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77452A - 종방향 신축이음장치의 보수방법 - Google Patents

종방향 신축이음장치의 보수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77452A
KR20180077452A KR1020160181821A KR20160181821A KR20180077452A KR 20180077452 A KR20180077452 A KR 20180077452A KR 1020160181821 A KR1020160181821 A KR 1020160181821A KR 20160181821 A KR20160181821 A KR 20160181821A KR 20180077452 A KR20180077452 A KR 2018007745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ock
expansion joint
slab
longitudinal
ga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818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33105B1 (ko
Inventor
김윤기
김정호
주봉철
진효준
Original Assignee
한국건설기술연구원
김윤기
주식회사 케이알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건설기술연구원, 김윤기, 주식회사 케이알테크 filed Critical 한국건설기술연구원
Priority to KR102016018182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33105B1/ko
Publication of KR201800774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7745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331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3310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9/00Structural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bridges
    • E01D19/06Arrangement, construction or bridging of expansion joint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22/00Methods or apparatus for repairing or strengthening existing bridges ; Methods or apparatus for dismantling brid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ridges Or Land Bridges (AREA)
  • Road Paving Structur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의하면, 종방향 신축이음장치의 보수방법에 있어서, 하천의 종방향을 따라 설치된 기존 종방향 신축이음장치와 그 주변부를 교량의 거더(G) 상부로부터 제거하는 제1 단계, 기존 종방향 신축이음장치의 제거시 발생되는 슬라브(S)의 요철면에 대하여 무수축 몰탈로 슬라브(S)의 바닥면을 평탄화하는 제2 단계, 평탄화된 슬라브(S)의 평탄면(P) 상에 프리캐스트 공법으로 제작된 신축이음블록(100)을 안착시키는 제3 단계, 및 슬라브(S)의 평탄면(P) 상에 신축이음블록(100)이 연속 배열되어 안착된 상태에서, 탄성적 성질을 가진 아스팔트플러그(200)가 슬라브(S)의 평탄면(P) 단부에 마련된 이격 공간(GAP)과 신축이음블록(100)의 제2 상면(134)에 대하여 포설되는 제4 단계를 포함하는 종방향 신축이음장치의 보수방법이 제공된다.

Description

종방향 신축이음장치의 보수방법{Mending method of the longitudinal expansion joint}
본 발명은 종방향 신축이음장치의 보수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하천이나 강을 따라 종방향으로 건설된 교량의 횡단부에 대하여 이웃하는 교량 슬라브(S)들 사이에서 교량의 종방향으로 설치된 신축이음장치를 보수함에 있어서 보수되는 종방향 신축이음장치에 의하여 종방향 신축이음장치의 간극 벌어짐 현상을 방지함과 동시에 교체 시공의 작업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종방향 신축이음장치의 보수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교량 슬래브의 이음부에는 각 슬래브들의 좌,우이동에 대하여 그 충격을 흡수하기 위해 조립식 조인트가 설치되는데, 상기 조립식 조인트는 교량 슬래브의 이음부에서 슬래브들이 계절에 따른 온도의 변화에 의해 수축 및 팽창하는 것에 대항하고, 슬래브들의 틈새로 빗물이나 쓰레기 등의 오물이 침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조립식 조인트를 설치하게 된다.
종래의 조립식 조인트는 도 1 에서와 같이 교량의 인접하는 슬래브(60)의 마주보는 각각의 선단에 상호 마주보도록 한 쌍의 조인트부재(10)를 설치하고, 상기 조인트부재(10)를 상호 연결하는 V자 형태의 고무부재(100)를 설치하고, 상기 고무 부재(100)의 하측으로 상기 각각의 조인트부재(10) 사이에 스티로폼과 같은 흡음재(80)를 설치하여 누수를 차단하여 슬래브(60) 하부의 교좌장치(70)에 이물질이 침투되는 것을 방지해주게 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조립식 조인트는 조인트부재(10)와 콘크리트와의 접속부의 건조수축으로 인한 균열에 의해 조인트부재(10)와 콘크리트의 접촉면으로 누수가 발생하여 슬래브(60)의 하측의 교좌장치(70)로 누수가 발생하여, 조립식 조인트의 빈번한 교체 및 누수로 부식되고 기능이 저하된 교좌장치(70)의 교체로 인한 보수비용이 증가되고, 또한 차량의 빈번한 통행으로 상기 고무부재(100)가 손쉽게 파손되어 슬래브의 하부로 누수 및 이물질이 침투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특허 제558373호에 의하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교량의 선단에 상호 마주보도록 설치되는 한 쌍의 조인트부재(10)와, 상기 각각의 조인트부재(10)를 고정해주는 다수의 앵커(50)와, 상기 조인트부재(10)를 상호 연결하도록 조인트부재의 전면부에 설치되며, 상기 조인트부재(10)는 배면부(15)에 돌출 형성되고 길이방향으로 다수의 관통홀(12)을 구비한 플랜지부(11)와, 조인트부재(10)의 전면부(14)에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는 상부결합홈(20)과, 상기 조인트부재(10)의 전면부(14)에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되, 상부결합홈(20)의 하부에 위치하는 하부결합홈(21)과, 상기 상부결합홈(20)에 양단이 끼워지도록 설치되어 교량의 노면에서 흘러내리는 물 또는 이물질을 차단해주는 상부고무부재(30)와, 상기 하부결합홈(21)에 양단이 끼워지도록 설치되어 한 번 더 누수를 방지하고 이물질이 교량 하부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해주는 하부고무부재(31)와, 상기 조인트부재(10)의 배면부에 길이방향으로 돌출 형성되어 슬래브(60)와 조인트부재(10)의 틈 사이로 누수되는 것을 방지하는 누수방지턱(40)과, 상기 누수방지턱(40)에서 조인트부재(10)의 전면부(14)로 경사지도록 관통되고, 길이방향으로 소정의 간격으로 배치되어 누수방지턱(40)에서 차단된 물을 하부고무부재(31)로 배수해주는 다수의 배수구멍(42)으로 구성되는 교량의 신축이음조절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경우에 있어서도,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용기간이 증가함에 따라 이웃하는 교량의 단부인 슬라브(S) 단부에 설치된 앵글 조인트의 단부들이 사이가 점점 벌어짐으로써 자전거 바퀴 등이 벌어진 틈으로 빠지거나 차륜에 불균형적인 마찰력을 발생시킴으로써 조향성을 저하시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신축이음장치를 보수할 수 있는 기술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또한, 하천 등을 따라 종방향으로 설치된 교량의 슬라브(S)들 사이에 설치된 앵글 조인트로 이루어진 신축이음장치의 보수에 있어서 신축이음 조절에 맞는 단면 형상을 가진 금속재 조절장치를 이용하여 교량의 슬라브(S)에 교체 시공할 경우 하천의 종방향으로 설치된 교량의 슬라브(S) 특성상 슬라브(S) 종단의 선형성 등으로 인하여 사전에 슬라브(S) 종단의 선형성을 실측하여 이에 맞게 가공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을 뿐만 아니라, 해당 설치 위치에 맞게 이들을 정확하게 공장에서 가공하여 현장에 맞게 시공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으며 그 결과 종방향 신축이음장치의 보수 작업성이 극히 낮은 문제점이 있다. 더욱이 기존의 종방향 신축이음장치의 보수 공사시에 반드시 앵커 작업을 통하여 신설되는 종방향 신축이음장치를 설치해야 하며, 그에 따라 콘트리트 타설에 필요한 거푸집 작업 등이 요구됨으로써 교통 장애 등이 상대적으로 높게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는 바, 신속하게 종방향 신축이음장치를 교체 시공할 수 있는 기술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하천의 종방향을 따라 설치되는 교량 슬라브(S)의 이웃하는 횡단부 사이에 설치되는 종방향 신축이음장치에 대하여 신속하고 효율적으로 교체 보수 작업을 할 수 있는 종방향 신축이음장치의 보수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하천의 종방향으로 설치되는 교량 슬라브(S)의 곡률 특성을 현장에서 임의적으로 조절하여 교체 보수 작업을 할 수 있는 종방향 신축이음장치의 보수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종방향 신축이음장치의 교체 보수 시공 후에도 사후적으로 이웃하는 교량 슬라브(S) 상의 조인트 부분에서 간극 현상이 발생되지 않는 종방향 신축이음장치의 보수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종방향 신축이음장치의 보수방법에 있어서, 하천의 종방향을 따라 설치된 기존 종방향 신축이음장치와 그 주변부를 교량의 거더(G) 상부로부터 제거하는 제1 단계, 기존 종방향 신축이음장치의 제거시 발생되는 슬라브(S)의 요철면에 대하여 무수축 몰탈로 슬라브(S)의 바닥면을 평탄화하는 제2 단계, 평탄화된 슬라브(S)의 평탄면(P) 상에 프리캐스트 공법으로 제작된 신축이음블록(100)을 안착시키는 제3 단계, 및 슬라브(S)의 평탄면(P) 상에 신축이음블록(100)이 연속 배열되어 안착된 상태에서, 탄성적 성질을 가진 아스팔트플러그(200)가 슬라브(S)의 평탄면(P) 단부에 마련된 이격 공간(GAP)과 신축이음블록(100)의 제2 상면(134)에 대하여 포설되는 제4 단계를 포함하는 종방향 신축이음장치의 보수방법이 제공된다.
여기서, 신축이음블록(100)은 프리캐스트 공법으로 제작된 단위 직육면체로 이루어지며, 이러한 단위 직육면체의 블록이 평탄화된 슬라브(S)의 평탄면(P)에 대하여 거더(G) 슬라브(S)의 곡률 단부면을 따라 일렬로 연속하여 배열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신축이음블록(100)은 슬라브(S)의 평탄면(P)에 대하여 안착되기 위한 제1 하면(112)을 가진 제1 블록부(110), 제1 블록부(110)의 일단부로부터 수직 또는 경사지게 연장된 연장부(120)의 단부로부터 수평하게 연장되는 제2 블록부(130)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신축이음블록(100)의 제1 블록부(110)는 상하면이 각각 평탄한 제1 상면(114)과, 이에 대향되어 슬라브(S)의 평탄면(P)에 안착되기 위한 제1 하면(112)으로 이루어지며, 신축이음블록(100)의 제2 블록부(130)는 연장부(120)로부터 수평으로 연장되어 이웃하는 신축이음블록(100)의 제1 블록부(110)의 제1 상면(114)에 안착되기 위한 제2 하면(132)과, 이에 대향되어 신축이음블록(100)의 일정한 평탄면(P)을 이루기 위한 제2 상면(134)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신축이음블록(100)의 제1 블록부(110), 연장부(120) 및 제2 블록부(130)의 각 양측면은 동일한 평면을 이루도록 각 폭(W)을 가지며, 제1 블록부(110)의 제1 상면(114)의 종방향 길이(L1)는 제2 블록부(130)의 제2 하면(132)의 종방향 길이(L2)보다 큰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신축이음블록(100)의 일측면을 이루는 전면이나 후면은 일측 거더(G)의 슬라브(S)의 평탄면(P) 단부에 수직한 일측 수직면에 긴밀하게 접하도록 위치되며, 신축이음블록(100)의 타측면을 이루는 후면이나 전면은 타측 거더(G)의 슬라브(S)의 평탄면(P) 단부에 대하여 소정의 이격 공간(GAP)을 가지고 위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연속적으로 배열되는 복수개의 신축이음블록(100)들 중에서 첫번째 신축이음블록(100)의 제2 하면(132) 아래에는 슬라브(S)의 평탄면(P) 사이의 공극을 없애기 위한 스페이서가 상기 공극에 대응하여 프리캐스트 공법으로 제작된 육면체의 블럭이 안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아스팔트플러그(200)는 아스콘 전체적인 질량에 대해 스티렌-공액디엔 블록 공중합체 5 내지 30% 중량, 폐타이어 고무분말 5 내지 40% 중량, 스티로폼 0,01 내지 5% 중량, 가소제 또는 연화제 0 내지 30% 중량, 점착성 부여제 0.02 내지 5% 중량, 무기 충전제 4 내지 30% 중량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신축이음블록(100)의 제1 블록부(110)의 제1 상면(114)과 제2 블록부(130)의 제2 하면(132) 사이에는 탄성의 성질을 가진 아스팔트플러그(200)가 소정의 두께를 가지고 도포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하천의 종방향을 따라 설치되는 교량 슬라브(S)의 이웃하는 횡단부 사이에 설치되는 종방향 신축이음장치에 대하여 신속하고 효율적으로 교체 보수 작업을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교량 슬라브(S)의 곡률 특성을 현장에서 임의적으로 조절하여 교체 보수 작업을 할 수 있으며, 사후적으로 이웃하는 교량 슬라브(S) 상의 조인트 부분에서 간극 현상이 발생되지 않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 교량 신축이음 조인트 및 누수경로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2 는 특허 제558373호에 따른 교량 신축이음장치의 조인트에 대한 사시도이다.
도 3은 충주천의 종방향을 따라 설치된 대봉교 사거리 인근 RC라멘교의 교량 슬라브(S)들 사이에 설치된 앵글 조인트의 신축이음장치에 있어서 공용 시간의 증가에 따라 앵글 조인트의 간극이 벌려진 상태를 나타낸 사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 실시예에 따른 종방향 신축이음장치의 보수방법에 있어서 기존의 종방향 신축이음장치를 제거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a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 실시예에 따른 신축이음블록(100)이 안착되는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5b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 실시예에 따른 신축이음블록(100)이 안착된 상태를 나타낸 도 5a의 BB 선에 대한 단면도이다.
도 6은 신축이음블록(100)이 연속 배열되어 안착된 상태에서 탄성적 성질을 가진 아스팔트플러그(200)가 포설되는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로서 도 5a의 BB 선을 기준으로 한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 실시예에 따른 종방향 신축이음장치의 보수방법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 실시예에 따른 종방향 신축이음장치의 보수방법에 있어서 기존의 종방향 신축이음장치를 제거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5a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 실시예에 따른 신축이음블록(100)이 안착되는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5b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 실시예에 따른 신축이음블록(100)이 안착된 상태를 나타낸 도 5a의 BB 선에 대한 단면도이며, 도 6은 신축이음블록(100)이 연속 배열되어 안착된 상태에서 탄성적 성질을 가진 아스팔트플러그(200)가 포설되는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로서 도 5a의 BB 선을 기준으로 한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 실시예에 따른 종방향 신축이음장치의 보수방법에 의하면, 먼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천의 종방향을 따라 설치된 기존 종방향 신축이음장치를 교량의 거더(G) 상부로부터 제거한다.
이 때, 기존 종방향 신축이음장치를 거더(G)의 철근과 연결되는 부분이나 앵커되는 위치까지 최소한 콘크리트로 이루어진 슬라브(S) 부분을 제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기존 종방향 신축이음장치의 제거할 때 이용되는 브레이커에 의하여 발생되는 슬라브(S)의 요철면에 대하여 무수축 몰탈로 제거되는 슬라브(S)의 바닥면을 평탄화한다. 그 높이는 대략 5cm 전후로서 브레이커 작업시 발생되는 요철면의 높이보다 약간 높은 정도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후,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평탄화된 슬라브(S)의 평탄면(P) 상에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 실시예에 따른 신축이음블록(100)을 안착시킨다. 신축이음블록(100)은 프리캐스트 공법으로 제작된 블록으로서, 하천의 곡률(C)을 따라 설치된 교량의 슬라브(S) 곡률 단부면에 대응하여 적합한 연결 상태를 나타내기 위하여 복수개의 블록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 실시예에 따른 신축이음블록(100)은 종방향 단면이 '
Figure pat00001
'의 형상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 실시예에 따른 신축이음블록(100)은 슬라브(S)의 평탄면(P)에 대하여 안착되기 위한 제1 하면(112)을 가진 제1 블록부(110), 제1 블록부(110)의 일단부로부터 수직하게 연장된 연장부(120)의 단부로부터 수평하게 연장되는 제2 블록부(130)로 이루어진다.
신축이음블록(100)의 제1 블록부(110)는 상하면이 각각 평탄한 제1 상면(114)과, 이에 대향되어 슬라브(S)의 평탄면(P)에 안착되기 위한 제1 하면(112)으로 이루어진다. 신축이음블록(100)의 제2 블록부(130)는 연장부(120)로부터 수평으로 연장되어 이웃하는 신축이음블록(100)의 제1 블록부(110)의 제1 상면(114)에 안착되기 위한 제2 하면(132)과, 이에 대향되어 신축이음블록(100)의 일정한 평탄면(P)을 이루기 위한 제2 상면(134)으로 이루어진다. 신축이음블록(100)의 제1 블록부(110), 연장부(120) 및 제2 블록부(130)의 각 양측면은 동일한 평면을 이루도록 각 폭(W)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 실시예에 따른 신축이음블록(100)는 상면에서 보았을 때 마치 직사각형의 평면을 가진다. 한편, 제1 블록부(110)의 제1 상면(114)의 종방향 길이(L1)는 제2 블록부(130)의 제2 하면(132)의 종방향 길이(L2)보다 큰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 실시예에 따른 종방향 신축이음장치의 보수방법에 의하면, 일편 신축이음블록(100)의 제1 블록부(110)의 제1 하면(112)이 평탄화된 슬라브(S)의 평탄면(P) 상에 안착된 상태에서 이웃하는 타편 신축이음블록(100)의 제2 블록부(130)의 제2 하면(132)이 일편 신축이음블록(100)의 제1 블록부(110)의 제1 상면(114)에 대하여 안착될 때, 타편 신축이음블록(100)의 제2 하면(132)의 길이(L2)가 일편 신축이음블록(100)의 제1 상면(114)의 길이(L1)보다 작기 때문에, 일편 신축이음블록(100)과 이에 이웃하는 타편 신축이음블록(100)은 소정의 곡률을 가지면서 평탄화된 슬라브(S)의 평탄면(P) 상에 안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 실시예에 따른 종방향 신축이음장치의 보수방법에 의하면, 하천의 곡률을 따라 설치된 교량의 슬라브(S) 곡률 단부면에 대응하여 연속적으로 신축이음블록(100)의 단면 형상인 '
Figure pat00002
'가 연속하여 배열됨으로써 소정의 곡률을 가지면서 아스팔트플러그(200)의 지지면을 형성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 실시예에 신축이음블록(100)의 연장부(120)는 수직으로 입상되지 않고 경사지게 연장되어도 좋다.
신축이음블록(100)의 일측면(A)을 이루는 전면이나 후면은 일측 거더(G)의 슬라브(S)의 평탄면(P) 단부에 수직한 일측 수직면에 긴밀하게 접하도록 위치되며, 신축이음블록(100)의 타측면(100B)을 이루는 후면이나 전면은 타측 거더(G)의 슬라브(S)의 평탄면(P) 단부에 대하여 소정의 이격 공간(GAP)을 가지고 위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신축이음블록(100)의 전체적인 높이는 제거된 슬라브(S)의 높이보다 작거나 같은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연속적으로 배열되는 복수개의 신축이음블록(100)들에 있어서 첫번째 신축이음블록(100)의 제2 하면(132) 아래에는 슬라브(S)의 평탄면(P) 사이의 공극을 없애기 위한 스페이서(미도시)가 상기 공극에 대응하여 프리캐스트 공법으로 제작된 육면체의 블럭이 안착된다. 한편, 본 발명의 바람직한 변형예에 의하면, 첫번째 신축이음블록(100)은 제2 블록부(130)의 제2 하면(132)이 제1 블록부(110)의 제1 하면(112)과 같은 면에 위치하며, 마지막 신축이음블록(100)의 제1 블록부(110)의 제1 상면(114)은 제2 블록부(130)의 제2 상면(134)과 같은 면에 위치하도록 구성된다.
이후,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신축이음블록(100)이 연속 배열되어 슬라브(S)의 평탄면(P) 상에 안착된 상태에서, 탄성적 성질을 가진 아스팔트플러그(200)가 슬라브(S)의 평탄면(P) 단부에 마련된 이격 공간(GAP)과 신축이음블록(100)의 제2 상면(134)에 대하여 포설된다.
탄성의 성질을 가진 아스팔트플러그(200)는 아스콘 전체적인 질량에 대해 스티렌-공액디엔 블록 공중합체 5 내지 30% 중량, 폐타이어 고무분말 5 내지 40% 중량, 스티로폼 0,01 내지 5% 중량, 가소제 또는 연화제 0 내지 30% 중량, 점착성 부여제 0.02 내지 5% 중량, 무기 충전제 4 내지 30% 중량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 실시예에 따른 종방향 신축이음장치의 보수방법에 의하면, 신축이음블록(100)의 일측면을 이루는 전면이나 후면은 일측 거더(G)의 슬라브(S)의 평탄면(P) 단부에 수직한 일측 수직면에 긴밀하게 접하도록 위치되며, 신축이음블록(100)의 타측면을 이루는 후면이나 전면은 타측 거더(G)의 슬라브(S)의 평탄면(P) 단부에 대하여 소정의 이격 공간(GAP)을 가지고 위치된 상태에서 탄성의 성질을 가진 아스팔트플러그(200)가 상기 이격 공간(GAP)에 충진되어 있기 때문에, 교량의 슬라브(S)가 온습도나 진동 등에 의한 거동시에 신축이음블록(100)이 슬라브(S)의 평탄면(P) 상에서 슬라이드 거동됨과 동시에 상기 이격 공간(GAP)에서 슬라브(S)의 거동에 따른 충격을 완충할 수 있다.
또한, 신축이음블록(100)이 연속적으로 슬라브(S)의 평탄면(P) 상에 안착된 상태에서 슬라브(S)의 제거된 수평 영역을 전체에 대하여 신축이음블록(100)의 상면에 아스팔트플러그(200)가 충진되어 포설되기 때문에 간극이 발생되지 않음으로써 안전 사고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리나, 우수 등이 누수되어 교량이 열화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 실시예에 따른 종방향 신축이음장치의 보수방법에 의하면, 전술한 제1 실시예에 있어서 신축이음블록(100)의 형상은 거의 같지만, 신축이음블록(100)의 제1 블록부(110)의 제1 상면(114)과 제2 블록부(130)의 제2 하면(132) 사이에는 탄성의 성질을 가진 아스팔트플러그(200)가 소정의 두께를 가지고 도포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 실시예에 따른 종방향 신축이음장치의 보수방법에 의하면, 현장에서 발생되는 단차로 인하여 단차면이 일정치 않을 경우 신축이음블록(100)의 제1 블록부(110)의 제1 상면(114)과 제2 블록부(130)의 제2 하면(132) 사이에는 탄성의 성질을 가진 아스팔트플러그(200)가 소정의 두께를 가지고 도포되기 때문에 일정한 높이를 갖는 신축이음블록(100)의 연속 배열을 가질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의하면, 신축이음블록(100)은 프리캐스트 공법으로 제작된 단위 직육면체(미도시)로 이루어지며, 이러한 단위 직육면체의 블록이 평탄화된 슬라브(S)의 평탄면(P)에 대하여 거더(G) 슬라브(S)의 곡률 단부면을 따라 일렬로 연속하여 배열된다. 이 때, 이웃하는 신축이음블록(100)의 단부면 사이의 공극은 탄성을 가진 아스팔트플러그(200)에 의하여 충진되며 그 나머지 공정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 실시예에 따른 종방향 신축이음장치의 보수방법과 동일하다.
AS: 아스팔트
GAP: 이격 공간
S: 슬라브
P: 평탄면
100: 신축이음블록
11O: 제1 블록부
112: 제1 하면
114: 제1 상면
120: 연장부
130: 제2 블록부
132: 제2 하면
134: 제2 상면
200: 아스팔트플러그

Claims (9)

  1. 종방향 신축이음장치의 보수방법에 있어서,
    하천의 종방향을 따라 설치된 기존 종방향 신축이음장치와 그 주변부를 교량의 거더(G) 상부로부터 제거하는 제1 단계;
    기존 종방향 신축이음장치의 제거시 발생되는 슬라브(S)의 요철면에 대하여 무수축 몰탈로 슬라브(S)의 바닥면을 평탄화하는 제2 단계;
    평탄화된 슬라브(S)의 평탄면(P) 상에 프리캐스트 공법으로 제작된 신축이음블록(100)을 안착시키는 제3 단계; 및
    슬라브(S)의 평탄면(P) 상에 신축이음블록(100)이 연속 배열되어 안착된 상태에서, 탄성적 성질을 가진 아스팔트플러그(200)가 슬라브(S)의 평탄면(P) 단부에 마련된 이격 공간(GAP)과 신축이음블록(100)의 제2 상면(134)에 대하여 포설되는 제4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종방향 신축이음장치의 보수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신축이음블록(100)은 프리캐스트 공법으로 제작된 단위 직육면체로 이루어지며, 이러한 단위 직육면체의 블록이 평탄화된 슬라브(S)의 평탄면(P)에 대하여 거더(G) 슬라브(S)의 곡률 단부면을 따라 일렬로 연속하여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종방향 신축이음장치의 보수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신축이음블록(100)은 슬라브(S)의 평탄면(P)에 대하여 안착되기 위한 제1 하면(112)을 가진 제1 블록부(110), 제1 블록부(110)의 일단부로부터 수직 또는 경사지게 연장된 연장부(120)의 단부로부터 수평하게 연장되는 제2 블록부(130)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종방향 신축이음장치의 보수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신축이음블록(100)의 제1 블록부(110)는 상하면이 각각 평탄한 제1 상면(114)과, 이에 대향되어 슬라브(S)의 평탄면(P)에 안착되기 위한 제1 하면(112)으로 이루어지며,
    신축이음블록(100)의 제2 블록부(130)는 연장부(120)로부터 수평으로 연장되어 이웃하는 신축이음블록(100)의 제1 블록부(110)의 제1 상면(114)에 안착되기 위한 제2 하면(132)과, 이에 대향되어 신축이음블록(100)의 일정한 평탄면(P)을 이루기 위한 제2 상면(134)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종방향 신축이음장치의 보수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신축이음블록(100)의 제1 블록부(110), 연장부(120) 및 제2 블록부(130)의 각 양측면은 동일한 평면을 이루도록 각 폭(W)을 가지며,
    제1 블록부(110)의 제1 상면(114)의 종방향 길이(L1)는 제2 블록부(130)의 제2 하면(132)의 종방향 길이(L2)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종방향 신축이음장치의 보수방법.
  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신축이음블록(100)의 일측면을 이루는 전면이나 후면은 일측 거더(G)의 슬라브(S)의 평탄면(P) 단부에 수직한 일측 수직면에 긴밀하게 접하도록 위치되며, 신축이음블록(100)의 타측면을 이루는 후면이나 전면은 타측 거더(G)의 슬라브(S)의 평탄면(P) 단부에 대하여 소정의 이격 공간(GAP)을 가지고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종방향 신축이음장치의 보수방법.
  7. 제4항에 있어서, 연속적으로 배열되는 복수개의 신축이음블록(100)들 중에서 첫번째 신축이음블록(100)의 제2 하면(132) 아래에는 슬라브(S)의 평탄면(P) 사이의 공극을 없애기 위한 스페이서가 상기 공극에 대응하여 프리캐스트 공법으로 제작된 육면체의 블럭이 안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종방향 신축이음장치의 보수방법.
  8.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아스팔트플러그(200)는 아스콘 전체적인 질량에 대해 스티렌-공액디엔 블록 공중합체 5 내지 30% 중량, 폐타이어 고무분말 5 내지 40% 중량, 스티로폼 0,01 내지 5% 중량, 가소제 또는 연화제 0 내지 30% 중량, 점착성 부여제 0.02 내지 5% 중량, 무기 충전제 4 내지 30% 중량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종방향 신축이음장치의 보수방법.
  9. 제4항에 있어서, 신축이음블록(100)의 제1 블록부(110)의 제1 상면(114)과 제2 블록부(130)의 제2 하면(132) 사이에는 탄성의 성질을 가진 아스팔트플러그(200)가 소정의 두께를 가지고 도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종방향 신축이음장치의 보수방법.
KR1020160181821A 2016-12-29 2016-12-29 종방향 신축이음장치의 보수방법 KR10193310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81821A KR101933105B1 (ko) 2016-12-29 2016-12-29 종방향 신축이음장치의 보수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81821A KR101933105B1 (ko) 2016-12-29 2016-12-29 종방향 신축이음장치의 보수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77452A true KR20180077452A (ko) 2018-07-09
KR101933105B1 KR101933105B1 (ko) 2018-12-27

Family

ID=629189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81821A KR101933105B1 (ko) 2016-12-29 2016-12-29 종방향 신축이음장치의 보수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33105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886330A (zh) * 2019-12-17 2020-03-17 中交路桥建设有限公司 新建桥梁基础沉降监测的方法
KR20220050116A (ko) * 2018-12-19 2022-04-22 주식회사 엔페이브 라텍스계 탄성구스아스팔트 조성물과 3d프린터 기술을 이용한 프리캐스트형 신축이음공법
CN114673080A (zh) * 2022-04-11 2022-06-28 四川寰宇富兴科技有限公司 一种新型预制模块化无缝桥梁伸缩装置及其施工方法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339765A (ja) * 2003-05-15 2004-12-02 Bondo Engineering Kk 道路用伸縮継手の施工方法
JP6032961B2 (ja) * 2012-06-19 2016-11-30 株式会社日立製作所 超音波診断装置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50116A (ko) * 2018-12-19 2022-04-22 주식회사 엔페이브 라텍스계 탄성구스아스팔트 조성물과 3d프린터 기술을 이용한 프리캐스트형 신축이음공법
CN110886330A (zh) * 2019-12-17 2020-03-17 中交路桥建设有限公司 新建桥梁基础沉降监测的方法
CN110886330B (zh) * 2019-12-17 2022-06-03 中交路桥建设有限公司 新建桥梁基础沉降监测的方法
CN114673080A (zh) * 2022-04-11 2022-06-28 四川寰宇富兴科技有限公司 一种新型预制模块化无缝桥梁伸缩装置及其施工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33105B1 (ko) 2018-12-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33105B1 (ko) 종방향 신축이음장치의 보수방법
KR101053485B1 (ko) ㄷ자형 플레이트를 이용한 조립식 신축이음장치 및 이를 이용한 신설/보수 시공공법
KR101606391B1 (ko) 신축이음장치의 후타콘크리트 비 노출공법
JP2007138467A (ja) 高架道路の荷重支持型伸縮装置とその施工法
KR100916973B1 (ko)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포장의 시공 방법 및 그 구조
JP4823937B2 (ja) 落橋防止構造
KR100558373B1 (ko) 교량의 신축이음 장치
KR101784721B1 (ko) 배수시트 교체가 용이한 도로교 핑거형 신축이음장치 및 이의 시공방법
KR20190112451A (ko) 탄성보강재를 이용하여 내구성을 향상시킨 신축이음 시공방법
KR101596689B1 (ko) 고탄성 실런트를 이용한 교량용 신축 이음장치 및 이의 시공 방법
JP5958907B2 (ja) 既設コンクリート床版の部分的修復工法
KR101693767B1 (ko) 신축 이음을 구비한 프리캐스트 바닥판 시공방법
KR102220544B1 (ko) 설치 시공성이 향상된 신축이음장치 및 그 시공방법
KR101287489B1 (ko) 유간 보정이 가능한 신축 이음장치
KR20110022253A (ko) 도로용 블록의 시공구조 및 도로용 블록의 시공방법
KR100992870B1 (ko) 교량용 신축이음장치
KR100622008B1 (ko) 일체식 교대 교량의 합성구조
KR102209681B1 (ko) 신축이음장치
KR101593998B1 (ko) 신축이음장치 보수시설 및 이를 이용한 보수공법
KR101407990B1 (ko) 신축이음장치 후타콘크리트 교체공법 및 신축이음장치 후타부 구조체
JP5875855B2 (ja) 橋梁用ブロック型埋設ジョイント伸縮装置
KR101032722B1 (ko) 콘크리트 구조물의 신축이음장치
KR100564093B1 (ko) 발포성 고무를 이용한 교량의 신축이음구조
JP2009007790A (ja) Mma樹脂モルタルを敷設した橋梁複合鋼床版
KR100415263B1 (ko) 교량 구조물의 슬라브 연결부 보수방법 및 그 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