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42527B1 - 무선 디바이스 - Google Patents

무선 디바이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42527B1
KR102442527B1 KR1020160023542A KR20160023542A KR102442527B1 KR 102442527 B1 KR102442527 B1 KR 102442527B1 KR 1020160023542 A KR1020160023542 A KR 1020160023542A KR 20160023542 A KR20160023542 A KR 20160023542A KR 102442527 B1 KR102442527 B1 KR 10244252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wireless device
wfd
displayed
displa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235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100968A (ko
Inventor
배경남
황정환
신치호
황선호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0235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42527B1/ko
Priority to PCT/KR2016/005286 priority patent/WO2017146301A1/en
Priority to US15/169,578 priority patent/US9805688B2/en
Priority to CN201610437788.1A priority patent/CN107135193B/zh
Priority to EP16175096.3A priority patent/EP3211911B1/en
Publication of KR201701009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00968A/ko
Priority to US15/711,893 priority patent/US9978337B2/en
Priority to US15/977,735 priority patent/US10431183B2/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425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4252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5/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for visual indicators common to cathode-ray tube indicators and other visual indicators
    • G09G5/003Details of a display terminal, the details relating to the control arrangement of the display terminal and to the interfaces thereto
    • G09G5/005Adapting incoming signals to the display format of the display termina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06F3/04847Interaction techniques to control parameter settings, e.g. interaction with sliders or dial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06F3/04886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by partitioning the display area of the touch-screen or the surface of the digitising tablet into independently controllable areas, e.g. virtual keyboards or menu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G06F3/145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involving copying of the display data of a local workstation or window to a remote workstation or window so that an actual copy of the data is displayed simultaneously on two or more displays, e.g. teledispla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3/00Geometric image transformation in the plane of the image
    • G06T3/40Scaling the whole image or part thereof
    • G06T3/4092Image resolution transcoding, e.g. client/server architectur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5/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for supporting real-time applications in data packet communication
    • H04L65/60Network streaming of media packets
    • H04L65/65Network streaming protocols, e.g. real-time transport protocol [RTP] or real-time control protocol [RTCP]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35User-machine interface; Control console
    • H04N1/00405Output means
    • H04N1/00408Display of information to the user, e.g. menus
    • H04N1/0044Display of information to the user, e.g. menus for image preview or review, e.g. to help the user position a sheet
    • H04N1/00442Simultaneous viewing of a plurality of images, e.g. using a mosaic display arrangement of thumbnai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lementary server operations; Server middleware
    • H04N21/234Processing of video elementary streams, e.g. splicing of video streams, manipulating MPEG-4 scene graphs
    • H04N21/2343Processing of video elementary streams, e.g. splicing of video streams, manipulating MPEG-4 scene graphs involving reformatting operations of video signals for distribution or compliance with end-user requests or end-user device requirements
    • H04N21/234363Processing of video elementary streams, e.g. splicing of video streams, manipulating MPEG-4 scene graphs involving reformatting operations of video signals for distribution or compliance with end-user requests or end-user device requirements by altering the spatial resolution, e.g. for clients with a lower screen resolu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lementary server operations; Server middleware
    • H04N21/234Processing of video elementary streams, e.g. splicing of video streams, manipulating MPEG-4 scene graphs
    • H04N21/2343Processing of video elementary streams, e.g. splicing of video streams, manipulating MPEG-4 scene graphs involving reformatting operations of video signals for distribution or compliance with end-user requests or end-user device requirements
    • H04N21/234363Processing of video elementary streams, e.g. splicing of video streams, manipulating MPEG-4 scene graphs involving reformatting operations of video signals for distribution or compliance with end-user requests or end-user device requirements by altering the spatial resolution, e.g. for clients with a lower screen resolution
    • H04N21/234372Processing of video elementary streams, e.g. splicing of video streams, manipulating MPEG-4 scene graphs involving reformatting operations of video signals for distribution or compliance with end-user requests or end-user device requirements by altering the spatial resolution, e.g. for clients with a lower screen resolution for performing aspect ratio convers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lementary server operations; Server middleware
    • H04N21/236Assembling of a multiplex stream, e.g. transport stream, by combining a video stream with other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inserting a URL [Uniform Resource Locator] into a video stream, multiplexing software data into a video stream; Remultiplexing of multiplex streams; Insertion of stuffing bits into the multiplex stream, e.g. to obtain a constant bit-rate; Assembling of a packetised elementary stream
    • H04N21/2365Multiplexing of several video strea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5Management operations performed by the server for facilitating the content distribution or administrating data related to end-users or client devices, e.g. end-user or client device authentication, learning user preferences for recommending movies
    • H04N21/266Channel or content management, e.g. generation and management of keys and entitlement messages in a conditional access system, merging a VOD unicast channel into a multicast channel
    • H04N21/2662Controlling the complexity of the video stream, e.g. by scaling the resolution or bitrate of the video stream based on the client capabilit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6Interfacing a local distribution network, e.g. communicating with another STB or one or more peripheral devices inside the home
    • H04N21/4363Adapting the video or multiplex stream to a specific local network, e.g. a IEEE 1394 or Bluetooth® network
    • H04N21/43637Adapting the video or multiplex stream to a specific local network, e.g. a IEEE 1394 or Bluetooth® network involving a wireless protocol, e.g. Bluetooth, RF or wireless LAN [IEEE 802.11]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4Processing of video elementary streams, e.g. splicing a video clip retrieved from local storage with an incoming video stream, rendering scenes according to MPEG-4 scene graphs
    • H04N21/4402Processing of video elementary streams, e.g. splicing a video clip retrieved from local storage with an incoming video stream, rendering scenes according to MPEG-4 scene graphs involving reformatting operations of video signals for household redistribution, storage or real-time display
    • H04N21/440263Processing of video elementary streams, e.g. splicing a video clip retrieved from local storage with an incoming video stream, rendering scenes according to MPEG-4 scene graphs involving reformatting operations of video signals for household redistribution, storage or real-time display by altering the spatial resolution, e.g. for displaying on a connected PD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4Processing of video elementary streams, e.g. splicing a video clip retrieved from local storage with an incoming video stream, rendering scenes according to MPEG-4 scene graphs
    • H04N21/4402Processing of video elementary streams, e.g. splicing a video clip retrieved from local storage with an incoming video stream, rendering scenes according to MPEG-4 scene graphs involving reformatting operations of video signals for household redistribution, storage or real-time display
    • H04N21/440263Processing of video elementary streams, e.g. splicing a video clip retrieved from local storage with an incoming video stream, rendering scenes according to MPEG-4 scene graphs involving reformatting operations of video signals for household redistribution, storage or real-time display by altering the spatial resolution, e.g. for displaying on a connected PDA
    • H04N21/440272Processing of video elementary streams, e.g. splicing a video clip retrieved from local storage with an incoming video stream, rendering scenes according to MPEG-4 scene graphs involving reformatting operations of video signals for household redistribution, storage or real-time display by altering the spatial resolution, e.g. for displaying on a connected PDA for performing aspect ratio convers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43OS processes, e.g. booting an STB, implementing a Java virtual machine in an STB or power management in an STB
    • H04N21/4438Window management, e.g. event handling following interaction with the user interfa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85End-user interface for client configuration
    • H04N21/4858End-user interface for client configuration for modifying screen layout parameters, e.g. fonts, size of the window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60Network structure or processes for video distribution between server and client or between remote clients; Control signalling between clients, server and network components; Transmission of management data between server and client, e.g. sending from server to client commands for recording incoming content stream; Communication details between server and client 
    • H04N21/63Control signaling related to video distribution between client, server and network components; Network processes for video distribution between server and clients or between remote clients, e.g. transmitting basic layer and enhancement layers over different transmission paths, setting up a peer-to-peer communication via Internet between remote STB's; Communication protocols; Addressing
    • H04N21/643Communication protocols
    • H04N21/6437Real-time Transport Protocol [RTP]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18Information format or content conversion, e.g. adaptation by the network of the transmitted or received information for the purpose of wireless delivery to users or termi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10Connection setup
    • H04W76/14Direct-mode setup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Network data management
    • H04W8/005Discovery of network devices, e.g. termi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4/00Network topologies
    • H04W84/02Hierarchically pre-organised networks, e.g. paging networks, cellular networks, W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 or WLL [Wireless Local Loop]
    • H04W84/10Small scale networks; Flat hierarchical networks
    • H04W84/12W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8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8
    • G06F2203/04803Split screen, i.e. subdividing the display area or the window area into separate subarea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2200/00Indexing scheme for 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2200/16Indexing scheme for 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involving adaptation to the client's capabiliti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20/00Control of display operating conditions
    • G09G2320/06Adjustment of display parameters
    • G09G2320/0606Manual adjustment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40/00Aspects of display data processing
    • G09G2340/04Changes in size, position or resolution of an image
    • G09G2340/0407Resolution change, inclusive of the use of different resolutions for different screen area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40/00Aspects of display data processing
    • G09G2340/04Changes in size, position or resolution of an image
    • G09G2340/0492Change of orientation of the displayed image, e.g. upside-down, mirrored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54/00Aspects of interface with display user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70/00Aspects of data communication
    • G09G2370/16Use of wireless transmission of display information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와이파이 다이렉트 서비스를 지원하는 제1 무선 디바이스는 디스플레이부와 제2 무선 디바이스와의 연결 셋업을 수행하는 통신부 및 상기 디스플레이부 및 상기 통신부를 제어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1 무선 디바이스가 지원하는 복수의 해상도들을 포함하는 해상도 정보를 RTSP(Real-Time Streaming Protocol)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상기 제2 무선 디바이스에 전송하고, 상기 제2 무선 디바이스가 표시 중인 제1 영상의 해상도가 상기 복수의 해상도들에 포함되지 않는 경우, 상기 제1 영상 이외에 제2 영상을 포함하는 전체 영상을 상기 제2 무선 디바이스로부터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전체 영상 중 제2 영상을 제거하여 상기 제1 영상을 표시하고, 상기 제2 영상은 상기 제2 무선 디바이스가 표시 중인 제1 영상을 상기 복수의 해상도들 중 어느 하나의 해상도로 맞추어 표시하기 위해 삽입된 영상일 수 있다.

Description

무선 디바이스 {WIRELESS DEVICE}
본 발명은 무선 디바이스에 관한 것이다.
최근 정보통신 기술의 발전과 더불어 다양한 무선 통신 기술이 개발되고, 있다. 이 중에서 무선랜(WLAN)은 무선 주파수 기술을 바탕으로 개인 휴대용 정보 단말기(Personal Digital Assistant; PDA), 랩탑 컴퓨터, 휴대용 멀티미디어 플레이어(Portable Multimedia Player; PMP)등과 같은 휴대용 단말기를 이용하여 가정이나 기업 또는 특정 서비스 제공지역에서 무선으로 인터넷에 액세스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이다.
기존의 무선랜 시스템에서 기본적으로 요구되는 무선 액세스 포인트(AP) 없이, 디바이스(device)들이 서로 용이하게 연결할 수 있도록 하는 직접 통신 기술로서, 와이파이 다이렉트(Wi-Fi Direct) 또는 Wi-Fi P2P(peer-to-peer)의 도입이 논의되고 있다. 와이파이 다이렉트 표준 기술에 의하면 복잡한 설정과정을 거치지 않고도 디바이스들이 연결될 수 있고, 사용자에게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서, 일반적인 무선랜 시스템의 통신 속도로 서로 데이터를 주고 받는 동작을 지원할 수 있다.
최근 다양한 Wi-Fi 지원 디바이스들이 이용되며, 그 중에서도 AP 없이 Wi-Fi
디바이스간 통신이 가능한 Wi-Fi Direct 지원 디바이스의 개수가 증가하고 있다. WFA(Wi-Fi Alliance)에서는 Wi-Fi Direct 링크를 이용한 다양한 서비스(예를 들어, 전송(Send), 플레이(Play), 디스플레이(Display), 프린트(Print) 등)을 지원하는 플랫폼을 도입하는 기술이 논의되고 있다. 이를 와이파이 다이렉트 서비스(Wi-Fi Direct Service, WFDS)라고 칭할 수 있다.
WFDS 중 디스플레이 서비스는 P2P 디바이스들 사이에 화면 공유를 가능하게 하는 서비스가 있다. 화면 공유 서비스는 영상의 전송을 통해 무선 디바이스가 동일한 영상을 표시한다는 점에서 스크린 미러링(screen mirroring) 기술이라 불리기도 한다.
그러나, 기존의 화면 공유 서비스는 P2P 디바이스들 간의 영상의 전송 시, 화면 비율 또는 해상도가 맞지 않아 상하 또는 좌우에 블랙 영상(또는 레터 박스)과 같은 불필요한 영상을 포함시켜 전달할 수 밖에 없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다른 영상의 시청 중, 소스 장치가 표시하는 영상 이외의 불필요한 영상으로 인해, 시청에 방해가 되었다.
또한, 스크린 미러링시, 핸드폰과 같은 무선 디바이스는 처음부터 블랙 영상을 포함하지 않는 영상을 전달하는 경우도 있으나, 핸드폰이 세로 방향으로 배치된 상태의 세로 화면만을 전송할 뿐, 핸드폰이 가로 방향으로 배치되어도, 가로 화면을 전송하지 못하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와이파이 다이렉트 서비스 중 화면 공유 서비스가 제공될 시, 해상도 또는 화면 비율의 불일치로 인해 삽입되는 불필요한 영상을 제거하는 것에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와이파이 다이렉트 서비스 중 화면 공유 서비스가 제공될 시, 무선 디바이스의 배치 방향에 대응되는 영상을 제공하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와이파이 다이렉트 서비스를 지원하는 제1 무선 디바이스는 디스플레이부와 제2 무선 디바이스와의 연결 셋업을 수행하는 통신부 및 상기 디스플레이부 및 상기 통신부를 제어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1 무선 디바이스가 지원하는 복수의 해상도들을 포함하는 해상도 정보를 RTSP(Real-Time Streaming Protocol)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상기 제2 무선 디바이스에 전송하고, 상기 제2 무선 디바이스가 표시 중인 제1 영상의 해상도가 상기 복수의 해상도들에 포함되지 않는 경우, 상기 제1 영상 이외에 제2 영상을 포함하는 전체 영상을 상기 제2 무선 디바이스로부터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전체 영상 중 제2 영상을 제거하여 상기 제1 영상을 표시하고, 상기 제2 영상은 상기 제2 무선 디바이스가 표시 중인 제1 영상을 상기 복수의 해상도들 중 어느 하나의 해상도로 맞추어 표시하기 위해 삽입된 영상일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복수의 해상도들 중 상기 제2 무선 디바이스가 선택한 해상도를 갖는 상기 전체 영상을 상기 제2 무선 디바이스로부터 수신하고, 상기 제2 영상은 상기 제2 무선 디바이스가 표시 중인 제1 영상을 상기 복수의 해상도들 중 상기 제2 무선 디바이스가 선택한 해상도로 맞추어 표시하기 위해 삽입된 영상일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복수의 해상도들 중 상기 제2 무선 디바이스가 선택한 해상도의 영상을 전달하겠다는 메시지를 RTSP(Real-Time Streaming Protocol)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상기 제2 무선 디바이스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상기 제2 영상은 블랙 영상일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2 무선 디바이스가 표시 중인 상기 제1 영상의 해상도가 상기 해상도 정보에 포함된 경우, 상기 제2 무선 디바이스로부터 제1 영상만을 수신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2 무선 디바이스로부터 상기 전체 영상을 수신하기 전, 미디어 컨텐트의 영상을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전체 화면 상에 표시하고, 상기 제2 영상이 제거된 상태의 상기 제1 영상을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일부 화면 상에 표시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1 영상의 사이즈 및 투명도 중 하나 이상을 제어하기 위한 영상 조정 창을 상기 제1 영상과 별도의 영역 상에 더 표시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2 무선 디바이스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가상 버튼을 포함하는 제어 창을 상기 제1 영상이 표시되는 영역과 다른 영역 상에 표시하고, 상기 하나 이상의 가상 버튼을 선택하는 명령에 기초하여 상기 제2 무선 디바이스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일부 화면 상에 표시된 상기 제1 영상을 선택하는 명령을 수신하고, 수신된 명령에 따라 상기 제거된 제2 영상을 상기 제1 영상의 상하 또는 좌우에 표시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2 무선 디바이스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가상 버튼을 포함하는 제어 창을 상기 제2 영상이 위치한 영역 상에 더 표시하고, 상기 하나 이상의 가상 버튼을 선택하는 명령에 기초하여 상기 제2 무선 디바이스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2 영상이 제거된 상태의 제1 영상을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전체 화면 상에 표시하고, 상기 제1 영상의 사이즈 및 위치를 조절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영상 조정 창을 상기 제1 영상에 중첩하여 표시할 수 있다.
상기 제2 무선 디바이스가 표시 중인 제1 영상의 해상도가 상기 복수의 해상도들에 포함되지 않는 경우는 상기 제2 무선 다바이스의 표시 모드가 포트레이트 모드인 경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2 무선디바이스의 표시 모드가 상기 포트레이트 모드에서 랜드스케이프 모드로 전환된 경우, 상기 제1 영상을 상기 랜드스케이프 모드로 자동으로 전환하여 표시할 수 있다.
상기 제1 무선 디바이스가 지원 가능한 해상도들 각각은 가로 길이가 세로 길이보다 더 긴 화면 비율에 대응하는 해상도일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2 무선 디바이스와의 연결 셋업에 앞서, 상기 제2 무선 디바이스의 존재를 탐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와이파이 다이렉트 서비스 중 화면 공유 서비스가 제공될 시, 해상도 또는 화면 비율의 불일치로 인해 삽입되는 불필요한 영상이 제거되어, 사용자는 다른 영상의 시청에 방해를 받지 않을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WFD 소스가 표시하는 영상을 WFD 싱크를 통해 시청하면서, 다른 작업을 원활하게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WFD 싱크는 WFD 소스의 배치 방향에 대응하는 영상을 수신하므로, 사용자는 영상의 방향을 전환하는 불필요한 작업이 필요 없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구성을 블록도로 도시한 것이다.
도 2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원격제어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원격제어장치의 실제 구성 예를 보여준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원격 제어 장치를 활용하는 예를 보여준다.
도 5는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WFD 소스 및 WFD 싱크 사이 WFD 세션이 구축되어 화면 공유 서비스가 제공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래더 다이어 그램이다.
도 7a 내지 도 7c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WFD 싱크가 WFD 소스에 전송하는 해상도 정보를 나타내는 테이블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a 내지 도 8c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WFD 소스와 WFD 싱크가 화면을 공유하는 디스플레이 서비스를 제공할 시, WFD 소스가 표시 중인 영상 이외의 영상을 포함시켜 WFD 싱크에 전송하는 예를 설명하는 도면이고, 도 8d는 와이파이 디스플레이 표준을 따르지 않는 스마트 폰과 PC 간 영상을 공유하는 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9a 내지 도 9d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WFD 소스로부터 수신된 전체 영상 중 WFD 소스가 표시하는 영상만을 표시하는 과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0a 및 도 10b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WFD 소스로부터 수신된 전체 영상 중 제2 영상이 제거된 상태의 제1 영상을 조정하는 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WFD 소스로부터 스트리밍 중인 제1 영상을 표시하다가, 제2 영상을 포함하는 영상으로 되돌아가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2a 내지 도 12c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WFD 소스로부터 수신 중인 영상을 제어하는 과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3a 내지 도 13c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WFD 싱크의 분할 화면 상에 WFD 소스로부터 수신된 제1 영상이 표시되는 경우, 제2 영상이 제거됨에 따라 발생되는 제1 영상의 왜곡을 조정하는 과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무선 디바이스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과 관련된 실시 예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예를 들어 방송 수신 기능에 컴퓨터 지원 기능을 추가한 지능형 디스플레이 장치로서, 방송 수신 기능에 충실하면서도 인터넷 기능 등이 추가되어, 수기 방식의 입력 장치, 터치 스크린 또는 공간 리모콘 등 보다 사용에 편리한 인터페이스를 갖출 수 있다. 그리고, 유선 또는 무선 인터넷 기능의 지원으로 인터넷 및 컴퓨터에 접속되어, 이메일, 웹브라우징, 뱅킹 또는 게임 등의 기능도 수행가능하다. 이러한 다양한 기능을 위해 표준화된 범용 OS가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기술되는 디스플레이 장치는, 예를 들어 범용의 OS 커널 상에, 다양한 애플리케이션이 자유롭게 추가되거나 삭제 가능하므로, 사용자 친화적인 다양한 기능이 수행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는, 보다 구체적으로 예를 들면, 네트워크 TV, HBBTV, 스마트 TV, LED TV, OLED TV 등이 될 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 스마트폰에도 적용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구성을 블록도로 도시한 것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방송 수신부(130),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5), 저장부(140),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150), 제어부(170), 무선 통신부(173), 디스플레이부(180), 오디오 출력부(185), 전원공급부(590)를 포함할 수 있다.
방송 수신부(130)는 튜너(131), 복조부(132) 및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3)를 포함할 수 있다.
튜너(131)는 채널 선국 명령에 따라 특정 방송 채널을 선국할 수 있다. 튜너(131)는 선국된 특정 방송 채널에 대한 방송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복조부(132)는 수신한 방송 신호를 비디오 신호, 오디오 신호, 방송 프로그램과 관련된 데이터 신호로 분리할 수 있고, 분리된 비디오 신호, 오디오 신호 및 데이터 신호를 출력이 가능한 형태로 복원할 수 있다.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5)는 인접하는 외부 장치 내의 애플리케이션 또는 애플리케이션 목록을 수신하여, 제어부(170) 또는 저장부(140)로 전달할 수 있다.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5)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외부 장치 간의 연결 경로를 제공할 수 있다.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5)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무선 또는 유선으로 연결된 외부장치로부터 출력된 영상, 오디오 중 하나 이상을 수신하여, 제어부(170)로 전달할 수 있다.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5)는 복수의 외부 입력 단자들을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외부 입력 단자들은 RGB 단자, 하나 이상의 HDMI(High 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단자, 컴포넌트(Component) 단자를 포함할 수 있다.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5)를 통해 입력된 외부장치의 영상 신호는 디스플레이부(180)를 통해 출력될 수 있다.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5)를 통해 입력된 외부장치의 음성 신호는 오디오 출력부(185)를 통해 출력될 수 있다.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5)에 연결 가능한 외부 장치는 셋톱박스, 블루레이 플레이어, DVD 플레이어, 게임기, 사운드 바, 스마트폰, PC, USB 메모리, 홈 씨어터 중 어느 하나일 수 있으나, 이는 예시에 불과하다.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3)는 디스플레이 장치(100)를 인터넷망을 포함하는 유/무선 네트워크와 연결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3)는 접속된 네트워크 또는 접속된 네트워크에 링크된 다른 네트워크를 통해, 다른 사용자 또는 다른 전자 기기와 데이터를 송신 또는 수신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미리 등록된 다른 사용자 또는 다른 전자 기기 중 선택된 사용자 또는 선택된 전자기기에,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저장된 일부의 컨텐츠 데이터를 송신할 수 있다.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3)는 접속된 네트워크 또는 접속된 네트워크에 링크된 다른 네트워크를 통해, 소정 웹 페이지에 접속할 수 있다. 즉, 네트워크를 통해 소정 웹 페이지에 접속하여, 해당 서버와 데이터를 송신 또는 수신할 수 있다.
그리고,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3)는 컨텐츠 제공자 또는 네트워크 운영자가 제공하는 컨텐츠 또는 데이터들을 수신할 수 있다. 즉,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3)는 네트워크를 통하여 컨텐츠 제공자 또는 네트워크 제공자로부터 제공되는 영화, 광고, 게임, VOD, 방송 신호 등의 컨텐츠 및 그와 관련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3)는 네트워크 운영자가 제공하는 펌웨어의 업데이트 정보 및 업데이트 파일을 수신할 수 있으며, 인터넷 또는 컨텐츠 제공자 또는 네트워크 운영자에게 데이터들을 송신할 수 있다.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3)는 네트워크를 통해, 공중에 공개(open)된 애플리케이션들 중 원하는 애플리케이션을 선택하여 수신할 수 있다.
저장부(140)는 제어부(170) 내의 각 신호 처리 및 제어를 위한 프로그램이 저장하고, 신호 처리된 영상, 음성 또는 데이터신호를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저장부(140)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5) 또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3)로부터 입력되는 영상, 음성, 또는 데이터 신호의 임시 저장을 위한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으며, 채널 기억 기능을 통하여 소정 이미지에 관한 정보를 저장할 수도 있다.
저장부(140)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5) 또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3)로부터 입력되는 애플리케이션 또는 애플리케이션 목록을 저장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저장부(140) 내에 저장되어 있는 컨텐츠 파일(동영상 파일, 정지영상 파일, 음악 파일, 문서 파일, 애플리케이션 파일 등)을 재생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150)는 사용자가 입력한 신호를 제어부(170)로 전달하거나, 제어부(170)로부터의 신호를 사용자에게 전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150)는 블루투스(Bluetooth), WB(Ultra Wideband), 지그비(ZigBee) 방식, RF(Radio Frequency) 통신 방식 또는 적외선(IR) 통신 방식 등 다양한 통신 방식에 따라, 원격제어장치(200)로부터 전원 온/오프, 채널 선택, 화면 설정 등의 제어 신호를 수신하여 처리하거나, 제어부(170)로부터의 제어 신호를 원격제어장치(200)로 송신하도록 처리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150)는, 전원키, 채널키, 볼륨키, 설정치 등의 로컬키(미도시)에서 입력되는 제어 신호를 제어부(170)에 전달할 수 있다.
제어부(170)에서 영상 처리된 영상 신호는 디스플레이부(180)로 입력되어 해당 영상 신호에 대응하는 영상으로 표시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70)에서 영상 처리된 영상 신호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5)를 통하여 외부 출력장치로 입력될 수 있다.
제어부(170)에서 처리된 음성 신호는 오디오 출력부(185)로 오디오 출력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70)에서 처리된 음성 신호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5)를 통하여 외부 출력장치로 입력될 수 있다.
그 외, 제어부(17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 내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70)는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150)를 통하여 입력된 사용자 명령 또는 내부 프로그램에 의하여 디스플레이 장치(100)를 제어할 수 있으며, 네트워크에 접속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애플리케이션 또는 애플리케이션 목록을 디스플레이 장치(100) 내로 다운받을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제어부(170)는 사용자가 선택한 채널 정보 등이 처리한 영상 또는 음성신호와 함께 디스플레이부(180) 또는 오디오 출력부(185)를 통하여 출력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제어부(170)는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150)를 통하여 수신한 외부장치 영상 재생 명령에 따라,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5)를 통하여 입력되는 외부 장치, 예를 들어, 카메라 또는 캠코더로부터의, 영상 신호 또는 음성 신호가 디스플레이부(180) 또는 오디오 출력부(185)를 통해 출력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제어부(170)는 영상을 표시하도록 디스플레이부(180)를 제어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튜너(131)를 통해 입력되는 방송 영상, 또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5)를 통해 입력되는 외부 입력 영상, 또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입력되는 영상, 또는 저장부(140)에 저장된 영상이 디스플레이부(180)에서 표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 경우, 디스플레이부(180)에 표시되는 영상은 정지 영상 또는 동영상일 수 있으며, 2D 영상 또는 3D 영상일 수 있다.
또한, 제어부(17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 내에 저장된 컨텐츠, 또는 수신된 방송 컨텐츠, 외부로 부터 입력되는 외부 입력 컨텐츠가 재생되도록 제어할 수 있으며, 상기 컨텐츠는 방송 영상, 외부 입력 영상, 오디오 파일, 정지 영상, 접속된 웹 화면, 및 문서 파일 등 다양한 형태일 수 있다.
무선 통신부(173)는 유선 또는 무선 통신을 통해 외부 기기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무선 통신부(173)는 외부 기기와 근거리 통신(Short range communication)을 수행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무선 통신부(173)는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nfrared Data Association; IrDA), UWB(Ultra Wideband), ZigBee, NFC(Near Field Communication), Wi-Fi(Wireless-Fidelity), Wi-Fi Direct, Wireless USB(Wireless Universal Serial Bus) 기술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근거리 통신을 지원할 수 있다. 이러한, 무선 통신부(173)는 근거리 무선 통신망(Wireless Area Networks)을 통해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무선 통신 시스템 사이,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다른 디스플레이 장치(100) 사이, 또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디스플레이 장치(100, 또는 외부서버)가 위치한 네트워크 사이의 무선 통신을 지원할 수 있다. 근거리 무선 통신망은 근거리 무선 개인 통신망(Wireless Personal Area Networks)일 수 있다.
여기에서, 다른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데이터를 상호 교환하는 것이 가능한(또는 연동 가능한) 웨어러블 디바이스(wearable device, 예를 들어, 스마트워치(smartwatch), 스마트 글래스(smart glass), HMD(head mounted display)), 스마트 폰과 같은 이동 단말기가 될 수 있다. 무선 통신부(173)는 디스플레이 장치(100) 주변에, 통신 가능한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감지(또는 인식)할 수 있다. 나아가, 제어부(170)는 감지된 웨어러블 디바이스가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통신하도록 인증된 디바이스인 경우, 디스플레이 장치(100)에서 처리되는 데이터의 적어도 일부를, 무선 통신부(173)를 통해 웨어러블 디바이스로 송신할 수 있다. 따라서,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사용자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에서 처리되는 데이터를,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통해 이용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80)는 제어부(170)에서 처리된 영상 신호, 데이터 신호, OSD 신호 또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5)에서 수신되는 영상 신호, 데이터 신호 등을 각각 R,G,B 신호로 변환하여 구동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한편, 도 1에 도시된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불과하므로. 도시된 구성요소들 중 일부는 실제 구현되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사양에 따라 통합, 추가, 또는 생략될 수 있다.
즉, 필요에 따라 2 이상의 구성요소가 하나의 구성요소로 합쳐지거나, 혹은 하나의 구성요소가 2 이상의 구성요소로 세분되어 구성될 수 있다. 또한, 각 블록에서 수행하는 기능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그 구체적인 동작이나 장치는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제한하지 아니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달리, 튜너(131)와 복조부(132)를 구비하지 않고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3) 또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5)를 통해서 영상을 수신하여 재생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방송 신호 또는 다양한 네트워크 서비스에 따른 컨텐츠들을 수신하기 위한 등과 같은 셋탑 박스 등과 같은 영상 처리 장치와 상기 영상 처리 장치로부터 입력되는 컨텐츠를 재생하는 컨텐츠 재생 장치로 분리되어 구현될 수 있다.
이 경우, 이하에서 설명할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동작 방법은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은 디스플레이 장치(100)뿐 아니라, 상기 분리된 셋탑 박스 등과 같은 영상 처리 장치 또는 디스플레이부(180) 및 오디오출력부(185)를 구비하는 컨텐츠 재생 장치 중 어느 하나에 의해 수행될 수도 있다.
다음으로, 도 2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원격제어장치에 대해 설명한다.
도 2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원격제어장치의 블록도이고, 도 3은 본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원격제어장치(200)의 실제 구성 예를 보여준다.
먼저, 도 2를 참조하면, 원격제어장치(200)는 지문인식부(210), 무선통신부(220), 사용자 입력부(230), 센서부(240), 출력부(250), 전원공급부(260), 저장부(270), 제어부(280), 음성 획득부(29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을 참조하면, 무선통신부(225)는 전술하여 설명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 중 임의의 어느 하나와 신호를 송수신한다.
원격제어장치(200)는 RF 통신규격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는 RF 모듈(221)을 구비하며, IR 통신규격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는 IR 모듈(223)을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원격제어장치(200)는 블루투스 통신규격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는 블루투스 모듈(225)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원격제어장치(200)는 NFC(Near Field Communication) 통신 규격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신호를 송수할 수 있는 NFC 모듈(227)을 구비하며, WLAN(Wireless LAN) 통신 규격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는 WLAN 모듈(229)을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원격제어장치(20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로 원격제어장치(200)의 움직임 등에 관한 정보가 담긴 신호를 무선 통신부(220)를 통해 전송한다.
한편, 원격제어장치(20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전송한 신호를 RF 모듈(221)을 통하여 수신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IR 모듈(223)을 통하여 디스플레이 장치(100)로 전원 온/오프, 채널 변경, 볼륨 변경 등에 관한 명령을 전송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230)는 키패드, 버튼, 터치 패드, 또는 터치 스크린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사용자는 사용자 입력부(230)를 조작하여 원격제어장치(200)으로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관련된 명령을 입력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230)가 하드키 버튼을 구비할 경우 사용자는 하드키 버튼의 푸쉬 동작을 통하여 원격제어장치(200)으로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관련된 명령을 입력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3을 참조하면, 원격제어장치(200)는 복수의 버튼을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버튼은 지문 인식 버튼(212), 전원 버튼(231), 홈 버튼(232), 라이브 버튼(233), 외부 입력 버튼(234), 음량 조절 버튼(235), 음성 인식 버튼(236), 채널 변경 버튼(237), 확인 버튼(238) 및 뒤로 가기 버튼(239)을 포함할 수 있다.
지문 인식 버튼(212)은 사용자의 지문을 인식하기 위한 버튼일 수 있다. 일 실시예로, 지문 인식 버튼(212)은 푸쉬 동작이 가능하여, 푸쉬 동작 및 지문 인식 동작을 수신할 수도 있다. 전원 버튼(231)은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전원을 온/오프 하기 위한 버튼일 수 있다. 홈 버튼(232)은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홈 화면으로 이동하기 위한 버튼일 수 있다. 라이브 버튼(233)은 실시간 방송 프로그램을 디스플레이 하기 위한 버튼일 수 있다. 외부 입력 버튼(234)은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연결된 외부 입력을 수신하기 위한 버튼일 수 있다. 음량 조절 버튼(235)은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출력하는 음량의 크기를 조절하기 위한 버튼일 수 있다. 음성 인식 버튼(236)은 사용자의 음성을 수신하고, 수신된 음성을 인식하기 위한 버튼일 수 있다. 채널 변경 버튼(237)은 특정 방송 채널의 방송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버튼일 수 있다. 확인 버튼(238)은 특정 기능을 선택하기 위한 버튼일 수 있고, 뒤로 가기 버튼(239)은 이전 화면으로 되돌아가기 위한 버튼일 수 있다.
다시 도 2를 설명한다.
사용자 입력부(230)가 터치스크린을 구비할 경우 사용자는 터치스크린의 소프트키를 터치하여 원격제어장치(200)로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관련된 명령을 입력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입력부(230)는 스크롤 키나, 조그 키 등 사용자가 조작할 수 있는 다양한 종류의 입력수단을 구비할 수 있으며 본 실시 예는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제한하지 아니한다.
센서부(240)는 자이로 센서(241) 또는 가속도 센서(243)를 구비할 수 있으며, 자이로 센서(241)는 원격제어장치(200)의 움직임에 관한 정보를 센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자이로 센서(241)는 원격제어장치(200)의 동작에 관한 정보를 x,y,z 축을 기준으로 센싱할 수 있으며, 가속도 센서(243)는 원격제어장치(200)의 이동속도 등에 관한 정보를 센싱할 수 있다. 한편, 원격제어장치(200)는 거리측정센서를 더 구비할 수 있어,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디스플레이부(180)와의 거리를 센싱할 수 있다.
출력부(250)는 사용자 입력부(235)의 조작에 대응하거나 디스플레이 장치(100)에서 전송한 신호에 대응하는 영상 또는 음성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출력부(250)를 통하여 사용자는 사용자 입력부(235)의 조작 여부 또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제어 여부를 인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출력부(250)는 사용자 입력부(235)가 조작되거나 무선 통신부(225)를 통하여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신호가 송수신되면 점등되는 LED 모듈(251), 진동을 발생하는 진동 모듈(253), 음향을 출력하는 음향 출력 모듈(255), 또는 영상을 출력하는 디스플레이 모듈(257)을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전원공급부(260)는 원격제어장치(200)으로 전원을 공급하며, 원격제어장치(200)이 소정 시간 동안 움직이지 않은 경우 전원 공급을 중단함으로서 전원 낭비를 줄일 수 있다. 전원공급부(260)는 원격제어장치(200)에 구비된 소정 키가 조작된 경우에 전원 공급을 재개할 수 있다.
저장부(270)는 원격제어장치(200)의 제어 또는 동작에 필요한 여러 종류의 프로그램, 애플리케이션 데이터 등이 저장될 수 있다. 만일 원격제어장치(200)가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RF 모듈(221)을 통하여 무선으로 신호를 송수신할 경우 원격제어장치(200)과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소정 주파수 대역을 통하여 신호를 송수신한다.
원격제어장치(200)의 제어부(280)는 원격제어장치(200)과 페어링된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신호를 무선으로 송수신할 수 있는 주파수 대역 등에 관한 정보를 저장부(270)에 저장하고 참조할 수 있다.
제어부(280)는 원격제어장치(200)의 제어에 관련된 제반사항을 제어한다. 제어부(280)는 사용자 입력부(235)의 소정 키 조작에 대응하는 신호 또는 센서부(240)에서 센싱한 원격제어장치(200)의 움직임에 대응하는 신호를 무선 통신부(225)를 통하여 디스플레이 장치(100)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원격제어장치(200)의 음성 획득부(290)는 음성을 획득할 수 있다.
음성 획득부(290)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마이크(291)을 포함할 수 있고, 마이크(291)를 통해 음성을 획득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4를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원격 제어 장치를 활용하는 예를 보여준다.
도 4의 (a)는 원격 제어 장치(200)에 대응하는 포인터(205)가 디스플레이부(180)에 표시되는 것을 예시한다.
사용자는 원격 제어 장치(200)를 상하, 좌우로 움직이거나 회전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디스플레이부(180)에 표시된 포인터(205)는 원격 제어 장치(200)의 움직임에 대응한다. 이러한 원격 제어 장치(200)는, 도면과 같이, 3D 공간 상의 움직임에 따라 해당 포인터(205)가 이동되어 표시되므로, 공간 리모콘이라 명명할 수 있다.
도 4의 (b)는 사용자가 원격 제어 장치(200)를 왼쪽으로 이동하면,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디스플레이부(180)에 표시된 포인터(205)도 이에 대응하여 왼쪽으로 이동하는 것을 예시한다.
원격 제어 장치(200)의 센서를 통하여 감지된 원격 제어 장치(200)의 움직임에 관한 정보는 디스플레이 장치(100)로 전송된다.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원격 제어 장치(200)의 움직임에 관한 정보로부터 포인터(205)의 좌표를 산출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산출한 좌표에 대응하도록 포인터(205)를 표시할 수 있다.
도 4의 (c)는, 원격 제어 장치(200) 내의 특정 버튼을 누른 상태에서, 사용자가 원격 제어 장치(200)를 디스플레이부(180)에서 멀어지도록 이동하는 경우를 예시한다. 이에 의해, 포인터(205)에 대응하는 디스플레이부(180) 내의 선택 영역이 줌인되어 확대 표시될 수 있다.
이와 반대로, 사용자가 원격 제어 장치(200)를 디스플레이부(180)에 가까워지도록 이동하는 경우, 포인터(205)에 대응하는 디스플레이부(180) 내의 선택 영역이 줌아웃되어 축소 표시될 수 있다.
한편, 원격 제어 장치(200)가 디스플레이부(180)에서 멀어지는 경우, 선택 영역이 줌아웃되고, 원격 제어 장치(200)가 디스플레이부(180)에 가까워지는 경우, 선택 영역이 줌인될 수도 있다.
또한, 원격 제어 장치(200) 내의 특정 버튼을 누른 상태에서는 상하, 좌우 이동의 인식이 배제될 수 있다. 즉, 원격 제어 장치(200)가 디스플레이부(180)에서 멀어지거나 접근하도록 이동하는 경우, 상, 하, 좌, 우 이동은 인식되지 않고, 앞뒤 이동만 인식되도록 할 수 있다. 원격 제어 장치(200) 내의 특정 버튼을 누르지 않은 상태에서는, 원격 제어 장치(200)의 상, 하, 좌, 우 이동에 따라 포인터(205)만 이동하게 된다.
한편, 포인터(205)의 이동속도나 이동방향은 원격 제어 장치(200)의 이동속도나 이동방향에 대응할 수 있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의 포인터는, 원격 제어 장치(200)의 동작에 대응하여, 디스플레이부(180)에 표시되는 오브젝트를 의미한다. 따라서, 포인터(205)로 도면에 도시된 화살표 형상 외에 다양한 형상의 오브젝트가 가능하다. 예를 들어, 점, 커서, 프롬프트, 두꺼운 외곽선 등을 포함하는 개념일 수 있다. 그리고, 포인터(205)가 디스플레이부(180) 상의 가로축과 세로축 중 어느 한 지점(point)에 대응하여 표시되는 것은 물론, 선(line), 면(surface) 등 복수 지점에 대응하여 표시되는 것도 가능하다.
다음으로,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의 구성을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이동 단말기(500)는 무선 통신부(510), 입력부(520), 센싱부(540), 출력부(550), 인터페이스부(560), 메모리(570), 제어부(580) 및 전원 공급부(59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은 이동 단말기를 구현하는데 있어서 필수적인 것은 아니어서, 본 명세서 상에서 설명되는 이동 단말기는 위에서 열거된 구성요소들 보다 많거나, 또는 적은 구성요소들을 가질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구성요소들 중 무선 통신부(510)는, 이동 단말기(500)와 무선 통신 시스템 사이, 이동 단말기(500)와 다른 이동 단말기(500) 사이, 또는 이동 단말기(500)와 외부서버 사이의 무선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하나 이상의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무선 통신부(510)는, 이동 단말기(500)를 하나 이상의 네트워크에 연결하는 하나 이상의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무선 통신부(510)는 방송 수신 모듈(511), 이동통신 모듈(512), 무선 인터넷 모듈(513), 근거리 통신 모듈(514), 위치정보 모듈(515)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입력부(520)는, 영상 신호 입력을 위한 카메라(521) 또는 영상 입력부, 오디오 신호 입력을 위한 마이크로폰(microphone, 522), 또는 오디오 입력부, 사용자로부터 정보를 입력 받기 위한 사용자 입력부(523, 예를 들어, 터치키(touch key), 푸시키(mechanical key) 등)를 포함할 수 있다. 입력부(520)에서 수집한 음성 데이터나 이미지 데이터는 분석되어 사용자의 제어명령으로 처리될 수 있다.
센싱부(540)는 이동 단말기 내 정보, 이동 단말기를 둘러싼 주변 환경 정보 및 사용자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센싱 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센싱부(540)는 근접센서(541, proximity sensor), 조도 센서(542, illumination sensor), 터치 센서(touch sensor), 가속도 센서(acceleration sensor), 자기 센서(magnetic sensor), 중력 센서(G-sensor), 자이로스코프 센서(gyroscope sensor), 모션 센서(motion sensor), RGB 센서, 적외선 센서(IR 센서: infrared sensor), 지문인식 센서(finger scan sensor), 초음파 센서(ultrasonic sensor), 광 센서(optical sensor, 예를 들어, 카메라(121 참조)), 마이크로폰(microphone, 122 참조), 배터리 게이지(battery gauge), 환경 센서(예를 들어, 기압계, 습도계, 온도계, 방사능 감지 센서, 열 감지 센서, 가스 감지 센서 등), 화학 센서(예를 들어, 전자 코, 헬스케어 센서, 생체 인식 센서 등)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명세서에 개시된 이동 단말기는, 이러한 센서들 중 적어도 둘 이상의 센서에서 센싱 되는 정보들을 조합하여 활용할 수 있다.
출력부(550)는 시각, 청각 또는 촉각 등과 관련된 출력을 발생시키기 위한 것으로, 디스플레이부(551), 음향 출력부(552), 햅틱 모듈(553), 광 출력부(554)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551)는 터치 센서와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루거나 일체형으로 형성됨으로써, 터치 스크린을 구현할 수 있다. 이러한 터치 스크린은, 이동 단말기(500)와 사용자 사이의 입력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사용자 입력부(523)로써 기능함과 동시에, 이동 단말기(500)와 사용자 사이의 출력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부(560)는 이동 단말기(500)에 연결되는 다양한 종류의 외부 기기와의 통로 역할을 수행한다. 이러한 인터페이스부(560)는, 유/무선 헤드셋 포트(port), 외부 충전기 포트(port), 유/무선 데이터 포트(port), 메모리 카드(memory card) 포트, 식별 모듈이 구비된 장치를 연결하는 포트(port), 오디오 I/O(Input/Output) 포트(port), 비디오 I/O(Input/Output) 포트(port), 이어폰 포트(port)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동 단말기(500)에서는, 상기 인터페이스부(560)에 외부 기기가 연결되는 것에 대응하여, 연결된 외부 기기와 관련된 적절할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메모리(570)는 이동 단말기(500)의 다양한 기능을 지원하는 데이터를 저장한다. 메모리(570)는 이동 단말기(500)에서 구동되는 다수의 응용 프로그램(application program 또는 애플리케이션(application)), 이동 단말기(500)의 동작을 위한 데이터들, 명령어들을 저장할 수 있다. 이러한 응용 프로그램 중 적어도 일부는, 무선 통신을 통해 외부 서버로부터 다운로드 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응용 프로그램 중 적어도 일부는, 이동 단말기(500)의 기본적인 기능(예를 들어, 전화 착신, 발신 기능, 메시지 수신, 발신 기능)을 위하여 출고 당시부터 이동 단말기(500)상에 존재할 수 있다. 한편, 응용 프로그램은, 메모리(570)에 저장되고, 이동 단말기(500) 상에 설치되어, 제어부(580)에 의하여 상기 이동 단말기의 동작(또는 기능)을 수행하도록 구동될 수 있다.
제어부(580)는 상기 응용 프로그램과 관련된 동작 외에도, 통상적으로 이동 단말기(5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제어부(580)는 위에서 살펴본 구성요소들을 통해 입력 또는 출력되는 신호, 데이터, 정보 등을 처리하거나 메모리(570)에 저장된 응용 프로그램을 구동함으로써, 사용자에게 적절한 정보 또는 기능을 제공 또는 처리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580)는 메모리(570)에 저장된 응용 프로그램을 구동하기 위하여, 도 5와 함께 살펴본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일부를 제어할 수 있다. 나아가, 제어부(580)는 상기 응용 프로그램의 구동을 위하여, 이동 단말기(500)에 포함된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둘 이상을 서로 조합하여 동작시킬 수 있다.
전원공급부(590)는 제어부(580)의 제어 하에서, 외부의 전원, 내부의 전원을 인가 받아 이동 단말기(500)에 포함된 각 구성요소들에 전원을 공급한다. 이러한 전원공급부(590)는 배터리를 포함하며, 상기 배터리는 내장형 배터리 또는 교체 가능한 형태의 배터리가 될 수 있다.
상기 각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일부는, 이하에서 설명되는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동작, 제어, 또는 제어방법을 구현하기 위하여 서로 협력하여 동작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동 단말기의 동작, 제어, 또는 제어방법은 상기 메모리(570)에 저장된 적어도 하나의 응용 프로그램의 구동에 의하여 이동 단말기 상에서 구현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위에서 살펴본 이동 단말기(500)를 통하여 구현되는 다양한 실시 예들을 살펴보기에 앞서, 위에서 열거된 구성요소들에 대하여 도 5를 참조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먼저, 무선 통신부(510)에 대하여 살펴보면, 무선 통신부(510)의 방송 수신 모듈(511)은 방송 채널을 통하여 외부의 방송 관리 서버로부터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된 정보를 수신한다. 상기 방송 채널은 위성 채널, 지상파 채널을 포함할 수 있다. 적어도 두 개의 방송 채널들에 대한 동시 방송 수신 또는 방송 채널 스위칭을 위해 둘 이상의 상기 방송 수신 모듈이 상기 이동단말기(100)에 제공될 수 있다.
이동통신 모듈(512)은, 이동통신을 위한 기술표준들 또는 통신방식(예를 들어,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 CDMA(Code Division Multi Access), CDMA2000(Code Division Multi Access 2000), EV-DO(Enhanced Voice-Data Optimized or Enhanced Voice-Data Only), WCDMA(Wideband CDMA),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HSUPA(High Speed Uplink Packet Access), LTE(Long Term Evolution), LTE-A(Long Term Evolution-Advanced) 등)에 따라 구축된 이동 통신망 상에서 기지국, 외부의 단말, 서버 중 적어도 하나와 무선 신호를 송수신한다.
상기 무선 신호는, 음성 호 신호, 화상 통화 호 신호 또는 문자/멀티미디어 메시지 송수신에 따른 다양한 형태의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무선 인터넷 모듈(513)은 무선 인터넷 접속을 위한 모듈을 말하는 것으로, 이동 단말기(500)에 내장되거나 외장될 수 있다. 무선 인터넷 모듈(513)은 무선 인터넷 기술들에 따른 통신망에서 무선 신호를 송수신하도록 이루어진다.
무선 인터넷 기술로는, 예를 들어 WLAN(Wireless LAN), Wi-Fi(Wireless-Fidelity), Wi-Fi(Wireless Fidelity) Direct, DLNA(Digital Living Network Alliance), WiBro(Wireless Broadband),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HSUPA(High Speed Uplink Packet Access), LTE(Long Term Evolution), LTE-A(Long Term Evolution-Advanced) 등이 있으며, 상기 무선 인터넷 모듈(513)은 상기에서 나열되지 않은 인터넷 기술까지 포함한 범위에서 적어도 하나의 무선 인터넷 기술에 따라 데이터를 송수신하게 된다.
WiBro, HSDPA, HSUPA, GSM, CDMA, WCDMA, LTE, LTE-A 등에 의한 무선인터넷 접속은 이동통신망을 통해 이루어진다는 관점에서 본다면, 상기 이동통신망을 통해 무선인터넷 접속을 수행하는 상기 무선 인터넷 모듈(513)은 상기 이동통신 모듈(512)의 일종으로 이해될 수도 있다.
근거리 통신 모듈(514)은 근거리 통신(Short range communication)을 위한 것으로서,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nfrared Data Association; IrDA), UWB(Ultra Wideband), ZigBee, NFC(Near Field Communication), Wi-Fi(Wireless-Fidelity), Wi-Fi Direct, Wireless USB(Wireless Universal Serial Bus) 기술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근거리 통신을 지원할 수 있다. 이러한, 근거리 통신 모듈(514)은, 근거리 무선 통신망(Wireless Area Networks)을 통해 이동 단말기(500)와 무선 통신 시스템 사이, 이동 단말기(500)와 다른 이동 단말기(500) 사이, 또는 이동 단말기(500)와 다른 이동 단말기(100, 또는 외부서버)가 위치한 네트워크 사이의 무선 통신을 지원할 수 있다.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망은 근거리 무선 개인 통신망(Wireless Personal Area Networks)일 수 있다.
여기에서, 다른 이동 단말기(500)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500)와 데이터를 상호 교환하는 것이 가능한(또는 연동 가능한) 웨어러블 디바이스(wearable device, 예를 들어, 스마트워치(smartwatch), 스마트 글래스(smart glass), HMD(head mounted display))가 될 수 있다. 근거리 통신 모듈(514)은, 이동 단말기(500) 주변에, 상기 이동 단말기(500)와 통신 가능한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감지(또는 인식)할 수 있다. 나아가, 제어부(580)는 상기 감지된 웨어러블 디바이스가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500)와 통신하도록 인증된 디바이스인 경우, 이동 단말기(500)에서 처리되는 데이터의 적어도 일부를, 상기 근거리 통신 모듈(514)을 통해 웨어러블 디바이스로 송신할 수 있다. 따라서,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사용자는, 이동 단말기(500)에서 처리되는 데이터를,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통해 이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에 따르면 사용자는, 이동 단말기(500)에 전화가 수신된 경우,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통해 전화 통화를 수행하거나, 이동 단말기(500)에 메시지가 수신된 경우,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통해 상기 수신된 메시지를 확인하는 것이 가능하다.
위치정보 모듈(515)은 이동 단말기의 위치(또는 현재 위치)를 획득하기 위한 모듈로서, 그의 대표적인 예로는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모듈 또는 WiFi(Wireless Fidelity) 모듈이 있다. 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는 GPS모듈을 활용하면, GPS 위성에서 보내는 신호를 이용하여 이동 단말기의 위치를 획득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이동 단말기는 Wi-Fi모듈을 활용하면, Wi-Fi모듈과 무선신호를 송신 또는 수신하는 무선 AP(Wireless Access Point)의 정보에 기반하여, 이동 단말기의 위치를 획득할 수 있다. 필요에 따라서, 위치정보모듈(115)은 치환 또는 부가적으로 이동 단말기의 위치에 관한 데이터를 얻기 위해 무선 통신부(510)의 다른 모듈 중 어느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위치정보모듈(115)은 이동 단말기의 위치(또는 현재 위치)를 획득하기 위해 이용되는 모듈로, 이동 단말기의 위치를 직접적으로 계산하거나 획득하는 모듈로 한정되지는 않는다.
다음으로, 입력부(520)는 영상 정보(또는 신호), 오디오 정보(또는 신호), 데이터, 또는 사용자로부터 입력되는 정보의 입력을 위한 것으로서, 영상 정보의 입력을 위하여, 이동 단말기(500) 는 하나 또는 복수의 카메라(521)를 구비할 수 있다. 카메라(521)는 화상 통화모드 또는 촬영 모드에서 이미지 센서에 의해 얻어지는 정지영상 또는 동영상 등의 화상 프레임을 처리한다.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디스플레이부(551)에 표시되거나 메모리(570)에 저장될 수 있다. 한편, 이동 단말기(500)에 구비되는 복수의 카메라(521)는 매트릭스 구조를 이루도록 배치될 수 있으며, 이와 같이 매트릭스 구조를 이루는 카메라(521)를 통하여, 이동 단말기(500)에는 다양한 각도 또는 초점을 갖는 복수의 영상정보가 입력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카메라(521)는 입체영상을 구현하기 위한 좌 영상 및 우 영상을 획득하도록, 스트레오 구조로 배치될 수 있다.
마이크로폰(522)은 외부의 음향 신호를 전기적인 음성 데이터로 처리한다. 처리된 음성 데이터는 이동 단말기(500)에서 수행 중인 기능(또는 실행 중인 응용 프로그램)에 따라 다양하게 활용될 수 있다. 한편, 마이크로폰(522)에는 외부의 음향 신호를 입력 받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잡음(noise)을 제거하기 위한 다양한 잡음 제거 알고리즘이 구현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523)는 사용자로부터 정보를 입력 받기 위한 것으로서, 사용자 입력부(523)를 통해 정보가 입력되면, 제어부(580)는 입력된 정보에 대응되도록 이동 단말기(50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이러한, 사용자 입력부(523)는 기계식 (mechanical) 입력수단(또는, 메커니컬 키, 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500)의 전ㅇ후면 또는 측면에 위치하는 버튼, 돔 스위치 (dome switch), 조그 휠, 조그 스위치 등) 및 터치식 입력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서, 터치식 입력수단은, 소프트웨어적인 처리를 통해 터치스크린에 표시되는 가상 키(virtual key), 소프트 키(soft key) 또는 비주얼 키(visual key)로 이루어지거나, 상기 터치스크린 이외의 부분에 배치되는 터치 키(touch key)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상기 가상키 또는 비주얼 키는, 다양한 형태를 가지면서 터치스크린 상에 표시되는 것이 가능하며, 예를 들어, 그래픽(graphic), 텍스트(text), 아이콘(icon), 비디오(video)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센싱부(540)는 이동 단말기 내 정보, 이동 단말기를 둘러싼 주변 환경 정보 및 사용자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센싱 하고, 이에 대응하는 센싱 신호를 발생시킨다. 제어부(580)는 이러한 센싱 신호에 기초하여, 이동 단말기(500)의 구동 또는 동작을 제어하거나, 이동 단말기(500)에 설치된 응용 프로그램과 관련된 데이터 처리, 기능 또는 동작을 수행 할 수 있다. 센싱부(540)에 포함될 수 있는 다양한 센서 중 대표적인 센서들의 대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먼저, 근접 센서(541)는 소정의 검출면에 접근하는 물체, 혹은 근방에 존재하는 물체의 유무를 전자계의 힘 또는 적외선 등을 이용하여 기계적 접촉이 없이 검출하는 센서를 말한다. 이러한 근접 센서(541)는 위에서 살펴본 터치 스크린에 의해 감싸지는 이동 단말기의 내부 영역 또는 상기 터치 스크린의 근처에 근접 센서(541)가 배치될 수 있다.
근접 센서(541)의 예로는 투과형 광전 센서, 직접 반사형 광전 센서, 미러 반사형 광전 센서, 고주파 발진형 근접 센서, 정전 용량형 근접 센서, 자기형 근접 센서, 적외선 근접 센서 등이 있다. 터치 스크린이 정전식인 경우에, 근접 센서(541)는 전도성을 갖는 물체의 근접에 따른 전계의 변화로 상기 물체의 근접을 검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 터치 스크린(또는 터치 센서) 자체가 근접 센서로 분류될 수 있다.
한편, 설명의 편의를 위해, 터치 스크린 상에 물체가 접촉되지 않으면서 근접되어 상기 물체가 상기 터치 스크린 상에 위치함이 인식되도록 하는 행위를 "근접 터치(proximity touch)"라고 명명하고, 상기 터치 스크린 상에 물체가 실제로 접촉되는 행위를 "접촉 터치(contact touch)"라고 명명한다. 상기 터치 스크린 상에서 물체가 근접 터치 되는 위치라 함은, 상기 물체가 근접 터치될 때 상기 물체가 상기 터치 스크린에 대해 수직으로 대응되는 위치를 의미한다. 상기 근접 센서(541)는, 근접 터치와, 근접 터치 패턴(예를 들어, 근접 터치 거리, 근접 터치 방향, 근접 터치 속도, 근접 터치 시간, 근접 터치 위치, 근접 터치 이동 상태 등)을 감지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580)는 위와 같이, 근접 센서(541)를 통해 감지된 근접 터치 동작 및 근접 터치 패턴에 상응하는 데이터(또는 정보)를 처리하며, 나아가, 처리된 데이터에 대응하는 시각적인 정보를 터치 스크린상에 출력시킬 수 있다. 나아가, 제어부(580)는, 터치 스크린 상의 동일한 지점에 대한 터치가, 근접 터치인지 또는 접촉 터치인지에 따라, 서로 다른 동작 또는 데이터(또는 정보)가 처리되도록 이동 단말기(500)를 제어할 수 있다.
터치 센서는 저항막 방식, 정전용량 방식, 적외선 방식, 초음파 방식, 자기장 방식 등 여러 가지 터치방식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터치 스크린(또는 디스플레이부(551))에 가해지는 터치(또는 터치입력)을 감지한다.
일 예로서, 터치 센서는, 터치 스크린의 특정 부위에 가해진 압력 또는 특정 부위에 발생하는 정전 용량 등의 변화를 전기적인 입력신호로 변환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터치 센서는, 터치 스크린 상에 터치를 가하는 터치 대상체가 터치 센서 상에 터치 되는 위치, 면적, 터치 시의 압력, 터치 시의 정전 용량 등을 검출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여기에서, 터치 대상체는 상기 터치 센서에 터치를 인가하는 물체로서, 예를 들어, 손가락, 터치펜 또는 스타일러스 펜(Stylus pen), 포인터 등이 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터치 센서에 대한 터치 입력이 있는 경우, 그에 대응하는 신호(들)는 터치 제어기로 보내진다. 터치 제어기는 그 신호(들)를 처리한 다음 대응하는 데이터를 제어부(580)로 송신한다. 이로써, 제어부(580)는 디스플레이부(551)의 어느 영역이 터치 되었는지 여부 등을 알 수 있게 된다. 여기에서, 터치 제어기는, 제어부(580)와 별도의 구성요소일 수 있고, 제어부(580) 자체일 수 있다.
한편, 제어부(580)는, 터치 스크린(또는 터치 스크린 이외에 구비된 터치키)을 터치하는, 터치 대상체의 종류에 따라 서로 다른 제어를 수행하거나, 동일한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터치 대상체의 종류에 따라 서로 다른 제어를 수행할지 또는 동일한 제어를 수행할 지는, 현재 이동 단말기(500)의 동작상태 또는 실행 중인 응용 프로그램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한편, 위에서 살펴본 터치 센서 및 근접 센서는 독립적으로 또는 조합되어, 터치 스크린에 대한 숏(또는 탭) 터치(short touch), 롱 터치(long touch), 멀티 터치(multi touch), 드래그 터치(drag touch), 플리크 터치(flick touch), 핀치-인 터치(pinch-in touch), 핀치-아웃 터치(pinch-out 터치), 스와이프(swype) 터치, 호버링(hovering) 터치 등과 같은, 다양한 방식의 터치를 센싱할 수 있다.
초음파 센서는 초음파를 이용하여, 감지대상의 위치정보를 인식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580)는 광 센서와 복수의 초음파 센서로부터 감지되는 정보를 통해, 파동 발생원의 위치를 산출하는 것이 가능하다. 파동 발생원의 위치는, 광이 초음파보다 매우 빠른 성질, 즉, 광이 광 센서에 도달하는 시간이 초음파가 초음파 센서에 도달하는 시간보다 매우 빠름을 이용하여, 산출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광을 기준 신호로 초음파가 도달하는 시간과의 시간차를 이용하여 파동 발생원의 위치가 산출될 수 있다.
한편, 입력부(520)의 구성으로 살펴본, 카메라(521)는 카메라 센서(예를 들어, CCD, CMOS 등), 포토 센서(또는 이미지 센서) 및 레이저 센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카메라(521)와 레이저 센서는 서로 조합되어, 3차원 입체영상에 대한 감지대상의 터치를 감지할 수 있다. 포토 센서는 디스플레이 소자에 적층될 수 있는데, 이러한 포토 센서는 터치 스크린에 근접한 감지대상의 움직임을 스캐닝 하도록 이루어진다. 보다 구체적으로, 포토 센서는 행/열에 Photo Diode와 TR(Transistor)를 실장하여 Photo Diode에 인가되는 빛의 양에 따라 변화되는 전기적 신호를 이용하여 포토 센서 위에 올려지는 내용물을 스캔 한다. 즉, 포토 센서는 빛의 변화량에 따른 감지대상의 좌표 계산을 수행하며, 이를 통하여 감지대상의 위치정보가 획득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551)는 이동 단말기(500)에서 처리되는 정보를 표시(출력)한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부(551)는 이동 단말기(500)에서 구동되는 응용 프로그램의 실행화면 정보, 또는 이러한 실행화면 정보에 따른 UI(User Interface), GUI(Graphic User Interface)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부(551)는 입체영상을 표시하는 입체 디스플레이부로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입체 디스플레이부에는 스테레오스코픽 방식(안경 방식), 오토 스테레오스코픽 방식(무안경 방식), 프로젝션 방식(홀로그래픽 방식) 등의 3차원 디스플레이 방식이 적용될 수 있다.
음향 출력부(552)는 호신호 수신, 통화모드 또는 녹음 모드, 음성인식 모드, 방송수신 모드 등에서 무선 통신부(510)로부터 수신되거나 메모리(570)에 저장된 오디오 데이터를 출력할 수 있다. 음향 출력부(552)는 이동 단말기(500)에서 수행되는 기능(예를 들어, 호신호 수신음, 메시지 수신음 등)과 관련된 음향 신호를 출력하기도 한다. 이러한 음향 출력부(552)에는 리시버(receiver), 스피커(speaker), 버저(buzzer) 등이 포함될 수 있다.
햅틱 모듈(haptic module)(553)은 사용자가 느낄 수 있는 다양한 촉각 효과를 발생시킨다. 햅틱 모듈(553)이 발생시키는 촉각 효과의 대표적인 예로는 진동이 될 수 있다. 햅틱 모듈(553)에서 발생하는 진동의 세기와 패턴 등은 사용자의 선택 또는 제어부의 설정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햅틱 모듈(553)은 서로 다른 진동을 합성하여 출력하거나 순차적으로 출력할 수도 있다.
햅틱 모듈(553)은, 진동 외에도, 접촉 피부면에 대해 수직 운동하는 핀 배열, 분사구나 흡입구를 통한 공기의 분사력이나 흡입력, 피부 표면에 대한 스침, 전극(electrode)의 접촉, 정전기력 등의 자극에 의한 효과와, 흡열이나 발열 가능한 소자를 이용한 냉온감 재현에 의한 효과 등 다양한 촉각 효과를 발생시킬 수 있다.
햅틱 모듈(553)은 직접적인 접촉을 통해 촉각 효과를 전달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사용자가 손가락이나 팔 등의 근 감각을 통해 촉각 효과를 느낄 수 있도록 구현할 수도 있다. 햅틱 모듈(553)은 이동 단말기(500)의 구성 태양에 따라 2개 이상이 구비될 수 있다.
광출력부(554)는 이동 단말기(500)의 광원의 빛을 이용하여 이벤트 발생을 알리기 위한 신호를 출력한다. 이동 단말기(500)에서 발생 되는 이벤트의 예로는 메시지 수신, 호 신호 수신, 부재중 전화, 알람, 일정 알림, 이메일 수신, 애플리케이션을 통한 정보 수신 등이 될 수 있다.
광출력부(554)가 출력하는 신호는 이동 단말기가 전면이나 후면으로 단색이나 복수색의 빛을 발광함에 따라 구현된다. 상기 신호 출력은 이동 단말기가 사용자의 이벤트 확인을 감지함에 의하여 종료될 수 있다.
인터페이스부(560)는 이동 단말기(500)에 연결되는 모든 외부 기기와의 통로 역할을 한다. 인터페이스부(560)는 외부 기기로부터 데이터를 송신 받거나, 전원을 공급받아 이동 단말기(500) 내부의 각 구성요소에 전달하거나, 이동 단말기(500) 내부의 데이터가 외부 기기로 송신되도록 한다. 예를 들어, 유/무선 헤드셋 포트(port), 외부 충전기 포트(port), 유/무선 데이터 포트(port), 메모리 카드(memory card) 포트(port), 식별 모듈이 구비된 장치를 연결하는 포트(port), 오디오 I/O(Input/Output) 포트(port), 비디오 I/O(Input/Output) 포트(port), 이어폰 포트(port) 등이 인터페이스부(560)에 포함될 수 있다.
한편, 식별 모듈은 이동 단말기(500)의 사용 권한을 인증하기 위한 각종 정보를 저장한 칩으로서, 사용자 인증 모듈(user identify module; UIM), 가입자 인증 모듈(subscriber identity module; SIM), 범용 사용자 인증 모듈(universal subscriber identity module; USIM)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식별 모듈이 구비된 장치(이하 '식별 장치')는, 스마트 카드(smart card) 형식으로 제작될 수 있다. 따라서 식별 장치는 상기 인터페이스부(560)를 통하여 단말기(100)와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인터페이스부(560)는 이동 단말기(500)가 외부 크래들(cradle)과 연결될 때 상기 크래들로부터의 전원이 상기 이동 단말기(500)에 공급되는 통로가 되거나, 사용자에 의해 상기 크래들에서 입력되는 각종 명령 신호가 상기 이동 단말기(500)로 전달되는 통로가 될 수 있다. 상기 크래들로부터 입력되는 각종 명령 신호 또는 상기 전원은 상기 이동 단말기(500)가 상기 크래들에 정확히 장착되었음을 인지하기 위한 신호로 동작될 수 있다.
메모리(570)는 제어부(580)의 동작을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할 수 있고, 입/출력되는 데이터들(예를 들어, 폰북, 메시지, 정지영상, 동영상 등)을 임시 저장할 수도 있다. 상기 메모리(570)는 상기 터치 스크린 상의 터치 입력시 출력되는 다양한 패턴의 진동 및 음향에 관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570)는 플래시 메모리 타입(flash memory type), 하드디스크 타입(hard disk type), SSD 타입(Solid State Disk type), SDD 타입(Silicon Disk Drive type),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multimedia card micro type),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어 SD 또는 XD 메모리 등), 램(random access memory; RAM),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 롬(read-only memory; 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PROM(programmable read-only memory), 자기 메모리, 자기 디스크 및 광디스크 중 적어도 하나의 타입의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이동 단말기(500)는 인터넷(internet)상에서 상기 메모리(570)의 저장 기능을 수행하는 웹 스토리지(web storage)와 관련되어 동작될 수도 있다.
한편, 앞서 살펴본 것과 같이, 제어부(580)는 응용 프로그램과 관련된 동작과, 통상적으로 이동 단말기(5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제어부(580)는 상기 이동 단말기의 상태가 설정된 조건을 만족하면, 애플리케이션들에 대한 사용자의 제어 명령의 입력을 제한하는 잠금 상태를 실행하거나, 해제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580)는 음성 통화, 데이터 통신, 화상 통화 등과 관련된 제어 및 처리를 수행하거나, 터치 스크린 상에서 행해지는 필기 입력 또는 그림 그리기 입력을 각각 문자 및 이미지로 인식할 수 있는 패턴 인식 처리를 행할 수 있다. 나아가 제어부(580)는 이하에서 설명되는 다양한 실시 예들을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500) 상에서 구현하기 위하여, 위에서 살펴본 구성요소들을 중 어느 하나 또는 복수를 조합하여 제어할 수 있다.
전원 공급부(590)는 제어부(580)의 제어에 의해 외부의 전원, 내부의 전원을 인가 받아 각 구성요소들의 동작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한다. 전원공급부(590)는 배터리를 포함하며, 배터리는 충전 가능하도록 이루어지는 내장형 배터리가 될 수 있으며, 충전 등을 위하여 단말기 바디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전원공급부(590)는 연결포트를 구비할 수 있으며, 연결포트는 배터리의 충전을 위하여 전원을 공급하는 외부 충전기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인터페이스(160)의 일 예로서 구성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전원공급부(590)는 상기 연결포트를 이용하지 않고 무선방식으로 배터리를 충전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이 경우에, 전원공급부(590)는 외부의 무선 전력 송신장치로부터 자기 유도 현상에 기초한 유도 결합(Inductive Coupling) 방식이나 전자기적 공진 현상에 기초한 공진 결합(Magnetic Resonance Coupling) 방식 중 하나 이상을 이용하여 전력을 전달받을 수 있다.
한편, 이하에서 다양한 실시 예는 예를 들어, 소프트웨어, 하드웨어 또는 이들의 조합된 것을 이용하여 컴퓨터 또는 이와 유사한 장치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내에서 구현될 수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500)를 통해 실시 가능한 통신 시스템에 대하여 살펴본다.
먼저, 통신 시스템은, 서로 다른 무선 인터페이스 및/또는 물리 계층을 이용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통신 시스템에 의해 이용 가능한 무선 인터페이스에는, 주파수 분할 다중 접속(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FDMA), 시분할 다중 접속(Time Division Multiple Access, TDMA), 코드 분할 다중 접속(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CDMA), 범용 이동통신 시스템(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s Systems, UMTS)(특히, LTE(Long Term Evolution), LTE-A(Long Term Evolution-Advanced)), 이동통신 글로벌 시스템(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GSM)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CDMA에 한정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CDMA 무선 통신 시스템뿐만 아니라 OFDM(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무선 통신 시스템을 포함한 모든 통신 시스템 적용될 수 있음은 자명하다.
CDMA 무선 통신 시스템은, 적어도 하나의 단말기(100), 적어도 하나의 기지국(Base Station, BS (Node B 혹은 Evolved Node B로 명칭 될 수도 있다.)), 적어도 하나의 기지국 제어부(Base Station Controllers, BSCs), 이동 스위칭 센터(Mobile Switching Center, MSC)를 포함할 수 있다. MSC는, 일반 전화 교환망(Public Switched Telephone Network, PSTN) 및 BSCs와 연결되도록 구성된다. BSCs는, 백홀 라인(backhaul line)을 통하여, BS와 짝을 이루어 연결될 수 있다. 백홀 라인은, E1/T1, ATM, IP, PPP, Frame Relay, HDSL, ADSL 또는 xDSL 중 적어도 하나에 따라서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복수의 BSCs가 CDMA 무선 통신 시스템에 포함될 수 있다.
복수의 BS 각각은 적어도 하나의 섹터를 포함할 수 있고, 각각의 섹터는, 전방향성 안테나 또는 BS로부`터 방사상의 특정 방향을 가리키는 안테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섹터는, 다양한 형태의 안테나를 두 개 이상 포함할 수도 있다. 각각의 BS는, 복수의 주파수 할당을 지원하도록 구성될 수 있고, 복수의 주파수 할당은 각각 특정 스펙트럼(예를 들어, 1.25MHz, 5MHz 등)을 가질 수 있다.
섹터와 주파수 할당의 교차는, CDMA 채널이라고 불릴 수 있다. BS는, 기지국 송수신 하부 시스템(Base Station Transceiver Subsystem, BTSs)이라고 불릴 수 있다. 이러한 경우, 하나의 BSC 및 적어도 하나의 BS를 합하여 "기지국"이라고 칭할 수 있다. 기지국은, 또한 "셀 사이트"을 나타낼 수도 있다. 또는, 특정 BS에 대한 복수의 섹터들 각각은, 복수의 셀 사이트로 불릴 수도 있다.
방송 송신부(Broadcasting Transmitter, BT) 는, 시스템 내에서 동작하는 단말기들(100)에게 방송 신호를 송신한다. 도 5에 도시된 방송 수신 모듈(511)은, BT에 의해 송신되는 방송 신호를 수신하기 위해 단말기(100) 내에 구비된다.
뿐만 아니라, CDMA 무선 통신 시스템에는 이동 단말기(500)의 위치를 확인하기 위한, 위성 위치 확인 시스템(Global Positioning System, GPS)이 연계될 수 있다. 상기 위성(300)은, 이동 단말기(500)의 위치를 파악하는 것을 돕는다. 유용한 위치 정보는, 두 개 이하 또는 이상의 위성들에 의해 획득될 수도 있다. 여기에서는, GPS 추적 기술뿐만 아니라 위치를 추적할 수 있는 모든 기술들을 이용하여 이동 단말기(500)의 위치가 추적될 수 있다. 또한, GPS 위성 중 적어도 하나는, 선택적으로 또는 추가로 위성 DMB 송신을 담당할 수도 있다.
이동 단말기에 구비된 위치정보 모듈(515)은 이동 단말기의 위치를 탐지, 연산 또는 식별하기 위한 것으로, 대표적인 예로는 GPS(Global Position System) 모듈 및 WiFi(Wireless Fidelity)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필요에 따라서, 위치정보모듈(115)은 치환 또는 부가적으로 이동 단말기의 위치에 관한 데이터를 얻기 위해 무선 통신부(510)의 다른 모듈 중 어느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GPS모듈(115)은 3개 이상의 위성으로부터 떨어진 거리 정보와 정확한 시간 정보를 산출한 다음 상기 산출된 정보에 삼각법을 적용함으로써, 위도, 경도, 및 고도에 따른 3차원의 현 위치 정보를 정확히 산출할 수 있다. 현재, 3개의 위성을 이용하여 위치 및 시간 정보를 산출하고, 또 다른 1개의 위성을 이용하여 상기 산출된 위치 및 시간 정보의 오차를 수정하는 방법이 널리 사용되고 있다. 또한, GPS 모듈(115)은 현 위치를 실시간으로 계속 산출함으로써 속도 정보를 산출할 수 있다. 다만, 실내와 같이 위성 신호의 음영 지대에서는 GPS 모듈을 이용하여 정확히 이동 단말기의 위치를 측정하는 것이 어렵다. 이에 따라, GPS 방식의 측위를 보상하기 위해, WPS (WiFi Positioning System)이 활용될 수 있다.
와이파이 위치추적 시스템(WPS: WiFi Positioning System)은 이동 단말기(500)에 구비된 WiFi모듈 및 상기 WiFi모듈과 무선신호를 송신 또는 수신하는 무선 AP(Wireless Access Point)를 이용하여, 이동 단말기(500)의 위치를 추적하는 기술로서, WiFi를 이용한 WLAN(Wireless Local Area Network)기반의 위치 측위 기술을 의미한다.
와이파이 위치추적 시스템은 와이파이 위치측위 서버, 이동 단말기(500), 상기 이동 단말기(500)와 접속된 무선 AP, 임의의 무선 AP정보가 저장된 데이터 베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무선 AP와 접속 중인 이동 단말기(500)는 와이파이 위치 측위 서버로 위치정보 요청 메시지를 송신할 수 있다.
와이파이 위치측위 서버는 이동 단말기(500)의 위치정보 요청 메시지(또는 신호)에 근거하여, 이동 단말기(500)와 접속된 무선 AP의 정보를 추출한다. 상기 이동 단말기(500)와 접속된 무선 AP의 정보는 이동 단말기(500)를 통해 상기 와이파이 위치측위 서버로 송신되거나, 무선 AP에서 와이파이 위치측위 서버로 송신될 수 있다.
상기 이동 단말기(500)의 위치정보 요청 메시지에 근거하여, 추출되는 무선 AP의 정보는 MAC Address, SSID(Service Set IDentification), RSSI(Received Signal Strength Indicator), RSRP(Reference Signal Received Power), RSRQ(Reference Signal Received Quality), 채널정보, Privacy, Network Type, 신호세기(Signal Strength) 및 노이즈 세기(Noise Strength)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와이파이 위치측위 서버는 위와 같이, 이동 단말기(500)와 접속된 무선 AP의 정보를 수신하여, 미리 구축된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이동 단말기가 접속 중인 무선 AP와 대응되는 무선 AP 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되는 임의의 무선 AP 들의 정보는 MAC Address, SSID, 채널정보, Privacy, Network Type, 무선 AP의 위경도 좌표, 무선 AP가 위치한 건물명, 층수, 실내 상세 위치정보(GPS 좌표 이용가능), AP소유자의 주소, 전화번호 등의 정보일 수 있다. 이때, 측위 과정에서 이동형 AP나 불법 MAC 주소를 이용하여 제공되는 무선 AP를 측위 과정에서 제거하기 위해, 와이파이 위치측위 서버는 RSSI 가 높은 순서대로 소정 개수의 무선 AP 정보만을 추출할 수도 있다.
이후, 와이파이 위치측위 서버는 데이터 베이스로부터 추출된 적어도 하나의 무선 AP 정보를 이용하여 이동 단말기(500)의 위치정보를 추출(또는 분석)할 수 있다. 포함된 정보와 상기 수신된 무선 AP 정보를 비교하여, 상기 이동 단말기(500)의 위치정보를 추출(또는 분석)한다.
이동 단말기(500)의 위치정보를 추출(또는 분석)하기 위한 방법으로, Cell-ID 방식, 핑거 프린트 방식, 삼각 측량 방식 및 랜드마크 방식 등이 활용될 수 있다.
Cell-ID 방식은 이동 단말기가 수집한 주변의 무선 AP 정보 중 신호 세기가 가장 강한 무선 AP의 위치를 이동 단말기의 위치로 결정하는 방법이다. 구현이 단순하고 별도의 비용이 들지 않으며 위치 정보를 신속히 얻을 수 있다는 장점이 있지만 무선 AP의 설치 밀도가 낮으면 측위 정밀도가 떨어진다는 단점이 있다.
핑거프린트 방식은 서비스 지역에서 참조위치를 선정하여 신호 세기 정보를 수집하고, 수집한 정보를 바탕으로 이동 단말기에서 송신하는 신호 세기 정보를 통해 위치를 추정하는 방법이다. 핑거프린트 방식을 이용하기 위해서는, 사전에 미리 전파 특성을 데이터베이스화할 필요가 있다.
삼각 측량 방식은 적어도 세 개의 무선 AP의 좌표와 이동 단말기 사이의 거리를 기초로 이동 단말기의 위치를 연산하는 방법이다. 이동 단말기와 무선 AP사이의 거리를 측정하기 위해, 신호 세기를 거리 정보로 변환하거나, 무선 신호가 전달되는 시간(Time of Arrival, ToA), 신호가 전달되는 시간 차이(Time Difference of Arrival, TDoA), 신호가 전달되는 각도(Angle of Arrival, AoA) 등을 이용할 수 있다.
랜드마크 방식은 위치를 알고 있는 랜드마크 발신기를 이용하여 이동 단말기의 위치를 측정하는 방법이다.
열거된 방법 이외에도 다양한 알고리즘이 이동 단말기의 위치정보를 추출(또는 분석)하기 위한 방법으로 활용될 수 있다.
이렇게 추출된 이동 단말기(500)의 위치정보는 상기 와이파이 위치측위 서버를 통해 이동 단말기(500)로 송신됨으로써, 이동 단말기(500)는 위치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이동 단말기(500)는 적어도 하나의 무선 AP 에 접속됨으로써, 위치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이때, 이동 단말기(500)의 위치 정보를 획득하기 위해 요구되는 무선 AP의 개수는 이동 단말기(500)가 위치한 무선 통신환경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6을 참조하여, WFD 소스 및 WFD 싱크 사이 WFD 세션이 구축되어 화면 공유 서비스가 제공되는 예를 설명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WFD 소스 및 WFD 싱크 사이 WFD 세션이 구축되어 화면 공유 서비스가 제공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래더 다이어 그램이다.
도 6의 단계들 중 하나 이상은 와이파이 다이렉트 표준 문서에 의해 뒷받침될 수 있다.
WFDS 중 디스플레이 서비스는 P2P 디바이스들 사이에 화면 공유를 가능하게 하는 서비스 및 어플리케이션을 의미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서비스를 이용하는 P2P 서비스를 WFD 디바이스라 호칭할 수 있고, WFD 디바이스들 중 기기 P2P 링크를 통해 멀티미디어 컨텐트의 스트리밍을 지원하는 기기를 와이파이 디스플레이(WFD) 소스(Source), P2P 링크를 통해 WFD 소스 기기로부터 멀티미디어 컨텐트를 수신하여, 렌더링하는 기기를 WFD 싱크(Sink)라 칭할 수 있다.
WFD 소스(10)는 도 5에 도시된 이동 단말기(500)일 수 있다. 이에 따라, WFD 소스(10)는 도 5에 도시된 이동 단말기(500)의 모든 구성 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WFD 싱크(20)는 도 1에 도시된 디스플레이 장치(100)일 수 있다. 이에 따라, WFD 싱크(20)는 도 1에 도시된 이동 단말기(500)의 모든 구성 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WFD 소스(10)는 화면 상에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S600).
일 실시 예에서 화면 상에 표시된 영상은 멀티미디어 컨텐트의 영상일 수 있다.
또 다른 실시 예에서 WFD 소스(10)가 도 5에 도시된 이동 단말기(500)인 경우, 화면 상에 표시된 영상은 이동 단말기(500)의 홈 화면, 이동 단말기(500)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 등, 이동 단말기(500)가 표시 중인 영상일 수 있다.
이후, WFD 소스(10) 및 WFD 싱크(20)는 최초, WFD 디바이스 탐색(WFD DeviceDiscovery)을 통해 WFD 연결 셋업에 앞서 서로의 존재를 탐색할 수 있다(S601). 구체적으로, WFD 디바이스들은 WFD 정보 요소(WFD Information Element, WFD IE)를 포함하는 프로브 요청 프레임 및 프로브 응답 프레임을 통해 서로의 존재를 인지할 수 있다. WFD 정보 요소는 디바이스 타입 및 디바이스 상태 등 WFD 디바이스들 사이 최적 연결을 구축하기 위한 기본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WFD 디바이스가, WFD IE를 포함하는 프로브 요청 프레임을 수신하면, 이에 대한 응답으로 자신의 WFD IE를 포함하는 프로브 응답 프레임을 전송할 수 있다. 만약 WFD 디바이스가 AP와 연계되어 있고, Wi-Fi P2P 디바이스로 동작하는 경우, 물리적인 하나의 디바이스에 논리적으로 2개 이상의 와이파이 송수신기가 동작하게 된다. 이때 WFD 디바이스 탐색을 위해서는 이 중 와이파이 다이렉트 송수신기를 사용하게 된다. WFD 디바이스의 탐색을 위한 프로브 요청 프레임에는 WFD IE 뿐만 아니라, P2P 정보 요소(IE)도 포함될 수 있고, 이는 와이파이 다이렉트 송수신기에 의해 디코딩 될 수 있다.
이후, WFD 소스(10) 및 WFD 싱크(20)는 WFD 연결 셋업에 앞서 서로의 서비스 능력을 탐색할 수 있다(S603). 구체적으로, 어느 하나의 WFD 디바이스가 WFD 능력이 정보 부 요소(information subelement)로서 포함되는 서비스 탐색 요청 프레임을 전송하면, 다른 WFD 디바이스는 이에 대한 응답으로 자신의 WFD 능력이 정보 부 요소로서 포함되는 서비스 탐색 응답 프레임을 전송할 수 있다. 서비스 탐색 절차는 선택적인 절차로서, 서비스 탐색 절차를 지원하는 WFD 디바이스는 서비스 탐색 절차를 지원하는 탐색된 WFD 디바이스와 서비스 탐색 절차를 수행할 수 있다. 서비스 탐색 절차의 수행을 위해, 디바이스 탐색 절차에 이용되는 프로브 요청 프레임 및 응답 프레임에는 WFD 디바이스가 서비스 탐색 절차를 지원하는 능력을 갖추고 있는지 여부를 지시하는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이후, WFD 소스(10) 또는 WFD 싱크(20)는 WFD 연결 셋업을 위한 피어 WFD 디바이스를 선택할 수 있다. 사용자의 입력에 의해 WFD 연결 셋업을 진행할 피어 WFD 디바이스가 선택될 수도 있고, 정책(policy)에 따라 자동으로 WFD 연결 셋업을 진행할 피어 WFD 디바이스가 선택될 수도 있다.
이후, WFD 디바이스는 선택된 피어 WFD 디바이스와 WFD 연결 셋업 방법을 선택할 수 있다(S605). 구체적으로, WFD 디바이스는 Wi-Fi P2P 및 TDLS(터널 다이렉트 링크 설정(Tunneled Direct Link Setup) 중 어느 하나의 연결 스킴(Connectivity Scheme)으로 WFD 연결을 구축할 수 있다. WFD 디바이스들은 선호하는 연결(Preferred Connectivity) 정보 및 WFD 정보 요소와 함께 전달되는 연계된 BSSID 부 요소에 기초하여, 연결 스킴을 결정할 수 있다.
WFD 디바이스들 사이에 Wi-Fi P2P 또는 TDLS를 이용하여 성공적으로 WFD 셋업이 수행되면, WFD 디바이스는 WFD 능력 협상(WFD capability negotiation)을 진행할 수 있다(S607). 구체적으로, WFD 소스(10) 및 WFD 싱크(20)는 RTSP(Real-Time Streaming Protocol)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메시지를 교환함으로써, WFD 세션 동안의 오디오/비디오 페이로드(payload)를 정의 하는 파라미터 셋을 결정할 수 있다. WFD 소스(10) 및 WFD 싱크(20)는 자신의 스펙 정보를 서로 교환할 수 있다. WFD 소스(10)는 RTSP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WFD 싱크(20)의 능력을 문의할 수 있고, WFD 싱크(20)는 그에 응답하여, 자신의 능력 정보를 WFD 소스(10)에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WFD 싱크(20)는 자신이 지원 가능한 해상도들을 포함하는 해상도 정보를 WFD 소스(10)에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WFD 싱크(20)는 자신이 지원 가능한 해상도가 화면 비율 16:9 또는 4:3에 대응하는 해상도를 포함하는 해상도 정보를 WFD 소스(10)에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16:9 또는 4:3에 대응하는 해상도는 예시에 불과하고, 가로 길이가 세로 길이보다 더 긴 화면 비율에 대응하는 해상도일 수 있다.
반대로, WFD 소스(10) 또한, 자신이 지원 가능한 해상도들을 포함하는 해상도 정보를 WFD 싱크(20)에 전송할 수 있다.
도 7a 내지 도 7c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WFD 싱크가 WFD 소스에 전송하는 해상도 정보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WFD 싱크(20)는 도 7a 내지 도 7c에 도시된 해상도 테이블들 중 하나 이상을 WFD 소스(10)에 전송할 수 있다. 즉, WFD 싱크(20)는 16:9 또는 4:3의 화면 비율에 대응하는 해상도 및 가로 길이가 세로 길이보다 더 긴 화면 비율에 대응하는 해상도를 WFD 소스(10)에 전송할 수 있다.
도 7a에 도시된 해상도 테이블은 WFD 기기가 지원하는 핸드 헬드(handheld) 장치에서 지원된 해상도들의 셋 및 해상도에 대응하는 refresh rate를 나타내는 테이블일 수 있다.
도 7b에 도시된 해상도 테이블은 WFD 기기가 지원하는 CEA(Consumer Electronics Association) 해상도들의 셋 및 해상도에 대응하는 refresh rate를 나타내는 테이블일 수 있다.
도 7c에 도시된 해상도 테이블은 WFD 기기가 지원하는 지원된 VESA(Video Electronics Standards Association)해상도들의 셋 및 해상도에 대응하는 refresh rate를 나타내는 테이블일 수 있다.
도 7d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WFD 소스가 WFD 싱크의 능력을 문의하고, WFD 싱크가 그에 대응하여 자신의 능력 정보를 포함하는 메시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WFD 소스(10)는 WFD 싱크(20)와 연결 셋업의 수행 후, RTSP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WFD 싱크(20)의 능력을 문의하는 요청 메시지(M3)를 전송할 수 있다. 도 7d를 참조하면, WFD 소스(10)는 비디오 포맷(wfd-video-formats) 파라미터(730)를 포함하는 요청 메시지를 WFD 싱크(20)에 전송할 수 있다. 비디오 포맷 파라미터는 WFD 싱크(20)가 지원 가능한 비디오 해상도를 문의하는 파라미터일 수 있다. WFD 싱크(20)는 WFD 소스(10)로부터 수신된 요청 메시지에 응답하여, 도 7a 내지 도 7c에 도시된 해상도 정보를 포함하는 응답 메시지(M3)를 WFD 소스(10)에 전송할 수 있다. 해상도 정보는 도 7a 내지 도 7c에 도시된 해상도 테이블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이는 응답 메시지에 포함된 비디오 포맷 파라미터(730)의 값을 통해 확인될 수 있다.
다시 도 6을 설명한다.
WFD 소스(10)는 WFD 싱크(20)과의 WFD 능력 협상 과정에서, 필요한 요청 메시지를 RTSP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WFD 싱크(20)에 전송할 수 있다(S609). 예를 들어, WFD 소스(10)는 WFD 싱크(20)로부터 수신된 해상도 정보에 기초하여 특정 해상도에 대응하는 비디오 컨텐트의 영상을 전달하겠다는 내용을 포함하는 메시지를 RTSP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WFD 싱크(20)에 전송할 수 있다. 더 구체적으로, WFD 소스(10)는 WFD 싱크(20)가 지원 가능한 복수의 해상도들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할 수 있고, 선택된 해상도를 갖는 비디오 컨텐트의 영상을 전송하겠다는 메시지를 WFD 싱크(20)에 전송할 수 있다. 즉, WFD 소스(10)는 도 7a 내지 도 7c에 도시된 해상도 정보에 포함된 복수의 해상도들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할 수 있고, 선택된 해상도의 영상을 전송하겠음을 나타내는 메시지를 WFD 싱크(20)에 전송할 수 있다. 후술하겠지만, WFD 소스(10)가 선택한 해상도는 WFD 소스(10)가 표시 중인 영상의 해상도와 일치하지 않을 수 있다.
WFD 싱크(20)는 WFD 소스(10)로부터 수신된 요청 메시지에 기초하여, 응답 메시지를 RTSP 프로토콜을 통해 전송할 수 있다(S611).
일 실시 예에서 WFD 소스(10)가 선택한 해상도는 WFD 소스(10)가 지원 가능한 해상도들에 포함되지 않을 수 있다. 즉, WFD 소스(10)가 표시 중인 영상의 해상도는 WFD 싱크(20)가 지원 가능한 해상도들에 포함되지 않을 수 있다. 단계 S609 및 S611는 WFD 능력 협상 단계(S607)에 포함될 수 있다.
WFD 능력 협상 단계가 성공적으로 종료되면, WFD 소스(10) 및 WFD 싱크(20) 사이에 WFD 세션(또는 미라캐스트 세션)이 구축되고, WFD 소스(10)로부터 WFD 싱크(20)로 오디오 및 비디오 컨텐트가 스트리밍될 수 있다(S613).
일 실시 예에서 WFD 소스(10)로부터 수신된 비디어 컨텐트의 전체 영상은 WFD 소스(10)가 화면 상에 표시 중인 제1 영상 및 제1 영상을 제외한 제2 영상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영상은 WFD 소스(10)의 출력 해상도가 WFD 싱크(20)의 지원 가능한 해상도들에 포함되어 있지 않아, WFD 소스(10)가 삽입하는 영상일 수 있다. 출력 해상도는 WFD 소스(10)가 표시하는 제1 영상의 해상도를 나타낼 수 있다. 즉, 제2 영상은 WFD 소스(10)가 표시 중인 제1 영상의 해상도를 WFD 싱크(20)의 지원 가능한 해상도로 변환하기 위해 삽입되는 영상일 수 있다. WFD 소스(10)는 WFD 싱크(20)의 화면 비율에 맞는 영상을 전송하기 위해 제1 영상에 제2 영상을 삽입하여, WFD 싱크(20)에 전송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제2 영상은 블랙 영상일 수 있다. 즉, 블랙 영상은 레터박스(Letterbox), 필러박스(Pillarbox) 및 윈도우박스(windowbox)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레터박스는 제1 화면 비율의 영상을 제2 화면 비율의 영상에 맞추기 위해 상하에 포함되는 블랙 영상일 수 있다. 필러박스는 제1 화면 비율의 영상을 제2 화면 비율의 영상에 맞추기 위해 좌우에 포함되는 블랙 영상일 수 있다. 윈도우박스는 제1 화면 비율의 영상을 제2 화면 비율의 영상에 맞추기 위해 상하좌우에 포함되는 블랙 영상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제2 영상은 블랙 영상임을 가정하여 설명하나, 이에 한정될 필요는 없고, 배경 화면 영상, 시계 화면 영상, 아무런 정보를 표시하지 않은 영상 등 그 형태는 어떠한 것이든 상관 없다.
이하의 도면에서, WFD 소스(10)는 도 5에서 설명한 이동 단말기(500)일 수 있고, WFD 싱크(20)는 도 1에서 설명한 디스플레이 장치(100)일 수 있으나, 이는 예시에 불과하다.
도 8a 내지 도 8c는 WFD 소스와 WFD 싱크가 화면을 공유하는 디스플레이 서비스를 제공할 시, WFD 소스가 표시 중인 영상 이외의 영상을 포함시켜 WFD 싱크에 전송하는 예를 설명하는 도면이고, 도 8d는 와이파이 디스플레이 표준을 따르지 않는 스마트 폰과 PC 간 영상을 공유하는 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특히, 도 8a 및 도 8b는 세로 화면으로 WFD 소스(10)를 통해 제1 영상(810)이 재생되는 중 미러링(mirroring) 기능이 수행되는 예이고, 도 8c는 가로 화면으로 WFD 소스(10)를 통해 제1 영상(810)이 재생되는 중 미러링(mirroring) 기능이 수행되는 예이다. WFD 소스(10)가 세로 화면으로 영상을 표시하는 것은 포트레이트(portrait) 모드로 영상을 표시함을 나타낼 수 있다. 또한, WFD 소스(10)가 가로 화면으로 영상을 표시하는 것은 랜드스케이프(landscape) 모드로 영상을 표시함을 나타낼 수 있다.
도 8a를 참조하면, WFD 소스(10)는 디스플레이부(551)를 통해 미디어 컨텐트의 제1 영상(810)을 표시하는 중 화면 공유 서비스를 통해 미디어 컨텐트의 영상(810)을 WFD 싱크(20)에 전송할 수 있다. 즉, WFD 소스(10)와 WFD 싱크(20)는 도 6에 설명된 단계 S601 내지 S613을 통해 화면을 공유할 수 있다. WFD 싱크(20)는 도 7a 내지 도 7c에 도시된 해상도 테이블을 포함하는 해상도 정보를 능력 협상 단계를 통해 WFD 소스(10)에 전송할 수 있다. WFD 소스(10)는 수신된 해상도 정보에 기초하여 특정 해상도를 선택하고, 선택된 해상도를 갖는 제1 영상(810)을 WFD 싱크(20)에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WFD 소스(10)는 16:9 또는 4:3의 화면 비율에 대응하는 해상도를 갖는 영상을 WFD 싱크(20)에 전송할 수 있다. 이 과정에서, WFD 소스(10)는 제1 영상(810) 이외에 제2 영상(830)을 포함시켜 WFD 싱크(20)에 전송할 수 있다. 제2 영상(830)은 WFD 소스(10)가 단계 S609에서 선택한 해상도와 WFD 소스(10)의 출력 해상도가 일치하지 않기 때문에 선택된 해상도를 갖는 제1 영상(810)을 WFD 싱크(20)에 전송하기 위해 포함되는 영상일 수 있다. WFD 소스(10)가 선택한 해상도는 16:9 또는 4:3의 화면 비율에 대응하는 해상도일 수 으나, 이에 한정될 필요는 없고, 도 7a 내지 도 7c에 도시된 복수의 해상도들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결과적으로, WFD 소스(10)가 표시하는 제1 영상(810)의 해상도는 WFD 싱크(20)가 지원하는 복수의 해상도들에 포함되지 않을 수 있다. WFD 소스(10)는 16:9 또는 4:3의 화면 비율에 대응하는 해상도를 갖도록 제1 영상(810)에 제2 영상(830)을 포함시켜 전송할 수 있다.
제2 영상(830)은 필러박스일 수 있다. 즉, 제2 영상(830)은 좌측 블랙 영상(831) 및 우측 블랙 영상(833)을 포함할 수 있다.
WFD 싱크(20)는 디스플레이부(180)를 통해 WFD 소스(10)로부터 수신된 제1 영상(810) 및 제2 영상(830)을 전체 화면 상에 표시할 수 있다.
한편, 도 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WFD 싱크(20)는 WFD 소스(10)로부터 수신된 제1 영상(810) 및 제2 영상(830)을 디스플레이부(180)의 전체 화면이 아닌 일부 화면 상에 표시할 수도 있다. 즉, WFD 싱크(20)는 다른 미디어 컨텐트의 영상(850)을 표시하면서, WFD 소스(10)로부터 제1 영상(810) 및 제2 영상(830)을 수신할 시, 제1 영상(810) 및 제2 영상(830)을 디스플레이부(180)의 일부 화면 상에 표시할 수 있다.
시청자는 WFD 소스(10)의 화면 상에 표시된 제1 영상(810)을 WFD 싱크(20)를 통해 시청할 수 있으나, 블랙 영상인 제2 영상(830)의 존재로 인해, 시청에 불쾌감을 느낄 수 있다. 특히, 사용자는 WFD 싱크(20)를 통해 화면 공유 서비스 이외에 다른 작업(예를 들어, 다른 미디어 컨텐트의 영상(850) 시청)을 수행할 시, 블랙 영상으로 인해, 방해를 받을 수 있다.
한편, 도 8c를 참조하면, WFD 소스(10)는 가로 화면으로 배치된 상태에서, 제1 영상(870)을 WFD 싱크(20)와 공유할 수 있다. 도 8c에서 WFD 소스(10)가 선택한 해상도와 WFD 소스(10)의 출력 해상도는 서로 다를 수 있다. 구체적으로, 가로 길이가 세로 길이보다 더 긴 상태로 배치된 WFD 소스(10)의 화면 비율은 WFD 싱크(20)가 지원하는 해상도에 대응하는 화면 비율과 서로 다를 수 있다. 즉, 가로 길이가 세로 길이보다 더 긴 상태로 배치된 WFD 소스(10)의 화면 비율에 대응하는 해상도는 WFD 싱크(20)가 지원하는 화면 비율에 대응하는 해상도에 포함되지 않을 수 있다. WFD 소스(10)는 가로 화면 비율의 제1 영상(810)을 선택된 해상도에 대응하는 화면 비율로 맞추기 위해 제1 영상(870) 이외에 제2 영상(890)을 포함시켜, WFD 싱크(20)에 전송할 수 있다.
도 8c에서 제2 영상(890)은 레터박스일 수 있다. 즉, 제2 영상(890)은 상측 블랙 영상(891) 및 하측 블랙 영상(893)을 포함할 수 있다.
WFD 싱크(20)는 디스플레이부(180)를 통해 WFD 소스(10)로부터 수신된 제1 영상(870) 및 제2 영상(890)을 전체 화면 상에 표시할 수 있다. 이 경우에도, 시청자는 제2 영상(890)의 존재로 인해, 제1 영상(870)의 시청에 불편함을 느낄 수 있다.
이에, WFD 싱크(20)는 WFD 소스(10)가 표시 중인 영상 이외의 블랙 영상을 제거할 수 있다.
한편, 도 8d의 경우, 와이파이 디스플레이 표준을 따르지 않을 시, 스마트 폰과 PC 간 스크린 미러링 기능을 수행하는 경우를 보여준다. 이 경우, 스마트 폰은 제1 영상(870)을 PC에 전송할 수 있다. 즉, 블랙 영상이 포함되지 않는 영상만이 전송될 수 있다. 스마트 폰은 가로 방향으로 배치되어, 제1 영상(870)을 PC에 전송할 수 있다. 그러나, 스마트 폰은 가로 방향으로 표시된 제1 영상(870)을 PC에 전송할 시, 세로 방향의 제1 영상(870)을 PC에 전송할 수 있다. 이에 따라, PC는 화면 상에 세로 방향의 제1 영상(870)을 표시할 수 있다. 사용자는 제1 영상(870)을 가로 방향으로 시청하기 위해, 별도로 영상 회전 작업을 수행해야 하는 불편이 있다.
다시 도 6을 설명한다.
WFD 싱크(20)는 WFD 소스(10)로부터 수신된 전체 영상 중 WFD 소스(10)가 화면 상에 표시 중인 제1 영상 이외의 제2 영상을 제거할 수 있다(S615). WFD 싱크(20)가 WFD 소스(10)로부터 수신하는 전체 영상은 제1 영상 및 제2 영상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영상은 WFD 소스(10)가 화면 상에 표시 중인 영상일 수 있다. 제2 영상은 WFD 소스(10)가 표시 중인 제1 영상을 WFD 소스(10)가 선택한 해상도에 대응하는 화면 비율로 맞추기 위해 삽입되는 영상일 수 있다. WFD 싱크(20)는 WFD 소스(10)로부터 수신된 전체 영상 중 WFD 소스(10)가 표시 중인 제1 영상을 제외한 나머지 제2 영상을 추출하고, 추출된 제2 영상을 제거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WFD 싱크(20)는 색상 표준 편차를 계산하여, WFD 소스(10)로부터 수신된 전체 영상 중 블랙 영상을 추출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블랙 영상이 레터 박스인 경우, WFD 싱크(20)는 전체 영상을 중앙 영역과 상하단 영역으로 나누어, 각 영역에서 픽셀 간 색상 표준편차를 계산할 수 있고, 중앙 영역의 표준편차가 상하단 영역의 표준편차보다 일정 값이 상 차이가 발생될 경우, 상하단 영역에 레터 박스가 삽입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WFD 싱크(20)는 삽입된 레터 박스를 제거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 예에서, WFD 싱크(20)는 프레임의 윤곽선 추출(Edge Detection)을 통해 블랙 영상을 검출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WFD 소스(10)로부터 수신된 전체 영상의 I 프레임을 필터에 통과시켜, 윤곽선을 추출하고, 추출된 윤곽선에 기초하여 레터 박스를 검출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 예에서 WFD 싱크(20)는 프레임 식별자를 통해 제2 영상을 추출할 수 있다. 즉, WFD 싱크(20)는 WFD 소스(10)로부터 수신된 제1 영상의 프레임 식별자 및 제2 영상의 프레임 식별자에 기초하여 제2 영상을 추출할 수 있다. 즉, WFD 소스(10)가 표시 중인 제1 영상의 프레임 식별자와 표시하지 않는 제2 영상의 프레임 식별자는 서로 다를 수 있다. WFD 싱크(20)는 프레임 식별자를 이용하여, 제1 영상 이외의 제2 영상을 추출할 수 있다.
위와 같이, 블랙 영상을 추출 및 제거하는 기법은 예시에 불과하며, 공지된 다양한 기술이 사용될 수 있다.
WFD 싱크(20)는 제2 영상이 제거된 상태의 제1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S617). 일 실시 예에서 WFD 싱크(20)는 WFD 소스(10)로부터 수신된 전체 영상 중 제2 영상이 제거된 상태의 제1 영상을 디스플레이부(151)의 전체 화면 상에 표시할 수 있다. 즉, WFD 싱크(20)는 제1 영상을 디스플레이부(151)의 화면 비율에 맞게 스케일링하여, 디스플레이부(180)의 전체 화면 상에 출력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 예에서 WFD 싱크(20)는 WFD 소스(10)로부터 수신된 전체 영상 중 제2 영상이 제거된 상태의 제1 영상을 디스플레이부(151)의 일부 화면 상에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WFD 싱크(20)는 WFD 소스(10)로부터 수신된 전체 영상 중 제2 영상이 제거된 상태의 제1 영상만을 디스플레이부(180)의 일부 화면 상에 표시할 수 있다. 이 경우, 제1 영상은 PIP(Picture In Picture)의 형태로 표시될 수 있다.
단계 S617을 이하의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9a 내지 도 9d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WFD 소스로부터 수신된 전체 영상 중 WFD 소스가 표시하는 영상만을 표시하는 과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9a는 도 8a에 대응되고, 도 9b는 도 8b에 대응되고, 도 9c는 도 8c에 대응될 수 있고, 중복된 내용은 생략한다.
도 9a 내지 도 9c에서는 WFD 싱크(20)는 자신이 수행 중인 태스크(예를 들어,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또는 방송 프로그램의 표시)와 함께 WFD 소스(10)로부터 수신된 데이터를 출력하는 예가 도시되어 있다. WFD 싱크(20)는 수신된 데이터가 기존 자기 자신이 수행하던 태스크를 가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수신된 데이터를 반투명 디스플레이할 수도 있다. 아울러, WFD 싱크(20)는 수신한 데이터의 투명도를 조절하기 위한 투명도 조정 바 등이 디스플레이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 밖에도, WFD 싱크(20)는, 수신한 데이터를 전체 화면으로 디스플레이할 것인지 여부를 조절하기 위한 버튼, 수신한 데이터를 최소화 할 것인지 여부를 조절하기 위한 버튼, 수신한 데이터를 종료할 것인지를 결정하기 위한 버튼 등을 더 디스플레이할 수도 있다. 수신한 데이터가 디스플레이되는 위치 및 크기는 사용자 입력에 의해 변경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이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도 9a를 참조하면, WFD 소스(10)는 디스플레이부(551)를 통해 표시 중인 제1 영상(810)에 제2 영상(830)을 삽입하여, WFD 싱크(20)에 전송할 수 있다. WFD 소스(10)가 표시 중인 제1 영상(810)은 가로 길이보다 세로 길이가 더 긴 화면 비율의 영상일 수 있다. WFD 싱크(20)가 지원하는 해상도에 대응하는 화면 비율은 가로 길이가 세로 길이보다 더 긴 비율일 수 있다. WFD 소스(10)는 WFD 싱크(20)의 화면 비율에 맞는 제1 영상(810)을 전송하기 위해 제2 영상(830)을 삽입할 수 있다.
WFD 싱크(20)는 WFD 소스(10)로부터 수신된 전체 영상 중 제2 영상(830)만을 추출하고, 추출된 제2 영상(830)을 제거할 수 있다. 즉, WFD 싱크(20)는 전체 영상에서 제1 영상(810)의 좌측 블랙 영상(831) 및 제1 영상(810)의 우측 블랙 영상(833)을 잘라낼 수 있다. 그 후, WFD 싱크(20)는 제2 영상(830)이 제거된 상태의 제1 영상(810)을 디스플레이부(180)의 화면 비율에 맞게 스케일링하여 출력할 수 있다.
도 9b를 참조하면, WFD 싱크(20)는 전체 영상 중 제1 영상(810)의 좌측 블랙 영상(831) 및 제1 영상(810)의 우측 블랙 영상(833)을 제거하고, 제1 영상(810)만을 그대로 디스플레이부(180)에 표시할 수 있다. 즉, 도 9a의 실시 예와는 달리, WFD 싱크(20)는 제1 영상(810)을 전체 화면 상에 확대하여 표시하지 않고, 디스플레이부(180)의 일부 화면 상에 그대로 표시할 수 있다. 즉, 이 경우, WFD 싱크(20)에 표시된 제1 영상(810)은 PIP 형태로 표시될 수 있다. WFD 싱크(20)는 WFD 소스(10)로부터 제1 영상 및 제2 영상을 수신하기 전, 다른 미디어 컨텐트의 영상(850)을 표시하고 있을 수 있다. WFD 싱크(20)가 다른 미디어 컨텐트의 영상(850)을 표시하면서, 화면 공유 서비스를 통해 WFD 소스(10)로부터 전체 영상을 수신하는 경우, WFD 싱크(20)는 제2 영상(830)을 제거하여, 제1 영상(810)만을 미디어 컨텐트의 영상(850)에 중첩하여 표시할 수 있다.
시청자는 화면 공유 서비스에 기반하여 WFD 소스(10)로부터 수신된 영상을 블랙 영상 없이, 시청할 수 있어, WFD 싱크(20)를 통해 다른 미디어 컨텐트의 영상(850)을 시청을 방해 받지 않을 수 있다.
한편, 도 9c를 참조하면, 가로 화면으로 배치된 WFD 소스(10)는 화면 공유 서비스에 기반하여 제1 영상(870) 이외에 제2 영상(890)을 포함시켜, WFD 싱크(20)에 전송할 수 있다. 제2 영상(890)은 레터 박스일 수 있다. WFD 싱크(20)는 WFD 소스(10)로부터 수신된 제1 영상(870) 및 제2 영상(890) 중 제2 영상(890)만을 제거할 수 있다. WFD 싱크(20)는 제2 영상(890)을 제거 후, 제1 영상(870)을 디스플레이부(180)의 전체 화면 사이즈에 맞게 스케일링하여 출력할 수 있다.
도 9b에서 WFD 소스(10)는 자신의 배치 상태에 따라 표시하는 제1 영상(810)을 그대로 WFD 싱크(20)에 전송할 수 있다. WFD 소스(10)는 자신의 화면 표시 방향을 인지할 수 있고, 인지된 방향에 대응하는 영상을 WFD 싱크(20)에 전송할 수 있다. WFD 소스(10)는 자이로 센서 등을 통해 자신이 가로 방향 또는 세로 방향으로 배치되어 있는지를 인지할 수 있다. WFD 소스(10)는 가로 길이보다 세로 길이가 더 긴 세로 방향으로 배치되어 있는 경우, 세로 방향의 제1 영상(810)을 WFD 싱크(20)에 전송할 수 있다. WFD 싱크(20)는 제2 영상(830)이 제거된 상태의 세로 방향의 제1 영상(810)을 표시할 수 있다.
도 9c에서 WFD 소스(10)는 가로 길이가 세로 길이보다 더 긴 가로 방향으로 배치되어 있고, 가로 방향의 제1 영상(870)을 WFD 싱크(20)에 전송할 수 있다. WFD 싱크(20)는 제2 영상(830)이 제거된 상태의 가로 방향의 제1 영상(870)을 표시할 수 있다. 즉, WFD 소스(10)는 자신의 배치 방향에 맞는 영상을 WFD 싱크(20)에 전송할 수 있어, WFD 싱크(20)는 WFD 소스(10)의 배치 방향에 대응되도록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도 8d에 설명된 바와 같이, 스마트 폰의 배치 방향과 관계 없이, 항상 세로 방향의 영상을 전송하는 경우와 달리, 별도로 영상의 방향을 전환하는 작업이 필요 없게 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도 9c에서 가로 방향으로 배치된 WFD 소스(10)는 세로 방향의 제1 영상(870)을 WFD 싱크(20)에 전송할 수도 있다. WFD 싱크(20)는 WFD 소스(10)가 가로 방향으로 배치되어 있음을 인지할 수 있고, 세로 방향의 제1 영상(810)을 자동으로 가로 방향으로 전환하여 표시할 수 있다.
한편, WFD 소스(10)의 표시 모드가 포트레이트 모드에서 랜드스케이프 모드로 전환되는 경우, WFD 싱크(20) 상에서 표시되는 제1 영상 또한, 자동으로 전환될 수 있다.
도 9d를 참조하면, WFD 소스(10)는 포트레이트 모드에서 제1 영상(810)을 표시 중이다. WFD 싱크(20)는 제2 영상이 제거된 상태의 제1 영상(810)을 다른 미디어 컨텐트의 영상(850)에 중첩하여 표시할 수 있다. 즉, 제1 영상(810)은 PIP 형태로 표시될 수 있다. 이 때, WFD 싱크(20) 상에서 표시된 제1 영상(810) 또한, 포트레이트 모드로 표시될 수 있다. WFD 소스(10)의 표시 모드가 포트레이트 모드에서 랜드스케이프 모드로 전환된 경우, WFD 싱크(20) 또한, 제1 영상(810)을 랜드스케이프 모드로 전환하여 표시할 수 있다. WFD 싱크(20)는 제1 영상(810)을 디스플레이부(180)의 전체 화면 상에 표시할 수 있다.
WFD 소스(10)가 포트레이트 모드에서 제1 영상(810)을 전송하는 경우, 도 9a 및 도 9b와 같이, 블랙 영상을 삽입하여, WFD 싱크(20)에 전송할 수 있다. WFD 싱크(20)는 삽입된 블랙 영상을 추출하고, 추출된 블랙 영상을 제거하여, 제1 영상(810)만을 표시할 수 있다. 만약, WFD 소스(10)가 포트레이트 모드에서 랜드스케이프 모드로 전환된 경우, WFD 소스(10)는 블랙 영상을 포함하지 않는 제1 영상(810)을 WFD 싱크(20)에 전송할 수 있다. 즉, 이 경우, WFD 소스(10)의 출력 해상도는 WFD 싱크(20)가 지원하는 화면 비율에 대응하는 해상도에 포함될 수 있어, 전송되는 영상에는 블랙 영상이 표시되지 않을 수 있다. 도 9d에서 WFD 소스(10)의 표시 모드가 랜드스케이프 모드로 전환된 경우, WFD 싱크(20)는 제1 영상(810)을 전체 화면 상에 표시함을 가정하여 설명하나, 이에 한정될 필요는 없고, 제1 영상(810)을 PIP 형태로도 표시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제2 영상이 제거된 상태의 제1 영상이 조정될 수 있다.
도 10a 및 도 10b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WFD 소스로부터 수신된 전체 영상 중 제2 영상이 제거된 상태의 제1 영상을 조정하는 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0a를 참조하면, WFD 싱크(20)의 디스플레이부(180)는 WFD 소스(10)로부터 스트리밍 중인 전체 영상 중 제1 영상(810)을 전체 화면 상에 표시하고 있다. 즉, WFD 싱크(20)는 블랙 영상 등과 같은 제2 영상이 제거된 상태로 제1 영상(810)을 표시할 수 있다. 제1 영상(810)은 제1 영상(810)의 수신 전, WFD 싱크(20)의 디스플레이부(180)를 통해 표시 중이었던, 다른 미디어 컨텐트의 영상(850)에 중첩되어 표시될 수 있다.
WFD 싱크(20)는 화면 상에 미러링 영상 조정 창(1000)을 더 표시할 수 있다. 미러링 영상 조정 창(1000)은 제1 영상(810)의 사이즈 또는 투명도 등을 조정하기 위한 창일 수 있다. 미러링 영상 조정 창(1000)은 WFD 소스(10)와 화면 공유 서비스를 개시하여, 제1 영상(810)이 디스플레이부(180)를 통해 표시될 때 또는 제1 영상(810)을 수신할 때, 표시될 수 있다. 미러링 영상 조정 창(1000)은 사이즈 조정 항목(1010)을 포함할 수 있다. 사이즈 조정 항목(1010)은 WFD 소스(10)로부터 수신 중인 제1 영상(810)의 사이즈를 조절하기 위한 항목일 수 있다. 사이즈 조정 항목(1010)은 사이즈 조정 바를 포함할 수 있다. WFD 싱크(20)는 원격 제어 장치(200)로부터 수신된 제어 명령에 기초하여, 제1 영상(810)의 사이즈를 조절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WFD 싱크(20)는 포인터(205)를 더 표시할 수 있고, 원격 제어 장치(200)로부터 수신된 명령에 따라 포인터(205)를 이용하여 제1 영상(810)의 사이즈를 조절할 수 있다. 도 10a에서는 사이즈 조정 항목(1010)만을 도시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될 필요는 없고, 제1 영상(810)의 사이즈가 축소된 경우, 축소된 제1 영상(810)의 위치를 조정하는 항목도 더 표시될 수 있다.
도 10b를 참조하면, WFD 싱크(20)의 디스플레이부(180)는 WFD 소스(10)로부터 스트리밍 중인 제1 영상(810)을 부분 화면 상에 표시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WFD 싱크(20)는 블랙 영상 등과 같은 제2 영상이 제거된 상태로 제1 영상(810)을 표시할 수 있다. WFD 싱크(20)는 디스플레이부(180)의 전체 화면 상에 화면 공유 서비스 이전에 재생 중인 미디어 컨텐트의 영상(850)을 표시하고, 제1 영상(810)을 미디어 컨텐트의 영상(850)에 중첩하여 표시할 수 있다. WFD 싱크(20)는 제1 영상(810)을 디스플레이부(180)의 화면 상에 표시할 때또는 제1 영상(810)을 수신할 때, 미러링 영상 조정 창(1000)을 표시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미러링 영상 조정 창(1000)은 제1 영상(810)의 주위에 배치될 수 있다. 미러링 영상 조정 창(1000)은 OSD 형태로 표시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 예에서, 미러링 영상 조정 창(1000)은 제1 영상(810) 상에 중첩되어 표시될 수도 있다.
미러링 영상 조정 창(1000)은 사이즈 조정 항목(1010) 및 투명도 조정 항목(1030) 중 하나 이상을 표시할 수 있다. 투명도 조정 항목(1030)은 제1 영상(810)의 투명도를 조절하기 위한 항목일 수 있다. 사용자는 미디어 컨텐트의 영상(850) 시청 중, 미러링(mirroring) 기능 또는 화면 공유 서비스를 통해 WFD 소스(10)로부터 제1 영상(810)을 수신하는 경우, 제1 영상(810)의 투명도를 조정하여 미디어 컨텐트의 영상(850)의 시청에 방해를 받지 않을 수 있다. 여기서, 화면 공유 서비스 이전에 WFD 싱크(20)의 디스플레이부(180) 상에 표시 중인 영상(850)은 미디어 컨텐트의 영상임을 가정하여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될 필요는 없고, 홈 화면, 메뉴 화면,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 등 다양한 형태의 화면일 수 있다. 사용자는 멀티 태스킹을 위해 제1 영상(810)의 투명도를 조절할 수도 있다.
도 10b에서는 사이즈 조정 항목(1010) 및 투명도 조정 항목(1030)만을 예로 들어 설명했으나, 이에 한정될 필요는 없고, 제1 영상(810)의 위치를 변경시키기 위한 항목도 더 표시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11을 설명한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WFD 소스로부터 스트리밍 중인 제1 영상을 표시하다가, 제2 영상을 포함하는 영상으로 되돌아가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1에서 도 9b와 관련 있는 부분은 설명은 생략한다.
도 11을 참조하면, WFD 싱크(20)는 WFD 소스(10)로부터 수신 중인 전체 영상 중 제2 영상이 제거된 제1 영상(810)을 디스플레이부(180)의 부분 화면 상에 표시할 수 있다. 즉, 제1 영상(810)은 PIP 형태로 표시될 수 있다. WFD 싱크(20)는 제1 영상(810)을 선택하는 명령을 수신할 수 있다. WFD 싱크(20)는 수신된 명령에 기초하여 제1 영상(810) 및 제2 영상(830)을 표시할 수 있다. 즉, WFD 싱크(20)는 PIP 형태로 표시 중인 제1 영상(810)이 선택됨에 따라 WFD 소스(10)로부터 수신 중인 전체 영상 자체를 그대로 표시할 수 있다. 즉, WFD 싱크(20)는 제거된 블랙 영상인 제2 영상(830)을 다시 복원시킬 수 있다. 제1 영상(810)을 선택하는 명령은 원격 제어 장치(200)로부터 수신될 수 있다.
도 12a 내지 도 12c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WFD 소스로부터 수신 중인 영상을 제어하는 과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2a를 참조하면, WFD 싱크(20)는 디스플레이부(180)의 전체 화면 상에 미디어 컨텐트의 영상(850)을 표시하면서, WFD 소스(10)로부터 수신된 제1 영상(810) 및 제2 영상(830)을 표시하고 있음을 가정한다. 도 12a에서는 제거된 제2 영상(830)이 복원된 상태임을 나타낼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제2 영상(830) 상에는 WFD 소스(1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복수의 가상 버튼들을 포함하는 소스 제어 창(1100)이 표시될 수 있다. WFD 싱크(20)는 WFD 소스(10)로부터 수신된 전체 영상 중 제2 영상(830)을 인지할 수 있고, 인지된 제2 영상(830)이 표시된 영역 상에 소스 제어 창(1100)을 표시할 수 있다. 소스 제어 창(1100)은 가상 미러링 오프 버튼(1110), 가상 홈 버튼(1120), 가상 메뉴 버튼(1130), 가상 취소 버튼(1140), 가상 전원 버튼(1150) 및 가상 음량 조절 버튼(1160) 중 하나 이상이 표시될 수 있다. 각 버튼은 WFD 소스(10)에 구비된 물리적인 키 버튼에 대응될 수 있다. 즉, 가상 홈 버튼(1120)은 WFD 소스(10)의 홈 버튼에 대응될 수 있고, 가상 메뉴 버튼(1130)은 메뉴 버튼에 대응될 수 있고, 가상 취소 버튼(1140)은 취소 버튼에 대응될 수 있고, 가상 전원 버튼(1150)은 전원 버튼에 대응될 수 있고, 가상 음량 조절 버튼(1160)은 음량 조절 버튼에 대응될 수 있다. 각 가상 버튼이 선택됨에 따라 실제 물리적인 키 버튼의 기능이 수행될 수 있다. 각 가상 버튼은 원격 제어 장치(200)의 포인터를 통해 선택될 수 있다.
가상 미러링 오프 버튼(1110)은 WFD 싱크(20)가 WFD 소스(10)와의 화면 공유 서비스 또는 스크린 미러링 서비스를 중단하기 위한 버튼일 수 있다. 가상 미러링 오프 버튼(1110)이 선택된 경우, WFD 싱크(20)는 제1 영상(810) 및 제2 영상(830)을 표시하지 않을 수 있다. 즉, WFD 싱크(20)는 화면 공유 서비스를 중단하기 위한 요청 메시지를 WFD 소스(10)에 전송할 수 있다. WFD 소스(10)는 수신된 요청 메시지에 응답하여, WFD 싱크(20)에 제1 영상(810) 및 제2 영상(830)의 전송을 중지할 수 있다. 사용자는 이에 따라 기존에 시청 중인 미디어 컨텐트의 영상(850)을 시청할 수 있다.
한편, 가상 홈 버튼(1120)이 선택된 경우, WFD 싱크(20)는 홈 화면을 표시하도록 하는 요청 메시지를 WFD 소스(10)에 전송할 수 있다. WFD 소스(10)는 수신된 요청 메시지에 응답하여, 재생 중인 제1 영상(810)을 표시하지 않고, 홈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동시에, WFD 소스(10)는 표시 중인 홈 화면에 대한 정보를 WFD 싱크(20)에 전송할 수 있다. WFD 싱크(20)는 수신된 홈 화면에 대한 정보를 이용하여, 제1 영상(810)을 홈 화면으로 전환하여 표시할 수 있다.
가상 메뉴 버튼(1130)은 선택된 경우, WFD 소스(10)는 메뉴 화면을 표시할 수 있고, WFD 싱크(20) 또한, 메뉴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가상 취소 버튼(1140)이 선택된 경우, WFD 소스(10)가 수행했던 이전 태스크를 표시할 수 있고, 이에 따라, WFD 싱크(20) 또한, 이전 태스크를 표시할 수 있다.
가상 전원 버튼(1150)이 선택된 경우, WFD 소스(10)의 전원이 제어될 수 있다.
가상 음량 조절 버튼(1160)이 선택된 경우, WFD 소스(10)가 출력하는 볼륨의 크기가 조절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가상 홈 버튼(1120), 가상 메뉴 버튼(1130), 가상 취소 버튼(1140), 가상 전원 버튼(1150) 및 가상 음량 조절 버튼(1160)은 WFD 소스(10)가 이동 단말기에 구비된 키 버튼의 위치에 대응되도록 표시될 수 있다. 즉, 도 1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상 홈 버튼(1120), 가상 메뉴 버튼(1130), 가상 취소 버튼(1140), 가상 전원 버튼(1150) 및 가상 음량 조절 버튼(1160)은 소스 제어 창(1100) 상에 이동 단말기에 구비된 실제 키 버튼의 위치에 대응하는 위치에 표시될 수 있다.
한편, 소스 제어 창(1100)은 별도의 영역 상에 위치될 수도 있다. 도 12b를 참조하면, WFD 싱크(20)는 디스플레이부(180)의 전체 화면 상에 미디어 컨텐트의 영상(850)을 표시하면서, WFD 싱크(20)는 WFD 소스(10)로부터 수신된 제1 영상(810)만을 일부 화면 상에 표시하고 있다. 즉, 삽입된 제2 영상(830)이 제거된 상태일 수 있다. 소스 제어 창(1100)은 제1 영상(810)이 표시되는 영역 상에 또는 제1 영상(810)이 표시되는 영역과는 별도의 영역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소스 제어 창(1100)은 제1 영상(810)이 WFD 싱크(20) 상에 표시될 때, 표시될 수 있다. WFD 싱크(20)는 소스 제어 창(1100)을 OSD 형태로 표시할 수 있다.
가상 미러링 오프 버튼(1110)이 선택된 경우, WFD 싱크(20)는 도 12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영상(810)을 사라지게 할 수 있다. 동시에 WFD 싱크(20)는 미러링 화면을 다시 표시하기 위해 사용되는 인디케이터(1130)를 표시할 수 있다. 즉, 인디케이터(1130)를 선택하는 명령이 수신된 경우, WFD 싱크(20)는 다시 제1 영상(810)을 디스플레이부(180)의 부분 화면 상에 표시할 수 있다. 인디케이터(1130)는 WFD 소스(10)와 화면 공유 서비스 또는 스크린 미러링 서비스를 재개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도 13a 내지 도 13c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WFD 싱크의 분할 화면 상에 WFD 소스로부터 수신된 제1 영상이 표시되는 경우, 제2 영상이 제거됨에 따라 발생하는 제1 영상의 왜곡을 조정하는 과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3a은 도 9a의 설명을 차용하며, 다른 부분만 설명한다. 또한, 도 13b는 도 9b의 설명을 차용하며, 다른 부분만 설명한다.
도 13a를 참조하면, WFD 싱크(20)는 전체 화면이 2개로 분할된 각 분할 화면 상에 미디어 컨텐트의 영상(850) 및 제1 영상(810)을 표시할 수 있다. 이는 부분 미러링에 해당될 수 있다. 이 경우, 제1 영상(810)의 해상도는 WFD 싱크(20)의 해상도와 맞지 않아, 제1 영상(810)이 왜곡되어 표시될 수 있다. 즉, WFD 소스(10)가 세로 화면으로 배치됨(포트레이트 모드로 동작됨)에 따라 그에 대응하는 제1 영상(810)의 출력 해상도는 WFD 싱크(20)가 지원하는 해상도들에 포함되지 않아, 제1 영상(810)이 왜곡되어 표시될 수 있다. 도 13a에서 WFD 싱크(20)는 원격 제어 장치(200)의 움직임에 대응하여 이동되는 포인터(205)를 더 표시할 수 있다. 사용자는 포인터(205)를 통해 제1 영상(810)과 미디어 컨텐트의 영상(850)의 경계선(K)의 위치를 조작하여, 제1 영상(810)의 사이즈를 조절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도 13b와 같이, WFD 소스(10)가 가로 화면으로 배치된 경우, 블랙 영상이 제거된 제1 영상(870) 또한, 왜곡되어 표시될 수 있다.
제1 영상이 왜곡되어 표시됨을 방지하기 위해, WFD 싱크(20)는 도 13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왜곡되지 않은 상태의 제1 영상(810)을 표시할 수 있다. 즉, WFD 싱크(20)는 분할 화면 상에 제1 영상(810)을 맞추어, 왜곡시키지 않고, 제2 영상이 제거된 상태의 제1 영상(810)만을 화면 상에 표시할 수 있다. 또한 WFD 싱크(20)는 도 13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미러링 영상 조정 창(1000)을 제1 영상(810)이 표시된 영역 상에 표시할 수 있다. 사용자는 미러링 영상 조정 창(1000)을 이용하여, 미러링 화면인 제1 영상(810)의 사이즈 및 투명도를 조정할 수 있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무선 디바이스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4에 도시된 무선 디바이스는 위에서 설명한 WFD 소스(10) 및 WFD 싱크(20)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도 14를 참조하면, 무선 디바이스(1)는 통신부(2), 메모리(3), 디스플레이부(4) 및 프로세서(9)를 포함할 수 있다.
통신부(2)는 무선 신호를 송신/수신할 수 있고, 예를 들어, IEEE 802 시스템에 따른 물리 레이어를 구현할 수 있다. 통신부(2)는 송수신기로 명명될 수 있다.
프로세서(9)는 통신부(2), 메모리(3), 디스플레이부(4)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프로세서(9)는 통신부(2)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IEEE 802 시스템에 따른 물리 레이어 및/또는 MAC 레이어를 구현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9)는 WFD 서비스를 위한 오디오 / 비디오의 인코딩 및 디코딩의 동작을 수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무선 디바이스의 동작을 구현하는 모듈이 메모리(3)에 저장되고, 프로세서(9)에 의하여 실행될 수도 있다. 메모리(3)는 프로세서(9)의 내부에 포함되거나 또는 프로세서(9)의 외부에 설치되어 프로세서(9)와 공지의 수단에 의해 연결될 수 있다.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무선 디바이스(1)는 음향을 출력하기 위한 음향 출력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무선 디바이스(1)가 WFD 소스(10)인 경우, WFD 소스(10)는 도 5에 도시된 이동 단말기(500)의 구성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무선 디바이스(1)의 통신부(2)는 무선 통신부(510)의 기능을 모두 수행할 수 있다. 특히, 통신부(2)는 무선 통신부(510)에 포함된 근거리 통신 모듈(514)의 기능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무선 디바이스(1)의 메모리(3)는 도 5의 메모리(570)에 대응될 수 있고, 디스플레이부(4)는 도 5의 디스플레이부(551)에 대응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는 도 5의 제어부(580)의 모든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무선 디바이스(1)가 WFD 싱크(20)인 경우, WFD 싱크(20)는 도 1에 도시된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구성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무선 디바이스(1)의 통신부(2)는 도 1의 무선 통신부(173)에 대응될 수 있고, 무선 디바이스(1)의 메모리는 도 1의 저장부(140)에 대응될 수 있고, 무선 디바이스(1)의 디스플레이부(4)는 도 1의 디스플레이부(180)에 대응될 수 있고, 무선 디바이스(1)의 프로세서(9)는 도 1의 제어부(170)에 대응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WFD 싱크(20)는 블랙 영상 제거 모드의 설정을 통해 WFD 소스(10)로부터 수신 중인 전체 영상 중 블랙 영상을 제거하거나, 제거하지 않을 수 있다. 예를 들어, WFD 싱크(20)는 블랙 영상 제거 모드의 설정을 위한 메뉴 설정 화면을 표시할 수 있고, 메뉴 설정 화면을 통해 블랙 영상의 제거 여부를 설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무선 액세스 시스템들인 IEEE 802 시스템, 3GPP 시스템, 3GPP LTE 및 LTE-A(LTE-Advanced)시스템, 3GPP2 시스템 및 Wi-Fi Alliance(WFA) 시스템 중 적어도 하나에 개시된 표준 문서들에 의해 뒷받침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실시예들 중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명확히 드러내기 위해 설명하지 않은 단계들 또는 부분들은 상기 문서들에 의해 뒷받침될 수 있다. 또한, 본 문서에서 개시하고 있는 모든 용어들은 상기 표준 문서에 의해 설명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하면, 전술한 방법은, 프로그램이 기록된 매체에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으며, 캐리어 웨이브(예를 들어, 인터넷을 통한 전송)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
상기와 같이 설명된 디스플레이 장치는 상기 설명된 실시 예들의 구성과 방법이 한정되게 적용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상기 실시 예들은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 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Claims (15)

  1. 와이파이 다이렉트 서비스를 지원하는 제1 무선 디바이스에 있어서,
    디스플레이부;
    제2 무선 디바이스와의 연결 셋업을 수행하는 통신부; 및
    상기 디스플레이부 및 상기 통신부를 제어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1 무선 디바이스가 지원하는 복수의 해상도들을 포함하는 해상도 정보를 RTSP(Real-Time Streaming Protocol)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상기 제2 무선 디바이스에 전송하고,
    상기 제2 무선 디바이스가 표시 중인 제1 영상의 해상도가 상기 복수의 해상도들에 포함되지 않는 경우, 상기 제1 영상 이외에 제2 영상을 포함하는 전체 영상을 상기 제2 무선 디바이스로부터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전체 영상 중 제2 영상을 제거하여 상기 제1 영상을 표시하고,
    상기 제2 영상은
    상기 제2 무선 디바이스가 표시 중인 제1 영상을 상기 복수의 해상도들 중 어느 하나의 해상도로 맞추어 표시하기 위해 삽입된 영상이고,
    상기 제2 무선 디바이스에서 표시되지 않는 영상인
    제1 무선 디바이스.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복수의 해상도들 중 상기 제2 무선 디바이스가 선택한 해상도를 갖는 상기 전체 영상을 상기 제2 무선 디바이스로부터 수신하고,
    상기 제2 영상은
    상기 제2 무선 디바이스가 표시 중인 제1 영상을 상기 복수의 해상도들 중 상기 제2 무선 디바이스가 선택한 해상도로 맞추어 표시하기 위해 삽입된 영상인
    제1 무선 디바이스.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복수의 해상도들 중 상기 제2 무선 디바이스가 선택한 해상도의 영상을 전달하겠다는 메시지를 RTSP(Real-Time Streaming Protocol)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상기 제2 무선 디바이스로부터 수신하는
    제1 무선 디바이스.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영상은 블랙 영상인
    제1 무선 디바이스.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2 무선 디바이스가 표시 중인 상기 제1 영상의 해상도가 상기 해상도 정보에 포함된 경우, 상기 제2 무선 디바이스로부터 제1 영상만을 수신하는
    제1 무선 디바이스.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2 무선 디바이스로부터 상기 전체 영상을 수신하기 전, 미디어 컨텐트의 영상을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전체 화면 상에 표시하고,
    상기 제2 영상이 제거된 상태의 상기 제1 영상을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일부 화면 상에 표시하는
    제1 무선 디바이스.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1 영상의 사이즈 및 투명도 중 하나 이상을 제어하기 위한 영상 조정 창을 상기 제1 영상과 별도의 영역 상에 더 표시하는
    제1 무선 디바이스.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2 무선 디바이스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가상 버튼을 포함하는 제어 창을 상기 제1 영상이 표시되는 영역과 다른 영역 상에 표시하고,
    상기 하나 이상의 가상 버튼을 선택하는 명령에 기초하여 상기 제2 무선 디바이스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1 무선 디바이스.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일부 화면 상에 표시된 상기 제1 영상을 선택하는 명령을 수신하고, 수신된 명령에 따라 상기 제거된 제2 영상을 상기 제1 영상의 상하 또는 좌우에 표시하는
    제1 무선 디바이스.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2 무선 디바이스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가상 버튼을 포함하는 제어 창을 상기 제2 영상이 위치한 영역 상에 더 표시하고,
    상기 하나 이상의 가상 버튼을 선택하는 명령에 기초하여 상기 제2 무선 디바이스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1 무선 디바이스.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2 영상이 제거된 상태의 제1 영상을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전체 화면 상에 표시하고,
    상기 제1 영상의 사이즈 및 위치를 조절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영상 조정 창을 상기 제1 영상에 중첩하여 표시하는
    제1 무선 디바이스.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무선 디바이스가 표시 중인 제1 영상의 해상도가 상기 복수의 해상도들에 포함되지 않는 경우는
    상기 제2 무선 디바이스의 표시 모드가 포트레이트 모드인 경우를 포함하는
    제1 무선 디바이스.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2 무선디바이스의 표시 모드가 상기 포트레이트 모드에서 랜드스케이프 모드로 전환된 경우, 상기 제1 영상을 상기 랜드스케이프 모드로 자동으로 전환하여 표시하는
    제1 무선 디바이스.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무선 디바이스가 지원 가능한 해상도들 각각은 가로 길이가 세로 길이보다 더 긴 화면 비율에 대응하는 해상도인
    제1 무선 디바이스.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2 무선 디바이스와의 연결 셋업에 앞서, 상기 제2 무선 디바이스의 존재를 탐색하는
    제1 무선 디바이스.
KR1020160023542A 2016-02-26 2016-02-26 무선 디바이스 KR102442527B1 (ko)

Priority Applications (7)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23542A KR102442527B1 (ko) 2016-02-26 2016-02-26 무선 디바이스
PCT/KR2016/005286 WO2017146301A1 (en) 2016-02-26 2016-05-18 Wireless device
US15/169,578 US9805688B2 (en) 2016-02-26 2016-05-31 Wireless device supporting Wi-Fi direct service
CN201610437788.1A CN107135193B (zh) 2016-02-26 2016-06-17 无线装置
EP16175096.3A EP3211911B1 (en) 2016-02-26 2016-06-17 Wireless device
US15/711,893 US9978337B2 (en) 2016-02-26 2017-09-21 Wireless device supporting Wi-Fi direct service
US15/977,735 US10431183B2 (en) 2016-02-26 2018-05-11 Wireless device displaying images and matching resolution or aspect ratio for screen sharing during Wi-Fi direct ser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23542A KR102442527B1 (ko) 2016-02-26 2016-02-26 무선 디바이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00968A KR20170100968A (ko) 2017-09-05
KR102442527B1 true KR102442527B1 (ko) 2022-09-13

Family

ID=567407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23542A KR102442527B1 (ko) 2016-02-26 2016-02-26 무선 디바이스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3) US9805688B2 (ko)
EP (1) EP3211911B1 (ko)
KR (1) KR102442527B1 (ko)
CN (1) CN107135193B (ko)
WO (1) WO2017146301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13521A (ko) * 2019-03-25 2020-10-07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277626B2 (ja) * 2013-08-08 2018-02-14 株式会社リコー 再生システム、再生制御システム、情報端末、表示装置、再生制御プログラム及び再生制御方法
KR102442527B1 (ko) 2016-02-26 2022-09-13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디바이스
EP3445137A4 (en) * 2016-04-15 2019-10-30 Shenzhen Royole Technologies Co. Ltd. CONTROL DEVICE
CN105979342B (zh) * 2016-06-24 2018-01-02 武汉斗鱼网络科技有限公司 一种直播网站横屏竖屏直播切换方法及系统
KR102598082B1 (ko) * 2016-10-28 2023-11-03 삼성전자주식회사 영상 표시 장치, 모바일 장치 및 그 동작방법
KR102136091B1 (ko) * 2016-12-20 2020-07-22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및 방법
US10356401B1 (en) * 2017-08-16 2019-07-16 Facebook, Inc. Noise cancellation in a wireless head mounted display
CN109471603A (zh) * 2017-09-07 2019-03-15 华为终端(东莞)有限公司 一种界面显示方法及装置
US10936170B2 (en) * 2017-09-14 2021-03-02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for enabling interaction using fingerprint on display and electronic device thereof
KR102015828B1 (ko) * 2018-05-10 2019-10-21 (주)테크온비젼 휴대폰 영상 해상도 변환용 시스템온칩
FR3083041B1 (fr) * 2018-06-21 2023-05-12 Amadeus Sas Synchronisation d'afficheurs inter-dispositifs
CN109410864A (zh) * 2018-12-04 2019-03-01 惠科股份有限公司 一种显示面板的驱动方法、驱动模块和显示装置
KR20200084273A (ko) 2019-01-02 2020-07-10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디바이스 및 무선 시스템
KR102397441B1 (ko) 2019-01-18 2022-05-13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102185632B1 (ko) * 2019-01-25 2020-12-02 김진태 가상현실 디스플레이 시스템
KR102163513B1 (ko) * 2019-01-25 2020-10-07 김진태 가상현실 디스플레이 시스템
KR102222871B1 (ko) * 2019-02-22 2021-03-04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의 영상 표시 방법
CN110267073A (zh) * 2019-07-24 2019-09-20 深圳市颍创科技有限公司 一种投屏画面显示及投屏画面旋转方法
KR20210123927A (ko) * 2020-04-06 2021-10-14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디바이스
JP2021166356A (ja) * 2020-04-07 2021-10-14 株式会社リコー 出力装置、出力システム、フォーマット情報変更方法、プログラム、コントローラー
WO2021212463A1 (zh) * 2020-04-24 2021-10-28 海信视像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显示设备及投屏方法
CN116360725B (zh) * 2020-07-21 2024-02-23 华为技术有限公司 显示交互系统、显示方法及设备
US20240036802A1 (en) * 2020-07-24 2024-02-01 Lg Electronics Inc. Display device and operation method thereof
KR20220040639A (ko) * 2020-09-24 2022-03-31 삼성전자주식회사 외부 전자 장치와의 직접 통신을 위한 전자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CN114489529A (zh) * 2020-10-23 2022-05-13 华为技术有限公司 电子设备的投屏方法及其介质和电子设备
CN112383820B (zh) * 2020-11-09 2023-03-31 深圳康佳电子科技有限公司 一种识别投屏设备横竖屏的方法、存储介质及终端设备
WO2022255519A1 (ko) * 2021-06-03 2022-12-08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4129681A1 (ko) 2013-02-21 2014-08-28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및 디스플레이 장치의 포인팅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3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30126266A1 (en) * 2002-01-03 2003-07-03 Amir Peles Persistent redirection engine
GB0819389D0 (en) * 2008-03-12 2008-11-26 Skype Ltd Method of transmitting data in a communication system
JP4888469B2 (ja) * 2008-02-05 2012-02-29 コニカミノルタビジネステクノロジーズ株式会社 画像配信装置、画像配信方法および画像配信プログラム
JP4798172B2 (ja) * 2008-05-20 2011-10-19 コニカミノルタビジネステクノロジーズ株式会社 画像処理装置、画像出力方法および画像出力プログラム
US20100161716A1 (en) * 2008-12-22 2010-06-24 General Instrument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streaming multiple scalable coded video content to client devices at different encoding rates
US8789131B2 (en) * 2010-05-14 2014-07-22 Lg Electronics Inc.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of sharing contents thereof with other devices
JP5073032B2 (ja) * 2010-09-27 2012-11-14 株式会社東芝 情報出力装置、情報処理システムおよび情報処理方法
EP2511761A3 (en) * 2011-04-14 2014-08-27 Canon Kabushiki Kaisha Image pickup apparatus and ND filter
KR101328058B1 (ko) * 2011-09-23 2013-11-08 엘지전자 주식회사 단말기를 이용한 카메라 제어 방법 및 그 단말기
KR20130081800A (ko) * 2012-01-10 2013-07-18 엘지전자 주식회사 영상 수신 방법 및 영상 전송 방법
JP5999452B2 (ja) * 2012-01-26 2016-09-28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携帯端末及び機器連携方法
KR20130143162A (ko) * 2012-06-20 2013-12-31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단말기의 데이터 전송 장치 및 방법
WO2014014238A1 (en) * 2012-07-17 2014-01-23 Samsung Electronics Co., Ltd.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image
KR20140011857A (ko) * 2012-07-20 2014-01-29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동 단말에서 디스플레이 장치의 디스플레이를 제어하기 위한 방법 및 이를 위한 이동 단말
US9007426B2 (en) 2012-10-04 2015-04-14 Blackberry Limited Comparison-based selection of video resolutions in a video call
US10491458B2 (en) * 2013-01-31 2019-11-26 Dell Products L.P. System and method for reporting peer-to-peer transfer events
KR20140112774A (ko) * 2013-03-14 2014-09-24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미지 편집 방법, 저장 매체 및 단말
US8752113B1 (en) 2013-03-15 2014-06-10 Wowza Media Systems, LLC Insertion of graphic overlays into a stream
JP2014232228A (ja) * 2013-05-29 2014-12-11 ソニー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および情報処理システム
KR20140140957A (ko) * 2013-05-30 2014-12-10 삼성전자주식회사 화면 데이터의 미러링 방법, 저장 매체 및 전자 장치
KR101534089B1 (ko) * 2013-06-25 2015-07-06 삼성메디슨 주식회사 초음파 진단 장치 및 그 동작방법
WO2015002409A1 (en) * 2013-07-01 2015-01-08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of sharing information in ultrasound imaging
KR102099176B1 (ko) * 2013-08-01 2020-04-09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20150060370A (ko) * 2013-11-26 2015-06-03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영상 처리 방법 및 시스템과 이를 지원하는 차량 전자 장치 및 휴대 단말기
KR20150067521A (ko) * 2013-12-10 2015-06-18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화면 공유 서비스를 위한 장치 및 방법, 이를 위한 화면 공유 시스템
KR102243778B1 (ko) * 2013-12-27 2021-04-23 주식회사 알티캐스트 미디어 서비스 제공 방법 및 방송 수신 장치
KR102122476B1 (ko) * 2014-01-08 2020-06-12 삼성전자주식회사 화면의 회전을 컨트롤할 수 있는 전자 장치 및 방법
JP2016014097A (ja) * 2014-07-01 2016-01-28 株式会社 山辰鉱産 埋め戻し材の製造方法、埋め戻し材および埋め戻し材製造システム
US9665336B2 (en) * 2014-07-29 2017-05-30 Qualcomm Incorporated Direct streaming for wireless display
KR102227088B1 (ko) 2014-08-11 2021-03-12 엘지전자 주식회사 전자기기 및 그것의 제어방법
CN104936017A (zh) * 2015-06-17 2015-09-23 Tcl移动通信科技(宁波)有限公司 一种基于无线的快速传输图像的方法及系统
KR102442527B1 (ko) 2016-02-26 2022-09-13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디바이스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4129681A1 (ko) 2013-02-21 2014-08-28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및 디스플레이 장치의 포인팅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13521A (ko) * 2019-03-25 2020-10-07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102607214B1 (ko) 2019-03-25 2023-11-29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211911A1 (en) 2017-08-30
US20180025697A1 (en) 2018-01-25
WO2017146301A1 (en) 2017-08-31
US9805688B2 (en) 2017-10-31
US9978337B2 (en) 2018-05-22
EP3211911B1 (en) 2018-12-26
US20170249919A1 (en) 2017-08-31
US10431183B2 (en) 2019-10-01
US20180261185A1 (en) 2018-09-13
CN107135193B (zh) 2020-03-03
KR20170100968A (ko) 2017-09-05
CN107135193A (zh) 2017-09-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42527B1 (ko) 무선 디바이스
US10852940B2 (en)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operating same
CN107015776B (zh) 移动终端及其操作方法
US10334200B2 (en) Wireless device and wireless system
US10750086B2 (en) Mobile terminal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US10687018B1 (en) Wireless device receiving a mirroring image from an external device and wireless system including wireless device and external device
US11089149B2 (en) Display device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KR20170111000A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KR102381068B1 (ko) 무선 디바이스 및 그의 동작 방법
KR20170052353A (ko) 이동 단말기 및 그의 동작 방법
US11758221B2 (en) Wireless communication connection system including mobile terminal and electronic device to perform wireless communication connection through mobile terminal
KR20170091303A (ko) 단말기 및 그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시스템
KR102611748B1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KR20180052302A (ko) 싱크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