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78943A - 밸런스 조절이 가능한 지게차 - Google Patents

밸런스 조절이 가능한 지게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78943A
KR20180078943A KR1020160184224A KR20160184224A KR20180078943A KR 20180078943 A KR20180078943 A KR 20180078943A KR 1020160184224 A KR1020160184224 A KR 1020160184224A KR 20160184224 A KR20160184224 A KR 20160184224A KR 20180078943 A KR20180078943 A KR 2018007894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rk
forklift
cylinder
mast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842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86207B1 (ko
Inventor
장진만
장영윤
장세윤
Original Assignee
장진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장진만 filed Critical 장진만
Priority to KR10201601842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86207B1/ko
Publication of KR201800789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7894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862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8620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9/00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 B66F9/06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movable, with their loads, on wheels or the like, e.g. fork-lift trucks
    • B66F9/075Constructional features or details
    • B66F9/07559Stabiliz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17/00Safety devices, e.g. for limiting or indicating lifting force
    • B66F17/003Safety devices, e.g. for limiting or indicating lifting force for fork-lift truc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9/00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 B66F9/06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movable, with their loads, on wheels or the like, e.g. fork-lift trucks
    • B66F9/075Constructional features or details
    • B66F9/07504Accessories, e.g. for towing, charging, locking

Abstract

본 발명은 밸런스 조절이 가능한 지게차에 관한 것으로서, 차체 프레임의 양측에 각각 구비되어 모터에 의해 회전되는 크롤러; 차체 프레임에 구비되어 실린더에 의해 자동으로 왕복 이동되는 한편 그 내부에는 배터리가 삽입되어 구비되고 상면부에는 조작부가 구비되는 본체; 본체에 구비되어 실린더에 의해 회전되고 작업자가 밟고서 탑승하는 발판; 차체 프레임에 구비되어 틸트실린더에 의해 틸팅 회전되는 아우터마스트; 아우터마스트에 슬라이딩 결합되어 실린더에 의해 승강되는 이너마스트; 및 이너마스트에서 승강되면서 화물을 들어올리는 포크;를 포함하는 지게차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밸런스 조절이 가능한 지게차{Electric type forklift truck}
본 발명은 지게차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포크에서 들어올려지는 화물의 중량에 따라 자동으로 차체 밸런스를 맞춰 조절할 수 있는 밸런스 조절이 가능한 지게차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각종 작업장에는 화물을 들어올리고 내리거나 그 화물을 필요한 위치로 운반하는데 지게차가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지게차는 그 동력원을 무엇으로 하느냐에 따라 엔진식 지게차와 전동식 지게차로 구분될 수 있으며, 엔진식 지게차는 주로 야외에서 사용되고, 전동식 지게차는 매연이나 소음의 발생이 적기 때문에 실내 또는 제한된 장소에서 흔히 사용된다.
이러한 전동식 지게차는 전축 구동륜과 후축 조향륜에 의해 지지되는 차체와, 차체의 전방에 설치되는 마스트로 이루어지며, 마스트를 따라 상하로 이동되면서 화물의 하중을 받치는 포크가 간격 조절이 가능하게 구비된다.
한편, 이러한 전동식 지게차는 한국 공개특허 제10-2013-0119749호(이하 '선행기술문헌1'이라 한다)와 한국 등록실용신안 제20-2009-0000498호(이하 '선행기술문헌2'라 한다)에서 제안된 바 있다.
선행기술문헌1,2에서 제안된 종래의 지게차는, 몸체를 이루는 몸체부, 몸체부 상측에 조종자가 조종할 수 있도록 다수의 조종장치가 구비된 조종부, 몸체부의 전방 쪽에 조종부에서의 조종에 의해 화물을 들어올리는 포크 및 이 포크가 상하로 이동되는 마스트로 구성된다.
이중, 몸체부 내부에는 지게차를 이동시키고 포크를 구동하기 위해 엔진 또는 배터리 및 이와 연결된 다수의 연결장치, 유압장치 등이 구성되어 있다.
유압장치는 작동유 탱크로부터 작동유를 흡입하고 있다. 컨트롤밸브는 작동장치에 구성된 실린더와 연결되어 실린더에 유압의 공급을 제어하기 위한 것으로, 조종부의 조종레버에 의해 그 조종이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조종자가 조종레버를 작동함으로써, 리프트실린더나 틸트실린더 등에 유압의 공급을 제어할 수 있게 되므로 포크를 원하는 위치로 이동시킬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이와 같이 화물의 하부로 삽입되어 직접 화물을 들어올리는 포크는 화물을 수직 방향으로 지지하고, 포크와 마스트 사이에는 화물을 수평 방향으로 지지하는 로드백레스트가 구비된다.
따라서, 포크에 들어올려진 화물은 지게차의 이동에 의해 원하는 장소로 이동되어 하역될 수 있다.
하지만, 종래의 지게차는 포크를 통해 다양한 화물을 들어올리게 되는데, 이때 포크에 의해 들어올려진 화물이 고중량인 경우에는 포크가 구비되어 있는 지게차의 선단부에 비해 후단부가 상대적으로 가벼워져 지게차의 무게 중심이 흐트러지게 되고, 이로 인해 지게차가 전복될 수 있다는 문제가 있다.
한편, 상기와 같은 무게 중심의 불균형을 해소하기 위해 지게차의 후단부에 별도의 중량 웨이트를 올려 구비할 수도 있지만, 이는 포크에 작용하는 화물의 하중에 따라 웨이트를 매번 교체해줘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은 지게차 및 이에 대한 기술은 아래의 선행기술문헌들에 자세히 기재되어 있으므로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한국 공개특허 제10-2013-0119749호 한국 등록실용신안 제20-2009-0000498호
따라서,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지게차를 전동식으로 구성하는 한편 포크에 작용하는 화물의 하중에 따라 자동으로 지게차의 밸런스를 맞춰 무게 중심을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는 밸런스 조절이 가능한 지게차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전동형 지게차는, 차체 프레임의 양측에 각각 구비되어 모터에 의해 회전되는 크롤러; 차체 프레임에 구비되어 실린더에 의해 자동으로 왕복 이동되는 한편 그 내부에는 배터리가 삽입되어 구비되고 상면부에는 조작부가 구비되는 본체; 본체에 구비되어 실린더에 의해 회전되고 작업자가 밟고서 탑승하는 발판; 차체 프레임에 구비되어 틸트실린더에 의해 틸팅 회전되는 아우터마스트; 아우터마스트에 슬라이딩 결합되어 실린더에 의해 승강되는 이너마스트; 및 이너마스트에서 승강되면서 화물을 들어올리는 포크;를 포함한다.
그리고, 차체 프레임에서 아우터마스트 및 이너마스트와 같이 이동되게 구비되는 한편 그 단부에는 아우터마스트가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무빙플레이트가 구비되고, 틸트실린더에 의해 무빙플레이트에서 아우터마스트가 틸팅 회전되게 구비될 수 있다.
또한, 포크가 화물을 들어올릴 때 포크에 작용하는 압력(하중)이 설정치 이상이면, 본체가 차체 프레임 상에서 자동으로 이동되게 구비될 수 있고, 이와 더불어 포크가 화물을 들어올릴 때 포크에 작용하는 압력(하중)이 설정치 이상이면, 포크가 차체 프레임 상에서 자동으로 이동되게 구비될 수도 있으며, 이들이 조합되어 구비될 수도 있다.
한편, 상기와 같은 설정치 이상은 포크에 작용하는 압력에 의해 지게차의 전방부와 후방부의 밸런스가 무너지는 경우로 설정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차체 프레임에는 본체와 무빙플레이트를 가이드하는 한쌍의 가이드레일이 각각 구비되고, 본체 및 무빙플레이트에는 가이드레일에 결합되어 구름되는 가이드롤러가 각각 구비될 수 있다.
또한, 본체에는 힌지플레이트가 구비되고, 발판에는 힌지플레이트에 힌지 결합되는 힌지돌부가 구비되어, 힌지부를 축으로 발판이 힌지플레이트에서 회전되며, 힌지플레이트에는 펼쳐진 발판의 힌지돌부가 면접되어 지지되는 지지돌부가 돌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전동형 지게차에 따르면, 차체 프레임에서 본체가 전후로 이동되게 구비됨으로써 포크에 작용하는 화물의 하중에 따라 본체를 이동시켜 지게차의 밸런스를 자동 조절할 수 있고, 이로 인해 지게차의 무게 중심을 일정하게 유지하여 지게차의 전복 등과 같은 안전사고를 사전에 예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는, 화물을 들어올리는 포크 역시도 전후로 이동되게 구비됨으로써, 밸런스 조절의 폭을 더 넓게 형성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지게차의 결합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지게차의 본체와 포크가 이동된 상태의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지게차의 평면 분리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지게차의 저면 분리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지게차에 작업자가 탑승한 상태의 측면 구성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지게차의 본체와 포크가 이동된 상태의 측면 구성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지게차에 구비되는 마스트의 틸팅 상태를 보인 구성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지게차에 구비되는 발판의 절첩 상태를 보인 구성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첨부도면 도 1 내지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지게차 및 밸런스 조절 상태 등을 도시한 도면들이다.
본 발명에 따른 지게차(100)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의 프레임 및 플레이트가 상호 결합되어 복층 이상의 구조를 갖는 차체 프레임(110)과, 차체 프레임(110)의 양측에 각각 회전가능하게 구비되는 크롤러(200)와, 차체 프레임(110)의 상면 후방부에 이동가능하게 구비되는 본체(300)와, 차체 프레임(110)의 전방부에 이동가능하게 구비되는 무빙플레이트(400)와, 무빙플레이트(400)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어 틸팅되는 아우터마스트(500)와, 아우터마스트(500)에 상하로 이동가능하게 결합되는 이너마스트(600)와, 이너마스트(600)에 체인(미도시)으로 연결되어 상하로 이동가능하게 결합되는 포크(610)를 포함한다.
차체 프레임(110)에는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양측에 크롤러(crawler)(200)가 구비되고, 그 상면에는 각각 본체(300)와 무빙플레이트(400)를 전후로 왕복 이동시키는 제 1,2 실린더(120)(130)가 평행하게 구비된다.
이와 같은 제 1,2 실린더(120)(130)는 유압실린더로서 그 일단부는 차체 프레임(110)에 각각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반대편 단부에는 피스톤로드(121)(131)가 각각 출입되게 구비되며, 양 피스톤로드(121)(131)는 서로 반대방향으로 구비된다.
즉, 제 1 실린더(120)의 피스톤로드(121)는 그 선단부가 차체 프레임(110) 후방에 구비된 본체(300)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어 본체(300)를 전후로 왕복 이동시키게 되고, 제 2 실린더(130)의 피스톤로드(131)는 그 선단부가 차체 프레임(110) 전방에 구비된 무빙플레이트(400)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어 무빙플레이트(400)를 전후로 왕복 이동시키게 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왕복 이동되는 무빙플레이트(400)에 의해 마스트 어셈블리 및 포크(610)가 제 2 실린더(130)에 의해 전후로 왕복 이동된다.
그리고, 차체 프레임(110)의 상면 후방에는 제 1 실린더(120)에 의해 이동되는 본체(300)를 가이드하는 한쌍의 제 1 가이드레일(140)이 평행하게 구비되고, 제 1 가이드레일(140)과 높이차를 갖는 차체 프레임(110)의 중앙부 양측에는 전방으로 돌출되어 제 2 실린더(130)에 의해 이동되는 무빙플레이트(400)를 가이드하는 한쌍의 제 2 가이드레일(150)이 평행하게 구비된다. 이러한 제 1,2 가이드레일(140)(150)은 "ㄷ"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내측면이 서로 마주하도록 구비된다.
또한, 차체 프레임(110)의 상면 후단부에는 양측의 크롤러(200)를 각각 구동시키는 모터(160)가 구비되고, 각 모터(160)와 크롤러(200) 사이에는 모터(160)의 동력을 감속하여 크롤러(200)에 전달하는 감속기(미도시)가 각각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모터(160)가 차체 프레임(110)의 후단부 양측에 각각 구비됨으로써 양 크롤러(200)를 독립되게 구동시킬 수 있고, 모터(160)의 정비가 원활하게 이루어져 유지보수성이 향상된다.
본체(300)는 그 상면에 지게차(100)의 주행 및 포크(610)의 작동을 조작할 수 있는 조작부가 구비되고, 그 내부에는 배터리와, 유압탱크 등과 같은 중량물들이 삽입되어 구비된다. 이와 같이 중량물들이 구비되는 본체(300)는 포크(610)에서 들어올려지는 화물에 대응한 상대적 하중인 웨이트의 역할을 하게 된다.
이러한 본체(300)의 전면(포크(610)를 향하는 면) 하부에는 차체 프레임(110)에 구비된 제 1 실린더(120)의 피스톤로드(121)가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제 1 실린더(120)에서 피스톤로드(121)가 출입됨에 따라 본체(300)가 제 1 가이드레일(140)을 따라 전후로 왕복 이동하게 된다.
또한, 본체(300)의 전면 상측부는 경사진 경사면(310)으로 형성되고, 이 경사면(310)에 의해 발판(340)에 탑승한 작업자가 도 5에서와 같이, 하단부에 위치한 포크(610)를 확인할 수 있을 정도로 전방 시야를 확보할 수 있게 되므로 지게차(100)의 주행 및 화물의 리프팅 작업을 원활하게 이루어져 작업성이 향상된다.
그리고, 본체(300)의 하면에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쌍의 가이플레이트(320)가 전후 방향으로 나란하게 구비되고, 가이플레이트(320)의 외측 전,후부에는 가이드롤러(321)가 회전가능하게 구비되며, 이 가이드롤러(321)는 차체 프레임(110)의 제 1 가이드레일(140)의 내측면에 삽입된 상태로 구름된다.
한편, 상기와 같은 가이플레이트(320)의 후단부에는 힌지플레이트(330)가 고정되게 형성되고, 힌지플레이트(330)에는 후술될 발판(340)의 힌지돌부(341)가 힌지 결합되어, 발판(340)이 힌지부(331)를 축으로 힌지플레이트(330)에서 90도 각도로 회전된다.
게다가, 힌지부(331) 전방의 힌지플레이트(330)에는 지지돌부(332)가 형성되고, 이 지지돌부(332)에는 도 8에서와 같이 발판(340)이 회전되어 본체(300)에서 수직하게 펼쳐질 때 발판(340)의 힌지돌부(341)가 면접촉되게 고정됨으로써 펼쳐진 발판(340) 위에 작업자가 올라서도 발판(340)이 더 이상 회전되지 않고 견고한 고정 상태를 유지하므로 작업자의 안전을 보장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발판(340)에는 힌지플레이트(330)에 힌지 결합되는 힌지돌부(341)가 돌출 형성되어, 힌지돌부(341)와 힌지플레이트(330) 간의 힌지부(331)를 축으로 발판(340)이 90도 각도로 정.역회전 된다.
따라서, 발판(340)의 사용시에는 도 8의 상부 도면과 같이 발판(340)을 본체(300)로부터 회전시켜 본체(300)와 수직하게 펼쳐 고정시키고, 비사용시에는 도 8의 하부 도면과 같이 펼쳐져 있던 발판(340)을 역회전시켜 본체(300)와 평행하게 구비한다.
물론, 이와 같은 발판(340)의 회전작동은 발판(340)에 구비된 발판실린더(350)에 의해 이루어지고, 발판실린더(350)에는 피스톤로드(351)가 출입되게 구비된다. 즉, 피스톤로드(351) 반대편의 발판실린더(350) 단부는 발판(340)의 하면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피스톤로드(351)의 선단부는 힌지플레이트(330)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된다.
따라서, 도 8에서와 같이, 발판실린더(350)에서 피스톤로드(351)가 인출되면 발판(340)은 본체(300)와 평행하게 구비되어 보관되고, 피스톤로드(351)가 발판실린더(350)에 인입되면 발판(340)은 본체(300)와 직교하도록 펼쳐져 작업자가 올라설 수 있는 사용 가능한 상태가 된다.
이때, 피스톤로드(351)는 힌지부(331) 하부의 힌지플레이트(330)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체(300) 전방의 차체 프레임(110)에는 무빙플레이트(400)가 전후 방향으로 왕복 이동가능하게 구비된다.
이러한 무빙플레이트(400)는 그 양측면에 복수의 가이드롤러(410)가 각각 회전가능하게 구비되고, 이 가이드롤러(410)는 차체 프레임(110)의 제 2 가이드레일(150)의 내측면에 삽입된 상태로 구름된다.
그리고, 무빙플레이트(400)의 후단부에는 차체 프레임(110)에 구비된 제 2 실린더(130)의 피스톤로드(131)가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제 2 실린더(130)에서 피스톤로드(131)가 출입됨에 따라 무빙플레이트(400)가 제 2 가이드레일(150)을 따라 전후로 왕복 이동하게 된다.
또한, 상기와 같은 무빙플레이트(400)의 하부에는 틸트실린더(420)가 구비된다. 이러한 틸트실린더(420)는 그 일단부가 무빙플레이트(400)의 하부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반대편 단부에는 피스톤로드(421)가 출입되게 구비되며, 피스톤로드(421)의 선단부는 후술될 마스트 어셈블리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된다.
따라서, 틸트실린더(420)에서 피스톤로드(421)가 출입됨에 따라 도 7에서와 같이 후술될 마스트 어셈블리가 무빙플레이트(400)에서 틸팅된다.
게다가, 무빙플레이트(400)의 선단부 양측 상면에는 후술될 아우터마스트(500)의 힌지축(520)이 삽입되어 결합되는 힌지홈(400a)이 형성되고, 힌지홈(400a) 상부에는 무빙플레이트(400)의 상면에 결합 고정되는 고정블록(430)이 구비되어, 아우터마스트(500)의 힌지축(520)을 회전가능한 상태로 결합 고정시키게 된다.
그리고, 마스트 어셈블리는 무빙플레이트(400)의 전방에 위치되어 구비된다.
이러한 마스트 어셈블리는, 무빙플레이트(400)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한쌍의 아우터마스트(500)와, 아우터마스트(500)의 내측면에 슬라이딩 결합되어 구비되는 한쌍의 이너마스트(600)를 포함한다.
한쌍의 아우터마스트(500)는 그 후면부에 양측의 아우터마스트(500)를 가로지르는 다수의 고정브라켓(510)에 의해 일체로 고정되게 구비되고, 한쌍의 이너마스트(600)는 그 상면부에 양측의 이너마스트(600)를 가로지르는 연결브라켓(630)에 의해 일체로 고정되게 구비된다.
한편, 상기와 같이 구비되는 양 아우터마스트(500)의 외측면에는 무빙플레이트(400)의 힌지홈(400a)에 삽입되는 힌지축(520)이 돌출 형성되고, 양 아우터마스트(500)를 고정하는 다수의 고정브라켓(510) 중 하부의 고정브라켓(510)에는 틸트실린더(420)의 피스톤로드(421)가 회전가능하게 결합된다.
따라서, 틸트실린더(420)에서 피스톤로드(421)가 출입됨에 따라 마스트 어셈블리는 아우터마스트(500)의 힌지축(520)을 기준으로 시계추와 같이 틸팅된다.
그리고, 서로 마주하는 양 아우터마스트(500)의 내측면에는 상하로 구비된 다수의 롤러(530)가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이 롤러(530)에 의해 아우터마스트(500)의 내측면에 이너마스트(600)가 상하 방향으로 슬라이딩 결합되어 구비된다.
또한, 상기와 같은 이너마스트(600)를 연결하는 상부의 연결브라켓(630)과, 아우터마스트(500)를 연결하는 하부의 고정브라켓(510) 사이에 승강실린더(640)가 구비된다.
이와 같은 승강실린더(640)는 그 하단부가 고정브라켓(510)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반대편 단부에는 피스톤로드(641)가 출입되게 구비되며, 피스톤로드(641)의 선단부는 연결브라켓(630)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된다. 따라서, 승강실린더(640)에서 피스톤로드(641)가 출입됨에 따라 이너마스트(600)가 아우터마스트(500)에서 상하로 이동되는 승강작동을 하게 된다.
한편, 상기와 같은 이너마스트(600) 전면에는 체인으로 연결되어 상하로 승강되는 로드백레스트(620)가 구비되고, 로드백레스트(620) 전면에는 "ㄴ"자 형상의 포크(610)가 고정되게 구비된다.
이와 같이 구비되는 포크(610)는 그 상면에 화물을 얹은 채로 로드백레스트(620)와 같이 일체로 상승되면서 화물을 들어올리게 된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포크(610)가 화물을 들어올릴 때 포크(610)에 작용하는 압력(하중)이 지게차(100)의 컨트롤러(미도시)에 예입력된 설정치 이상(즉 지게차(100)의 전,후 밸런스가 무너지는 경우)이면, 도 6에서와 같이 본체(300)가 왕복 이동되면서 지게차(100)의 전,후 밸런스를 자동으로 맞춰 무게중심을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와 같이 포크(610)가 화물을 운반하기 위해서는 지게차(100) 전방으로 인출된 상태에서 화물을 들어올리게 되는데, 이때 컨트롤러에는 크롤러(200)의 선단부에서 인출된 포크(610)의 거리 데이터와, 포크(610)에 작용하는 압력(하중) 데이터가 입력되고, 이와 같이 입력된 데이터를 통해 지게차(100) 전방부에 작용하는 토오크를 연산하게 된다.
또한, 컨트롤러에는 본체(300)의 중량(하중) 데이터와, 크롤러(200)의 후단부에서 인출된 본체(300)의 거리 데이터가 입력되고, 이와 같이 입력된 데이터를 통해 지게차(100) 후방부에 작용하는 토오크를 연산하게 된다.
따라서, 컨트롤러는 지게차(100) 전방으로 인출된 포크(610)의 위치와, 포크(610)에 작용하는 압력에 따른 지게차(100) 전방부의 토오크에 대해, 본체(300)를 지게차(100) 후방으로 이동시켜 지게차(100) 후방부에 지게차(100) 전방부의 토오크와 동일한 토오크가 작용되는 위치에 본체(300)를 정지시킴으로써 지게차(100)의 포크(610)에 작용하는 압력에 따라 본체(300)를 지게차(100) 후방으로 자동 이동시켜 지게차(100)의 전,후 밸런스를 신속하게 맞춰 주므로 지게차(100)의 무게중심을 유지할 수 있게 된다.
게다가, 본체(300)의 이동에 의해서도 지게차(100) 전방부의 토오크가 여전히 더 큰 경우에는 포크(610)를 후방으로 이동시켜 지게차(100) 전방부에 작용하는 토오크를 지게차(100) 후방부의 토오크와 동일하게 맞춰 밸런스를 조절할 수도 있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지게차의 밸런스 조절작동을 설명한다.
지게차(100)를 사용하고자 할 시는 도 8에서와 같이, 발판실린더(350)를 작동시켜 인출되어 있는 피스톤로드(351)를 발판실린더(350) 내로 인입시킨다.
그러면, 피스톤로드(351)의 인입에 의해 본체(300)의 후면부에 접하여 있던 발판(340)이 회전되고, 회전되는 발판(340)이 본체(300) 즉 힌지플레이트(330)에 수직하게 위치되면 발판(340)의 힌지돌부(341)가 힌지플레이트(330)의 지지돌부(332)에 면접촉된 상태로 고정됨으로써 작업자가 발판(340)을 밟고 올라설 수 있게 된다.
이 상태에서 작업자가 본체(300) 상면의 조작부를 통해 지게차(100)를 주행하고, 포크(610)를 작동시키게 된다.
즉, 포크(610)를 이용하여 화물을 운반하고자 할 시는, 차체 프레임(110)의 제 2 실린더(130)를 작동시켜 무빙플레이트(400)를 전방으로 인출시키면서 포크(610)를 화물의 바닥면으로 진입시킨다.
이후, 화물의 바닥면으로 진입된 포크(610)를 리프팅시켜 화물을 들어올리게 되는데, 이때 포크(610)에 적재된 화물의 하중이 포크(610)에 압력으로 작용하게 되고, 이의 압력은 압력게이지(미도시) 등을 통해 측정되고, 측정된 압력값은 컨트롤러로 입력된다. 이와 더불어 지게차(100) 전방으로 인출된 포크(610)의 위치 역시도 컨트롤러에 입력된다.
그러면, 컨트롤러는 포크(610)의 위치와, 포크(610)에 작용하는 압력값을 연산하여 지게차(100) 전방부에 작용하는 토오크를 산출하게 되고, 이에 대응하여 제 1 실린더(120)를 작동시켜 본체(300)를 차체 프레임(110) 후방으로 이동시켜 가면서 본체(300)의 위치마다 지게차(100) 후방부에 작용하는 토오크를 산출하여, 양 토오크가 일치되는 위치에 본체(300)를 정지시키게 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지게차(100)의 전방부와 후방부에 동일한 토오크가 작용됨으로써 지게차(100)의 전,후 밸런스가 맞게 조절되고, 이에 의해 지게차(100)의 무게중심은 일정하게 유지된다.
한편, 상기와 같은 본체(300)의 이동을 통한 밸런스 조절에도 지게차(100) 전방부의 토오크가 여전히 더 큰 경우에는 인출된 포크(610)를 후방으로 이동시켜 지게차(100) 전방부에 작용하는 토오크를 지게차(100) 후방부의 토오크와 동일하게 맞춰 밸런스를 조절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밸런스가 조절된 지게차(100)는 전복 등과 같은 안전사고를 사전에 방지할 수 있고, 안정적으로 화물은 운반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포크(610)에 적재된 화물이 고중량인 경우에는 틸트실린더(420)에서 피스톤로드(421)를 인출시켜 마스트 어셈블리와 포크(610)를 도 7과 같이 기울어지게 틸팅시키면 포크(610)에 화물을 안전하게 적재할 수 있게 된다.
이상 본 발명을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당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그 변형이나 개량이 가능함이 명백하다.
본 발명의 단순한 변형 내지 변경은 모두 본 발명의 범주에 속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구체적인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명확해질 것이다.
100 : 지게차 110 : 차체 프레임
120,130 : 제 1,2 실린더 121,131 : 피스톤로드
140,150 : 제 1,2 가이드레일 160 : 모터
200 : 크롤러 300 : 본체
310 : 경사면 320 : 가이드플레이트
321 : 가이드롤러 330 : 힌지플레이트
331 : 힌지부 332 : 지지돌부
340 : 발판 341 : 힌지돌부
350 : 발판실린더 351 : 피스톤로드
400 : 무빙플레이트 400a : 힌지홈
410 : 가이드롤러 420 : 틸트실린더
421 : 피스톤로드 430 : 고정블록
500,600 : 마스트 510 : 고정브라켓
520 : 힌지축 530 : 롤러
610 : 포크 620 : 로드백레스트
630 : 연결브라켓 640 : 승강실린더
641 : 피스톤로드

Claims (7)

  1. 차체 프레임의 양측에 각각 구비되어 모터에 의해 회전되는 크롤러;
    차체 프레임에 구비되어 실린더에 의해 자동으로 왕복 이동되는 한편 그 내부에는 배터리가 삽입되어 구비되고 상면부에는 조작부가 구비되는 본체;
    본체에 구비되어 실린더에 의해 회전되고 작업자가 밟고서 탑승하는 발판;
    차체 프레임에 구비되어 틸트실린더에 의해 틸팅 회전되는 아우터마스트;
    아우터마스트에 슬라이딩 결합되어 실린더에 의해 승강되는 이너마스트; 및
    이너마스트에서 승강되면서 화물을 들어올리는 포크;를 포함하는 지게차.
  2. 청구항 1에 있어서,
    차체 프레임에서 아우터마스트 및 이너마스트와 같이 이동되게 구비되는 한편 그 단부에는 아우터마스트가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무빙플레이트가 구비되고, 틸트실린더에 의해 무빙플레이트에서 아우터마스트가 틸팅 회전되게 구비되는 지게차.
  3. 청구항 2에 있어서,
    포크가 화물을 들어올릴 때 포크에 작용하는 압력(하중)이 설정치 이상이면, 본체가 차체 프레임 상에서 자동으로 이동되게 구비되는 지게차.
  4. 청구항 3에 있어서,
    포크가 화물을 들어올릴 때 포크에 작용하는 압력(하중)이 설정치 이상이면, 포크가 차체 프레임 상에서 자동으로 이동되게 구비되는 지게차.
  5. 청구항 3 또는 청구항 4에 있어서,
    설정치 이상은 포크에 작용하는 압력에 의해 지게차의 전방부와 후방부의 밸런스가 무너지는 경우로 설정되는 지게차.
  6. 청구항 2에 있어서,
    차체 프레임에는 본체와 무빙플레이트를 가이드하는 한쌍의 가이드레일이 각각 구비되고, 본체 및 무빙플레이트에는 가이드레일에 결합되어 구름되는 가이드롤러가 각각 구비되는 지게차.
  7. 청구항 1에 있어서,
    본체에는 힌지플레이트가 구비되고, 발판에는 힌지플레이트에 힌지 결합되는 힌지돌부가 구비되어, 힌지부를 축으로 발판이 힌지플레이트에서 회전되며,
    힌지플레이트에는 펼쳐진 발판의 힌지돌부가 면접되어 지지되는 지지돌부가 돌출 형성되는 지게차.
KR1020160184224A 2016-12-30 2016-12-30 밸런스 조절이 가능한 지게차 KR10188620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84224A KR101886207B1 (ko) 2016-12-30 2016-12-30 밸런스 조절이 가능한 지게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84224A KR101886207B1 (ko) 2016-12-30 2016-12-30 밸런스 조절이 가능한 지게차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78943A true KR20180078943A (ko) 2018-07-10
KR101886207B1 KR101886207B1 (ko) 2018-08-08

Family

ID=629162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84224A KR101886207B1 (ko) 2016-12-30 2016-12-30 밸런스 조절이 가능한 지게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86207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155750A (zh) * 2019-07-03 2019-08-23 无锡宏盛智能装载技术有限公司 有托盘货物自动装卸车机
WO2021022946A1 (zh) * 2019-08-08 2021-02-11 桂林市富华金属制品有限公司 一种装卸机器人及其控制系统
CN112875583A (zh) * 2021-01-27 2021-06-01 三一海洋重工有限公司 叉车防倾翻方法及其装置与叉车
KR102623226B1 (ko) * 2023-06-13 2024-01-12 주식회사 시스콘로보틱스 무게 중심 이동이 가능한 캐터필러형 접이식 지게차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42396A (ja) * 1994-03-07 1995-09-19 Seibutsukei Tokutei Sangyo Gijutsu Kenkyu Suishin Kiko 運搬作業車
KR200221871Y1 (ko) * 2000-10-06 2001-04-16 정호일 차량의 무게중심 가변장치
CN203112423U (zh) * 2013-02-20 2013-08-07 温富斌 轻型无配重电瓶叉车
CN105083398A (zh) * 2014-05-19 2015-11-25 永恒力股份公司 随行地面运输工具
CN105502231A (zh) * 2015-10-26 2016-04-20 侯俞臣 一种液压万向四驱叉车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42396A (ja) * 1994-03-07 1995-09-19 Seibutsukei Tokutei Sangyo Gijutsu Kenkyu Suishin Kiko 運搬作業車
KR200221871Y1 (ko) * 2000-10-06 2001-04-16 정호일 차량의 무게중심 가변장치
CN203112423U (zh) * 2013-02-20 2013-08-07 温富斌 轻型无配重电瓶叉车
CN105083398A (zh) * 2014-05-19 2015-11-25 永恒力股份公司 随行地面运输工具
CN105502231A (zh) * 2015-10-26 2016-04-20 侯俞臣 一种液压万向四驱叉车

Non-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중국실용신안등록공보 203112423(2013.08.07.) 1부. *
중국특허공개공보 105083398(2015.11.25.) 1부. *
중국특허공개공보 105502231(2016.04.20.) 1부. *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155750A (zh) * 2019-07-03 2019-08-23 无锡宏盛智能装载技术有限公司 有托盘货物自动装卸车机
CN110155750B (zh) * 2019-07-03 2023-12-01 无锡宏盛智能装载技术有限公司 有托盘货物自动装卸车机
WO2021022946A1 (zh) * 2019-08-08 2021-02-11 桂林市富华金属制品有限公司 一种装卸机器人及其控制系统
CN112875583A (zh) * 2021-01-27 2021-06-01 三一海洋重工有限公司 叉车防倾翻方法及其装置与叉车
KR102623226B1 (ko) * 2023-06-13 2024-01-12 주식회사 시스콘로보틱스 무게 중심 이동이 가능한 캐터필러형 접이식 지게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86207B1 (ko) 2018-08-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86207B1 (ko) 밸런스 조절이 가능한 지게차
JP4700736B2 (ja) 自動車型建設装置、及び建設装置の昇降カラム
KR101762570B1 (ko) 전후좌우 이동 및 회전 이동이 가능한 전동레일리프트
US11420858B2 (en) Personnel lift vehicle
KR101248639B1 (ko) 수평유지식 농업용 고소작업차량
RU2547024C2 (ru) Рычажный механизм вилочного погрузчика
AU2010237171B2 (en) Lift hand truck
KR102252870B1 (ko) 밸런스 조절이 가능한 농업용 지게차
US6398480B1 (en) Fork lift truck
CA3000875C (en) An improved linkage system for a forklift truck
KR101971234B1 (ko) 캐터필러를 구비한 농업용 지게차
KR101809847B1 (ko) 무한궤도륜이 적용된 농업용 지게차
CN112124004B (zh) 叉车轮距调节装置及叉车
KR20140145756A (ko) 리치 타입 지게차의 레그 구조
US6439827B1 (en) Load handling vehicle
JPS58167399A (ja) フオ−クリフト
JP2005082331A (ja) 高所作業車の制御装置
JP5459732B2 (ja) サイドフォークリフト
CN216687295U (zh) 一种升降装置用调节固定机构
CN219117063U (zh) 一种中置柜吊装电流互感器更换专用车
GB2468937A (en) Industrial truck comprising a platform-central part
JP4368299B2 (ja) 車両用昇降装置
JP2558941Y2 (ja) スライドデッキ式高所作業車のスライド規制装置
JP6122609B2 (ja) 高所作業車
RU134919U1 (ru) Автопогрузчик вилочный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