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05291U - 건반악기장치 - Google Patents

건반악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05291U
KR20130005291U KR2020120001569U KR20120001569U KR20130005291U KR 20130005291 U KR20130005291 U KR 20130005291U KR 2020120001569 U KR2020120001569 U KR 2020120001569U KR 20120001569 U KR20120001569 U KR 20120001569U KR 20130005291 U KR20130005291 U KR 20130005291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keyboard
performance target
sound
data
instru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2000156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전상윤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엔터기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엔터기술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엔터기술
Priority to KR202012000156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005291U/ko
Publication of KR2013000529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05291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31/00Arrangements for the associated working of recording or reproducing apparatus with related apparatus
    • G11B31/02Arrangements for the associated working of recording or reproducing apparatus with related apparatus with automatic musical instrument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H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OR ELECTRONIC GENERATORS, OR IN WHICH THE TONES ARE SYNTHESISED FROM A DATA STORE
    • G10H1/00Details of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 G10H1/0033Recording/reproducing or transmission of music for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 G10H1/0041Recording/reproducing or transmission of music for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in coded form
    • G10H1/0058Transmission between separate instruments or between individual components of a musical system
    • G10H1/0066Transmission between separate instruments or between individual components of a musical system using a MIDI interface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H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OR ELECTRONIC GENERATORS, OR IN WHICH THE TONES ARE SYNTHESISED FROM A DATA STORE
    • G10H5/00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means of electronic generator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H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OR ELECTRONIC GENERATORS, OR IN WHICH THE TONES ARE SYNTHESISED FROM A DATA STORE
    • G10H7/00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synthesised from a data store, e.g. computer org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AREA)
  • Auxiliary Devices For Music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건반악기장치에 관한 것으로, 본 고안에 따른 건반악기 장치는, 연주대상 악기나 연주대상 곡의 선택 및 기능선택을 위한 버튼들을 구비하는 버튼부와, 순차적으로 배열된 복수의 건반들을 구비하고, 상기 복수의 건반들 중 어느 하나가 터치되면, 터치된 건반의 위치 및 터치세기에 대응되는 건반데이터를 발생하여 출력하는 건반부를 구비하는 연주기와; 상기 건반데이터를, 상기 버튼부를 통해 선택된 악기에 대응되는 표준화된 미디(MIDI) 데이터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제어부와, 미디음원모듈을 통해 상기 미디데이터에 대응되는 음 신호를 출력하는 음원부를 구비하는 본체를 구비한다. 본 고안에 따르면, 레슨, 작곡, 노래반주기능을 통해 손쉽고 저렴한 이용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건반악기장치{keyboard instruments}
본 고안은 건반악기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건반데이터에 대응되는 미디음으로 재생하여 건반음을 출력함에 의해 일반적으로 고가인 디지털 피아노나 디지털 키보드 등의 건반악기들을 대체할 수 있으며, 노래반주기의 기능을 가질 수 있는 건반악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인 건반악기의 건반은 백건반과 흑건반이 반복되는 순서로 배열되어 있다. 현을 구비하는 어쿠스틱 피아노(acoustic piano) 등의 건반악기는, 건반을 누름으로써 해머가 현을 눌러 음이 발생하고, 건반에서 손가락을 떼면 댐퍼(damper)가 내려가 현을 억제하여 진동을 정지시키도록 구성되어 있다. 일렉트릭 피아노(electric piano)나 디지털 키보드 등의 전자식 건반악기는 음의 디지털 데이터를 이용하여, 음이 발생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한편, 일반적인 노래반주기(video music(song) accompaniment apparatus)는 기록매체에 기록된 반주곡을 재생하여 사용자에게 들려줌으로써 사용자가 따라 부를 수 있도록 한 장치이다. 이와 같은 노래반주기는 통상적으로 보다 나은 현장감을 제공하기 위하여 해당 곡의 진행 정도에 따라 변화하는 영상이나 가사를 디스플레이해주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포함하고 있다. 종래의 노래반주기에서는 사용자에 의해 노래가 선택되면, 선택된 노래반주가 스피커를 통해 출력되고, 디스플레이 장치에는 배경영상과 노래 가사가 디스플레이 되는 형태를 가진다.
이러한 종래의 노래반주기는 가정이나 노래방 등에서 노래를 연습하거나 즐기는 형태로 사용되는 구조를 가지고 있어, 피아노나 디지털 키보드 등의 건반악기에 대한 연주연습을 하거나 건반악기를 연주하면서 노래를 부르고자 하는 사용자의 요구에 부응하지 못한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극복할 수 있는 건반악기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노래반주기능을 가지는 건반악기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악기 레슨기능, 작곡기능, 및 노래반주기능을 가지는 건반악기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한 기술적 과제들의 일부를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구체화에 따라, 본 고안에 따른 건반악기 장치는, 연주대상 악기나 연주대상 곡의 선택 및 기능선택을 수행하기 위한 버튼신호들을 발생하고, 순차적으로 배열된 복수의 건반들을 구비하여 상기 복수의 건반들 중 어느 하나가 터치되면, 터치된 건반의 위치 및 터치세기에 대응되는 건반데이터를 발생하는 연주기와; 상기 연주기와 유/무선으로 연결되어 상기 연주기를 통해 제공되는 상기 건반데이터를 상기 연주기를 통해 선택된 악기에 대응되는 표준화된 미디(MIDI) 데이터로 변환하고, 미디음원모듈을 구비하여 상기 미디음원모듈을 통해 상기 미디데이터에 대응되는 음 신호를 출력하는 본체를 구비한다.
상기 연주기는, 연주대상 악기나 연주대상 곡의 선택 및 기능선택을 위한 버튼들을 구비하는 버튼부와; 순차적으로 배열된 복수의 건반들을 구비하고, 상기 복수의 건반들 중 어느 하나가 터치되면, 터치된 건반의 위치 및 터치세기에 대응되는 건반데이터를 발생하여 출력하는 건반부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본체는, 상기 건반데이터를, 상기 버튼부를 통해 선택된 악기에 대응되는 표준화된 미디(MIDI) 데이터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제어부와; 상기 미디음원모듈을 통해 상기 미디데이터에 대응되는 음 신호를 출력하는 음원부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연주기는 상기 미디데이터에 대응되는 음 신호의 출력을 위한 스피커 를 내장하며, 상기 본체는 상기 음신호를 포함하는 음성출력신호를 상기 스피커를 통해 외부로 재생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사용자에 의해 연주대상 악기가 선택된 경우, 내장된 디스플레이 장치 또는 외부디스플레이 장치에 악보를 표시하고, 상기 악보에 상기 미디데이터에 대응되는 음표를 표시하도록 제어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연주대상 악기 및 연주대상 곡이 선택된 경우, 내장된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 또는 상기 외부디스플레이 장치에 원곡 악보 및 연주대상 악보를 표시하고, 상기 원곡악보에는 미리 저장된 상기 연주대상곡의 원곡 음표가 표시되도록 하고 상기 연주 대상 악보에는 상기 미디데이터에 대응되는 음표를 표시하도록 제어될 수 있다.
상기 본체는, 연주대상 곡의 반주음 및 악보를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부를 더 구비하고, 사용자에 의해 연주대상 악기 및 연주대상 곡이 선택된 경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연주대상 곡의 반주음에서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연주대상 악기의 음을 제거한 반주음을 상기 미디데이터에 대응되는 음신호와 믹싱하여 출력할 수 있다.
상기 연주기는 마이크를 더 구비하여, 상기 마이크를 통해 입력되는 사용자의 음성을 상기 본체에 제공하면, 상기 본체는 상기 사용자의 음성을 상기 제어부를 통해 상기 반주음 및 상기 음신호에 믹싱하여 출력할 수 있다.
상기 연주기는 데이터 전송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건반부의 건반데이터 및 상기 버튼부의 버튼신호들을 프로토콜에 따라 상기 본체에 전송할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르면, 초보자가 손쉽고 저렴하게 건반악기를 이용할 수 있으며, 작곡, 레슨 및 노래반주기능을 가지고 있어, 다양한 장소에서 다양하게 사용가능할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반악기 장치의 블록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건반악기장치의 블록도이고,
도 3은 도 1 및 도 2의 건반악기장치의 동작순서도이다.
이하에서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고안의 철저한 이해를 제공할 의도 외에는 다른 의도 없이,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로 하여 상세히 설명될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반악기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반악기 장치(300)는 건반부(110), 버튼부(120), 제어부(130), 음원부(150)를 구비한다. 추가적으로 메모리부(140)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건반부(110)는 백건반과 흑건반이 반복되는 순서로 배열된 복수의 건반들을 구비하고, 상기 복수의 건반들 중 어느 하나가 터치되면, 터치된 건반의 위치 및 터치세기에 대응되는 건반데이터를 발생하여 출력하게 된다.
여기서 터치는 건반을 누르지 않고 접촉시키는 접촉동작이나 건반을 누르는 누룸동작을 포함하는 개념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상기 건반데이터는 각각의 건반에 부여된 건반코드, 건반터치세기, 건반터치속도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버튼부(120)는 연주대상 악기나 연주대상 곡의 선택 및 기능선택을 위한 버튼들을 구비한다. 상기 버튼부(120)는 복수의 버튼들을 이용하여 볼륨조절, 음향조절, 연주를 하고자 하는 특정악기의 선택, 연주대상 곡의 선택 등을 위한 것이다.
상기 제어부(130)는 상기 건반부(110)에서 제공되는 건반데이터를, 상기 버튼부(120)를 통해 선택된 악기에 대응되는 표준화된 미디(MIDI) 데이터로 변환하여 출력하게 된다. 예를들어, 피아노가 선택된 경우 피아노 음에 대응되는 미디 데이터를 출력하게 된다.
상기 음원부(150)는 미디 음원모듈을 구비하여 상기 미디데이터에 대응되는 음 신호(A1)를 발생하고 이를 내장되거나 별도로 구비된 스피커(160)를 통해 출력하게 된다.
상기 메모리부(140)는 복수의 연주대상곡들의 반주음 및 연주대상 곡들의 악보를 저장하고 있다.
또한 상기 건반 악기 장치(300)는 상기 미디데이터에 대응되는 음 신호의 출력을 위한 스피커(160) 및 화면표시를 위한 디스플레이 장치(170)를 내장할 수도 있고, TV를 포함하는 외부디스플레이 장치(170)에 연결하여 음성 및 자막을 포함하는 영상을 출력할 수 있는 구성을 가질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어부(130)는, 사용자에 의해 연주대상 악기가 선택된 경우, 내장된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170) 또는 상기 외부디스플레이 장치(170)에 악보(V2)를 표시하고, 상기 악보에 상기 미디데이터에 대응되는 음표를 표시하도록 제어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130)는, 사용자에 의해 연주대상 악기 및 연주대상 곡이 선택된 경우, 내장된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170) 또는 상기 외부디스플레이 장치(170)(이하 통칭하여 '디스플레이 장치(170)'라 함)에 원곡 악보(V1) 및 연주대상 악보(V2)를 표시하고, 상기 원곡악보에는 미리 저장된 상기 연주대상 곡의 원곡 음표가 표시되도록 하고 상기 연주 대상 악보에는 상기 미디데이터에 대응되는 음표를 표시하도록 제어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에 의해 연주대상 악기 및 연주대상 곡이 선택된 경우, 상기 제어부(130)는 상기 연주대상 곡의 반주음에서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연주대상 악기의 음을 제거한 반주음(A2)을 상기 미디데이터에 대응되는 음 신호(A1)와 믹싱하여 출력하도록 제어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상기 건반악기장치는 이들 신호의 믹싱을 위한 믹서(mixer)를 더 구비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건반악기 장치(300)는 마이크(미도시)를 더 구비하여, 상기 마이크를 통해 입력되는 사용자의 음성을 상기 반주음에 믹싱하여 출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즉 일반적인 노래반주 기능을 가질 수 있다.
상술한 건반악기장치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주기(310)와 본체(320)로 나누어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연주기(310)와 본체(320)는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되어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구성을 가질 수 있다.
이때 상기 연주기(310)는 상기 건반부(110)와 상기 버튼부(120)를 구비하고, 데이터 전송부(125)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데이터 전송부(125)는 상기 건반부(110)의 건반데이터 및 상기 버튼부(120)의 버튼신호들을 프로토콜에 맞추어 유/무선으로 연결된 상기 본체(320)의 제어부(130)에 전송하게 된다.
상기 연주기(310)에서 건반데이터를 상기 본체(320)에 전송하면 상기 본체(320)에서는 상기 건반데이터에 대응되는 미디데이터 및 음원모듈을 이용한 음신호를 출력하는 구조를 가진다. 따라서, 상기 연주기(110)에는 별도의 미디데이터 생성을 위한 구성을 가지지 않으며, 미디데이터 생성은 상기 본체(320)에서 수행되게 된다.
이외에 상기 연주기(310)는 상기 본체(320)에서 전송되는 음신호, 반주음 등의 음성신호를 출력하기 위한 스피커(160)가 더 구비될 수 있고, 마이크(미도시)를 구비하여, 상기 마이크를 통해 입력되는 사용자의 음성을 상기 본체(320)에 제공하여 상기 제어부(103)를 통해 상기 반주음 및/또는 상기 음신호에 믹싱하여 출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기 본체(320)는 상기 제어부(130), 상기 메모리부(140), 및 상기 음원부(150)를 구비할 수 있다. 이외에 상기 본체(320)에는 스피커(160)나 디스플레이 장치(170)가 내장될 수도 있고, 외부스피커(160)나 외부디스플레이 장치(170)에 연결되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3의 동작순서도를 참고로 하여 도 1 및 도 2의 건반악기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로 한다.
사용자에 의해 연주대상악기 만이 선택되는 경우, 연주대상곡 및 연주대상 악기가 선택되는 경우, 노래반주기능을 수행하는 경우로 분리하여 설명한다.
우선 연주대상 악기만이 선택되는 경우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에 의해 연주대상 악기가 선택되고(S110), 사용자에 의해 상기 건반부(110)의 건반이 터치되면, 상기 건반부(110)는 건반데이터를 생성하여 상기 제어부(130)에 전송하게 된다(S112). 상기 제어부(130)에서는 상기 건반데이터를 선택된 악기에 대응되는 미디데이터로 변환하여 상기 음원부(150)에 전송하게 된다(S114). 상기 음원부(150)에서는 상기 음원모듈을 이용하여 상기 미디데이터를, 선택된 악기의 음신호(A1)로 변환하여 출력하게 된다(S116).
이때 상기 제어부(130)에서는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170)의 화면에 빈악보(V2)를 출력하고 상기 음신호(A1)가 스피커(160)를 통해 출력됨과 동시에 해당 음신호(A1)에 대응되는 음표를 상기 빈악보(V2)에 표시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음신호(A1)와 음표가 표시된 악보(V2)를 상기 메모리부(140)에 저장하는 것도 가능하다.
다음은 연주대상곡 및 연주대상 악기가 선택되는 경우의 동작을 설명한다.
상기 버튼부(120)를 통해 사용자에 의해 연주대상곡 및 연주대상 악기가 선택되면, 상기 제어부(130)에서는 선택된 연주대상곡의 원곡악보(V1)와 연주대상악보(V2)를 화면에 출력한다.
상기 연주대상악보는 음표가 그려지지 않은 빈 악보 상태이다. 이후 상기 건반부(110)를 통해 건반데이터가 입력되면, 대응되는 미디데이터를 출력하고, 상기 음원부(150)에서 출력되는 음신호에 대응되는 음표를 상기 연주대상악보(V2)에 표시하게 된다. 이때 상기 제어부(130)에서는 원곡악보(V1)의 음표와 연주대상악보(V2)의 음표가 일치되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일치되지 않는 경우에는 해당음표의 색깔을 다르게 표시하거나 에러음을 발생하여 사용자가 확인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130)는 건반악기 초보자를 위해 화면에 상기 건반부(110)의 건반들에 대응되는 건반들을 표시하고, 연주대상곡의 원곡악보에 표시된 음에 대응되는 건반들에 표시를 하여, 초보자가 건반연주를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제어하는 것도 가능하다.
여기서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연주대상곡의 반주음이 출력되도록 할 수 있다. 이때는 원곡의 원래 반주음이 출력되도록 할 수도 있고, 상기 메모리부(140)에 저장된 연주대상곡의 원래 반주음에서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악기의 음을 제거한 상태의 반주음(A2)을 출력하는 것도 가능하다.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악기의 음을 제거한 상태의 반주음(A2)이 출력되는 경우는 상기 음원부(150)에서 출력되는 음신호(A1)와 믹싱되어 출력될 수 있다.
다음으로 노래반주기능을 수행하는 경우를 설명한다. 이를 위해 상기 건반악기장치는 마이크를 필수적으로 구비한다.
우선 사용자에 의해 연주대상악기 및 연주대상곡이 선택된다. 이때 상기 제어부(130)에서는 상기 제어부(130)에서는 선택된 연주대상곡의 원곡악보(V1)와 연주대상악보(V2)를 화면에 출력한다. 이때 배경영상이 바탕화면으로 출력될 수 있다.
이후 상기 건반부(110)를 통해 건반데이터가 입력되고, 상기 마이크를 통해 사용자의 음성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제어부(130)에서는 상기 건반데이터를 미디데이터로 변환하여 상기 음원부(150)에 제공함에 의해 상기 음원부(150)에서 제공되는 미디데이터에 대응되는 음신호(A1)와, 상기 연주대상곡의 반주음(A2), 및 상기 마이크를 통해 입력되는 음성신호를 믹싱하여 출력하도록 제어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연주대상곡의 반주음(A2)은,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악기의 음이 제거된 반주음일 수 있다.
이와 동시에 상기 제어부(130)에서는 상기 건반데이터의 입력에 따라 화면에 출력된 연주대상악보(V2)에 상기 음신호(A1)에 대응되는 음표를 표시하게 된다. 이때 상기 제어부(130)에서는 원곡악보(V1)의 음표와 연주대상악보(V2)의 음표가 일치되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일치되지 않는 경우에는 해당음표의 색깔을 다르게 표시하거나 에러음을 발생하여 사용자가 확인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이후 상기 제어부(130)에서는 화면에 출력되는 영상데이터와 스피커를 통해 출력되는 모든 음성데이터를 상기 메모리부(140)에 저장할 수도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르면, 초보자가 손쉽고 저렴하게 건반악기를 이용할 수 있으며, 작곡, 레슨 및 노래반주기능을 가지고 있어, 다양한 장소에서 다양하게 사용가능할 장점이 있다.
상기한 실시예의 설명은 본 고안의 더욱 철저한 이해를 위하여 도면을 참조로 예를 든 것에 불과하므로, 본 고안을 한정하는 의미로 해석되어서는 안될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본 고안의 기본적 원리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화와 변경이 가능함은 명백하다 할 것이다.
110 : 건반부 120 : 버튼부
130 : 제어부 140 : 메모리부
150 : 음원부 160 : 스피커
170 : 디스플레이 장치

Claims (9)

  1. 건반악기장치에 있어서:
    연주대상 악기나 연주대상 곡의 선택 및 기능선택을 수행하기 위한 버튼신호들을 발생하고, 순차적으로 배열된 복수의 건반들을 구비하여 상기 복수의 건반들 중 어느 하나가 터치되면, 터치된 건반의 위치 및 터치세기에 대응되는 건반데이터를 발생하는 연주기와;
    상기 연주기와 유/무선으로 연결되어 상기 연주기를 통해 제공되는 상기 건반데이터를 상기 연주기를 통해 선택된 악기에 대응되는 표준화된 미디(MIDI) 데이터로 변환하고, 미디음원모듈을 구비하여 상기 미디음원모듈을 통해 상기 미디데이터에 대응되는 음 신호를 출력하는 본체를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건반악기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연주기는,
    연주대상 악기나 연주대상 곡의 선택 및 기능선택을 위한 버튼들을 구비하는 버튼부와;
    순차적으로 배열된 복수의 건반들을 구비하고, 상기 복수의 건반들 중 어느 하나가 터치되면, 터치된 건반의 위치 및 터치세기에 대응되는 건반데이터를 발생하여 출력하는 건반부를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건반악기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상기 건반데이터를, 상기 버튼부를 통해 선택된 악기에 대응되는 표준화된 미디(MIDI) 데이터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제어부와;
    상기 미디음원모듈을 통해 상기 미디데이터에 대응되는 음 신호를 출력하는 음원부를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건반악기장치.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연주기는 상기 미디데이터에 대응되는 음 신호의 출력을 위한 스피커 를 내장하며, 상기 본체는 상기 음 신호를 포함하는 음성출력신호를 상기 스피커를 통해 외부로 재생함을 특징으로 하는 건반악기장치.
  5.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사용자에 의해 연주대상 악기가 선택된 경우, 내장된 디스플레이 장치 또는 외부디스플레이 장치에 악보를 표시하고, 상기 악보에 상기 미디데이터에 대응되는 음표를 표시하도록 제어됨을 특징으로 하는 건반악기장치.
  6.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연주대상 악기 및 연주대상 곡이 선택된 경우, 내장된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 또는 상기 외부디스플레이 장치에 원곡 악보 및 연주대상 악보를 표시하고, 상기 원곡악보에는 미리 저장된 상기 연주대상곡의 원곡 음표가 표시되도록 하고 상기 연주 대상 악보에는 상기 미디데이터에 대응되는 음표를 표시하도록 제어됨을 특징으로 하는 건반악기 장치.
  7.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연주대상 곡의 반주음 및 악보를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부를 더 구비하고, 사용자에 의해 연주대상 악기 및 연주대상 곡이 선택된 경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연주대상 곡의 반주음에서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연주대상 악기의 음을 제거한 반주음을 상기 미디데이터에 대응되는 음신호와 믹싱하여 출력함을 특징으로 하는 건반악기장치.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연주기는 마이크를 더 구비하여, 상기 마이크를 통해 입력되는 사용자의 음성을 상기 본체에 제공하면, 상기 본체는 상기 사용자의 음성을 상기 제어부를 통해 상기 반주음 및 상기 음신호에 믹싱하여 출력함을 특징으로 하는 건반악기장치.
  9.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연주기는 데이터 전송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건반부의 건반데이터 및 상기 버튼부의 버튼신호들을 프로토콜에 따라 상기 본체에 전송함을 특징으로 하는 건반악기장치.
KR2020120001569U 2012-02-29 2012-02-29 건반악기장치 KR20130005291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20001569U KR20130005291U (ko) 2012-02-29 2012-02-29 건반악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20001569U KR20130005291U (ko) 2012-02-29 2012-02-29 건반악기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05291U true KR20130005291U (ko) 2013-09-06

Family

ID=524335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20001569U KR20130005291U (ko) 2012-02-29 2012-02-29 건반악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30005291U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74004A (ko) * 2016-12-23 2018-07-03 김민홍 현악기 픽업 장치, 현악기 픽업 장치를 이용한 연주 정보 출력 방법, 및 현악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74004A (ko) * 2016-12-23 2018-07-03 김민홍 현악기 픽업 장치, 현악기 픽업 장치를 이용한 연주 정보 출력 방법, 및 현악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169328B2 (ja) 演奏処理装置及び演奏処理プログラム
JP4752425B2 (ja) 合奏システム
JP4934180B2 (ja) 撥弦楽器演奏評価装置
JP2007078751A (ja) 合奏システム
JP4692189B2 (ja) 合奏システム
CN101937670A (zh) 一种显示并发出音乐的方法和装置
KR100956029B1 (ko) 악기연주 연습장치
JP2009156914A (ja) 自動伴奏装置及びプログラム
JP5130348B2 (ja) 携帯用電子機器を利用したカラオケ協演方法
JP4259533B2 (ja) 演奏システム、このシステムに用いるコントローラ、およびプログラム
JP5842383B2 (ja) カラオケシステム及びカラオケ装置
KR20130064227A (ko) 악기 연주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KR20130005291U (ko) 건반악기장치
JP2016206490A (ja) 表示制御装置、電子楽器およびプログラム
JP5397637B2 (ja) カラオケ装置
JP5969421B2 (ja) 楽器音出力装置及び楽器音出力プログラム
KR100956028B1 (ko) 악기연주 연습장치
KR101842282B1 (ko) 기타 연주시스템과 이를 위한 연주용 기타 및 기타 연주정보 표시방법
JP2014149366A (ja) 楽音演奏装置
JP4299747B2 (ja) 電子早見本装置
JP2016045254A (ja) サウンドプレビュー装置及びプログラム
KR20120026808A (ko) 노래 가사 표시 방법 및 그를 위한 노래 반주기
KR20070017803A (ko) 이동통신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음악 연주 방법
KR20080094377A (ko) 휴대단말기에서 악기 연주 기능 제공 방법 및 장치
KR100601245B1 (ko) 직관적인 작곡을 돕는 휴대용 작곡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