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23927A - 무선 디바이스 - Google Patents

무선 디바이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23927A
KR20210123927A KR1020200041771A KR20200041771A KR20210123927A KR 20210123927 A KR20210123927 A KR 20210123927A KR 1020200041771 A KR1020200041771 A KR 1020200041771A KR 20200041771 A KR20200041771 A KR 20200041771A KR 20210123927 A KR20210123927 A KR 2021012392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ion mode
access point
processor
wireless device
mo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417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병현
이은정
김진성
배경남
권정환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0417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123927A/ko
Priority to EP20181142.9A priority patent/EP3893467B1/en
Priority to US16/914,237 priority patent/US11709646B2/en
Publication of KR202101239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2392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G06F3/145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involving copying of the display data of a local workstation or window to a remote workstation or window so that an actual copy of the data is displayed simultaneously on two or more displays, e.g. teledispla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6Interfacing a local distribution network, e.g. communicating with another STB or one or more peripheral devices inside the home
    • H04N21/4363Adapting the video stream to a specific local network, e.g. a Bluetooth® network
    • H04N21/43637Adapting the video stream to a specific local network, e.g. a Bluetooth® network involving a wireless protocol, e.g. Bluetooth, RF or wireless LAN [IEEE 802.11]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7/00Monitoring; Testing
    • H04B17/30Monitoring; Testing of propagation channels
    • H04B17/309Measuring or estimating channel quality parameters
    • H04B17/318Received signal strength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7/00Monitoring; Testing
    • H04B17/30Monitoring; Testing of propagation channels
    • H04B17/309Measuring or estimating channel quality parameters
    • H04B17/364Delay profil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01Protocols
    • H04L67/10Protocols in which an application is distributed across nodes in the network
    • H04L67/104Peer-to-peer [P2P]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01Protocols
    • H04L67/10Protocols in which an application is distributed across nodes in the network
    • H04L67/1095Replication or mirroring of data, e.g. scheduling or transport for data synchronisation between network nod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01Protocols
    • H04L67/131Protocols for games, networked simulations or virtual reali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6Interfacing a local distribution network, e.g. communicating with another STB or one or more peripheral devices inside the home
    • H04N21/43615Interfacing a Home Network, e.g. for connecting the client to a plurality of peripher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60Network structure or processes for video distribution between server and client or between remote clients; Control signalling between clients, server and network components; Transmission of management data between server and client, e.g. sending from server to client commands for recording incoming content stream; Communication details between server and client 
    • H04N21/63Control signaling related to video distribution between client, server and network components; Network processes for video distribution between server and clients or between remote clients, e.g. transmitting basic layer and enhancement layers over different transmission paths, setting up a peer-to-peer communication via Internet between remote STB's; Communication protocols; Addressing
    • H04N21/632Control signaling related to video distribution between client, server and network components; Network processes for video distribution between server and clients or between remote clients, e.g. transmitting basic layer and enhancement layers over different transmission paths, setting up a peer-to-peer communication via Internet between remote STB's; Communication protocols; Addressing using a connection between clients on a wide area network, e.g. setting up a peer-to-peer communication via Internet for retrieving video segments from the hard-disk of other client de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0005Control or signalling for completing the hand-off
    • H04W36/0007Control or signalling for completing the hand-off for multicast or broadcast services, e.g. MB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80Services using short range communication, e.g. near-field communication [NFC], radio-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or low energy commun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Network data management
    • H04W8/005Discovery of network devices, e.g. termin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ultimedia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른 무선 디바이스는 디스플레이, 외부 기기와 무선으로 통신을 수행하는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 및 네크워크 환경에 기초하여, 액세스 포인트를 통해 상기 외부 기기와 연결되는 제1 연결 모드 또는 상기 외부 기기와 직접 연결되는 제2 연결 모드 중 어느 하나의 연결 모드를 활성화시키고, 활성화된 연결 모드에 따라 상기 외부 기기로부터, 상기 외부 기기가 표시 중인 소스 영상에 상응하는 영상 데이터를 수신하고, 수신된 영상 데이터에 기초한 미러링 영상을 상기 디스플레이 상에 표시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무선 디바이스{WIRELESS DEVICE}
본 개시는 무선 디바이스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네트워크 환경을 파악하여, 외부 기기와의 연결 방식을 결정하는 무선 디바이스에 관한 것이다.
스크린 미러링 기술은 기기 간의 화면을 공유하는 기술이다.
스크린 미러링을 위해 2개의 기기는 공유기 없이 P2P(Peer-to-Peer)를 이용한 P2P 연결 모드 및 공유기를 통한 AP(Access Point) 연결 모드 중 어느 하나의 연결 모드를 이용하여, 화면을 공유한다.
P2P 연결 모드의 경우 P2P Scan을 통한 기기 검색, 검색된 기기로 연결 요청, P2P 연결, RTSP(Real Time Streaming Protocol) 연결 이후, 싱크 기기에 미러링 영상이 표시한다.
이 경우, P2P Scan을 통한 기기 검색 과정이 가장 오래 소요되며, 검색 시간은 주변 무선환경에 따라 변화량이 심한 문제가 있다.
공유기를 통한 AP 연결 모드의 경우, P2P scan 과정이 필요 없어, 연결시간이 단축될 수 있으나 공유기의 성능에 따라 미러링 영상의 품질이 매우 열악해질 수 있다.
또한, 공유기의 성능이 우수한 제품인 경우에도, 공유기에 많은 기기가 연결되어 있거나 소수의 기기가 많은 데이터를 사용하게 되면 미러링 영상의 품질이 매우 열악해질 수 있다.
본 개시는 네트워크 환경에 따라 연결 모드를 결정하여, 결정된 연결 모드로 화면 공유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무선 디바이스의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
본 개시는 네트워크 환경에 따라 동적으로 연결 모드를 선택할 수 있는 무선 디바이스의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른 무선 디바이스는 디스플레이, 외부 기기와 무선으로 통신을 수행하는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 및 네크워크 환경에 기초하여, 액세스 포인트를 통해 상기 외부 기기와 연결되는 제1 연결 모드 또는 상기 외부 기기와 직접 연결되는 제2 연결 모드 중 어느 하나의 연결 모드를 활성화시키고, 활성화된 연결 모드에 따라 상기 외부 기기로부터, 상기 외부 기기가 표시 중인 소스 영상에 상응하는 영상 데이터를 수신하고, 수신된 영상 데이터에 기초한 미러링 영상을 상기 디스플레이 상에 표시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네트워크 환경을 반영한 연결 모드에 따라 화면 공유 서비스가 제공되므로, 미러링 영상의 품질이 열악해지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품질이 양호한 상태의 미러링 영상을 시청할 수 있다.
도 1은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른 무선 디바이스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른 기기 발견 과정의 흐름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액세스 포인트를 통한 기기 간의 연결 방식인 AP(Access Point) 연결 모드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무선 시스템의 동작 방법을 설명하는 래더 다이어그램이다.
도 5는 본 개시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무선 시스템의 동작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6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싱크 기기의 동작 방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개시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싱크 기기의 동작 방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8은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른 AP 연결 모드 하에서, 스크린 미러링이 수행되는 과정을 설명하는 도면이고, 도 9는 P2P 연결 모드 하에서, 스크린 미러링이 수행되는 과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0은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른 스크린 미러링을 위한 연결 모드를 설정하는 메뉴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은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른 무선 디바이스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에서 설명되는 무선 디바이스(1)는 TV, 스마트폰, 태블릿 PC, 네비게이션, 웨어러블 기기, PC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무선 디바이스(1)는 후술할 설명한 소스 기기(10) 및 싱크 기기(20)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무선 디바이스(1)는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21), 디스플레이(22), 메모리(23) 및 프로세서(25)를 포함할 수 있다.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21)는 무선 신호를 송신/수신할 수 있고, 예를 들어, IEEE 802 시스템에 따른 물리 레이어를 구현할 수 있다.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21)는 송수신기로 명명될 수 있다.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21)는 무선 통신을 통해 외부 기기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21)는 외부 기기와 근거리 통신(Short range communication)을 수행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21)는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nfrared Data Association; IrDA), UWB(Ultra Wideband), ZigBee, NFC(Near Field Communication), Wi-Fi(Wireless-Fidelity), Wi-Fi Direct, Wireless USB(Wireless Universal Serial Bus) 기술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근거리 통신을 지원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22)는 프로세서(25)에서 처리된 영상 신호, 데이터 신호, OSD 신호 또는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21)에서 수신되는 영상 신호, 데이터 신호 등을 각각 R,G,B 신호로 변환하여 구동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프로세서(25)는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21), 메모리(23), 디스플레이부(22)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프로세서(25)는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21)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IEEE 802 시스템에 따른 물리 레이어 및/또는 MAC 레이어를 구현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25)는 WFD(와이파이 다이렉트) 서비스를 위한 오디오/비디오의 인코딩 및 디코딩의 동작을 수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메모리(23)는 프로세서(25)의 내부에 포함되거나 또는 프로세서(25)의 외부에 설치되어 프로세서(25)와 공지의 수단에 의해 연결될 수 있다.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무선 디바이스(1)는 음향을 출력하기 위한 음향 출력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2는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른 기기 발견 과정의 흐름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에서는 특히, P2P Device 1(10)과 P2P Device 2(20) 간의 P2P(Peer-to-Peer) 연결 모드 하에서, 기기 간의 발견 과정의 흐름을 나타낸다.
P2P Device 1(10)은 소스 기기로 명명될 수 있고, P2P Device 2(20)는 싱크 기기로 명명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도 2의 이웃 발견 과정은 SME(Station Management Entity)/애플리케이션/사용자/벤더의 지시에 의해 개시될 수 있고(S1010), 스캔 단계(scan phase)(S1012)와 찾기 단계(find phase)(S1014~S1016)로 나눠질 수 있다.
스캔 단계(S1012)는 가용한 모든 무선 채널에 대해 802.11 방식에 따라 스캔하는 동작을 포함한다. 이를 통해, P2P 기기는 최상의 동작 채널을 확인할 수 있다.
찾기 단계(S1014~S1016)는 청취(listen) 모드 (S1014)와 탐색(search) 모드 (S1016)를 포함하며, P2P 기기는 청취 모드(S1014)와 탐색 모드(S1016)를 교대로 반복한다.
P2P 기기(10, 20)는 탐색 모드(S1016)에서 프로브 요청 프레임(Probe request frame)을 사용하여 능동 탐색을 실시하며, 빠른 탐색을 위하여 탐색 범위를 채널 1, 6, 11(2412, 2437, 2462MHz)의 소셜 채널(social channel)로 한정할 수 있다.
또한, P2P 기기(302, 304)는 청취 모드(S1014)에서 3 개의 소셜 채널 중 하나의 채널만을 선택하여 수신 상태로 유지한다.
이 때, 다른 P2P 기기(예, 10)가 탐색 모드에서 전송한 프로브 요청 프레임이 수신된 경우, P2P 기기(예, 20)는 프로브 응답 프레임(probe response frame)으로 응답한다.
청취 모드(S1014) 시간은 랜덤하게 주어질 수 있다(예, 100, 200, 300 TU(Time Unit; msec)). P2P 기기는 탐색모드와 수신 모드를 계속 반복하다 서로의 공통 채널에 도달할 수 있다. P2P 기기는 다른 P2P 기기를 발견한 후, 해당 P2P 기기에 선택적으로 결합하기 위해, 프로브 요청 프레임과 프로브 응답 프레임을 사용하여 장치 타입, 제작사 또는 친근한 장치 이름을 발견/교환할 수 있다.
이웃 발견 과정을 통해 주변 P2P 기기를 발견하고 필요한 정보를 얻은 경우, P2P 기기(예, 10)는 SME/애플리케이션/사용자/벤더에게 P2P 기기 발견을 알릴 수 있다(S1018).
기기 발견 과정 후, P2P 기기들(10, 20)은 P2P 연결을 수행한 후, RTSP(Real Time Streaming Protocol)를 통해 스크린 미러링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P2P 기기 1(10)은 소스 기기로 영상 데이터를 싱크 기기인 P2P 기기 2(20)로 전송하며, P2P 기기 2(20)는 수신된 영상 데이터에 기초하여, 미러링 영상을 표시한다.
다만, P2P 연결 모드 하에서, P2P 스캔을 통한 기기 탐색 과정에 많은 시간이 소요되며, 탐색 시간은 주변 무선 환경에 따라 그 변화가 심하다.
도 3은 액세스 포인트를 통한 기기 간의 연결 방식인 AP(Access Point) 연결 모드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AP 연결 모드는 액세스 포인트(30, 공유기)를 통해 소스 기기(10)와 싱크 기기(20)가 연결되는 모드일 수 있다.
즉, P2P 연결 모드는 액세스 포인트(30) 없이, 소스 기기(10)와 싱크 기기(20)가 직접 연결되는 모드이고, AP 연결 모드는 액세스 포인트(30)가 중계자 역할로, 소스 기기(10)와 싱크 기기(20) 간을 연결시키는 모드일 수 있다.
AP 연결 모드 하에서, 소스 기기(10) 및 싱크 기기(20) 간의 스크린 미러링 기능은 액세스 포인트(30)를 통해 수행될 수 있다. 즉, 소스 기기(10)는 표시 중인 영상의 영상 데이터를 액세스 포인트(30)를 통해 싱크 기기(20)로 전송할 수 있다.
AP 연결 모드 하에서는 P2P 연결 모드의 P2P 스캔 과정이 없어, 기기 간 연결 시간이 단축될 수 있으나, 액세스 포인트(30)의 성능에 따라 미러링 영상의 품질이 매우 열악해질 수 있다.
또한, 액세스 포인트(30)의 성능이 우수하더라도, 액세스 포인트(30)에 많은 기기가 연결되어 있거나, 소수의 기기가 많은 데이터를 사용하게 되면, 미러링 영상의 품질이 열악해질 수 있다.
본 개시의 실시 예에서는, 소스 기기(10) 및 싱크 기기(20) 간의 통신 환경 또는 액세스 포인트(30)의 통신 환경에 따라 연결 모드를 전환하는 예를 설명한다.
도 4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무선 시스템의 동작 방법을 설명하는 래더 다이어그램이다.
특히, 도 4는 소스 기기(10) 및 싱크 기기(20)가 AP 연결 모드로 연결된 경우, 액세스 포인트(30)의 네트워크 환경에 따라 AP 연결 모드를 유지 또는 오프시키는 실시 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른 무선 시스템은 소스 기기(10), 싱크 기기(20) 및 액세스 포인트(3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소스 기기(10)는 액세스 포인트(30)에 연결되어 있고(S401), 싱크 기기(20)는 액세스 포인트(30)에 연결되어 있다(S403).
액세스 포인트(30)와 소스 기기(10)는 연결 과정에서, 서로의 정보를 교환할 수 있다. 교환되는 정보는 후술할 액세스 포인트(30)의 네트워크 환경 정보의 일부를 포함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액세스 포인트(30)와 싱크 기기(20)는 연결 과정에서, 서로의 정보를 교환할 수 있다. 교환되는 정보는 후술할 액세스 포인트(30)의 네트워크 환경 정보의 일부를 포함할 수 있다.
액세스 포인트(30)는 와이파이 규격을 통해 소스 기기(10) 및 싱크 기기(20)와 연결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소스 기기(10) 및 싱크 기기(20) 각각의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는 와이파이 모듈을 구비할 수 있다.
싱크 기기(20)의 프로세서(25)는 액세스 포인트(30)의 네트워크 환경 정보를 획득한다(S405).
일 실시 예에서, 싱크 기기(20)는 액세스 포인트(30)와의 연결 과정에서, 액세스 포인트(30)로부터, 액세스 포인트(30)의 네트워크 환경 정보의 일부를 수신할 수 있다.
액세스 포인트(30)의 네트워크 환경 정보는 액세스 포인트(30)의 연결 주파수 대역, 주파수 대역폭, 수신 신호 강도(Received Signal Strength Indication, 이하, RSSI) 및 응답 패킷 손실 정보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수신 신호 강도는 싱크 기기(20)가 수신된 신호의 세기(또는 전력)가 얼마인지를 나타내는 수치일 수 있다. 싱크 기기(20)는 ping 신호를 전송하고, 그에 대한 응답으로 응답 패킷을 수신할 수 있고, 응답 패킷의 신호 세기를 수신 신호 강도로 획득할 수 있다.
응답 패킷 손실 정보는 싱크 기기(20)가 액세스 포인트(30)에 전송하는 ping 신호에 응답하는 응답 패킷의 손실 발생 여부 및 응답 패킷의 딜레이 시간을 포함할 수 있다.
싱크 기기(20)는 ping 신호를 복수 번 액세스 포인트(30)에 전송하고, ping 신호에 대한 응답으로, 응답 패킷을 복수 번 수신했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 싱크 기기(20)는 응답 패킷의 수신 횟수가 ping 신호의 전송 횟수와 동일한 경우, 응답 패킷에 손실이 발생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싱크 기기(20)는 응답 패킷의 수신 횟수가 ping 신호의 전송 횟수보다 작은 경우, 응답 패킷에 손실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싱크 기기(20)가 액세스 포인트(30)에 10번의 ping 신호를 전송하고, 8번의 응답 신호를 수신한 경우, 싱크 기기(20)는 응답 패킷에 손실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싱크 기기(20)는 액세스 포인트(30)와 연결될 시, 액세스 포인트(30)의 연결 주파수 대역 및 주파수 대역폭을 액세스 포인트(30)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싱크 기기(20)는 액세스 포인트(30)와 연결된 후, RSSI 및 응답 패킷 손실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싱크 기기(20)의 프로세서(25)는 획득된 액세스 포인트(30)의 네트워크 환경 정보에 기초하여, AP 연결 모드 조건을 만족하는지를 판단한다(S407).
싱크 기기(20)의 프로세서(25)는 네트워크 환경 정보에 기초하여, 다음의 4가지 조건이 모두 만족된 경우, AP 연결 모드를 온(또는 활성화) 시킬 수 있다.
1. 연결된 액세스 포인트(30)가 5GHz 대역에 연결된 경우(제1 조건)
2. 연결된 액세스 포인트(30)의 RSSI 값이 -65dBm 이상인 경우(제2 조건)
3. 연결된 액세스 포인트(30)의 주파수 대역폭이 40MHz 이상인 경우(제3 조건)
4. 연결된 액세스 포인트(30)에 ping 신호 전송 시, 응답 패킷의 손실이 없고, 응답 패킷의 딜레이 시간이 50ms 이하인 경우(제4 조건)
싱크 기기(20)의 프로세서(25)는 제1 내지 제4 조건들 중 어느 하나의 조건이 만족되지 않은 경우, AP 연결 모드를 오프(비 활성화) 시킬 수 있다.
싱크 기기(20)의 프로세서(25)는 AP 연결 모드 조건이 만족된 것으로 판단한 경우, AP 연결 모드를 온 시킨다(S409).
AP 연결 모드가 온 된 경우, 싱크 기기(20)는 소스 기기(10)와 AP 연결 모드를 통해 화면 공유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싱크 기기(20)의 프로세서(25)는 AP 연결 모드 조건이 만족되지 않은 경우, AP 연결 모드를 오프시킨다(S411).
즉, 싱크 기기(20)의 프로세서(25)는 액세스 포인트(30)의 네트워크 환경 정보에 기초하여, 제1 내지 제4 조건들 중 어느 하나의 조건이 만족되지 않은 경우, AP 연결 모드를 오프시킬 수 있다.
싱크 기기(20)의 프로세서(25)는 AP 연결 모드가 오프된 경우, 소스 기기(10)와 P2P 모드로 스크린 미러링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AP 연결 모드 하에서, 액세스 포인트(30)는 스크린 미러링을 위한 영상 데이터를 소스 기기(10)로부터 수신하고(S413), 수신된 영상 데이터를 싱크 기기(20)에 전송한다(S415).
싱크 기기(20)는 액세스 포인트(30)를 통해 스크린 미러링 요청을 수신하고, 이에 대해 응답한 경우, 소스 기기(10)가 표시 중인 영상에 상응하는 영상 데이터를 액세스 포인트(30)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싱크 기기(20)의 프로세서(25)는 수신된 영상 데이터에 기초하여, 미러링 영상을 디스플레이(22) 상에 표시한다(S417).
싱크 기기(20)의 프로세서(25)는 수신된 영상 데이터를 싱크 기기(20)가 지원하는 해상도에 맞도록 변환하여, 미러링 영상을 디스플레이(22) 상에 표시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르면, 액세스 포인트(30)의 네트워크 환경 정보에 기초하여, AP 연결 모드의 온 또는 오프 여부가 설정될 수 있다.
즉, 싱크 기기(20)는 액세스 포인트(30)의 네트워크 환경을 자동으로 인식하여, 적절한 연결 모드로 소스 기기(10)와 화면 공유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미러링 영상의 품질 열화가 방지될 수 있다.
도 5는 본 개시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무선 시스템의 동작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특히, 도 5는 소스 기기(10)와 싱크 기기(20) 간 P2P 연결 전, 기기 탐색 시간의 측정에 따라 P2P 연결 모드를 활성화할지 여부를 결정하는 과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싱크 기기(20)의 프로세서(25)는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21)를 통해 요청 프레임을 소스 기기(10)에 전송하고(S501), 소스 기기(10)로부터 응답 프레임을 수신한다(S503).
단계 S501 및 S503은 도 2에서 설명된 탐색 모드(S1016)에서 수행될 수 있다. 이 경우, 요청 프레임은 프로브 요청 프레임이고, 응답 프레임은 프로브 응답 프레임일 수 있다.
싱크 기기(20)의 프로세서(25)는 요청 프레임을 전송한 시점부터, 응답 프레임을 수신할 때까지 걸린 시간인 기기 탐색 시간을 획득한다(S505).
즉, 프로세서(25)는 요청 프레임을 소스 기기(10)에 전송한 시점과 응답 프레임을 수신한 시점 간의 차이를 기기 탐색 시간으로 측정할 수 있다.
싱크 기기(20)의 프로세서(25)는 기기 탐색 시간이 기 설정된 시간 이상인지를 판단한다(S507).
싱크 기기(20)의 프로세서(25)는 기기 탐색 시간이 기 설정된 시간 이상인 경우, P2P 연결 모드를 오프하고(S509), AP 연결 모드를 온 시킨다(S511).
즉, 프로세서(25)는 기기 탐색 시간이 기 설정된 시간 이상인 경우, 소스 기기(10)와 싱크 기기(20)간 P2P 연결 모드를 통한 스크린 미러링의 수행이 부적절하다고 판단하여, P2P 연결 모드를 오프시킬 수 있다.
프로세서(25)는 P2P 연결 모드를 오프 시킨 후, AP 연결 모드를 온 시킬 수 있다.
AP 연결 모드가 온 된 경우, 싱크 기기(20)는 액세스 포인트(30)를 통해 소스 기기(10)와 스크린 미러링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싱크 기기(20)의 프로세서(25)는 기기 탐색 시간이 기 설정된 시간 미만인 경우, P2P 연결 모드를 온 한다(S513).
싱크 기기(20)의 프로세서(25)는 기기 탐색 시간이 기 설정된 시간 미만인 경우, 소스 기기(10)와의 P2P 연결 모드를 통해 스크린 미러링의 수행을 위해 적합하다고 판단하여, P2P 연결 모드를 활성화시킬 수 있다.
P2P 연결 모드가 유지되는 경우, 싱크 기기(20)는 소스 기기(10)로부터 직접 영상 데이터를 수신하여, 미러링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르면, 기기 탐색 시간에 따라 소스 기기(10)와 싱크 기기(20)간의 연결 모드의 타입이 설정되어, 미러링 영상의 품질이 열악해지는 것이 미연에 방지될 수 있다.
도 6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싱크 기기의 동작 방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특히, 도 6은 소스 기기(10)와 싱크 기기(20) 간의 연결 모드가 P2P 연결 모드로 설정된 상태에서, 패킷 손실 이상이 감지됨에 따라 P2P 연결 모드를 AP 연결 모드로 전환하는 과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싱크 기기(20)는 P2P 연결 모드로 동작 중 소스 기기(10)와 스크린 미러링을 수행한다(S601).
일 예로, 싱크 기기(20)는 와이파이 다이렉트 표준 규격을 이용하여, 소스 기기(10)로부터 직접 영상 데이터를 수신하고, 수신된 영상 데이터에 기초한 미러링 영상을 디스플레이(22) 상에 표시할 수 있다.
싱크 기기(20)의 프로세서(25)는 P2P 연결 모드로 동작하는 중 패킷 손실의 이상이 발생했는지 판단한다(S603).
일 실시 예에서, 프로세서(25)는 일정 시간 내에서, 패킷 손실이 일정 횟수 이상 발생된 경우, 패킷 손실의 이상이 발생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여기서, 일정 시간은 4초이고, 일정 횟수는 3회일 수 있으나, 이는 예시에 불과하다.
프로세서(25)는 일정 시간 내에서, 패킷 손실이 연속적으로 일정 횟수 이상 발생된 경우, 패킷 손실의 이상이 발생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패킷 손실은 싱크 기기(20)가 소스 기기(10)에 전송하는 핑(ping) 신호에 대한 응답 패킷을 수신하지 못한 경우 발생될 수 있다.
프로세서(25)는 4초 안에, 패킷 손실이 연속적으로 3회 발생되는 경우, P2P 연결 모드를 AP 연결 모드로 전환할 수 있다.
프로세서(25)는 4초 안에, 패킷 손실이 연속적으로 3회 발생되는 경우, P2P 연결 모드가 오프되고, 다음 연결 시, AP 연결 모드로 소스 기기(10)와의 연결을 시도할 수 있다.
싱크 기기(20)의 프로세서(25)는 패킷 손실의 이상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된 경우, 연결 모드를 P2P 연결 모드에서, AP 연결 모드로 전환한다(S605).
싱크 기기(20)의 프로세서(25)는 연결 모드의 전환 후, 소스 기기(10)로부터 수신된 영상 데이터에 기초한 미러링 영상을 일정 구간만큼 배속 재생한다(S607).
연결 모드가 전환될 경우, 연결 모드의 전환이 완료될 때까지, 영상 데이터가 싱크 기기(20)로 전달되지 않을 수 있다. 연결 모드의 전환 구간 동안 싱크 기기(20)는 블랙 화면을 표시하거나, 화면이 깜박일 수 있다.
즉, 연결 모드의 전환 시에는 영상 데이터의 전달이 딜레이될 수 있다.
프로세서(25)는 영상 데이터의 전달 지연에 대한 해결책으로, AP 연결 모드로의 전환 완료 후, 수신된 영상 데이터에 상응하는 미러링 영상을 일정 구간만큼 배속 재생할 수 있다.
일정 구간은 연결 모드가 P2P 연결 모드에서, AP 연결 모드로 전환되기까지 걸린 시간에 상응하는 재생 구간일 수 있다.
싱크 기기(20)는 연결 모드가 P2P 연결 모드에서, AP 연결 모드로 전환되기까지 걸린 지연 시간을 측정하고, 지연 시간만큼 미러링 영상의 재생 속도를 증가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연결 모드의 전환에 따라 발생되는 재생의 부자연스러움이 해소될 수 있다.
그러나, 이는 예시에 불과하고, 싱크 기기(20)는 연결 모드의 전환이 완료될 때까지 P2P 연결 모드 하에서 마지막으로 수신된 영상 데이터에 기초한 정지 영상을 표시할 수도 있다. 즉, 싱크 기기(20)는 지연 시간만큼 정지 영상을 표시한 후, AP 연결 모드 하에서 수신된 영상 데이터에 기초한 미러링 영상을 연이어 표시할 수 있다.
도 7은 본 개시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싱크 기기의 동작 방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특히, 도 7은 소스 기기(10)와 싱크 기기(20) 간의 연결 모드가 AP 연결 모드로 설정된 상태에서, 액세스 포인트(30)의 네트워크 환경에 이상이 발생된 경우, AP 연결 모드를 P2P 연결 모드로 전환하는 과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싱크 기기(20)는 AP 연결 모드로 동작 중 소스 기기(10)와 스크린 미러링을 수행한다(S701).
싱크 기기(20)의 프로세서(25)는 AP 연결 모드로 동작하는 중 액세스 포인트(30)의 네트워크 환경에 이상이 발생했는지 판단한다(S703).
일 실시 예에서, 프로세서(25)는 일정 시간 내에서, 패킷 손실이 일정 횟수 이상 발생된 경우, 패킷 손실의 이상이 발생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즉, 프로세서(25)는 싱크 기기(20)가 액세스 포인트(30)에 전송하는 ping 신호에 대한 응답 패킷을 일정 시간 내에 수신하지 못한 경우, 네크워트 환경에 이상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더 구체적으로, 프로세서(25)는 일정 시간 내에서, 패킷 손실이 연속적으로 일정 횟수 이상 발생된 경우, 네트워크 환경에 이상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 예에서, 프로세서(25)는 도 4에서 설명된 AP 연결 모드를 위한 제1 내지 제4 조건들 중 어느 하나의 조건이 만족되지 못한 경우, 액세스 포인트(30)의 네트워크 환경에 이상이 발생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싱크 기기(20)는 액세스 포인트(30)의 네트워크 환경 정보를 주기적으로 획득할 수 있다.
특히, 싱크 기기(20)는 응답 패킷의 손실 발생 여부 및 응답 패킷의 딜레이 시간을 주기적으로 측정하여, 액세스 포인트(30)의 네트워크 환경에 이상이 발생했는지 여부를 주기적으로 판단할 수 있다.
싱크 기기(20)의 프로세서(25)는 액세스 포인트(30)의 네트워크 환경에 이상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된 경우, 연결 모드를 AP 연결 모드에서, P2P 연결 모드로 전환한다(S705).
싱크 기기(20)의 프로세서(25)는 연결 모드의 전환 후, 소스 기기(10)로부터 수신된 영상 데이터에 기초한 미러링 영상을 일정 구간만큼 배속 재생한다(S707).
프로세서(25)는 연결 모드에 따른 영상 데이터의 전달 지연에 대한 해결책으로, P2P 연결 모드로의 전환 완료 후, 수신된 영상 데이터에 상응하는 미러링 영상을 일정 구간만큼 배속 재생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연결 모드의 전환에 따라 발생되는 재생의 부자연스러움이 해소될 수 있다.
그러나, 이는 예시에 불과하고, 싱크 기기(20)는 연결 모드의 전환이 완료될 때까지 AP 연결 모드 하에서 마지막으로 수신된 영상 데이터에 기초한 정지 영상을 표시할 수도 있다. 즉, 싱크 기기(20)는 지연 시간만큼 정지 영상을 표시한 후, P2P 연결 모드 하에서 수신된 영상 데이터에 기초한 미러링 영상을 연이어 표시할 수 있다.
도 8은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른 AP 연결 모드 하에서, 스크린 미러링이 수행되는 과정을 설명하는 도면이고, 도 9는 P2P 연결 모드 하에서, 스크린 미러링이 수행되는 과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소스 기기(10)는 표시 중인 소스 영상(810)에 상응하는 A/V 데이터(오디오/비디오 데이터)를 액세스 포인트(30)에 전송할 수 있다.
액세스 포인트(30)는 소스 기기(10)로부터 수신된 A/V 데이터를 싱크 기기(20)에 전송할 수 있다.
싱크 기기(20)는 수신된 A/V 데이터에 기초하여, 미러링 영상(820)을 표시할 수 있다.
도 9를 참조하면, 소스 기기(10)는 액세스 포인트(30) 없이, 직접 A/V 데이터를 싱크 기기(20)에 전송할 수 있다. 싱크 기기(20)는 수신된 A/V 데이터에 기초하여, 미러링 영상(820)을 표시할 수 있다.
싱크 기기(20)는 패킷 손실의 이상 발생 여부 또는 액세스 포인트(30)의 네트워크 환경의 이상 발생 여부에 따라 연결 모드를 동적으로 전환할 수 있다.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도 6 및 도 7에서 설명된 바와 같다.
도 10은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른 스크린 미러링을 위한 연결 모드를 설정하는 메뉴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0에 도시된 메뉴(1000)는 싱크 기기(20) 상에 표시될 수도 있으나, 이에 한정될 필요는 없고, 소스 기기(10) 상에서도 표시될 수 있다.
즉, 싱크 기기(20) 및 소스 기기(10) 각각에서, 연결 모드가 설정될 수 있다.
메뉴(1000)는 AP 연결 모드의 온 또는 오프를 설정하기 위한 AP 연결 모드 항목(1010) 및 P2P 연결 모드의 온 또는 오프를 설정하기 위한 P2P 연결 모드 항목(1030)을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는 메뉴(1000)를 통해, AP 연결 모드의 온/오프 및 P2P 연결 모드를 수동으로 설정할 수도 있다.
한편, AP 연결 모드 및 P2P 연결 모드가 모두 온 된 경우, AP 연결 모드는 P2P 연결 모드에 우선할 수 있다.
즉, 싱크 기기(20)는 AP 연결 모드 및 P2P 연결 모드가 모두 온 된 경우, 먼저, AP 연결 모드를 통해 소스 기기(10)와 연결을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전술한 방법은, 프로그램이 기록된 매체에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다.
상기와 같이 설명된 디스플레이 장치는 상기 설명된 실시예들의 구성과 방법이 한정되게 적용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상기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Claims (12)

  1. 무선 디바이스에 있어서,
    디스플레이;
    외부 기기와 무선으로 통신을 수행하는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 및
    네크워크 환경에 기초하여, 액세스 포인트를 통해 상기 외부 기기와 연결되는 제1 연결 모드 또는 상기 외부 기기와 직접 연결되는 제2 연결 모드 중 어느 하나의 연결 모드를 활성화시키고,
    활성화된 연결 모드에 따라 상기 외부 기기로부터, 상기 외부 기기가 표시 중인 소스 영상에 상응하는 영상 데이터를 수신하고, 수신된 영상 데이터에 기초한 미러링 영상을 상기 디스플레이 상에 표시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무선 디바이스.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액세스 포인트의 네트워크 환경 정보를 획득하고, 획득된 네트워크 환경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1 연결 모드를 위한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상기 제1 연결 모드를 활성화시키는
    무선 디바이스.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 환경 정보는
    상기 액세스 포인트의 연결 주파수 대역, 주파수 대역폭, 수신 신호 강도(Received Signal Strength Indication, RSSI) 및 응답 패킷 손실 정보를 포함하는
    무선 디바이스.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연결 주파수 대역이 특정 주파수 대역이고, 상기 주파수 대역폭이 특정 주파수 대역폭 이상이고, 상기 RSSI의 값이 특정 값 이상이고, 응답 패킷 손실 정보가 응답 패킷의 손실이 발생되지 않고, 응답 패킷의 지연 시간이 특정 시간 이하인 경우, 상기 제1 연결 모드를 위한 조건이 만족된 것으로 판단하는
    무선 디바이스.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액세스 포인트의 연결 주파수 대역 및 상기 주파수 대역폭은 상기 액세스 포인트로부터 수신하고,
    상기 액세스 포인트에 전송하는 핑 신호에 대응한 응답 패킷의 신호 세기를 상기 RSSI의 값으로 측정하고, 상기 응답 패킷의 손실 발생 여부 및 상기 응답 패킷의 딜레이 시간을 측정하는
    무선 디바이스.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디바이스는
    상기 외부 기기를 탐색하기까지 걸리는 탐색 시간을 측정하고, 측정된 탐색 시간이 기 설정된 시간 이상인 경우, 상기 제1 연결 모드를 활성화시키고,
    상기 탐색 시간이 상기 기 설정된 시간 미만인 경우, 상기 제2 연결 모드를 활성화시키는
    무선 디바이스.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요청 프레임을 상기 외부 기기에 전송한 시점과 상기 외부 기기로부터, 상기 요청 프레임에 응답한 응답 프레임을 수신한 시점 간의 차이를 상기 탐색 시간으로 측정하는
    무선 디바이스.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1 연결 모드로 동작하는 상태에서, 상기 액세스 포인트의 네트워크 환경에 이상이 발생된 경우, 상기 제1 연결 모드를 상기 제2 연결 모드로 전환하는
    무선 디바이스.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2 연결 모드로 동작하는 상태에서, 상기 패킷 손실 이상이 발생된 경우, 상기 제2 연결 모드를 상기 제1 연결 모드로 전환하는
    무선 디바이스.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일정 시간 내에서, 패킷 손실이 연속적으로 일정 횟수 이상 발생된 경우, 상기 패킷 손실 이상이 발생된 것으로 판단하는
    무선 디바이스.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1 연결 모드를 상기 제2 연결 모드로 전환하는 경우, 상기 연결 모드의 전환 완료 후, 수신된 영상 데이터에 상응하는 미러링 영상을 일정 구간만큼 배속 재생하는
    무선 디바이스.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1 연결 모드를 상기 제2 연결 모드로 전환하는 경우, 상기 연결 모드의 전환이 완료될 때까지 마지막으로 수신된 영상 데이터에 상응하는 정지 영상을 상기 디스플레이 상에 표시하는
    무선 디바이스.
KR1020200041771A 2020-04-06 2020-04-06 무선 디바이스 KR20210123927A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41771A KR20210123927A (ko) 2020-04-06 2020-04-06 무선 디바이스
EP20181142.9A EP3893467B1 (en) 2020-04-06 2020-06-19 Wireless device
US16/914,237 US11709646B2 (en) 2020-04-06 2020-06-26 Wireless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41771A KR20210123927A (ko) 2020-04-06 2020-04-06 무선 디바이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23927A true KR20210123927A (ko) 2021-10-14

Family

ID=711113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41771A KR20210123927A (ko) 2020-04-06 2020-04-06 무선 디바이스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11709646B2 (ko)
EP (1) EP3893467B1 (ko)
KR (1) KR20210123927A (ko)

Family Cites Families (2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177065B2 (ja) * 2002-10-03 2008-11-05 三菱電機株式会社 液晶表示装置
EP2605607B1 (en) * 2011-12-12 2018-11-07 HP Printing Korea Co., Ltd. Image forming apparatus supporting peer-to-peer connection and method of managing channel thereof
US10143018B2 (en) * 2012-06-27 2018-11-27 Google Llc Computing device with wireless network selection feature
US20140112636A1 (en) * 2012-10-19 2014-04-24 Arcsoft Hangzhou Co., Ltd. Video Playback System and Related Method of Sharing Video from a Source Device on a Wireless Display
US20140179423A1 (en) * 2012-12-25 2014-06-26 Arcsoft (Hangzhou) Multimedia Technology Co., Ltd. Video Game Display System and Related Method of Using a Portable Computing Device to Control Game Play in Video Games Displayed on a Wireless Display
KR102088384B1 (ko) * 2013-09-04 2020-05-28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기기의 제어 방법, 그에 따른 싱크 기기 및 그에 따른 미러링 시스템
JP2015053565A (ja) * 2013-09-05 2015-03-19 ソニー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および情報処理方法
US10547897B2 (en) * 2013-09-05 2020-01-28 Sony Corporatio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and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to communicate based on capability information
US9412332B2 (en) * 2013-12-20 2016-08-09 Blackberry Limited Method for wirelessly transmitting content from a source device to a sink device
JP6455447B2 (ja) * 2014-02-12 2019-01-23 ソニー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システムおよび情報処理方法
US9998914B2 (en) * 2014-04-16 2018-06-12 Jamf Software, Llc Using a mobile device to restrict focus and perform operations at another mobile device
WO2016042764A1 (ja) * 2014-09-19 2016-03-24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接続方法、接続システム、携帯端末、およびプログラム
ES2799504T3 (es) * 2014-11-28 2020-12-18 Sony Corp Dispositivo de procesamiento de información, método de procesamiento de información y programa
US10172178B2 (en) * 2015-01-29 2019-01-01 Lg Electronics Inc. Wireless LAN station having platform capable of changing wireless LAN connection technique
US9992775B2 (en) * 2015-01-30 2018-06-05 Qualcomm Incorporated Band preference in wireless networks
JP6459861B2 (ja) * 2015-08-31 2019-01-30 京セラドキュメント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ネットワーク機器及び機能制限プログラム
US10849171B2 (en) * 2015-11-19 2020-11-24 Sony Corporation Device and method for maintaining a security level
KR102442527B1 (ko) * 2016-02-26 2022-09-13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디바이스
US10594785B2 (en) * 2016-03-11 2020-03-17 Intel Corporation Transitioning from an infrastructure based wireless connection to a peer to peer (P2P) wireless connection
US11184057B2 (en) * 2016-09-06 2021-11-23 Samsung Electronics Co., Ltd. Apparatus and method for selecting cell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KR102623181B1 (ko) * 2016-10-05 2024-01-11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디바이스 및 무선 시스템
LT3767493T (lt) * 2017-08-28 2023-03-10 Bright Data Ltd. Būdas pagerinti turinio parsisiuntimą, naudojant tunelinius įrenginius
JP2019114989A (ja) * 2017-12-25 2019-07-11 キヤノン株式会社 通信装置、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CN110049231B (zh) * 2017-12-27 2021-08-10 佳能株式会社 电子设备及其控制方法和计算机可读介质
US10932130B2 (en) * 2018-05-31 2021-02-23 Roku, Inc. System and method for configuring an extender device
US11540354B2 (en) * 2019-09-30 2022-12-27 Resolution Products, Llc Gateway with backup power and communications 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893467A1 (en) 2021-10-13
US11709646B2 (en) 2023-07-25
US20210311685A1 (en) 2021-10-07
EP3893467B1 (en) 2023-08-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440123B2 (ja) 無線通信装置、無線通信システム、無線通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6216758B2 (ja) 無線通信方法及び無線通信ステーション
US20210259050A1 (en) Communication apparatus, method for controlling communication apparatus, and program
US8509159B2 (en) Method and system for wireless communication using out-of-band channels
KR101227305B1 (ko) 무선 네트워크에서의 연관 및 재연관을 위한 방법, 장치 및 저장 매체
US10075517B2 (en) Display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10912013B2 (en) Communication apparatus, control method, and storage medium
EP2930960B1 (en) Method for setting communication channel of device, method for setting communication channel between a plurality of devices, and device
JP4564574B1 (ja) 通信装置
JP2012004922A (ja) 無線端末装置、無線通信システムおよび通信状態レベルの報知方法
KR20170137617A (ko) 무선 통신을 위한 셋업 방법 및 장치
US11812519B2 (en) Communication apparatus, control method, and computer-readable storage medium
EP3893467B1 (en) Wireless device
WO2017185494A1 (zh) 终端间建立通信连接的方法和装置
KR102540649B1 (ko) 무선 멀티 패널 전광판 서비스 제공 방법 및 그를 위한 장치 및 시스템
US9401734B2 (e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communication device
JP6783524B2 (ja) 通信装置、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CN114080030A (zh) 电子设备、无线通信方法以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KR20040055083A (ko) 무선 랜의 액세스 포인트간의 패킷 브리징 시스템 및방법, 그 프로그램이 저장된 기록매체
US20240298197A1 (en) Methods and systems for testing bluetooth® classic wireless devices
US20240107440A1 (en) Wireless communication apparatus, method for controlling wireless communication apparatus, and storage medium
WO2023181965A1 (ja) 通信装置及び通信方法
EP4280691A1 (en) Switching between wireless connections
US20140146760A1 (en) Communication apparatus, control method therefor and computer-readable storage medium
CN118524582A (zh) 多链路通信方法及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