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37531B1 - 옥가루 가공방법 - Google Patents

옥가루 가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37531B1
KR101837531B1 KR1020140119524A KR20140119524A KR101837531B1 KR 101837531 B1 KR101837531 B1 KR 101837531B1 KR 1020140119524 A KR1020140119524 A KR 1020140119524A KR 20140119524 A KR20140119524 A KR 20140119524A KR 101837531 B1 KR101837531 B1 KR 10183753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jade
delete delete
coral
water
cor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195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39087A (ko
Inventor
진교식
Original Assignee
진교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진교식 filed Critical 진교식
Priority to PCT/KR2014/009249 priority Critical patent/WO2015050370A2/ko
Publication of KR201500390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3908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375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37531B1/ko

Links

Images

Landscapes

  • Cosmetics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옥가루 가공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광석 옥을 분쇄하여 분말화된 옥가루를 만드는 분쇄 단계와; 상기 분말화된 옥가루를 물과 배합한 후 가열하여 옥가루의 성질을 변화시키면서 옥가루에 함유된 불순물을 제거하는 제1 가열 단계와; 상기 불순물이 제거된 옥가루를 재가열하여 옥가루에 함유된 수분을 제거함으로써 순도가 높은 옥가루를 얻는 제2 가열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옥으로부터 옥의 비중과 물의 부력을 이용하여 이물질을 제거하고 고열처리함으로써 옥으로부터 발산되는 원적외선이나 음이온의 발생을 최대로 하여 옥의 효능을 극대화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옥을 분말 형태로 가공함으로써 화장품 및 의약품 등과 같은 다양한 제품에 적용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옥가루 가공방법{PROCESS METHOD FOR JADE POWER}
본 발명은 옥의 효능을 극대화하고 다양한 용도로 사용할 수 있게 하기 위한 옥가루 가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옥(비취, Jade)은 스페인이 중남미를 정복했을 때, 신장병을 예방하거나 치료해 주는 보석이라는 의미의 piedra de ijada에서 유래되었다.
옥은 예로부터 천지의 정수로서 몸에 지니고 있으면 약효가 있고 잡귀를 물리칠 수 있는 것으로 여겨지고 있다. 또한, 옥은 신체 장식이나 의복 장식의 기본적인 재료로서 사용되고 있다. 옥은 원석을 갈고 다듬어 작은 원형으로 만든 후 구멍을 뚫어서 사용되는 것이 일반적인데, 목걸이, 반지 및 팔찌 등과 같은 다양한 형태로 사용되고 있다. 예로부터 사용된 옥의 종류로는 마노, 유리, 호박, 석웅황, 비취, 천하석옥, 황옥 등이 있다.
옥은 경옥(硬玉)과 연옥(軟玉)으로 구분된다. 경옥은 휘석족(煇石族, pyroxene family)에 속하는 납 휘석조 광물로서, 규산, 산화 알루미늄 및 소다(soda)로 구성된 단사정계(單斜晶系) 물질이고, 그 경도는 수정과 같은 치밀한 덩어리이며, 빛은 흑색, 청록, 녹색이고, 투명 또는 반투명한 성질을 갖는다. 연옥(Nephrite Jade)은 이노규산염(Inosilicates)의 단사정계 휘섬석(煇閃石) 광물체로 고토질 대리암 중 사문석화 초염기성 연옥(蛇紋石化 超鹽氣性 軟玉)으로 나뉘어진다. 연옥의 품질은 그의 미세한 구조 즉, 투각섬석-양기석 정자가 속조(束組)와 섬유로 되는 조세(粗細)한 정도로 결정되며, 섬유가 극히 가늘수록 품질이 좋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한편, 현대 성인병의 90%는 불포화 지방산이 산화할 때 발생하는 과산화 지질이 혈액 순환계통에 장애를 일으킬 때 발생하는데, 우리 인체에는 과산화 지질을 제거하는 SOD(Glutathione Peroxidase, GSH-PX)라는 효소가 존재하여 건강을 유지하게 된다. 그러나 성인이 되면서 이러한 효소들의 유도능력(Induction Capacity)이 저하되어 신체 내의 과산화 지질이 혈관벽 등에 침착되면서 서서히 성인병이 되는 것으로 밝혀지고 있다.
옥은 광석 자체에서 생육 광선인 5-20㎛의 원적외선을 다량으로 방출하는 성질을 갖는다. 이러한 흡수광의 원적외선은 신체 내의 불포화지방산, 과산화지질, 오염된 물 등의 중합 고리에 강력하게 작용한다. 옥에서 방출되는 원적외선에 의해 이들 오염 성분들의 이중, 삼중의 결합이 분리되므로 인체의 생리 활성 작용이 증대되고 촉진된다.
독일의 권위 있는 의학계 문헌(Mauda Palmer Die Verborgene의 KRAFF der KRISTALLE und der EDELSTEINE)에 발표된 보고에 의하면, 경옥과 연옥은 서로 다른 두 가지의 상이한 광석으로서 이들은 대부분의 보석처럼 실리콘과 산소를 함유하고 있다. 그러나 경옥은 과립형 크리스탈로 형성되어 있는데 반해, 연옥은 섬유질, 머리털과 같은 무수한 크리스탈과 미립 집합체로 이루어져 있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특히, 연옥은 경옥에 있어서의 나트륨과 알루미늄 조성분과는 달리, 인체에 유익한 3가지 광물 즉, 칼슘, 철분, 마그네슘을 주성분으로 하고 있기 때문에, 연옥 착용시 고혈압, 당뇨병 순환기 장애, 심장병 및 신장 장애로 인한 병의 치유에 커다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최근에는 보고된 바 있다.
그러나 옥은 그 희소성으로 인하여 상기와 같은 탁월한 의학적 효능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음에도, 대부분 목걸이, 반지, 팔찌 등의 일부 신변장식용 보석 장신구로만 한정적으로 이용되고 있다. 또한, 옥은 고가품이기 때문에 옥을 이용한 일반 생활용품으로의 개발은 상대적으로 미약한 실정이다. 따라서 옥을 일상 생활에서 다양하게 이용할 수 있도록 옥에 대한 연구 개발이 필요하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06-0011489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필요성에 부응하기 위한 것으로서, 옥으로부터 발산되는 원적외선이나 음이온 등을 최대로 하여 옥의 효능을 배가시킬 수 있도록 가공하고, 이를 다양한 용도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옥가루 가공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옥가루 가공방법은, 광석 옥을 분쇄하여 분말화된 옥가루를 만드는 분쇄 단계와; 상기 분말화된 옥가루를 물과 배합한 후 가열하여 옥가루의 성질을 변화시키면서 옥가루에 함유된 불순물을 제거하는 제1 가열 단계와; 상기 불순물이 제거된 옥가루를 재가열하여 옥가루에 함유된 수분을 제거함으로써 순도가 높은 옥가루를 얻는 제2 가열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성질이 변화된 옥가루와 다른 기능성 물질을 적정 비율로 혼합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삭제
옥가루와 수분을 적정 비율로 배합한 후 가열하여 옥가루의 성질을 변화시킨 후, 다시 일정시간 냉각하거나 상온 방치한 후 옥가루와 수분을 적정 비율로 재배합한 후 가열을 반복함으로써 옥가루의 성질 변화를 촉진시킬 수 있다.
옥가루를 가열하여 성질 변화를 일으키는 과정에서 수분이 옥가루의 양 대비 적정 비율로 유지되도록 주기적으로 수분을 공급하여 가열할 수 있다.
분말화된 광석 가루의 입자 크기는 직경이 마이크로미터 단위 또는 나노 단위일 수 있다.
분말화된 광석 가루를 물과 배합한 후 가열하여 광석 가루에 함유된 불순물을 제거하는 단계에서 광석 가루의 성질 변화도 일어날 수 있다.
상기 분쇄 단계와 제1 가열 단계 사이에, 상기 분말화된 옥가루를 물에 넣고 교반하여 물 표면에 뜨는 이물질과 침전 옥가루를 분리시키는 제1 분리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가열 단계와 제2 가열 단계 사이에, 상기 불순물이 제거된 상태인 물이 배합된 옥가루를 일정 시간 방치한 후 옥가루만을 남기고 물은 버리는 제2 분리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삭제
분말화된 광석 가루의 불순물을 제거하는 단계를 거치지 않고, 먼저 가열하여 광석 가루 내부에 함유된 불순물을 태우거나 외부로 용출되게 한 후, 불순물 제거 단계를 거쳐 순도가 높은 옥가루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옥가루 가공방법은, 광석 옥을 적정 크기로 파쇄한 후 용해로에 투입하는 단계와, 파쇄된 광석 옥을 용해로 내부에서 가열하여 용해함으로써 옥의 성질을 변화시키는 단계와, 성질이 변화된 옥을 용액 상태로 용해로에서 추출한 후 냉각 및 건조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옥가루 가공방법은 다음과 같은 실시예들을 하나 또는 그 이상 구비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용해로에서 파쇄된 광석 옥을 용해하는 과정에서, 용해로 내부에 산소를 공급할 수 있다.
용액 상태의 옥 추출은, 용해로에서 용융된 광석 옥의 비중을 이용할 수 있다.
용해로에서 추출한 옥 액상을 냉각 및/또는 건조한 후 분쇄하여 옥가루를 얻을 수 있다.
옥가루와 수분을 적정 비율로 배합한 후 가열하여 옥가루의 성질 변화를 촉진할 수 있다.
옥가루와 수분을 배합하여 가열함으로써, 가열에 의해 옥가루의 부피가 팽창할 때 산소를 함유한 수분이 옥가루 내부까지 용이하게 침투된 후, 가열 열과 수분에 함유된 산소가 반응함으로써 옥가루의 내부까지 성질 변화가 촉진될 수 있다.
옥가루에 온천수를 혼합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화장품은 상기 옥가루 가공방법에 의해 제조된 옥가루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의약품은 상기 옥가루 가공방법에 의해 제조된 옥가루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장신구는 상기 옥가루 가공방법에 의해 제조된 옥가루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기능성 첨가제는 상기 옥가루 가공방법에 의해 제조된 옥가루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패치 형태의 포장제는, 상기 옥가루 가공방법에 의해 제조된 옥가루를 패치(patch)에 도포 및/또는 점착시켜 피부에 부착하여 사용할 수 있게 한 것이다.
본 발명은 옥으로부터 옥의 비중과 물의 부력을 이용하여 이물질을 제거하고 고열처리함으로써 옥으로부터 발산되는 원적외선이나 음이온의 발생을 최대로 하여 옥의 효능을 극대화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옥을 분말 형태로 가공함으로써 화장품 및 의약품 등과 같은 다양한 제품에 적용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옥가루 가공방법을 예시하는 순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옥가루 가공방법을 예시하는 순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옥가루 가공방법을 예시하는 순서도이다.
도 4는 용해로에서 원하는 성질의 옥을 용액 상태로 추출하는 과정을 예시하는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에서 사용되는 '옥(jade)'은 연옥, 경옥, 오닉스, 만옥, 흑옥 및 맥반석 등을 모두 포함하는 개념에 해당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옥가루 가공방법을 예시하는 순서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옥가루 가공방법은, 옥으로부터 발산되는 원적외선이나 음이온 등의 발생을 최대로 하여 옥의 효능을 배가시킬 수 있도록 하고, 이로 인해 화장품, 장신구 및 의약품 등과 같은 다양한 용도로 사용할 수 있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옥가루 가공방법에 의해 제조된 옥가루는 패치(patch)에 도포 및/또는 점착시켜 피부에 부착하여 사용할 수 있는 패치 형태의 포장제로 사용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은 수치법제(修治法製) 개념을 광물에 적용한 것이다. 수치법제란, 허준의 의서 동의보감에 의하면 약재가 가지고 있는 약재의 고유 약성을 높이거나 반대로 약성을 낮추려고 할 때 정해진 방법으로 가공하는 것을 의미한다. 대표적인 약재로 생지황과 숙지황을 들 수 있는데, 숙지황은 아홉 번 찌고 말리기를 반복하여 얻어지는 약재로 생지황과는 정반대의 약리 작용을 나타낸다.
본 발명은 옥(jade)에서 발산되는 원적외선, 음이온 등의 에너지 발생을 최대로 하기 위해서 수치법제 개념인 물의 부력을 이용한 수처리와 열처리를 이용하여 옥의 순도를 높이고 성질을 변화시킨다. 즉, 광석 옥을 분쇄하여 옥가루로 만들고 이물질을 제거하여 순도를 높인 후 건조 및 가열하여 인체에 잘 흡수될 수 있는 성질 변화된 무기 미네랄 및 유기 미네랄화 된 옥가루를 만들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을 참고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옥가루 가공방법은, 옥을 분쇄하여 광석 가루 형태로 분말화 하는 단계(S110), 분말화된 광석 가루를 물에 넣고 교반하여 물 표면에 뜨는 이물질과 침전 광물을 분리시키는 단계(S120)와, 분리된 침전 광물을 물과 배합한 후 가열하여 표면에 떠오르는 이물질을 제거하는 단계(S130)와, 이물질이 제거된 상태인 물이 배합된 광물을 일정 시간 방치한 후 광물만을 남기고 물은 버리는 단계(S140)와, 잔존하는 광물을 가열하면서 교반함으로써 수분을 증발시키는 단계(S15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옥가루 가공방법 S110 단계는, 광석 옥을 분쇄하여 광석 가루 형태로 분말화 한다. 이때, 광석 옥은 경도 6~7 이상이고 320~800 mesh가 되도록 분말화 할 수 있지만, 이는 예시적인 것으로 본 발명은 이에 의해서 제한되지 않는다.
광석 옥을 분쇄하여 얻은 광석 가루는 피부의 땀구멍, 기름샘, 숨구멍 등에 잘 흡수될 수 있을 정도의 크기, 예를 들면 수~수십 마이크로미터 단위를 가질 수 있다. 물론, 이 또한 예시적인 것으로 마이크로미터에 비해 더욱 작은 크기인 나노(nano)로 분쇄될 수도 있다. 마이크로 단위로 분쇄된 옥은 화장품 등과 같이 피부 등에 도포되는 목적으로 사용될 수 있고, 나노 단위로 분쇄된 옥은 피부 및 혈관 침투가 용이한 장점을 갖는다.
이와 같이, 광석 옥을 분쇄하는 이유는, 원적외선을 방출할 수 있는 표면적을 최대로 하고, 생체(피부 등)에 침투를 용이하게 하며, 가열시 열의 수용성(열 접촉 면적)을 확대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광석 옥을 분쇄함으로써, 내부에 함유된 옥 이외의 이물질을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고, 대량 생산시 이물질이 제거된 순도 높은 옥가루를 균일하게 얻을 수 있게 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옥가루 가공방법 S120 단계는, 분말화된 광석 가루를 적당량의 물에 넣고 교반하여 물 표면에 뜨는 이물질과 침전 광물을 분리시킨다. 즉, 가벼운 이물질과 기름 성분 등이 물 위에 뜨게 되는데 이들을 버리는 것이다. 이러한 과정을 4~5회 반복 수행할 수 있지만, 본 발명은 그 횟수에 의해서 제한되지 않는다.
본 실시예에 따른 옥가루 가공방법 S130 단계는, 분리된 침전 광물 즉, 1차로 수치한 광물을 적당량의 물과 배합한 후 가열하여 끓이게 되면 수분이 증발하면서 표면에 이물질이 떠오르게 되는데 이를 제거한다. 이때, 물과 침전 광물은 1:1의 부피 비율로 배합하고, 화기 가열 온도는 100℃ 이상일 수 있지만, 이는 예시적인 것으로 본 발명은 이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다.
본 실시예에 따른 옥가루 가공방법 S140 단계는, 이물질이 제거된 상태인 물이 배합된 광물 즉, 2차로 수치한 광물을 일정 시간(예를 들면, 48시간 정도) 동안 방치한 후 아래로 가라앉은 광물만을 남기고 물은 버린다. 이때, 잔존하는 광물의 수분 함유량은 대략 25% 일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옥가루 가공방법 S150 단계는, 잔존하는 광물을 가열하면서 적절히 교반함으로써 수분을 완전히 증발시킨다. 이때, 수분이 증발하면서 한약재 냄새가 날 수 있는데, 옥 분말을 수치법제 하는 과정에서 약리 효과가 발생하게 되는 것이다. 수분을 완전히 증발시키게 되면 상기 S11O 단계에서 가공된 본래의 분말 상태가 된다. 이때, 가열 온도는 100℃ 이상일 수 있으며 옥가루에 직접 인가되는 온도는 50℃ 이상일 수 있다. 그리고 잔존 분말 상태의 광물에서도 미량의 한약재 냄새가 날 수 있다.
이와 같이, 옥가루 가공 과정에서 가열을 함으로써 옥의 성질(형질)이 변화된다. 즉, 옥에는 인체에 필요한 필수 무기 미네랄이 많이 포함되어 있기는 하지만, 무기 미네랄은 식물 등에서 얻어지는 유기 미네랄에 비해서 소화 흡수 및 인체에 흡수가 잘 이루어지지 않는 문제점이 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에 따른 옥가루 가공방법은, 옥가루를 가열함으로써 광석 무기 미네랄이 인체에 흡수가 잘 되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옥가루 가공방법 중 상기 S130 단계 및 S150 단계에서, 옥가루는 물이 포함되어 있는 상태에서 가열된다. 이와 같이 옥가루에 수분이 포함되어 있는 상태에서 가열함으로써 옥가루의 성질(형질) 변화가 촉진되는데, 이는 수분이 열을 받아 팽창된 옥가루 내부로 용이하게 침투하여 옥가루 내부에 함유된 이물질을 용이하게 외부로 배출시켜서 원적외선 등의 방출에 방해가 되는 요소를 용이하게 외부로 배출할 수 있고, 옥가루 내부에 수분에 함유된 산소가 공급되어 옥가루의 성질(형질) 변화를 촉진하기 때문이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옥가루 가공방법은, 상기 제1 단계 내지 제5 단계를 거치면서 이물질이 제거된 순수한 옥가루를 얻을 수 있기 때문에, 옥으로부터 발사되는 원적외선이나 음이온이 가능한 많이 발생되도록 하여 옥의 효능을 배가시킬 수 있다.
상기 실시예에 따른 옥가루 가공방법에 의해 제조된 분말 상태의 옥가루는 화장품(예를 들면, 팩 또는 에센스 등)을 제조할 때 화장품 원료에 적당량(예를 들면 1 중량%) 첨가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실시예에 따른 옥가루 가공방법에 의해 제조된 분말 상태의 옥가루는 장신구(예를 들면, 목걸이, 반지 팔찌 등)를 제조할 때 실리콘 등의 원료에 적정량(예를 들면, 1 중량%) 첨가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실시예에 따른 옥가루 가공방법에 의해 제조된 분말 상태의 옥가루는 의약품(예를 들면, 고협압 치료제, 당뇨 치료제 등)을 제조할 때 의약품 원료에 적정량(예를 들면 1 중량%) 첨가하여 사용할 수 있다.
옥가루가 함유된 화장품, 장신구 또는 의약품의 경우, 옥가루에서 발산하는 음이온이 인체 세포에 골고루 침투하여 공명공진 작용을 함으로써 조직의 부활, 혈액 순환 촉진, 체내 유해 노폐물 배설을 증진시키므로 건강유지에 유익한 효능을 발휘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옥가루에서 나오는 원적외선 및 음이온은 과산화지질을 분해시켜 인체밖으로 배출함으로써 인체에 유익한 효능을 발휘한다.
본 실시예에 따라서 가공된 옥가루는 화장품, 의약품 및 장식용 장신구에 적용되는 것으로 예시하였지만, 이는 예시적인 것으로 상기 이외 다양한 분야에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예를 들면, 본 실시예에 따라서 가공된 옥가루는 밀봉된 상태에서 시트, 배게, 방석 및 매트 등에 적용될 수 있다. 또한, 기능성 첨가제로서 사용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도 2를 참고하면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옥가루 가공방법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옥가루 가공방법을 예시하는 순서도이다.
도 2를 참고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옥가루 가공방법은, 광석 옥을 소정의 메쉬 단위로 분쇄하여 옥 분말을 만드는 단계와, 옥 분말과 액체를 혼합한 후 교반하여 이물질을 제거하는 단계와, 이물질이 제거된 옥 분말을 가열하여 옥의 성질을 변화시키는 단계와, 성질이 변화된 옥 분말과 다른 기능성 물질을 혼합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광석 옥을 소정의 메쉬 단위로 분쇄하여 옥 분말을 형성한다. 이때 분쇄된 옥 본말의 입자 크기는, 피부에 용이하게 침투할 수 있는 크기(예를 들면, 직경이 마이크로미터 단위)에 해당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미세한 옥 분말을 형성함으로써 표면적이 확대되어 옥에서 방출되는 원적외선의 양을 증가시키고 피부에 용이하게 침투할 수 있게 하여 옥의 효능을 높일 수 있게 된다.
형성된 옥 분말을 물과 같은 액체와 혼합한 후 교반하여 이물질 및 부유물을 제거한다. 이물질 및 부유물을 제거하여 침전된 옥 분말을 얻게 된다.
침전된 옥 분말을 가열하여 성질을 변화시킨다. 옥 분말을 가열하기 위한 수단으로는 직화 열을 이용한 가열, 복사 열을 이용한 가열, 대류/기화 열을 이용한 가열, 초음파 진동을 이용한 가열, 증기(steam)을 이용한 가열, 전자기파를 이용한 가열, 아크 가열, 전자빔 가열, 고속 회전 마찰을 이용한 가열, 고압을 이용한 가열 등이 있으며, 본 발명은 옥 분말을 가열하기 위한 수단에 의해서 제한되지는 않는다.
옥 분말을 가열하는 과정에서 옥 분말에 포함되어 있는 수분이 제거될 수 있다. 따라서 옥 분말을 가열하는 과정에서 옥 분말을 저어줌으로써 건조 효율을 높일 수 있다. 또한, 옥 분말을 가열하는 과정에서 적당량의 수분(물, 증기 또는 증류수 등)을 공급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수분을 공급하면서 옥 분말을 가열함으로써 옥 분말의 성질(형질) 변화를 촉진할 수 있음은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다.
이와 같이, 건조된 옥 분말에 다른 기능성 물질을 적절히 혼합함으로써 원하는 효과를 갖는 물질을 제작할 수 있게 된다. 예를 들면, 옥 분말에 정제된 온천수를 적당한 비율로 혼합하여 일정 시간 동안 적정의 온도 및 습도로 제어되는 환경에서 숙성한 후 수분을 제거할 수 있는데, 이로 인해 온천수에 포함되어 있는 유황 성분으로 인해서 천연 방부제 효과를 얻으면서도 온천수에 포함되어 있는 미네랄 성분을 보충하여 옥의 효능을 더욱 높일 수 있게 된다.
이하에서는 도 3 및 도 4를 참고하면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옥가루 가공방법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옥가루 가공방법을 예시하는 순서도이고, 도 4는 용해로에서 원하는 성질의 옥을 용액 상태로 추출하는 과정을 예시하는 도면이다.
도 3 및 도 4를 참고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옥가루 가공방법은, 광석 옥을 적정 크기로 파쇄한 후 용해로에 투입하는 단계와, 파쇄된 광석 옥을 용해로 내부에서 가열하여 용해함으로써 옥의 성질을 변화시키는 단계와, 성질이 변화된 옥을 용액 상태로 상기 용해로에서 추출한 후 냉각 및 건조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광석 옥에 포함된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해서 우선 광석 옥을 적정한 크기로 파쇄한 후 용해로(100)에 투입한다. 파쇄된 광석 옥의 투입량은, 용해로의 용량, 이물질이 제거된 용액 상태의 옥의 추출량 등을 고려하여 결정될 수 있다.
용해로(100)의 내부에서 광석 옥을 가열 및 용해하여 이물질을 제거함과 동시에 옥의 성질을 변화시킨다. 도 4를 참고하면, 광석 옥에 포함되어 있는 이물질은 그 비중에 따라서 제1 층(110) 및 제3 층(130)에 위치할 수 있고, 이물질이 제거된 순수 옥은 제2 층(120)에 위치할 수 있다. 이때, 각 층(110, 120, 130)에 위치하고 있는 배출관(112, 122, 132)을 통해서 제1 층(110) 및 제3 층(130)에 위치하는 이물질은 배출관(112, 132)을 통해서 제거할 수 있고, 이물질이 제거된 옥은 용액 상태로 배출관(122)을 통해서 제거될 수 있게 된다.
용해로(100) 내부에서 광석 옥을 가열하는 과정에서 산소공급관(140)을 통해서 산소를 용해로(100)의 내부에 공급할 수 있다. 용해로(100) 내부에 산소를 공급하는 것은, 산소 공급으로 인해서 용해로(100) 내부에서 용해된 물질(옥 포함)들이 교반되고 고열에 녹은 액상의 옥이 산소와 반응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미네랄 성분은 약 1400℃ 에서 파괴되기 때문에, 용해로(100) 내부의 온도를 1400℃ 이하로 유지함으로써 옥에 포함되어 있는 미네랄 성분이 파괴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용해로(100)에서 추출된 옥은 냉각 및 건조되고, 필요에 따라서 분쇄되어서 소정의 옥가루로 만들어질 수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22)

  1. 광석 옥을 분쇄하여 분말화된 옥가루를 만드는 분쇄 단계와;
    상기 분말화된 옥가루를 물과 배합한 후 가열하여 옥가루의 성질을 변화시키면서 옥가루에 함유된 불순물을 제거하는 제1 가열 단계와;
    상기 불순물이 제거된 옥가루를 재가열하여 옥가루에 함유된 수분을 제거함으로써 순도가 높은 옥가루를 얻는 제2 가열 단계를 포함하는 옥가루 가공방법.
  2. 광석 옥을 적정 크기로 파쇄한 후 용해로에 투입하는 단계와;
    상기 파쇄된 광석 옥을 용해로 내부에서 가열하여 용해함으로써 옥의 성질을 변화시키는 단계와;
    상기 성질이 변화된 옥을 용액 상태로 용해로에서 추출한 후 냉각 및 건조하는 단계와;
    상기 냉각 및 건조된 옥을 분쇄하여 옥가루를 얻는 단계를 포함하는 옥가루 가공방법.
  3. 청구항 1 또는 2에 있어서,
    상기 옥가루는 직경이 마이크로미터 단위 또는 나노 단위이고,
    상기 성질 변화가 촉진된 옥가루와 다른 기능성 물질을 적정 비율로 혼합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옥가루를 가열하여 성질 변화를 일으키는 과정에서 가열에 의해 옥가루의 부피가 팽창할 때 산소를 함유한 수분이 옥가루 내부까지 용이하게 침투된 후, 가열 열과 수분에 함유된 산소가 반응함으로써 옥가루의 내부까지 성질 변화가 촉진되도록 물이 옥가루의 양 대비 적정 비율로 유지되도록 주기적으로 수분을 공급하여 가열하고,
    상기 기능성 물질은 유황 성분을 함유한 온천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옥가루 가공방법.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분쇄 단계와 제1 가열 단계 사이에, 상기 분말화된 옥가루를 물에 넣고 교반하여 물 표면에 뜨는 이물질과 침전 옥가루를 분리시키는 제1 분리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가열 단계와 제2 가열 단계 사이에, 상기 불순물이 제거된 상태인 물이 배합된 옥가루를 일정 시간 방치한 후 옥가루만을 남기고 물은 버리는 제2 분리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옥가루 가공방법.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16. 삭제
  17. 삭제
  18. 삭제
  19. 삭제
  20. 삭제
  21. 삭제
  22. 삭제
KR1020140119524A 2013-10-01 2014-09-06 옥가루 가공방법 KR10183753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KR2014/009249 WO2015050370A2 (ko) 2013-10-01 2014-10-01 옥가루 가공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117217 2013-10-01
KR1020130117217 2013-10-0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39087A KR20150039087A (ko) 2015-04-09
KR101837531B1 true KR101837531B1 (ko) 2018-03-12

Family

ID=530295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19524A KR101837531B1 (ko) 2013-10-01 2014-09-06 옥가루 가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3753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25169B1 (ko) * 2019-02-22 2019-09-25 주식회사 스카이바이오 수용화 옥 추출물 제조 방법 및 화장료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39087A (ko) 2015-04-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07656B1 (ko) 의료기기용 바이오 세라믹의 제조방법.
KR101265292B1 (ko) 원적외선 방사 용액의 제조방법 및 그로부터 제조된 원적외선 방사 물품
KR102109692B1 (ko) 다기능성 분말의 제조방법
KR20150068155A (ko) 기능성 소금 및 그 제조방법
CN106360736A (zh) 一种纯天然纳米级超微钙粉的制备工艺
KR101837531B1 (ko) 옥가루 가공방법
JP2008179594A (ja) アトピー性湿疹緩和剤組成物
CN101002805B (zh) 灵芝孢子破壁方法
Kavaz Synthesis of silica nanoparticles from agricultural waste
CN104161773A (zh) 一种全活性成分纳米珍珠粉的制备方法
CN109078026A (zh) 一种超微桦树茸粉的制作方法及使用该方法制备得到的桦树茸粉的用途
KR20160100174A (ko) 광물가루 가공방법 및 가공장치
CN103704400A (zh) 一种可食用的信阳毛尖茶粉及其制配方法
CN1872089A (zh) 生物降解珍珠粉及其制作工艺
CN100469453C (zh) 内应力自爆辅助粉碎的方法
KR100809555B1 (ko) 원적외선 방사체의 제조방법
KR102295706B1 (ko) 항균성 신발깔창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항균성 신발깔창
CN106587208A (zh) 一种改善水微观结构性能的矿石球及水处理装置
KR101933854B1 (ko) 문자표출형 원적외선 의류
TWI323176B (ko)
WO2015050370A2 (ko) 옥가루 가공방법
KR101559138B1 (ko) 천연광석으로부터 분리 추출된 광물계 소마티드 캘비 조성물
KR101277083B1 (ko) 원적외선 방사 화장료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원적외선 방사 화장품
CN103251061A (zh) 一种动物骨钙微纳米粉体及制法
KR101318789B1 (ko) 오징어 먹물 함유 정제의 제조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