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52902B1 - 전자 음악장치 - Google Patents

전자 음악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52902B1
KR100652902B1 KR1020050026020A KR20050026020A KR100652902B1 KR 100652902 B1 KR100652902 B1 KR 100652902B1 KR 1020050026020 A KR1020050026020 A KR 1020050026020A KR 20050026020 A KR20050026020 A KR 20050026020A KR 100652902 B1 KR100652902 B1 KR 10065290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cd
memory
unit
displayed
mus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260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104134A (ko
Inventor
유병인
임창영
Original Assignee
한국과학기술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과학기술원 filed Critical 한국과학기술원
Priority to KR10200500260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52902B1/ko
Publication of KR200601041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0413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529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5290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5/00Stilts or the like
    • A63B25/08Hopping-sticks, e.g. pogo sticks ; Hopping apparatus with a single resilient support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AREA)

Abstract

전자 음악장치에 관하여 개시한다. 본 발명의 장치는, 악기들의 음계에 따른 음들이 저장되어 있는 메모리와; 악기들이 표시되는 제1 LCD와; 악보가 표시되는 제2 LCD와; 스타일러스 펜으로 제1 LCD 상의 어느 특정 악기를 선택하고, 악보에 음표를 그리면 해당하는 음을 메모리로부터 출력시키는 출력부와; 악보에 표시된 음표를 수정하는 콘트롤러와; 녹음부와; 편곡부와; 재생부와; 제어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일반인들도 작곡, 녹음, 편곡 등을 용이하게 할 수 있어 취미 생활로서의 작곡 활동을 확대시킬 수 있으며, 전문가들도 시간과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간단하게 데모 음원 등을 제작해 볼 수 있고, 컴퓨터 등으로 그 음원을 옮길 수가 있기 때문에 음원의 퀄리티를 더 높이고, 작품의 완성도를 높일 수 있다.
작곡, 녹음, 재생, 편곡, 메모리, LCD, 악기, 악보

Description

전자 음악장치{Electronic music device}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 음악장치의 개략도;
도 2는 도 1에 따른 전자 음악장치의 사진;
도 3은 도 2에 따른 전자 음악장치에 있어서 제1 LCD 장치를 나타낸 도면;
도 4a 및 도 4b는 도 2에 따른 전자 음악장치에 있어서 제2 LCD 장치를 나타낸 도면들;
도 5는 도 2에 따른 전자 음악장치를 이용한 이퀄라이저 조절 과정을 나타낸 도면; 및
도 6은 도 2에 따른 전자 음악장치를 이용한 재생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은 전자 음악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작곡, 녹음, 편곡 및 재생이 가능한 전자 음악장치에 관한 것이다.
음악을 제작하는 과정은 크게 작곡과 녹음, 편곡으로 나뉘어지는데 보통 각 과정에 필요한 장비나 프로그램 등이 따로 나누어져 있고 그 비용과 부피가 전문 음악인이 아닌 사람들이 감당하기에는 어려운 것이 사실이다. 최근들어 MIDI(Music Instrument Digital Interface) 등의 컴퓨터 소프트웨어가 발달하여 그 수고는 줄어들었지만 여전히 복잡한 인터페이스와 그에 따른 사양으로 선뜻 다가가기가 힘들다. 또한, 종래의 휴대용 멀티 트랙 레코더의 경우 녹음과 편집 기능 등이 고루 갖추어져 있으나, 수많은 버튼들과 어려운 인터페이스로 인해 제대로 기능을 발휘하도록 사용하는 것이 쉽지 않다.
따라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일반인들도 작곡과 녹음 및 편곡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전자 음악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전자 음악장치는: 악기들의 음계에 따른 음들이 저장되어 있는 메모리와; 상기 악기들이 표시되며, 악보들 각각에 해당하는 구역들이 존재하는 제1 LCD와; 상기 제1 LCD에 존재하는 상기 구역들 중에서 어느 하나를 스타일러스 펜으로 선택하면 선택된 구역에 해당하는 악보가 표시되는 제2 LCD와; 상기 스타일러스 펜으로 상기 제1 LCD 상의 어느 특정 악기를 선택하고, 상기 제2 LCD에 표시된 악보에 음표를 그리면 해당하는 음을 상기 메모리로부터 출력시키는 출력부와; 상기 제2 LCD에 표시된 악보에 그려진 음표를 수정하는 콘트롤러와; 외부의 전자 악기를 통하여 재생된 음들을 상기 메모리에 저장시켜주는 녹음부와;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음들을 편곡하여 상기 메모리에 저장시켜주는 편곡부와; 완성된 음악을 상기 메모리로부터 재생시키는 재생부와; 상기 메모리에의 음의 저장, 상기 메모리부터의 음의 출력 및 재생, 상기 녹음부 및 상기 편곡부를 제어하는 제어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때, 상기 제1 LCD에는 상기 편곡을 위한 노래의 빠르기 조절, 이퀄라이저 조절, 삭제 및 붙여넣기 모드가 표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삭제
이하에서,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 음악장치의 개략도이며, 도 2는 도 1에 따른 전자 음악장치의 사진이고, 도 3은 도 2에 따른 전자 음악장치에 있어서 제1 LCD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4a 및 도 4b는 도 2에 따른 전자 음악장치에 있어서 제2 LCD를 나타낸 도면들이고, 도 5는 도 2에 따른 전자 음악장치를 이용한 이퀄라이저 조절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며, 도 6은 도 2에 따른 전자 음악장치를 이용한 재생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 음악장치는 메모리(미도시)와, 제1 LCD(100)와, 제2 LCD(200)와, 출력부(300)와, 콘트롤러(400)와, 녹음부(500)와, 편곡부(600)와, 재생부(300)와 제어부(미도시)를 포함하여 이루어 진다. 여기서, 출력부와 재생부는 겸하게 된다.
메모리에는 각종 악기들의 음계에 따른 음(音)들이 저장되어 있다.
도 1과 결부하여 도 3을 참조하면, 제1 LCD(100)에는 메모리에 음이 저장되어 있는 각종 악기들과, 편곡시 사용되는 각각의 모드와, 작곡된 악보들이 작은 사각형의 구역으로 표시되어 있다.
도 1과 결부하여 도 4a 및 도 4b를 참조하면, 제2 LCD(200)에는 악보가 표시되어 있어 사용자들이 스타일러스 펜을 이용하여 악보에 음표 등을 그려 넣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가 스타일러스 펜을 이용하여 제1 LCD(100)에 표시되어 있는 악기들 중에서 어느 특정 악기를 선택하고 제2 LCD(200)에 표시되어 있는 악보에 음표를 그려 넣으면 그에 해당하는 음이 메모리로부터 출력부(300)를 통하여 출력되어 진다. 출력은 헤드폰을 통하여 이루어져도 좋다. 따라서, 사용자는 출력부(300)를 통하여 출력되어진 음들을 들으면서 작곡을 할 수 있다. 이 때, 작곡되어진 특정 부분을 수정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제1 LCD(100)에 표시되어 있는 악보들 중에서 수정하고자 하는 부분이 있는 악보를 선택하여 그 악보를 제2 LCD(200) 상에 표시하고 콘트롤러(400)를 이용하여 음표의 길이나 음높이 등을 수정하게 된다.
녹음부(500)는 통상의 마이크와 같은 기능을 수행하는 영역으로 외부의 전자 악기, 예를 들어 기타, 베이스, 드럼 등을 통하여 재생된 음들을 신호 변환시켜 메모리에 저장시켜 준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마이크 등을 연결하기 위한 포트가 형성되어 있다.
편곡부(600)는 메모리에 미리 저장된 악기들의 음 및 외부의 전자악기를 통하여 재생되고 메모리에 저장된 음들을 빠르기 조절, 이퀄라이저 조절, 삭제 및 붙여넣기 등으로 편집하여 준다. 이를 위하여 상술한 바와 같이 제1 LCD(100)에는 빠르기 조절 모드, 이퀄라이저 조절 모드, 삭제 및 붙여넣기 모드 등이 표시된 기능 버튼들이 형성되어 있다. 이 때, 편곡 과정은 제2 LCD(200)에 표시되는 데, 그 일 예로서 이퀄라이저 조절 과정을 수행하는 경우에는 도 5와 같이 제2 LCD(200)에 표시되게 된다.
재생부(300)는 작곡, 녹음 및 편곡 과정을 거쳐 완성된 음악을 메모리로부터 재생시킨다. 이 때, 재생과정은 도 6과 같이 제2 LCD(200) 상에 표시되게 된다.
제어부는 상기의 구성요소들의 작동을 제어하는 것으로, 크게 메모리에 의한 저장, 메모리로부터의 출력 및 재생, 녹음, 편곡 과정을 제어하게 된다.
이와 같이, 작곡, 녹음, 편곡 및 재생과정이 하나의 기기, 즉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 음악장치를 통하여 이루어지므로 일반인들도 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 음악장치를 통해 작곡, 녹음, 편곡된 곡들은 USB 포트(700)를 통해 컴퓨터로 옮길 수 있고, 샘플 음원 등을 컴퓨터로부터 옮겨와서 작곡 등에 참고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전자 음악장치에 의하면, 일반인들도 작 곡, 녹음, 편곡 등을 용이하게 할 수 있어 취미 생활로서의 작곡 활동을 확대시킬 수 있다.
또한, 전문가들도 시간과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간단하게 데모 음원 등을 제작해 볼 수 있고, 컴퓨터 등으로 그 음원을 옮길 수가 있기 때문에 음원의 퀄리티를 더 높이고, 작품의 완성도를 높일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만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당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많은 변형이 가능함은 명백하다.

Claims (3)

  1. 악기들의 음계에 따른 음들이 저장되어 있는 메모리와;
    상기 악기들이 표시되며, 악보들 각각에 해당하는 구역들이 존재하는 제1 LCD와;
    상기 제1 LCD에 존재하는 상기 구역들 중에서 어느 하나를 스타일러스 펜으로 선택하면 선택된 구역에 해당하는 악보가 표시되는 제2 LCD와;
    상기 스타일러스 펜으로 상기 제1 LCD 상의 어느 특정 악기를 선택하고, 상기 제2 LCD에 표시된 악보에 음표를 그리면 해당하는 음을 상기 메모리로부터 출력시키는 출력부와;
    상기 제2 LCD에 표시된 악보에 그려진 음표를 수정하는 콘트롤러와;
    외부의 전자 악기를 통하여 재생된 음들을 상기 메모리에 저장시켜주는 녹음부와;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음들을 편곡하여 상기 메모리에 저장시켜주는 편곡부와;
    완성된 음악을 상기 메모리로부터 재생시키는 재생부와;
    상기 메모리에의 음의 저장, 상기 메모리부터의 음의 출력 및 재생, 상기 녹음부 및 상기 편곡부를 제어하는 제어부가 구비되는 전자 음악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LCD에는 상기 편곡을 위한 노래의 빠르기 조절, 이퀄라이저 조절, 삭제 및 붙여넣기 모드가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음악장치.
  3. 삭제
KR1020050026020A 2005-03-29 2005-03-29 전자 음악장치 KR10065290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26020A KR100652902B1 (ko) 2005-03-29 2005-03-29 전자 음악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26020A KR100652902B1 (ko) 2005-03-29 2005-03-29 전자 음악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04134A KR20060104134A (ko) 2006-10-09
KR100652902B1 true KR100652902B1 (ko) 2006-12-01

Family

ID=376342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26020A KR100652902B1 (ko) 2005-03-29 2005-03-29 전자 음악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52902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04134A (ko) 2006-10-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80289478A1 (en) Portable music recording device
JP2011100156A (ja) アコースティック/エレクトリックギターの自動演奏及び録音装置
JP7367835B2 (ja) 録音再生装置、録音再生装置の制御方法及び制御プログラム並びに電子楽器
KR100652902B1 (ko) 전자 음악장치
JP4107212B2 (ja) 楽曲再生装置
JP4236533B2 (ja) 楽音発生装置及びそのプログラム
JP2009134146A (ja) コンテンツ編集装置
JP5394301B2 (ja) タイミング指定装置、曲再生装置、カラオケシステム及びタイミング指定方法
JP4994890B2 (ja) 録音した自分の歌声と模範歌唱とを厳しく比較できるカラオケ装置
JP4515382B2 (ja) レコーダ
JP4270102B2 (ja) 自動演奏装置及びプログラム
JP2011197664A (ja) 音楽ファイル再生装置及びシステム
JP4033200B2 (ja) 電子音楽装置
LeVitus GarageBand for dummies
JP4501639B2 (ja) 音響信号読出装置及びプログラム
JPH06295190A (ja) カラオケ演奏装置
JP2001318670A (ja) 編集装置、方法、記録媒体
JPH0413194A (ja) 短縮再生機能付き楽音再生装置
Rounding New in music technology
JP3000567U (ja) 電子音楽再生装置
JPH04136997A (ja) 電子音楽再生装置
JP5200384B2 (ja) 電子楽器及びプログラム
Brock GarageBand for iPad
KR100601245B1 (ko) 직관적인 작곡을 돕는 휴대용 작곡장치
JP2008276101A (ja) 楽曲再生システム及び楽曲再生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1210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