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73213A - 떡 제조용 교반장치 - Google Patents
떡 제조용 교반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80073213A KR20180073213A KR1020160176825A KR20160176825A KR20180073213A KR 20180073213 A KR20180073213 A KR 20180073213A KR 1020160176825 A KR1020160176825 A KR 1020160176825A KR 20160176825 A KR20160176825 A KR 20160176825A KR 20180073213 A KR20180073213 A KR 20180073213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lifting
- stirring
- sprocket
- stirring tank
- rotated
- Prior art date
Links
- 235000007164 Oryza sativa Nutrition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0
- 235000009566 rice Nutrition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0
- 240000007594 Oryza sativa Species 0.000 title 1
- 239000004809 Teflon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54
- 229920006362 Teflon® Polymer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54
- 241000209094 Oryza Speci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9
- 239000000203 mixture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4
- 235000013312 flour Nutritio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6
- 239000002994 raw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8
- 238000003756 stirr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56
- 230000003028 elevat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36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9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9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9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8
- 230000001174 ascend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8000003780 inser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0000037431 inser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0000002265 prevention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6
- 238000013019 agit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5000009051 Ambrosia paniculata var. peruviana Nutrition 0.000 description 3
- 235000003097 Artemisia absinthium Nutrition 0.000 description 3
- 240000001851 Artemisia dracunculus Species 0.000 description 3
- 235000017731 Artemisia dracunculus ssp. dracunculus Nutrition 0.000 description 3
- 235000003261 Artemisia vulgaris Nutrition 0.000 description 3
- 239000001138 artemisia absinthiu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9000011247 coating lay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KDYFGRWQOYBRFD-UHFFFAOYSA-N succinic acid Chemical compound OC(=O)CCC(O)=O KDYFGRWQOYBRFD-UHFFFAOYSA-N 0.000 description 3
- 240000008564 Boehmeria nivea Speci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4615 ingredi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150000003839 salt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2
- 229910001220 stainless stee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0935 stainless stee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41001391926 Nee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08000031481 Pathologic Constriction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40000005572 Syzygium cordatum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853 adhesiv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070 adhes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140 clea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599 discharg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788 liqu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926 s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08000037804 stenosis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6262 stenosis Effect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7/00—Cereal-derived products; Malt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7/10—Cereal-derived products
-
- B01F13/0032—
-
- B01F15/00538—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7/00—Mixers with rotary stirring devices in fixed receptacles; Kneaders
- B01F27/05—Stirrers
- B01F27/11—Stirrers characterised by the configuration of the stirrers
- B01F27/112—Stirrers characterised by the configuration of the stirrers with arms, paddles, vanes or blad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33/00—Other mixers; Mixing plants; Combinations of mixers
- B01F33/50—Movable or transportable mixing devices or plants
- B01F33/501—Movable mixing devices, i.e. readily shifted or displaced from one place to another, e.g. portable during use
- B01F33/5013—Movable mixing devices, i.e. readily shifted or displaced from one place to another, e.g. portable during use movable by mechanical means, e.g. hoisting systems, grippers or lift truck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35/00—Accessories for mixers; Auxiliary operations or auxiliary devices; Parts or details of general application
- B01F35/30—Driving arrangements; Transmissions; Couplings; Brakes
- B01F35/32—Driving arrangements
- B01F35/32005—Type of drive
- B01F35/3204—Motor driven, i.e. by means of an electric or IC motor
-
- B01F7/0025—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101/00—Mixing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f the mixed materials or by the application field
- B01F2101/06—Mixing of food ingredients
-
- B01F2215/0014—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ixers Of The Rotary Stirring Typ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떡 제조용 교반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쌀가루와 부재료가 교반되어 형성된 혼합물이 교반조 내부에 점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된 떡 제조용 교반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떡 제조용 교반장치는 쌀가루와 부재료가 교반되어 형성된 혼합물이 교반조 내부를 감싸도록 형성된 제1, 제2 및 제3테프론부재에 의해 교반조 내부에 점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는 장점을 제공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떡 제조용 교반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쌀가루와 부재료가 교반되어 형성된 혼합물이 교반조 내부에 점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된 떡 제조용 교반장치에 관한 것이다.
떡 제조용 교반장치를 이용하여 떡을 만들기 위해서는 주원료가 되는 쌀가루에 물, 소금 및 쑥과 같은 부재료를 교반조 내에서 교반하여 혼합물을 형성한다.
일반적인 떡 제조용 교반장치는 교반조와 교반부가 스테인리스로 제작되어 있으며, 혼합물의 점착을 방지하기 위한 테프론이 얇게 코팅되어 있을 수도 있다. 이러한 방법으로는 교반조 내부에서 교반부에 의해 회전된 혼합물이 얇게 코팅된 테프론을 지속적으로 박리시킨다는 문제점이 있다. 이로 인해, 테프론이 박리되어 스테인리스가 노출된 부위에 혼합물이 점착되고, 비위생적이거나 재료의 낭비를 초래한다는 문제점도 있다.
한편, 교반조 내부에 잔류하는 혼합물에 의한 코팅층의 박리를 방지하여 사용수명을 보장해줄 수 있는 떡재료 반죽기가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14448호에 개시되어 있다.
상기 떡재료 반죽기는 사용 후 교반조 내부의 청소를 통해 잔류 혼합물에 의한 코팅층의 박리를 방지하는 것이 가능하지만, 사용 중 교반조 내부에 반복적으로 탈착되는 혼합물에 의한 코팅층의 박리는 방지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서, 쌀가루와 부재료가 교반되어 형성된 혼합물이 교반조 내부에 점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떡 제조용 교반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떡 제조용 교반장치는 쌀가루와 부재료가 교반되어 혼합물이 형성되는 공간을 갖는 교반조와, 상기 교반조 내부로 투입된 쌀가루와 부재료를 교반하는 교반날개와 상기 교반조 내부에 설치되고 상기 교반날개가 결합되어 회전되는 회전축을 갖는 교반부와, 상기 혼합물이 상기 교반조 및 상기 교반부에 점착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교반조 및 상기 교반부에 형성되는 점착방지수단과, 상기 교반부를 회전시키는 교반부 구동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점착방지수단은 상기 교반조의 내측면에 형성되는 플레이트 형태의 제1테프론부재와 상기 교반조의 내측면에 대해 상기 제1테프론부재가 고정되는 고정수단을 구비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고정수단은 상기 교반조에 소정의 간격만큼 이격되어 형성되는 다수의 제1고정홀과, 상기 제1테프론부재에 형성되고 상기 제1고정홀에 대응되는 고정홈과, 상기 제1고정홀에 대해 상기 고정홈이 고정되는 다수의 고정핀을 구비한다.
또한, 상기 점착방지수단은 상기 회전축의 외측면에 형성되는 속이 빈 원통 형태의 제2테프론부재와, 상기 교반날개의 외측면에 형성되는 사각기둥 형태의 제3테프론부재를 더 구비하고, 상기 제2테프론부재는 상기 회전축에 상기 교반날개가 결합되기 위해 형성된 교반날개 결합홀에 대응되는 제2고정홀을 구비하고, 상기 제3테프론부재는 상기 교반날개가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교반날개의 형상에 대응되게 형성된 교반날개 삽입홈을 구비한다.
또한, 상기 혼합물을 토출시키기 위해 상기 교반조를 승강시키는 승강유닛을 더 구비하고, 상기 승강유닛은 상기 교반조의 양측에 연결되어 상기 교반조를 승강 가능하도록 지지하는 승강 플레이트와, 상기 승강 플레이트를 승강시키는 승강수단과, 상기 승강 플레이트 및 상기 승강수단이 설치되는 가이드 봉을 구비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승강수단은 상기 가이드 봉의 상부에 상기 승강 플레이트와 수평하게 각각 설치되어 상기 교반조를 승강시키기 위해 회전되는 제1 및 제2승강회전축과, 상기 제2승강회전축에 나란하게 소정 간격으로 이격되어 설치되어 회전되는 제3승강회전축과, 상기 제1 및 제2승강회전축의 중앙부에 각각 설치되어 회전되는 제1 및 제2스프로켓과, 상기 제1 및 제2스프로켓에 각각 결합되고 일단이 상기 승강 플레이트에 각각 연결된 제1 및 제2승강체인과, 상기 가이드 봉의 상부에 마련된 지지판에 설치되고 상기 승강 플레이트를 승강시키도록 정회전 또는 역회전되는 승강 회전모터와, 상기 승강 회전모터에 연결되어 회전되는 승강 구동스프로켓과, 상기 제1승강회전축의 일단에 설치되어 회전되는 승강 종동스프로켓과, 상기 승강 구동스프로켓과 상기 승강 종동스프로켓을 연결하는 제3승강체인과, 상기 승강 종동스프로켓에 소정 간격으로 이격되어 상기 제1승강회전축에 설치되어 회전되는 제3스프로켓과, 상기 제3승강회전축의 일단에 설치되어 회전되는 제4스프로켓과, 상기 제3스프로켓과 상기 제4스프로켓을 연결하는 제4승강체인과, 상기 제4스프로켓에 소정 간격으로 이격되어 상기 제3승강회전축에 설치되어 회전되는 제1기어와, 상기 제2승강회전축의 일단에 상기 제1기어와 대응되게 설치되어 상기 제1기어와 맞물려 회전되는 제2기어를 구비한다.
본 발명에 따른 떡 제조용 교반장치는 쌀가루와 부재료가 교반되어 형성된 혼합물이 교반조 내부를 감싸도록 형성된 제1, 제2 및 제3테프론부재에 의해 교반조 내부에 점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는 장점을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떡 제조용 교반장치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떡 제조용 교반장치의 사시도,
도 3은 도 2의 부분절단 분리 사시도,
도 4는 도 2의 교반조와 점착방지수단이 고정된 상태를 발췌하여 도시한 부분절단 사시도,
도 5는 도 2에 적용된 교반부를 도시한 부분절단 분리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교반조와 점착방지수단이 고정된 상태를 도시한 부분절단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떡 제조용 교반장치의 사시도,
도 3은 도 2의 부분절단 분리 사시도,
도 4는 도 2의 교반조와 점착방지수단이 고정된 상태를 발췌하여 도시한 부분절단 사시도,
도 5는 도 2에 적용된 교반부를 도시한 부분절단 분리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교반조와 점착방지수단이 고정된 상태를 도시한 부분절단 사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다른 떡 제조용 교반장치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떡 제조용 교반장치(100)는 쌀가루와 부재료가 교반되어 혼합물이 형성되는 공간을 갖는 교반조(120)와, 교반조(120) 내부로 투입된 쌀가루와 부재료를 회전하면서 교반하는 교반부(140)와, 혼합물이 교반조(120) 및 교반부(140)에 점착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교반조(120)의 내측면 및 교반부(140)의 외측면에 형성되는 점착방지수단(150)과, 교반부(140)를 회전시키는 교반부 구동수단(200)을 구비한다.
도면에는 미도시되어 있으나, 교반조(120)의 상부에는 쌀과 쑥 또는 모시 등의 부재료를 투입하기 위한 투입부와 투입부로부터 토출되는 쌀과 쑥 또는 모시 등의 부재료를 파쇄하기 위한 파쇄부가 더 구비될 수 있다.
투입부와 파쇄부를 포함하는 떡 제조용 교반장치는 본 출원인에 의해 제시된 등록특허 제10-1497125호의 구조 등 공지된 다양한 구조를 적용할 수 있고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교반조(120)는 파쇄부에 의해 파쇄가 완료된 쌀가루와 쑥 또는 모시 등을 포함하여 물, 소금 등의 부재료가 투입될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되어 있으며, 교반조(120) 내에서 쌀가루와 부재료가 교반되어 혼합물이 형성된다. 교반조(120)는 후술되는 회전축(146)이 삽입되기 위해 양단에 형성된 관통홀에 교반조(120)의 외측으로 베어링 유닛(400)이 각각 설치된다.
교반부(140)는 교반조(120)의 양단에 각각 회전이 가능하도록 설치되어 있는 회전축(146)과, 회전축(146)에 형성된 교반날개 결합홀(148)에 수직으로 설치되어 있는 교반날개(142)를 포함한다.
회전축(146)은 일단이 후술되는 교반부 구동수단(200)에 연결될 수 있도록 교반조(120)의 외측으로 돌출되어 있고, 교반부 구동수단(200)에 의해 소정시간 동안 소정의 속도로 회전된다.
교반날개(142)는 교반조(120) 내부로 투입된 쌀가루와 부재료를 교반하여 혼합물을 형성하며, 소정 간격으로 이격되어 설치된 원기둥 형태의 한 쌍의 교반봉(144)으로 이루어져 있다. 교반날개(142)는 회전되는 동안 교반조(120)의 하측중앙부로 혼합물을 모아 교반시킬 수 있도록 회전축(146)에 스크류 형태로 배치되어 설치된다.
교반부 구동수단(200)은 교반부(140)를 정회전 또는 역회전시키는 것으로, 교반조(120)의 일측에 설치되는 교반부 회전모터(202)와, 교반부 회전모터(202)에 설치되는 교반부 회전 구동스프로켓(204)과, 회전축(146)에 설치되는 교반부 회전 종동스프로켓(206) 및 이들을 상호 연결하는 교반부 회전체인(208)을 포함한다.
교반부 회전모터(202)는 상용전원을 공급받아 교반부 회전 구동스프로켓(204)과 교반부 회전 종동스프로켓(206)에 연결된 교반부 회전체인(208)을 통해 회전축(146)이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구동력을 전달한다.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점착방지수단(150)은 혼합물이 교반조(120) 내부에서 교반부(140)의 회전에 의해 교반되는 동안 교반조(120)의 내측면 및 교반부(140)의 외측면에 점착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서, 제1, 제2 및 제3테프론부재(160)(170)(180)와, 고정수단(190)을 포함한다. 여기서, 제1, 제2 및 제3테프론부재(160)(170)(180)의 소재는 명명된 바에 한정되지 않고, 테프론, PE 등을 적용할 수 있다.
제1테프론부재(160)는 교반조(120)의 내측면을 감싸도록 각각 U자로 절곡된 플레이트 형태의 부재와 회전축이 관통되는 홀이 형성된 플레이트 형태의 부재로 각각 구성되며, 교반조(120)에 고정되기 위한 다수의 고정홈(162)이 제1테프론부재(160)의 일측면을 따라 형성된다.
도 4는 도 2의 교반조(120)와 점착방지수단(150)이 고정된 상태를 발췌하여 도시한 부분절단 사시도이다. 이를 참조하면, 고정수단(190)은 교반조(120)에 소정의 간격 만큼 이격되어 형성되는 다수의 제1고정홀(122)과, 제1테프론부재(160)에 형성된 제1고정홀(122)에 대응되는 더브테일 타입의 고정홈(162) 및 이들을 상호 고정시키는 고정핀(192)을 포함한다. 고정수단(190)은 나사머리가 고정홈(162)에 고정되고 나사몸체가 제1고정홀(122)을 관통하는 고정핀(192)이 나사 결합되어 제1테프론부재(160)를 고정시키며, 교반조(120) 내부에서 노출되지 않으므로 교반 중 혼합물이 교반조(120)와 고정수단(190)에 점착되는 것을 방지한다.
점착방지수단(150)은 사용 과정에서 다양한 원인에 의해 파손이 발생 가능하므로 전체를 교체하기보다는 일부만 분리하여 교체하는 것이 비용면에서 바람직하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교반조(120)와 점착방지수단(150)이 고정된 상태를 도시한 부분절단 사시도이다. 이를 참조하면, 제1테프론부재(160)는 U자로 절곡된 플레이트 형태의 부재 및 회전축(146)이 관통되는 홀이 형성된 플레이트 형태의 부재를 각각 복수로 구성할 수 있다. 고정수단(190)은 제1고정홀(122)과 복수의 제1테프론부재(160)에 분할되어 형성된 고정홈(162)을 관통하는 고정핀(192)이 나사 결합되어 제1테프론부재(160)를 고정시키며, 교반조(120) 내부에서 노출되지 않으므로 교반 중 혼합물이 교반조(120)와 고정수단(190)에 점착되는 것을 방지한다.
여기서, 고정수단(190)은 교반조(120)에 형성된 관통홀과 제1테프론부재(160)에 형성된 관통홀을 관통하는 볼트로 체결하는 방법이 적용 가능하다. 또한, 두께가 두꺼운 제1테프론부재(160)가 적용되는 경우에는 교반조(120)의 외측면으로부터 교반조(120)를 관통하여 제1테프론부재(160)에 고정되는 나사못을 이용하는 방법도 적용 가능하다.
도시된 예와는 다르게, 고정수단(190)은 다음과 같이 적용될 수 있다.
고정홈(162)은 고정핀(192)의 나사머리를 내부에서 슬라이딩시킬 수 있는 장공형 홈으로 교반조(120)와 접촉되는 제1테프론부재(160)의 일측면에 형성된다. 장공형 홈의 일단에는 교반조(120)와 접촉되는 일측면을 따라 고정핀(192) 나사머리가 삽입될 수 있도록 고정핀(192) 나사머리의 직경보다 큰 삽입부가 형성된다. 장공형 홈의 타단에는 고정핀(192) 나사머리가 이탈되지 않도록 고정핀(192) 나사머리의 직경보다 작고 고정핀(192) 나사몸체의 직경보다 큰 이격 거리를 갖는 지지부재가 장공형 홈의 길이 방향을 따라 각각 마련된 이탈방지부가 형성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장공형의 고정홈(162) 또한 복수의 제1테프론부재(160)에 분할되어 형성되는 것이 가능하다.
고정수단(190)은 제1테프론부재(160)에 형성된 고정홈(162)의 삽입부에서 이탈방지부로 고정핀(192) 나사머리를 슬라이딩시켜 고정된 상태에서 교반조(120)에 마련된 제1고정홀(122)에 고정핀(192) 나사몸체를 관통시켜 나사 결합함으로써 제1테프론부재(160)와 교반조(120)를 고정시킨다.
제2테프론부재(170)는 회전축(146)의 외측면을 감싸도록 속이 빈 원통 형태이며, 회전축(146)에 교반날개(142)가 결합되기 위해 형성된 교반날개 결합홀(148)에 대응되는 제2고정홀(172)이 형성된다. 제2테프론부재(170)의 내경은 회전축(146)이 삽입될 수 있도록 회전축(146)의 외경과 동일하다. 회전축(146)이 삽입된 제2테프론부재(170)는 한 쌍의 교반봉(144)으로 이루어진 교반날개(142)가 제2고정홀(172)을 각각 관통하고 교반날개 결합홀(148)에 각각 결합되어 고정된다. 또한, 제2테프론부재(170)는 교반조(120) 내부에서 양단이 제1테프론부재(160)에 각각 맞닿도록 설치되어 교반 중 이동되거나 혼합물이 회전축(146)에 점착되는 것을 방지한다.
제3테프론부재(180)는 한 쌍의 교반봉(144)으로 이루어진 교반날개(142)의 외측면을 감싸도록 형성되는 기둥 형태의 부재이며, 원기둥 형태의 한 쌍의 교반봉(144)이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되어 설치된 교반날개(142)에 대응되는 교반날개 삽입홈(182)이 형성된다. 제3테프론부재(180)는 교반봉(144)의 길이방향을 따라 제2테프론부재(170)에 맞닿도록 형성되어 교반 중 혼합물이 교반날개(142)에 점착되는 것을 방지한다. 제3테프론부재(180)는 회전되는 동안 교반조(120)의 하측중앙부로 혼합물을 모아 교반시킬 수 있도록 제2테프론부재(170)와 접촉되는 일측면을 소정의 각도로 경사가 형성되게 돌출된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떡 제조용 교반장치(100)는 혼합물을 토출시키기 위한 승강유닛(300)과, 교반조(120)를 전복시켜 교반조(120)의 개구부를 하부로 향하게 하는 교반조 전복수단(220)을 더 포함한다.
승강유닛(300)은 혼합물을 토출시키기 위해 교반조(120)를 승강시키는 것으로, 교반조(120)의 양측에 연결되어 교반조(120)를 승강 가능하게 지지하는 승강 플레이트(310)와, 승강 플레이트(310)를 승강시키는 승강수단(330)과, 승강 플레이트(310) 및 승강수단(330)이 설치되는 가이드 봉(320)을 포함한다.
승강 플레이트(310)는 교반조(120)를 지지하는 프레임(450)에 연결되어 후술되는 승강수단(330)에 의해 승강된다. 승강 플레이트(310)는 지면에 수직하게 세워지는 한 쌍의 사각 플레이트 형태의 부재로 마련되고, 승강 플레이트(310)의 하단부에는 교반부 구동수단(200)과 후술되는 교반조 전복수단(220)이 설치되는 홈이 각각 형성된다.
가이드 봉(320)은 승강 플레이트(310)를 가이드 봉(320)이 형성된 방향으로 승강되도록 지지하는 것으로서, 4개의 원기둥 형태의 부재가 각각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되어 설치된다. 가이드 봉(320)에는 한 쌍의 승강 플레이트(310)가 각각 상호 대응되게 연결되고, 한 쌍의 승강 플레이트(310) 사이에는 교반조(120)가 설치된다. 가이드 봉(320)의 외부에는 승강 중 발생 가능한 협착, 파손 등의 위험을 방지하기 위해 가이드 봉 보호판(470)이 설치된다.
승강수단(330)은 가이드 봉(320)의 상부에 설치되어 승강 플레이트(310)를 승강시키는 것으로서, 가이드 봉(320)의 상부에 승강 플레이트(310)와 수평하게 각각 설치되어 승강 플레이트(310)를 승강시키기 위해 회전되는 제1 및 제2승강회전축(336)(338)과, 제2승강회전축(338)에 나란하게 소정 간격으로 이격되어 설치되어 회전되는 제3승강회전축(340)과, 제1 및 제2승강회전축(336)(338)의 중앙부에 각각 설치되어 회전되는 제1 및 제2스프로켓(346)(348)과, 제1 및 제2스프로켓(346)(348)에 각각 결합된 상태에서 일단이 한 쌍의 승강 플레이트(310)에 각각 연결되고 타단은 제1 및 제2스프로켓(346)(348)으로부터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제1 및 제2이탈방지부재(366)(368)가 각각 마련된 제1 및 제2승강체인(358)(360)과, 가이드 봉(320)의 상부에 마련된 지지판(334)에 설치되고 승강 플레이트(310)를 승강시키도록 정회전 또는 역회전되는 승강 회전모터(332)와, 승강 회전모터(332)에 연결되어 회전되는 승강 구동스프로켓(342)과, 제1승강회전축(336)의 일단에 설치되어 회전되는 승강 종동스프로켓(344)과, 승강 구동스프로켓(342)과 승강 종동스프로켓(344)을 연결하는 제3승강체인(362)과, 승강 종동스프로켓(344)에 소정 간격으로 이격되고 제1승강회전축(336)에 설치되어 회전되는 제3스프로켓(350)과, 제3승강회전축(340)의 일단에 설치되어 회전되는 제4스프로켓(352)과, 제3스프로켓(350)과 제4스프로켓(352)을 연결하는 제4승강체인(364)과, 제4스프로켓(352)에 소정 간격으로 이격되고 제3승강회전축(340)에 설치되어 회전되는 제1기어(354)와, 제2승강회전축(338)의 일단에 제1기어(354)와 대응되게 설치되고 제1기어(354)와 맞물려 회전되는 제2기어(356)를 포함한다.
승강수단(330)의 상세한 작동 방식은 다음과 같다.
승강 회전모터(332)는 상용전원을 공급받아 승강 구동스프로켓(342)과 승강 종동스프로켓(344)에 연결된 제3승강체인(362)을 통해 제1승강회전축(336)이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구동력을 전달한다. 제1승강회전축(336)은 승강 종동스프로켓(344)의 회전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된다. 제1승강회전축(336)에 설치된 제1 및 제3스프로켓(346)(350)도 제1승강회전축(336)의 회전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된다. 또한, 제3승강회전축(340)도 제3스프로켓(350)과 제4스프로켓(352)에 연결된 제4승강체인(364)을 통해 제1승강회전축(336)의 회전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된다. 마찬가지로, 제1기어(354)도 제3승강회전축(340)에 설치되어 제3승강회전축(340)의 회전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된다. 한편, 제2기어(356)는 제1기어(354)에 맞물려 회전되므로 제1승강회전축(336)의 회전 방향과는 반대 방향으로 회전된다. 제2승강회전축(338)도 제2기어(356)에 의해 제1승강회전축(336)의 회전 방향과는 반대 방향으로 회전된다. 제2스프로켓(348)도 제2승강회전축(338)에 설치되어 제1승강회전축(336)의 회전 방향과는 반대 방향으로 회전된다.
제1 및 제2승강체인(358)(360)은 제1 및 제2스프로켓(346)(348)에 각각 대응되게 연결되어 상술한 승강수단(330) 작동 방식을 통해 승강 회전모터(332)로부터 전달받은 구동력을 이용하여 승강 플레이트(310)를 승강시킨다.
제1 및 제2이탈방지부재(366)(368)는 승강 플레이트(310)를 승강시키는 과정에서 제1 및 제2승강체인(358)(360)이 제1 및 제2스프로켓(346)(348)으로부터 각각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서, 제1 및 제2승강체인(358)(360)에 각각 연결되는 무게추 또는 제1 및 제2스프로켓(346)(348)의 일측에 각각 설치되고 제1 및 제2승강체인(358)(360)을 각각 지지하는 지지대로 구성 가능하다.
도시된 예와는 다르게, 승강수단(330)은 제1 및 제2승강회전축(336)(338)이 서로 반대 방향으로 회전되는 작동 방식을 따르도록 유지한 채, 다음과도 같이 적용될 수 있다.
제2승강회전축(338)의 일단에 설치된 제2기어(356)를 대신하는 제4스프로켓(352)과, 제4스프로켓(352)의 양측에 소정의 간격 만큼 각각 이격되어 설치되는 제5 및 제6스프로켓과, 제3스프로켓(350) 내지 제6스프로켓을 연결하는 제4승강체인(364)을 포함한다.
제4승강체인(364)은 제3스프로켓(350), 제5스프로켓 및 제6스프로켓을 제1승강회전축(336)의 회전 방향으로 회전되게 연결하고, 제4스프로켓(352)을 제1승강회전축(336)의 회전 방향과는 반대 방향으로 회전되게 엇갈려 연결한다.
상술한 승강수단(330)의 상세한 작동 방식은 제1 및 제2기어(354)(356)를 적용한 승강수단(330)과 유사하므로,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교반조 전복수단(220)은 교반조(120)를 정회전 또는 역회전시켜 교반조(120)를 전복시키는 것으로, 교반조(120)의 타측에 설치되는 교반조 전복 회전모터(222)와, 교반조 전복 회전모터(222)에 설치되는 교반조 전복 구동스프로켓(224)과, 교반조(120)의 타측에 돌출되게 설치된 베어링 유닛(450)에 설치되는 교반조 전복 종동스프로켓(226) 및 이들을 상호 연결하는 교반조 전복체인(228)을 포함한다.
교반조 전복 회전모터(222)는 상용전원을 공급받아 교반조 전복 구동스프로켓(224)과 교반조 전복 종동스프로켓(226)에 연결된 교반조 전복체인(228)을 통해 회전축이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구동력을 전달한다.
교반이 완료된 혼합물은 외부로 토출되기 전 일단이 교반조(120)의 제1고정홀(122)에 연결되고 타단이 스팀기에 연결되는 스팀호스를 통해 고온의 스팀을 주입하여 증숙하는 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교반이 완료된 혼합물은 승강유닛(300)에 의해 교반조(120)가 소정 높이만큼 상승된 상태에서 교반조 전복수단(220)에 의해 교반조(120)를 전복시킴으로써 교반조(120)의 개구부로부터 하방으로 토출되어진다.
또한, 교반이 완료된 혼합물은 교반조(120)를 전복시키지 않고 교반조(120)의 하측중앙부에 마련된 토출구(124)를 개방시킨 상태에서 지속적으로 교반부(140)를 회전시킴으로써 토출구(124)로 토출되어지는 것도 가능하다.
이상에서 설명된 떡 제조용 교반장치에 의하면, 쌀가루와 부재료가 교반되어 형성된 혼합물이 교반조와 교반부를 감싸도록 형성된 제1, 제2 및 제3테프론부재에 의해 교반조 내측면과 교반부 외측면에 점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는 장점을 제공한다.
100 : 떡 제조용 교반장치
120 : 교반조
122 : 제1고정홀 124 : 토출구
140 : 교반부
142 : 교반날개 144 : 교반봉
146 : 회전축 148 : 교반날개 결합홀
150 : 점착방지수단
160 : 제1테프론부재 162 : 고정홈
170 : 제2테프론부재 172 : 제2고정홀
180 : 제3테프론부재 182 : 교반날개 삽입홈
190 : 고정수단 192 : 고정핀
200 : 교반부 구동수단
202 : 교반부 회전모터 204 : 교반부 회전 구동스프로켓
206 : 교반부 회전 종동스프로켓 208 : 교반부 회전체인
220 : 교반조 전복수단
222 : 교반조 전복 회전모터 224 : 교반조 전복 구동스프로켓
226 : 교반조 전복 종동스프로켓 228 : 교반조 전복체인
300 : 승강유닛
310 : 승강 플레이트 320 : 가이드 봉
330 : 승강수단
332 : 승강 회전모터 334 : 지지판
336 : 제1승강회전축 338 : 제2승강회전축
340 : 제3승강회전축 342 : 승강 구동스프로켓
344 : 승강 종동스프로켓 346 : 제1스프로켓
348 : 제2스프로켓 350 : 제3스프로켓
352 : 제4스프로켓 354 : 제1기어
356 : 제2기어 358 : 제1승강체인
360 : 제2승강체인 362 : 제3승강체인
364 : 제4승강체인 366 : 제1이탈방지부재
368 : 제2이탈방지부재
400 : 베어링 유닛 450 : 프레임
470 : 가이드 봉 보호판
120 : 교반조
122 : 제1고정홀 124 : 토출구
140 : 교반부
142 : 교반날개 144 : 교반봉
146 : 회전축 148 : 교반날개 결합홀
150 : 점착방지수단
160 : 제1테프론부재 162 : 고정홈
170 : 제2테프론부재 172 : 제2고정홀
180 : 제3테프론부재 182 : 교반날개 삽입홈
190 : 고정수단 192 : 고정핀
200 : 교반부 구동수단
202 : 교반부 회전모터 204 : 교반부 회전 구동스프로켓
206 : 교반부 회전 종동스프로켓 208 : 교반부 회전체인
220 : 교반조 전복수단
222 : 교반조 전복 회전모터 224 : 교반조 전복 구동스프로켓
226 : 교반조 전복 종동스프로켓 228 : 교반조 전복체인
300 : 승강유닛
310 : 승강 플레이트 320 : 가이드 봉
330 : 승강수단
332 : 승강 회전모터 334 : 지지판
336 : 제1승강회전축 338 : 제2승강회전축
340 : 제3승강회전축 342 : 승강 구동스프로켓
344 : 승강 종동스프로켓 346 : 제1스프로켓
348 : 제2스프로켓 350 : 제3스프로켓
352 : 제4스프로켓 354 : 제1기어
356 : 제2기어 358 : 제1승강체인
360 : 제2승강체인 362 : 제3승강체인
364 : 제4승강체인 366 : 제1이탈방지부재
368 : 제2이탈방지부재
400 : 베어링 유닛 450 : 프레임
470 : 가이드 봉 보호판
Claims (5)
- 쌀가루와 부재료가 교반되어 혼합물이 형성되는 공간을 갖는 교반조와;
상기 교반조 내부로 투입된 쌀가루와 부재료를 교반하는 교반날개와, 상기 교반조 내부에 설치되고 상기 교반날개가 결합되어 회전되는 회전축을 갖는 교반부와;
상기 혼합물이 상기 교반조 및 상기 교반부에 점착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교반조 및 상기 교반부에 형성되는 점착방지수단과;
상기 교반부를 회전시키는 교반부 구동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점착방지수단은
상기 교반조의 내측면에 형성되는 플레이트 형태의 제1테프론부재와,
상기 교반조의 내측면에 대해 상기 제1테프론부재가 고정되는 고정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떡 제조용 교반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수단은
상기 교반조에 소정의 간격만큼 이격되어 형성되는 다수의 제1고정홀과;
상기 제1테프론부재에 형성되고 상기 제1고정홀에 대응되는 고정홈과;
상기 제1고정홀에 대해 상기 고정홈이 고정되는 다수의 고정핀;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떡 제조용 교반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점착방지수단은
상기 회전축의 외측면에 형성되는 속이 빈 원통 형태의 제2테프론부재와;
상기 교반날개의 외측면에 형성되는 사각기둥 형태의 제3테프론부재;를 더 구비하고,
상기 제2테프론부재는
상기 회전축에 상기 교반날개가 결합되기 위해 형성된 교반날개 결합홀에 대응되는 제2고정홀을 구비하고,
상기 제3테프론부재는
상기 교반날개가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교반날개의 형상에 대응되게 형성된 교반날개 삽입홈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떡 제조용 교반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혼합물을 토출시키기 위해 상기 교반조를 승강시키는 승강유닛;을 더 구비하고,
상기 승강유닛은
상기 교반조의 양측에 연결되어 상기 교반조를 승강 가능하도록 지지하는 승강 플레이트와;
상기 승강 플레이트를 승강시키는 승강수단과;
상기 승강 플레이트 및 상기 승강수단이 설치되는 가이드 봉;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떡 제조용 교반장치. -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수단은
상기 가이드 봉의 상부에 상기 승강 플레이트와 수평하게 각각 설치되어 상기 교반조를 승강시키기 위해 회전되는 제1 및 제2승강회전축과;
상기 제2승강회전축에 나란하게 소정 간격으로 이격되어 설치되어 회전되는 제3승강회전축과;
상기 제1 및 제2승강회전축의 중앙부에 각각 설치되어 회전되는 제1 및 제2스프로켓과;
상기 제1 및 제2스프로켓에 각각 결합되고 일단이 상기 승강 플레이트에 각각 연결된 제1 및 제2승강체인과;
상기 가이드 봉의 상부에 마련된 지지판에 설치되고 상기 승강 플레이트를 승강시키도록 정회전 또는 역회전되는 승강 회전모터와;
상기 승강 회전모터에 연결되어 회전되는 승강 구동스프로켓과;
상기 제1승강회전축의 일단에 설치되어 회전되는 승강 종동스프로켓과;
상기 승강 구동스프로켓과 상기 승강 종동스프로켓을 연결하는 제3승강체인과;
상기 승강 종동스프로켓에 소정 간격으로 이격되어 상기 제1승강회전축에 설치되어 회전되는 제3스프로켓과;
상기 제3승강회전축의 일단에 설치되어 회전되는 제4스프로켓과;
상기 제3스프로켓과 상기 제4스프로켓을 연결하는 제4승강체인과;
상기 제4스프로켓에 소정 간격으로 이격되어 상기 제3승강회전축에 설치되어 회전되는 제1기어와;
상기 제2승강회전축의 일단에 상기 제1기어와 대응되게 설치되어 상기 제1기어와 맞물려 회전되는 제2기어;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떡 제조용 교반장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60176825A KR101882009B1 (ko) | 2016-12-22 | 2016-12-22 | 떡 제조용 교반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60176825A KR101882009B1 (ko) | 2016-12-22 | 2016-12-22 | 떡 제조용 교반장치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80073213A true KR20180073213A (ko) | 2018-07-02 |
KR101882009B1 KR101882009B1 (ko) | 2018-07-25 |
Family
ID=629138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60176825A KR101882009B1 (ko) | 2016-12-22 | 2016-12-22 | 떡 제조용 교반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882009B1 (ko)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1589323A (zh) * | 2020-05-29 | 2020-08-28 | 乔婷婷 | 一种粘贴型搅拌桶 |
KR20200140656A (ko) * | 2019-06-07 | 2020-12-16 | (주) 삼진정밀 | 반파이프형 스키머 및 이를 포함하는 수처리 장치 |
CN118322385A (zh) * | 2024-06-12 | 2024-07-12 | 安徽霏润智能科技有限公司 | 一种用于料粉粒体自动化生产线的螺带混合机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010465B1 (ko) * | 2018-10-10 | 2019-08-13 | 곽정연 | 스팀 반죽교반기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414448Y1 (ko) | 2006-02-07 | 2006-04-20 | 김수현 | 떡재료 반죽기 |
KR20110032441A (ko) * | 2009-09-23 | 2011-03-30 | 조태억 | 테프론 주걱부가 형성된 소스주걱 |
KR20140020696A (ko) * | 2012-08-09 | 2014-02-19 | 강두석 | 떡 제조용 교반장치 |
-
2016
- 2016-12-22 KR KR1020160176825A patent/KR101882009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414448Y1 (ko) | 2006-02-07 | 2006-04-20 | 김수현 | 떡재료 반죽기 |
KR20110032441A (ko) * | 2009-09-23 | 2011-03-30 | 조태억 | 테프론 주걱부가 형성된 소스주걱 |
KR20140020696A (ko) * | 2012-08-09 | 2014-02-19 | 강두석 | 떡 제조용 교반장치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00140656A (ko) * | 2019-06-07 | 2020-12-16 | (주) 삼진정밀 | 반파이프형 스키머 및 이를 포함하는 수처리 장치 |
CN111589323A (zh) * | 2020-05-29 | 2020-08-28 | 乔婷婷 | 一种粘贴型搅拌桶 |
CN118322385A (zh) * | 2024-06-12 | 2024-07-12 | 安徽霏润智能科技有限公司 | 一种用于料粉粒体自动化生产线的螺带混合机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882009B1 (ko) | 2018-07-25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20180073213A (ko) | 떡 제조용 교반장치 | |
WO2021223062A1 (zh) | 一种化工反应釜的预先混合装置 | |
KR970005920B1 (ko) | 분산장치 | |
EP3200906B1 (en) | Method of operating a batch mixer and batch mixer for performing the method | |
CN105817161A (zh) | 一种搅拌桶 | |
CN215693431U (zh) | 一种化工生产用搅拌罐 | |
CN117000113A (zh) | 一种冰淇淋脆筒制备用原浆搅拌装置 | |
CN205412761U (zh) | 一种生物制药用搅拌装置 | |
CN108748669B (zh) | 混凝土搅拌装置 | |
CN113559764A (zh) | 一种水性柔印油墨的配比装置和配比方法 | |
KR101861761B1 (ko) | 떡 제조용 교반장치 | |
CN214553562U (zh) | 一种便于拆装的搅拌反应釜 | |
CN217616602U (zh) | 一种用于涂料生产设备的清洗装置 | |
CN109289607A (zh) | 一种用于化工生产的一体化流水线设备 | |
CN214163486U (zh) | 一种建筑施工用物料搅拌装置 | |
CN211586206U (zh) | 一种用于脆筒制作的原料搅拌机 | |
CN210097675U (zh) | 一种有效改善胶水配置的搅拌装置 | |
CN114288893A (zh) | 一种用于生物医药制作的搅拌罐装设备 | |
RU48862U1 (ru) | Смеситель | |
CN105854680A (zh) | 一种机械工程用搅拌装置 | |
CN215311793U (zh) | 一种料浆加工用制备装置 | |
CN218189555U (zh) | 一种食用香精微胶囊制备装置 | |
CN220835586U (zh) | 一种混合效果好的反应釜 | |
CN213060891U (zh) | 高粘性高膳食纤维聚葡糖生产用脱色装置 | |
CN221847002U (zh) | 一种化学品混合配置加料装置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