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77665A - 김성장 촉진용 이온화 미네랄 영양제 및 이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김성장 촉진용 이온화 미네랄 영양제 및 이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77665A
KR20180077665A KR1020160182251A KR20160182251A KR20180077665A KR 20180077665 A KR20180077665 A KR 20180077665A KR 1020160182251 A KR1020160182251 A KR 1020160182251A KR 20160182251 A KR20160182251 A KR 20160182251A KR 20180077665 A KR20180077665 A KR 2018007766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oling
mineral
heating
water
mineral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822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37438B1 (ko
Inventor
이철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풀바이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풀바이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풀바이오
Priority to KR10201601822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37438B1/ko
Publication of KR201800776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7766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374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3743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59/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elements or inorganic compounds
    • A01N59/06Aluminium; Calcium; Magnesium; Compound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25/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haracterised by their forms, or by their non-active ingredients or by their methods of application, e.g. seed treatment or sequential application; Substances for reducing the noxious effect of the active ingredients to organisms other than pests
    • A01N25/02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haracterised by their forms, or by their non-active ingredients or by their methods of application, e.g. seed treatment or sequential application; Substances for reducing the noxious effect of the active ingredients to organisms other than pests containing liquids as carriers, diluents or solven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25/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haracterised by their forms, or by their non-active ingredients or by their methods of application, e.g. seed treatment or sequential application; Substances for reducing the noxious effect of the active ingredients to organisms other than pests
    • A01N25/12Powders or granul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59/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elements or inorganic compounds
    • A01N59/02Sulfur; Selenium; Tellurium; Compound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59/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elements or inorganic compounds
    • A01N59/08Alkali metal chlorides; Alkaline earth metal chlorid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Dentistry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Plant Path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gronomy & Crop Science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Toxicology (AREA)
  • Coloring Foods And Improving Nutritive Qualit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공성 미네랄을 기반으로 하여 이온화 과정이 수행되어 미네랄을 전달하는 침투이행 능력이 개선되어 김성장을 촉진시키는 기능이 현저하게 개선된 김성장 촉진용 이온화 미네랄 영양제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김성장 촉진용 이온화 미네랄 영양제는 물; 염화칼슘, 염화마그네슘, 염화칼륨, 및 나트륨을 포함하는 미네랄; 및 수용성 유황;을 포함하고, 상기 염화칼슘 4 중량부에 대하여, 상기 염화마그네슘은 3 내지 5 중량부, 상기 염화칼륨은 2 ~ 4 중량부, 상기 나트륨은 5 내지 7 중량부, 상기 수용성 유황은 3 내지 4 중량부이다.

Description

김성장 촉진용 이온화 미네랄 영양제 및 이의 제조방법 {Ionized Mineral Nutrient for Laver Growth Facilitation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김성장 촉진용 이온화 미네랄 영양제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다공성 미네랄을 기반으로 하여 이온화 과정이 수행되어 미네랄을 전달하는 침투이행 능력이 개선되어 김성장을 촉진시키는 기능이 현저하게 개선된 김성장 촉진용 이온화 미네랄 영양제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미네랄이란, 광물(鑛物), 광석(鑛石)을 지칭하며, 무기질(inorganic substance) 혹은 무기염류라고도 불리우고, 인체, 동식물, 수산물의 생장 등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주지하다시피, 무기염류(혹은 미네랄)는 생물체를 구성하는 원소 중에서 탄소, 수소, 산소 등의 3원소를 제외한 생물체의 무기적 구성요소로서 광물질(鑛物質)이라고도 하며, 단백질, 지방, 탄수화물, 비타민과 함께 5대 영양소의 하나이다.
무기염류는 칼슘(Ca), 망간(Mn), 철(Fe), 동(Cu), 인(P), 아연(Zn), 칼륨((K), 나트륨(Na), 염소(Cl), 마그네슘(Ma), 몰리브덴(Mo) 등 인체에 없어서는 안 되는 것들이며, 이들 무기염료의 섭취가 부족하면 각종 결핍증을 유발한다는 것은 이미 알려져 있다.
바다 해조류 분류 중 홍조류에 속하는 김의 경우 성장속도를 더욱 빠르게 하여 수확량을 증대시키기 위한 다양한 방법이 연구되어 왔다. 이와 같은 김의 대표적 품종으로는 참김, 큰참김, 방사무늬김, 돌김, 파래김이 있다.
종래 김 양식 산업에서는 김의 성장 촉진, 병해 방지, 타 해조류와 김이 뒤섞여서 의도하지 않은 결과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염산 기반의 제재를 사용하는 것이 통상적이었다. 이와 같은 염산제재와 같은 무기산 처리제는 1970년대 일본에서 개발이 되었고, 이는 김 엽체는 산에 강한 특성을 가지나, 파래나 규조류 등은 김 엽체와 비교시 상대적으로 산에 약한 특성을 갖는다는 원리에 기초하여 개발된 것이다.
한국의 경우 1980년대부터 일본의 염산 기반의 제재가 도입되었고, 1980년대 말부터는 대부분의 김 양식에서 염산 기반의 제재가 활용되었다.
그러나, 이와 같은 무기산의 경우 바다 환경에서 다른 생명체들에게 치명적 위해 요소로 작용함이 보고된 바 있다. 구체적으로 무기산이 바다로 유입되는 경우 플랑크톤 등의 기초 생태계를 파괴하고, 이에 따라 기초 먹이생물의 개체수가 감소하여 결과적으로 상위 해양생태계 먹이사슬의 파괴로 이어질 수 있음이 보고 되었다.
특히, 이와 같은 무기산의 도입에 의한 부작용에 따라 한국김의 주요 소비국인 중국과 일본이 한국김의 수입을 꺼리게 되어 김 수출 산업 전반에 있어서 악영향이 줄 수 있다는 우려가 발생하였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868893호 “김양식용 복합영양제”,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621335호 “김 전용 영양제 및 그 제조 방법”,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856757호 “김양식용 유기산 고염처리제”,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345130호 “김 활성처리제 제조 방법 및 그 제조 장치, 김 활성처리제 처리 장치”,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342532호 “김 양식용 병해예방 영양제”는 김양식에 있어서 황산 및 염산, 황산, 황산암모늄 등의 유기산, 무기산을 이용하여 김성장 촉진, 병해 방지, 타 해조류가 김과 뒤섞여서 생산되는 것을 방지하는 기술을 개시하고 있다.
다만, 이와 같은 종래의 기술들은 전술한 바와 같이 바다로 유입되는 경우 플랑크톤 등의 기초 생태계를 파괴하고, 이에 따라 기초 먹이생물의 개체수가 감소하여 결과적으로 상위 해양생태계 먹이사슬의 파괴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해조류는 육상의 식물체와 비슷해 보이나, 뿌리, 줄기, 잎 등이 대체로 명확하지 않고, 뿌리가 있다 하더라도 해조류의 뿌리는 땅 위의 식물체처럼 영양을 흡수하는 역할을 하지 않고, 단지 몸체를 바위나 딱딱한 물체에 고착시키는 역할을 할 뿐이다. 또한 육상 식물처럼, 땅에서 흡수한 영양과 수분을 잎으로 보내고 햇빛을 통해 합성한 전분과 섬유질, 비타민과 같은 영양물질 등을 이동하여 저장하는 관을 가지고 있지 않고, 모든 조직들이 직접 바닷속의 영양 미네랄을 흡수하고 광합성을 통해 영양을 바로 저장하고 있다.
따라서, 해조류는 성장에 있어서 더욱 풍요로운 해양 미네랄, 비타민 성분을 직접적으로 필요로 한다. 구체적으로, 김의 경우 양식환경조성 필수 요소인, 용존 산소량, 염도, 온도, 조도, 통기시간등은 김이 살 수 있는 환경이라 할 수 있고, 해양 미네랄은 김의 먹이라고 할 수 있다.
땅 위의 식물체들은 표토에서 작용하는, 미생물의 분해 활동에 의하여, 작물의 생장에 필요로 하는 미네랄들이 뿌리로 섭취가 가능한 형태로 변환되어 작물 생장에 기여한다. 반면, 해조류는 전신의 세포를 통하여 직접 이러한 영양 미네랄들을 흡수하고, 해조류 마다 필요로 하는 미네랄의 성분은 해조류의 종류에 따라 다르다.
한편, 지금까지는 상기와 같이 인체에 필요한 미네랄 중 칼슘을 제조하는 방법으로 소성로에서 1200~1600℃의 온도로 소성하여 산화칼슘을 제조하였으나 그 칼슘은 대기 중의 수분과 탄산가스를 흡수하여 수산화칼슘과 탄산칼슘으로 변하여 공업용이나 산업용으로만 사용되어 온 실정이었다.
이렇게 얻어진 칼슘은 양질의 칼슘이 될 수 없어 이를 개선하려는 여러 가지 연구들이 진행되고 있다.
즉,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378038호(2003. 03. 29. 공고, 이하 “종래기술 1”로 칭함)에는 “내화연와로 된 소성로 속에 층층이 로스터를 놓고 그 각각의 로스터 위에 코크스를 깐 후 그 위에 미세한 산호 석회암 입자를 올려놓고 코크스를 점화한 다음 운모창을 통하여 내부 상태를 관찰하면서 연소온도 조절용 팬(FAN)에 의해 내부 온도를 700~900℃ 범위가 되도록 조절하면서 48~50시간 소성시킨 다음 냉각하여 경량의 산호석회암 클링커를 얻고, 다시 상기 클링커에 활성탄소를 1:1로 혼합하여 4000킬로헬츠~6500킬로헬츠의 고주파로에서 700~900℃의 온도로 36~40시간 동안 가열 소성한 후 자연 냉각한 다음, 세척 및 건조하여 미세분말기에서 분말화 함을 특징으로 하는 수용성 산화칼슘의 제조방법”에 관한 기술이 기재되어 있고,
또한,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194024호(2012. 10. 24. 공고, 이하 “종래기술 2”로 칭함)에는 “전기로의 내측에 산호, 패각, 퇴적풍화된 산호 또는 패각을 투입하고 910~1000℃의 온도로 5~9시간 1차 소성한 후 서냉시켜 백색과 회색의 클링커를 형성하고, 상기 클링커 중 백색의 클링커만을 수집한 후 전기로에서 500~700℃의 온도로 3~5시간 2차 소성하고, 파이프의 외측에 액화질소로 이루어진 냉매가 통과하도록 냉각코일이 배치되는 급냉장치와 파이프에 2차 소성된 클링커가 통과하도록 설치하여 공기의 노출 없이 -20~-60℃의 온도로 급냉되도록 하는 수용성 미네랄의 제조방법”에 대한 기술들이 기재되어 있다.
한편, 상기 종래기술 1에서는 산화칼슘(CaO), 소석회, 석회고토, 생석회, 소패화석, 부산소석회, 부산석회를 포함하는 칼슘은 일반적으로 물에 잘 용해되지 않으나, 하기의 화학식 1과 같이 물에 용해된 이산화탄소에 반응하여 탄산수소칼슘으로 변화시켜 용해를 하는 방식으로 수용성 미네랄을 제조하는 것을 개시하고 있다.
(화학식 1) CaCO3 + CO2 + H2O -> Ca(HCO3)2
다만, 이와 같은 방법에서는 칼슘이 탄산수소칼슘으로 변화하기 위하여 칼슘의 양에 상응하는 이산화탄소가 물에 함유되어 있어야 하고, 칼슘이 반응에 있어서 이산화탄소를 전부 소비하는 경우에는 칼슘이 수용화되지 못하고, 칼슘이 아래로 가라앉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이산화탄소는 하기의 화학식 2에서와 같이 물과 결합하는 과정에서 수소이온이 발생하게 되나 동시에 중탄산이온이 생성하여 물의 알칼리성이 높아지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화학식 2) CO2 + H2O -> HCO3 - + H+
또한, 예를들어 칼슘의 경우 99% 이상이 뼈 혹은 치아에 존재하고, 나머지가 세포외액에 존재한다. 혈청칼슘의 경우에는 40% 정도는 셀로판막에 대하여 비투과성이고, 주로 알부민과 결합하고 있고, 나머지 60%가 이온화칼슘이며 대부분이 인산칼슘, 탄산칼슘의 과포화용액으로 존재하는 바, 용해되어 이온화된 미네랄이 실질적으로 생리작용에서 중요한 역할은 한다고 할 수 있다.
또한, 종래기술 1, 및 2에서와 같은 미네랄의 경우 무기성분만을 포함하고 있기 때문에, 동식물, 수산물의 성장에 있어서 어느 정도의 효과를 발휘할 수는 있으나, 그 이상의 효과는 기대하지 못한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868893호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621335호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856757호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345130호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342532호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378038호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194024호
본 발명의 목적은 다공성 미네랄을 기반으로 하여 이온화 과정이 수행되어 미네랄을 전달하는 침투이행 능력이 개선되어 김성장을 촉진시키는 기능이 현저하게 개선된 김성장 촉진용 이온화 미네랄 영양제 및 이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김성장 촉진용 이온화 미네랄 영양제의 제조방법으로서, 염화칼슘, 염화마그네슘, 염화칼륨, 및 나트륨을 포함하는 미네랄복합물질을 준비하는 미네랄복합물질준비단계; 상기 미네랄복합물질에 대하여 가열, 서냉, 및 냉각숙성을 수행하여 다공성미네랄을 제조하는 다공성입자화단계; 상기 다공성미네랄을 분쇄하여 미립자분말을 제조하는 소성분말화단계; 상기 미립자분말에 수용성 유황분말을 혼합하여 혼합분말을 제조하고, 혼합분말로부터 수용화된 김성장 촉진용 이온화 미네랄 영양제를 제조하는 미네랄영양제제조단계;를 포함하는, 김성장 촉진용 이온화 미네랄 영양제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다공성입자화단계는, 가열공정, 서냉공정, 및 냉각숙성공정을 포함하는 제1입자화단계; 가열공정, 서냉공정, 및 냉각숙성공정을 포함하는 제2입자화단계; 및 가열공정, 서냉공정, 및 냉각숙성공정을 포함하는 제3입자화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제1입자화단계는, 상기 미네랄복합물질을 제1 가열온도로 가열하는 가열공정을 수행하고, 상기 가열공정에 의하여 생성된 클링커를 서냉시키는 서냉공정을 수행하고, 상기 서냉공정에 의하여 냉각된 클링커를 냉각장치 내부에서 냉각숙성을 하는 냉각숙성공정을 수행하고, 상기 제2입자화단계는, 상기 클링커를 제2 가열온도로 가열하는 가열공정을 수행하고, 상기 클링커를 서냉시키는 서냉공정을 수행하고, 상기 클링커를 냉각장치 내부에서 냉각숙성을 하는 냉각숙성공정을 수행하고, 상기 제3입자화단계는, 상기 클링커를 제3 가열온도로 가열하는 가열공정을 수행하고, 상기 클링커를 서냉시키는 서냉공정을 수행하고, 상기 클링커를 냉각장치 내부에서 냉각숙성을 하는 냉각숙성공정을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제1 가열온도는 900도 이상이고, 상기 제2 가열온도는 상기 제1 가열온도보다 낮고, 상기 제3 가열온도는 상기 제2 가열온도보다 낮을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제1입자화단계, 상기 제2입자화단계, 및 상기 제3입자화단계에서의 냉각숙성공정은 내부 온도가 0도 내지 -10도인 냉각장치 내부에서 수행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미네랄영양제제조단계는, 상기 미립자분말에 상기 수용성 유황분말을 혼합하여 혼합분말을 제조하는 혼합분말제조공정; 상기 혼합분말을 건식교반하는 건식교반공정; 및 상기 혼합분말을 물이 들어있는 용기에 넣고 포화증기를 공급하면서 교반하는 이온화공정;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건식교반공정은 균질기를 이용하여 혼합분말을 교반함으로써 혼합분말에 정전기를 발생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이온화공정은 상기 용기의 압력을 기설정된 범위 내로 일정하게 유지하면서 포화증기를 공급하면서 교반을 수행하여 물과 상기 혼합분말 사이에서 이온반응을 유도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포화증기는 100도 이상 300도 이하의 온도 및 1.3 내지 1.6 MPa의 압력을 가질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김성장 촉진용 이온화 미네랄 영양제로서, 물; 염화칼슘, 염화마그네슘, 염화칼륨, 및 나트륨을 포함하는 미네랄; 및 수용성 유황;을 포함하고, 상기 염화칼슘 4 중량부에 대하여, 상기 염화마그네슘은 3 내지 5 중량부, 상기 염화칼륨은 2 ~ 4 중량부, 상기 나트륨은 5 내지 7 중량부, 상기 수용성 유황은 3 내지 4 중량부를 포함하는, 김성장 촉진용 이온화 미네랄 영양제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미네랄은 다공성 형질을 가지고, 상기 수용성 유황 및 상기 미네랄은, 분말형태로 혼합되어 1차적으로 균질기에 의한 교반이 수행되고, 2차적으로 수용화된 용액 상태에서 포화증기를 공급받으면서 교반이 수행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미네랄은, 염화칼슘, 염화마그네슘, 염화칼륨, 및 나트륨이 혼합된 미네랄복합물질이 3회 이상의 사이클의 가열, 서냉, 및 냉각숙성이 수행되어 다공성 형질이 획득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냉각숙성은 내부 온도가 0도 내지 -10도인 냉각장치 내부에서 수행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수용성 유황 및 상기 미네랄은, 2차적으로 수용화된 용액 상태에서 포화증기를 공급받으면서 교반이 수행될 때, 상기 포화증기는 100도 이상 300도 이하의 온도 및 1.3 내지 1.6 MPa의 압력을 갖고, 상기 수용화된 용액이 담겨있는 용기의 압력을 기설정된 범위 내로 일정하게 유지하면서 상기 포화증기를 공급하면서 교반을 수행하여 물과 상기 상기 수용성 유황 및 상기 미네랄은 이온반응이 유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화학 약품인 연삼 제재를 사용하지 않고, 천연물에서 유래된 성분으로 제조된 친환경 김성장촉진 영양제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생태계의 기초 먹이생물의 환경에 영향을 주지 않으면서 김성장을 촉진시키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해조류에 대한 미네랄의 흡수율을 대폭적으로 증대시킴으로서, 무독성, 친환경성, 및 원가 효율성의 3가지 이점을 동시에 가질 수 있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필요로 하지 않는 규조류 등의 생육을 방지 할 수 있으며, 김의 빠른 생육 촉진에 기여할 수 있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이온화 특성 및 침투이행 특성이 현저하게 개선되어 종래의 기술보다 김성장에 있어서 개선된 효과를 발휘할 수 있는 김성장 촉진용 영양제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종래의 수용성 미네랄 제품군보다 개선된 흡수율을 갖는 김성장 촉진용 수용성 미네랄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수용성 미네랄에 다공성 구조를 부여하고, 이와 같은 다공성 구조에 수용성 유황성분을 침투시킬 수 있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침투이행에 관한 효율이 개선되고, 김성장에 이로운 역할을 하는 미네랄을 김에 전달함과 함께 동시에 유황성분을 함께 흡수시킬 수 있는 김성장 촉진용 영양제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수용성화 하고자 하는 미네랄 및 수용성 유황성분을 높은 비율로 이온화 및 용해를 시켜 더욱 많은 함량을 수용성화할 수 있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물에 녹지 못하여 가라앉게 되는 미네랄 및 수용성 유황성분의 손실을 최소화하여 공정 효율 및 원가 효율을 극대화할 수 있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공성 미네랄 제조방법의 단계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공성입자화단계의 단계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3은 종래의 미네랄의 현미경 사진 및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공성 미네랄의 현미경 사진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김성장 촉진용 이온화 미네랄 영양제의 제조방법의 단계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미네랄영양제제조단계의 단계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도면이다.
다양한 실시예들 및/또는 양상들이 이제 도면들을 참조하여 개시된다. 하기 설명에서는 설명을 목적으로, 하나이상의 양상들의 전반적 이해를 돕기 위해 다수의 구체적인 세부사항들이 개시된다. 그러나, 이러한 양상(들)은 이러한 구체적인 세부사항들 없이도 실행될 수 있다는 점 또한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인식될 수 있을 것이다. 이후의 기재 및 첨부된 도면들은 하나 이상의 양상들의 특정한 예시적인 양상들을 상세하게 기술한다. 하지만, 이러한 양상들은 예시적인 것이고 다양한 양상들의 원리들에서의 다양한 방법들 중 일부가 이용될 수 있으며, 기술되는 설명들은 그러한 양상들 및 그들의 균등물들을 모두 포함하고자 하는 의도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실시예", "예", "양상", "예시" 등은 기술되는 임의의 양상 또는 설계가 다른 양상 또는 설계들보다 양호하다거나, 이점이 있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을 수도 있다.
더불어, 용어 "또는"은 배타적 "또는"이 아니라 내포적 "또는"을 의미하는 것으로 의도된다. 즉, 달리 특정되지 않거나 문맥상 명확하지 않은 경우에, "X는 A 또는 B를 이용한다"는 자연적인 내포적 치환 중 하나를 의미하는 것으로 의도된다. 즉, X가 A를 이용하거나; X가 B를 이용하거나; 또는 X가 A 및 B 모두를 이용하는 경우, "X는A 또는 B를 이용한다"가 이들 경우들 어느 것으로도 적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 사용된 "및/또는"이라는 용어는 열거된 관련 아이템들 중 하나 이상의 아이템의 가능한 모든 조합을 지칭하고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포함한다" 및/또는 "포함하는"이라는 용어는, 해당 특징 및/또는 구성요소가 존재함을 의미하지만, 하나이상의 다른 특징, 구성요소 및/또는 이들의 그룹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명백하게 다른 내용을 지시하지 않는 “한”과, “상기”와 같은 단수 표현들은 복수 표현들을 포함한다는 것이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일 예로, “컴포넌트 표면(component surface)”은 하나 혹은 그 이상의 컴포넌트 표면들을 포함한다.
또한,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서, 별도로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미네랄”은 무기물을 주성분으로 무기염류를 지칭하고, Ca, Mn, Fe, Cu, P, Zn, K, Na, Cl, Ma, Mo 등 및 이들을 주 원소로 하여 다른 원소와 반응한 화합물을 지칭하는 물질로서, 인체, 동식물, 수산물, 해조류의 생장 , 환경, 식품 등에 있어서 이로운 기능을 하는 무기물질 전체을 포함하는 최광의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이온화 미네랄”은 물리적 과정을 통해 원자나 분자에 전자나 다른 이온 입자를 제거 혹은 추가하여 이온화가 된 미네랄 혹은 광물질을 지칭하는 최광의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김”은 참김, 큰참김, 방사무늬김, 돌김, 파래김 등을 포함하는 바다 해조류 분류 중 홍조류에 속하는 해조류를 포함하는 최광의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다공성 미네랄은 미네랄 입자의 반복적인 수축/팽창 등에 의하여 입자들 사이에 다공성 구조가 형성된 미네랄을 포함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공성 미네랄 제조방법의 단계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김성장 촉진용 이온화 미네랄 영양제의 제조방법에서 이용되는 다공성 미네랄은 1 이상의 미네랄을 혼합하여 미네랄복합물질을 준비하는 미네랄복합물질준비단계(S100); 및 상기 미네랄복합물질에 대하여 가열, 서냉, 및 냉각숙성을 수행하는 다공성입자화단계(S200);에 의하여 제조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미네랄복합물질은 염화칼슘, 염화마그네슘, 염화칼륨, 및 나트륨을 포함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공성 미네랄의 제조방법은 미네랄 수득물이 다공성을 가지게 할 수 있고, 다공성 구조에 의하여 보다 높은 용해도 및 이온화 특성을 가질 수 있다.
특히, 후술하는 바와 같이 상기 다공성 미네랄에 다른 성분, 유황분말을 포함시키는 경우에도 포함된 영양성분과 함께 높은 용해도를 가질 수 있다.
또한, 다공성 구조를 가짐으로써 보다 이온화 반응 표면적을 넓힐 수 있고 따라서 이온화도 혹은 용해도를 종래의 미네랄보다 개선할 수 있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한편, 종래의 수용성 미네랄의 경우 다른 성분, 예를들어 분말 형태의 다른 영양성분 등을 물에 용해된 수용성 미네랄에 첨가하는 경우에, 다른 성분이 용해되지 못하고 가루 형태로 침전될 수 있고, 이와 같은 침전된 가루 형태의 다른 성분은 김으로의 흡수율이 매우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반면, 본 발명에 따른 다공성 미네랄의 경우에는 다공성 구조에 의하여 다른 성분이 보다 높은 함량으로 미네랄에 결합할 수 있게 되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고, 또한 다른 성분이 결합된 상태에서의 이온화도 혹은 용해도가 향상됨에 따라 다른 성분도 미네랄과 함께 이온화된 상태 혹은 용해된 상태에서 동식물에 흡수될 수 있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상기 미네랄복합물질준비단계(S100)에서는 1 이상의 미네랄을 혼합하여 미네랄복합물질을 준비한다. 구체적으로 다른 종류의 미네랄을 혼합하여 미네랄복합물질이 준비될 수 있고, 미네랄의 종류 및 상대적 함량은 해당 미네랄 조성물의 목적에 따라서 달라질 수 있다. 예를들어, 칼슘, 마그네슘, 규소 등이 기설정된 함량 분율로 혼합되어 미네랄 복합물질을 구성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염화칼슘 4 중량부에 대하여, 상기 염화마그네슘은 3 내지 5 중량부, 상기 염화칼륨은 2 ~ 4 중량부, 상기 나트륨은 5 내지 7 중량부를 혼합하여 미네랄복합물질을 준비한다. 이 경우 김의 생장에 있어서 필수적인 미네랄을 공급시켜 김의 성장촉진을 극대화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중량부”는 각 성분의 질량함량의 비로 이해될 수도 있다. 즉, 상기와 같은 미네랄복합물질의 중량부 기재는 염화칼슘:염화마그네슘:염화칼륨의 질량비가 4: 3 ~ 5: 2 ~ 4: 5 ~ 7임을 의미한다.
상기 다공성입자화단계(S200)는, 상기 미네랄복합물질에 대한 2 이상의 가열공정, 2 이상의 서냉공정, 및 2 이상의 냉각숙성공정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는, 미네랄복합물질에 대하여 가열공정->서냉공정->냉각숙성공정의 순서로 1 이상의 싸이클의 공정을 수행한다. 미네랄복합물질은 상기 가열공정->서냉공정->냉각숙성공정에 따라 팽창 및 수축을 하게 되고, 이와 같은 팽창 및 수축에 의하여 각각의 미네랄 결정 사이의 틈이 더욱 벌어지게 되고, 이와 같은 틈에 의하여 미네랄은 다공성 구조를 가지게 된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가열공정->서냉공정->냉각숙성공정을 2 싸이클 이상 수행한다. 이 경우, 팽창 및 수축이 진행된 미네랄에 대해 다시 팽창 및 수축이 진행됨으로써, 보나 균질하고 높은 밀도의 다공을 미네랄의 조직에 형성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공성입자화단계(S200)의 단계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에 도시된 상기 다공성입자화단계(S200)는, 가열공정, 서냉공정, 및 냉각숙성공정을 포함하는 제1입자화단계(S210); 가열공정, 서냉공정, 및 냉각숙성공정을 포함하는 제2입자화단계(S220); 및 가열공정, 서냉공정, 및 냉각숙성공정을 포함하는 제3입자화단계(S230);를 포함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는 3회 이상의 가열공정, 서냉공정, 및 냉각숙성공정으로 이루어진 입자화단계를 수행한다. 2회만 입자화단계를 수행하는 경우에는 충분한 다공성 구조가 형성되지 않을 수 있고, 4회 이상의 입자화단계를 수행하는 경우에는 공정단가가 비효율적으로 증가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단순히 가열공정 후 단순히 냉각공정을 수행하는 것이 아니라, 공기중에서 서냉을 수행하고, 0 도 이하의 밀폐공간에서 냉각숙성을 수행한다. 이와 같은 서냉공정->냉각숙성공정은 보다 입자들간의 틈을 보다 균질하고 높은 밀도로 생성할 수 있다.
상기 제1입자화단계(S210)는, 상기 미네랄복합물질을 제1 가열온도로 가열하는 가열공정을 수행하고, 상기 가열공정에 의하여 생성된 클링커를 서냉시키는 서냉공정을 수행하고, 상기 서냉공정에 의하여 냉각된 클링커를 냉각장치 내부에서 냉각숙성을 하는 냉각숙성공정을 수행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 가열온도는 900도 이상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910도 내지 990도에 해당한다. 이와 같은 제1입자화단계(S210)에서의 가열공정은 미네랄복합물질을 용융시키기 위함이다. 900도 이상인 경우에 대부분의 무기염류 혹은 미네랄을 용융시킬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입자화단계(S210)에서의 가열공정은 5시간 이상 수행하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5시간 내지 7시간동안 수행한다.
상기 서냉공정은 공기중에서 비교적 긴 시간동안 자연적으로 냉각하는 공정을 의미한다. 이와 같은 서냉공정이 아니라 냉매 혹은 물 등을 이용한 급냉의 경우에는, 균질하고 높은 밀도의 다공성 구조를 생성하지 못함을 확인하였다.
한편, 상기 서냉공정은 20시간 내지 28시간동안 수행됨이 바람직하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22시간 내지 26시간 동안 수행됨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는 제1입자화단계(S210)에서 상기 서냉공정 이후 클링커 중 백색의 클링커만을 추출하여, 냉각숙성공정을 수행한다. 이는 수율이 낮아지지만 보다 높은 품질의 미네랄을 제조하기 위함이다.
상기 냉각숙성공정은 내부 온도가 0도 내지 -10도인 냉각장치 내부에서 수행된다. 상기 냉각숙성공정은 밀폐된 장치 내부에서 냉각과 함께 숙성이 수행되는 공정으로서, 서냉공정 -> 냉각숙성공정에 의하여 보다 높은 밀도로 다공성 구조를 미네랄 결정에 부여할 수 있고, 다공성 구조에서의 각각의 홀들의 직경을 보다 크게 만들수 있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상기 제2입자화단계(S220)는, 상기 클링커를 제2 가열온도로 가열하는 가열공정을 수행하고, 상기 가열공정에 의하여 생성된 클링커를 서냉시키는 서냉공정을 수행하고, 상기 서냉공정에 의하여 냉각된 클링커를 냉각장치 내부에서 냉각숙성을 하는 냉각숙성공정을 수행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2 가열온도는 상기 제1 가열온도보다 낮음이 바람직하다. 제2 가열온도를 단계적으로 제1 가열온도보다 낮게 함으로써 보다 균질한 다공성 구조를 미네랄 조직에 부여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2 가열온도는 450도 내지 650도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500도 내지 600도이다. 이와 같은 제2입자화단계(S220)에서의 가열공정은 미네랄 구조들을 각각 한번 더 팽창시키고, 이에 의하여 보다 다공성 성질의 구현이 촉진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2입자화단계(S220)에서의 가열공정은 5시간 이상 수행하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5시간 내지 7시간동안 수행한다.
상기 서냉공정은 공기중에서 비교적 긴 시간동안 자연적으로 냉각하는 공정을 의미한다. 이와 같은 서냉공정이 아니라 냉매 혹은 물 등을 이용한 급냉의 경우에는, 균질하고 높은 밀도의 다공성 구조를 생성하지 못함을 확인하였다.
한편, 상기 서냉공정은 20시간 내지 28시간동안 수행됨이 바람직하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22시간 내지 26시간 동안 수행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냉각숙성공정은 내부 온도가 0도 내지 -10도인 냉각장치 내부에서 수행된다. 상기 냉각숙성공정은 밀폐된 장치 내부에서 냉각과 함께 숙성이 수행되는 공정으로서, 서냉공정 -> 냉각숙성공정에 의하여 보다 높은 밀도로 다공성 구조를 미네랄 결정에 부여할 수 있고, 다공성 구조에서의 각각의 홀들의 직경을 보다 크게 만들수 있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상기 제3입자화단계(S230)는, 상기 클링커를 제3 가열온도로 가열하는 가열공정을 수행하고, 상기 가열공정에 의하여 생성된 클링커를 서냉시키는 서냉공정을 수행하고, 상기 서냉공정에 의하여 냉각된 클링커를 냉각장치 내부에서 냉각숙성을 하는 냉각숙성공정을 수행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3 가열온도는 상기 제2 가열온도보다 낮음이 바람직하다. 제3 가열온도를 단계적으로 제2 가열온도보다 낮게 함으로써 보다 균질한 다공성 구조를 미네랄 조직에 부여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3 가열온도는 250도 내지 400도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300도 내지 400도이다. 이와 같은 제3입자화단계(S230)에서의 가열공정은 미네랄 구조들을 각각 한번 더 팽창시키고, 이에 의하여 보다 다공성 성질을 높이기 위함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3입자화단계(S230)에서의 가열공정은 5시간 이상 수행하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5시간 내지 7시간동안 수행한다.
상기 서냉공정은 공기중에서 비교적 긴 시간동안 자연적으로 냉각하는 공정을 의미한다. 이와 같은 서냉공정이 아니라 냉매 혹은 물 등을 이용한 급냉의 경우에는, 균질하고 높은 밀도의 다공성 구조를 생성하지 못함을 확인하였다.
한편, 상기 서냉공정은 20시간 내지 28시간동안 수행됨이 바람직하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22시간 내지 26시간 동안 수행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냉각숙성공정은 내부 온도가 0도 내지 -10도인 냉각장치 내부에서 수행된다. 상기 냉각숙성공정은 밀폐된 장치 내부에서 냉각과 함께 숙성이 수행되는 공정으로서, 서냉공정 -> 냉각숙성공정에 의하여 보다 높은 밀도로 다공성 구조를 미네랄 결정에 부여할 수 있고, 다공성 구조에서의 각각의 홀들의 직경을 보다 크게 만들수 있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3회 이상 반복되고, 가열온도가 단계적으로 감소하면서, 서냉공정->냉각숙성공정이 포함되는 입자화공정에 의하여 미네랄은 반복되는 고온가열->서냉->냉각숙성의 과정속에서 입자들 사이의 간격이 더욱 벌어지게 되고, 결과적으로 미네랄은 다공성 형질을 가지게 된다. 또한, 이와 같은 공정에 의하여 제조된 미네랄은 기계적인 방법으로 분말화를 하더라도 입자가 그 다공성 형질을 유지할 수 있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도 3은 종래의 미네랄의 현미경 사진 및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공성 미네랄의 현미경 사진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3의 (A)는 통상의 방법으로 용융온도로 가열->냉각 공정을 통하여 제조된 미네랄을 평균적으로 약 300 마이크로미터 이하의 직경을 가질 때까지 분쇄한 후 현미경으로 촬영한 사진을 도시한다.
도 3의 (B)는 상기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전술한 본 발명에 따라 3 싸이클의 가열(1차: 920도, 5시간/ 2차: 500도, 5시간 / 3차: 300도, 5시간)->서냉(1차, 2차, 3차: 24시간동안 수행)->냉각숙성(1차, 2차, 3차: -2도로 온도가 유지되는 밀폐장치에서 24시간동안 수행)을 수행하여 제조된 미네랄을 평균적으로 약 300 마이크로미터 이하의 직경을 가질 때까지 분쇄한 후 현미경으로 촬영한 사진을 도시한다.
도 3의 (A)의 입자 형태와 비교시, 도 3의 (B)의 입자 형태는 반복되는 가열->서냉->냉각숙성의 과정을 통하여 입자의 사이가 벌어지고 좁아지는 과정이 반복되어 보다 거칠고 다공이 뚜렷하고 균질하게 형성되는 형질을 가짐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도 3의 (B)에서와 같이, 다공성 미네랄의 경우 작은 크기로 분쇄(밀립자 분쇄 밀링기를 이용)하더라도 입자의 다공성 형질을 거의 온전하게 가짐을 확인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김성장 촉진용 이온화 미네랄 영양제의 제조방법의 단계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4에 도시된 김성장 촉진용 이온화 미네랄 영양제의 제조방법은 1 이상의 미네랄을 혼합하여 미네랄복합물질을 준비하는 미네랄복합물질준비단계(S100); 상기 미네랄복합물질에 대하여 가열, 서냉, 및 냉각숙성을 수행하여 다공성미네랄을 제조하는 다공성입자화단계(S200); 상기 다공성미네랄을 분쇄하여 미립자분말을 제조하는 소성분말화단계(S300); 상기 미립자분말에 유기적영양성분을 함유하는 수용성 유황분말을 혼합하여 혼합분말을 제조하고, 혼합분말로부터 김성장 촉진용 이온화 미네랄 영양제를 제조하는 미네랄영양제제조단계(S400);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미네랄복합물질은 염화칼슘, 염화마그네슘, 염화칼륨, 및 나트륨을 포함한다.
이와 같은 다공성 미네랄 조성물 제조방법에 의하면, 상기 미네랄복합물질준비단계(S100) 및 상기 다공성입자화단계(S200)를 통하여 미네랄에 다공성 형질을 부여하고, 이를 소성분말화 공정을 통하여 분말화를 하고, 다공성 형질을 갖는 미네랄에 수용성 유황분말을 혼합하고 수용성 유황분말이 상기 미네랄의 다공에 결합되고, 이들이 이온화가 됨으로써 보나 높은 용해도로 미네랄과 유기물이 녹아진 다공성 미네랄 조성물을 제조할 수 있다.
상기 미네랄복합물질준비단계(S100) 및 상기 다공성입자화단계(S200)는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전술한 내용에 따라 수행을 한다. 이에 대한 설명은 편의상 생략하도록 한다.
상기 소성분말화단계(S300)에서는 미립자분쇄밀링기를 이용하여 다공성 미네랄을 입자직경이 평균적으로 500마이크로미터, 바람직하게는 300마이크로미터 이하가 될 때까지 분쇄한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소성분말화단계(S300)는 다공성 미네랄의 입자직경이 평균적으로 150마이크로미터 이상이 유지되도록 수행한다. 이는 다공성 미네랄의 입자직경이 평균적으로 150마이크로미터 이하인 경우에는 다공성 형질에 영향을 줄 수 있기 때문이다.
이와 같은 소성분말화단계(S300)에 의하여, 다공성 미네랄은 다공성 형질을 유지하면서 분말형태가 된다.
상기 미네랄영양제제조단계(S400)는 상기 미립자분말에 수용성 유황분말을 혼합하여 혼합분말을 제조하고, 혼합분말로부터 김성장 촉진용 이온화 미네랄 영양제를 제조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미네랄영양제제조단계(S400)는 이온화 교반에 의하여 유기물과 다공성미네랄을 수용화시킨다. 이온화교반은 교반을 통하여 물질이 이온성질을 가지게 하고 물에 녹게 하는 물리적/화학적 공정이다.
본 발명의 이온화 교반에서는 용기내에 기설정된 범위에서의 포화증기를 공급하면서, 이온반응을 유도하여 이온화 수용액을 제조한다. 이와 같은 이온화 수용액은 높은 함량비로 미네랄 및 수용성 유황분말이 용해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미네랄영양제제조단계(S400)의 단계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5에 도시된 상기 미네랄영양제제조단계(S400)는, 상기 미립자분말에 상기 수용성 유황분말을 혼합하여 혼합분말을 제조하는 혼합분말제조공정(S410); 상기 혼합분말을 건식교반하는 건식교반공정(S420); 및 상기 혼합분말을 물이 들어있는 용기에 넣고 포화증기를 공급하면서 교반하는 이온화공정(S430);을 포함한다.
상기 혼합분말제조공정(S410)은 상기 미립자분말에 상기 수용성 유황분말을 혼합하여 혼합분말을 제조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혼합분말제조공정(S410)에 의하여 다공성 형질을 갖는 미립자분말에 김생장에 이득이 있는 유황성분이 포함되게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유황성분은 평균적으로 직경이 120 마이크로미터 내지 250 마이크로미터가 되도록 분쇄한 수용성 유황분말분말이다.
상기 수용성 유황분말은 일반적으로 물에 용해되는 특성을 가지지만, 상기와 일반 미네랄과 같이 용해시키는 경우 용해되는 함량에 있어서 제한이 있다. 따라서, 일반 수용성 미네랄에 수용성 유황분말을 같이 용해시켜 미네랄 영양제를 제조하는 경우, 상당수의 수용성 유황분말이 가루 형태로 침전되고, 침전된 유황 성분은 김으로의 흡수가 사실상 거의 이루어지지 않는다는 문제점이 있다.
반면, 본 발명에서는 미네랄을 다공성 미네랄로 준비하고, 이를 수용성 유황분말에 혼합한 상태에서 건식교반공정(S420)을 거쳐 1차적으로 정전기를 부여하고, 2차적으로 이온화공정(S430)을 거쳐 2차적으로 정전기를 부여하면서 이온화 반응을 진행함으로써 미네랄 및 유황 성분이 보다 높은 함량으로 영양제에 용해될 수 있게 한다.
바람직하게는, 미네랄 대 상기 수용성 유황분말의 질량 비율은 7 대 1 ~ 4 대 1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미네랄은 염화칼슘, 염화마그네슘, 염화칼륨, 나트륨을 포함하고, 상기 염화칼슘 4 중량부에 대하여, 상기 염화마그네슘은 3 내지 5 중량부, 상기 염화칼륨은 2 ~ 4 중량부, 상기 나트륨은 5 내지 7 중량부, 상기 수용성 유황은 3 내지 4 중량부이다
상기 건식교반공정(S420)은 균질기를 이용하여 혼합분말을 교반함으로써 혼합분말에 정전기를 발생시킨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는 후술하는 이온화공정(S430) 전에 추가적으로 균질기를 이용하여 혼합분말을 교반하고, 이에 의하여 혼합분말에 정전기를 부여한다. 이와 같이 건식교반공정(S420)에 의하여 발생된 정전기는 상기 이온화공정(S430)에서의 이온화를 더욱 촉진시키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건식교반공정(S420)은 8 내지 10시간동안 2200rpm으로 균질기(HOMOGENIZING DISPER)를 이용하여 건식상태에서 교반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이온화공정(S430)은 상기 용기의 압력을 기설정된 범위 내로 일정하게 유지하면서 포화증기를 공급하면서 교반을 수행하여 물과 상기 혼합분말 사이에서 이온반응을 유도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이온화공정(S430)은 정전기가 부여된 혼합분말을 물이 담겨진 용기 안에 주입하고, 이후 기설정된 온도범위 및 기설정된 압력범위에서 포화증기를 공급하면서, 용기 내부의 용액을 교반한다. 이와 같은 교반은 용기 내부에 있는 교반기에 의하여 수행될 수 있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포화증기가 공급되는 노즐을 지속적으로 회전시킴으로써 포화증기의 분사압력에 의하여 교반이 수행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포화증기를 일정온도범위 및 일정압력범위에서 주입함에 따라 생성되는 물방울에 의해 정전기가 발생하게 되고, 상기 건식교반공정(S420)에서 발생한 정전기와 포화증기에 의하여 발생한 정전기에 의하여 용액내에서의 이온화가 촉진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포화증기는 100도 이상 300도 이하의 온도 및 1.3 내지 1.6 MPa의 압력을 갖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포화증기는 230도 이상 300도 이하의 온도 및 1.4 내지 1.5 MPa의 압력을 갖는다. 이와 같은 포화증기의 온도 및 압력은 정전기의 발생을 더욱 촉진시킬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물 100중량부에 대하여 상기 혼합분말의 중량부는 5 내지 15이고, 이와 같은 비율에서 상기 혼합분말의 대부분을 수용화시켜 김성장 촉진용 이온화 미네랄 영양제를 수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는, 상기 이온화 공정 이후에 큐링공정을 수행한다. 상기 큐링공정은 상기 이온화공정(S430)에서의 용기 내의 교반장치의 RPM을 100RPM 이하로 낮추고, 2 ~ 4시간 동안 교반을 수행하고, 이후 2 ~ 4시간 동안 용기내에서 용액을 안정시키는 단계에 해당한다.
이와 같은 큐링공정에 의하면 보다 안정적인 김성장 촉진용 이온화 미네랄 영양제를 얻을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원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김성장 촉진용 이온화 미네랄의 실험결과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이하에서는, 도 4 및 도 5에 따른 제조방법에 따라 제조된 김성장 촉진용 이온화 미네랄 영양제가, 전술한 이온화과정을 통하여 일반적인 수용성 미네랄 영양제보다 해조류의 체내에 침투이행이 더욱 효율적으로 진행될 수 있는 특성을 가지게 되고, 결과적으로 김 성장을 빠르게 하는 것을 확인하는 실험결과를 설명하도록 한다.
이하의 실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김성장 촉진용 이온화 미네랄 영양제는 수용성 유황 성분을 영양제에 용해된 상태로 포함시켜 김 외 잡조류 생육 방지에 좋은 효능이 있을 수 있음을 증명하기 위하여, 40일간의 김 생육 측정 실험을 하였다.
김 생육 측정 실험은 동일한 조건의 김 양식장의 환경에서, 일반 바닷물 환경에서 김을 양식하고 (비교예 1), 종래의 수용성 미네랄 영양제를 사용하는 환경에서 김을 양식하고 (비교예 2), 본원 발명에 따른 김성장 촉진용 이온화 미네랄 영양제를 사용하는 환경에서 김을 양식하는 (실시예 1) 방식으로 실험을 수행하였다.
구체적으로 상기 비교예 1, 비교예 2, 및 실시예 1 각각 김발 1줄씩 채묘 후 40일간 생육하여, 경과 후 결과에 대한 값을 대조해 보는 측정 실험을 수행하였고, 김의 종자는 3 종류 모두 참김으로 측정하였으며, 아래와 같은 환경조건을 조성하였다.
[실험 환경조건]
- 각기 다른 소규모 김 양식장은, 서로간의 첨가제가 섞이지 아니하게끔 500m씩의 떨어진 3단위의 구간에서, 만조시 6m 높이의 밀물량을 가지며, 썰물시 갯벌이 드러나는 총 길이 2km 너비 90m의 구간에 지주를 설치하여 분양하였음.
-해당 생육조건의 조성은, 밀물과 썰물의 차이가 서로 같고, 통기에 노출되는 시간과 온도, 용존산소량이 같아야 하며, 해양온도, 해양용존산소, 해양용존미네랄, 갯벌의 영양상태, 조도가 전부 같아야 하기 때문에 2km의 같은 갯벌 구간 내에 설치하여야 했으며, 또한 길이 90m인 3개의 김발에 서로간의 첨가제가 섞이지 아니하여야 하기 때문에 500m의 이격 구간을 두었음.
- 김 양식에는 지주식 양식법과 부류식 양식법이 있고, 지주식 양식법은, 육지와 가까운 구간에 지주에 김발을 매달아두는 양식법이고, 부류식 양식법은, 육지에서 떨어진 구간에 부류를 띄워 양식하는 방식인데, 해당 실험에서는 지주식 양식법을 사용함.
- 성숙된 굴껍질을 「국립수산과학원 육종 연구센터」에서 공인된 패각 사상체 전문 배양시설로부터 유통 받아, 3줄의 김발을 8겹으로 접고 패각사상체를 김발에 부착하고, 부착한 김발에는 포자가 마르지 않도록 바닷물을 뿌리고, 비닐로 씌워 숙성시킴.
- 채묘는 부류식 방식으로 실행하였고, 굴 껍질에서 나온 김의 씨앗이 그물에 옮겨 붙을 수 있도록 10일간 채묘를 방치하였고, 이후 분망함.
- 상기 구간에 설치한 지주에 한겹씩 분리된 김발을 설치하는 과정까지의 공통조건을 3줄의 김발 모두 오차 없이 실행함.
[실시예, 비교예 상세사항]
비교예 1: 상기 실험조건에서 40일 동안 별도의 영양제 없이 김생육.
비교예 2: 상기 실험조건에서 일반 수용성 미네랄 영양제 5리터를 500배 바닷물에 희석하여 10일 간격으로 분무.
실시예 1: 상기 실험조건에서 본 발명에 따른 김성장 촉진용 이온화 미네랄 영양제(염화칼슘 4 중량부에 대하여, 염화마그네슘은 4중량부, 염화칼륨은 2중량부, 나트륨은 5중량부, 상기 수용성 유황은 3중량부, 물은 200중량부) 5리터를 500배 바닷물에 희석하여 10일 간격으로 분무.
[실시예 1에서의 김성장 촉진용 이온화 미네랄 영양제 성분량]
Figure pat00001
[비교예 2에서의 김성장 촉진용 이온화 미네랄 영양제 성분량]
Figure pat00002
일반 수용성 미네랄 영양제 5리터를 500배 바닷물에 희석하여 10일 간격으로 분무
[김영양 조성성분 검사]
- 분망하여 설치된 각각 3종류의 김발은 40일 후에 각각 김의 성장률과, 잡조류 번식률, 각각의 김 영양조성성분을 검사함.
- 영양조성성분의 검사는, 검사하려는 김의 수분 함량을 제거하여 명확한 결과의 도출을 위하여 각각의 특성별 수확물별로 건조가공 한 후, 성분 검사를 실행하였고, 건조 가공은, 순환세척단계, 이물질제거단계, 정수혼합숙성단계(염분제거 및 숙성), 건조가공단계(자동압력수분탈락기기, 자동김건조기기 활용) 4단계의 시스템으로 가공함.
[비교예 1 실험결과]
Figure pat00003
[비교예 2 실험결과]
Figure pat00004
[실시예 1 실험결과]
Figure pat00005
[조성 실험결과 비교]
- 실시예 1의 단백질 함량이 높은 것을 제외하고는 열량, 수분, 단백질, 지방, 회분 등의 일반적인 조성 성분에 관하여서는 특별한 차이가 없음.
- 다만, 실시예 1 의 경우 비교예 1, 2 와 비교시 탄수화물, 무기질, 비타민 등의 건강에 좋은 효과를 가져다주는 성분에 관하여 큰 폭의 차이를 보였고, 특히 실시예 1 의 비타민 및 무기질 함량이 월등히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특히 영양제에 큰 폭으로 함유 되어 있는 칼슘의 양에 있어서 현저한 차이가 있었음. 이는 김의 체내에 함유되기 위하여 조성된 미네랄의 성분이 이온화 되었을 때에 더욱 김의 영양성분 변화에 영향을 주었기 때문임.
[김 수확률(김성장 촉진률) 비교]
Figure pat00006
- 위의 표에서, 대조군 1은 비교예 1에 해당하고, 실험군 3은 비교예 2에 해당하고, 실험군 2는 실시예 1에 해당함.
- 각각의 김의 성장률에 관하여서는, 김 성장(신장)길이의 평균값을 척도로 하였고, 성장(신장)길이는, 실시예 1이 38cm, 비교예 1이 25 cm, 비교예 2가 30 츠에 해당함.
- 다만, 비교예 1의 경우에는 잡조류가 많이 섞여 있었고, 실시예 1과 비교예 2 의 비교 결과로 볼 때에, 실시예 1 이 잡조류의 번식을 저지하는 효과를 더욱 가지고 있는 것으로 판단되며, 이온화된 미네랄과 수용성 유황을 함유한 실시예 2는 52%가량 김 수확량 증대 효과를 가짐을 확인함.
[잡조류 번식률 비교]
Figure pat00007
- 위의 표에서, 대조군 1은 비교예 1에 해당하고, 실험군 3은 비교예 2에 해당하고, 실험군 2는 실시예 1에 해당함.
- 실시예 1에서 잡조류 번식률이 가장 낮은 것을 확인할 수 있음.
이하에서는, 도 1 내지 도 5의 방법에서 제조될 수 있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김성장 촉진용 이온화 미네랄 영양제에 대하여 설명한다. 편의상 중복되는 내용에 대해서는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 따른 김성장 촉진용 이온화 미네랄 영양제는 물; 염화칼슘, 염화마그네슘, 염화칼륨, 및 나트륨을 포함하는 미네랄; 및 수용성 유황;을 포함하고, 상기 염화칼슘 4 중량부에 대하여, 상기 염화마그네슘은 3 내지 5 중량부, 상기 염화칼륨은 2 ~ 4 중량부, 상기 나트륨은 5 내지 7 중량부, 상기 수용성 유황은 3 내지 4 중량부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미네랄은 다공성 형질을 가지고, 상기 수용성 유황 및 상기 미네랄은, 분말형태로 혼합되어 1차적으로 균질기에 의한 교반이 수행되고, 2차적으로 수용화된 용액 상태에서 포화증기를 공급받으면서 교반이 수행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미네랄은, 염화칼슘, 염화마그네슘, 염화칼륨, 및 나트륨이 혼합된 미네랄복합물질이 3회 이상의 사이클의 가열, 서냉, 및 냉각숙성이 수행되어 다공성 형질이 획득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냉각숙성은 내부 온도가 0도 내지 -10도인 냉각장치 내부에서 수행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수용성 유황 및 상기 미네랄은, 2차적으로 수용화된 용액 상태에서 포화증기를 공급받으면서 교반이 수행될 때, 상기 포화증기는 100도 이상 300도 이하의 온도 및 1.3 내지 1.6 MPa의 압력을 갖고, 상기 수용화된 용액이 담겨있는 용기의 압력을 기설정된 범위 내로 일정하게 유지하면서 상기 포화증기를 공급하면서 교반을 수행하여 물과 상기 상기 수용성 유황 및 상기 미네랄은 이온반응이 유도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화학 약품인 연삼 제재를 사용하지 않고, 천연물에서 유래된 성분으로 제조된 친환경 김성장촉진 영양제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생태계의 기초 먹이생물의 환경에 영향을 주지 않으면서 김성장을 촉진시키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해조류에 대한 미네랄의 흡수율을 대폭적으로 증대시킴으로서, 무독성, 친환경성, 및 원가 효율성의 3가지 이점을 동시에 가질 수 있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필요로 하지 않는 규조류 등의 생육을 방지 할 수 있으며, 김의 빠른 생육 촉진에 기여할 수 있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이온화 특성 및 침투이행 특성이 현저하게 개선되어 종래의 기술보다 김성장에 있어서 개선된 효과를 발휘할 수 있는 김성장 촉진용 영양제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종래의 수용성 미네랄 제품군보다 개선된 흡수율을 갖는 김성장 촉진용 수용성 미네랄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수용성 미네랄에 다공성 구조를 부여하고, 이와 같은 다공성 구조에 수용성 유황성분을 침투시킬 수 있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침투이행에 관한 효율이 개선되고, 김성장에 이로운 역할을 하는 미네랄을 김에 전달함과 함께 동시에 유황성분을 함께 흡수시킬 수 있는 김성장 촉진용 영양제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수용성화 하고자 하는 미네랄 및 수용성 유황성분을 높은 비율로 이온화 및 용해를 시켜 더욱 많은 함량을 수용성화할 수 있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물에 녹지 못하여 가라앉게 되는 미네랄 및 수용성 유황성분의 손실을 최소화하여 공정 효율 및 원가 효율을 극대화할 수 있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제시된 실시예들에 대한 설명은 임의의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이용하거나 또는 실시할 수 있도록 제공된다. 이러한 실시예들에 대한 다양한 변형들은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백할 것이며, 여기에 정의된 일반적인 원리들은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남이 없이 다른 실시예들에 적용될 수 있다. 그리하여, 본 발명은 여기에 제시된 실시예들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여기에 제시된 원리들 및 신규한 특징들과 일관되는 최광의의 범위에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14)

  1. 김성장 촉진용 이온화 미네랄 영양제의 제조방법으로서,
    염화칼슘, 염화마그네슘, 염화칼륨, 및 나트륨을 포함하는 미네랄복합물질을 준비하는 미네랄복합물질준비단계;
    상기 미네랄복합물질에 대하여 가열, 서냉, 및 냉각숙성을 수행하여 다공성미네랄을 제조하는 다공성입자화단계;
    상기 다공성미네랄을 분쇄하여 미립자분말을 제조하는 소성분말화단계;
    상기 미립자분말에 수용성 유황분말을 혼합하여 혼합분말을 제조하고, 혼합분말로부터 수용화된 김성장 촉진용 이온화 미네랄 영양제를 제조하는 미네랄영양제제조단계;를 포함하는, 김성장 촉진용 이온화 미네랄 영양제의 제조방법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다공성입자화단계는,
    가열공정, 서냉공정, 및 냉각숙성공정을 포함하는 제1입자화단계;
    가열공정, 서냉공정, 및 냉각숙성공정을 포함하는 제2입자화단계; 및
    가열공정, 서냉공정, 및 냉각숙성공정을 포함하는 제3입자화단계;를 포함하는, 김성장 촉진용 이온화 미네랄 영양제의 제조방법.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1입자화단계는,
    상기 미네랄복합물질을 제1 가열온도로 가열하는 가열공정을 수행하고,
    상기 가열공정에 의하여 생성된 클링커를 서냉시키는 서냉공정을 수행하고,
    상기 서냉공정에 의하여 냉각된 클링커를 냉각장치 내부에서 냉각숙성을 하는 냉각숙성공정을 수행하고,
    상기 제2입자화단계는,
    상기 클링커를 제2 가열온도로 가열하는 가열공정을 수행하고,
    상기 클링커를 서냉시키는 서냉공정을 수행하고,
    상기 클링커를 냉각장치 내부에서 냉각숙성을 하는 냉각숙성공정을 수행하고,
    상기 제3입자화단계는,
    상기 클링커를 제3 가열온도로 가열하는 가열공정을 수행하고,
    상기 클링커를 서냉시키는 서냉공정을 수행하고,
    상기 클링커를 냉각장치 내부에서 냉각숙성을 하는 냉각숙성공정을 수행하는, 김성장 촉진용 이온화 미네랄 영양제의 제조방법.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제1 가열온도는 900도 이상이고,
    상기 제2 가열온도는 상기 제1 가열온도보다 낮고,
    상기 제3 가열온도는 상기 제2 가열온도보다 낮은, 김성장 촉진용 이온화 미네랄 영양제의 제조방법.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제1입자화단계, 상기 제2입자화단계, 및 상기 제3입자화단계에서의 냉각숙성공정은 내부 온도가 0도 내지 -10도인 냉각장치 내부에서 수행되는, 김성장 촉진용 이온화 미네랄 영양제의 제조방법.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미네랄영양제제조단계는,
    상기 미립자분말에 상기 수용성 유황분말을 혼합하여 혼합분말을 제조하는 혼합분말제조공정;
    상기 혼합분말을 건식교반하는 건식교반공정; 및
    상기 혼합분말을 물이 들어있는 용기에 넣고 포화증기를 공급하면서 교반하는 이온화공정;을 포함하는, 김성장 촉진용 이온화 미네랄 영양제의 제조방법.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건식교반공정은 균질기를 이용하여 혼합분말을 교반함으로써 혼합분말에 정전기를 발생시키는, 김성장 촉진용 이온화 미네랄 영양제의 제조방법.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이온화공정은 상기 용기의 압력을 기설정된 범위 내로 일정하게 유지하면서 포화증기를 공급하면서 교반을 수행하여 물과 상기 혼합분말 사이에서 이온반응을 유도하는, 김성장 촉진용 이온화 미네랄 영양제의 제조방법.
  9.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포화증기는 100도 이상 300도 이하의 온도 및 1.3 내지 1.6 MPa의 압력을 갖는, 김성장 촉진용 이온화 미네랄 영양제의 제조방법.
  10. 김성장 촉진용 이온화 미네랄 영양제로서,
    물;
    염화칼슘, 염화마그네슘, 염화칼륨, 및 나트륨을 포함하는 미네랄; 및
    수용성 유황;을 포함하고,
    상기 염화칼슘 4 중량부에 대하여, 상기 염화마그네슘은 3 내지 5 중량부, 상기 염화칼륨은 2 ~ 4 중량부, 상기 나트륨은 5 내지 7 중량부, 상기 수용성 유황은 3 내지 4 중량부인, 김성장 촉진용 이온화 미네랄 영양제.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미네랄은 다공성 형질을 가지고,
    상기 수용성 유황 및 상기 미네랄은, 분말형태로 혼합되어 1차적으로 균질기에 의한 교반이 수행되고, 2차적으로 수용화된 용액 상태에서 포화증기를 공급받으면서 교반이 수행되는, 김성장 촉진용 이온화 미네랄 영양제.
  12.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미네랄은, 염화칼슘, 염화마그네슘, 염화칼륨, 및 나트륨이 혼합된 미네랄복합물질이 3회 이상의 사이클의 가열, 서냉, 및 냉각숙성이 수행되어 다공성 형질이 획득된, 김성장 촉진용 이온화 미네랄 영양제.
  13.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냉각숙성은 내부 온도가 0도 내지 -10도인 냉각장치 내부에서 수행되는, 김성장 촉진용 이온화 미네랄 영양제.
  14.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수용성 유황 및 상기 미네랄은, 2차적으로 수용화된 용액 상태에서 포화증기를 공급받으면서 교반이 수행될 때,
    상기 포화증기는 100도 이상 300도 이하의 온도 및 1.3 내지 1.6 MPa의 압력을 갖고, 상기 수용화된 용액이 담겨있는 용기의 압력을 기설정된 범위 내로 일정하게 유지하면서 상기 포화증기를 공급하면서 교반을 수행하여 물과 상기 상기 수용성 유황 및 상기 미네랄은 이온반응이 유도되는, 김성장 촉진용 이온화 미네랄 영양제.

KR1020160182251A 2016-12-29 2016-12-29 김성장 촉진용 이온화 미네랄 영양제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93743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82251A KR101937438B1 (ko) 2016-12-29 2016-12-29 김성장 촉진용 이온화 미네랄 영양제 및 이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82251A KR101937438B1 (ko) 2016-12-29 2016-12-29 김성장 촉진용 이온화 미네랄 영양제 및 이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77665A true KR20180077665A (ko) 2018-07-09
KR101937438B1 KR101937438B1 (ko) 2019-01-22

Family

ID=629192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82251A KR101937438B1 (ko) 2016-12-29 2016-12-29 김성장 촉진용 이온화 미네랄 영양제 및 이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37438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36125B1 (ko) * 2019-05-29 2019-10-24 송성은 저분자 저밀도 이온화 미네랄 복합체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055241B1 (ko) 2018-08-03 2019-12-12 양정목 혈분을 이용한 김 포자 활착 촉진용 조성물
WO2020009451A1 (ko) 2018-07-04 2020-01-09 주식회사 엘지화학 가스 포집 장치 및 방법
KR20200088531A (ko) * 2019-01-14 2020-07-23 주식회사 엘앤더블유 쌀겨 무기염류결정체가 용해된 살균수 제조방법 및 그 방법에 의한 살균수

Citation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360091A (ja) * 2001-06-06 2002-12-17 Daiichi Seimou Co Ltd 海苔の処理方法および処理液
JP2003023889A (ja) * 2001-07-10 2003-01-28 Koyo Tsusho Kk 海苔の処理方法
KR100378038B1 (ko) 2000-01-03 2003-03-29 오순근 수용성 산화칼슘의 제조법
KR100856757B1 (ko) 2008-04-28 2008-09-05 (주)대성케미칼 김양식용 유기산 고염처리제
KR100868893B1 (ko) 2008-05-19 2008-11-14 박수진 김양식용 복합영양제
KR20100111801A (ko) * 2009-04-08 2010-10-18 (주) 퓨리엔비텍에쓰 음이온을 방출하는 소금 고형체 및 그 제조방법
KR20110022838A (ko) * 2009-08-28 2011-03-08 한 무 유 농업용 광물성 살균제의 제조방법
KR101194024B1 (ko) 2011-04-26 2012-10-24 박낭규 수용성 미네랄의 제조방법
KR101342532B1 (ko) 2013-10-01 2013-12-17 (주)부림산업 김 양식용 병해예방 영양제
KR101345130B1 (ko) 2013-05-21 2013-12-26 (주)하나 김 활성처리제 제조 방법 및 그 제조 장치, 김 활성처리제 처리 장치
KR101568275B1 (ko) * 2015-07-07 2015-11-11 (주)대성케미칼 김양식용 고염처리제
KR101621335B1 (ko) 2015-12-08 2016-05-16 (주)대성케미칼 김 전용 영양제 및 그 제조 방법

Patent Citation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78038B1 (ko) 2000-01-03 2003-03-29 오순근 수용성 산화칼슘의 제조법
JP2002360091A (ja) * 2001-06-06 2002-12-17 Daiichi Seimou Co Ltd 海苔の処理方法および処理液
JP2003023889A (ja) * 2001-07-10 2003-01-28 Koyo Tsusho Kk 海苔の処理方法
KR100856757B1 (ko) 2008-04-28 2008-09-05 (주)대성케미칼 김양식용 유기산 고염처리제
KR100868893B1 (ko) 2008-05-19 2008-11-14 박수진 김양식용 복합영양제
KR20100111801A (ko) * 2009-04-08 2010-10-18 (주) 퓨리엔비텍에쓰 음이온을 방출하는 소금 고형체 및 그 제조방법
KR20110022838A (ko) * 2009-08-28 2011-03-08 한 무 유 농업용 광물성 살균제의 제조방법
KR101194024B1 (ko) 2011-04-26 2012-10-24 박낭규 수용성 미네랄의 제조방법
KR101345130B1 (ko) 2013-05-21 2013-12-26 (주)하나 김 활성처리제 제조 방법 및 그 제조 장치, 김 활성처리제 처리 장치
KR101342532B1 (ko) 2013-10-01 2013-12-17 (주)부림산업 김 양식용 병해예방 영양제
KR101568275B1 (ko) * 2015-07-07 2015-11-11 (주)대성케미칼 김양식용 고염처리제
KR101621335B1 (ko) 2015-12-08 2016-05-16 (주)대성케미칼 김 전용 영양제 및 그 제조 방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009451A1 (ko) 2018-07-04 2020-01-09 주식회사 엘지화학 가스 포집 장치 및 방법
KR102055241B1 (ko) 2018-08-03 2019-12-12 양정목 혈분을 이용한 김 포자 활착 촉진용 조성물
KR20200088531A (ko) * 2019-01-14 2020-07-23 주식회사 엘앤더블유 쌀겨 무기염류결정체가 용해된 살균수 제조방법 및 그 방법에 의한 살균수
KR102036125B1 (ko) * 2019-05-29 2019-10-24 송성은 저분자 저밀도 이온화 미네랄 복합체 및 이의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37438B1 (ko) 2019-01-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37438B1 (ko) 김성장 촉진용 이온화 미네랄 영양제 및 이의 제조방법
JP5378368B2 (ja) 金黄色の藻類及びその製造方法
JP2007054027A (ja) 藻類の培養基質
KR101896424B1 (ko) 다공성 미네랄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수용화된 다공성 미네랄 조성물 제조방법
CN104892169A (zh) 一种水稻专用有机肥的生产工艺
CN106577371A (zh) 一种黄鳝养殖的梯度饵料训饲方法
CN108633788A (zh) 一种淡水鲨鱼低盐度养殖方法
JP2023179490A (ja) 有機物からリンを遊離する方法
Saikia Aquatic resources and feed diversification: Reviewing three case studies from South East Asia with a viewpoint of trophic intensification in rice fish culture
KR101822736B1 (ko) 바이오플락 유용유기물을 포함하는 해삼 사료와 그 생산방법
CN107197791A (zh) 吉富罗非鱼与罗氏沼虾的池塘生态混养方法
CN101273760A (zh) 黑鲪诱食剂
CN106165790A (zh) 一种用于养殖卤虫的饵料及卤虫养殖方法
CN105248324A (zh) 一种高产优质的鲢鱼养殖方法
KR100387936B1 (ko) 불가사리에서 유래한 칼슘 제제 및 그의 제조방법
KR20110107754A (ko) 미네랄이 강화된 천일염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천일염
CN103141441B (zh) 一种干酵母和南极大磷虾粉培养轮虫的方法
CN110476841A (zh) 一种深海网箱鱼苗的投放方法
CN104872458A (zh) 一种高产黄颡鱼的养殖饲料
CN109479767A (zh) 一种泥鳅的生态养殖方法
CN112931317B (zh) 一种提高刀鲚育苗成活率的方法
KR20210065352A (ko) Omega-3 성분이 풍부한 유기농 소고기 및 우유 생산용 기능성 생초먹이 제조방법
CN112450134B (zh) 一种适用于稻虾种养模式的矿物改良剂及其制备使用方法
KR20180104983A (ko) 이온화미네랄을 활용한 갈파래 사료 및 이의 제조방법
JP4077648B2 (ja) 飼料添加剤の製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