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78066A - 일체형 소아용 안경테 및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일체형 소아용 안경테 및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78066A
KR20180078066A KR1020160183059A KR20160183059A KR20180078066A KR 20180078066 A KR20180078066 A KR 20180078066A KR 1020160183059 A KR1020160183059 A KR 1020160183059A KR 20160183059 A KR20160183059 A KR 20160183059A KR 20180078066 A KR20180078066 A KR 2018007806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temperature range
density polyethylene
linear low
degre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830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상준
Original Assignee
이상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상준 filed Critical 이상준
Priority to KR10201601830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078066A/ko
Publication of KR201800780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7806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DPRODUCING PARTICULAR ARTICLES FROM PLASTICS OR FROM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 B29D12/00Producing frames
    • B29D12/02Spectacle fram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0001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choice of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7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5/72Heating or cooling
    • B29C45/7207Heating or cooling of the moulded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7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5/72Heating or cooling
    • B29C45/73Heating or cooling of the moul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7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5/76Measuring, controlling or regulating
    • B29C45/78Measuring, controlling or regulating of temperature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5/00Constructions of non-optical parts
    • G02C5/02Bridges; Browbars; Intermediate bars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5/00Constructions of non-optical parts
    • G02C5/14Side-memb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K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B29B, B29C OR B29D, RELATING TO MOULDING MATERIALS OR TO MATERIALS FOR MOULDS,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K2023/00Use of polyalkenes or derivatives thereof as moulding material
    • B29K2023/04Polymers of ethylene
    • B29K2023/06PE, i.e. polyethylene
    • B29K2023/0608PE, i.e. polyethylene characterised by its density
    • B29K2023/0625LLDPE, i.e. linear low density polyethylen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K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B29B, B29C OR B29D, RELATING TO MOULDING MATERIALS OR TO MATERIALS FOR MOULDS,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K2105/00Condition, form or state of moulded material or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 B29K2105/0005Condition, form or state of moulded material or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containing compounding ingredients
    • B29K2105/0032Pigments, colouring agents or opacifiyng ag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Toys (AREA)
  • Eyeglas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일체형 소아용 안경테 및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일체형 소아용 안경테 제조 방법은, 하나의 프레임 형태로 가공되도록, 안경테의 렌즈 프레임 부분과 다리 프레임 부분으로 구분되고, 렌즈 프레임 부분 및 다리 프레임 부분 사이의 미미 부분이 접혀지는 두께를 갖는 안경테 금형을 제작하는 금형 단계; 기설정된 배합 온도 범위에서 선형저밀도 폴리에틸렌(Linear Low Density Polyethylene, LLDPE) 재료를 안료와 배합하는 재료 및 배합 단계; 안료와 배합된 선형저밀도 폴리에틸렌 재료를 기설정된 건조 온도 범위 및 건조 시간 동안 건조시키는 건조 단계; 건조된 선형저밀도 폴리에틸렌 재료를 연화 온도 범위인 55도 내지 65도에서 연화하고, 사출 온도 범위인 170도 내지 180도에서 사출 공정을 진행하여 일체형 안경테를 제작하는 사출 단계; 및 제작된 일체형 안경테를 냉각의 온도가 45도 내지 65도 사이에서 기설정된 냉각 시간만큼 냉각 공정을 진행하여 일체형 소아용 안경테의 완제품을 제조하는 냉각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일체형 소아용 안경테 및 제조 방법{INTEGRATED EYEGLASS FRAME FOR CHILD AND MANUFACTURING METHOD}
본 발명은 일체형 소아용 안경테 및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무조립, 무코팅, 나사가 없는 일체형 소아용 안경테 및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플라스틱을 이용한 안경테 제품에 대해서 살펴보기로 한다.
종래의 플라스틱 안경소재는 테트론(Tetoron)과 레이온(Rayon)이 합성된 TR 소재, 폴리카보네이트, 울템, 아세테이트, 셀룰로이드 등이다.
종래의 안경테 제품들의 대부분 소재는 폴리아미드(Polyamide, PA), 또는 폴리프로필렌(Polypropylene, PP), 합성수지의 계열이다.
과거에는 PA(NYLON-66)를 사용하였지만, 산업의 발달로 현재 안경테 대부분 국내생산의 플라스틱종류는 85% 이상이 스위스 EMS 사의 TR-90 재료를 수입하여 사용하고 있다.
한편, 종래의 안경테 제품들의 제조 방법은 금형 공정, 재료배합 공정, 건조 공정, 사출 공정, 컷팅 공정, 연마(광택) 공정, 초벌코팅 공정, 초벌도색 공정, 건조 공정 및 조립 공정으로 작업을 진행한다.
종래의 제품들은 사출 공정 이후에 칼라 작업을 수행한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3-0118163호(2013년10월29일 공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무조립, 무코팅, 나사가 없는 일체형 소아용 안경테 및 제조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선형저밀도 폴리에틸렌(linear low density polyethylene, LLDPE)을 이용한 일체형 소아용 안경테 및 제조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일체형 안경테 프레임의 접혀지는 부분인 미미 부분이 용이하게 굽혀지면서도 색상이 뿌옇게 변하거나 끊어지지 않는 일체형 소아용 안경테 및 제조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하나의 프레임 형태로 가공되도록, 안경테의 렌즈 프레임 부분과 다리 프레임 부분으로 구분되고, 렌즈 프레임 부분 및 다리 프레임 부분 사이의 미미 부분이 접혀지는 두께를 갖는 안경테 금형을 제작하는 금형 단계; 기설정된 배합 온도 범위에서 선형저밀도 폴리에틸렌(Linear Low Density Polyethylene, LLDPE) 재료를 안료와 배합하는 재료 및 배합 단계; 안료와 배합된 선형저밀도 폴리에틸렌 재료를 기설정된 건조 온도 범위 및 건조 시간 동안 건조시키는 건조 단계; 건조된 선형저밀도 폴리에틸렌 재료를 연화 온도 범위인 55도 내지 65도에서 연화하고, 사출 온도 범위인 170도 내지 180도에서 사출 공정을 진행하여 일체형 안경테를 제작하는 사출 단계; 및 제작된 일체형 안경테를 냉각의 온도가 45도 내지 65도 사이에서 기설정된 냉각 시간만큼 냉각 공정을 진행하여 일체형 소아용 안경테의 완제품을 제조하는 냉각 단계를 포함하는 일체형 소아용 안경테 제조 방법이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재료 및 배합 단계는, 배합 온도가 200도를 초과하지 않도록, 170도 내지 200도로 기설정된 배합 온도 범위에서 선형저밀도 폴리에틸렌 재료를 안료와 배합할 수 있다.
상기 재료 및 배합 단계에서 수지와 시온안료 용액을 1: 0.3 : 0.5의 중량비로 혼합한 용액에 85도에서 1시간 30분가량 건조시키고, 폴리 아세탈수지를 0.2 : 1 의 비율로 혼합하여 2시간 건조시킬 수 있다.
상기 사출 단계는, 선형저밀도 폴리에틸렌 재료의 사출 공정시, 실린더 온도범위가 130도 내지 150도이고, 노즐 온도 범위가 170도인 상태에서 사출 공정을 진행하고, 20초 내지 25초의 타임으로 사출 공정을 진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일체형 소아용 안경테에 있어서, 선형저밀도 폴리에틸렌 소재로 이루어진 렌즈 및 다리 프레임부; 및 신축성 있는 소재로 이루어진 밴드와 상기 밴드의 양단에는 상기 렌즈 및 다리 프레임와 결합 가능한 프레임 결합부가 구비된 밴드부;를 포함하고, 상기 렌즈 및 다리 프레임부는 선형저밀도 폴리에틸렌 소재가 하나의 프레임 형태로 사출되어 형성되고, 상기 렌즈 및 다리 프레임부에서 다리 프레임 부분의 양쪽 단부에는 상기 밴드부와 결합 가능한 밴드 결합홈이 형성되고, 상기 프레임 결합부에는 밴드 결합홈과 결합 가능한 돌출부가 형성되어, 상기 밴드 결합홈과 상기 돌출부가 맞물려 끼워지는 형태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체형 소아용 안경테가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충격에 강하고 향상된 탄성을 가지는 일체형 소아용 안경테를 용이하게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수축 및 팽창율이 적은 일체형 소아용 안경테를 용이하게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화장품, 정발제 등 화공약품에 대해 안전성이 높은 일체형 소아용 안경테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비중이 낮은 일체형 소아용 안경테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인체 친화적이면서도 용이하게 제조되는 일체형 소아용 안경테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안료와 배합이잘 되고 염색 및 착색이 용이한 일체형 소아용 안경테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재료의 사출시 기포 발생이 방지되는 일체형 소아용 안경테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안경테에 적당한 경도와 안경테에 적당한 연질의 성격을 가지는 일체형 소아용 안경테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복원력이 높고 가볍고 튼튼한 일체형 소아용 안경테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소아용에 맞게 촉감이 양호한 일체형 소아용 안경테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소아용에 맞게 독성이 없고 피부에 트러블을 방지하는 일체형 소아용 안경테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일체형 소아용 안경테 제조 방법에 대한 흐름도이다.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일체형 소아용 안경테의 사시도 및 평면도이다.
도 4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일체형 소아용 안경테 제조 방법에 의해 제조된 일체형 소아용 안경테의 실제 모습들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동작 및 작용을 이해하는 데 필요한 부분을 중심으로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하면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 익히 알려졌고 본 발명과 직접적으로 관련이 없는 기술 내용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이는 불필요한 설명을 생략함으로써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지 않고 더욱 명확히 전달하기 위함이다.
또한, 본 발명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동일한 명칭의 구성 요소에 대하여 도면에 따라 다른 참조부호를 부여할 수도 있으며, 서로 다른 도면임에도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할 수도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경우라 하더라도 해당 구성 요소가 실시 예에 따라 서로 다른 기능을 갖는다는 것을 의미하거나, 서로 다른 실시 예에서 동일한 기능을 갖는다는 것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며, 각각의 구성 요소의 기능은 해당 실시 예에서의 각각의 구성 요소에 대한 설명에 기초하여 판단하여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일체형 소아용 안경테 제조 방법에 대한 흐름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일체형 소아용 안경테 제조 방법은 금형 공정(S101), 재료 및 배합(염색) 공정(S102), 건조 공정(S103), 사출 공정(S104) 및 냉각 공정(S105)을 포함한다. 금형 공정(S101), 재료 및 배합(염색) 공정(S102), 건조 공정(S103), 사출 공정(S104) 및 냉각 공정(S105) 순서대로 진행되어 일체형 소아용 안경테의 제조가 완료되어 완제품이 제조된다.
금형 공정(S101)에서는 완성된 일체형 소아용 안경테가 접혀지기 전의 전체 안경테 형상이 안경테 금형으로 제작된다.
여기서, 일체형 소아용 안경테에서 안경테의 미미 부분(꺾이는 부위)은 재료의 배합, 사출 온도, 타이밍, 냉각 온도 및 시간이 적절치 못하면 상, 하로 꺾었을 때 뿌연 자국이 그대로 남는다.
만약에 자국이 남았을 경우에는 이러한 안경테 제품은 별도로 코팅을 하지 않기 때문에 안경테의 용도로는 불량품이다. 예를 들면, 비닐봉지를 힘껏 잡아당겼을 때, 어느 정도 이상의 힘이 가해졌을 때는 뿌연 자국이 남는다. 즉, 접히는 부분에서 끊어진 표시가 남아서는 안 된다. 그래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금형 공정에서는 금형을 제작할 때부터 기존의 금형 두께는 다르게 설정되어 작업이 진행된다.
재료 및 배합(염색) 공정(S102)에서는 제작된 안경테 금형을 이용하여 안경테의 주원료가 되는 선형저밀도 폴리에틸렌이 준비된다. 선형저밀도 폴리에틸렌(LLDPE)의 소재는 현재 다양하게 사용되고 있다. 그 종류 또한 다양하며, 다양한 재료를 사용하여서 시중에 나와있다. 예컨대, 도마, 비닐, 자동차 용품 등에 사용되고 있다.
일체형 소아용 안경테에 사용되는 재료는 선형저밀도 폴리에틸렌(LLDPE) 중에서 질기고, 강하고, 연질의 특성이 있는 소재가 사용된다. 재료 자체의 특성상 수축이 많이 일어나므로 이러한 작업의 공정을 주의를 해야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일체형 소아용 안경테 제조 방법에서 사용되는 소재는 선형저밀도 폴리에틸렌(LLDPE)의 소재 중에서도 카메라의 필름에 사용하고 있는 소재와 유사한 소재가 이용된다. 그러나 카메라의 필름 소재의 배합과는 다른 배합이 된 선형저밀도 폴리에틸렌(LLDPE) 소재가 이용된다. 카메라 필름 같은 경우는 반으로 접어보면 접히는 자국이 뿌옇게 그대로 자국이 남는다. 즉 카메라 필름에는 끊어진 표시가 발생하는 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일체형 소아용 안경테에는 접히는 미미 부분이 뿌연 자국이 남아있지 않는다.
그리고 재료 및 배합(염색) 공정(S102)에서는 에서는 기설정된 온도 범위에서 선형저밀도 폴리에틸렌을 안료와 배합한다. LLDPE 소재의 특성상 소재는 반투명으로 나온다. 반투명의 LLDPE 소재를 가지고 안료배합을 통해서 핑크, 블랙, 블루, 화이트, 옐로, 오렌지 등 다양한 칼라를 만들어낸다.
재료 배합(염색) 공정(S102)은 선형저밀도 폴리에틸렌 재료가 염색되는 공정으로서, 안료의 배합 온도에 따라서 제품이 달라진다.
종래의 TR 일 경우 250도 내지 300도의 고열에서 작업이 이루어진다.
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재료 배합 공정(S102)은 200도 이하에서 선형저밀도 폴리에틸렌 재료와 안료를 배합한다. 즉, 재료 배합 공정은 200도를 초과하지 않는 170도 내지 200도의 온도 범위에서 선형저밀도 폴리에틸렌 재료와 안료를 배합한다.
재료 및 배합(염색) 공정을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재료 및 배합(염색) 공정(S102)에서는 수지와 시온 안료 용액(예컨대, 잉크 또는 페인트)을 1: 0.3 : 0.5의 중량비로 혼합하여 용액을 만들게 된다.
그리고 건조 공정(S103)에서는 80도 내지 90도의 온도 범위에서 1시간 20분 내지 1시간 30분의 시간 동안 건조를 시킨다. 일례로, 건조 공정에서는 85도의 온도에서 1시간 30분의 시간동안 건조를 시킬 수 있다.
그리고 재료 및 배합(염색) 공정(S102)에서는 폴리 아세탈수지를 0.2 : 1의 비율로 혼합하여 2시간 다시 건조를 한다.
한편, 사출 공정(S104)에서는 사출작업시 재료의 사출온도를 기설정된 사출 온도 범위로 유지시켜 작업하게 된다.
종래의 안경테를 위한 종래 사출 공정에서는 80도에서 연화하여 TR 소재가 230도 내지 250도에서 작업을 진행한다.
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사출 공정(S104)에서는 60도에서 연화하여 선형저밀도 폴리에틸렌(LLDPE)을 170도 내지 180도에서 작업을 진행한다. 사출 공정(S104)에서는 실린더온도가 130도 내지 150도이고, 노즐온도가 170도인 상태에서 사출 공정이 진행된다.
선형저밀도 폴리에틸렌을 이용하여 제조된 소아용 안경테는 종래의 TR을 이용하여 제작된 안경테 제품보다 사출작업시 수축이 잘된다. 따라서 사출의 온도도 중요하고, 사출작업의 타임부터 냉각시키는 온도 역시 중요하다.
사출작업의 타임에 대해서 살펴보면, 종래의 안경테를 위한 종래 사출 공정에서는 TR 소재를 30초 내지 40초의 타임으로 사출한다.
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사출 공정(S104)에서는 선형저밀도 폴리에틸렌(LLDPE)을 20초 내지 25초의 타임으로 작업을 진행한다.
그리고 냉각 공정(S105)에 대해서 살펴보기로 한다.
종래의 안경테를 위한 종래 냉각 공정에서는 TR 소재를 5도 내지 15도에서 급냉각을 한다.
반면, 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냉각 공정(S105)에서는 선형저밀도 폴리에틸렌(LLDPE)을 냉각의 온도가 45도 내지 65도 사이에서 천천히 냉각을 진행한다.
이후, 사출 고정 이후의 코팅 과정에 대해서 살펴보기로 한다.
종래의 안경테를 위한 종래 코팅 공정에서는 TR 소재를 우레탄 시너를 사용하여 80도에서 1시간을 다시 건조하여야 한다.
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선형저밀도 폴리에틸렌(LLDPE) 재료는 사출 공정 이후에는 화공약품, 건조 등의 다른 작업 공정이 진행되지 않고도 완제품 형태로 제조된다.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일체형 소아용 안경테의 사시도 및 평면도이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일체형 소아용 안경테(100)는 렌즈 및 다리 프레임부(110)와, 밴드부(120)를 포함한다.
렌즈 및 다리 프레임부(110)는 선형저밀도 폴리에틸렌(Linear Low Density Polyethylene, LLDPE) 소재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렌즈 및 다리 프레임부(110)는 선형저밀도 폴리에틸렌 소재가 하나의 프레임 형태로 사출되어 형성된다. 렌즈 및 다리 프레임부(110)에서 다리 프레임 부분의 양쪽 단부에는 밴드부(120)와 결합 가능한 밴드 결합홈이 형성되어 있다.
밴드부(120)는 신축성 있는 소재로 이루어진 밴드(121)와, 밴드(121)의 양단에는 렌즈 및 다리 프레임와 결합 가능한 프레임 결합부(122)가 구비되어 있다.
프레임 결합부(122)에는 밴드 결합홈과 결합 가능한 돌출부(123)가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밴드 결합홈과 돌출부(123)가 맞물려 끼워지는 형태로 결합된다.
일체형 소아용 안경테(100)는 안경 렌즈가 부착되는 렌즈 프레임 부분(111)과 안경 다리가 있는 다리 프레임 부분(112)으로 구분된 렌즈 및 다리 프레임부(110)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일체형 소아용 안경테(100)는 각 프레임 부분이 독립적인 프레임이 아닌 선형저밀도 폴리에틸렌(LLDPE) 소재로 원-프레임(One-frame) 형태로 제조된 하나의 렌즈 및 다리 프레임부(110)로 이루어진다.
즉,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일체형 소아용 안경테(100)는 무조립, 무코팅 및 나사가 없는 원 프레임 형태의 일체형 안경테이다. 이러한 일체형 소아용 안경테는 유아나 소아가 사용하기에 적합한 형태로 제조된다.
일체형 소아용 안경테(100)에는 신축성 있는 소재로 제작된 밴드부(120)와 끼움 결합할 수 있는 밴드 결합홈이 렌즈 및 다리 프레임부(110)의 양쪽 단부에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밴드 결함홈을 통해 밴드부(110)와 결합되어 있기 때문에, 소아는 안경테를 용이하게 착용할 수 있다. 또한, 소아는 밴드부(120)를 조절하여 소아의 머리 크기에 맞게 안경테를 착용할 수 있다. 여기서, 밴드부(120)에는 밴드 결합홈과 맞물려 끼워지는 프레임 결합부(122)가 밴드(121)와 결합되어 있고, 프레임 결합부(122)에는 돌출부(123)가 형성되어 있다. 밴드 결합홈의 크기와 돌출부(123)의 크기는 안경테의 구현과정에서 변경될 수 있어 특정 크기로 한정되지 않는다.
도 4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일체형 소아용 안경테 제조 방법에 의해 제조된 일체형 소아용 안경테의 실제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체형 소아용 안경테는 원 프레임(one frame) 형태의 일체형 안경테로 제조된 이후, 안경 렌즈가 부착되는 렌즈 프레임 부분과, 안경 다리가 있는 다리 프레임 부분 간의 연결 부위인 미미 부분(113)은 렌즈 프레임 부분과 다리 프레임 부분보다 작은 기설정된 두께 범위를 가지도록 제조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체형 소아용 안경테(100)는 유연한 소재인 선형저밀도 폴리에틸렌 소재로 제작되어 있고, 일체형 프레임의 미미 부분(113)이 용이하게 굽혀지면서도 색상이 뿌옇게 변하거나 끊어지지 않도록 설정된 두께를 가진다.
이상에서 설명한 실시 예들은 그 일 예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 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일체형 소아용 안경테
110: 렌즈 및 다리 프레임부
111: 렌즈 프레임 부분
112: 다리 프레임 부분
113: 미미 부분
120: 밴드부
121: 밴드
122: 프레임 결합부
123: 돌출부

Claims (5)

  1. 하나의 프레임 형태로 가공되도록, 안경테의 렌즈 프레임 부분과 다리 프레임 부분으로 구분되고, 렌즈 프레임 부분 및 다리 프레임 부분 사이의 미미 부분이 접혀지는 두께를 갖는 안경테 금형을 제작하는 금형 단계;
    기설정된 배합 온도 범위에서 선형저밀도 폴리에틸렌(Linear Low Density Polyethylene, LLDPE) 재료를 안료와 배합하는 재료 및 배합 단계;
    안료와 배합된 선형저밀도 폴리에틸렌 재료를 기설정된 건조 온도 범위 및 건조 시간 동안 건조시키는 건조 단계;
    건조된 선형저밀도 폴리에틸렌 재료를 연화 온도 범위인 55도 내지 65도에서 연화하고, 사출 온도 범위인 170도 내지 180도에서 사출 공정을 진행하여 일체형 안경테를 제작하는 사출 단계; 및
    제작된 일체형 안경테를 냉각의 온도가 45도 내지 65도 사이에서 기설정된 냉각 시간만큼 냉각 공정을 진행하여 일체형 소아용 안경테의 완제품을 제조하는 냉각 단계
    를 포함하는 일체형 소아용 안경테 제조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재료 및 배합 단계는,
    배합 온도가 200도를 초과하지 않도록, 170도 내지 200도로 기설정된 배합 온도 범위에서 선형저밀도 폴리에틸렌 재료를 안료와 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체형 소아용 안경테 제조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재료 및 배합 단계에서 수지와 시온안료 용액을 1: 0.3 : 0.5의 중량비로 혼합한 용액에 85도에서 1시간 30분가량 건조시키고, 폴리 아세탈수지를 0.2 : 1 의 비율로 혼합하여 2시간 건조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체형 소아용 안경테 제조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출 단계는,
    선형저밀도 폴리에틸렌 재료의 사출 공정시, 실린더 온도범위가 130도 내지 150도이고, 노즐 온도 범위가 170도인 상태에서 사출 공정을 진행하고, 20초 내지 25초의 타임으로 사출 공정을 진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체형 소아용 안경테 제조 방법.
  5. 일체형 소아용 안경테에 있어서,
    선형저밀도 폴리에틸렌 소재로 이루어진 렌즈 및 다리 프레임부; 및
    신축성 있는 소재로 이루어진 밴드와 상기 밴드의 양단에는 상기 렌즈 및 다리 프레임와 결합 가능한 프레임 결합부가 구비된 밴드부;를 포함하고,
    상기 렌즈 및 다리 프레임부는 선형저밀도 폴리에틸렌 소재가 하나의 프레임 형태로 사출되어 형성되고,
    상기 렌즈 및 다리 프레임부에서 다리 프레임 부분의 양쪽 단부에는 상기 밴드부와 결합 가능한 밴드 결합홈이 형성되고, 상기 프레임 결합부에는 밴드 결합홈과 결합 가능한 돌출부가 형성되어, 상기 밴드 결합홈과 상기 돌출부가 맞물려 끼워지는 형태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체형 소아용 안경테.
KR1020160183059A 2016-12-29 2016-12-29 일체형 소아용 안경테 및 제조 방법 KR2018007806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83059A KR20180078066A (ko) 2016-12-29 2016-12-29 일체형 소아용 안경테 및 제조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83059A KR20180078066A (ko) 2016-12-29 2016-12-29 일체형 소아용 안경테 및 제조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78066A true KR20180078066A (ko) 2018-07-09

Family

ID=629188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83059A KR20180078066A (ko) 2016-12-29 2016-12-29 일체형 소아용 안경테 및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078066A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100048A (ja) * 2005-10-07 2007-04-19 Masamitsu Nagahama 低密度ポリエチレン樹脂製品、低密度ポリエチレン樹脂製品の製造方法、粒状物の使用
JP2011080015A (ja) * 2009-10-09 2011-04-21 Tanaka Foresight Inc 眼鏡成形体、その製造方法、及び眼鏡
JP2012252053A (ja) * 2011-05-31 2012-12-20 Miyoji Takamatsu 保持バンド付き眼鏡
KR20160078501A (ko) * 2013-11-20 2016-07-04 킴벌리-클라크 월드와이드, 인크. 다공성 중합체 물질을 함유하는 안경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100048A (ja) * 2005-10-07 2007-04-19 Masamitsu Nagahama 低密度ポリエチレン樹脂製品、低密度ポリエチレン樹脂製品の製造方法、粒状物の使用
JP2011080015A (ja) * 2009-10-09 2011-04-21 Tanaka Foresight Inc 眼鏡成形体、その製造方法、及び眼鏡
JP2012252053A (ja) * 2011-05-31 2012-12-20 Miyoji Takamatsu 保持バンド付き眼鏡
KR20160078501A (ko) * 2013-11-20 2016-07-04 킴벌리-클라크 월드와이드, 인크. 다공성 중합체 물질을 함유하는 안경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3261949B (zh) 保护眼镜用遮光透镜
KR20180033584A (ko) 안경 프레임의 전면 덮개용 장식 요소, 및 상기 장식 요소를 포함하는 안경
CN106476263A (zh) 运用3d打印制备眼镜的方法
CN110216838A (zh) 一种多色多材料注塑成型方法
CN113476865A (zh) 模型部件及模型部件的制造方法
KR20180078066A (ko) 일체형 소아용 안경테 및 제조 방법
CN108289534A (zh) 选择性装饰钟表组件的方法
KR101097298B1 (ko) 합성수지재 안경다리의 이중사출제조방법
KR102157738B1 (ko) 변색 기능을 갖는 플라스틱 안경테 및 그 제조방법
US20190196219A1 (en) Eyewear article with changeable temples
WO2007013462A1 (ja) 眼鏡前枠製造基板及び眼鏡前枠の製造方法
US20180335642A1 (en) One-piece eyewear article
KR20080110315A (ko) 다색상 안경다리의 제조방법
KR20120137832A (ko) 셀룰로오스 아세테이트안경다리의 제조방법 및 그 물건
US20230056732A1 (en) Optical element comprising mix of nir dyes for broader nir cut and better aesthetic
KR101176313B1 (ko) 디자인 교체형 안경다리
CN219349286U (zh) 一种磁铁眼镜架
KR102050546B1 (ko) 무늬가 형성된 안경 다리 및 안경 다리에 무늬를 형성하는 방법
KR20180103565A (ko) 축광안료를 이용하고 음각으로 형성된 문양이 축광기능을 갖는 안경테 및 안경다리 제조방법
KR101635687B1 (ko) 안경다리의 제조방법 및 안경다리
KR100950609B1 (ko) 비금속 인공소재 안경부속품의 제조방법 및 그에 따른안경부속품
KR20110000971A (ko) 안경다리 및 그 제조방법
CN105093561A (zh) 一种二次注塑眼镜架的制作方法及其眼镜框结构
KR101526854B1 (ko) 안경테의 제조방법 및 그 안경테
KR20130064893A (ko) 안경테의 외측으로 사출성형이 가능한 안경테 제조용 금형 및 그 금형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