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74280A - 자동차 내장재용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접촉용 부품 - Google Patents

자동차 내장재용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접촉용 부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74280A
KR20180074280A KR1020160178219A KR20160178219A KR20180074280A KR 20180074280 A KR20180074280 A KR 20180074280A KR 1020160178219 A KR1020160178219 A KR 1020160178219A KR 20160178219 A KR20160178219 A KR 20160178219A KR 20180074280 A KR20180074280 A KR 2018007428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polymer
weight
rubber
styrene
acrylonitri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782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영효
황동근
임재석
홍창민
Original Assignee
롯데첨단소재(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롯데첨단소재(주) filed Critical 롯데첨단소재(주)
Priority to KR10201601782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074280A/ko
Publication of KR201800742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74280A/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55/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btained by polymerisation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not provided for in groups C08L23/00 - C08L53/00
    • C08L55/02ABS [Acrylonitrile-Butadiene-Styrene] polym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97/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successively polymerising different monomer systems using a catalyst of the ionic or coordination type without deactivating the intermediate polymer
    • C08F297/02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successively polymerising different monomer systems using a catalyst of the ionic or coordination type without deactivating the intermediate polymer using a catalyst of the anionic type
    • C08F297/04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successively polymerising different monomer systems using a catalyst of the ionic or coordination type without deactivating the intermediate polymer using a catalyst of the anionic type polymerising vinyl aromatic monomers and conjugated dienes
    • C08F297/048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successively polymerising different monomer systems using a catalyst of the ionic or coordination type without deactivating the intermediate polymer using a catalyst of the anionic type polymerising vinyl aromatic monomers and conjugated dienes polymerising vinyl aromatic monomers, conjugated dienes and polar monom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51/00Compositions of graft polymers in which the grafted component i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51/003Compositions of graft polymers in which the grafted component i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grafted on to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Abstract

(A) 고무 변성 비닐계 공중합체 90 내지 99 중량%; 및 (B) 폴리에틸렌에 스티렌-아크릴로니트릴 공중합체가 그라프트된 공중합체(PE-g-SAN) 1 내지 10 중량%를 포함하는 자동차 내장재용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접촉용 부품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자동차 내장재용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접촉용 부품{THERMOPLASTIC RESIN COMPOSITION FOR VEHICLE INTERIOR MATERIAL AND CONTACTING PART INCLUDING THE SAME}
본 발명은 자동차 내장재용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접촉용 부품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적어도 2개의 부품끼리 접촉하여 발생할 수 있는 마찰음을 저감시킬 수 있는 자동차 내장재용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접촉용 부품에 관한 것이다.
ABS 수지로 대표되는 스티렌계 수지는 그 우수한 성형성, 기계적 특성, 내약품성, 2차 가공성에 의해 자동차, 가전, OA기기 등에 있어서 광범위하게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스티렌계 수지로 구성되는 부품을 폴리에틸렌, 폴리염화비닐 등의 다른 수지로 구성되는 부품이나 클로로프렌 고무, 천연 고무, 폴리에스테르, 폴리에틸렌 등의 라이닝 시트나 폼 등의 다른 부재와 접촉해 서로 스치는 부위에 이용하면, 마찰음이 발생하는 일이 있다. 예를 들어 ABS 수지재 차량용 통풍기에는 풍량을 조정하기 위해 클로로프렌 고무재 폼 등을 실링재로 사용한 밸브 셔터가 내부에 장착되어 있고, 풍량 조정을 위해서 밸브 셔터를 회전시키면 실링재와 ABS 수지재 통풍기 케이스가 서로 스쳐, 삐걱거리는 소리가 발생할 경우가 있다.
또한 스티렌계 수지로 구성되는 부품끼리 마찰시키면 삐걱거리는 소리가 발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따라서 예를 들면 진동, 회전 등에 의해 서로 접촉하는 부품끼리 마찰될 수 있는 용도에는 삐걱거리는 소리가 발생할 우려가 높기 때문에 스티렌계 수지로 구성되는 부품끼리 조합하여 사용하는 것이 기피되어 있다.
ABS 수지, ASA 수지 등의 스티렌계 수지는 비결정성 수지이기 때문에 결정성 수지인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아세탈 등의 수지와 비교하면 마찰 계수가 높고 자동차 내의 에어컨 송풍구나 카 스테레오의 버튼 등과 같이 타 수지로 구성되는 부재와 끼워 맞출 경우에는 마찰 계수가 크기 때문에 스틱-슬립 현상이 발생해, 마찰음(삐걱거리는 소리)이 발생하는 것도 잘 알려져 있다.
이러한 마찰음은 예를 들면 자동차 내장부품 등의 경우, 승차 시의 쾌적성, 정숙성을 해치는 큰 원인이 되어 마찰음의 저감이 강하게 요구되고 있다.
이러한 마찰음을 방지하기 위해, 부재 표면에 테플론(등록상표) 코팅을 실시하는 방법, 테플론(등록상표) 테이프를 장착하는 방법, 실리콘 오일을 도포하는 방법 등이 이루어져 왔지만, 장착, 도포 등의 공정은 매우 복잡하고 시간이 들 뿐 아니라, 고온 하에 장시간 놓여진 경우는 효과가 지속되지 않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마찰음을 감소시키기 위해 재료 자체를 개질하는 방법으로서 ABS 수지에 실리콘 오일을 배합하는 방법, ABS 수지에 에폭시 함유 올레핀 공중합체를 배합하는 방법 등이 있다.
그러나 이들 방법에 의한 마찰음 저감 효과는 충분하지 못하고, 성형 직후에는 어느 정도의 삐걱거리는 소리 방지 효과가 나타났더라도 효과의 지속성이 부족하고 특히 고온 하에 장시간 놓여진 경우에는 그 효과가 큰 폭으로 저하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ABS 수지로 대표되는 스티렌계 수지로 구성되는 부품끼리를 조합해 이용할 경우에는 이들 방법을 이용해도, 마찰음 저감 효과를 충분히 얻지 못하고, 그 사용 범위가 제한되는 문제가 있었다.
일 구현예는 마찰음 저감 효과 및 고온 하에 장시간 놓여진 이후에도 마찰음 저감 효과의 지속성이 개선된 자동차 내장재용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을 제공한다.
다른 구현예는 상기 자동차 내장재용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을 포함하는 접촉용 부품을 제공한다.
일 구현예에 따르면, (A) 고무 변성 비닐계 공중합체 90 내지 99 중량%; 및 (B) 폴리에틸렌에 스티렌-아크릴로니트릴 공중합체가 그라프트된 공중합체(PE-g-SAN) 1 내지 10 중량%를 포함하는 자동차 내장재용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폴리에틸렌에 스티렌-아크릴로니트릴 공중합체가 그라프트된 공중합체(PE-g-SAN) (B)는 폴리에틸렌 성분 40 내지 90 중량% 및 스티렌-아크릴로니트릴 공중합체 성분 10 내지 60 중량%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고무 변성 비닐계 공중합체 (A)는 비닐계 공중합체 60 내지 80 중량% 및 고무 변성 비닐계 그라프트 공중합체 20 내지 40 중량%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고무 변성 비닐계 공중합체 (A)는 고무질 중합체 10 내지 20 중량%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고무 변성 비닐계 공중합체 (A) 내에 함유된 비닐계 공중합체의 중량평균 분자량은 90,000 내지 230,000 g/mol일 수 있다.
상기 고무 변성 비닐계 공중합체 (A)는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 공중합체(ABS) 수지일 수 있다.
상기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 공중합체(ABS) 수지 내에 함유된 스티렌-아크릴로니트릴 공중합체(SAN)의 아크릴로니트릴 함량은 20 내지 40 중량% 일 수 있다.
다른 구현예에 따르면, 전술한 자동차 내장재용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을 포함하는 접촉용 부품을 제공한다.
마찰음 저감 효과 및 고온 하에 장시간 놓여진 이후에도 마찰음 저감 효과의 지속성이 개선된 자동차 내장재용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을 구현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구현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이는 예시로서 제시되는 것으로, 이에 의해 본 발명이 제한되지는 않으며 본 발명은 후술할 청구범위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본 명세서에서, "공중합"이란 블록 공중합 내지 랜덤 공중합을 의미하고, "공중합체"란 블록 공중합체 내지 랜덤 공중합체를 의미한다.
일 구현예는 마찰음 저감 효과 및 고온 하에 장시간 놓여진 이후에도 마찰음 저감 효과의 지속성이 개선된 자동차 내장재용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자동차 내장재용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은 (A) 고무 변성 비닐계 공중합체 90 내지 99 중량%; 및 (B) 폴리에틸렌에 스티렌-아크릴로니트릴 공중합체가 그라프트된 공중합체(PE-g-SAN) 1 내지 10 중량%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 각 구성성분에 대하여 하기에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A) 고무 변성 비닐계 공중합체
상기 고무 변성 비닐계 공중합체는 비닐계 공중합체 60 내지 80 중량% 및 고무 변성 비닐계 그라프트 공중합체 20 내지 40 중량%를 포함하는 공중합체 조성물이다.
상기 비닐계 공중합체는 방향족 비닐 단량체, 아크릴계 단량체, 헤테로 고리 단량체 또는 이들의 조합의 제1 비닐계 단량체 50 내지 95 중량%; 및 불포화 니트릴 단량체, 상기 아크릴계 단량체와 이종(異種)인 아크릴계 단량체, 상기 헤테로 고리 단량체와 이종인 헤테로 고리 단량체 또는 이들의 조합의 제2 비닐계 단량체 5 내지 50 중량%로 이루어진 공중합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이종은 서로 다른 종류를 의미한다.
상기 방향족 비닐 단량체로는 스티렌, C1 내지 C10의 알킬 치환 스티렌, 할로겐 치환 스티렌 또는 이들의 조합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알킬 치환 스티렌의 구체적인 예로는 o-에틸 스티렌, m-에틸 스티렌, p-에틸 스티렌, α-메틸 스티렌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아크릴계 단량체로는 (메타)아크릴산 알킬 에스테르, (메타)아크릴산 에스테르 또는 이들의 조합인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알킬은 C1 내지 C10의 알킬을 의미한다. 상기 (메타)아크릴산 알킬 에스테르의 구체적인 예로는 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 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프로필(메타)아크릴레이트, 부틸(메타)아크릴레이트 등을 들 수 있으며, 이 중 좋게는 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가 사용될 수 있다.
상기 헤테로 고리 단량체로는 무수말레인산, 알킬 또는 페닐 N-치환 말레이미드 또는 이들의 조합인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불포화 니트릴 단량체로는 아크릴로니트릴, 메타크릴로니트릴, 푸마로니트릴 또는 이들의 조합인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고무 변성 비닐계 그라프트 공중합체는 고무질 중합체 성분으로 된 코어(core)와 그 코어를 주위로 상기 고무질 중합체에 그라프트 공중합 가능한 비닐 단량체를 그라프트 중합 반응시켜 쉘(shell)을 형성한 코어-쉘(core-shell)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상기 고무 변성 비닐계 그라프트 공중합체를 제조하는 방법은 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이미 잘 알려져 있는 것으로서, 유화중합, 현탁중합, 용액중합 또는 괴상중합 중 어느 방법이나 사용할 수 있고, 구체적인 예로는 고무질 중합체의 존재 하에 고무질 중합체에 그라프트 공중합이 가능한 방향족 비닐 단량체와 이 방향족 비닐 단량체와 공중합이 가능한 단량체를 투입하여 중합 개시제를 사용하여 유화중합 또는 괴상중합을 통해 그라프트 중합함으로써 제조될 수 있다.
상기 고무질 중합체는 부타디엔 고무, 아크릴레이트 고무, 에틸렌/프로필렌 고무, 스티렌/부타디엔 고무,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 고무, 이소프렌 고무, 에틸렌-프로필렌-디엔의 삼원 공중합체(EPDM) 고무, 폴리유기실록산/폴리알킬(메타)아크릴레이트 고무 복합체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방향족 비닐 단량체로는 스티렌, C1 내지 C10의 알킬 치환 스티렌, 할로겐 치환 스티렌 또는 이들의 조합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알킬 치환 스티렌의 구체적인 예로는 o-에틸 스티렌, m-에틸 스티렌, p-에틸 스티렌, α-메틸 스티렌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방향족 비닐 단량체와 공중합이 가능한 단량체로는 불포화 니트릴 단량체, 아크릴계 단량체, 헤테로 고리 단량체 또는 이들의 조합일 수 있다.
상기 불포화 니트릴 단량체로는 아크릴로니트릴, 메타크릴로니트릴, 푸마로니트릴 또는 이들의 조합인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아크릴계 단량체로는 (메타)아크릴산 알킬 에스테르, (메타)아크릴산 에스테르 또는 이들의 조합인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알킬은 C1 내지 C10의 알킬을 의미한다. 상기 (메타)아크릴산 알킬 에스테르의 구체적인 예로는 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 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프로필(메타)아크릴레이트, 부틸(메타)아크릴레이트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헤테로 고리 단량체로는 무수말레인산, 알킬 또는 페닐 N-치환 말레이미드 또는 이들의 조합인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고무 변성 비닐계 그라프트 공중합체 제조 시 고무 입자의 평균입경(D50)은 내충격성 및 성형품의 표면 특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0.05 내지 4 ㎛ 일 수 있으며, 이 경우 우수한 내충격성을 확보할 수 있다.
상기 고무 변성 비닐계 그라프트 공중합체는 단독 또는 이들의 2종 이상의 혼합물 형태로도 사용될 수 있다.
상기 고무 변성 비닐계 그라프트 공중합체의 구체적인 예로는 부타디엔 고무, 아크릴레이트 고무 또는 스티렌/부타디엔 고무에 스티렌, 아크릴로니트릴 및 선택적으로 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의 혼합물을 그라프트 공중합한 것을 들 수 있다.
상기 고무 변성 비닐계 그라프트 공중합체의 다른 구체적인 예로는 부타디엔 고무, 아크릴레이트 고무 또는 스티렌/부타디엔 고무에 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를 그라프트 공중합한 것을 들 수 있다.
일 구현예에 따른 고무 변성 비닐계 공중합체는 고무 변성 비닐계 공중합체(A) 및 후술할 PE-g-SAN(B)의 총량에 대하여 90 내지 99 중량%로 포함될 수 있고, 구체적으로 95 내지 99 중량%로 포함될 수 있으며, 예컨대 95 내지 97 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고무 변성 비닐계 공중합체는 10 내지 20 중량%의 고무질 중합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무 변성 비닐계 공중합체 내에 함유된 비닐계 공중합체의 중량평균 분자량은 90,000 내지 230,000 g/mol 일 수 있고, 예컨대 120,000 내지 200,000 g/mol 일 수 있다.
본 발명의 가장 구체적인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고무 변성 비닐계 공중합체는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 공중합체(ABS) 수지일 수 있다.
한편, 상기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 공중합체(ABS) 수지 내에 함유된 스티렌-아크릴로니트릴 공중합체(SAN)의 아크릴로니트릴 함량은 스티렌-아크릴로니트릴 공중합체(SAN) 총량 100 중량%에 대하여 20 내지 40 중량%일 수 있고, 예컨대 25 내지 35 중량%일 수 있다.
(B) 폴리에틸렌에 스티렌-아크릴로니트릴 공중합체가 그라프트된 공중합체(PE-g-SAN)
폴리에틸렌에 스티렌-아크릴로니트릴 공중합체가 그라프트된 공중합체(PE-g-SAN)는 폴리에틸렌(PE) 주쇄에 스티렌-아크릴로니트릴 공중합체(SAN)가 그라프트되어 있는 구조를 갖는 그라프트 공중합체이다.
PE-g-SAN은 ABS 수지의 내스크래치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목적으로 사용되거나, ABS 수지와 올레핀계 화합물이 포함된 수지 조성물에서 상기 성분들 간의 혼화성(miscibility)을 향상시키는 상용화제로 사용되는 것이 일반적이나, 본 발명에서는 적정량을 사용함으로써 물성 저하 없이 마찰음 저감 효과를 구현하고자 하였다.
일 구현예에 따른 PE-g-SAN은 폴리에틸렌 성분 40 내지 90 중량% 및 스티렌-아크릴로니트릴 공중합체 성분 10 내지 60 중량%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PE-g-SAN은 고무 변성 비닐계 공중합체(A) 및 PE-g-SAN(B)의 총량에 대하여 1 내지 10 중량%로 포함될 수 있고, 구체적으로 1 내지 5 중량%로 포함될 수 있으며, 예컨대 3 내지 5 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PE-g-SAN이 1 중량% 미만으로 포함되는 경우, 마찰음 저감 효과가 전혀 없으며, 10 중량%를 초과하여 포함되는 경우, 심각한 물성 저하가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자동차 내장재용 수지 조성물은 본 발명의 목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필요에 따라 열안정제, 산화방지제, 활제, 윤활제, 이형제, 광 및 자외선 안정제, 난연제, 대전방지제, 착색제, 충진제, 충격보강제 등의 다른 첨가제를 포함할 수 있으며, 다른 수지 혹은 다른 고무 성분을 혼합하여 함께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하 실시예에서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고자 하나, 본 발명이 이하의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A) 성분으로서 부타디엔 고무 함량이 13 중량%이고, 스티렌-아크릴로니트릴 공중합체(SAN) 성분의 중량평균 분자량 및 아크릴로니트릴 함량이 각각 약 120,000 g/mol 및 약 32 중량%인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 공중합체(ABS) 수지(제조사: 롯데첨단소재), (B) 성분으로서 폴리에틸렌 성분 50 중량%, 스티렌-아크릴로니트릴 공중합체 성분 50 중량%를 포함하는 폴리에틸렌 주쇄에 스티렌-아크릴로니트릴 공중합체가 그라프트된 공중합체(PE-g-SAN)(상품명: Modiper A1401, 제조사: NOF Corporation)를 사용하였다. 표 3에 나타내는 비율, 즉 (A) 성분 99 중량%, (B) 성분 1 중량%를 혼합 후 이축 압출기를 이용하여 용융 혼련(압출 온도: 240~250℃)해, 펠릿형 수지 조성물을 얻었다. 이어서 이 펠릿을 제습 건조기(건조 온도: 80~100℃)에서 2시간 동안 건조시킨 후 140톤 사출성형기를 이용하여 사출 성형(배럴 온도: 250~260℃, 금형 온도: 60℃)해, 물성평가용 시험편을 제작했다.
실시예 2 및 실시예 3
하기 표 3에 기재한 것과 같이 (A) 성분 및 (B) 성분의 함량을 변경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같다.
비교예 1
(B) 성분을 포함하지 않은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같다.
비교예 2
(A) 성분 97 중량%, 그리고 (B) 성분 대신 실리콘 오일(상품명: KF-96-100cs, 제조사: 신에츠 화학)을 3 중량% 포함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같다.
평가
1. 스퀵 노이즈(Squeak noise) 평가
VDA(Verband Der Automobilindustrie e.v.) 230-206 평가법에 따라 측정하였다. 하기 도면은 VDA 230-206 평가법의 기본 원리를 도식화 한 것이다. 하기 도면을 참고하면, 이동상인 재료 A는 재료 B에 대하여 용수철 성분에 의해 상대적으로 움직인다. 재료 시편 서로에게 가해지는 힘과 이동상의 속도는 주어진다. 용수철의 이동 현상은 스틱(접착)과 슬립에 의한 것이며 이것을 이용하여 스퀵 노이즈 평가를 진행하였다.
<도면>
Figure pat00001
하기 표 1은 스퀵 노이즈의 평가 기준을 나타낸 것이고, 하기 표 2는 동일한 재료에 대해 열노화 전후 스퀵 노이즈를 평가한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RPN Rating Meaning
1 OK Material pair is safe. Audible noise development due to the stick-slip effect is not expected
2 OK
3 OK
4 Conditionally OK Material pair is at threshold. Audible interference cannot be eliminated from the stick-slip effect
5 Conditionally OK
6 Not okay Material pair is critical with regard to stick-slip effect. Audible noises during relative movements must be expected
7 Not okay
8 Not okay
9 Not okay
10 Not okay
표 1을 참고하면, RPN 1 내지 3은 노이즈가 거의 없는 상태를 의미하고, RPN 4 내지 5는 한계 지점으로 노이즈가 스틱-슬립 효과에 의해 제거될 수 없는 상태를 의미한다. 또한, RPN 6 내지 10은 스틱-슬립 효과가 극명하며 노이즈가 반드시 나타나는 상태를 의미한다.
구분 Risk-Priority-Number (RPN)
적용 힘: 10N 적용 힘: 40N
적용 속도: 4mm/s 적용 속도:
10mm/s
적용 속도:
4mm/s
적용 속도:
10mm/s
재료 A 재료 B 재료 A 재료 B 재료 A 재료 B 재료 A 재료 B
비교예 1 3 5 2 4 3 10 3 10
비교예 2 10 10 8 8 10 10 10 10
실시예 1 3 5 1 4 3 9 2 8
실시예 2 2 4 1 4 3 8 2 7
실시예 3 2 3 1 2 2 7 1 5
* A:열노화 전, B:열노화 후(80℃ × 300 시간)
표 2를 참고하면, 실시예 1 내지 3은 힘과 속도 그리고 열노화 전후 모든 조건에서 전반적으로 ABS 수지(비교예 1) 및 실리콘 오일이 포함된 ABS 수지(비교예 2) 대비 우수한 값을 보였으며, 특히 실시예 3이 가장 좋은 값이 나타났음을 확인할 수 있다.
2. 인장강도(Tensile strength) 평가
ASTM D638에 따라 3.2 mm 두께 시험편의 인장강도를 측정하여 그 결과를 하기 표 3에 나타내었다.
3. 굴곡탄성율(Flexural modulus) 평가
ASTM D790에 따라 6.4 mm 두께 시험편의 굴곡모듈러스를 측정하여 그 결과를 하기 표 3에 나타내었다.
구분 단위 비교예 1 비교예 2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A) ABS 수지 중량% 100 97 99 97 95
(B) PE-g-SAN 중량% 0 0 1 3 5
(C) 실리콘 오일 중량% 0 3 0 0 0
인장강도 kgf/cm2 465 420 470 460 460
굴곡탄성율 kgf/cm2 25,000 23,800 24,900 24,500 24,000
표 3을 참고하면, 실시예 1 내지 3은 인장강도 및 굴곡탄성율과 같은 기계적 물성도 ABS 수지(비교예 1)와 비교하여 동등 수준임을 알 수 있다.
본 발명의 단순한 변형 내지 변경은 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용이하게 실시될 수 있으며, 이러한 변형이나 변경은 모두 본 발명의 영역에 포함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Claims (8)

  1. (A) 고무 변성 비닐계 공중합체 90 내지 99 중량%; 및
    (B) 폴리에틸렌에 스티렌-아크릴로니트릴 공중합체가 그라프트된 공중합체(PE-g-SAN) 1 내지 10 중량%를 포함하는 자동차 내장재용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에틸렌에 스티렌-아크릴로니트릴 공중합체가 그라프트된 공중합체(PE-g-SAN) (B)는 폴리에틸렌 성분 40 내지 90 중량% 및 스티렌-아크릴로니트릴 공중합체 성분 10 내지 60 중량%를 포함하는 자동차 내장재용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무 변성 비닐계 공중합체 (A)는 비닐계 공중합체 60 내지 80 중량% 및 고무 변성 비닐계 그라프트 공중합체 20 내지 40 중량%를 포함하는 자동차 내장재용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무 변성 비닐계 공중합체 (A)는 고무질 중합체 10 내지 20 중량%를 포함하는 자동차 내장재용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무 변성 비닐계 공중합체 (A) 내에 함유된 비닐계 공중합체의 중량평균 분자량이 90,000 내지 230,000 g/mol인 자동차 내장재용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무 변성 비닐계 공중합체 (A)는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 공중합체(ABS) 수지인 자동차 내장재용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 공중합체(ABS) 수지 내에 함유된 스티렌-아크릴로니트릴 공중합체(SAN)의 아크릴로니트릴 함량은 20 내지 40 중량%인 자동차 내장재용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자동차 내장재용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을 포함하는 접촉용 부품.
KR1020160178219A 2016-12-23 2016-12-23 자동차 내장재용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접촉용 부품 KR2018007428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78219A KR20180074280A (ko) 2016-12-23 2016-12-23 자동차 내장재용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접촉용 부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78219A KR20180074280A (ko) 2016-12-23 2016-12-23 자동차 내장재용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접촉용 부품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74280A true KR20180074280A (ko) 2018-07-03

Family

ID=629180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78219A KR20180074280A (ko) 2016-12-23 2016-12-23 자동차 내장재용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접촉용 부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074280A (ko)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74752A (ko) * 2018-12-17 2020-06-25 주식회사 엘지화학 열가소성 난연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제조된 열가소성 난연수지 성형품
KR20200077926A (ko) * 2018-12-21 2020-07-01 주식회사 엘지화학 열가소성 난연 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제조된 난연 수지 성형품
WO2020222511A1 (ko) * 2019-04-30 2020-11-05 롯데케미칼 주식회사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성형품
WO2020222510A1 (ko) * 2019-04-30 2020-11-05 롯데케미칼 주식회사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성형품
KR20200126917A (ko) * 2019-04-30 2020-11-09 롯데케미칼 주식회사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성형품
WO2021080211A1 (ko) * 2019-10-23 2021-04-29 주식회사 엘지화학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CN113544211A (zh) * 2019-10-23 2021-10-22 株式会社Lg化学 热塑性树脂组合物
CN115340743A (zh) * 2022-07-12 2022-11-15 广东锦湖日丽高分子材料有限公司 一种耐食用油abs树脂材料及其制备方法

Cited B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74752A (ko) * 2018-12-17 2020-06-25 주식회사 엘지화학 열가소성 난연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제조된 열가소성 난연수지 성형품
KR20200077926A (ko) * 2018-12-21 2020-07-01 주식회사 엘지화학 열가소성 난연 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제조된 난연 수지 성형품
WO2020222511A1 (ko) * 2019-04-30 2020-11-05 롯데케미칼 주식회사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성형품
WO2020222510A1 (ko) * 2019-04-30 2020-11-05 롯데케미칼 주식회사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성형품
KR20200126917A (ko) * 2019-04-30 2020-11-09 롯데케미칼 주식회사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성형품
KR20200126777A (ko) * 2019-04-30 2020-11-09 롯데케미칼 주식회사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성형품
CN113795546A (zh) * 2019-04-30 2021-12-14 乐天化学株式会社 热塑性树脂组合物及利用它而成的成型品
WO2021080211A1 (ko) * 2019-10-23 2021-04-29 주식회사 엘지화학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CN113544211A (zh) * 2019-10-23 2021-10-22 株式会社Lg化学 热塑性树脂组合物
CN113544211B (zh) * 2019-10-23 2024-01-26 株式会社Lg化学 热塑性树脂组合物
US12006428B2 (en) 2019-10-23 2024-06-11 Lg Chem, Ltd. Thermoplastic resin composition
CN115340743A (zh) * 2022-07-12 2022-11-15 广东锦湖日丽高分子材料有限公司 一种耐食用油abs树脂材料及其制备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80074280A (ko) 자동차 내장재용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접촉용 부품
KR101972232B1 (ko)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형성된 성형품
KR101486565B1 (ko)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성형품
JP6535596B2 (ja) 接触用部品、および該接触用部品を含む構造体
KR102396611B1 (ko)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성형품
EP3858915A1 (en) Thermoplastic resin composition and molded product using same
KR20200065241A (ko)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형성된 성형품
JPWO2018221742A1 (ja) 熱可塑性樹脂組成物及び成形体
KR102483996B1 (ko)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성형품
JP5756269B2 (ja) 熱可塑性樹脂組成物及び成形体
KR102570571B1 (ko)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성형품
JP7359165B2 (ja) 樹脂組成物、熱可塑性樹脂組成物、および熱可塑性樹脂成型体
KR20210133873A (ko)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성형품
KR102255097B1 (ko)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성형품
KR20100050220A (ko) (메타)아크릴레이트계 공중합체 및 이를 포함하는 열가소성수지 조성물
JP7318723B2 (ja) 熱可塑性樹脂組成物およびその成形品
KR101810294B1 (ko) 종이 질감을 갖는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형성된 성형품
KR100749670B1 (ko) 내화학성이 우수한 스티렌계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KR101951522B1 (ko)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이의 제조방법 및 이로부터 형성된 성형품
CN113795546B (zh) 热塑性树脂组合物及利用它而成的成型品
KR102417772B1 (ko)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제조된 성형품
KR102066800B1 (ko)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형성된 성형품
KR102456200B1 (ko)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형성된 성형품
KR20230081213A (ko)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성형품
KR101240323B1 (ko) 고내후성 및 고내열성의 저광택성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