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36125B1 - 저분자 저밀도 이온화 미네랄 복합체 및 이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저분자 저밀도 이온화 미네랄 복합체 및 이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36125B1
KR102036125B1 KR1020190062935A KR20190062935A KR102036125B1 KR 102036125 B1 KR102036125 B1 KR 102036125B1 KR 1020190062935 A KR1020190062935 A KR 1020190062935A KR 20190062935 A KR20190062935 A KR 20190062935A KR 102036125 B1 KR102036125 B1 KR 10203612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ineral
crystals
nanopowder
water
low molecul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629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송성은
Original Assignee
송성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송성은 filed Critical 송성은
Priority to KR10201900629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3612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361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3612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10/00Animal feeding-stuffs
    • A23K10/40Mineral licks, e.g. salt block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40/00Shaping or working-up of animal feeding-stuffs
    • A23K40/20Shaping or working-up of animal feeding-stuffs by moulding, e.g. making cakes or briquettes
    • CCHEMISTRY; METALLURGY
    • C05FERTILISERS; MANUFACTURE THEREOF
    • C05DINORGANIC FERTILISERS NOT COVERED BY SUBCLASSES C05B, C05C; FERTILISERS PRODUCING CARBON DIOXIDE
    • C05D3/00Calcareous fertilisers
    • C05D3/02Calcareous fertilisers from limestone, calcium carbonate, calcium hydrate, slaked lime, calcium oxide, waste calcium product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9/00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Zo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Coloring Foods And Improving Nutritive Qualit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저분자 저밀도 이온화 미네랄 복합체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비 금속성 광물 및 모려로부터 미네랄 및 탄산칼슘 성분을 획득하여 저분자화 처리한 나노파우더를 포함하여 수용화 되어 영양원으로 사용되어 동식물의 면역력 증진 및 성장촉진 효과를 발휘할 수 있는, 저분자 저밀도 이온화 미네랄 복합체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저분자 저밀도 이온화 미네랄 복합체 및 이의 제조방법 {Low-density Small Molecule Ionized Mineral Composition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저분자 저밀도 이온화 미네랄 복합체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비 금속성 광물 및 모려로부터 미네랄 및 탄산칼슘 성분을 획득하여 저분자화 처리한 나노파우더를 포함하여 수용화 되어 영양원으로 사용되어 동식물의 면역력 증진 및 성장촉진 효과를 발휘할 수 있는, 저분자 저밀도 이온화 미네랄 복합체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분자생물학과 약리학의 분야에서 저분자(Small molecule)는 분자량이 작은(<900달톤) 유기 화합물을 말한다. 저분자는 생물학적 과정에서 조절자로 작용하는 경우가 많으며, 작은 입자 크기를 가지고 있다. 약학 분야에서 저분자는 단백질이나 핵산과 같은 생체고분자에 결합하여 생체분자의 기능을 조절하는 분자를 일컫는다. 저분자는 세포 신호 물질로 다양한 생물학적 기능을 가진다. 저분자는 천연유래(이차대사산물)이거나 인공적으로 합성될 수도 있으며, 약리활성이나 유해성을 가질 수 있다. 저분자는 다양한 세포 활동을 조절할 수 있어, 분자 생물학에 있어 작용기전을 밝히는 중요한 도구로 사용되고 있으며, 신약 개발에 선도물질로도 사용되고 있다. 몇몇 저분자는 다양한 기능을 하는 단백질의 기능을 저해하거나 단백질과 단백질의 상호작용을 방해하기도 한다.
인슐린과 같은 몇몇 단백질 구조의 약을 제외하면 대부분의 약은 저분자이다. 대부분의 단백질은 경구 투여 시 소화기관에서 분해되며, 세포막을 투과하지 못한다. 반면에 저분자는 소화기관이나 세포막에서 잘 흡수된다. 이와 같은 특성 때문에 저분자는 다른 거대 분자기반 약물에 비하여 경구 투여가 가능한 이점이 있다. 거대 분자기반 약물의 경우 약물 전달을 위하여 주사하거나 추가적인 전달 기작이 필요하다.
미네랄은 칼슘, 칼륨, 마그네슘, 나트륨, 규소, 규산, 이산화규소, 철, 셀레늄, 아연, 인, 바나듐, 게르마늄 등으로 불리는 유용무기물질을 일컫는데, 이러한 무기물질은 각기 동·식물 또는 미생물류의 체내에 흡수되어 발휘하는 기능이 모두 다르기 때문에 해당 제재를 이용하려는 목적에 따라서 복합하여 함량을 달리 할 수 있다.
또한, 미네랄 입자에 있어서 밀도가 낮은 경우 대부분의 입자는 미세한 다공을 형성한다. 때문에 더욱 미세한 입자의 유기원소를 포함시킨 채로 동·식물의 체내에 침투이행 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미네랄의 함량을 조절한 복합체를 활용하여 동식물의 면역력 증진 및 성장촉진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다만 생체 이용률이 낮은 미네랄의 문제점을 개선하고자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으나, 체내 흡수율 및 생체 이용률이 높으면서 높은 효과를 나타내는 미네랄 복합체를 제조하는데 어려움이 있는 실정이다.
이와 관련하여 한국 등록특허 10-1809667에서는 천연 광물을 분말화하여 초음파 진동을 통해 미네랄 성분을 용출하여 생성된 미네랄복합체 이온수를 생성하여 사료첨가제를 제조하는 방법이 개시되어 있으나. 미네랄의 체내 흡수를 용이하기 위한 저분자화 내지는 저밀도화 기술 등이 적용되지는 않고 있는 실정이다.
KR 10-1809667 B1
본 발명은 비 금속성 광물 및 모려로부터 미네랄 및 탄산칼슘 성분을 획득하여 저분자화 처리한 나노파우더를 포함하여 수용화 되어 영양원으로 사용되어 동식물의 면역력 증진 및 성장촉진 효과를 발휘할 수 있는, 저분자 저밀도 이온화 미네랄 복합체 및 이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저분자 저밀도 이온화 미네랄 복합체의 제조방법으로서, 비 금속성 광물로부터 미네랄 결정을 수득하는 비금속성암반준비단계; 모려로부터 탄산칼슘 결정을 수득하는 모려준비단계; 상기 미네랄 결정 및 상기 탄산칼슘 결정을 저밀도화 하는 결정저밀도화단계; 및 상기 결정저밀도화단계를 통해 수득된 결정의 나노파우더를 생성하는 나노파우더수득단계; 를 포함하는, 저분자 저밀도 이온화 미네랄 복합체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비금속성암반준비단계는, 비 금속성 광물을 기설정된 크기로 파쇄하는 암반파쇄단계; 고압 분사기를 통해 파쇄된 상기 비 금속성 광물의 불순물을 제거하는 암반세척단계; 세척된 상기 비 금속성 광물을 건조하는 암반건조단계; 및 건조된 상기 비 금속성 광물을 용융하는 암반소성단계; 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모려준비단계는, 모려를 선별하여 고압 분사기를 통해 세척하는 모려세척단계; 세척된 상기 모려의 잔여 불순물을 제거하는 불순물제거단계; 세척된 상기 모려를 건조하는 모려건조단계; 건조된 상기 모려를 소성하는 모려소성단계; 및 소성된 상기 모려를 기설정된 크기로 파쇄하는 모려파쇄단계; 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결정저밀도화단계는, 상기 비금속성암반준비단계 및 상기 모려준비단계를 통해 준비된 상기 비 금속성 광물 및 상기 모려를 소성하는 재소성단계; 및 소성된 상기 비 금속성 광물 및 상기 모려를 급랭시켜 입자를 팽창시키는 급랭단계; 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나노파우더수득단계는, 상기 결정저밀도화단계를 통해 수득된 결정을 전기폭발법에 의해 나노파우더로 변환하는 전기폭발단계; 와전류선별기를 통해 나노파우더의 비철금속 불순물을 선별하는 비철금속선별단계; EMF탈철기를 통해 나노파우더의 철금속 이물을 제거하는 EMF탈철단계; 및 정전기 발생유도 건식 교반을 통해 상기 나노파우더에 정전기를 발생시키는 이온화교반단계; 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이온화 미네랄 복합체의 제조방법은, 수득된 상기 나노파우더를 증류수에 용해시키는 수용성화단계; 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수용성화단계는, 상기 나노파우더가 들어있는 용기에 포화증기를 공급하여 정전기를 발생시키는 정전기발생단계; 상기 용기의 압력을 유지하면서 용기 내부를 교반하여 이온반응을 유도하는 수용화습식교반단계; 및 상기 용기 내부의 포화증기를 감압탱크를 통해 감압하여 미네랄 이온수를 수득하는 미네랄이온수수득단계; 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이온화 미네랄 복합체의 제조방법은, 상기 수용성화단계 중 침전된 침전물을 회수하고, 회수된 상기 침전물을 상기 나노파우더수득단계 수행 시 첨가하여 활용하는 재가공단계; 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저분자 저밀도 이온화 미네랄 복합체로서, 비 금속성 광물로부터 수득한 미네랄 결정; 및 모려로부터 수득한 탄산칼슘 결정; 을 저밀도화 처리한 나노파우더를 포함하는, 저분자 저밀도 이온화 미네랄 복합체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나노파우더는 100nm 이하의 크기의 분말일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이온화 미네랄 복합체는, 상기 나노파우더에 포화증기를 공급하면서 교반하여 이온반응을 유도하여 획득한 수용화 조성물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제조된 저분자 저밀도 이온화 미네랄 복합체는 수용화된 이온화 미네랄로써 담수 또는 해수 내의 미네랄 영양물질을 영양원으로 하는 기능성 미세조류 배양에 효용을 갖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제조된 저분자 저밀도 이온화 미네랄 복합체는 수용화된 이온화 미네랄로써 토양 내의 미네랄 영양물질을 영양원으로 하는 기능성 미생물 배양에 효용을 갖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동물의 체내에 흡수가 용이한 저분자 저밀도 이온화 미네랄 복합체를 제조할 수 있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제조된 저분자 저밀도 이온화 미네랄 복합체는 동물의 체내에 흡수 된 경우 세포의 산화를 방지하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제조된 저분자 저밀도 이온화 미네랄 복합체는 항산화성을 가져 바이러스의 침투를 방지하거나 사멸시키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온화 미네랄 복합체의 제조방법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금속성암반준비단계의 세부 단계들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 금속성 암반의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암반소성단계를 실시하는 모습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려준비단계의 세부 단계들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결정저밀도화단계의 세부 단계들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결정저밀도화단계를 실시하는 모습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급랭단계를 실시하는 모습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9는 일반 미네랄 입자 및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결정저밀도화단계에 따라 조성된 미네랄 입자를 현미경으로 관찰한 모습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나노파우더수득단계의 세부 단계들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폭발단계를 수행하기 위한 제조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용성화단계의 세부 단계들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온화 미네랄의 효용을 확인하기 위해 활용된 클로렐라 캡슐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온화 미네랄의 효용을 확인하기 위한 실험을 수행한 배양배지 및 배양용기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온화 미네랄의 효용을 확인하기 위한 실험에 따라 배양된 클로렐라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온화 미네랄의 효용을 확인하기 위해 수행한 가금류 섭이 실험의 실험군 및 대조군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온화 미네랄의 효용을 확인하기 위해 수행한 가금류 섭이 실험의 1주령의 실험군 및 대조군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온화 미네랄의 효용을 확인하기 위해 수행한 가금류 섭이 실험의 31일령의 실험군 및 대조군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다양한 실시예들 및/또는 양상들이 이제 도면들을 참조하여 개시된다. 하기 설명에서는 설명을 목적으로, 하나이상의 양상들의 전반적 이해를 돕기 위해 다수의 구체적인 세부사항들이 개시된다. 그러나, 이러한 양상(들)은 이러한 구체적인 세부사항들 없이도 실행될 수 있다는 점 또한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인식될 수 있을 것이다. 이후의 기재 및 첨부된 도면들은 하나 이상의 양상들의 특정한 예시적인 양상들을 상세하게 기술한다. 하지만, 이러한 양상들은 예시적인 것이고 다양한 양상들의 원리들에서의 다양한 방법들 중 일부가 이용될 수 있으며, 기술되는 설명들은 그러한 양상들 및 그들의 균등물들을 모두 포함하고자 하는 의도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실시예", "예", "양상", "예시" 등은 기술되는 임의의 양상 또는 설계가 다른 양상 또는 설계들보다 양호하다거나, 이점이 있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을 수도 있다.
더불어, 용어 "또는"은 배타적 "또는"이 아니라 내포적 "또는"을 의미하는 것으로 의도된다. 즉, 달리 특정되지 않거나 문맥상 명확하지 않은 경우에, "X는 A 또는 B를 이용한다"는 자연적인 내포적 치환 중 하나를 의미하는 것으로 의도된다. 즉, X가 A를 이용하거나; X가 B를 이용하거나; 또는 X가 A 및 B 모두를 이용하는 경우, "X는A 또는 B를 이용한다"가 이들 경우들 어느 것으로도 적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 사용된 "및/또는"이라는 용어는 열거된 관련 아이템들 중 하나 이상의 아이템의 가능한 모든 조합을 지칭하고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포함한다" 및/또는 "포함하는"이라는 용어는, 해당 특징 및/또는 구성요소가 존재함을 의미하지만, 하나이상의 다른 특징, 구성요소 및/또는 이들의 그룹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명백하게 다른 내용을 지시하지 않는 “한”과, “상기”와 같은 단수 표현들은 복수 표현들을 포함한다는 것이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서, 별도로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미네랄”은 광물, 광석, 무기질을 주성분으로 무기염류를 지칭하고, Ca, Mn, Fe, Cu, P, Zn, K, Na, Cl, Ma, Mo 등 및 이들을 주 원소로 하여 다른 원소와 반응한 화합물을 지칭하는 최광의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저분자 저밀도 이온화 미네랄 복합체의 경우 수용화 하여 동·식물 및 인체의 면역력 강화, 항산화 등에 활용될 수 있고, 또한 함량비에 따라서는 세포의 성장촉진 등에 활용될 수 있다. 또한, 특정 동·식물성 미생물이 필요로 하는 환경의 수질조건을 해당 미네랄을 활용하여 특정함량 조성하게 되면 종래에 비해 비약적으로 배양을 촉진시킬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저분자 저밀도 이온화 미네랄 복합체의 제조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온화 미네랄 복합체의 제조방법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저분자 저밀도 이온화 미네랄 복합체의 제조방법은, 비 금속성 광물로부터 미네랄 결정을 수득하는 비금속성암반준비단계(S100); 모려로부터 탄산칼슘 결정을 수득하는 모려준비단계(S200); 상기 미네랄 결정 및 상기 탄산칼슘 결정을 저밀도화 하는 결정저밀도화단계(S300); 상기 결정저밀도화단계를 통해 수득된 결정의 나노파우더를 생성하는 나노파우더수득단계(S400); 수득된 상기 나노파우더를 증류수에 용해시키는 수용성화단계(S500); 및 상기 수용성화단계(S500) 중 침전된 침전물을 회수하고, 회수된 상기 침전물을 상기 나노파우더수득단계 수행 시 첨가하여 활용하는 재가공단계(S600); 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금속성암반준비단계의 세부 단계들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비금속성암반준비단계(S100)는, 비 금속성 광물을 기설정된 크기로 파쇄하는 암반파쇄단계(S110); 고압 분사기를 통해 파쇄된 상기 비 금속성 광물의 불순물을 제거하는 암반세척단계(S120); 세척된 상기 비 금속성 광물을 건조하는 암반건조단계(S130); 및 건조된 상기 비 금속성 광물을 용융하는 암반소성단계(S140); 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비금속성암반준비단계(S100)는 비 금속성 광물로부터 미네랄 결정을 수득한다. 이 때 상기 비 금속성 광물은 맥반석, 규석, 장석 중 1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비 금속성 광물은 맥반석 35∼45%, 규석 30∼40%, 장석 20∼30%의 함량비를 가질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맥반석 39∼41%, 규석 34∼36%, 장석 24∼26%의 함량비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암반파쇄단계(S110)에서는 상기 비 금속성 광물을 직경 10 내지 20mm의 크기로 파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비 금속성 광물을 파쇄한 후 육안으로 드러나는 상태이상 광물을 제거할 수 있다.
상기 암반세척단계(S120)에서는 1000bar 이상의 초고압 분사기를 활용하여 물로 불순물을 제거할 수 있다. 이 후 상기 암반건조단계(S130)에서는 수분이 모두 마르도록 건조할 수 있다.
상기 암반소성단계(S140)에서는 세척 후 건조된 상기 비 금속성 광물을 로에서 1100 내지 1300℃의 온도에서 3시간 이상 용융하여 소성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 금속성 암반의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3의 (A)에는 맥반석의 사진이 도시되어 있다.
맥반석은 중국의 한방의학에서 사용한 용어로 알려지고 있으며 지질학적으로 분류하자면 화강암 류에 속한다. 석영반암, 장석반암, 화강반암과 같은 것으로서, 암석 명으로 석영-몬조나이트와 일치한다. 석영과 장석이 촘촘하게 섞여 있다. 누런 백색, 연한 누런 갈색, 옅은 회색, 짙은 녹색 또는 옅은 녹색 암석에 빨간 점 또는 하얀 점이 고르게 섞여있는 모습이 보리밥으로 만든 주먹밥과 같다고 하여 맥반석이라는 이름이 붙었다.
맥반석의 주성분은 무수규산, 산화알루미늄이다. 누런 백색을 띤 것은 여과제, 소염제 등으로 쓰여 약석이라 불린다. 산화제2철이 소량 함유되어 있다. 약석으로 알려진 것은 누런 백색을 띤 맥반석으로 예전에는 환약을 정제하는 여과제, 등에 나는 부스럼 또는 종기 등 피부질병을 치료하는 소염제로 사용하였다. 동의보감에 의하면 그 성질은 달고, 따뜻하며, 독이 없다고 한다. 1㎤당 3∼15만 개의 구멍으로 이루어져 있어 흡착성이 강하고, 약 2만 5000종의 무기염류를 함유하고 있다. 중금속과 이온을 교환하는 작용을 하기 때문에 유해금속 제거제로도 사용하며, 이 암석에 열을 가하면 원적외선을 방출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전국의 맥반석 산출 지역에 따른 특성이 하기 표 1에 정리되어 있다.
채취지역 pH 미네랄 용출량(Ca, K, Mg, Na의 합)
충무 9.46 17.42 ppm
완도 8.26 13.29 ppm
포항 9.04 11.05 ppm
목포 7.10 10.17 ppm
진도 6.39 10.29 ppm
충주 7.16 9.48 ppm
예산 6.02 9.37 ppm
곡성 7.58 6.65 ppm
전주 8.96 8.27 ppm
채굴한 맥반석의 pH 변화 및 미네랄 용출량을 조사 한 결과 미네랄은 충무에서 채굴한 맥반석이 17.42 ppm으로 가장 높았고, pH변화 또한 충무에서 채굴한 맥반석이 pH9.46으로 가장 높아 알칼리성으로 나타났다.
또한, 산출된 맥반석의 주요 성분을 분석한 결과가 하기 표 2에 정리되어 있다.
충무 완도 포항 목포 구례 충주 예산 곡성 전주 일본 평균
SiO2 70.4 71.3 74.1 67.4 74.7 64.6 71.5 70 69.7 64.7 69.8
Al2O 13.7 14.1 14.6 16.2 15.5 17 14.5 13.2 14 14.3 14.7
K2O 4.4 2.1 3.9 3.9 4.3 3 4 3.7 3.1 3.4 3.6
MgO 1.2 1.7 0.5 0.5 0.2 1.8 0.7 1.3 3.5 0.2 1
CaO 1.6 0.9 0.3 - 0.9 3.6 1.8 2.3 2 2.7 1.6
Na2O 3.5 4.6 4 4 0.2 3.5 3.6 2 3.1 3.3 3.2
Ti 3.3 2.7 1.9 - 0.08 - 0.3 1.2 0.3 - 1
P2O5 0.2 0.2 - - 0.08 - - - 0.2 - 0.07
Fe2O3 1.3 1.2 0.4 1.9 0.8 4 2 4.3 2.6 - 1.89
99.8 99.2 100 94.1 97.8 97.7 98.6 98.4 98.9 88.7 97.2
전국에 분포된 맥반석 원석의 화학 성분 분석 결과는 충무, 완도 및 포항에서 채굴한 맥반석이 미네랄 성분이 높게 검출되었다.
도 3의 (B)에는 규석의 사진이 도시되어 있다.
규석(실리카)은 지구 지각의 60% 이상을 차지하고 있는 광물로 경도가 강한 비금속 광물 중 하나이다. 주로 석영으로 이뤄진 광물이다. 순도가 높은 흰색을 백규석이라 하고, 그 중 페그마타이트에 포함된 것을 장(長)규석이라고 한다. 연(軟)규석은 다소 점토가 섞여있고, 노재(爐材)규석은 철분을 함유하여 적색을 띄며, 내(內)장석은 작은 규석 조각이다.
규석의 화학성분은 무수규산 SiO2 이다. 순도가 높고 흰색의 것을 백규석이라 하며, 페그마타이트·석영맥(石英脈)·규암·처트(chert)에서 산출된다. 규산 분은 95∼97% 이상이다. 특히 페그마타이트에 포함된 것은 장석과 함께 채굴되므로 장규석이라 한다.
연규석은 석영질 암석이 풍화하여 토상(土狀)을 이룬 것으로 다소 점토가 섞여 있다. 내화 모르타르나 시멘트의 혼합재로 사용되며 규산 분이 90% 정도이다. 노재규석은 처트의 일종으로, 철분을 함유하므로 적색을 띠는 각력(角礫)이 있으며 내화벽돌의 주원료이다. 내장석은 규석의 작은 조각으로, 지름 5∼15cm 이며, 도자기 원료 분쇄용 볼 밀(ball mill)의 내장용에 사용된다.
규석에 대량 함유되어 있는 규산(SiO2)은 차별화된 동·식물성 영양원료로 사용된다. 다만 규석은 경도가 커서 파쇄 및 분쇄가 어렵고, 분쇄 시 모서리가 날카로워 체(sieve)에 끼어서 입도 별 분리분급이 어려운 단점이 있어서 생산량 저하 및 품질관리(입도 별 생산)에 애로가 많다. 때문에 본 발명의 나노파우더 분쇄 단계에서 전기폭발법을 활용한 초미세분말로 가공하는 기술이 꼭 필요하다.
도 3의 (C)에는 장석의 사진이 도시되어 있다.
장석은 화강암의 주요 구성성분이며 칼륨, 나트륨, 칼슘을 함유한 알루미늄 층상 규산염 광물이다. 화학성분은 (K, Na, Ca)(Al, Si)4O8이다. 천연으로 산출되는 장석은 대부분, 칼륨장석(K-장석)(KAlSi3O8), 나트륨장석(사장석)(NaAlSi3O8), 칼슘장석(CaAl2Si2O8)의 세 가지 단 성분 계열에 속한다. 칼슘장석과 나트륨장석은 보웬의 반응계열(Bowen's reaction series)을 따라 연속적으로 고용체를 이루는데, 각각을 알칼리장석, 사장석이라고 총칭한다.
본 발명에서의 장석은 칼륨함량이 8중량% 이상인 정장석, 미사장석, 빙장석 및 파리장석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석을 원료로 할 수 있다. 장석이 함유하고 있는 불용성의 산화칼륨을 가용성으로 개량하게 되면 동식물 생육에 필수성분인 칼륨을 직접 공급할 수 있게 된다. 가용성이란 동식물의 체내에 흡수가 가능한 형태를 의미하며, 본 발명의 전 단계를 거치면 해당 가용성화가 가능하게 된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비 금속성 광물인 맥반석, 규석, 장석에는, 칼슘, 칼륨, 마그네슘, 규소, 규산, 셀레늄, 아연이 함유되어 있다. 다만 100% 해당 성분으로만 이루어지지 않았을 수 있으며, 소성단계에서의 온도조절 및 클링커 추출을 통한 정제와 나노파우더 제조 후, 비철금속선별단계 및 EMF탈철단계를 통해 금속성 광물분말을 모두 제거하는 공정이 필요하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암반소성단계를 실시하는 모습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상기 암반소성단계(S140)에서 상기 비 금속성 광물을 용융할 때, 전기로 또는 가스화로에서 용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형 용광로를 사용하여 용융하는 경우, 용융 과정에서 녹지 않는 철 성분 및 본 발명에 필요하지 않은 기타 금속류를 걸러내기 위해 도구를 사용하는 데에 어려움이 있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도 4의 (A)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암반소성단계(S140)에서 도구를 사용하여 용융물 내부의 녹지 않은 덩어리를 제거할 수 있다. 도 4의 (B)에는 이와 같은 과정을 통해 제거된 금속광물이 도시되어 있다. 이 때, 차가운 도구를 사용하는 경우 용융물의 온도가 내려가는 문제가 있으므로, 도구를 사전에 가열하여 용융물에 삽입하여 녹지 않은 덩어리를 제거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려준비단계의 세부 단계들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모려준비단계(S200)는, 모려를 선별하여 고압 분사기를 통해 세척하는 모려세척단계(S210); 세척된 상기 모려의 잔여 불순물을 제거하는 불순물제거단계(S220); 세척된 상기 모려를 건조하는 모려건조단계(S230); 건조된 상기 모려를 소성하는 모려소성단계(S240); 및 소성된 상기 모려를 기설정된 크기로 파쇄하는 모려파쇄단계(S250); 를 포함할 수 있다.
모려의 다른 이름은 여합(蠣蛤)·모합(牡蛤)이다. 굴조개과 동물인 참굴(Ostrea gigas Thunb.), 민어굴(Ostrea rivuralis Gould.) 및 같은 속(屬)에 속하는 굴조개류의 조가비이다. 굴조개류는 우리 나라 동·서·남해에 있다. 산란 철을 빼고 아무 때나 잡아서 조가비를 따내어 씻어 말린다. 맛은 짜고 성질은 평하다. 모려란 굴 껍질을 뜻하는 한방 용어이다.
문헌에 따른 모려의 효험은 아래와 같다.
<본초경집주>: 감기, 공포감, 화를 잘 냄, 여성의 백대하를 치료하고 장기간 복용하면 관절을 강하게 한다.
<명의별록>: 관절의 습열을 제거한다. 땀을 멈추고 갈증을 멈추는 작용을 하며 설사를 멈추게 한다.
<약성본초>: 여성의 월경과다를 치료하며, 지도한, 제풍습, 지통(통증 억제), 치학질의 효능이 있다.
<본초합유>: 성인, 소아의 도한을 치료한다.
<해약본초>: 남자의 허로에는 신을 보하고 정신을 안정시킨다. 소아의 경기를 치료하며 지도한, 치유정의 효능이 있다.
<본초강목>: 화담연견, 청열제습의 효능이 있다. 산하적괴, 영류결핵을 치료한다.
<본초구진>: 입신하여 연견, 화담, 산결, 수삽, 고탈 작용을 한다. 영류결핵, 혈하, 유정, 붕대, 해수, 도한, 유뇨, 활설을 치료한다.
<동물성중약지연구>: 모려는 질이 경중하여 분쇄하기 어려우며, 단면층을 형성하고 내면에 광택이 있는 것이 좋다. 모려는 탄산칼슘, 인산칼슘, 규산 등을 함유한다.
<중약대사전>: 성분으로 80∼95%의 탄산칼슘, 인산칼슘, 황산칼슘 등을 함유한다. 또 마그네슘, 알루미늄, 규소, 산화제2철 등을 함유한다. 임상적으로 폐결핵의 도한에 좋은 효과가 있으며 부작용이 없는 것으로 보고되어 있다.
상기 모려세척단계(S210)에서는 1000bar 이상의 초고압 분사기를 활용하여 물로 불순물을 제거할 수 있다.
이 후 상기 불순물제거단계(S220)에서는 상기 모려세척단계(S210)에서 떨어지지 않은 잔여 불순물이 붙어 있을 시 이를 제거할 수 있다. 이 때 핸드그라인더 등의 도구를 사용하여 잔여 불순물을 제거할 수 있다.
이 후 상기 모려건조단계(S230)에서는 세척된 모려의 수분이 모두 마르도록 건조한다.
이 후 상기 모려소성단계(S240)에서는 건조된 모려를 전기로에서 900℃ 이상의 온도를 가하여 소성한다.
이 후 상기 모려파쇄단계(S250)에서는 소성되어 흰색의 클링커가 된 모려를 직경 10 내지 20mm의 크기로 파쇄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결정저밀도화단계의 세부 단계들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결정저밀도화단계(S300)는, 상기 비금속성암반준비단계(S100) 및 상기 모려준비단계(S200)를 통해 준비된 상기 비 금속성 광물 및 상기 모려를 소성하는 재소성단계(S310); 및 소성된 상기 비 금속성 광물 및 상기 모려를 급랭시켜 입자를 팽창시키는 급랭단계(S320); 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재소성단계(S310)에서는 상기 비 금속성 광물 45∼55% 및 상기 모려 45∼55%의 함량비를 갖도록 상기 비 금속성 광물 및 상기 모려를 소성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비 금속성 광물 49∼51% 및 상기 모려 49∼51%의 함량비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재소성단계(S310)에서는 1500℃ 이상의 온도를 가하여 용융시킬 수 있다.
이 후 상기 급랭단계(S320)에서는 용융된 수득물을 급랭시킨다. 이와 같은 급랭 과정을 통해 미네랄의 입자를 팽창시켜 밀도를 낮게 하여 저밀도 미네랄을 수득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생성된 저밀도 미네랄은 서냉 되어 제조 되는 종래의 미네랄에 비해 흡수가 용이한 특성을 갖게 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얼음을 이용하여 수냉 함으로써 용융된 수득물을 급랭시킬 수 있다. 도 7에는 이와 같이 얼음을 이용한 수냉방법으로 급랭시키기 위해 용융된 수득물을 세라믹 모루에 펼치는 모습이 도시되어 있고, 도 8에는 얼음을 이용하여 급랭시키는 모습이 도시되어 있다.
도 9는 일반 미네랄 입자 및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결정저밀도화단계에 따라 조성된 미네랄 입자를 현미경으로 관찰한 모습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상기와 같은 급랭단계(S320)를 통해 용융된 수득물을 급랭시키게 되면 소성된 미네랄이 빠르게 냉각되면서 입자의 밀도가 낮아지게 되는데, 이와 같은 입자의 변화는, 나노분말이 되어서도 특성의 차이를 보이게 된다.
도 9를 참조하면 이처럼 냉각된 입자의 변화를 확인할 수 있다. 도 9의 (A)에는 일반적인 미네랄 입자의 현미경 사진이 도시되어 있고, 도 9의 (B)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생성된 저밀도 미네랄 입자의 현미경 사진이 도시되어 있다. 두 현미경 사진을 비교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생성된 저밀도 미네랄 입자의 크기가 더 큰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나노파우더수득단계의 세부 단계들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나노파우더수득단계(S400)는, 상기 결정저밀도화단계(S300)를 통해 수득된 결정을 전기폭발법에 의해 나노파우더로 변환하는 전기폭발단계(S410); 와전류선별기를 통해 나노파우더의 비철금속 불순물을 선별하는 비철금속선별단계(S420); EMF탈철기를 통해 나노파우더의 철금속 이물을 제거하는 EMF탈철단계(S430); 및 정전기 발생유도 건식 교반을 통해 상기 나노파우더에 정전기를 발생시키는 이온화교반단계(S440); 를 포함할 수 있다.
1 나노미터(nm)는 10- 9m 이고, 나노입자라 칭하는 경우는 일반적으로 100nm 이하의 크기를 말하며, 수 개내지 수백 개의 원자 혹은 분자들이 모여 있는 정도를 말한다. 나노입자는 마이크론 크기(10-6m)에서 나타나지 않는 특이한 전자적, 광학적, 전기적, 자기적, 화학적, 기계적인 특성들이 기대 되고 있다. 이 때문에 나노입자 제조 및 응용 기술이 많이 연구 되고 있다.
분말은 입자의 집합체로 구성되어 있지만, 이 집합하고 있는 최소 단위가 되는 입자를 1차입자라고 한다. 1차 입자가 집합하여 마치 하나의 입자로서 거동하는 것이 2차 입자이다. 또한 집합의 강함에 의해 강한 것을 응집체(aggregate), 약한 것을 집합체(agglomerate)라고 부른다. 분말은 고체이기는 하지만 입자의 불연속인 집합체이고 벌크 상태의 물질과 그 성질도 크게 다르다.
저밀도 나노분말은 하기와 같은 특징을 가지고 있다.
첫째로 저밀도 나노분말은 다수의 불연속면을 가지기 때문에 불연속면의 존재에 의해 나타난 성질이 벌크 상태의 성질을 숨겨 버리는 특성이 있다. 독특한 집합상태이다. 충진 밀도가 같더라도 충진 구조는 같다고 제한하지 않는다.
둘째로 밀도가 낮고, 입자의 크기가 작아, 접촉되는 계면이 특히 넓기 때문에 흡착이나 반응의 현상이 현저하다. 결정의 크기가 작아지면 전체 원자에 대한 표면 원자의 비율이 높아진다.
셋째로 일반적으로 내부의 원자에 비하여 표면원자가 자유에너지에 큰 기여를 하므로 접촉면이 넓은 저밀도 나노분말은 물질의 열역학적 성질에 큰 변화를 일으킨다. 따라서 벌크 상태의 물질보다 나노크기의 저밀도 물질들은 단위 원자당 높은 에너지를 가지게 된다. 이와 같은 특성은 나노크기의 촉매에 응용되어 촉매의 활성도를 높일 수 있다.
넷째로 불연속적 에너지 준위를 가지는 원자 및 분자와 연속적 에너지 밴드를 가지는 벌크의 중간쯤에 위치하게 되어 불연속적인 에너지 준위와 연속적인 에너지 준위를 동시에 가지게 된다. 따라서 벌크와 원자나 분자 상태에서 나타나는 성질과는 다른 광학적, 전기적 성질을 나타낸다. 이를 양자 크기 효과라고 한다. 금속, 절연체 나노물질에서도 이러한 효과가 나타나지만 나노물질이 비금속성인 경우 저밀도화가 용이하므로 두드러지게 나타난다.
상기 전기폭발단계(S410)에서는 수득된 결정을 전기폭발법에 의해 나노파우더로 변환한다. 전기폭발법은, 약 10cm 길이의 가는 금속선에 매우 높은 전류(107A/Cm2)를 흘려 금속선을 급속 저항 가열시켜 폭발적으로 금속을 증기화 하여 나노분말을 합성하는 방법이다. 표준 규격화된 장비를 활용하여 균일한 나노분말을 제조한다.
더욱 상세하게는, purse power를 이용하여 캐패시터에 충전된 고밀도 전류가 metal wire를 통과할 때 metal wire의 저항에 의하여 열이 발생되고, 이를 견디지 못한 wire가 폭발하는 것이다. 인가된 고밀도 전류에 의하여 10- 6sec의 짧은 시간에 순간적으로 높은 온도(104∼106℃) 에 도달하게 되며 wire 전체가 동시에 기화되기 때문에 최초 물질의 조성을 갖는 분말의 합성이 가능하다. 이때 미세입자나 금속증기가 발생하고 응축, 증발을 통하여 나노분말을 합성하게 된다. 전기폭발법의 장점은 wire에 인가되는 에너지를 제어함으로 분말의 크기를 조절할 수 있으며, 반응기 내부의 분위기를 조절하여 산화물, 질화물, 탄화물 등의 다양한 합금을 제조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전기폭발법을 수행할 수 있는 제조장치가 도 11에 도시되어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폭발단계(S410)를 수행하기 위한 제조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모식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전기폭발단계(S410)를 통해 생성되는 상기 나노파우더는 100nm 이하의 크기의 분말일 수 있다.
상기 비철금속선별단계(S420)에서는 와전류선별기를 활용하여 비철금속을 선별하여 불순물을 제거할 수 있다. 상기 와전류선별기는 강력한 영구자석이 설치된 마그네틱 로터를 고속으로 회전시켜 생성된 와전류(Eddy current)를 이용하여 탈철 및 알루미늄, 동, 구리 등의 비철금속 불순물을 선별하는 기계이다. 유리, 플라스틱 리사이클링, E-scrap 리사이클링 등 물질 속에서 유가자원의 회수 등에 쓰인다. 초 강력 영구자석을 이용하여 비철금속과 같은 일반 자력으로 선별하기 힘든 상자성체 금속 등을 선별해준다.
상기 EMF탈철단계(S430)에서는 EMF탈철기 통해 나노파우더의 철금속 이물을 제거한다.
EMF 탈철 법은 요업, 첨단소재, 화학, 광업, 분말식품공업 등에서 사용하는 자성물질 분류법으로, 극소량의 철금속 이물의(ppb, ppm) 제거가 가능하다. 자력을 조절하여 원료의 특성에 맞는 탈철 조성이 용이하다. 또한 철 가루의 자동 제거로 철분 관리가 용이하다.
분체 또는 졸/겔 형태의 물질을 강력한 자기장 내로, 통과, 투자율이 우수한 강자성체물질 FILTER로 필터링 하여 자성체를 제거한다. 자력을 집중시켜 자력을 극대화 시키는 원리로 원료 내의 미량의 약, 강 자성체(철, STS430)을 완벽하게 제거하기 위하여 사용한다. 자력은 전기에 의하여 제어가 가능하며, 탈철 시 시스템의 구성으로 자동 탈철 방식으로도 응용 할 수 있다.
상기 이온화교반단계(S440)에서는 정전기 발생유도 건식 교반을 통해 상기 나노파우더에 정전기를 발생시킨다. 상기 정전기 발생유도 건식 교반을 통하여 물질이 이온성질을 가지게 하고 물에 녹는 성질을 가지게 할 수 있다. 건식 교반을 통한 정전기 발생 단계는, HOMOGENIZING DISPER 기기를 활용하여, 융합조성물을 1시간 동안 2,200rpm으로 건식 교반 함으로써 강제적인 정전기를 발생 시켜 이온반응단계를 위한 미네랄 분말을 제조하게 된다.
많은 양을 건식교반 하는 데에는 큰 기기와 많은 비용이 소요된다. 하지만 이온분말은 적은 양을 수중에 용해시켜 많은 양의 미네랄 이온수를 얻어낼 수 있으므로, 소량을 건식 교반 할 수 있는 기기를 선정하여 사용하는 것이 좋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용성화단계의 세부 단계들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도면이다.
본래 수용성 성질을 가지지 못하는 구조를 가진 광물이나 유기물 소성 미분말의 경우, 해당 전하를 달리 하는 조정과정을 거치면 이온 성질을 가지게 되면서 물에 녹을 수 있는 전하를 가지게 된다. 전하 조정 과정뿐만 아니라, 고온 고압의 기체를 동반한 기압식 교반과정을 거치면 물성이 이온화를 띄기 용이하게 된다.
도 1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수용성화단계(S500)는, 상기 나노파우더가 들어있는 용기에 포화증기를 공급하여 정전기를 발생시키는 정전기발생단계(S510); 상기 용기의 압력을 유지하면서 용기 내부를 교반하여 이온반응을 유도하는 수용화습식교반단계(S520); 및 상기 용기 내부의 포화증기를 감압탱크를 통해 감압하여 미네랄 이온수를 수득하는 미네랄이온수수득단계(S530); 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정전기발생단계(S510)에서는 용기에 상기 나노파우더를 충진하고, 상기 용기에 300℃ 이하의 온도 및 1.4 내지 5MPa의 압력을 갖는 포화증기를 공급한다. 이 때 상기 포화증기에 의해 생성되는 물방울에 의해 정전기가 발생하게 된다.
상기 수용화습식교반단계(S520)에서는 상기 용기 내부의 압력을 일정하게 유지하면서 용기 내부를 교반하여 이온반응을 유도한다.
상기 미네랄이온수수득단계(S530)에서는 상기 용기 내부의 포화증기를 감압탱크에서 미네랄 이온수를 수득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포화증기는 제1감압탱크 및 제2감압탱크를 통해 감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수용성화단계(S500)에서 사용되는 물과 상기 나노파우더의 중량 비는 물 50중량부에 대해 나노파우더 0.2 내지 0.4중량부의 비율로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미네랄이온수수득단계(S530)를 통해 수득된 미네랄 이온수는 증류수에 희석 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수득된 상기 미네랄이온수 1중량부에 대해 증류수 950 내지 1050중량부를 희석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수용성화단계(S500)를 통해 획득한 수용화 조성물의 경우 일부 구성 성분이 물에 포화되어 침전물이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재가공단계(S600)에서는 상기 수용성화단계(S500) 중 침전된 침전물을 회수하고, 회수된 상기 침전물을 상기 나노파우더수득단계 수행 시 첨가하여 활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침전물의 발현 시점은 고온 고압의 증기가 식어 실온인 20∼30℃가 되었을 때이다. 따라서 20∼30℃의 온도에서 침전물을 제거한다. 침전물의 제거는 사이펀(또는 스포이트)을 여러 차례 활용하거나, 아래 침전물이 부유되지 않도록 조심하면서 맑은 윗물을 여러 차례 떠내는 방법이 적절하다.
침전물 발생되는 이유는 이온화 미네랄 복합체가 나노파우더(325mesh 이하)보다 큰 입자를 포함하기 때문일 수 있다. 또한 금속성 성분이 침전되는 경우도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침전물을 회수하여 상기 나노파우더수득단계(S400)의 비철금속선별단계(S420) 및 EMF탈철단계(S430)를 재 수행하여, 이온화 미네랄 복합체의 재 제조 시 첨가하여 활용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단계를 통해 제조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저분자 저밀도 이온화 미네랄 복합체는 비 금속성 광물로부터 수득한 미네랄 결정; 및 모려로부터 수득한 탄산칼슘 결정; 을 저밀도화 처리한 나노파우더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나노파우더에 포화증기를 공급하면서 교반하여 이온반응을 유도하여 획득한 수용화 조성물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험결과(미세조류 생육 실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제조된 저분자 저밀도 이온화 미네랄 복합체는 동식물의 면역력 증진 및 성장촉진에 효용을 갖는 기능성 성분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이와 같은 효과를 입증하기 위하여, 하기와 같은 실험을 실시하였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저분자 저밀도 이온화 미네랄 복합체에 의한 성장촉진성에 관한 측정 및 그 증명을 위하여, 미세조류(클로렐라)의 생육 측정 실험을 수행하였다.
1. 공통실험조건
균주: 농업용 클로렐라 균주(RDA보급형)을 활용하여 중형 배양기에 입식하여 배양하였다. 도 13에 상기 농업용 클로렐라 균주의 캡슐이 도시되어 있다.
배양배지: 담수 클로렐라 전용 배양배지(FWCM-02) 사용하였다. 클로렐라 전용 배양배지와 배양수는 1:200 비율(배양배지 5ml 및 배양수 1L)로 넣어 준 후 배양하였다.
배양수: 정수기물, 생수 및 증류수를 사용하였다.
배양장비: 보급형 농업용 클로렐라 자가 배양장치 사용하였다. 배양용기로 10L 저밀도 폴리에틸렌(LDPE) 팩(6L 최적 배양)을 사용하였다. 도 14의 (A)에 상기 배양배지가 도시되어 있고, 도 14의 (B)에 상기 배양용기가 도시되어 있다.
배양조건: 최적온도는 28∼30℃, 적정온도는 15∼40℃로 조절하였고, 자연광 또는 인공광(2500Lux 이상의 형광등, LED등)을 사용하였다. 자연광을 주로 활용하였으나 날씨에 따라 인공광을 활용하였다. 대기 중의 공기를 분당 3.0L씩 주입 후 2.5L씩 배출 되도록 밸브를 조절하였다.
2. 실험군 실험조건
담수 클로렐라 전용 배양배지(FWCM-02)와 함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제조된 저분자 저밀도 이온화 미네랄 복합체의 수용액을 함께 급이 하였다. 클로렐라 전용 배양배지와 배양수는 1:200 비율로 넣어 준 후에 배양하였다. 더욱 상세하게는 배양수 1L에 배양배지 5mL였고, 해당 희석 배양수 1005mL에 저분자 저밀도 이온화 미네랄 복합체의 수용액을 5mL 희석하여 저분자 이온화 미네랄 희석 배양수를 제조한 후 배양하였다.
3. 대조군 실험조건
상기 공통실험조건에서 변형 없는 클로렐라 배양을 실시하여 실험군과의 대조를 하였다.
클로렐라의 배양 정도(성장촉진률)은 동일 밀도에서의 농도 측정으로 이루어진다. 미세조류의 경우는 작은 규모에서 고밀도 배양이 가능하기 때문에 색상의 옅고 짙음으로 성장촉진률의 측정이 이루어진다.
도 15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온화 미네랄의 효용을 확인하기 위한 실험에 따라 배양된 클로렐라가 도시되어 있다.
도 15의 (A)에는 중형 배양기에 입식 된 실험군(좌측) 및 대조군(우측)이 도시되어 있고, 도 15의 (B)에는 5일간의 배양 실험을 수행한 후의 실험군(좌측) 및 대조군(우측)이 도시되어 있다. 도 15의 (C)는 클로렐라의 농도 별 색상을 도시하는 표로서, 색상을 통해 배양된 클로렐라의 농도를 가늠할 수 있다.
5일간의 배양 실험 결과,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저분자 저밀도 이온화 미네랄 복합체의 수용액을 희석한 영양액에서 배양한 실험군(107cell/mL)이 대조군(106cell/mL)보다 10배 가량 높은 성장촉진률을 보였다.
하기 표 3에는 상기 실험군의 성분분석결과가 정리되어 있다. 표 3의 성분분석결과는 Nutrient 100g을 기준으로 하였다.
Niacin Sodium Protein Carbohydrate Retinol
9.40mg 4,412.70mg 45.30g 34.70g 0.00㎍
Beta-carotene Vitamin A Vitamin B1 Vitamin B2 Vitamin B6
13,672.00㎍ 2,278.00㎍RE 0.43mg 1.01mg 0.25mg
Vitamin C Vitamin E Dietary Fiber Zinc Folic acid
108.50mg 4.30mg 0.00g 1.73mg 4,700.00㎍
Phosphorus Lipid Iron Potassium Calcium
1,536.00mg 7.20g 73.40mg 5,280.70mg 117.00mg
Cholesterol Ash Omega-3 fatty acids
0.00mg 11.50g 41.00mg
특히 기능성 영양성분인 오메가-3 지방산의 경우 41.00mg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이 클로렐라의 배양에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저분자 저밀도 이온화 미네랄 복합체를 희석한 배양수를 사용하는 경우 다량의 오메가-3 지방산을 생성하도록 하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지방산의 한 종류인 오메가-3는 이상지질혈증 치료 또는 지방질 공급에 사용되는 약물이다. 오메가(ω)란 ‘마지막, 끝’을 뜻하는 단어로, 화학구조에서 이중결합의 위치가 끝에서 3번째 탄소에서 처음 나타나는 지방산을 통틀어 오메가-3로 명명하게 되었다. 오메가-3는 경구 약의 형태로 간에서 중성지방 합성을 감소시키고, 다른 약물과 함께 심근경색 후 이차 발생을 예방한다.
더욱 상세하게는 오메가-3란 불포화지방산의 일종으로, 신경세포막과 망막에 분포하며, 세포막에서 전기적인 자극을 빠른 속도로 다음 세포에 전달하는 역할을 하며 인체 안에서 세포를 보호하고 세포의 구조를 유지시키며 원활한 신진대사를 돕고 혈액의 피막형성을 억제하고, 뼈의 형성을 촉진시키는 동시에 강화하는 작용을 하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으며, 오메가-3 지방산의 종류에는 알파리놀렌산(alpha-linolenic acid, ALA), DHA로 알려진 도코사헥사에노산(docosahexaenoic acid), EPA로 알려진 에이코사펜타에노산(eicosapentaenoic acid), SDA(stearidonic acid), ETA(eicosatetraenoic acid)가 있으며, 리놀레산(linoleic acid), 아라키돈산(arachidonic acid)은 오메가-6 지방산으로 분류되고 있다.
오메가-3의 하루 섭취권장량은 0.6 내지 1g이며, 생선기름, 플랑크톤, 해산물, 콩기름, 모유 등에 많이 들어 있으며 특히 신생아와 청소년의 경우에는 정상적인 조직발달을 돕기 위해서 더 많은 양이 필요하고 결핍되면 우울증, 정신분열증,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 시력저하, 심장질병 등이 발생할 수 있으며, 스트레스를 가중시킬 수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는바, 본서에서는 오메가-3가 고 함유되어 있는 미세조류와 가금류를 수득하기 위함이다.
오메가-3 지방산은 일반적인 대사에 중요하지만, 포유동물은 그의 신체에서 오메가-3 지방산을 합성할 수 없고, 따라서 이것을 식단(diet)을 통해서 소모해야 한다. 신체에서 식이(dietary) ALA는 보다 중요한 장쇄 오메가-3 지방산인, EPA 및 DHA로 매우 제한적으로 전환되지만, 이것은 포유동물의 요구를 충족시키기에 불충분하고, 따라서 3종의 지방산 모두는 식단에서 소모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실험결과(가금류 섭이 실험)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저분자 저밀도 이온화 미네랄 복합체에 의한 질병면역력에 관한 측정 및 그 증명을 위하여, 가금류의 사양관리 섭이실험을 수행하였다.
1. 공통실험조건
대상 종 및 사육기간: 동일한 부화시설에서 부화하여 입추(入雛)하였다. 대상 종은 대한민국에서 기르는 일반적인 육계(肉鷄) 종을 사용하였다. 31일간 사육 후 평가를 수행하였다.
사육밀도: 실험군과 대조군 모두 25평의 동일한 계사에 육계 1,000수씩을 입추하였다. 실험군과 대조군 각각에 입추된 병아리가 도 16에 도시되어 있다. 도 16의 (A)가 대조군 계사, 도 16의 (B)가 실험군 계사이다.
시설: 일정 온도로 가온 하여 육추(育雛)하며, 자동 급이기, 자동 급수기 등을 갖춘 현대적 사양관리시설에서 사육하였다.
사료: 실험군과 대조군에 동일한 연령별 J사의 일반육계사료제품을 선정하여 급이 하였다. 다만, 실험군과 대조군이 성장하는 속도가 달랐기 때문에 소화속도가 서로 상이하여, 급이량에서는 차이가 있었다.
입추시의 사료 급이6: 충분한 수수(獸數)가 2∼3시간동안 물을 섭취하게 한 이후에 사료를 급여하였다. 사료 급여 4∼5시간 후 불특정 선정하여 모이 주머니를 만져보아 사료를 먹었는지 확인하고, 또한 소화가 되었는지 확인하면서 사료를 급여하였다. 입추 후 2∼3일간은 물로 사료를 버무려서 손으로 쥐었다가 놓으면 다시 풀어질 정도로 하여 1∼2시간 불린 사료를 바닥의 종이 위에 뿌려 주거나, 보조 급이기를 이용하여 급여하였다. 2∼3일간은 물에 버무린 사료를 일일 6∼7회 급여하였다.
체중별 사료 급이: 닭의 사육에서는 연령별로 사료를 급이 하지만 본 실험에서는 체중을 더욱 중요시하여, 체중별로 사료 급이 량을 정하였다. 하기 표 4와 같은 체중별 사료요구율에 비례하여 사료를 급이 하였다.
체중(g) 사료섭취량 누계(g) FCR(사료요구율)
137 135 0.99
340 435 1.26
687 1,005 1.46
1,114 1,767 1.59
1,585 2,694 1.70
온 습도관리: 온 습도 관리는 사료요구율에 가장 크게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온도가 낮을 경우 사료 섭취량을 증가시켜 체열 손실을 보충하려고 하며, 필요이상으로 온도가 높을 경우 연료비가 증가하고 암모니아 가스 발생도 증가한다. 따라서 하기 표 5와 같은 연령별 적정 온 습도관리를 시행하였다. 하기 삿갓은 사육장 내 열원으로써, 병아리들이 추울 때 열원으로 접근하거나 멀리하면서 체온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장치이다.
구분 입추 1주 2주 3주 4주 5주
온도(℃) 삿갓 내 35 32 29 26 23 23
실내 28 26 24 22 10 10
습도(%) 75 70 65 65 63 60
기타관리: 사료통과 물통은 무엇보다도 깨끗하게 유지하는 것이 중요하다. 물통은 매일 물로 씻고 정기적으로 음수 겸용 소독제로 소독하였다. 급이 관리의 요령은 병아리 시기에 충분한 급이 공간을 확보하는데 있다. 보조급이기는 5∼7일령부터 제거하기 시작하여, 10일령에 완전히 제거하였다. 급이기가 높을 경우 균일도와 사료요구율이 불량해지기 때문에 급이기 주위의 깔 짚을 관찰한 후 급이기의 높이를 닭의 등 높이와 같도록 수시로 조절하고, 급이기 내 사료량을 1/3이하로 유지하여 사료의 허실을 적게 하였다. 사료 급이기 작동을 자주하여 사료 섭취를 자극하였다.
2. 실험군 실험조건
대조군과 같은 조건하에서 닭을 사양 관리하되, 음용수 및 사료배합첨가 물질에서만 차이를 두었다. 실험군의 음용수는 일반 급이 용 음용수대신 고밀도 미네랄 이온수로 대체하였다. 실험군의 사료에는 사료배합첨가물로써, 상기 미세조류생육실험을 통해 고밀도 배양된 클로렐라의 동결건조분말을 첨가하였다. 실험군의 클로렐라 사료희석은, 동결건조 분말을 멸균처리 후, 미세분말 믹서 하여 세포벽을 파쇄하여 급이 하였다. 미세조류의 세포벽은 강한 위산에도 저항성을 가진다. 때문에 고운 분말로 갈아 세포벽을 파쇄하여 급이 할 필요가 있다. 급이 시 사료 1kg당 50g의 비율로 분말을 반 습식 혼합하여 급이 하였다.
3. 대조군 실험조건
상기 공통실험조건에서 변형 없이 닭의 사양관리를 실시하여 실험군과의 대조를 하였다.
하기 표 6은 실험군과 대조군의 음용수의 성분 분석 차이를 보여준다.
시험항목 단위 실험군 대조군
칼슘 mg/L 42.60 5.33
칼륨 mg/L 3.00 1.04
마그네슘 mg/L 15.05 3.75
나트륨 mg/L 9.03 8.82
규소 mg/L 75.01 9.36
이산화규소 mg/L 0.33 0.25
mg/L 0.05 0.1
게르마늄 mg/L 10 불검출
아연 mg/L 0.03 불검출
mg/L 0.31 0.12
바나듐 mg/L 불검출 불검출
게르마늄 mg/L 불검출 불검출
유황 mg/L 불검출 불검출
도 1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온화 미네랄의 효용을 확인하기 위해 수행한 가금류 섭이 실험의 1주령의 실험군 및 대조군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7의 (A)에 1주령 대조군의 병아리가 도시되어 있고, 도 17의 (B)에 1주령 실험군의 병아리가 도시되어 있다.
입추 후 1주령의 실험군과 대조군 병아리를 평가하였다. 육안으로 보기에는 발달상태에 큰 차이를 보이진 않았으나, 크기는 달라 보였다. 또한 사료 소모량이 실험군 병아리가 7%가량 많았음이 관찰되었다. 또한 입추 후 7일차에 평가한 평균 체중은 대조군이 약 140g이었고, 실험군이 약 160g 가량으로 20g의 큰 체중차이를 보였다. 사료 소모량이 7%이나, 체중에서는 20g의 차이를 보였다는 것은, 같은 사료량에서도 실험군 병아리의 영양 흡수율이 증가하였음을 알 수 있다. 약추(무리에서 상대적으로 크기가 작은 병아리)나 기형추의 발생률은 0.5%∼1%대로 비슷하였다.
도 1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온화 미네랄의 효용을 확인하기 위해 수행한 가금류 섭이 실험의 31일령의 실험군 및 대조군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8의 (A)에 31일령 대조군의 병아리가 도시되어 있고, 도 18의 (B)에 31일령 실험군의 병아리가 도시되어 있다.
입추 후 31일령의 실험군과 대조군 닭을 평가하였다. 육안으로 보기에도 크기의 차이가 관찰되었고, 닭의 활동성 면에서도 차이가 있었다. 특히 사료 급이기가 작동하여 먹이가 급이 되는 소리가 날 때의 반응이 크게 차이가 있었고, 11마리 발생하였던 대조군 닭의 약추나 기형추는 전량 폐사하여 처분하였다. 반면 실험군에서 발생된 쪼리 13마리는 전량 살아남았다. 다만 성장률이 저조하였다. 또한, 가장 큰 차이로는 털 빠짐의 차이가 크게 나타났다. 대조군 닭은 크기도 작을뿐더러 털이 군데군데 빠져있는 모습이 나타난 반면 실험군의 닭은 털이 고르게 자라 있어 한눈에도 건강함을 느낄 수 있었다.
하기 표 7에는 실험군과 대조군의 주령 별 성장률이 비교되어 있다.
구분 1주령 2주령 3주령 4주령 31일령
대조군(kg) 140 340 780 1,350 1,500
실험군(kg) 160 380 890 1,530 1,720
상기 표 7과 같이 실험군의 경우 대조군에 비해 성장률이 높음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사양실험을 통해 성장한 닭의 가슴살 및 다리살의 영양성분을 분석하여 비교를 하였다.
하기 표 8 및 표 9에는 각각 대조군과 실험군의 가슴살의 영양성분이 정리되어 있다. 각각의 영양성분은 100g당 함량으로 표시되어 있다.
대조군(가슴살) 성분분석표
niacin Natrium protein Carbohydrate Retinol
11.20mg 65.00mg 23.10g 0.00g 0.00㎍
Beta-carotene Vitamin A Vitamin B1 Vitamin B2 Vitamin B6
0.00㎍ 5.00㎍RE 0.07mg 0.09mg 0.55mg
Vitamin C Vitamin E Dietary Fiber Zinc Folic acid
1.00mg 0.13mg 0.00g 0.80mg 4.00㎍
Phosphorus Lipid Iron Potassium Calcium
196.00mg 1.20g 0.70mg 255.00mg 11.00mg
Omega-3 fatty acids Omega-6 fatty acids Cholesterol
0.23% min 2.31% min 5.14mg
실험군 (가슴살) 성분분석표
niacin Natrium protein Carbohydrate Retinol
15.10mg 61.33mg 24.04g 0.00g 0.00㎍
Beta-carotene Vitamin A Vitamin B1 Vitamin B2 Vitamin B6
0.00㎍ 8.32㎍RE 0.15mg 0.22mg 0.68mg
Vitamin C Vitamin E Dietary Fiber Zinc Folic acid
2.11mg 0.31mg 0.00g 0.61mg 4.36㎍
Phosphorus Lipid Iron Potassium Calcium
204.30mg 2.40g 0.81mg 280.40mg 31.42mg
Omega-3 fatty acids Omega-6 fatty acids Cholesterol
3.1% min 0.4% min 4.95mg
하기 표 10 및 표 11에는 각각 대조군과 실험군의 다리살의 영양성분이 정리되어 있다. 각각의 영양성분은 100g당 함량으로 표시되어 있다.
대조군(다리 살) 성분분석표
niacin Natrium protein Carbohydrate Retinol
5.40mg 79.00mg 18.20g 0.00g 0.00㎍
Beta-carotene Vitamin A Vitamin B1 Vitamin B2 Vitamin B6
0.00㎍ 36.00㎍RE 0.07mg 0.16mg 0.29mg
Vitamin C Vitamin E Dietary Fiber Zinc Folic acid
3.00mg 0.21mg 0.00g 1.77mg 11.00㎍
Phosphorus Lipid Iron Potassium Calcium
149.00mg 12.10g 1.00mg 198.00mg 10.00mg
Omega-3 fatty acids Omega-6 fatty acids Cholesterol
0.45% min 3.88% min 11.80mg
실험군 (다리 살) 성분분석표
niacin Natrium protein Carbohydrate Retinol
7.39mg 81.00mg 21.43g 0.00g 0.00㎍
Beta-carotene Vitamin A Vitamin B1 Vitamin B2 Vitamin B6
0.00㎍ 49.05㎍RE 0.30mg 0.71mg 0.64mg
Vitamin C Vitamin E Dietary Fiber Zinc Folic acid
4.03mg 0.46mg 0.00g 1.90mg 13.40㎍
Phosphorus Lipid Iron Potassium Calcium
103.50mg 16.35g 1.44mg 257.51mg 26.30mg
Omega-3 fatty acids Omega-6 fatty acids Cholesterol
4.13% min 0.61% min 7.74mg
상기 표 8 내지 표 11을 참조하면 실험군의 가슴살 및 다리 살 모두에서 대조군의 동일부위에 비해 오메가-3는 증가하였고, 오메가-6 및 콜레스테롤은 감소하였음을 확인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저분자 저밀도 이온화 미네랄 복합체로 배양한 클로렐라가 첨가된 사료 및 저분자 저밀도 이온화 미네랄 복합체 수용액을 음용수를 먹은 닭의 고기에서 오메가-3가 풍부해지고, 오메가-6 및 콜레스테롤이 억제되어 이와 같은 닭고기를 사람이 섭취하는 경우 오메가-3를 다량 섭취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제조된 저분자 저밀도 이온화 미네랄 복합체는 수용화된 이온화 미네랄로써 담수 또는 해수 내의 미네랄 영양물질을 영양원으로 하는 기능성 미세조류 배양에 효용을 갖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제조된 저분자 저밀도 이온화 미네랄 복합체는 수용화된 이온화 미네랄로써 토양 내의 미네랄 영양물질을 영양원으로 하는 기능성 미생물 배양에 효용을 갖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동물의 체내에 흡수가 용이한 저분자 저밀도 이온화 미네랄 복합체를 제조할 수 있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제조된 저분자 저밀도 이온화 미네랄 복합체는 동물의 체내에 흡수 된 경우 세포의 산화를 방지하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제조된 저분자 저밀도 이온화 미네랄 복합체는 항산화성을 가져 바이러스의 침투를 방지하거나 사멸시키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제시된 실시예들에 대한 설명은 임의의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이용하거나 또는 실시할 수 있도록 제공된다. 이러한 실시예들에 대한 다양한 변형들은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백할 것이며, 여기에 정의된 일반적인 원리들은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남이 없이 다른 실시예들에 적용될 수 있다. 그리하여, 본 발명은 여기에 제시된 실시예들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여기에 제시된 원리들 및 신규한 특징들과 일관되는 최광의의 범위에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10)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저분자 저밀도 이온화 미네랄 복합체의 제조방법으로서,
    비 금속성 광물로부터 미네랄 결정을 수득하는 비금속성암반준비단계;
    모려로부터 탄산칼슘 결정을 수득하는 모려준비단계;
    상기 미네랄 결정 및 상기 탄산칼슘 결정을 저밀도화 하는 결정저밀도화단계; 및
    상기 결정저밀도화단계를 통해 수득된 결정의 나노파우더를 생성하는 나노파우더수득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나노파우더수득단계는,
    상기 결정저밀도화단계를 통해 수득된 결정을 전기폭발법에 의해 나노파우더로 변환하는 전기폭발단계;
    와전류선별기를 통해 나노파우더의 비철금속 불순물을 선별하는 비철금속선별단계;
    EMF탈철기를 통해 나노파우더의 철금속 이물을 제거하는 EMF탈철단계; 및
    정전기 발생유도 건식 교반을 통해 상기 나노파우더에 정전기를 발생시키는 이온화교반단계; 를 포함하는, 저분자 저밀도 이온화 미네랄 복합체의 제조방법.
  6. 삭제
  7. 저분자 저밀도 이온화 미네랄 복합체의 제조방법으로서,
    비 금속성 광물로부터 미네랄 결정을 수득하는 비금속성암반준비단계;
    모려로부터 탄산칼슘 결정을 수득하는 모려준비단계;
    상기 미네랄 결정 및 상기 탄산칼슘 결정을 저밀도화 하는 결정저밀도화단계;
    상기 결정저밀도화단계를 통해 수득된 결정의 나노파우더를 생성하는 나노파우더수득단계; 및
    수득된 상기 나노파우더를 증류수에 용해시키는 수용성화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수용성화단계는,
    상기 나노파우더가 들어있는 용기에 포화증기를 공급하여 정전기를 발생시키는 정전기발생단계;
    상기 용기의 압력을 유지하면서 용기 내부를 교반하여 이온반응을 유도하는 수용화습식교반단계; 및
    상기 용기 내부의 포화증기를 감압탱크를 통해 감압하여 미네랄 이온수를 수득하는 미네랄이온수수득단계; 를 포함하는, 저분자 저밀도 이온화 미네랄 복합체의 제조방법.
  8. 저분자 저밀도 이온화 미네랄 복합체의 제조방법으로서,
    비 금속성 광물로부터 미네랄 결정을 수득하는 비금속성암반준비단계;
    모려로부터 탄산칼슘 결정을 수득하는 모려준비단계;
    상기 미네랄 결정 및 상기 탄산칼슘 결정을 저밀도화 하는 결정저밀도화단계;
    상기 결정저밀도화단계를 통해 수득된 결정의 나노파우더를 생성하는 나노파우더수득단계; 및
    수득된 상기 나노파우더를 증류수에 용해시키는 수용성화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이온화 미네랄 복합체의 제조방법은,
    상기 수용성화단계 중 침전된 침전물을 회수하고, 회수된 상기 침전물을 상기 나노파우더수득단계 수행 시 첨가하여 활용하는 재가공단계; 를 더 포함하는, 저분자 저밀도 이온화 미네랄 복합체의 제조방법.
  9. 삭제
  10. 삭제
KR1020190062935A 2019-05-29 2019-05-29 저분자 저밀도 이온화 미네랄 복합체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03612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62935A KR102036125B1 (ko) 2019-05-29 2019-05-29 저분자 저밀도 이온화 미네랄 복합체 및 이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62935A KR102036125B1 (ko) 2019-05-29 2019-05-29 저분자 저밀도 이온화 미네랄 복합체 및 이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36125B1 true KR102036125B1 (ko) 2019-10-24

Family

ID=684236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62935A KR102036125B1 (ko) 2019-05-29 2019-05-29 저분자 저밀도 이온화 미네랄 복합체 및 이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3612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95967B1 (ko) * 2019-08-28 2020-04-01 송성은 축산동물과 산물의 면역관리와 영양관리를 위한 기능성 미세조류 배양법 및 이를 이용한 한방발효 이온 미네랄 복합체 및 이의 제조 방법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275722A (ja) * 2006-04-04 2007-10-25 Meio Bussan Kk ミネラル水およびその粉末
KR20130030015A (ko) * 2011-09-16 2013-03-26 주식회사 시로미 이온화칼슘 수용액의 제조 방법 및 그 제조 방법에 의해 제조된 어류사료첨가제용 이온화칼슘 수용액
KR101280803B1 (ko) * 2012-02-13 2013-07-01 김은혜 기능성 패각 미세분말 제조방법
KR101328671B1 (ko) * 2013-07-09 2013-11-14 맥섬석 지.엠. 주식회사 맥섬석과 패각을 포함하며, 칼슘이 보강된 가축사료 첨가제의 제조방법 및 그로부터 수득되는 칼슘이 보강된 가축사료 첨가제 및 이를 포함하는 가축사료
KR101462214B1 (ko) * 2014-08-25 2014-11-21 맥섬석 지.엠. 주식회사 가축 혈액과 패각을 이용한 양어 사료용 또는 배합사료 보조용 유기 코팅 다공질 과립 및 그 제조 방법
JP2015513899A (ja) * 2012-05-30 2015-05-18 韓国海洋科学技術院Korea Institute Of Oceanscience & Technology 海水の電気分解アルカリ水からマグネシウム塩とカルシウム塩を含むミネラル塩の分離およびこれを用いたミネラル飲料の製造方法
KR101711015B1 (ko) * 2016-09-12 2017-02-28 주식회사 칼텍바이오 수용성 미네랄 분말의 제조방법
KR101809667B1 (ko) 2015-12-04 2017-12-15 진태원 천연 미네랄복합체 성분이 함유된 고성능 사료첨가제 제조방법
KR20180077665A (ko) * 2016-12-29 2018-07-09 주식회사 풀바이오 김성장 촉진용 이온화 미네랄 영양제 및 이의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275722A (ja) * 2006-04-04 2007-10-25 Meio Bussan Kk ミネラル水およびその粉末
KR20130030015A (ko) * 2011-09-16 2013-03-26 주식회사 시로미 이온화칼슘 수용액의 제조 방법 및 그 제조 방법에 의해 제조된 어류사료첨가제용 이온화칼슘 수용액
KR101280803B1 (ko) * 2012-02-13 2013-07-01 김은혜 기능성 패각 미세분말 제조방법
JP2015513899A (ja) * 2012-05-30 2015-05-18 韓国海洋科学技術院Korea Institute Of Oceanscience & Technology 海水の電気分解アルカリ水からマグネシウム塩とカルシウム塩を含むミネラル塩の分離およびこれを用いたミネラル飲料の製造方法
KR101328671B1 (ko) * 2013-07-09 2013-11-14 맥섬석 지.엠. 주식회사 맥섬석과 패각을 포함하며, 칼슘이 보강된 가축사료 첨가제의 제조방법 및 그로부터 수득되는 칼슘이 보강된 가축사료 첨가제 및 이를 포함하는 가축사료
KR101462214B1 (ko) * 2014-08-25 2014-11-21 맥섬석 지.엠. 주식회사 가축 혈액과 패각을 이용한 양어 사료용 또는 배합사료 보조용 유기 코팅 다공질 과립 및 그 제조 방법
KR101809667B1 (ko) 2015-12-04 2017-12-15 진태원 천연 미네랄복합체 성분이 함유된 고성능 사료첨가제 제조방법
KR101711015B1 (ko) * 2016-09-12 2017-02-28 주식회사 칼텍바이오 수용성 미네랄 분말의 제조방법
KR20180077665A (ko) * 2016-12-29 2018-07-09 주식회사 풀바이오 김성장 촉진용 이온화 미네랄 영양제 및 이의 제조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95967B1 (ko) * 2019-08-28 2020-04-01 송성은 축산동물과 산물의 면역관리와 영양관리를 위한 기능성 미세조류 배양법 및 이를 이용한 한방발효 이온 미네랄 복합체 및 이의 제조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4054972B (zh) 一种用于饲养河蟹的饲料
KR102095967B1 (ko) 축산동물과 산물의 면역관리와 영양관리를 위한 기능성 미세조류 배양법 및 이를 이용한 한방발효 이온 미네랄 복합체 및 이의 제조 방법
CN110292009A (zh) 基于生物饵料和水质生物调控的凡纳滨对虾生态育苗方法
CN102550877A (zh) 肉鸽保健砂专用配方
CN101433289A (zh) 中草药免疫增强型南美白对虾配合饲料
KR102036125B1 (ko) 저분자 저밀도 이온화 미네랄 복합체 및 이의 제조방법
CN102018124A (zh) 一种鲫鱼饲料及其制备方法
KR100993571B1 (ko) 미네랄 함유수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미네랄 함유수
CN103892391A (zh) 高硒锗灵芝人参排毒增氧健体饮料
CN104509730A (zh) 一种含益生菌的黑仔鳗配合饲料及其制备方法
CN105030858A (zh) 一种锁阳保健片及其制备方法
CN103931939A (zh) 一种防治梭鱼肝胆综合症的饲料添加剂
CN104982679A (zh) 一种信鸽保健砂专用配方
CN104273325A (zh) 一种夏季防暑鹅饲料及其制备方法
CN107029162A (zh) 促进生长发育的药物组合物、制备方法及制剂
KR100655723B1 (ko) 황토소금의 제조방법
CN106578585A (zh) 一种鸽子用保健砂及其制备方法
CN103932172A (zh) 一种虫草保健品及其制备方法
CN105012627B (zh) 健胃消食胶囊及其制备方法
CN103689607A (zh) 林蛙高蛋白钙粉在制备补钙保健品或药物中的应用
KR100890245B1 (ko) 양계용 음용수 조성물 및 그 제조 방법
KR101837531B1 (ko) 옥가루 가공방법
KR100526639B1 (ko) 위암에 대한 항암 및 제암 효과를 갖는 건강보조식품 및 이의 제조방법
CN107494354A (zh) 一种海参养殖方法
CN105028991A (zh) 一种鸽子专用保健砂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