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78634A - 루프 시스템용 코일감지장치 - Google Patents

루프 시스템용 코일감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78634A
KR20180078634A KR1020160183595A KR20160183595A KR20180078634A KR 20180078634 A KR20180078634 A KR 20180078634A KR 1020160183595 A KR1020160183595 A KR 1020160183595A KR 20160183595 A KR20160183595 A KR 20160183595A KR 20180078634 A KR20180078634 A KR 2018007863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il
sensor
rod
sensing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835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79584B1 (ko
Inventor
김대철
이문용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성우하이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성우하이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성우하이텍
Priority to KR10201601835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79584B1/ko
Publication of KR201800786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7863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795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7958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CMANUFACTURE OF METAL SHEETS, WIRE, RODS, TUBES OR PROFILES, OTHERWISE THAN BY ROLLING; AUXILIARY OPERATIONS USED IN CONNECTION WITH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 B21C47/00Winding-up, coiling or winding-off metal wire, metal band or other flexible metal material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evant to metal processing only
    • B21C47/34Feeding or guiding devices not specially adapted to a particular type of apparatu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CMANUFACTURE OF METAL SHEETS, WIRE, RODS, TUBES OR PROFILES, OTHERWISE THAN BY ROLLING; AUXILIARY OPERATIONS USED IN CONNECTION WITH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 B21C47/00Winding-up, coiling or winding-off metal wire, metal band or other flexible metal material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evant to metal processing only
    • B21C47/16Unwinding or uncoil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CMANUFACTURE OF METAL SHEETS, WIRE, RODS, TUBES OR PROFILES, OTHERWISE THAN BY ROLLING; AUXILIARY OPERATIONS USED IN CONNECTION WITH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 B21C47/00Winding-up, coiling or winding-off metal wire, metal band or other flexible metal material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evant to metal processing only
    • B21C47/26Special arrangements with regard to simultaneous or subsequent treatment of the materi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Unwinding Of Filamentary Materials (AREA)

Abstract

루프 시스템용 코일감지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루프 시스템용 코일감지장치는 공정라인의 공정 바닥면 상의 전,후방에 구성되는 전,후방 코일 가이더와, 상기 공정라인의 공정 바닥면 상의 일측에 구성되어 코일을 공정라인으로 공급해 주는 피딩유닛을 포함하는 루프 시스템 상에서, 상기 전,후방 코일 가이더 사이의 공정 바닥면 상의 중앙부에 수직방향으로 세워져 설치되는 프레임; 상기 프레임 상의 폭방향 양측에 세워져 상단과 하단이 상기 프레임의 상부와 하부에 각각 고정되는 양측 가이드 봉; 양단이 슬라이더를 통하여 상기 양측 가이드 봉을 따라 승하강 슬라이드 가능하게 설치되어 공급되는 코일의 상면에 접촉된 상태를 유지하는 감지봉; 일측 가이드 봉에 이웃하여 배치된 상태로, 상단과 하단이 상기 프레임의 상부와 하부에 각각 고정되는 센서봉; 상기 센서봉 상에 구성되어 상기 감지봉의 일측 슬라이더에 구성된 감지도그를 감지하여 상기 전,후방 코일 가이더 사이의 코일의 높이를 감지하여 감지신호를 출력하는 복수개의 센서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루프 시스템용 코일감지장치{Coil sensing device for loop system}
본 발명은 루프 시스템용 코일감지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롤 포밍 공정라인에서 코일의 원활한 공급을 위해 구성되는 루프 시스템용 코일감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롤 포밍 공정라인과 같이, 코일을 소재로 하는 공정에서는 다단의 롤 포밍유닛에 원활한 코일의 공급을 위하여 루프 시스템이 적용된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루프 시스템의 측면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종래 기술에 따른 루프 시스템은 공정라인의 바닥에 비트(B)를 구성하고, 비트(B)의 전후방에는 전,후방 코일 가이더(10)(20)를 각각 구성하여 비트(B)의 내부로 공급되는 코일(C)을 양측에서 가이드한다.
그리고 상기 비트(B)의 후방 일측에는 피딩모터(FM)의 구동력을 이용하여 비트(B) 내부로 공급된 코일(C)을 공정라인으로 공급해 주는 피딩유닛(FU)이 구성된다.
상기 전,후방 코일 가이더(10)(20)은 각각 상기 비트(B)의 전방과 후방의 공정 바닥면에 가이드 프레임(11)(21)이 설치되고, 각 가이드 프레임(11)(21) 상의 상부에는 양단이 양측 연결 링크(12)(22)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다수개의 가이드 롤러(13)(23)가 구성되고, 상기 가이드 프레임(11)(21)의 중앙부 내측에는 일단이 가이드 프레임(11)(21)에 힌지 연결된 조정로드(14)(24)가 조정 실린더(15)(25)의 피스톤 로드(16)(26)와 힌지 연결된다.
이러한 구성의 전,후방 코일 가이더(10)(20)는 조정 실린더(15))(25)의 작동 제어에 따라 상기 조정로드(14)(24)가 힌지 작동하여 상기 가이드 롤러(13)(23)의 위치를 제어함으로써, 상기 비트(B)로 공급되는 코일(C)의 하부를 안내하게 된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에 따른 루프 시스템은 공정 바닥면에 비트(B) 구성을 위한 하부 공사가 필요하며, 특히, 공정 바닥의 지반이 약한 경우, 비트(B) 구성이 어려운 단점이 있다.
또한, 비트(B) 내부의 코일(C)이 일정 높이까지 상승하여야만 피딩유닛(FU)이 작동함으로, 비트(B) 내부의 코일(C) 높이에 따른 대기시간이 발생하여 원활한 코일의 공급을 방해하는 요인이 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전,후방 코일 가이더 사이의 공정 바닥면 상에 구성하여 코일 높이에 따른 감지신호를 실시간 출력하여 피딩유닛을 실시간 제어할 수 있도록 하는 루프 시스템용 코일감지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하나 또는 다수의 실시 예에서는 공정라인의 공정 바닥면 상의 전,후방에 구성되는 전,후방 코일 가이더와, 상기 공정라인의 공정 바닥면 상의 일측에 구성되어 코일을 공정라인으로 공급해 주는 피딩유닛을 포함하는 루프 시스템 상에서, 상기 전,후방 코일 가이더 사이의 공정 바닥면 상의 중앙부에 수직방향으로 세워져 설치되는 프레임; 상기 프레임 상의 폭방향 양측에 세워져 상단과 하단이 상기 프레임의 상부와 하부에 각각 고정되는 양측 가이드 봉; 양단이 슬라이더를 통하여 상기 양측 가이드 봉을 따라 승하강 슬라이드 가능하게 설치되어 공급되는 코일의 상면에 접촉된 상태를 유지하는 감지봉; 일측 가이드 봉에 이웃하여 배치된 상태로, 상단과 하단이 상기 프레임의 상부와 하부에 각각 고정되는 센서봉; 상기 센서봉 상에 구성되어 상기 감지봉의 일측 슬라이더에 구성된 감지도그를 감지하여 상기 전,후방 코일 가이더 사이의 코일의 높이를 감지하여 감지신호를 출력하는 복수개의 센서를 포함하는 루프 시스템용 코일감지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프레임의 전후측 공정 바닥면 상에는 코일의 과도한 공급으로 인한 손상을 방지하는 전,후방 롤러유닛이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후방 롤러유닛은 각각 공정 폭방향으로 배치되는 복수개의 안내롤러가 양측 롤러 프레임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감지봉 상의 양측에는 코일의 폭방향 양 단부를 지지하여 안내하는 지지 플랜지가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복수개의 센서는 상기 센서봉 상의 상부 일측에 고정되어 공급되는 코일의 상부높이 제한신호를 출력하는 제1 센서; 상기 센서봉 상의 하부 일측에 고정되어 공급되는 코일의 하부높이 제한신호를 출력하는 제2 센서; 상기 센서봉 상의 상기 제1, 제2 센서 사이의 일측에 고정되어 피딩유닛에 의한 코일 공급을 중지하도록 공급중지신호를 출력하는 제3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제2, 제3 센서는 각각 상기 센서봉에 고정되는 브라켓을 통하여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피딩유닛은 상기 감지봉이 상기 제2 센서와 제3 센서 사이에 위치하는 동안 코일을 공급하도록 제어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전,후방 코일 가이더 사이의 공정 바닥면 상에 구성되는 코일감지장치를 통하여 코일 높이 감지신호를 실시간 출력하여 피딩유닛을 실시간 제어할 수 있어, 코일의 높이를 일정하게 유지하기 위한 대기시간이 없어 롤 포밍 공정라인의 공정속도를 유지시켜 주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코일감지장치를 전,후방 코일 가이더 사이의 공정 바닥면 상에 바로 설치하여 별도의 비트를 구성할 필요가 없다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루프 시스템의 측면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코일감지장치가 적용된 루프 시스템의 측면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코일감지장치의 정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코일감지장치의 평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코일감지장치가 적용된 루프 시스템의 사용 상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단, 도면에서 나타난 각 구성의 크기 및 두께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임의로 나타내었으므로, 본 발명이 반드시 도면에 도시된 바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를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하기의 설명에서 구성의 명칭을 제1, 제2 등으로 구분한 것은 그 구성의 명칭이 동일하여 이를 구분하기 위한 것으로, 반드시 그 순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코일감지장치가 적용된 루프 시스템의 측면 구성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코일감지장치의 정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코일감지장치의 평 단면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루프 시스템용 코일감지장치(50)는 전,후방 코일 가이더(60)(70) 사이의 공정 바닥면 상에 구성되어 코일(C)의 높이감지신호를 실시간 출력하여 피딩유닛(FU)을 실시간 제어할 수 있도록 한다.
즉,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코일감지장치(50)가 적용되는 루프 시스템은 공정라인의 공정 바닥면 상의 전,후방에 각각 전,후방 코일 가이더(60)(70)가 설치되고, 상기 공정라인의 공정 바닥면 상의 후방 코일 가이더(70)의 공정방향 후측에 코일(C)을 공정라인으로 공급해 주는 피딩유닛(FU)이 설치 프레임(FF)을 통하여 설치된다.
상기 전,후방 코일 가이더(60)(70)는 각각 공정 바닥면에 가이드 프레임(61)(71)이 설치되고, 각 가이드 프레임(61)(71) 상의 상부에는 양단이 양측 연결 링크(62)(72)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다수개의 가이드 롤러(63)(73)가 구성되고, 상기 가이드 프레임(61)(71)의 중앙부 내측에는 일단이 가이드 프레임(61)(71)에 힌지 연결된 조정로드(64)(74)가 조정 실린더(65)(75)의 피스톤 로드(66)(76)와 힌지 연결된다.
이러한 구성의 전,후방 코일 가이더(60)(70)는 조정 실린더(65)(75)의 작동 제어에 따라 상기 조정로드(64)(74)가 힌지 작동하여 상기 가이드 롤러(63)(73)의 위치를 제어함으로써, 코일(C)의 하부를 안내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피딩유닛(FU)은 피딩모터(FM)의 구동제어에 의해 코일(C)을 공정라인으로 공급하게 된다.
이러한 루프 시스템에 적용되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코일감지장치는 프레임(51), 양측 가이드 봉(52,53), 감지봉(54), 센서봉(55), 3개의 센서(S1,S2,S3)를 포함한다.
상기 프레임(51)은 상기 전,후방 코일 가이더(60)(70) 사이의 공정 바닥면 상의 중앙부에 수직방향으로 세워져 설치된다.
상기 프레임(51)의 전후측 공정 바닥면 상에는 코일(C)의 과도한 공급으로 인한 손상을 방지하는 전,후방 롤러유닛(81)(82)이 구성된다.
즉, 상기 전,후방 롤러유닛(81)(82)은 각각 공정 폭방향으로 배치되는 4개씩의 안내롤러(R)가 양측 롤러 프레임(RF)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양측 가이드 봉(52,53)은 상기 프레임(51) 상의 폭방향 양측에 세워져 상단과 하단이 상기 프레임(51)의 상부와 하부에 각각 고정되어 설치된다.
이러한 양측 가이드 봉(52,53)은 원형봉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감지봉(54)은 양단이 슬라이더(54a)를 통하여 상기 양측 가이드 봉(52,53)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설치되며, 공급되는 코일(C)의 상면에 접촉된 상태로, 양측 가이드 봉(52,53)을 따라 수평을 유지하면서 승하강하도록 설치된다.
여기서, 상기 감지봉(54) 상의 양측에는 코일(C)의 폭방향 양 단부를 지지하여 안내하는 지지 플랜지(56)가 각각 구성된다.
상기 센서봉(55)은 일측 가이드 봉(52)에 이웃하여 외측에 배치된 상태로, 상단과 하단이 상기 프레임(51)의 상부와 하부에 각각 고정된다.
상기 3개의 센서(S1)(S2)(S3)는 상기 센서봉(55) 상에 구성되어 상기 감지봉(54)의 일측 슬라이더(54a)에 구성된 감지도그(D)를 감지하여 상기 전,후방 코일 가이더(60)(70) 사이의 코일(C)의 높이를 감지하여 감지신호를 출력한다.
상기 3개의 센서는 상기 센서봉(55) 상의 상부 일측에 고정되어 공급되는 코일(C)의 상부높이 제한신호를 출력하는 제1 센서(S1)과, 상기 센서봉(55) 상의 하부 일측에 고정되어 공급되는 코일(C)의 하부높이 제한신호를 출력하는 제2 센서(S2), 및 상기 센서봉(55) 상의 상기 제1, 제2 센서(S1,S2) 사이의 일측에 고정되어 피딩유닛(FU)에 의한 코일(C)의 공급을 중지하도록 공급중지신호를 출력하는 제3 센서(S3)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제1, 제2, 제3 센서(S1,S2,S3)는 각각 상기 센서봉(55)에 고정되는 브라켓(SB)을 통하여 설치될 수 있다.
즉, 상기 피딩유닛(FU)은 상기 감지봉(54)이 상기 제2 센서(S2)와 제3 센서(S3) 사이에 위치하는 동안, 피딩모터(FM)를 구동 제어하여 코일(C)을 공급하도록 제어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코일감지장치가 적용된 루프 시스템의 사용 상태도이다.
따라서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루프 시스템용 코일감지장치는, 도 2에서와 같이, 전방의 언코일러(미도시)로부터 공급된 코일(C)이 전,후방 롤러유닛(81)(82)에 안내되는 상태로, 코일감지장치(50)의 제2 센서(S2)에 감지봉(54)이 감지되면, 도 5에서와 같이, 상기 전,후방 코일 가이더(60)(70)의 각 조정 실린더(65)(75)가 구동하여 조정로드(64)(74)를 회전시킨다.
그러면, 상기 코일(C)은 양측에서, 각 가이드 롤러(63)(73)에 의해 지지되어 상승하게 되고, 이에 따라 감지봉(54)도 양측 가이드 봉(52)(53)을 따라 상승하게 된다.
이때, 상기 감지봉(54)이 상기 제2 센서(S2)와 제3 센서(S3) 사이에 위치하는 동안에는 상기 피딩유닛(FU)의 피딩모터(FM)를 공정속도에 맞추어 회전 제어하여 공정라인으로 코일(C)을 공급하게 되고, 상기 감지봉(54)이 상기 제1 센서(S1)와 제3 센서(S3) 사이에 위치하는 동안에는 상기 피딩유닛(FU)의 피딩모터(FM)의 회전수를 제어하여 공정속도에 방해하지 않는 범위에서 코일(C)을 공급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루프 시스템용 코일감지장치(50)는 롤 포밍 공정라인 등에서, 전,후방 코일 가이더(60)(70) 사이의 공정 바닥면 상에 구성되어 코일(C)의 높이감지신호를 실시간 출력하여 피딩유닛(FU)을 실시간 제어할 수 있어, 코일(C)의 높이를 일정하게 유지하기 위한 대기시간이 없어 롤 포밍 공정라인의 공정속도를 유지시켜 주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코일감지장치는 전,후방 코일 가이더 사이의 공정 바닥면 상에 바로 설치되어 별도의 비트를 구성할 필요가 없게 됨으로, 종래의 비트 구성에 따른 문제점을 해소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한정된 실시 예와 도면을 통하여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 사상과 아래에 기재된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C: 코일
50: 코일감지장치
60,70: 전,후방 코일 가이더
FU: 피딩유닛
FM: 피딩모터
61,71: 가이드 프레임
62,72: 연결 링크
63,73: 가이드 롤러
64,74: 조정로드
65,75: 조정 실린더
51: 프레임
52,53: 가이드 봉
54: 감지봉
55: 센서봉
56: 지지 플랜지
81,82: 전,후방 롤러유닛

Claims (7)

  1. 공정라인의 공정 바닥면 상의 전,후방에 구성되는 전,후방 코일 가이더와, 상기 공정라인의 공정 바닥면 상의 일측에 구성되어 코일을 공정라인으로 공급해 주는 피딩유닛을 포함하는 루프 시스템 상에서,
    상기 전,후방 코일 가이더 사이의 공정 바닥면 상의 중앙부에 수직방향으로 세워져 설치되는 프레임;
    상기 프레임 상의 폭방향 양측에 세워져 상단과 하단이 상기 프레임의 상부와 하부에 각각 고정되는 양측 가이드 봉;
    양단이 슬라이더를 통하여 상기 양측 가이드 봉을 따라 승하강 슬라이드 가능하게 설치되어 공급되는 코일의 상면에 접촉된 상태를 유지하는 감지봉;
    일측 가이드 봉에 이웃하여 배치된 상태로, 상단과 하단이 상기 프레임의 상부와 하부에 각각 고정되는 센서봉;
    상기 센서봉 상에 구성되어 상기 감지봉의 일측 슬라이더에 구성된 감지도그를 감지하여 상기 전,후방 코일 가이더 사이의 코일의 높이를 감지하여 감지신호를 출력하는 복수개의 센서;
    를 포함하는 루프 시스템용 코일감지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의 전후측 공정 바닥면 상에는 코일의 과도한 공급으로 인한 손상을 방지하는 전,후방 롤러유닛이 구성되는 루프 시스템용 코일감지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후방 롤러유닛은
    각각 공정 폭방향으로 배치되는 복수개의 안내롤러가 양측 롤러 프레임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구성되는 루프 시스템용 코일감지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봉 상의 양측에는 코일의 폭방향 양 단부를 지지하여 안내하는 지지 플랜지가 구성되는 루프 시스템용 코일감지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센서는
    상기 센서봉 상의 상부 일측에 고정되어 공급되는 코일의 상부높이 제한신호를 출력하는 제1 센서;
    상기 센서봉 상의 하부 일측에 고정되어 공급되는 코일의 하부높이 제한신호를 출력하는 제2 센서;
    상기 센서봉 상의 상기 제1, 제2 센서 사이의 일측에 고정되어 피딩유닛에 의한 코일 공급을 중지하도록 공급중지신호를 출력하는 제3 센서;
    를 포함하는 루프 시스템용 코일감지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제2, 제3 센서는
    각각 상기 센서봉에 고정되는 브라켓을 통하여 설치되는 루프 시스템용 코일감지장치.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피딩유닛은
    상기 감지봉이 상기 제2 센서와 제3 센서 사이에 위치하는 동안 코일을 공급하도록 제어되는 루프 시스템용 코일감지장치.
KR1020160183595A 2016-12-30 2016-12-30 루프 시스템용 코일감지장치 KR10187958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83595A KR101879584B1 (ko) 2016-12-30 2016-12-30 루프 시스템용 코일감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83595A KR101879584B1 (ko) 2016-12-30 2016-12-30 루프 시스템용 코일감지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78634A true KR20180078634A (ko) 2018-07-10
KR101879584B1 KR101879584B1 (ko) 2018-07-18

Family

ID=629162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83595A KR101879584B1 (ko) 2016-12-30 2016-12-30 루프 시스템용 코일감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7958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11947A (ko) * 2021-02-03 2022-08-10 송과모빌리티이노베이션 주식회사 코일 천공용 피어싱장치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21763Y2 (ko) * 1986-09-09 1991-05-13
JPH03111760U (ko) * 1990-02-27 1991-11-15
JPH0966315A (ja) * 1995-08-30 1997-03-11 Aida Eng Ltd コイル材送り装置
JP3668628B2 (ja) * 1998-12-25 2005-07-06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ブランキングラインにおけるアンコイラのブレーキ制御装置
EP3103556B1 (en) * 2014-02-03 2021-01-27 JDC, Inc. Loop take-up device for slitter lines
KR20160112239A (ko) * 2015-03-18 2016-09-28 이지철강산업주식회사 강판코일용 슬리팅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11947A (ko) * 2021-02-03 2022-08-10 송과모빌리티이노베이션 주식회사 코일 천공용 피어싱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79584B1 (ko) 2018-07-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2476754B (zh) 张力与纠偏实验装置
US4598849A (en) Web guiding and decurling apparatus
JP5132197B2 (ja) 塑性加工方法および塑性加工システム
CN105584871A (zh) 一种具有自动调整功能的烘布机卷布装置
KR101879584B1 (ko) 루프 시스템용 코일감지장치
JP2000511504A (ja) 巻成ロール用の巻戻し装置
US8365566B2 (en) Device for adjusting the distance of a stripper chisel
KR101336904B1 (ko) 와이어 소
CN213140789U (zh) 一种适应宽幅和窄幅纸张的纠偏复卷机
KR102029405B1 (ko) 체인 텐션 조절 장치
KR200476379Y1 (ko) 무부하 공급장치
JP5979686B1 (ja) ロール支持スタンド
CN208730543U (zh) 一种塑料薄膜印刷机
CN108861773B (zh) 高速展布机的送料抚平检测装置
CN106986216A (zh) 一种铝箔放箔装置
JP3111760U (ja) 高速プレスの薄板用コイル材供給装置
KR20010094274A (ko) 슬리터 리와인더
KR101294833B1 (ko) 리본와이어 신선장치
US4026486A (en) Paper reel stands
KR102011668B1 (ko) 릴 스탠드의 공급코일 처짐 방지 장치
KR101990741B1 (ko) 다열식 비닐원단 인쇄 마크 제어장치의 엘리베이터 구조
JP4696309B2 (ja) 縦型ルーパー及びその運転方法
KR100775230B1 (ko) 선재의 너울방지가 용이한 업-루프장치
CN203143766U (zh) 放料机构及具有该机构的高速分切机
CN113460761B (zh) 一种自动调节过辊精度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