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98148A - 연주용 기타 - Google Patents

연주용 기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98148A
KR20150098148A KR1020140019318A KR20140019318A KR20150098148A KR 20150098148 A KR20150098148 A KR 20150098148A KR 1020140019318 A KR1020140019318 A KR 1020140019318A KR 20140019318 A KR20140019318 A KR 20140019318A KR 20150098148 A KR20150098148 A KR 2015009814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uitar
pickup
signal
code input
output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193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안창돈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지에스엘앤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지에스엘앤씨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지에스엘앤씨
Priority to KR10201400193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098148A/ko
Publication of KR201500981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9814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H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OR ELECTRONIC GENERATORS, OR IN WHICH THE TONES ARE SYNTHESISED FROM A DATA STORE
    • G10H3/00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 G10H3/12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using mechanical resonant generators, e.g. strings or percussive instruments, the tones of which are picked up by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the electrical signals being further manipulated or amplified and subsequently converted to sound by a loudspeaker or equivalent instrument
    • G10H3/14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using mechanical resonant generators, e.g. strings or percussive instruments, the tones of which are picked up by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the electrical signals being further manipulated or amplified and subsequently converted to sound by a loudspeaker or equivalent instrument using mechanically actuated vibrators with pick-up means
    • G10H3/18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using mechanical resonant generators, e.g. strings or percussive instruments, the tones of which are picked up by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the electrical signals being further manipulated or amplified and subsequently converted to sound by a loudspeaker or equivalent instrument using mechanically actuated vibrators with pick-up means using a string, e.g. electric guitar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H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OR ELECTRONIC GENERATORS, OR IN WHICH THE TONES ARE SYNTHESISED FROM A DATA STORE
    • G10H1/00Details of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 G10H1/0033Recording/reproducing or transmission of music for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H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OR ELECTRONIC GENERATORS, OR IN WHICH THE TONES ARE SYNTHESISED FROM A DATA STORE
    • G10H2220/00Input/output interfacing specifically adapted for electrophonic musical tools or instruments
    • G10H2220/155User input interfaces for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 G10H2220/165User input interfaces for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for string input, i.e. special characteristics in string composition or use for sensing purposes, e.g. causing the string to become its own sensor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H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OR ELECTRONIC GENERATORS, OR IN WHICH THE TONES ARE SYNTHESISED FROM A DATA STORE
    • G10H2220/00Input/output interfacing specifically adapted for electrophonic musical tools or instruments
    • G10H2220/461Transducers, i.e. details, positioning or use of assemblies to detect and convert mechanical vibrations or mechanical strains into an electrical signal, e.g. audio, trigger or control signal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Multimedia (AREA)
  • Stringed Musical Instruments (AREA)
  •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기타연주 시스템에 연결하여 사용하는 연주용 기타에 관한 것으로서, 연주용 기타에 구비된 코드입력부를 사용자가 직접 손으로 코드 잡아 연주한 연주 정보가 제어부를 통해 미디신호로 변환된후 기타연주 시스템으로 전달되거나 스피커를 통해 출력되는 연주용 기타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연주용 기타는 네크에 구비된 코드입력부와 바디에 제어부 및 픽업을 구비하여 구성되어 코드입력부의 신호와 줄을 센싱한 픽업의 신호를 바탕으로 제어부에서 미디어신호를 생성하여 기타연주 시스템으로 미디어 신호를 전달하거나 스피커를 통해 미디어신호를 출력하는 연주용 기타에 있어서, 상기 네크에 다수의 플렛이 구비됨과 더불어 네크의 상측에 줄을 지지하기 위한 너트가 구비되고 하측에 코드입력부가 구비되며, 스트랩을 구비하여 구성되어 스트랩을 통해 네크에 착탈식으로 결합됨과 더불어 무선송출부가 구비된 코드입력부, 상기 줄은 제1~제6 줄로 구성되며, 상기 픽업은 제1~제6 픽업으로 구성되고, 상기 제어부에는 제1 출력단자와 제2 출력단자 및 무선송신부가 구비되며, 제1 출력단자에는 기타연주 시스템이 연결되며, 제2 출력단자에는 스피커가 연결되어 미디어 신호가 출력된다.

Description

연주용 기타{Guitar}
본 발명은 기타연주 시스템에 연결하여 사용하는 연주용 기타에 관한 것으로서, 연주용 기타에 구비된 코드입력부를 사용자가 직접 손으로 코드 잡아 연주한 연주 정보가 제어부를 통해 미디신호로 변환된후 기타연주 시스템으로 전달되거나 스피커를 통해 출력되는 연주용 기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기타(Guitar) 6개의 서로다른 음을 가진 줄을 사용하여 정해진 코드를 손으로 잡은후 줄을 튕기는 방식으로 연주되는 방식이 사용된다.
상기 기타는 사용 용도에 따라 울림통과 나일론 줄을 사용한 클래식 기타, 울림통과 스틸 줄을 사용하는 포크 기타, 스틸줄과 제어부 및 픽업을 사용하여 전기를 이용한 스피커를 통해 소리가 출력되는 전기기타로 분류된다.
최근에는 기타연주 시스템이 개발되어 있는 실정이다. 상기 기타연주 시스템은 전기기타를 연결한후 기타 연주 시스템에서 표시하는 악보에 따라 기타를 연주하고 연주된 기타의 미디 신호를 바탕으로 점수를 산출하며 데이터를 기록하게 된다. 따라서, 연주자가 기타연주 시스템에서 표시되는 표시를 따라 기타를 연주할수 있게 되어 보다 쉽게 기타를 연주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기타연주 시스템에 사용되는 전기기타에는 초보다가 쉽게 기타연주 시스템을 이용하여 연주를 하기 위한 코드입력부가 구비된다. 상기 코드입력부는 다수의 버튼이 구비되며 버튼의 하측에는 접점 스위치가 구비된 구조이다.
상기 코드입력부가 구비된 전기기타는 사용자가 기타연주 시스템에 표시된 표시되로 코드입력부의 버튼을 누른후 기타를 연주하게 되면 픽업이 줄을 감지한후 제어부로 전달하고 픽업의 감지에 따라 제어부는 코드입력부에서 눌린 버튼과 줄을 조합하여 미디어 신호를 생성한다. 상기 생성된 미디어 신호를 기타연주 시스템 또는 스피커로 전달되어 음이 출력되게 된다.
그런데, 기존의 코드입력부가 구비된 전자기타의 경우에는 버튼을 조합하여 코드를 생성하기 때문에 한정된 코드만을 가지고 연주를 하게된다. 따라서 기타를 연주할 줄 아는 숙련된 연주자는 한정된 코드를 가지고 사용되는 기타연주 시스템용 전기기타로 연주할 경우 연주가 제한적인 문제점이 있다.
또한, 기존의 전기기타에 구비된 픽업은 각 줄에 대응되도록 구성되지 않는다. 따라서, 각각의 줄의 떨림 등을 센싱하지 못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한국 특허출원 2011-124366호, 2012-59877호
본 발명은 상기한 사정을 감안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기타연주용 시스템에 사용되는 연주용 기타에 있어서, 사용자사 선택적으로 코드입력부를 사용하여 연주함과 더불어 직접 손으로 코드를 잡아 연주할 수 있도록 된 연주용 기타를 제공함에 기술적 목적이 있다.
또한, 기타의 줄을 보다 정밀하게 센싱할 수 있는 연주용 기타를 제공함에 또 다른 기술적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연주용 기타는 네크에 구비된 코드입력부와 바디에 제어부 및 픽업을 구비하여 구성되어 코드입력부의 신호와 줄을 센싱한 픽업의 신호를 바탕으로 제어부에서 미디어신호를 생성하여 기타연주 시스템으로 미디어 신호를 전달하거나 스피커를 통해 미디어신호를 출력하는 연주용 기타에 있어서, 상기 네크에 다수의 플렛이 구비됨과 더불어 네크의 상측에 줄을 지지하기 위한 너트가 구비되고 하측에 코드입력부가 구비되며, 스트랩을 구비하여 구성되어 스트랩을 통해 네크에 착탈식으로 결합됨과 더불어 무선송출부가 구비된 코드입력부, 상기 줄은 제1~제6 줄로 구성되며, 상기 픽업은 제1~제6 픽업으로 구성되고, 상기 제어부에는 제1 출력단자와 제2 출력단자 및 무선수신부가 구비되며, 제1 출력단자에는 기타연주 시스템이 연결되며, 제2 출력단자에는 스피커가 연결되어 미디어 신호가 출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코드입력부에서 전달된 신호와 픽업을 통해 전달된 신호를 바탕으로 미디어신호를 생성하여 제1 출력단자 및 제2 출력단자로 미디어신호를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사용자 손으로 코드를 잡은후 연주하게 되면 연주된 줄을 픽업이 센싱하여 연주신호를 제어부로 전달하게 되며 제어부는 코드입력부에서 전달된 신호가 없을 경우에 연주신호 값을 토대로 미디어신호를 생성하여 제1 출력단자 및 제2 출력단자로 미디어신호를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 픽업은 제1 줄을 센싱하며, 제2 픽업은 제2 줄을 센싱하며, 제3 픽업은 제3 줄을 센싱하며, 제4 픽업은 제4 줄을 센싱하며, 제5 픽업은 제5 줄을 센싱하며 제6 픽업은 제6 줄을 센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본 발명에 따르면, 연주용 기타에 코드입력부를 착탈식으로 구성하여 사용자가 선택적으로 코드입력부를 사용하여 연주함과 더불어 직접 손으로 코드를 잡아 연주할 수 있도록 된 연주용 기타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또한, 각 줄을 센싱하기 위한 픽업을 개별적으로 구비하여 기타 줄을 보다 정밀하게 센싱할 수 있는 픽업을 기타 줄의 수에 맞쳐 각각 설치하여 기타의 줄을 보다 정밀하게 센싱할 수 있도록 된 연주용 기타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연주용 기타의 사시도
도 2는 연주용 기타의 코드입력부를 분리한 상태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연주용 기타의 정면도.
도 4는 연주용 기타의 블럭구성도.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설명한다. 단, 이하에 설명하는 실시예는 본 발명의 하나의 바람직한 구현예를 예시적으로 나타낸 것으로서, 이러한 실시예의 예시는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제한하기 위한 것이 아니다. 본 발명은 그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시켜 실시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연주용 기타의 사시도이고, 도 2는 연주용 기타의 코드입력부를 분리한 상태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3은 연주용 기타의 정면도이고, 도 4는 연주용 기타의 블럭구성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연주용 기타는 바디(10)와 바디(10)에 결합되는 네크(20) 및 네크(20)에 구비되는 헤드(30) 및 네크(20)에 구비되는 코드입력부(40)를 구비하여 구성된다.
상기 바디(10)에는 줄(70)을 고정하기 위한 줄받침(50)이 구비된다. 상기 바디(10)에는 줄(70)의 움직임을 감지하기 위한 픽업(60)이 구비된다. 상기 바디(10)에는 제1 출력부(130)와 제2 출력부(140)가 구비된다.
상기 제1 출력부(130)는 기타연주 시스템(1)에 연결되며 제2 출력부(140)는 스피커(2)에 연결된다.
상기 바디(10)에는 기타에서 출력되는 소리와 크기와 톤을 조절하기 위한 볼륨노브(11)와 톤노브(120)가 구비된다. 그리고 도면에 도시되진 않았지만 픽업(60)의 감도를 조절하기 위한 픽업셀렉터가 구비된다.
상기 픽업(60)은 기타에 설치되는 6개의 줄(70)을 각각 센싱하기 위한 제1 픽업(61), 제 2 픽업(62), 제3 픽업(63), 제4 픽업(64), 제5 픽업(65), 제6 픽업(66)으로 구성된다. 상기 제 1픽업(66)은 제1 줄(71)을 감지한다. 상기 제2 픽업(62)은 제2 줄(72)을 감지한다. 제3 픽업(63)은 제3 줄(73)을 감지한다. 제4 픽업은 제번 줄(74)을 감지한다. 제5 픽업(65)은 제5 줄(75)을 감지한다. 제6 픽업(66)은 제6 줄(76)을 감지한다.
상기 바디(10)의 내부에는 제어부(100)와 무선수신부(150)가 구비된다. 상기 제어부(100)에는 픽업(60), 제1 출력부(130), 제2 출력부(140), 볼륨노브(110), 톤노브(120), 픽업셀렉터, 무선수신부(150)가 연결된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100)에는 무선수신부(150)를 통해 코드입력부(40)가 무선으로 연결된다.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상기 무선수신부(150)가 없을 경우 상기 코드입력부(40)로부터 신호가 직접 제어부(100)에 연결될 수 있고, 이때는 코드입력부(40)에 구비된 버튼(41)(미도시)을 누르면 접점스위치가 눌리게 되고 눌린 신호가 제어부(100)로 전달되게도 할 수 있다.
네크(20)의 상측에는 너트(21)가 구비된다. 상기 네크(20)에는 다수의 플렛(22)이 돌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네트(20)에 구비된 너트(21)의 하측에는 코드입력부(40)이 구비된다.
상기 코드입력부(40)는 다수의 버튼(41)이 구비된다. 그리고 코드입력부(41)의 후면에는 돌기(42)가 형성된다. 상기 코드입력부(40)에는 코드입력부(40)을 네크(20)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하기 위한 스트랩(43)이 구비된다.
상기 코드입력부(40)에 형성된 돌기(42)에 의해 네크(20)와 코드입력부(40) 사이에 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공간으로 줄(70)이 삽입된다.
그리고, 상기 코드입력부(40)에 구비된 스트랩(43)에 의해 코드입력부(40)이 네크(20)에 자유롭게 착탈가능하게 고정 된다.
도면에 도시되진 않았지만 상기 코드입력부(40)에는 접점스위치가 구비된다. 상기 접점스위치는 코드입력부(40)에 형성된 버튼(41)의 하면에 밀착된다. 따라서, 코드입력부(40)에 구비된 버튼(41)을 누르면 접점스위치가 눌리게 되고 눌린 신호가 제어부(100)로 전달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코드입력부(40)에는 도면에 도시되진 않았지만 베터리와 무선송출부가 구비된다.
상기 무선송출부는 코드입력부(40)에 구비된 버튼이 눌린 경우 버튼이 눌린 신호를 무선송출부를 통해 송출하게 되고 송출된 신호는 제어부(100)에 구비된 무선수신부(150)에 수신되어 제어부(100)으로 전달되게 된다.
상기 네크(20)에 구비된 너트(21)는 줄(70)이 네크(20)의 구비된 플렛(22)으로 부터 일정간격 이격되도록 지지하기 위해 구비된 것이다.
기본적으로 기타의 음은 기타줄이 눌린 위치에 따라 장력이 변하게 되고 음이 변하게 된다. 기타의 경우에는 상기 너트(21)에 줄(70)이 처음으로 지지된 상태가 된다. 따라서, 너트(21)에 지지된 각각의 줄(70)이 기본 적인 각각 정해긴 기본적인 음을 내게 된다. 기타에서는 너트(21)와 플렛(22)을 구비하여 줄받침(50)에 고정된 줄(70)과 플렛(22) 및 너트(21)와의 거리에 따라 음이 변하게 된다.
헤드(30)에는 줄(70)을 고정함과 더불어 줄(70)의 장력을 조절하기 위한 튜닝머신(31)이 구비된다. 따라서, 기타에 설치되는 줄(70)은 먼저 줄받침(50)에 끼움 결합된 다음 줄(70)에 형성된 걸림부가 줄받침(50)에 고정된다. 그리고 받대측이 튜닝머신(31)에 끼움 결합된후 튜닝머신(31)에 구비된 레버를 돌려 줄(70)을 고정함과 더불어 장력을 조절하게 된다.
상기 튜닝머신(31)과 줄받침(50)에 고정된 줄(70)은 제1 줄(71), 제2 줄(72), 제3 줄(73), 제4 줄(74), 제5 줄(75), 제6 줄(76)로 구성된다. 상기 제1 줄(71)은 제1 픽업(61) 상측에 위치하며, 제2 줄(72)은 제2 픽업(62) 상측에 위치하며, 제3 줄(73)은 제3 픽업(63) 상측에 위치하며, 제4 줄(74)은 제4 픽업(64) 상측에 위치하며, 제5 줄(75)은 제 5픽업(65) 상측에 위치하며, 제6 줄(76)은 제 6픽업(66) 상측에 위치한다.
따라서, 제1~제6 줄(71,72,73,74,75,76)이 움직이게 되면 각각에 대응되는 제1~제6픽업(61,62,63,64,75,66)이 줄(70)의 움직임을 센싱하게 되고 센싱된 신호는 제어부(100)에 입력되게 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연주용기타의 동작상태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연주용 기타는 코드입력부(40)를 네크(20)에 장착한뒤 버튼(41)을 눌러 연주하거나 코드입력부(40)를 탈착한후 손으로 코드를 잡아 기타를 연주하게 되면 픽업(60)이 줄(70)의 움직임을 센싱하여 제어부(100)로 연주신호를 전달하게 된다.
상기 연주신호가 제어부(100)로 입력되면 제어부(100)는 코드입력부(40)에서 무선송신부(150)를 통해 제어부(100)로 전달된 신호가 있을 경우에 코드입력부(40)에서 전달된 신호와 연주신호를 조합하여 제어부(100)에 입력된 코드 표에 따라 미디어 신호를 생성하여 제1 출력부(130) 또는 제2 출력부(140)로 전달하게 된다. 상기에 있어서, 코드입력부(40)에서 신호가 전달되지 않은 상태에서 연주신호가 입력되면 제어부(100)는 연주신호의 값을 가지고 미디어 신호를 생성하여 제1 출력부(130) 또는 제2 출력부(140)로 전달하게 된다.
상기 제1 출력부(130)로 전달된 미디어 신호는 기타연주 시스템(1)으로 입력되어 연주에 따른 점수가 표시되며 데이터가 저장된다. 그리고, 제2 출력부(140)로 전달된 미디어 신호는 스피커(2)를 통해 출력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연주용 기타를 사용하여 연주하게 되면 사용자가 코드입력부를 네크에 착탈식으로 결합하여 코드입력부를 사용하여 연주함과 더불어 직접 코드를 손으로 잡아 기타를 연주할 수 있게 된다.
또한, 각각의 줄에 대해서 각각의 픽업을 설치하여 센싱함으로 인해 보다 정밀하게 줄을 센싱할 수 있게 된다.
이상으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다양하게 변형시켜 실시할 수 있다.
10 : 바디, 20 : 네크, 21 : 너트, 30 : 헤드, 31 : 튜닝머신, 40 : 코드입력부, 50 : 줄받침, 60 : 픽업, 70 : 줄, 100 : 제어부, 130 : 제1 출력부, 140 : 제2 출력부

Claims (4)

  1. 네크에 구비된 코드입력부와 바디에 제어부 및 픽업을 구비하여 구성되어 코드입력부의 신호와 줄을 센싱한 픽업의 신호를 바탕으로 제어부에서 미디어신호를 생성하여 기타연주 시스템으로 미디어 신호를 전달하거나 스피커를 통해 미디어신호를 출력하는 연주용 기타에 있어서,
    상기 네크에 다수의 플렛이 구비됨과 더불어 네크의 상측에 줄을 지지하기 위한 너트가 구비되고 하측에 코드입력부가 구비되며,
    스트랩을 구비하여 구성되어 스트랩을 통해 네크에 착탈식으로 결합됨과 더불어 무선송출부가 구비된 코드입력부,
    상기 줄은 제1~제6 줄로 구성되며,
    상기 픽업은 제1~제6 픽업으로 구성되고,
    상기 제어부에는 제1 출력단자와 제2 출력단자 및 무선수신부가 구비되며,
    제1 출력단자에는 기타연주 시스템이 연결되며,
    제2 출력단자에는 스피커가 연결되어 미디어 신호가 출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주용 기타.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코드입력부에서 전달된 신호와 픽업을 통해 전달된 신호를 바탕으로 미디어신호를 생성하여 제1 출력단자 및 제2 출력단자로 미디어신호를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주용 기타.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사용자 손으로 코드를 잡은후 연주하게 되면 연주된 줄을 픽업이 센싱하여 연주신호를 제어부로 전달하게 되며 제어부는 코드입력부에서 전달된 신호가 없을 경우에 연주신호 값을 토대로 미디어신호를 생성하여 제1 출력단자 및 제2 출력단자로 미디어신호를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주용 기타.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픽업은 제1 줄을 센싱하며, 제2 픽업은 제2 줄을 센싱하며, 제3 픽업은 제3 줄을 센싱하며, 제4 픽업은 제4 줄을 센싱하며, 제5 픽업은 제5 줄을 센싱하며 제6 픽업은 제6 줄을 센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주용 기타.
KR1020140019318A 2014-02-19 2014-02-19 연주용 기타 KR2015009814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19318A KR20150098148A (ko) 2014-02-19 2014-02-19 연주용 기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19318A KR20150098148A (ko) 2014-02-19 2014-02-19 연주용 기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98148A true KR20150098148A (ko) 2015-08-27

Family

ID=540596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19318A KR20150098148A (ko) 2014-02-19 2014-02-19 연주용 기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50098148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55475A (ko) 2021-10-19 2023-04-26 신태민 스마트 전자기타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55475A (ko) 2021-10-19 2023-04-26 신태민 스마트 전자기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475431B2 (en) Apparatus for a reed instrument
US9502012B2 (en) Drumstick controller
US20080184864A1 (en) Electric guitar including a connection for a digital music player
EP2946479B1 (en) Synthesizer with bi-directional transmission
US20120204704A1 (en) Electronic drum kit and module for a tablet computing device
US9761211B2 (en) Detachable controller device for musical instruments
US20070137467A1 (en) Portable media player
US20110239847A1 (en) Electronic drumsticks system
US20130190092A1 (en) Control device for a game console and a method for controlling a game console
US8183455B2 (en) Removable inline signal interrupter for electric guitar
US6777608B1 (en) Integrated sound trigger musical instruments
US10540951B2 (en) Musical instrument amplifier
KR20150098148A (ko) 연주용 기타
US20030230187A1 (en) Musical tone generating apparatus, plucked string instrument, performance system, electronic musical instrument, musical tone generation control method, and program for implementing the method
JP2009229680A (ja) 音発生システム
KR20070006296A (ko) 눌림 감지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전자 노래 반주 시스템
KR102006889B1 (ko) 현악기 픽업 장치, 현악기 픽업 장치를 이용한 연주 정보 출력 방법, 및 현악기
KR101410966B1 (ko) 현악기 연주 학습장치
US20140165823A1 (en) Removable inline signal interrupter for electric guitar
KR100844595B1 (ko) 동시 설정 기능을 가지는 음향 장치
JPWO2020217489A1 (ja) チューニング装置
KR100687693B1 (ko) 듀얼 연주 기능을 구비한 이동 단말기
JP6587396B2 (ja) ギターカラオケ採点機能を備えるカラオケ装置
US20200043451A1 (en) Modular percussion instrument device and method
JP2021192067A (ja) 演奏補助具およびギタ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