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74004A - 현악기 픽업 장치, 현악기 픽업 장치를 이용한 연주 정보 출력 방법, 및 현악기 - Google Patents

현악기 픽업 장치, 현악기 픽업 장치를 이용한 연주 정보 출력 방법, 및 현악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74004A
KR20180074004A KR1020160177628A KR20160177628A KR20180074004A KR 20180074004 A KR20180074004 A KR 20180074004A KR 1020160177628 A KR1020160177628 A KR 1020160177628A KR 20160177628 A KR20160177628 A KR 20160177628A KR 20180074004 A KR20180074004 A KR 2018007400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erformance information
main body
communication module
speaker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776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06889B1 (ko
Inventor
김민홍
Original Assignee
김민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민홍 filed Critical 김민홍
Priority to KR10201601776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06889B1/ko
Publication of KR201800740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7400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068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0688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H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OR ELECTRONIC GENERATORS, OR IN WHICH THE TONES ARE SYNTHESISED FROM A DATA STORE
    • G10H1/00Details of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 G10H1/0033Recording/reproducing or transmission of music for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 G10H1/0083Recording/reproducing or transmission of music for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using wireless transmission, e.g. radio, light, infrared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H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OR ELECTRONIC GENERATORS, OR IN WHICH THE TONES ARE SYNTHESISED FROM A DATA STORE
    • G10H1/00Details of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 G10H1/36Accompaniment arrangements
    • G10H1/361Recording/reproducing of accompaniment for use with an external source, e.g. karaoke systems
    • G10H1/365Recording/reproducing of accompaniment for use with an external source, e.g. karaoke systems the accompaniment information being stored on a host computer and transmitted to a reproducing terminal by means of a network, e.g. public telephone line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H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OR ELECTRONIC GENERATORS, OR IN WHICH THE TONES ARE SYNTHESISED FROM A DATA STORE
    • G10H3/00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 G10H3/12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using mechanical resonant generators, e.g. strings or percussive instruments, the tones of which are picked up by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the electrical signals being further manipulated or amplified and subsequently converted to sound by a loudspeaker or equivalent instrument
    • G10H3/14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using mechanical resonant generators, e.g. strings or percussive instruments, the tones of which are picked up by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the electrical signals being further manipulated or amplified and subsequently converted to sound by a loudspeaker or equivalent instrument using mechanically actuated vibrators with pick-up means
    • G10H3/18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using mechanical resonant generators, e.g. strings or percussive instruments, the tones of which are picked up by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the electrical signals being further manipulated or amplified and subsequently converted to sound by a loudspeaker or equivalent instrument using mechanically actuated vibrators with pick-up means using a string, e.g. electric guita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H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OR ELECTRONIC GENERATORS, OR IN WHICH THE TONES ARE SYNTHESISED FROM A DATA STORE
    • G10H2220/00Input/output interfacing specifically adapted for electrophonic musical tools or instruments
    • G10H2220/155User input interfaces for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 G10H2220/165User input interfaces for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for string input, i.e. special characteristics in string composition or use for sensing purposes, e.g. causing the string to become its own sensor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H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OR ELECTRONIC GENERATORS, OR IN WHICH THE TONES ARE SYNTHESISED FROM A DATA STORE
    • G10H2240/00Data organisation or data communication aspects, specifically adapted for electrophonic musical tools or instruments
    • G10H2240/171Transmission of musical instrument data, control or status information; Transmission, remote access or control of music data for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 G10H2240/175Transmission of musical instrument data, control or status information; Transmission, remote access or control of music data for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for jam sessions or musical collaboration through a network, e.g. for composition, ensemble playing or repeating; Compensation of network or internet delays therefor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H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OR ELECTRONIC GENERATORS, OR IN WHICH THE TONES ARE SYNTHESISED FROM A DATA STORE
    • G10H2240/00Data organisation or data communication aspects, specifically adapted for electrophonic musical tools or instruments
    • G10H2240/171Transmission of musical instrument data, control or status information; Transmission, remote access or control of music data for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 G10H2240/281Protocol or standard connector for transmission of analog or digital data to or from an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
    • G10H2240/321Bluetooth

Abstract

본 발명은, 연주자의 실연에 의한 현악기 연주 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수음 장치; 상기 수음 장치에 연결되는 본체를 포함하고, 상기 본체는, 외부 기기와 통신하기 위한 근거리 통신 모듈; 상기 근거리 통신 모듈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배터리; 및 상기 연주 정보에 대한 음성 변조 명령을 입력하기 위한 사용자 입력부; 및 상기 배터리로부터의 전원을 공급받고, 상기 연주 정보를 상기 외부 음성 출력 기기에 전송하도록 상기 근거리 통신 모듈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현악기 픽업 장치

Description

현악기 픽업 장치, 현악기 픽업 장치를 이용한 연주 정보 출력 방법, 및 현악기{PICKUP DEVICE FOR STRING INSTRUMENT, METHOD FOR OUTPUTTING PERFORMANCE INFORMATION BY USING PICKUP DEVICE FOR STRING INSTRUMENT, AND STRING INSTRUMNET}
본 발명은, 현악기 픽업 장치, 현악기 픽업 장치를 이용한 연주 정보 출력 방법, 및 현악기에 관한 것이다.
현악기는 일반적으로 전자 변환기(transducer)를 악기의 표면 또는 상부에 부착하여 증폭되고, 이를 위하여 전자 변환기는 줄 하부 또는 악기의 바디 내부에 위치한다. 전자 변환기는 줄의 진동 또는 악기 소리를 포착하고 그 에너지를 아날로그 전기 신호 형태로 전달한다(transfer). 전기 신호는 일반적으로 악기 앰프(amplifier)로 출력되는데, 악기 앰프는 스피커 및 전기 신호를 크게 하는 앰프를 포함한다. 앰프(amplifier)는 그 자체의 특징에 따라, 전치증폭기(preamplifier)를 통해 다양한 톤(tones) 및 효과를 더한다.
특히, 악기 앰프와 연결하는 경우, 유선으로 연결시키므로, 유선으로 인한 한계가 많아 불편한 점이 많았다.
또한, 현악기 하나만 연주하는 경우 연주 자체가 단조로와서 다른 악기들과 합주를 하는 경우가 많은데, 이러한 경우 혼자 합주할 수는 없다.
본 발명은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무선으로 스피커와 연결시켜서 연주시 활동성을 보장하고, 스마트폰등과의 연동을 통해 혼자 합주 사운드를 출력할 수 있도록 하는, 현악기 픽업 장치, 현악기 픽업 장치를 이용한 연주 정보 출력 방법, 및 현악기를 제공하기 위함이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현악기 픽업 장치는, 연주자의 실연에 의한 현악기 연주 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수음 장치; 및 상기 수음 장치에 연결되는 본체를 포함하고, 상기 본체는, 외부 기기와 통신하기 위한 근거리 통신 모듈; 상기 근거리 통신 모듈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배터리; 및 상기 연주 정보에 대한 음성 변조 명령을 입력하기 위한 사용자 입력부; 및 상기 배터리로부터의 전원을 공급받고, 상기 연주 정보를 상기 외부 음성 출력 기기에 전송하도록 상기 근거리 통신 모듈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현악기 픽업 장치는, 상기 수음 장치와 상기 본체 사이에 설치되는 연성 연결부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외부 기기는 스피커이고, 상기 본체는, 상기 스피커와 유선 연결하기 위한 아웃잭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본체는, 상기 배터리 용량을 표시하기 위한 표시등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본체는, 상기 배터리를 충전하기 위한 충전 단자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본체는, 상기 근거리 통신 모듈의 온/오프를 위한 근거리 전원 스위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외부 기기는, 스마트 기기이고, 상기 본체는, 스피커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스마트 기기으로부터의 반주 정보를 상기 스피커를 통해 출력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연주 정보는 연주자 실연 정보와 상기 반주 정보의 합성 정보일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현악기는, 우쿨렐레, 기타, 바이올린, 비올라, 첼로, 베이스 중 하나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인 현악기 픽업 장치를 이용한 연주 정보 출력 방법은 스마트 기기로부터 반주 정보를 수신하여 현악기 픽업 장치의 스피커를 통해 출력하는 단계; 상기 반주 정보에 따른 실연자의 현악기 실연 정보를 상기 반주 정보와 함께 수음 장치를 통해 연주 정보로서 획득하는 단계; 상기 연주 정보를 상기 스마트 기기 또는 외부 스피커로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외부 스피커를 통해 상기 연주 정보가 출력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인 현악기는, 울림 구멍을 가지며, 목재로 이루어지며, 브릿지를 구비하는 바디; 상기 바디의 일측에 일체로 형성되는 목부; 상기 목부의 일단에 설치되는 헤드부; 상기 브릿지와 상기 헤드부 사이에 연결되며, 연주음을 생성시키는 현들; 상기 울림 구멍에 설치되는 현악기 픽업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현악기 픽업 장치는, 연주자의 실연에 의한 현악기 연주 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수음 장치; 상기 수음 장치에 연결되는 본체를 포함하고, 상기 본체에는, 외부 기기와 통신하기 위한 근거리 통신 모듈; 상기 근거리 통신 모듈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배터리; 및 상기 연주 정보에 대한 음성 변조 명령을 입력하기 위한 사용자 입력부; 및 상기 배터리로부터의 전원을 공급받고, 상기 연주 정보를 상기 외부 음성 출력 기기에 전송하도록 상기 근거리 통신 모듈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구성을 가진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블루투스와 같은 근거리 통신 모듈을 통해 외부 스피커로 연주음을 출력할 수 있으므로, 활동성이 보장되고, 활용성이 높아지게 된다.
또한 스마트 기기로부터의 반주정보를 수신하고 이를 이용하여 합주음을 출력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와 관련된 현악기의 예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현악기 픽업 장치의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현악기 픽업 장치의 측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와 관련된 스트랩핀 어셈블리의 예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현악기 픽업 장치의 전자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인 현악기 픽업 장치를 이용한 연주 정보 출력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이하에서는 현악기 중 우쿨렐레를 예로서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은, 그러나 우쿨렐레에 한정되지 않고, 기타, 비올라, 바이올린, 베이스, 첼로 등의 다양한 현악기에 이용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구현예(態樣, aspect)(또는 실시 예)들을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와 관련된 현악기의 예시도이다. 도 1에 예시된 현악기는 도시된 바와 같이 우쿨렐레이다. 우쿨렐레는, 우쿨렐레는 바디(1)와, 목부(2)와, 헤드부(3)와 제 1 현 내지 제 4 현(41~44)을 구비하는 현(4)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바디(1)는 우쿨렐레의 몸통에 해당하는 것으로서 상판과, 측판 및 후판으로 구성되며, 내부에 공동을 가진다. 몸체의 상판에는 울림 구멍(11)과 브릿지(12)가 형성된다. 브릿지(12)는 본 발명에 따른 현을 고정하기 위한 구성요소이다. 이러한 몸체의 크기는 소프라노, 콘서트, 테너 등의 종류에 따라 상이하게 구성될 수 있다
목부(2)는, 몸체의 일측에서 소정폭과 두께로 길게 연장 형성되는 부분으로서, 연주시 연주자가 왼손 또는 오른손으로 잡는 부분이며, 상면에는 연주시 손가락으로 누룰수 있는 지판이 마련된다. 목부(2)는, 통상의 우쿨렐레의 0.7에서 0.9배 정도의 폭을 가지게 되며, 보다 구체적으로는 30~40mm(종래의 폭은 45mm임)의 폭을 가지게 된다. 이는 현을 합성수지재가 아닌 금속현으로 구성하는 경우, 적은 힘으로도 정확한 사운드의 형성이 가능하게 되며, 또한 금속현의 강한 인장력을 완화하도록 목부(2)는 정상적인 목부(2)보다 길게 형성될 수도 있다.
목부(2)의 끝단에는 헤드부(3)가 소정각도 기울어지게 연장되어 설치되며, 이 헤드부(3)의 상면에는 4개의 줄감개(31)가 형성된다. 줄감개(31)는 현을 조율할 때 돌리는 부분으로서 튜너 또는 튜닝 머신등으로 불리워진다.
현(4)은, 브릿지(12)와 헤드부(3)의 줄감개(31)에 의해 고정된다. 연주자가 이들 현을 튕기는 것에 의해 울림 구멍(11)으로부터 공명이 발생하고 이에 따라 연주음이 생성되게 된다. 이를 연주음은 현악기 픽업 장치의 마이크(10)를 통해 획득되게 되고, 근거리 통신 모듈(21)을 통해 외부 기기(앰프, 스피커 또는 스마트 기기)에 전송되게 된다.
또한, 바디(1)의 종단에는 현악기 픽업 장치(A)와 연결되는 스트랩 핀 어셈블리(B)가 설치되고, 이 스트랩핀 어셈블리(B)를 통해 현악기 픽업 장치(A)와 외부 스피커(29)가 유선으로도 연결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현악기 픽업 장치의 전체적인 기계 구조에 대하여 도 2 내지 도 4를 통해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현악기 픽업 장치의 평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현악기 픽업 장치의 측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현악기 픽업 장치는, 크게 마이크(10), 본체(20) 그리고 연성 연결부(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마이크(10)는, 연주자가 현악기를 연주하여 발생되는 음(실연 정보에 해당)을 획득하기 위한 장치이다. 즉, 연주자가 현을 튕기는 등의 방식으로 연주를 하여 음이 발생하게 되면 마이크(10)를 이를 취득한다. 마이크(10)는 연성 연결부(30)에 연결되며, 이에 따라 마이크(10)의 위치는 연주자의 연성 연결부(30)의 절곡에 따라 달라지게 될 수 있다. 마이크(10)는 수음 장치의 일예로서, 이외에 피에조 방식 마그네틱 방식의 음성 입력 장치가 이용될 수도 있다.
본체(20)는, 마이크(10)로부터의 음을 전달받아, 이를 외부 기기, 즉 앰프나 스피커 또는 스마트 기기로 전송하는 역할을 한다.
본체(20) 상면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울림 구멍(11)에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 스크루(201)와, 연주음에 대하여 변조 및 볼륨 업 다운을 위한 다양한 종류의 사용자 입력부(23), 배터리 용량등을 표시하기 위한 표시등(26), 배터리(22)를 충전하기 위한 충전 단자(27), 근거리 통신 모듈(21)의 온오프를 위한 근거리 전원 스위치(28)가 설치될 수 있다.
고정 스크루(201)는, 본체(20)가 울림 구멍(11)에 걸쳐 설치되도록 하기 위한 구성으로서, 본체(20)의 양측에 위치하게 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20)는 상판(203)과 하판(205)으로 구성되고, 고정 스크루(201)는 이들간을 체결하게 되며, 상판(203)은 울림 구멍(11)의 상면, 하판(205)은 울림 구멍(11)의 내면에 부착되고, 고정 스크루(201)에 의해 이들이 고정됨으로써, 본체(20)가 울림 구멍(11)에 설치되게 된다.
사용자 입력부(23)는, 연주음에 대한 다양한 변조와 볼륨 업다운을 위한 장치이다. 예컨대, 사용자 입력부(23)는 피드백 콘트롤(notch control이라고도 함), 피드백 조정 장치(phase 장치라고도 함) 마스터 볼륨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표시등(26)은 내장된 배터리(22)의 용량 또는 배터리(22)의 상태를 나타내기 위한 것이다. 즉, 제어부(24)의 제어에 따라 배터리(22)의 용량이 적어지게 되면 색상이 변경됨으로써 연주자가 현재 픽업 장치의 상태를 확인할 수 있게 된다.
충전 단자(27)는 내장된 배터리(22)를 충전시키기 위한 단자(27)이다. 도 2에서는 USB 형태의 단자(27)가 표시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형태의 충전단자(27)가 설치될 수 있다.
근거리 전원 스위치(28)는 근거리 통신 모듈(21)의 온오프를 설정하기 위한 스위치이다. 유선 연결되는 경우, 근거리 통신 모듈(21)이 온되면, 배터리(22)를 불필요하게 사용하게 되므로, 별도의 근거리 전원 스위치를 본체(20)에 설치하게 된다.
또한, 본체(20)의 측면에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 스피커(29)와의 유선 연결을 위한 아웃잭(25), 그리고 스마트 기기로부터 전송된 반주 정보를 출력하기 위한 스피커(29)가 설치될 수 있다. 여기서의 스피커(29)는 본체 외부의 외부 기기로서 스마트 기기와 연동되는 스피커일수도 있다. 이들의 설치 위치는 일예에 불과하고, 이에 한정되어서 이하 청구범위가 해석되어서는 안될 것이다.
상기 아웃잭(25)은 도 4에 도시된 스트랩 핀 어셈블리(B)에 있는 젠더 라인(70)에 연결되게 된다. 이에 따라 외부 앰프에 연주 정보가 전송되게 된다.
또한 미도시되어 있으나, 본체(20)에는 스피커(29)가 형성되어서, 스마트기기로부터 전송되는 반주음이 출력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연주자는 반주음에 맞춰 연주를 진행하게 되고, 이러한 반주음이 포함된 연주음이 다시 마이크(10)를 통해 입력되게 구성될 수 있다.
이하 바디(1)의 하단에 설치되는 스트랩핀 어셈블리(B)에 대하여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스트랩핀 어셈블리(B)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디(1)의 하단에 설치된다. 즉, 바디(1)의 하단 중앙부에 홀을 형성하고, 그 홀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스트랩핀 걸이와, 연결 젠더(60), 그리고, 젠더 라인(7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스트랩핀 걸이는, 스트랩핀 어셈블리(B)가 바디(1)에 부착되도록 하는 구성요소이다. 젠더 라인(70)은, 상술한 바와 같이, 현악기 픽업 장치의 아웃잭(25)과 연결되는 구성요이다. 젠더 라인(70)은 연결 젠더(60)와 연결되고, 이 연결 젠더(60)는, 스트랩핀 걸이(50)와 바디(1) 하단에 설치된 홀에 끼워지게 구성된다. 이에 따라 외부 스피커(29) 또는 엠프의 젠더 라인(70)이 연결 젠더(60)에 끼워짐으로서, 현악기 픽업 장치와 외부 스피커가 유선 연결되게 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현악기 픽업장치의 전자적인 구성과 동작에 대하여 도 5 및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현악기 픽업 장치의 전자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현악기 픽업 장치는, 마이크(10), 근거리 통신 모듈(21), 배터리(22), 사용자 입력부(23), 제어부(24), 표시등(26) 및 스피커(29)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스피커는 본체에 설치될 수도 있고, 외부의 스피커로서 스마트기기와 페어링되어 있는 장치 또는 본 현악기 픽업 장치와 페어링 되어 있는 스피커일 수도 있다. 이들 중 이미 설명된 부분에 대해서는 설명의 간략화를 위하여 그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근거리 통신 모듈(21)은 스피커(29), 앰프, 또는 스마트 기기와 무선 통신 연결하기 위한 구성요소로서, 블루투스 모듈, 지그비 모듈, 와이파이(wifi) 모듈 등이 이용될 수 있다. 제어부(24)의 제어하에 근거리 통신 모듈(21)을 통해 마이크(10)를 통해 입력되는 연주 정보를 외부 기기(스피커, 스마트 기기, 앰프등)에 전송하게 된다. 또한, 근거리 통신 모듈(21)은 외부 스마트 기기로부터의 반주 정보를 수신하고, 제어부(24)는, 이 반주 정보를 내장 스피커(29) 또는 외부 스피커를 통해 출력하도록 한다. 이에 따라, 연주자는 반주 정보에 기초하여 연주하게 되며, 이러면, 마이크(10)는 다시 실연 정보와 반주 정보를 합성하여 연주 정보를 생성하게 되므로써, 합주곡과 같은 연주곡을 생성하게 된다. 제어부(24)는, 단순히 마이크(10)를 통해 입력되는 신호를 합성하는 것이 아니라, 마이크(10)로 통해 입력되는 소리 중, 반주 정보에 대응하는 소리는 삭제하고 실연 정보만을 생성한 후, 메모리에 기저장되어 있던 반주 정보와 실연 정보를 합성하여 연주 정보를 생성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현악기 픽업 장치를 이용한 연주 정보 출력 방법을 설명하도록 한다.
우선, 현악기 픽업 장치는 스마트 기기와 페어링을 하게 된다(S1). 즉, 근거리 통신 모듈(21)이 탑재된 현악기 픽업 장치는 스마트 기기로부터 통신을 할 수 있도록 준비한다. 그 다음, 스마트 기기의 반주 정보가 근거리 통신 모듈(21)로부터 전송된다(S2). 그러면 픽업 장치는 내장 스피커 또는 외부 스피커를 통해 이를 출력하게 되며, 이 때, 연주자는 반주음에 맞춰 연주를 하게 된다(S3). 그러면, 마이크(10)를 통해 반주음에 맞춰 연주되는 연주음이 획득되게 되고 이에 따라 실연 정보가 획득된다(S4). 제어부(24)는 이에 따라 합주 음성인 연주 정보를 획득하여 이를 스마트 기기 또는 스피커 같은 외부 기기에 전송하게 된다(S5, S6). 그러면 외부 기기는 합주곡인 연주 정보를 출력하게 된다(S7).
상술한 구성을 가진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블루투스와 같은 근거리 통신 모듈(21)을 통해 외부 스피커로 연주음을 출력할 수 있으므로, 활동성이 보장되고, 활용성이 높아지게 된다.
또한 스마트 기기로부터의 반주정보를 수신하고 이를 이용하여 합주음을 출력할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이 현악기 픽업 장치, 현악기 픽업 장치를 이용한 연주 정보 출력 방법, 및 현악기는 상기 설명된 실시예들의 구성과 방법이 한정되게 적용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상기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1 : 바디
2 : 목부
3 : 헤드부
4 : 현
10 : 마이크
20 : 본체
30 : 연성 연결부
50 : 스트랩 핀 걸이
60 : 연결 젠더
70 : 젠더 라인

Claims (11)

  1. 연주자의 실연에 의한 연주 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수음 장치;
    상기 수음 장치에 연결되는 본체를 포함하고,
    상기 본체에는,
    외부 기기와 통신하기 위한 근거리 통신 모듈;
    상기 근거리 통신 모듈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배터리;
    상기 연주 정보에 대한 음성 변조 명령을 입력하기 위한 사용자 입력부; 및
    상기 배터리로부터의 전원을 공급받고, 상기 연주 정보를 상기 외부 음성 출력 기기에 전송하도록 상기 근거리 통신 모듈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현악기 픽업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음 장치와 상기 본체 사이에 설치되는 연성 연결부를 포함하는, 현악기 픽업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기기는 스피커이고,
    상기 본체는,
    상기 스피커와 유선 연결하기 위한 아웃잭을 더 포함하는, 현악기 픽업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상기 배터리 용량을 표시하기 위한 표시등을 포함하는, 현악기 픽업 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상기 배터리를 충전하기 위한 충전 단자를 포함하는, 현악기 픽업 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상기 근거리 통신 모듈의 온/오프를 위한 근거리 전원 스위치를 더 포함하는, 현악기 픽업 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기기는, 스마트 기기이고,
    상기 본체는, 스피커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스마트 기기으로부터의 반주 정보를 상기 스피커를 통해 출력하는, 현악기 픽업 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연주 정보는 연주자 실연 정보와 상기 반주 정보의 합성 정보인, 현악기 픽업 장치.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현악기는, 우쿨렐레, 기타, 바이올린, 비올라, 첼로, 베이스 중 하나인, 현악기 픽업 장치.
  10. 스마트 기기로부터 반주 정보를 수신하여 스피커를 통해 출력하는 단계;
    상기 반주 정보에 따른 실연자의 현악기 실연 정보를 상기 반주 정보와 함께 수음 장치를 통해 연주 정보로서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연주 정보를 상기 스마트 기기 또는 외부 스피커로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외부 스피커를 통해 상기 연주 정보가 출력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현악기 픽업 장치를 이용한 연주 정보 출력 방법.
  11. 울림 구멍을 가지며, 목재로 이루어지며, 브릿지를 구비하는 바디;
    상기 바디의 일측에 일체로 형성되는 목부;
    상기 목부의 일단에 설치되는 헤드부;
    상기 브릿지와 상기 헤드부 사이에 연결되며, 연주음을 생성시키는 현들;
    상기 울림 구멍에 설치되는 현악기 픽업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현악기 픽업 장치는,
    연주자의 실연에 의한 연주 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수음 장치;
    상기 수음 장치에 연결되는 본체를 포함하고,
    상기 본체에는,
    외부 기기와 통신하기 위한 근거리 통신 모듈;
    상기 근거리 통신 모듈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배터리; 및
    상기 연주 정보에 대한 음성 변조 명령을 입력하기 위한 사용자 입력부; 및
    상기 배터리로부터의 전원을 공급받고, 상기 연주 정보를 상기 외부 음성 출력 기기에 전송하도록 상기 근거리 통신 모듈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현악기.
KR1020160177628A 2016-12-23 2016-12-23 현악기 픽업 장치, 현악기 픽업 장치를 이용한 연주 정보 출력 방법, 및 현악기 KR10200688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77628A KR102006889B1 (ko) 2016-12-23 2016-12-23 현악기 픽업 장치, 현악기 픽업 장치를 이용한 연주 정보 출력 방법, 및 현악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77628A KR102006889B1 (ko) 2016-12-23 2016-12-23 현악기 픽업 장치, 현악기 픽업 장치를 이용한 연주 정보 출력 방법, 및 현악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74004A true KR20180074004A (ko) 2018-07-03
KR102006889B1 KR102006889B1 (ko) 2019-08-02

Family

ID=629182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77628A KR102006889B1 (ko) 2016-12-23 2016-12-23 현악기 픽업 장치, 현악기 픽업 장치를 이용한 연주 정보 출력 방법, 및 현악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0688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007054A1 (es) * 2021-07-29 2023-02-02 Universidad De Málaga Instrumento de cuerda de funcionamiento bimodal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25641A (ko) * 2001-03-30 2002-04-04 장훈 현악기용 내장형 조율 모듈
JP2011237652A (ja) * 2010-05-12 2011-11-24 Office Augusta Co Ltd 電気通信機能を備えたギターその他の楽器及び当該楽器を用いてなるエンターテインメント・システム
KR20130005291U (ko) * 2012-02-29 2013-09-06 주식회사 엔터기술 건반악기장치
KR20140048507A (ko) * 2012-10-16 2014-04-24 김은경 음향처리기능이 내장된 전자기타
JP2014127734A (ja) * 2012-12-25 2014-07-07 Yamaha Corp マルチトラック録音装置
KR20160109819A (ko) * 2015-03-13 2016-09-21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 전자 장치의 현악기 연주 인식 방법 및 전자 장치의 현악기 연주 피드백 방법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25641A (ko) * 2001-03-30 2002-04-04 장훈 현악기용 내장형 조율 모듈
JP2011237652A (ja) * 2010-05-12 2011-11-24 Office Augusta Co Ltd 電気通信機能を備えたギターその他の楽器及び当該楽器を用いてなるエンターテインメント・システム
KR20130005291U (ko) * 2012-02-29 2013-09-06 주식회사 엔터기술 건반악기장치
KR20140048507A (ko) * 2012-10-16 2014-04-24 김은경 음향처리기능이 내장된 전자기타
JP2014127734A (ja) * 2012-12-25 2014-07-07 Yamaha Corp マルチトラック録音装置
KR20160109819A (ko) * 2015-03-13 2016-09-21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 전자 장치의 현악기 연주 인식 방법 및 전자 장치의 현악기 연주 피드백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007054A1 (es) * 2021-07-29 2023-02-02 Universidad De Málaga Instrumento de cuerda de funcionamiento bimodal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06889B1 (ko) 2019-08-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460695B2 (en) Synthesizer with bi-directional transmission
US8389835B2 (en) Sound system in a stringed musical instrument
US20060000347A1 (en) Acoustical device and method
US2725778A (en) Sound pick-up device for the amplification of banjo music
US9064483B2 (en) System and method for identifying and converting frequencies on electrical stringed instruments
US10540949B2 (en) Musical instrument capable of producing additional vibration sound and method therefor
WO2014116808A1 (en) Musical instrument device and method
CN107836021B (zh) 乐器用拾音装置
US10297242B2 (en) Ukulele
US8502061B1 (en) Electrical stringed instrument and signal processing circuit therefor
US10535331B2 (en) System, apparatus and methods for musical instrument amplifier
US2984140A (en) Electrical amplification to woodwind musical instruments
US20180130453A1 (en) Musical Instrument Amplifier
KR102006889B1 (ko) 현악기 픽업 장치, 현악기 픽업 장치를 이용한 연주 정보 출력 방법, 및 현악기
JP3788382B2 (ja) 弦楽器
JP6016469B2 (ja) 弦楽器用ピックアップケーブル
US11217215B2 (en) Sound enhancing accessory for a musical instrument
US20150189429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he production of sound using a slackline
JP2015079272A (ja) 楽器
KR102277583B1 (ko) 어쿠스틱 기타의 음향 확성장치
CN213751940U (zh) 一种可拆接式拾音器
WO2020027293A1 (ja) 演奏補助具、弦楽器、および演奏補助システム
KR20090017285A (ko) 이펙터가 내장된 전기기타
US20220310052A1 (en) Stringed Musical Instrument and Acoustic Effect Device
KR20150098148A (ko) 연주용 기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