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40649B1 - 무선 멀티 패널 전광판 서비스 제공 방법 및 그를 위한 장치 및 시스템 - Google Patents

무선 멀티 패널 전광판 서비스 제공 방법 및 그를 위한 장치 및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40649B1
KR102540649B1 KR1020210060471A KR20210060471A KR102540649B1 KR 102540649 B1 KR102540649 B1 KR 102540649B1 KR 1020210060471 A KR1020210060471 A KR 1020210060471A KR 20210060471 A KR20210060471 A KR 20210060471A KR 102540649 B1 KR102540649 B1 KR 10254064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eless
display unit
wireless display
main controller
image dat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604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153211A (ko
Inventor
이정재
이정용
윤호찬
송석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애즈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애즈원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애즈원
Priority to KR10202100604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40649B1/ko
Publication of KR202201532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5321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406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4064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9/0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 G09F9/3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 G09F9/302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form or geometrical disposition of the individual elements
    • G09F9/3023Segmented electronic display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9/0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 G09F9/3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 G09F9/302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form or geometrical disposition of the individual elements
    • G09F9/3026Video wall, i.e. stackable semiconductor matrix display modul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006Electronic inspection or testing of displays and display drivers, e.g. of LED or LCD display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5/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for visual indicators common to cathode-ray tube indicators and other visual indicators
    • G09G5/12Synchronisation between the display unit and other units, e.g. other display units, video-disc player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70/00Aspects of data communication
    • G09G2370/02Networking aspect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70/00Aspects of data communication
    • G09G2370/08Details of image data interface between the display device controller and the data line driver circui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Control Of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 Ray Tubes (AREA)
  • Controls And Circuits For Display Devi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무선 멀티 패널 전광판 서비스 제공 방법 및 그를 위한 장치 및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무선 멀티 패널 전광판 시스템은 서로 무선으로 연결되어 신호를 송수신하도록 구성된 복수의 무선 디스플레이 유닛을 포함하는 무선멀티패널전광판장치와 상기 무선멀티패널전광판장치의 동작을 제어하고, 상기 복수의 무선 디스플레이 유닛 중 적어도 하나의 무선 디스플레이 유닛을 선택하여 무선으로 영상 데이터를 전송하는 주제어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주제어장치는 상기 복수의 무선 디스플레이 유닛의 고장 및 장애 상태 정보, 무선 채널 상태 정보, 현재 위치 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기반하여 상기 영상 데이터를 위한 최적의 데이터 전송 경로를 결정하고 상기 무선멀티패널전광판장치에 표시될 화면을 동적으로 구성할 수 있다.

Description

무선 멀티 패널 전광판 서비스 제공 방법 및 그를 위한 장치 및 시스템{Method for providing wireless multi-panel Electronic board service and apparatus and system therefor}
본 발명은 멀티 패널 전광판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메인 컨트롤러부와 복수의 디스플레이 유닛에 포함된 서브 컨트롤러부를 무선으로 연결하여 데이터를 전송하는 것이 가능한 무선 멀티 패널 화면 제공 방법 및 그를 위한 장치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강당, 체육관, 교회 등의 공간에 설치되는 대형 전광판은 하나의 대형 패널로 제작하는 것이 불가능하거나 비용이 많이 들기 때문에 복수의 디스플레이 유닛을 마치 모자이크처럼 이어 붙여서 구현이 되고 있다.
이러한 대형 전광판을 구성하기 위한 복수의 디스플레이 유닛을 서로 연결하는 방식은 직렬로 연결하는 방법과 병렬로 연결하는 방법이 있다.
여러 디스플레이 유닛을 단순히 직렬로 연결하는 방식에서는 하나의 디스플레이 유닛이 고장나면 고장나지 않은 다른 디스플레이 유닛을 사용할 수 없는 단점이 있다.
이를 극복하기 위하여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028529호에서는 여러 전광판을 병렬로 연결하여 불량이 검출된 LED 모듈만을 복구할 수 있도록 한 전광판의 장애처리 시스템에 대하여 개시하고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898172호에서는 전체 전광판 시스템을 제어하는 메인 컨트롤러와 각각의 디스플레이 유닛을 직렬로 연결하되, 영상 신호 스트림을 2개로 구성하되 이들 각각을 2개의 회선으로 전송하도록 구성한 전광판 시스템에 대해 개시하고 있다. 이러한 방식은 전송되는 회선이 증가되는 단점이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548351호는 메인 제어장치와 로컬 제어장치를 다중 전송이 가능한 광케이블 또는 동축케이블로 직렬로 접속하여 구성한 전광판 시스템에 대하여 개시하고 있다. 여기서, 데이터 전송을 위해서 다양한 신호를 고속으로 시분할로 구분하여 전송하는데 신호전송을 위해 다중 LVDS(Low voltage differential signaling)이나 SDI(Serial digital interface)를 적용하여야 하므로, 구현하는데 상당한 비용이 소요되는 단점이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949809호(VLC 송수신 모듈을 구비한 가시광 무선통신 기반의 LED 전광판 구동 방법)와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954713호(VLC 송수신 모듈을 구비한 가시광 무선통신 기반의 LED 전광판 시스템)의 경우, SCU(부제어기)로부터 모듈간에 가시광 통신을 이용하여 영상을 전송하는 시스템 및 구동 방법이 개시된 바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460510호(근거리 무선 통신을 이용한 전광판 제어 시스템 및 그 방법)는 무선통신부가 전체 시스템의 무선 송출 및 수신을 관장하는 시스템으로 근거리에서 적용되는 방식으로 무선국이 필요하며 각 무선송수신부에서 MAC Adress가 부여되어 있어야 하며 1대 다의 통신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555776호(전광판 모듈 간의 무선 통신에 따른 전광판 제어 장치)에서는 전광판 모듈과 제어기 사이에 LED에서 나오는 가시광을 이용하여 데이터를 전송하는 기술이 개시된 바 있다.
하지만, 종래 가시광 통신의 경우, 빛이 없으면 통신도 할 수 없는 문제점 있다. 즉, 빛이 닿는 곳에서만 통신이 가능하다. 가시광선은 벽을 통과할 수 없으며, 태양의 가시광선과 간섭현상으로 인해 낮에는 야외에서 사용하기도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또한 가시광 통신은 LED 조명이 늘 켜져 있는 곳에서만 사용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조명이 모두 꺼진 어두운 실내 공연장, 한낮의 태양광이 강한 야외, 야외 불빛이 없는 어두운 곳에서는 정상적인 통신이 불가한 단점이 있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메인 컨트롤러부와 전광판 시스템을 이루는 각각의 디스플레이 유닛을 주변 환경, 무선 채널 상태 및 디스플레이 유닛의 고장 여부 등에 기반하여 최적의 무선 통신 방식을 선택하여 적응적으로 데이터 전송을 수행할 수 있는 전광판 시스템을 제안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메인 컨트롤러부와 복수의 디스플레이 유닛에 포함된 서브 컨트롤러부를 무선으로 연결하여 데이터를 전송하는 것이 가능한 무선 멀티 패널 화면 제공 방법 및 그를 위한 장치 및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전송 속도, 주변 환경 정보, 디스플레이 유닛의 고장 여부 및 무선 채널 상태 정보 등에 기반하여 최적의 전송 경로 및 무선 통신 방식을 결정하여 보다 빠르고 안전하게 데이터를 전송한는 것이 가능한 무선 멀티 패널 전광판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디스플레이 유닛의 위치 이동에 따른 무선 채널 환경 변화에 따라 적응적으로 다양한 무선 통신 방식을 적용함으로써, 끊김 없이 실시간 화면을 제공하는 것이 가능한 무선 멀티 패널 전광판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메인 컨트롤러부에 의해 제공되는 동기 신호에 기반하여 복수의 디스플레이 유닛 간 재생 동기를 유지하는 것이 가능한 무선 멀티 패널 전광판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일부 디스플레이 유닛의 고장 및 통신 장애에도 전광판에 영상을 정상적으로 출력할 수 있는 무선 멀티 패널 전광판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복수의 에어 드론에 장착된 디스플레이 유닛을 무선망을 통해 상호 연동함으로써 고품질의 다양한 화면을 공중에 출력하는 것이 가능한 무선 멀티 패널 전광판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들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무선 멀티 패널 전광판 시스템은 서로 무선으로 연결되어 신호를 송수신하도록 구성된 복수의 무선 디스플레이 유닛을 포함하는 무선멀티패널전광판장치와 상기 무선멀티패널전광판장치의 동작을 제어하고, 상기 복수의 무선 디스플레이 유닛 중 적어도 하나의 무선 디스플레이 유닛을 선택하여 무선으로 영상 데이터를 전송하는 주제어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주제어장치는 상기 복수의 무선 디스플레이 유닛의 고장 및 장애 상태 정보, 무선 채널 상태 정보, 현재 위치 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기반하여 상기 영상 데이터를 위한 최적의 데이터 전송 경로를 결정하고 상기 무선멀티패널전광판장치에 표시될 화면을 동적으로 구성할 수 있다.
실시 예로, 상기 복수의 무선 디스플레이 유닛은 각각 이더넷 컨넥터, 이더넷 물리층, RF 송수신모듈 및 안테나 모듈로 구성되어 60GHz V-band 신호를 송수신하는 제1 내지 2 GTU(Gigabit Tranceiver Communication Unit)를 포함하되, 상기 이더넷 컨텍터와 상기 이더넷 물리층은 TP-MDI(Twisted Pair-Medium Dependent Interface) 신호로 통신하고, 상기 이더넷 물리층과 RF 송수신모듈은 SGMII(Serial Gigabit Media Independent Interface) 신호로 통신할 수 있다.
실시 예로, 상기 주제어장치는 상기 복수의 무선 디스플레이 유닛의 상기 영상 데이터 재생 시점을 동기화시키기 위한 재생 동기 신호를 전송하는 수단 및 상기 복수의 무선 디스플레이 유닛 각각에 대한 재생 옵셋을 설정하는 수단을 더 포함하고, 상기 무선 디스플레이 유닛은 상기 재생 동기 신호를 기준으로 자신의 상기 재생 옵셋을 적용하여 상기 영상 데이터를 재생할 수 있다.
실시 예로, 상기 주제어장치는 상기 무선 채널 상태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복수의 무선 디스플레이 유닛 각각에 대한 무선 통신 방식을 결정 및 제어하는 수단을 더 포함하고, 상기 무선 통신 방식은 초근접 고속 무선 통신, 저속 근접 무선 통신, 고속 근접 무선 통신, 광역 무선 통신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 예로, 상기 주제어장치는 디스커버리 신호를 방송하여 상기 영상 데이터를 전송할 무선 디스플레이 유닛 탐색하는 수단과 측위 기준 신호를 이용하여 탐색된 무선 디스플레이 유닛의 현재 위치를 측정하는 수단과 상기 탐색된 무선 디스플레이 유닛의 캐퍼빌러티 정보를 획득하는 수단을 더 포함하고, 상기 주제어장치는 상기 현재 위치 정보, 상기 캐퍼빌러티 정보 및 상기 무선 채널 상태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무선 디스플레이 유닛 별 무선 통신 방식 및 상기 데이터 전송 경로를 결정할 수 있다.
다른 측면에 따른 상호 무선으로 통신하는 복수의 무선 디스플레이 유닛을 제어하는 주제어장치에서 무선 멀티 패널 전광판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은 상기 복수의 무선 디스플레이 유닛의 고장 및 장애 상태 정보, 무선 채널 상태 정보, 현재 위치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상기 복수의 무선 디스플레이 유닛으로부터 수집하는 단계와 상기 수집된 적어도 하나의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복수의 무선 디스플레이 유닛에 의해 재생될 영상 데이터의 데이터 전송 경로를 결정하는 단계와 상기 결정된 데이터 전송 경로에 따라 상기 영상 데이터를 상기 복수의 무선 디스플레이 유닛 중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무선 디스플레이 유닛에 무선으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 예로, 상기 복수의 무선 디스플레이 유닛은 각각 이더넷 컨넥터, 이더넷 물리층, RF 송수신모듈 및 안테나 모듈로 구성되어 60GHz V-band 신호를 송수신하는 제1 내지 2 GTU(Gigabit Tranceiver Communication Unit)를 포함하되, 상기 이더넷 컨텍터와 상기 이더넷 물리층은 TP-MDI(Twisted Pair-Medium Dependent Interface) 신호로 통신하고, 상기 이더넷 물리층과 RF 송수신모듈은 SGMII(Serial Gigabit Media Independent Interface) 신호로 통신할 수 있다.
실시 예로, 상기 주제어장치는 상기 복수의 무선 디스플레이 유닛의 상기 영상 데이터 재생 시점을 동기화시키기 위한 재생 동기 신호를 전송하고, 상기 복수의 무선 디스플레이 유닛 각각에 대한 재생 옵셋을 설정하되, 상기 무선 디스플레이 유닛은 상기 재생 동기 신호를 기준으로 자신의 상기 재생 옵셋을 적용하여 상기 영상 데이터를 재생할 수 있다.
실시 예로, 상기 무선 채널 상태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복수의 무선 디스플레이 유닛 각각에 대한 무선 통신 방식을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무선 통신 방식은 초근접 고속 무선 통신, 저속 근접 무선 통신, 고속 근접 무선 통신, 광역 무선 통신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 예로, 상기 방법은 디스커버리 신호를 방송하여 상기 영상 데이터를 전송할 무선 디스플레이 유닛 탐색하는 단계와 측위 기준 신호를 이용하여 탐색된 무선 디스플레이 유닛의 현재 위치를 측정하는 단계와 상기 탐색된 무선 디스플레이 유닛의 캐퍼빌러티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주제어장치는 상기 현재 위치 정보, 상기 캐퍼빌러티 정보 및 상기 무선 채널 상태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무선 디스플레이 유닛 별 무선 통신 방식 및 상기 데이터 전송 경로를 결정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메인 컨트롤러부와 복수의 디스플레이 유닛에 포함된 서브 컨트롤러부가 무선(망)으로 연결되어 데이터를 전송하는 것이 가능한 무선 멀티 패널 화면 제공 방법 및 그를 위한 장치 및 시스템을 제공하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주변 환경 정보, 디스플레이 유닛의 고장 여부 및 무선 채널 상태 정보 등에 기반하여 최적의 전송 경로 및 무선 통신 방식을 결정하여 보다 빠르고 안전하게 데이터를 전송한는 것이 가능한 무선 멀티 패널 전광판 시스템을 제공하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 유닛의 위치 이동에 따른 무선 채널 환경 변화에 따라 적응적으로 다양한 무선 통신 방식을 적용함으로써, 끊김 없이 실시간 화면을 제공하는 것이 가능한 무선 멀티 패널 전광판 시스템을 제공하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메인 컨트롤러부에 의해 제공되는 동기 신호에 기반하여 복수의 디스플레이 유닛 간 재생 동기를 유지함으로써, 보다 양질의 화면을 출력하는 것이 가능한 무선 멀티 패널 전광판 시스템을 제공하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일부 디스플레이 유닛의 고장 및 통신 장애에 따라 적응적으로 화면을 재구성하여 영상을 정상적으로 출력하는 것이 가능한 무선 멀티 패널 전광판 시스템을 제공하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복수의 에어 드론에 장착된 디스플레이 유닛을 무선망을 통해 상호 연동함으로써 고품질의 다양한 화면을 공중에 출력하는 것이 가능한 무선 멀티 패널 전광판 시스템을 제공하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설치 장소와 용도에 구애 없이 사용자의 목적에 따라 커스터마이즈가 가능한 무선 멀티 패널 전광판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선로 구축을 최소화하여 선로 구축 비용 및 케이블 포설 시간을 절감할 수 있으며, 전광판 시스템의 유지 보수 비용을 최소화시킬 수 있는 무선 멀티 패널 전광판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 외에, 본 문서를 통해 직접적 또는 간접적으로 파악되는 다양한 효과들이 제공될 수 있다.
도 1은 실시 예에 따른 무선 멀티 패널 전광판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네트워크 구성도이다.
도 2는 실시 예에 따른 무선 멀티 패널 전광판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3은 상기 도 2의 실시 예에 따른 인접한 두 무선 디스플레이 유닛 사이의 무선 통신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무선 멀티 패널 전광판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5는 상기 도 4에 따른 GTU의 구성 및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6은 실시 예에 따른 주제어장치의 메인 프로세서(11) 세부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7은 실시 예에 따른 주제어장치에서 무선 멀티 패널 전광판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8은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주제어장치에서 무선 멀티 패널 전광판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9는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주제어장치에서 무선 멀티 패널 전광판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10은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주제어장치에서 무선 멀티 패널 전광판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11은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주제어장치에서 무선 멀티 패널 전광판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12는 실시 예에 따른 무선 디스플레이 유닛에서 무선 멀티 패널 전광판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 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진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도 1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실시 예에 따른 무선 멀티 패널 전광판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네트워크 구성도이다.
이하 설명의 편의를 위해 무선 멀티 패널 전광판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네트워크를 간단히, ‘전광판 네트워크’라 명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을 참조하면, 전광판 네트워크(1)는 주제어장치(10, Main Controller), 무선멀티패널표시장치(20), 인터넷망(30), 이동통신망(40), 컨텐츠서버(50) 및 컨텐츠제공단말(60)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주제어장치(1)는 무선멀티패널표시장치(20)의 동작을 제어하고, 컨텐츠서버(50) 및/또는 컨텐츠제공단말(60)로부터 영상 데이터를 획득하고, 획득된 영상 데이터를 무선으로 무선멀티패널표시장치(20)에 제공할 수 있다.
주제어장치(1)는 영상 데이터를 직접 무선으로 무선멀티패널표시장치(20)에 전송할 수 있으나, 이는 하나의 실시 예에 불과하며, 이동통신망(40)을 통해 영상 데이터를 무선멀티패널표시장치(20)로 전송할 수도 있다.
일 예로, 주제어장치(1)는 무선 채널 상태가 무선멀티패널표시장치(20)와의 직접 무선 통신이 불가능한 것으로 판단된 경우, 이동통신망(40)을 통해 영상 데이터 전송을 시도할 수 있다.
무선멀티패널표시장치(20)는 복수의 무선 디스플레이 유닛(Wireless Display Unit, WDU)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무선 디스플레이 유닛은 특정 위치에 고정된 고정 디스플레이 유닛일 수 있으나, 이는 하나의 실시 예에 불과하며, 차량 또는 에어 드론과 같은 이동 수단에 장착되는 이동 디스플레이 유닛일 수도 있다.
주제어장치(10)는 재생 동기 신호를 생성하여 무선멀티패널표장치(20)로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재생 동기 신호는 직접 무선 통신을 통해 무선멀티패널표시장치(20)로 전송될 수 있으나, 이는 하나의 실시 예에 불과하며, 무선 디스플레이 유닛의 현재 위치 및 무선 채널 상태 등에 따라 이동통신망(40)을 통해 무선멀티패널표시장치(20)로 전송될 수도 있다.
무선멀티패널표시장치(20)는 수신된 재생 동기 신호에 기반하여 영상 데이터 재생 시점을 인접 무선 디스플레이 유닛과 동시화시킬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른 주제어장치(10)는 무선 디스플레이 유닛 별 재생 옵셋을 설정할 수도 있다. 여기서, 재생 옵셋은 레퍼런스 신호인 재생 동기 신호를 기준으로 설정될 수 있다.
만약, 모든 무선 디스플레이 유닛에 대해 재생 옵셋이 모두 0으로 설정된 경우, 모든 무선 디스플레이 유닛은 동일 시점에 영상 재생을 시작할 수 있다.
하지만, 재생 옵셋이 무선 디스플레이 유닛 별 상이하게 설정된 경우, 각각의 무선 디스플레이 유닛은 자신의 재생 옵셋에 따라 서로 상이한 시점에 영상 데이터 재생을 시작할 수 있다. 이때, 각 무선 디스플레이 유닛에 의해 재생되는 영상 데이터는 동일할 수 있으나, 이는 하나의 실시 예에 불과하며, 무선 디스플레이 유닛 별 상이한 영상 데이터가 재생될 수도 있다.
무선 디스플레이 유닛 별 재생되는 영상 데이터가 상이한 경우, 해당 영상 데이터에는 목적지 무선 디스플레이 유닛을 고유하게 식별하기 위한 유닛 식별자(Unit Identity)가 포함될 수 있다. 무선 디스플레이 유닛은 수신된 영상 데이터에 자신의 유닛 식별자가 포함된 경우, 재생 목록에 해당 영상 데이터를 추가할 수 있다. 반면, 영상 데이터 포함된 유닛 식별자가 자신의 유닛 식별자가 아닌 경우, 무선 디스플레이 유닛은 설정된 데이터 전송 경로에 따라 인접 무선 디스플레이 유닛으로 수신된 영상 데이터를 포워딩할 수 있다.
주제어장치(10)는 측위 기준 신호(Positioning Reference Signal, PRS)를 이용하여 각 무선 디스플레이 유닛의 현재 위치를 측위할 수 있다.
여기서, 측위 기준 신호는 주제어장치(10)가 무선 디스플레이 유닛으로 전송하는 request PRS와 무선 디스플레이 유닛이 request PRS에 대한 응답으로 주제어장치(10)에 전송하는 response PRS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주제어장치(10)는 request PRS 전송 시점과 response PRS 수신 시점에 기반하여 기준 신호 시간 차이(Reference Signal Time Difference, RSTD) 또는 왕복시간(Round Trip Time RTT)를 측정하고, 측정된 RSTD 또는 RTT에 기반하여 주제어장치(10)와 해당 무선 디스플레이 유닛 사이의 거리를 측정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른 주제어장치(10)는 이동통신망(40)과 연동하여 무선 디스플레이 유닛의 위치를 측정할 수도 있다. 일 예로, 주제어장치(10)는 자신이 전송한 측위 기준 신호를 통해 무선 디스플레이 유닛의 위치 측정이 불가한 경우, 이동통신망(40)에 해당 무선 디스플레이 유닛에 대한 위치 측위를 요청하는 측위 요청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이동통신망(40)은 주제어장치(10)의 측위 요청에 따라 측위 기준 신호를 전송하여 해당 무선 디스플레이 유닛의 현재 위치를 측위하고, 측위 결과가 포함된 측위 응답 신호를 주제어장치(10)로 전송할 수 있다.
주제어장치(10)는 무선 디스플레이 유닛의 현재 위치에 기반하여 최적의 데이터 전송 경로 및 무선 통신 방식을 결정할 수 있다.
실시 예에 다른 주제어장치(10)는 다양한 무선 통신 방식을 지원할 수 있다. 일 예로, 무선 통신 방식은 초근접 통신 방식, 근접 통신 방식, 광역 통신 방식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초근접 통신 방식은 D2D(Device to Device) 통신으로서, NFC(Near Field Communication), 가시광 통신(e.g. Li-Fi), 60GHz V-Band 통신(e.g. Zing), LTE/NR D2D 통신, Wi-Fi P2P(e.g. IEEE 802.11ad) 통신, Local AreaD2D(e.g. mmWAVE, NCT 등)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근접 통신 방식은 D2D 방식 또는 AP(Access point)/중계기(repeater) 기반한 방식 중 어느 하나일 수 있으며, 블루투스 통신, 와이파이 통신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근접 통신 방식은 전송 속도에 따라 저속 근접 통신 및 고속 근접 통신으로 분류될 수도 있다.
광역 통신 방식은 기지국과 같은 인프라 기반의 통신 방식으로, LTE 통신, 5G NR(New Radio Access Technology) 통신 등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주제어장치(10)는 무선 디스플레이 유닛에 의해 요구되는 데이터 전송 속도에 기반하여 무선 통신 방식을 적응적으로 결정/제어할 수 있다.
주제어장치(10)는 무선 디스플레이 유닛의 현재 무선 채널 상태 정보를 수집할 수 있으며, 수집된 무선 채널 상태 정보에 기반하여 무선 통신 방식을 적응적으로 결정/제어할 수 있다.
주제어장치(10)는 주변 환경 정보를 직접 센싱하고, 외부 서버로부터 획득하거나, 무선 디스플레이 유닛으로부터 수집할 수 있으며, 획득된 주변 환경 정보에 기반하여 무선 통신 방식을 적응적으로 결정/제어할 수 있다. 일 예로, 주변 환경 정보는 광도/광량 정보, 날씨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주제어장치(10)는 무선 디스플레이 유닛의 고장/장애 상태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주제어장치(10)는 수집된 고장/장애 상태 정보에 기반하여 데이터 전송 경로를 재설정하거나 멀티 패널 화면을 재구성할 수 있다.
주제어장치(10) 및 무선멀티패널표시장치(20)의 세부 구성 및 동작은 후술할 도면의 설명을 통해 보다 명확해질 것이다.
도 2는 실시 예에 따른 무선 멀티 패널 전광판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이하 설명의 편의를 위해 무선 멀티 패널 전광판 시스템을 간단히, '전광판 시스템'이라 명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를 참조하면, 전광판 시스템은 크게 주제어장치(10)와 무선멀티패널표시장치(20)로 구성될 수 있다.
주제어장치(10)은 메인프로세서(11), 유선통신부(12) 및 무선통신부(13)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메인프로세서(11)는 주제어장치(10)의 전체적인 동작 및 입출력을 제어할 수 있다.
메인프로세서(11)는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으며, 메모리에는 메인프로세서(11)의 동작을 위한 각종 응용 소프트웨어 및 펌웨어 뿐만 아니라 영상 데이터, 수집 정보, 설정 파라메터 정보 등이 유지될 수 있다.
유선통신부(12)는 이더넷 통신을 지원할 수 있으며, 메인프로세서(11)의 제어에 따라 유선 통신을 수행하여 외부 장치와 정보를 교환할 수 있다. 일 예로, 유선통신부(12)는 인터넷망(30)에 연결된 컨텐츠서버(50)로부터 영상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유선통신부(12)는 이동통신망(40)에 연결된 컨텐츠제공단말(60)의 영상 데이터를 이동통신망(40) 및 인터넷망(30)을 통해 수신할 수 있다.
무선통신부(12)는 적어도 하나의 무선 통신 수단이 구비될 수 있으며, 메인프로세서(11)의 제어에 따라 무선멀티패널표시장치(20) 및 이동통신망(40)과 무선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무선통신부(12)는 초근접 통신, 근접 통신, 광역 통신 중 적어도 하나를 지원할 수 있다.
무선멀티패널표시장치(20)는 다수의 무선 디스플레이 유닛(Wireless Display Unit, WDU)으로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각각의 무선 디스플레이 유닛은 서브 프로세서, 디스플레이 모듈 및 무선 통신부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무선 디스플레이 유닛은 인접 무선 디스플레이 유닛과 무선 통신을 수행하여 정보를 교환할 수 있다. 일 예로, 무선 디스플레이 유닛은 메인프로세서(11)의 제어에 따라 해당 무선 디스플레이 유닛으로 영상 데이터 및/또는 제어 신호를 전달할 수 있다.
무선 디스플레이 유닛은 이동통신망(40)과 연동될 수 있으며, 이동통신망(40)과 영상 데이터 및/또는 제어 신호를 교환할 수 있다.
주제어장치(10)는 복수의 무선 디스플레이 유닛과 동시에 무선 통신 수행할 수도 있다. 여기서, 주제어장치(10)와 무선 통신을 수행할 무선 디스플레이 유닛의 종류 및/또는 개수는 무선멀티패널표시장치(20)에 의해 요구되는 데이터 전송 속도, 무선멀티패널표시장치(20)를 구성하는 무선 디스플레이 유닛의 총 개수, 무선 디스플레이 유닛의 캐퍼빌리터 정보, 무선 디스플레이 유닛의 고장 여부 등에 기반하여 동적으로 결정될 수 있다.
실시 예로, 무선멀티패널표시장치(20)를 구성하는 무선 디스플레이 유닛은 동일한 캐퍼빌러티를 가지도록 구성될 수 있으나, 이는 하나의 실시 예에 불과하며, 서로 다른 캐퍼빌러티를 가지는 무선 디스플레이 유닛을 조합하여 구성될 수도 있다.
도 3은 상기 도 2의 실시 예에 따른 인접한 두 무선 디스플레이 유닛 사이의 무선 통신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 및 3을 참조하면, 무선 디스플레이 유닛은 서브 프로세서와 서브 프로세서에 의해 제어되는 복수의 무선 통신 모듈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른 무선 통신 모듈은 초근접 고속 통신 모듈, 저속 근접 통신 모듈, 고속 근접 통신 모듈, 광역 통신 모듈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른 무선 통신 모듈은 착탈식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무선 디스플레이 유닛 별 상이한 조합으로 무선 통신 모듈이 구성될 수 있다. 물론, 무선멀티패널표시장치(20)를 구성하는 모든 무선 디스플레이 유닛이 동일한 무선 통신 모듈 조합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각각의 무선 통신 모듈은 해당 무선 통신 방식을 지원하기 위한 통신부, RF 송수신부 및 송수신안테나가 구비될 수 있다.
서브 프로세서는 주제어장치(10)의 제어 신호에 따라 특정 무선 통신 모듈을 활성화하여 인접 무선 디스플레이 유닛과 무선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실시 예로, 따른 서브 프로세서는 주제어장치(10)의 제어 신호 없이도 자신의 무선 채널 상태 및 요구되는 서비스 품질에 따라 적응적으로 최적의 무선 통신 방식을 결정하고, 결정된 무선 통신 방식에 상응하는 무선 통신 모듈로 스위칭하여 무선 통신을 수행할 수도 있다.
실시 예에 따른 무선 디스플레이 유닛은 광도 센서가 구비되어 주변 광도를 측정하고, 측정 결과를 주제어장치(10)로 전송할 수 있다. 주제어장치(10)는 무선 디스플레이 유닛으로부터 수집된 광도 센싱 정보에 기반하여 무선 통신 방식을 적응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일 예로, 초근접 가시광 통신을 수행중인 무선 디스플레이 유닛의 주변 광도가 너무 높아 초근접 가시광 통신이 불가한 경우, 주제어장치(10)는 해당 무선 디스플레이 유닛이 LTE D2D 통신을 수행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도 4는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무선 멀티 패널 전광판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이하 설명의 편의를 위해 무선 멀티 패널 전광판 시스템을 간단히, '전광판 시스템'이라 명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4를 참조하면, 전광판 시스템은 크게 주제어장치(10)와 무선멀티패널표시장치(20)로 구성될 수 있다.
주제어장치(10)은 복수의 GTU(Gigabit Tranceiver Communication Unit)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물론, 주제어장치(10)는 상술한 도 2의 메인프로세서(11)를 포함할 수 있다.
주제어장치(10)와 무선 디스플레이 유닛은 각각에 구비된 GTU를 이용하여 영상 데이터 및 제어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또한, 무선멀티패널표시장치(20) 내 무선 디스플레이 유닛 간에도 각각에 구비된 GTU를 이용하여 영상 데이터 및 제어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GTU는 초근접 기가비트(Gigabit) 전이중 통신을 지원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HD급 영상을 실시간 전송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GTU의 세부 구성 및 동작은 후술할 도 5의 설명을 통해 보다 명확해질 것이다.
도 5는 상기 도 4에 따른 GTU의 구성 및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GTU는 이더넷 컨넥터, 이더넷 물리층, RF 송수신모듈 및 안테나 모듈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일 예로, 이더넷 컨넥터는 RJ45일 수 있으나, 이는 하나의 실시 예에 불과하며, 다른 타입의 이더넷 컨넥터(e.g. RJ11 등)이 적용될 수도 있다.
이더넷 물리층은 100BASE-T1, 1000BASE-T, 100BASE-TX, 10BASE-T, 10BASE-Te 같은 다양한 방식의 이더넷 통신을 지원할 수 있다.
RF 송수신모듈은 RF 송신 모듈과 RF 수신 모듈로 구분되고, 안테나 모듈은 송신 안테나와 수신 안테나로 구분될 수 있다.
이더넷 컨넥터와 이더넷 물리층은 TD-MDI(Twisted Pair-Medium Dependent Interface)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이더넷 물리층은 TD-MDI 신호를 SGMII(Serial Gigabit Media Independent Interface) 신호로 변환하고, 변환된 SGMII 신호를 초단거리용 RF 송신기에 전송할 수 있다. RF 송신기는 SGMII 신호를 60GHz V-band 신호로 변환하는 무선으로 전송할 수 있다. 역으로, 60GHz V-band 신호가 수신 안테나를 통해 RF 수신기에 수신되면, RF 수신기는 60GHz V-band 신호를 SGMII 신호로 변환하여 이더넷 물리층에 전송할 수 있다.이더넷 물리층은 수신된 SGMII 신호를 TD-MDI 신호로 변환하여 이더넷 컨넥터에 전송할 수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GTU는 유선 이더넷 신호를 무선 신호로 변환하는 기능 및 무선 신호를 유선 이더넷 신호로 변환하는 기능을 통해 전이중 방식의 통신을 지원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른 무선 송수신 안테나는 50mm 이내의 전송 거리를 가지도록 설계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GTU 사이의 무선 데이터 전송 속도는 1Gbit/s 속도가 유지될 수 있다.
GTU와 GTU의 사이의 무선 연결에서 GTU 안테나 간에 금속물의 간섭은 피해야 하나 플라스틱물과 같은 절연제는 초고주파수를 통과하므로 안테나 보호를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도 6은 실시 예에 따른 주제어장치의 메인 프로세서(11) 세부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메인 프로세서(11)는 화면구성부(610), 고장 및 장애 정보 수집부(602), 채널 상태 정보 수집부(603), 위치 정보 수집부(604), 전송 경로 결정부(605), 재생 동기 신호 생성부(606) 및 제어부(607)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제어부(607)는 메인 프로세서(11)의 전체적인 동작 및 입출력을 제어할 수 있다.
화면구성부(601)는 메인프로세서(11)의 제어 신호에 따라 무선멀티패널표시장치(20)를 구성하는 무선 디스플레이 유닛의 배치의 개수 및 배치 형태 등에 기반하여 멀티 패널 무선 디스플레이 장치에 표시될 화면을 구성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른 화면구성부(601)는 무선 디스플레이 유닛의 고장 및/또는 장애 정보에 기반하여 적응적으로 화면을 재구성할 수 있다. 또한, 화면구성부(601)는 무선 채널 상태 정보에 기반하여 적응적으로 화면을 재구성할 수도 있다. 또한, 화면구성부(601)는 영상 데이터의 해상도에 기반하여 적응적으로 화면을 구성할 수도 있다. 일 예로, 화면구성부(610)는 영상 데이터의 해상도에 따라 무선멀티패널표시장치(20)의 전체 무선 디스플레이 패널을 이용하여 해당 영상 데이터를 위한 화면을 구성하거나, 일부 무선 디스플레이 패널만을 이용하여 해당 영상 데이터를 위한 화면을 구성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도 2를 참조하면, WDU2의 고장 감지 시 화면구성부(601)는 WDU2가 포함된 행의 WDU1 및 WDU3를 제외한 WDU4 내지 WDU9를 이용하여 화면을 구성할 수 있다.
고장 및 장애 정보 수집부(602)는 무선 디스플레이 유닛의 고장 및 장애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채널 상태 정보 수집부(603)는 무선 디스플레이 유닛 사이의 무선 채널 상태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여기서, 무선 채널 상태 정보는 RSSI(Received Signal Strength Indicator), SNR(Signal to Interference Ratio), BER(Bit Error Rate), BLER(Block Error Rate), 전송 지연(Propagation Delay)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화면구성부(601)는 무선 채널 상태 정보에 더 기반하여 화면을 구성/재구성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화면구성부(601)는 열화된 무선 채널과 관련된 WDU를 제외한 나머지 WDU를 이용하여 화면을 구성/재구성할 수 있다.
위치 정보 수집부(604)는 WDU의 현재 위치를 측정하거나 또는 위치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여기서, WDU의 위치는 PRS를 이용하여 측정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른 위치 정보 수집부(604)는 이동통신망(40)과의 협업을 통해 WDU의 현재 위치 정보를 획득할 수도 있다.
전송 경로 결정부(605)는 영상 데이터의 최적 전송 경로를 결정할 수 있다. 일 예로, 최적 전송 경로는 무선 채널 상태 정보, WDU의 고장 및/또는 장애 상태 정보, WDU의 현재 위치 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기반하여 결정될 수 있다.
재생 동기 신호 생성부(606)는 각 WDU의 영상 데이터 재생 시점을 동기화하기 위한 재생 동기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재생 동기 신호 생성부(606)는 각 WDU의 재생 동기 신호 기준 재생 옵셋을 설정할 수도 있다.
도 7은 실시 예에 따른 주제어장치에서 무선 멀티 패널 전광판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주제어장치(10)는 디스커버리 신호를 방송하여 영상 데이터를 전송할 무선 디스플레이 유닛을 탐색할 수 있다(S710).
일 예로, 주제어장치(10)는 탐색 대상 무선 디스플레이 그룹 식별자에 대한 정보를 디스커버리 신호에 실어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무선 디스플레이 그룹 식별자는 무선멀티패널표시장치를 식별하기 위한 고유 식별자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으며, 무선멀티패널표시장치 내 무선 디스플레이 유닛들의 서브셋(Subset)을 구분하기 위한 고유 식별자일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무선멀티패널표시장치(20)가 9개의 WDU로 구성되고, 3x3 형태로 배치된 경우, 서브셋은 행 단위 또는 열 단위로 구성될 수 있다.
주제어장치(10)는 PRS를 이용하여 탐색된 무선 디스플레이 유닛의 현재 위치를 측정할 수 있다(S720).
주제어장치(10)는 소정 제어 신호를 송수신하여 탐색된 무선 디스플레이 유닛의 캐퍼빌러티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S730).
주제어장치(10)는 무선 디스플레이 유닛의 현재 위치 및 캐퍼빌러티 정보에 기반하여 해당 무선 디스플레이 유닛에 대한 데이터 전송 모드(또는 무선 통신 방식) 및 데이터 전송 경로를 결정할 수 있다(S740).
주제어장치(10)는 결정된 데이터 전송 모드에 기반한 통신 설정 정보를 해당 무선 디스플레이 유닛으로 전송할 수 있다(S750).
주제어장치(10)는 해당 무선 디스플레이 유닛의 통신 설정이 완료된 경우, 결정된 데이터 전송 경로에 따라 영상 데이터 전송을 수행할 수 있다(S760).
이때, 결정된 데이터 전송 경로에 따라 주제어장치(10)는 복수의 무선 디스플레이 유닛과 영상 데이터 전송을 위한 무선 채널을 설정할 수 있다.
도 8은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주제어장치에서 무선 멀티 패널 전광판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주제어장치(10)는 무선 디스플레이 유닛의 무선 채널 상태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S810). 일 예로, 무선 채널 상태 정보는 주기적 또는 특정 이벤트 발생 시 수집될 수 있다. 여기서, 특정 이벤트는 무선 채널 상태 변화가 기준치 이상인 이벤트, 새로운 영상 데이터 전송 이벤트, QoS(Quality of Service) 파라메터가 변경된 이벤트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주제어장치(10)는 수집된 무선 채널 상태 정보에 기반하여 데이터 전송 경로를 산출할 수 있다(S820).
주제어장치(10)는 산출된 데이터 전송 경로가 이전 데이터 전송 경로와 상이한 경우, 산출된 데이터 전송 경로에 따라 데이터 전송 경로를 재설정하여 영상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S830 내지 S840).
도 9는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주제어장치에서 무선 멀티 패널 전광판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주제어장치(10)는 무선 디스플레이 유닛의 고장/장애 상태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S910). 일 예로, 고장/장애 상태 정보는 과열 발생 정보, 전력 공급 이상 정보, 버퍼 오버플로우 발생 정보, 서브 프로세서 과부하 발생 정보, 디스플레이 오동작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주제어장치(10)는 수집된 고장/장애 상태 정보에 기반하여 데이터 전송 경로를 산출할 수 있다(S920).
주제어장치(10)는 산출된 데이터 전송 경로가 이전 데이터 전송 경로와 상이한 경우, 산출된 데이터 전송 경로에 따라 데이터 전송 경로를 재설정하여 영상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S930 내지 S940).
도 10은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주제어장치에서 무선 멀티 패널 전광판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주제어장치(10)는 무선 디스플레이 유닛의 현재 위치를 측정할 수 있다(S910). 일 예로, 무선 디스플레이 유닛이 차량이나 에어드론과 같은 이동체에 장착된 경우, 무선 디스플레이 유닛의 위치는 시간에 따라 변경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최적의 데이터 전송 경로도 무선 디스플레이 유닛의 위치 변경에 따라 적응적으로 갱신되어야 한다.
주제어장치(10)는 측정된 위치 정보에 기반하여 데이터 전송 경로를 산출할 수 있다(S920).
주제어장치(10)는 산출된 데이터 전송 경로가 이전 데이터 전송 경로와 상이한 경우, 산출된 데이터 전송 경로에 따라 데이터 전송 경로를 재설정하여 영상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S1030 내지 S1040).
상기 도 10의 실시 예에서는 주제어장치(10)가 직접 무선 디스플레이 유닛의 현재 위치를 측정하는 것으로 설명하고 있으나, 이는 하나의 실시 예에 불과하며, 주제어장치(10)가 무선 디스플레이 유닛의 위치 측정이 불가한 경우, 이동통신망(40)과의 협업을 통해 해당 무선 디스플레이 유닛의 현재 위치 정보를 획득할 수도 있다.
11은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주제어장치에서 무선 멀티 패널 전광판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11을 참조하면, 주제어장치(10)는 무선 디스플레이 유닛의 고장/장애 상태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S1110).
제어장치(10)는 수집된 고장/장애 상태 정보에 기반하여 화면을 재구성할 수 있다(S1120).
제어장치(10)는 재구성된 화면 출력을 위한 무선 디스플레이 유닛을 식별할 수 있다(S1130).
제어장치(10)는 식별된 무선 디스플레이 유닛을 위한 최적의 데이터 전송 경로를 산출할 수 있다(S1140). 이때, 주제어장치(10)는 산출된 최적 데이터 전송 경로에 상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무선 디스플레이 유닛에 소정 제어 신호를 전송하여 최적 데이터 전송 경로를 설정할 수 있다.
제어장치(10)는 산출된 최적 데이터 전송 경로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무선 디스플레이 유닛과 무선 채널을 설정하여 영상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S1150).
12는 실시 예에 따른 무선 디스플레이 유닛에서 무선 멀티 패널 전광판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12를 참조하면, 무선 디스플레이 유닛은 재생 동기 신호 및 재생 옵셋 정보를 주제어장치 및/또는 인접 제1 무선 디스플레이 유닛으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S1210).
예로, 주제어장치(10)로부터 재생 동기 신호를 수신한 무선 디스플레이 유닛은 수신된 재생 동기 신호에 따라 재생 동기 신호를 재생성하여 인접 무선 디스플레이 유닛으로 전송할 수 있다. 일 예로, 주제어장치(10)로부터 별도의 무선 제어 채널을 통해 무선 디스플레이 유닛 별 재생 옵셋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다른 일 예로, 주제어장치(10)는 화면 구성에 따라 적응적으로 무선 디스플레이 유닛 별 재생 옵셋을 제어할 수 있다.
무선 디스플레이 유닛은 주제어장치(10) 또는 인접 제1 무선 디스플레이 유닛으로부터 제1 주파수 대역을 통해 영상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S1220).
무선 디스플레이 유닛은 수신된 영상 데이터 신호를 제2 주파수 대역을 통해 인접 제2 무선 디스플레이 유닛으로 전송할 수 있다(S1230).
무선 디스플레이 유닛은 재생 동기 신호 및 재생 옵셋 정보에 기반하여 수신된 영상 데이터를 구비된 디스플레이를 통해 재생할 수 있다(S1240).
실시 예로, 상기 제1 주파수 대역과 상기 제2 주파수 대역은 동일하거나 상이할 수 있다.
실시 예로, 상기 제1 주파수 대역을 위한 무선 통신 방식과 제2 주파수 대역을 위한 무선 통신 방식은 서로 동일하거나 상이할 수 있다.
실시 예로, 상기 제1 주파수 대역 및 상기 제2 주파수 대역 중 적어도 하나는 무선 채널 상태에 따라 동적으로 변경될 수 있다.
상기 도 7 내지 12에서 설명된 방법들은 일부 단계가 조합되어 실시될 수도 있다.
일 예로, 주제어장치(10)는 무선 디스플레이 유닛의 현재 위치, 무선 채널 상태, 고장 및 장애 상태 중 적어도 하나에 기반하여 적응적으로 최적의 데이터 전송 경로 및 화면을 구성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들과 관련하여 설명된 방법 또는 알고리즘의 단계는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는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모듈, 또는 그 2 개의 결합으로 직접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모듈은 RAM 메모리, 플래시 메모리, ROM 메모리, EPROM 메모리, EEPROM 메모리, 레지스터, 하드 디스크, 착탈형 디스크, CD-ROM과 같은 저장 매체(즉, 메모리 및/또는 스토리지)에 상주할 수도 있다.
예시적인 저장 매체는 프로세서에 커플링되며, 그 프로세서는 저장 매체로부터 정보를 판독할 수 있고 저장 매체에 정보를 기입할 수 있다. 다른 방법으로, 저장 매체는 프로세서와 일체형일 수도 있다. 프로세서 및 저장 매체는 주문형 집적회로(ASIC) 내에 상주할 수도 있다. ASIC는 사용자 단말기 내에 상주할 수도 있다. 다른 방법으로, 프로세서 및 저장 매체는 사용자 단말기 내에 개별 컴포넌트로서 상주할 수도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 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10)

  1. 서로 무선으로 연결되어 신호를 송수신하도록 구성된 복수의 무선 디스플레이 유닛을 포함하는 무선멀티패널전광판장치; 및
    상기 무선멀티패널전광판장치의 동작을 제어하고, 상기 복수의 무선 디스플레이 유닛 중 적어도 하나의 무선 디스플레이 유닛을 선택하여 직접 무선으로 영상 데이터를 전송하는 주제어장치
    를 포함하고,
    상기 주제어장치는 상기 복수의 무선 디스플레이 유닛의 상태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영상 데이터를 위한 상기 무선멀티패널전광판장치 내 새로운 데이터 전송 경로를 결정하고, 상기 결정된 새로운 데이터 전송 경로에 기반하여 상기 무선멀티패널전광판장치에 표시될 화면을 재구성하고,
    상기 상태 정보는 무선 채널 상태 정보를 포함하되,
    상기 주제어장치는 상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무선 디스플레이 유닛과의 무선 통신 방식 및 상기 새로운 데이터 전송 경로에 상응하는 무선 디스플레이 유닛들 사이의 상기 무선 통신 방식을 상기 무선 채널 상태 정보에 기반하여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멀티 패널 전광판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무선 디스플레이 유닛은 각각 이더넷 컨넥터, 이더넷 물리층, RF 송수신모듈 및 안테나 모듈로 구성되어 60GHz V-band 신호를 송수신하는 제1 내지 2 GTU(Gigabit Tranceiver Communication Unit)를 포함하되, 상기 이더넷 컨넥터와 상기 이더넷 물리층은 TP-MDI(Twisted Pair-Medium Dependent Interface) 신호로 통신하고, 상기 이더넷 물리층과 상기 RF 송수신모듈은 SGMII(Serial Gigabit Media Independent Interface) 신호로 통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멀티 패널 전광판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주제어장치는 상기 복수의 무선 디스플레이 유닛의 상기 영상 데이터 재생 시점을 동기화시키기 위한 재생 동기 신호를 전송하는 수단 및 상기 복수의 무선 디스플레이 유닛 각각에 대한 재생 옵셋을 설정하는 수단을 더 포함하고, 상기 무선 디스플레이 유닛은 상기 재생 동기 신호를 기준으로 자신의 상기 재생 옵셋을 적용하여 상기 영상 데이터를 재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멀티 패널 전광판 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통신 방식은 초근접 고속 무선 통신, 저속 근접 무선 통신, 고속 근접 무선 통신, 광역 무선 통신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무선 멀티 패널 전광판 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주제어장치는,
    상기 무선 디스플레이 유닛의 고장 및 장애 상태 정보를 수집하는 수단;
    디스커버리 신호를 방송하여 상기 영상 데이터를 전송할 무선 디스플레이 유닛 탐색하는 수단;
    측위 기준 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탐색된 무선 디스플레이 유닛의 현재 위치를 측정하는 수단; 및
    상기 탐색된 무선 디스플레이 유닛의 캐퍼빌러티 정보를 획득하는 수단
    을 더 포함하고, 상기 주제어장치는 상기 수집된 고장 및 장애 정보, 상기 측정된 현재 위치에 관한 정보 및 상기 캐퍼빌러티 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더 기반하여 상기 영상 데이터를 전송할 상기 적어도 하나의 무선 디스플레이 유닛을 선택하고, 상기 무선 통신 방식 및 상기 새로운 데이터 전송 경로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멀티 패널 전광판 시스템.
  6. 상호 무선으로 통신하는 복수의 무선 디스플레이 유닛을 포함하는 무선멀티패널전광판장치의 동작을 제어하는 주제어장치에서 무선 멀티 패널 전광판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무선 디스플레이 유닛과 관련된 상태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획득된 상태 정보에 기반하여 영상 데이터를 전송할 적어도 하나의 상기 무선 디스플레이 유닛을 선택하는 단계;
    상기 획득된 상태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무선멀티패널전광판장치 내 상기 영상 데이터의 새로운 데이터 전송 경로를 결정 및 설정하는 단계;
    상기 결정된 새로운 데이터 전송 경로에 기반하여 상기 무선멀티패널전광판장치에 표시될 화면을 재구성하는 단계; 및
    상기 복수의 무선 디스플레이 유닛에 의해 재생될 영상 데이터의 데이터 전송 경로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상기 무선 디스플레이 유닛에 직접 무선으로 상기 영상 데이터를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상태 정보는 무선 채널 상태 정보를 포함하되,
    상기 주제어장치는 상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무선 디스플레이 유닛과의 무선 통신 방식 및 상기 새로운 데이터 전송 경로에 상응하는 무선 디스플레이 유닛들 사이의 상기 무선 통신 방식을 상기 무선 채널 상태 정보에 기반하여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무선 디스플레이 유닛은 각각 이더넷 컨넥터, 이더넷 물리층, RF 송수신모듈 및 안테나 모듈로 구성되어 60GHz V-band 신호를 송수신하는 제1 내지 2 GTU(Gigabit Tranceiver Communication Unit)를 포함하되, 상기 이더넷 컨넥터와 상기 이더넷 물리층은 TP-MDI(Twisted Pair-Medium Dependent Interface) 신호로 통신하고, 상기 이더넷 물리층과 상기 RF 송수신모듈은 SGMII(Serial Gigabit Media Independent Interface) 신호로 통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주제어장치는 상기 복수의 무선 디스플레이 유닛의 상기 영상 데이터 재생 시점을 동기화시키기 위한 재생 동기 신호를 전송하고, 상기 복수의 무선 디스플레이 유닛 각각에 대한 재생 옵셋을 설정하되, 상기 무선 디스플레이 유닛은 상기 재생 동기 신호를 기준으로 자신의 상기 재생 옵셋을 적용하여 상기 영상 데이터를 재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통신 방식은 초근접 고속 무선 통신, 저속 근접 무선 통신, 고속 근접 무선 통신, 광역 무선 통신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방법.
  10.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디스플레이 유닛의 고장 및 장애 상태 정보를 수집하는 단계;
    디스커버리 신호를 방송하여 상기 영상 데이터를 전송할 무선 디스플레이 유닛을 탐색하는 단계;
    측위 기준 신호를 이용하여 탐색된 무선 디스플레이 유닛의 현재 위치를 측정하는 단계; 및
    상기 탐색된 무선 디스플레이 유닛의 캐퍼빌러티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고, 상기 주제어장치는 상기 수집된 고장 및 장애 상태 정보, 상기 측정된 현재 위치에 대한 정보 및 상기 캐퍼빌러티 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더 기반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무선 디스플레이 유닛을 선택하고, 상기 무선 통신 방식 및 상기 새로운 데이터 전송 경로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KR1020210060471A 2021-05-11 2021-05-11 무선 멀티 패널 전광판 서비스 제공 방법 및 그를 위한 장치 및 시스템 KR10254064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60471A KR102540649B1 (ko) 2021-05-11 2021-05-11 무선 멀티 패널 전광판 서비스 제공 방법 및 그를 위한 장치 및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60471A KR102540649B1 (ko) 2021-05-11 2021-05-11 무선 멀티 패널 전광판 서비스 제공 방법 및 그를 위한 장치 및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53211A KR20220153211A (ko) 2022-11-18
KR102540649B1 true KR102540649B1 (ko) 2023-06-07

Family

ID=842346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60471A KR102540649B1 (ko) 2021-05-11 2021-05-11 무선 멀티 패널 전광판 서비스 제공 방법 및 그를 위한 장치 및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4064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88316B1 (ko) 2023-02-03 2023-10-12 상승종합통신 (주) 클라우드 기반의 전광판 시스템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95164B1 (ko) * 2019-10-31 2020-03-30 주식회사 애즈원 복수의 디스플레이 유닛을 개량된 이더넷 망으로 연결한 전광판 시스템
KR102121272B1 (ko) * 2019-09-30 2020-06-11 빛샘전자 주식회사 다중제어 디스플레이 시스템 및 다중제어 디스플레이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97721A (ko) * 2011-02-25 2012-09-05 이동신 무선통신을 이용한 엘이디 광고판 제어 시스템
KR102294353B1 (ko) * 2019-11-11 2021-08-25 엘지전자 주식회사 영상 표시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비디오 월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21272B1 (ko) * 2019-09-30 2020-06-11 빛샘전자 주식회사 다중제어 디스플레이 시스템 및 다중제어 디스플레이 방법
KR102095164B1 (ko) * 2019-10-31 2020-03-30 주식회사 애즈원 복수의 디스플레이 유닛을 개량된 이더넷 망으로 연결한 전광판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53211A (ko) 2022-11-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149311B2 (en) Constructing a self-organizing mesh network using 802.11AD technology
US10069551B2 (e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of performing wireless communication using beamforming thereof
US20090054054A1 (en) System and method for maintaining reliable beacon transmission and reception in 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CN102006089A (zh) 用于无线网络的带外无线链路协议和网络体系结构
WO2015088261A1 (ko) 다수의 안테나를 사용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빔 선택 방법 및 장치
US10887885B2 (en) Multiple application devices for providing services in wireless distribution systems (WDS), including distributed antenna systems (DAS), and related systems and methods
US10148995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data in communication system
CN101207439A (zh) 至少一个用户台和至少两个基站之间的通信方法
KR101719977B1 (ko) 네트워크 제어 방법 및 장치
KR102540649B1 (ko) 무선 멀티 패널 전광판 서비스 제공 방법 및 그를 위한 장치 및 시스템
WO2017189406A1 (en) Multiple application modules (mam) and/or multiple application units (mau) for providing services in wireless distribution systems (wds), including distributed antenna systems (das), and related systems and methods
WO2012004944A1 (ja) 無線伝送装置
US11695453B2 (en) Method for maintaining beamforming in wireless AV system, and wireless device using same
CN109075833A (zh) 通信控制装置、终端装置、方法和程序
CN102318413A (zh) 在无线网络的设备之间交换消息的方法以及用于该方法的设备
US20220021422A1 (en) Data transmission apparatus and method using polarized antenna in wireless av system
KR20110050340A (ko) 복수개의 주파수 대역을 지원하는 디바이스들이 통신에 사용하는 주파수 대역을 변경하는 방법
JP4335815B2 (ja) 受信品質を測定するためのダイバーシティシステム
US11709646B2 (en) Wireless device
WO2022017265A1 (zh) 电子设备、无线通信方法和计算机可读存储介质
KR102620047B1 (ko) 무선 av 시스템에서 다중 안테나를 이용한 빔포밍 수행 장치 및 방법
EP4280691A1 (en) Switching between wireless connections
US20230354230A1 (en) Synchronization of a mobile device and a peer device for uwb-based communication
JP5091972B2 (ja) シンク機器及び無線伝送システム
US20220255601A1 (en) Device and method for performing channel selection in wireless av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