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25641A - 현악기용 내장형 조율 모듈 - Google Patents

현악기용 내장형 조율 모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25641A
KR20020025641A KR1020010016823A KR20010016823A KR20020025641A KR 20020025641 A KR20020025641 A KR 20020025641A KR 1020010016823 A KR1020010016823 A KR 1020010016823A KR 20010016823 A KR20010016823 A KR 20010016823A KR 20020025641 A KR20020025641 A KR 2002002564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uning
signal
sound
frequency
buil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168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훈
Original Assignee
장훈
오피어스 뮤직 (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장훈, 오피어스 뮤직 (주) filed Critical 장훈
Priority to KR10200100168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0025641A/ko
Priority to PCT/KR2001/001205 priority patent/WO2002080137A1/en
Publication of KR200200256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25641A/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DSTRINGED MUSICAL INSTRUMENTS; WIND MUSICAL INSTRUMENTS; ACCORDIONS OR CONCERTINAS; PERCUSSION MUSICAL INSTRUMENTS; AEOLIAN HARPS; SINGING-FLAME MUSICAL INSTRUMENTS; MUSICAL INSTRU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10D3/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stringed musical instruments, e.g. slide-bar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GREPRESENTATION OF MUSIC; RECORDING MUSIC IN NOTATION FORM; ACCESSORIES FOR MUSIC OR MUSICAL INSTRU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SUPPORTS
    • G10G7/00Other auxiliary devices or accessories, e.g. conductors' batons or separate holders for resin or strings
    • G10G7/02Tuning forks or like devic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Multimedia (AREA)
  • Auxiliary Devices For Music (AREA)
  • Stringed Musical Instru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파워 스위치와 기준주파수 재설정 스위치를 포함한 조작부와; 픽업된 음을 전기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음 검출부와; 상기 음 검출부에서 출력된 신호를 정형하여 주파수 검출 신호를 출력하는 파형 정형부와; 미리 설정된 조율 상태 표시를 출력하는 조율상태 표시부와; 기준 주파수 정보, 기준 주파수별 해당음 주파수 정보 및 음명 정보를 포함한 주파수 정보가 저장된 메모리부와; 기준 주파수 및 현재음 주파수를 판단하며, 상기 기준 주파수에 따른 해당음 주파수와 현재음 주파수의 차이가 미리 설정된 오차 범위 이내일 경우에는 상기 조율상태 표시부로 조율 완료 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해당음 주파수와 현재음 주파수의 차이가 오차 범위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상기 조율상태 표시부로 편차 표시 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 및 상기 조작부, 음 검출부, 파형 정형부, 조율상태 표시부, 메모리부 및 제어부를 내장하며, 상기 조작부 및 조율상태 표시부가 외부에 드러나도록 현악기의 내부 적소에 장착된 하우징을 포함하는 현악기용 내장형 조율 모듈을 제공한다.

Description

현악기용 내장형 조율 모듈{BUILT-IN TUNER MODULE FOR THE STRINGED INSTRUMENTS}
본 발명은 조율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기타나 바이올린과 같은 현악기에 내장되는 조율 모듈에 관한 것이다.
모든 악기에 있어서 연주에 들어가기 전 정확한 조율은 아름다운 연주를 위해 필수적이다. 특히, 기타나 바이올린과 같은 현악기는 목관 악기 등 다른 악기에 비해 외부 요인에 의한 음의 변화가 심한 악기이므로, 정밀한 조율에 대한 중요성이 더욱 높다.
일반적인 현악기의 조율 방법은 크게 각줄에 의한 상대적인 조율 방법, 조율 수단을 이용한 조율 방법 및 전자 조율기를 이용한 조율 방법이 있다.
상기 각줄에 의한 상대적인 조율 방법은 개방현 혹은 특정 프렛을 누른 현을 기준으로 다른 현을 조율하는 방법으로서, 별도의 조율 수단이 필요없어 간편한 방법이다. 그러나, 상기 각줄에 의한 상대적인 조율 방법은 전적으로 개인의 음감에 의존하여 조율이 진행되므로 정확한 조율 결과를 얻기는 어려우며, 기준 현의 음이 잘못 조율될 경우 나머지 현 모두 잘못 조율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또한, 상기 조율 수단을 이용한 조율 방법은 정확하게 조율된 피아노 등의 기준 악기를 이용하여 각 현을 조율하는 방법으로서, 조율 수단의 종류에 따라 조율 피리에 의한 조율 방법, 소리 굽쇠에 의한 조율 방법 및 피아노에 의한 조율 방법 등으로 나뉘어진다. 그러나, 상기 조율 수단을 이용한 조율 방법은 현악기의 조율을 위해 별도의 조율 수단을 항상 휴대하거나 조율 수단이 있는 곳에서만 조율이 가능하다는 한계가 있으며, 현악기 연주자가 조율 수단에 의해 발성된 기준 음을 듣은 후 그 기준 음에 맞춰 현악기의 현을 조율하게 되므로 결국 상대적인 조율 방법과 같이 정확한 조율 결과를 얻기는 힘들다.
상기 전자 조율기에 의한 조율 방법은 현의 진동에 따른 주파수 변화를 감지하여 조율 상태를 표시하는 전자 기기인 전자 조율기를 이용하는 방법으로서, 다른 방법에 비해 정확한 조율이 가능하다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그러나, 상기 전자 조율기에 의한 조율 방법은 조율 수단을 이용한 조율 방법과 같이 현악기의 조율을 위해 항상 전자 조율기를 휴대하고 있어야 한다는 불편함이 있으며, 통상 상기 전자 조율기는 현악기와 이격된 상태에서 조율이 이루어지므로 주위의 잡음에 의한 영향으로 인해 조율 오차가 발생할 위험이 높은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 전자 조율기는 분실의 위험이 있을 뿐만 아니라, 휴대하거나 조작하는 중에 낙하시킬 경우 파손의 위험도 높았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목적은 별도의 조율 수단을 휴대할 필요가 없어 사용이 편리한 현악기용 내장형 모듈을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현악기 내부에 내장함으로써 외부 잡음에 의한 조율 오류를 최소화할 수 있는 현악기용 내장형 모듈을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낙하 등으로 인한 파손의 위험 및 분실의 위험이 없는 현악기용 내장형 조율 모듈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현악기용 조율 모듈에 있어서,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파워 온/오프 신호를 출력하는 파워 스위치와, 기준 주파수 유지/재설정 신호를 출력하는 기준주파수 재설정 스위치를 포함한 조작부와; 픽업된 음을 전기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음 검출부와; 상기 음 검출부에서 출력된 신호를 정형하여 주파수 검출 신호를 출력하는 파형 정형부와; 조율 완료 신호 혹은 편차 표시 신호의 입력에 따라 미리 설정된 조율 상태 표시를 출력하는 조율상태 표시부와; 기준 주파수 정보, 기준 주파수별 해당음 주파수 정보 및 음명 정보를 포함한 주파수 정보가 저장된 메모리부와; 파워 온 신호의 입력에 따라 상기 기준 주파수 유지/재설정 신호에 의한 기준 주파수 및 상기 주파수 검출 신호에 의한 현재음 주파수를 판단하며, 상기 기준 주파수에 따른 해당음 주파수와 현재음 주파수의 차이가 미리 설정된 오차 범위 이내일 경우에는 상기 조율상태 표시부로 조율 완료 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해당음 주파수와 현재음 주파수의 차이가 오차 범위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상기 조율상태 표시부로 편차 표시 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 및 상기 조작부, 음 검출부, 파형 정형부, 조율상태 표시부, 메모리부 및 제어부를 내장하며, 상기 조작부 및 조율상태 표시부가 외부에 드러나도록 현악기의 내부 적소에 장착된 하우징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현악기용 내장형 조율 모듈을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현악기의 내장형 조율 모듈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현악기의 내장형 조율 모듈의 제어 과정을 나타낸 흐름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내장형 조율 모듈의 조율 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참고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내장형 조율 모듈을 기타에 장착하는 위치를 나타낸 평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내장형 조율 모듈을 바이올린에 장착하는 위치를 나타낸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라 기타에 장착된 내장형 조율 모듈을 나타낸 부분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라 기타에 장착된 내장형 조율 모듈을 나타낸 부분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라 기타에 장착된 내장형 조율 모듈을 나타낸 부분도,
도 9는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라 기타에 장착된 내장형 조율 모듈을 나타낸 부분도,
도 10은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라 바이올린에 장착되는 내장형 조율 모듈을 나타낸 분리 사시도,
도 11은 본 발명의 제6실시예에 따라 바이올린에 장착되는 내장형 조율 모듈을 나타낸 분리 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0 : 조작부 120 : 음 검출부
130 : 파형 정형부 140 : 제어부
150 : 메모리부 160 : 조율상태 표시부
170 : 전원부 180 : 하우징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현악기의 내장형 조율 모듈(100)은 조작부(110), 음 검출부(120), 파형 정형부(130), 조율상태 표시부(140), 메모리부(150), 제어부(160), 전원부(170) 및 하우징(180)을 포함하며, 상기 구성 요소들은 시스템 버스(BUS)에 의해 연결된다.
1. 조작부
상기 조작부(110)는 현악기를 조율하고자 하는 자가 내장형 조율 모듈의 파워 온/오프 및 기준 주파수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한 수단이다. 상기 조작부(110)는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파워 온/오프 신호를 출력하는 파워 스위치(112)와, 기준 주파수 유지/재설정 신호를 출력하는 기준주파수 재설정 스위치(114)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조작부(110)는 파워 온 여부를 표시하기 위한 점등 수단을 구비할 수 있다.
2. 음 검출부
상기 음 검출부(120)는 픽업된 음을 전기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한다. 상기 음 검출부(120)는 압전 소자(Piezoelectric element), 마이크로폰(Condenser microphone) 및 라인-인 잭(Line-in jack) 중 어느 하나로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압전 소자는 결정판에 압력을 가하면 판의 양면에 외력에 비례하는 양/음의 전하가 나타나는 현상을 이용한 소자로서, 타현에 따른 현의 진동에 비례하는 전기 신호를 출력한다. 상기 압전 소자는 직접적인 접촉에 의해서만 진동이 전달되어 외부 잡음에 의한 영향을 최소화할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음 검출부로 바람직하다.
상기 마이크로폰은 픽업된 음파를 전기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소자로서, 본 발명의 음 검출부로는 콘덴서 마이크로폰이 바람직하다. 상기 콘덴서 마이크로폰은 지름 10 ~ 20 mm의 얇은 진동막에 같은 모양의 고정전극을 근소한 간격으로 마주 보게 하고 콘덴서를 형성시킨 소자로서, 음파에 의한 막의 진동이 정전용량의 변화로 전환되는 방식으로 동작한다.
상기 라인-인 잭은 픽업된 현의 진동을 전기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소자이다.
3. 파형 정형부
상기 파형 정형부(130)는 음 검출부(120)에서 출력된 신호를 정형하여 주파수 검출 신호를 출력한다.
상기 파형 정형부(130)는 입력된 신호의 고주파 성분을 제거하여 출력하는 저역통과 필터(132)와, 상기 저역통과 필터(132)에서 출력된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A/D 컨버터(134)를 포함한다.
4. 조율상태 표시부
상기 조율상태 표시부(140)는 제어부(160)에서 출력된 조율 완료 신호 혹은 편차 표시 신호의 입력에 따라 미리 설정된 조율 상태 표시를 출력한다. 상기 조율상태 표시부(140)는 다수개의 발광 소자(LED) 또는 액정 디스플레이(LCD) 중 어느하나로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조율상태 표시부(140)는 크게 음명 표시 수단과 편차 표시 수단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음명 표시 수단은 픽업된 음의 음명을 표시하는 부분으로서, "C, D, E, F, G, A, B" 중 어느 하나 또는 "#"과의 조합으로 표시된다. 상기 음명 표시 수단은 각 음명별로 할당된 발광 소자(도 6, 7 및 10 참조) 혹은 액정 디스플레이 상의 음명 문자(도 8 및 9 참조)로 구현할 수 있다.
상기 편차 표시 수단은 픽업된 음의 주파수가 미리 저장된 해당음 주파수와 동일하거나 그 오차가 소정 범위 이내인 경우 해당 현의 조율이 완료되었음을 표시하고, 픽업된 음의 주파수와 해당음 주파수의 오차가 소정 범위를 초과하는 경우 그 편차 정도를 표시하는 부분이다. 상기 편차 표시 수단은 조율 완료 표시용 발광 소자와 편차 표시용 발광 소자 등 다수개의 발광 소자(도 6, 7 및 10 참조), 액정 디스플레이 상의 음명 기호 및 편차 지시 기호(도 8 참조) 혹은 액정 디스플레이 상의 다수개의 세조 표시 전극(도 9 참조) 등으로 구현할 수 있다. 상기 편차 표시용 발광 소자는 발광량의 차이로 편차 정도를 표시할 수 있으며, 조율 완료 표시용 발광 소자는 편차 표시용 발광 소자와 구분되도록 다른 색깔의 불빛을 발광하는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5. 메모리부
상기 메모리부(150)는 기준 주파수 정보, 기준 주파수별 해당음 주파수 정보 및 음명 정보를 포함한 주파수 정보를 저장한다. 상기 메모리부(150)는 제어 프로그램 및 상기 주파수 정보에 대한 테이블 등이 저장된 메모리인 ROM(152)과, 상기 제어 프로그램의 실행에 필요한 레지스터나 버퍼를 포함한 워킹 메모리인 RAM(154)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메모리부(150)에 저장되는 주파수 정보는 적용되는 현악기의 종류에 따라 달라진다. 즉, 상기 현악기는 그 종류에 따라 현의 수, 각 현의 음, 옥타브 등이 상이하므로, 본 발명의 내장형 조율 모듈을 적용할 현악기의 종류에 따라 그에 맞는 기준 주파수, 해당음 주파수 및 음명 정보가 저장된다.
6. 제어부
상기 제어부(160)는 파워 온 신호의 입력에 따라 상기 기준 주파수 유지/재설정 신호에 의한 기준 주파수 및 상기 주파수 검출 신호에 의한 현재음 주파수를 판단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160)는 기준 주파수에 따른 해당음 주파수와 상기 주파수 검출 신호에 의해 판단된 현재음 주파수의 차이가 미리 설정된 오차 범위 이내일 경우에는 상기 조율상태 표시부(140)로 조율 완료 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해당음 주파수와 현재음 주파수의 차이가 오차 범위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상기 조율상태 표시부(140)로 편차 표시 신호를 출력한다. 상기 제어부(160)는 소정 시간, 예를 들면 2분동안 타현이 없을 경우 조율이 완료된 것으로 인식하고, 자동으로 전원을 차단하는 기능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제어부(160)의 제어 과정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크게 기준 주파수 확인 과정(S10), 주파수 판단 과정(S20), 피치 편차 계산 과정(S30) 및 조율 상태표시 과정(S40)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어부(160)의 제어 과정은 파워 스위치로부터 입력된 파워 온 신호에 응답하여 개시되며, 상기 제어 과정은 메모리부(150)의 ROM(152) 내에 저장된 프로그램이다.
상기 기준 주파수 확인 과정(S10)은 초기 설정 과정으로서, 상기 조작부(110)의 기준주파수 재설정 스위치(114)로부터 기준주파수 유지 신호 혹은 기준주파수 재설정 신호의 입력 여부에 따라 기준 주파수를 설정한다. 즉, 상기 기준주파수 유지 신호가 입력되는 경우(기준주파수 재설정 스위치가 눌러지지 않은 경우)에는 미리 세팅된 기준 주파수를 그대로 설정하고, 상기 기준주파수 재설정 신호가 입력되는 경우(기준주파수 재설정 스위치가 눌러진 경우)에는 기준주파수 재설정 과정(S12)에서 사용자의 기준주파수 재설정 스위치 조작에 의해 선택된 주파수로 기준 주파수를 재설정한다. 상기 기준 주파수는 통상 음명 A의 주파수로서, 바람직하게는 440 ㎐를 초기값으로 하여 438 ~ 444 ㎐의 범위 내에서 재설정 가능하도록 한다.
상기 주파수 판단 과정(S20)은 파형 정형부(130)에서 출력된 주파수 검출 신호로부터 픽업된 음의 주파수 및 음명을 판단하는 과정이다. 상기 주파수 판단은 입력된 주파수 검출 신호 및 메모리부(150)에 저장된 주파수 정보로부터 픽업된 음의 주파수 및 음명을 판단함으로써 이루어진다. 도 3에 나타난 바와 같이 픽업된 음의 주파수가 음명 C의 주파수를 기준으로 β범위(-50 ~ +50 센츠) 이내에 해당할 경우 음명을 C로 판별한다.
상기 피치 편차 계산 과정(S30)은 설정된 기준 주파수에 따른 해당음 주파수와 픽업된 음의 주파수를 비교하여 두 주파수간의 피치 편차를 산출하고, 산출된 피치 편차로부터 조율 상태를 판단하는 과정이다. 도 3에 나타난 바와 같이 픽업된 음의 주파수와 해당음 주파수의 피치 편차가 오차 범위인 a1 이내인 경우, 상기 제어부는 조율이 완료되었음을 판단한다. 반면, 상기 피치 편차가 오차 범위인 a1을 벗어나 b1, b2, b3, b4 범위 중 어느 한 범위에 속하는 경우, 피치 편차가 오차 범위를 초과하고 있으며 아직 조율이 진행중임을 판단한다. 상기 오차 범위인 a1은 적용 모델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며, 실예로 -3 ~ +3 센츠로 설정할 수 있다.
상기 조율 상태 표시 과정(S40)은 피치 편차 계산 과정(S30)에서 판단된 조율 상태에 따라 조율 상태 표시부(140)로 조율 완료 신호 혹은 편차 표시 신호를 출력하는 과정이다.
7. 전원부
상기 전원부(170)는 회로 구동에 필요한 구동 전압을 공급하는 수단이다. 상기 전원부(170)의 전지로는 일반 전지 혹은 소형 리튬 전지가 바람직하다. 상기 소형 리튬 전지는 수명이 길고, 약 3 g 정도로 경량이므로 중량에 대한 부담이 없다. 상기 전원부(170)는 전지의 교환이 용이하고 차지하는 공간을 최소화하도록, 수직으로 전지를 장착하는 형태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8. 하우징
상기 하우징(180)은 구동 소자 및 칩 등이 설치된 인쇄회로기판을 지지하며,현악기 내부에 장착되는 내장형 조율 모듈의 커버 역할을 한다. 상기 하우징(180)은 조작부(110), 음 검출부(120), 파형 정형부(130), 조율상태 표시부(140), 메모리부(150) 및 제어부(160)를 내장하며, 상기 조작부(110) 및 조율상태 표시부(140)가 외부에 드러나도록 현악기의 내부 적소에 장착된다.
상기 하우징(180)의 크기, 모양 및 장착 위치는 적용하는 현악기의 종류에 따라 달라진다. 본 발명의 내장형 조율 모듈을 기타에 적용하는 경우에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기타(10)의 측판 상부(11)에 표시된 M1 위치에 내장형 조율 모듈을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기타(10)의 측판 상부(11)는 기타 연주자가 조율을 위해 타현하면서도 내장형 조율 모듈의 조율 상태 표시부를 관찰할 수 있는 최적의 위치이다.
또한, 본 발명의 내장형 조율 모듈을 바이올린에 적용하는 경우에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바이올린(20)의 지판(21) 내측면에 표시된 M2 위치에 내장형 조율 모듈을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바이올린(20)의 지판(21) 내측면은 바이올린 연주자가 조율을 위해 활을 그으면서도 내장형 조율 모듈의 조율 상태 표시부를 관찰할 수 있는 최적의 위치이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기타 및 바이올린을 중심으로 기재되고 있으나, 다른 현악기인 비올라, 밴조, 만돌린 등에도 적용할 수 있음은 당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는 자명하다 할 것이다.
< 실시예 1 >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기타에 설치된 내장형 조율 모듈은 기타의 측판(200) 상부에 다수개의 구멍을 형성하고, 상기 구멍들을 통해 발광 소자 및 스위치를 설치한 형태이다. 상기 내장형 조율 모듈은 측렬 배열된 음명 표시 발광 소자(d1), 피치 편차 표시 발광 소자(d2 ~ d6), 파워 스위치(sw1) 및 기준주파수 재설정 스위치(sw2)를 가진다. 상기 피치 편차 표시 발광 소자는 중앙의 발광 소자(d2)를 중심으로 좌우에 3개 내지 4개씩 추가로 배열할 수 있다.
< 실시예 2 >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기타에 설치된 내장형 조율 모듈은 기타의 측판(300) 상부에 원형의 하우징 장착홀을 형성하고, 상기 하우징 장착홀에 내장형 조율 모듈을 설치한 형태이다. 상기 내장형 조율 모듈은 원형 배열된 음명 표시 발광 소자(d1), 피치 편차 표시 발광 소자(d2 ~ d6), 파워 스위치(sw1), 기준주파수 재설정 스위치(sw2) 및 전지 커버(c1)를 가진다. 상기 피치 편차 표시 발광 소자는 중앙의 발광 소자(d2)를 중심으로 좌우에 3개 내지 4개씩 추가로 배열할 수 있다.
< 실시예 3 >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기타에 설치된 내장형조율 모듈은 기타의 측판(400) 상부에 사각형의 하우징 장착홀을 형성하고, 상기 하우징 장착홀에 내장형 조율 모듈을 설치한 형태이다. 상기 내장형 조율 모듈은 액정 화면(LCD), 파워 스위치(sw1), 기준주파수 재설정 스위치(sw2)를 구비하고 있으며, 상기 액정 화면(LCD)을 통해 기준 주파수(L1), 음명(L2), 피치 편차 표시(L3)를 출력한다.
< 실시예 4 >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기타에 설치된 내장형 조율 모듈은 기타의 측판(500) 상부에 사각형의 하우징 장착홀을 형성하고, 상기 하우징 장착홀에 내장형 조율 모듈을 설치한 형태이다. 상기 내장형 조율 모듈은 액정 화면(LCD), 파워 스위치(sw1), 기준주파수 재설정 스위치(sw2)를 구비하고 있으며, 상기 액정 화면(LCD)을 통해 기준 주파수(L1), 피치 편차 표시(L2) 및 음명(L3)을 출력한다.
< 실시예 5 >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른 바이올린에 설치된 내장형 조율 모듈은 바이올린의 지판(600) 내측면에 모듈 장착홀(610)을 형성하고, 상기 모듈 장착홀(610)에 바이올린용 내장형 조율 모듈(620)을 설치한 형태이다. 상기 내장형 조율 모듈(620)은 측렬 배열된 음명 표시 발광 소자(d1), 피치 편차 표시 발광 소자(d2 ~ d6), 파워 스위치(sw1) 및 기준주파수 재설정 스위치(sw2)를가진다. 상기 피치 편차 표시 발광 소자는 중앙의 발광 소자(d2)를 중심으로 좌우에 3개 내지 4개씩 추가로 배열할 수 있다.
한편, 응용예에 따라서는 상기 모듈 장착홀의 모양을 소정의 키 모양으로 형성하고, 상기 바이올린용 내장형 조율 모듈의 하우징 모양을 상기 키 모양에 대응하도록 형성함으로써, 상기 바이올린용 내장형 조율 모듈이 지판의 모듈 장착홀 내에 장착되도록 한다.
< 실시예 6 >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6실시예에 따른 바이올린에 설치된 내장형 조율 모듈은 바이올린의 지판(700) 내측면에 모듈 장착홀(710)을 형성하고, 상기 모듈 장착홀(710)에 바이올린용 내장형 조율 모듈(720)을 설치한 형태이다.
상기 내장형 조율 모듈은 액정 화면(LCD), 파워 스위치(sw1), 기준주파수 재설정 스위치(sw2)를 구비하고 있으며, 상기 액정 화면(LCD)을 통해 기준 주파수(L1), 피치 편차 표시(L2) 및 음명(L3)을 출력한다. 또한, 응용예에 따라서는 상기 모듈 장착홀의 모양을 소정의 키 모양으로 형성하고, 상기 바이올린용 내장형 조율 모듈의 하우징 모양을 상기 키 모양에 대응하도록 형성함으로써, 상기 바이올린용 내장형 조율 모듈이 지판의 모듈 장착홀 내에 장착되도록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현악기용 내장형 조율 모듈은 별도의 조율 수단을 휴대할 필요가 없어 사용이 편리하고, 낙하 등으로 인한 파손의 위험이 없으며, 분실의 위험이 전혀 없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현악기용 내장형 조율 모듈은 현악기 내부에 내장함으로써 외부 잡음에 의한 조율 오류를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현악기용 내장형 조율 모듈은 현악기의 외관 및 구조를 해치지 않고, 현악기의 외관과 조화를 이룸으로써 제품 구매력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현악기용 내장형 조율 모듈은 조작이 간편하여 조율에 익숙하지 않은 초보자도 쉽게 현악기를 조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5)

  1. 현악기용 조율 모듈에 있어서,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파워 온/오프 신호를 출력하는 파워 스위치와, 기준 주파수 유지/재설정 신호를 출력하는 기준주파수 재설정 스위치를 포함한 조작부와;
    픽업된 음을 전기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음 검출부와;
    상기 음 검출부에서 출력된 신호를 정형하여 주파수 검출 신호를 출력하는 파형 정형부와;
    조율 완료 신호 혹은 편차 표시 신호의 입력에 따라 미리 설정된 조율 상태 표시를 출력하는 조율상태 표시부와;
    기준 주파수 정보, 기준 주파수별 해당음 주파수 정보 및 음명 정보를 포함한 주파수 정보가 저장된 메모리부와;
    파워 온 신호의 입력에 따라 상기 기준 주파수 유지/재설정 신호에 의한 기준 주파수 및 상기 주파수 검출 신호에 의한 현재음 주파수를 판단하며, 상기 기준 주파수에 따른 해당음 주파수와 현재음 주파수의 차이가 미리 설정된 오차 범위 이내일 경우에는 상기 조율상태 표시부로 조율 완료 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해당음 주파수와 현재음 주파수의 차이가 오차 범위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상기 조율상태 표시부로 편차 표시 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 및
    상기 조작부, 음 검출부, 파형 정형부, 조율상태 표시부, 메모리부 및 제어부를 내장하며, 상기 조작부 및 조율상태 표시부가 외부에 드러나도록 현악기의 내부 적소에 장착된 하우징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현악기용 내장형 조율 모듈.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음 검출부는 압전 소자, 마이크로폰 및 라인-인 잭 중 어느 하나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현악기용 내장형 조율 모듈.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조율상태 표시부는 음명 표시 수단과 편차 표시 수단을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현악기용 내장형 조율 모듈.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조율상태 표시부는 다수개의 발광 소자 또는 액정 디스플레이 중 어느 하나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현악기용 내장형 조율 모듈.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파형 정형부는 입력된 신호의 고주파 성분을 제거하여 출력하는 저역통과 필터와, 상기 저역통과 필터에서 출력된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A/D 컨버터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현악기용 내장형 조율 모듈.
KR1020010016823A 2001-03-30 2001-03-30 현악기용 내장형 조율 모듈 KR20020025641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16823A KR20020025641A (ko) 2001-03-30 2001-03-30 현악기용 내장형 조율 모듈
PCT/KR2001/001205 WO2002080137A1 (en) 2001-03-30 2001-07-13 Built-in type tuning module for stringed instrumen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16823A KR20020025641A (ko) 2001-03-30 2001-03-30 현악기용 내장형 조율 모듈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25641A true KR20020025641A (ko) 2002-04-04

Family

ID=197076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16823A KR20020025641A (ko) 2001-03-30 2001-03-30 현악기용 내장형 조율 모듈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020025641A (ko)
WO (1) WO2002080137A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76109B1 (ko) * 2002-05-21 2005-03-10 학교법인 호서학원 전자식 조율기의 악기음 주파수 측정장치
KR100707806B1 (ko) * 2006-04-25 2007-04-17 (주)덕진기업 자가 발전기능을 갖는 현악기 조율기 또는 박절기가 구비된연주용품
WO2009028822A1 (en) * 2007-08-31 2009-03-05 Sungeum Music Co., Ltd. Display device for guitar tuners and method of displaying tuned states of guitar strings using the same
KR20180074004A (ko) * 2016-12-23 2018-07-03 김민홍 현악기 픽업 장치, 현악기 픽업 장치를 이용한 연주 정보 출력 방법, 및 현악기
KR102167168B1 (ko) * 2020-06-11 2020-10-16 김보은 교습용 가야금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9411055U1 (de) * 1994-07-04 1994-08-18 Wilfer Hans Peter Tonverstärker und Stimmgerät
US5637820A (en) * 1995-01-06 1997-06-10 Wittman; Kenneth L. Stringed instrument with on-board tuner
US5936179A (en) * 1995-07-18 1999-08-10 Jeffrey A. Merrick Apparatus including visual display for tuning stringed musical instruments
GB9722985D0 (en) * 1996-12-20 1998-01-07 Univ York Tuning of musical instruments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76109B1 (ko) * 2002-05-21 2005-03-10 학교법인 호서학원 전자식 조율기의 악기음 주파수 측정장치
KR100707806B1 (ko) * 2006-04-25 2007-04-17 (주)덕진기업 자가 발전기능을 갖는 현악기 조율기 또는 박절기가 구비된연주용품
WO2009028822A1 (en) * 2007-08-31 2009-03-05 Sungeum Music Co., Ltd. Display device for guitar tuners and method of displaying tuned states of guitar strings using the same
KR20180074004A (ko) * 2016-12-23 2018-07-03 김민홍 현악기 픽업 장치, 현악기 픽업 장치를 이용한 연주 정보 출력 방법, 및 현악기
KR102167168B1 (ko) * 2020-06-11 2020-10-16 김보은 교습용 가야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02080137A1 (en) 2002-10-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388496A (en) Electronic tuning device
US7663043B2 (en) Display device for guitar tuners and method of displaying tuned states of guitar strings using the same
US6995311B2 (en) Automatic pitch processing for electric stringed instruments
US8093482B1 (en) Detection and processing of signals in stringed instruments
US5408914A (en) Musical instrument training system having displays to identify fingering, playing and instructional information
US8334449B2 (en) Polyphonic tuner
US7285710B1 (en) Musical instrument tuner
US7714220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elf-instruction
US7960636B2 (en) Enhanced knob for use with an electric stringed musical instrument
US20040020346A1 (en) Guitar tuner
WO2000046785A1 (en) Electronic stringed musical instrument
US20070028746A1 (en) Multi-Funtional Pick For A Stringed Instrument
US2792738A (en) Fretted electronic musical instrument
US20040139841A1 (en) Wrist musical instrument tuner
US20170278496A1 (en) Interactive stringed musical instrument and system comprising the same
KR20020025641A (ko) 현악기용 내장형 조율 모듈
KR20160098881A (ko) 악기 보조 시스템
JP5514965B2 (ja) 弦楽器のバーチャルチューニング
US5959229A (en) Strobe tuner for musical instruments with multiple light sources
JP2017116680A (ja) 弦楽器演奏の練習用又は記録用の支援装置
JP4343780B2 (ja) 調律装置、調律方法
US20240169963A1 (en) Operation input device and electronic musical instrument
JP2001202080A (ja) 調律装置
KR20100134175A (ko) 음측정판별장치가 장착된 음측정현악기 및 그의 제어방법
KR101524931B1 (ko) 기타 줄 높이 변화를 통한 기타 셋업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5R Request for early opening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