 곳까지 이동이 가능하여 목욕을 하는 피보호자의 후방 쪽에서도 샤워기를 거치할 수 있게 됨에 따라 피보호자의 등을 세척하거나 머리를 감겨줄 때 아주 편안하게 사용할 수 있게 되는 큰 장점이 있게 된다.
또한 목욕의자 하단에 일체형으로 구성된 샤워기거치대를 동시에 구비할 수 있게 된다.
<변형 실시예>
첨부된 도19는 상술한 제1 실시예 내지 제3 실시예에 모두 적용될 수 있는 형태로서, 변기통(400)을 끼워 넣어 걸칠 수 있도록 구성된 삽입슬라이드바(500)가 좌판(11) 저면 양측에 더 설치된 것이 그 특징으로,
우측그림과 같이 좌판(11)의 중앙에 형성된 홀이 있어 용변이 가능하게 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의한 샤워기가 구비된 목욕의자는 이동변기로서 사용도 가능하게 된다.
이상,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 예를 들어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및 범위 내에서 당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여러 가지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할 것이다.
10 : 목욕의자
11 : 좌판
12 : 팔걸이대
13 : 등받이판
14 : 의자프레임
100 : 샤워기거치대
110 : 지지부재
111 : 결합부
112 : 거치부
113 : 연결부
114 : 결합노브
115 : 거치노브
120 : 지주프레임
130 : 회동관절
140 : 거치프레임
150 : 샤워기거치부
151 : 봉거치부
152 : 헤드걸개
153 : 고정노브
154 : 삽입공
160 : 샤워기
170 : 하부거치대
171 : 고정부
172 : 거치암
173 ; 하부헤드걸개
174 : 고정공
180 : 호스거치대
200 : 회동지지부재
210 : 제1결합부
211 : 반원결합부a
212 : 결합헤드a
213 ; 톱니나사산a
214 : 고정공a
215 : 결합공a
220 : 제2결합부
221 : 반원결합부b
222 : 노브결합공a
223 : 결합공b
224 : 프레임삽입부

230 : 회동거치부
231 : 결합바디
232 : 결합헤드b
233 : 톱니나사산b
234 : 고정공b
235 : 노브결합공b
236 : 파이프삽입부

240 : 노브
241 : 회동고정노브
242 : 고정노브a
243 : 고정노브b

250 : 압착판
251 : 압착바디
252 : 걸림돌기
260 : 압착판고정공

300 : 슬라이딩지주부
310 : 하부거치부
310a : 하부제1거치부
311 : 삽입부
312 : 제1결합암
313 : 제1결합헤드
314 : 상부결합공
310b : 하부제2거치부
315 : 제2결합암
316 : 제2결합헤드
317 : 제3결합암
318 : 하단헤드거치대
319 : 하부결합공

320 : 상부거치부
320a : 상부제1거치부
321 : 관통부
322 : 상부암
323 : 상부결합헤드
324 : 노브공
325 : 조정노브
326 : 상부볼트공
320b : 상부제2거치부
327 : 하부암
328 : 하부결합헤드
329 : 하부볼트공

330 : 하부지주프레임
340 : 상부지주프레임
350 : 길이조절커플링
360 : 결합홀
370 : 하부결합홀
400 : 변기통
500 : 삽입슬라이드바

Claims (16)

  1. 노약자나 장애인 등 거동이 불편하여 혼자서는 목욕을 할 수 없는 사람들이 사용하며,
    앉을 수 있는 좌판(11)과 팔을 거치하거나 손으로 잡을 수 있는 팔걸이대(12)와 등을 기댈 수 있는 등받이판(13)과, 상기 좌판(11)과 팔걸이대(12) 및 등받이판(13)를 결합하며 서로 연결하여 지지하는 파이프형상의 의자프레임(14)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목욕의자(10)에 있어서;

    의자프레임(14)에 결합되어 설치되는 결합부(111)와, 상기 결합부(111)와 연결되어 파이프를 거치할 수 있도록 내부가 빈 파이프형상의 거치부(112)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지지부재(110)와;
    외주 직경이 상기 거치부(112)의 내주 직경보다 적은 파이프 형상으로 상기 거치부(112)에 삽입되는 지주프레임(120)과;
    상기 지주프레임(120)의 상단에 회동관절(130)로 연결되어 회동이 가능한 파이프형상의 거치프레임(140)과;
    상기 거치프레임(140)에 결합되며 샤워기(160)의 헤드를 걸어 고정할 수 있도록 형성된 샤워기거치부(15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샤워기거치대를 구비하는 목욕의자.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111)의 일측면에는 볼트가 삽입될 수 있도록 나사산이 구비된 구멍이 형성되고,
    상기 결합부(111)에 형성된 구멍에 체결되는 결합노브(114)와;
    상기 거치부(112)의 일측면에도 볼트가 삽입될 수 있도록 나사산이 구비된 구멍이 형성되고
    상기 거치부(112)에 형성된 구멍에 체결되는 거치노브(115)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샤워기거치대를 구비하는 목욕의자.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샤워기거치부(150)는,
    거치프레임(140)에 삽입될 수 있는 관통공인 삽입공(154)을 구비하는 봉거치부(151)와,
    샤워기(160)의 헤드를 걸 수 있으며 상기 봉거치부(151)의 외주면을 따라 회전할 수 있도록 형성된 헤드걸개(152)와,
    상기 헤드걸개(152)를 봉거치부(151)에 압박하여 고정할 수 있도록 구비된 고정노브(153)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샤워기거치대를 구비하는 목욕의자.
  4. 노약자나 장애인 등 거동이 불편하여 혼자서는 목욕을 할 수 없는 사람들이 사용하며,
    앉을 수 있는 좌판(11)과 팔을 거치하거나 손으로 잡을 수 있는 팔걸이대(12)와 등을 기댈 수 있는 등받이판(13)과, 상기 좌판(11)과 팔걸이대(12) 및 등받이판(13)를 결합하며 서로 연결하여 지지하는 파이프형상의 의자프레임(14)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목욕의자(10)에 있어서;

    의자프레임(14)에 설치되며 회전각도를 조절하여 고정할 수 있는 장치를 구비하는 제1결합부(210)와,
    상기 제1결합부(210)와 맞물려 의자프레임(14)에 체결되는 제2결합부(220)와,
    상기 제1결합부(210)와 함께 맞물려 회전각도를 조절하여 고정할 수 있으며 파이프를 삽입하여 거치할 수 있도록 내부가 빈 파이프형상의 공간을 구비하는 회동거치부(23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회동지지부재(200)와;
    외주 직경이 상기 거치부(112)의 내주 직경보다 적은 파이프 형상으로 상기 거치부(112)에 삽입되는 지주프레임(120)과;
    상기 지주프레임(120)의 상단에 회동관절(130)로 연결되어 회동이 가능한 파이프형상의 거치프레임(140)과;
    상기 거치프레임(140)에 결합되며 샤워기(160)의 헤드를 걸어 고정할 수 있도록 구비된 샤워기거치부(15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샤워기거치대를 구비하는 목욕의자.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제1결합부(210)는
    원형파이프가 반으로 나뉜 반원형의 파이프형상인 반원결합부a(211)와,
    톱니나사산a(223)를 구비하는 결합헤드a(212)와,
    볼트가 삽입될 수 있는 나사산이 형성된 결합공a(215)와,
    내벽에 탭핑처리되어 나사산을 구비하는 고정공a(214)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제2결합부(220)는
    상기 반원결합부a(211)와 맞물려 결합하는 원형파이프가 반으로 나뉜 반원형의 파이프형상인 반원결합부b(221)와,
    내벽에 탭핑처리되어 나사산을 구비하는 노브결합공a(222)와,
    볼트가 삽입될 수 있는 나사산이 형성된 결합공b(223)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샤워기거치대를 구비하는 목욕의자.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제1결합부(210)와 제2결합부(220)는 결합공a(215)와 결합공b(223)를 관통하는 볼트에 의해 체결되어
    의자프레임(14)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샤워기거치대를 구비하는 목욕의자.
  7.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회동거치부(230)는
    내부가 빈 파이프형상의 공간인 파이프삽입부(236)를 구비하는 결합바디(231)와,
    상기 결합헤드a(212)의 톱니나사산a(223)와 상호 각도를 조절하여 결합될 수 있도록 형성된 톱니나사산b(233)를 구비하는 결합헤드b(232)와,
    상기 고정공a(214)와 맞물리도록 내벽에 나사산을 구비하는 고정공b(234)와,
    내벽에 탭핑처리되어 나사산을 구비하는 노브결합공b(235)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샤워기거치대를 구비하는 목욕의자.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톱니나사산a(223)와 톱니나사산b(233)는 원하는 각도에서 서로 톱니가 맞물린 후
    고정공a(214)와 고정공b(234)를 관통하는 회동고정노브(241)에 의해 고정되며,
    노브결합공a(222)에 회전결합되는 고정노브a(242)에 의해 의자프레임(14)에 고정되며,
    노브결합공b(235)에 회전결합되는 고정노브b(243)에 의해 지주프레임(120)이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샤워기거치대를 구비하는 목욕의자.
  9.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회동지지부재(200)는 원형의 파이프를 감쌀 수 있도록 반원형 형상의 원형판재(251)와 상기 원형판재(251)의 일단부에 형성된 걸림돌기(252)를 구비하는 압착판(250)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샤워기거치대를 구비하는 목욕의자.
  10. 제 1항 또는 제 4항에 있어서,
    의자프레임(14)에 샤워기(160)의 헤드를 걸어 고정할 수 있도록 구비된 하부거치대(17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샤워기거치대를 구비하는 목욕의자.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거치대(170)는
    의자프레임(14)에 결합되며 볼트 등으로 고정될 수 있도록 고정공(174)이 구비되는 고정부(171)와,
    샤워기 헤드를 걸 수 있는 하부헤드걸개(173)와,
    상기 고정부(171)와 하부헤드걸개(173)를 연결하는 거치암(172)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샤워기거치대를 구비하는 목욕의자.
  12. 앉을 수 있는 좌판(11)과 팔걸이대(12), 그리고 등받이판(13)을 포함하여 구비되며, 노약자나 장애인 등 거동이 불편하여 혼자서는 목욕을 할 수 없는 사람들을 위한 목욕의자(10)에 있어서;

    좌판(11)을 중심으로 팔걸이대(12) 하부 지면가까이 좌 우측 측면에 의자프레임(14)이 팔걸이대(12)와 평행하게 형성되고, 상기 팔걸이대(12)와 의자프레임(14)사이에 평행하게 보조프레임(15)이; 더 형성되고,
    상기 의자프레임(14)에 설치되며 결합과 분리가 가능하도록 구비된 하부거치부(310)와,
    상기 보조프레임(15)에 설치되며 결합과 분리가 가능하도록 구비된 상부거치부(320)와,
    상기 하부거치부(310)와 상부거치부(320)에 삽입되어 고정되며 원형의 파이프형상인 하부지주프레임(330)과,
    상기 하부지주프레임(330)의 내부에 삽입되며 상기 하부지주프레임(330)에 대해 상하로 높낮이를 조절하여
    고정될 수 있도록 구비되는 상부지주프레임(340)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슬라이딩지주부(300);와
    상기 상부지주프레임(340)의 상단에 회동관절(130)로 연결되어 회동이 가능한 파이프형상으로 구비된 거치프레임(140)과;
    상기 거치프레임(140)에 결합되며 샤워기(160)의 헤드를 걸어 고정할 수 있도록 구비된 샤워기거치부(15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샤워기거치대를 구비하는 목욕의자.
  13.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거치부(320)는
    내부가 빈 원형파이프 형상으로 중앙부에 나사산을 구비하는 노브공(324)이 형성되는 관통부(321)와,
    원형의 파이프가 중심에서 반으로 잘린 반원형의 파이프형상을 구비하는 상부결합헤드(323)와,
    상기 관통부(321)와 상부결합헤드(320)를 연결하며 볼트가 삽입될 수 있도록 상부볼트공(326)이 구비된 상부암(322)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상부제1거치부(320a)와;
    상기 상부암(322)과 대응하여 결합하며 상기 상부볼트공(326)과 대응하여 볼트로 체결되는 하부볼트공(329)을 구비하는 하부암(327)과,
    상기 상부결합헤드(323)와 서로 대응하여 결합되는 하부결합헤드(328)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상부제2거치부(320b);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샤워기거치대를 구비하는 목욕의자.
  14.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거치부(310)는
    내부가 빈 원형파이프 형상의 삽입부(311)와,
    반원형의 파이프 형상의 제1결합헤드(313)와,
    상기 삽입부(311)와 상기 제1결합헤드(313)를 연결하며 볼트가 삽입될 수 있도록 상부결합공(314)이
    구비되는 제1결합암(312)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하부제1거치부(310a)와;
    상기 제1결합암(212)과 하부에서 맞물릴 수 있도록 형성되며 상기 상부결합공(314)과 동일한 위치에서 볼트와 너트에 의해 단단히 고정될 수 있도록 하부결합공(319)이 구비된 제2결합암(315)과,
    상기 제1결합헤드(313)와 하부에서 맞물릴 수 있도록 형성된 제2결합헤드(316)와,
    샤워기의 헤드를 거치할 수 있도록 형성된 하단헤드거치대(318)와,
    상기 하단헤드거치대(318)와 상기 제2결합헤드(316)을 연결하는 제3결합암(317)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하부제2거치부(310b)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샤워기거치대를 구비하는 목욕의자.
  15. 제 1항내지 제 1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의자프레임(14)에 샤워기(160)에 연결되는 호스를 걸어 거치할 수 있도록 구비된 호스거치대(18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샤워기거치대를 구비하는 목욕의자.
  16. 제 1항내지 제 1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좌판(11) 저면에 변기통(400)을 삽입하여 거치할 수 있도록 변기통결합슬라이드(50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샤워기거치대를 구비하는 목욕의자.
KR1020170002765A 2017-01-09 2017-01-09 샤워기거치대를 구비하는 목욕의자 KR10190821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02765A KR101908213B1 (ko) 2017-01-09 2017-01-09 샤워기거치대를 구비하는 목욕의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02765A KR101908213B1 (ko) 2017-01-09 2017-01-09 샤워기거치대를 구비하는 목욕의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81893A true KR20180081893A (ko) 2018-07-18
KR101908213B1 KR101908213B1 (ko) 2018-12-10

Family

ID=630490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02765A KR101908213B1 (ko) 2017-01-09 2017-01-09 샤워기거치대를 구비하는 목욕의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08213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013671A1 (ko) 2018-07-13 2020-01-16 주식회사 엘지화학 전기화학소자용 분리막 및 이를 포함하는 전기화학소자
KR102106017B1 (ko) * 2019-01-28 2020-04-29 강원대학교산학협력단 시각장애인을 위한 샤워 시스템
US10813506B1 (en) 2018-06-01 2020-10-27 Cynthia J. Mitrano Shower chair system with selective delivery and intermixing of liquids
KR20220000223U (ko) * 2020-07-17 2022-01-25 노순희 거동불편자용 이동수단
KR102648109B1 (ko) * 2023-02-03 2024-03-18 이건화 장애인용 이동식 화장실 겸용 헤어 샴핑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576533B1 (en) 2021-08-02 2023-02-14 Dona Branch Adjustable shower assembly
USD1021431S1 (en) 2021-08-02 2024-04-09 Dona Branch Combined adjustable shower seat and suppor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20530A (ko) * 2004-08-31 2006-03-06 조규호 샴푸 의자
JP2014095218A (ja) * 2012-11-09 2014-05-22 Ryosuke Koshizawa シャワーヘッド保持具
KR20160125037A (ko) * 2015-04-21 2016-10-31 주식회사 해피베드 거동불편자용 목욕의자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20530A (ko) * 2004-08-31 2006-03-06 조규호 샴푸 의자
JP2014095218A (ja) * 2012-11-09 2014-05-22 Ryosuke Koshizawa シャワーヘッド保持具
KR20160125037A (ko) * 2015-04-21 2016-10-31 주식회사 해피베드 거동불편자용 목욕의자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813506B1 (en) 2018-06-01 2020-10-27 Cynthia J. Mitrano Shower chair system with selective delivery and intermixing of liquids
WO2020013671A1 (ko) 2018-07-13 2020-01-16 주식회사 엘지화학 전기화학소자용 분리막 및 이를 포함하는 전기화학소자
KR102106017B1 (ko) * 2019-01-28 2020-04-29 강원대학교산학협력단 시각장애인을 위한 샤워 시스템
KR20220000223U (ko) * 2020-07-17 2022-01-25 노순희 거동불편자용 이동수단
KR102648109B1 (ko) * 2023-02-03 2024-03-18 이건화 장애인용 이동식 화장실 겸용 헤어 샴핑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08213B1 (ko) 2018-12-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08213B1 (ko) 샤워기거치대를 구비하는 목욕의자
US8480100B2 (en) Shower chair/walker combination
KR200478004Y1 (ko) 목욕의자
US8141184B2 (en) Portable personal hygiene apparatus
KR20170088245A (ko) 장애인 또는 노인용 목욕 의자
KR101750065B1 (ko) 실내에서 노약자 및 장애인이 사용할 수 있는 다기능 의자
EP0402284B1 (fr) Siège de soins hygiéniques
KR200495017Y1 (ko) 거동불편자용 이동수단
US10660480B1 (en) Adjustable bathtub/shower seat and associated use thereof
JP2003038369A (ja) 移動洗面台
GB2149299A (en) Foldable shower seat
KR20090048769A (ko) 좌우회전식 장애인용 손잡이
KR200425324Y1 (ko) 욕실 부착형 접이식 의자
JP7054290B1 (ja) トイレ用手摺り装置
JP2003175084A (ja) 介護用ベッド
CN210009249U (zh) 康复椅
KR102518356B1 (ko) 접이식 목욕의자
CA2868010A1 (en) Shower chair/walker combination
JP2005296363A (ja) 介護用シャワー椅子
KR200210831Y1 (ko) 목욕용 의자
CN211186986U (zh) 一种用于坐式淋浴设备的折叠椅及坐式淋浴设备
KR20140005694A (ko) 환자용 세면대
TWM546788U (zh) 可清洗屁股之攜帶式便盆
JP2005110785A (ja) 浴室用椅子
CN105962819A (zh) 沐浴排便椅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