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01245B1 - 직관적인 작곡을 돕는 휴대용 작곡장치 - Google Patents

직관적인 작곡을 돕는 휴대용 작곡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01245B1
KR100601245B1 KR1020050026023A KR20050026023A KR100601245B1 KR 100601245 B1 KR100601245 B1 KR 100601245B1 KR 1020050026023 A KR1020050026023 A KR 1020050026023A KR 20050026023 A KR20050026023 A KR 20050026023A KR 100601245 B1 KR100601245 B1 KR 10060124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jack
reproducing
editing
unit ja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260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우성
김명석
Original Assignee
한국과학기술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과학기술원 filed Critical 한국과학기술원
Priority to KR10200500260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0124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012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0124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H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OR ELECTRONIC GENERATORS, OR IN WHICH THE TONES ARE SYNTHESISED FROM A DATA STORE
    • G10H1/00Details of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 G10H1/0008Associated control or indicating means
    • G10H1/0025Automatic or semi-automatic music composition, e.g. producing random music, applying rules from music theory or modifying a musical piece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H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OR ELECTRONIC GENERATORS, OR IN WHICH THE TONES ARE SYNTHESISED FROM A DATA STORE
    • G10H1/00Details of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 G10H1/0033Recording/reproducing or transmission of music for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 G10H1/0041Recording/reproducing or transmission of music for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in coded form
    • G10H1/0058Transmission between separate instruments or between individual components of a musical system
    • G10H1/0066Transmission between separate instruments or between individual components of a musical system using a MIDI interface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H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OR ELECTRONIC GENERATORS, OR IN WHICH THE TONES ARE SYNTHESISED FROM A DATA STORE
    • G10H1/00Details of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 G10H1/32Constructional detail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H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OR ELECTRONIC GENERATORS, OR IN WHICH THE TONES ARE SYNTHESISED FROM A DATA STORE
    • G10H7/00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synthesised from a data store, e.g. computer organ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H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OR ELECTRONIC GENERATORS, OR IN WHICH THE TONES ARE SYNTHESISED FROM A DATA STORE
    • G10H2210/00Aspects or methods of musical processing having intrinsic musical character, i.e. involving musical theory or musical parameters or relying on musical knowledge, as applied in electrophonic musical tools or instruments
    • G10H2210/101Music Composition or musical creation; Tools or processes therefor
    • G10H2210/105Composing aid, e.g. for supporting creation, edition or modification of a piece of music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Multimedia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때와 장소를 가리지 않고 떠오르는 곡의 느낌을 쉽게 저장하고 합주해 볼 수 있는 직관적이고 감각적인 휴대용 작곡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소리나 충격을 입력받아 이를 해당악기의 미디신호로 변환하여 저장하는 복수개의 유닛잭; 및 상기 유닛잭에 저장되는 미디신호를 편집 또는 재생하는 편집재생장치를 포함한다. 상기 편집재생장치는 동심원적으로 복수개 분할되며 분할되는 각각에는 상기 유닛잭을 꼽을 수 있는 회전판과, 상기 회전판이 회전할 때 상기 유닛잭의 미디신호를 재생하는 재생장치와, 상기 유닛잭의 미디신호를 편집하는 편집장치를 포함한다.
유닛잭, 회전판, 오르골, 동심원

Description

직관적인 작곡을 돕는 휴대용 작곡장치{Tangible apparatus for making realtime composition}
도1 및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작곡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참조번호의 설명 >
10: 회전판 10a-10d: 동심원
11: 메뉴버튼 12: 방향키
13: 연주모드 단축키 14: 유닛선택버튼
15, 35: 스피커 16: 오픈번트
17: 전원 18, 19: 스킨버트
20, 20a-20d: 유닛잭 22: 유닛잭 케이스
25a: 발광부 25b: 지시선
25c: 마이크 25d: 녹음버튼
26: 지지대 31: LCD 디스플레이어
32: LED 100: 편집재생장치
300: 뚜껑
본 발명은 휴대용 작곡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때와 장소를 가리지 않고 떠오르는 곡의 느낌을 쉽게 저장하고 합주해 볼 수 있는 직관적이고 감각적인 휴대용 작곡장치에 관한 것이다.
사람들은 누구나 한번쯤 자신만의 독창적인 음악을 콧노래나 허밍으로 불러보거나 연주해 보고 싶어한다. 그러나, 악기의 전문성으로 인해 실제로 직접 악기를 다뤄서 자신이 창작한 음악을 들어보기가 무척 어렵고, 이렇게 연주된 각각의 파트별 음악을 가지고 합주나 편곡을 하기 위해선 현재 개발되고 있는 컴퓨터를 포함한 여러 미디기기를 사용해야 하는데 이러한 미디기기의 작동성에 있어 전문적인 수준의 지식이 요구되기 때문에 쉽게 도전할 수 없는 단점이 있다.
또한, 이러한 전문적인 악기를 다룰 수 있다 하여도 악기의 가격이 비싸고, 취급에 있어 각별한 주의를 요하기 때문에 휴대가 쉽지 않으며 디지털 기기에 있어서도 작곡을 하기 위해선 역시 미디키보드, 신디사이저, 시퀀서 등의 고가의 장비가 필요하고 휴대성이 떨어지기 때문에 일정한 장소 내에서만 작업을 수해할 수 있다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전문적인 기기/악기의 떨 어지는 학습성과 휴대성을 보완하여 누구나 쉽고 직관적으로 때와 장소를 가리지 않고 떠오르는 곡의 느낌을 쉽게 저장하고 합주해 볼 수 있는 휴대용 작곡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작곡장치는, 소리나 충격을 입력받아 이를 해당악기의 미디신호로 변환하여 저장하는 복수개의 유닛잭; 및 동심원적으로 복수개 분할되며 분할되는 각각에는 상기 유닛잭을 꼽을 수 있는 회전판과, 상기 회전판이 회전할 때 상기 유닛잭의 미디신호를 재생하는 재생장치와, 상기 유닛잭의 미디신호를 편집하는 편집장치를 포함하여서 상기 유닛잭에 저장되는 미디신호를 편집 또는 재생하는 편집 재생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회전판 위의 유닛잭 중에서 가장 바깥쪽에 위치하는 유닛잭이 시계방향으로 돌면서 먼저 재생되다가 상기 회전판의 중심과 상기 가장 바깥쪽에 위치하는 유닛잭의 연결선 상에 두 번째로 외측에 위치하는 유닛잭이 놓이면 상기 두 번째로 외측에 위치하는 유닛잭도 상기 가장 바깥쪽에 위치하는 유닛잭과 함께 재생되며, 이와 같은 방식으로 내측에 있는 유닛잭이 차례로 재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유닛잭은 저장되는 미디신호를 자체 재생하는 자체 재생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유닛잭은 소리나 충격을 입력받는 마이크와, 상기 마이크로 입력되는 소리나 충격을 해당악기의 미디신호로 변환하는 마이컴과, 상기 마이컴에 의해 변 환된 미디신호를 저장하는 저장장치를 포함하는 지지대; 상기 지지대 상에 녹음과 자체 재생상태를 결정하도록 수평회전가능하게 설치되며 자체 재생시작을 위하여 일정길이만큼 뽑을 수 있도록 설치되는 발광부; 및 상기 지지부 아래에 돌출된 형태로 설치되며 누름에 의해 녹음시작이 결정되며 상기 회전판에 꼽혀지는 녹음버튼;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편집 재생장치는 상기 회전판의 속도에 따라 재생속도를 달리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유닛잭의 미디 신호를 악보형태로 출력하는 디스플레이어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아래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내용을 이해하기 위해 제시된 것일 뿐이며 당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많은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어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져서는 아니된다.
도1 및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작곡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본 발명은 크게 유닛잭(20a-20d)과 편집재생장치(100)로 구성된다. 유닛잭(20a-20d)은 유닛잭 케이스(22)에 보관되며, 소리나 충격을 입력받아 해당악기, 예컨대, 피아노, 기타, 드럼, 효과음의 미디신호로 변환하여 자체 저장한다. 편집재생장치는 메뉴의 구조 및 악보, 합주곡의 연주시 비주얼 영상을 볼 수 있는 LCD 디 스플레이어(31)를 포함한다. 그리고, 통신상태, 전원상태를 파악할 수 있는 LED(32)도 포함한다.
[유닛잭(20a-20d)에의 외부음 저장/재생]
유닛잭 케이스(22)는 4가지 유닛(20a, 20b, 20c, 20d) 즉, 예컨대 피아노, 기타, 드럼, 효과음 중에 원하는 유닛잭을 하나 취한 다음에 지지대(26) 상에 설치된 발광부(25a)를 수평회전시켜 지시선(25b)을 온(on)에 맞추고 지지대(26) 아래의 녹음버튼(25d)을 누른 후 피아노/기타의 경우는 마이크(25c)에 대고 사용자가 허밍을 하면 그 주파수를 감지하여 이를 디지털 신호로 바꾸고, 드럼의 경우는 녹음버튼(25d)을 누르고 사용자가 유닛(20)을 다른 사물에 부딪치게 하여서 진동으로 인해 발생된 주파수로 그 박자를 생성하여 이를 디지털 신호로 전환한다.
이렇게 변환된 디지털 신호는 마이컴에 의해 다시 해당 유닛잭에 맞는 악기소리, 즉 미디신호로 변환되어 저장장치에 저장된다. 사용자가 녹음버튼(25d)을 한번 더 누르면 이러한 녹음과정은 종료된다. 발광부(25a)를 수평회전시켜 재생(play)에 맞춘 후 발광부(25a)를 다시 한번 위로 잡아당겨 뽑으면 재생장치가 작동되어 저장되어 있던 미디신호가 해당 악기소리로 연주된다. 마이크(25c), 상기 마이컴, 상기 재생장치, 및 상기 저장장치는 지지대(26)에 설치된다.
[편곡]
편집재생장치(100)의 오픈버튼(16)을 눌러 뚜껑(300)을 열고 전원(17)을 켜 서 각각의 유닛잭(20a, 20b, 20c, 20d)을 회전판(10)에 꼽는다. 회전판(10)은 동심원적으로 복수개 분할되며(10a, 10b, 10c, 10d) 유닛잭(20a, 20b, 20c, 20d)은 이렇게 분할되는 동심원 각각에 꼽을 수 있다.
바로 연주모드로 들어가는 단축키(13) 또는 메뉴버튼(11)을 누르고 방향키 (12)로 편곡모드로 접속한다. 유닛선택버튼(14)에서 자신이 원하는 유닛(악기)을 선택하고 해당악기의 세기나 음정의 높낮이를 스킨버튼(18)을 위 아래로 문지르는 형식으로 하여 제어한다.
[재생]
유닛잭(20a-20d)은 녹음버튼(25d)을 통해 회전판(10)에 꼽혀진다. 메뉴버튼(11)을 누르고 방향키(12)로 재생모드로 접속하고 스킨버튼(19)을 통하여 LCD 디스플레이어(31)에 보여지는 세부적인 동작을 선택하여 재생한다. 재생의 방식에 있어서는 기존의 오르골과 같은 원리로 회전판(10) 위의 유닛잭(20a, 20b, 20c) 중에서 가장 바깥쪽에 위치하는 유닛잭(20a)이 시계 방향으로 돌면서 먼저 재생되다가, 회전판(10)의 중심과 가장 바깥쪽에 위치하는 유닛잭(20a)의 연결선 상에 두 번째로 외측에 위치하는 유닛잭(20b)이 놓이면 두 번째로 외측에 위치하는 유닛잭(20b)도 가장 바깥쪽에 위치하는 유닛잭(20a)과 함께 재생되며, 이와 같은 방식으로 내측에 있는 유닛잭이 차례로 재생되어 합주곡이 연주된다.
재생모드에서도 스킨버튼(18)을 위 아래로 문지르는 형식의 입력을 통하여 곡의 빠르기와 소리의 크기를 제어한다. 재생음은 스피커(15, 35)를 통해서 듣거나 이어폰 포트에 연결되는 이어폰을 통해 듣는다. 재생속도는 회전판(10)의 회전속도에 따라 달라진다.
[악보출력 및 네트워킹]
유닛잭(20a-20d)의 미디신호는 디스플레이어(31)를 통해 악보형태로 출력될 수 있다. 기타 작곡장치와의 네트워크 공유를 통해서 동시에 서로 다른 사용자들이 같은 작곡 작업을 협력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때와 장소를 가리지 않고 떠오르는 곡의 느낌을 직관적이고 감각적으로 쉽게 저장하고 합주해 볼 수 있게 된다.

Claims (5)

  1. 소리나 충격을 입력받아 이를 해당악기의 미디신호로 변환하여 저장하는 복수개의 유닛잭; 및 동심원적으로 복수개 분할되며 분할되는 각각에는 상기 유닛잭을 꼽을 수 있는 회전판과, 상기 회전판이 회전할 때 상기 유닛잭의 미디신호를 재생하는 재생장치와, 상기 유닛잭의 미디신호를 편집하는 편집장치를 포함하여서 상기 유닛잭에 저장되는 미디신호를 편집 또는 재생하는 편집 재생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회전판 위의 유닛잭 중에서 가장 바깥쪽에 위치하는 유닛잭이 시계방향으로 돌면서 먼저 재생되다가 상기 회전판의 중심과 상기 가장 바깥쪽에 위치하는 유닛잭의 연결선 상에 두 번째로 외측에 위치하는 유닛잭이 놓이면 상기 두 번째로 외측에 위치하는 유닛잭도 상기 가장 바깥쪽에 위치하는 유닛잭과 함께 재생되며, 이와 같은 방식으로 내측에 있는 유닛잭이 차례로 재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작곡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닛잭은 저장되는 미디신호를 자체 재생하는 자체 재생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작곡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닛잭은 소리나 충격을 입력받는 마이크와, 상기 마이크로 입력되는 소리나 충격을 해당악기의 미디신호로 변환하는 마이컴과, 상기 마이컴에 의해 변환된 미디신호를 저장하는 저장장치를 포함하는 지지대;
    상기 지지대 상에 녹음과 자체 재생상태를 결정하도록 수평회전가능하게 설치되며 자체 재생시작을 위하여 일정길이만큼 뽑을 수 있도록 설치되는 발광부; 및
    상기 지지부 아래에 돌출된 형태로 설치되며 누름에 의해 녹음시작이 결정되며 상기 회전판에 꼽혀지는 녹음버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작곡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편집 재생장치는 상기 회전판의 속도에 따라 재생속도를 달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작곡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편집 재생장치는 상기 유닛잭의 미디 신호를 악보형태로 출력하는 디스플레이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작곡장치.
KR1020050026023A 2005-03-29 2005-03-29 직관적인 작곡을 돕는 휴대용 작곡장치 KR10060124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26023A KR100601245B1 (ko) 2005-03-29 2005-03-29 직관적인 작곡을 돕는 휴대용 작곡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26023A KR100601245B1 (ko) 2005-03-29 2005-03-29 직관적인 작곡을 돕는 휴대용 작곡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01245B1 true KR100601245B1 (ko) 2006-07-19

Family

ID=371841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26023A KR100601245B1 (ko) 2005-03-29 2005-03-29 직관적인 작곡을 돕는 휴대용 작곡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01245B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08515009A6 (ja) 楽器伴奏およびサウンド評価のための携帯用電子装置
JP2008515009A (ja) 楽器伴奏およびサウンド評価のための携帯用電子装置
JP2011100156A (ja) アコースティック/エレクトリックギターの自動演奏及び録音装置
US20070137467A1 (en) Portable media player
Elsea The art and technique of electroacoustic music
JP7367835B2 (ja) 録音再生装置、録音再生装置の制御方法及び制御プログラム並びに電子楽器
KR100601245B1 (ko) 직관적인 작곡을 돕는 휴대용 작곡장치
JP5842383B2 (ja) カラオケシステム及びカラオケ装置
KR200255782Y1 (ko) 악기 연주연습이 가능한 영상가요 반주장치
Duffell Making Music with Samples: Tips, Techniques & 600+ Ready-to-use Samples
JP2009008934A (ja) 楽音再生装置
KR100652902B1 (ko) 전자 음악장치
WO2010119541A1 (ja) 音発生装置、音発生方法、音発生プログラム、及び記録媒体
WO2010110586A2 (ko) 변주 가능한 뮤직레코드 및 플레이어와 그 방법
Earl Home Music Production: A Complete Guide to Setting Up Your Home Recording Studio to Make Professional Sounding Music at Home: Getting Started
JP5505012B2 (ja) 電子音楽装置及びプログラム
Piqué The electric saxophone: An examination of and guide to electroacoustic technology and classical saxophone repertoire
JP5200384B2 (ja) 電子楽器及びプログラム
JPH0413188A (ja) 楽器音合奏機能付きカラオケ装置
Anderton SP-1200 Owners manual
KR20130005291U (ko) 건반악기장치
JPH0731414Y2 (ja) 音楽再生装置
JP2000242279A (ja) カラオケ遊戯装置
JPH04136997A (ja) 電子音楽再生装置
Pinksterboer Tipbook Amplifiers and Effects: The Complete Guid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628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