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77083B1 - 원적외선 방사 화장료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원적외선 방사 화장품 - Google Patents

원적외선 방사 화장료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원적외선 방사 화장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77083B1
KR101277083B1 KR1020120113333A KR20120113333A KR101277083B1 KR 101277083 B1 KR101277083 B1 KR 101277083B1 KR 1020120113333 A KR1020120113333 A KR 1020120113333A KR 20120113333 A KR20120113333 A KR 20120113333A KR 101277083 B1 KR101277083 B1 KR 10127708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ar
infrared ray
infrared radiation
ray radiation
cosmetic compos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133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종헌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아랜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아랜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아랜디
Priority to KR10201201133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7708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770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77083B1/ko
Priority to PCT/KR2013/009103 priority patent/WO2014058271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19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inorganic ingredi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19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inorganic ingredients
    • A61K8/25Silicon; Compound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19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inorganic ingredients
    • A61K8/26Aluminium; Compound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8Anti-ageing prepa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7/00Barrier preparations; Preparations brought into direct contact with the skin for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external influences, e.g. sunlight, X-rays or other harmful rays, corrosive materials, bacteria or insect stings
    • A61Q17/04Topical preparations for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sunlight or other radiation; Topical sun tanning preparatio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Bird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Epidemi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Dermatology (AREA)
  • Gerontology & Geriatric Medicine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원적외선 방사 화장료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원적외선 방사 화장품에 관한 것으로, 본원은 원적외선 방사 기능을 갖는 화장료의 원적외선을 피부 깊숙이 침투시켜 세포의 기능을 활성화시키고 모세혈관을 확장시켜 혈액순환과 세포조직 생성에 도움을 주는 원적외선 방사 화장품에 관한 것이다.
본원은 이산화규소(SiO2), 산화알루미늄(Al2O3), 산화철(Fe2O3)이 특정 배합비로 포함하여 이루어져서 원적외선 방사 기능을 갖도록 제공되는 화장료 조성물과 이를 사용한 원적외선 방사 화장품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5~20 파장의 원적외선이 80~95% 방사되고, 3.0×102 ~ 4.0×102 (W/㎡.㎛, 37℃)의 방사에너지를 갖는 원적외선 방사 화장품 제공하므로 원적외선의 유익한 기능을 이용하여 원적외선을 피부 속으로 침투시켜 피부의 노화를 방지하거나 지연시키고 신진대사를 촉진하는 등의 도움을 주는 원적외선 방사 화장품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원적외선 방사 화장료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원적외선 방사 화장품 {FAR-INFRARED RAY RADIATION COSMETIC COMPOSITION AND FAR-INFRARED RAY RADIATION COSMETICS INCLUDING THE SAME}
본 발명은 이산화규소(SiO2), 산화알루미늄(Al2O3), 산화철(Fe2O3)이 특정 배합비로 포함하여 이루어져서 원적외선 방사 기능을 갖도록 제공되는 화장료 조성물 과 이를 사용한 원적외선 방사 화장품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5~20 ㎛파장의 원적외선이 80~95% 방사되고, 3.0×102 ~ 4.0×102 (W/㎡.㎛, 37℃)의 방사에너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적외선 방사 화장품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5~20㎛의 파장영역에서 강한 파동에너지를 방출하는 규산염 광물을 피부에 효과적으로 도입함으로써 혈행을 촉진시켜 피부 세포를 활성화시키고, 아울러 피부 보습 및 피부 노화 방지 효과를 제공할 수 있는 원적외선 방사 화장료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원적외선 방사 화장품에 관한 것이다.
적외선은 파장의 범위에 따라 근 적외선, 중간 적외선, 원 적외선으로 나누어지며, 원적외선은 전도, 대류, 복사의 세 가지 방식에 의한 열에너지 전달방식 중에서 중간매체 없이 직접적이고 순간적으로 복사에너지를 전달하고 물체를 내부로부터 따뜻하게 해주는 침투력이 있어 생체물질을 활성화하는 것이 가능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원적외선은 전자파의 일종으로 적외선(0.76~1,000㎛) 중 파장이 긴 것을 지칭하고, 파장 영역은 보통 5~20㎛ 범위의 것을 의미하며 가시광선보다 강한 열작용을 하고 방사에너지가 직접적이고 순간적으로 열전달에 의해 빠르게 흑체를 가열하며, 에너지 절약효과가 커서 널리 이용되고 있는 유용한 마이크로파이다.
또한 이 파장 영역은 생체 내로 잘 흡수되어 생체 내의 분자를 자극하여 활성화하는 작용을 하므로 원적외선은 생명체의 생장에 꼭 필요한 생체파장을 방사(5~20㎛)하며 눈에 보이지 않고 물질에 잘 흡수되며 유기화합물 분자에 대한 공진 및 공명작용이 강하며, 모세혈관을 확장시켜 혈액순환과 세포조직생성에 도움을 주고 세포를 구성하는 수분과 단백질 분자에 닿으면 세포를 1분에 2,000번씩 미세하게 흔들어줌으로써 세포조직을 활성화하여 노화방지, 신진대사촉진, 만성피로 등 각종 성인병 예방에 효과가 있다.
또한, 원적외선은 통증완화, 중금속제거, 숙면, 탈취, 방균, 곰팡이 번식방지, 제습, 공기정화 등의 효과가 있으며, 원적외선은 파장이 빛보다 길어서 물체에 조사될 때 잘 흡수되는 성질이 있으므로 침투력이 강하고 그 파장의 진동수가 인체 분자의 진동수와 거의 같은 범위에 있기 때문에 인체에 투과되면 분자 내에서 공명현상이 일어나 그 진동이 활발해지고 그러한 진동의 대부분이 열로 변하며 일부 에너지는 활성화 작용을 하고 이러한 열 작용은 각종 질병의 원인이 되는 세균을 없애는 데 도움을 준다.
피부는 인체의 일차 방어막으로서 온도 및 습도 변화와 자외선, 공해물질 등 외부환경의 자극으로부터 체내의 제 기관을 보호해 주는 고유의 기능을 지니고 있으나 나이가 들어감에 따라 내적으로는 신진대사를 조절하는 각종 호르몬의 분비가 감소하고, 면역 세포의 기능과 세포들의 활성이 저하되어 생체에 필요한 면역 단백질 및 생체 구성 단백질들의 생합성이 줄어들게 되며, 외적으로는 오존층 파괴로 인하여 태양 광선에 자외선 함량이 증가하게 되고, 환경오염이 더욱 심화됨에 따라 자유 라디칼 및 활성 유해 산소 등이 증가하게 되며 과도한 물리적, 화학적 자극 및 스트레스 등이 가해지게 되는 경우 피부의 정상기능이 저하되고 피부의 노화현상을 촉진하며 피부를 손상시키게 된다.
따라서, 이러한 현상을 방지하고 피부 고유기능을 유지시키면서 피부세포를 활성화시켜 피부 노화를 효과적으로 억제하여 보다 건강하고 아름다운 피부를 유지하기 위한 노력의 일환으로 각종 동물, 식물, 미생물 등으로부터 얻은 생리 활성 물질들을 화장품에 부가하여 사용하는 방법들이 연구되어 왔다.
현재 화장품에 있어서 피부를 보호하고 피부노화방지, 지연에 도움을 주는 활성물질을 사용한 화장품은 0.1mm~0.3mm 두께의 표피부에만 적용되는 제품에 불과한 실정으로 표피를 통해 피부의 진피층까지의 활성물질이 침투되기는 쉽지 않은 것이 사실이다.
따라서, 피부개선을 위하여 사용되는 천연물질을 이용한 기능성 화장료 중에서 특히 광물질을 주요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의 경우, 광물질에서 방사되는 원적외선을 이용하여 피부의 진피층까지 원적외선을 침투하려는 시도가 연구되고 있다.
본원은 상기와 같은 제반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원은 피부 속으로 원적외선 방사 기능을 갖는 화장료를 사용한 원적외선 방사 화장품으로 원적외선을 피부 속으로 침투시켜 세포의 기능을 활성화시키고 모세혈관을 확장시켜 혈액순환과 세포조직 생성에 도움을 주는 원적외선 방사 화장품을 제공하고자 하는 과제를 갖고 시작된 발명이다.
본원은 이산화규소(SiO2), 산화알루미늄(Al2O3), 산화철(Fe2O3)이 특정 배합비로 포함하여 이루어져서 원적외선 방사 기능을 갖도록 제공되는 화장료 조성물과 이를 사용한 원적외선 방사 화장품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5~20 파장의 원적외선이 80~95% 방사되고, 3.0×102 ~ 4.0×102 (W/㎡.㎛, 37℃)의 방사에너지를 갖는 원적외선 방사 화장품을 제공하므로 원적외선을 피부 속으로 침투시켜 피부의 노화를 방지하거나 지연시키고 신진대사를 촉진하는 등의 도움을 주는 원적외선 방사 화장품을 제공하고자 하는 목적을 갖는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원적외선 방사 화장료 조성물이 이산화규소(SiO2), 산화알루미늄(Al2O3), 산화철(Fe2O3)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1,000~1,500 mesh로 분말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적외선 방사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원적외선 방사 화장료 광물은 SiO2 50~89.5 중량%, Al2O3 10~45 중량%, Fe2O3 0.5~5 중량% 범위의 배합비율로 적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적외선 방사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원적외선 방사 화장료 조성물이 유연화장수, 영양화장수, 로션, 영양크림, 마사지크림, 바디크림, 에센스, 팩, 화운데이션, 샴푸, 린스, 세안용 제품, 목욕용 제품, 파우더, 립스틱 중에서 선택된 제형에 첨가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원적외선 방사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원은 상기와 같이 SiO2 50~89.5 중량%, Al2O3 10~45 중량%, Fe2O3 0.5~5 중량% 범위의 배합비율로 적용되어 제공되는 원적외선 방사 화장료 조성물이 배합된 원적외선 방사 화장품이 5~20 ㎛파장의 원적외선이 80~95% 방사되고, 3.0×102 ~ 4.0×102 (W/㎡.㎛, 37℃)의 방사에너지를 발생하는 것을 확인하여 완성된 발명이다.
이하 본원의 기술사상이 구체적으로 구현되는 실시양태는 하기의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란에서 실시예를 겸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원적외선 방사 화장료 조성물을 사용한 원적외선 방사 화장품은 피부 속으로 원적외선을 침투시켜 세포의 기능을 활성화시키고 모세혈관을 확장시켜 혈액순환과 세포조직 생성에 도움을 주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원적외선 방사 화장료 조성물을 사용한 원적외선 방사 화장품은 피부 속으로 원적외선을 침투시켜 피부 노화방지, 신진대사촉진 등에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제조한 원적외선 방사 화장품의 방사율/방사에너지에 대한 결과를 나타내는 시험성적서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제조한 원적외선 방사 화장품의 중금속 및 환경유해물질 함량에 대한 결과를 나타내는 시험성적서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제조한 원적외선 방사 화장품의 방사에너지를 도시한 그래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제조한 원적외선 방사 화장품의 방사율을 도시한 그래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제조한 원적외선 방사 화장품을 사용하기 전후의 인체를 적외선 카메라로 촬영하여 혈류량 및 적혈구 개선 효능을 측정한 결과를 나타낸 사진이다.
이하 본원의 기술사상이 구현되는 실시양태를 하기에 실시예 형식으로 기재하고자 하는바, 본원은 원적외선 방사 화장료 조성물로 SiO2 50~89.5 중량%, Al2O3 10~45 중량%, Fe2O3 0.5~5 중량% 범위의 배합비율로 적용되어 제공되는 경우 5~20 ㎛파장의 원적외선이 80~95% 방사되고, 3.0×102 ~ 4.0×102 (W/㎡.㎛, 37℃)의 방사에너지를 발생하는 사실을 확인하여 완성된 발명으로서, 본원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다양한 시행오차법에 의한 실험결과로 출원인이 원하는 기대치를 달성하는 범위의 실시양태를 제시한 것이고, 본원의 기술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나 본원의 청구범위에서 제시되는 수치의 상한이나 하한을 벗어나는 경우 최상의 미용효과 및 원적외선 방사효과가 떨어지는 문제점을 나타내므로 제시된 숫자임을 이해하여야 할 것이다.
또한 본원에서 사용되는 스태몽 원석에 의한 SiO2나 산화알루미늄이나 산화철 원료 채광장소 및 그 순도나 배합비에 따라서도 다소 영향을 미칠 수 있을 것이나 본 발명의 기술사상에 따른 권리범위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내용을 기준으로 균등론적으로 해석되어 적용되어야 할 것이다.
본원 발명자는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 원적외선 방출 기능을 갖는 규산염 광물을 찾는 과정 중에 충남 창석광산 및 타지의 A 광산 및 B 광산에서 산출되는 원석을 분석하는 과정 중에 얻은 자료를 표 1에 제시하며, 충남 창석 광산에서 얻은 스태몽 원석(현지 주민들이 스태몽 원석이라고 부르고 있어서 그대로 사용하는 것임)이 이산화규소(SiO2)를 99wt% 범위로 함유하고, 나머지 원료가 화장품 조성에 사용될 수 있는 산화알루미늄(Al2O3)을 0.814wt%, 산화철(Fe2O3)을 0.04wt%, 산화칼슘(CaO)을 0.037wt%로 함유하는 사실을 확인하고 스태몽 원석을 이용하여 본원의 목적을 달성하는 방법을 찾고자 하였다.
구분 SiO2 Al2O3 Fe2O3 CaO Na2O K2O MgO
스태몽
원석
99.000 0.814 0.04 0.037 0.000 0.000 0.000
A 광산 71.395 13.813 4.263 2.109 3.468 2.854 1.497
B 광산 71.111 13.973 4.277 2.121 3.530 2.869 1.500
이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이 구체적으로 구현되는 실시양태를 기술함에 있어서 먼저 스태몽 원석을 이용하여 이산화규소(SiO2)를 얻기 위한 제조 실시예와 알콕사이드법을 이용하여 산화알루미늄(Al2O3)을 얻기 위한 제조 실시예를 기재하고 그 다음 본원에서 제시되는 원적외선 방사 화장료 광물 조성이 화장품으로 제공되는 적용예를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1-1). 미립도의 이산화규소(SiO2)를 얻기 위한 제조방법.
먼저 스태몽 원석으로부터 이산화규소(SiO2)를 미립도로 얻기 위한 제조공정은 스태몽 원석 광물을 분쇄하는 제1단계와 분쇄된 스태몽 원석 광물에 물을 고압, 고속으로 분사하여 미소 크랙이 생성되도록 하는 제2단계와 100~ 150℃에서 가열하여 탈수시키는 제3단계와 탈수 처리된 스태몽 원석 광물을 분말화하는 제4단계로 수행될 수 있는바, 제1단계의 스태몽 원석 광물 분쇄과정은 일반적인 광물 파쇄에 사용될 수 있는 조크러샤, 콘크러샤, 롤크러샤, V.S.I.임팩트 크러샤, 롯드밀, 볼밀 등을 이용하여 분쇄할 수 있으며, 본원 발명자는 1차적으로 스태몽 원석 광물을 0.5 ~ 10㎜ 크기로 분쇄하여 이용하였다.
제2단계 공정으로 분쇄된 스태몽 원석 광물에 물을 고압, 고속으로 제트류 분사하여 미소 크랙이 생성되도록 하는 공정에서 물의 분사 압력은 1000bar에서 분사 속도는 214L/min로 적용하여 스태몽 원석 광물에 충격을 가하여 미소 크랙(세공 작용)이 발생되도록 적용하였으며, 제3단계는 고압, 고속의 물에 의해 미소 크랙이 발생된 스태몽 원석 광물을 100 ~ 150℃ 조건에서 서서히 저온 가열하여 결정수를 수증기 처리하여 증발, 탈수시켜 매우 낮은 밀도를 갖는 스태몽 원석 입상물질을 얻고, 제4단계는 탈수 처리된 스태몽 원석 광물을 분말화하는 과정으로 최종적으로 입상물질을 1000 ~ 1500 메쉬 입도 크기로 분말화된 이산화규소(SiO2)를 얻을 수 있다.
1-2). 이산화규소(SiO2) 제조 실시예.
스태몽 광물 100㎏을 0.5 ~ 10㎜ 정도로 분쇄한 후에 물을 1000bar의 초고압, 214L/min의 초고속 상태로 스태몽 광물에 분사하며, 이때, 스크류 이송방법으로 스태몽 광물을 회전시키며 180분 동안 물의 분사가 이루어지도록 하였다.
다음으로, 80분 동안 가열 수증기 처리로 수분을 증발, 탈수시킨 후에 세공구조를 갖는 입상물질을 1000 ~ 1500 메쉬 입도크기로 분쇄하여 이산화규소(SiO2) 원료로 이용하였다.
상기의 공정으로 제조된 SiO2 분말은 1g당 900 ~ 1500㎡의 비표면적을 갖는 미소기공을 갖게 되며, 이러한 미소기공은 본원의 화장료 조성물에서 피부노폐물을 흡착하여 제거하는 기능을 가질 것으로 예측된다.
2-1). 미립도의 산화알루미늄(Al2O3)를 얻기 위한 제조방법.
본원 발명자는 미크론 이하의 입경 크기를 갖는 알루미나 미립자를 제조하기 위한 수단으로 알콕사이드법을 이용하고자 하였는바, 제1단계로 40 내지 60 부피%의 옥탄올에 알루미늄 알콕사이드 0.03 내지 0.35 mol/ℓ를 용해하여 옥탄올 용액을 제조하는 단계와, 제2단계로 상기 옥탄올 용액과 합한 량이 90 부피%가 되도록 상기 옥탄올 용액에 메틸에틸케톤 30 내지 50 부피%를 첨가하여 혼합용액을 제조하는 단계와 제3단계로 상기 혼합용액에 프로판올 10 부피%에 물 0.04 내지 0.30 mol/ℓ를 용해시켜 얻어진 용액을 혼합하여 반응용액을 제조하는 단계와 제4단계로 상기 반응용액 형성 초기에 핵 생성된 알루미나 미립자 핵을 성장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공정을 통하여 미립도의 산화알루미늄(Al2O3)을 얻을 수 있다.
2-2). 산화알루미늄(Al2O3) 제조 실시예
온도 약 50℃로 승온시킨 40 부피% 옥탄올에 알루미나 알콕사이드 0.04 mol/ℓ를 가하여 알루미나 용액을 제조한 후, 온도 약 40℃로 유지시키고, 상기 용액에 온도 약 40℃로 승온시킨 50 부피%의 메틸에틸케톤을 첨가하여 교반하면서 혼합용액을 제조하였다. 상기 제조된 혼합용액에 10 부피%의 프로판올에 용해한 재증류수 0.04 mol/ℓ를 교반하면서 첨가하고 혼합하여 알루미늄 알콕사이드의 가수분해를 수행하였다.
상기 가수분해 반응을 상온에서 1 시간 동안 유지시켜 생성된 핵을 충분히 입자 성장시킨 후, 원심분리기로 생성된 미립자와 용매를 분리하고 분리된 침전물을 200℃의 진공건조기에서 6시간 건조시켜 알루미나 미립자를 제조하였다.
상기 제조된 알루미나 미립자를 주사전자현미경으로 확인한 결과 평균 입경이 0.70 미크론이고 응집이 전혀 없는 단 분산 구상 알루미나 미립자를 얻을 수 있었다.
상기의 공정으로 제조된 Al2O3 분말은 피부를 부드럽게 만들어주는 특성을 갖고 주름이나 미세한 피부선을 감춰주는 은폐력을 제공하는 기능을 가질 것으로 예측된다.
3. 본원에서 제시되는 화장료 조성물의 배합비
본원의 기술사상이 적용되는 원적외선 방사 화장품 원료성물은 5~20 ㎛파장의 원적외선이 80~95% 방사되고, 3.0×102 ~ 4.0×102 (W/㎡.㎛, 37℃)의 방사에너지를 갖는 범위를 이루기 위한 수단으로, 상기 공정으로 얻은 이산화규소 및 산화알루미늄과 화장품용으로 1,000~1,500 mesh 범위로 제공되는 산화철(Fe2O3)을 포함하여 화장료 기본조성물에 1~10wt% 범위로 함유되어 사용될 수 있다.
본원 발명자는 화장료 기본조성물에 본원에서 제공되는 원적외선 방사 원료조성물이 1~10wt% 범위로 함유되어 사용될 때 최적 배합조성을 찾기 위해 수많은 시행오차를 겪는 과정에서 SiO2 50~89.5 중량%, Al2O3 10~45 중량%, Fe2O3 0.5~5 중량% 범위의 배합비율에서 본원에서 원하는 목적을 달성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본원의 상기 조성에서 이산화규소 분말은 조성물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50 내지 89.5중량%로 포함되어 적용될 수 있는바, 이산화규소 분말의 양이 50중량% 보다 적으면 원적외선 방사율이 감소 될 우려가 있고, 89.5중량% 보다 많으면 화장품 물성을 훼손할 수 있으므로 상기 조성범위가 적합하다.
또한, 산화알루미늄 분말은 조성물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10 내지 45중량%로 포함될 수 있는바, 산화알루미늄 분말의 양이 10중량% 보다 적으면 적외선 차단 효과가 미비할 수 있고, 45중량% 보다 많으면 제품 안전성에 문제가 생길 수 있으므로 상기 조성범위가 적합하다.
또한 산화제이철 분말은 평균 입자 크기가 1 ㎛ 내지 1 ㎚ 범위의 미립도로 사용되어 될 수 있으며, 산화제이철 분말은 기본적으로 붉은 색상을 제공하나 입도의 크기에 따라서 암적, 황, 황적, 적, 적자, 자, 암자색으로 변해가는 특성을 제공하므로 원적외선 방사 원료조성물 총 중량을 기준으로 할 때 0.5 내지 5중량%로 포함되어 사용될 수 있는바, 산화제이철 분말의 양이 0.5중량% 보다 적으면 색도 발휘 능력이 떨어지고, 5 중량% 보다 많으면 색상이 너무 진하고 제품 안전성도 저해하는 문제가 생길 수 있다.
4. 본원에서 제공되는 원적외선 방사 원료조성물을 이용하여 스킨로션(유연화장수) 화장료 조성물로 적용시킨 실시예
원적외선 방사 원료조성물의 제조 실시예로 상기의 제조 실시예로 만든 이산화규소와 산화알루미늄 및 산화제이철의 배합비를 SiO2 70.0 g, Al2O3 29 g, Fe2O3 1.0 g 배합비율로 원적외선 방사 원료 조성물을 만들고 표 2에 제시되는 일반 스킨로션 조성에 본원의 기술사상이 적용되어 만들어진 원적외선 방사 원료조성물을 5 중량% 범위로 포함되는 조성을 만들어 원적외선 방사특성을 실험하고자 하였다.
성분 샘플 a 샘플 b
A
정제수 Total 100 Total 100
카보머 1.0 1.0

B

부틸렌글리콜 5.0 5.0
원적외선 방사원료 배합물 5.0 0
글리세릴 폴리아크리레이크 5.0 5.0
라우레스-7 0.5 0.5
알란토인 0.1 0.1


C


메칠파라벤 0.1 0.1
페녹시에탄올 0.1 0.1
플로필파라벤 0.1 0.1
에탄올 5.0 5.0
폴리솔베이트20 1.5 1.5
토코페롤아세테이트 0.1 0.1
D 트리에탄올아민 0.1 0.1

E
향료 적량 적량
바이오사카라이드검 적량 적량
인삼추출물 적량 적량
(스킨로션 유연화장수 제조방법)
(1) A성분을 균일하게 혼합하였다.
(2) B성분을 상기(1)에 투입한 후 80℃로 가열하였다.
(3) C성분을 75℃로 가열하였다.
(4) 상기(3)을 상기(2)에 투입하였다.
(5) D성분을 온도 60℃를 유지한 상태에서 상기(4)에 투입하였다.
(6) E성분을 온도 40℃를 유지한 상태에서 상기(5)에 투입하였다.
(7) 상기(6)을 35℃까지 냉각하였다.
실험결과.
상기 표 2의 조성으로 만들어진 스킨로션(유연화장수)에 대하여 한국원적외선응용평가연구원에 의뢰하여 도 1에 제시된 원적외선 방사율/방사에너지에 대한 실험결과를 나타내는 시험성적서를 받았으며, 동 조성물에 대하여 유해물질검출시험을 의뢰하여 도 2에 제시된 시험성적서를 얻었다.
5. 본원에서 제공되는 원적외선 방사 원료조성물을 이용하여 영양크림 화장료 조성물로 적용시킨 실시예
원적외선 방사 원료조성물의 제조 실시예로 만든 이산화규소와 산화알루미늄 및 산화제이철의 배합비를 SiO2 80.0 g, Al2O3 19.5 g, Fe2O3 0.5 g 배합비율로 원적외선 방사 원료조성물을 만들고 표 3에 제시되는 일반 영양크림 화장료 조성물 조성에 본원의 기술사상이 적용되어 만들어진 원적외선 방사 원료조성물을 5 중량% 범위로 포함되는 조성을 만들어 원적외선 방사특성을 실험하고자 하였다.
성분 샘플 c 샘플 d
A
정제수 Total 100 Total 100
카보머 1.0 1.0

B

글리세린 10.0 10.0
디소디움 이디티에이 0.05 0.05
원적외선 방사원료 배합물 5.0 0


C


에칠알콜 1.0 1.0
스테아릭애시드 1.0 1.0
카프리릭/카프릭트리글리세라이트 0.5 0.5
이소푸로필미리스테이트 5.0 5.0
비에취티 0.05 0.05
조조바오일 2.0 2.0
메칠파라벤 0.1 0.1
푸로필파라벤 0.1 0.1
D 트리에탄올아민 1.0 1.0
E
향료 적량 적량
보단피추출물 적량 적량
(영양크림 화장 조성물 제조방법)
(1) A성분을 균일하게 혼합하였다.
(2) B성분을 상기(1)에 투입한 후 80℃로 가열하였다.
(3) C성분을 75℃로 가열하였다.
(4) 상기(3)을 상기(2)에 투입하였다.
(5) D성분을 온도 60℃를 유지한 상태에서 상기(4)에 투입하였다.
(6) E성분을 온도 40℃를 유지한 상태에서 상기(5)에 투입하였다.
(7) 상기(6)을 35℃까지 냉각하였다.
상기 표 3의 조성에 따라 제조한 영양크림 화장조성물에서도 5~20 ㎛파장의 원적외선이 80~95% 방사되고, 3.0×102 ~ 4.0×102 (W/㎡.㎛, 37℃)의 방사에너지를 갖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본원의 기술사상으로 제공되는 원적외선 방사 원료의 배합물을 포함하여 제공되는 화장품류는 원적외선의 방사 특성을 이용하는 방법으로, 즉 5~20 ㎛ 파장의 원적외선을 방사하는 화장품 사용시 유기체인 인체 내에 공진, 공명 흡수 현상을 일으켜 피부 속으로 원적외선이 침투되며 이러한 원적외선은 세포의 기능을 활성화시키고 모세혈관을 확장시켜 혈액순환과 세포조직 생성에 도움을 주며 또한 세포 조직을 활성화하고 노화방지, 신진대사촉진 등 원적외선의 유익한 기능을 이용하여 피부의 노화를 방지, 지연시키는 효과를 제공할 것으로 기대된다.
6. 임상실험 효과의 측정
상기 표 2의 조성으로 제조된 스킨로션에 대하여 원적외선 방사 원료 배합물을 포함한 것(샘플a)과 원적외선 방사 원료 배합물을 포함하지 않은 일반 조성물로 제공된 것(샘플b)과 표 3의 조성으로 제조된 영양크림에 대하여 원적외선 방사 원료 배합물을 포함한 것(샘플c)과 원적외선 방사 원료 배합물을 포함하지 않은 일반 조성물로 제공된 것(샘플d)의 피부에 대한 임상 효과를 비교하기 위해 30~40대 여성 180명을 대상으로 9 개조로 나누어 다음과 같이 임상실험효과를 측정하였다.
각 조에 샘플 a, b, c, d를 주고 매일 1회 1개월간 도포하도록 한 후, 1개월이 지난 다음 실리콘을 이용하여 레플리카를 뜨고 visiometer(SV500, Courage + Khazaka electronic GmbH, Germany)를 이용한 화상 분석을 통하여 주름의 깊이를 측정하였고, 피부 탄력을 측정할 수 있는 cutometer(SEM474, Courage + Khazaka electronic GmbH, Germany)를 이용하여 얼굴 부위의 탄력을 측정하여 도포하기 전과 비교하였으며, coneometer(CM820 Courage + Khazaka electronic GmbH, Germany)를 이용하여 보습력을 측정하였고, 설문조사를 통해 매끄러움, 화장이 잘 받는 정도 등의 여부를 판별하였다. 그 결과를 하기 표 4에 나타내었다.
사용 1개월후
임상결과
샘플 a 샘플 b 샘플 c 샘플 d
주름 감소(%) 10.18 4.65 15.75 6.47
피부탄력 개선도(%) 11.41 3.95 18.16 5.94
보습력 증가율(%) 13.42 5.86 20.15 6.26
매끄러움(%) 20.0 8.0 25.0 12.0
화장의 잘 받음 정도(%) 20.0 9.0 25.0 11.0
상기 표 4의 결과로부터 확인할 수 있듯이, 본원의 기술사상이 적용되어 원적외선 방사 원료의 배합물을 포함하여 제공되는 화장품류인 샘플 a 및 샘플 c 제품은 원적외선 방사 원료의 배합물을 포함하지 않고 제공된 샘플 b 및 샘플 d제품에 비하여 주름감소, 피부탄력 개선도, 보습력, 매끄러움, 화장 발 받음 정도의 측정에서 우수한 효과를 나타냄을 확인할 수 있다.
본원의 명세서에서는 모든 화장품의 적용 실시예를 모두 예시하지는 않으나 본원에서 제공하고자 하는 원적외선 방사 화장료 조성물이 유연화장수, 영양화장수, 로션, 영양크림, 마사지크림, 바디크림, 에센스, 팩, 화운데이션, 샴푸, 린스, 세안용 제품, 목욕용 제품, 파우더, 립스틱 중에서 선택되는 모든 제형에 1~10wt% 범위로 첨가시켜 적용하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무리가 없을 것이다.

Claims (3)

  1. 원적외선 방사 화장료 조성물에 있어서,
    이산화규소(SiO2) 50~89.5 중량%, 산화알루미늄(Al2O3) 10~45 중량%, 산화철(Fe2O3) 0.5~5 중량% 범위의 배합비율로 혼합되어 원적외선 방사효과를 갖는 화장료 원료 성분을 1,000~1,500 mesh 범위로 분말화시켜 제공되는 원적외선 방사 화장료 조성물이 유연화장수, 영양화장수, 로션, 영양크림, 마사지크림, 바디크림, 에센스, 팩, 화운데이션, 샴푸, 린스, 세안용 제품, 목욕용 제품, 파우더, 립스틱 중에서 선택된 제형에 1~10wt% 범위로 첨가되어 적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적외선 방사 화장품.
  2. 삭제
  3. 삭제
KR1020120113333A 2012-10-12 2012-10-12 원적외선 방사 화장료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원적외선 방사 화장품 KR101277083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13333A KR101277083B1 (ko) 2012-10-12 2012-10-12 원적외선 방사 화장료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원적외선 방사 화장품
PCT/KR2013/009103 WO2014058271A1 (ko) 2012-10-12 2013-10-11 원적외선 방사 화장료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원적외선 방사 화장품 및 이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13333A KR101277083B1 (ko) 2012-10-12 2012-10-12 원적외선 방사 화장료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원적외선 방사 화장품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77083B1 true KR101277083B1 (ko) 2013-06-20

Family

ID=488674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13333A KR101277083B1 (ko) 2012-10-12 2012-10-12 원적외선 방사 화장료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원적외선 방사 화장품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277083B1 (ko)
WO (1) WO2014058271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098085A1 (ko) * 2020-11-04 2022-05-12 석진호 광물입자를 이용한 신체 활성화 제품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139809A (ja) * 1991-11-15 1993-06-08 Yukio Uchida 遠赤外線放射性粉末の製造方法
KR20030016154A (ko) * 2002-03-07 2003-02-26 (주) 채널링크 음이온 및 원적외선 작용을 하는 고기능성 조성물
KR100886082B1 (ko) 2007-10-25 2009-02-26 동국대학교 산학협력단 다기능성 천연광물 가공 소재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10131992A (ko) * 2010-06-01 2011-12-07 홍윤표 음이온발생 화장료 조성물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139809A (ja) * 1991-11-15 1993-06-08 Yukio Uchida 遠赤外線放射性粉末の製造方法
KR20030016154A (ko) * 2002-03-07 2003-02-26 (주) 채널링크 음이온 및 원적외선 작용을 하는 고기능성 조성물
KR100886082B1 (ko) 2007-10-25 2009-02-26 동국대학교 산학협력단 다기능성 천연광물 가공 소재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10131992A (ko) * 2010-06-01 2011-12-07 홍윤표 음이온발생 화장료 조성물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098085A1 (ko) * 2020-11-04 2022-05-12 석진호 광물입자를 이용한 신체 활성화 제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4058271A1 (ko) 2014-04-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96254B1 (ko) 무기 분체에 자외선 무기 차단제와 자외선 유기 흡수제 bmdbm가 이중코팅된 자외선 차단기능성 복합분체 및 이를 이용한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KR101728125B1 (ko) 해면 골편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
KR101577581B1 (ko) 포조란이 함유된 기능성 미용팩의 제조방법
CN101732350A (zh) 一种纳米珍珠粉的制备方法
CN101874811B (zh) 一种二氧化硅改性纳米珍珠粉的制备方法
KR100847478B1 (ko) 금 또는 은 나노입자 및 까마중 추출물의 중합체를유효성분으로 함유한 기능성 비누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096779B1 (ko) 피부미용을 위한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CN101507693B (zh) 婴儿用护臀霜
KR101277083B1 (ko) 원적외선 방사 화장료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원적외선 방사 화장품
KR20190000816A (ko) 생분해성 고분자와 황토가 결합되어 탄력성이 증진된 기능성 마스크팩 및 그의 제조방법
KR102130260B1 (ko) 피부 개선 효과를 갖는 천연 광물질 함유 화장료 조성물
CN104161773A (zh) 一种全活性成分纳米珍珠粉的制备方法
KR101112716B1 (ko) 황토분말 및 한방추출물을 함유하는 필-오프 황토영양 팩의 조성물 및 제조방법
KR101798857B1 (ko) 견운모 합성 물질을 이용한 자외선 차단 화장품 조성물
KR20070098315A (ko) 경옥고를 함유하는 미백 및 보습 화장료 조성물
CN114948815A (zh) 一种以天然草本植物制备的防晒定妆散粉及其制备方法
JP3771199B2 (ja) 化粧料
CN108210432A (zh) 含红糖和洋甘菊超微粉的磨砂膏及其制备方法
KR20060081174A (ko) 결정성 무기광물을 함유하는 피부 마사지용 키트 및결정성 무기광물을 이용하는 피부 마사지 방법
KR20140095736A (ko) 근적외선 차단용 복합분체
KR100471359B1 (ko) 결정성 무기광물을 함유한 피부 외용제 조성물
KR101894255B1 (ko) 에센셜 오일이 다층 코팅된 화장용 천연 파우더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20062150A (ko) 이산화티타늄으로 코팅된 견운모를 갖는 화장료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CN101219099B (zh) 超微白芷粉护面液的制备方法
KR19990078614A (ko) 피부맛사지용조성물과그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0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07

Year of fee payment: 5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0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30

Year of fee payment: 7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