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71726A - 디스플레이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디스플레이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71726A
KR20180071726A KR1020160174703A KR20160174703A KR20180071726A KR 20180071726 A KR20180071726 A KR 20180071726A KR 1020160174703 A KR1020160174703 A KR 1020160174703A KR 20160174703 A KR20160174703 A KR 20160174703A KR 20180071726 A KR20180071726 A KR 2018007172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de
display
processor
image
threshold ti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747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36091B1 (ko
Inventor
황세정
김지수
정강일
한동욱
서영광
최은석
홍진혁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1747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36091B1/ko
Priority to PCT/KR2017/014992 priority patent/WO2018117583A1/en
Priority to EP17883018.8A priority patent/EP3491831A1/en
Priority to US15/848,279 priority patent/US10467979B2/en
Publication of KR201800717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71726A/ko
Priority to US16/526,986 priority patent/US10643571B2/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360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3609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5/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for visual indicators common to cathode-ray tube indicators and other visual indicators
    • G09G5/003Details of a display terminal, the details relating to the control arrangement of the display terminal and to the interfaces thereto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11Arrangements for interaction with the human body, e.g. for user immersion in virtual realit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7/00Image analysis
    • G06T7/20Analysis of motion
    • G06T7/246Analysis of motion using feature-based methods, e.g. the tracking of corners or segm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7/00Image analysis
    • G06T7/60Analysis of geometric attribut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5/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for visual indicators common to cathode-ray tube indicators and other visual indicato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104Peripherals receiving signals from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 H04N21/4126The peripheral being portable, e.g. PDAs or mobile phones
    • H04N21/41265The peripheral being portable, e.g. PDAs or mobile phones having a remote control device for bidirectional communication between the remote control device and client devi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2Input-only peripherals, i.e. input devices connected to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e.g.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 H04N21/42202Input-only peripherals, i.e. input devices connected to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e.g.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environmental sensors, e.g. for detecting temperature, luminosity, pressure, earthquak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2Input-only peripherals, i.e. input devices connected to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e.g.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 H04N21/4220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 client device through a remote control device;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2Input-only peripherals, i.e. input devices connected to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e.g.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 H04N21/4223Camera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1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 H04N21/4312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involving specific graphical features, e.g. screen layout, special fonts or colors, blinking icons, highlights or anim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42Monitoring of processes or resources, e.g. detecting the failure of a recording device, monitoring the downstream bandwidth, the number of times a movie has been viewed, the storage space available from the internal hard disk
    • H04N21/44213Monitoring of end-user related data
    • H04N21/44218Detecting physical presence or behaviour of the user, e.g. using sensors to detect if the user is leaving the room or changes his face expression during a TV progra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43OS processes, e.g. booting an STB, implementing a Java virtual machine in an STB or power management in an STB
    • H04N21/4436Power management, e.g. shutting down unused components of the receiv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44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 H04N5/57Control of contrast or brightness
    • H04N5/58Control of contrast or brightness in dependence upon ambient ligh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2207/00Indexing scheme for image analysis or image enhancement
    • G06T2207/30Subject of image; Context of image processing
    • G06T2207/30196Human being; Person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20/00Control of display operating conditions
    • G09G2320/06Adjustment of display parameters
    • G09G2320/0613The adjustment depending on the type of the information to be displayed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30/00Aspects of power supply; Aspects of display protection and defect management
    • G09G2330/02Details of power systems and of start or stop of display operation
    • G09G2330/021Power management, e.g. power saving
    • G09G2330/022Power management, e.g. power saving in absence of operation, e.g. no data being entered during a predetermined time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40/00Aspects of display data processing
    • G09G2340/14Solving problems related to the presentation of information to be displayed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54/00Aspects of interface with display user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60/00Aspects of the architecture of display systems
    • G09G2360/14Detecting light within display terminals, e.g. using a single or a plurality of photosensors
    • G09G2360/144Detecting light within display terminals, e.g. using a single or a plurality of photosensors the light being ambient ligh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ocial Psych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Remote Sensing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Ecolog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metry (AREA)
  • Controls And Circuits For Display Devi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 장치 및 방법에 대하여 개시한다. 본 발명의 일면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디스플레이; 움직임을 감지하는 제1 센서; 조도를 감지하는 제2 센서; 상기 디스플레이에 동적 영상을 표시하는 제1 모드 및 상기 디스플레이에 정적 영상을 표시하는 제2 모드로 구동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조도에 기초하여 움직임 감지를 위한 제1 임계시간을 설정하고, 상기 제2 모드에서 상기 제1 임계시간 내에 지정된 사용자의 움직임이 감지되면, 상기 정적 영상을 상기 디스플레이에 표시하도록 설정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디스플레이 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Display}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은 저전력 모드에서 지정된 영상을 표시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TV 등의 디스플레이 장치는 온 상태에서 지정 기능(예: 영상 컨텐츠 제공)을 제공하며, 지정 기능을 제공하지 않을 때 오프될 수 있다. 종래의 디스플레이 장치는 오프 되면, 블랙 스크린 상태로 유지될 수 있다.
종래의 디스플레이 장치는 오프 상태에서 블랙 스크린을 유지하므로, 디스플레이 장치가 적용된 환경을 밋밋하고 멋없게 만들 수 있다. 이러한 문제를 개선하고자, 종래의 디스플레이 장치(예: PC)는 온 상태에서 대기 시간이 발생하면, 미화용 화면(예: 화면 보호기)을 제공할 수 있다. 그러나 종래의 디스플레이 장치는 사용자 입력에 따라, 온 상태로 구동할 때 미화용 화면을 제공할 수 있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은 자동으로 온 되어 미화용 화면(예: 정적 영상)을 표시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면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디스플레이; 움직임을 감지하는 제1 센서; 조도를 감지하는 제2 센서; 상기 디스플레이에 동적 영상을 표시하는 제1 모드 및 상기 디스플레이에 정적 영상을 표시하는 제2 모드로 구동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조도에 기초하여 움직임 감지를 위한 제1 임계시간을 설정하고, 상기 제2 모드에서 상기 제1 임계시간 내에 지정된 사용자의 움직임이 감지되면, 상기 정적 영상을 상기 디스플레이에 표시하도록 설정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면에 따른 디스플레이에 동적 영상을 표시하는 제1 모드 및 상기 디스플레이에 정적 영상을 표시하는 제2 모드로 구동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표시 방법은, 제1 센서를 이용하여 조도를 감지하는 동작; 상기 조도에 기초하여 제1 임계시간을 설정하는 동작; 상기 제2 모드에서 제2 센서를 이용하여 상기 제1 임계시간 동안 움직임을 감지하는 동작; 및 상기 제2 모드에서 상기 제1 임계시간 내에 지정된 사용자의 움직임이 감지되면, 상기 정적 영상을 상기 디스플레이에 표시하는 동작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자동으로 온 되어 미화용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각 구동 모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제2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예시도이다.
도 3은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제2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예시도이다.
도 4a는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내 카테고리에 대한 제2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예시도이다.
도 4b는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수집품 카테고리에 대한 제2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예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 외부 전자 장치 및 외부 서버 간의 인터페이스를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조도에 따른 움직임 제1 임계시간 조절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의 움직임 감지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구동 모드 전환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기재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실시 예의 다양한 변경(modification), 균등물(eq사용자 인터페이스valent), 및/또는 대체물(alternative)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면의 설명과 관련하여,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유사한 참조 부호가 사용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구성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각 구동 모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장치(10)는 디스플레이(110), 입력 모듈(120), 센서 모듈(130), 통신 모듈(140), 메모리(150) 및 프로세서(160)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일부 구성요소가 생략되거나, 추가적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는, 다양한 실시예에서, 구성요소들 중 일부가 결합되어 하나의 개체로 구성되되, 결합 이전의 해당 구성요소들의 기능을 동일하게 수행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입출력 관계는 설명의 편의성을 위한 예시에 불과하며, 이에 한정되지 않을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장치(10)는 TV, 모니터, 노트북, LFD(Large Format Display), 스마트폰(smartphone), 태블릿 PC(tablet personal computer), 이동 전화기(mobile phone), 영상 전화기, 전자책 리더기(e-book reader), 데스크탑 PC(desktop personal computer), 랩탑 PC(laptop personal computer), 넷북 컴퓨터(netbook computer),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MP3 플레이어, 카메라(camera), 웨어러블 장치(wearable device) 또는 전자 액자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110)는, 예를 들면, 액정 디스플레이(LCD), 발광 다이오드(LED) 디스플레이, 유기 발광 다이오드(OLED) 디스플레이, 또는 전자종이(electronic paper) 디스플레이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110)는, 예를 들면, 사용자에게 각종 콘텐츠(예: 텍스트, 이미지, 비디오, 아이콘, 및/또는 심볼 등)을 표시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110)는 제1 모드에서는 항상 온되고, 제2 모드에서는 온 또는 오프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 따르면, 입력 모듈(120)은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입력 모듈(120)은 통신부 및 입력 버튼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통신부는 원격 제어 장치와 통신할 수 있다. 원격 제어 장치가 사용자에 의해 조작된 버튼에 대응하는 제어 신호를 송신하면, 통신부는 원격 제어 장치로부터의 제어 신호를 수신하고 프로세서(160)에 의해 해석 가능한 형태로 변환할 수 있다. 통신부는 프로세서(160)로부터 원격 제어 장치로 송신할 명령 신호를 수신하면, 원격 제어 장치의 통신 방식에 대응하는 명령 신호로 변경하여 원격 제어 장치로 송신할 수도 있다. 통신부는 예를 들어, 블루투스, NFC 또는 IR 통신 등 다양한 근거리 무선 통신 방식을 이용하여 원격 제어 장치와 통신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입력 버튼은 디스플레이 장치(10)에 구비된 버튼일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원격 제어 장치와 입력 버튼은 각기 전원 버튼을 구비할 수 있다. 입력 모듈(120)은 전원 버튼의 숏 프레스 시에 제1 사용자 입력(제1 신호)을 출력하고, 전원 버튼의 롱 프레스 시에 제2 사용자 입력(제2 신호)을 출력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 따르면, 센서 모듈(130)은 외부 조도를 감지하기 위한 조도 센서 및 사용자의 움직임을 감지하기 위한 이미지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후자의 이미지 센서는 카메라 센서 또는 적외선 센서일 수 있다. 상기 이미지 센서는 지정된 범위 이내에서 영상을 촬영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지정된 범위는 이미지 센서의 중심을 기준으로 할 때 제1 거리(예: 6m) 이내이면서 임계각도(예: 180) 이내의 범위일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 따르면, 통신 모듈(140)은 지정된 통신 방식으로 외부 전자 장치와 통신할 수 있다. 지정된 통신 방식은 예를 들어, 와이파이, 블루투스, NFC, 3G, LTE 등 다양할 수 있다.
메모리(150)는 휘발성 메모리(예를 들어, RAM 등), 비휘발성 메모리(예를 들어, ROM, 플래시 메모리 등) 또는 이들의 조합일 수 있다. 메모리(150)는, 예를 들면, 디스플레이 장치(10)의 적어도 하나의 다른 구성요소에 관계된 명령 또는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메모리(150)는 구동 모드에 대응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기 위한 제1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150)는 각 구동 모드 간의 전환을 위한 제2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정보는 사용자 입력에 대응하는 구동 모드 및 제2 모드의 상태 전환을 위한 기준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160)는 예를 들어 중앙처리장치(CPU), 그래픽처리장치(GPU), 마이크로프로세서, 주문형 반도체((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사용자 인터페이스t, ASIC), (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 FPGA))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으며, 복수의 코어를 가질 수 있다. 프로세서(160)는 디스플레이 장치(10)의 적어도 하나의 다른 구성요소들의 제어 및/또는 통신에 관한 연산이나 데이터 처리를 실행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프로세서(160)는 디스플레이(110)에 동적 영상을 표시하는 제1 모드 및 디스플레이(110)에 정적 영상을 표시하는 제2 모드로 구동될 수 있다. 프로세서(160)는 입력 모듈(120)을 통해 사용자 입력이 수신되면, 디바이스 오프될 수도 있다. 예컨대, 상기 제1 모드는 고전력 모드이고, 제2 모드는 제1 저전력 모드이고, 제3 모드는 제2 저전력 모드일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160)는 제1 모드에서 외부 인터페이스를 통해 제1 서비스 서버로부터 동적 영상을 수신하여 디스플레이(110)에 동적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상기 외부 인터페이스는 예를 들어, 광 케이블, DVI, HDMI 등일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10)가 TV일 경우에, 제1 서비스 서버는 예를 들어, TV 사업자의 서버일 수 있고, 동적 영상은 예를 들어, 채널별 콘텐츠일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프로세서(160)는 제1 모드에서 센서 모듈(130)을 오프시키고, 센서 모듈(130)을 제외한 구성요소 예컨대, 통신 모듈(140), 메모리(150), 디스플레이(110)를 구동시킬 수 있다. 프로세서(160)는 제1 모드에서 디스플레이(110)의 백라이트를 제2 모드에 비해 상대적으로 밝은 제1 밝기로 제어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160)는 제2 모드에서 이미지 센서를 구동시키고, 이미지 센서의 촬영 이미지를 이용하여 적어도 제1 임계시간 동안 사용자의 움직임을 감지할 수 있다. 프로세서(160)는 제1 임계시간 내에 촬영 이미지로부터 사용자의 움직임이 감지된 경우에는 디스플레이(110)에 정적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프로세서(160)는 정적 영상을 표시할 때 디스플레이(110)의 백라이트를 제1 모드에 비해 상대적으로 어두운 제2 밝기(<제1 밝기)로 제어할 수 있다. 제1 임계시간은 이미지 센서로부터 수신되는 촬영 이미지 중에서 움직임 감지에 이용되는 이미지 개수를 결정하는 기준으로서, 조도를 기반으로 자동 설정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프로세서(160)는 제2 모드에서 메모리(150)에 저장된 정적 영상 중에서 디폴트 영상으로 설정된 정적 영상을 디스플레이(110)에 표시할 수 있다. 상기 정적 영상은 예를 들어, 명화 영상, 그림 영상, 정지 영상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160)는 제2 모드에서 디스플레이(110)에 정적 영상이 표시된 상태에서 제2 임계시간 동안 사용자의 움직임이 감지되지 않은 경우에는 디스플레이(110)를 오프할 수 있다. 상기 제2 임계시간은 입력 모듈(120)을 통해 수동으로 설정되는 시간일 수 있다. 이 같이, 다양한 실시예에서는 제2 모드에서 사용자의 움직임 감지 여부에 따라 정적 영상을 디스플레이(110)에 표시하는 제1 상태 또는 디스플레이(110)를 오프하는 제2 상태로 자동으로 전환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프로세서(160)는 제2 모드에서 “디스플레이 항상 온(always on)” 설정된 경우에는 디스플레이(110)를 오프하지 않을 수도 있다. 이 경우, 사용자의 움직임 감지가 필요하지 않을 것이므로, 프로세서(160)는 센서 모듈(130)을 오프시킬 수도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160)는 조도 센서를 이용해 감지된 조도에 기초하여 제1 임계시간을 설정 및 변경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60)는 센서 모듈(130)을 통해서 감지된 조도가 낮을수록 제1 임계시간을 증가시키고, 감지된 조도가 높을수록 제1 임계시간을 감소시킬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프로세서(160)는 감지된 조도가 10[lux] 미만이면, 제1 임계시간을 5초로 설정하고, 감지된 조도가 10[lux] 이상 20[lux] 미만이면, 제1 임계시간을 3초로 설정하고, 감지된 조도가 20[lux] 이상이면, 제1 임계시간을 2초로 설정할 수 있다. 이 같이, 다양한 실시예에서는 조도 저하 시에는 사용자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시간(제1 임계시간)을 연장함에 따라 사용자의 움직임 검출의 정확도를 높일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160)는 제1 모드에서 입력 모듈(120)을 통해 제1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면, 제2 모드로 전환 및 구동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사용자 입력은 전원 버튼의 숏 프레스(short press) 시에 입력 모듈(120)로부터 수신되는 제1 신호일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프로세서(160)는 제1 모드에서 입력 모듈(120)을 통해 제3 사용자 입력이 수신되는 경우에도 제2 모드로 전환 및 구동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3 사용자 입력은 디스플레이 장치(10)의 지정된 기능 메뉴를 조작함에 따라 입력 모듈(120)로부터 수신된 제3 신호일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프로세서(160)는 제2 모드에서 입력 모듈(120)을 통해 제1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면, 제1 모드로 전환 및 구동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160)는 제1 모드 또는 제2 모드에서 입력 모듈(120)로부터 제2 사용자 입력이 수신되면, 센서 모듈(130), 디스플레이(110), 메모리(150) 및 통신 모듈(140)을 오프시킬 수 있다(이하, '디바이스 오프' 라고 함). 상기 제2 사용자 입력은 예를 들어, 전원 버튼의 롱 프레스(long press) 시에 입력 모듈(120)로부터 수신된 제2 신호일 수 있다. 프로세서(160)는 센서 모듈(130), 디스플레이(110), 메모리(150) 및 통신 모듈(140)을 오프시킨 후 오프될 수도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160)는 디바이스 오프에서 입력 모듈(120)을 통해 제2 사용자 입력이 수신되면, 직전 모드로 전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60)는 제1 모드에서 디바이스 오프된 때에 제2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면, 제1 모드로 구동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프로세서(160)는 제2 모드에서 디바이스 오프된 때에 제2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면, 제2 모드로 구동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160)는 제2 모드에서 디스플레이(110)에 정적 영상을 표시할 때와 디스플레이(110)를 오프할 때 정적 영상을 자연스럽게 표시하고 제거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60)는 정적 영상을 페이드 인(fade in)하여 디스플레이(110)에 표시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프로세서(160)는 정적 영상이 표시된 상태에서 정적 영상을 페이드 아웃(fade out)한 후 디스플레이(110)를 오프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160)는 객체의 크기, 움직임 크기 및 움직임 패턴 중 적어도 하나에 기반하여 촬영된 이미지로부터 사용자의 움직임을 감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60)는 이미지 센서에 의해 제1 임계 시간 동안 촬영된 이미지로부터 움직이는 객체를 확인할 수 있다. 프로세서(160)는 움직이는 객체를 확인하면, 확인된 객체가 촬영된 이미지에서 차지하는 픽셀 비율에 기초하여 객체의 크기를 산출할 수 있다. 프로세서(160)는 산출된 객체의 크기가 임계크기 이상인지를 확인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프로세서(160)는 확인된 객체의 움직임 벡터를 검출하고, 움직임 벡터가 지정된 크기 이상인지를 확인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를 들어, 프로세서(160)는 제1 임계시간 동안 촬영된 이미지에서 객체의 크기가 임계크기 이상이고 움직임 크기가 지정된 크기 이상이면 사용자의 움직임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이에, 다양한 실시예에서는 사용자의 움직임을 보다 정확히 검출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160)는 움직임 벡터의 패턴을 확인하고, 확인된 패턴이 반복되는지를 확인할 수 있다. 프로세서(160)는 움직임 벡터의 패턴이 반복되면, 디스플레이(110)를 오프할 수 있다. 이 같이, 사용자는 일정한 규칙성을 가지고 움직이기는 어렵기 때문에, 프로세서(160)는 움직임 벡터의 패턴이 반복되는 경우에는 사용자의 움직임이 아니라고 판단하고 디스플레이(110)를 오프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160)는 제1 모드에서 제1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고, 제2 모드에서 제1 사용자 인터페이스와 상이한 제2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장치(10)가 TV일 경우에, 제1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채널 선택, 컨텐츠 선택, 각종 설정(음량, 영상)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정적 영상의 설정(또는, 변경 설정), 구매 및 다운로드 중 적어도 하나를 위한 것일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160)는 통신 모듈(140)을 통해 외부 전자 장치로 제2 모드의 환경 설정 정보를 송신할 수 있다. 상기 환경 설정 정보는 예를 들어, 외부 전자 장치에서 제2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재현하는데 필요한 정보일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프로세서(160)는 외부 전자 장치로부터 제2 모드의 환경 설정 정보를 수신하면, 수신된 제2 모드의 환경 설정 정보에 기초하여 제2 모드의 환경 설정값을 변경할 수 있다. 상기 환경 설정 정보는 예를 들어, 정적 영상, 또는 제2 임계시간 등을 설정하기 위한 정보일 수 있다. 프로세서(160)는 제1 모드로 구동 중에 제2 모드의 환경 설정 정보가 수신되면, 제2 모드로 전환될 때 제2 모드의 환경 설정값을 변경할 수 있다. 더 세부적인 프로세서(160)와 외부 전자 장치의 구성에 대해서는 도 5를 참조하여 후술한다.
도 3은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제2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예시도이고, 도 4a는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내 카테고리에 대한 제2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예시도이고, 도 4b는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수집품 카테고리에 대한 제2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예시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2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복수의 카테고리로 구성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는 제2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세 개의 카테고리로 구성되고, 그 중 상품 카테고리(320)가 선택된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을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내 카테고리(310)는 메모리(150)에 저장된 정적 영상을 확인하기 위한 카테고리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4a와 같이, 저장된 정적 영상은 구매된 정적 영상과 메모리(150)에 저장된 사진을 포함할 수 있다. 각 정적 영상은 구매된(purchased) 날짜 또는 추가된(added) 날짜별로 정렬(sort)되어 표시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상품 카테고리(320)는 유료 정적 영상을 구매하기 위한 카테고리일 수 있다. 상품 카테고리(320)는 유료 정적 영상을 주제별로 관리할 수 있다. 복수의 주제는 예를 들어, 풍경(landscapes), 소묘(drawings), 정물화(still life), 어스 아트(land art), 건축물(architecture), 디지털 작품(digital art), 행동 화면(action), 패턴 화면(patterns), 거리 작품(street art), 야생 동물(wildlife) 등일 수 있다. 프로세서(160)는 상품 카테고리에서 제2 서비스 서버로부터 수신된 유료 정적 영상을 표시(프리뷰), 구매 및 적용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프로세서(160)는 상품 카테고리(320)에서 예를 들어, 작품명, 작가명, 작품 및 작가의 상세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작품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상품 카테고리(320)는 디스플레이 장치(10)의 하드웨어 액세서리 예컨대, 베젤(bezel), 스탠드(stand) 등을 확인 및 구매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프로세서(160)는 제2 서비스 서버와 외부 인터페이스를 통해 통신할 수 있고, 통신 모듈(140)을 통해 통신할 수도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수집품 카테고리(330)는 무료 정적 영상을 다운로드하기 위한 카테고리일 수 있다. 프로세서(160)는 수집품 카테고리(330)에서 제2 서비스 서버로부터 수신된 무료 정적 영상을 표시(프리뷰), 다운로드 및 적용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프로세서(160)는 수집품 카테고리에서 예를 들어, 작품명, 작가명, 작품 및 작가의 상세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수집품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도 4b를 참조하면, 수집품 카테고리(330)도 무료 정적 영상을 주제별로 관리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 외부 전자 장치 및 외부 서버 간의 인터페이스를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장치(10)(예: 프로세서(160))는 상품 카테고리(320) 또는 수집품 카테고리(330)에 진입하면, 제2 서비스 서버(50)로 디스플레이 장치(10)의 사양 정보를 송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양 정보는 디스플레이 장치(10)의 모델명 및 로그인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2 서비스 서버(50)는 디스플레이 장치(10)로 사양 정보에 기반하여 정적 영상 목록을 디스플레이 장치(10)로 송신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제2 서비스 서버(50)는 사양 정보에 기반하여 디스플레이 장치(10)의 해상도, 거치형태(예: 벽걸이형, 스탠드형) 등을 확인하고, 디스플레이 장치(10)의 하드웨어 액세서리 정보를 송신할 수도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장치(10)는 제2 서비스 서버(50)로부터 수신된 제품 정보에 기초하여 정적 영상의 개략 이미지를 디스플레이(110)에 표시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가 정적 영상 중에서 하나에 대해 프리뷰를 요청하면, 디스플레이 장치(10)는 선택된 정적 영상의 세부 이미지를 제2 서비스 서버(50)에 요청할 수 있다. 제2 서비스 서버(50)는 요청된 정적 영상의 세부 이미지를 디스플레이 장치(10)로 송신하며, 디스플레이 장치(10)는 수신된 정적 영상의 세부 이미지를 디스플레이(110)에 풀 스크린으로 표시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가 정적 영상 중에서 하나에 대해 구매 또는 다운로드를 요청하면, 제2 서비스 서버(50)는 요청된 정적 영상의 구매 인터페이스 또는 다운로드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제2 서비스 서버(50)는 구매 인터페이스 또는 다운로드 인터페이스를 거쳐 구매 또는 다운로드된 디스플레이 장치(10)의 사양 정보(예: 해상도)에 대응하는 정적 영상을 디스플레이 장치(10)로 송신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2 서비스 서버(50)는 외부 전자 장치(30)의 요청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10)의 제2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재현할 수 있는 브라우징 앱을 제공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외부 전자 장치(30)는 브라우징 앱이 설치된 후 실행되면, 브라우징 앱 상에 제2 모드의 환경 설정 정보에 기초하여 제2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재현할 수 있다. 그 전에, 외부 전자 장치(30)는 디스플레이 장치(10)로부터 제2 모드의 환경 설정 정보를 수신할 필요가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가 브라우징 앱 상에 재현된 제2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제2 모드의 환경 설정 정보를 변경하면, 외부 전자 장치(30)는 변경된 환경 설정 정보를 디스플레이 장치(10)로 송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브라우징 앱 상에 재현된 제2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정적 영상을 구매, 프리뷰 또는 다운로드할 수 있으며, 정적 영상의 적용을 요청할 수 있다. 이 경우, 외부 전자 장치(30)는 적용 요청된 정적 영상 및 적용 요청(환경 설정 정보)을 디스플레이 장치(10)로 송신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장치(10)는 적용 요청된 정적 영상의 정보 및 적용 요청을 수신하면, 제2 모드에서 표시될 정적 영상을 설정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10)는 적용 요청된 정적 영상을 외부 전자 장치(30) 또는 제2 서비스 서버(50)로부터 다운로드할 수 있다. 이에, 다양한 실시예에서는 디스플레이 장치(10)가 제1 모드로 구동하는 중에도 외부 전자 장치(30)를 이용하여 제2 모드의 환경 설정 정보를 변경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장치(10)는 제1 모드로 구동중에 제2 모드의 환경 설정 정보를 수신한 경우에는 제2 모드에 진입할 때 제2 모드의 환경 설정 정보를 기반으로 제2 모드의 환경 설정값을 변경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장치(10)는 제1 모드로 구동중에 제2 모드에 적용된 정적 영상의 정보를 확인한 경우에는 제2 서비스 서버(50)로부터 정적 영상을 다운로드 받아 메모리(150)에 저장하고, 다운로드된 정적 영상을 제2 모드의 디폴트 정적 영상으로 설정할 수 있다. 이후, 디스플레이 장치(10)는 제2 모드로 전환되면, 디폴트 정적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조도에 따른 움직임 제1 임계시간 조절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동작 610에서, 프로세서(160)는 조도 센서를 이용하여 외부 조도를 감지할 수 있다.
동작 620에서, 프로세서(160)는 감지된 조도가 제1 임계조도 이상인지를 확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임계조도는 예를 들어, 20[lux]일 수 있다.
동작 630에서, 외부 조도가 제1 임계조도 이상이면, 프로세서(160)는 제1 임계시간을 설정 가능한 제1 임계시간 중 가장 낮은 제1 시간으로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시간은 2초일 수 있다.
동작 640에서, 감지된 조도가 제1 임계조도 미만이면, 제2 임계조도 이상인지를 확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임계조도는 10[lux]일 수 있다.
동작 650에서, 감지된 조도가 제1 임계조도 미만이면, 제2 임계조도 이상이면, 프로세서(160)는 제1 임계시간을 제1 시간 미만의 제2 시간으로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시간은 3초일 수 있다.
동작 660에서, 외부 광의 조도가 제2 임계조도 미만이면, 프로세서(160)는 제1 임계시간을 제2 시간 미만의 제3 시간으로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시간은 5초일 수 있다.
도 6에서는 프로세서(160)가 감지된 조도에 따라 제1 임계시간을 3 가지로 설정하는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였다. 하지만, 이미지 센서의 특징 등에 따라 제1 임계시간은 3가지 이상 또는 미만으로 설정될 수도 있다. 이 같이, 다양한 실시예에서는 주변 조도 저하 시에 사용자의 움직임 감지시간(제1 임계시간)을 연장함에 따라 사용자 감지의 정확도를 높일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의 움직임 감지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동작 710에서, 프로세서(160)는 지정된 주기인지를 확인할 수 있다.
동작 720에서, 프로세서(160)는 지정된 주기이면, 이미지 센서에 의해 제1 임계시간 동안 촬영된 이미지를 분석할 수 있다. 상기 제1 임계시간은 도 6의 과정을 통해서 설정된 것일 수 있다.
동작 730에서, 프로세서(160)는 제1 임계 시간 동안 촬영된 이미지에서 움직이는 객체를 확인할 수 있다.
동작 740에서, 프로세서(160)는 확인된 객체의 크기가 임계크기 이상인지를 확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60)는 확인된 객체가 촬영된 이미지에서 차지하는 픽셀 비율에 기초하여 객체의 크기를 산출할 수 있다.
동작 750에서, 프로세서(160)는 확인된 객체의 움직임 벡터의 크기가 지정된 크기 이상인지를 확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60)는 촬영된 이미지에서 움직임 벡터를 검출한 후 움직임 벡터의 크기를 확인하고, 확인된 움직임 벡터의 크기를 지정된 크기와 비교할 수 있다.
동작 760에서, 프로세서(160)는 움직임 벡터의 패턴이 반복되는지를 확인할 수 있다. 프로세서(160)가 움직임 벡터로부터 패턴을 검출하고, 패턴의 반복 여부를 확인하는 과정은 패턴 검출 기법에 관련된 선행 문헌으로부터 당업자가 도출 가능하므로, 그에 대한 세부 설명은 생략한다.
동작 770에서, 프로세서(160)는 움직임 벡터의 패턴이 반복되지 않으면, 확인된 객체를 사용자로 판단할 수 있다. 동작 770의 과정을 통해서 사용자의 움직임이 감지되었으므로, 프로세서(160)는 정적 영상을 디스플레이(110)에 표시할 수 있다.
동작 780에서, 프로세서(160)는 움직임 벡터의 패턴이 반복되면, 디스플레이(110)가 온 상태라면, 디스플레이(110)를 오프할 수 있다. 이 같이, 사용자의 움직임은 일정하게 반복되지는 않기 때문에, 프로세서(160)는 움직임 벡터의 패턴이 반복되는 경우에는 노이즈로 판단하고 무시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60)는 움직이는 객체의 크기가 임계크기 미만이거나, 움직임 벡터의 크기가 지정 크기 미만일 경우에도 사용자의 움직임으로 판단하지 않고 무시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서는 촬영된 이미지로부터 움직이는 객체를 검출하더라도, 객체 크기, 움직임 벡터의 크기 및 패턴 중 적어도 하나를 기반으로 노이즈를 제외한 후 사용자의 움직임을 검출함에 따라 사용자 감지의 정확도를 높일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구동 모드 전환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동작 810에서, 프로세서(160)는 지정된 주기에 도래하는지를 모니터링할 수 있다. 동작 810에서, 프로세서(160)는 지정된 주기에 도래하면, 조도 센서 및 이미지 센서를 웨이크업시킬 수 있다.
동작 820에서, 프로세서(160)는 지정된 주기에 도래하면, 도 7의 과정을 통해서 사용자의 움직임을 감지할 수 있다.
동작 830에서, 프로세서(160)는 사용자의 움직임이 감지되면, 디스플레이(110)에 정적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동작 840에서, 프로세서(160)는 디스플레이(110)에 정적 영상을 표시하면서 이미지 센서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움직임을 감지할 수 있다.
동작 850에서, 프로세서(160)는 움직임이 감지되지 않으면, 제2 임계시간 동안 사용자의 움직임이 감지되지 않는지를 확인할 수 있다. 만약, 제2 모드에서 디스플레이 항상 온이 설정되면, 동작 840 및 850은 생략될 수 있다.
동작 860에서, 프로세서(160)는 제2 임계시간 동안 사용자의 움직임이 감지되지 않으면, 디스플레이(110)를 오프할 수 있다.
동작 870에서, 프로세서(160)는 디스플레이(110)에 정적 영상을 표시하면서, 입력 모듈(120)로부터 제1 사용자 입력이 수신되는지를 확인할 수 있다.
동작 880에서, 프로세서(160)는 입력 모듈(120)로부터 제1 사용자 입력이 수신되면, 제1 모드로 전환 및 구동할 수 있다. 프로세서(160)는 제1 모드로 전환될 때 센서 모듈(130)을 오프시킬 수 있다.
동작 890에서, 프로세서(160)는 제1 모드에서 제1 사용자 입력 또는 제3 사용자 입력이 수신되는지를 확인할 수 있다. 동작 890에서, 제1 또는 제3 사용자 입력이 수신되면, 프로세서(160)는 제2 모드로 전환되어 동작 830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프로세서(160)는 동작 820에서 사용자의 움직임을 감지하지 못하거나, 동작 860을 수행한 이후에, 동작 810을 수행할 수 있다. 동작 810 내지 890은 제2 모드의 종료시에 완료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장치(예: 모듈들 또는 그 기능들) 또는 방법(예: 동작들)의 적어도 일부는 프로그램 모듈의 형태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저장 매체에 저장된 명령어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명령어가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경우, 프로세서가 상기 명령어에 해당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는, 하드디스크, 플로피디스크, 마그네틱 매체(예: 자기테이프), 광기록 매체(예: CD-ROM, DVD, 자기-광 매체 (예: 플롭티컬 디스크), 내장 메모리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명령어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코드 또는 인터프리터에 의해 실행될 수 있는 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모듈 또는 프로그램 모듈은 전술한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거나, 일부가 생략되거나, 또는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모듈, 프로그램 모듈 또는 다른 구성요소에 의해 수행되는 동작들은 순차적, 병렬적, 반복적 또는 휴리스틱하게 실행되거나, 적어도 일부 동작이 다른 순서로 실행되거나, 생략되거나, 또는 다른 동작이 추가될 수 있다. 그리고 본 문서에 개시된 실시예는 개시된, 기술 내용의 설명 및 이해를 위해 제시된 것이며, 본 문서에서 기재된 기술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본 문서의 범위는, 본 문서의 기술적 사상에 근거한 모든 변경 또는 다양한 다른 실시예를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20)

  1. 디스플레이;
    움직임을 감지하는 제1 센서;
    조도를 감지하는 제2 센서;
    상기 디스플레이에 동적 영상을 표시하는 제1 모드 및 상기 디스플레이에 정적 영상을 표시하는 제2 모드로 구동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조도에 기초하여 움직임 감지를 위한 제1 임계시간을 설정하고,
    상기 제2 모드에서 상기 제1 임계시간 내에 지정된 사용자의 움직임이 감지되면, 상기 정적 영상을 상기 디스플레이에 표시하도록 설정된 디스플레이 장치.
  2. 제1항에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디스플레이에 상기 정적 영상이 표시된 상태에서 제2 임계시간 동안 상기 사용자의 움직임이 감지되지 않으면, 상기 디스플레이를 오프하도록 설정된 디스플레이 장치.
  3. 제1항에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감지된 조도가 낮을수록 상기 제1 임계시간을 증가시키고, 상기 감지된 조도가 높을수록 상기 제1 임계시간을 감소시키도록 설정된 디스플레이 장치.
  4. 제1항에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감지된 조도가 제1 조도범위에 속하면, 상기 제1 임계시간을 제1 시간으로 설정하고,
    상기 감지된 조도가 상기 제1 조도범위 보다 낮은 조도값을 포함하는 제2 조도범위에 속하면, 상기 제1 임계시간을 상기 제1 시간을 초과하는 제2 시간으로 설정하고,
    상기 감지된 조도가 상기 제2 조도범위 보다 낮은 조도값을 포함하는 제3 조도범위에 속하면, 상기 제1 임계시간을 상기 제2 시간을 초과하는 제3 시간으로 설정하도록 설정된 디스플레이 장치.
  5. 제1항에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1 센서에 의해 임계크기 이상의 객체가 지정된 움직임크기 이상 움직이면, 상기 사용자의 움직임이 감지되었다고 판단하도록 설정된 디스플레이 장치.
  6. 제5항에서,
    상기 제1 센서는, 영상을 촬영하는 이미지 센서이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이미지 센서에 의해 상기 제1 임계 시간 동안 촬영된 이미지에서 움직이는 객체를 확인하면,
    상기 확인된 객체가 상기 이미지에서 차지하는 픽셀 비율에 기초하여 상기 객체의 크기를 산출하도록 설정된 디스플레이 장치.
  7. 제5항에서,
    상기 제1 센서는, 영상을 촬영하는 이미지 센서이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이미지 센서에 의해 상기 제1 임계 시간 동안 촬영된 이미지에서 움직이는 객체 확인하면,
    상기 확인된 객체의 움직임 벡터를 검출하고,
    상기 움직임 벡터의 크기를 상기 객체의 움직임크기로 산출하도록 설정된 디스플레이 장치.
  8. 제7항에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움직임 벡터의 패턴을 확인하고, 상기 패턴이 반복되면, 상기 움직임 벡터를 무시하도록 설정된 디스플레이 장치.
  9. 제1항에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2 모드에서,
    상기 제1 상태로부터 상기 제2 상태로 전환할 때 상기 정적 영상을 페이드 인(fade in)하고,
    상기 제2 상태로부터 상기 제1 상태로 전환할 때 상기 정적 영상을 페이드 아웃(fade out)하도록 설정된 디스플레이 장치.
  10. 제1항에서,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입력 모듈을 더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1 모드에서 상기 입력 모듈을 통해 제1 사용자 입력이 수신되면 상기 제2 모드로 동작하고,
    상기 제1 모드에서 상기 입력 모듈을 통해 제2 사용자 입력이 수신되면 상기 디스플레이, 상기 제1 및 제2 센서를 오프시키도록 설정된 디스플레이 장치.
  11. 제1항에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1 모드에서 제1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고,
    상기 제2 모드에서 상기 제1 사용자 인터페이스와 상이한 제2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도록 설정된 디스플레이 장치.
  12. 제1항에서,
    외부 전자 장치와 통신하는 통신 모듈을 더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통신 모듈을 통해 상기 외부 전자 장치로부터 상기 제2 모드의 환경 설정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제2 모드의 환경 설정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2 모드의 환경 설정값을 변경하도록 설정된 디스플레이 장치.
  13. 제12항에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1 모드에서 상기 제2 모드의 환경 설정 정보가 수신되면, 상기 제2 모드로 전환될 때 상기 제2 모드의 환경 설정값을 변경하도록 설정된 디스플레이 장치.
  14. 디스플레이에 동적 영상을 표시하는 제1 모드 및 상기 디스플레이에 정적 영상을 표시하는 제2 모드로 구동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표시 방법으로서,
    제1 센서를 이용하여 조도를 감지하는 동작;
    상기 조도에 기초하여 제1 임계시간을 설정하는 동작;
    상기 제2 모드에서 제2 센서를 이용하여 상기 제1 임계시간 동안 움직임을 감지하는 동작; 및
    상기 제2 모드에서 상기 제1 임계시간 내에 지정된 사용자의 움직임이 감지되면, 상기 정적 영상을 상기 디스플레이에 표시하는 동작
    을 포함하는 표시 방법.
  15. 제14항에서,
    상기 디스플레이에 상기 정적 영상이 표시된 상태에서 제2 임계시간 동안 상기 사용자의 움직임이 감지되지 않으면, 상기 디스플레이를 오프하는 동작을 더 포함하는 표시 방법.
  16. 제14항에서, 상기 설정하는 동작은,
    상기 감지된 조도가 낮을수록 상기 제1 임계시간을 증가시키는 동작; 및
    상기 감지된 조도가 높을수록 상기 제1 임계시간을 감소시키도록 동작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표시 방법.
  17. 제14항에서, 상기 표시하는 동작은,
    임계크기 이상의 객체가 지정된 움직임크기 이상 움직이면, 상기 사용자의 움직임이 감지되었다고 판단하는 동작을 포함하는 표시 방법.
  18. 제14항에서,
    상기 제1 모드에서 제1 사용자 입력이 수신되면 상기 제2 모드로 동작하는 동작; 및
    상기 제1 모드에서 제2 사용자 입력이 수신되면 상기 디스플레이, 상기 제1 및 제2 센서를 오프시키는 동작을 포함하는 표시 방법.
  19. 제14항에서,
    외부 전자 장치와 통신하여 상기 외부 전자 장치로부터 상기 제2 모드의 환경 설정 정보를 수신하는 동작; 및
    상기 제2 모드의 환경 설정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2 모드의 환경 설정값을 변경하는 동작을 더 포함하는 표시 방법.
  20. 제14항에서,
    상기 제1 모드에서 상기 제2 모드의 환경 설정 정보가 수신되면, 상기 제2 모드로 전환될 때 상기 제2 모드의 환경 설정값을 변경하는 동작을 더 포함하는 표시 방법.
KR1020160174703A 2016-12-20 2016-12-20 디스플레이 장치 및 방법 KR102136091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74703A KR102136091B1 (ko) 2016-12-20 2016-12-20 디스플레이 장치 및 방법
PCT/KR2017/014992 WO2018117583A1 (en) 2016-12-20 2017-12-19 Display device and method operating in plurality of modes
EP17883018.8A EP3491831A1 (en) 2016-12-20 2017-12-19 Display device and method operating in plurality of modes
US15/848,279 US10467979B2 (en) 2016-12-20 2017-12-20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operating a plurality of modes and displaying contents corresponding to the modes
US16/526,986 US10643571B2 (en) 2016-12-20 2019-07-30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operating in a plurality of modes and displaying contents corresponding to the mode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74703A KR102136091B1 (ko) 2016-12-20 2016-12-20 디스플레이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71726A true KR20180071726A (ko) 2018-06-28
KR102136091B1 KR102136091B1 (ko) 2020-07-22

Family

ID=625625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74703A KR102136091B1 (ko) 2016-12-20 2016-12-20 디스플레이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2) US10467979B2 (ko)
EP (1) EP3491831A1 (ko)
KR (1) KR102136091B1 (ko)
WO (1) WO2018117583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83153A (ko) * 2018-12-28 2020-07-08 바이두 유에스에이 엘엘씨 시각 기반의 메커니즘을 기반으로 하는 스마트 표시 장치의 디스플레이의 비활성화 방법 및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810117B (zh) * 2018-05-30 2021-11-05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图像的访问方法、装置、电子设备及存储介质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75326A (ko) * 2008-01-04 2009-07-08 주식회사 디엠테크놀로지 외부의 상황에 따라 밝기를 조절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조절방법

Family Cites Families (2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83146A (ja) 1996-09-05 1998-03-31 Seiko Epson Corp 電子式写真立て
KR19980017450U (ko) 1996-09-23 1998-07-06 김광호 전원자동 오프 기능을 갖는 텔레비젼 수상기
JP4365897B2 (ja) * 1997-02-21 2009-11-18 キヤノン株式会社 Tv会議システムおよびtv会議システムのための方法
US6374145B1 (en) 1998-12-14 2002-04-16 Mark Lignoul Proximity sensor for screen saver and password delay
US20100002009A1 (en) * 2005-12-22 2010-01-07 Yoshiki Takata Display device, a receiving device and a method for driving the display device
JP2010061496A (ja) * 2008-09-05 2010-03-18 Sanyo Electric Co Ltd 表示装置
JP2010206372A (ja) 2009-03-02 2010-09-16 Toyota Home Kk テレビ受像システム
JP2011013722A (ja) * 2009-06-30 2011-01-20 Fujitsu Ltd 電子機器
KR20110011804A (ko) 2009-07-29 2011-02-09 주식회사 제니스트 텔레비전 전력 제어기
JP5556098B2 (ja) * 2009-09-11 2014-07-23 ソニー株式会社 表示方法及び表示装置
EP2421251A1 (en) 2010-08-17 2012-02-22 LG Electronics Display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20140111500A1 (en) * 2011-06-17 2014-04-24 Hiroyuki Kasuga Display device and communication method
US9196239B1 (en) 2013-08-30 2015-11-24 Amazon Technologies, Inc. Distracted browsing modes
KR20150088614A (ko) * 2014-01-24 2015-08-03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에서 환경에 따른 출력 제어를 위한 방법 및 장치
KR20150103927A (ko) * 2014-03-04 2015-09-14 삼성전자주식회사 콘텐츠를 표시하는 방법과 전자 장치
KR102347249B1 (ko) * 2014-10-21 2022-01-04 삼성전자주식회사 외부 물체의 움직임과 연관된 이벤트에 응답하여 화면을 디스플레이하는 장치 및 방법
US20160125571A1 (en) * 2014-10-29 2016-05-05 Kabushiki Kaisha Toshiba Image processing apparatus
KR102246120B1 (ko) 2014-11-21 2021-04-29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사용자 단말 및 이의 제어 방법
US20160273908A1 (en) 2015-03-17 2016-09-22 Lenovo (Singapore) Pte. Ltd. Prevention of light from exterior to a device having a camera from being used to generate an image using the camera based on the distance of a user to the device
US10146301B1 (en) 2015-03-26 2018-12-04 Amazon Technologies, Inc. Rendering rich media content based on head position information
CN106067287B (zh) * 2015-04-21 2021-08-27 三星电子株式会社 显示装置以及用于控制该显示装置的方法
US10217439B2 (en) * 2016-02-04 2019-02-26 Apple Inc. Electronic device with ambient light sensor system
KR102442527B1 (ko) * 2016-02-26 2022-09-13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디바이스
KR102519397B1 (ko) * 2016-05-25 2023-04-12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의 구동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표시 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75326A (ko) * 2008-01-04 2009-07-08 주식회사 디엠테크놀로지 외부의 상황에 따라 밝기를 조절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조절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83153A (ko) * 2018-12-28 2020-07-08 바이두 유에스에이 엘엘씨 시각 기반의 메커니즘을 기반으로 하는 스마트 표시 장치의 디스플레이의 비활성화 방법 및 시스템
US11029741B2 (en) 2018-12-28 2021-06-08 Baidu Usa Llc Deactivating a display of a smart display device based on a vision-based mechanis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8117583A1 (en) 2018-06-28
US10467979B2 (en) 2019-11-05
US20190355324A1 (en) 2019-11-21
US20180174549A1 (en) 2018-06-21
EP3491831A4 (en) 2019-06-05
US10643571B2 (en) 2020-05-05
KR102136091B1 (ko) 2020-07-22
EP3491831A1 (en) 2019-06-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538501B2 (en) Method for generating video, and electronic device and readable storage medium thereof
US9686475B2 (en) Integrated light sensor for dynamic exposure adjustment
US9236003B2 (en) Display apparatus, user terminal apparatus, external apparatus, display method, data receiving method and data transmitting method
KR102664723B1 (ko) 프리뷰를 제공하는 방법 및 프리뷰를 표시하는 전자 장치
KR102140134B1 (ko) 전자장치의 화면 표시장치 및 방법
WO2018072271A1 (zh) 一种图像显示优化方法及装置
KR20180072983A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방법
KR102242407B1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US11122235B2 (en) Display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for
KR20170067674A (ko) 액정 디스플레이 방법 및 장치
KR102607214B1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20170067675A (ko) 액정 디스플레이 방법 및 장치
CN112116690B (zh) 视频特效生成方法、装置及终端
EP3745729B1 (e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WO2021098609A1 (zh) 图像检测方法、装置及电子设备
US9942483B2 (e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and method using display for auxiliary light
EP3664445B1 (en) Image processing method and device therefor
CN108734662B (zh) 显示图标的方法和装置
CN106506945A (zh) 一种控制方法及终端
US10643571B2 (en)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operating in a plurality of modes and displaying contents corresponding to the modes
CN105094323A (zh) 终端的夜间模式设置方法及装置
KR102349376B1 (ko) 전자 장치 및 그의 영상 보정 방법
US9503643B1 (e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of controlling same for capturing digital images
TW201428594A (zh) 透過顯示設備捕獲目標物資訊的顯示系統及顯示方法
CN112308104A (zh) 异常识别方法、装置及计算机存储介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