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73454A - 작업차, 콤바인 및 수확기 - Google Patents

작업차, 콤바인 및 수확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73454A
KR20180073454A KR1020170170146A KR20170170146A KR20180073454A KR 20180073454 A KR20180073454 A KR 20180073454A KR 1020170170146 A KR1020170170146 A KR 1020170170146A KR 20170170146 A KR20170170146 A KR 20170170146A KR 20180073454 A KR20180073454 A KR 2018007345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ate
limit value
speed
shift
vehicle spe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701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츠바사 이모토
유키후미 야마나카
데츠야 나카지마
가즈야 다카사키
히로시 이케다
유지 가토
쇼타로 야마모토
요시유키 도다
Original Assignee
가부시끼 가이샤 구보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16248732A external-priority patent/JP6719374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16249929A external-priority patent/JP6731842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16249933A external-priority patent/JP6615085B2/ja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끼 가이샤 구보다 filed Critical 가부시끼 가이샤 구보다
Publication of KR201800734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7345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61/00Control functions within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Control of exclusively fluid gearing, friction gearing, gearings with endless flexible members or other particular types of gearing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41/00Combines, i.e. harvesters or mowers combined with threshing devices
    • A01D41/02Self-propelled combin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BSOIL WORKING IN AGRICULTURE OR FORESTRY;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IN GENERAL
    • A01B33/00Tilling implements with rotary driven tools, e.g. in combination with fertiliser distributors or seeders, with grubbing chains, with sloping axles, with driven discs
    • A01B33/08Tools; Details, e.g. adaptations of transmissions or gearings
    • A01B33/082Transmissions; Gearings; Power distribution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41/00Combines, i.e. harvesters or mowers combined with threshing devices
    • A01D41/12Details of combin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41/00Combines, i.e. harvesters or mowers combined with threshing devices
    • A01D41/12Details of combines
    • A01D41/127Control or measur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combin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69/00Driving mechanisms or parts thereof for harvesters or mow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31/00Vehicle fittings, acting on a single sub-unit only, for automatically controlling vehicle speed, i.e. preventing speed from exceeding an arbitrarily established velocity or maintaining speed at a particular velocity, as selected by the vehicle operat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9/00Control inputs to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F16H59/68Inputs being a function of gearing statu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61/00Control functions within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Control of exclusively fluid gearing, friction gearing, gearings with endless flexible members or other particular types of gearing
    • F16H2061/0075Control functions within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Control of exclusively fluid gearing, friction gearing, gearings with endless flexible members or other particular types of gearing characterised by a particular control metho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Soi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Harvester Elements (AREA)
  • Control Of Transmission Device (AREA)

Abstract

상황에 따라서 차속 상한값의 변경처를 전환하는 것이 가능한 작업차를 제공한다. 또한, 주행 중에 조종자가 체감하는 차속을 최대 차속으로서 설정하는 조작을 간단하게 행할 수 있는 콤바인을 제공한다. 또한, 수확물 저류부에 저류되어 있는 수확물량이 변동되어도 변속 조작구를 조작하였을 때에 조종자가 느끼는 가속감이 변화되기 어려운 수확기를 제공한다.
작업 장치를 구비하는 작업차이며, 동력원으로부터 전달된 구동력을 변속하여 주행 장치에 전달하는 변속 기구를 구비하고, 변속 기구는, 변속 기구에 있어서의 변속비를 무단계로 변경 가능한 무단 변속 장치와, 변속 기구에 있어서의 변속 상태를 저속 상태와 고속 상태 사이에서 변경 가능한 부 변속 장치를 갖고 있고, 차속이 설정된 차속 상한값 이하로 되도록 차속 상한값을 나타내는 값인 제한 지시값에 따라서 무단 변속 장치를 제어하는 변속 제어 장치를 구비하고, 변속 상태가 저속 상태인 경우의 제한 지시값은 변경 가능하고, 변속 상태가 저속 상태로부터 고속 상태로 변경되었을 때, 제한 지시값은, 제1 제한값(x) 및 제2 제한값(A) 중 어느 하나로 설정된다. 또한, 엔진(1008)의 동력을 변속하여 주행 장치(1001)에 전달하는 무단 변속 장치(1009)와, 변속 조작용 변속 레버(1013)와, 최대 차속을 설정 가능한 설정 스위치(1014)와, 변속 레버(1013)의 조작 위치에 기초하여 무단 변속 장치(1009)의 변속 상태를 조작하여 차속을 변경하는 제어부(1023)가 구비되고, 제어부(1023)는, 설정 스위치(1014)가 조작되었을 때의 변속 레버(1013)의 조작 위치에 대응하는 차속을 새로운 최대 차속으로서 설정하고, 새로운 최대 차속을 변속 레버(1013)의 전진측 최대 조작 위치(Fmax)에 할당하도록 변속 레버(1013)의 조작 위치와 무단 변속 장치(1009)의 변속 상태에 의한 차속의 관계를 변경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포텐시오미터(2018)의 검출 결과에 기초하여 산출되는 변속 레버(2013)의 조작 속도와, 무단 변속 장치(2009)의 상태 변화 속도의 관계인 제어 실행 관계를 사용하여, 무단 변속 장치(2009)를, 변속 레버(2013)에 의해 설정된 속도를 현출하는 상태로 변경하는 제어부(2023)가 구비되고, 제어부(2023)는, 로드셀(2006A)의 검출 결과를 취득하여, 수확물량의 증가에 수반하여, 변속 레버(2013)의 조작 속도에 대한 무단 변속 장치(2009)의 상태 변화 속도가 커지도록 제어 실행 관계를 수정함과 함께, 수확물량의 감소에 수반하여, 변속 레버(2013)의 조작 속도에 대한 무단 변속 장치(2009)의 상태 변화 속도가 작아지도록 제어 실행 관계를 수정한다.

Description

작업차, 콤바인 및 수확기{WORK VEHICLE, COMBINE AND HARVESTER}
본 발명은, 작업 장치를 구비하는 작업차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엔진의 동력을 변속하여 주행 장치에 전달하는 변속 장치가 구비되어 있는 콤바인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수확한 수확물을 저류하는 수확물 저류부가 구비되어 있는 수확기에 관한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작업차로서, 예를 들어 특허문헌 1 및 2에 기재된 것이 이미 알려져 있다. 특허문헌 1에 기재된 작업차는, 동력원(특허문헌 1에서는 「엔진」)으로부터 전달된 구동력을 변속하여 주행 장치에 전달하는 변속 기구를 구비하고 있다.
이 작업차의 변속 기구는, 변속 기구에 있어서의 변속비를 무단계로 변경 가능한 무단 변속 장치(특허문헌 1에서는 「주행용 정유압식 무단 변속 장치」)와, 변속 기구에 있어서의 변속 상태를 저속 상태와 고속 상태 사이에서 변경 가능한 부 변속 장치(특허문헌 1에서는 「유압 모터」)를 갖고 있다.
그리고, 이 작업차는, 최고 차속 설정 다이얼에 의해, 차속 상한값을 설정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최고 차속 설정 다이얼에 의해 설정된 차속 상한값은, 변속 기구에 있어서의 변속 상태가 저속 상태로 전환된 상태에서만 유효하고, 저속 상태로부터 고속 상태로 전환된 경우에는 무효가 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특허문헌 2에 기재된 작업차는, 동력원(특허문헌 2에서는 「구동원」)으로부터 전달된 구동력을 변속하여 주행 장치(특허문헌 2에서는 「주행 부재」)에 전달하는 변속 기구를 구비하고 있다.
이 작업차의 변속 기구는, 변속 기구에 있어서의 변속비를 무단계로 변경 가능한 무단 변속 장치(특허문헌 2에서는 「주행계 유압식 무단 변속 장치」)와, 변속 기구에 있어서의 변속 상태를 저속 상태와 고속 상태 사이에서 변경 가능한 부 변속 장치(특허문헌 2에서는 「유압 모터」)를 갖고 있다.
그리고, 이 작업차는, 최고속 설정 부재에 의해, 차속 상한값을 설정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최고속 설정 부재에 의한 차속 상한값의 설정 가능한 범위는, 저속 상태에서는 제1 속도 범위이고, 고속 상태에서는 제1 속도 범위와는 상이한 제2 속도 범위이다.
또한, 예를 들어, 특허문헌 3에 종래의 콤바인이 기재되어 있다. 이 콤바인에는, 변속 조작용 변속 조작구(동 문헌의 「변속 레버」)와, 변속 조작구를 최대 조작 위치로 조작하였을 때의 정유압식 무단 변속 장치(HST)의 펌프 경사판의 최대 경사 각도를 무단계로 변경 설정 가능한 설정 다이얼이 구비되어 있다. 즉, 이 콤바인에서는, 설정 다이얼의 조작 위치에 기초하여, 변속 조작구를 최대 조작 위치로 조작하였을 때에 현출되는 최대 차속이 결정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예를 들어, 특허문헌 4에 종래의 수확기가 기재되어 있다. 특허문헌 4에 기재된 수확기에는, 수확물 저류부(동 문헌의 「그레인 탱크」)에 저류된 수확물량을 검출하는 수량 검출 센서(동 문헌의 「중량 센서」)와, 인위 조작에 의해 주행 장치(동 문헌의 「주행 크롤러」)의 속도를 설정하는 변속 조작구(동 문헌의 「주 변속 레버」)가 구비되어 있다. 또한, 수확기에는, 변속 조작구의 조작 위치를 검출하는 조작 위치 검출 센서와, 동력원(동 문헌의 「엔진」)으로부터의 동력을 조작 위치 검출 센서의 검출 결과에 기초하여 변속하여, 주행 장치에 전달하는 무단 변속 장치(동 문헌의 「유압식 무단 변속 기구」)가 구비되어 있다. 이 수확기에서는, 변속 조작구의 조작 위치에 따라 무단 변속 장치의 변속 상태가 정해지도록 되어 있다.
일본 특허 공개 제2011-110020호 공보 일본 특허 공개 제2015-152059호 공보 일본 특허 제5035328호 공보 일본 특허 공개 제2008-220336호 공보
상기 특허문헌 1에 기재된 작업차에 있어서는, 변속 상태가 저속 상태로부터 고속 상태로 변경되었을 때, 최고 차속 설정 다이얼에 의해 설정된 차속 상한값이 단순히 무효가 될 뿐이며, 별도로 설정된 차속 상한값으로 상황에 따라서 전환되는 구성은 아니다.
또한, 상기 특허문헌 2에 기재된 작업차에 있어서는, 변속 상태가 저속 상태로부터 고속 상태로 변경되었을 때, 차속 상한값은, 단순히 고속 상태용으로 설정된 값으로 전환될 뿐이며, 별도로 설정된 차속 상한값으로 상황에 따라서 전환되는 구성은 아니다.
즉, 상기 특허문헌 1 및 특허문헌 2에 기재된 작업차에 있어서는, 모두 변속 상태가 저속 상태로부터 고속 상태로 변경되었을 때에 있어서의 차속 상한값의 변경처가 1가지밖에 존재하지 않는다. 그 때문에, 상황에 따라서 차속 상한값의 변경처를 전환할 수는 없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황에 따라서 차속 상한값의 변경처를 전환하는 것이 가능한 작업차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콤바인에서는, 작업 조건이나 조종 능력 등의 차이에 따라서, 변속 조작구를 최대 조작 위치로 조작하였을 때에 현출되는 최대 차속을 적절한 차속으로 설정하는 것이 요망된다.
상기 종래의 기술에서는, 작업 조건이 상이하면, 설정 다이얼의 조작 위치가 동일해도, 변속 조작구의 조작 위치에 대응하는 실제의 차속이 변화되기 때문에, 설정 다이얼의 조작 위치의 설정만으로는, 실제로 현출되는 최대 차속을 예측하기 어렵다. 그 때문에, 조종자가 실제로 현출되고 있는 차속을 최대 차속으로서 설정하려고 하는 경우에는, 주행 중에 변속 조작구를 최대 조작 위치로 조작한 상태에서, 설정 다이얼의 다이얼 조작을 행할 필요가 있었다.
그러나, 변속 조작구를 최대 조작 위치로 조작한 상태에서는, 차속이 어느 정도 빨라져 있기 때문에, 조종자는 기체의 전방 등에 충분한 주의를 기울일 필요가 있다. 게다가, 변속 조작구를 최대 조작 위치로 조작한 상태에서는, 설정 다이얼의 조작에 의한 차속의 변동이 커지기 때문에, 설정 다이얼의 섬세한 다이얼 조작이 필요해진다. 이 때문에, 주행 중에 조종자가 체감하는 차속을 최대 차속으로서 설정하는 조작이 어렵게 되어 있었다.
상기 실정에 비추어, 주행 중에 조종자가 체감하는 차속을 최대 차속으로서 설정하는 조작을 간단하게 행할 수 있는 콤바인을 제공하는 것이 요망되고 있었다.
또한, 상기 종래의 기술에서는, 수확물 저류부에 저류되어 있는 수확물량이 증가하면(기체의 중량이 무거워지면), 무단 변속 장치를 포함하는 전동계에 가해지는 부하가 커져, 변속 조작구의 조작에 대한 차속 변화의 응답이 지연되는 경향이 있고, 한편, 상기 수확물량이 감소하면(기체의 중량이 가벼워지면), 무단 변속 장치를 포함하는 전동계에 가해지는 부하가 작아져, 변속 조작구의 조작에 대한 차속 변화의 응답이 빨라지는 경향이 있다.
이 때문에, 조종자에게 있어서는, 수확물 저류부에 저류되어 있는 수확물량이 많을 때에는, 변속 조작구를 조작하였을 때의 기체의 증감속의 거동이 완만하게 느껴지고, 한편, 수확물 저류부에 저류되어 있는 수확물량이 적을 때에는, 변속 조작구를 조작하였을 때의 기체의 증감속의 거동이 지나치게 급격하다고 느껴지고 있었다. 즉, 수확물 저류부에 저류되어 있는 수확물량(기체의 중량)의 변동에 따라서 변속 조작구를 조작하였을 때에 조종자가 느끼는 가속감이 크게 변화되고 있었다.
상기 실정에 비추어, 수확물 저류부에 저류되어 있는 수확물량이 변동되어도 변속 조작구를 조작하였을 때에 조종자가 느끼는 가속감이 변화되기 어려운 수확기를 제공하는 것이 요망되고 있었다.
본 발명의 특징은,
작업 장치를 구비하는 작업차이며,
동력원으로부터 전달된 구동력을 변속하여 주행 장치에 전달하는 변속 기구를 구비하고,
상기 변속 기구는,
상기 변속 기구에 있어서의 변속비를 무단계로 변경 가능한 무단 변속 장치와,
상기 변속 기구에 있어서의 변속 상태를 저속 상태와 고속 상태 사이에서 변경 가능한 부 변속 장치를 갖고 있고,
차속이 설정된 차속 상한값 이하로 되도록, 차속 상한값을 나타내는 값인 제한 지시값에 따라서 상기 무단 변속 장치를 제어하는 변속 제어 장치를 구비하고,
상기 변속 상태가 상기 저속 상태인 경우의 상기 제한 지시값은 변경 가능하고,
상기 변속 상태가 상기 저속 상태로부터 상기 고속 상태로 변경되었을 때, 상기 제한 지시값은, 제1 제한값 및 제2 제한값 중 어느 하나로 설정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이면, 변속 상태가 저속 상태로부터 고속 상태로 변경되었을 때, 제한 지시값은, 제1 제한값 및 제2 제한값 중 어느 하나로 설정된다. 따라서, 상황에 따라서 차속 상한값의 변경처를 전환하는 것이 가능한 구성으로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1 제한값은, 제한값 변경 조작구의 조작에 수반하여 변화되고,
상기 제2 제한값은, 상기 제한값 변경 조작구의 조작에 수반하여 변화되지 않는 소정값이면 적합하다.
제1 제한값과 제2 제한값 각각에 대응하여, 제한값 변경 조작구를 2개 구비하는 경우, 오퍼레이터는, 2개의 제한값 변경 조작구를 적절하게 조작해야 해, 조작이 번잡해지는 경향이 있다.
여기서, 상기한 구성에 의하면, 제1 제한값이 제한값 변경 조작구의 조작에 수반하여 변화되고, 제2 제한값은 제한값 변경 조작구의 조작에 수반하여 변화되지 않는 소정값이다. 그 때문에, 오퍼레이터는, 1개의 제한값 변경 조작구를 조작하기만 하면 돼, 조작이 심플하고 용이한 것으로 되기 쉽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기억 조작구와,
소거 조작구와,
상기 변속 상태가 상기 고속 상태일 때에 있어서, 상기 기억 조작구가 조작된 시점에서의 상기 제1 제한값을, 상기 제2 제한값으로서 기억하는 제2 제한값 기억 장치를 구비하고,
상기 변속 상태가 상기 고속 상태일 때에 있어서, 상기 소거 조작구가 조작된 경우, 상기 제2 제한값은 상기 제2 제한값 기억 장치로부터 소거되고,
상기 제2 제한값 기억 장치에 상기 제2 제한값이 기억되어 있는 경우에 있어서, 상기 변속 상태가 상기 저속 상태로부터 상기 고속 상태로 변경되었을 때, 상기 제한 지시값은 상기 제2 제한값으로 설정되고,
상기 제2 제한값 기억 장치에 상기 제2 제한값이 기억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 있어서, 상기 변속 상태가 상기 저속 상태로부터 상기 고속 상태로 변경되었을 때, 상기 제한 지시값은 상기 제1 제한값으로 설정되면 적합하다.
이 구성에 의하면, 오퍼레이터는, 제2 제한값 기억 장치에 제2 제한값을 기억시키는 것도, 제2 제한값 기억 장치로부터 제2 제한값을 소거하는 것도 가능해진다. 그리고, 제2 제한값 기억 장치에 제2 제한값을 기억시키고 있지 않은 경우는, 제한값 변경 조작구를 조작함으로써, 저속 상태로부터 고속 상태로 변경되었을 때에 설정되는 제한 지시값을 임의로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제2 제한값 기억 장치에 제2 제한값을 기억시키고 있는 경우는, 제한값 변경 조작구의 조작에 관계없이, 저속 상태로부터 고속 상태로 변경되었을 때, 제한 지시값이 항시 제2 제한값으로 설정되는 상태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오퍼레이터는, 변속 상태를 저속 상태로부터 고속 상태로 변경할 때, 제1 제한값과, 제1 제한값의 기억값인 제2 제한값을 상황에 따라서 임의로 구분하여 사용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변속 상태가 상기 저속 상태인 경우의 상기 제한 지시값이 제3 제한값 및 제4 제한값 중 어느 하나로 설정되도록 구성되어 있고,
상기 제3 제한값은, 상기 제한값 변경 조작구의 조작에 수반하여 변화되고,
상기 변속 상태가 상기 저속 상태일 때에 있어서, 상기 기억 조작구가 조작된 시점에서의 상기 제3 제한값을, 상기 제4 제한값으로서 기억하는 제4 제한값 기억 장치를 구비하고,
상기 변속 상태가 상기 저속 상태일 때에 있어서, 상기 소거 조작구가 조작된 경우,
상기 제4 제한값은 상기 제4 제한값 기억 장치로부터 소거되고,
상기 제4 제한값 기억 장치에 상기 제4 제한값이 기억되어 있는 경우에 있어서, 상기 변속 상태가 상기 고속 상태로부터 상기 저속 상태로 변경되었을 때, 상기 제한 지시값은 상기 제4 제한값으로 설정되고,
상기 제4 제한값 기억 장치에 상기 제4 제한값이 기억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 있어서, 상기 변속 상태가 상기 고속 상태로부터 상기 저속 상태로 변경되었을 때, 상기 제한 지시값은 상기 제3 제한값으로 설정되면 적합하다.
이 구성에 의하면, 오퍼레이터는, 변속 상태를 고속 상태로부터 저속 상태로 변경할 때, 제3 제한값과, 제3 제한값의 기억값인 제4 제한값을 상황에 따라서 임의로 구분하여 사용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4 제한값 기억 장치에 상기 제4 제한값이 기억되어 있고, 또한 상기 제2 제한값 기억 장치에 상기 제2 제한값이 기억되어 있는 경우에 있어서, 상기 변속 상태가 상기 저속 상태로부터 상기 고속 상태로 변경되었을 때, 상기 제한 지시값은 상기 제4 제한값으로부터 상기 제2 제한값으로 변경되고,
상기 제4 제한값 기억 장치에 상기 제4 제한값이 기억되어 있고, 또한 상기 제2 제한값 기억 장치에 상기 제2 제한값이 기억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 있어서, 상기 변속 상태가 상기 저속 상태로부터 상기 고속 상태로 변경되었을 때, 상기 제한 지시값은 상기 제4 제한값으로부터 상기 제1 제한값으로 변경되면 적합하다.
이 구성에 의하면, 제한 지시값이 제4 제한값으로 설정되어 있는 경우에 있어서, 오퍼레이터는, 변속 상태를 저속 상태로부터 고속 상태로 변경할 때, 제1 제한값과, 제1 제한값의 기억값인 제2 제한값을 상황에 따라서 임의로 구분하여 사용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1 제한값의 설정 가능한 범위와, 상기 제3 제한값의 설정 가능한 범위가 동일하면 적합하다.
제1 제한값과 제3 제한값의 설정 가능한 범위가 각각 상이한 경우, 오퍼레이터는, 각각의 설정 가능한 범위에 따라서, 제한값 변경 조작구를 적절하게 조작해야 해, 조작이 번잡해지는 경향이 있다.
여기서, 상기한 구성에 의하면, 제1 제한값의 설정 가능한 범위와, 제3 제한값의 설정 가능한 범위가 동일하다. 그 때문에, 제한값 변경 조작구의 조작이 심플하고 용이한 것으로 되기 쉽다.
또한, 발명에 있어서,
상기 작업 장치가 작업 상태인지 여부를 판정하는 작업 상태 판정부를 구비하고,
상기 변속 상태가 상기 저속 상태이고, 또한 상기 작업 상태 판정부에 의해 상기 작업 장치가 작업 상태라고 판정되어 있는 경우만, 상기 제한 지시값이 유효하고,
상기 변속 상태가 상기 고속 상태인 경우, 및 상기 작업 상태 판정부에 의해 상기 작업 장치가 작업 상태가 아니라고 판정되어 있는 경우는, 모두 상기 제한 지시값이 무효이면 적합하다.
변속 상태를 저속 상태로 하여 주행하고 있는 경우라도, 작업 장치에 의해 작업을 행하고 있지 않고, 단순히 주행하고 있을 때에는, 차속은 제한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한 구성에 의하면, 변속 상태가 고속 상태인 경우, 및 작업 상태 판정부에 의해 작업 장치가 작업 상태가 아니라고 판정되어 있는 경우는, 모두 제한 지시값이 무효가 된다. 그 때문에, 변속 상태를 저속 상태로 하여 주행하고 있는 경우라도, 작업 장치에 의해 작업을 행하고 있지 않고, 단순히 주행하고 있을 때에는, 차속이 제한되지 않는 구성을 실현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콤바인은,
엔진의 동력을 변속하여 주행 장치에 전달하는 변속 장치와,
변속 조작용 변속 조작구와,
최대 차속을 설정 가능한 설정 조작구와,
상기 변속 조작구의 조작 위치에 기초하여 상기 변속 장치의 변속 상태를 조작하여 차속을 변경하는 제어부가 구비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설정 조작구가 조작되었을 때의 상기 변속 조작구의 조작 위치에 대응하는 차속을 새로운 최대 차속으로서 설정하고, 상기 새로운 최대 차속을 상기 변속 조작구의 최대 조작 위치에 할당하도록 상기 변속 조작구의 조작 위치와 상기 변속 장치의 변속 상태에 의한 차속의 관계를 변경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주행 중의 현재의 차속이 조종자가 원하는 새로운 최대 차속으로 되었을 때, 설정 조작구를 조작하는 것만으로, 설정 조작구를 조작하였을 때의 변속 조작구의 조작 위치에 대응하는 차속이 새로운 최대 차속으로서 설정되고, 새로운 최대 차속을 변속 조작구의 최대 조작 위치에 할당하도록 변속 조작구의 조작 위치와 변속 장치의 변속 상태에 의한 차속의 관계도 설정된다.
이에 의해, 작업 조건이나 조종 능력 등의 차이에 따라서, 조종자의 의사에 기초하여 적절하게 설정된 최대 차속 이하의 차속 범위 내에서, 변속 조작구의 조작에 의한 차속 제어를 행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예를 들어 상술한 바와 같이 변속 조작구를 최대 조작 위치로 한 상태에서 설정 다이얼의 조작 위치에 기초하여 최대 차속의 설정을 행하는 것에 비해, 조종자에게 요구되는 조작이 현저히 간단해진다.
따라서, 본 발명이면, 주행 중에 조종자가 체감하는 차속을 최대 차속으로서 설정하는 조작을 간단하게 행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설정 조작구가, 상기 변속 조작구에 구비되어 있으면 적합하다.
본 구성에 의하면, 변속 조작구를 조작하는 손과 동일한 손의 손가락 조작으로 설정 조작구를 조작 가능하기 때문에, 예를 들어 변속 조작구를 조작하는 손과는 다른 손으로 설정 조작구를 조작하는 사양으로 하는 경우에 비해, 최대 차속을 설정하는 조작이 행하기 쉬워진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설정 조작구의 조작에 기초하는 상기 새로운 최대 차속의 설정을, 상기 변속 조작구가 중립 위치로 복귀되었을 때에 실행하도록 구성되어 있으면 적합하다.
본 구성에 의하면, 변속 조작구가 중립 위치로 되어 있고, 변속 장치로부터 주행 장치에 동력이 출력되어 있지 않을 때에 최대 차속이 변경되므로, 최대 차속의 전환 시에 차속이 급변동하는 것을 피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설정 조작구가 재조작되면, 상기 새로운 최대 차속의 설정을 해제하도록 구성되어 있으면 적합하다.
본 구성에 의하면, 예를 들어 새롭게 설정한 최대 차속의 설정을 해제하는 전용의 조작구를 구비하도록 하는 경우에 비해 구조가 간소화되어, 조종자가 설정 조작구를 최대 차속의 변경 시에 조작하는 조작구로서 인식하기 쉬워진다.
또한, 본 발명의 수확기는,
수확한 수확물을 저류하는 수확물 저류부와,
상기 수확물 저류부에 저류된 수확물량을 검출하는 수량 검출 센서와,
인위 조작에 의해 주행 장치의 속도를 설정하는 변속 조작구와,
상기 변속 조작구의 조작 위치를 검출하는 조작 위치 검출 센서와,
동력원으로부터의 동력을 상기 조작 위치 검출 센서의 검출 결과에 기초하여 변속하여, 상기 주행 장치에 전달하는 무단 변속 장치와,
상기 조작 위치 검출 센서의 검출 결과에 기초하여 산출되는 상기 변속 조작구의 조작 속도와, 상기 무단 변속 장치의 상태 변화 속도의 관계인 제어 실행 관계를 사용하여, 상기 무단 변속 장치를, 상기 변속 조작구에 의해 설정된 속도를 현출하는 상태로 변경하는 제어부가 구비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수량 검출 센서의 검출 결과를 취득하여, 상기 수확물량의 증가에 수반하여, 상기 조작 속도에 대한 상기 상태 변화 속도가 커지도록 상기 제어 실행 관계를 수정함과 함께, 상기 수확물량의 감소에 수반하여, 상기 조작 속도에 대한 상기 상태 변화 속도가 작아지도록 상기 제어 실행 관계를 수정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변속 조작구의 조작 속도와 무단 변속 장치의 상태 변화 속도의 관계인 제어 실행 관계를 사용하여, 변속 조작구의 조작 속도에 기초하는 무단 변속 장치의 상태 변화 속도를 변경하도록 되어 있고, 이 제어 실행 관계가, 수확물 저류부에 저류된 수확물량에 따라서 적절하게 수정되도록 되어 있다.
즉, 수확물 저류부에 저류되어 있는 수확물량이 증가하면(기체의 중량이 무거워지면), 변속 조작구의 조작에 대한 무단 변속 장치의 상태 변화의 응답이 빨라져, 전동계에 있어서의 응답의 지연이 해소되고, 한편, 수확물 저류부에 저류되어 있는 수확물량이 감소하면(기체의 중량이 가벼워지면), 변속 조작구의 조작에 대한 무단 변속 장치의 상태 변화의 응답이 느려져, 전동계에 있어서의 응답의 빨라짐이 해소되도록 되어 있다.
이에 의해, 수확물 저류부에 저류되어 있는 수확물량(기체의 중량)이 변동되어도, 변속 조작구의 조작에 의한 기체의 증감속의 거동에 큰 차이가 발생하는 것을 피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이면, 수확물 저류부에 저류되어 있는 수확물량이 변동되어도 변속 조작구를 조작하였을 때에 조종자가 느끼는 가속감이 변화되기 어려운 것이 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수확물량이 제로인 상태와 상기 수확물량이 가득 찬 상태 사이에서, 상기 제어 실행 관계를 선형적으로 변경하면 적합하다.
본 구성에 의하면, 수확물 저류부에 저류되어 있는 수확물량이 제로인 상태(기체의 중량이 가장 가벼운 상태)에 가까운 상태와, 수확물 저류부에 저류되어 있는 수확물량이 가득 찬 상태(기체의 중량이 가장 무거운 상태) 사이에서는, 기체의 중량이 선형적으로 변화되므로, 제어 실행 관계도 기체의 중량과 아울러 선형적으로 변화시킴으로써, 수확물 저류부에 저류되어 있는 수확물량(기체의 중량)에 따라서, 변속 조작구를 조작하였을 때의 가속감에 차이가 발생하기 어려운 최적의 제어 실행 관계를 사용하여, 무단 변속 장치의 제어를 행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조작 속도가 동일해도, 상기 변속 조작구가 증속측으로 조작된 경우와, 상기 변속 조작구가 감속측으로 조작된 경우에서, 상이한 상기 제어 실행 관계를 사용하면 적합하다.
본 구성에 의하면, 예를 들어 기체의 증속 시와 기체의 감속 시에서는, 전동계에 대해 부하가 걸리는 방식이 상이한 경우가 있기 때문에, 그것과 아울러 사용하는 제어 실행 관계를 적절하게 변경함으로써, 기체의 원활한 증속과 가속을 실현할 수 있다.
도 1은 콤바인의 일부 파단 측면도이다.
도 2는 주 변속 레버, ECU, 정유압식 무단 변속 장치 등의 관계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3은 최고 차속 설정부의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4는 각 상황에 있어서의 레버각과 경사판 경사율의 관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목표의 경사판각을 0도로부터 y도로 변경하였을 때의, 경과 시간에 대한 경사판각의 변화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콤바인을 도시하는 전체 측면도이다.
도 7는 동력 전달 구성과 제어 구성을 함께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8은 최대 차속의 설정에 대해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 9는 변속 조작구의 조작 위치와 차속의 관계의 변화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0은 콤바인의 전체 측면도이다.
도 11는 동력 전달 구성(전동계)과 제어 구성을 함께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2은 제어 실행 관계의 수정에 대해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3는 변속 조작구의 근방에 설치되는 인디케이터를 나타내는 평면에서 본 모식도이다.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형태에 대해, 도면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는, 특단의 설명이 없는 한, 전후의 방향에 대해 이하와 같이 기재하고 있다. 즉, 기체의 작업 주행 시에 있어서의 전진측의 진행 방향이 「전」이고, 후진측의 진행 방향이 「후」이다.
〔콤바인의 전체 구성〕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자탈형 콤바인(본 발명에 관한 「작업차」에 상당)의 기체 전방부에는, 예취부(1)(본 발명에 관한 「작업 장치」에 상당)가 설치되어 있다. 예취부(1)는, 포장의 곡간을 예취한다. 즉, 이 콤바인은, 예취부(1)를 구비하는 콤바인이다.
예취부(1)의 후방에는, 운전부(8)가 설치되어 있다. 운전부(8)에는, 오퍼레이터가 탑승 가능하다. 또한, 운전부(8)의 후방에는, 탈곡 장치(2) 및 그레인 탱크(3)가 설치되어 있다. 탈곡 장치(2) 및 그레인 탱크(3)의 상방에는, 언로더(4)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기체 하부에는, 주행 장치(5)가 설치되어 있다. 운전부(8)의 하방에는, 엔진(E)(본 발명에 관한 「구동원」에 상당함)이 설치되어 있다.
예취부(1)에 의해 예취된 곡간은, 탈곡 장치(2)로 반송된다. 탈곡 장치(2)에 있어서, 곡간은 탈곡 처리된다. 탈곡 처리에 의해 얻어진 곡립은, 그레인 탱크(3)에 저류된다. 그레인 탱크(3)에 저류된 곡립은, 필요에 따라서, 언로더(4)에 의해 기외로 배출된다.
또한, 콤바인은, 주행 장치(5)에 의해 자주 가능하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콤바인에는, 변속 기구(H)가 구비되어 있다. 변속 기구(H)는, 정유압식 무단 변속 장치(6)(본 발명에 관한 「무단 변속 장치」에 상당) 및 트랜스미션(7)을 포함하고 있다. 정유압식 무단 변속 장치(6)는, 변속 기구(H)에 있어서의 변속비를 무단계로 변경 가능하다. 그리고, 정유압식 무단 변속 장치(6)는 유압 펌프(6A) 및 유압 모터(6B)(본 발명에 관한 「부 변속 장치」에 상당)를 갖고 있다. 엔진(E)의 구동력은, 변속 기구(H)를 통해 변속되어, 주행 장치(5)로 전달된다.
이와 같이, 콤바인은, 엔진(E)으로부터 전달된 구동력을 변속하여 주행 장치(5)에 전달하는 변속 기구(H)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변속 기구(H)는, 변속 기구(H)에 있어서의 변속비를 무단계로 변경 가능한 정유압식 무단 변속 장치(6)를 갖고 있다.
〔주 변속 레버 및 부 변속 스위치에 대해〕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운전부(8)에는, 주 변속 레버(11)가 설치되어 있다. 주 변속 레버(11)는, 전후로 요동 조작 가능한 상태로 설치되어 있다. 주 변속 레버(11)의 요동 축심에는, 포텐시오미터(12)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주 변속 레버(11)의 손잡이 부분에는, 부 변속 스위치(13)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콤바인에는, ECU(9)가 설치되어 있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ECU(9)는, 변속 제어 장치(91), 제2 제한값 기억 장치(92), 제4 제한값 기억 장치(93), 작업 상태 판정부(94)를 갖고 있다.
작업 상태 판정부(94)는 예취부(1)가 작업 상태인지 여부를 판정한다.
ECU(9)에는, 예취부(1), 포텐시오미터(12), 부 변속 스위치(13)로부터 각종 신호가 입력된다. 그리고, ECU(9)는, 입력된 각종 신호에 기초하여, 유압 펌프(6A) 및 유압 모터(6B)에 소정의 신호를 출력한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주 변속 레버(11)는, 전단부 위치(Fmax)로부터 후단부 위치(Rmax)의 사이에서 전후로 요동 조작 가능하다. 그리고, 전단부 위치(Fmax)와 후단부 위치(Rmax)의 중간에는, 중립 위치(N)가 위치하고 있다.
주 변속 레버(11)의 요동 각도는, 포텐시오미터(12)에 의해 검지된다. 그리고, 검지된 주 변속 레버(11)의 요동 각도에 따른 신호가, 포텐시오미터(12)로부터 ECU(9)로 송신된다. ECU(9)는, 이 신호에 따라서, 펌프 경사판(61)의 경사 각도를 무단계로 제어한다.
펌프 경사판(61)은, 유압 펌프(6A)에 설치되어 있다. 펌프 경사판(61)의 경사 각도가 변경되면, 유압 펌프(6A)로부터 유압 모터(6B)로의 송유량이 변화된다. 이에 의해, 정유압식 무단 변속 장치(6)에 있어서의 변속비가 무단계로 변화된다.
즉, 주 변속 레버(11)를 요동 조작함으로써, 정유압식 무단 변속 장치(6)에 있어서의 변속비가 무단계로 변화된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주 변속 레버(11)를 중립 위치(N)로부터 전방으로 요동 조작하면, 경사판 경사율은 X가 된다. 여기서, X가 취할 수 있는 값의 범위는, 0% 내지 100%이다. 주 변속 레버(11)의 요동 위치를 중립 위치(N)로 조작하면, 펌프 경사판(61)의 경사율인 경사판 경사율은 0%로 된다. 또한, 주 변속 레버(11)를 중립 위치(N)로부터 전방으로 요동 조작해 가면, 경사판 경사율은 커져 간다. 그리고, 주 변속 레버(11)를 전단부 위치(Fmax)로 조작하면, 경사판 경사율은 100%로 된다. 또한, 경사판 경사율이라 함은, 펌프 경사판(61)의 최대 경사 각도에 대한 실제의 경사 각도의 비를 백분율로 나타낸 값이다.
또한, 주 변속 레버(11)를 중립 위치(N)보다 전방으로 요동 조작하면, 펌프 경사판(61)은 콤바인이 전진하는 방향으로 경사져 간다. 한편, 주 변속 레버(11)를 중립 위치(N)보다 후방으로 요동 조작하면, 펌프 경사판(61)은 콤바인이 후진하는 방향으로 경사져 간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주 변속 레버(11)의 중립 위치(N)로부터의 각도가 θmax로 되었을 때, 주 변속 레버(11)의 요동 위치는 전단부 위치(Fmax)로 된다.
부 변속 스위치(13)가 눌러지면, 부 변속 스위치(13)로부터 ECU(9)로 소정의 신호가 송신된다. ECU(9)는, 이 신호에 따라서, 유압 모터(6B)의 변속 상태를 저속 상태와 고속 상태 사이에서 전환한다.
구체적으로는, 부 변속 스위치(13)가 눌러질 때마다, 유압 모터(6B)의 변속 상태가, 저속 상태와 고속 상태에서 교대로 전환된다.
이와 같이, 콤바인은, 변속 기구(H)에 있어서의 변속 상태를 저속 상태와 고속 상태 사이에서 변경 가능한 유압 모터(6B)를 갖고 있다.
〔최고 차속 설정부에 대해〕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운전부(8)에는, 최고 차속 설정부(14)가 설치되어 있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최고 차속 설정부(14)는, 모드 설정 스위치(14a), 모드 설정 표시 램프(14b), 최고 차속 설정 다이얼(14c)(본 발명에 관한 「제한값 변경 조작구」에 상당), 기억 스위치(14d)(본 발명에 관한 「기억 조작구」 및 「소거 조작구」에 상당), 기억 표시 램프(14e)를 갖고 있다.
이와 같이, 콤바인은, 기억 스위치(14d)를 구비하고 있다.
도 3 및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오퍼레이터가 모드 설정 스위치(14a)를 누르면, 최고 차속 설정 모드가 ON 상태와 OFF 상태 사이에서 전환된다. 최고 차속 설정 모드가 ON 상태인 경우, 모드 설정 표시 램프(14b)가 점등 상태로 된다. 한편, 최고 차속 설정 모드가 OFF 상태인 경우, 모드 설정 표시 램프(14b)가 소등 상태로 된다.
또한, 최고 차속 설정 모드가 ON 상태인 경우, 경사판 경사율의 상한값을 100%보다 작은 값으로 제한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한편, 최고 차속 설정 모드가 OFF 상태인 경우는, 경사판 경사율의 상한값은 제한되지 않고, 100%가 상한이 된다.
또한, 최고 차속 설정 모드가 ON 상태인 경우, 및 최고 차속 설정 모드가 OFF 상태인 경우 중 어느 쪽에 있어서도, 경사판 경사율은, 주 변속 레버(11)의 레버각에 비례한다. 여기서, 주 변속 레버(11)의 레버각이라 함은, 주 변속 레버(11)의 중립 위치(N)로부터의 각도이다.
변속 제어 장치(91)(도 2 참조)는, 최고 차속 설정 모드가 ON 상태인 경우에 있어서, 차속이 설정된 차속 상한값 이하로 되도록, 제한 지시값에 따라서 경사판 경사율을 제어한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제한 지시값은, 주 변속 레버(11)의 레버각이 100%일 때의 경사판 경사율과 동등하다. 바꾸어 말하면, 제한 지시값은, 경사판 경사율의 상한값이다. 그리고,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제한 지시값은, 50% 내지 100%의 사이에서 설정된다.
예를 들어, 최고 차속 설정 모드가 ON 상태이며, 제한 지시값이 50%로 설정되어 있을 때에는, 경사판 경사율의 상한값은 50%로 된다. 따라서, 이때, 주 변속 레버(11)의 레버각을 θmax로 하면, 경사판 경사율은, 변속 제어 장치(91)에 의해 50%로 제어된다.
이 구성에 의하면, 제한 지시값을 설정함으로써, 경사판 경사율의 상한값이 설정된다. 이에 의해, 차속 상한값이 설정되게 된다. 즉, 제한 지시값은, 차속 상한값을 나타내는 값이다.
이와 같이, 콤바인은, 차속이 설정된 차속 상한값 이하로 되도록, 차속 상한값을 나타내는 값인 제한 지시값에 따라서 정유압식 무단 변속 장치(6)를 제어하는 변속 제어 장치(91)를 구비하고 있다.
이하에서는, 도 3 및 도 4를 사용하여, 최고 차속 설정 모드가 ON 상태인 경우에 있어서의 제한 지시값의 설정에 대해 설명한다.
〔제1 제한값 및 제2 제한값에 대해〕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최고 차속 설정 다이얼(14c)에는, 50% 내지 100%의 눈금이 붙어 있다. 유압 모터(6B)의 변속 상태가 고속 상태일 때, 최고 차속 설정 다이얼(14c)을 조작하면, 그 조작에 수반하여, 50% 내지 100%의 사이에서 제1 제한값이 변화된다.
또한, 유압 모터(6B)의 변속 상태가 고속 상태일 때에 있어서, 기억 스위치(14d)를 누르면, 그 시점에서의 제1 제한값이, 제2 제한값으로서 제2 제한값 기억 장치(92)에 기억된다. 이때, 기억 표시 램프(14e)는 점등 상태로 된다.
그리고, 유압 모터(6B)의 변속 상태가 고속 상태일 때에 있어서, 기억 스위치(14d)를 길게 누르면, 기억되어 있던 제2 제한값은, 제2 제한값 기억 장치(92)로부터 소거된다. 이때, 기억 표시 램프(14e)는 소등 상태로 된다.
이와 같이, 콤바인은, 변속 상태가 고속 상태일 때에 있어서, 기억 스위치(14d)가 눌러진 시점에서의 제1 제한값을, 제2 제한값으로서 기억하는 제2 제한값 기억 장치(92)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변속 상태가 고속 상태일 때에 있어서, 기억 스위치(14d)가 길게 누름 조작된 경우, 제2 제한값은 제2 제한값 기억 장치(92)로부터 소거된다.
또한, 이와 같이, 제1 제한값은, 최고 차속 설정 다이얼(14c)의 조작에 수반하여 변화된다. 또한, 제2 제한값은, 최고 차속 설정 다이얼(14c)의 조작에 수반하여 변화되지 않는 소정값이다.
〔제3 제한값 및 제4 제한값에 대해〕
유압 모터(6B)의 변속 상태가 저속 상태일 때, 최고 차속 설정 다이얼(14c)을 조작하면, 그 조작에 수반하여, 50% 내지 100%의 사이에서 제3 제한값이 변화된다.
또한, 유압 모터(6B)의 변속 상태가 저속 상태일 때에 있어서, 기억 스위치(14d)를 누르면, 그 시점에서의 제3 제한값이, 제4 제한값으로서 제4 제한값 기억 장치(93)에 기억된다. 이때, 기억 표시 램프(14e)는 점등 상태로 된다.
그리고, 유압 모터(6B)의 변속 상태가 저속 상태일 때에 있어서, 기억 스위치(14d)를 길게 누르면, 기억되어 있던 제4 제한값은, 제4 제한값 기억 장치(93)로부터 소거된다. 이때, 기억 표시 램프(14e)는 소등 상태로 된다.
이와 같이, 콤바인은, 변속 상태가 저속 상태일 때에 있어서, 기억 스위치(14d)가 눌러진 시점에서의 제3 제한값을, 제4 제한값으로서 기억하는 제4 제한값 기억 장치(93)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변속 상태가 저속 상태일 때에 있어서, 기억 스위치(14d)가 길게 누름 조작된 경우, 제4 제한값은 제4 제한값 기억 장치(93)로부터 소거된다.
또한, 이와 같이, 제3 제한값은, 최고 차속 설정 다이얼(14c)의 조작에 수반하여 변화된다.
〔변속 상태가 저속 상태인 경우에 대해〕
유압 모터(6B)의 변속 상태가 저속 상태일 때, 제4 제한값 기억 장치(93)에 제4 제한값이 기억되어 있는 경우는, 제한 지시값은 제4 제한값으로 설정된다. 또한, 유압 모터(6B)의 변속 상태가 저속 상태일 때, 제4 제한값 기억 장치(93)에 제4 제한값이 기억되어 있지 않은 경우는, 제한 지시값은 제3 제한값으로 설정된다.
즉, 유압 모터(6B)의 변속 상태가 저속 상태일 때, 제4 제한값 기억 장치(93)에 제4 제한값이 기억되어 있지 않은 경우는, 최고 차속 설정 다이얼(14c)을 조작하면, 그 조작에 수반하여, 경사판 경사율의 상한값이 변화되게 된다.
도 4에 있어서, 유압 모터(6B)의 변속 상태가 저속 상태이고(도 4에 있어서 「저속」), 제4 제한값 기억 장치(93)에 제4 제한값이 기억되어 있지 않은(도 4에 있어서 「기억값 없음」) 경우의 경사판 경사율의 상한값을 제3 제한값(x)으로서 나타내고 있다.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3 제한값(x)은, 최고 차속 설정 다이얼(14c)에 있어서의 설정값 x에 대응하고 있다. 그리고, 제3 제한값(x)은, 최고 차속 설정 다이얼(14c)의 조작에 수반하여, 50% 내지 100%의 사이에서 변경 가능하다.
이와 같이, 변속 상태가 저속 상태인 경우의 제한 지시값은 변경 가능하다.
또한, 이때, 최고 차속 설정 다이얼(14c)의 조작에 수반하여, 주 변속 레버(11)의 레버각과 경사판 경사율의 관계가 변화된다. 구체적으로는, 레버각을 소정량 증가시켰을 때의 경사판 경사율의 증가 폭이 변화된다.
그리고, 콤바인의 주행 중에, 주 변속 레버(11)의 레버각을 일정하게 한 상태에서, 최고 차속 설정 다이얼(14c)을 조작하면, 경사판 경사율이 변화되게 된다. 이에 의해, 차속이 변화된다.
도 5는 목표의 경사판각을 0도로부터 y도로 변경하였을 때의, 경과 시간에 대한 경사판각의 변화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에서는, 주 변속 레버(11)의 조작에 의해 목표의 경사판각을 0도로부터 y도로 변경한 경우를 「레버 조작 시」로서 나타내고 있다. 또한, 최고 차속 설정 다이얼(14c)의 조작에 의해 목표의 경사판각을 0도로부터 y도로 변경한 경우를 「다이얼 조작 시」로서 나타내고 있다.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다이얼 조작 시」에 있어서의 경사판각의 변화 속도는, 「레버 조작 시」에 있어서의 경사판각의 변화 속도보다 느려지도록 설정되어 있다. 이에 의해, 콤바인의 주행 중에 최고 차속 설정 다이얼(14c)을 실수로 크게 돌려 버린 경우라도, 차속의 변화는 비교적 완만해지기 때문에, 콤바인이 급격하게 가감속되어 버리는 사태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유압 모터(6B)의 변속 상태가 저속 상태이며(도 4에 있어서 「저속」), 제4 제한값 기억 장치(93)에 제4 제한값이 기억되어 있는 경우(도 4에 있어서 「기억값 있음」)는, 최고 차속 설정 다이얼(14c)을 조작해도, 경사판 경사율의 상한값은 변화되지 않고, 항시 제4 제한값이다. 도 4에 있어서, 이 경우의 경사판 경사율의 상한값을 제4 제한값(B)으로서 나타내고 있다.
이와 같이, 콤바인은, 변속 상태가 저속 상태인 경우의 제한 지시값이 제3 제한값(x) 및 제4 제한값(B) 중 어느 하나로 설정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유압 모터(6B)의 변속 상태가 저속 상태이고, 또한 제한 지시값이 제3 제한값(x)으로 설정되어 있을 때, 기억 스위치(14d)가 눌러지면, 그 시점에서의 제3 제한값(x)이 제4 제한값(B)으로서 제4 제한값 기억 장치(93)에 기억됨과 함께, 제한 지시값은 제4 제한값(B)이 된다.
또한,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유압 모터(6B)의 변속 상태가 저속 상태이고, 또한 제한 지시값이 제4 제한값(B)으로 설정되어 있을 때, 기억 스위치(14d)가 길게 누름 조작되면, 제4 제한값(B)이 제4 제한값 기억 장치(93)로부터 소거됨과 함께, 제한 지시값은 제3 제한값(x)이 된다.
〔변속 상태가 고속 상태인 경우에 대해〕
유압 모터(6B)의 변속 상태가 고속 상태일 때, 제2 제한값 기억 장치(92)에 제2 제한값이 기억되어 있는 경우는, 제한 지시값은 제2 제한값으로 설정된다. 또한, 유압 모터(6B)의 변속 상태가 고속 상태일 때, 제2 제한값 기억 장치(92)에 제2 제한값이 기억되어 있지 않은 경우는, 제한 지시값은 제1 제한값으로 설정된다.
즉, 유압 모터(6B)의 변속 상태가 고속 상태일 때, 제2 제한값 기억 장치(92)에 제2 제한값이 기억되어 있지 않은 경우는, 최고 차속 설정 다이얼(14c)을 조작하면, 그 조작에 수반하여, 경사판 경사율의 상한값이 변화되게 된다.
도 4에 있어서, 유압 모터(6B)의 변속 상태가 고속 상태이며(도 4에 있어서 「고속」), 제2 제한값 기억 장치(92)에 제2 제한값이 기억되어 있지 않은(도 4에 있어서 「기억값 없음」) 경우의 경사판 경사율의 상한값을 제1 제한값(x)으로서 나타내고 있다.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 제한값(x)은, 최고 차속 설정 다이얼(14c)에 있어서의 설정값 x에 대응하고 있다. 그리고, 제1 제한값(x)은, 최고 차속 설정 다이얼(14c)의 조작에 수반하여, 50% 내지 100%의 사이에서 변경 가능하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제1 제한값(x)과 제3 제한값(x)은 모두, 최고 차속 설정 다이얼(14c)에 있어서의 설정값 x에 대응한 값으로 되므로,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있다.
이와 같이, 제1 제한값의 설정 가능한 범위와, 제3 제한값의 설정 가능한 범위가 동일하다.
또한, 이때, 최고 차속 설정 다이얼(14c)의 조작에 수반하여, 주 변속 레버(11)의 레버각과 경사판 경사율의 관계가 변화된다. 구체적으로는, 레버각을 소정량 증가시켰을 때의 경사판 경사율의 증가 폭이 변화된다.
그리고, 콤바인의 주행 중에, 주 변속 레버(11)의 레버각을 일정하게 한 상태에서, 최고 차속 설정 다이얼(14c)을 조작하면, 경사판 경사율이 변화되게 된다. 이에 의해, 차속이 변화된다.
또한,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다이얼 조작 시」에 있어서의 경사판각의 변화 속도가, 「레버 조작 시」에 있어서의 경사판각의 변화 속도보다 느려지도록 설정되어 있는 점에 대해서는, 상술한 바와 같다.
또한, 유압 모터(6B)의 변속 상태가 고속 상태이며(도 4에 있어서 「고속」), 제2 제한값 기억 장치(92)에 제2 제한값이 기억되어 있는 경우(도 4에 있어서 「기억값 있음」)는, 최고 차속 설정 다이얼(14c)을 조작해도, 경사판 경사율의 상한값은 변화되지 않고, 항시 제2 제한값이다. 도 4에 있어서, 이 경우의 경사판 경사율의 상한값을 제2 제한값(A)으로서 나타내고 있다.
또한,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유압 모터(6B)의 변속 상태가 고속 상태이고, 또한 제한 지시값이 제1 제한값(x)으로 설정되어 있을 때, 기억 스위치(14d)가 눌러지면, 그 시점에서의 제1 제한값(x)이 제2 제한값(A)으로서 제2 제한값 기억 장치(92)에 기억됨과 함께, 제한 지시값은 제2 제한값(A)이 된다.
또한,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유압 모터(6B)의 변속 상태가 고속 상태이고, 또한 제한 지시값이 제2 제한값(A)으로 설정되어 있을 때, 기억 스위치(14d)가 길게 누름 조작되면, 제2 제한값(A)이 제2 제한값 기억 장치(92)로부터 소거됨과 함께, 제한 지시값은 제1 제한값(x)이 된다.
〔변속 상태가 저속 상태로부터 고속 상태로 변경된 경우에 대해〕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4 제한값 기억 장치(93)에 제4 제한값(B)이 기억되어 있는 경우, 변속 상태가 저속 상태로부터 고속 상태로 변경되었을 때에는, 제한 지시값은, 제4 제한값(B)으로부터 제1 제한값(x) 및 제2 제한값(A) 중 어느 한쪽으로 변경되게 된다. 이때, 제2 제한값 기억 장치(92)에 제2 제한값(A)이 기억되어 있는지 여부에 따라서, 제1 제한값(x) 및 제2 제한값(A) 중 어느 쪽으로 변경될지가 결정된다.
제4 제한값 기억 장치(93)에 제4 제한값(B)이 기억되어 있고, 또한 제2 제한값 기억 장치(92)에 제2 제한값(A)이 기억되어 있는 경우에 있어서, 변속 상태가 저속 상태로부터 고속 상태로 변경되었을 때, 제한 지시값은 제4 제한값(B)으로부터 제2 제한값(A)으로 변경된다. 이때,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레버각과 경사판 경사율의 대응 관계는, 「저속」 또한 「기억값 있음」에 있어서의 대응 관계로부터, 「고속」 또한 「기억값 있음」에 있어서의 대응 관계로 변화된다.
또한, 제4 제한값 기억 장치(93)에 제4 제한값(B)이 기억되어 있고, 또한 제2 제한값 기억 장치(92)에 제2 제한값(A)이 기억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 있어서, 변속 상태가 저속 상태로부터 고속 상태로 변경되었을 때, 제한 지시값은 제4 제한값(B)으로부터 제1 제한값(x)으로 변경된다. 이때,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레버각과 경사판 경사율의 대응 관계는, 「저속」 또한 「기억값 있음」에 있어서의 대응 관계로부터, 「고속」 또한 「기억값 없음」에 있어서의 대응 관계로 변화된다.
또한,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4 제한값 기억 장치(93)에 제4 제한값(B)이 기억되어 있지 않은 경우, 변속 상태가 저속 상태로부터 고속 상태로 변경되었을 때에는, 제한 지시값은, 제3 제한값(x)으로부터 제1 제한값(x) 및 제2 제한값(A) 중 어느 한쪽으로 변경되게 된다. 이때, 제2 제한값 기억 장치(92)에 제2 제한값(A)이 기억되어 있는지 여부에 따라서, 제1 제한값(x) 및 제2 제한값(A) 중 어느 쪽으로 변경될지가 결정된다.
제4 제한값 기억 장치(93)에 제4 제한값(B)이 기억되어 있지 않고, 또한 제2 제한값 기억 장치(92)에 제2 제한값(A)이 기억되어 있는 경우에 있어서, 변속 상태가 저속 상태로부터 고속 상태로 변경되었을 때, 제한 지시값은 제3 제한값(x)으로부터 제2 제한값(A)으로 변경된다. 이때,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레버각과 경사판 경사율의 대응 관계는, 「저속」 또한 「기억값 없음」에 있어서의 대응 관계로부터, 「고속」 또한 「기억값 있음」에 있어서의 대응 관계로 변화된다.
또한, 제4 제한값 기억 장치(93)에 제4 제한값(B)이 기억되어 있지 않고, 또한 제2 제한값 기억 장치(92)에 제2 제한값(A)이 기억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 있어서, 변속 상태가 저속 상태로부터 고속 상태로 변경되었을 때, 제한 지시값은 제3 제한값(x)으로부터 제1 제한값(x)으로 변경된다. 이때,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레버각과 경사판 경사율의 대응 관계는, 「저속」 또한 「기억값 없음」에 있어서의 대응 관계로부터, 「고속」 또한 「기억값 없음」에 있어서의 대응 관계로 변화된다.
이와 같이, 변속 상태가 저속 상태로부터 고속 상태로 변경되었을 때, 제한 지시값은, 제1 제한값(x) 및 제2 제한값(A) 중 어느 하나로 설정된다.
또한, 제2 제한값 기억 장치(92)에 제2 제한값(A)이 기억되어 있는 경우에 있어서, 변속 상태가 저속 상태로부터 고속 상태로 변경되었을 때, 제한 지시값은 제2 제한값(A)으로 설정된다. 한편, 제2 제한값 기억 장치(92)에 제2 제한값(A)이 기억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 있어서, 변속 상태가 저속 상태로부터 고속 상태로 변경되었을 때, 제한 지시값은 제1 제한값(x)으로 설정된다.
〔변속 상태가 고속 상태로부터 저속 상태로 변경된 경우에 대해〕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2 제한값 기억 장치(92)에 제2 제한값(A)이 기억되어 있는 경우, 변속 상태가 고속 상태로부터 저속 상태로 변경되었을 때에는, 제한 지시값은, 제2 제한값(A)으로부터 제3 제한값(x) 및 제4 제한값(B) 중 어느 한쪽으로 변경되게 된다. 이때, 제2 제한값 기억 장치(92)에 제2 제한값(A)이 기억되어 있는지 여부에 따라서, 제3 제한값(x) 및 제4 제한값(B) 중 어느 쪽으로 변경될지가 결정된다.
제2 제한값 기억 장치(92)에 제2 제한값(A)이 기억되어 있고, 또한 제4 제한값 기억 장치(93)에 제4 제한값(B)이 기억되어 있는 경우에 있어서, 변속 상태가 고속 상태로부터 저속 상태로 변경되었을 때, 제한 지시값은 제2 제한값(A)으로부터 제4 제한값(B)으로 변경된다. 이때,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레버각과 경사판 경사율과의 대응 관계는, 「고속」 또한 「기억값 있음」에 있어서의 대응 관계로부터, 「저속」 또한 「기억값 있음」에 있어서의 대응 관계로 변화된다.
또한, 제2 제한값 기억 장치(92)에 제2 제한값(A)이 기억되어 있고, 또한 제4 제한값 기억 장치(93)에 제4 제한값(B)이 기억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 있어서, 변속 상태가 고속 상태로부터 저속 상태로 변경되었을 때, 제한 지시값은 제2 제한값(A)으로부터 제3 제한값(x)으로 변경된다. 이때,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레버각과 경사판 경사율의 대응 관계는, 「고속」 또한 「기억값 있음」에 있어서의 대응 관계로부터, 「저속」 또한 「기억값 없음」에 있어서의 대응 관계로 변화된다.
또한,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2 제한값 기억 장치(92)에 제2 제한값(A)이 기억되어 있지 않은 경우, 변속 상태가 고속 상태로부터 저속 상태로 변경되었을 때에는, 제한 지시값은, 제1 제한값(x)으로부터 제3 제한값(x) 및 제4 제한값(B) 중 어느 한쪽으로 변경되게 된다. 이때, 제4 제한값 기억 장치(93)에 제4 제한값(B)가 기억되어 있는지 여부에 따라서, 제3 제한값(x) 및 제4 제한값(B) 중 어느 쪽으로 변경될지가 결정된다.
제2 제한값 기억 장치(92)에 제2 제한값(A)이 기억되어 있지 않고, 또한 제4 제한값 기억 장치(93)에 제4 제한값(B)이 기억되어 있는 경우에 있어서, 변속 상태가 고속 상태로부터 저속 상태로 변경되었을 때, 제한 지시값은 제1 제한값(x)으로부터 제4 제한값(B)으로 변경된다. 이때,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레버각과 경사판 경사율의 대응 관계는, 「고속」 또한 「기억값 없음」에 있어서의 대응 관계로부터, 「저속」 또한 「기억값 있음」에 있어서의 대응 관계로 변화된다.
또한, 제2 제한값 기억 장치(92)에 제2 제한값(A)이 기억되어 있지 않고, 또한 제4 제한값 기억 장치(93)에 제4 제한값(B)이 기억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 있어서, 변속 상태가 고속 상태로부터 저속 상태로 변경되었을 때, 제한 지시값은 제1 제한값(x)으로부터 제3 제한값(x)으로 변경된다. 이때,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레버각과 경사판 경사율의 대응 관계는, 「고속」 또한 「기억값 없음」에 있어서의 대응 관계로부터, 「저속」 또한 「기억값 없음」에 있어서의 대응 관계로 변화된다.
이와 같이, 제4 제한값 기억 장치(93)에 제4 제한값(B)가 기억되어 있는 경우에 있어서, 변속 상태가 고속 상태로부터 저속 상태로 변경되었을 때, 제한 지시값은 제4 제한값(B)으로 설정된다. 한편, 제4 제한값 기억 장치(93)에 제4 제한값(B)이 기억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 있어서, 변속 상태가 고속 상태로부터 저속 상태로 변경되었을 때, 제한 지시값은 제3 제한값(x)으로 설정된다.
〔최고 차속 설정 모드의 ON 상태 및 OFF 상태에 대해〕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이상에서 설명한 제한 지시값은, 최고 차속 설정 모드가 ON 상태일 때만 유효하게 되어 있다. 최고 차속 설정 모드가 OFF 상태일 때에는, 제한 지시값은 무효가 된다. 즉, 최고 차속 설정 모드가 OFF 상태일 때에는, 경사판 경사율의 상한값은, 변속 상태 및 기억값(제2 제한값(A), 제4 제한값(B))의 유무에 관계없이, 항시 100%로 설정된다.
제한 지시값이 제1 제한값(x), 제2 제한값(A), 제3 제한값(x), 제4 제한값(B) 중 어느 쪽으로 설정되어 있는 경우라도, 최고 차속 설정 모드가 ON 상태로부터 OFF 상태로 전환되면, 경사판 경사율의 상한값은 100%로 설정된다. 또한, 최고 차속 설정 모드가 OFF 상태로부터 ON 상태로 전환되면, 경사판 경사율의 상한값은, 변속 상태 및 기억값(제2 제한값(A), 제4 제한값(B))의 유무에 따라서 상술한 바와 같이 설정되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구성에 의하면, 변속 상태가 저속 상태로부터 고속 상태로 변경되었을 때, 제한 지시값은, 제1 제한값(x) 및 제2 제한값(A) 중 어느 하나로 설정된다. 따라서, 상황에 따라서 차속 상한값의 변경처를 전환하는 것이 가능한 구성으로 할 수 있다.
〔제1 다른 실시 형태〕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오퍼레이터가 모드 설정 스위치(14a)를 누르면, 최고 차속 설정 모드가 ON 상태와 OFF 상태 사이에서 전환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관한 제1 다른 실시 형태에 대해, 상기 실시 형태와는 상이한 점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이하에서 설명하고 있는 부분 이외의 구성은, 상기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이다. 또한, 상기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의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있다.
제1 다른 실시 형태에서는, 모드 설정 스위치(14a)가 설치되어 있지 않다. 그리고, 부 변속 스위치(13)를 길게 누름으로써, 최고 차속 설정 모드가 ON 상태와 OFF 상태 사이에서 전환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제한 지시값이 제1 제한값(x), 제2 제한값(A), 제3 제한값(x), 제4 제한값(B) 중 어느 것으로 설정되어 있는 경우라도, 부 변속 스위치(13)를 길게 누르면, 최고 차속 설정 모드가 ON 상태로부터 OFF 상태로 전환되고, 경사판 경사율의 상한값은 100%로 설정된다. 또한, 최고 차속 설정 모드가 OFF 상태일 때, 부 변속 스위치(13)를 길게 누르면, 최고 차속 설정 모드는 OFF 상태로부터 ON 상태로 전환되고, 경사판 경사율의 상한값은, 변속 상태 및 기억값(제2 제한값(A), 제4 제한값(B))의 유무에 따라서 상술한 바와 같이 설정되게 된다.
〔제2 다른 실시 형태〕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오퍼레이터가 모드 설정 스위치(14a)를 누르면, 최고 차속 설정 모드가 ON 상태와 OFF 상태 사이에서 전환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관한 제2 다른 실시 형태에 대해, 상기 실시 형태와는 상이한 점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이하에서 설명하고 있는 부분 이외의 구성은, 상기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이다. 또한, 상기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의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있다.
제2 다른 실시 형태에서는, 모드 설정 스위치(14a)가 설치되어 있지 않다. 그리고, 상기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로, 작업 상태 판정부(94)는 예취부(1)가 작업 상태인지 여부를 판정한다.
제2 다른 실시 형태에서는, 변속 상태가 저속 상태이고, 또한 작업 상태 판정부(94)에 의해 예취부(1)가 작업 상태라고 판정되어 있는 경우만, 최고 차속 설정 모드가 ON 상태로 된다. 또한, 변속 상태가 고속 상태인 경우, 및 작업 상태 판정부(94)에 의해 예취부(1)가 작업 상태가 아니라고 판정되어 있는 경우는, 모두 최고 차속 설정 모드가 OFF 상태로 된다.
그리고 최고 차속 설정 모드가 ON 상태일 때만 제한 지시값이 유효하고, 최고 차속 설정 모드가 OFF 상태일 때에는 제한 지시값이 무효가 되는 점은, 상기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이다.
이와 같이, 제2 다른 실시 형태에서는, 예취부(1)가 작업 상태인지 여부를 판정하는 작업 상태 판정부(94)를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변속 상태가 저속 상태이고, 또한 작업 상태 판정부(94)에 의해 예취부(1)가 작업 상태라고 판정되어 있는 경우만, 제한 지시값이 유효하다. 또한, 변속 상태가 고속 상태인 경우, 및 작업 상태 판정부(94)에 의해 예취부(1)가 작업 상태가 아니라고 판정되어 있는 경우는, 모두 제한 지시값이 무효이다.
〔제3 다른 실시 형태〕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콤바인의 주행 중에, 주 변속 레버(11)의 레버각을 일정하게 한 상태에서, 최고 차속 설정 다이얼(14c)을 조작하면, 경사판 경사율이 변화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다이얼 조작 시」에 있어서의 경사판각의 변화 속도는, 「레버 조작 시」에 있어서의 경사판각의 변화 속도보다 느려지도록 설정되어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관한 제3 다른 실시 형태에 대해, 상기 실시 형태와는 상이한 점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이하에서 설명하고 있는 부분 이외의 구성은, 상기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이다. 또한, 상기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의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있다.
제3 다른 실시 형태에서는, 「다이얼 조작 시」에 있어서의 경사판각의 변화 속도는, 「레버 조작 시」에 있어서의 경사판각의 변화 속도와 동일한 속도로 설정되어 있다. 그리고, 최고 차속 설정 다이얼(14c)을 조작해도, 그 조작은, 경사판 경사율 및 경사판 경사율의 상한값의 변화로, 즉시 반영되지는 않도록 구성되어 있다.
제3 다른 실시 형태에서는, 최고 차속 설정 다이얼(14c)을 조작한 후, 주 변속 레버(11)를 중립 위치(N)로 이동 조작한 시점에서, 최고 차속 설정 다이얼(14c)의 조작이 경사판 경사율 및 경사판 경사율의 상한값의 변화에 반영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즉, 주 변속 레버(11)의 조작 위치를 일정하게 한 채로 최고 차속 설정 다이얼(14c)을 조작한 경우, 주 변속 레버(11)를 이동 조작하지 않는 한, 경사판 경사율은 변화되지 않는다. 이에 의해, 주 변속 레버(11)의 조작 위치를 일정하게 한 채로 최고 차속 설정 다이얼(14c)을 조작한 경우, 주 변속 레버(11)를 이동 조작하지 않는 한, 차속은 변화되지 않게 된다.
이 구성에 의하면, 콤바인의 주행 중에 최고 차속 설정 다이얼(14c)을 실수로 크게 돌려 버린 경우라도, 주 변속 레버(11)를 이동 조작하지 않는 한, 차속은 변화되지 않으므로, 콤바인이 급격하게 가감속되어 버리는 사태를 방지할 수 있다.
〔그 밖의 실시 형태〕
(1) 본 발명에 관한 「무단 변속 장치」에 상당하는 부재로서, 정유압식 무단 변속 장치(6) 대신에, CVT가 구비됨과 동시에, 트랜스미션(7)에 있어서 기어식 변속 장치가 설치되고, 이 기어식 변속 장치가, 변속 기구(H)에 있어서의 변속 상태를 저속 상태와 고속 상태 사이에서 변경 가능한 부 변속 장치로서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 그 경우, 부 변속 스위치(13)가 눌러질 때마다, 기어식 변속 장치의 변속 상태가, 저속 상태와 고속 상태에서 교대로 전환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2) 본 발명에 관한 「기억 조작구」와 「소거 조작구」에 상당하는 부재는, 각각 별도의 부재로서 구비되어 있어도 된다. 예를 들어, 「기억 조작구」로서 기억 스위치(14d)를 구비함과 함께, 「소거 조작구」로서, 기억 스위치(14d)와는 별도의 소거 스위치를 구비하는 구성이어도 된다.
(3) 제1 제한값의 설정 가능한 범위와, 제3 제한값의 설정 가능한 범위가 동일하지 않아도 된다.
(4) 본 발명에 관한 「작업 장치」는, 예취부(1)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을 트랙터에 적용한 경우, 「작업 장치」로서, 기체 후방부에 경운 장치를 구비하는 구성이 가능하다.
(5) 제2 제한값 기억 장치(92)는 설치되어 있지 않아도 된다. 그 경우, 예를 들어 제2 제한값은, 제1 제한값의 기억값이 아니라, 미리 정해진 소정의 값이어도 된다.
(6) 제4 제한값 기억 장치(93)는 설치되어 있지 않아도 된다. 그 경우, 예를 들어 제4 제한값은, 제3 제한값의 기억값이 아니라, 미리 정해진 소정의 값이어도 된다.
(7) 작업 상태 판정부(94)는 설치되어 있지 않아도 된다.
(8) 상기 실시 형태에 있어서, 제한 지시값은, 경사판 경사율의 상한값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제한 지시값은, 차속 상한값을 나타내는 값이면, 경사판 경사율의 상한값 이외의 값이어도 된다. 예를 들어, 제한 지시값은, 차속 상한값 그 자체여도 되고, 주행 장치(5)를 구동하는 구동축의 회전 속도 상한값이어도 된다. 또한, 제1 제한값, 제2 제한값, 제3 제한값, 제4 제한값에 대해서도 마찬가지로, 차속 상한값 그 자체여도 되고, 주행 장치(5)를 구동하는 구동축의 회전 속도 상한값이어도 된다.
(9)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다이얼 조작 시」에 있어서의 경사판각의 변화 속도가, 「레버 조작 시」에 있어서의 경사판각의 변화 속도보다 느려지도록 설정되어 있다. 이 점에 대해, 주 변속 레버(11)의 조작 위치가 중립 위치(N)일 때에는, 「다이얼 조작 시」에 있어서의 경사판각의 변화 속도가, 「레버 조작 시」에 있어서의 경사판각의 변화 속도와 동일한 속도로 설정되고, 주 변속 레버(11)의 조작 위치가 중립 위치(N) 이외의 위치일 때에는, 「다이얼 조작 시」에 있어서의 경사판각의 변화 속도가, 「레버 조작 시」에 있어서의 경사판각의 변화 속도보다 느려지도록 설정되어 있어도 된다.
(10) 부 변속 스위치(13) 대신에, 부 변속 레버가 설치되어 있어도 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일례인 실시 형태를 도면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또한, 방향에 관해서는, 도 6의 부호 F가 콤바인의 전진 방향(전 방향), 도 6의 부호 R이 콤바인의 후진 방향(후 방향)이다.
〔콤바인의 기본 구성에 대해〕
도 6에 도시한 콤바인은, 자탈형으로 구성되어 있다. 콤바인의 기체에는, 크롤러식의 좌우 한 쌍의 주행 장치(1001), 주행 장치(1001)에 지지되는 프레임 형상으로 짜여진 차체 프레임(1002), 차체 프레임(1002)의 전방부측에 지지되는 예취부(1003), 예취부(1003)의 후방에 있어서 차체 프레임(1002)에 지지되는 탈곡 장치(1004), 탈곡 장치(1004)의 횡측에 배치되는 곡립 저류부(1005), 곡립 저류부(1005)에 저류된 곡립을 배출 가능한 언로더(1006), 조종자가 운전 조작을 행하기 위한 운전부(1007) 등이 구비되어 있다.
콤바인은, 주행 장치(1001)에 의해 기체를 주행시키면서, 예취부(1003)에 의해 포장의 식립 곡간을 예취하고, 예취 곡간을 탈곡 장치(1004)에 의해 탈곡 처리하고, 탈곡 처리에 의해 얻어진 곡립을 곡립 저류부(1005)에 저류해 가도록 되어 있다. 곡립 저류부(1005)에 저류된 곡립은, 언로더(1006)에 의해 기외로 배출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콤바인에는, 동력원으로서의 엔진(1008), 정유압식 무단 변속 장치인 HST로 구성되는 무단 변속 장치(1009)(「변속 장치」에 상당), 기어 기구로 구성되는 트랜스미션(1010)이 구비되어 있다.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무단 변속 장치(1009)는, 엔진(1008)의 동력을 변속하여 주행 장치(1001) 및 예취부(1003)를 향해 전달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무단 변속 장치(1009)에는, 가변 용량형 유압 펌프(1009A)(주 변속 장치)와, 유압 펌프(1009A)로부터의 압유에 의해 구동되는 가변 용량형 유압 모터(1009B)(부 변속 장치)가 구비되어 있다. 유압 펌프(1009A)는, 서보 실린더 등으로 구성되는 액추에이터(1011)의 구동에 의해 경사판의 각도를 변경 가능하게 되어 있다. 유압 모터(1009B)는, 다른 액추에이터(도시하지 않음)의 구동에 의해 경사판의 각도를 변경 가능하게 되어 있다. 유압 펌프(1009A)의 경사판의 각도를 변경함으로써, 무단 변속 장치(1009)의 변속비를 무단계로 바꾸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한, 유압 모터(1009B)의 경사판의 각도를 변경함으로써, 무단 변속 장치(1009)로부터 출력되는 동력을, 작업 주행용 저속 변속 상태와, 통상 주행용 고속 변속 상태로 전환 조작 가능하게 되어 있다.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트랜스미션(1010)은, 무단 변속 장치(1009)로부터 입력되는 동력을 변속하여, 주행 장치(1001) 및 예취부(1003)를 향해 전달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엔진(1008)으로부터의 동력은, 무단 변속 장치(1009)에 출력되고, 무단 변속 장치(1009)에 의해 무단계로 변속되어 트랜스미션(1010)에 출력된다. 트랜스미션(1010)의 동력은, 주행 장치(1001) 및 예취부(1003)를 향해 전달된다. 엔진(1008)으로부터의 동력은, 무단 변속 장치(1009)에 출력되는 것 이외에, 무단 변속 장치(1009)의 변속 작용을 받지 않는 상태에서 탈곡 장치(1004)나 언로더(1006) 등에도 출력된다. 트랜스미션(1010)과 주행 장치(1001) 사이, 트랜스미션(1010)과 예취부(1003) 사이, 엔진(1008)과 탈곡 장치(1004) 사이, 엔진(1008)과 언로더(1006) 사이에는 각각, 동력 전달의 연결 해제 조작을 행하는 것이 가능한 클러치(도시하지 않음)가 개재 장착되어 있다.
도 6,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운전부(1007)에는, 조종자가 착좌 가능한 운전 좌석(1012), 무단 변속 장치(1009)의 변속 조작용(유압 펌프(1009A)의 경사판의 각도 조작용)의 요동 조작식 변속 레버(1013)(「변속 조작구」에 상당), 무단 변속 장치(1009)의 변속 조작용(유압 모터(1009B)의 경사판의 각도 조작용)의 압박 조작식 부 변속 스위치(1013A), 아이들링 시의 엔진(1008)의 목표 회전수의 설정 조작용의 다이얼 조작식 액셀러레이터 다이얼(1013B), 최대 차속을 설정 가능한 압박 조작식 설정 스위치(1014)(「설정 조작구」에 상당), 그 밖의 각종의 수동 조작구(도시하지 않음), 미터 패널 등으로 구성되는 표시 장치(1015) 등이 구비되어 있다.
또한, 「최고 차속」은, 액셀러레이터 다이얼(1013B)의 조작 위치를 일정하게 한 경우에 현출 가능한 최대의 차속을 의미하고 있다.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변속 레버(1013)는, 중립 위치(N100)를 사이에 둔 전진측 최대 조작 위치(Fmax)(「최대 조작 위치」에 상당)와 후진측 최대 조작 위치(Rmax) 사이에서 요동 조작 가능하게 되어 있다. 변속 레버(1013)가 중립 위치(N100)로 조작되면, 무단 변속 장치(1009)의 유압 펌프(1009A)의 경사판이 중립 각도로 되어, 무단 변속 장치(1009)로부터 동력이 출력되지 않는 상태가 된다. 이에 의해, 주행 장치(1001)에 동력이 출력되지 않는 상태가 된다. 또한, 변속 레버(1013)가 중립 위치(N100)로부터 전진측 최대 조작 위치(Fmax)측을 향해 조작되면, 무단 변속 장치(1009)의 유압 펌프(1009A)의 경사판이 중립 각도로부터 전진 각도측으로 각도 변경되어, 무단 변속 장치(1009)로부터 전진 동력이 출력되는 상태로 된다. 이에 의해, 주행 장치(1001)가 전진 구동된다. 또한, 변속 레버(1013)가 중립 위치(N100)로부터 후진측 최대 조작 위치(Rmax)측을 향해 조작되면, 무단 변속 장치(1009)의 유압 펌프(1009A)의 경사판이 중립 각도로부터 후진 각도측으로 각도 변경되어, 무단 변속 장치(1009)로부터 후진 동력이 출력되는 상태로 된다. 이에 의해, 주행 장치(1001)가 후진 구동된다.
도 7에 도시한 부 변속 스위치(1013A)는, 무단 변속 장치(1009)의 유압 모터(1009B)의 상태를, 작업 주행용 저속 변속 상태와, 통상 주행용 고속 변속 상태로 전환 조작 가능한 조작구로 되어 있다. 부 변속 스위치(1013A)는, 변속 레버(1013)의 그립(1016)에 구비되어 있다. 부 변속 스위치(1013A)는, 그립(1016)을 쥐는 손의 손가락으로 조작 가능하게 되어 있다.
도 7에 도시한 설정 스위치(1014)는, 변속 레버(1013)의 조작 위치와 차속의 관계를 변경 조작 가능한 조작구로 되어 있다. 설정 스위치(1014)는, 변속 레버(1013)의 그립(1016)에 구비되어 있다. 설정 스위치(1014)는, 그립(1016)을 쥐는 손의 손가락으로 조작 가능하게 되어 있다.
설정 스위치(1014)는, 등록 조작에 의해 새로운 최대 차속의 등록을 행하고, 해제 조작에 의해 설정되어 있는 최대 차속의 해제를 행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설정 스위치(1014)의 등록 조작은, 예를 들어 설정 스위치(1014)에 대해 2회 연속으로 단압 조작을 행하는 것이다. 설정 스위치(1014)의 해제 조작은, 등록 조작과는 상이한 조작이며, 예를 들어 설정 스위치(1014)에 대해 단압 조작보다 긴 장압 조작을 행하는 것이다.
〔제어 구성에 대해〕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콤바인에는, 차속의 제어 및 조종자에게 표시하는 정보의 제어를 행하기 위한 제어 장치(1017)가 구비되어 있다. 제어 장치(1017)에는, 변속 레버(1013)의 조작 위치를 검출하는 포텐시오미터(1018)의 검출 신호, 설정 스위치(1014)의 조작 신호, 부 변속 스위치(1013A)의 조작 신호, 액셀러레이터 다이얼(1013B)의 조작 위치의 검출 신호, 엔진(1008)의 실제 회전수를 검출하는 회전수 센서(1019)의 출력 신호, 무단 변속 장치(1009)의 유압 펌프(1009A)의 경사판의 검출 각도를 검출 가능한 경사판각 센서(1020)의 출력 신호, 기체의 차속을 검출 가능한 차속 센서(1021)의 출력 신호 등이 입력되어 있다.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어 장치(1017)에는, 각종 정보를 기억하는 기억부(1022)와, 엔진(1008) 및 무단 변속 장치(1009)의 제어를 행하는 제어부(1023)와, 표시 장치(1015)에 출력하는 정보를 제어하는 표시 출력부(1024)가 구비되어 있다.
기억부(1022)는, 변속 레버(1013)의 조작 위치와 무단 변속 장치(1009)의 유압 펌프(1009A)의 경사판의 목표 각도의 대응 관계의 데이터를 복수 기억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한, 기억부(1022)는, 기준의 최대 차속(무단 변속 장치(1009)의 유압 펌프(1009A)의 경사판을 기계적 한계인 한계 경사 각도로 하였을 때의 차속)을 기억하고 있다. 또한, 기억부(1022)는, 설정 스위치(1014)가 등록 조작되었을 때의 차속을, 새로운 최대 차속(무단 변속 장치(1009)의 유압 펌프(1009A)를 한계 경사 각도보다 작은 최대 경사 각도로 하였을 때의 차속)으로서 복수 기억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한, 기억부(1022)는, 현재 설정되어 있는 최대 차속을 기억 가능하게 되어 있다.
제어부(1023)는, 변속 레버(1013)의 조작 위치와 무단 변속 장치(1009)의 유압 펌프(1009A)의 경사판의 목표 각도의 대응 관계의 데이터와, 포텐시오미터(1018)에 의해 검출되는 변속 레버(1013)의 조작 위치에 기초하여 액추에이터(1011)를 조작하여, 무단 변속 장치(1009)의 유압 펌프(1009A)의 경사판의 검출 각도가 경사판의 목표 각도에 근접하도록 제어함으로써, 변속 레버(1013)의 조작에 기초하여 기체의 차속을 변경하도록 되어 있다. 즉, 제어부(1023)는, 변속 레버(1013)의 조작 위치와 차속의 관계와 변속 레버(1013)의 조작 위치에 기초하여, 무단 변속 장치(1009)의 변속 상태를 조작하여 차속을 변경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제어부(1023)는, 새로운 최대 차속을 설정하면, 전진측과 후진측의 모든 영역에 있어서 변속 레버(1013)의 조작 위치와 차속의 관계를 변경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제어부(1023)는, 기억부(1022)로부터 데이터를 판독하여, 설정 스위치(1014)가 등록 조작되었을 때의 변속 레버(1013)의 조작 위치에 대응하는 차속을 새로운 최대 차속으로서 설정하고(변속 레버(1013)의 조작 위치와 무단 변속 장치(1009)의 유압 펌프(1009A)의 경사판의 목표 각도의 새로운 대응 관계를 설정하고), 새로운 최대 차속을 변속 레버(1013)의 전진측 최대 조작 위치(Fmax)에 할당하도록, 변속 레버(1013)의 조작 위치와 무단 변속 장치(1009)의 변속 상태(무단 변속 장치(1009)의 유압 펌프(1009A)의 경사판의 상태)에 의한 차속의 관계를 변경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제어부(1023)는, 설정 스위치(1014)의 등록 조작에 기초하는 새로운 최대 차속의 설정(변속 레버(1013)의 조작 위치와 무단 변속 장치(1009)의 유압 펌프(1009A)의 경사판의 목표 각도의 새로운 대응 관계의 설정)을, 변속 레버(1013)가 중립 위치(N100)로 복귀되었을 때에 실행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제어부(1023)는, 설정 스위치(1014)가 해제 조작되면, 새로운 최대 차속의 설정을 해제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제어부(1023)는, 회전수 센서(1019)에 의해 검출되는 엔진(1008)의 실제 회전수가, 액셀러레이터 다이얼(1013B)의 조작 위치에 대응하는 목표 회전수에 근접하도록 엔진(1008)을 제어하도록 되어 있기도 하다.
표시 출력부(1024)는, 현재 설정되어 있는 최대 차속을 기억부(1022)로부터 판독하여, 표시 장치(1015)에 표시시키도록 구성되어 있다.
도 8에, 설정되어 있는 최대 차속을 변경할 때의 흐름을 일례로서 나타내고 있다.
먼저,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설정 스위치(1014)의 등록 조작이 행해지면(#1; 예), 설정 스위치(1014)의 등록 조작 시의 변속 레버(1013)의 조작 위치 및 설정 스위치(1014)의 등록 조작 시의 차속을 기억한다(#2). 다음으로, 변속 레버(1013)가 중립 위치(N100)로 조작되면(#3; 예), 설정 스위치(1014)의 등록 조작 시에 기억한 차속을 새로운 최대 차속으로 설정함(설정 스위치(1014)의 등록 조작 시의 무단 변속 장치(1009)의 유압 펌프(1009A)의 경사판의 목표 각도를 새로운 최대 경사판 각도로서 설정함)과 함께, 변속 레버(1013)의 조작 위치와 차속의 관계(변속 레버(1013)의 조작 위치와 무단 변속 장치(1009)의 유압 펌프(1009A)의 경사판의 목표 각도의 관계)를 변경하고, 표시 장치(1015)에 새로운 최대 차속을 표시시킨다(#4). 여기서, 새로운 최대 차속을 설정하면, 전진측과 후진측의 모든 영역에 있어서 변속 레버(1013)의 조작 위치와 차속의 관계가 변경된다. 다음으로, 설정 스위치(1014)의 해제 조작이 행해지고(#5; 예), 또한 변속 레버(1013)가 중립 위치(N100)로 조작되면(#6; 예), 새롭게 설정된 최대 차속을 원래의 최대 차속으로 되돌림과 함께, 변속 레버(1013)의 조작 위치와 차속의 관계를 원래의 관계로 되돌리고, 표시 장치(1015)에 원래의 최대 차속을 표시시키고(#7), "복귀"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설정 스위치(1014)의 등록 조작을 연속해서 행하면, 새로운 최대 차속(무단 변속 장치(1009)의 유압 펌프(1009A)의 경사판의 목표 각도가 새로운 최대 경사판 각도)이 순서대로 기억되어 가도록 되어 있다. 변속 레버(1013)를 중립 위치(N100)로 조작하면, 마지막으로 기억된 최대 차속이 새로운 최대 차속으로서 설정된다. 또한, 설정 스위치(1014)의 해제 조작을 연속해서 행하면, 마찬가지로, 최대 차속이 설정한 순서대로 되돌아가 최종적으로 기준의 최대 차속으로 되돌아가도록 되어 있다.
도 9에, 최대 차속을 변경할 때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을 모식적으로 나타내고 있다. 또한, 도 9에서는, 변속 레버(1013)의 조작 위치와 차속의 관계를, 전진측의 영역만 나타내고 있다.
예를 들어,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변속 레버(1013)를 전진측의 100%의 조작 위치인 전진측 최대 조작 위치(Fmax)로 한 경우에, 차속이 원래의 최대 차속인 100%로 되도록 무단 변속 장치(1009)의 변속 상태를 제어한다고 하자. 이 경우(최대 차속의 설정을 변경하기 전)의 변속 레버(1013)의 조작 위치와 차속의 관계를 도 9에 제1 관계(A1001)로서 모식적으로 나타내고 있다.
다음으로, 예를 들어 변속 레버(1013)를 전진측의 50%의 위치로 조작한 상태에서 설정 스위치(1014)의 등록 조작을 행하였다고 하자. 그리고, 변속 레버(1013)를 0%의 위치인 중립 위치(N100)로 조작하면, 새로운 최대 차속이 설정 스위치(1014)의 등록 조작을 행하였을 때의 원래의 최대 차속의 50%로 설정되고, 변속 레버(1013)와 차속의 관계도 도 9에 있어서 제2 관계(A1002)로서 모식적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아울러 변경된다. 이에 의해, 변속 레버(1013)를 전진측의 100%의 조작 위치인 전진측 최대 조작 위치(Fmax)로 한 경우에, 차속이 새로운 최대 차속(원래의 최대 차속의 50%)으로 되도록 무단 변속 장치(1009)의 변속 상태가 제어되게 된다.
이와 같이, 주행 중에, 변속 레버(1013)에 구비되는 설정 스위치(1014)를 조작함으로써, 현재의 차속을, 변속 레버(1013)의 전진측 최대 조작 위치(Fmax)가 대응하는 새로운 최대 차속으로서 용이하게 설정하는 것이 가능해져, 변속 레버(1013)의 조작 범위에 대응하는 차속 범위를 작게 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 때문에, 작업 조건이나 조종자의 조종 능력 등에 따라서, 적절한 최대 차속을 간단하게 설정 가능해져, 변속 레버(1013)의 조작에 의한 차속의 제어를 적합하게 행할 수 있게 된다.
〔다른 실시 형태〕
이하, 상기 실시 형태에 변경을 가한 다른 실시 형태에 대해 설명한다. 이하의 다른 실시 형태는, 모순이 발생하지 않는 한, 상기 실시 형태에 복수 조합하여 적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범위는, 각 실시 형태에서 나타내고 있는 내용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1)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설정 스위치(1014)의 등록 조작이, 설정 스위치(1014)에 대해 2회 연속으로 단압 조작을 행하는 것인 것을 예시하고 있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설정 스위치(1014)의 등록 조작이, 설정 스위치(1014)에 대해 1회만 단압 조작을 행하는 것이어도 된다.
(2)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설정 스위치(1014)의 해제 조작이 등록 조작과 상이한 조작인 것을 예시하고 있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설정 스위치(1014)의 해제 조작이 등록 조작과 동일한 조작이어도 된다.
(3)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설정 스위치(1014)에 의해 등록 조작과 해제 조작의 양쪽을 행하는 것을 예시하고 있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설정 스위치(1014)에서는 등록 조작만 행하고, 해제 조작은 설정 스위치(1014)와는 상이한 별개의 조작구로 행하도록 해도 된다.
(4)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설정 스위치(1014)가, 변속 레버(1013)에 구비되어 있는 것을 예시하고 있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설정 스위치(1014)가, 변속 레버(1013)와는 다른 개소에 설치되어 있어도 된다.
(5)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압박 조작식 설정 스위치(1014)를 예시하고 있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요동 조작식(시소형) 설정 스위치(1014)로 해도 된다. 또한, 설정 스위치(1014)는, 이 이외의 사양이어도 된다.
(6)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설정 스위치(1014)의 해제 조작을 연속해서 행하면, 최대 차속이 설정한 순서대로 되돌아가는 것을 예시하고 있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설정 스위치(1014)의 해제 조작을 한 번 행하면, 기준의 최대 차속으로 되돌아가도록 해도 된다.
(7)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새로운 최대 차속을 설정하면, 전진측과 후진측의 모든 영역에 있어서 변속 레버(1013)의 조작 위치와 차속의 관계가 변경되는 것을 예시하고 있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새로운 최대 차속을 설정하면, 전진측의 영역에 있어서의 변속 레버(1013)의 조작 위치와 차속의 관계만이 변경되고, 후진측의 영역에 있어서의 변속 레버(1013)의 조작 위치와 차속의 관계는 변경되지 않고 유지되도록 해도 된다.
(8)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부 변속 장치로서 무단 변속 장치(1009)의 유압 모터(1009B)를 예시하고 있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트랜스미션(1010)에 설치된 기어 기구를 저속 변속 상태나 고속 변속 상태로 전환되도록 하여 부 변속 장치를 구성해도 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일례인 실시 형태를 도면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또한, 방향에 관해서는, 도 10의 부호 F가 콤바인의 전진 방향(전 방향), 도 10의 부호 R이 콤바인의 후진 방향(후 방향)이다.
도 10에 도시한 콤바인(「수확기」의 일례)은, 자탈형으로 구성되어 있다. 콤바인의 기체에는, 크롤러식의 좌우 한 쌍의 주행 장치(2001), 주행 장치(2001)에 지지되는 프레임 형상으로 짜여진 차체 프레임(2002), 차체 프레임(2002)의 전방부측에 지지되는 예취부(2003), 예취부(2003)의 후방에 있어서 차체 프레임(2002)에 지지되는 탈곡 장치(2004), 탈곡 장치(2004)의 횡측에 배치되고, 수확한 수확물(곡립)을 저류하는 탱크식 곡립 저류부(2005)(「수확물 저류부」의 일례), 곡립 저류부(2005)에 저류된 곡립을 배출 가능한 언로더(2006), 조종자가 운전 조작을 행하기 위한 운전부(2007) 등이 구비되어 있다.
콤바인은, 주행 장치(2001)에 의해 기체를 주행시키면서, 예취부(2003)에 의해 포장의 식립 곡간을 예취하고, 예취 곡간을 탈곡 장치(2004)에 의해 탈곡 처리하고, 탈곡 처리에 의해 얻어진 곡립을 곡립 저류부(2005)에 저류해 가도록 되어 있다. 곡립 저류부(2005)에 저류된 곡립은, 언로더(2006)에 의해 기외로 배출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곡립 저류부(2005)의 하부에는, 곡립 저류부(2005)에 저류된 수확물량을 검출하는 로드셀(2006A)(「수량 검출 센서」의 일례)이 구비되어 있다. 로드셀(2006A)은, 수확물량으로서 곡립 저류부(2005)에 저류되어 있는 곡립의 중량을 검출 가능하게 되어 있다.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콤바인에는, 동력원으로서의 엔진(2008), 정유압식 무단 변속 장치인 HST로 구성되는 무단 변속 장치(2009), 기어 기구로 구성되는 트랜스미션(2010)이 구비되어 있다.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무단 변속 장치(2009)는, 엔진(2008)으로부터의 동력을 변속하여 주행 장치(2001) 및 예취부(2003)를 향해 전달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무단 변속 장치(2009)에는, 가변 용량형 유압 펌프(2009A)(주 변속 장치)와, 유압 펌프(2009A)로부터의 압유에 의해 구동되는 가변 용량형 유압 모터(2009B)(부 변속 장치)가 구비되어 있다. 유압 펌프(2009A)는, 서보 실린더 등으로 구성되는 액추에이터(2011)의 구동에 의해 경사판의 각도를 변경 가능하게 되어 있다. 유압 모터(2009B)는, 다른 액추에이터(도시하지 않음)의 구동에 의해 경사판의 각도를 변경 가능하게 되어 있다. 유압 펌프(2009A)의 경사판의 각도를 변경함으로써, 무단 변속 장치(2009)의 변속비를 무단계로 바꾸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한, 유압 모터(2009B)의 경사판의 각도를 변경함으로써, 무단 변속 장치(2009)로부터 출력되는 동력을, 작업 주행용 저속 변속 상태와, 통상 주행용 고속 변속 상태로 전환 조작 가능하게 되어 있다.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트랜스미션(2010)은, 무단 변속 장치(2009)로부터 입력되는 동력을 변속하여, 주행 장치(2001) 및 예취부(2003)를 향해 전달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엔진(2008)(「동력원」의 일례)으로부터의 동력은, 무단 변속 장치(2009)에 출력되고, 무단 변속 장치(2009)에 의해 무단계로 변속되어 트랜스미션(2010)에 출력된다. 트랜스미션(2010)의 동력은, 주행 장치(2001) 및 예취부(2003)를 향해 전달된다. 엔진(2008)으로부터의 동력은, 무단 변속 장치(2009)에 출력되는 것 이외에, 무단 변속 장치(2009)의 변속 작용을 받지 않는 상태에서 탈곡 장치(2004)나 언로더(2006) 등에도 출력된다. 트랜스미션(2010)과 주행 장치(2001) 사이, 트랜스미션(2010)과 예취부(2003) 사이, 엔진(2008)과 탈곡 장치(2004) 사이, 엔진(2008)과 언로더(2006) 사이에는, 각각, 동력 전달의 연결 해제 조작을 행하는 것이 가능한 클러치(도시하지 않음)가 개재 장착되어 있다.
도 10,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운전부(2007)에는, 조종자가 착좌 가능한 운전 좌석(2012), 무단 변속 장치(2009)의 변속 조작용(유압 펌프(2009A)의 경사판의 각도 조작용)의 요동 조작식 변속 레버(2013)(「변속 조작구」에 상당), 무단 변속 장치(2009)의 변속 조작용(유압 모터(2009B)의 경사판의 각도 조작용)의 압박 조작식 부 변속 스위치(2013A), 아이들링 시의 엔진(2008)의 목표 회전수의 설정 조작용의 다이얼 조작식 액셀러레이터 다이얼(2013B), 그 밖의 각종 수동 조작구(도시하지 않음), 변속 레버(2013)의 근방에 배치되는 인디케이터(2015) 등이 구비되어 있다.
도 11에 도시한 변속 레버(2013)는, 인위 조작에 의해 주행 장치(2001)의 속도를 설정하는 것으로 되어 있다. 변속 레버(2013)는 중립 위치(N200)를 사이에 둔 전진측 최대 조작 위치(Fmax)와 후진측 최대 조작 위치(Rmax) 사이에서 요동 조작 가능하게 되어 있다. 무단 변속 장치(2009)는, 엔진(2008)으로부터의 동력을, 변속 레버(2013)의 조작 위치를 검출하는 포텐시오미터(2018)(「조작 위치 검출 센서」 상당)의 검출 결과에 기초하여 변속하여, 주행 장치(2001)에 전달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변속 레버(2013)가 중립 위치(N200)로 조작되면, 무단 변속 장치(2009)의 유압 펌프(2009A)의 경사판이 중립 각도로 되어, 무단 변속 장치(2009)로부터 주행 장치(2001)에 동력이 출력되지 않는 상태가 된다. 이에 의해, 주행 장치(2001)로 동력이 출력되지 않는 상태가 된다. 또한, 변속 레버(2013)가 중립 위치(N200)로부터 전진측 최대 조작 위치(Fmax)측을 향해 조작되면, 무단 변속 장치(2009)의 유압 펌프(2009A)의 경사판이 중립 각도로부터 전진 각도측으로 각도 변경되고, 무단 변속 장치(2009)로부터 전진 동력이 출력되어, 주행 장치(2001)가 전진 구동되는 상태가 된다. 또한, 변속 레버(2013)가 중립 위치(N200)로부터 후진측 최대 조작 위치(Rmax)측을 향해 조작되면, 무단 변속 장치(2009)의 유압 펌프(2009A)의 경사판이 중립 각도로부터 후진 각도측으로 각도 변경되고, 무단 변속 장치(2009)로부터 후진 동력이 출력되어, 주행 장치(2001)가 후진 구동되는 상태가 된다.
도 11에 도시한 부 변속 스위치(2013A)는, 다른 액추에이터를 조작함으로써, 무단 변속 장치(2009)의 유압 모터(2009B)의 상태를, 작업 주행용 저속 변속 상태와, 통상 주행용 고속 변속 상태로 전환 조작 가능한 조작구로 되어 있다. 부 변속 스위치(2013A)는, 변속 레버(2013)의 그립(2016)에 구비되어 있다. 부 변속 스위치(2013A)는, 그립(2016)을 쥐는 손의 손가락으로 조작 가능하게 되어 있다.
〔제어 구성에 대해〕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콤바인에는, 차속의 제어 및 조종자에게 표시하는 정보의 제어를 행하기 위한 제어 장치(2017)가 구비되어 있다. 제어 장치(2017)에는, 변속 레버(2013)의 조작 위치를 검출하는 포텐시오미터(2018)의 검출 신호, 부 변속 스위치(2013A)의 조작 신호, 액셀러레이터 다이얼(2013B)의 조작 위치의 검출 신호, 엔진(2008)의 실제 회전수를 검출하는 회전수 센서(2019)의 출력 신호, 무단 변속 장치(2009)의 유압 펌프(2009A)의 경사판의 검출 각도를 검출 가능한 경사판각 센서(2020)의 출력 신호, 기체의 차속을 검출 가능한 차속 센서(2021)의 출력 신호, 로드셀(2006A)의 출력 신호 등이 입력되어 있다.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어 장치(2017)에는, 각종 정보를 기억하는 기억부(2022)와, 엔진(2008) 및 무단 변속 장치(2009)의 제어를 행하는 제어부(2023)와, 인디케이터(2015)에 출력하는 정보를 제어하는 표시 출력부(2024)가 구비되어 있다.
기억부(2022)는, 포텐시오미터(2018)의 검출 결과에 기초하여 산출되는 변속 레버(2013)의 조작 속도와, 무단 변속 장치(2009)의 상태 변화 속도의 관계인 제어 실행 관계를 기억하고 있다. 제어 실행 관계는, 바꾸어 말하면, 변속 레버(2013)의 조작 위치를 검출하는 포텐시오미터(2018)의 검출 결과의 단위 시간당 변화량에 대한 무단 변속 장치(2009)의 변속 상태의 단위 시간당 변화량의 관계를 나타낸 것이다.
〔제어부에 대해〕
제어부(2023)는, 로드셀(2006A)의 검출 결과에 따라서, 기억부(2022)로부터 제어 실행 관계를 판독하여, 변속 레버(2013)의 조작 위치를 검출하는 포텐시오미터(2018)의 검출 결과에 기초하여, 무단 변속 장치(2009)를 제어한다. 즉, 제어부(2023)는 포텐시오미터(2018)의 검출 결과에 기초하여 산출되는 변속 레버(2013)의 조작 속도와, 무단 변속 장치(2009)의 상태 변화 속도의 관계인 제어 실행 관계를 사용하여, 무단 변속 장치(2009)를 변속 레버(2013)에 의해 설정된 속도를 현출하는 상태로 변경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제어부(2023)는 로드셀(2006A)의 검출 결과를 취득하여, 수확물량의 증가에 수반하여, 변속 레버(2013)의 조작 속도에 대한 상태 변화 속도가 커지도록 제어 실행 관계를 수정함과 함께, 수확물량의 감소에 수반하여, 변속 레버(2013)의 조작 속도에 대한 상태 변화 속도가 작아지도록 제어 실행 관계를 수정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제어부(2023)는, 수확물량이 제로인 상태와 수확물량이 가득 찬 상태 사이에서, 제어 실행 관계를 선형적으로 변경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제어부(2023)는, 변속 레버(2013)의 조작 속도가 동일해도, 변속 레버(2013)가 증속측으로 조작된 경우(예를 들어, 중립 위치(N200)로부터 전진측 최대 조작 위치(Fmax)를 향하는 측)와, 변속 레버(2013)가 감속측으로 조작된 경우(예를 들어, 전진측 최대 조작 위치(Fmax)로부터 중립 위치(N200)를 향하는 측으로 조작된 경우)에서, 상이한 제어 실행 관계를 사용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변속 레버(2013)가 증속측으로 조작된 경우의 쪽이, 변속 레버(2013)가 감속측으로 조작된 경우에 비해, 변속 레버(2013)의 조작 속도에 대한 무단 변속 장치(2009)의 상태 변화 속도가 빨라지도록 되어 있다.
또한, 제어부(2023)는, 회전수 센서(2019)에 의해 검출되는 엔진(2008)의 실제 회전수가, 액셀러레이터 다이얼(2013B)의 조작 위치에 대응하는 목표 회전수에 근접하도록 엔진(2008)을 제어하도록 되어 있기도 하다.
표시 출력부(2024)는, 경사판각 센서(2020)의 검출 결과에 기초하여 실제의 경사판의 각도에 따른 무단 변속 장치(2009)의 변속 상태(차속)를 인디케이터(2015)에 표시시킨다.
〔수확물량에 따른 제어 실행 관계의 변경에 대해〕
도 12에, 수확물량에 따른 제어 실행 관계의 수정에 대한 모식적인 도면을 나타내고 있다. 도 12은, 변속 레버(2013)를 제1 위치(무단 변속 장치(2009)의 유압 펌프(2009A)의 경사판의 각도의 제1 목표값에 대응)로부터 변속 레버(2013)를 제2 위치(무단 변속 장치(2009)의 유압 펌프(2009A)의 경사판의 각도를 제1 목표값으로 할 때)로 조작한 경우에 대해 나타내고 있다.
도 12에 있어서, 제어 실행 관계(A2001)는, 곡립 저류부(2005)에 저류되어 있는 수확물량이 제로인 상태의 것을 나타내고, 제어 실행 관계(A2002)는, 곡립 저류부(2005)에 저류되어 있는 수확물량이 가득 찬 상태의 것을 나타내고 있다. 또한, 도 12에 있어서, 상태 변화 속도(B2001)는, 곡립 저류부(2005)에 저류되어 있는 수확물량이 제로인 상태에 있어서의 무단 변속 장치(2009)의 상태 변화 속도(경사판의 각도 변화의 응답 속도)를 나타내고, 상태 변화 속도(B2002)는, 곡립 저류부(2005)에 저류되어 있는 수확물량이 가득 찬 상태에 있어서의 무단 변속 장치(2009)의 상태 변화 속도를 나타내고 있다.
도 12에 나타낸 바와 같이, 곡립 저류부(2005)에 저류되어 있는 수확물량이 제로인 상태에 사용되는 제어 실행 관계(A2001)에 있어서의 무단 변속 장치(2009)의 상태 변화 속도(B2001)는, 곡립 저류부(2005)에 저류되어 있는 수확물량이 가득 찬 상태에 사용되는 제어 실행 관계(A2002)에 있어서의 무단 변속 장치(2009)의 상태 변화 속도(B2002)보다 느리게 되어 있다. 바꾸어 말하면, 제어 실행 관계(A2002)에 있어서의 무단 변속 장치(2009)의 상태 변화 속도(B2002)는, 제어 실행 관계(A2001)에 있어서의 무단 변속 장치(2009)의 상태 변화 속도(B2001)보다 빠르게 되어 있다.
즉, 제어 실행 관계(A2001)는, 제어 실행 관계(A2002)에 비해, 변속 레버(2013)의 조작에 대한 무단 변속 장치(2009)의 상태 변화의 응답이 느린 것으로 되어 있다. 바꾸어 말하면, 제어 실행 관계(A2002)는, 제어 실행 관계(A2001)에 비해, 변속 레버(2013)의 조작에 대한 무단 변속 장치(2009)의 상태 변화의 응답이 빠른 것으로 되어 있다.
도 1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어 실행 관계(A2001)로부터 제어 실행 관계(A2002)로는, 곡립 저류부(2005)에 저류되어 있는 수확물량이 증가함에 따라, 변속 레버(2013)의 조작 속도에 대한 무단 변속 장치(2009)의 상태 변화 속도가 선형적으로 증가해 가도록 되어 있다. 이 때문에, 곡립 저류부(2005)에 저류되어 있는 수확물량(기체의 중량)이 증가함에 따라, 변속 레버(2013)의 조작에 대한 무단 변속 장치(2009)의 상태 변화 속도는 빨라진다.
또한, 증속 시에 사용되는 제어 실행 관계는, 감속 시에 사용되는 제어 실행 관계에 비해, 변속 레버(2013)의 조작 속도에 대한 무단 변속 장치(2009)의 상태 변화 속도가 빨라지도록 되어 있다.
이에 의해, 곡립 저류부(2005)에 저류되어 있는 수확물량에 따라서, 변속 레버(2013)를 조작하였을 때의 무단 변속 장치(2009)의 유압 펌프(2009A)의 경사판의 각도 변화의 응답 속도가 조절되므로, 변속 레버(2013)를 조작하였을 때의 기체의 거동이 곡립 저류부(2005)에 저류되어 있는 수확물량에 따라서 변화되는 것이 억제되어, 변속 레버(2013)를 조작하였을 때에 조종자가 느끼는 가속감이 그다지 변화되지 않게 되어, 조종자는 변속 레버(2013)를 조작하여 기체의 차속 제어 조작을 행하기 쉬워진다.
〔변속 조작구의 근방의 인디케이터에 대해〕
도 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인디케이터(2015)는, 점등 상태와 소등 상태를 상태 전환 가능한 복수의 램프(2015A)(예를 들어, LED)로 구성되어 있다. 인디케이터(2015)는, 변속 레버(2013)의 조작 방향(변속 레버(2013)를 안내하는 안내 홈(2014)의 연장 방향)을 따라 배치되어 있다.
예를 들어, 변속 레버(2013)와 무단 변속 장치(2009)를 기계적으로 접속하고 있는 것에서는, 무언가의 요인에 의해 무단 변속 장치(2009)의 상태에 변화가 발생한 경우에는, 변속 레버(2013)의 조작 위치도 변화되도록 되어 있고, 변속 레버(2013)의 조작 위치와 무단 변속 장치(2009)의 상태가 일대일로 대응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이 변속 레버(2013)는, 제어 장치(2017)를 통해 무단 변속 장치(2009)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는 방식(이른바, 바이 와이어 방식)으로 되어 있으므로, 부하의 증대 등의 무언가의 요인에 기초하여 무단 변속 장치(2009)의 변속 상태(경사판의 각도 등)에 변화가 발생하였다고 해도, 변속 레버(2013)의 조작 위치는 변화되지 않는다. 이 때문에, 변속 레버(2013)의 조작 위치와, 무단 변속 장치(2009)의 상태의 대응 관계가 붕괴되는 경우도 발생할 수 있다.
이 때문에, 변속 레버(2013)의 근방에 무단 변속 장치(2009)의 상태를 표시하는 인디케이터(2015)를 구비하고, 무단 변속 장치(2009)의 상태에 따라서 인디케이터(2015)에 있어서의 복수의 램프(2015A)의 점등 상태를 변경하도록 하고 있다. 이에 의해, 조종자는, 변속 레버(2013)의 조작 위치와 인디케이터(2015)의 표시를 대조함으로써 변속 레버(2013)의 조작 위치와 인디케이터(2015)가 지시하는 위치가 상이한 경우에는, 변속 레버(2013)의 조작 위치와 무단 변속 장치(2009)의 상태의 대응 관계에 불일치가 발생한 것을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게 된다.
〔다른 실시 형태〕
이하, 상기 실시 형태에 변경을 가한 다른 실시 형태에 대해 설명한다. 이하의 다른 실시 형태는, 모순이 발생하지 않는 한, 상기 실시 형태에 복수 조합하여 적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범위는, 각 실시 형태에서 나타내고 있는 내용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1)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수량 검출 센서」로서 곡립 저류부(2005)에 저류된 수확물량으로서 중량을 검출하는 로드셀(2006A)이 구비되어 있는 것을 예시하고 있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수량 검출 센서」로서 곡립 저류부(2005)에 저류된 수확물량으로서 곡립 저류부(2005) 내의 수확물의 체적을 수확물량으로서 검출 가능한 체적 센서를, 「수량 검출 센서」로서 구비하고 있어도 된다. 이 경우, 체적 센서의 검출값과 수확물의 밀도 데이터를 사용하여 수확물의 중량이 산출된다.
(2)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무단 변속 장치」가 정유압식 무단 변속 장치(HST)인 것을 예시하고 있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유압 기계식 무단 변속 장치(HMT)나 벨트식 무단 변속 장치(CVT) 등의 다른 「무단 변속 장치」여도 된다.
(3)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동력원」으로서 엔진(2008)을 예시하고 있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동력원」이, 배터리이거나(전동 구동 방식), 엔진(2008) 및 배터리(하이브리드 구동 방식)이거나 해도 된다.
(4)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인디케이터(2015)가 복수의 램프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예시하고 있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인디케이터(2015)가 단체의 액정 표시 장치로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
(5)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부 변속 장치로서 무단 변속 장치(2009)의 유압 모터(2009B)를 예시하고 있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트랜스미션(2010)에 설치된 기어 기구를 저속 변속 상태나 고속 변속 상태로 전환할 수 있도록 하여 부 변속 장치를 구성해도 된다.
본 발명은, 자탈형 콤바인 외에, 보통형 콤바인, 옥수수 수확기, 이앙기, 트랙터 등에도 이용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은, 자탈형 콤바인 외에, 보통형 콤바인 등에도 이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자탈형 콤바인 외에, 보통형 콤바인, 옥수수 수확기, 당근 수확기 등의 다양한 수확기에 이용할 수 있다.
1 : 예취부(작업 장치)
5 : 주행 장치
6 : 정유압식 무단 변속 장치(무단 변속 장치)
6B : 유압 모터(부 변속 장치)
14c : 최고 차속 설정 다이얼(제한값 변경 조작구)
14d : 기억 스위치(기억 조작구, 소거 조작구)
91 : 변속 제어 장치
92 : 제2 제한값 기억 장치
93 : 제4 제한값 기억 장치
94 : 작업 상태 판정부
x : 제1 제한값
A : 제2 제한값
x : 제3 제한값
B : 제4 제한값
E : 엔진(구동원)
H : 변속 기구
1001 : 주행 장치
1008 : 엔진
1009 : 무단 변속 장치(변속 장치)
1013 : 변속 레버(변속 조작구)
1014 : 설정 스위치(설정 조작구)
1023 : 제어부
Fmax : 전단부 위치(전진측 최대 조작 위치, 최대 조작 위치)
N100 : 중립 위치
2001 : 주행 장치
2005 : 곡립 저류부(수확물 저류부)
2006A : 로드셀(수량 검출 센서)
2008 : 엔진(동력원)
2009 : 무단 변속 장치
2013 : 변속 레버(변속 조작구)
2018 : 포텐시오미터(조작 위치 검출 센서)
2023 : 제어부
A2001 : 제어 실행 관계
A2002 : 제어 실행 관계
B2001 : 상태 변화 속도
B2002 : 상태 변화 속도

Claims (16)

  1. 작업 장치를 구비하는 작업차이며,
    동력원으로부터 전달된 구동력을 변속하여 주행 장치에 전달하는 변속 기구를 구비하고,
    상기 변속 기구는,
    상기 변속 기구에 있어서의 변속비를 무단계로 변경 가능한 무단 변속 장치와,
    상기 변속 기구에 있어서의 변속 상태를 저속 상태와 고속 상태 사이에서 변경 가능한 부 변속 장치를 갖고 있고,
    차속이 설정된 차속 상한값 이하로 되도록 차속 상한값을 나타내는 값인 제한 지시값에 따라서 상기 무단 변속 장치를 제어하는 변속 제어 장치를 구비하고,
    상기 변속 상태가 상기 저속 상태인 경우의 상기 제한 지시값은 변경 가능하고,
    상기 변속 상태가 상기 저속 상태로부터 상기 고속 상태로 변경되었을 때, 상기 제한 지시값은, 제1 제한값 및 제2 제한값 중 어느 하나로 설정되는, 작업차.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제한값은, 제한값 변경 조작구의 조작에 수반하여 변화되고,
    상기 제2 제한값은, 상기 제한값 변경 조작구의 조작에 수반하여 변화되지 않는 소정값인, 작업차.
  3. 제2항에 있어서,
    기억 조작구와,
    소거 조작구와,
    상기 변속 상태가 상기 고속 상태일 때에 있어서, 상기 기억 조작구가 조작된 시점에서의 상기 제1 제한값을, 상기 제2 제한값으로서 기억하는 제2 제한값 기억 장치를 구비하고,
    상기 변속 상태가 상기 고속 상태일 때에 있어서, 상기 소거 조작구가 조작된 경우, 상기 제2 제한값은 상기 제2 제한값 기억 장치로부터 소거되고,
    상기 제2 제한값 기억 장치에 상기 제2 제한값이 기억되어 있는 경우에 있어서, 상기 변속 상태가 상기 저속 상태로부터 상기 고속 상태로 변경되었을 때, 상기 제한 지시값은 상기 제2 제한값으로 설정되고,
    상기 제2 제한값 기억 장치에 상기 제2 제한값이 기억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 있어서, 상기 변속 상태가 상기 저속 상태로부터 상기 고속 상태로 변경되었을 때, 상기 제한 지시값은 상기 제1 제한값으로 설정되는, 작업차.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변속 상태가 상기 저속 상태인 경우의 상기 제한 지시값이 제3 제한값 및 제4 제한값 중 어느 하나로 설정되도록 구성되어 있고,
    상기 제3 제한값은, 상기 제한값 변경 조작구의 조작에 수반하여 변화되고,
    상기 변속 상태가 상기 저속 상태일 때에 있어서, 상기 기억 조작구가 조작된 시점에서의 상기 제3 제한값을, 상기 제4 제한값으로서 기억하는 제4 제한값 기억 장치를 구비하고,
    상기 변속 상태가 상기 저속 상태일 때에 있어서, 상기 소거 조작구가 조작된 경우, 상기 제4 제한값은 상기 제4 제한값 기억 장치로부터 소거되고,
    상기 제4 제한값 기억 장치에 상기 제4 제한값이 기억되어 있는 경우에 있어서, 상기 변속 상태가 상기 고속 상태로부터 상기 저속 상태로 변경되었을 때, 상기 제한 지시값은 상기 제4 제한값으로 설정되고,
    상기 제4 제한값 기억 장치에 상기 제4 제한값이 기억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 있어서, 상기 변속 상태가 상기 고속 상태로부터 상기 저속 상태로 변경되었을 때, 상기 제한 지시값은 상기 제3 제한값으로 설정되는, 작업차.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4 제한값 기억 장치에 상기 제4 제한값이 기억되어 있고, 또한 상기 제2 제한값 기억 장치에 상기 제2 제한값이 기억되어 있는 경우에 있어서, 상기 변속 상태가 상기 저속 상태로부터 상기 고속 상태로 변경되었을 때, 상기 제한 지시값은 상기 제4 제한값으로부터 상기 제2 제한값으로 변경되고,
    상기 제4 제한값 기억 장치에 상기 제4 제한값이 기억되어 있고, 또한 상기 제2 제한값 기억 장치에 상기 제2 제한값이 기억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 있어서, 상기 변속 상태가 상기 저속 상태로부터 상기 고속 상태로 변경되었을 때, 상기 제한 지시값은 상기 제4 제한값으로부터 상기 제1 제한값으로 변경되는, 작업차.
  6. 제4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제한값의 설정 가능한 범위와, 상기 제3 제한값의 설정 가능한 범위가 동일한, 작업차.
  7.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작업 장치가 작업 상태인지 여부를 판정하는 작업 상태 판정부를 구비하고,
    상기 변속 상태가 상기 저속 상태이고, 또한 상기 작업 상태 판정부에 의해 상기 작업 장치가 작업 상태라고 판정되어 있는 경우만, 상기 제한 지시값이 유효하고,
    상기 변속 상태가 상기 고속 상태인 경우, 및 상기 작업 상태 판정부에 의해 상기 작업 장치가 작업 상태가 아니라고 판정되어 있는 경우는, 모두 상기 제한 지시값이 무효인, 작업차.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작업 장치가 작업 상태인지 여부를 판정하는 작업 상태 판정부를 구비하고,
    상기 변속 상태가 상기 저속 상태이고, 또한 상기 작업 상태 판정부에 의해 상기 작업 장치가 작업 상태라고 판정되어 있는 경우만, 상기 제한 지시값이 유효하고,
    상기 변속 상태가 상기 고속 상태인 경우, 및 상기 작업 상태 판정부에 의해 상기 작업 장치가 작업 상태가 아니라고 판정되어 있는 경우는, 모두 상기 제한 지시값이 무효인, 작업차.
  9. 엔진의 동력을 변속하여 주행 장치에 전달하는 변속 장치와,
    변속 조작용 변속 조작구와,
    최대 차속을 설정 가능한 설정 조작구와,
    상기 변속 조작구의 조작 위치에 기초하여 상기 변속 장치의 변속 상태를 조작하여 차속을 변경하는 제어부가 구비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설정 조작구가 조작되었을 때의 상기 변속 조작구의 조작 위치에 대응하는 차속을 새로운 최대 차속으로서 설정하고, 상기 새로운 최대 차속을 상기 변속 조작구의 최대 조작 위치에 할당하도록 상기 변속 조작구의 조작 위치와 상기 변속 장치의 변속 상태에 의한 차속의 관계를 변경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콤바인.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설정 조작구가, 상기 변속 조작구에 구비되어 있는, 콤바인.
  11. 제9항 또는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설정 조작구의 조작에 기초하는 상기 새로운 최대 차속의 설정을, 상기 변속 조작구가 중립 위치로 복귀되었을 때에 실행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콤바인.
  12. 제9항 또는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설정 조작구가 재조작되면, 상기 새로운 최대 차속의 설정을 해제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콤바인.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설정 조작구가 재조작되면, 상기 새로운 최대 차속의 설정을 해제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콤바인.
  14. 수확한 수확물을 저류하는 수확물 저류부와,
    상기 수확물 저류부에 저류된 수확물량을 검출하는 수량 검출 센서와,
    인위 조작에 의해 주행 장치의 속도를 설정하는 변속 조작구와,
    상기 변속 조작구의 조작 위치를 검출하는 조작 위치 검출 센서와,
    동력원으로부터의 동력을 상기 조작 위치 검출 센서의 검출 결과에 기초하여 변속하여, 상기 주행 장치에 전달하는 무단 변속 장치와,
    상기 조작 위치 검출 센서의 검출 결과에 기초하여 산출되는 상기 변속 조작구의 조작 속도와, 상기 무단 변속 장치의 상태 변화 속도의 관계인 제어 실행 관계를 사용하여, 상기 무단 변속 장치를, 상기 변속 조작구에 의해 설정된 속도를 현출하는 상태로 변경하는 제어부가 구비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수량 검출 센서의 검출 결과를 취득하여, 상기 수확물량의 증가에 수반하여, 상기 조작 속도에 대한 상기 상태 변화 속도가 커지도록 상기 제어 실행 관계를 수정함과 함께, 상기 수확물량의 감소에 수반하여, 상기 조작 속도에 대한 상기 상태 변화 속도가 작아지도록 상기 제어 실행 관계를 수정하는, 수확기.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수확물량이 제로인 상태와 상기 수확물량이 가득 찬 상태 사이에서, 상기 제어 실행 관계를 선형적으로 변경하는, 수확기.
  16. 제14항 또는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조작 속도가 동일해도, 상기 변속 조작구가 증속측으로 조작된 경우와, 상기 변속 조작구가 감속측으로 조작된 경우에서, 상이한 상기 제어 실행 관계를 사용하는, 수확기.
KR1020170170146A 2016-12-22 2017-12-12 작업차, 콤바인 및 수확기 KR20180073454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6-249929 2016-12-22
JP2016248732A JP6719374B2 (ja) 2016-12-22 2016-12-22 コンバイン
JPJP-P-2016-248732 2016-12-22
JP2016249929A JP6731842B2 (ja) 2016-12-22 2016-12-22 作業車
JPJP-P-2016-249933 2016-12-22
JP2016249933A JP6615085B2 (ja) 2016-12-22 2016-12-22 収穫機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73454A true KR20180073454A (ko) 2018-07-02

Family

ID=626500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70146A KR20180073454A (ko) 2016-12-22 2017-12-12 작업차, 콤바인 및 수확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180073454A (ko)
CN (1) CN108207286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7206176B2 (ja) * 2019-10-24 2023-01-17 株式会社クボタ 農作業車
JP7378282B2 (ja) * 2019-11-29 2023-11-13 株式会社クボタ コンバイン
JP7393790B2 (ja) * 2020-01-29 2023-12-07 株式会社 神崎高級工機製作所 作業車輌
CN112400488B (zh) * 2020-10-23 2023-01-06 呼图壁县北疆粮油工贸有限责任公司 一种小麦加工用打麦机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AR230857A1 (es) * 1982-04-02 1984-07-31 Woodward Governor Co Dispositivo de control para un vehiculo con motor de accion diversificada
JPH0974876A (ja) * 1995-09-07 1997-03-25 Kubota Corp 刈取作業機の車速制御装置
JP5139900B2 (ja) * 2008-07-02 2013-02-06 株式会社クボタ 刈取収穫機の刈り取り搬送構造
DE102008049575A1 (de) * 2008-09-30 2010-04-01 Claas Selbstfahrende Erntemaschinen Gmbh Landwirtschaftliche Erntemaschine
KR101323531B1 (ko) * 2012-09-17 2013-10-29 국제종합기계 주식회사 콤바인의 미션제어장치
JP6026990B2 (ja) * 2013-12-02 2016-11-16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車両用駆動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8207286A (zh) 2018-06-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615085B2 (ja) 収穫機
KR20180073454A (ko) 작업차, 콤바인 및 수확기
KR101391102B1 (ko) 차량용 변속 제어 시스템
KR101562089B1 (ko) 작업차의 차속 제어 구조, 작업차의 정보 표시 구조 및 작업차의 변속 조작 구조
US9944292B2 (en) Working vehicle
JP2013170609A (ja) 作業車両
JP2011188756A (ja) 作業車
JP6924418B2 (ja) コンバイン
JP3950273B2 (ja) 作業車両のスイッチ操作
JP4393237B2 (ja) コンバインの走行用変速操作装置
JP4044710B2 (ja) 作業車両
JP2008196600A (ja) 作業車両の走行制御装置
JP6731842B2 (ja) 作業車
JP2007292168A (ja) トラクタの車速制御装置
JP5045160B2 (ja) 作業車両
JP4479325B2 (ja) トラクタのpto制御装置
JP6070632B2 (ja) 作業車両
JP6719374B2 (ja) コンバイン
JP6221940B2 (ja) 作業車両
JP6484977B2 (ja) 作業車両
JP7161706B2 (ja) コンバイン
JP3798846B2 (ja) コンバインの車速制御装置
JP6350642B2 (ja) 作業車輌
JPH1146550A (ja) 自走式作物収穫機
JP5848408B2 (ja) 作業車