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29405B1 - 체인 텐션 조절 장치 - Google Patents

체인 텐션 조절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29405B1
KR102029405B1 KR1020190065772A KR20190065772A KR102029405B1 KR 102029405 B1 KR102029405 B1 KR 102029405B1 KR 1020190065772 A KR1020190065772 A KR 1020190065772A KR 20190065772 A KR20190065772 A KR 20190065772A KR 102029405 B1 KR102029405 B1 KR 10202940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in
main body
unit
tension
torqu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657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우철
신용탁
채정훈
강용수
신한재
신민재
Original Assignee
묘력전기(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묘력전기(주) filed Critical 묘력전기(주)
Priority to KR10201900657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2940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294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2940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3/00Driving gear for endless conveyors; Belt- or chain-tensioning arrangements
    • B65G23/44Belt or chain tensioning arrang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3/00Control devices, e.g. for safety, warning or fault-correcting
    • B65G43/02Control devices, e.g. for safety, warning or fault-correcting detecting dangerous physical condition of load carriers, e.g. for interrupting the drive in the event of overheating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LMEASURING FORCE, STRESS, TORQUE, WORK, MECHANICAL POWER, MECHANICAL EFFICIENCY, OR FLUID PRESSURE
    • G01L5/00Apparatus for, or methods of, measuring force, work, mechanical power, or torque,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 G01L5/0061Force sensors associated with industrial machines or actua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7/00Magnets
    • H01F7/06Electromagnets; Actuators including electromagn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3/00Indexing code relating to control or detection of the articles or the load carriers during conveying
    • B65G2203/02Control or detection
    • B65G2203/0266Control or detection relating to the load carri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3/00Indexing code relating to control or detection of the articles or the load carriers during conveying
    • B65G2203/04Detection means
    • B65G2203/042Sens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812/00Indexing codes relating to the kind or type of conveyors
    • B65G2812/02Belt or chain conveyors
    • B65G2812/02009Common features for belt or chain conveyor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Devices For Conveying Motion By Means Of Endless Flexible Memb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구동하는 체인의 텐션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한 체인 텐션 조절 장치에 관한 것으로, 이송장치에 설치되며, 양단이 절곡되어 단면이 ‘ㄷ’자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본체; 일측이 상기 본체의 일단에 결합되고, 다른 일측이 상기 본체의 다른 일단에 결합되는 다수개의 가이드봉; 다수개의 관통홀이 구비되며, 상기 관통홀로 상기 가이드봉의 다른 일측을 각각 관통시켜 상기 본체의 다른 일측에 장착되어 상기 가이드봉을 따라 이동하면서 텐션을 조절하기 위한 조절구; 상기 가이드봉 중 상기 본체의 일단과 상기 조절구 사이에 해당하는 부분을 삽입하도록 형성되며, 상기 조절구에 텐션을 제공하기 위한 스프링; 및 상기 조절구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체인에 치합되는 스프라켓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체인 텐션 조절 장치{Device for adjusting the tension of chain}
본 발명은 체인 텐션 조절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구동하는 체인의 텐션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한 체인 텐션 조절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연속공정이 필요한 이송장치는 2개의 기어축이 양쪽으로 고정되어 있는 상태에서 체인이 걸려 회전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체인은 장기간 사용시 늘어나 쳐지면서 제자리를 이탈하거나, 과부하에 의해 체인 또는 체인을 구동시키기 위한 모터 등이 파손되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이러한 경우에 부품 수리 및 교체 작업에 많은 시간 및 비용이 소요되고, 수리 및 교체시에는 전체적인 작업이 중단되어 생산성을 저하시키는 단점이 있었다.
최근에는 이를 해결하기 위해 체인 텐션 조절 장치가 개발되어 다양한 이송장치에 사용되고 있다.
한국등록실용신안 제20-0216726호(2001.01.04 등록)는 체인의 텐션 자동조절장치에 관하여 기재되어 있으며, 개시된 기술에 따르면, 하부에 고정되는 핀에 베어링에 의해 회전 가능하도록 텐션스프로킷이 설치되면서 상면에 텐션볼트가 수직으로 고정되는 본체와; 상면이 상기 텐션볼트의 상단부에 의해 관통되면서 상기 텐션볼트에 외장되는 코일스프링을 내장하도록 상기 본체의 상부에 외장되고, 상부로 연장되는 상기 텐션볼트의 상단에 조절너트가 나합되며, 일측면에 상하로 눈금홈 및 눈금자가 형성되면서 상기 눈금홈에 상기 본체에 고정되는 눈금지시자가 상하 이동이 가능하도록 삽입되어 있는 지지플레이트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국등록실용신안 제20-0326520호(2003.09.02 등록)는 양방향 체인장력 자동조정장치에 관하여 기재되어 있다. 개시된 기술에 따르면, 복수의 보조 스프로켓 상에 걸리는 체인의 장력을 양방향으로 자동 조정하는 장치에 있어서, 프레임에 장착 가능한 지지판상에서 좌우로 탄성적으로 슬라이딩 가능한 수평이동판을 갖추고, 상기 수평이동판상에서 상하로 탄성적으로 슬라이딩이동 가능한 수직이동판을 갖추며, 상기 수직이동판에 복수의 보조 스프로켓이 회전 가능하도록 장착되어 상기 각각의 보조 스프로켓에 걸리는 복수의 체인의 양방향의 장력조절이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종래의 체인 텐션 조절 장치는, 텐션을 조절하기 위한 범위와 텐션의 강도가 약하기 때문에 체인의 텐션을 제대로 조절할 수 없으며, 이로 인해 여전히 체인 및 모터의 파손 등의 위험이 있다.
한국등록실용신안 제20-0216726호 한국등록실용신안 제20-0326520호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구동하는 체인의 텐션을 보다 효과적으로 조절할 수 있도록 한 체인 텐션 조절 장치를 제공한다.
이러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한 특징에 따르면, 이송장치에 설치되며, 양단이 절곡되어 단면이 ‘ㄷ’자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본체; 일측이 상기 본체의 일단에 결합되고, 다른 일측이 상기 본체의 다른 일단에 결합되는 다수개의 가이드봉; 다수개의 관통홀이 구비되며, 상기 관통홀로 상기 가이드봉의 다른 일측을 각각 관통시켜 상기 본체의 다른 일측에 장착되어 상기 가이드봉을 따라 이동하면서 텐션을 조절하기 위한 조절구; 상기 가이드봉 중 상기 본체의 일단과 상기 조절구 사이에 해당하는 부분을 삽입하도록 형성되며, 상기 조절구에 텐션을 제공하기 위한 스프링; 및 상기 조절구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체인에 치합되는 스프라켓을 포함하는 체인 텐션 조절 장치를 제공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스프라켓의 회전축에 형성되어, 토크값을 감지하기 위한 토크감지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이송장치의 구동을 정지시키기 위한 한계 토크값을 미리 저장하는 메모리부; 및 상기 토크감지부에서 감지된 토크값과 상기 메모리부에 저장된 한계 토크값을 비교하여, 상기 토크감지부에서 감지된 토크값이 상기 메모리부에 저장된 한계 토크값 이상인 경우에 이송장치의 구동을 정지시키기 위한 구동 정지신호를 생성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본체의 일단에 형성되어, 자력을 생성하기 위한 전자석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전자석부의 세기를 조절하기 위한 전자석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본체의 일단에 형성되어, 상기 조절구와의 거리값을 감지하기 위한 거리감지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지속적인 사용에 따라 열, 하중 등에 의해 체인의 늘어짐이 발생한 경우 또는 체인에 인가되는 부하의 크기 등에 관계없이 체인을 항상 일정한 텐션으로 유지시켜줌으로써, 체인의 손상 및 이탈을 방지하여 추가적인 비용이나 수리 과정 등의 여러 피해가 발생되지 않아 작업의 효율성 및 생산성을 대폭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텐션의 조절범위 및 강도가 개선되어 체인의 텐션을 보다 효과적으로 조절할 수 있음은 물론, 순간적인 과부하로부터 체인 및 이송장치의 부품들을 보호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체인 텐션 조절 장치를 설명하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체인 텐션 조절 장치를 설명하는 측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체인 텐션 조절 장치를 설명하는 정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체인 텐션 조절 장치가 이송장치에 설치된 상태를 설명하는 정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체인 텐션 조절 장치를 설명하는 블록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에 관한 설명은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을 위한 실시 예에 불과하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본문에 설명된 실시 예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즉, 실시 예는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기술적 사상을 실현할 수 있는 균등물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제시된 목적 또는 효과는 특정 실시예가 이를 전부 포함하여야 한다거나 그러한 효과만을 포함하여야 한다는 의미는 아니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
한편, 본 발명에서 서술되는 용어의 의미는 다음과 같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한 것으로, 이들 용어들에 의해 권리범위가 한정되어서는 아니 된다. 예를 들어,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될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한편,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를 지니는 것으로 해석될 수 없다.
이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체인 텐션 조절 장치에 대하여 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체인 텐션 조절 장치를 설명하는 사시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체인 텐션 조절 장치를 설명하는 측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체인 텐션 조절 장치를 설명하는 정면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체인 텐션 조절 장치가 이송장치에 설치된 상태를 설명하는 정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체인 텐션 조절 장치(10)는, 본체(100), 가이드봉(200), 조절구(300), 스프링(400), 스프라켓(500)을 포함한다.
본체(100)는, 체인(C)의 텐션 조절이 필요한 이송장치(A), 특히 mlcc 제조를 위한 이송장치의 고정프레임에 고정 설치되며, 양단이 절곡되어 단면이 ‘ㄷ’자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일 실시 예에서, 본체(100)는, 체인(C)에 높이에 따라 알맞은 위치의 이송장치(A)에 브라켓을 이용하여 연결 설치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본체(100)는, 절곡된 양단 사이에서 조절구(300)가 이동 가능하게 함으로써, 조절구(300)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으며, 안정적으로 결합할 수 있다.
가이드봉(200)은, 다수개로 구비되며, 각각 일측이 본체(100)의 일단에 결합되고, 다른 일측이 본체(100)의 다른 일단에 결합된다.
일 실시 예에서, 가이드봉(200)은, 양단에 각각 볼트가 삽입되어 본체(100)의 양단에 절곡된 부분 사이에 고정 결합될 수 있으며, 조절구(300)가 좌우 방향으로 왕복 운동할 수 있도록 가이드할 수 있다.
조절구(300)는, 다수개의 관통홀(310)이 구비되며, 그 관통홀(310)로 가이드봉(200)의 다른 일측을 각각 관통시켜 본체(100)의 다른 일측에 장착되며, 스프링(400)으로부터 제공되는 텐션에 의해 가이드봉(200)을 따라 이동하면서 체인(C)의 텐션을 조절한다.
일 실시 예에서, 조절구(300)는, 스프라켓(500)에 인가되는 부하량에 따라 신축되는 스프링(400)에 의해 좌우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체인(C)의 텐션을 조절할 수 있다.
스프링(400)은, 각 가이드봉(200) 중 본체(100)의 일단과 조절구(300) 사이에 해당하는 부분을 삽입하도록 형성되며, 조절구(300)에 일정한 텐션을 제공한다.
일 실시 예에서, 스프링(400)은, 스프라켓(500)에 인가되는 부하량에 따라 신축하면서 조절구(300)가 이동할 수 있도록 한다.
스프라켓(500)은, 조절구(30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이송장치(A)의 체인(C)에 치합된다. 여기서, 체인(C)은, 이송장치(A)에 구비된 모터에 결합되어, 모터의 구동에 의해 회전하는 것이다.
일 실시 예에서, 스프라켓(500)은, 표면에 구비된 이빨이 체인(C)에 치합되며, 내부에 베어링이 구비되어 체인(C)의 구동에 따라 일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즉, 체인(C)을 통해 스프라켓(500)에 인가되는 부하량에 의해 일정 텐션을 가지는 스프링(400)이 신축하여 조절구(300)가 가이드봉(200)을 따라 이동하면서 체인(C)의 텐션을 항상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다.
체인(C)의 늘어짐이 발생하는 경우에는 이들의 변위만큼 좌우 방향으로 이동하여 늘어짐을 제거함으로써 항상 일정한 텐션을 유지할 수 있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지닌 체인 텐션 조절 장치(10)는, 지속적인 사용에 따라 열, 하중 등에 의해 체인(C)의 늘어짐이 발생한 경우 또는 체인(C)에 인가되는 부하의 크기 등에 관계없이 체인(C)을 항상 일정한 텐션으로 유지시켜줌으로써, 체인(C)의 손상 및 이탈을 방지하여 추가적인 비용이나 수리 과정 등의 여러 피해가 발생되지 않아 작업의 효율성 및 생산성을 대폭 향상시킬 수 있으며, 조절구(300)가 가이드봉(200)을 따라 이동 가능한 범위가 길고, 스프링(400)이 다수개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텐션의 조절범위 및 강도가 개선되어 체인(C)의 텐션을 보다 효과적으로 조절할 수 있음은 물론, 순간적인 과부하로부터 체인(C) 및 이송장치(A)의 부품들을 보호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체인 텐션 조절 장치를 설명하는 블록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체인 텐션 조절 장치(10)는, 본체(100), 가이드봉(200), 조절구(300), 스프링(400), 스프라켓(500), 토크감지부(600), 메모리부(700), 제어부(800)를 포함한다. 여기서, 본체(100), 가이드봉(200), 조절구(300), 스프링(400), 스프라켓(500)은 도 1의 구성요소와 유사하므로 그 설명을 생략하고 다른 부분에 대해서만 아래에서 설명한다.
토크감지부(600)는, 스프라켓(500)의 회전축에 형성되어 회전 토크값을 감지하며, 감지된 토크값을 제어부(800)로 전달한다.
메모리부(700)는, 이송장치(A)의 모터의 구동에 의해 회전하는 체인(C)을 정지시키기 위한 한계 토크값을 미리 저장한다.
제어부(800)는, 토크감지부(600)에서 감지된 토크값을 전달받으며, 전달받은 토크값과 메모리부(700)에 저장된 한계 토크값을 비교하여, 토크감지부(600)에서 감지된 토크값이 메모리부(700)에 저장된 한계 토크값 이상인 경우에 체인(C)을 정지시키기 위해 이송장치(A)의 모터 구동을 정지시키기 위한 구동 정지신호를 생성시킬 수 있다.
만약 이송장치(A)에서 체인(C)을 구동시키기 위한 모터에 토크센서가 있다하더라도 순간적인 과부하가 발생되는 경우 체인(C)의 파손 및 사고를 예방하기에는 어려움이 있기 때문에, 스프라켓(500)의 회전축에 형성된 토크감지부(600)를 통해 한계 토크값 이상의 토크값이 발생되는 경우를 빠르게 감지하여 체인(C)의 구동을 정지시킬 수 있으므로, 순간적인 과부하로 인한 체인(C)의 파손 및 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지닌 체인 텐션 조절 장치(10)는, 전자석부(900), 전자석 제어부(10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전자석부(900)는, 본체(100)의 일단에 고정 형성되며, 자력을 생성한다.
이때, 조절구(300)는, 자성체로 형성되어, 전자석부(900)에서 생성되는 자력에 의해 좌우 방향으로 왕복 운동하면서 체인(C)의 텐션을 조절할 수 있다.
전자석 제어부(1000)는, 스프라켓(500)에 인가되는 부하량에 따라 전자석부(900)의 세기를 조절한다. 예를 들어, 스프라켓(500)에 인가되는 부하의 크기가 큰 경우에 전자석부(900)의 세기를 강화시킬 수 있으며, 스프라켓(500)에 인가되는 부하의 크기가 작은 경우에 전자석부(900)의 세기를 약화시킬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전자석 제어부(1000)는, 전자석부(900)에 공급되는 전류의 세기를 조절하는 등 다양한 방식으로 전자석부(900)의 자력 세기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전자석부(900)에서 생성되는 자력을 통해 조절구(300)를 좌우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보다 정확하고 신속하게 체인(C)의 텐션을 조절할 수 있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지닌 체인 텐션 조절 장치(10)는, 거리감지부(11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거리감지부(1100)는, 본체(100)의 일단에 형성되며, 조절구(300)와의 거리값을 감지한다.
일 실시 예에서, 거리감지부(1100)는, 초음파 거리 센서, 적외선 거리 센서 등 다양한 거리센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거리감지부(1100)는, 전자석부(900)와 동시에 구비되는 경우, 전자석부(900)와 기 설정된 거리(예를 들어, 1 ~ 3cm) 만큼 이격 형성될 수 있다.
이때, 메모리부(700)는, 토크감지부(600)에서 감지된 토크값에 대응하는 본체(100)의 일단과 조절구(300) 사이의 기준 거리값을 미리 설정하여 저장할 수 있다.
제어부(800)는, 토크감지부(600)에서 감지된 토크값에 대응하는 기준 거리값을 메모리부(700)로부터 판독하여, 판독된 기준 거리값과 거리감지부(1100)에서 감지된 거리값을 비교하며, 해당 비교 결과로 판독된 기준 거리값과 거리감지부(1100)에서 감지된 거리값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에 에러발생으로 판단하여 체인(C)을 정지시키기 위해 이송장치(A)의 모터 구동을 정지시키기 위한 구동 정지신호를 생성시켜, 해당 발생시킨 구동 정지신호를 이송장치(A)의 모터에 전달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제어부(800)는, 판독된 기준 거리값과 거리감지부(1100)에서 감지된 거리값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에 에러발생으로 판단하여 LCD, 터치스크린 등과 같은 디스플레이수단을 통해 에러발생을 표시해 줄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제어부는, 판독된 기준 거리값과 거리감지부(1100)에서 감지된 거리값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에 전자석부(900)의 자력을 생성시키기 위한 자력 생성 신호를 발생시켜 해당 발생시킨 자력 생성 신호를 전자석부(900)에 전달할 수 있다.
즉, 거리감지부(1100)를 통해 본체(100)의 일단과 조절구(300) 사이의 거리값을 감지함으로써, 장기간 사용에 따라 스프링(400)이 늘어나거나 스프링(400)이 제기능을 수행하지 못하게 되면서 조절구(300)가 제대로 이동하지 못하여 에러가 발생한 경우를 판단할 수 있으며, 이러한 에러가 발생한 경우에 바로 체인(C)의 구동을 정지시키거나, 전자석부(900)의 자력을 생성시켜 조절구(300)를 이동시켜, 체인(C)이 손상되지 않도록 보호할 수 있음은 물론, 스프링(400)을 교체하는 등의 번거로운 작업을 생략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상술한 장치 및/또는 운용 방법을 통해서만 구현이 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실시 예의 구성에 대응하는 기능을 실현하기 위한 프로그램, 그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 매체 등을 통해 구현될 수도 있으며, 이러한 구현은 앞서 설명한 실시 예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전문가라면 쉽게 구현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10 : 체인 텐션 조절 장치
100 : 본체
200 : 가이드봉
300 : 조절구
310 : 관통홀
400 : 스프링
500 : 스프라켓
600 : 토크감지부
700 : 메모리부
800 : 제어부
900 : 전자석부
1000 : 전자석 제어부
1100 : 거리감지부
A : 이송장치
B : 체인

Claims (5)

  1. 이송장치에 설치되며, 양단이 절곡되어 단면이 ‘ㄷ’자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본체;
    일측이 상기 본체의 일단에 결합되고, 다른 일측이 상기 본체의 다른 일단에 결합되는 다수개의 가이드봉;
    다수개의 관통홀이 구비되며, 상기 관통홀로 상기 가이드봉의 다른 일측을 각각 관통시켜 상기 본체의 다른 일측에 장착되어 상기 가이드봉을 따라 이동하면서 텐션을 조절하기 위한 조절구;
    상기 가이드봉 중 상기 본체의 일단과 상기 조절구 사이에 해당하는 부분을 삽입하도록 형성되며, 상기 조절구에 텐션을 제공하기 위한 스프링;
    상기 조절구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체인에 치합되는 스프라켓;
    상기 스프라켓의 회전축에 형성되어, 토크값을 감지하기 위한 토크감지부;
    이송장치의 구동을 정지시키기 위한 한계 토크값을 미리 저장하는 메모리부;
    상기 토크감지부에서 감지된 토크값과 상기 메모리부에 저장된 한계 토크값을 비교하여, 상기 토크감지부에서 감지된 토크값이 상기 메모리부에 저장된 한계 토크값 이상인 경우에 이송장치의 구동을 정지시키기 위한 구동 정지신호를 생성하는 제어부; 및
    상기 본체의 일단에 형성되어, 상기 조절구와의 거리값을 감지하기 위한 거리감지부를 포함하되,
    상기 메모리부는,
    상기 토크감지부에서 감지된 토크값에 대응하는 상기 본체의 일단과 상기 조절구 사이의 기준 거리값을 미리 설정하여 저장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토크감지부에서 감지된 토크값에 대응하는 기준 거리값을 상기 메모리부로부터 판독하여, 판독된 기준 거리값과 상기 거리감지부에서 감지된 거리값을 비교하며, 해당 비교 결과로 판독된 기준 거리값과 상기 거리감지부에서 감지된 거리값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에 에러발생으로 판단하여 이송장치의 구동을 정지시키기 위한 구동 정지신호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인 텐션 조절 장치.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일단에 형성되어, 자력을 생성하기 위한 전자석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인 텐션 조절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석부의 세기를 조절하기 위한 전자석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인 텐션 조절 장치.
KR1020190065772A 2019-06-04 2019-06-04 체인 텐션 조절 장치 KR10202940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65772A KR102029405B1 (ko) 2019-06-04 2019-06-04 체인 텐션 조절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65772A KR102029405B1 (ko) 2019-06-04 2019-06-04 체인 텐션 조절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29405B1 true KR102029405B1 (ko) 2019-10-11

Family

ID=682102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65772A KR102029405B1 (ko) 2019-06-04 2019-06-04 체인 텐션 조절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29405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25050B1 (ko) * 2020-04-20 2021-03-09 주식회사 링콘테크놀로지 단축만으로 체인 장력을 유지하는 슬러지 수집기용 체인 장력조절장치
KR20230016521A (ko) * 2021-07-26 2023-02-02 우성에스이 주식회사 세라믹 전자부품용 소성로에서 안전운행 및 비상운행이 가능한 롤러컨베이어 장치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20762U (ko) * 1999-05-13 2000-12-15 이구택 벨트콘베이어의 벨트 장력 조절장치
KR200216726Y1 (ko) 1996-07-22 2001-11-22 이구택 체인의 텐션 자동조절장치
KR200326520Y1 (ko) 1999-06-29 2003-09-19 주식회사 포스코 양방향 체인장력 자동조정장치
JP2004269085A (ja) * 2003-03-05 2004-09-30 Shikoku Kakoki Co Ltd 容器搬送コンベア装置
JP2010071362A (ja) * 2008-09-17 2010-04-02 Toyota Motor Corp チェーンテンショナ、並びに同チェーンテンショナを具備するチェーンの張力制御装置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16726Y1 (ko) 1996-07-22 2001-11-22 이구택 체인의 텐션 자동조절장치
KR20000020762U (ko) * 1999-05-13 2000-12-15 이구택 벨트콘베이어의 벨트 장력 조절장치
KR200326520Y1 (ko) 1999-06-29 2003-09-19 주식회사 포스코 양방향 체인장력 자동조정장치
JP2004269085A (ja) * 2003-03-05 2004-09-30 Shikoku Kakoki Co Ltd 容器搬送コンベア装置
JP2010071362A (ja) * 2008-09-17 2010-04-02 Toyota Motor Corp チェーンテンショナ、並びに同チェーンテンショナを具備するチェーンの張力制御装置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25050B1 (ko) * 2020-04-20 2021-03-09 주식회사 링콘테크놀로지 단축만으로 체인 장력을 유지하는 슬러지 수집기용 체인 장력조절장치
KR20230016521A (ko) * 2021-07-26 2023-02-02 우성에스이 주식회사 세라믹 전자부품용 소성로에서 안전운행 및 비상운행이 가능한 롤러컨베이어 장치
KR102563755B1 (ko) * 2021-07-26 2023-08-07 우성에스이 주식회사 세라믹 전자부품용 소성로에서 안전운행 및 비상운행이 가능한 롤러컨베이어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29405B1 (ko) 체인 텐션 조절 장치
DE69814332T2 (de) Vorrichtung und verfahren zur detektion und zum messen von betriebsparametern eines garagentores
US20210348442A1 (en) Roll-up door with spiral brackets
KR101958978B1 (ko) 권취용 슬리브 장착시스템
KR101695566B1 (ko) 라미네이터용 히팅롤의 간극조절장치
KR20160033805A (ko) 힌지토션바 내구시험장치
CN206297283U (zh) 喷绘机纠偏机构及喷绘机
CN112284650A (zh) 一种自动检测瑕疵点的装置
KR101008184B1 (ko) 에어나이프용 비접촉식 배플장치
KR100920370B1 (ko) 가공물의 곡률측정기능을 갖는 벤딩기
CN212621845U (zh) 一种卷材张力检测机构
JP2013048710A (ja) ミシンの目飛び検出装置
CN210683105U (zh) 一种三轴调节举升器
CN110104473B (zh) 一种卷布机
KR102195604B1 (ko) 전동드라이버 안내장치
CN217866545U (zh) 涂装流水线的断链联锁装置
CN207556457U (zh) 漏攻丝检测装置
JPH0334251Y2 (ko)
KR101258224B1 (ko) 구동벨트의 장력조절장치
KR20100004014A (ko) 금속부재 절곡장치
KR20170096167A (ko) 스톡을 안내하기 위한 롤러 가이드 및 방법
KR102093617B1 (ko) 플로팅 파일사 형성을 위한 더블라셀 편물기용 스윙장치
KR200438943Y1 (ko) 내ㆍ외경 측정용 통합게이지 및 그것을 이용한 측정시스템
CN209777877U (zh) 一种线缆自动放卷机
US10144067B2 (en) Bar feeding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