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48507A - 음향처리기능이 내장된 전자기타 - Google Patents

음향처리기능이 내장된 전자기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48507A
KR20140048507A KR1020120114530A KR20120114530A KR20140048507A KR 20140048507 A KR20140048507 A KR 20140048507A KR 1020120114530 A KR1020120114530 A KR 1020120114530A KR 20120114530 A KR20120114530 A KR 20120114530A KR 20140048507 A KR20140048507 A KR 2014004850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udio
unit
sound
signal
outp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145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은경
Original Assignee
김은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은경 filed Critical 김은경
Priority to KR10201201145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048507A/ko
Publication of KR201400485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4850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H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OR ELECTRONIC GENERATORS, OR IN WHICH THE TONES ARE SYNTHESISED FROM A DATA STORE
    • G10H3/00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 G10H3/12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using mechanical resonant generators, e.g. strings or percussive instruments, the tones of which are picked up by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the electrical signals being further manipulated or amplified and subsequently converted to sound by a loudspeaker or equivalent instrument
    • G10H3/14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using mechanical resonant generators, e.g. strings or percussive instruments, the tones of which are picked up by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the electrical signals being further manipulated or amplified and subsequently converted to sound by a loudspeaker or equivalent instrument using mechanically actuated vibrators with pick-up means
    • G10H3/18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using mechanical resonant generators, e.g. strings or percussive instruments, the tones of which are picked up by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the electrical signals being further manipulated or amplified and subsequently converted to sound by a loudspeaker or equivalent instrument using mechanically actuated vibrators with pick-up means using a string, e.g. electric guitar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H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OR ELECTRONIC GENERATORS, OR IN WHICH THE TONES ARE SYNTHESISED FROM A DATA STORE
    • G10H5/00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means of electronic generators
    • G10H5/002Instruments using voltage controlled oscillators and amplifiers or voltage controlled oscillators and filters, e.g. Synthesiser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H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OR ELECTRONIC GENERATORS, OR IN WHICH THE TONES ARE SYNTHESISED FROM A DATA STORE
    • G10H2220/00Input/output interfacing specifically adapted for electrophonic musical tools or instruments
    • G10H2220/155User input interfaces for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 G10H2220/165User input interfaces for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for string input, i.e. special characteristics in string composition or use for sensing purposes, e.g. causing the string to become its own sensor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H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OR ELECTRONIC GENERATORS, OR IN WHICH THE TONES ARE SYNTHESISED FROM A DATA STORE
    • G10H2220/00Input/output interfacing specifically adapted for electrophonic musical tools or instruments
    • G10H2220/461Transducers, i.e. details, positioning or use of assemblies to detect and convert mechanical vibrations or mechanical strains into an electrical signal, e.g. audio, trigger or control signal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Multimedia (AREA)
  •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AREA)

Abstract

외부의 오디오 장치를 통해 입력되는 오디오와 사용자가 연주하는 연주음을 혼합하여 출력하며, 앰프(증폭기) 필요없이 연주가 가능하여 타인에게 소음 공해를 유발하지 않으며, 외부의 오디오를 들으면서 연주가 가능하고, 전자 신호를 음향신호로 출력하여 합주할 수 있도록 한 음향처리기능이 내장된 전자기타가 개시된다.
개시된 음향처리기능이 내장된 전자기타는, 스틸 현의 조작에 따라 발생하는 진동을 전기적 진동으로 변환하는 픽업부와; 상기 픽업부에서 출력된 신호와 외부 오디오 입력단자를 통해 입력된 오디오를 혼합하는 신호 혼합부와; 상기 신호 혼합부에서 출력된 오디오를 증폭하는 증폭부와; 상기 증폭부에서 증폭된 오디오에 음향을 부가하는 이펙터부와; 상기 이펙터부에서 출력된 오디오를 앰프로 출력하는 오디오 출력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음향처리기능이 내장된 전자기타{Electric guitar of built-in sound processing function}
본 발명은 음향처리기능이 내장된 전자기타(electric guitar)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외부의 오디오 장치를 통해 입력되는 오디오와 사용자가 연주하는 연주음을 혼합하여 출력해줄 수 있도록 한 음향처리기능이 내장된 전자기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자기타는 기타(guitar)에 증폭기(增幅器)를 장치하여 스피커에서 소리가 나게 한 발현악기이다. 스틸 현을 사용하며 진동은 자기유도(磁氣誘導)에 의한 수법으로 전기적 진동으로 바꾼다. 사이드형과 하와이안형의 두 가지가 있다. 전자는 일반적인 기타의 모양에 가까우나 통 속에는 음량·음질의 조절회로가 들어 있으며, 금속이고 명쾌한 소리를 낸다. 전기베이스라고 하는 저음용도 있고 통이 바이올린 형으로 된 것도 있다. 후자는 통이 없이 플레이트만 있는 것처럼 보이는 장방형으로 약간 굵은 통 부분에 회로가 들어 있다.
주지한 바와 같은 전자기타에 대한 종래의 기술이 대한민국특허청 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10-0662036호(2006.12.28. 공고)(발명의 명칭: 유에스비 인터페이스가 내장된 기타의 음향 입출력시스템 및 음향 입출력 방법)(이하, "종래기술"이라 약칭함)에 개시되어 있으며, 이를 도 4와 도 5에 도시하여 그 구성과 작동 관계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시된 종래기술은 USB 인터페이스가 내장된 기타의 음향 입출력시스템은 쌍방향 USB 인터페이스 수단이 내부에 구비된 전자기타를 이용하여 생성된 디지털 음향신호를 컴퓨터 단말기로 전송하여 저장 가능하게 하며 동시에, 그 음향신호나 또는 컴퓨터 단말기로부터 전송된 다른 기타의 연주 음향신호를 스피커나 헤드폰을 통해 출력시킴으로써 여러 대의 전자기타를 이용한 동시 합주를 행할 수 있도록 하고, 컴퓨터 단말기에 내장된 다양한 음향 편집 프로그램을 더욱 용이하게 이용할 수 있도록 한 시스템이다
이와 같은 종래의 기타의 음향 입출력시스템은 쌍방향 USB 인터페이스수단이 내부에 구비된 전자기타(100)가 구비되어져 있으며, 상기 전자기타(100)에는 공지의 오디오케이블(500)의 케이블 커넥터(502)를 삽입할 수 있는 오디오 케이블 포트(102)가 구성되어져 있으며, USB 케이블(400)의 케이블 커넥터(402)를 삽입할 수 있는 USB 포트(104)가 형성되어져 있다.
또한, 상기 전자기타(100)의 내부에는 전기신호로 변환된 기타의 음향신호를 신호처리하여 상기 USB 포트(104)로 전송하고, 그 USB 포트(104)로부터 전송된 음향신호를 신호처리하여 외부로 출력시키기 위한 USB 기타모듈(106)이 구비되어져 있다.
종래의 USB 인터페이스가 내장된 기타의 음향 입출력시스템에는 상기 전자기타(100)의 내부에 구비된 USB 기타모듈(106) 및 USB 케이블(400)을 통해 음향신호를 전송받아 오디오 신호규약에 적합하게 변경하고, 변경된 오디오 신호를 각종 믹싱 및 음향 편집 프로그램을 통해 편집하고, 저장하며, 기저장된 다른 전자기타의 음향신호를 USB 케이블(400) 및 USB 기타모듈(106)을 통해 전자기타(100)로 전송함으로써 그 전자기타(100)에 구비된 오디오 케이블(500)을 통해 스피커(300) 및 헤드폰(미도시)을 통해 출력시키기 위한 컴퓨터 단말기(200)가 구비되어져 있다.
그런데,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에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은 전자기타에서 발생한 음향신호를 USB(Universal Serial Bus)를 이용하여 컴퓨터에 저장할 수 있으며, 컴퓨터에서 발생한 신호를 USB를 이용하여 전자기타에 연결된 스피커나 헤드폰으로 출력할 수 있는 장점은 있으나, 외부의 오디오 장치를 통해 입력되는 오디오와 사용자가 연주하는 연주음을 혼합하여 출력해주는 것은 불가능하였다.
또한, 종래기술은 전자기타 자체에서 오디오에 음향을 부가하는 것도 불가능한 단점이 있다.
또한, 종래기술은 연주시 전자기타의 음향신호가 앰프(스피커)를 통해 출력되므로, 소음공해가 발생하여 타인에게 불편함을 주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기술은 외부의 오디오 장치(스마트폰, MP3)를 통해 입력되는 외부 오디오를 들으면서 연주하는 것이 불가능하였다.
또한, 종래기술은 자신이 연주하는 음향을 타인은 듣지 못하면서 자신만 들으면서 연주하는 것도 불가능하였다.
1. 대한민국특허청 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10-0662036호(2006.12.28. 공고)(발명의 명칭: 유에스비 인터페이스가 내장된 기타의 음향 입출력시스템 및 음향 입출력 방법)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에서 발생하는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제안된 것으로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외부의 오디오 장치를 통해 입력되는 오디오와 사용자가 연주하는 연주음을 혼합하여 출력해줄 수 있도록 한 음향처리기능이 내장된 전자기타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과제는 전자기타 자체에서 연주되는 연주음에 음향을 부가할 수 있도록 한 음향처리기능이 내장된 전자기타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또 다른 과제는 앰프(증폭기) 필요없이 연주가 가능하여 타인에게 소음 공해를 유발하지 않으면서 연주할 수 있도록 한 음향처리기능이 내장된 전자기타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또 다른 과제는 외부의 오디오를 들으면서 연주가 가능하도록 한 음향처리기능이 내장된 전자기타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또 다른 과제는 전자 신호를 음향신호로 출력하여 합주할 수 있도록 한 음향처리기능이 내장된 전자기타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과제들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음향처리기능이 내장된 전자기타"는,
스틸 현을 감는 다수개의 줄감개가 마련된 헤드, 바디, 상기 바디와 헤드를 연결시키는 네크로 이루어진 전자기타에 있어서,
상기 바디는,
상기 스틸 현의 조작에 따라 발생하는 진동을 전기적 진동으로 변환하는 픽업부와;
상기 픽업부에서 출력된 신호와 외부 오디오 장치를 통해 입력된 오디오를 혼합하는 신호 혼합부와;
상기 신호 혼합부에서 출력된 오디오를 사용자가 조작한 볼륨 레벨에 대응하게 증폭하는 증폭부와;
사용자의 음향 선택 스위치 조작에 따라 상기 증폭부에서 출력되는 오디오 신호에 음향 효과를 부가하여 출력하는 이펙터부와;
상기 이펙터부에서 출력된 오디오를 상기 바디에 설치되는 앰프 연결단자를 통해 앰프로 출력하는 오디오 출력부와;
사용자의 원음 선택 스위치 조작에 따라 상기 픽업부에서 출력되는 오디오 신호를 상기 신호 혼합부에 연결하거나 상기 오디오 출력부에 연결해주는 신호 선택부가 내장되며,
상기 신호 선택부는 상기 원음 선택 스위치가 패시브(passive) 상태로 조작되면 원음 출력을 위해 상기 픽업부에서 출력되는 오디오 신호를 상기 오디오 출력부에 바로 연결해주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음향처리기능이 내장된 전자기타"의 상기 바디는,
헤드폰으로 오디오를 출력하기 위해 상기 바디에 설치되는 헤드폰 연결단자와;
상기 외부 오디오 장치와 연결되어, 상기 외부 오디오 장치에서 재생된 오디오를 상기 신호 혼합부에 전달하기 위해 상기 바디에 설치되는 외부 오디오 입력단자와;
전자기타에 구동용 전원을 공급해주기 위해 상기 바디에 설치되는 전원 공급단자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음향처리기능이 내장된 전자기타"의 상기 오디오 출력부는 상기 헤드폰이 헤드폰 연결단자에 연결되지 않은 경우 입력 오디오를 앰프 출력 단자에 자동으로 연결해주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음향처리기능이 내장된 전자기타"의 상기 오디오 출력부는 상기 이펙터부에서 출력되는 오디오를 헤드폰 연결단자를 통해 헤드폰으로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외부의 오디오 장치를 통해 입력되는 오디오와 사용자가 연주하는 연주음을 혼합하여 출력해줄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전자기타 자체에서 연주되는 연주음에 음향을 부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앰프(증폭기) 필요없이 연주가 가능하여 타인에게 소음 공해를 유발하지 않으면서 연주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외부의 오디오를 들으면서 연주가 가능한 효과도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전자 신호를 음향신호로 출력하여 합주가 가능토록 도모해주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전자기타의 개략 구성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전자기타의 요부 확대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전자기타의 요부 블록 구성도이고,
도 4는 종래의 전자기타의 일예를 보인 개략적인 구성도이며,
도 5는 종래의 전자기타의 요부 블록 구성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을 설명하기에 앞서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전자기타의 개략 구성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전자기타의 요부 확대도로서, 상기 전자기타는 크게 헤드(10)와 네크(20) 그리고 바디(30)로 구분된다.
상기 헤드(10)에는 스틸 현을 감기 위한 줄감개가 스틸 현의 개수만큼 설치되며, 좌우 3개씩 설치된 형태도 있고 일렬로 설치된 형태도 있다.
상기 네크(20)는 상기 헤드(10)와 바디(30)를 연결시키는 부분으로서, 다수의 플랫으로 구획된 지판(finger board)이 있는 동시에 연주자가 연주하기 위한 운지를 하는 곳이기도 하다.
상기 바디(30)는 전자기타의 몸체를 형성하는 것으로, 그 앞판에는 스틸 현을 고정시키기 위한 브릿지가 부착되어 있다.
이러한 상기 바디(30)의 소정 위치에는 전자기타에서 발생한 오디오를 헤드폰으로 출력하기 위한 헤드폰 연결단자(31)가 설치되고, 상기 바디(30)의 소정 위치에는 외부의 오디오 장치(스마트폰, MP3 플레이어, 기타 등등)에서 입력되는 외부 오디오를 입력받기 위한 외부 오디오 입력단자(32)가 설치된다.
또한, 상기 바디(30)의 소정 위치에는 전자기타로 구동용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공급단자(33)가 설치되며, 상기 바디(30)의 소정 위치에는 원음 선택 스위치(35)와 음향 선택 스위치(34)가 설치된다.
여기서 원음 선택 스위치(35)는 전자기타에서 발생한 오디오를 증폭이나 음향 처리하지 않고 바로 상기 바디(30)에 설치되는 앰프 연결단자(161)를 통해 앰프로 출력하기 위한 선택 스위치이며, 음향 선택 스위치(34)는 전자기타에서 발생한 오디오를 증폭한 후 음향 처리를 할 것인지 아니면 음향 처리를 하지 않을 것인지를 결정하는 스위치이다. 이러한 음향 선택 스위치(34)의 조작에 따라 이펙터(effector)의 사용 여부가 결정된다.
또한, 상기 바디(30)의 소정 위치에는 외부에 설치되는 앰프와 본 전기기타가 전기 신호 상으로 연결하기 위한 앰프 연결단자(36)가 설치된다. 이와 같은 상기 앰프 연결단자(36)는 앰프와 연결하기 위해 통상의 전기기타의 바디에 설치되는 공지의 단자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음향처리기능이 내장된 전자기타의 블록 구성도로서, 픽업부(110), 신호 선택부(120), 외부 오디오 입력단자(32), 신호 혼합부(130), 증폭부(140), 이펙터부(150) 및 오디오 출력부(160)로 구성되며, 이러한 각각의 구성은 바디(30) 내부에 내장된다.
상기 픽업부(110)는 스틸 현의 조작에 따라 발생하는 진동을 자기유도 방식을 통해 전기적 진동으로 변환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신호 선택부(120)는 사용자의 원음 선택 스위치(35) 조작에 따라 상기 픽업부(110)에서 출력되는 오디오 신호를 상기 신호 혼합부(130)에 연결하거나 상기 오디오 출력부(160)에 연결해주는 역할을 한다.
예컨대, 상기 신호 선택부(120)는 상기 원음 선택 스위치(35)가 패시브(passive) 상태로 조작되면 원음 출력을 위해 상기 픽업부(110)에서 출력되는 오디오 신호를 상기 오디오 출력부(160)에 바로 연결해주게 된다.
상기 외부 오디오 입력단자(32)는 오디오 장치를 통해 입력되는 오디오를 상기 신호 혼합부(130)에 연결해주는 역할을 한다.
상기 신호 혼합부(130)는 상기 픽업부(110)에서 출력된 신호와 외부 오디오 입력단자(32)를 통해 입력된 외부 오디오를 혼합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신호 혼합부(130)는 통상의 오디오 믹싱 회로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증폭부(140)는 상기 신호 혼합부(130)에서 출력된 오디오를 증폭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서, 사용자의 볼륨 조정에 따라 증폭 레벨을 달리하여 증폭하게 된다.
상기 이펙터부(150)는 사용자의 음향 선택 스위치(34) 조작에 따라 상기 증폭부(140)에서 출력되는 오디오 신호에 음향 효과를 부가하여 상기 오디오 출력부(160)에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이와 같은 역할을 하는 상기 이펙터부(140)는 상기 바디(30)의 내부에 설치되고 상기 음향 선택 스위치(34)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이펙터이다.
여기서 상기 이펙터(effector)는 전기 신호로 변환된 음을 가공하여 원음과는 다른 음으로 변화시키는 일반적인 기기를 의미한다. 그 범위가 넓어 얻을 수 있는 효과와 기기의 모양, 그리고 크기가 다양하다. 이펙터의 명칭은 변화해서 얻을 수 있는 효과에 의한 경우(코러스, 에코 등)와 동작 원리에 의한 경우(딜레이, 피치, 시프터 등)가 있고, 그 밖에 플랜저 등 여러 종류가 있다. 또는 이들의 일반 명칭과는 달리 메이커의 상품명이 일반화되었고, 어떤 타입의 기재 전반을 가리키는 경우(하모나이저)도 있다. 이펙터의 분류는 복합적인 요소가 있어 엄밀하게 분류하기는 어렵지만 대략 다음과 같다.
① 시간 제어계 : 에코(echo), 리버브(reverberation), 코러스(chorus), 플랜저(flanger), 페이저(phaser), 피치 시프터(pitch shifter) 등이 있다.
② 주파수 특성 제어계: 그래픽 EQ(graphic equalizer), 파라메트릭 EQ(parametric equalizer), 와우(wow) 등이 있다.
③ 레벨 제어계: 컴프레서·리미터(compressor·limiter), 익스팬더·노이즈 게이트(expander·noise gate), 오토 팬(auto panner) 등이 있다.
④ 디스토션계 : 디스토션(distortion), 오버드라이브(overdrive), 퍼즈(fuzz) 등이 있다.
⑤ 복합형 : 익사이터(exciter), 디에서(de-esser) 등이 있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와 같이 오디오 분야에 널리 알려진 음향기기 중 어느 하나를 그대로 이용하는 것으로 가정한다.
상기 오디오 출력부(160)는 상기 증폭부(140)에서 증폭된 오디오 또는 상기 이펙터부(150)에서 음향 효과가 부가된 오디오를 헤드폰 연결단자(31)를 통해 헤드폰으로 출력하거나 상기 신호 선택부(120)를 통해 출력된 원음을 앰프로 출력하는 역할을 한다. 여기서 오디오 출력부(160)는 상기 헤드폰이 헤드폰 연결단자(31)에 연결되지 않은 경우 입력 오디오를 앰프 출력으로 자동 연결하게 된다. 즉, 헤드폰이 헤드폰 연결단자(31)에 연결되면 오디오 출력을 헤드폰 연결단자(31)에 무조건 연결하고, 헤드폰이 헤드폰 연결단자(31)에 연결되지 않았으면 오디오 출력을 앰프로 자동 연결하게 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음향처리기능이 내장된 전자기타는, 상기 픽업부(110)를 통해 스틸 현의 조작에 따라 발생하는 진동을 통상의 자기유도 방식을 통해 전기적 진동(오디오 신호)으로 변환을 한다.
이렇게 변환된 전자기타의 신호는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신호 처리가 이루어진 후 헤드폰 또는 앰프로 출력되거나, 바로 원음 상태로 앰프로 출력된다.
예컨대, 사용자는 전자기타의 원음을 그대로 듣거나 합주용 등으로 사용하고자 할 경우, 바디(30)의 소정 위치에 구비된 원음 선택 스위치(35)를 패시브 쪽으로 조작한다. 그러면 신호 선택부(120)에서 픽업부(110)로부터 출력되는 전자기타의 신호를 바로 오디오 출력부(160)로 연결하여, 앰프로 출력되도록 한다. 이로써 사용자는 자신이 연주하는 전자기타의 원음을 듣게 되며, 이렇게 앰프를 통해 출력되는 오디오는 합주를 위한 연주음이 된다.
만약, 외부에 소음 공해를 발생하지 않으면서 밀폐된 공간에서 혼자 연주하고자 할 경우, 상기 신호 선택부(120)를 액티브 쪽으로 조작한다. 그러면 신호 선택부(120)는 픽업부(110)에서 발생한 전자기타의 신호를 신호 혼합부(130)로 전달한다. 여기서 원음 선택 스위치(35)는 패시브와 액티브로 구분되며, 패시브는 원음을 듣기 위해 선택하는 부분이고, 액티브는 음향 처리된 오디오를 듣기 위해 선택하는 부분이다.
한편, 신호 혼합부(130)에는 외부 오디오 입력단자(32)를 통해 스마트폰이나 MP3와 같은 오디오 장치를 통해 외부 오디오가 입력된다. 예컨대, 사용자는 다른 오디오 장치에서 발생한 음악을 들으면서 연주하기 위해 외부 오디오 입력단자(32)에 오디오 장치를 연결하고, 해당 오디오 장치를 조작하여 연주하고자 하는 음악을 재생하면, 그 재생되는 외부 오디오가 외부 오디오 입력단자(32)를 통해 신호 혼합부(130)에 전달된다.
상기 신호 혼합부(130)는 픽업부(11)에서 출력되는 전자기타의 오디오 신호를 그대로 출력하거나 자신이 연주하는 전자기타의 오디오 신호와 상기 외부 오디오 입력단자(32)를 통해 입력되는 외부 오디오를 혼합하여 출력하게 된다.
이렇게 출력되는 오디오는 증폭부(140)에서 소정 레벨로 증폭된 후, 사용자의 음향 선택 여부에 따라 바로 오디오 출력부(160)에 바로 전달되거나 이펙터부(150)에 전달된다. 여기서 증폭부(140)의 증폭 레벨은 사용자가 바디(30)에 구비된 볼륨 조절 스위치를 통해 볼륨을 조정하는 것에 대응하게 결정된다.
만약, 사용자가 음향 효과를 원하지 않을 경우에는 바디(30)에 구비된 음향 선택 스위치(34)를 오프 상태로 하게 되고, 상기 음향 선택 스위치(34)가 오프 상태에 위치하면 증폭부(140)에서 발생한 오디오는 이펙터부(150)를 거치지 않고 바로 오디오 출력부(160)에 출력된다.
상기 오디오 출력부(160)는 헤드폰 연결단자(31)에 헤드폰이 연결되어 있는지를 확인하여, 헤드폰 연결단자(31)에 헤드폰이 연결된 경우에는 입력 오디오를 헤드폰으로 출력하게 되고, 이와는 달리 헤드폰 연결단자(31)에 헤드폰이 연결되지 않았으면 입력 오디오를 기타 출력 단자로 출력하여 앰프와 같은 장치로 오디오를 출력하게 된다.
한편, 사용자가 음향 효과를 선택하기 위해서 바디(30)에 구비된 음향 선택 스위치(34)를 선택한 경우에는, 이펙터부(150)가 동작을 하여 증폭부(140)에서 출력되는 오디오에 음향 효과를 부가하여 오디오 출력부(160)에 전달한다.
상기 오디오 출력부(160)는 헤드폰 연결단자(31)에 헤드폰이 연결되어 있는지를 확인하여, 헤드폰 연결단자(31)에 헤드폰이 연결된 경우에는 음향 효과가 부가된 입력 오디오를 헤드폰으로 출력하게 되고, 이와는 달리 헤드폰 연결단자(31)에 헤드폰이 연결되지 않았으면 음향 효과가 부가된 입력 오디오를 기타 출력 단자로 출력하여 앰프와 같은 장치로 오디오를 출력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외부 오디오 입력단자(32)를 통해 외부 오디오가 입력되지 않을 경우, 사용자는 자신이 연주하는 전자기타의 오디오 신호만을 헤드폰 또는 앰프를 통해 듣게 된다.
이러한 본 발명은 외부 오디오 장치(스마트폰, MP3, 기타)에서 입력된 오디오와 사용자가 연주하는 연주음을 혼합하여 출력할 수 있으며, 전자기타 자체에서 전자기타에서 발생한 오디오를 음향 처리할 수 있게 된다. 아울러 사용자는 외부 오디오를 들으면서 연주가 가능하고, 자신이 연주하는 전자기타의 오디오만을 헤드폰 또는 앰프를 통해 들을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헤드폰을 이용하여 연주음을 듣게 되면 외부의 소음 공해도 원천적으로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된다.
10 : 헤드
20 : 네크
30 : 바디
31 : 헤드폰 연결단자
32 : 외부 오디오 입력단자
33 : 전원공급단자
34 : 음향 선택 스위치
35 : 원음 선택 스위치
36 : 앰프 연결단자
110 : 픽업부
120 : 신호 선택부
130 : 신호 혼합부
140 : 증폭부
150 : 이펙터부
160 : 오디오 출력부

Claims (4)

  1. 스틸 현을 감는 다수개의 줄감개가 마련된 헤드(10), 음향처리장치가 내장된 바디(30), 상기 바디(30)와 헤드(10)를 연결시키는 네크(20)로 이루어진 전자기타에 있어서,
    상기 바디(30)의 음향처리장치는,
    상기 스틸 현의 조작에 따라 발생하는 진동을 전기적 진동으로 변환하는 픽업부(110)와;
    상기 픽업부(110)에서 출력된 신호와 외부 오디오 장치를 통해 입력되는 오디오를 혼합하는 신호 혼합부(130)와;
    상기 신호 혼합부(130)에서 출력된 오디오를 사용자가 조작한 볼륨 레벨에 대응하게 증폭하는 증폭부(140)와;
    사용자의 음향 선택 스위치(34) 조작에 따라 상기 증폭부(140)에서 출력되는 오디오 신호에 음향 효과를 부가하여 출력하는 이펙터부(150)와;
    상기 이펙터부(150)에서 출력된 오디오를 상기 바디(30)에 설치되는 앰프 연결단자(36)를 통해 앰프로 출력하는 오디오 출력부(160)와;
    사용자의 원음 선택 스위치(35) 조작에 따라 상기 픽업부(110)에서 출력되는 오디오 신호를 상기 신호 혼합부(130)에 연결하거나 상기 오디오 출력부(160)에 연결해주는 신호 선택부(120)가 내장되며,
    상기 신호 선택부(120)는 상기 원음 선택 스위치(35)가 패시브(passive) 상태로 조작되면 원음 출력을 위해 상기 픽업부(110)에서 출력되는 오디오 신호를 상기 오디오 출력부(160)에 바로 연결해주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향처리기능이 내장된 전자기타.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바디(30)는,
    헤드폰으로 오디오를 출력하기 위해 상기 바디(30)에 설치되는 헤드폰 연결단자(31)와;
    상기 외부 오디오 장치와 연결되어, 상기 외부 오디오 장치에서 재생된 오디오를 상기 신호 혼합부(130)에 전달하기 위해 상기 바디(30)에 설치되는 외부 오디오 입력단자(32)와;
    전자기타에 구동용 전원을 공급해주기 위해 상기 바디(30)에 설치되는 전원공급단자(33)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향처리기능이 내장된 전자기타.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오디오 출력부(160)는 상기 헤드폰이 헤드폰 연결단자(31)에 연결되지 않은 경우 입력 오디오를 앰프 출력으로 자동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향처리기능이 내장된 전자기타.
  4.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오디오 출력부(160)는 상기 이펙터부(150)에서 출력되는 오디오를 헤드폰 연결단자(31)를 통해 헤드폰으로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향처리기능이 내장된 전자기타.
KR1020120114530A 2012-10-16 2012-10-16 음향처리기능이 내장된 전자기타 KR2014004850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14530A KR20140048507A (ko) 2012-10-16 2012-10-16 음향처리기능이 내장된 전자기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14530A KR20140048507A (ko) 2012-10-16 2012-10-16 음향처리기능이 내장된 전자기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48507A true KR20140048507A (ko) 2014-04-24

Family

ID=506545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14530A KR20140048507A (ko) 2012-10-16 2012-10-16 음향처리기능이 내장된 전자기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40048507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74004A (ko) * 2016-12-23 2018-07-03 김민홍 현악기 픽업 장치, 현악기 픽업 장치를 이용한 연주 정보 출력 방법, 및 현악기
WO2022119023A1 (ko) * 2020-12-04 2022-06-09 박래선 이펙터 일체형 기타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74004A (ko) * 2016-12-23 2018-07-03 김민홍 현악기 픽업 장치, 현악기 픽업 장치를 이용한 연주 정보 출력 방법, 및 현악기
WO2022119023A1 (ko) * 2020-12-04 2022-06-09 박래선 이펙터 일체형 기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916761B2 (en) Audio coupling device to couple an electric musical instrument to a handheld computing device
US20200236456A1 (en) Headphones for processing microphone, musical instrument, and audio signals
US8816182B2 (en) Digital audio connections for portable handheld computing devices
JP2003316357A (ja) 電子楽器の音響制御装置
CN101622805A (zh) 用于智能均衡的系统和方法
JP6696140B2 (ja) 音響処理装置
CN201025720Y (zh) 电视机卡拉ok伴唱系统
US7262358B2 (en) Portable voice studio system and method
US8772620B2 (en) Processing audio signals with portable handheld computing devices
US20140321672A1 (en) Electronic device with speakerphone and microphone
KR20140048507A (ko) 음향처리기능이 내장된 전자기타
US20080307949A1 (en) Automatic Playing and Recording Apparatus for Acoustic/Electric Guitar
JP5401980B2 (ja) オーディオ信号処理システム
KR101500177B1 (ko) 외부 음원 연동이 가능한 차량의 오디오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외부 음원의 음향 출력 방법
US11314477B2 (en) Audio processing apparatus, operation method of audio processing apparatus, and audio processing system
US9253585B2 (en) Speaker apparatus
US10270551B2 (en) Mixing console with solo output
KR102458277B1 (ko) 전자기타의 합주 및 녹음 시스템
KR100662036B1 (ko) 유에스비 인터페이스가 내장된 기타의 음향 입출력시스템및 음향 입출력 방법
US20230209266A1 (en) Speaker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of
Duggal Hardware
JP2007295634A (ja) 音出力システム
US10083680B2 (en) Mixing console
JP2018010214A (ja) 電子楽器
JP2017181686A (ja) 電子楽器、及び電子楽器用アンプ制御回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