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104983A - 이온화미네랄을 활용한 갈파래 사료 및 이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이온화미네랄을 활용한 갈파래 사료 및 이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104983A
KR20180104983A KR1020170031991A KR20170031991A KR20180104983A KR 20180104983 A KR20180104983 A KR 20180104983A KR 1020170031991 A KR1020170031991 A KR 1020170031991A KR 20170031991 A KR20170031991 A KR 20170031991A KR 20180104983 A KR20180104983 A KR 2018010498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eed
ionized
composition
minerals
ionized mineral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319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균
Original Assignee
이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균 filed Critical 이균
Priority to KR10201700319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104983A/ko
Publication of KR201801049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0498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10/00Animal feeding-stuffs
    • A23K10/30Animal feeding-stuffs from material of plant origin, e.g. roots, seeds or hay; from material of fungal origin, e.g. mushroom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20/00Accessory food factors for animal feeding-stuffs
    • A23K20/20Inorganic substances, e.g. oligoelemen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40/00Shaping or working-up of animal feeding-stuffs
    • A23K40/10Shaping or working-up of animal feeding-stuffs by agglomeration; by granulation, e.g. making powder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Zoolog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Biotechnology (AREA)
  • Botan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Mycology (AREA)
  • Physiology (AREA)
  • Fodder In General (AREA)
  • Feed For Specific Anim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온화미네랄을 활용한 갈파래 사료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이온화미네랄 분말과 함께 갈파래 분말을 펠렛 사료로 가공하여 물 속에서도 오랫동안 잔존되어 손실을 방지하고, 멸균 및 면역증강 효과를 가지며, 성장에 이로운 영양성분을 갖는, 이온화미네랄을 활용한 갈파래 사료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이온화미네랄을 활용한 갈파래 사료 및 이의 제조방법 {Ulva Pertusa Feed Using Ionized Mineral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이온화미네랄을 활용한 갈파래 사료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이온화미네랄 분말과 함께 갈파래 분말을 펠렛 사료로 가공하여 물 속에서도 오랫동안 잔존되어 손실을 방지하고, 멸균 및 면역증강 효과를 가지며, 성장에 이로운 영양성분을 갖는, 이온화미네랄을 활용한 갈파래 사료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미네랄이란, 광물(鑛物), 광석(鑛石)을 지칭하며, 무기질(inorganic substance) 혹은 무기염류라고도 불리고, 인체, 동식물, 수산물의 생장 등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주지하다시피, 무기염류(혹은 미네랄)는 생물체를 구성하는 원소 중에서 탄소, 수소, 산소 등의 3원소를 제외한 생물체의 무기적 구성요소로서 광물질(鑛物質)이라고도 하며, 단백질, 지방, 탄수화물, 비타민과 함께 5대 영양소의 하나이다.
무기염류는 생물체 내에서 여러 가지 생리적 활동에 참여하여 유익하게 작용하며, 대표적으로 칼슘(Ca), 망간(Mn), 철(Fe), 동(Cu), 인(P), 아연(Zn), 칼륨((K), 나트륨(Na), 염소(Cl), 마그네슘(Ma), 몰리브덴(Mo) 등이 이에 해당할 수 있다.
한편, 구멍갈파래는 녹조류 갈파랫과의 해조(海藻)로서. 길이는 10~50cm이고 얇은 잎 모양이며, 풀색을 띠고 윤기가 있다. 나물, 가축의 먹이, 비료, 풀의 원료로 쓰며 한국, 일본, 중국 등지에 분포한다.
매년 되풀이 되고 있는 제주 등 남해연안 '구멍갈파래' 이상 번식은 양식장 영양염류 배출과 지형적 요인 등 복합적인 문제로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생태환경 균형을 맞춰야 한다는 주장이 지속적으로 제기되고 있다. 이는, 지구 기후변화(온난화)에 인하여 벌어지는 재앙 중 하나이다.
구멍갈파래가 이상 번식하면 구멍갈파래가 곳곳에 쌓여 미관을 해치고 부패가 진행되며 악취까지 풍긴다. 물속 토양도 검게 썩어가며 생명력을 잃어간다. 구멍갈파래 제거에 관하여 관할 시, 도는 해양자원보전사업의 일환으로 천적미생물의 배양 등의 과제를 내어 놓고 있으나, 그 양이 방대하여 어려움을 겪고 있다.
한편, 구멍갈파래는 미역, 다시마, 미세조류와 마찬가지로 동식물의 영양관리에 좋은 영향을 미치는 기능성 물질이 함유되어 있으나, 까끌까끌 하고 섭취하기 좋지 않은 식감을 갖고 있기 때문에 잘 섭취하지 않는다. 종래에 구멍갈파래는 고온열탕 하여 분말로 만들어 사료를 배합하는 데에 일부 사용되고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10-1448272호(2012.11.20 출원, 2014.9.30 등록, 이하 “종래기술 1”로 칭함)는 해조류를 이용하여 전복용 친환경 자숙/건조사료를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인공적으로 양식하거나 자연적으로 생산된 해조류를 선별 및 정선하여 준비하는 제1 단계; 해조류를 일정한 크기로 절단하는 제2 단계; 절단된 해조류를 자숙/건조기로 이송하는 제3 단계; 해조류를 자숙하고 일정한 크기로 건조하는 제4 단계; 및 건조된 해조류를 보관하기 위해 포장하는 제5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에 따라, 해상 가두리나 육상 수조에서 양식하는 전복의 먹이를 사계절 원활하게 공급할 수 있는 해조류를 이용한 전복용 친환경 자숙/건조사료 제조방법에 대해 개시하고 있다.
종래기술 1에서와 같은 해조류를 이용한 전복용 사료의 경우 해조류의 교반 후 절단 및 자숙 후 건조를 통해 사료를 생산하게 되면, 이를 다시 전복에 급이 하기 위해 해수에 사료를 살포할 때, 절단된 사료가 너무 작으면 사료가 다시 습기를 머금어, 파판에 있는 전복까지 도달하지 않고 흩어져 유실되는 문제점이 있고, 이를 방지하기 위해 절단된 사료의 크기를 키우면 작은 전복이 섭취하지 못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448272호(2014.9.30 등록)
본 발명의 목적은 이온화미네랄 분말과 함께 갈파래 분말을 펠렛 사료로 가공하여 물 속에서도 오랫동안 잔존되어 손실을 방지하고, 멸균 및 면역증강 효과를 가지며, 성장에 이로운 영양성분을 갖는, 이온화미네랄을 활용한 갈파래 사료 및 이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이온화미네랄을 활용한 갈파래 사료의 제조방법으로서, 구멍갈파래, 이온화미네랄, 및 글루텐밀을 포함하는 조성물을 준비하는 함량조성물 준비단계; 상기 조성물을 대두유 및 증류수와 혼합하고 교반하여 사료반죽을 제조하는 함량조성물 배합반죽단계;를 포함하는, 이온화미네랄을 활용한 갈파래 사료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함량조성물 준비단계는, 구멍갈파래를 기설정된 온도 및 시간에서 가압열탕 하는 가압열탕단계; 가압열탕 한 상기 구멍갈파래를 비타민C 수용액에 기설정된 시간 동안 침지하는 비타민침지단계; 비타민C 수용액에 침지한 상기 구멍갈파래를 꺼내어 동결건조 하는 동결건조단계; 및 동결건조 된 상기 구멍갈파래를 기설정된 입자직경으로 분쇄하여 분말화를 수행하는 소성분말화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함량조성물 배합반죽단계는, 상기 조성물을 반죽기에서 교반을 하면서, 대두유 및 증류수의 일정량을 2회 이상 기설정된 시간 간격으로 투여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함량조성물 배합반죽단계는, 상기 조성물을 반죽기에서 교반을 할 때, 점진적으로 교반 속도를 상승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이온화미네랄을 활용한 갈파래 사료의 제조방법은, 상기 사료반죽을 펠렛팅 하여 펠렛화 사료를 제조하는 펠렛팅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이온화미네랄을 활용한 갈파래 사료의 제조방법은, 상기 펠렛화 사료를 고온건조기에서 기설정된 온도 및 시간으로 건조하는 건조양생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이온화미네랄을 활용한 갈파래 사료로서, 이온화미네랄; 구멍갈파래; 및 글루텐밀을 포함하고, 상기 구멍갈파래는 기설정된 온도 및 시간에서 가압열탕 된 후 비타민C 수용액에 기설정된 시간 동안 침지한 후 꺼내어 동결건조 한 후 기설정된 입자직경으로 분쇄되는, 이온화미네랄을 활용한 갈파래 사료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이온화미네랄을 활용한 갈파래 사료는 3 내지 7mm 의 둘레 및 5 내지 40mm 의 길이를 갖는 펠렛형이고, 구멍갈파래, 이온화미네랄, 및 글루텐밀을 포함하는 분말화된 조성물이 대두유 및 증류수와 반죽이 된 후에 펠렛팅 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이온화미네랄을 활용한 갈파래 사료가 펠렛형으로 패키징되어, 해수에 투여하더라도 오랫동안 잔존되어 섭취할 때까지의 손실을 방지하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사료의 이온화미네랄 및 구멍갈파래를 포함하는 조성물을 입자로 분말화하여 수산어류에의 빠른 침투이행이 가능한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친환경 원료를 사용하여 사료가 해수에 녹더라도 해수의 오염을 방지하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사료에 이온화미네랄 및 구멍갈파래를 포함하여, 사료를 섭취한 수산어류의 면역증강 및 멸균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이온화미네랄을 활용한 갈파래 사료를 섭취한 수산어류의 물질대사를 활발히 하여 성장을 촉진하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온화미네랄을 활용한 갈파래 사료의 제조단계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멍갈파래의 가공단계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온화미네랄을 활용한 갈파래 사료의 급이 모습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대조군 및 실험군에서의 실험개시시의 전복의 성장상태의 사진을 도시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대조군 및 실험군에서의 4개월 경과 후의 전복의 성장상태의 사진을 도시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대조군 대조군 및 실험군에서의 1년 경과 후의 전복의 성장상태의 사진을 도시한다.
다양한 실시예들 및/또는 양상들이 이제 도면들을 참조하여 개시된다. 하기 설명에서는 설명을 목적으로, 하나이상의 양상들의 전반적 이해를 돕기 위해 다수의 구체적인 세부사항들이 개시된다. 그러나, 이러한 양상(들)은 이러한 구체적인 세부사항들 없이도 실행될 수 있다는 점 또한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인식될 수 있을 것이다. 이후의 기재 및 첨부된 도면들은 하나 이상의 양상들의 특정한 예시적인 양상들을 상세하게 기술한다. 하지만, 이러한 양상들은 예시적인 것이고 다양한 양상들의 원리들에서의 다양한 방법들 중 일부가 이용될 수 있으며, 기술되는 설명들은 그러한 양상들 및 그들의 균등물들을 모두 포함하고자 하는 의도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실시예", "예", "양상", "예시" 등은 기술되는 임의의 양상 또는 설계가 다른 양상 또는 설계들보다 양호하다거나, 이점이 있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을 수도 있다.
더불어, 용어 "또는"은 배타적 "또는"이 아니라 내포적 "또는"을 의미하는 것으로 의도된다. 즉, 달리 특정되지 않거나 문맥상 명확하지 않은 경우에, "X는 A 또는 B를 이용한다"는 자연적인 내포적 치환 중 하나를 의미하는 것으로 의도된다. 즉, X가 A를 이용하거나; X가 B를 이용하거나; 또는 X가 A 및 B 모두를 이용하는 경우, "X는A 또는 B를 이용한다"가 이들 경우들 어느 것으로도 적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 사용된 "및/또는"이라는 용어는 열거된 관련 아이템들 중 하나 이상의 아이템의 가능한 모든 조합을 지칭하고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포함한다" 및/또는 "포함하는"이라는 용어는, 해당 특징 및/또는 구성요소가 존재함을 의미하지만, 하나이상의 다른 특징, 구성요소 및/또는 이들의 그룹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명백하게 다른 내용을 지시하지 않는 “한”과, “상기”와 같은 단수 표현들은 복수 표현들을 포함한다는 것이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서, 별도로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미네랄”은 광물, 광석, 무기질을 주성분으로 무기염류를 지칭하고, Ca, Mn, Fe, Cu, P, Zn, K, Na, Cl, Ma, Mo 등 및 이들을 주 원소로 하여 다른 원소와 반응한 화합물을 지칭하는 최광의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침투이행”은 광물질 등의 고형 성분이 유기체에 침투할 수 있는 조건 혹은 침투자체를 지칭한다.
본 명세서에서, “이온화미네랄”은 물리적 과정을 통해 원자나 분자에 전자나 다른 이온 입자를 제거하거나 더하여 이온화된 광물질을 뜻하며, 칼슘, 칼륨, 마그네슘, 나트륨, 규소 등의 미네랄이 해양 플랑크톤 및 해양 동식물의 체내에 침투이행이 더욱 용이한 형태로 되도록 입자의 성질이 변화된 미네랄을 포함한다.
이온화미네랄을 활용한 갈파래 사료의 제조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온화미네랄을 활용한 갈파래 사료의 제조단계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온화미네랄을 활용한 갈파래 사료의 제조단계는 구멍갈파래, 이온화미네랄, 및 글루텐밀을 포함하는 조성물을 준비하는 함량조성물 준비단계(S100); 상기 조성물을 대두유 및 증류수와 혼합하고 교반하여 사료반죽을 제조하는 함량조성물 배합반죽단계(S200); 상기 사료반죽을 펠렛팅 하여 펠렛화 사료를 제조하는 펠렛팅단계(S300); 상기 펠렛화 사료를 고온건조기에서 기설정된 온도 및 시간으로 건조하는 건조양생단계(S400);를 포함한다.
도 2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멍갈파래의 가공단계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함량조성물 준비단계(S100)는 구멍갈파래를 기설정된 온도 및 시간에서 가압열탕 하는 가압열탕단계(S110); 가압열탕 한 상기 구멍갈파래를 비타민C 수용액에 기설정된 시간 동안 침지하는 비타민침지단계(S120); 비타민C 수용액에 침지한 상기 구멍갈파래를 꺼내어 동결건조 하는 동결건조단계(S130); 및 동결건조 된 상기 구멍갈파래를 기설정된 입자직경으로 분쇄하여 분말화를 수행하는 소성분말화단계(S140);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구멍갈파래를 가압열탕 하는 가압열탕단계(S110)를 수행한다. 바람직하게는 구멍갈파래는 110도 내지 130도에서 100분 내지 140분동안 가압열탕 함으로써 멸균효과를 발휘함과 동시에 수산어류가 섭취하기 쉬운 형태로 만든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가압열탕단계(S110)에서는 상기 구멍갈파래를 115도 내지 125도에서 110분 내지 130분동안 가압열탕 한다.
이 후, 가열열탕 된 상기 구멍갈파래를 비타민C 수용액에 침지하는 비타민침지단계(S120)를 수행한다. 이와 같은 침지단계를 통하여 구멍갈파래의 비타민C 함유량을 증가시킨다. 상기 비타민C 수용액은 증류수 1L당 아스코르브산 15~25g의 비율로 혼합하여 생성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비타민침지단계(S120)는 5시간 내지 7시간동안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후, 침지한 상기 구멍갈파래를 꺼내어 동결건조 하는 동결건조단계(S130)를 수행하고, 건조된 상기 구멍갈파래를 기설정된 입자직경으로 분쇄하는 소성분말화단계(S140)를 수행한다. 상기 기설정된 입자직경은 바람직하게는 50~150㎛ 크기이다.
함량조성물 준비단계(S100)에서는 상기 S110 내지 S140 단계를 통해 구멍갈파래를 준비하는 과정 외에도, 상기 S110 내지 S140 단계 이후에 이온화미네랄 및 글루텐밀을 포함하는 조성물을 준비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상기 조성물은 바람직하게는 상기 S110 내지 S140 에서 준비된 구멍갈파래 55 내지 65중량%, 이온화미네랄 2 내지 4중량%, 다시마 9 내지 11중량%, 글루텐밀 10 내지 14중량%, 밀기울 0.5 내지 1.5중량%, 석회석 0.8 내지 1.8중량%, 메티오닌 0.2 내지 0.4중량%, 라이신0.05 내지 0.15중량%를 포함한다. 상기 구멍갈파래, 이온화미네랄, 다시마, 글루텐밀, 밀기울, 석회석, 메티오닌, 라이신의 중량은 0.1 ~ 5%의 불순물의 중량과 합하여 100%에 해당한다.
이와 같은 함량의 경우 수산어류의 성장에 있어서 필요한 영양성분을 고르게 전달 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구멍갈파래는 소성분말 형태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이온화미네랄은 이온화칼슘이다. 이와 같은 이온화칼슘은 상기 구멍갈파래와 같이 전복에게 섭취되는 경우, 구멍갈파래의 효능을 보다 탁월하게 할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조성물은 구멍갈파래 58 내지 62중량%, 이온화칼슘 2.5 내지 3.5중량%, 다시마 9.5 내지 10.5중량%, 글루텐밀 11 내지 13중량%, 밀기울 0.8 내지 1.2중량%, 석회석 1.1 내지 1.5중량%, 메티오닌 0.25 내지 0.35중량%, 라이신0.08 내지 0.12중량%를 포함한다. 상기 구멍갈파래, 이온화미네랄, 다시마, 글루텐밀, 밀기울, 석회석, 메티오닌, 라이신의 중량은 0.1 ~ 5%의 불순물의 중량과 합하여 100%에 해당한다.
상기 조성물은 이후의 배합반죽을 위하여 기설정된 입자직경으로 분말화 한다. 상기 기설정된 입자직경은 바람직하게는 50~150㎛ 크기이다.
다시, 도 1을 참고하면, 상기 함량조성물 준비단계(S100) 이후에는, 함량조성물 배합반죽단계(S200)가 수행된다.
상기 함량조성물 배합반죽단계(S200)는, 함량조성물 준비단계(S100)에서 분말화 시킨 조성물을 반죽기에서 교반을 하면서, 대두유 및 증류수의 일정량을 2회 이상 기설정된 시간 간격으로 투여함으로써 수행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조성물을 반죽기에 넣고 가동하여 분말재료가 골고루 섞이도록 혼합한 후에, 여기에 대두유 및 증류수를 투여하여 반죽을 수행한다. 우선 반죽기를 상대적으로 낮은 rpm인 400 내지 700rpm으로 동작을 시키고, 분말화된 상기 조성물 전량을 반죽기에 투입한다.
1분간 조성물을 혼합한 후, 10초 단위로 대두유 및 증류수를 상기 반죽기에 투여한다. 바람직하게는 대두유 및 증류수를 10회로 나누어 10초 단위로 반죽기에 투입하여 반죽이 고루 섞여 젖은 분말의 형태가 되도록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함량조성물 배합반죽단계(S200)는, 상기 조성물을 반죽기에서 교반을 할 때, 점진적으로 교반 속도를 상승시킨다. 구체적으로, 상기 대두유 및 증류수를 상기 반죽기에 투여하면서, 상기 초기 rpm에서부터 1000 내지 15000rpm에 이르기까지 교반속도를 상승시키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투여할 때마다 반죽기의 rpm을 상승시킨다.
이 후, 대두유 및 증류수를 모두 투여한 후에는 최종 rpm, 바람직하게는 1000 내지 1500rpm에서 반죽기를 5분 내지 15분 동안 동작시킴으로써, 상기 조성물, 대두유, 및 증류수를 사료반죽의 형태로 교반 한다.
상기 사료반죽의 최적의 점성을 유지하기 위하여, 상기 대두유는 0.5 내지 1.5중량%, 증류수는 9 내지 11중량%임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조성비에 의하면, 조성물의 영양성분 및 대두유의 영양성분을 충분히 유지하면서, 동시에 후술하는 펠렛팅단계(S300)에서의 펠렛팅을 안정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방법에 의하여 교반이 된 사료반죽은 대두유와 증류수의 수분 및 글루텐밀과 구멍갈파래 자체의 점성이 조합되어, 전술한 펠렛팅단계(S300)에서 보다 안정성 있는 펠렛화 조성물을 수득할 수 있고, 향후 펠렛팅 된 사료를 수산어류의 먹이로 급이 하기 위하여 물 속에 투입하여도 오랫동안 잔존되어 고체의 상태로 응집되어 있고, 수산어류가 해당 사료를 섭취할 때까지 손실 없이 영양공급을 할 수 있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상기 함량조성물 배합반죽단계(S200) 이후에는, 상기 사료반죽을 펠렛팅 하여 펠렛화 사료를 제조하는 펠렛팅단계(S300)가 수행된다.
상기 펠렛팅단계(S300)는 펠렛팅 기계에 의하여 수행될 수 있다. 이와 같은 펠렛팅단계(S300)에 의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온화미네랄을 활용한 갈파래 사료는 해수에 투여하는 경우, 해수에 영양성분들이 바로 용해되지 않고, 수산어류가 섭취할 때까지 펠렛 형태를 어느 정도 유지하면서 바닥에 안착할 수 있다.
한편, 바람직하게는, 상기 펠렛화 사료에서는 각각의 펠렛은 3 내지 7mm 의 둘레 및 5 내지 30mm 의 길이를 갖는다. 이와 같은 펠렛의 사이즈는 펠렛이 일반적인 환경에서 급이를 위해 해수에 투여를 하더라도, 충분히 펠렛의 형태를 유지하면서 수산어류가 섭취할 수 있는 최적의 사이즈에 해당한다.
상기 펠렛팅단계(S300) 이후에는, 상기 펠렛화 사료를 고온건조기에서 기설정된 온도 및 시간으로 건조하는 건조양생단계(S400)가 수행된다.
건조양생단계(S400)는 상기 펠렛화 사료에서 수분이 모두 제거될 수 있도록 50 도 이상의 온도에서 15분 내지 30분 동안 수행된다.
이와 같은 건조양생단계(S400)에 의하여 제조된 사료의 무게를 줄이고, 사료의 부패를 방지하여 장기간 보관 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함량조성물을 분말화하여 대두유 및 증류수를 추가하여 반죽을 하고, 펠렛화를 한 후에, 건조를 시키는 경우에, 글루텐밀과 구멍갈파래 자체의 점성에 의하여 상기 펠렛화가 된 이온화미네랄을 활용한 갈파래 사료가 물 속에 투여되는 경우에도 상당부분 원형을 유지하면서, 수산어류가 해당 사료를 섭취할 때까지 손실 없이 영양공급을 할 수 있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함량조성물을 분말화하여 대두유 및 증류수를 추가하여 반죽을 하고, 펠렛화를 한 후에, 건조를 시키는 경우에, 사료의 영양성분이 수산어류에 빠르게 침투이행이 가능하게 되고, 결과적으로 후술하는 실험 결과와 같이 수산어류의 성장에 있어서 탁월한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건조양생단계(S400)는 상기와 같은 건조과정 이후에도 -15도 이하의 저온 보관과정을 더 포함한다. 이와 같이 저온으로 갈파래 사료를 보관함으로써 상기 펠렛화된 이온화미네랄을 활용한 갈파래 사료의 영양성분을 더욱 안정적으로 패키징을 할 수 있고, 또한 영양성분의 변질을 방지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온화미네랄을 활용한 갈파래 사료의 급이 모습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이온화미네랄을 활용한 갈파래 사료를 제조하여 전복양식용 사료로 사용할 수 있다.
전복을 양식함에 있어서 바다에 방류해 수확하는 것 보다 채롱이나 수조에서 고밀도로 양식하는 것이 성장이 빠르고 생존율이 높아지기 때문에, 전복의 효율적인 양식을 위하여 파판(20)을 구비한 쉘터를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파판(20)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정하게 접혀 상하방향으로 연속되게 접철부가 형성되어 있고, 다수의 홀(미도시)이 형성되어 전복의 이동 및 사육수의 순환이 일어날 수 있게 한다. 상기 파판(20)은 전복의 생육을 위하여 해수 속에 위치하게 된다.
이와 같은 파판(20)에 분말형태의 사료가 투입되는 경우, 해수에 의해 흩어져 날아갈 수 있고, 이를 방지하기 위해 굵은 입자형태의 사료가 투입되는 경우, 작은 전복은 섭취가 어렵게 된다.
반면, 펠렛팅 된 펠렛화 사료(10)가 투입된 경우,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파판(20)의 표면에 펠렛화 사료(10)가 안착하여 파판(20) 표면을 이동하는 전복이 펠렛화 사료(10)를 섭취할 수 있고, 전복에 의해 쉽게 작은 덩어리로 풀어져 작은 전복도 섭취가 가능하게 된다.
이온화미네랄을 활용한 갈파래 사료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온화미네랄을 활용한 갈파래 사료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전술한 “이온화미네랄을 활용한 갈파래 사료의 제조”의 설명과 중복되는 부분은 편의상 생략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온화미네랄을 활용한 갈파래 사료는, 이온화미네랄; 구멍갈파래; 및 글루텐밀을 포함하고, 상기 구멍갈파래는 기설정된 온도 및 시간에서 가압열탕 된 후 비타민C 수용액에 기설정된 시간 동안 침지한 후 꺼내어 동결건조 한 후 기설정된 입자직경으로 분쇄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이온화미네랄을 활용한 갈파래 사료는 3 내지 7mm 의 둘레 및 5 내지 40mm 의 길이를 갖는 펠렛형이고, 구멍갈파래, 이온화미네랄, 및 글루텐밀을 포함하는 분말화된 조성물이 대두유, 및 증류수와 반죽이 된 후에 펠렛팅 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온화미네랄을 활용한 갈파래 사료는, 구멍갈파래, 이온화미네랄, 및 글루텐밀을 포함하는 조성물을 준비하는 함량조성물 준비단계; 상기 조성물을 대두유 및 증류수와 혼합하고 교반하여 사료반죽을 제조하는 함량조성물 배합반죽단계; 상기 사료반죽을 펠렛팅 하여 펠렛화 사료를 제조하는 펠렛팅단계; 상기 펠렛화 사료를 고온건조기에서 기설정된 온도 및 시간으로 건조하는 건조양생단계;에 의하여 제조된다.
이와 같은 이온화미네랄을 활용한 갈 파래사료의 구멍갈파래는 구멍갈파래를 기설정된 온도 및 시간에서 가압열탕 하는 가압열탕단계; 가압열탕 한 상기 구멍갈파래를 비타민C 수용액에 기설정된 시간 동안 침지하는 비타민침지단계; 비타민C 수용액에 침지한 상기 구멍갈파래를 꺼내어 동결건조 하는 동결건조단계; 및 동결건조 된 상기 구멍갈파래를 기설정된 입자직경으로 분쇄하여 분말화를 수행하는 소성분말화단계;에 의하여 가공된다.
이와 같은 가압열탕단계, 비타민침지단계, 동결건조단계, 및 소성분말화단계에 의하여 가공된 구멍갈파래는 멸균효과를 발휘할 수 있고, 비타민C 함유량을 증가시키며, 영양성분을 수산어류에 빠르게 침투 이행시킬 수 있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가압열탕단계에서는 바람직하게는 구멍갈파래를 110도 내지 130도에서 100분 내지 140분동안 가압열탕 하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구멍갈파래를 115도 내지 125도에서 110분 내지 130분동안 가압열탕 한다.
상기 비타민침지단계에서 상기 비타민C 수용액은 증류수 1L당 아스코르브산 15~25g의 비율로 혼합하여 생성하고, 상기 비타민침지단계는 5시간 내지 7시간동안 수행하여 구멍갈파래의 비타민C 함유량을 증가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후, 상기 구멍갈파래를 동결건조 하는 동결건조단계 및 건조된 상기 구멍갈파래를 기설정된 입자직경으로 분쇄하는 소성분말화단계를 수행한다. 상기 소성분말화단계에서 기설정된 입자직경은 바람직하게는 50~150㎛ 크기이다.
한편, 상기 구멍갈파래, 상기 이온화미네랄, 및 상기 글루텐밀을 포함하는 조성물은 분말화되고, 대두유 및 증류수와 반죽된다. 본 발명에서는 1차적으로는 구멍갈파래, 이온화미네랄, 글루텐밀을 포함하는 조성물을 준비 혹은 제조하고, 준비된 조성물에 상기 대두유 및 증류수를 추가하고, 대두유 및 증류수가 추가된 상태에서 펠렛화 공정을 통하여 조성물을 펠렛화하고, 이후 펠렛화된 조성물을 건조시킨다.
즉, 상기 조성물은 대두유 및 증류수가 추가되어 함량조성물 배합반죽단계에 의하여 반죽형태로 혼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함량조성물 배합반죽단계는, 상기 조성물을 반죽기에서 교반을 하면서, 대두유 및 증류수의 일정량을 2회 이상 기설정된 시간 간격으로 투여함으로써 수행된다. 더욱 구체적으로, 상기 조성물을 반죽기에 넣고 가동하여 분말재료가 골고루 섞이도록 혼합한 후에, 여기에 대두유 및 증류수를 투여하여 반죽을 수행한다. 우선 반죽기를 상대적으로 낮은 rpm인 400 내지 700rpm으로 동작을 시키고, 분말화된 상기 조성물 전량을 반죽기에 투입한다.
1분간 조성물을 혼합한 후, 10초 단위로 대두유 및 증류수를 상기 반죽기에 투여한다. 바람직하게는 대두유 및 증류수를 10회로 나누어 10초 단위로 반죽기에 투입하여 반죽이 고루 섞여 젖은 분말의 형태가 되도록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함량조성물 배합반죽단계(S200)는, 상기 조성물을 반죽기에서 교반을 할 때, 점진적으로 교반 속도를 상승시킨다. 구체적으로, 상기 대두유 및 증류수를 상기 반죽기에 투여하면서, 상기 초기 rpm에서부터 1000 내지 15000rpm에 이르기까지 교반속도를 상승시키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투여할 때마다 반죽기의 rpm을 상승시킨다.
이 후, 대두유 및 증류수를 모두 투여한 후에는 최종 rpm, 바람직하게는 1000 내지 1500rpm에서 반죽기를 5분 내지 15분 동안 동작시킴으로써, 상기 조성물, 대두유, 및 증류수를 사료반죽의 형태로 교반 한다.
상기 사료반죽의 최적의 점성을 유지하기 위하여, 상기 대두유는 0.5 내지 1.5중량%, 증류수는 9 내지 11중량%임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조성비에 의하면, 조성물의 영양성분 및 대두유의 영양성분을 충분히 유지하면서, 동시에 후술하는 펠렛팅단계에서의 펠렛팅을 안정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방법에 의하여 교반이 된 사료반죽은 대두유와 증류수의 수분 및 글루텐밀과 구멍갈파래 자체의 점성에 의하여 이온화미네랄을 활용한 갈파래 사료를 펠렛화함에 있어서 보다 안정성을 가질 수 있고, 향후 펠렛팅 된 사료를 수산어류의 먹이로 급이 하기 위하여 물 속에 투입하여도 오랫동안 잔존되어 고체의 상태로 응집되어 있고, 수산어류가 해당 사료를 섭취할 때까지 손실 없이 영양공급을 할 수 있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사료반죽을 생성한 후에는 이를 펠렛팅 하여 펠렛화 사료를 제조하는 펠렛팅단계가 수행된다.
상기 펠렛팅단계는 펠렛팅 기계에 의하여 수행될 수 있다. 이와 같은 펠렛팅단계에 의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온화미네랄을 활용한 갈파래 사료는 해수에 투여하는 경우, 해수에 영양성분들이 바로 용해되지 않고, 수산어류가 섭취할 때까지 펠렛 형태를 어느 정도 유지하면서 바닥에 안착할 수 있다.
한편, 바람직하게는, 상기 펠렛화 사료에서는 각각의 펠렛은 3 내지 7mm 의 둘레 및 5 내지 30mm 의 길이를 갖는다. 이와 같은 펠렛의 사이즈는 펠렛이 일반적인 환경에서 급이를 위해 해수에 투여를 하더라도, 충분히 펠렛의 형태를 유지하면서 수산어류가 섭취할 수 있는 최적의 사이즈에 해당한다.
본 발명에서는, 구멍갈파래, 이온화미네랄, 및 글루텐밀을 포함하는 조성물을 반죽하고, 펠렛팅을 하여 펠렛화 사료를 제조한 후에, 상기 펠렛화 사료를 고온건조기에서 기설정된 온도 및 시간으로 건조 양생한다. 이처럼 펠렛화 사료를 건조함에 있어서 상기 펠렛화 사료에서 수분이 모두 제거될 수 있도록 50 도 이상의 온도에서 15분 내지 30분 동안 건조한다.
이와 같은 건조양생단계에 의하여 제조된 사료의 무게를 줄이고, 사료의 부패를 방지하여 장기간 보관 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함량조성물을 분말화하여 대두유 및 증류수를 추가하여 반죽을 하고, 펠렛화를 한 후에, 건조를 시키는 경우에, 글루텐밀과 구멍갈파래 자체의 점성에 의하여 상기 펠렛화가 된 이온화미네랄을 활용한 갈파래 사료가 물 속에 투여되는 경우에도 상당부분 원형을 유지하면서, 수산어류가 해당 사료를 섭취할 때까지 손실 없이 영양공급을 할 수 있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함량조성물을 분말화하여 대두유 및 증류수를 추가하여 반죽을 하고, 펠렛화를 한 후에, 건조를 시키는 경우에, 사료의 영양성분이 수산어류에 빠르게 침투이행이 가능하게 되고, 결과적으로 후술하는 실험 결과와 같이 수산어류의 성장에 있어서 탁월한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건조양생단계는 상기와 같은 건조과정 이후에도 -15도 이하의 저온 보관과정을 더 포함한다. 이와 같이 저온으로 갈파래 사료를 보관함으로써 상기 펠렛화된 이온화미네랄을 활용한 갈파래 사료의 영양성분을 더욱 안정적으로 패키징을 할 수 있고, 또한 영양성분의 변질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험결과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온화미네랄을 활용한 갈파래 사료는 일반적인 식물성 사료보다 수산어류의 체내에 침투이행이 더욱 용이한 형태로 미네랄 입자의 성질이 변화된 이온화 칼슘과 함께, 수산어류의 성장 및 항산화, 면역에 도움을 주는 갈파래가 함유되어, 침투이행 능력이 더욱 뛰어나고, 수산어류 체내 세포 활성을 빠르게 하여, 수산어류의 성장에 좋은 효능이 있다.
본 발명의 위와 같은 효과를 입증하기 위하여, 하기와 같은 실험을 실시하였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온화미네랄을 활용한 갈파래 사료를 사용하면 전복의 성장에 좋은 효능이 있음을 증명하기 위하여, 1년간의 전복 생육 측정 실험을 하였다.
이하에서 서술할 생육 측정 실험은 특정 규모의 소규모 전복 양식장을 같은 조건 아래 실험군 및 대조군 환경을 조성하고, 실험군 및 대조군 실험환경에 각각 전복 치패를 100마리씩 입식 후 1년간 생육하는 방식으로 수행되었다. 치패란 부유 유생단계를 거쳐 전복 성체의 조건을 갖추고, 사료를 섭취할 정도로 성장하였으나 그 크기가 3cm가량(더욱 크거나 작은 것도 치패라 하나 본 실험에서는 3cm가량의 치패를 사용)인 새끼 전복을 뜻한다.
대조군: 일반사료 급이, 100마리 입식
실험군: 미네랄 갈파래 사료 급이, 100마리 입식
상기 실험군에서의 미네랄 갈파래 사료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온화미네랄을 활용한 갈파래 사료로서, 하기와 같은 제조방법에 의하여 제조되었다.
1) 구멍갈파래를 가압열탕 한 후, 비타민C 수용액(아스코르브산 40g, 증류수 2L)에 6시간동안 침지한 후, 동결건조하고 소성분말화
2) 구멍갈파래 60중량%, 이온화칼슘 3중량%, 다시마 10중량%, 글루텐밀 12중량%, 밀기울 1중량%, 석회석 1.3중량%, 메티오닌 0.3중량%, 라이신0.1중량% 를 50~150㎛ 크기의 분말화 하여 반죽기에서 600rpm으로 혼합
3) 상기 혼합 분말에 대하여 대두유 1중량% 및 증류수 10중량%를 10회로 나누어 10초씩 단위로 넣으며 점진적으로 600rpm에서 1200rpm에 이르기 까지 반죽을 수행
4) 반죽이 수행된 사료반죽을 펠렛팅 기계에 투입하여 5mm 둘레와 15mm 길이를 갖는 펠렛화 사료를 수득
5) 수득된 펠렛화 사료를 60도에서 20분간 건조
상기 대조군에 사용된 일반사료의 영양성분을 분석한 결과는 하기의 표 1과 같다.
가식부 100g당 식품열량 Kcal 301
KJ 1257
수분 g 11.5
단백질 g 35.1
지방 g 1.8
회분 g 8.3
탄수화물 당질 g 37.4
섬유질 g 1.7


칼슘 mg 95
mg 687
mg 17.8


A 레티놀 ug 0
A효능 IU 9980
티아민 (B1) mg 0.95
리보플라빈 (B2) mg 1.30
니아신 mg 6.1
아스코르브산 (C) mg 61
또한, 상기 실험군에 사용된 미네랄 갈파래 사료의 영양성분을 분석한 결과는 하기의 표 2와 같다.
가식부 100g당 식품열량 Kcal 341
KJ 1424
수분 g 11.4
단백질 g 40.3
지방 g 2.0
회분 g 7.3
탄수화물 당질 g 39.0
섬유질 g 1.6


칼슘 mg 870
mg 765
mg 16.8


A 레티놀 ug 0
A효능 IU 18700
티아민 (B1) mg 1.35
리보플라빈 (B2) mg 3.8
니아신 mg 18.7
아스코르브산 (C) mg 179.3
상기 표 1 및 표 2를 통해 두 사료의 영양성분을 분석한 결과, 실험군에 사용된 미네랄 갈파래 사료의 비타민 및 무기질 함량이 월등히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특히 미네랄 갈파래 사료에 큰 폭으로 함유 되어 있는 칼슘의 양이 현저하게 차이가 났다.
실험을 수행함에 있어서, 대조군 및 실험군을 두 개의 수조에 나누어 각각 100마리씩 입식 하였고, 두 수조의 실험환경은 사료를 제외한 모든 조건은 아래와 같이 동일하게 맞추었다.
실험에 사용된 해수는 전라남도 특정 해역의 해수이고, 상기 해수의 성분은 하기의 표 3과 같다.
성분 농도(mol/kg)
H2O 53.6
Cl- 0.546
Na+ 0.469
Mg2 + 0.0528
SO4 2- 0.0282
Ca2 + 0.0103
K+ 0.0102
CT 0.00206
Br- 0.000844
BT 0.000416
Sr2 + 0.000091
F- 0.000068
또한, 실험에 사용된 수조에는 아래 A~E까지의 장치가 포함된 순환여과식 양식시스템을 활용하였고, 이를 통하여 두 수조에 동일한 조건을 오차 없이 조성하였다.
A. 사육조 순환 시스템 (Circulation breeding system): 사육조로부터 배출된 사육수는 순환펌프에 의해 입자가 큰 침전 가능한 고형물을 시스템 내에서 1차적으로 제거하기 위해서 크리너 시스템 (Cleaner system) 으로 유입 시킨다.
B. 크리너 시스템 (Cleaner system): 크리너는 수면의 내, 외의 수위 차를 이용하며, 수조 중심부에 모여있는 슬러지를 흡입해내는 장치이다.
C. 드럼스크린 시스템 (Drumscreen: 물리적 마이크로 여과 시스템: 크리너 시스템에서 유입된 40 마이크로미터 까지의 슬러지를 자동형 드럼스크린을 통하여 걸러낸다.
D. 스키머 시스템 (Skimmer system: 생물학적 유동층 여과 시스템): 드럼스크린을 통하여 40 마이크로미터 이내의 슬러지를 걸러낸 토출 사육수는 다시 스키머로 유입된다. 스키머는 암모니아, 아질산, 수산물의 배설물, 점액성분 및 먹이 찌꺼기로부터 기원한 유기물 내 단백질의 아미노산 성분을 무기화 시킨다.
E. 고정상 여과조 시스템 (Fixed bed filtration tank): 여과재를 물속에 침적시켜서 부유되는 미세 슬러지를 흡착 제거함은 물론, 암모니아, 아질산 등의 부산물 전부를 제거한다.
실험기간 동안 1일당 1.5kg의 사료를 급이 하였고, 급이 시 전복이 주로 밀집되어 있는 파판을 중점적으로 하되, 전체적으로 골고루 흩뿌리는 방식으로 급이 하였다. 1일동안 사료는 6시간 간격으로 1일 2회 나누어 급이 하였다.
사료는 파판으로 가라앉아 파판에 부착되어 전복이 섭취하게 되고, 해당 사료는 13시간 가량이 지나면 물에 녹아 소진되었다. 물에 녹아 물이 탁해지더라도 자동화 순환여과 시스템에 의하여 정화되기 때문에 사육에 크게 문제되지 않았다.
도 4는 본 발명의 대조군 및 실험군에서의 실험개시시의 전복의 성장상태의 사진을 도시한다.
실험 개시시 본 발명의 대조군 및 실험군은 모두 연령 1년생의 전복으로서, 평균 무게는 약 20g이고 평균 크기는 약 3×2.5cm에 해당하였다.
도 5는 본 발명의 대조군 및 실험군에서의 4개월 경과 후의 전복의 성장상태의 사진을 도시한다.
도 5의 왼쪽 사진은 대조군의 사진을 도시하고, 도 5의 오른쪽 사진은 실험군의 사진을 도시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조군과 실험군 모두 성장하였지만 성장치에 차이를 보였다.
대조군의 경우 평균 무게는 약 27g이고 평균 크기는 약 4×3.3cm에 해당하여 실험 개시시에 비해 약 35% 증체 된 것으로 파악되었다.
반면, 실험군의 경우 평균 무게는 약 32g이고 평균 크기는 약 4.8×4cm에 해당하여 실험 개시시에 비해 약 60% 증체 된 것으로 파악되었다.
도 6은 본 발명의 대조군 대조군 및 실험군에서의 1년 경과 후의 전복의 성장상태의 사진을 도시한다.
도 6의 왼쪽 사진은 대조군의 사진을 도시하고, 도 6의 오른쪽 사진은 실험군의 사진을 도시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조군과 실험군 모두 성장하였지만 성장치에 차이를 보였다.
대조군의 경우 평균 무게는 약 39g이고 평균 크기는 약 5.8×4.8cm에 해당하여 실험 개시시에 비해 약 95% 증체 된 것으로 파악되었다.
반면, 실험군의 경우 평균 무게는 약 50g이고 평균 크기는 약 6.1×5.2cm에 해당하여 실험 개시시에 비해 약 150% 증체 된 것으로 파악되었다.
각각의 전복의 증체율은 무게의 평균값 및 길이의 평균값을 기준으로 측정하였다. 1년간 사육 후 전복의 길이는 대조군이 약 5.8×4.8cm, 실험군이 약 6.1×5.2cm에 달했고, 무게는 대조군이 약 39g, 실험군이 약 50g에 달하여 각각 95% 및 150%의 증체율을 나타내어 55%point 가량 차이를 보였다.
즉, 전복이 미네랄 갈파래 사료를 섭취하였을 시, 체내에 함유되기 위해 조성된 이온화 미네랄의 성분, 갈파래의 영양성분 및 비타민C가 더 많이 섭취되어 전복의 성장에 도움을 주는 것을 확인하였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이온화미네랄을 활용한 갈파래 사료가 펠렛형으로 패키징되어, 해수에 투여하더라도 오랫동안 잔존되어 섭취할 때까지의 손실을 방지하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사료의 이온화미네랄 및 구멍갈파래를 포함하는 조성물을 입자로 분말화하여 수산어류에의 빠른 침투이행이 가능한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친환경 원료를 사용하여 사료가 해수에 녹더라도 해수의 오염을 방지하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사료에 이온화미네랄 및 구멍갈파래를 포함하여, 사료를 섭취한 수산어류의 면역증강 및 멸균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이온화미네랄을 활용한 갈파래 사료를 섭취한 수산어류의 물질대사를 활발히 하여 성장을 촉진하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제시된 실시예들에 대한 설명은 임의의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이용하거나 또는 실시할 수 있도록 제공된다. 이러한 실시예들에 대한 다양한 변형들은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백할 것이며, 여기에 정의된 일반적인 원리들은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남이 없이 다른 실시예들에 적용될 수 있다. 그리하여, 본 발명은 여기에 제시된 실시예들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여기에 제시된 원리들 및 신규한 특징들과 일관되는 최광의의 범위에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10)

  1. 이온화미네랄을 활용한 갈파래 사료의 제조방법으로서,
    구멍갈파래, 이온화미네랄, 및 글루텐밀을 포함하는 조성물을 준비하는 함량조성물 준비단계;
    상기 조성물을 대두유 및 증류수와 혼합하고 교반하여 사료반죽을 제조하는 함량조성물 배합반죽단계;를 포함하는, 이온화미네랄을 활용한 갈파래 사료의 제조방법.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함량조성물 준비단계는,
    구멍갈파래를 기설정된 온도 및 시간에서 가압열탕 하는 가압열탕단계;
    가압열탕 한 상기 구멍갈파래를 비타민C 수용액에 기설정된 시간 동안 침지하는 비타민침지단계;
    비타민C 수용액에 침지한 상기 구멍갈파래를 꺼내어 동결건조 하는 동결건조단계; 및
    동결건조 된 상기 구멍갈파래를 기설정된 입자직경으로 분쇄하여 분말화를 수행하는 소성분말화단계;를 포함하는, 이온화미네랄을 활용한 갈파래 사료의 제조방법.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함량조성물 배합반죽단계는,
    상기 조성물을 반죽기에서 교반을 하면서, 대두유 및 증류수의 일정량을 2회 이상 기설정된 시간 간격으로 투여하는, 이온화미네랄을 활용한 갈파래 사료의 제조방법.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함량조성물 배합반죽단계는,
    상기 조성물을 반죽기에서 교반을 할 때, 점진적으로 교반 속도를 상승시키는, 이온화미네랄을 활용한 갈파래 사료의 제조방법.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이온화미네랄을 활용한 갈파래 사료의 제조방법은,
    상기 사료반죽을 펠렛팅 하여 펠렛화 사료를 제조하는 펠렛팅단계;를 더 포함하는, 이온화미네랄을 활용한 갈파래 사료의 제조방법.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이온화미네랄을 활용한 갈파래 사료의 제조방법은,
    상기 펠렛화 사료를 고온건조기에서 기설정된 온도 및 시간으로 건조하는 건조양생단계;를 더 포함하는, 이온화미네랄을 활용한 갈파래 사료의 제조방법.
  7. 이온화미네랄을 활용한 갈파래 사료로서,
    이온화미네랄;
    구멍갈파래; 및
    글루텐밀을 포함하고,
    상기 구멍갈파래는 기설정된 온도 및 시간에서 가압열탕 된 후 비타민C 수용액에 기설정된 시간 동안 침지한 후 꺼내어 동결건조 한 후 기설정된 입자직경으로 분쇄되는, 이온화미네랄을 활용한 갈파래 사료.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이온화미네랄을 활용한 갈파래 사료는 3 내지 7mm 의 둘레 및 5 내지 40mm 의 길이를 갖는 펠렛형이고,
    구멍갈파래, 이온화미네랄, 및 글루텐밀을 포함하는 분말화된 조성물이 대두유 및 증류수와 반죽이 된 후에 펠렛팅 되는, 이온화미네랄을 활용한 갈파래 사료.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이온화미네랄은 이온화칼슘인, 이온화미네랄을 활용한 갈파래 사료.
  10.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이온화미네랄을 활용한 갈파래 사료 총 중량에 대하여, 상기 대두유는 0.5 내지 1.5중량%, 상기 증류수는 9 내지 11중량%, 상기 구멍갈파래는 55 내지 65중량%로 포함되는, 이온화미네랄을 활용한 갈파래 사료.

KR1020170031991A 2017-03-14 2017-03-14 이온화미네랄을 활용한 갈파래 사료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8010498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31991A KR20180104983A (ko) 2017-03-14 2017-03-14 이온화미네랄을 활용한 갈파래 사료 및 이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31991A KR20180104983A (ko) 2017-03-14 2017-03-14 이온화미네랄을 활용한 갈파래 사료 및 이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04983A true KR20180104983A (ko) 2018-09-27

Family

ID=637194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31991A KR20180104983A (ko) 2017-03-14 2017-03-14 이온화미네랄을 활용한 갈파래 사료 및 이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104983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04021B1 (ko) 2021-12-24 2022-06-02 이안스(주) 갈파래를 이용한 사료 첨가제 및 이의 제조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04021B1 (ko) 2021-12-24 2022-06-02 이안스(주) 갈파래를 이용한 사료 첨가제 및 이의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889007A (en) Aquatic animal food composition
CN103349157B (zh) 鲟鱼雌亲鱼配合饲料
CN105815270B (zh) 富硒蟾蜍的养殖方法
CN103989024A (zh) 一种蟹类饲料
CN103300242B (zh) 一种暗纹东方鲀幼鱼膨化沉性配合饲料
CN104000047A (zh) 一种提高螃蟹产蟹膏量的饲料
WO2014165936A1 (en) Feed product and/or feed ingredient
JP2000004800A (ja) 飼料添加剤及びその製法
JP4387686B2 (ja) 飼料用添加物
CN109221631A (zh) 一种用于高产池塘的鲤鱼饲料
KR101979155B1 (ko) 황토를 활용한 미꾸라지 양식방법 및 성어용 사료
KR20180104983A (ko) 이온화미네랄을 활용한 갈파래 사료 및 이의 제조방법
CN108244399A (zh) 一种用于高产池塘的鲤鱼饲料及其制备方法
KR101913806B1 (ko) 수산부산물을 이용한 동,식물용 영양제 및 그의 제조방법
KR101938942B1 (ko) 어미해삼 육상관리를 위한 육성용 절편형 고체사료 조성물 및 제조방법
CN105533265A (zh) 一种宠物蟹饲养用易消化易吸收饲料及其生产方法
Syazili et al. Using tuna fish bone waste as mineral sources in feed formulation of tilapia (Oreochromis niloticus)
CN105380012A (zh) 一种宠物蟹饲养用防病提高免疫力饲料及其生产方法
KR20180047628A (ko) 어미해삼 육상관리를 위한 절편형 고체사료 제조방법
CN104161223A (zh) 用于三疣梭子蟹养殖的复合配方饲料
KR20190076979A (ko) 사료 및 그 제조 방법
CN102125175A (zh) 一种使用发酵菜粕的凡纳滨对虾商业配合饲料
Suleiman et al. Impacts of Moringa oleifera leaves and Lannea barteri bark as growth promoting additives and survival rates in the diets of Clarias gariepinus fingerlings
CN105533263A (zh) 一种宠物蟹饲养用富硒饲料及其生产方法
RU2375911C2 (ru) Влажный корм для подращивания молоди лососевых рыб в морских садках и способ его приготовления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