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00223U - 거동불편자용 이동수단 - Google Patents

거동불편자용 이동수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00223U
KR20220000223U KR2020200002578U KR20200002578U KR20220000223U KR 20220000223 U KR20220000223 U KR 20220000223U KR 2020200002578 U KR2020200002578 U KR 2020200002578U KR 20200002578 U KR20200002578 U KR 20200002578U KR 20220000223 U KR20220000223 U KR 20220000223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rizontal frame
frame
vertical frame
upper body
vertic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20000257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95017Y1 (ko
Inventor
노순희
구제민
Original Assignee
노순희
구제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노순희, 구제민 filed Critical 노순희
Priority to KR202020000257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95017Y1/ko
Publication of KR2022000022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00223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9501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95017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3/00Appliances for aid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to walk about
    • A61H3/04Wheeled walking aids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5/00Chairs or personal conveyances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wheelchairs
    • A61G5/1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 A61G5/1002Parts, details or accessories with toilet faciliti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5/00Chairs or personal conveyances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wheelchairs
    • A61G5/1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 A61G5/14Standing-up or sitting-down ai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3/00Appliances for aid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to walk about
    • A61H2003/007Appliances for aid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to walk about secured to the patient, e.g. with bel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01Constructive details
    • A61H2201/0119Support for the device
    • A61H2201/0138Support for the device incorporated in furniture
    • A61H2201/0149Seat or chai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02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heated or cooled
    • A61H2201/0207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heated or cooled heate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12Driving means
    • A61H2201/1253Driving means driven by a human being, e.g. hand drive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16Physical interface with patient
    • A61H2201/1602Physical interface with patient kind of interface, e.g. head rest, knee support or lumbar support
    • A61H2201/1628Pelvis
    • A61H2201/1633Sea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3/00Additional characteristics concerning the patient
    • A61H2203/04Position of the patient
    • A61H2203/0425Sitting on the buttocks
    • A61H2203/0431Sitting on the buttocks in 90°/90°-position, like on a chai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5/00Devices f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5/08Trunk
    • A61H2205/088Hip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pidemiology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Rehabilitation Therapy (AREA)
  • Invalid Beds And Related Equipment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거동불편자용 이동수단에 관한 것으로, 구조가 단순하면서도 사용하기에 충분한 내구성을 갖고, 간병인뿐 아니라 거동이 불편한 사람도 사용하기 편리하고, 거동이 불편한 사람이 의자에 앉아서 샤워하고, 용변을 볼 수 있고, 해체와 결합이 용이하여 보관을 위한 공간을 많이 필요로 하지 않는 거동불편자용 이동 수단을 제공한다.

Description

거동불편자용 이동수단{Chair for an immovable person}
본 고안은 거동불편자용 이동수단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구조가 단순하면서도 사용하기에 충분한 내구성을 갖고, 간병인뿐 아니라 거동이 불편한 사람도 사용하기 편리하고, 거동이 불편한 사람이 의자에 앉아서 샤워하고, 용변을 볼 수 있고, 해체와 결합이 용이하여 보관을 위한 공간을 많이 필요로 하지 않는 거동불편자용 이동수단을 제공한다.
일반적으로 혼자의 힘으로 거동이 불편한 환자, 장애인 노약자 등 거동불편자의 경우 간병인으로 하여금 도움을 받아 일상 생활을 수행하게 된다. 이러한 일상생활중에서 목욕은 간병인의 많은 도움 없이는 절대로 수행할 수 없는바, 꼭 간병인의 도움을 받아야 한다. 또한, 간병인의 도움을 받는다 하더라도 성인의 경우 신체 체중을 감당하기가 곤란하여 거동불편자를 욕실의 바닥에 뉘인 상태에서 목욕을 수행하였다. 그러나, 바닥에 뉘인 상태에서 목욕을 수행하게 되면 위생상의 문제가 있어 근자에 들어 의자 등에 앉혀 놓은 상태에서 목욕을 시키는 실정이다.
한국공개특허 제10-2016-0125037호(이하, '선행문헌 1' 이라 함)에는 거동불편자용 목욕의자 개시되어 있다. 선행문헌 1에 따른 거동불편자용 목욕의자는 좌대와 등받이의 가변 조절과 이에 따른 발 받침부의 가변 조절이 가능하게 함으로써, 거동불편자를 목욕시킬 경우, 다양한 자세의 구현이 가능하여 거동불편자로 하여금 편안한 상태에서의 목욕이 가능하게 함은 물론, 간병인 또한 편리하게 거동불편자를 목욕시킬 수 있게 한다. 또한 목욕중 거동불편자가 용변을 보기위해 의자에서 내려오지 않고도 의자에 앉은 상태에서 용변의 처리가 가능하게 하는 등 사용상의 편리함을 준다.
그러나 선행문헌 1에 따른 거동불편자용 목욕의자는 등받이 하부에 회동력을 가지며 연결되고 타단이 후방 수평대에 회동력을 가지며 연결되어 상부몸체의 회동력을 단속하는 공압 작동형 댐퍼와, 손잡이에 형성되고 댐퍼와 와이어로 연결되어 댐퍼의 공압 공급 및 해제를 단속하는 댐퍼 작동레버로 된 각도 작동부 및 각도 작동부의 작동시 상부몸체를 지지 및 발걸이 프레임의 절첩을 연동시키는 링크부를 포함하여 구성됨에 따라 기계적으로 복잡하다. 이에 선행문헌 1에 따른 거동불편자용 목욕의자는 제조과정이 긴 단점이 있다.
본 고안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구조가 단순하면서도 사용하기에 충분한 내구성을 갖는 거동불편자용 이동수단을 제공한다.
또한, 본 고안은 간병인뿐 아니라 거동이 불편한 사람도 사용하기 편리한 거동불편자용 이동수단을 제공한다.
또한, 본 고안은 거동이 불편한 사람이 의자에 앉아서 샤워하고, 용변을 볼 수 있고 링거 걸이대와 같은 장치를 탈, 부착시킬 수 있는 거동불편자용 이동수단을 제공한다.
또한, 본 고안은 해체와 결합이 용이하여 보관을 위한 공간을 많이 필요로 하지 않는 거동불편자용 이동수단을 제공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에 따른 거동불편자용 이동수단은 상부몸체(110)와 연결부재(120)와 하부몸체(130)를 포함하는 거동불편자용 이동수단으로, 상기 상부몸체(110)는 제1 등받이(11)가 장착되는 제1 수평프레임(111a)과 제2 등받이(12)가 장착되는 제2 수평프레임(111b)과 제1 좌대(13)가 장착되는 제3 수평프레임(111c)과 제2 좌대(14)가 장착되는 제4 수평프레임(111d)과 상기 제1 수평프레임(111a)과 상기 제3 수평프레임(111c)을 연결하는 제1 수직프레임(113)과 상기 제2 수평프레임(111b)과 상기 제4 수평프레임(111d)을 연결하는 제2 수직프레임(114)이 형성되되 상기 제1 수직프레임(113)과 상기 제2 수직프레임(114)은 서로 분리되게 형성되고, 상기 제1 등받이(11)는 간병인이 사용할 수 있는 손잡이(23)와 밸트삽입부(22)가 형성되고,
상기 제2 등받이(12)에는 간병인이 사용할 수 있는 손잡이(24)와 상기 밸트삽입부(22)에 삽입 시 체결되는 밸트체결부(21)가 형성되고, 상기 연결부재(120)는 삽입공이 형성되는 제1, 제2 회전프레임(121, 122)을 포함하고,
상기 하부몸체(130)는 수평지지부재(131)와 상기 연결부재(120)의 제1, 제2 회전프레임(121, 122)이 각각 삽입되는 제1, 제2 수직삽입부재(132, 133)와 발 받침대(134, 135)와 전방바퀴(136)와 후방바퀴(137)를 포함한다. 상기 제1 좌대(13)와 제2 좌대(14)는 상기 밸트삽입부(22)에 상기 밸트체결부(21)를 체결하는 경우 관통홀(H)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거동불편자용 이동수단의 상부몸체(110)는 제1 수직프레임(113)과 제2 수직프레임(114)의 하단부에 지지대를 삽입하여 고정할 수 있는 지지대 삽입부(1142)와, 제1 좌대(13)와 제2 좌대(14)에는 무선전력공급방식에 의해 전력을 공급받아 작동하는 열처리장치를 더 포함한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거동불편자용 이동수단의 상부몸체(110)는 제1 수평프레임(111a)과 제1 수직프레임(113) 사이 및 제2 수평프레임(111b)과 제2 수직프레임(114) 사이에 링거, 음료수, 타올, 옷 등을 걸 수 있는 걸이봉이 삽입되는 봉 삽입부(1141)를 더 포함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따르면, 본 고안에 따른 거동불편자용 이동수단은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본 고안에 따른 거동불편자용 이동수단은 서로 분리되는 제1, 제2 수직프레임에 제1 좌대와 제2 좌대 및 제1 등받이와 제2 등받이를 포함하여 구현됨으로써, 거동불편자가 침대에 앉은 상태에서도 간병인이 손쉽게 거동불편자용 이동수단에 앉을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둘째, 해체와 결합이 용이하여 보관을 위한 공간을 많이 필요로 하지 않는다.
셋째, 좌대에 용변함이 구비되어 있어, 목욕중 거동불편자용 이동수단에서 내려오지 않고도 앉은 상태에서의 용변 처리가 가능하여 매우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거동불편자용 이동수단의 분리 및 결합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거동불편자용 이동수단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거동불편자용 이동수단의 결합된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거동불편자용 이동수단의 높낮이 조절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거동불편자용 이동수단의 다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거동불편자용 이동수단의 또다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전술한, 그리고 추가적인 양상을 기술되는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하여 본 고안을 당업자가 용이하게 이해하고 재현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거동불편자용 이동수단의 분리 및 결합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거동불편자용 이동수단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거동불편자용 이동수단의 결합된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먼저, 도 1을 참조하면, 본 고안에 따른 거동불편자용 이동수단은 크게 상부몸체(110)와 연결부재(120)와 하부몸체(130)를 포함하여 구현된다.
상부몸체(110)는 제1 등받이(11)가 장착되는 제1 수평프레임(111a)과 제2 등받이(12)가 장착되는 제2 수평프레임(111b)과 제1 좌대(13)가 장착되는 제3 수평프레임(111c)과 제2 좌대(14)가 장착되는 제4 수평프레임(111d)과 제1 수평프레임(111a)과 제3 수평프레임(111c)을 연결하는 제1 수직프레임(113)과 제2 수평프레임(111b)과 제4 수평프레임(111d)을 연결하는 제2 수직프레임(114)을 포함하여 구현될 수 있다.
제1 등받이(11)와 제2 등받이(12)는 쿠션기능을 갖는 물질로 구현될 수 있다. 제1 등받이(11)와 제2 등받이(12)는 제1 수평프레임(111a)과 제2 수평프레임(111b)에 장착된다. 도 2를 참조하면, 제1 등받이(11)와 제2 등받이(12)에는 간병인이 사용할 수 있는 손잡이(23, 24)가 형성될 수 있다. 제1 등받이(11)에는 밸트삽입부(22)가 형성되고, 제2 등받이(12)에는 밸트삽입부(22)에 삽입 시 체결되는 밸트체결부(21)가 형성된다.
제1 좌대(13)와 제2 좌대(14)는 이용자의 신체일부가 직접 밀착될 수 있는 재료 예를 들어, 인체에 무해하고 유지 보수 및 관리가 편리한 플라스틱, 강화유리, 티타늄과 같은 재료로 구현될 수 있다. 제1 좌대(13)와 제2 좌대(14)는 관통홀(H)을 형성한다. 관통홀(H)은 이용자가 앉아서 용변을 볼 수 있도록 구현된다. 제1 좌대(13)와 제2 좌대(14)에는 활성탄 등 항균처리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좌대(13)와 제2 좌대(14)에는 무선전력공급방식에 의해 전력을 공급받아 작동하는 열처리장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부몸체(110)는 이용자가 사용할 수 있는 이용자 손잡이부(115, 116)와 간병인이 손으로 잡고 이동시킬 수 있는 간병인 손잡이부(117, 118)와 제1 수직프레임(113)에 형성된 결합공(113a)과 제2 수직프레임(114)에 형성된 결합공(114a) 각각에 체결되어 고정되는 체결부재(119)를 포함하여 구현된다. 체결부재(119)는 제1 수직프레임(113)과 제2 수직프레임(114) 각각에 억지끼움이 가능하도록 구현된다.
도 2를 참조하면, 상부몸체(110)는 제1 수평프레임(111a)과 제3 수평프레임(111c)을 연결하는 제3 수직프레임(111c)과 제2 수직프레임(111b)과 제4 수평프레임(111d)을 연결하는 제4 수직프레임(111d)을 포함하여 구현된다. 제3 수직프레임(111c)에는 결합돌기(31)가 형성되고, 제4 수직프레임(111d)에는 결합돌기(31)와 나사결합되어 제3 수직프레임(111c)과 제4 수직프레임(111d)를 단단하게 결합시키는 결합부재(32)가 형성된다.
도 1을 참조하면, 상부몸체(110)는 제1 수평프레임(111a)과 제1 수직프레임(113) 사이 및 제2 수평프레임(111b)과 제2 수직프레임(114) 사이에 링거, 음료수, 타올, 옷 등을 걸 수 있는 걸이봉이 삽입되는 봉 삽입부(1141)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상부몸체(110)는 제1 수직프레임(113)과 제2 수직프레임(114)의 하단부에 지지대를 삽입하여 고정할 수 있는 지지대 삽입부(1142)를 더 포함하여 구현될 수 있다.
연결부재(120)는 삽입공(121a)이 형성되는 제1, 제2 회전프레임(121, 122)을 포함한다. 제1, 제2 회전프레임(121, 122)는 경도가 높은 재질로 구현된다. 체결부재(119)는 제1, 제2 수직프레임(113, 114)에 형성된 결합공(113a, 113b)과 제1, 제2 회전프레임(121)에 형성되는 삽입공(121a, 121b)에 각각 결합된다.
하부몸체(130)는 수평지지부재(131)와 연결부재(120)의 제1, 제2 회전프레임(121, 122)이 각각 삽입되는 제1, 제2 수직삽입부재(132, 133)와 발 받침대(134, 135)와 전방바퀴(136)와 후방바퀴(137)를 포함한다. 발 받침대(134, 135)는 수평지지부재(131)에 힌지결합될 수 있으며, 전방바퀴(136)와 후방바퀴(137)에는 스토퍼가 형성될 수 있다.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거동불편자용 이동수단의 높낮이 조절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제1, 제2 수직프레임(113, 114)에 형성된 결합공(113a, 113b)과 제1, 제2 회전프레임(121)에 형성되는 삽입공(121a, 121b)에 각각 결합된 체결부재(119)를 빼면, 상부몸체(110)는 위 또는 아래로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게 된다. 간병인은 필요에 따라서, 상부몸체(110)를 위 또는 아래로 이동시킨 후, 원하는 위치에 체결부재(119)를 끼워서 상부몸체(110)를 제1, 제2 수직프레임(113, 114)과 제1, 제2 회전프레임(121)에 결합시킨다.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거동불편자용 이동수단의 다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지지대 삽입부(1142)에 지지대(51)를 삽입한 후 용변통(52)을 장착할 수 있다. 거동이 불편한 사람은 의자에서 용변통(52)에 용변을 볼 수 있다.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거동불편자용 이동수단의 또다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봉 삽입부(1141)에 링거, 음료수, 타올, 옷 등을 걸 수 있는 걸이봉(61)을 삽입할 수 있다.
지금까지, 본 명세서에는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지닌 자가 본 고안을 용이하게 이해하고 재현할 수 있도록 도면에 도시한 실시예들을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지닌 자라면 본 고안의 실시예들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서만 정해져야 할 것이다.
110 : 상부몸체
11 : 제1 등받이 12 : 제2 등받이
111a : 제1 수평프레임 111b : 제2 수평프레임
111c : 제3 수평프레임 111d : 제4 수평프레임
13 : 제1 좌대 14 : 제2 좌대
113 : 제1 수직프레임 114 : 제2 수직프레임
115, 116 : 이용자 손잡이 117, 118 : 간병인 손잡이
119 : 체결부재
120 : 연결부재
121, 122 : 제1, 제2 회전프레임
130 : 하부몸체
131 : 수평지지부재(131)
132, 133 : 제1, 제2 수직삽입부재(132, 133)
134, 135 : 발 받침대
136 : 전방바퀴
137 : 후방바퀴
21: 밸트체결부
22 : 밸트삽입부
23 : 손잡이

Claims (4)

  1. 상부몸체(110)와 연결부재(120)와 하부몸체(130)를 포함하는 거동불편자용 이동수단으로,
    상기 상부몸체(110)는 제1 등받이(11)가 장착되는 제1 수평프레임(111a)과 제2 등받이(12)가 장착되는 제2 수평프레임(111b)과 제1 좌대(13)가 장착되는 제3 수평프레임(111c)과 제2 좌대(14)가 장착되는 제4 수평프레임(111d)과 상기 제1 수평프레임(111a)과 상기 제3 수평프레임(111c)을 연결하는 제1 수직프레임(113)과 상기 제2 수평프레임(111b)과 상기 제4 수평프레임(111d)을 연결하는 제2 수직프레임(114)이 형성되되 상기 제1 수직프레임(113)과 상기 제2 수직프레임(114)은 서로 분리되게 형성되고,
    상기 제1 등받이(11)는 간병인이 사용할 수 있는 손잡이(23)와 밸트삽입부(22)가 형성되고,
    상기 제2 등받이(12)에는 간병인이 사용할 수 있는 손잡이(24)와 상기 밸트삽입부(22)에 삽입 시 체결되는 밸트체결부(21)가 형성되고,
    상기 연결부재(120)는 삽입공이 형성되는 제1, 제2 회전프레임(121, 122)을 포함하고,
    상기 하부몸체(130)는 수평지지부재(131)와 상기 연결부재(120)의 제1, 제2 회전프레임(121, 122)이 각각 삽입되는 제1, 제2 수직삽입부재(132, 133)와 발 받침대(134, 135)와 전방바퀴(136)와 후방바퀴(137)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좌대(13)와 제2 좌대(14)는 상기 밸트삽입부(22)에 상기 밸트체결부(21)를 체결하는 경우 관통홀(H)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동불편자용 이동수단.
  2. 청구항 1 에 있어서,
    상기 상부몸체(110)는 상기 제1 수직프레임(113)과 제2 수직프레임(114)의 하단부에 지지대를 삽입하여 고정할 수 있는 지지대 삽입부(1142);
    를 더 포함하는 거동불편자용 이동수단.
  3. 청구항 1 에 있어서,
    상기 제1 좌대(13)와 제2 좌대(14)에는 무선전력공급방식에 의해 전력을 공급받아 작동하는 열처리장치;
    를 더 포함하는 거동불편자용 이동수단.
  4. 청구항 1 에 있어서,
    상기 상부몸체(110)는 제1 수평프레임(111a)과 제1 수직프레임(113) 사이 및 제2 수평프레임(111b)과 제2 수직프레임(114) 사이에 링거, 음료수, 타올, 옷 등을 걸 수 있는 걸이봉이 삽입되는 봉 삽입부(1141);
    를 더 포함하는 거동불편자용 이동수단.
KR2020200002578U 2020-07-17 2020-07-17 거동불편자용 이동수단 KR20049501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00002578U KR200495017Y1 (ko) 2020-07-17 2020-07-17 거동불편자용 이동수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00002578U KR200495017Y1 (ko) 2020-07-17 2020-07-17 거동불편자용 이동수단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00223U true KR20220000223U (ko) 2022-01-25
KR200495017Y1 KR200495017Y1 (ko) 2022-02-25

Family

ID=800487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200002578U KR200495017Y1 (ko) 2020-07-17 2020-07-17 거동불편자용 이동수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95017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19189B1 (ko) * 2022-02-08 2022-07-11 주식회사 디자인칼라스 장애인의 이동을 위한 간병의자
KR102500638B1 (ko) * 2022-10-31 2023-02-16 (주)금룡테크 거동장애 환우용 휠체어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92912A (ko) * 2012-02-13 2013-08-21 경기과학기술대학교 산학협력단 보행 보조기
KR20140132921A (ko) * 2013-05-09 2014-11-19 (주)해올 폭조절이 가능한 이동식 변기 의자
KR20150001413U (ko) * 2013-10-02 2015-04-10 미키코리아(주) 목욕의자
KR20160125037A (ko) * 2015-04-21 2016-10-31 주식회사 해피베드 거동불편자용 목욕의자
KR20180070391A (ko) * 2016-12-16 2018-06-26 주식회사 컴포트 전동 보행 보조용 의자
KR20180081893A (ko) * 2017-01-09 2018-07-18 이환희 샤워기거치대를 구비하는 목욕의자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92912A (ko) * 2012-02-13 2013-08-21 경기과학기술대학교 산학협력단 보행 보조기
KR20140132921A (ko) * 2013-05-09 2014-11-19 (주)해올 폭조절이 가능한 이동식 변기 의자
KR20150001413U (ko) * 2013-10-02 2015-04-10 미키코리아(주) 목욕의자
KR20160125037A (ko) * 2015-04-21 2016-10-31 주식회사 해피베드 거동불편자용 목욕의자
KR20180070391A (ko) * 2016-12-16 2018-06-26 주식회사 컴포트 전동 보행 보조용 의자
KR20180081893A (ko) * 2017-01-09 2018-07-18 이환희 샤워기거치대를 구비하는 목욕의자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19189B1 (ko) * 2022-02-08 2022-07-11 주식회사 디자인칼라스 장애인의 이동을 위한 간병의자
KR102500638B1 (ko) * 2022-10-31 2023-02-16 (주)금룡테크 거동장애 환우용 휠체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95017Y1 (ko) 2022-02-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14760B1 (ko) 이동 보행기
KR200478004Y1 (ko) 목욕의자
KR200495017Y1 (ko) 거동불편자용 이동수단
KR102402692B1 (ko) 다기능 보행차
KR20170088245A (ko) 장애인 또는 노인용 목욕 의자
KR102468660B1 (ko) 다기능 휠체어
KR20160125037A (ko) 거동불편자용 목욕의자
JP4051926B2 (ja) 車椅子
KR102038996B1 (ko) 목욕용 의자
US6904622B1 (en) Auxiliary toilet seat
JP3226653U (ja) 移乗補助椅子
KR102147041B1 (ko) 목욕겸용 안전 휠체어
KR20210120691A (ko) 앉은 상태의 탑승이 가능한 바퀴구동형 이동변기
KR200399753Y1 (ko) 휴대용 좌변기
US20200352396A1 (en) Bathing assistance apparatus
US10660480B1 (en) Adjustable bathtub/shower seat and associated use thereof
WO2011130814A1 (pt) Aparelho locomotor multifuncional
US6742195B1 (en) Convenience chair with attachable tray/table and optional roll away storage unit-safe senior unit
KR200180448Y1 (ko) 목욕용 보조의자
CN213188846U (zh) 一凳多用床旁椅
KR102505407B1 (ko) 용변 가능한 목욕용 접이식 의자
KR200210831Y1 (ko) 목욕용 의자
JP2005087584A (ja) シャワー用折畳み椅子
JP7054290B1 (ja) トイレ用手摺り装置
KR102597868B1 (ko) 안전 시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