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75210A - 밀폐형 유기 용기 - Google Patents

밀폐형 유기 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75210A
KR20180075210A KR1020160179297A KR20160179297A KR20180075210A KR 20180075210 A KR20180075210 A KR 20180075210A KR 1020160179297 A KR1020160179297 A KR 1020160179297A KR 20160179297 A KR20160179297 A KR 20160179297A KR 20180075210 A KR20180075210 A KR 2018007521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rganic container
organic
main body
lower insertion
container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792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수영
문채훈
Original Assignee
김수영
문채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수영, 문채훈 filed Critical 김수영
Priority to KR10201601792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075210A/ko
Publication of KR201800752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7521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00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in one piece, e.g. by casting metallic material, by moulding plastics, by blowing vitreous material, by throwing ceramic material, by moulding pulped fibrous material, by deep-drawing operations performed on sheet material
    • B65D1/22Boxes or like containers with side walls of substantial depth for enclosing cont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00Details of other kinds or type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14Linings or internal coat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3/00Lids or covers for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43/02Removable lids or covers
    • B65D43/0202Removable lids or covers without integral tamper element
    • B65D43/0204Removable lids or covers without integral tamper element secured by snapping over beads or projec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3/00Sealing or packing elements; Sealings formed by liquid or plastics material
    • B65D53/02Collars or ring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93/00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natural resins; 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derivatives thereof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유기 용기 본체 및, 상기 유기 용기 본체를 덮도록 형성되는 유기 용기 뚜껑을 포함하고, 상기 유기 용기 본체의 내표면에는 생옻이 도포되고, 상기 유기 용기 뚜껑은, 링 형상의 실링부재가 구비되며, 상기 유기 용기 뚜껑은, 상기 유기 용기 본체에 맞닿아 안착되도록 다단으로 형성되되, 상기 유기 용기 본체에 안착하는 경우 상기 실링부재에 의해 상기 유기 용기 본체에 억지 끼움 결합될 수 있다.

Description

밀폐형 유기 용기{Sealed organic container}
본 발명은 유기 용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밀폐형 유기 용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유기 용기는 놋그릇을 일컫는 말로서 한국에서 조상대대로 사용되어온 전통주방 그릇이라 할 수 있으나, 구리의 성질 때문에 외부의 공기와 접촉이 오래되면 사용하지 않더라도 외면이 누렇게 변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산업사회가 발달함에 따라 현대에 들어와서 유기 용기는, 가격이 저렴하고 외관이 화려한 동시에 사용이 편리한 스테인레스 용기, 사기 그릇, 유리 그릇 등의 등장으로 인해, 제기 등과 같이 특수용도에 국한되어 사용되어 왔으나, 최근에는 유기 용기가 건강에 도움을 준다는 사실이 알려지면서 사용하는 사람이 많아지는 추세이다.
종래의 유기용기(놋그릇)로는 유병(鍮甁), 유대합개구(鍮大盒蓋具:합에 뚜껑을 낀 것), 유개아, 유량분(鍮凉盆), 유신선로, 유동해(鍮東海:동이), 유자(鍮煮), 유대접, 유시접, 유대쟁반(鍮大錚盤), 유엽시(鍮葉匙), 유두(鍮斗), 유승(鍮升), 유두모(鍮斗母:두멍) 등이 있다
한편 종래의 유기용기는 음식물 등을 수용한 후 단순히 뚜껑을 덮어 보관하고 있었는데, 외부 공기를 완전히 차단하지 못하고 공기가 용기 내부에 유입되도록 하여 음식물을 산화시키고 상하게 함으로써, 유기 용기 본연의 보온 기능과 살균 성능을 미처 발휘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한 사정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 유기 용기 내부를 외부와 완전히 차단 가능하고, 유기 용기의 내부 온도 및 살균 성능을 유지할 수 있는 밀폐형 유기 용기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밀폐형 유기 용기는, 유기 용기 본체; 및 상기 유기 용기 본체를 덮도록 형성되는 유기 용기 뚜껑;을 포함하고, 상기 유기 용기 본체의 내표면에는 생옻이 도포되고, 상기 유기 용기 뚜껑은, 링 형상의 실링부재가 구비되며, 상기 유기 용기 뚜껑은, 상기 유기 용기 본체에 맞닿아 안착되도록 다단으로 형성되되, 상기 유기 용기 본체에 안착하는 경우 상기 실링부재에 의해 상기 유기 용기 본체에 억지 끼움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유기 용기 뚜껑은, 상기 유기 용기 본체와 동일한 외경을 가지는 상부안착부; 상기 상부안착부로부터 하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되, 그 외주가 단턱지도록 축소되는 하부삽입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하부삽입부는, 상기 상부안착부로부터 연장되는 제1 단턱부; 및 상기 제1 단턱부보다 작은 외경을 가지는 제2 단턱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단턱부는 내주면이 내측으로 파여져 실링수용홈이 형성되고, 상기 실링수용홈에는, 상기 실링부재가 수용되며, 상기 실링부재는, 상기 하부삽입부가 상기 유기 용기 본체 내부로 삽입되는 경우, 상기 유기 용기 본체 내주면에 압착되어 상 방향으로 휘어져 상기 제2 단턱부와 상기 유기 용기 본체 내주면 사이의 소정 공간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상부안착부와 상기 하부삽입부의 내주면은 회전 절삭 방식에 의해 파여져 다단으로 형성되되, 소정의 충전물이 채워져 메워짐으로써 매끄럽게 처리될 수 있다.
상기 유기 용기 본체의 내표면은, 구리와 주석의 혼합 및 용해를 통해 형성되되, 샌딩되고, 샌딩된 표면이 세척 및 건조된 후 상기 생옻으로 도포되고, 상기 생옻이 도포된 표면이 150°C에서 3시간 동안 경화된 후 사포질에 의해 거칠게 되고, 거칠게 된 표면이 옻나무의 수지를 정제하여 만든 흑색도료로 도포되고, 흑색도료로 도포된 표면이 건조된 후 옻액으로 도포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밀폐형 유기 용기에 의하면, 유기 용기 뚜껑이 유기 용기 본체에 안착하는 경우 유기 용기 본체에 억지 끼움 결합됨으로써, 유기 용기 본체 내부를 외부와 완전히 차단 가능하고, 유기 용기 본체의 내부 온도 및 살균 성능을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유기 용기의 단점인 표면 색상 변질을 막아 관리와 사용이 편리하도록 하며, 유기의 특성과 옻의 특성에 의해 보온성과 살균을 갖는 유기 용기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도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밀폐형 유기 용기의 사시도이다.
도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밀폐형 유기 용기의 분리 사시도이다.
도3은 도1의 밀폐형 유기 용기의 단면도이다.
도4는 도2의 밀폐형 유기 용기의 단면도이다.
도5는 도1의 밀폐형 유기 용기에 충전물이 구비되는 것을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본 발명과 본 발명의 동작상의 이점 및 본 발명의 실시에 의하여 달성되는 목적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예시하는 첨부 도면 및 첨부 도면에 기재된 내용을 참조하여야만 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함으로써,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설명하는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그리고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되며, 도면의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부재임을 나타낸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먼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밀폐형 유기 용기의 밀폐 구조 설명에 앞서 여러 방식으로 제작되는 유기 용기의 제작 과정에 대해 설명한다.
<단조에 의한 유기 용기 제작 공정>
구리 78중량%와 주석 22중량%의 비율로 용광로에 혼합하여 용해한다. 상기 구리와 주석이 혼합되어 용해된 용탕을 기물을 제작하기 위한 기초블록을 성형하기 위한 바둑알 형태의 성형틀에 부어 블록을 성형한다.
상기 성형틀에 부어 바둑알 형상으로 성형된 블록을 가열된 상태에서 압연기를 통하여 압연한 후 제작할 기물크기에 대응되도록 재단한다.
이때 압연된 청동 판은 원형 판으로 형성되며, 이의 청동판을 제작하고자 하는 크기에 알맞도록 제단 한다,
상기 재단된 청동 판에 열을 가하여 달군 후 제작할 기물 크기에 알맞도록 가공기를 이용하여 기물형상으로 제작한다.
이때, 기물가공기는 통상의 가공기를 이용하여 프레스 등으로 기물을 제작한다.
상기 성형된 기물은 다시 열을 가하여 달군 다음 미리 준비된 소금물에 담가 쇠가 단단해지도록 하는 담금질을 실시한다.
상기 담금질이 끝난 기물을 가공기를 이용하여 표면을 깍아 기물을 완성한다.
<주물에 의한 유기 용기 제작공정>
제작하고자 하는 유기의 기물 형상으로 성형틀을 모래로 제작한다.
구리 78중량%와 주석 22중량%의 비율로 용해로에 혼합하여 용해한다. 상기 구리와 주석이 혼합되어 용해된 용탕을 제작된 성형 틀에 붓는다.
상기 성형 틀에 부어진 쇳물이 경화되면 성형 틀에서 분리한 후 기물을 가열하여 소금물에 넣어 단단해지도록 담금질을 한다.
상기 담금질 된 기물은 표면을 가공처리하여 완성된다.
참고로 방자 유기는 구리 78중량%와 주석 22중량%의 비율로 용광로에 혼합하여 용해한 후 이를 틀에 부어 판 형태로 성형한 후 열을 가한 후 망치로 두드려 소금물에 냉각하는 방법을 반복하여 기물형태로 만든 다음 외면을 연마하여 광택을 갖도록하여 유기를 제작한다.
본 발명은 방자 유기가 아니라 단조와 압연기를 이용하여 기물을 형성하고 이를 가공하여 유기 용기를 만든다.
상기와 같이 단조에 의해 제작된 유기 또는 주물유기의 샌딩작업과 옻칠 공정을 단계별로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공정: 유기표면에 샌딩하는 단계(a)
상기 단조에 의한 유기 제작 공정에서 제조된 유기그릇 또는 주물에 의한 유기 제작공정을 통하여 제작된 유기 용기 표면에 옷칠을 하기 위해 사전 전처리 공정으로서 샌딩을 실시한다.
상기 샌딩작업은 고압의 바람으로 모래를 분사시켜 유기표면을 엠보싱하는 것이다.
상기 엠보싱은 유기 표면에 작은 요철문양이 무수히 생기도록 하면 엠보싱이 균일하게 이루어지도록 샌딩을 실시한다.
본 공정에서 유기 표면에 샌딩작업을 하면 광택의 유기표면이 무광택으로 이루어져 새로운 시각적 느낌을 가질 뿐만 아니라 샌딩을 하지 않은 유기에 비하여 표면의 변질이 늦게 발생되어 관리가 샌딩하지 않은 유기에 비하여 편리하다.
따라서, 제작자는 유기의 표면에 샌딩작업을 한 후 깨끗하게 물 세척하여 상온에서 건조한 후 포장하여 무광택의 유기그릇을 제공할 수 있다.
제2공정: 생옻칠 및 경화단계(b)
상기 샌딩작업을 실시한 후 물로 세척하여 15∼25℃의 상온에서 건조한 다음 표면에 붓으로 생옻칠을 하고 150℃에서 3시간 동안 경화한다.
상기 샌딩작업을 실시한 유기 표면에 붓으로 생옷을 칠하는 것은 샌딩된 표면이 엠보싱(20)으로 이루어져 롤러 등으로 칠할 경우 요홈부가 도포되지 않는 문제점이 있어 붓으로 요홈부까지 도포되도록 칠한 후 건조시킨다.
또한 상기 생옻칠을 한 후 건조하는 과정에서 고온으로 건조하게 되는데 이때 건조기에서 150℃로 고온건조 함으로 착색과 경화가 잘 이루어진다.
이때 온도를 150℃ 이하로 하면 착색의 색깔이 완전하게 이루어지지 않으며, 경화 역시 더 많은 시간이 필요하며, 150℃ 이상으로 하면 도포된 옻 색깔이 소성과 같이 건조되어 맑고 은은한 옻 빛깔 특유의 색상이 없어지고 어두운 색상으로 이루어지는 문제점이 있으며, 경화가 급속도로 이루어져 차후 박리의 원인이 되는 문제점과 또한 급속한 경화로 인하여 눌어붙는 것과 같이 변형이 발생되어 반복하여 사포질 할 때 연마가 불균형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방지토록 한 것이다.
제3공정: 사포 연마 단계(c)
상기 생옻칠을 한 후 건조기에서 150℃로 고온건조한 후 식으면 생옻칠이 이루어진 표면을 사포로 연마하여 거칠게 한다.
이때 사포는 400이하의 거칠은 사포를 사용하되 사포의 표면 거칠기가 미세한 것은 연마시 힘을 주어 옻칠 된 유기표면이 거칠게 되도록 작업하고, 사포의 표면이 거칠은 경우에는 힘을 뺀 상태에서 옻칠 된 유기의 표면을 연마하여 표면이 거칠게 되도록한다.
본 공정에서 생옻칠된 표면을 거칠게 하는 것은 반복하여 표면에 생옻칠을 할때 접착력을 높이도록 한 것이다.
제4공정: 샌딩, 생옻칠, 사포연마 반복하여 표면 거칠기 작업 단계(d)
본 공정에서는 상기 제1공정(a), 제2공정(b), 제3공정(c)은 3회 반복실시하는 단계로서, 유기표면에 샌딩하는 단계(a) → 생옻칠 및 경화단계(b) → 사포 연마 단계(c)를 3회 반복하여 표면 거칠기를 완성한다.
제5공정: 흑색 도막 단계(e)
상기 사포질하여 표면이 거칠기 작업을 반복하여 된 유기 표면에 옻나무의 수지를 정제하여 만든 흑색도료 또는 산화철에 유류 또는 송진을 첨가하여 만든 흑색 도료를 칠한 후 습도 70∼80%, 온도 25∼28도의 칠장에서 24시간 건조한다.
제6공정: 흑색 도막 반복작업(f)
상기 흑색도막이 실시되어 건조된 유기 표면을 거칠기가 고운 800이상의 규격을 갖는 사포로 사포질 한 후 외면의 이물질을 닦아낸 후 상기 흑색도료를 칠한 후 습도 70∼80%, 온도 25∼28도의 칠장에서 24시간 건조하는 작업을 3회 반복한다.
즉, 흑색도막→ 건조→ 사포질→ 이물질제거→ 흑색도료 도포→ 건조단계를 3회 반복실시한다.
제7공정: 상칠단계(g)
상기 흑색도료를 도포한 표면을 건조한 후 1000규격 이상의 고운 사포를 이용하여 흑색도막(30) 된 표면을 사포질 한 후 상칠하여 칠장에서 24시간 동안 건조한다.
상기 상칠은 옻 액을 정재하여 발췌한 투명 에나멜과 같은 옻액을 칠한다.
상기와 같이 상칠한 후 고운 사포질 한 다음 표면을 깨끝한 면직물을 이용하여 광을 낸다.
본 발명은 상기 공정에서 실시되는 바와 같이 샌딩작업, 생옷칠, 건조, 사포질의 단계를 반복실시한 후 흑색도막을 실시한 후 건조 사포질 흑색도막(30)의 단계를 반복함으로서 착색이 잘 이루어져 차후 사용시 도막 부분의 색깔이 변질되거나, 외부의 환경에 의해 박리되는 현상을 방지하여 고품질의 유기 용기를 제공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은 유기 용기의 단점인 표면 색상 변질을 막아 관리와 사용이 편리하도록 하며, 유기의 특성과 옻의 특성에 의해 보온성과 살균을 갖는 유기 용기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한편, 유기 용기의 보온성과 살균 성능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유기 용기 내부를 외부와 완전히 차단함으로써, 유기 용기 내부 온도를 유지하거나, 또는 공기 유입을 방지하여 유기 용기 내부의 음식물의 산화를 막을 필요가 있으며, 이를 위해 개발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밀폐형 유기 용기는 도1 내지 도5를 참고하여 설명한다.
도1 및 도2를 참고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밀폐형 유기 용기(100)는, 내부 공간을 외부와 차단함으로써 내부 온도 및 살균 성능을 유지하기 위한 것으로서, 유기 용기 본체(110) 및 유기 용기 뚜껑(120)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밀폐형 유기 용기(100)는, 유기 용기 본체(110)를 덮도록 형성되는 유기 용기 뚜껑(120)이 유기 용기 본체(110)에 맞닿아 안착되도록 다단으로 형성되되, 유기 용기 본체(110)에 안착하는 경우 유기 용기 본체(110)에 억지 끼움 결합됨으로써, 유기 용기 본체(110) 내부를 외부와 완전히 차단 가능하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밀폐형 유기 용기(100)는, 유기 용기 본체(110) 내부를 외부와 차단함으로써, 유기 용기 본체(110)의 내부 온도 및 살균 성능을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유기 용기 본체(110)는 앞서 설명한 바 있는 단조 또는 주물 방식에 의해 제작되는 것으로서, 샌딩작업, 생옷칠, 건조, 사포질의 단계를 반복실시한 후 흑색도막을 실시한 후 건조 사포질 흑색도막의 단계를 반복함으로써 착색이 잘 이루어져 차후 사용시 도막 부분의 색깔이 변질되거나, 외부의 환경에 의해 박리되는 현상이 방지된다.
특히 유기 용기 본체(110)는, 내표면 색상 변질이 되지 않아 관리와 사용이 편리하며, 유기의 특성과 옻의 특성에 의해 보온성과 살균을 갖는 효과가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밀폐형 유기 용기(100)의 구성에 대해 상세 설명한다.
도1 내지 도4를 참고하면, 유기 용기 본체(110)는 상단이 개방되고 내부가 빈 원통 형상일 수 있다. 유기 용기 본체(110) 내표면은 생옻이 도포될 수 있다. 즉 유기 용기 본체(110)는 구리와 주석이 혼합되어 형성되되, 샌딩되고 나서, 샌딩된 표면이 세척 및 건조된 후 생옻으로 도포되고, 생옻이 도포된 표면이 150°C에서 3시간 동안 경화된 후 사포질에 의해 거칠게 되고, 거칠게 된 표면이 옻나무의 수지를 정제하여 만든 흑색도료로 도포되고, 흑색도료로 도포된 표면이 건조된 후 옻액으로 도포될 수 있다. 이러한 생옻 도포 과정은 앞서 설명한 바 있으므로 생략한다.
유기 용기 본체(110)의 외주면에는, 유기 용기 본체(110)의 외주를 따라 연장 형성되는 돌기가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돌기는 사용자가 유기 용기 본체(110)를 잡고 사용하기에 용이하도록 도와준다.
유기 용기 본체(110)는 음식물 등이 담길 수 있으므로, 외부와 차단되어 내부 온도 및 살균 성능이 유지될 필요가 있는데, 이는 유기 용기 뚜껑(120)이 유기 용기 본체(110)를 덮음으로써 가능하다.
유기 용기 뚜껑(120)은 유기 용기 본체(110)를 덮도록 형성될 수 있다. 유기 용기 뚜껑(120)은 소정 두께를 가지는 원형의 판 형상일 수 있다. 유기 용기 뚜껑(120)의 외경은 유기 용기 본체(110)와 동일한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유기 용기 뚜껑(120)은 유기 용기 본체(110)에 맞닿아 안착되도록 다단으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유기 용기 뚜껑(120)은 상부안착부(121)와 하부삽입부(123)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부안착부(121)는 유기 용기 뚜껑(120)의 상부를 담당하며, 원형의 판 형상일 수 있다. 상부안착부(121)는 유기 용기 본체(110)와 동일한 외경을 가질 수 있다.
상부안착부(121) 외주면에는 외주를 따라 연장 형성되는 돌기가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돌기는 사용자가 유기 용기 뚜껑(120)을 잡고 사용하기에 용이하도록 도와준다.
상부안착부(121)는 하단(121a)이 유기 용기 본체(110)의 상단(111)에 안착될 수 있다. 이때 상부안착부(121)는 하부삽입부(123)에 의해 유기 용기 뚜껑(120)을 벗어나지 않고 맞닿은 상태로 유지될 수 있다.
하부삽입부(123)는 유기 용기 뚜껑(120)의 하부를 담당하며, 상부안착부(121)로부터 하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되, 그 외주가 단턱지도록 축소될 수 있다. 하부삽입부(123)는, 상부안착부(121)가 유기 용기 본체(110)에 안착될시, 유기 용기 본체(110) 내부에 위치하게 된다. 이때 하부삽입부(123)는 유기 용기 본체(110) 내주면에 밀착되어 상부안착부(121)가 유기 용기 본체(110)에서 벗어나지 않도록 한다.
하부삽입부(123)는 적어도 두 개 이상의 단턱을 가지도록 형성되며, 제1 단턱부(123a)와 제2 단턱부(123b)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제1 단턱부(123a)는 상부안착부(121)로부터 하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되, 그 외주가 단턱지도록 축소될 수 있다. 제1 단턱부(123a)는 상부안착부(121)보다 작은 외경을 가질 수 있다. 제1 단턱부(123a)는 외주면이 유기 용기 본체(110)의 내주면에 밀착될 수 있다.
제2 단턱부(123b)는 제1 단턱부(123b)로부터 하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되, 그 외주가 단턱지도록 축소될 수 있다. 제2 단턱부(123b)는 제1 단턱부보다 작은 외경을 가질 수 있다. 이를 통해 제2 단터부(123b) 외주면과 유기 용기 본체(110) 내주면 사이에 소정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제2 단턱부(123b)는 외주면 소정 부분이 내측으로 파여져 실링수용홈(g)이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실링수용홈(g)에는 실링부재(125)가 끼워져 수용될 수 있다.
실링부재(125)는 실링수용홈(g)에 끼워져 수용될 수 있도록 링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실링부재(125)는 뛰어난 탄성과 복원력을 가지도록 실리콘 재질로 구성될 수 있다.
실링부재(125)는 하부삽입부(123)가 유기 용기 본체(110)의 내부로 삽입되는 경우, 유기 용기 본체(110) 내주면에 압착되어 소정 부분이 상 방향으로 휘어져 제2 단턱부(123b) 외주면과 유기 용기 본체(110) 내주면 사이의 소정 공간에 위치할 수 있다. 이때 실링부재(125)와 유기 용기 본체(110) 사이에는 소정의 마찰력이 발생하게 되고, 하부삽입부(123)는 실링부재(125)와 유기 용기 본체(110) 사이의 마찰력에 의해 유기 용기 본체(110)에 단단히 고정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유기 용기 뚜껑(120)은, 상부안착부(121)의 하단(121a)이 유기 용기 본체(110)의 상단(111)에 안착되고, 하부삽입부(123)의 제1 단턱부(123a)가 유기 용기 본체(110)의 내주면에 밀착되고, 하부삽입부(123)의 제2 단턱부(123b)가 실링부재(125)와 유기 용기 본체(110) 사이의 마찰력에 의해 유기 용기 본체(110)에 단단히 고정됨으로써, 최종적으로 유기 용기 본체(110)에 억지 끼움 결합된 상태가 된다.
이에 따라 밀폐형 유기 용기(100)는, 유기 용기 뚜껑(120)이 유기 용기 본체(110)에 억지 끼움 결합됨으로써, 유기 용기 본체(110) 내부를 외부와 차단할 수 있으며, 유기 용기 본체(110)의 내부 온도를 유지하거나, 또는 공기 유입을 방지하여 유기 용기 본체(110) 내부의 음식물의 산화를 막는 것이 가능하다.
한편, 유기 용기 뚜껑(120)은 하단이 개방되고 내부가 빈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유기 용기 본체(110) 내부에 수용되는 음식물 등이 유기 용기 뚜껑(120)에 의해 압박되지 않고, 유기 용기 뚜껑(120) 내부에 위치할 수 있다.
또한 유기 용기 뚜껑(120)은 더욱 많은 내부 공간 확보를 위해 내주면이 회전 절삭 방식에 의해 절삭될 수 있다. 여기서, 유기 용기 뚜껑(120)의 내주는 유기 용기 뚜껑(120)의 외주 형상에 따라 다단으로 형성될 수 있다.
즉 하부삽입부(123)의 제2 단턱부(123b)는 실링수용홈(g)의 상측에 위치한 내주면이 회전 절삭되어 단턱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부안착부(121)의 내주면이 회전 절삭되어, 상부안착부(121)와 제1 단턱부(123b)의 연결부분이 단턱질 수 있다. 이를 통해 유기 용기 뚜껑(120)의 내부에는 최대한의 빈 공간(S)이 형성될 수 있다.
도5를 참고하면, 유기 용기 뚜껑(120) 내주면에 소정의 충전물(充塡物)이 채워져 메워질 수 있다. 즉 상부안착부(110)와 하부삽입부(120) 내주면은 단턱지지 않고, 매끄럽게 처리될 수 있으며, 이는 유기 용기 뚜껑(120)의 내부 세척이 용이하도록 한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 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등록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 밀폐형 유기 용기
110: 유기 용기 본체
120: 유기 용기 뚜껑
121: 상부안착부
123: 하부삽입부
123a: 제1 단턱부
123b: 제2 단턱부
g: 실림수용홈
125: 실링부재
f: 충전물

Claims (5)

  1. 유기 용기 본체; 및
    상기 유기 용기 본체를 덮도록 형성되는 유기 용기 뚜껑;
    을 포함하고,
    상기 유기 용기 본체의 내표면에는 생옻이 도포되고,
    상기 유기 용기 뚜껑은, 링 형상의 실링부재가 구비되며,
    상기 유기 용기 뚜껑은, 상기 유기 용기 본체에 맞닿아 안착되도록 다단으로 형성되되, 상기 유기 용기 본체에 안착하는 경우 상기 실링부재에 의해 상기 유기 용기 본체에 억지 끼움 결합되는 것인 밀폐형 유기 용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기 용기 뚜껑은,
    상기 유기 용기 본체와 동일한 외경을 가지는 상부안착부;
    상기 상부안착부로부터 하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되, 그 외주가 단턱지도록 축소되는 하부삽입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폐형 유기 용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삽입부는,
    상기 상부안착부로부터 연장되는 제1 단턱부; 및
    상기 제1 단턱부보다 작은 외경을 가지는 제2 단턱부;
    를 포함하고,
    상기 제2 단턱부는 내주면이 내측으로 파여져 실링수용홈이 형성되고,
    상기 실링수용홈에는, 상기 실링부재가 수용되며,
    상기 실링부재는, 상기 하부삽입부가 상기 유기 용기 본체 내부로 삽입되는 경우, 상기 유기 용기 본체 내주면에 압착되어 상 방향으로 휘어져 상기 제2 단턱부와 상기 유기 용기 본체 내주면 사이의 소정 공간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폐형 유기 용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안착부와 상기 하부삽입부의 내주면은 회전 절삭 방식에 의해 파여져 다단으로 형성되되, 소정의 충전물이 채워져 메워짐으로써 매끄럽게 처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폐형 유기 용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기 용기 본체의 내표면은,
    구리와 주석의 혼합 및 용해를 통해 형성되되, 샌딩되고, 샌딩된 표면이 세척 및 건조된 후 상기 생옻으로 도포되고, 상기 생옻이 도포된 표면이 150°C에서 3시간 동안 경화된 후 사포질에 의해 거칠게 되고, 거칠게 된 표면이 옻나무의 수지를 정제하여 만든 흑색도료로 도포되고, 흑색도료로 도포된 표면이 건조된 후 옻액으로 도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폐형 유기 용기.
KR1020160179297A 2016-12-26 2016-12-26 밀폐형 유기 용기 KR2018007521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79297A KR20180075210A (ko) 2016-12-26 2016-12-26 밀폐형 유기 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79297A KR20180075210A (ko) 2016-12-26 2016-12-26 밀폐형 유기 용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75210A true KR20180075210A (ko) 2018-07-04

Family

ID=629127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79297A KR20180075210A (ko) 2016-12-26 2016-12-26 밀폐형 유기 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075210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65199B1 (ko) 2022-05-27 2022-11-09 이연조 기능성 용기 뚜껑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65199B1 (ko) 2022-05-27 2022-11-09 이연조 기능성 용기 뚜껑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52417B1 (ko) 유기제작방법과 유기 표면의 샌딩 처리 및 옻칠방법
KR100524524B1 (ko) 조리용기 및 그의 제조방법
CN103624858B (zh) 一种钢琴烤漆家具制作工艺
KR101818418B1 (ko) 드로잉가공을 이용한 코팅 조리용기의 제조방법
KR20180075210A (ko) 밀폐형 유기 용기
KR20100021120A (ko) 알루미늄 조리기구의 제조방법
CN110526673B (zh) 一种高硬度黑陶器制品及其制作方法
KR101417618B1 (ko) 문양이 형성되는 조리용기 제조방법
KR101518118B1 (ko) 유색 문양을 갖는 유기제품 제조방법
JP4785876B2 (ja) 両面加飾熱硬化性樹脂成形品の製造方法及び装置
KR101582616B1 (ko) 조리용기 코팅방법 및 이 방법에 의해 제조된 조리용기
CN107630214B (zh) 一种用于纯银纪念币/章局部上色处理的工艺
CN108866532B (zh) 一种使铜器具有包浆效果的表面处理方法
KR200430749Y1 (ko) 전사지 코팅 프라이팬
KR20130122207A (ko) 조리용기의 무늬 형성방법
CN108083761A (zh) 一种理化性能好的陶瓷制品烧制工艺
KR20060128264A (ko) 알루미늄제 착색 조리용기의 제조방법
CN109746642B (zh) 一种铁包银壶制造工艺
KR20050105943A (ko) 전사지 코팅 프라이팬
JP2018033932A (ja) 調理器具の製造方法
KR101972323B1 (ko) 나노 세라믹이 충진된 장신구 제조 방법
KR100584036B1 (ko) 금분을 이용한 분청사기의 제조방법
KR101412805B1 (ko) 조리용기에 코팅층을 형성하는 방법
JP2001179707A (ja) 竹による容器や装飾品の製造方法及び竹製の容器並びに装飾品
KR101596275B1 (ko) 표면개질 코팅층이 구비된 타정장치 및 표면개질 코팅층의 형성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