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74445A - 세탁기 및 그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세탁기 및 그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74445A
KR20180074445A KR1020160178527A KR20160178527A KR20180074445A KR 20180074445 A KR20180074445 A KR 20180074445A KR 1020160178527 A KR1020160178527 A KR 1020160178527A KR 20160178527 A KR20160178527 A KR 20160178527A KR 20180074445 A KR20180074445 A KR 2018007444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ub
washing
target temperature
water stored
he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785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98167B1 (ko
Inventor
강민지
박경태
김현숙
김현철
정정란
박은영
백동일
최준영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1785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98167B1/ko
Priority to EP17199145.8A priority patent/EP3339495B1/en
Priority to CN201711402754.XA priority patent/CN108239851B/zh
Priority to US15/854,323 priority patent/US10801150B2/en
Publication of KR201800744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74445A/ko
Priority to US17/017,019 priority patent/US11566362B2/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981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9816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04Heating arrangements
    • D06F39/045
    • D06F33/02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4/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34/14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measuring specific parameters
    • D06F34/22Condition of the washing liquid, e.g. turbidity
    • D06F34/24Liquid temperature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4/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34/28Arrangements for program selection, e.g. control panels therefor; Arrangements for indicating program parameters, e.g. the selected program or its progres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30Driving arrangements 
    • D06F37/304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electric motor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42Safety arrangements, e.g. for stopping rotation of the receptacle upon opening of the casing door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08Liquid supply or discharge arrangements
    • D06F39/088Liquid supply arrangement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1/00User input for the control of domestic laundry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1/20Operation modes, e.g. delicate laundry washing programs, service modes or refreshment cycle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3/00Parameters monitored or detected for the control of domestic laundry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3/16Washing liquid temperature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3/00Parameters monitored or detected for the control of domestic laundry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3/52Parameters monitored or detected for the control of domestic laundry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related to electric heating means, e.g. temperature or voltage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5/00Systems or parameters controlled or affected by the control systems of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5/10Temperature of washing liquids; Heating means therefor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5/00Systems or parameters controlled or affected by the control systems of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5/28Electric heating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5/00Systems or parameters controlled or affected by the control systems of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5/46Drum speed; Actuation of motors, e.g. starting or interrupting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5/00Systems or parameters controlled or affected by the control systems of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5/58Indications or alarms to the control system or to the user
    • D06F2202/04
    • D06F2204/04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9/00Combinations of a washing machine with other separate apparatus in a common frame or the like, e.g. with rinsing apparatu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1/00Washing installations comprising an assembly of several washing machines or washing units, e.g. continuous flow assemblie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3/00Control of operations performed in washing machines or washer-dryers 
    • D06F33/30Control of washing machine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or target of the control 
    • D06F33/32Control of operational steps, e.g. optimisation or improvement of operational steps depending on the condition of the laundr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Control Of Washing Machine And Dryer (AREA)

Abstract

복수의 세탁장치 중 어느 하나의 히터에 의해 가열되는 세탁수의 목표 온도에 따라 나머지 히터에 의해 가열되는 세탁수에 대한 목표 온도 설정 환경을 변경하는 세탁기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한다.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는, 제 1 터브 내에 저장된 세탁수를 가열하는 제 1 히터; 제 2 터브 내에 저장된 세탁수를 가열하는 제 2 히터; 상기 제 1 터브에 저장된 세탁수의 목표 온도를 설정하는 목표 온도 설정 메뉴를 제공하는 컨트롤 패널; 및 상기 제 1 터브에 저장된 세탁수가 제 1 목표 온도에 도달하도록 상기 제 1 히터를 구동하고, 상기 제 2 터브에 저장된 세탁수가 제 2 목표 온도에 도달하도록 상기 제 2 히터를 구동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 2 목표 온도에 따라, 상기 컨트롤 패널에서 제공하는 상기 목표 온도 설정 메뉴를 변경할 수 있다.

Description

세탁기 및 그 제어방법{WASHING APPARUTUS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복수의 세탁장치를 포함하는 세탁기 및 그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세탁기는 세탁물이 담긴 원통 형상의 회전조를 회전시켜 세탁물을 세탁하는 장치이다. 세탁기의 종류에는 드럼을 수평으로 배치하여 드럼이 수평축에 대하여 회전할 때 세탁물이 드럼의 내주면을 따라 상향으로 올려져서 낙하함으로써 세탁물을 세탁하는 방식인 세탁기와, 내부에 펄세이터를 구비한 드럼을 수직으로 배치하여 드럼이 수직축에 대하여 회전할 때 펄세이터에 의해 발생하는 수류를 이용하여 세탁물을 세탁하는 방식인 세탁기가 있다.
드럼이 수평으로 배치되는 방식의 세탁기는 전방에 세탁물 투입구가 형성되므로, 프론트 로딩(front loading) 세탁기라고 하며, 드럼이 수직으로 배치되는 방식의 세탁기는 상부에 세탁물 투입구가 형성되므로 탑 로딩(top loading) 세탁기라고 한다.
일반적으로 세탁기는 상술한 두 가지의 방식 중 어느 하나를 채택하여 세탁물을 세탁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두 가지 방식의 장점을 모두 취하기 위해, 서로 다른 방식에 의해 구동되는 복수의 세탁장치를 포함하는 세탁기도 등장하였다.
개시된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복수의 세탁장치 중 어느 하나의 히터에 의해 가열되는 세탁수의 목표 온도에 따라 나머지 히터에 의해 가열되는 세탁수에 대한 목표 온도 설정 환경을 변경하는 세탁기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한다.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는, 제 1 터브 내에 저장된 세탁수를 가열하는 제 1 히터; 제 2 터브 내에 저장된 세탁수를 가열하는 제 2 히터; 상기 제 1 터브에 저장된 세탁수의 목표 온도를 설정하는 목표 온도 설정 메뉴를 제공하는 컨트롤 패널; 및 상기 제 1 터브에 저장된 세탁수가 제 1 목표 온도에 도달하도록 상기 제 1 히터를 구동하고, 상기 제 2 터브에 저장된 세탁수가 제 2 목표 온도에 도달하도록 상기 제 2 히터를 구동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 2 목표 온도에 따라, 상기 컨트롤 패널에서 제공하는 상기 목표 온도 설정 메뉴를 변경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터브는, 전방에 배치되는 제 1 세탁물 투입구; 를 포함하고, 상기 제 2 터브는, 상부에 배치되는 제 2 세탁물 투입구; 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 2 목표 온도가 미리 설정된 제 2 임계 온도 이상인 경우, 상기 제 1 목표 온도가 제 1 임계 온도 이상 설정될 수 없도록, 상기 목표 온도 설정 메뉴를 제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 2 터브에 저장된 세탁수가 상기 제 2 목표 온도에 도달하기 전, 상기 제 1 터브에 저장된 세탁수가 상기 제 1 목표 온도에 도달하도록 상기 제 1 히터 및 상기 제 2 히터의 구동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컨트롤 패널은, 상기 제 2 터브 내에 수용된 세탁물을 서로 다른 조건에 따라 세탁하는 복수의 세탁 모드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도록 세탁 모드 선택 메뉴를 제공하고, 상기 복수의 세탁 모드는, 상기 제 2 터브 내에 저장된 세탁수의 가열이 필요한 모드 및 상기 제 2 터브 내에 저장된 세탁수의 가열이 불요한 모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 1 목표 온도에 따라, 상기 세탁수의 가열이 필요한 모드의 선택이 불가하도록 상기 세탁 모드 선택 메뉴를 제한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는, 세탁수를 저장하는 제 1 터브, 및 상기 제 1 터브에 저장된 세탁수를 가열하는 제 1 히터를 포함하는 제 1 세탁장치; 세탁수를 저장하는 제 2 터브 및 상기 제 2 터브에 저장된 세탁수를 가열하는 제 2 히터를 포함하는 제 2 세탁장치; 및 상기 제 1 터브에 수용된 세탁물을 서로 다른 조건에 따라 세탁하는 복수의 제 1 세탁 모드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도록 제 1 세탁 모드 선택 메뉴를 제공하고, 상기 제 2 터브에 수용된 세탁물을 서로 다른 조건에 따라 세탁하는 복수의 제 2 세탁 모드 중 하나를 선택하도록 제 2 세탁 모드 선택 메뉴를 제공하는 컨트롤 패널; 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세탁 모드는, 상기 제 1 터브 내에 저장된 세탁수의 가열이 필요한 모드 및 상기 제 1 터브 내에 저장된 세탁수의 가열이 불요한 모드를 포함하고, 상기 제 2 세탁 모드는, 상기 제 2 터브 내에 저장된 세탁수의 가열이 필요한 모드 및 상기 제 2 터브 내에 저장된 세탁수의 가열이 불요한 모드를 포함하고, 상기 컨트롤 패널은, 상기 제 1 세탁장치가 상기 제 1 터브 내에 저장된 세탁수의 가열이 필요한 모드로 동작하면, 상기 제 2 터브 내에 저장된 세탁수의 가열이 필요한 모드의 선택이 불가하도록, 상기 제 2 세탁 모드 선택 메뉴를 제한하여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세탁장치는, 전방에 배치되는 제 1 세탁물 투입구; 를 포함하고, 상기 제 2 세탁장치는, 상부에 배치되는 제 2 세탁물 투입구; 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컨트롤 패널은, 상기 제 2 세탁장치가 상기 제 2 터브 내에 저장된 세탁수의 가열이 필요한 모드 중 제 2 임계 온도 이상 상기 제 2 터브 내에 저장된 세탁수의 가열이 필요한 모드로 동작하면, 상기 제 1 터브 내에 저장된 세탁수의 가열이 필요한 모드 중 제 1 임계 온도 이상 상기 제 1 터브 내에 저장된 세탁수의 가열이 필요한 모드의 선택이 불가하도록, 상기 제 1 세탁 모드 선택 메뉴를 제한하여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세탁 장치는, 상기 제 1 터브 내에 저장된 세탁수의 가열이 필요한 모드에 따라 동작 시, 상기 제 1 터브에 저장된 세탁수가 제 1 목표 온도에 도달하도록 상기 제 1 히터를 구동하고, 상기 제 2 세탁장치는, 상기 제 2 터브 내에 저장된 세탁수의 가열이 필요한 모드에 따라 동작 시, 상기 제 2 터브에 저장된 세탁수가 제 2 목표 온도에 도달하도록 상기 제 2 히터를 구동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세탁장치는, 상기 제 2 터브에 저장된 세탁수가 상기 제 2 목표 온도에 도달하기 전, 상기 제 1 터브에 저장된 세탁수가 상기 제 1 목표 온도에 도달하도록 상기 제 1 히터를 구동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의 제어방법은, 제 1 터브 내에 저장된 세탁수를 가열하는 제 1 히터; 제 2 터브 내에 저장된 세탁수를 가열하는 제 2 히터; 및 상기 제 1 터브에 저장된 세탁수의 목표 온도를 설정하는 목표 온도 설정 메뉴를 제공하는 컨트롤 패널; 을 포함하는 세탁기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 2 터브에 저장된 세탁수의 제 2 목표 온도를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제 2 목표 온도에 따라, 상기 제 1 터브에 저장된 세탁수의 제 1 목표 온도가 제 1 임계 온도 이상으로 설정될 수 없도록, 상기 목표 온도 설정 메뉴를 제한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또한,상기 제 1 터브에 저장된 세탁수가 상기 제 1목표 온도에 도달한 것으로 확인되면, 상기 제 2 히터를 구동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2 히터가 구동 중인 것으로 확인되면, 상기 제 2 히터의 구동을 중단하고 상기 제 1 히터를 구동하는 단계; 및 상기 제 1 터브에 저장된 세탁수가 상기 제 1목표 온도에 도달했다고 판단되면, 상기 제 2 히터를 구동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컨트롤 패널은, 상기 제 2 터브 내에 수용된 세탁물을 서로 다른 조건으로 세탁하는 복수의 세탁 모드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도록 세탁 코스 선택 메뉴를 제공하고, 상기 복수의 세탁 모드는, 상기 제 2 터브 내에 저장된 세탁수의 가열이 필요한 모드 및 상기 제 2 터브 내에 저장된 세탁수의 가열이 필요하지 않은 모드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목표 온도에 따라, 상기 제 2 터브 내에 저장된 세탁수의 가열이 필요한 코스는 선택될 수 없도록 상기 세탁 모드 선택 메뉴를 제한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목표 온도 설정 메뉴를 제한하는 단계는, 상기 제 2 목표 온도가 미리 설정된 제 2 임계 온도 이상인 경우, 상기 제 1 터브에 저장된 세탁수의 제 1 목표 온도가 제 1 임계 온도 이상으로 설정될 수 없도록, 상기 목표 온도 설정 메뉴를 제한할 수 있다.
일 측면에 따른 세탁기 및 그 제어방법에 의하면, 어느 하나의 세탁장치에 마련된 히터 구동 시, 세탁기로의 과전류 유입을 발생시키는 다른 하나의 세탁장치에 대한 제어 명령이 입력 불가한 환경을 제공함으로써, 세탁기 및 소비자의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다.
다른 측면에 따른 세탁기 및 그 제어방법에 의하면, 서로 다른 세탁장치에 마련된 각각의 히터에 대한 구동이 요청되면, 미리 정해진 우선순위에 따라 순차적으로 히터를 구동하여, 세탁기로의 과전류 유입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세탁기의 제 1 세탁장치와 제 2 세탁장치를 분리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세탁기의 단면도이다.
도 4a 및 4b는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의 전원 온/오프에 따른 컨트롤 패널의 변화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일 실시에에 따른 세탁기의 제어 블록도이다.
도 6a 및 6b는 일 실시예에 제어부가 제 1 히터의 구동 중 컨트롤 패널을 제어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a 내지 7c는 일 실시예에 제어부가 제 2 히터의 구동 중 컨트롤 패널을 제어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은 일 실시예에 따른 제 1 히터 및 제 2 히터에 시간에 따라 공급되는 구동 전류를 예시한 그래프이다.
도 9는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 제어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10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 제어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11은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 제어방법의 흐름도이다.
개시된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개시된 발명의 바람직한 일 예에 불과할 뿐이며, 개시된 출원의 출원시점에 있어서 개시된 명세서의 실시예와 도면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다.
또한, 개시된 명세서의 각 도면에서 제시된 동일한 참조번호 또는 부호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부품 또는 구성요소를 나타낸다.
또한, 개시된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개시된 발명을 제 한 및/또는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개시된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 하지 않는다.
또한, 개시된 명세서에서 사용한 "제 1", "제 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으며,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개시된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 1 구성요소는 제 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 2 구성요소도 제 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이하에서는 개시된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세탁기의 제 1 세탁장치와 제 2 세탁장치를 분리하여 도시한 도면이고,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세탁기의 단면도이고, 도 4a 및 4b는 일 실시예에 따른 컨트롤 패널의 전원 온/오프에 따른 변화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세탁기(1)는 전방에 세탁물 투입구가 형성된 프론트 로딩 방식의 제 1 세탁장치(10)와 상부에 세탁물 투입구가 형성된 탑 로딩 방식의 제 2 세탁장치(20)를 포함할 수 있다. 제 2 세탁장치(20)는 제 1 세탁장치(10)의 상부에 배치될 수 있다.
제 1 세탁장치(10)는 내부에 제 1 세탁공간이 형성되는 제 1 드럼(110)과 내부에 제 1 드럼(110)을 수용하며 세탁행정 또는 헹굼행정에 사용될 세탁수 또는 헹굼수를 저장하는 제 1 터브(120)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 드럼(110) 및 제 1 터브(120)는 일면의 적어도 일부가 개방된 원통 형상으로 마련되고, 개방된 일면이 전방을 향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제 1 세탁장치(10)는 제 1 하우징(130)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 1 하우징(130)은 측면과 후면 외관을 형성하는 사이드 프레임(131)과 바닥면을 형성하는 바텀 프레임(132)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 1 세탁장치(10)는 제 1 터브(120)를 제 1 하우징(130)에 지지할 수 있는 스프링(151) 및 댐퍼(150)를 포함할 수 있다. 댐퍼(150)는 제 1 터브(120)의 외면과 바텀 프레임(132)을 연결하여 제 1 터브(120)를 하측에서 지지할 수 있고, 스프링(151)은 제 1 터브(120)의 외면과 사이드 프레임(131)의 상부에 마련된 스프링 결합부(133)를 연결하여 제 1 터브(120)를 상측에서 지지할 수 있다. 스프링(151)과 댐퍼(150)는 제 1 터브(120)가 유동함으로 인해 발생하는 진동, 소음 및 충격을 완화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스프링(151)과 댐퍼(150)의 설치 위치는 사이드 프레임(131)의 상단과 바텀 프레임(132)에 한정되지 않으며, 필요에 따라 제 1 터브(120)의 일면과 제 1 하우징(130)의 일부를 연결하여 제 1 터브(120)를 지지할 수 있다.
제 1 세탁장치(10)는 제 1 터브(120)의 후방에 배치되고 제 1 드럼(110)을 회전시키는 제 1 구동모터(140)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 드럼(110)의 후면에는 제 1 구동모터(140)의 동력을 전달하기 위한 제 1 구동축(141)이 연결될 수 있다. 제 1 드럼(110)의 둘레에는 세탁수의 유동을 위한 다수의 제 1 통공(111)이 형성될 수 있다. 제 1 드럼(110)의 내주면에는 제 1 드럼(110)가 회전할 때 세탁물의 상승 및 낙하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복수의 리프터(113)가 설치될 수 있다. 제 1 드럼(110)의 전방부에는 고속 회전 시에 제 1 드럼(110)이 안정적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제 1 밸런서(112)가 장착될 수 있다.
제 1 드럼(110)과 제 1 구동모터(140) 사이에는 제 1 구동축(141)이 배치될 수 있다. 제 1 구동축(141)의 일단은 제 1 드럼(110)의 후면판에 연결되고, 제 1 구동축(141)의 타단은 제 1 터브(120)의 후벽의 외측으로 연장된다. 제 1 구동모터(140)가 제 1 구동축(141)을 구동하면, 제 1 구동축(141)에 연결된 제 1 드럼(110)이 제 1 구동축(141)을 중심으로 회전한다.
제 1 터브(120)의 후벽에는 제 1 구동축(141)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도록 베어링 하우징(142)이 설치될 수 있다. 베어링 하우징(142)은 알루미늄 합금으로 마련될 수 있으며, 제 1 터브(120)를 사출 성형할 때 제 1 터브(120)의 후벽에 인서트 될 수 있다. 베어링 하우징(142)과 제 1 구동축(141) 사이에는 제 1 구동축(141)이 원활하게 회전할 수 있도록 베어링(143)들이 설치된다.
제 1 세탁장치(10)는 고온의 물로 세탁할 수 있는 기능을 포함할 수 있다. 고온의 물을 얻기 위하여, 제 1 터브(120)의 저면에는 제 1 터브(120)에 수용된 세탁수 또는 헹굼수를 가열할 수 있는 제 1 히터(180)가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제 1 세탁장치(10)는 제 1 터브(120)에 수용된 세탁수 또는 헹굼수의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 센서(181)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 1 세탁장치(10)는, 제 1 터브(120)의 하부에 배치되고 제 1 터브(120) 내부의 물을 세탁기(1)의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제 1 배수펌프(170)와, 제 1 터브(120) 내부의 물이 제 1 배수펌프(170)로 유입될 수 있도록 제 1 터브(120)의 제 1 배수구(173)와 제 1 배수펌프(170)를 연결하는 제 1 연결호스(171)와, 제 1 배수펌프(170)로 유입된 물을 제 1 터브(120)로 순환시킬 수 있도록 제 1 배수펌프(170)와 제 1 터브(120)를 연결하는 순환호스(174)와, 제 1 배수펌프(170)에 의해 펌핑된 물을 세탁기(1)의 외부로 안내하는 제 1 배수호스(172)를 포함할 수 있다.
세탁기(1)는 제 1 세탁장치(10)의 제 1 세탁공간에 세탁물을 투입할 수 있는 제 1 투입구(41)가 마련된 전방 커버(40)를 포함할 수 있고, 전방 커버(40)에는 제 1 투입구(41)를 개폐하기 위한 제 1 도어(160)가 결합될 수 있다.
제 1 도어(160)는 제 1 투입구(41)에 대응되도록 마련되고 전방 커버(40)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다. 제 1 도어(160)는 제 1 도어 프레임(161), 제 1 도어 커버(162) 및 도어 글래스(163)를 포함할 수 있다.
개시된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제 1 도어 프레임(161)을 대략 환형의 형태로 구성하였으나, 대략 사각형 형태로 구성할 수도 있다. 제 1 도어 커버(162) 및 도어 글래스(163)는 제 1 도어(160)가 제 1 투입구(41)를 닫은 상태에도 세탁기(1)의 외부에서 제 1 드럼(110)의 내부를 볼 수 있도록, 투명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도어 글래스(163)는 제 1 도어 프레임(161)으로부터 제 1 드럼(110)의 내부를 향해 볼록하게 돌출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을 통해 제 1 도어(160)를 닫았을 때, 도어 글래스(163)는 제 1 투입구(41)의 안 쪽으로 삽입될 수 있다.
제 1 도어(160)가 전방 커버(40)에 대해 회동할 수 있도록 제 1 투입구(41)의 주변에 제 1 힌지가 마련되어, 제 1 도어 프레임(161)의 일측에 형성되는 제 1 힌지 결합부에 결합된다. 제 1 도어 프레임(161)의 타측에는 제 1 후크(166)가 마련되고, 제 1 후크(166)에 대응하여 전방 커버(40)에는 제 1 후크 수용부(42)가 마련되어 제 1 도어(160)가 제 1 투입구(41)를 닫은 상태로 유지될 수 있다.
제 1 도어(160)가 닫힌 상태에서도 제 1 세탁공간으로 세탁물을 투입할 수 있도록, 제 1 도어(160)는 보조 세탁물 투입구와 보조 세탁물 투입구를 여닫기 위한 보조도어(164)를 포함할 수 있다. 보조도어(164)는 제 1 도어 커버(162)에 회동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
제 1 도어(160)의 보조 세탁물 투입구를 통해 세탁물을 세탁기 내부로 투입하기 위해서는 세탁물이 도어 글래스(163)를 관통해야 한다. 이를 위해 도어 글래스(163)에는 글래스 관통 홀이 마련된다. 대안으로서, 도어 글래스의 상부를 함몰시켜 보조 세탁물 투입구의 후방으로는 도어 글래스가 배치되지 않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제 1 도어(160)의 보조 세탁물 투입구와 도어 글래스(163)의 글래스 관통 홀을 연결하기 위해, 제 1 도어(160)는 연결가이드부(165)를 포함할 수 있다. 연결가이드부(165)는 양단이 개방되며, 중공부를 갖는 관의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자세하게는 연결가이드부(165)의 일단은 보조 세탁물 투입구와 연결되고, 타단은 글래스 관통 홀과 연결된다. 개시된 실시예에서는 연결가이드부(165)가 전방에서 후방을 향해 하향으로 기울어지도록 마련될 수 있다. 즉, 보조 세탁물 투입구와 연결된 연결가이드부(165)의 일단이 타단 보다 높은 위치에 있다. 이러한 구성을 통해 보조 세탁물 투입구를 통해 제 1 드럼(110)의 내부로 세탁물을 투입하기 용이하다.
개시된 실시예에서는 제 1 도어(160)에 보조도어(164)가 마련된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제 1 도어(160)는 보조 세탁물 투입구, 보조 도어 및 연결가이드부 등이 마련되지 않고 구성될 수 있다.
제 1 세탁장치(10)는 전방 커버(40)의 제 1 투입구(41)와 제 1 터브(120)의 개구 사이에 배치되는 다이어프램(121)을 포함할 수 있다. 다이어프램(121)은 제 1 투입구(41)로부터 제 1 터브(120)의 개구에 이르는 통로를 형성하고, 제 1 드럼(110)의 회전 시에 전방 커버(40)쪽으로 전달되는 진동을 저감시킬 수 있다. 또한 다이어프램(121)의 일부분은 제 1 도어(160)와 전방 커버(40) 사이에 배치되어 제 1 터브(120)의 세탁수가 세탁기(1)의 외부로 누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제 2 세탁장치(20)는 내부에 제 2 세탁공간이 형성되는 제 2 드럼(210)과 내부에 제 2 드럼(210)을 수용하며 세탁행정 또는 헹굼행정에 사용될 세탁수 또는 헹굼수를 저장하는 제 2 터브(220)를 포함할 수 있다. 제 2 드럼(210) 및 제 2 터브(220)는 일면의 적어도 일부가 개방된 원통 형상으로 마련되고, 개방된 일면이 상방을 향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제 2 세탁장치(20)는 제 2 하우징(230)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 2 하우징(230)은 제 2 터브(220)가 지지되는 로어 프레임(231)과 제 2 세탁공간에 세탁물을 투입할 수 있는 제 2 투입구(234)가 마련되고 로어 프레임(231)의 상부에 안착되는 어퍼 프레임(232)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 2 하우징(230)은 좌측면과 우측면의 외관을 형성하는 측면 커버(233)를 포함할 수 있다.
제 2 세탁장치(20)는 제 2 투입구(234)를 개폐하기 위한 제 2 도어(260)를 포함할 수 있다. 제 2 도어(260)는, 제 2 투입구(234)에 대응되도록 마련되고, 어퍼 프레임(232)에 대해 회동 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다. 제 2 도어(260)는 제 2 도어 프레임(261)과 제 2 도어 커버(262)를 포함할 수 있다. 제 2 도어 커버(262)는 제 2 도어(260)가 제 2 투입구(234)를 닫은 상태에도 세탁기(1)의 외부에서 제 2 터브(220) 및 제 2 드럼(210)를 볼 수 있도록, 투명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제 2 도어(260)가 어퍼 프레임(232)에 대해 회동할 수 있도록 제 2 도어 프레임(261)의 좌우 양측에는 제 2 힌지가 마련되어, 제 2 투입구 주변에 형성되는 제 2 힌지 결합부에 결합된다. 제 2 도어 프레임(261)의 전방 측에는 래치 수용부(263)가 마련되고, 어퍼 프레임(232)에는 제 2 도어 프레임(261)의 래치 수용부(263)에 대응하여 래치 장치가 마련되어, 제 2 세탁장치(20)가 동작 중에 제 2 도어(260)가 제 2 투입구(234)를 닫은 상태로 유지될 수 있다.
제 2 드럼(210)은 상면이 개방된 원통형으로 마련되고, 제 2 터브(220)의 내부에서 회전이 가능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제 2 드럼(210)의 측면 및 저면에는 세탁수의 유동을 위한 다수의 제 2 통공(211)이 형성될 수 있다. 제 2 드럼(210)의 상부에는 고속 회전 시에 제 2 드럼(210)이 안정적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제 2 밸런서(212)가 장착될 수 있다. 제 2 드럼(210)의 내측면에는 세탁 중에 발생할 수 있는 이물질을 걸러낼 수 있도록 마련된 필터(300)가 부착될 수 있다.
제 2 드럼(210)의 저면에는 수류 발생을 위한 굴곡부(213)가 형성될 수 있다. 도면에 도시되어 있지 않으나, 제 2 세탁장치(20)는 제 2 드럼(210)의 내부에 배치되어 수류를 발생시키는 펄세이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 2 터브(220)는 원통형으로 마련되고, 현가장치(250)에 의해 로어 프레임(231)에 지지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 2 터브(220)는 4개의 현가장치(250)에 의해 로어 프레임(231)에 매달려있는 형태로 지지될 수 있다. 제 2 터브(220)의 상면에는 제 2 투입구(234)에 대응하도록 제 3 투입구(214)가 마련될 수 있고, 제 3 투입구(214)를 개폐하기 위한 제 3 도어(280)가 결합될 수 있다.
제 3 도어(280)는 제 3 도어 프레임(281)과 제 3 도어 커버(282)를 포함할 수 있다. 제 3 도어 커버(282)는 제 3 도어(280)가 제 3 투입구(214)를 닫은 상태에도 제 2 터브(220)의 외부에서 제 2 드럼(210)의 내부를 볼 수 있도록, 투명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제 3 도어(280)가 제 2 터브(220)에 대해 회동할 수 있도록 제 3 투입구(214)의 주변에 제 3 힌지가 마련되어, 제 3 도어 프레임(281)의 일측에 형성되는 제 3 힌지 결합부에 결합된다. 제 3 도어 프레임(281)의 타측에는 제 3 도어(280)를 개방할 수 있는 손잡이(283)가 마련될 수 있고, 손잡이(283)에는 제 2 후크(284)가 마련될 수 있다. 제 2 터브(220)에는 제 2 후크(284)에 대응하여 제 2 후크 수용부가 마련되어 제 3 도어(280)가 제 3 투입구(214)를 닫은 상태로 유지될 수 있고, 손잡이(283)를 당겼을 때 제 2 후크(284)가 제 2 후크 수용부에서 이탈되어 제 3 도어(280)를 열 수 있다.
제 2 세탁장치(20)는 제 2 터브(220)의 하측 외부에 배치되고 제 2 드럼(210)를 회전시키는 제 2 구동모터(240)를 포함할 수 있다. 제 2 드럼(210)의 저면에는 제 2 구동모터(240)의 동력을 전달하기 위한 제 2 구동축(241)이 연결될 수 있다. 제 2 구동축(241)의 일단은 제 2 드럼(210)의 저면판에 연결되고, 제 2 구동축(241)의 타단은 제 2 터브(220)의 하측벽의 외측으로 연장된다. 제 2 구동모터(240)가 제 2 구동축(241)을 구동하면, 제 2 구동축(241)에 연결된 제 2 드럼(210)가 제 2 구동축(241)을 중심으로 회전한다.
도면에 도시되어 있지 않으나, 제 2 드럼(210)의 저면에 펄세이터가 배치되는 경우, 제 2 세탁장치는 제 2 구동모터(240)로부터 발생된 구동력을 제 2 드럼(210)와 펄세이터에 동시 또는 선택적으로 전달할 수 있도록 동력절환장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 2 세탁장치(20)는 고온의 물로 세탁할 수 있는 기능을 포함할 수 있다. 고온의 물을 얻기 위하여, 제 2 터브(220)의 저면에는 제 2 터브(220)에 수용된 세탁수 또는 헹굼수를 가열할 수 있는 제 2 히터(290)가 배치될 수 있다.
제 2 터브(220) 내부의 물을 세탁기(1)의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제 2 배수펌프(270)는 제 1 세탁장치(10)에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 1 세탁장치(10)는 제 1 하우징(130)의 상부에 배치되는 제 2 배수펌프(270)를 포함할 수 있고, 제 2 배수펌프(270)에 의해 펌핑된 물을 세탁기(1)의 외부로 안내하는 제 2 배수호스(272)를 포함할 수 있다.
제 2 터브(220)의 저면에는 제 2 터브(220)의 물을 배수할 수 있는 제 2 배수구(273)가 형성될 수 있고, 제 2 터브(220)의 물이 제 2 배수펌프(270)로 유입될 수 있도록 제 2 배수구(273)와 제 2 배수펌프(270)는 제 2 연결호스(271)에 의해 연결될 수 있다.
제 2 세탁장치(20)는 제 2 터브(220)와 제 1 세탁장치(10)의 제 1 터브(120)에 세탁수를 공급할 수 있는 급수장치(400)를 포함할 수 있다. 급수장치(400)는 제 1 하우징(230)에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급수장치(400)는 어퍼 프레임(232)에 배치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제 2 투입구(234)의 후방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제 2 세탁장치(20)는 제 1 세탁장치(10)에 세제 를 공급할 수 있는 세제 공급장치(500)를 포함할 수 있다. 세제 공급장치(500)는 제 1 하우징(230)에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세제 공급장치(500)는 어퍼 프레임(232)에 배치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제 2 투입구(234)의 전방에 배치될 수 있다.
세탁기(1)는 전방 커버(40)의 상부에 배치되고 제 1 세탁장치(10) 및 제 2 세탁장치(20)를 조작하기 위한 컨트롤 패널(50)을 포함할 수 있고, 컨트롤 패널(50)은 사용자로부터 세탁기(1)의 동작 명령을 입력받는 입력부(51) 및 세탁기(1)의 동작 정보를 표시하는 표시부(52)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입력부(51) 및 표시부(52)는 하나의 터치 스크린으로 구현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컨트롤 패널(50)이 터치 스크린으로 구현되는 경우를 전제로 설명한다.
도 4a는 개시된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1)의 전원 오프(Off) 시 컨트롤 패널(50)을 예시한 도면이다.
도 4a를 참조하면, 컨트롤 패널(50)은 제 1 세탁장치(10)에 대한 각종 정보가 표시되는 제 1 영역S1과 제 2 세탁장치(20)에 대한 각종 정보가 표시되는 제 2 영역 S2로 구획될 수 있다.
또한, 컨트롤 패널(50)은 중앙에 세탁기(1) 전원의 온/오프(On/Off)를 제어하는 전원 아이콘 P가 표시될 수 있다. 전원 아이콘 P가 터치됨으로써, 컨트롤 패널(50)은 전원 턴 온(Turn-On) 명령을 입력 받을 수 있다.
도 4b는 개시된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1)의 전원 온(On) 시 컨트롤 패널(50)을 예시한 도면이다.
전원 아이콘 P의 터치에 의해 전원 턴 온 명령이 입력되면, 세탁기(1)에 전원이 공급될 수 있다. 그 결과, 컨트롤 패널(50)은 선택 가능한 다양한 오브젝트를 표시할 수 있다.
도 4b를 참조하면, 제 1 영역 S1에는 제 1 세탁장치(10)에서의 세탁을 시작 또는 정지하는 시작 아이콘St1, 제 1 세탁장치(10)가 수행하는 세탁 모드를 선택할 수 있는 모드 아이콘 M1, 선택된 모드에 따른 세탁 진행 시 추가적으로 수행하는 옵션을 선택할 수 있는 옵션 아이콘 O1, 제 1 세탁장치(10)의 세탁수의 목표 온도 설정 환경에 진입하기 위한 목표 온도 설정 환경 진입 아이콘 I1, 목표 온도 설정 환경에 진입한 후 목표 온도를 설정할 수 있는 목표 온도 설정 아이콘 I11, 제 1 세탁장치(10)의 제 1 드럼의 회전 속도를 선택할 수 있는 회전 속도 아이콘 I2, 제 1 세탁장치(10) 내의 세탁물의 오염 정도를 선택할 수 있는 오염 레벨 아이콘 I3, 제 1 세탁장치(10)와 관련된 각종 숫자 정보가 표시되는 숫자 정보 표시 영역 T1 등이 존재할 수 있다.
또한, 제 1 영역 S1은 활성화 상태임을 나타내는 활성화 인디케이터 L11, L12, 선택 모드를 나타내는 선택 모드 인디케이터 L13, 제 1 드럼의 선택 회전 속도를 나타내는 선택 회전 속도 인디케이터 L14, 제 1 세탁장치(10) 내의 세탁물의 선택된 오염 정도를 나타내는 선택 오염 레벨 인디케이터 L15 등이 더 표시될 수 있다.
여기서, 모드 아이콘 M1, 및 선택 모드 인디케이터 L13의 집합을 제 1 세탁 모드 선택 메뉴라 한다. 또한, 목표 온도 설정 환경 진입 아이콘 I1, 목표 온도 설정 환경 진입 아이콘 I1, 및 숫자 정보 표시 영역 T1의 집합을 목표 온도 설정 메뉴라 한다.
또한, 제 2 영역 S2에는 제 2 세탁장치(20)에서의 세탁을 시작 또는 정지하는 시작 아이콘St2, 제 2 세탁장치(20) 내의 세탁물의 세탁 모드를 선택할 수 있는 모드 아이콘 M2, 선택된 모드에 따른 세탁 진행 시 추가적으로 수행하는 옵션을 선택할 수 있는 옵션 아이콘 O2, 및 제 2 세탁장치(20)와 관련된 각종 숫자 정보가 표시되는 숫자 정보 표시 영역 T2 등이 존재할 수 있다.
또한, 제 2 영역 S2은 활성화 상태임을 나타내는 활성화 인디케이터 L21, L22, 선택 모드를 나타내는 선택 모드 인디케이터 L23 등이 더 표시될 수 있다.
여기서, 모드 아이콘 M2, 및 선택 모드 인디케이터 L23의 집합을 제 2 세탁 모드 선택 메뉴라 한다.
전원 턴 온 명령이 입력되면, 컨트롤 패널(50)은 제 1 영역 S1과 제 2 영역 S2를 모두 활성화시키고, 미리 정해진 시간 내에 터치가 존재하지 않는 영역을 비활성화 시킬 수 있다. 제 1 영역 S1, 또는 제 2 영역 S2가 비활성화 상태로 전환된 후, 해당 영역에 터치가 감지되면, 컨트롤 패널(50)은 터치가 감지된 영역을 다시 활성화 상태로 전환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세탁기(1)는 하나의 전원 공급 케이블을 통해 공급되는 전원을 제 1 세탁장치(10)와 제 2 세탁장치(20)에 각각 제공할 수 있다. 이 때, 전원이 공급되는 전원 공급 케이블은 정상 동작이 가능한 한계 전류를 가지며, 이는 제조 시 미리 결정될 수 있다. 또한, 전원 공급 케이블이 직접 연결되는 전기 콘센트 역시 한계 전류를 가질 수 있다. 아울러,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을 댁내 전기 콘센트로 전달하는 경로 상에 마련되는 전류 차단기는 차단 전류를 가지며, 차단 전류 이상의 전류가 흐를 경우 전원 공급 경로를 차단할 수 있다.
그 결과, 개시된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1)는 전류는 전원 공급 케이블의 한계 전류, 전원 공급 케이블과 연결되는 전기 콘센트의 한계 전류, 및 댁내 전류 차단기의 차단 전류 중 최소 값인 기준 전류 미만의 전류가 공급될 필요가 있다.
그러나, 세탁기(1)가 복수의 세탁장치를 포함하는 경우, 기준 전류 이상의 전류가 요구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복수의 세탁장치에 마련된 각각의 히터가 동시 구동하기 위해 요구되는 전류가 기준 전류 이상일 수 있다. 이 경우, 전원 공급 케이블이 과전류에 의해 정상 동작이 불가하거나, 전원 공급 케이블이 연결되는 콘센트의 고장, 또는 댁내 전류 차단기에 의해 세탁기(1)에 공급되는 전류가 차단되는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복수의 세탁장치에 마련된 각각의 히터가 동시 동작하지 않도록, 이들의 구동을 제어할 필요가 있다. 이하에서는, 과전류가 공급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하도록 컨트롤 패널(50)을 제어하는 세탁기(1)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5는 일 실시에에 따른 세탁기의 제어 블록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1)는, 제 1 세탁장치(10)의 제 1 터브에 회전력을 제공하는 제 1 구동모터; 제 2 세탁장치(20)의 제 2 터브에 회전력을 제공하는 제 2 구동모터; 제 1 세탁장치(10)의 제 1 터브 내에 존재하는 세탁수를 가열하는 제 1 히터(180); 제 2 세탁장치(20)의 제 2 터브 내에 존재하는 세탁수를 가열하는 제 2 히터(290); 제 1 터브 및 제 2 터브 중 적어도 하나에 세탁수를 급수하는 급수장치(400); 제 1 터브 내에 존재하는 세탁수의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 센서(181); 세탁기(1)에 대한 입출력을 수행하는 컨트롤 패널(50); 및 세탁기(1)의 각 구성을 제어하는 제어부(600); 를 포함할 수 있다.
도 5에 개시된 제 1 구동모터, 제 2 구동모터, 제 1 히터(180), 제 2 히터(290), 급수장치(400), 온도 센서(181), 및 컨트롤 패널(50)은 도 1 내지 3 및 4a, 4b에서 설명한 바와 같다. 이하에서는, 제어부(600)의 동작을 중심으로 과전류가 공급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하도록 컨트롤 패널(50)을 제어하는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제어부(600)는 제 1 히터(180) 및 제 2 히터(290) 중 어느 하나가 구동되면, 미리 정해진 기준 전류와 현재 구동 중인 히터에 제공되는 구동 전류와의 차이 이상의 구동 전류에 의해 제 1 히터(180) 및 제 2 히터(290) 중 나머지 하나를 구동하는 제어 명령의 입력이 불가하도록 컨트롤 패널(50)을 제어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6a 및 6b를 통해 제 1 히터(180)의 구동 중, 제어부(600)가 컨트롤 패널(50)을 제어하는 방법에 대하여 설명하고, 도 7a 내지 7c를 통해 제 2 히터(290)의 구동 중, 제어부(600)가 컨트롤 패널(50)을 제어하는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6a 및 6b는 일 실시예에 제어부가 제 1 히터의 구동 중 컨트롤 패널을 제어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a는 제 1 영역 S1이 활성화 상태이고, 제 2 영역 S2가 비활성화 상태인 경우를 나타낸다. 도 6a를 참조하면, 제 1 세탁장치(10)에 대하여 제 5 모드가 선택되고, 옵션은 선택된 바 없음을 확인할 수 있다. 이 때, 사용자는 컨트롤 패널(50) 상의 목표 온도 설정 아이콘 I11을 터치함으로써 목표 온도 설정 명령을 입력할 수 있다. 그 결과, 세탁기(1)는 제 1 터브 내에 존재하는 세탁수의 목표 온도를 설정할 수 있다. 컨트롤 패널(50)은 숫자 정보 표시 영역 T1을 통해 설정된 목표 온도를 표시할 수 있고, 도 6a의 경우 70℃가 목표 온도로 설정된 경우를 예시한다.
그 다음, 사용자가 컨트롤 패널(50)의 시작 아이콘 St1을 터치함으로써 제 1 세탁장치(10)에서의 세탁 시작 명령을 입력하면, 제 1 세탁장치(10)는 설정된 모드 및 설정된 목표 온도에 따라 세탁을 수행할 수 있다. 이 때, 제 1 세탁장치(10)의 제어부(600)는 제 1 터브 내의 세탁수가 설정된 목표 온도에 도달하도록 제 1 히터(180)를 구동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600)는 설정된 제 1 목표 온도에 대응되는 구동 전류를 제 1 히터(180)에 공급할 수 있고, 제 1 히터(180)는 공급된 구동 전류에 따라 세탁수를 가열할 수 있다.
제 1 히터(180)가 구동 중, 컨트롤 패널(50)의 제 2 영역 S2에 터치가 감지될 수 있고, 터치에 따라 제 2 영역 S2가 활성화 될 수 있다. 그 결과, 컨트롤 패널(50)은 제 2 세탁 모드 선택 메뉴를 제공할 수 있다. 도 6b는 제 2 영역 S2가 활성화 된 경우를 예시한다.
제 2 영역 S2가 활성화 되면, 제어부(600)는 세탁기(1)에 기준 전류 이상의 전류가 공급되는 것을 차단하도록 컨트롤 패널(50)의 제 2 영역 S2를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기준 전류란 세탁기(1)의 정상 동작이 불가한 최저 전류를 의미하며, 일 실시예에 따른 기준 전류는 전원 공급 케이블의 한계 전류, 전원 공급 케이블과 연결되는 전기 콘센트의 한계 전류, 및 댁내 전류 차단기의 차단 전류 중 최소 값으로 결정될 수 있다. 이와는 달리, 기준 전류는 제조 시 미리 결정되거나, 제조 후 외부의 입력 또는 세탁기(1) 내부 연산에 의해 결정될 수도 있다.
세탁기(1)에 기준 전류 이상의 전류가 공급되지 않도록, 제어부(600)는 기준 전류와 제 1 히터(180)에 공급되는 제 1 구동 전류와의 차이 이상의 제 2 구동 전류에 의해 제 2 히터(290)가 구동되는 제어 명령이 입력되지 않도록 컨트롤 패널(50)의 제 2 영역 S2를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600)는 설정된 제 1 목표 온도에 따라, 세탁수의 가열이 필요한 모드의 선택이 불가하도록 제 1 세탁 모드 선택 메뉴를 제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2 영역 S2의 모드 아이콘 M2는 제 2 히터(290)가 구동되지 않는 제 1 모드를 선택하는 제 1 모드 아이콘과, 제 2 히터(290)가 구동되는 제 2 모드를 선택하는 제 2 모드 아이콘을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제 2 세탁장치(20)가 제 2 모드에 따라 세탁을 시작하면, 제 2 히터(290)는 기준 전류와 제 1 구동 전류 차이 이상의 제 2 구동 전류에 의해 구동할 수 있다.
만약, 컨트롤 패널(50)에 제 2 모드 선택 명령이 입력되어 제 2 세탁장치(20)가 세탁을 수행할 경우, 세탁기(1)에는 과전류가 공급되어 장치의 손상 내지는 전류의 차단이 발생할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제어부(600)는 제 2 모드 선택 명령의 입력이 불가하도록 컨트롤 패널(50)을 제어할 수 있다.
도 6b를 참조하면, 사용자는 제 2 모드 아이콘을 터치하나, 컨트롤 패널(50)은 제 1 모드가 선택되었음을 선택 모드 인디케이터 L23를 통해 표시하고 있다. 즉, 제어부(600)의 제어에 따라, 컨트롤 패널(50)은 제 2 모드 아이콘에 대한 터치를 제 2 모드 선택 명령으로 인식하지 않음으로써, 제 2 모드 선택 명령의 입력이 불가한 상태를 제공할 수 있다.
이와는 달리, 컨트롤 패널(50)은 제 2 모드 아이콘을 표시하지 않을 수도 있다. 그 결과, 사용자는 제 2 모드 아이콘에 대한 터치가 불가하므로, 제 2 모드 선택 명령의 입력이 불가할 수 있다.
도 7a 내지 7c는 일 실시예에 제어부가 제 2 히터의 구동 중 컨트롤 패널을 제어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a는 제 2 영역 S2가 활성화 상태이고, 제 1 영역 S1이 비활성화 상태인 경우를 나타낸다. 도 7a를 참조하면, 제 2 세탁장치(20)에 대하여 제 2 모드가 선택되고, 옵션은 선택된 바 없음을 확인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제 2 모드의 선택 시 제 2 히터(290)가 구동되므로, 숫자 정보 표시 영역 T2에는 제 2 터브 내에 존재하는 세탁수에 대한 목표 온도가 표시될 수 있다. 도 7a의 경우, 90℃가 제 2 목표 온도로 설정된 경우를 예시한다.
그 다음, 사용자가 컨트롤 패널(50)의 시작 아이콘 St2를 터치함으로써 제 2 세탁장치(20)에서의 세탁 시작 명령을 입력하면, 제 2 세탁장치(20)는 설정된 모드에 따라 세탁을 수행할 수 있다. 그 결과, 제 2 세탁장치(20)의 제어부(600)는 제 2 터브 내의 세탁수가 제 2 모드에 따른 목표 온도에 도달하도록 제 2 히터(290)를 구동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600)는 제 2 모드의 제 2 목표 온도에 대응되는 구동 전류를 제 2 히터(290)에 공급할 수 있고, 제 2 히터(290)는 공급된 구동 전류에 따라 세탁수를 가열할 수 있다.
제 2 히터(290)가 구동 중, 컨트롤 패널(50)의 제 1 영역 S1에 터치가 감지될 수 있고, 터치에 따라 제 1 영역 S1가 활성화 될 수 있다. 그 결과, 컨트롤 패널(50)은 제 1 세탁 모드 선택 메뉴 및 목표 온도 설정 메뉴를 제공할 수 있다. 도 7b는 제 1 영역 S1이 활성화 된 경우를 예시한다. 도 7b에서 사용자는 제 1 세탁장치(10)에 대하여 제 3 모드를 선택하였음을 확인할 수 있다.
이 때, 제어부(600)는 세탁기(1)에 기준 전류 이상의 전류가 공급되는 것을 차단하도록 컨트롤 패널(50)의 제 1 영역 S1을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600)는 기준 전류와 제 2 히터(290)에 공급되는 제 2 구동 전류와의 차이 이상의 제 1 구동 전류에 의해 제 1 히터(180)가 구동되는 제어 명령이 입력되지 않도록 컨트롤 패널(50)의 제 1 영역 S1을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600)는 설정된 제 2 목표 온도에 따라, 컨트롤 패널에서 제공하는 목표 온도 설정 메뉴를 변경할 수 있다.
제 1 히터(180)는 설정된 제 1 목표 온도에 따른 제 1 구동 전류에 의해 구동되므로, 제어부(600)는 기준 전류와 제 2 구동 전류 차이 이상의 제 1 구동 전류에 대응되는 목표 온도의 설정이 불가하도록 컨트롤 패널(50)의 제 1 영역 S1을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600)는 제 2 목표 온도가 미리 설정된 제 2 임계 온도 이상이면, 제 1 목표 온도가 제 1 임계 온도 이상 설정될 수 없도록, 목표 온도 설정 메뉴를 제한할 수 있다. 여기서, 제 1 임계 온도에 대응되는 제 1 구동 전류 및 제 2 임계 온도에 대응되는 제 2 구동 전류의 합이 기준 전류 이하인 조건을 만족하는 기술적 사항 안에서, 제 1 임계 온도와 제 2 임계 온도가 결정될 수 있다.
이에 앞서, 제어부(600)는 목표 온도 설정 환경 진입 시, 기준 전류와 제 2 구동 전류 차이 미만의 제 1 구동 전류에 대응되는 목표 온도의 설정을 유도하도록, 숫자 정보 표시 영역 T1 상에 표준 목표 온도를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컨트롤 패널(50)은 목표 온도 설정 환경 진입 아이콘 I1의 터치를 감지함으로써 목표 온도 설정 환경 진입 명령을 입력 받을 수 있다. 그 결과, 컨트롤 패널(50)은 목표 온도 설정 명령을 입력 받을 수 있는 목표 온도 설정 환경에 진입할 수 있다. 이 때, 컨트롤 패널(50)의 숫자 정보 표시 영역 T1은 표준 목표 온도를 표시하여, 사용자의 과전류를 방지하는 목표 온도 설정을 유도할 수 있다.
만약, 기준 전류와 제 2 구동 전류 차이와 동일한 제 1 구동 전류에 대응되는 목표 온도가 60℃인 경우, 숫자 정보 표시 영역 T1은 기준 전류와 제 2 구동 전류 차이 미만의 제 1 구동 전류에 대응되는 60℃ 미만의 표준 목표 온도를 표시할 수 있다. 도 7b에서는 숫자 정보 표시 영역 T1이 표준 목표 온도로서 40℃를 표시하는 경우를 예시한다.
표준 목표 온도가 표시되면, 사용자는 목표 온도 설정 아이콘 I11을 터치함으로써 목표 온도 설정 명령을 입력할 수 있다. 이 때, 제어부(600)는 기준 전류와 제 2 구동 전류 차이 이상의 제 1 구동 전류에 대응되는 목표 온도의 설정이 불가하도록 컨트롤 패널(50)의 제 1 영역 S1을 제어할 수 있다.
만약, 기준 전류와 제 2 구동 전류 차이와 동일한 제 1 구동 전류에 대응되는 목표 온도가 60℃인 경우, 제 1 임계 온도가 60℃로 설정될 수 있다. 그 결과, 제어부(600)는 제 1 임계 온도인 60℃ 이상의 온도를 목표 온도로 설정하는 것이 불가하도록 컨트롤 패널(50)의 제 1 영역 S1을 제어할 수 있다. 도 7c를 참조하면, 사용자가 목표 온도 설정 아이콘 I11을 터치함으로써 60℃ 이상의 온도를 목표 온도로 설정하고자 하더라도, 컨트롤 패널(50)은 해당 터치를 목표 온도 설정 명령으로 인식하지 않음으로써, 60℃ 이상의 목표 온도 설정 명령이 불가한 상태를 제공할 수 있다. 그 결과, 숫자 정보 표시 영역 T1은 목표 온도가 60℃ 미만인 59℃로 설정됨을 표시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제 2 히터(290)가 구동 중인 경우, 사용자는 기준 전류와 제 2 구동 전류 차이 미만의 제 1 구동 전류에 대응되는 목표 온도만이 설정 가능할 수 있다. 목표 온도의 설정이 완료된 후, 사용자는 제 1 세탁장치(10)에서의 세탁을 시작하는 시작 아이콘 St1을 터치함으로써 세탁 시작 명령을 입력할 수 있다.
제 2 히터(290)가 구동 중 제 1 세탁장치(10)에 대한 세탁 시작 명령이 입력되면, 제어부(600)는 제 1 히터(180)와 제 2 히터(290)를 미리 정해진 우선 순위에 따라 순차적으로 구동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600)는 제 2 세탁장치(20)의 세탁수가 제 2 목표 온도에 도달하기 전, 제 1 세탁장치(10)의 세탁수가 상기 제 1 목표 온도에 도달하도록 제 1 히터(180) 및 상기 제 2 히터(290)의 구동을 제어할 수 있다.
도 8은 일 실시예에 따른 제 1 히터 및 제 2 히터에 시간에 따라 공급되는 구동 전류를 예시한 그래프이다.
도 8과 같이, 먼저 제 2 히터(290)에 제 2 구동 전류가 공급될 수 있다. 그 결과, 제 2 히터(290)는 제 2 구동 전류에 의해 구동 중일 수 있다.
제 2 히터(290)의 구동 중, t1 시점에 제 1 세탁장치(10)에 대한 세탁 시작 명령이 입력되면, 제어부(600)는 제 2 히터(290)에 공급되는 제 2 구동 전류를 차단함으로써 제 2 히터(290)의 구동을 중단할 수 있다.
그 다음, 제어부(600)는 제 1 히터(180)에 제 1 구동 전류를 공급함으로써, 제 1 히터(180)를 구동할 수 있다. 이 때, 제어부(600)는 온도센서가 감지하는 제 1 터브 내의 세탁수 온도를 확인할 수 있다. 만약, 제 1 터브 내의 세탁수가 목표 온도에 도달(t2 시점)한 경우, 제어부(600)는 제 1 히터(180)에 공급되는 제 1 구동 전류를 차단함으로써 제 1 히터(180)의 구동을 중단할 수 있다.
제 1 히터(180)의 구동을 중단한 다음, 제어부(600)는 제 2 히터(290)에 제 2 구동 전류를 재공급함으로써, 제 2 히터(290)를 재구동 할 수 있다. 제어부(600)는 미리 정해진 구동 시간동안 제 2 히터(290)에 제 2 구동 전류를 공급하고, 제 2 구동 전류의 공급이 충분한 것으로 판단되는 t3 시점에 제 2 구동 전류 공급을 차단함으로써 제 2 히터(290)의 구동을 중단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세탁기(1)는 제 1 히터(180) 및 제 2 히터(290)의 동시 구동을 차단함으로써, 동시 구동에 따른 과전류의 유입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지금까지는 컨트롤 패널(50)이 터치 스크린으로 구현되는 경우를 예시하였으나, 컨트롤 패널(50)의 입력부(51)가 버튼 형식으로 구현되는 경우에도, 제어부(600)는 컨트롤 패널(50)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600)는 특정 제어 명령의 입력이 불가하도록, 이에 대응되는 버튼이 가압되더라도 해당 제어 명령으로 인식하지 않도록 컨트롤 패널(50)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지금까지는 제어부(600)가 제 1 히터(180)와 제 2 히터(290)의 구동에 따른 과전류 유입을 방지하기 위하여 컨트롤 패널(50)을 제어하는 방법을 설명하였다. 이와는 달리, 제어부(600)는 제 1 세탁장치(10)의 일 구성과 제 2 세탁장치(20)의 일 구성의 동시 구동에 따른 과전류 유입이 발생하지 않도록, 컨트롤 패널(50)을 제어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제 1 세탁장치(10)의 제 1 구동 모터(140)에 공급되는 제 3 구동 전류에 따라 제 1 터브가 특정 속도로 회전 중이라면, 제어부(600)는 기준 전류와 제 3 구동 전류의 차이 이상의 제 4 구동 전류에 따른 속도로 제 2 터브가 회전하는 제어 명령의 입력이 불가하도록 컨트롤 패널(50)을 제어할 수 있다.
도 9는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 제어방법의 흐름도이다.
먼저, 세탁기(1)는 제 1 세탁장치(10)의 제 1 히터(180)가 구동 중인지 확인할 수 있다.(710) 만약, 제 1 히터(180)가 구동 중이 아니라면, 세탁기(1)는 반복하여 이를 확인할 수 있다.
반면, 제 1 히터(180)가 구동 중이라면, 세탁기(1)는 컨트롤 패널(50)의 제 2 영역이 활성화 상태인지 확인할 수 있다.(720) 여기서 제 2 영역은 제 2 세탁장치(20)에 대한 제어 명령을 입력 받는 영역을 의미할 수 있고, 활성화 상태란 제어 명령의 입력이 가능한 상태를 의미할 수 있다.
만약, 컨트롤 패널(50)의 제 2 영역이 활성화 상태가 아니라면, 세탁기(1)는 컨트롤 패널(50)의 제 2 영역에 대한 활성화 명령이 입력되었는지 확인할 수 있다.(730) 활성화 명령이 입력되지 않았다면, 세탁기(1)는 반복하여 이를 확인할 수 있다.
반면, 화성화 명령이 입력되었다면, 세탁기(1)는 컨트롤 패널(50)의 제 2 영역을 활성화 할 수 있다.(740)
컨트롤 패널(50)의 제 2 영역이 활성화 상태이거나, 활성화 명령에 의해 활성화 상태가 된 경우, 세탁기(1)는 제 2 세탁장치(20)의 제 2 히터(290)가 구동되는 제 2 모드의 선택이 불가하도록 컨트롤 패널(50)을 제어할 수 있다.(750) 예를 들어, 컨트롤 패널(50)은, 세탁기(1)의 제어부(600)의 제어에 따라, 제 2 모드 아이콘의 터치를 제 2 모드 선택 명령으로 인식하지 않거나, 제 2 모드 아이콘 자체를 표시하지 않을 수 있다.
그 결과, 제 1 히터(180)의 구동 중, 사용자는 제 2 세탁장치(20)가 제 2 히터(290)를 구동하는 세탁 모드에 따라 세탁을 수행하는 제어 명령을 입력할 수 없다. 이를 통해, 제 1 히터(180)와 제 2 히터(290)의 동시 구동에 따른 과전류 유입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도 10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 제어방법의 흐름도이다.
먼저, 세탁기(1)는 제 2 세탁장치(20)의 제 2 히터(290)가 구동 중인지 확인할 수 있다.(810) 만약, 제 2 히터(290)가 구동 중이 아니라면, 세탁기(1)는 반복하여 이를 확인할 수 있다.
반면, 제 2 히터(290)가 구동 중이라면, 세탁기(1)는 컨트롤 패널(50)의 제 1 영역이 활성화 상태인지 확인할 수 있다.(820) 여기서 제 1 영역은 제 1 세탁장치(10)에 대한 제어 명령을 입력 받는 영역을 의미할 수 있고, 활성화 상태란 제어 명령의 입력이 가능한 상태를 의미할 수 있다.
만약, 컨트롤 패널(50)의 제 1 영역이 활성화 상태가 아니라면, 세탁기(1)는 컨트롤 패널(50)의 제 1 영역에 대한 활성화 명령이 입력되었는지 확인할 수 있다.(830) 활성화 명령이 입력되지 않았다면, 세탁기(1)는 반복하여 이를 확인할 수 있다.
반면, 화성화 명령이 입력되었다면, 세탁기(1)는 컨트롤 패널(50)의 제 1 영역을 활성화 할 수 있다.(840)
컨트롤 패널(50)의 제 1 영역이 활성화 상태이거나, 활성화 명령에 의해 활성화 상태가 된 경우, 세탁기(1)는 표준 목표 온도를 표시하도록 컨트롤 패널(50)을 제어할 수 있다.(850) 여기서, 표준 목표 온도는 기준 전류와 제 2 구동 전류 차이와 동일한 제 1 구동 전류에 대응되는 목표 온도인 임계 온도 미만의 값으로 결정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세탁기(1)는 사용자가 임계 온도 미만의 온도로 목표 온도를 설정하도록 유도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세탁기(1)는 제 1 세탁장치(10)에 대한 임계 온도 이상의 목표 온도 설정 명령의 입력이 불가하도록 컨트롤 패널(50)을 제어할 수 있다.(860) 예를 들어, 컨트롤 패널(50)은, 세탁기(1)의 제어부(600)의 제어에 따라, 임계 온도 이상의 목표 온도 설정 아이콘 I11의 터치를 목표 온도 설정 명령으로 인식하지 않을 수 있다.
그 결과, 제 2 히터(290)의 구동 중, 사용자는 제 2 세탁장치(20)가 임계 온도 이상의 세탁수를 이용하여 세탁을 수행하는 제어 명령을 입력할 수 없다. 이를 통해, 제 1 히터(180)와 제 2 히터(290)의 동시 구동에 따른 과전류 유입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도 11은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 제어방법의 흐름도이다.
먼저, 세탁기(1)는 제 2 세탁장치(20)의 제 2 히터(290)가 구동 중인지 확인할 수 있다.(910) 만약, 제 2 히터(290)가 구동 중이 아니라면, 세탁기(1)는 반복하여 이를 확인할 수 있다.
반면, 제 2 히터(290)가 구동 중이라면, 세탁기(1)는 제 1 세탁장치(10)에 대한 목표 온도 설정 명령을 포함하는 세탁 시작 명령이 입력되었는지 확인할 수 있다.(920) 세탁 시작 명령이 입력되기 전이라면, 세탁기(1)는 반복하여 이를 확인할 수 있다.
세탁 시작 명령이 입력되었다면, 세탁기(1)는 제 2 히터(290)의 구동을 중단(930)하고, 제 1 히터(180)의 구동을 시작할 수 있다.(940) 도 11에서는 이 과정이 순차적으로 진행되는 경우를 예시하나, 제 2 히터(290)의 구동을 중단하는 시점과 제 1 히터(180)의 구동을 시작하는 시점이 동일할 수도 있다.
그 다음, 세탁기(1)는 제 1 세탁 장치의 제 1 터브 내에 존재하는 세탁수가 목표 온도에 도달하였는지 확인할 수 있다.(950) 만약, 세탁수가 목표 온도에 도달하지 않았다면, 세탁기(1)는 반복하여 이를 확인할 수 있다.
반면, 세탁수가 목표 온도에 도달한 경우, 세탁기(1)는 제 1 히터(180)의 구동을 중단(960)하고, 제 2 히터(290)를 재구동할 수 있다.(970) 도 11에서는 이 과정이 순차적으로 진행되는 경우를 예시하나, 제 1히터의 구동을 중단하는 시점과 제 2 히터(290)의 재구동을 시작하는 시점이 동일할 수도 있다.
이를 통해, 제 1 히터(180)와 제 2 히터(290)의 동시 구동에 따른 과전류 유입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1: 세탁기
10: 제 1 세탁장치
20: 제 2 세탁장치
50: 컨트롤 패널
140: 제 1 구동 모터
180: 제 1 히터
181: 온도 센서
240: 제 2 구동 모터
290: 제 2 히터
400: 급수장치
600: 제어부

Claims (16)

  1. 제 1 터브 내에 저장된 세탁수를 가열하는 제 1 히터;
    제 2 터브 내에 저장된 세탁수를 가열하는 제 2 히터;
    상기 제 1 터브에 저장된 세탁수의 목표 온도를 설정하는 목표 온도 설정 메뉴를 제공하는 컨트롤 패널; 및
    상기 제 1 터브에 저장된 세탁수가 제 1 목표 온도에 도달하도록 상기 제 1 히터를 구동하고, 상기 제 2 터브에 저장된 세탁수가 제 2 목표 온도에 도달하도록 상기 제 2 히터를 구동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 2 목표 온도에 따라, 상기 컨트롤 패널에서 제공하는 상기 목표 온도 설정 메뉴를 변경하는 세탁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터브는,
    전방에 배치되는 제 1 세탁물 투입구; 를 포함하고,
    상기 제 2 터브는,
    상부에 배치되는 제 2 세탁물 투입구; 를 포함하는 세탁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 2 목표 온도가 미리 설정된 제 2 임계 온도 이상인 경우, 상기 제 1 목표 온도가 제 1 임계 온도 이상 설정될 수 없도록, 상기 목표 온도 설정 메뉴를 제한하는 세탁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 2 터브에 저장된 세탁수가 상기 제 2 목표 온도에 도달하기 전, 상기 제 1 터브에 저장된 세탁수가 상기 제 1 목표 온도에 도달하도록 상기 제 1 히터 및 상기 제 2 히터의 구동을 제어하는 세탁기.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 패널은,
    상기 제 2 터브 내에 수용된 세탁물을 서로 다른 조건에 따라 세탁하는 복수의 세탁 모드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도록 세탁 모드 선택 메뉴를 제공하고,
    상기 복수의 세탁 모드는,
    상기 제 2 터브 내에 저장된 세탁수의 가열이 필요한 모드 및 상기 제 2 터브 내에 저장된 세탁수의 가열이 불요한 모드를 포함하는 세탁기.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 1 목표 온도에 따라, 상기 세탁수의 가열이 필요한 모드의 선택이 불가하도록 상기 세탁 모드 선택 메뉴를 제한하는 세탁기.
  7. 세탁수를 저장하는 제 1 터브, 및 상기 제 1 터브에 저장된 세탁수를 가열하는 제 1 히터를 포함하는 제 1 세탁장치;
    세탁수를 저장하는 제 2 터브 및 상기 제 2 터브에 저장된 세탁수를 가열하는 제 2 히터를 포함하는 제 2 세탁장치; 및
    상기 제 1 터브에 수용된 세탁물을 서로 다른 조건에 따라 세탁하는 복수의 제 1 세탁 모드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도록 제 1 세탁 모드 선택 메뉴를 제공하고, 상기 제 2 터브에 수용된 세탁물을 서로 다른 조건에 따라 세탁하는 복수의 제 2 세탁 모드 중 하나를 선택하도록 제 2 세탁 모드 선택 메뉴를 제공하는 컨트롤 패널; 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세탁 모드는,
    상기 제 1 터브 내에 저장된 세탁수의 가열이 필요한 모드 및 상기 제 1 터브 내에 저장된 세탁수의 가열이 불요한 모드를 포함하고,
    상기 제 2 세탁 모드는,
    상기 제 2 터브 내에 저장된 세탁수의 가열이 필요한 모드 및 상기 제 2 터브 내에 저장된 세탁수의 가열이 불요한 모드를 포함하고,
    상기 컨트롤 패널은,
    상기 제 1 세탁장치가 상기 제 1 터브 내에 저장된 세탁수의 가열이 필요한 모드로 동작하면, 상기 제 2 터브 내에 저장된 세탁수의 가열이 필요한 모드의 선택이 불가하도록, 상기 제 2 세탁 모드 선택 메뉴를 제한하여 제공하는 세탁기.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세탁장치는,
    전방에 배치되는 제 1 세탁물 투입구; 를 포함하고,
    상기 제 2 세탁장치는,
    상부에 배치되는 제 2 세탁물 투입구; 를 포함하는 세탁기.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 패널은,
    상기 제 2 세탁장치가 상기 제 2 터브 내에 저장된 세탁수의 가열이 필요한 모드 중 제 2 임계 온도 이상 상기 제 2 터브 내에 저장된 세탁수의 가열이 필요한 모드로 동작하면, 상기 제 1 터브 내에 저장된 세탁수의 가열이 필요한 모드 중 제 1 임계 온도 이상 상기 제 1 터브 내에 저장된 세탁수의 가열이 필요한 모드의 선택이 불가하도록, 상기 제 1 세탁 모드 선택 메뉴를 제한하여 제공하는 세탁기.
  10.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세탁 장치는,
    상기 제 1 터브 내에 저장된 세탁수의 가열이 필요한 모드에 따라 동작 시, 상기 제 1 터브에 저장된 세탁수가 제 1 목표 온도에 도달하도록 상기 제 1 히터를 구동하고,
    상기 제 2 세탁장치는,
    상기 제 2 터브 내에 저장된 세탁수의 가열이 필요한 모드에 따라 동작 시, 상기 제 2 터브에 저장된 세탁수가 제 2 목표 온도에 도달하도록 상기 제 2 히터를 구동하는 세탁기.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세탁장치는,
    상기 제 2 터브에 저장된 세탁수가 상기 제 2 목표 온도에 도달하기 전, 상기 제 1 터브에 저장된 세탁수가 상기 제 1 목표 온도에 도달하도록 상기 제 1 히터를 구동하는 세탁기.
  12. 제 1 터브 내에 저장된 세탁수를 가열하는 제 1 히터; 제 2 터브 내에 저장된 세탁수를 가열하는 제 2 히터; 및 상기 제 1 터브에 저장된 세탁수의 목표 온도를 설정하는 목표 온도 설정 메뉴를 제공하는 컨트롤 패널; 을 포함하는 세탁기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 2 터브에 저장된 세탁수의 제 2 목표 온도를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제 2 목표 온도에 따라, 상기 제 1 터브에 저장된 세탁수의 제 1 목표 온도가 제 1 임계 온도 이상으로 설정될 수 없도록, 상기 목표 온도 설정 메뉴를 제한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세탁기의 제어방법.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터브에 저장된 세탁수가 상기 제 1목표 온도에 도달한 것으로 확인되면, 상기 제 2 히터를 구동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세탁기의 제어방법.
  14.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히터가 구동 중인 것으로 확인되면, 상기 제 2 히터의 구동을 중단하고 상기 제 1 히터를 구동하는 단계; 및
    상기 제 1 터브에 저장된 세탁수가 상기 제 1목표 온도에 도달했다고 판단되면, 상기 제 2 히터를 구동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세탁기의 제어방법.
  15.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 패널은,
    상기 제 2 터브 내에 수용된 세탁물을 서로 다른 조건으로 세탁하는 복수의 세탁 모드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도록 세탁 코스 선택 메뉴를 제공하고,
    상기 복수의 세탁 모드는,
    상기 제 2 터브 내에 저장된 세탁수의 가열이 필요한 모드 및 상기 제 2 터브 내에 저장된 세탁수의 가열이 필요하지 않은 모드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목표 온도에 따라, 상기 제 2 터브 내에 저장된 세탁수의 가열이 필요한 코스는 선택될 수 없도록 상기 세탁 모드 선택 메뉴를 제한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세탁기의 제어방법.
  16.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목표 온도 설정 메뉴를 제한하는 단계는,
    상기 제 2 목표 온도가 미리 설정된 제 2 임계 온도 이상인 경우, 상기 제 1 터브에 저장된 세탁수의 제 1 목표 온도가 제 1 임계 온도 이상으로 설정될 수 없도록, 상기 목표 온도 설정 메뉴를 제한하는 세탁기의 제어방법.
KR1020160178527A 2016-12-23 2016-12-23 세탁기 및 그 제어방법 KR102598167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78527A KR102598167B1 (ko) 2016-12-23 2016-12-23 세탁기 및 그 제어방법
EP17199145.8A EP3339495B1 (en) 2016-12-23 2017-10-30 Washing machin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CN201711402754.XA CN108239851B (zh) 2016-12-23 2017-12-22 洗衣机及其控制方法
US15/854,323 US10801150B2 (en) 2016-12-23 2017-12-26 Washing machine capable of controlling control panel related to operation of heaters
US17/017,019 US11566362B2 (en) 2016-12-23 2020-09-10 Washing machine capable of controlling control panel related to operation of heater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78527A KR102598167B1 (ko) 2016-12-23 2016-12-23 세탁기 및 그 제어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74445A true KR20180074445A (ko) 2018-07-03
KR102598167B1 KR102598167B1 (ko) 2023-11-06

Family

ID=601912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78527A KR102598167B1 (ko) 2016-12-23 2016-12-23 세탁기 및 그 제어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2) US10801150B2 (ko)
EP (1) EP3339495B1 (ko)
KR (1) KR102598167B1 (ko)
CN (1) CN108239851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20510B1 (ko) * 2017-04-11 2022-07-14 삼성전자주식회사 세탁기 및 상기 세탁기의 제어 방법
USD942715S1 (en) * 2018-10-08 2022-02-01 Whirlpool Corporation Fabric care appliance
US11346039B2 (en) 2019-05-08 2022-05-31 Whirlpool Corporation Door assembly for a laundry treating appliance
EP3875656A1 (en) * 2020-03-04 2021-09-08 LG Electronics Inc. Laundry treating apparatus
CN114250572A (zh) * 2020-09-21 2022-03-29 无锡小天鹅电器有限公司 加热控制方法、装置、设备和存储介质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19082A (ko) * 2009-08-19 2011-02-25 삼성전자주식회사 세탁기 및 그 제어방법
CN104790168A (zh) * 2015-04-21 2015-07-22 无锡小天鹅股份有限公司 洗衣机
CN105734896A (zh) * 2014-12-12 2016-07-06 青岛海尔滚筒洗衣机有限公司 一种双滚筒洗衣机控制方法
CN106032625A (zh) * 2015-03-11 2016-10-19 青岛海尔滚筒洗衣机有限公司 一种洗衣机和洗衣机的控制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34665B1 (ko) 2007-08-16 2009-12-31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탁장치의 제어방법
KR101075227B1 (ko) * 2006-07-25 2011-10-19 삼성전자주식회사 2조식 세탁기의 운전제어방법
KR101297991B1 (ko) 2006-09-07 2013-08-26 동부대우전자 주식회사 세탁건조 복합기의 건조장치 및 건조방법
KR101435814B1 (ko) * 2007-11-27 2014-08-29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탁물 처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1435813B1 (ko) 2007-11-27 2014-08-29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탁물 처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
AU2009290586B2 (en) * 2008-09-15 2014-04-03 Haier Us Appliance Solutions, Inc. Energy management of household appliances
US8010211B2 (en) * 2008-10-23 2011-08-30 Whirlpool Corporation Appliance with a service interface for communicating with a consumable holder
KR20100119451A (ko) * 2009-04-30 2010-11-09 삼성전자주식회사 세탁기 및 그 제어방법
US8522579B2 (en) 2009-09-15 2013-09-03 General Electric Company Clothes washer demand response with dual wattage or auxiliary heater
KR102210011B1 (ko) * 2013-09-05 2021-02-01 삼성전자주식회사 세탁기 및 그 제어방법
CN105734915B (zh) * 2014-12-12 2019-02-05 青岛海尔滚筒洗衣机有限公司 一种多滚筒洗衣机加热控制方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19082A (ko) * 2009-08-19 2011-02-25 삼성전자주식회사 세탁기 및 그 제어방법
CN105734896A (zh) * 2014-12-12 2016-07-06 青岛海尔滚筒洗衣机有限公司 一种双滚筒洗衣机控制方法
CN106032625A (zh) * 2015-03-11 2016-10-19 青岛海尔滚筒洗衣机有限公司 一种洗衣机和洗衣机的控制方法
CN104790168A (zh) * 2015-04-21 2015-07-22 无锡小天鹅股份有限公司 洗衣机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80179689A1 (en) 2018-06-28
US10801150B2 (en) 2020-10-13
KR102598167B1 (ko) 2023-11-06
US11566362B2 (en) 2023-01-31
CN108239851B (zh) 2020-07-21
EP3339495B1 (en) 2021-04-14
EP3339495A1 (en) 2018-06-27
US20200407904A1 (en) 2020-12-31
CN108239851A (zh) 2018-07-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8239851B (zh) 洗衣机及其控制方法
CN108570790B (zh) 洗衣机及其控制方法
AU2016306814B2 (en) Washing machine and control method therefor
US11078611B2 (en) Washing machine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102351650B1 (ko) 세탁기 및 그 제어방법
EP2597187A1 (en) Drum-type washing machine
US20150121630A1 (en) Washing machine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9970142B2 (en) Washing machine having detergent supply device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JP2018000856A (ja) 洗濯機
JP5753974B2 (ja) ドラム式洗濯機
JP2007068680A (ja) ドラム式洗濯機
KR20150028006A (ko) 세탁기
KR20170135229A (ko)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JP4591287B2 (ja) ドラム式洗濯機
EP3348698B1 (en) Laundry treating apparatus and method of the same
KR20180048501A (ko) 세탁기
JP2012170691A (ja) ドラム式洗濯機
CN114008261B (zh) 控制洗衣机的方法和洗衣机
JP2019013627A (ja) 洗濯機
JP2014053208A (ja) 電気機器
JP2013132499A (ja) 洗濯機及び緊急時貯水システム
JP2018068325A (ja) ドラム式洗濯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