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94255B1 - 에센셜 오일이 다층 코팅된 화장용 천연 파우더 및 이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에센셜 오일이 다층 코팅된 화장용 천연 파우더 및 이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94255B1
KR101894255B1 KR1020180035356A KR20180035356A KR101894255B1 KR 101894255 B1 KR101894255 B1 KR 101894255B1 KR 1020180035356 A KR1020180035356 A KR 1020180035356A KR 20180035356 A KR20180035356 A KR 20180035356A KR 101894255 B1 KR101894255 B1 KR 10189425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atural
essential
weight
coating layer
raw materi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353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정표
김임준
김영훈
김재훈
Original Assignee
(주)진코스텍
김영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진코스텍, 김영훈 filed Critical (주)진코스텍
Priority to KR10201800353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9425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942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9425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216Solid or semisolid forms
    • A61K8/022Powders; Compacted Powd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2Oils, fats or waxes; Derivatives thereof, e.g. hydrogenation product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2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for chemically bleaching or whitening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8Anti-ageing prepa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4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60Particulates further characterized by their structure or composition
    • A61K2800/61Surface treated
    • A61K2800/62Coated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Birds (AREA)
  • Dermatology (AREA)
  • Myc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Botany (AREA)
  • Biotechn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Gerontology & Geriatric Medicine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천연 원료를 세척하는 단계; 천연 원료를 건조하는 단계; 건조한 천연 원료를 동결 건조하는 단계; 동결 건조한 천연 원료를 분쇄하는 단계; 기능성 코팅 용액을 제조하는 단계; 분쇄한 천연 원료 및 기능성 코팅 용액을 혼합하여 기능성 코팅층을 형성하는 단계; 에센셜 코팅 용액을 제조하는 단계; 및 기능성 코팅층이 형성된 천연 원료 및 에센설 코팅 용액을 혼합하여 에센셜 코팅층을 형성하는 단계을 포함하는 에센셜 오일이 다층 코팅된 화장용 천연 파우더 및 이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에센셜 오일이 다층 코팅된 화장용 천연 파우더로, 천연 파우더 입자의 표면에 다층의 코팅층이 형성되어 있어, 피부에 닿는 촉감, 수분 흡수율 감소 및 피부 부착력이 우수하며, 피부 친화적으로, 사용 시 피부에 부작용 발생이 없고, 항산화, 항염증, 미백, 주름개선, 항균성 등의 효과를 나타낸다.

Description

에센셜 오일이 다층 코팅된 화장용 천연 파우더 및 이의 제조방법{Method of Manufacturing for Cosmetic Natural Powder Coated Multiple with Essential Oil}
본 발명은 에센셜 오일이 다층 코팅된 화장용 천연 파우더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세정 공정, 자연 건조 공정, 동결 건조 공정, 분쇄 공정 및 다층 코팅 공정의 순으로 제조된 화장용 천연 파우더 및 이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피부는 외부에서부터 순서대로 표피, 진피, 피하지방 조직의 3개 층으로 크게 구분되며 외부 환경과 직접 접하면서 인체를 보호할 뿐만 아니라 생화학적, 물리적인 기능을 가지고 있는 아주 중요한 조직이다.
피부는 피지, 땀, 먼지, 오래된 각질 등으로 덮여 있으며, 외부 기온이 높은 여름철 또는 호르몬의 분비가 왕성한 사춘기 시절에는 과잉 분비된 피지 등으로 인하여 여드름이나 지루성 피부염을 유발되기도 할 뿐만 아니라 날로 심각해지는 공기 오염 및 오존층의 파괴로 인한 자외선의 노출 등으로 손상될 우려가 많다. 그러므로 피부에 직접 사용되는 화장품 또는 화장에 관련된 기능성 제품의 선택이 부작용에 대한 우려와 함께 피부를 보호하는 관점에서 중요한 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이러한 화장품은 부작용이 없어야 하고 인체 친화적이어야 하며 특이 체질, 아토피 피부 또는 민감성 피부에도 안심하고 사용할 수 있어야 한다. 이에 식물성 천연물질들은 안전성이 뛰어날 뿐만 아니라 인체에 유익한 여러 가지 성분들을 가지고 있어 보습, 미백, 노화방지 효과 등을 제공하는 성분으로서 선호되고 있다.
화장품은 연약하고 민감한 피부에 적용하여 피부의 상태를 호전, 유지시키면서 향이나 색상의 발현으로 외적 아름다움을 추구하고자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화장품을 인류가 사용하기 시작한 이래로 줄곧 주름개선 및 피부 탄력, 미백, 결점은폐를 추구하는 소비자들의 욕구와 함께 기능성 성분의 사용은 화장품을 연구하는 개발자에게 커다란 연구 과제가 되어 왔으며, 이러한 기능성 성분으로 태반, 아부틴(Arbutin), 레시틴(Lecithin), 감초산, 비타민-C, 레티 놀(Retinol) 등에 대한 효능 및 효과에 대한 이론이 이미 일반저널을 통해 널리 알려져 있다.
상기 기능성 성분을 화장품에 함유시키는 종래 기술로는 기능성 성분과 화장수를 별도로 두고, 사용할때 마다 각각을 혼합하여 사용하는 방법과 또 다른 기술로는 기능성 성분을 에멀젼 및 화장수에 함유시키는 방법이 있다.
그러나, 이러한 방법들은 결점 은폐력을 가진 파우더 제형으로서 스킨 케어 개념이 부족한 문제가 있다. 또한, 공정이 복잡하여 사용이 불편하고 기능성 성분의 고 배합이 어려울 뿐만 아니라, 처방 내에 고 배합 시 열, 빛, 수분 및 공기 등에 의하여 산화 및 파괴되는 등 안정성이 양호하지 못한 문제가 있다.
(특허 문헌 1) KR 10-042526 B1
본 발명의 목적은 에센셜 오일이 다층 코팅된 화장용 천연파우더 및 이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에센셜 오일이 다층 코팅된 화장용 천연 파우더로, 천연 파우더 입자의 표면에 다층의 코팅층이 형성되어 있어, 피부에 닿는 촉감, 수분 흡수율 감소 및 피부 부착력이 우수한 화장용 천연 파우더 및 이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피부 친화적으로, 사용 시 피부에 부작용 발생이 없고, 항산화, 항염증, 미백, 주름개선, 항균성 등의 기능성이 부과된 화장용 천연 파우더 및 이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에센셜 오일이 다층 코팅된 화장용 천연 파우더의 제조 방법은 1) 천연 원료를 정제수에 세척하여 불순물을 제거하는 단계; 2) 상기 1) 단계의 세척한 천연 원료를 20 내지 25℃의 그늘에서 건조하는 단계; 3) 상기 2) 단계의 건조한 천연 원료를 -75 내지 -65 ℃℃의 온도 및 800 내지 900 m torr의 진공에서 22 내지 26 시간 동안 동결 건조하는 단계; 4) 상기 동결 건조한 천연 원료를 5 내지 10 mesh의 입자 직경을 갖도록 분쇄하는 단계; 5) 다가알코올 100 중량부에 대하여, 비타민 C 5 내지 10 중량부, 히알루론산 10 내지 20 중량부, 콜라겐 10 내지 20 중량부, 잔탄검 0.1 내지 5 중량부 및 키틴 1 내지 5 중량부를 혼합하여 기능성 코팅 용액을 제조하고, 교반기를 이용하여 10 내지 50 rpm의 속도로 10 내지 30분 동안 1차 교반하는 단계; 6) 상기 5) 단계의 1차 교반 단계 이후, 상기 기능성 코팅 용액을 40 내지 50℃로 가열 후, 70 내지 90 rpm의 속도로 5 내지 10분 동안 2차 교반하는 단계; 7) 상기 4) 단계의 분쇄한 천연 원료 및 6) 단계의 기능성 코팅 용액을 혼합하고, 진공 건조하여 기능성 코팅막을 형성하는 단계; 8) 정제수 100 중량부에 대하여, 다가알코올 1 내지 5 중량부; 수용성 폴리머 0.1 내지 1 중량부; 비이온 계면활성제 0.1 내지 1 중량부; 및 에센셜 오일 1 내지 5 중량부를 혼합하여 에센셜 코팅 용액을 제조하는 단계; 및 9) 상기 7) 단계의 기능성 코팅층이 형성된 천연 원료 및 8) 단계의 에센셜 코팅 용액을 혼합하고, 진공 건조하여 기능성 코팅층이 형성된 천연 원료의 표면에 에센셜 코팅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천연 원료는 미역, 다시마, 천년초, 백년초, 알로에, 오미자, 녹차, 블루베리, 아사이베리, 감초, 황련, 승마, 상황버섯, 동충하초, 봉령, 송이버섯, 어성초, 커피, 홍삼, 인삼, 당근, 살구, 아세로라, 알로에베라, 파인애플, 바나나, 체리, 레몬, 딸기, 라즈베리, 석류, 키위, 감귤, 망고, 오렌지, 포도, 파파야, 복숭아, 배, 사과, 토마토, 유자, 아몬드, 사차인치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상기 7) 단계는 7-1) 상기 4) 단계의 분쇄한 천연 원료 및 6) 단계의 기능성 코팅 용액을 혼합하는 단계; 7-2) 상기 7-1) 단계 이후, 교반기를 이용하여 30 내지 50 rpm의 속도로 30 내지 60분 동안 1차 교반하는 단계; 7-2) 상기 1차 교반 이후, 10 내지 20rpm으로 2차 교반하며, 상기 교반 공정 시, 5℃/min로 가열하여, 50℃까지 가열하는 단계; 7-3) 상기 교반 및 가열 공정 이후, 25℃에서 냉각하는 단계; 및 7-4) 냉각 공정 이후, 진공 건조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9) 단계는 9-1) 기능성 코팅층이 형성된 천연 원료 및 8) 단계의 에센셜 코팅 용액을 혼합하는 단계; 9-2) 상기 9-1) 단계 이후, 교반기를 이용하여 30 내지 50 rpm의 속도로 30 내지 60분 동안 1차 교반하는 단계; 9-2) 상기 1차 교반 이후, 10 내지 20rpm으로 2차 교반하며, 상기 교반 공정 시, 5℃/min로 가열하여, 50℃까지 가열하는 단계; 9-3) 상기 교반 및 가열 공정 이후, 25℃에서 냉각하는 단계; 및 9-4) 냉각 공정 이후, 진공 건조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천연 원료는 미역, 천년초, 알로에, 사차인치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상기 다가알코올은 글리세린, 에틸렌글리콜, 폴리에틸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상기 9) 단계 이후, 10) 상기 9) 단계의 에센셜 코팅층이 형성된 천연 원료 및 8) 단계의 에센셜 코팅 용액을 혼합하고, 진공 건조하여 에센셜 코팅층이 형성된 천연 원료의 표면에 에센셜 코팅층을 추가로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코팅 용액은 고비 추출물 및 댑싸리 추출물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에센셜 오일이 다층 코팅된 화장용 천연 파우더는 상기의 화장용 천연 파우더의 제조 방법에서 각 경우를 이용하여 제조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파우더는 구상 파우더(spherical powder)로 구상 파우더(spherical powder)는 입자의 형태가 구형을 이루는 파우더로, 파우더 화장료 조성물에 포함되어 매끄럽고 가벼운 감촉을 부여한다. 구상 파우더는 광을 모든 방향으로 확산하는 효과가 있어, 판상 파우더(flake powder)에 비하여 모공이나 여드름 흔적 등 피부의 결점을 은폐시켜주는 효과가 우수하다. 또한, 구상 파우더는 리퀴드 파운데이션이나 쿠션 등의 끈적이는 화장막 위에 도포 시 오일을 흡수하는 효과를 나타내며, 뭉침 없이 가볍게 도포되는 장점이 있다. 이에, 구상 파우더의 비율이 높은 파우더 화장료 조성물은 자연스러운 피부 연출 에 효과적이며, 화장막의 유지력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어 화장막 고정용 및 수정 화장용으로 적합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에센셜 오일이 다층 코팅된 화장용 천연 파우더의 제조 방법은 천연 원료를 세척하는 단계(S1); 천연 원료를 건조하는 단계(S2); 건조한 천연 원료를 동결 건조하는 단계(S3); 동결 건조한 천연 원료를 분쇄하는 단계(S4); 기능성 코팅 용액을 제조하는 단계(S5); 분쇄한 천연 원료 및 기능성 코팅 용액을 혼합하여 기능성 코팅층을 형성하는 단계(S6); 에센셜 코팅 용액을 제조하는 단계(S7); 및 기능성 코팅층이 형성된 천연 원료 및 에센설 코팅 용액을 혼합하여 에센셜 코팅층을 형성하는 단계(S8)을 포함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먼저, 천연 원료를 정제수에 세척하여 불순물을 제거하는 공정을 진행한다. 상기 천연 원료는 미역, 다시마, 천년초, 백년초, 알로에, 오미자, 녹차, 블루베리, 아사이베리, 감초, 황련, 승마, 상황버섯, 동충하초, 봉령, 송이버섯, 어성초, 커피, 홍삼, 인삼, 당근, 살구, 아세로라, 알로에베라, 파인애플, 바나나, 체리, 레몬, 딸기, 라즈베리, 석류, 키위, 감귤, 망고, 오렌지, 포도, 파파야, 복숭아, 배, 사과, 토마토, 유자, 아몬드, 사차인치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으나, 상기 예시에 국한되지 않는다.
상기 천연 원료는 우선적으로 정제수로 3 내지 4회 정도 세척하여, 농약 등의 성분을 제거하고, 함께 포함되어 있을 수 있는 불순물을 제거한다. 즉, 깨끗하게 세척하는 공정을 진행한다.
이후, 세척한 천연 원료를 20 내지 25℃의 그늘에서 건조하는 공정을 진행한다. 고온에서 단 시간에 건조하는 경우에, 천연 원료의 수분이 증발하여, 화장용 파우더로 이용 시에, 거친 입자를 제공할 수 있는 문제가 있어, 상온(20 내지 25℃)의 그늘에서 천천히 건조하는 공정을 진행한다. 즉, 천연 원료의 표면에 존재하는 수분을 제거하는 공정을 진행한다.
건조 공정 이후, 천연 원료를 -75 내지 -65 ℃℃의 온도 및 800 내지 900 m torr의 진공에서 22 내지 26 시간 동안 동결 건조한다. -75 내지 -65 ℃℃의 온도 및 800 내지 900 mtorr의 진공에서 22 내지 26 시간 동안 동결시키는 경우, 천연 원료의 입자 내에 포함되어 있는 수분은 그대로 유지하며, 천연 파우더로 이용할 수 있는 건조 상태를 제조할 수 있다.
즉, 동결 건조하지 않는 경우에, 천연 원료 내에 포함되어 있는 수분에 의해, 코팅층을 형성 시, 코팅층이 부착되지 않는 문제가 발생하거나, 균일한 코팅층이 형성되지 않아 화장용 파우더로 이용 시에 피부에 닿는 촉감이 떨어지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상기 동결 건조한 천연 원료를 5 내지 10 mesh의 입자 직경을 갖도록 분쇄한다. 화장용 파우더는 미세 입자로 이루어져, 피부에 부착되어, 미백, 결점 은폐 등의 용도로 이용되는 점을 고려할 때, 상기 범위 내의 입자 직경 범위 내에서 사용 시에, 화장용 파우더 입자로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즉, 입자의 범위가 너무 작은 경우에는 피부 내의 모공을 막아 피부 트러블이 발생될 수 있고, 입자 범위가 너무 큰 경우에는 화장용 파우더로, 결점 은폐 효과가 떨어지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천연 원료를 화장용 파우더의 용도로 사용하기 위한 준비가 완료되면, 천연 원료 입자의 표면을 코팅하기 위한 기능성 코팅층을 제조한다.
상기 기능성 코팅층을 형성하기 위한, 기능성 코팅 용액은 다가알코올을 포함하며, 상기 다가알코올 100 중량부에 대하여, 비타민 C 5 내지 10 중량부, 히알루론산 10 내지 20 중량부, 콜라겐 10 내지 20 중량부, 잔탄검 0.1 내지 5 중량부 및 키틴 1 내지 5 중량부를 혼합하여 기능성 코팅 용액을 제조한다.
상기 언급된 다가알코올, 비타민 C, 히알루론산, 콜라겐, 잔탄검 및 키틴에 제한되지 않고, 화장용 파우더로 피부에 항산화, 항염증, 미백, 주름개선 및 항균성 등의 효과를 나타낼 수 있는 성분의 경우에는 제한 없이 사용 가능하다.
상기 다가알코올은 글리세린, 에틸렌글리콜, 폴리에틸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며, 바람직하게는 글리세린이지만, 상기 예시에 국한되지 않는다.
상기 글리세린은 피부 보습의 용도로 주로 사용되는 다가알코올로, 기능성 코팅층의 주 성분은 글리세린이며, 피부에 비타민을 공급하기 위한 용도로 비타민 C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상기 예시와 같이 비타민 C에 한정되지 않고 비타민 D 등도 제한 없이 사용 가능하다. 상기 비타민 C를 공급하는 경우, 피부 미백, 항산화 및 항염증의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상기 히알루론산의 경우에는 히알루론산는 동물 등의 피부에 많이 존재하는 생체 합성 천연 물질이다. 수산화기가 많기 때문에 친수성 물질이며, 동물 등의 피부에서 보습 작용의 역할을 한다. 
상기 콜라겐의 경우에는 피부 탄력 및 피부 보습을 위해 포함되는 것으로, 본 발명의 화장용 천연 파우더 입자의 기능성 코팅층 내에 포함되어, 피부에 콜라겐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기능성 코팅 용액의 구성 성분의 함량 범위 내에서 각 성분의 상호 작용으로 인해 화장용 천연 파우더 입자의 코팅층으로 형성되면, 화장용 파우더를 사용 시 피부 촉감이 향상되고, 항산화, 항염증, 미백, 주름개선 등의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즉, 피부에의 천연 입자의 효과에 더해, 기능성 효과를 발휘할 수 있고, 상기 범위 내에서 각 구성 성분의 혼합 작용으로 인해, 각각을 사용하는 경우보다 효과가 더욱 상승한다.
상기 기능성 코팅 용액의 각 구성 성분을 혼합한 이후, 균일한 기능성 코팅 용액을 형성하기 위해, 교반기를 이용하여 10 내지 50 rpm의 속도로 10 내지 30분 동안 1차 교반하고, 1차 교반한 기능성 코팅 용액을 40 내지 50℃로 가열하며, 70 내지 90 rpm의 속도로 5 내지 10분 동안 2차 교반한다.
즉, 기능성 코팅 용액을 단순하게 혼합하는 경우에는 코팅 용액 내의 각 구성 성분이 균일하게 혼합되지 않아, 코팅층을 형성 시 입자 간의 동일한 효과가 발생하지 않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이에, 상기와 같이, 1차 교반 공정에서 천천히 교반 공정을 진행하고, 1차 교반 공정을 통해, 균일한 코팅 용액을 제조한 이후에, 일부 존재하는 불균일하게 혼합된 부분을 가열 및 보다 빠른 속도의 2차 교반 공정을 통해 완전히 균일한 코팅 용액을 제조한다.
상기와 같이 기능성 코팅 용액의 제조가 완료되면, 분쇄한 천연 원료 및 기능성 코팅 용액을 혼합하고, 진공 건조하여 기능성 코팅층을 형성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분쇄한 천연 원료 및 기능성 코팅 용액을 혼합하고, 교반기를 이용하여 30 내지 50 rpm의 속도로 30 내지 60분 동안 1차 교반한다. 1차 교반 공정이 완료되면, 5℃/min로 가열하여, 50℃까지 가열하며, 10 내지 20rpm으로 2차 교반한다. 상기 2차 교반 공정이 완료되면, 25℃에서 냉각하고, 진공 건조하여, 천연 원료 입자의 표면에 기능성 코팅층을 형성한다.
상기 1차 교반 공정을 통해, 천연 원료 입자의 표면에 기능성 코팅층이 형성될 수 있다. 다만, 단순하게 혼합 및 교반 공정을 통해 코팅층을 형성하는 경우에는 입자의 표면이 고르지 못하는 문제가 발생한다. 이에, 50℃까지 천천히 가열하며, 다시 2차 교반 공정을 진행하여, 입자 표면에 코팅층을 고르게 형성한다.
천연 원료의 입자 표면에 기능성 코팅층을 형성한 이후, 에센셜 오일 코팅 용액을 제조한다. 상기 에센셜 오일 코팅 용액은 정제수를 포함하며, 상기 정제수 100 중량부에 대하여, 다가알코올 1 내지 5 중량부; 수용성 폴리머 0.1 내지 1 중량부; 비이온 계면활성제 0.1 내지 1 중량부; 및 에센셜 오일 1 내지 5 중량부를 혼합하여 에센셜 오일 코팅 용액을 제조한다.
상기 에센셜 오일은 유칼립투스, 저먼 카모마일, 시더우드, 시나몬, 버가못, 레몬, 사이프러스, 레몬그라스, 주니퍼베리, 티트리, 페퍼민트, 로즈마리, 샌달우드, 진저, 라벤다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유칼립튜스, 저먼 카모마일 및 시더우드이며, 1:1:1의 중량 비율로 포함될 수 있다.
유칼립투스는 도금양과의 키가 큰 상록수로 호주지방에서 가장 많이 자생하는 나무의 잎에서 추출한 오일로서 진통효과, 항바이러스 및 항균효과가 있다.
저먼 카모마일은 지중해 연안이 원산지인 국화과의 꽃잎에서 추출된 오일로서 유럽에서 2000년 이상 동안 가정용 상비약으로 사용되어 왔다. 항균작용과 항염증 작용을 하는 아줄렌 성분이 들어 있어 여드름, 습진, 기저귀 습진, 화상 등 피부 염 증에 효과가 있다.
시더우드는 측백나무과의 침엽수에서 추출한 오일로서 고대 이집트 시대에 시체 방부처리용, 화장품으로 사용되었고 그 향기가 개미, 나방 그리고 다른 해로운 곤충들을 퇴치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고, 항균작용과 살충 및 소독작용이 있다.
상기 다가알코올은 글리세린, 에틸렌글리콜, 폴리에틸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며, 바람직하게는 글리세린이지만, 상기 예시에 국한되지 않는다.
상기 수용성 폴리머는 소듐 폴리아크릴레이트(Sodium Polyacrylate), 폴리디메틸실록산, 폴리오르가노실록산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상기 비이온 계면활성제는 폴리소르베이트 80(Polysorbate 80), 트윈 80(Tween 80), 데실글루코사이드(Decyl glucoside) 및 C8-14 알킬 폴리글루코사이드(Alkyl polyglucoside)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상기 에센셜 오일 코팅 용액을 제조하면, 기능성 코팅층이 형성된 천연 원료 및 에센셜 오일 코팅 용액을 혼합하고, 진공 건조하여 기능성 코팅층이 형성된 천연 원료의 표면에 에센셜 코팅층을 형성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기능성 코팅층이 형성된 천연 원료 및 에센셜 오일 코팅 용액을 혼합하고, 교반기를 이용하여 30 내지 50 rpm의 속도로 30 내지 60분 동안 1차 교반한다. 1차 교반 공정이 완료되면, 5℃/min로 가열하여, 50℃까지 가열하며, 10 내지 20rpm으로 2차 교반한다. 상기 2차 교반 공정이 완료되면, 25℃에서 냉각하고, 진공 건조하여, 입자의 표면에 에센셜 오일 코팅층을 형성한다.
상기 1차 교반 공정을 통해, 입자의 표면에 에센셜 코팅층이 형성될 수 있다. 다만, 단순하게 혼합 및 교반 공정을 통해 코팅층을 형성하는 경우에는 입자의 표면이 고르지 못하는 문제가 발생한다. 이에, 50℃까지 천천히 가열하며, 다시 2차 교반 공정을 진행하여, 입자 표면에 코팅층을 고르게 형성한다.
상기 에센셜 오일 코팅층을 형성하면, 동일한 공정을 반복하여, 에센셜 오일 코팅층을 다층으로 형성할 수 있다. 에센셜 오일 코팅층을 다층으로 형성하게 되면, 본 발명의 화장용 파우더 입자는 천연 원료; 기능성 코팅층; 제1 에센셜 오일 코팅층; 및 제2 에센셜 오일 코팅층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화장용 파우더를 사용할 경우에, 입자 각각에 형성되어 있는 에센셜 오일 코팅층으로 인해, 피부에 에센셜 오일의 유익한 성분을 제공할 수 있고, 피부 부착력이 향상되며, 피부에 닿는 촉감이 향상되고, 수분 흡수율을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파우더 입자에 형성된 기능성 코팅층 및 천연 원료의 유익한 성분이 피부에 전달됨에 따라, 항산화, 항염증, 미백, 주름개선 및 항균성의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본 발명은 천연 원료를 이용하며, 상기 천연 원료 입자의 표면에 기능성 코팅층을 형성하여, 피부에 유익한 성분을 제공하여, 여러 효과를 나타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에, 상기 기능성 코팅층은 고비 추출물 및 댑싸리 추출물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고비(Osmunda japonica Thunb.)는 산허리 이하의 숲 가장자리에 자라는 다년초로 높이 60 내지 100cm이고 주먹 같은 근경에서 여러 대가 나온다. 잎은 2회우상복엽이고 우편의 길이는 20 내지 30cm이다. 생식엽은 영양엽보다 일찍 나와서 일찍 쓰러지고 소우편은 매우 좁아져서 선형으로 되며 포자낭이 밀착한다. 각기, 감기, 관절통, 구충, 난관난소염, 대하, 수종, 실뇨, 요술산통, 토혈, 해혈, 혈변 등에 우수한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상기 댑싸리(Kochia scoparia (L.) Schrad.)는 들에 자라는 일년초로 높이가 1m에 달하고 곧추 자라며 가지가 많이 갈라진다. 잎은 호생하고 피침형으로 양끝이 좁고 가장자리가 밋밋하며 3맥이 있다. 꽃은 7, 8월 잎겨드랑이에 몇 개씩 달린다. 열매는 포과로 원반형으로 끝에 암술대가 달리고 그 속에 종자가 1개 들어 있다. 강장, 개선, 과실식체, 과실중독, 난관난소염, 대하, 동통, 명목, 목통, 보약, 수은중독, 악창, 유선염, 음낭습, 음부소양, 음위, 이뇨, 이소변, 임질, 적리, 적백리, 전립선비대증, 종독, 청습열, 통리수도, 흉통 등에 우수한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상기 고비 추출물 및 댑싸리 추출물은 건조한 고비 및 댑싸리를 물, 에탄올, 메탄올 등과 같은 탄소수 1 내지 6의 알코올과 같은 극성 용매, 또는 알코올과 물의 1:0.1 내지 1:10의 혼합비를 갖는 혼합 용매로 용출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1:3 내지 1:5의 에탄올과 물의 혼합비를 가지는 혼합 용매로 용출할 수 있다. 이 때, 추출 온도는 10℃ 내지 100℃, 바람직하게는 실온에서, 추출 기간은 12시간 내지 4일, 바람직하게는 24시간 동안 추출한 추출물 일 수 있다. 여과된 추출물을 진공 회전 농축기로 감압 농축하여 수득한 결과물일 수 있으나, 고비 및 댑싸리 추출물인 한, 이에 제한되지 않고, 추출액, 추출액의 희석액 또는 농축액, 추출액을 건조하여 얻어지는 건조물, 또는 이의 조정제물 또는 정제물을 모두 포함한다.
상기 고비 추출물 및 댑싸리 추출물은 천연 추출물로, 기능성 코팅층에 포함되어, 항산화, 항염증 및 항균성의 효과를 더욱 상승시켜 준다. 즉, 천연 추출물로 화장용 조성물로 사용 시에 부작용이 발생하지 않음과 동시에, 피부의 항산화, 항염증 및 항균성의 효과를 더욱 상승시킬 수 있다.
이에, 바람직하게 기능성 코팅 용액은 다가알코올을 포함하며, 상기 다가알코올 100 중량부에 대하여, 비타민 C 5 내지 10 중량부, 히알루론산 10 내지 20 중량부, 콜라겐 10 내지 20 중량부, 잔탄검 0.1 내지 5 중량부, 키틴 1 내지 5 중량부, 고비 추출물 1 내지 5 중량부 및 댑싸리 추출물 1 내지 5 중량부를 포함한다. 상기 범위 내에 의하는 경우, 각 성분의 혼합 사용에 따른 상승 작용으로 피부 항산화, 항염증 및 항균성 등의 상승 효과가 가장 높아질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화장용 천연 파우더는 피부 결점 보완 및 화사한 색감을 부여하기 위하여 안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안료의 종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백색 또는 유색의 무기 또는 유기 입자로서 당 업계에서 통상 사용되는 것을 사용할 수 있다.
무기 안료로는 예를 들어 이산화티탄, 표면처리 되거나 표면처리 되지 않은 산화지르코늄 또는 산화세륨, 산화 아연, 산화철(흑색, 황색, 또는 적색), 산화크롬, 망간 바이올렛, 울트라마린블루, 수산화크롬 수화물(chromium hydrate) 및 페릭블루(ferric blue), 알루미늄분말 및 구리분말이 사용될 수 있다.
유기 안료로는 예를 들어 코치닐추출색소, 아조 염료, 안트라퀴논 염료, 인디고이드 염료, 크산텐 염료, 피렌염료, 퀴놀린 염료, 트리페닐메탄 염료, 또는 플루오란 염료 등을 들 수 있다. 이러한 안료의 함량은 본 발명에서 특별히 한정하지 않으나, 조성물 총 중량의 0.1 내지 10 중량부의 범위로 포함된다.
이외에도, 상기 화장용 천연 파우더는 유지 성분, 보습제, 연화제, 계면활성제, 유기 및 무기 안료, 유기분체, 자외선 흡수제, 방부제, 점증제, 살균제, 산화방지제, 식물 추출물, pH 조정제, 알코올, 색소, 향료, 혈행 촉진제, 냉감제, 제한(制汗)제 중 어느 하나 이상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에센셜 오일이 다층 코팅된 화장용 천연 파우더 및 이의 제조 방법에 의하면 에센셜 오일이 다층 코팅된 화장용 천연 파우더로, 천연 파우더 입자의 표면에 다층의 코팅층이 형성되어 있어, 피부에 닿는 촉감, 수분 흡수율 감소 및 피부 부착력이 우수하며, 피부 친화적으로, 사용 시 피부에 부작용 발생이 없고, 항산화, 항염증, 미백, 주름개선, 항균성 등의 효과를 나타낸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에센셜 오일이 다층 코팅된 화장용 천연 파우더의 제조 방법에 관한 순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제조예: 화장용 천연 파우더의 제조]
실시예 1
아몬드 및 사차인치를 정제수로 3 내지 4회 세척하여 불순물을 제거하였다. 세척한 아몬드 및 사차인치를 20 내지 25℃의 그늘에서 건조하고, -75 내지 -65 ℃℃의 온도 및 800 내지 900 m torr의 진공에서 22 내지 26 시간 동안 동결 건조하였다.
상기 동결 건조한 아몬드 및 사차인치를 5 내지 10 mesh의 입자 직경을 갖도록 분쇄하였다.
글리세린 100 중량부에 대하여, 비타민 C 10 중량부, 히알루론산 20 중량부, 콜라겐 20 중량부, 잔탄검 5 중량부, 키틴 5 중량부, 고비 추출물 1중량부 및 댑싸리 추출물 1중량부를 혼합하여 기능성 코팅 용액 조성물을 제조하고, 교반기를 이용하여 10 내지 50 rpm의 속도로 10 내지 30분 동안 1차 교반하였다. 이후, 40 내지 50℃로 가열하며, 70 내지 90 rpm의 속도로 5 내지 10분 동안 2차 교반하여 기능성 코팅 용액을 제조하였다.
분쇄한 아몬드 분말 및 사차인치 분말 및 기능성 코팅 용액을 혼합하고, 진공 건조하여 기능성 코팅층을 형성하였다.
정제수 100 중량부에 대하여, 글리세린 5 중량부, 폴리디메틸실록산 1 중량부, 트윈 80 1 중량부 및 유칼립튜스, 저먼 카모마일 및 시더우드를 1:1:1의 중량 비율로 혼합한 에센셜 오일 5 중량부를 혼합하여 에센셜 오일 코팅 용액을 제조하였다.
상기 기능성 코팅층이 형성된 아몬드 분말 및 사차인치 분말; 및 에센셜 오일 코팅 용액을 혼합하고, 진공 건조하여 에센셜 오일 코팅층을 형성하였다. 이후, 에센셜 오일 코팅층을 형성하는 공정을 한번 더 반복하여 다층의 에센셜 오일 코팅층을 형성하였다.
이후, 패트리 접시 위에 일정량을 올려놓은 후 약 20 kgf/cm2로 약 5초간 성형하여 파우더 팩트를 제조하였다.
코팅층 형성 공정의 차이에 따른 효과 차이를 비교하기 위하여, 하기 표 1과 같이 제조 방법을 달리하여 화장용 천연 파우더를 제조하였다.
코팅층 형성 시의 제조 방법
실시예 1 아몬드 분말 및 사차인치 분말과 기능성 코팅 용액을 혼합한 이후, 교반기를 이용하여 30 rpm의 속도로 30 내지 60분 동안 1차 교반하였다. 1차 교반 이후, 5℃/min로 가열하여, 50℃까지 10분동안 가열하며, 10 rpm으로 2차 교반하였다. 이후, 25℃에서 4시간 동안 냉각하고 진공 건조하였다.
에센셜 오일 코팅층의 형성 공정도 동일한 방식으로 진행하였다.
실시예 2 1차 교반 속도를 40rpm의 속도로 진행하고, 2차 교반 속도를 15rpm으로 진행한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1과 동일한 방식으로 제조하였다.
실시예 3 1차 교반 속도를 50rpm의 속도로 진행하고, 2차 교반 속도를 20rpm으로 진행한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1과 동일한 방식으로 제조하였다.
비교예 1 1차 및 2차 교반을 10rpm으로 일정하게 유지하여 교반 공정을 진행하였다.
비교예 2 1차 및 2차 교반을 20rpm으로 일정하게 유지하여 교반 공정을 진행하였다.
비교예 3 1차 및 2차 교반을 30rpm으로 일정하게 유지하여 교반 공정을 진행하였다.
비교예 4 1차 및 2차 교반을 40rpm으로 일정하게 유지하여 교반 공정을 진행하였다.
비교예 5 1차 및 2차 교반을 50rpm으로 일정하게 유지하여 교반 공정을 진행하였다.
비교예 6
제조 방법의 차이 이외에 코팅층의 유무에 따른 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기능성 코팅층을 형성하지 않은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제조하였다.
비교예 7
기능성 코팅층을 형성한 이후, 에센셜 오일 코팅층을 형성하지 않은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제조하였다.
비교예 8
기능성 코팅 용액의 제조 시, 고비 추출물 및 댑싸리 추출물을 포함하지 않은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제조하였다.
[실험예 1: 관능 평가의 진행]
상기 실시예 1 내지 3(A1 내지 A3) 및 비교예 1 내지 8(B1 내지 B8)의 천연 파우더에 대해 여성 10명을 대상으로 관능 평가를 실시하였다. 5점 만점을 기준으로 하여 하기 평가 항목에 대해 점수를 요청 하였다. 높은 점수 일수록 평가 결과가 우수함을 나타낸다.
1. 팩트 표면의 상태(부드러운 정도)
2. 도포 시 사용감
3. 도포 시 뭉침 현상 발생 유무
4. 파운데이션의 커버력 보완
5. 건조감 적음(사용 후 1시간 경과 후)
6. 지속력 보완
7. 피부 자극 정도
A1 A2 A3 B1 B2 B3 B4 B5 B6 B7 B8
1 4.1 4.2 3.8 2.8 3.0 3.1 2.9 3.0 3.2 3.1 3.0
2 3.8 4.0 4.1 3.1 2.9 2.8 3.0 3.0 2.9 3.1 3.2
3 3.9 4.1 4.0 3.0 2.8 3.0 2.7 3.0 3.1 3.0 3.3
4 3.7 4.0 3.9 3.0 3.0 2.9 3.2 2.9 3.0 3.1 3.1
5 3.8 3.9 4.0 2.9 3.1 2.9 3.1 3.2 3.1 3.2 3.2
6 4.0 3.9 4.0 3.0 2.9 3.0 2.8 3.1 2.8 2.9 3.1
7 4.1 4.2 4.0 3.1 2.8 3.0 3.2 3.0 3.0 2.8 3.0
상기 표 1에 따르면, 본 발명의 실시예 1 내지 3은 관능 평가에서 우수한 평가를 받은 것을 확인하였다. 반면, 비교예 1 내지 8은 전반적으로 좋지 않은 평가를 받은 것을 확인하였다. 이는 제조 방법의 차이에 따라, 파우더 입자의 표면이 고르게 형성되지 못하였고, 이러한 문제로 인해 관능 평가가 실시예에 비해 떨어짐을 확인하였다.
[실험예 2: 피부 보습 효능 평가]
1회 도포 시 피부 보습 지속력을 알아보기 위하여, 건조를 호소하거나, 건성 피부라고 생각되는 여성 10명에게 실시예 1 내지 3(A1 내지 A3) 및 비교예 1 내지 8(B1 내지 B8)의 천연 파우더를 얼굴에 도포하도록 한 후, 24시간 동안 코니오미터(corneometer; CM820 courage Khazaka electronic GmbH, Germany)를 이용하여 피부 수분량을 측정하였다. 코니오미터는 피부의 표피 내에 존재하는 수분의 양을 센서를 이용하여 수분의 이온 정도를 측정하고 이를 수치화하여 수분의 양을 계산함으로써 보습력을 측정하는 것이다. 정확도를 높이기 위해, 측정 부위를 달리하여, 측정을 반복하였다.
상기 방법으로 항온, 항습 조건(24℃, 습도 40%)에서 코니오미터를 이용하여 도포 전, 도포 후 12시간, 24시간 경과의 피부 수분량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는 하기 표 3에 나타내었다.
A1 A2 A3 B1 B2 B3 B4 B5 B6 B7 B8
도포 전 25 26 25 26 26 26 26 25 26 25 26
12시간 후 53 61 51 32 41 33 31 36 34 32 42
24시간 후 46 51 42 25 32 25 26 25 25 25 36
(단위 피부 수분량(%))상기 표 2에 따르면, 비교예의 경우에는 12시간 후에는 피부의 수분량이 증가하였으나, 24시간이 경과한 이후에는 사용 전과 동일한 상태로 회복됨을 확인하였다. 반면, 본 발명의 실시예의 경우, 12시간 경과 후 뿐만 아니라 24시간이 경과하더라도 높은 수분량을 유지함을 확인하였다.
[실험예 3: 항산화 및 항염 효능 평가]
DPPH radical 분석
1,1-Diphenyl-2-picrylhydrazyl (DPPH) radical을 이용하여 실시예 및 비교예에 따른 radical 소거능력을 측정하였다.(Imai J, Ide N, Nagae S, Moriguchi T, Matsuura H, Itakura Y. Antioxidant and radical scavanging effects of aged garlic extract and its constituents. Planta Medica-J Med Plant Res 60, 417-420, 1994.) 상기 실시예 1 내지 3(A1 내지 A3) 및 비교예 1 내지 8(B1 내지 B8)의 천연 파우더 입자를 DPPH 용액을 가하여 10초 동안 잘 혼합한 다음, 실온에서 20분 동안 반응 시킨 후 525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DPPH radical 함량은 시료 첨가군과 대조군의 흡광도 비를 %값으로 환산하여 나타내었다.
상기 실시예 1 내지 3(A1 내지 A3) 및 비교예 1 내지 8(B1 내지 B8)의 천연 파우더의 항산화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DPPH를 이용하여 항산화 작용을 측정하여 하기의 표 4에 나타내었다(실험번호 MX1 내지 MX10을 처리하지 않은 군(blank)을 기준(100%)으로 DPPH radical(%)로 나타내었다).
A1 A2 A3 B1 B2 B3 B4 B5 B6 B7 B8
DPPH radical(%) 43 35 45 80 62 71 77 68 67 70 80
DPPH radical 소거법은 DPPH radical이 항산화 물질로 인해 환원되면, 자색이 탈색되는 정도를 지표로 하여 지질과산화의 초기 억제 정도를 예측할 수 있다. 상기 표 3에 따르면, 본 발명의 실시예의 경우에 항산화 효과가 우수하나, 비교예의 경우, 입자의 코팅이 고르게 형성되지 못하는 점에서, 항산화 효과가 상대적으로 떨어짐을 확인할 수 있다.
Nitric oxide radical scavenging ability 측정
Nitric oxide radical 저해활성은 Marcocci 등의 방법에 따라 측정하였다. Sodium nitroprusside solutions는 10mM sodium nitroprusside을 20mM Phosphate buffer(pH 7.4)에 녹여 제조하였다. 50uL의 시료와 50uL의 Sodium nitroprusside solutions를 25℃℃에서 150분간 반응시켰다. 반응액 0.1mL과 Griess reagent solution을 1:1로 반응시켜 540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A1 A2 A3 B1 B2 B3 B4 B5 B6 B7 B8
Nitric oxide radical (%) 81.2 86.7 82.7 62.4 61.7 71.4 67.5 68.1 47.2 70.1 48.5
상기 표 5에 따르면, 본 발명의 실시예의 경우에 높은 소거율을 나타냄을 확인할 수 있다. 이는 파우더 입자의 기능성 코팅층에 포함되어 있는 비타민 C에 의한 작용으로 해석이 가능하며, 반면 비교예의 경우에 기능성 코팅층이 없는 비교예 6과 천연 추출물을 더 포함하지 않는 비교예 8에서 특히 낮은 소거율을 나타냄을 확인하였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Claims (7)

1) 천연 원료를 정제수에 세척하여 불순물을 제거하는 단계;
2) 상기 1) 단계의 세척한 천연 원료를 20 내지 25℃의 그늘에서 건조하는 단계;
3) 상기 2) 단계의 건조한 천연 원료를 -75 내지 -65 ℃℃의 온도 및 800 내지 900 m torr의 진공에서 22 내지 26 시간 동안 동결 건조하는 단계;
4) 상기 동결 건조한 천연 원료를 5 내지 10 mesh의 입자 직경을 갖도록 분쇄하는 단계;
5) 다가알코올 100 중량부에 대하여, 비타민 C 5 내지 10 중량부, 히알루론산 10 내지 20 중량부, 콜라겐 10 내지 20 중량부, 잔탄검 0.1 내지 5 중량부 및 키틴 1 내지 5 중량부를 혼합하여 기능성 코팅 용액을 제조하고, 교반기를 이용하여 10 내지 50 rpm의 속도로 10 내지 30분 동안 1차 교반하는 단계;
6) 상기 5) 단계의 1차 교반 단계 이후, 상기 기능성 코팅 용액을 40 내지 50℃로 가열 후, 70 내지 90 rpm의 속도로 5 내지 10분 동안 2차 교반하는 단계;
7) 상기 4) 단계의 분쇄한 천연 원료 및 6) 단계의 기능성 코팅 용액을 혼합하고, 진공 건조하여 기능성 코팅층을 형성하는 단계;
8) 정제수 100 중량부에 대하여, 다가알코올 1 내지 5 중량부; 수용성 폴리머 0.1 내지 1 중량부; 비이온 계면활성제 0.1 내지 1 중량부; 및 에센셜 오일 1 내지 5 중량부를 혼합하여 에센셜 코팅 용액을 제조하는 단계; 및
9) 상기 7) 단계의 기능성 코팅층이 형성된 천연 원료 및 8) 단계의 에센셜 코팅 용액을 혼합하고, 진공 건조하여 기능성 코팅층이 형성된 천연 원료의 표면에 에센셜 코팅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천연 원료는 미역, 다시마, 천년초, 백년초, 알로에, 오미자, 녹차, 블루베리, 아사이베리, 감초, 황련, 승마, 상황버섯, 동충하초, 봉령, 송이버섯, 어성초, 커피, 홍삼, 인삼, 당근, 살구, 아세로라, 알로에베라, 파인애플, 바나나, 체리, 레몬, 딸기, 라즈베리, 석류, 키위, 감귤, 망고, 오렌지, 포도, 파파야, 복숭아, 배, 사과, 토마토, 유자, 아몬드, 사차인치 및 이들의 혼합물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에센셜 오일이 다층 코팅된 화장용 천연 파우더의 제조 방법.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7) 단계는 7-1) 상기 4) 단계의 분쇄한 천연 원료 및 6) 단계의 기능성 코팅 용액을 혼합하는 단계;
7-2) 상기 7-1) 단계 이후, 교반기를 이용하여 30 내지 50 rpm의 속도로 30 내지 60분 동안 1차 교반하는 단계;
7-2) 상기 1차 교반 이후, 10 내지 20rpm으로 2차 교반하며, 상기 교반 공정 시, 5℃/min로 가열하여, 50℃까지 가열하는 단계;
7-3) 상기 교반 및 가열 공정 이후, 25℃에서 냉각하는 단계; 및
7-4) 냉각 공정 이후, 진공 건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에센셜 오일이 다층 코팅된 화장용 천연 파우더의 제조 방법.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9) 단계는 9-1) 기능성 코팅층이 형성된 천연 원료 및 8) 단계의 에센셜 코팅 용액을 혼합하는 단계;
9-2) 상기 9-1) 단계 이후, 교반기를 이용하여 30 내지 50 rpm의 속도로 30 내지 60분 동안 1차 교반하는 단계;
9-2) 상기 1차 교반 이후, 10 내지 20rpm으로 2차 교반하며, 상기 교반 공정 시, 5℃/min로 가열하여, 50℃까지 가열하는 단계;
9-3) 상기 교반 및 가열 공정 이후, 25℃에서 냉각하는 단계; 및
9-4) 냉각 공정 이후, 진공 건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에센셜 오일이 다층 코팅된 화장용 천연 파우더의 제조 방법.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다가알코올은 글리세린, 에틸렌글리콜, 폴리에틸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에센셜 오일이 다층 코팅된 화장용 천연 파우더의 제조 방법.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9) 단계 이후, 10) 상기 9) 단계의 에센셜 코팅층이 형성된 천연 원료 및 8) 단계의 에센셜 코팅 용액을 혼합하고, 진공 건조하여 에센셜 코팅층이 형성된 천연 원료의 표면에 에센셜 코팅층을 추가로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에센셜 오일이 다층 코팅된 화장용 천연 파우더의 제조 방법.
삭제
제 1항 내지 제 5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화장용 천연 파우더의 제조 방법에 의해 제조된 에센셜 오일이 다층 코팅된 화장용 천연 파우더.
KR1020180035356A 2018-03-27 2018-03-27 에센셜 오일이 다층 코팅된 화장용 천연 파우더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89425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35356A KR101894255B1 (ko) 2018-03-27 2018-03-27 에센셜 오일이 다층 코팅된 화장용 천연 파우더 및 이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35356A KR101894255B1 (ko) 2018-03-27 2018-03-27 에센셜 오일이 다층 코팅된 화장용 천연 파우더 및 이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94255B1 true KR101894255B1 (ko) 2018-09-04

Family

ID=635982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35356A KR101894255B1 (ko) 2018-03-27 2018-03-27 에센셜 오일이 다층 코팅된 화장용 천연 파우더 및 이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94255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99279B1 (ko) * 2020-10-28 2021-09-08 (주)아모레퍼시픽 나노 에멀젼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US11992541B2 (en) 2020-10-28 2024-05-28 Amorepacific Corporation Nanoemulsion cosmetic composition and process for preparing same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81788A (ko) * 2011-01-12 2012-07-20 (주) 뉴트리바이오텍 실리콘오일 혼합물로 코팅된 아세로라추출분말의 제조방법 및 이 방법으로 제조된 아세로라추출분말을 함유한 미백 화장료 조성물
KR20120139005A (ko) * 2011-06-16 2012-12-27 주식회사 제닉 천연 화장료 조성물, 피부용 시트 및 이를 포함한 보관용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81788A (ko) * 2011-01-12 2012-07-20 (주) 뉴트리바이오텍 실리콘오일 혼합물로 코팅된 아세로라추출분말의 제조방법 및 이 방법으로 제조된 아세로라추출분말을 함유한 미백 화장료 조성물
KR20120139005A (ko) * 2011-06-16 2012-12-27 주식회사 제닉 천연 화장료 조성물, 피부용 시트 및 이를 포함한 보관용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99279B1 (ko) * 2020-10-28 2021-09-08 (주)아모레퍼시픽 나노 에멀젼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US11992541B2 (en) 2020-10-28 2024-05-28 Amorepacific Corporation Nanoemulsion cosmetic composition and process for preparing sam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511034B1 (en) Method for applying a skin treatment
KR101565778B1 (ko) 나노 산화아연이 함유된 항균 비누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항균비누
KR101516002B1 (ko) 아토피증상 완화 및 개선용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843763B1 (ko) 식물 복합 추출물이 함침된 다공성 실리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다기능성 화장료 조성물
JP3053368B2 (ja) 化粧料及びその製造方法
CN104958242A (zh) 抗紫外线面膜液及其制备方法
KR101577581B1 (ko) 포조란이 함유된 기능성 미용팩의 제조방법
KR102083294B1 (ko) 피부재생 효과를 갖는 미선나무 추출물 및 그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재생용 조성물
KR20180045539A (ko) 아토피 피부염 치료용 화장품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1563325B1 (ko) 피부 온도 감응형 기능성 하이드로 겔을 이용한 해열 패치 및 그 제조방법
CN107320407A (zh) 一种驱蚊止痒防晒霜及其制备方法
KR101810229B1 (ko) 티트리 잎 미세침 분말을 함유하는 여드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WO2019101357A1 (de) Topische zubereitungen
CN113018238A (zh) 一种抑菌消炎清爽益肤的祛痘凝胶及其制备方法
CN104971015A (zh) 一种专供油性皮肤使用的面膜产品及其制备方法
KR102300581B1 (ko) 식물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상태 개선용 조성물
KR101894255B1 (ko) 에센셜 오일이 다층 코팅된 화장용 천연 파우더 및 이의 제조방법
Mamillapalli et al. Formulation, phytochemical, physical, biological evaluation of polyherbal vanishing cream, and facewash
KR102214985B1 (ko) 식물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상태 개선용 조성물
CN112472629A (zh) 一种高良姜草果防晒乳液及其制备方法
CN1106833C (zh) 中药多功能面膜
CN115518127A (zh) 一种抑菌抗炎消肿止痒乳膏及其制备方法
CN111040896A (zh) 一种抗菌消炎美肤手工皂
CN114948815A (zh) 一种以天然草本植物制备的防晒定妆散粉及其制备方法
KR102024167B1 (ko) 봉독(벌독)을 포함하는 피부온도 감응성 겔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마스크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