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76053A - 하드마스크 조성물, 이를 이용한 패턴의 형성방법 및 상기 하드마스크 조성물을 이용하여 형성된 하드마스크 - Google Patents

하드마스크 조성물, 이를 이용한 패턴의 형성방법 및 상기 하드마스크 조성물을 이용하여 형성된 하드마스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76053A
KR20180076053A KR1020160180136A KR20160180136A KR20180076053A KR 20180076053 A KR20180076053 A KR 20180076053A KR 1020160180136 A KR1020160180136 A KR 1020160180136A KR 20160180136 A KR20160180136 A KR 20160180136A KR 20180076053 A KR20180076053 A KR 2018007605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oup
carbon nanostructure
dimensional carbon
hard mask
zero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801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상원
설민수
신현진
이동욱
정성준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1801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076053A/ko
Priority to US15/805,848 priority patent/US10424490B2/en
Priority to EP17200667.8A priority patent/EP3343592B1/en
Priority to CN201711135559.5A priority patent/CN108241262B/zh
Publication of KR201800760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7605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FPHOTOMECHANICAL PRODUCTION OF TEXTURED OR PATTERNED SURFACES, e.g. FOR PRINTING, FOR PROCESSING OF SEMICONDUCTOR DEVICES; MATERIALS THEREFOR; ORIGINALS THEREF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G03F7/00Photomechanical, e.g. photolithographic, production of textured or patterned surfaces, e.g. printing surfaces; Materials therefor, e.g. comprising photoresists;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G03F7/004Photosensitive materials
    • G03F7/09Photosensitive material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details, e.g. supports, auxiliary layers
    • G03F7/11Photosensitive material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details, e.g. supports, auxiliary layers having cover layers or intermediate layers, e.g. subbing lay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4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the devices having at least one potential-jump barrier or surface barrier, e.g. PN 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 H01L21/18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the devices having at least one potential-jump barrier or surface barrier, e.g. PN 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the devices having semiconductor bodies comprising elements of Group IV of the Periodic System or AIIIBV compounds with or without impurities, e.g. doping materials
    • H01L21/30Treatment of semiconductor bodies using processe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1L21/20 - H01L21/26
    • H01L21/302Treatment of semiconductor bodies using processe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1L21/20 - H01L21/26 to change their surface-physical characteristics or shape, e.g. etching, polishing, cutting
    • H01L21/306Chemical or electrical treatment, e.g. electrolytic etching
    • H01L21/308Chemical or electrical treatment, e.g. electrolytic etching using masks
    • H01L21/3081Chemical or electrical treatment, e.g. electrolytic etching using masks characterised by their composition, e.g. multilayer masks, materials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BNON-METALLIC ELEMENTS; COMPOUNDS THEREOF; METALLOIDS OR COMPOUNDS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 C01C
    • C01B32/00Carbon; Compounds thereof
    • C01B32/15Nano-sized carbon materials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BNON-METALLIC ELEMENTS; COMPOUNDS THEREOF; METALLOIDS OR COMPOUNDS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 C01C
    • C01B32/00Carbon; Compounds thereof
    • C01B32/15Nano-sized carbon materials
    • C01B32/152Fullerenes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BNON-METALLIC ELEMENTS; COMPOUNDS THEREOF; METALLOIDS OR COMPOUNDS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 C01C
    • C01B32/00Carbon; Compounds thereof
    • C01B32/15Nano-sized carbon materials
    • C01B32/152Fullerenes
    • C01B32/156After-treatment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BNON-METALLIC ELEMENTS; COMPOUNDS THEREOF; METALLOIDS OR COMPOUNDS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 C01C
    • C01B32/00Carbon; Compounds thereof
    • C01B32/15Nano-sized carbon materials
    • C01B32/182Graphene
    • C01B32/184Prepara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2Elements
    • C08K3/04Carbon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2Elements
    • C08K3/04Carbon
    • C08K3/042Graphene or derivatives, e.g. graphene oxid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2Elements
    • C08K3/04Carbon
    • C08K3/045Fulleren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9/00Use of pretreated ingredients
    • C08K9/04Ingredients treated with organic substance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00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based on inorganic substance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7/00Features of coating composition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9D5/00; Processes for incorporating ingredients in coating compositions
    • C09D7/40Additives
    • C09D7/60Additives non-macromolecular
    • C09D7/61Additives non-macromolecular inorganic
    • C09D7/62Additives non-macromolecular inorganic modified by treatment with other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7/00Features of coating composition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9D5/00; Processes for incorporating ingredients in coating compositions
    • C09D7/40Additives
    • C09D7/66Additives characterised by particle size
    • C09D7/67Particle size smaller than 100 nm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FPHOTOMECHANICAL PRODUCTION OF TEXTURED OR PATTERNED SURFACES, e.g. FOR PRINTING, FOR PROCESSING OF SEMICONDUCTOR DEVICES; MATERIALS THEREFOR; ORIGINALS THEREF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G03F1/00Originals for photomechanical production of textured or patterned surfaces, e.g., masks, photo-masks, reticles; Mask blanks or pellicles therefor; Containers specially adapted therefor; Preparation thereof
    • G03F1/68Preparation processes not covered by groups G03F1/20 - G03F1/50
    • G03F1/80Etching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FPHOTOMECHANICAL PRODUCTION OF TEXTURED OR PATTERNED SURFACES, e.g. FOR PRINTING, FOR PROCESSING OF SEMICONDUCTOR DEVICES; MATERIALS THEREFOR; ORIGINALS THEREF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G03F7/00Photomechanical, e.g. photolithographic, production of textured or patterned surfaces, e.g. printing surfaces; Materials therefor, e.g. comprising photoresists;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G03F7/004Photosensitive material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FPHOTOMECHANICAL PRODUCTION OF TEXTURED OR PATTERNED SURFACES, e.g. FOR PRINTING, FOR PROCESSING OF SEMICONDUCTOR DEVICES; MATERIALS THEREFOR; ORIGINALS THEREF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G03F7/00Photomechanical, e.g. photolithographic, production of textured or patterned surfaces, e.g. printing surfaces; Materials therefor, e.g. comprising photoresists;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G03F7/16Coating processes; Apparatus therefor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FPHOTOMECHANICAL PRODUCTION OF TEXTURED OR PATTERNED SURFACES, e.g. FOR PRINTING, FOR PROCESSING OF SEMICONDUCTOR DEVICES; MATERIALS THEREFOR; ORIGINALS THEREF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G03F7/00Photomechanical, e.g. photolithographic, production of textured or patterned surfaces, e.g. printing surfaces; Materials therefor, e.g. comprising photoresists;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G03F7/20Exposure; Apparatus therefor
    • G03F7/2002Exposure; Apparatus therefor with visible light or UV light, through an original having an opaque pattern on a transparent support, e.g. film printing, projection printing; by reflection of visible or UV light from an original such as a printed image
    • G03F7/2004Exposure; Apparatus therefor with visible light or UV light, through an original having an opaque pattern on a transparent support, e.g. film printing, projection printing; by reflection of visible or UV light from an original such as a printed image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particular light source, e.g. fluorescent lamps or deep UV light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FPHOTOMECHANICAL PRODUCTION OF TEXTURED OR PATTERNED SURFACES, e.g. FOR PRINTING, FOR PROCESSING OF SEMICONDUCTOR DEVICES; MATERIALS THEREFOR; ORIGINALS THEREF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G03F7/00Photomechanical, e.g. photolithographic, production of textured or patterned surfaces, e.g. printing surfaces; Materials therefor, e.g. comprising photoresists;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G03F7/20Exposure; Apparatus therefor
    • G03F7/2002Exposure; Apparatus therefor with visible light or UV light, through an original having an opaque pattern on a transparent support, e.g. film printing, projection printing; by reflection of visible or UV light from an original such as a printed image
    • G03F7/2004Exposure; Apparatus therefor with visible light or UV light, through an original having an opaque pattern on a transparent support, e.g. film printing, projection printing; by reflection of visible or UV light from an original such as a printed image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particular light source, e.g. fluorescent lamps or deep UV light
    • G03F7/2006Exposure; Apparatus therefor with visible light or UV light, through an original having an opaque pattern on a transparent support, e.g. film printing, projection printing; by reflection of visible or UV light from an original such as a printed image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particular light source, e.g. fluorescent lamps or deep UV light using coherent light; using polarised light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FPHOTOMECHANICAL PRODUCTION OF TEXTURED OR PATTERNED SURFACES, e.g. FOR PRINTING, FOR PROCESSING OF SEMICONDUCTOR DEVICES; MATERIALS THEREFOR; ORIGINALS THEREF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G03F7/00Photomechanical, e.g. photolithographic, production of textured or patterned surfaces, e.g. printing surfaces; Materials therefor, e.g. comprising photoresists;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G03F7/26Processing photosensitive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 G03F7/30Imagewise removal using liquid means
    • G03F7/32Liquid compositions therefor, e.g. developers
    • G03F7/322Aqueous alkaline composi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FPHOTOMECHANICAL PRODUCTION OF TEXTURED OR PATTERNED SURFACES, e.g. FOR PRINTING, FOR PROCESSING OF SEMICONDUCTOR DEVICES; MATERIALS THEREFOR; ORIGINALS THEREF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G03F7/00Photomechanical, e.g. photolithographic, production of textured or patterned surfaces, e.g. printing surfaces; Materials therefor, e.g. comprising photoresists;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G03F7/26Processing photosensitive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 G03F7/40Treatment after imagewise removal, e.g. bak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104Forming layers
    • H01L21/02107Forming insulating materials on a substrate
    • H01L21/02109Forming insulating materials on a substrate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layer, e.g. type of material, porous/non-porous, pre-cursors, mixtures or laminates
    • H01L21/02112Forming insulating materials on a substrate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layer, e.g. type of material, porous/non-porous, pre-cursors, mixtures or laminate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the layer
    • H01L21/02115Forming insulating materials on a substrate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layer, e.g. type of material, porous/non-porous, pre-cursors, mixtures or laminate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the layer the material being carbon, e.g. alpha-C, diamond or hydrogen doped carb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7Making masks on semiconductor bodies for further photolithographic processing not provided for in group H01L21/18 or H01L21/34
    • H01L21/0271Making masks on semiconductor bodies for further photolithographic processing not provided for in group H01L21/18 or H01L21/34 comprising organic layers
    • H01L21/0273Making masks on semiconductor bodies for further photolithographic processing not provided for in group H01L21/18 or H01L21/34 comprising organic layer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photoresist lay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7Making masks on semiconductor bodies for further photolithographic processing not provided for in group H01L21/18 or H01L21/34
    • H01L21/033Making masks on semiconductor bodies for further photolithographic processing not provided for in group H01L21/18 or H01L21/34 comprising inorganic layers
    • H01L21/0332Making masks on semiconductor bodies for further photolithographic processing not provided for in group H01L21/18 or H01L21/34 comprising inorganic layers characterised by their composition, e.g. multilayer masks, materia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7Making masks on semiconductor bodies for further photolithographic processing not provided for in group H01L21/18 or H01L21/34
    • H01L21/033Making masks on semiconductor bodies for further photolithographic processing not provided for in group H01L21/18 or H01L21/34 comprising inorganic layers
    • H01L21/0334Making masks on semiconductor bodies for further photolithographic processing not provided for in group H01L21/18 or H01L21/34 comprising inorganic layers characterised by their size, orientation, disposition, behaviour, shape, in horizontal or vertical plane
    • H01L21/0337Making masks on semiconductor bodies for further photolithographic processing not provided for in group H01L21/18 or H01L21/34 comprising inorganic layers characterised by their size, orientation, disposition, behaviour, shape, in horizontal or vertical plane characterised by the process involved to create the mask, e.g. lift-off masks, sidewalls, or to modify the mask, e.g. pre-treatment, post-treatmen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4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the devices having at least one potential-jump barrier or surface barrier, e.g. PN 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 H01L21/18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the devices having at least one potential-jump barrier or surface barrier, e.g. PN 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the devices having semiconductor bodies comprising elements of Group IV of the Periodic System or AIIIBV compounds with or without impurities, e.g. doping materials
    • H01L21/30Treatment of semiconductor bodies using processe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1L21/20 - H01L21/26
    • H01L21/302Treatment of semiconductor bodies using processe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1L21/20 - H01L21/26 to change their surface-physical characteristics or shape, e.g. etching, polishing, cutting
    • H01L21/306Chemical or electrical treatment, e.g. electrolytic etching
    • H01L21/308Chemical or electrical treatment, e.g. electrolytic etching using masks
    • H01L21/3083Chemical or electrical treatment, e.g. electrolytic etching using masks characterised by their size, orientation, disposition, behaviour, shape, in horizontal or vertical plane
    • H01L21/3086Chemical or electrical treatment, e.g. electrolytic etching using masks characterised by their size, orientation, disposition, behaviour, shape, in horizontal or vertical plane characterised by the process involved to create the mask, e.g. lift-off masks, sidewalls, or to modify the mask, e.g. pre-treatment, post-treatmen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4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the devices having at least one potential-jump barrier or surface barrier, e.g. PN 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 H01L21/18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the devices having at least one potential-jump barrier or surface barrier, e.g. PN 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the devices having semiconductor bodies comprising elements of Group IV of the Periodic System or AIIIBV compounds with or without impurities, e.g. doping materials
    • H01L21/30Treatment of semiconductor bodies using processe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1L21/20 - H01L21/26
    • H01L21/31Treatment of semiconductor bodies using processe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1L21/20 - H01L21/26 to form insulating layers thereon, e.g. for masking or by using photolithographic techniques; After treatment of these lay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se layers
    • H01L21/3105After-treatment
    • H01L21/311Etching the insulating layers by chemical or physical means
    • H01L21/31144Etching the insulating layers by chemical or physical means using mask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2201/00Specific properties of additives
    • C08K2201/002Physical properties
    • C08K2201/005Additives being defined by their particle size in general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FPHOTOMECHANICAL PRODUCTION OF TEXTURED OR PATTERNED SURFACES, e.g. FOR PRINTING, FOR PROCESSING OF SEMICONDUCTOR DEVICES; MATERIALS THEREFOR; ORIGINALS THEREF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G03F7/00Photomechanical, e.g. photolithographic, production of textured or patterned surfaces, e.g. printing surfaces; Materials therefor, e.g. comprising photoresists;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G03F7/004Photosensitive materials
    • G03F7/09Photosensitive material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details, e.g. supports, auxiliary layers
    • G03F7/094Multilayer resist systems, e.g. planarising laye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430/00Radiation imagery chemistry: process, composition, or product thereof
    • Y10S430/1053Imaging affecting physical property or radiation sensitive material, or producing nonplanar or printing surface - process, composition, or product: radiation sensitive composition or product or process of making binder containing
    • Y10S430/1055Radiation sensitive composition or product or process of making

Abstract

i)이차원 탄소나노구조체의 유도체, 영차원 탄소나노구조체의 유도체 및 용매를 포함하거나 또는 ii) 이차원 탄소나노구조체와 영차원 탄소나노구조체를 함유하는 복합체; 및 용매를 포함하는 하드마스크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미세패턴의 형성방법을 개시한다.

Description

하드마스크 조성물, 이를 이용한 패턴의 형성방법 및 상기 하드마스크 조성물을 이용하여 형성된 하드마스크 {Hardmask composition, method of forming patterning using the hardmask composition, and hardmask formed from the hardmask composition}
하드마스크 조성물, 이를 이용한 패턴의 형성방법 및 상기 하드마스크 조성물을 이용하여 형성된 하드마스크가 제시된다.
최근 반도체 산업은 수 내지 수십 나노미터 크기의 패턴을 갖는 초미세 기술로 발전하고 있다. 이러한 초미세 기술을 실현하기 위해서는 효과적인 리소그래피법이 요구된다. 리소그래피법은 일반적으로 반도체 기판 상부에 재료층을 형성하고 그 상부에 포토레지스트층을 코팅한 후 이를 노광 및 현상하여 포토레지스트 패턴을 형성한 후 이 포토레지스트 패턴을 마스크로 하여 재료층을 에칭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형성하고자 하는 패턴의 크기가 감소됨에 따라 일반적인 리소그래피법만으로는 양호한 프로파일을 갖는 미세패턴을 형성하기가 어렵다. 이에 따라 에칭하고자 하는 재료층과 포토레지스트막 사이에는 일명 "하드마스크(hard mask)"라고 불리우는 층을 형성하여 미세패턴을 형성할 수 있다. 하드마스크는 선택적 에칭 과정을 통하여 포토레지스트의 미세패턴을 재료층으로 전사해주는 중간막으로서 작용한다. 따라서 하드마스크층은 다종 에칭 과정 동안 견딜 수 있도록 내화학성, 내열성 및 내에칭성이 요구된다.
반도체 소자가 고집적화되면서 재료층의 선폭은 점차적으로 좁아지는데 반하여 재료층의 높이는 그대로 유지되거나 또는 상대적으로 높아져서 재료층의 종횡비가 높아지게 되었다. 이러한 조건에서 에칭 공정을 진행하여야 하므로 포토레지스트막 및 하드마스크 패턴의 높이를 증가시켜야 한다. 그러나 포토레지스트막 및 하드마스크 패턴의 높이를 증가시키는 데에는 한계가 있다. 그리고 선폭이 좁은 재료층을 얻기 위한 에칭 과정에서 하드마스크 패턴이 손상되어 소자의 전기적 특성이 열화될 수 있다.
상술한 문제점을 감안하여, 하드마스크로 폴리실리콘막, 텅스텐막, 질화막 등과 같은 도전성 또는 절연성 물질의 단일막 또는 복수의 막이 적층된 다층막을 이용하는 방법이 제안되었다. 그런데 상기 단층막 또는 다층막은 증착 온도가 높기 때문에 재료층의 물성 변형을 유발할 수 있어 새로운 하드마스크 재료에 대한 개발이 요구된다.
일 측면은 내에칭성이 개선된 하드마스크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다른 측면은 상기 하드마스크 조성물을 이용한 패턴 형성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 다른 측면은 상술한 하드마스크 조성물을 이용하여 형성된 하드마스크를 제공하는 것이다.
일 측면에 따라,
i)이차원 탄소나노구조체의 유도체, 영차원 탄소나노구조체의 유도체 및 용매를 포함하거나 또는
ii) 이차원 탄소나노구조체와 영차원 탄소나노구조체를 함유하는 복합체; 및 용매를 포함하는 하드마스크 조성물이 제공된다.
다른 측면에 따라 기판상에 피식각막을 형성하는 제1단계;
상기 피식각막 상부에 상술한 하드마스크 조성물을 공급하여 영차원 탄소나노구조체와 이차원 탄소나노구조체를 함유하는 복합체를 함유하는 하드마스크를 형성하는 제2단계;
상기 하드마스크 상부에 포토레지스트막을 형성하는 제3단계;
상기 포토레지스트막을 에칭 마스크로 하여 그래핀 나노파티클을 에칭하여 상기 피식각막 상부에 그래핀 나노파티클을 포함하는 하드마스크 패턴을 형성하는 제4단계; 및
상기 하드마스크 패턴을 에칭 마스크로 하여 상기 피식각막을 에칭하는 제5단계를 포함하는 패턴의 형성방법이 제공된다.
또 다른 측면에 이차원 탄소나노구조체와 영차원 탄소나노구조체를 함유하는 복합체를 포함한 하드마스크가 제공된다.
일 측면에 따른 하드마스크 조성물을 이용하면, 안정성이 우수하고 기존의 고분자나 비정질 탄소에 비하여 내에칭성 및 기계적 강도가 우수하고 에칭 공정 후 제거가 용이한 하드마스크를 제조할 수 있다. 이러한 하드마스크를 이용하면 보다 정교하고 균일도가 우수한 패턴을 형성할 수 있고 반도체 공정의 효율성을 개선할 수 있다.
도 1은 일구현예에 따른 하드마스크를 구성하는 이차원 탄소나노구조체와 영차원 탄소나노구조체를 함유한 복합체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도 2a 내지 도 2e는 일구현예에 따른 하드마스크 조성물을 이용한 패턴의 형성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다.
도 3a 내지 도 3d는 다른 일구현예에 따른 하드마스크 조성물을 이용한 패턴의 형성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다.
도 4a 및 도 4b는 각각 실시예 1의 복합체 및 비교예 1의 그래핀 나노파티클(Graphene NanoParticle: GNP)에 대한 푸리에 변환(Fourier transform: FT) TEM 이미지를 나타낸 것이다.
도 5는 제조예 5에 따라 얻은 OH-관능화된(functionalized) 풀러렌(C60)에 대한 라만 분광 스펙트럼을 나타낸 것이다.
이하, 일구현예에 따른 하드마스크 조성물, 이를 이용한 패턴의 형성방법 및 상기 하드마스크 조성물을 이용하여 형성된 하드마스크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i)이차원 탄소나노구조체의 유도체, 영차원 탄소나노구조체의 유도체 및 용매를 포함하거나 또는 ii) 이차원 탄소나노구조체와 영차원 탄소나노구조체를 함유하는 복합체; 및 용매를 포함하는 하드마스크 조성물이 제공된다.
상술한 이차원 탄소나노구조체 및 영차원 탄소나노구조체는 탄소 원자들의 연결된 형태로 나눌 수 있는데, 이의 정의를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용어 "이차원 탄소나노구조체"는 복수개의 탄소 원자들이 서로 공유결합으로 연결되어 일평면상으로 배열되는 폴리시클릭 방향족 분자를 형성하는 탄소나노구조체가 단일 원자층의 시트 구조를 형성하거나 작은 필름 조각인 플레이트 형태의 탄소나노구조체가 복수개 상호연결되어 일평면상으로 배열된 네크워크 구조를 형성한 것으로서 이들의 조합도 가능하다. 상기 공유결합으로 연결된 탄소 원자들은 기본 반복단위로서 6원자환을 형성하지만 5원환 및/또는 7원환을 더 포함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탄소나노구조체는 시트 구조 및/또는 네크워크 구조가 여러 개 서로 적층된 복수층으로 이루어질 수 있고 평균 두께가 약 100nm 이하, 예를 들어 약 10nm 이하이고, 구체적으로 0.01 내지 10nm이다.
이차원 탄소나노구조체는 1 내지 10nm, 예를 들어 5 내지 8nm의 사이즈를 갖고, 300층 이하인 그래핀 나노파티클일 수 있다.
이차원 탄소나노구조체는 이차원 쉬트(sheet) 형태를 가지며, 사이즈/두께 비가 3 내지 30, 예를 들어 5 내지 25이다. 여기에서 이차원 탄소나노구조체가 판상 구조를 갖는 경우, "사이즈"는 2차원 평면상의 지름을 나타내고, 이차원 탄소나노구조체가 타원형 구조를 갖는 경우, "사이즈"는 장축 직경을 나타낼 수 있다.
이차원 탄소나노구조체는 예를 들어 그래핀, 그래핀 양자점(graphene quantum dots), 환원 그래핀 옥사이드 및 그 헤테로원자 유도체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을 들 수 있다.
용어 "영차원 탄소나노구조체"는 예를 들어 풀러렌(fullerene)계열 (C20, C26, C28, C36, C50, C60, C70, ….C2n, n=12, 13, 14,…, 100), 보론 버키볼(Boron buckyball) 계열(B80, B90, B92), 카보레인(Carborane) 계열(C2B10H12) 및 이들을 이용한 유도체가 있다. 영차원 탄소나구조체는 입자 사이즈가 0.6 내지 2nm이다.
영차원 탄소나구조체는, 예를 들어 1nm 이하, 구체적으로 0.7 내지 1nm이고, 밀도가 1.5 내지 1.8g/cm3, 예를 들어 약 1.7 g/cm3인 풀러렌일 수 있다. 풀러렌은 모두 sp2 탄소를 함유하고 있다.
영차원 탄소나노구조체의 탄소수는 26 이상, 예를 들어 60 이상, 예를 들어 60, 70, 76, 78, 82, 82 또는 84이다.
용어 "헤테로원자 유도체" 는 보론(B) 또는 질소(N)와 같은 헤테로원자를 함유한 유도체를 말한다.
이차원 탄소 나노구조체는 예를 들어 그래핀, 그래핀 양자점(graphene quantum dots), 그래핀 나노파티클, 환원 그래핀 옥사이드, 및 그 헤테로원자 유도체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일 수 있다.
상기 이차원 탄소나노구조체는 예를 들어 이차원 쉬트(sheet) 형태를 가지며, 사이즈/두께 비가 3 내지 30이다.
본 명세서에서 용어 "이차원 탄소나노구조체의 유도체"는 이차원 탄소나노구조체의 전구체(precursor) 또는 반응성 작용기를 갖고 있는 이차원 탄소나노구조체를 지칭한다. 용어 "영차원 탄소나노구조체의 유도체"는 영차원 탄소나노구조체의 전구체 또는 반응성 작용기를 갖고 있는 영차원 탄소나노구조체를 말한다. 예를 들어 영차원 탄소나노구조체가 풀러렌인 경우, 영차원 탄소나노구조체 전구체는 풀러렌을 얻기 위한 출발물질, 하이드록시기 관능화된 풀러렌(OH-functionalized fullerene)와 같은 반응성 작용기를 갖는 풀러렌 등을 나타낸다. 그리고 이차원 탄소나노구조체가 GNP인 경우, 이차원 탄소나노구조체의 유도체는 카르복실기 관능화된 GNP(COOH-functionalized GNP)와 같은 반응성 작용기를 갖는 그래핀 나노파티클, GNP를 얻기 위하여 사용된 출발물질 등을 말한다.
카르복실기 관능화된 GNP는 bare GNP 또는 하이드록시기 관능화된 GNP(OH functionalized GNP)에 클로로아세트산을 부가하여 얻을 수 있다.
하이드록시기 관능화된 GNP(OH-functionalized GNP)는 GNP에 하이드록시기를 도입하는 일반적인 방법에 따라 얻을 수 있다. 예를 들어 풀러렌을 소정 사이즈로 분쇄한 다음, 여기에 염기 및 산화제를 부가하고 분쇄하는 과정을 거치면 얻을 수 있다. 염기의 예로는 수산화나트륨을 들 수 있고, 산화제의 예로는 과산화수소를 들 수 있다.
상기 복합체는 이차원 탄소나노구조체와 영차원 탄소나노구조체가 링커(linker)에 의하여 연결된 구조체; 또는 이차원 탄소나노구조체와 영차원 탄소나노구조체의 적층체(laminate)이다.
복합체는 분자 복합체(molecular composite), 공유결합 구조체(covalent bonded structure) 또는 적층체(laminate)일 수 있다.
이차원 탄소나노구조체와 영차원 탄소나노구조체의 적층체는 이차원 탄소나노구조체와 영차원 탄소나노구조체가 적층되어 이루어진 구조체이고, 분자 복합체는 단일 화합물과 같이 분자 단위로 잘 섞여있는 복합체 형태를 말한다.
상술한 이차원 탄소나노구조체와 영차원 탄소나노구조체를 함유한 복합체를 포함하는 하드마스크가 제공된다. 상기 복합체는 그래핀 나노파티클(Graphene NanoParticle: GNP)와 같은 이차원 탄소나노구조체에 비하여 밀도가 향상되어 GNP만을 함유한 하드마스크에 비하여 내에칭성이 개선된다.
상기 복합체에서 이차원 탄소나노구조체와 영차원 탄소나노구조체의 혼합중량비는 1:1 내지 99:1, 예를 들어 50:50 내지 90:10, 구체적으로 3:1 내지 5:1이다. 복합체에서 이차원 탄소나노구조체와 영차원 탄소나노구조체의 함량이 상기 범위일 때 용해도 특성이 우수한 하드마스크 조성물을 얻을 수 있고, 이 하드마스크 조성물을 이용하여 막 균일도가 우수하고 내에칭성이 우수한 하드마스크를 제조할 수 있다.
도 1은 일구현예에 따른 하드마스크를 구성하는 영차원 탄소나노구조체와 이차원 탄소나노구조체를 함유하는 복합체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도 1에서 이차원 탄소나노구조체는 예를 들어 그래핀 나노파티클(GNP)(입경 사이즈: 7-8nm)를 나타내고, 영차원 탄소나노구조체는 예를 들어 풀레렌을 나타낸다.
이를 참조하여, 복합체 (10)은 이차원 탄소나노구조체인 복수개의 GNP (11) 사이에 풀레렌 (12)가 존재하고 이들이 복합화된 구조를 갖는다. GNP (11) 및 풀레런 (12)는 이들의 커플링 반응(coupling reaction)을 거쳐 공유결합을 형성하고, 이 공유결합을 통하여 서로 연결되어 있다. 이러한 구조를 갖는 복합체는 GNP의 미세기공을 풀러렌이 보완해주어 복합체의 밀도가 약 1.6 내지 1.8 g/cm3 로 우수하고, GNP의 우수한 용해도와 풀러렌의 내에칭성이 시너지 효과를 발휘하여 이러한 복합체를 이용하여 얻어진 하드마스크는 내에칭성이 개선된다.
상기 복합체는 이차원 탄소나노구조체와 영차원 탄소나노구조체가 링커(linker)에 의하여 연결된다. 링커는 이차원 탄소나노구조체와 영차원 탄소나노구조체가 각각 갖고 있는 반응성 작용기에 의하여 파생된 것이다.
반응성 작용기(reactive functional group)는 영차원 탄소나노구조체와 이차원 탄소나노구조체의 커플링 반응이 가능하도록 하는 작용기라면 모두 다 사용가능하다. 반응성 작용기의 예로는 할로겐 원자, 하이드록시기, 알콕시기, 시아노기, 아미노기, 아지드기, 카르복사이미딘기, 히드라지노기, 히드라조노기. 카르복실기, 카바모일기, 티올기, 에스테르기, 카르복실기 또는 그 염, 술폰산기 또는 그 염, 인산기 또는 그 염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을 들 수 있다.
상기 링커는 에스테르(-C(=O)-O-), 에테르, 티오에테르, 카르보닐기, 아미드기 및 이미드기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 또는 이로부터 파생된 유기 그룹(organic group)일 수 있다.
일구현예에 따른 복합체는 반응성 작용기(reactive functional group)를 갖는 영차원 탄소나노구조체과 반응성 작용기를 갖는 이차원 탄소나노구조체의 반응 생성물이다.
일구현예에 따른 복합체의 풀러렌은 라만 분석 스펙트럼에서 구해지는 최대흡수피크가 라만 쉬프트 1455 내지 1500cm-1에서 나타난다. 이러한 피크는 5각형 핀치모드(pentagonal pinch mode)에 해당한 것이고 이 피크로부터 풀러렌이 포함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복합체는 예를 들어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복합체, 하기 화학식 2로 표시되는 복합체, 또는 화학식 3으로 표시되는 복합체를 들 수 있다.
[화학식 1]
Figure pat00001
화학식 1 중, A는 풀러렌을 나타낸 것이고, B는 풀러렌을 나타낸 것이고, 링커는 -0-C(=O)-O-를 나타낸다.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복합체는 하이드록시기가 결합된 그래핀과 카르복실기가 결합된 풀러렌의 반응 생성물이다.
[화학식 2]
Figure pat00002
화학식 2 중, R은 하기 화학식 2a로 표시되는 그룹이고,
[화학식 2a]
Figure pat00003
[화학식 3]
Figure pat00004
화학식 3 중, n은 1 내지 10, 예를 들어 1이다.
이차원 탄소나노구조체로 사용될 수 있는 그래핀 나노파티클은 2차원의 판상 구조를 갖거나 또는 구형화된 구조체일 수 있다 예를 들어 구형화된 구조체일 수 있다. 여기에서 구형화의 의미는 실질적으로 구형과 가까운 형태를 모두 포함한다. 예를 들어 구형, 타원형 등을 모두 함유한다.
상기 그래핀 나노파티클이 구형인 경우, "사이즈"는 그래핀 나노파티클의 평균입경을 나타낸다. 그래핀 나노파티클이 판상 구조를 갖는 경우, "사이즈"는 2차원 평면상의 지름을 나타내고, 그래핀 나노파티클이 타원형인 경우, "사이즈"는 장축 직경을 나타낼 수 있다. 상기 그래핀 나노파티클의 사이즈는 1 내지 10nm, 예를 들어 5 내지 10nm, 구체적으로 7 내지 8nm이다. 만약 그래핀 나노파티클의 사이즈가 상술한 범위일 때 에지 탄소의 함량이 20 원자%를 초과하게 되어 하드마스크 조성물로부터 형성된 하드마스크의 에칭속도가 너무 빨라짐이 없이 하드마스크의 식각속도는 적절하게 제어될 수 있고 하드마스크 조성물에서 그래핀 나노파티클의 분산성이 우수하다.
그래핀 나노파티클의 층수는 300층 이하, 예를 들어 100층 이하, 구체적으로 1층 내지 20층이다. 그리고 그래핀 나노파티클의 두께는 100nm 이하이다.
그래핀 나노파티클의 사이즈, 층수 및 두께가 상기 범위일 때 하드마스크 조성물의 안정성이 우수하다.
그래핀 나노파티클은 에지 사이트(edge site)에 존재하는 에지 탄소(Edge C)와 센터 사이트(center site)에 존재하는 센터 탄소(center C)를 함유한다. 에지 탄소는 sp3 결합 구조를 갖고, 센터 탄소는 sp2 결합 구조를 갖는다. 에지 탄소에는 산소, 질소 등의 관능기가 결합될 수 있어 센터 탄소에 비하여 에칭액 등에 대한 반응성이 크다.
일구현예에 따른 나노파티클에서 에지 탄소의 함량은 20 원자% 이하, 예를 들어 1.2 내지 19.1 원자%이다.
그래핀 나노파티클에서 에지 탄소 및 센터 탄소의 함량은 그래핀 나노파티클에서 탄소-탄소 결합 길이를 이용하여 계산 가능하다.
그래핀 나노파티클은 0.01 내지 40원자%의 산소를 함유할 수 있다. 산소의 함량은 예를 들어 6.5 내지 19.9 원자%이고, 구체적으로 10.33 내지 14.28 원자%이다. 산소의 함량은 예를 들어 XPS 분석을 통하여 확인 가능하다. 산소의 함량이 상기 범위일 때, 하드마스크 조성물로부터 형성된 하드마스크의 에칭 공정에서 탈기(degassing)가 일어나지 않고 내에칭성이 우수하다. 그래핀 나노파티클은 상술한 산소 함량을 갖고 있어 친수성을 갖게 되어 다른 층에 대한 결합력이 향상될 수 있고, 용매 분산성이 향상되어 하드마스크 조성물을 제조하는 것이 용이하다. 그리고 산소 원자를 포함하는 기능기의 높은 결합 해리에너지(bond dissociation energy)로 인하여 에칭 가스에 대한 내에칭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그래핀 나노파티클의 D50, D90 및 D1O은 다양한 입자 크기가 분포되어 있는 그래핀 나노파티클을 각각 부피비로 50%, 90% 및 10%까지 입자를 누적시켰을 때의 입자 크기를 나타낸다. 여기에서 입자 크기는 그래핀 나노파티클이 구형인 경우에는 평균입경을 의미하고 그래핀 나노파티클이 구형이 아닌 경우(예를 들어 타원형, 장방형)에는 사이즈는 길이가 긴 장축의 길이를 나타낼 수 있다.
일구현예에 따른 하드마스크 조성물로부터 형성된 하드마스크는 가시광선에서 산란이 일어나지 않고 파장 약 633nm 영역에서의 투과율이 1% 이하이다. 이와 같이 투과율이 개선된 하드마스크를 사용하면 하드마스크 패턴 및 피식각층 패터닝을 위한 정렬마크(align mark) 확인이 더 용이해져 미세화 및 조밀화된 패턴 사이즈를 갖는 피식각막 패터닝이 가능해진다.
상기 하드마스크안에 함유된 이차원 나노구조체인 그래핀 나노파티클은 파장 약 633nm에서 k가 0.5 이하, 예를 들어 0.3, 구체적으로 0.1 이하이다. 참고로 그래파이트의 k는 1.3 내지 1.5이고, sp2 결합 구조로만 이루어진 그래핀은 k가 1.1 내지 1.3이다.
k는 소광계수(extiction coefficient)이며, 분광 엘립소미터(elipsometer) 측정법에 의해서 측정된다. 그래핀 나노파티클의 k가 상기 범위일 때 그래핀 나노파티클을 이용하여 형성된 하드마스크를 이용하면 얼라인 마크(align mark)를 인식하는 것이 용이하다.
그래핀 나노파티클의 총두께는 예를 들어 0.34 내지 100nm이다. 이러한 두께를 갖는 그래핀 나노파티클은 안정한 구조를 갖는다. 일구현예에 따른 그래핀은 완전한 C=C/C-C 공액 구조체라기 보다는 탄소 이외의 산소 원자가 일부 혼재한다. 그리고 이차원 탄소나노구조체의 말단에는 카르복실기, 하이드록시기, 에폭시기, 카르보닐기 등이 존재할 수 있다.
그래핀 나노파티클은 용매 분산성이 우수하여 하드마스크 조성물을 제조하는 것이 용이하며 안정성이 우수하다. 그리고 에칭 가스에 대한 내에칭성이 개선된다.
상기 그래핀 나노파티클의 말단에는 하이드록시기, 에폭시기, 카르복실기, 카르보닐기, 아민기, 이미드기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작용기가 결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그래핀 나노파티클의 말단에 상술한 작용기가 결합된 경우, 상술한 작용기가 그래핀 나노파티클의 말단 이외에 중심에도 존재하는 경우에 비하여 하드마스크 조성물로부터 형성된 하드마스크의 내에칭성이 우수하다.
상기 그래핀 나노파티클의 함량은 조성물 총중량을 기준으로 하여 0.1 내지 40 중량%이다. 그래핀 나노파티클의 함량이 상기 범위일 때 안정성이 우수하고 내에칭성이 개선된다.
라만 분석 스펙트럼에서 약 1340-1350cm-1, 약 1580cm-1, 약 2700 cm-1에서 피크를 나타난다. 이 피크는 이차원 탄소나노구조체의 두께, 결정성 및 전하 도핑 상태에 대한 정보를 준다. 약 1580cm-1에서 나타나는 피크는 "G 모드"라는 피크로서 이는 탄소-탄소 결합의 스트레칭에 해당하는 진동모드에서 기인하며 "G-모드"의 에너지는 이차원 탄소나노구조체에 도핑된 잉여 전하의 밀도에 결정된다. 그리고 약 2700cm-1에서 나타나는 피크는 "2D-모드"라는 피크로서 그래핀 나노파티클의 두께를 평가할 때 유용하다. 상기 1340-1350cm-1에서 나오는 피크는 "D 모드"라는 피크로서 SP2 결정 구조에 결함이 있을 때 나타나는 피크로서, 시료의 가장자리 부근이나 시료에 결함이 많은 경우에 주로 관찰된다. 그리고 G 피크 세기에 대한 D 피크 세기비의 비(D/G 세기비)는 그래핀 나노파티클의 결정의 무질서도에 대한 정보를 준다.
그래핀 나노파티클의 라만 분광 분석에 의하여 구해지는 G 모드 피크에 대한 D 모드 피크의 세기비(ID/IG)는 2 이하이다. 예를 들어 0.001 내지 2.0이다.
상기 이차원 탄소 나노구조물의 라만 분광에 의하여 구해지는 G 모드 피크에 대한 2D 모드 피크의 세기비(I2D/IG)가 0.01 이상이다. 예를 들어 0.01 내지 1이고, 구체적으로 0.05 내지 0.5이다.
상술한 G 모드 피크에 대한 D 모드 피크의 세기비 및 G 모드 피크에 대한 2D 모드 피크의 세기비가 상기 범위일 때 그래핀 나노파티클의 결정성이 높고 결함이 작아 결합에너지가 높아짐으로써 이로부터 형성된 하드마스크의 내에칭성이 우수하다.
그래핀 나노파티클은 CuKα를 이용한 X-선 회절 실험을 수행하여 X선 분석을 실시한 결과 (002) 결정면 피크를 갖는 이차원 층상 구조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002) 결정면 피크는 20 내지 27°범위에서 나타난다.
상기 그래핀 나노파티클은 X선 회절 분석에 의하여 구해지는 층간 간격(d-spacing)은 0.3 내지 0.7nm이고, 예를 들어 0.334 내지 0.478nm이다. 상술한 범위를 만족할 때 내에칭성이 우수한 하드마스크 조성물을 얻을 수 있다.
상기 그래핀 나노파티클은 단층 또는 다층 이차원 나노결정질 탄소가 적층되어 이루어진다.
일구현예에 따른 그래핀 나노파티클은 기존의 비정질 탄소막에 대비하여 sp2 탄소의 함량이 sp3에 비해 높고 다수의 산소를 함유하고 있다. sp2 탄소 결합은 방향족 구조체로서 결합에너지가 sp3 탄소 결합의 경우에 비하여 크다.
sp3 구조는 다이아몬드와 같은 탄소의 정사면체의 3차원적 결합 구조이며, sp2 구조는 흑연의 2차원적 결합 구조로서 탄소 대 수소비(C/H ratio)가 증가하여 건식 에칭에 대한 내성을 확보할 수 있다.
상기 이차원 탄소 나노구조물의 sp2 탄소 분율이 sp3 탄소 분율에 비하여 1배 이상, 예를 들어 1.0 내지 10이고, 구체적으로 1.88 내지 3.42이다.
sp2 탄소 원자 결합 구조는 C1s XPS 분석상 30 원자% 이상, 예를 들어 39.7 내지 62.5원자%이다. 이러한 혼합비로 인하여 그래핀 나노파티클을 구성하는 탄소-탄소 결합 에너지가 커서 결합 절단(breakage)이 어렵게 된다. 따라서 이러한 그래핀 나노파티클을 함유한 하드마스크 조성물을 이용하면 에칭 공정시 내에칭성 특성이 개선된다. 그리고 인접된 층과 하드마스크간의 결착력이 우수하다.
기존 비정질 탄소를 이용하여 얻어진 하드마스크는 sp2 위주의 탄소 원자 결합 구조를 주로 포함하고 있어 내에칭성은 우수하나 투명성이 낮아 정렬(alignment)시 문제가 발생하고 증착공정시 파티클(particle)이 많이 생기는 문제가 있어 sp3 탄소 원자 결합 구조를 갖는 다이아몬드 유사 탄소(diamond-like carbon)를 이용한 하드마스크가 개발되었다. 그러나 이 하드마스크도 낮은 내에칭성으로 인하여 공정 적용에 한계성을 나타냈다.
그래파이트는 1.3~1.5의 k값을 가지고, sp2 구조로 이루어진 그래핀은 1.1~1.3의 k값을 가진다. 일구현예에 따른 그래핀 나노파티클은 특정 파장에서 내에서 k가 1.0이하, 예를 들어 0.1 내지 0.5로 투명성이 양호하다. 따라서 이러한 하드마스크를 이용하면 피식각층의 패턴 형성시 얼라인 마크를 인식하기가 용이하여 보다 정교하고 균일한 패턴을 형성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매우 우수한 내에칭성을 갖는다.
일구현예에 따른 하드마스크 조성물에서 용매는 이차원 탄소나노구조체와 영차원 탄소나노구조체를 분산시킬 수 있는 것이라면 모두 다 사용 가능하다. 예를 들어 물, 알코올계 용매 및 유기용매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을 들 수 있다.
알코올계 용매의 예로는 메탄올, 에탄올, 이소프로판올 등이 있고, 유기용매의 예로는 N,N-디메틸포름아미드, N-메틸피롤리돈, 디클로로에탄, 디클로로벤젠, N,N-디메틸술폭사이드, 크실렌, 아닐린, 프로필렌 글리콜, 프로필렌 글리콜 디아세테이트, 메톡시 프로판디올, 디에틸렌글리콜, 감마부티로락톤, 아세틸아세톤, 사이클로헥사논, 프로필렌글리콜 모노메틸에테르 아세테이트, γ-부티로락톤, 디클로로에탄, O-디클로로벤젠, 니트로메탄, 테트라하이드로퓨란, 니트로메탄, 디메틸 술폭시드, 니트로벤젠, 부틸 니트라이트(butyl nitrite), 메틸셀로솔브, 에틸셀로솔브, 디에틸 에테르, 디에틸렌글리콜메틸에테르, 디에틸렌글리콜에틸에테르, 디프로필렌글리콜메틸에테르, 톨루엔, 자이렌, 헥산, 메틸에틸케톤, 메틸이소케톤, 하이드록시메틸셀룰로오즈, 디클로로벤젠 및 헵탄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이 사용 가능하다.
상기 용매의 함량은 이차원 탄소나노구조체와 영차원 탄소나노구조체의 총중량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하여 100 내지 100,000 중량부이다. 용매의 함량이 상기 범위일 때 하드마스크 조성물의 점도가 적절하여 성막성이 우수하다.
일구현예에 따른 하드마스크 조성물은 안정성이 우수하다.
상기 하드마스크 조성물에는 방향족 고리 함유 모노머, 방향족 고리 함유 모노머를 포함하는 반복단위를 함유하는 고분자 중에서 선택된 하나의 제1물질, 육방정계 질화붕소, 칼코게나이드계 물질, 및 그 전구체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제2물질, 또는 그 혼합물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물질은 제2물질과 결합되지 않은 상태일 수 있고 또는 제1물질은 화학결합에 의하여 제2물질에 결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화학결합으로 연결된 제1물질과 제2물질은 복합체 구조를 갖는다. 상술한 작용기를 갖는 제1물질 및 제2물질은 화학반응을 통하여 제1물질과 제2물질이 화학결합을 통하여 연결될 수 있다.
상기 화학결합은 예를 들어 공유결합일 수 있다. 여기에서 공유결합은 에스테르 기)(-C(=O)O-), 에테르기(-O-), 티오에테르기(-S-), 카르보닐기(-C)=O)-) 및 아미드기(-C(=O)NH-)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상기 제1물질 및 제2물질은 하이드록시기, 카르복실기, 아미노기, -Si(R1)(R2)(R3)(R1, R2 및 R3는 서로 독립적으로 수소, 하이드록시기, C1-C30 알킬기, C1-C30 알콕시기, C6-C30 아릴기, C6-C30 아릴옥시기, 또는 할로겐 원자임), 티올기(-SH), -Cl, -C(=O)Cl, -SCH3, 글리시딜옥시기, 할로겐 원자, 이소시아네이트기, 글리시딜옥시기, 알데히드기, 에폭시기, 이미노기, 우레탄기, 에스테르기, 아미드기, 이미드기, 아크릴기, 메타크릴기, -(CH2)nCOOH(n=1 내지 10의 정수임), -CONH2, 감광성 작용기를 갖는 C1-C30의 포화 유기 그룹 및 감광성 작용기를 갖는 C1-C30 불포화 유기 그룹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을 포함 수 있다.
상기 방향족 고리 함유 모노머는 하기 화학식 4로 표시되는 모노머 및 하기 화학식 5로 표시되는 모노머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이다.
[화학식 4]
Figure pat00005
상기 화학식 4중 R은 일치환된(mono-substituted) 또는 다치환된(multi-substituted) 치환기로서 수소, 할로겐 원자, 하이드록시기, 이소시아네이트기, 글리시딜옥시기, 카르복실기, 알데히드기, 아미노기, 실록산기, 에폭시기, 이미노기, 우레탄기, 에스테르기, 에폭시기, 아미드기, 이미드기, 아크릴기, 메타크릴기, 비치환된 또는 치환된 C1-C30의 포화 유기 그룹 및 비치환된 또는 치환된 C1-C30 불포화 유기 그룹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이다.
R은 상술한 그룹 이외에 일반적인 감광성 작용기일 수 있다.
상기 C1-C30의 포화 유기 그룹 및 C1-C30 불포화 유기 그룹은 감광성 작용기를 가질 수 있다. 여기에서 감광성 작용기는 예를 들어 에폭시기, 아미드기, 이미드기, 우레탄기, 알데히드기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C1-C30의 포화 유기 그룹 및 C1-C30 불포화 유기 그룹의 예로는 치환 또는 비치환된 C1-C30 알킬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C1-C30 알콕시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C2-C30C30 알케닐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C2-C30 알키닐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C6-C30 아릴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C6-C30 아릴옥시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C2-C30 헤테로아릴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C2-C30 헤테로아릴옥시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C4-C30 탄소고리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C4-C30 탄소고리옥시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C2-C30 헤테로고리기 등이 있다.
상기 화학식 4에서 R의 결합 위치는 제한되지 않는다. 그리고 R은 편의상 한 개를 나타냈지만 치환 가능한 위치에 모두 치환될 수 있다.
[화학식 6]
A-L-A'
상기 화학식 6 중 A 및 A'은 서로 동일하거나 또는 상이하게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모노머 중에서 선택된 하나에서 파생된 일가의 유기기(monovalent organic group)이고
L은 링커(linker)로서 단일결합을 나타내거나 치환 또는 비치환된 C1-C30 알킬렌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C2-C30 알케닐렌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C2-C30 알키닐렌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C7-C30 아릴렌알킬렌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C6-C30 아릴렌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C2-C30 헤테로아릴렌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C2-C30 헤테로아릴렌알킬렌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C1-C30 알킬렌옥시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C7-C30 아릴렌알킬렌옥시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C6-C30 아릴렌옥시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C2-C30 헤테로아릴렌옥시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C2-C30 헤테로아릴렌알킬렌옥시기 -C(=O)- 및 -SO2-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다.
상기 L의 치환된 C1-C30 알킬렌기, 치환된 C2-C30 알케닐렌기, 치환된 C2-C30 알키닐렌기, 치환된 C7-C30 아릴렌알킬렌기, 치환된 C6-C30 아릴렌기, 치환된 C2-C30 헤테로아릴렌기, 치환된 C2-C30 헤테로아릴렌알킬렌기, 치환된 C1-C30 알킬렌옥시기, 치환된 C7-C30 아릴렌알킬렌옥시기, 치환된 C6-C30 아릴렌옥시기, 치환된 C2-C30 헤테로아릴렌옥시기, 치환된 C2-C30 헤테로아릴렌알킬렌옥시기는 할로겐 원자, 하이드록시기, 이소시아네이트기, 글리시딜옥시기, 카르복실기, 알데히드기, 아미노기, 실록산기, 에폭시기, 이미노기, 우레탄기, 에스테르기, 에폭시기, 아미드기, 이미드기, 아크릴기, 메타크릴기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치환기로 치환될 수 있다.
상술한 치환기 이외에 감광성 작용기로도 치환 가능하다.
제1물질은 하기 화학식 7으로 표시되는 화합물 및 화학식 8로 표시되는 화합물 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이다.
[화학식 7]
Figure pat00006
화학식 7 중, R은 상기 화학식 4에서 정의된 바와 같다.
[화학식 8]
Figure pat00007
화학식 8중, R은 상기 화학식 4에서 정의된 바와 같고, L은 상기 화학식 6에서 정의된 바와 같다.
상기 화학식에서 R의 결합 위치는 제한되지 않는다. 그리고 R은 편의상 한 개를 나타냈지만 치환 가능한 위치에 모두 치환될 수 있다.
방향족 고리 함유 모노머를 포함하는 반복단위를 함유하는 고분자의 중량평균분자량은 300 내지 30,000이다. 이러한 중량평균분자량을 갖는 고분자를 이용하면 박막 형성이 용이하고 투명한 하드마스크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제1물질은 예를 들어 하기 화학식 9로 표시되는 화합물이다.
[화학식 9]
Figure pat00008
상기 화학식 9에서, A는 치환 또는 비치환된 C6 내지 C30 아릴렌기이고,
L은 단일 결합 또는 치환 또는 비치환된 C1 내지 C6 알킬렌기이고, n은 1 내지 5이다.
상기 아릴렌기는 하기 그룹 1에 나열된 그룹 중에서 선택된 하나이다.
[그룹 1]
Figure pat00009
상기 화학식 9의 화합물은 예를 들어 화학식 9a 내지 9c로 표시될 수 있다.
[화학식 9a]
Figure pat00010
[화학식 9b]
Figure pat00011
[화학식 9c]
Figure pat00012
상기 화학식 9a, 9b 또는 9c에서,L1 내지 L4는 각각 독립적으로 단일 결합 또는 치환 또는 비치환된 C1 내지 C6 알킬렌기이다.
제1물질은 하기 화학식 9d 내지 9f로 표시되는 화합물 중에서 선택된다.
[화학식 9d] [화학식 9e]
Figure pat00013
Figure pat00014
[화학식 9f]
Figure pat00015
제1물질은 하기 화학식 10으로 표시되는 공중합체일 수 있다.
[화학식 10]
Figure pat00016
상기 화학식 10중 R1 은 C1~C4의 알킬 치환 또는 비치환된 알킬렌; R2, R3, R7 및 R8은 서로 독립적으로 수소, 하이드록시, C1~C10의 직쇄, 분지쇄 또는 사이클릭 알킬, 알콕시 또는 C6~C30의 아릴 또는 이들의 혼합물; R4, R5 및 R6는 서로 독립적으로 수소, 하이드록시, C1~C4의 알킬 에테르, 페닐디알킬렌 에테르 또는 이들의 혼합물; R9은 알킬렌, 페닐디알킬렌, 하이드록시페닐알킬렌 또는 이들의 혼합물; x,y는 A부분 내의 두 반복단위의 비율로서 0이상 1이하이며 x+y=1임; n은 1 내지 200의 정수이고 m은 1 내지 200의 정수이다.
제2물질은 하기 화학식 10a, 화학식 10b 또는 화학식 10c로 표시되는 고분자이다.
[화학식 10a]
Figure pat00017
화학식 10a식중, x는 0.2이고, y는 0.8이다.
[화학식 10b]
Figure pat00018
화학식 10b중 x는 0.2이고, y는 0.8이고, n=90, m=10이었다.
[화학식 10c]
Figure pat00019
화학식 10c 중 x는 0.2이고, y는 0.8이고, n=90, m=10이다.
상기 제1물질은 하기 화학식 11 또는 화학식 12로 표시되는 공중합체일 수 있다.
[화학식 11]
Figure pat00020
[화학식 12]
Figure pat00021
상기 화학식 11-12중, m, n은 각각 1 내지 190의 정수이고, R1 은 수소(-H), 히드록시기(-OH), C1-10의 알킬기, C6-10의 아릴기, 알릴기 및 할로겐 원자중 어느 하나이며, R2는 하기 화학식 9A로 표시되는 그룹, 페닐, 크리센, 피렌, 플루오르안트렌, 안트론, 벤조페논, 티오크산톤, 안트라센 및 이들의 유도체 중 어느 하나이고, R3는 컨쥬케이트된 다이엔(conjugated diene)이며, R4는 불포화된 다이에노필(unsaturated dienophile)이다.
[화학식 9A]
Figure pat00022
상기 식에서 R3은 1,3-뷰타다이에닐(1,3-butadienyl), 또는 1,6-시클로펜타다이에닐메틸(1,6-cyclopentadienylmethyl)이고, R4는 비닐(vinyl) 또는 시클로펜테닐메틸
(cyclopentenylmethyl)이다.
상기 공중합체는 하기 화학식 13 내지 15로 표시되는 고분자일 수 있다.
[화학식 13]
Figure pat00023
상기 화학식 13 중, m+n=21, Mw=10,000, 다분산도(polydispersity)는 2.1이다.
[화학식 14]
Figure pat00024
상기 화학식 14중, 중량평균분자량은 약 11,000이고 다분산도는 2.1이다.
[화학식 15]
Figure pat00025
상기 화학식 15 중, 중량평균분자량은 약 10000이고 다분산도는 1.9이고 l+m+n = 21, n+m:l = 2:1이었다.
[화학식 16]
Figure pat00026
상기 화학식 16중, Mw은 약 10,000, 다분산도는 약 2.0, n은 약 20이다.
상술한 그래핀 나노파티클은 SiO2, SiN와 같은 재료층을 식각하기 위해 사용되는 에칭 가스인 CxFy 가스에 대한 반응성이 매우 낮아 내 에칭성을 높일 수 있다. 그리고 SiO2 및 SiNx에 대한 반응성이 낮은 에칭가스인 SF6 혹은 XeF6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에칭성이 좋아 에싱(ashing)이 용이하다. 뿐만 아니라 상기 이차원 층상 나노 구조물은 밴드갭을 가진 재료로 투명성을 보유하고 있어 추가의 얼라인(align) 마스크 필요 없이 공정 진행이 가능한 용이성을 가지고 있다.
육방정계 질화붕소 유도체는 육방정계 질화붕소(h-BN) 또는 육방정계 탄질화붕소(h-BxCyNz)(여기서 x, y 및 z의 합은 3이다)로 육각 고리 형태에 B와 N이 규칙적으로 형성되어 있거나 육각 고리 형태를 유지한 상태에서 B와 N 원자의 일부가 탄소로 치환된 형태이다.
금속 칼코게나이드계 물질은 최소한 하나의 16족(칼코겐) 원소와 하나 이상의 양전성(electropositive element: 전기적 양성원소) 원소로 구성된 화합물로서 예를 들어 몰리브덴(Mo), 텅스텐(W), 니오븀(Nb), 바나듐(V), 탄탈륨(Ta), 티타늄(Ti), 지르코늄(Zr), 하프늄(Hf), 테크네튬(Tc), 레늄(Re), 구리(Cu), 갈륨(Ga), 인듐(In), 주석(Sn), 게르마늄(Ge), 납(Pb) 중 하나의 금속 원소와 황(S), 셀레늄(Se), 텔루륨(Te) 중 하나의 칼코겐 원소를 함유한다.
상기 칼코게나이드계 물질은 황화몰리브덴(MoS2), 셀레늄화몰리브덴(MoSe2), 텔루륨화몰리브덴(MoTe2), 황화텅스텐(WS2), 셀레늄화텅스텐(WSe2), 텔루륨화텅스텐(WTe2) 중에서 선택된 하나이다. 예를 들어 칼코게나이트계 물질은 황화몰리브덴(MoS2)이다.
금속 산화물은 예를 들어 이차원 층상 구조를 가지는 MoO3, WO3, V2O5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이다.
상술한 육방정계 질화붕소는 평면 육방정계 결정 구조에 교대로 위치한 붕소 원자와 질소 원자로 이루어진다. 육방정계 질화붕소의 층간 구조는 인접하여 있는 붕소 원자와 질소 원자가 두 원자의 극성으로 인하여 서로 중첩되는 구조 즉 AB 스택킹이다. 여기에서 육방정계 질화붕소는 나노수준의 얇은 시트가 겹겹히 쌓여 있는 층상 구조를 가질 수 있고 상기 층상 구조를 분리 또는 박리하여 단층 또는 수층의 육방정계 질화붕소 시트를 포함한다.
일구현예에 따른 육방정계 질화붕소는 라만 분광 스펙트럼에서 약 1360cm-1에서
피크를 나타난다. 이러한 피크 위치는 육방정계 질화붕소의 층의 개수에 대한 정보를 준다. 육방정계 질화붕소는 AFM, 라만 분광분석 및 TEM 분석 등을 통하여 단층 또는 다층의 육방정계 질화붕소가 나노시트 구조를 갖는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육방정계 질화붕소는 CuKα를 이용한 X-선 회절 실험을 수행하여, X선 분석을 실시한 결과 (002) 결정면 피크를 갖는 이차원 층상 구조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002) 결정면 피크는 20 내지 27°범위에서 나타난다.
상기 육방정계 질화붕소는 X선 회절 분석에 의하여 구해지는 층간 간격(d-spacing)은 0.3 내지 0.7nm이고, 예를 들어 0.334 내지 0.478nm이다. 그리고 X선 회절 분석에 의하여 구해지는 결정의 평균 입경은 1nm 이상, 예를 들어 23.7 내지 43.9Å이다. 상술한 범위를 만족할 때 내에칭성이 우수한 하드마스크 조성물을 얻을 수 있다.
상기 육방정계 질화붕소는 단층 또는 다층 이차원 질화붕소가 적층되어 이루어진다.
이하, 일구현예에 따른 하드마스크 조성물을 이용하여 하드마스크를 제조하는 방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일구현예에 따른 하드마스크 조성물은 이차원 탄소나노구조체의 유도체 및 영차원 탄소나노구조체의 유도체와, 용매를 포함할 수 있다. 또는 하드마스크 조성물은 이차원 탄소나노구조체와 영차원 탄소나노구조체를 함유하는 복합체 및 용매를 함유할 수 있다. 하드마스크 조성물이 이차원 탄소나노구조체의 유도체 및 영차원 탄소나노구조체의 유도체와, 용매를 포함하는 경우, 하드마스크 조성물을 이용한 패턴 형성과정에서 이차원 탄소나노구조체의 유도체와 영차원 탄소나노구조체를 포함한 복합체가 인시튜(in-situ)로 형성된다.
상기 하드마스크 조성물을 피식각막 상부에 코팅 및 건조하여 하드마스크를 형성한다.
이차원 탄소나노구조체의 유도체는 예를 들어 COOH-관능화된 그래핀 나노파티클(COOH-functionalized GNP) 또는 그래핀 나노파티클 전구체를 들 수 있다. 상기 영차원 탄소나노구조체의 유도체는 예를 들어 OH-관능화된 풀러렌(OH-functionalized fullerene)을 들 수 있다.
상기 하드마스크 조성물을 피식각막 상부에 코팅하는 과정 중 또는 코팅 후에 열처리를 실시할 수 있다. 이러한 열처리 단계는 피식각막의 재료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고 예를 들어 상온(20-25) 내지 1500 ℃ 범위이다.
상기 열처리는 불활성 가스 분위기 및 진공에서 실시된다.
열처리 과정의 열원으로서는 유도가열 (induction heating), 복사열, 레이져, 적외선, 마이크로웨이브, 플라즈마, 자외선, 표면 플라즈몬 가열(Surface plasmon heating)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불활성 분위기는 질소가스 및/또는 아르곤 가스 등을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열처리 단계를 거쳐 용매를 제거하고 그래핀의 c축 정령 과정이 진행될 수 있다. 이어서 용매가 제거된 결과물을 400℃ 이하, 예를 들어 100 내지 400 ℃에서 베이킹하는 과정을 거칠 수 있다. 이러한 베이킹 과정을 거친 후 800℃ 이하, 예를 들어 400 내지 800℃에서 열처리하는 단계를 더 거칠 수 있다.
상기 열처리 단계에서 열적 환원 공정이 진행될 수 있다. 이러한 열적 환원 과정을 거치면 그래핀 나노파티클의 산소 함량이 감소될 수 있다.
다른 일구현예에 의하면 상술한 베이킹 과정을 거치지 않고 열처리 단계만을 수행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술한 열처리 및 베이킹 온도가 상기 범위일 때 내에칭성이 우수한 하드마스크를 제조할 수 있다.
상기 열처리 및 베이킹하는 단계에서 승온속도는 1 내지 10℃/min이다. 이러한 승온속도 범위일 때 급격한 온도 변화로 인하여 증착된 막이 손상될 염려 없이 공정 효율이 우수하다.
상기 하드마스크의 두께가 10nm 내지 10,000nm이다.
이하, 일구현예에 따른 이차원 탄소나노구조체로 사용가능한 그래핀 나노파티클의 제조방법을 살펴 보기로 한다.
첫번째 제조방법에 의하면, 그래파이트에 층간 삽입물을 삽입(intercalation)하여 그래파이트 삽입 화합물(graphite intercalation compound: GIC)을 얻고 이로부터 그래핀 나노파티클을 얻을 수 있다.
상기 층간 삽입물은 예를 들어 타르타르산 나트륨칼륨 (Potassium sodium tartrate)을 사용한다 층간 삽입물로서 타르타르산 나트륨칼륨을 사용하면 용매열 반응에서 추가적인 계면활성제 또는 용매 없이 그래파이트에 삽입되어 그래파이트 삽입 화합물을 얻고 결과물의 입자 크기를 선별하는 과정을 거쳐 목적하는 그래핀 나노파티클을 얻을 수 있다. 타르타르산 나트륨칼륨은 층간 삽입물 및 용매의 역할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용매열 반응은 예를 들어 오토클래브에서 진행될 수 있다. 용매열 반응은 예를 들어 25 내지 400℃, 구체적으로 약 250℃에서 실시한다.
출발물질로 사용하는 그래파이트로는 천연 그래파이트(natural graphite), 키쉬 그래파이트(kish graphite), 인조 그래파이트(synthetic graphite), 팽창 그래파이트(expandable graphite 또는 expanded graphite),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사용할 수 있다.
세번째 제조방법은 관능기가 결합된 그래핀 나노파티클을 제조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관능기는 예를 들어 하이드록시기일 수 있다. 하이드록시가 결합된 그래핀 나노파티클은 용매에 대한 용해도 특성이 우수하여 그 응용범위가 넓다
일구현예에 따른 하이드록시가 결합된 그래핀 나노파티클의 제조방법은 다음과 같다.
다환 방향족 탄화수소(polycyclic aromatic hydrocarbon)을 알칼리 수용액 조건하에서 수열 융해(hydrothermal fusion) 반응을 실시하면 단결정을 갖는 그래핀 나노파티클을 얻을 수 있다.
상기 알칼리 수용액 조건하에서의 수열융해 반응은 90 내지 200℃ 범위에서 실시한다. 이러한 수열융해 반응에서 OH-와 같은 알칼리종(alkaline species)이 존재하면 수소의 제거, 축합(condensation) 또는 흑연화(graphitization) 및 에지 관능화(edge functionalization)이 일어난다.
상기 다환 방향족 탄화수소로는 피렌, 1-니트로피렌 등을 들 수 있다.
상술한 수열융해반응을 실시하기 이전에 다환 방향족 탄화수소의 니트화 반응(nitration reaction)을 실시한다. 이러한 니트로화 반응은 핫 질산(hot HNO3)을 이용하여 실시할 수 있다.
상술한 수열융해 반응시에는 NH3, NH2NH2와 같은 아민계 물질이 부가될 수 있다. 이러한 물질을 부가하면 수용성 OH- 및 아민 관능화된 그래핀 나노파티클을 얻을 수 있다.
두번째 제조방법에 따르면, 그래파이트를 산 처리하여 얻을 수 있다. 예를 들어 그래파이트에 산 및 산화제를 첨가하고 가열하여 반응시키고 이를 실온(25)으로 냉각시켜 그래핀 나노파티클 전구체함유 혼합물을 얻는다. 이 전구체 함유 혼합물에 산화제를 첨가하여 산화하는 과정을 거친 후 이를 워크업하는 과정을 거쳐 목적하는 그래핀 나노파티클을 얻을 수 있다.
상기 산으로는 예를 들어 황산, 질산, 아세트산, 인산, 불산, 과염소산,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 염산, m-클로로벤조산 및 그 혼합물을 이용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산화제는 예를 들어 과망간산칼륨, 과염소산칼륨, 과황산암모늄, 및 그 혼합물을 이용할 수 있다. 상기 산 및 산화제의 예는 상술한 바와 같다. 산화제의 함량은 예를 들어 그래파이트 100 중량부에 대하여 0.00001 내지 30중량부이다.
상술한 그래파이트에 산 및 산화제를 첨가하고 가열하는 반응은 예를 들어 마이크로파를 이용하여 실시할 수 있다. 마이크로파는 50 내지 1500W의 출력, 2.45 내지 60 GHz의 진동수를 갖는다. 상기 마이크로파를 인가하는 시간은 마이크로파의 진동수에 따라 달라지지만 예를 들어 10 내지 30분동안 마이크로파를 인가한다.
상기 워크업 과정은 산화과정을 거친 반응 결과물을 상온으로 조절한 다음, 여기에 탈이온수를 부가하여 반응 혼합물을 희석하고 여기에 염기를 부가하여 중화 반응을 실시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또한 워크업 과정은 상기 중화 반응을 실시한 결과물로부터 입자 선별 과정을 거쳐 목적하는 그래핀 나노파티클을 얻을 수 있다.
도 2a 내지 도 2e를 참조하여, 일구현예에 따른 하드마스크 조성물을 이용한 패턴의 형성방법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 2a을 참조하여, 기판(10)상에 피식각막(11)을 형성한다. 상기 피식각막(11) 상부에 일구현예에 따른 하드마스크 조성물을 공급하여 하드마스크(12)를 형성한다.
하드마스크 조성물을 공급하는 과정은 하드마스크 조성물을 스핀 코팅, 에어스프레이, 전기분무(electrospary), 딥 코팅(dip coating), 스프레이 코팅(spary coating), 닥터블래이드법, 바코팅(bar coating) 중에서 선택된 하나에 따라 실시된다.
일구현예에 의하면, 상기 하드마스크 조성물을 공급하는 단계는 스핀-온 코팅(spin-on coating) 방법으로 도포될 수 있다. 이 때 하드마스크 조성물의 도포 두께는 한정되지는 않지만 예를 들어 10 내지 10,000nm의 두께, 구체적으로 10 내지 1,000nm의 두께로 도포될 수 있다.
상기 기판으로는 특별하게 제한되지 않으며, 예를 들어 Si 기판, 글래스 기판, GaN 기판, 실리카 기판, 니켈(Ni), 코발트(Co), 철(Fe), 백금(Pt), 팔라듐(Pd), 금(Au), 알루미늄(Al), 크롬(Cr), 구리(Cu), 망간(Mn), 몰리브덴(Mo), 로듐(Rh), 이리듐(Ir), 탄탈륨(Ta), 티탄(Ti), 텅스텐(W), 우라늄(U), 바나듐(V) 및 지르코늄(Zr)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기판, 고분자 기판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하드마스크(12) 상부에 포토레지스트막(13)을 형성한다.
도 2b에 나타난 바와 같이 상기 포토레지스트막(13)을 통상의 방법으로 노광 및 현상하여 포토레지스트 패턴(13a)을 형성한다.
포토레지스트막을 노광하는 단계는 예를 들어 ArF, KrF 또는 EUV 등을 사용하여 수행할 수 있다. 그리고 노광후 약 200 내지 500℃에서 열처리 공정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현상시 테트라메틸 암모늄 하이드록사이드(TMAH) 수용액 등과 같은 현상액을 이용할 수 있다.
그 후 포토레지스트 패턴(13a)을 에칭 마스크로 하여 하드마스크(12)를 에칭하여 상기 피식각막(11) 상부에 하드마스크 패턴(12a)을 형성한다(도 3c).
상기 하드마스크 패턴의 두께는 10nm 내지 10,000nm이다. 이러한 두께 범위를 가질 때 막 균일성이 우수할 뿐만 아니라 내에칭성이 우수하다.
에칭은 예를 들어 에칭 가스를 이용한 건식 에칭법에 의하여 이루어질수 있다. 에칭 가스로는 예를 들어 CF4, CHF3, Cl2 및 BCl3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을 사용한다.
일구현예에 의하면 에칭 가스로서 C4F8 및 CHF3 혼합가스를 이용하며 이들의 혼합비는 1:10 내지 10:1 부피비이다.
상기 피식각막은 복수의 패턴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복수의 패턴은 금속 패턴, 반도체 패턴, 절연체 패턴 등과 같이 다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반도체 집적 회로 디바이스내의 다양한 패턴으로 적용될 수 있다.
상기 피식각막은 최종적으로 패턴하고자 하는 재료를 함유하며, 예를 들어 알루미늄, 구리 등과 같은 금속층, 실리콘과 같은 반도체층 또는 산화규소, 질화규소 등과 같은 절연층일 수 있다. 피식각막은 스퍼터링, 전자빔 증착, 화학기상증착, 물리기상증착 등의 다양한 방법에 따라 형성될 수 있다. 피식각막은 예를 들어 화학 기상 증착법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 2d 및 도 2e에 나타난 바와 같이, 상기 하드마스크 패턴 (12a)를 에칭 마스크로 하여 상기 피식각막 (11)을 에칭하여 원하는 미세패턴을 갖는 피식각막 패턴(11a)을 형성한다.
일구현예에 따른 하드마스크 조성물을 이용하면, 용액 공정이 가능하여 별도의 코팅설비가 필요하지 않고 산소 분위기에서 애싱오프(ashing-off)가 손쉽고 기계적 물성이 우수하다.
일구현예에 따른 하드마스크는 이차원 탄소나노구조체와 영차원 탄소나노구조체가 적층되어 이루어진 구조체이다.
일구현예에 따른 하드마스크는 에칭 마스크 또는 다른 층 사이에 삽입되어 스탑퍼(stopper)로서 반도체 소자의 제조에 이용 가능하다.
이하, 도 3a 내지 도 3d를 참조하여, 다른 일구현예에 따른 하드마스크 조성물을 이용한 패턴의 형성방법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 3a를 참조하여, 기판 (20)상에 피식각막 (21)을 형성한다. 상기 기판 (20)으로는 실리콘 기판을 이용한다.
상기 피식각막(21)은 예를 들면 실리콘 산화막, 실리콘 질화막, 실리콘 산화질화막, 규화실리콘(SiC)막 또는 이들의 유도체막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그 후 상기 피식각막 (21) 상부에 하드마스크 조성물을 공급하여 하드마스크 (22)를 형성한다.
상기 하드마스크 (22) 상부에 반사방지막(30)을 형성한다. 여기에서 반사방지막(30)은 무기 반사 방지막, 유기 반사 방지막 또는 이들의 조합에 의하여 형성될 수 있다. 도 2a 내지도 2c에서 반사방지막(30)이 무기 반사 방지막 (32) 및 유기 반사 방지막 (34)으로 구성된 경우를 예시한다.
무기 반사 방지막(32)은 예를 들어 SiON막 등이 있고 유기 반사 방지막 (34)으로는 노광 파장에 대하여 포토레지스트와 적합한 굴절율 및 고흡수 계수를 가지는 통상의 시판용 고분자막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반사방지막의 두께는 예를 들어 100 내지 500nm이다.
상기 반사방지막 (30) 상부에 포토레지스트막 (23)을 형성한다.
상기 포토레지스트막 (23)을 통상의 방법으로 노광 및 현상하여 포토레지스트 패턴(23a)을 형성한다. 그 후 포토레지스트 패턴 (23a)을 에칭 마스크로 하여 반사방지막(30) 및 하드마스크 (22)를 차례로 에칭하여 상기 피식각막 (21) 상부에 하드마스크 패턴 (22a)을 형성한다. 상기 하드마스크 패턴 (22a)은 무기 반사방지막 패턴 (32a) 및 유기 반사방지막 패턴 (34a)으로 구성된다.
도 3b에는 상기 하드마스크 패턴 (22a)이 형성된 후 그 상부에 포토레지스트 패턴 (23a) 및 반사방지막 패턴 (30a)이 남아 있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경우에 따라 상기 하드마스크 패턴 형성을 위한 에칭 공정시 상기 포토레지스트 패턴 (23a) 및 반사방지막 패턴 (30a)의 일부 또는 전부가 제거될 수도 있다.
도 3c에는 포토레지스트 패턴 (23a)만이 제거된 상태를 나타낸다.
상기 하드마스크 패턴 (22a)를 에칭 마스크로 하여 상기 피식각막을 에칭하여 원하는 피식각막 패턴 (21a)을 형성한다 (도 2d).
상술한 바와 같이 피식각막 패턴(21)을 형성한 후에는 하드마스크 패턴(22a)는 제거된다. 일구현예에 따른 하드마스크 패턴은 통상적인 제거과정을 통하여 제거되는 것이 용이할 뿐만 아니라 제거후 잔류물이 거의 없다.
하드마스크 패턴 제거과정은 비제한적인 예로서 O2 애싱(ashing) 및 웨트 스트립 (wet strip) 공정을 이용할 수 있다. 웨트 스트립은 예를 들어 알코올, 아세톤, 질산과 황산의 혼합물 등을 이용하여 실시될 수 있다.
상기 과정에 따라 형성된 하드마스크의 그래핀 나노파티클은 sp2 탄소 구조의 함량이 sp3 탄소 구조의 함량에 비하여 높아 건식 에칭에 대한 충분한 내성을 확보할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하드마스크는 투명도가 우수하여 패터닝을 위한 얼라인 마크 확인이 용이하다.
일구현예에 따른 하드마스크 조성물을 이용하여 형성된 패턴은 반도체 소자 제조공정에 따라 집적 회로 디바이스의 제조 및 설계에 이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금속 배선, 컨택트 또는 바이어스를 위한 홀, 절연섹션(예: DT(Damascne Trench) 또는 STI(shallow trench isolation), 커패시터 구조물을 위한 트랜치 등과 같은 패턴화된 재료층 구조물 형성시 이용 가능하다.
이하에서는 구체적인 실시예들을 제시한다. 다만, 하기에 기재된 실시예들은 구체적으로 예시하거나 설명하기 위한 것에 불과하며, 이로써 제한되는 것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제조예 1: 그래핀 나노파티클(GNP)의 제조
그래파이트(Aldrich사) 20mg과 타르타르산 나트륨칼륨(Potassium sodium tartrate) 100mg을 오토클래브 용기(autoclave vessel)에 넣고 이를 250℃에서 60분동안 반응을 실시하였다.
상기 반응이 완결되면, 필터(8,000 및 10,000NMWL, Amicon Ultra-15)를 이용하여 원심분리를 실시하여 사이즈를 선별하고 이를 투석(dialysis)에 의하여 잔여물을 제거하고 이를 건조하여 평균입경이 약 10nm의 구형 그래핀 나노파티클을 얻었다.
제조예 2: 그래핀 나노파티클(GNP)의 제조
그래파이트(Alfa Aesar사) 20mg를 진한 황산(100ml)에 용해한 다음 이를 1시간동안 소니케이션을 실시하였다. 상기 결과물에 KMnO4 1g을 부가하고 나서 반응 혼합물의 온도가 약 25℃ 이하가 되도록 조절하였다.
상기 결과물을 상압에서 마이크로파(power: 600W)를 가하여 10분 동안 환류를 실시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냉각하여 반응 혼합의 온도를 약 25℃로 조절한 다음 반응 혼합물에 탈이온수 700ml를 부가하여 반응 혼합물을 희석하고 반응 혼합물을 얼음배쓰에 넣은 상태에서 수산화나트륨을 부가하여 반응 혼합물의 pH를 약 7로 조절하였다.
상기 반응 결과물을 기공 직경이 약 200nm인 다공성 멤브레인을 이용하여 여과를 실시하여 큰 사이즈를 갖는 그래핀을 분리하여 제거해냈다. 얻어진 여액을 투석을 이용하여 잔여물을 제거하고 이를 건조하여 평균입경 약 5nm의 구형 그래핀 나노파티클을 얻었다.
제조예 3: OH기가 결합된 그래핀 나노파티클의 제조
피렌 2g, 질산 160ml를 부가하고 이를 80℃에서 약 12시간 동안 환류하여 1,3,6-트리니트로피렌을 함유하는 반응 혼합물을 얻었다. 이 반응 혼합물을 상온으로 냉각한 다음, 여기에 탈이온수와 물을 1l를 부가하여 희석한 다음 이를 0.22㎛의 기공 사이즈를 갖는 미세다공성막으로 여과를 실시하였다.
여과를 통하여 얻어진 1,3,6-트리니트로피렌 1.0g을 0.2M NaOH 수용액 0.6l에 분산한 다음 여기에서 초음파(500W, 40kHz)를 2시간 동안 가하였다. 얻어진 현탁액을 오토클래브에서 200에서 10시간동안 반응을 실시하였다. 상기 결과물을 상온으로 냉각한 다음, 얻어진 결과물을 0.22㎛의 기공 사이즈를 갖는 미세다공성막으로 여과를 실시하여 불용성 탄소 생성물을 제거하였다. 여과를 통하여 얻어진 결과물을 2시간 동안 투석을 이용하여 OH기가 결합된 평균입경이 약 15nm인 그래핀 나노파티클을 얻었다.
상기 제조예 1 및 제조예 3에 따라 제조된 그래핀 나노파티클은 에지에 산소 함유 작용기가 형성된 구조를 갖는다 그리고 제조예 2에 따라 제조된 그래핀 나노파티클은 제조과정 중 마이크로파를 이용하여 그래핀의 에지 및 플레인(plane)에도 산소 함유 작용기가 형성된 구조를 갖는다.
제조예 4: COOH - 관능화된 ( functionalized ) GNP의 제조
제조예 3에 따라 얻은 OH기가 결합된 그래핀 나노파티클에 클로로아세트산을 부가하고 이를 80℃에서 60분 동안 열처리하였다. 열처리를 거쳐 커플링 반응(coupling 반응)을 실시하여 COOH-관능화된 GNP를 얻었다.
제조예 5: OH- 관능화된 풀러렌(OH-functionalized 풀러렌) (C60)의 제조
풀러렌(C60) 0.1g을 모르타르에서 그라인딩하고 여기에서 수산화나트륨 1g 과 과산화수소(H2O2) 1g 를 부가하여 혼합물을 얻었다. 이 혼합물을 10분 동안 그라인딩하여 OH-관능화된 풀러렌(C60)을 얻었다.
실시예 1: 하드마스크 조성물의 제조
제조예 5에 따라 얻은 OH-관능화된(functionalized) 풀러렌(C60)(입자 사이즈: 0.7nm)과 제조예 4에 따라 얻은 COOH-관능화된 GNP(입자 사이즈: 약 7-8nm)를 혼합하고, 여기에 용매 디클로로벤젠을 첨가하여 이를 약 80℃에서 열처리를 실시하여 OH-관능화된 풀러렌(C60)과 제조예 4에 따라 얻은 COOH-관능화된 GNP를 함유한 복합체를 포함하는 하드마스크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하드마스크 조성물에서 제조예 5에 따라 얻은 OH-관능화된 풀러렌(C60)과 제조예 4에 따라 얻은 COOH-관능화된 GNP의 혼합중량비는 2:8이었다. 그리고 디클로로벤젠의 함량은 제조예 5에 따라 얻은 OH-관능화된 풀러렌(C60) 1g을 기준으로 하여 10ml이었다.
실시예 2: 하드마스크 조성물의 제조
제조예 5에 따라 얻은 OH-관능화된 풀러렌(C60)과 GNP 전구체인 피렌을 혼합하고 여기에 물 및 수산화나트륨(NaOH)를 첨가하여 혼합물을 얻었다. 이 혼합물을 약 250℃에서 5시간 동안 열처리하여 수열 반응(hydrothermal)을 실시하여 하드마스크 조성물을 얻었다. 하드마스크 조성물에서 제조예 5에 따라 얻은 OH-관능화된 풀러렌(C60)과 제조예 4에 따라 얻은 COOH-관능화된 GNP의 혼합중량비는 2:8이었다. 하드마스크 조성물에서 물의 함량은 제조예 5에 따라 얻은 OH-관능화된 풀러렌(C60) 1g을 기준으로 하여 600ml이고, 수산화나트륨의 함량은 제조예 5에 따라 얻은 OH-관능화된 풀러렌(C60) 1g을 기준으로 하여 12g이었다. 중량부이었다.
실시예 3: 실리콘 산화물 패턴이 형성된 실리콘 기판의 제조
실시예 1에 따라 얻은 하드마스크 조성물을 실리콘 산화물이 형성된 실리콘 기판상에 스핀 코팅하였다. 이어서 400에서 2분 동안 베이킹을 실시하여, 두께가 약 200nm인 풀러렌과 그래핀 나노파티클을 함유하는 복합체를 포함하는 하드마스크를 형성하였다. 풀러렌과 그래핀 나노파티클을 함유하는 복합체에서 풀러렌과 그래핀 나노파티클의 혼합중량비는 2:8이었다.
상기 하드마스크 상부에 ArF 포토레지스트(photo resist, PR)을 1700 Å 코팅하고 110 에서 60 초간 프리베이크(pre-bake)를 실시하였다. ASML (XT: 1400, NA 0.93)사의 노광장비를 사용해 각각 노광을 실시한 다음 110 에서 60 초간 포스트베이크(post-bake)하였다. 이어서 테트라메틸 암모늄 하이드록사이드(TMAH) 2.38wt% 수용액으로 각각 현상하여 포토레지스트 패턴을 형성하였다.
상기 포토레지스트 패턴을 마스크로 하여 CF4/CHF3 혼합가스로 건식에칭을 수행하였다. 에칭조건은 챔버압력 20mT, RF power 1800W, C4F8/CHF3 (4/10 부피비), 시간 120초이다.
건식 에칭을 실시하고 남은 후 하드마스크 및 유기물에 대해 O2 애싱(ashing) 및 웨트 스트립 공정을 진행하여 원하는 최종 패턴인 실리콘 산화물 패턴이 형성된 실리콘 기판을 얻었다.
실시예 4: 실리콘 산화물 패턴이 형성된 실리콘 기판의 제조
실시예 1에 따라 얻은 하드마스크 조성물 대신 실시예 2에 따라 얻은 하드마스크 조성물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3과 동일한 방법에 따라 실시하여 실리콘 산화물 패턴이 형성된 실리콘 기판을 얻었다.
실시예 5-6: 하드마스크 조성물의 제조
하드마스크 조성물에서 제조예 5에 따라 얻은 OH-관능화된 풀러렌(C60)과 제조예 4에 따라 얻은 COOH-관능화된 GNP의 혼합중량비는 1:3 및 1:2가 되도록 조절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2와 동일한 방법에 따라 실시하여 하드마스크 조성물을 얻었다.
실시예 7-8: 실리콘 산화물 패턴이 형성된 실리콘 기판의 제조
실시예 1에 따라 얻은 하드마스크 조성물 대신 실시예 5=6에 따라 얻은 하드마스크 조성물을 걱걱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4와 동일한 방법에 따라 실시하여 실리콘 산화물 패턴이 형성된 실리콘 기판을 얻었다.
비교예 1
황산 (H2SO4) 50㎖에 그래파이트 분말(graphite powder) 10g를 넣고 80에서
4~5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교반된 혼합물을 탈이온수(Deionized water) 1l로 희석시키고 12시간 정도 교반을 실시하였다. 이어서 상기 결과물을 여과하여 전처리된 그래파이트를 얻었다.
오산화인(P2O5)을 물 80㎖에 녹이고 황산 480㎖를 부가하고 나서 여기에 상술한 전처리된 그래파이트 4g을 첨가한 후 과망간산칼륨(KMnO4) 24g을 부가하였다. 상기 혼합물을 교반한 후 1시간 동안 소니케이션(sonication)을 실시하고 물 (H2O) 600㎖를 부가하였다. 얻어진 반응 혼합물에 과산화수소(H2O2) 15㎖를 부가하면 반응 혼합물의 색이 보라색에서 연한 노란색 계통으로 변하며, 이 혼합물을 교반하면서 소니케이션을 실시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여과하여 산화되지 않고 남아있는 그래파이트를 제거하였다. 여과를 통하여 얻어진 여액으로부터 망간(Mn)을 제거하기 위하여 여액에 염산 (HCl) 200㎖, 에탄올 (Ethanol) 200㎖, 물 200㎖를 부가하여 교반을 실시하였다. 교반을 실시한 혼합물을 원심 분리하여 이차원 탄소나노구조체 전구체를 얻었다.
상기 과정에 따라 얻은 이차원 탄소나노구조체 전구체 0.5g을 물 1L에 분산하여 하드마스크 조성물을 얻었다. 상기 하드마스크 조성물을 실리콘 산화물이 형성된 실리콘 기판상에 스프레이 코팅을 하면서 200℃에서 열처리를 실시하였다. 이어서 400℃에서 1시간 동안 베이킹을 실시한 후, 600℃에서 1시간동안 진공 열처리함으로써 두께가 약 200nm인 그래핀 나노파티클을 함유하는 하드마스크를 형성하였다.
비교예 2
풀러렌 및 용매인 디클로로벤젠을 혼합하여 하드마스크 조성물을 얻었다. 하드마스크 조성물에서 디클로로벤젠의 함량은 풀러렌 1g일 때 10ml이었다.
이 경우, 풀러렌의 용매에 대한 용해도가 불량하여 균일한 하드마스크 조성물을 얻기가 곤란하였다. 실시예 1의 하드마스크 조성물 대신 상술한 하드마스크 조성물을 이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비교예 1과 동일하게 실시하여 풀러렌을 함유한 하드마스크를 형성하고자 하였다.
비교예 2에 따라 실시하는 경우 풀러렌의 용매에 대한 용해도가 작아 막 상태의 하드마스크를 형성하기가 용이하지 않았다.
비교예 3
풀러렌(C60), GNP(사이즈: 7-8nm) 및 용매를 혼합하여 하드마스크 조성물을 얻었다. 여기에서 풀러렌과 GNP의 혼합 중량비는 2:8이었다.
비교예 1의 하드마스크 조성물 대신 상술한 하드마스크 조성물을 이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비교예 1과 동일하게 실시하여 하드마스크를 제조하였다.
평가예 1: 내에칭성
상기 실시예 3-4 및 비교예 1-3에 따라 제조된 하드마스크를 이용하여 건식에칭을 실시하기 전, 후의 하드마스크 및 실리콘 산화물막의 두께 차이를 측정하고 하기식 1 및 2에 따라 에칭률 및 에칭 선택비를 계산하여 내에칭성을 평가하였다. 내에칭성 평가 결과를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식 1]
에칭률(etch rate)=(초기 박막 두께 - 식각 후 박막 두께)/식각 시간(초)
[식 2]
에칭선택비=(실리콘 산화물의 에칭을 실시하기 이전의 두께- 실리콘 산화물의 에칭을 실시한 후의 두께)/(하드마스크의 에칭을 실시하기 이전의 두께-하드마스크의 에칭을 실시한 후의 두께)X100
구분 에칭률(nm/초) 에칭선택비(etching selection ratios)
실시예 3 0.8 2.5
실시예 4 0.8 2.5
비교예 1 1.0 2
비교예 2 X -
비교예 3 1.0 2
표 1을 참조하여, 실시예 3-4에 따르면, 비교예 1-2의 경우에 비하여 에칭률이 낮고 에칭 선택비가 증가한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로부터 실시예 3-4에서 사용된 하드마스크 조성물은 비교예 1 및 2의 경우와 비교하여 내에칭성이 향상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평가예 2: 밀도
실시예 3-4 및 비교예 1, 3에 따라 얻은 하드마스크의 막 밀도를 조사하여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구분 막 밀도(g/cm3)
실시예 3 1.8
실시예 4 1.8
비교예 1 1.4
비교예 3 1.4
평가예 3: 투과전자현미경 분석
제조예 5에 따라 제조된 OH-관능화된 풀러렌(C60)과 제조예 4에 따라 얻은 COOH-관능화된 GNP를 함유한 실시예 1의 복합체 및 비교예 1에 따라 제조된 GNP에 대하여 투과전자현미경 분석을 실시하였다. 투과전자현미경 분석은 Tecnai사의 Osiris을 이용하여 실시하였다.
도 4a 및 도 4b는 각각 실시예 1의 복합체 및 비교예 1의 GNP에 대한 Fourier transform (FFT) TEM 이미지를 나타낸 것이다.
이를 참조하여, 비교예 1의 GNP는 결정성 고리 패턴이 보이지 않는 반면, 복합체는 결정성 고리 패턴이 관찰되었다.
평가예 4: 라만 스펙트럼 분석
제조예 5에 따라 얻은 OH-관능화된 풀러렌(C60)에 대하여 라만 분광 분석을 실시하였다. 라만 분광 분석은 Renishaw사의 RM-1000 Invia 기기(514nm, Ar+ion laser)를 이용하였다. 라만 분광 분석 결과를 도 5에 나타내었다.
도5를 참조하여, 제조예 5에 따라 얻은 OH-관능화된 풀러렌(C60)은 라만 쉬프트 약 1459cm-1에서 최대흡수피크가 나타났다. 약 1459cm-1에서 나타나는 최대흡수피크는 5각형 핀치 모드(pentagonal pinch mode)와 관련된 것이고, 이러한 최대흡수피크 특성을 만족하는 풀러렌을 이용한 복합체를 함유한 하드마스크는 내에칭성 특성이 우수하다.
평가예 5:투과율
실시예 3-4 및 비교예 1-2에 따라 제조된 하드마스크의 약 633nm의 노광 파장에서 투과율을 측정하였다.
측정 결과, 실시예 1 내지 6에 따라 얻어진 하드마스크 패턴은 비교예 1 내지 3 및 참고예 1에 따라 얻은 하드마스크 패턴과 비교하여 투과율이 약 1% 이하로서개선됨을 알 수 있었다. 이와 같이 투과율이 개선된 하드마스크를 사용하면 하드마스크 패턴 및 피식각층 패터닝을 위한 정렬마크(align mark) 확인이 더 용이해져 미세화 및 조밀화된 패턴 사이즈를 갖는 피식각막 패터닝이 가능해진다.
평가예 6: 패턴 모양 분석
실시예 3-4, 7-8 및 비교예 1-3에 따라 제조된 하드마스크를 이용하여 에칭을 실시한 후 실리콘 산화물 패턴이 형성된 실리콘 기판에 대한 단면을 FE-SEM(Field Emission Scanning Electron Microscope)으로 관찰하였고 그 결과를 하기 표 3에 나타내었다.
구분 하드마스크 에칭후 패턴 모양 실리콘 산화물 에칭후 패턴 모양
실시예 3 수직 수직
실시예 4 수직 수직
실시예 7 수직 수직
실시예 8 수직 수직
비교예 1 테이퍼진 모양
비교예 2 테이퍼진 모양
비교예 3 테이퍼진 모양
표 3에 나타난 바와 같이, 실시예 3,4,7,8에 따른 하드마스크를 이용하여 형성된 실리콘 산화물 패턴 모양은 비교예 1-3의 경우와 달리 수직 모양임을 알 수 있었다.
이상을 통해 일구현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와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한 도면의 범위 안에서 여러 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 또한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은 당연하다.
10, 20: 기판 11a, 21a: 피식각막 패턴
12a, 22a: 하드마스크 패턴 13a: 포토레지스트 패턴

Claims (28)

  1. i)이차원 탄소나노구조체의 유도체, 영차원 탄소나노구조체의 유도체 및 용매를 포함하거나 또는
    ii) 이차원 탄소나노구조체와 영차원 탄소나노구조체를 함유하는 복합체; 및 용매를 포함하는 하드마스크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합체가 이차원 탄소나노구조체와 영차원 탄소나노구조체가 링커(linker)에 의하여 연결된 구조체; 또는
    이차원 탄소나노구조체와 영차원 탄소나노구조체의 적층체;인 하드마스크 조성물.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링커가 에스테르(-C(=O)-O-), 에테르, 티오에테르, 카르보닐기, 아미드기, 이미드기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 또는 이로부터 파생된 유기 그룹(organic group)인 하드마스크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합체는 반응성 작용기(reactive functional group)를 갖는 영차원 탄소나노구조체과 반응성 작용기를 갖는 이차원 탄소나노구조체의 반응 생성물이며,
    상기 반응성 작용기는 할로겐 원자, 하이드록시기, 알콕시기, 시아노기, 아미노기, 아지드기, 카르복사이미딘기, 히드라지노기, 히드라조노기. 카르복실기, 카바모일기, 티올기, 에스테르기, 카르복실기 또는 그 염, 술폰산기 또는 그 염, 및 인산기 또는 그 염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인 하드마스크 조성물.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영차원 탄소나노구조체가 풀러렌, 보론커비볼(boron buckyball), 카보레인(carborane) 및 그 유도체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인 하드마스크 조성물.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차원 탄소나노구조체는 그래핀, 그래핀 양자점(graphene quantum dots), 환원 그래핀 옥사이드, 및 그 헤테로원자 유도체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인 하드마스크 조성물.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차원 탄소나노구조체는 1 내지 10nm 사이즈를 갖는 하드마스크 조성물.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차원 탄소나노구조체는 탄소 함량이 75 내지 95 중량%인 하드마스크 조성물.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차원 탄소나노구조체는 1 내지 10nm의 사이즈를 갖고, 300층 이하인 그래핀 나노파티클인 하드마스크 조성물.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영차원 탄소나노구조체가 탄소원자수가 60, 70, 76, 78, 82, 82 또는 84인 풀러렌 또는 풀러렌 유도체인 하드마스크 조성물.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차원 탄소나노구조체는 이차원 쉬트(sheet) 형태를 가지며, 사이즈/두께 비(ratio)가 3 내지 30인 하드마스크 조성물.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차원 탄소나노구조체가 그래핀 나노파티클이고, 상기 그래핀 나노파티클의 라만 분광 분석에 의하여 구해지는 G 모드 피크에 대한 D 모드 피크의 세기비가 2 이하이고, G 모드 피크에 대한 2D 모드 피크의 세기비가 0.01 이상인 하드마스크 조성물.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그래핀 나노파티클의 sp2 탄소 분율이 sp3 탄소 분율에 비하여 1배 이상인 하드마스크 조성물.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차원 탄소나노구조체와 영차원 탄소나노구조체의 혼합 중량비는 1:1 내지 99:1인 하드마스크 조성물.
  15.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풀러렌에 대한 라만 분석 스펙트럼에서 구해지는 최대흡수피크가 라만 쉬프트 1455 내지 1500cm-1에서 나타나는 하드마스크 조성물.
  1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합체가 하이드록시기가 결합된 그래핀과 카르복실기가 결합된 풀러렌의 반응 생성물, 하기 화학식 2로 표시되는 화합물, 또는 하기 화학식 3으로 표시되는 화합물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인 하드마스크 조성물.
    [화학식 2]
    Figure pat00027

    화학식 2 중, R은 하기 화학식 2a로 표시되는 그룹이고,
    [화학식 2a]
    Figure pat00028

    [화학식 3]
    Figure pat00029

    화학식 3 중, n은 1 내지 10의 정수이다.
  1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용매가 물, 메탄올, 이소프로판올, 에탄올 N,N-디메틸포름아미드, N-메틸피롤리돈, 디클로로에탄, 디클로로벤젠, N,N-디메틸술폭사이드, 크실렌, 아닐린, 프로필렌 글리콜, 프로필렌 글리콜 디아세테이트, 메톡시 프로판디올, 디에틸렌글리콜, 감마부티로락톤, 아세틸아세톤, 사이클로헥사논, 프로필렌글리콜 모노메틸에테르 아세테이트, γ-부티로락톤, 디클로로에탄, O-디클로로벤젠, 니트로메탄, 테트라하이드로퓨란, 니트로메탄, 디메틸 술폭시드, 니트로벤젠, 부틸 니트라이트(butyl nitrite), 메틸셀로솔브, 에틸셀로솔브, 디에틸 에테르, 디에틸렌글리콜메틸에테르, 디에틸렌글리콜에틸에테르, 디프로필렌글리콜메틸에테르, 톨루엔, 자이렌, 헥산, 메틸에틸케톤, 메틸이소케톤, 하이드록시메틸셀룰로오즈, 디클로로벤젠 및 헵탄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인 하드마스크 조성물.
  18. 제1항에 있어서,
    방향족 고리 함유 모노머, 방향족 고리 함유 모노머를 포함하는
    반복단위를 함유하는 고분자 중에서 선택된 하나의 제1물질;
    육방정계 질화붕소, 칼코게나이드계 물질, 및 그 전구체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제2물질; 또는 그 혼합물;을 더 포함하는 하드마스크 조성물.
  19. 기판상에 피식각막을 형성하는 제1단계;
    상기 피식각막 상부에 제1항 내지 제18항 중 어느 한 항의 하드마스크 조성물을 공급하여 영차원 탄소나노구조체와 이차원 탄소나노구조체를 함유하는 복합체를 함유하는 하드마스크를 형성하는 제2단계;
    상기 하드마스크 상부에 포토레지스트막을 형성하는 제3단계;
    상기 포토레지스트막을 에칭 마스크로 하여 상기 복합체을 에칭하여 상기 피식각막 상부에 영차원 탄소나노구조체와 이차원 탄소나노구조체를 함유하는 복합체를 포함하는 하드마스크 패턴을 형성하는 제4단계; 및
    상기 하드마스크 패턴을 에칭 마스크로 하여 상기 피식각막을 에칭하는 제5단계를 포함하는 패턴의 형성방법.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하드마스크 조성물을 피식각막 상부에 코팅하는 과정 중 또는 코팅 후에 열처리를 실시하는 패턴의 형성방법.
  21.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하드마스크의 두께가 10nm 내지 10,000nm인 패턴의 형성방법.
  22.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제2단계가 하드마스크 조성물을 스핀 코팅(Spin coating), 에어스프레이, 전기분무(electrospary), 딥 코팅(dip coating), 스프레이 코팅(spary coating), 닥터블래이드법, 바코팅(bar coating) 중에서 선택된 하나에 따라 실시되는 패턴의 형성방법.
  23.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제2단계에서 공급된 하드마스크 조성물이 이차원 탄소나노구조체의 유도체 및 영차원 탄소나노구조체의 유도체 및 용매를 혼합하여 제조되는 패턴의 형성방법.
  24.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이차원 탄소나노구조체의 유도체가 COOH-관능화된 그래핀 나노파티클(COOH-functionalized GNP) 또는 그래핀 나노파티클 전구체이며,
    상기 영차원 탄소나노구조체의 유도체가 OH-관능화된 풀러렌(OH-functionalized fullerene)인 패턴의 형성방법.
  25.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제2단계에서 공급된 하드마스크 조성물이 이차원 탄소나노구조체와 영차원 탄소나노구조체를 함유하는 복합체 및 용매를 혼합하여 제조되거나 또는 이차원 탄소나노구조체의 유도체, 영차원 탄소나노구조체의 유도체 및 용매를 혼합하여 제조되는 패턴의 형성방법.
  26.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하드마스크 패턴은 이차원 탄소나노구조체와 영차원 탄소나노구조체의 적층 구조체를 포함하는 패턴의 제조방법.
  27. 이차원 탄소나노구조체와 영차원 탄소나노구조체를 함유하는 복합체를 포함하는 하드마스크.
  28. 제27항에 있어서,
    상기 복합체는 이차원 탄소나노구조체와 영차원 탄소나노구조체의 적층 구조체를 포함하는 하드마스크.
KR1020160180136A 2016-12-27 2016-12-27 하드마스크 조성물, 이를 이용한 패턴의 형성방법 및 상기 하드마스크 조성물을 이용하여 형성된 하드마스크 KR20180076053A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80136A KR20180076053A (ko) 2016-12-27 2016-12-27 하드마스크 조성물, 이를 이용한 패턴의 형성방법 및 상기 하드마스크 조성물을 이용하여 형성된 하드마스크
US15/805,848 US10424490B2 (en) 2016-12-27 2017-11-07 Hardmask composition, method of forming pattern using the hardmask composition, and hardmask formed from the hardmask composition
EP17200667.8A EP3343592B1 (en) 2016-12-27 2017-11-08 Hardmask composition, method of forming pattern using the hardmask composition, and hardmask formed from the hardmask composition
CN201711135559.5A CN108241262B (zh) 2016-12-27 2017-11-16 硬掩模组合物、使用硬掩模组合物形成图案的方法、和由硬掩模组合物形成的硬掩模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80136A KR20180076053A (ko) 2016-12-27 2016-12-27 하드마스크 조성물, 이를 이용한 패턴의 형성방법 및 상기 하드마스크 조성물을 이용하여 형성된 하드마스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76053A true KR20180076053A (ko) 2018-07-05

Family

ID=605743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80136A KR20180076053A (ko) 2016-12-27 2016-12-27 하드마스크 조성물, 이를 이용한 패턴의 형성방법 및 상기 하드마스크 조성물을 이용하여 형성된 하드마스크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10424490B2 (ko)
EP (1) EP3343592B1 (ko)
KR (1) KR20180076053A (ko)
CN (1) CN108241262B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19498A (ko) * 2018-04-12 2019-10-22 한국과학기술원 그래핀계 화합물, 이의 제조방법, 그래핀계 화합물 제조용 단일상 조성물 및 그래핀 양자점
KR20200103603A (ko) * 2018-09-06 2020-09-02 한국과학기술원 그래핀계 화합물, 이의 제조방법, 그래핀계 화합물 제조용 단일상 조성물 및 그래핀 양자점
KR102475067B1 (ko) * 2021-07-01 2022-12-08 숙명여자대학교 산학협력단 하드마스크용 조성물의 제조방법, 이에 의해 제조된 하드마스크용 조성물 및 하드마스크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85119A (ko) * 2017-01-17 2018-07-26 삼성전자주식회사 기판 가공 방법 및 그를 이용한 반도체 소자의 제조 방법
KR102456578B1 (ko) * 2017-07-14 2022-10-20 삼성전자주식회사 하드마스크 조성물과 그 제조방법 및 하드마스크 조성물을 이용한 패턴층의 형성방법
KR102587063B1 (ko) * 2018-07-03 2023-10-10 삼성전자주식회사 그래핀을 포함하는 음향 진동판 및 이를 적용한 음향 장치
KR102397179B1 (ko) * 2018-12-21 2022-05-11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하드마스크 조성물, 하드마스크 층 및 패턴 형성 방법
WO2021100586A1 (ja) * 2019-11-22 2021-05-27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下層膜形成用組成物、レジストパターン形成方法、電子デバイスの製造方法
KR102455023B1 (ko) * 2019-12-16 2022-10-13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화합물, 화합물의 합성 방법, 하드마스크 조성물 및 패턴 형성 방법
US11932539B2 (en) 2020-04-01 2024-03-19 Graphul Industries LLC Columnar-carbon and graphene-plate lattice composite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201128301A (en) * 2009-08-21 2011-08-16 Nano Terra Inc Methods for patterning substrates using heterogeneous stamps and stencils and methods of making the stamps and stencils
JP5068831B2 (ja) 2010-02-05 2012-11-07 信越化学工業株式会社 レジスト下層膜材料、レジスト下層膜形成方法、パターン形成方法
JP5757286B2 (ja) 2010-03-01 2015-07-29 日産化学工業株式会社 フラーレン誘導体を含むレジスト下層膜形成組成物
JP6284887B2 (ja) * 2012-02-10 2018-02-28 ザ ユニバーシティ オブ バーミンガム スピンオンハードマスク材料
KR102287813B1 (ko) 2014-05-30 2021-08-10 삼성전자주식회사 하드마스크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패턴의 형성방법
US9583358B2 (en) 2014-05-30 2017-02-28 Samsung Electronics Co., Ltd. Hardmask composition and method of forming pattern by using the hardmask composition
KR102287343B1 (ko) 2014-07-04 2021-08-06 삼성전자주식회사 하드마스크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패턴의 형성방법
KR102287344B1 (ko) 2014-07-25 2021-08-06 삼성전자주식회사 하드마스크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패턴의 형성방법
WO2016058008A2 (en) 2014-10-08 2016-04-14 Robinson Alex Phillip Graham Spin on hard-mask material
KR102295525B1 (ko) 2015-01-16 2021-08-30 삼성전자 주식회사 스핀 코팅용 하드 마스크 조성물
WO2016129927A1 (ko) 2015-02-13 2016-08-18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용액 공정 가능한 탄소 동소체를 포함하는 하드 마스크 조성물, 이 조성물을 이용하여 하드마스크를 제조하는 방법 및 하드마스크
KR20160100172A (ko) 2015-02-13 2016-08-23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용액 공정 가능한 탄소 동소체를 포함하는 하드 마스크 조성물, 이 조성물을 이용하여 하드마스크를 제조하는 방법 및 하드마스크
CN104762122A (zh) * 2015-04-02 2015-07-08 南京理工大学 一种石墨烯-类富勒烯二硫化钼复合润滑油添加剂及其制备方法
CN105778725A (zh) * 2016-03-09 2016-07-20 北京化工大学 一种基于荧光量子点的防伪材料组成物及其使用方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19498A (ko) * 2018-04-12 2019-10-22 한국과학기술원 그래핀계 화합물, 이의 제조방법, 그래핀계 화합물 제조용 단일상 조성물 및 그래핀 양자점
US11306000B2 (en) 2018-04-12 2022-04-19 Korea Advanced Institute Of Science And Technology Graphene-based compound, preparation method thereof, and single-phase composition for preparing graphene-based compound and graphene quantum dot
KR20200103603A (ko) * 2018-09-06 2020-09-02 한국과학기술원 그래핀계 화합물, 이의 제조방법, 그래핀계 화합물 제조용 단일상 조성물 및 그래핀 양자점
KR102475067B1 (ko) * 2021-07-01 2022-12-08 숙명여자대학교 산학협력단 하드마스크용 조성물의 제조방법, 이에 의해 제조된 하드마스크용 조성물 및 하드마스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343592A1 (en) 2018-07-04
EP3343592B1 (en) 2020-05-13
US10424490B2 (en) 2019-09-24
US20180179397A1 (en) 2018-06-28
CN108241262B (zh) 2023-06-23
CN108241262A (zh) 2018-07-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6054533B (zh) 硬掩模组合物和使用所述硬掩模组合物形成图案的方法
KR20180076053A (ko) 하드마스크 조성물, 이를 이용한 패턴의 형성방법 및 상기 하드마스크 조성물을 이용하여 형성된 하드마스크
KR102486388B1 (ko) 그래핀 양자점의 제조방법, 상기 제조방법에 따라 얻어진 그래핀 양자점을 포함한 하드마스크 조성물, 이를 이용한 패턴의 형성방법 및 상기 하드마스크 조성물을 이용하여 형성된 하드마스크
KR102287343B1 (ko) 하드마스크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패턴의 형성방법
KR102287344B1 (ko) 하드마스크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패턴의 형성방법
KR102287813B1 (ko) 하드마스크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패턴의 형성방법
KR102384226B1 (ko) 하드마스크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패턴 형성방법
US9583358B2 (en) Hardmask composition and method of forming pattern by using the hardmask composition
KR102433666B1 (ko) 하드마스크 조성물, 이를 이용한 패턴의 형성방법 및 상기 하드마스크 조성물을 이용하여 형성된 하드마스크
CN109254499B (zh) 硬掩模组合物、使用硬掩模组合物形成图案的方法、和由硬掩模组合物形成的硬掩模
KR102558007B1 (ko) 하드마스크 조성물, 이를 이용한 패턴의 형성방법 및 이로부터 형성된 하드마스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