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21272B1 - 다중제어 디스플레이 시스템 및 다중제어 디스플레이 방법 - Google Patents

다중제어 디스플레이 시스템 및 다중제어 디스플레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21272B1
KR102121272B1 KR1020190121008A KR20190121008A KR102121272B1 KR 102121272 B1 KR102121272 B1 KR 102121272B1 KR 1020190121008 A KR1020190121008 A KR 1020190121008A KR 20190121008 A KR20190121008 A KR 20190121008A KR 102121272 B1 KR102121272 B1 KR 10212127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play
sub
image data
unit
im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210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대연
최건형
김병현
Original Assignee
빛샘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빛샘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빛샘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1210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2127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212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2127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G06F3/1423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controlling a plurality of local displays, e.g. CRT and flat panel display
    • G06F3/1446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controlling a plurality of local displays, e.g. CRT and flat panel display display composed of modules, e.g. video wall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G06F3/145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involving copying of the display data of a local workstation or window to a remote workstation or window so that an actual copy of the data is displayed simultaneously on two or more displays, e.g. teledisplay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5/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for visual indicators common to cathode-ray tube indicators and other visual indicators
    • G09G5/12Synchronisation between the display unit and other units, e.g. other display units, video-disc player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00/00Aspects of the constitution of display devices
    • G09G2300/02Composition of display devic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60/00Aspects of the architecture of display systems
    • G09G2360/04Display device controller operating with a plurality of display unit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70/00Aspects of data communication
    • G09G2370/16Use of wireless transmission of display inform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Controls And Circuits For Display Device (AREA)
  • Transforming Electric Information Into Light Information (AREA)

Abstract

영상 데이터를 고속으로 무선 전송하여 다수의 서브 디스플레이 유닛에 동기화하여 디스플레이하는 다중제어 디스플레이 시스템, 다중제어 디스플레이 방법 및 기록 매체가 개시된다. 다중제어 디스플레이 시스템은 2차원 배열 구조 또는 3차원 적층 구조를 가지는 다수의 서브 디스플레이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다수의 서브 디스플레이 유닛의 다수의 표시 화면에 다수의 서브 영상 데이터를 포함하는 영상 데이터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 사용자 입력에 따라 상기 다수의 서브 디스플레이 유닛의 표시 화면들 중에서 상기 다수의 서브 영상 데이터를 표시할 상기 다수의 표시 화면을 선택하는 표시 화면 선택부; 상기 다수의 서브 디스플레이 유닛에 일대일 대응되게 마련되고, 상기 다수의 서브 영상 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다수의 서브 영상 데이터를 상기 다수의 표시 화면에 표시하는 다수의 영상 컨트롤러; 상기 다수의 서브 영상 데이터를 상기 다수의 영상 컨트롤러 중 상기 표시 화면 선택부에 의해 선택된 상기 다수의 표시 화면에 대응되는 영상 컨트롤러들로 무선 전송하는 무선 전송부; 및 상기 다수의 표시 화면에 상기 다수의 서브 영상 데이터가 동기화되어 표시되도록 동기화 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영상 컨트롤러들로 출력하는 동기화부를 포함한다. 상기 영상 컨트롤러들은 상기 동기화 신호에 따라 상기 다수의 서브 영상 데이터를 동기화하여 상기 다수의 표시 화면에 표시하도록 구성된다.

Description

다중제어 디스플레이 시스템 및 다중제어 디스플레이 방법{MULTI-CONTROL DISPLAY SYSTEM AND MULTI-CONTROL DISPLAY METHOD}
본 발명은 다중제어 디스플레이 시스템 및 다중제어 디스플레이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영상 데이터를 고속으로 무선 전송하여 다수의 서브 디스플레이 유닛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음과 동시에 다수의 서브 영상 데이터를 동기화하여 다수의 서브 디스플레이 유닛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는 다중제어 디스플레이 시스템 및 다중제어 디스플레이 방법에 관한 것이다.
스코어보드, 게시판, 광고판, 전광판 등의 다양한 목적을 위해, LED(Light Emitting Diode) 광원을 배열하여 각종 문자나 그림 등의 영상을 표시하는 LED 디스플레이 장치가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LED 디스플레이 장치는 다양한 광고 및 홍보매체로서 매우 광범위하게 사용되고 있으며, 최근에는 대형 화면을 갖는 엘이디 디스플레이에 대한 수요가 점차 증가하고 있다. 그러나, 디스플레이 자체를 대형화하기에는 한계가 있기 때문에, 복수의 디스플레이를 타일링 방식으로 조합하여 하나의 대형 화면을 구현한 멀티 디스플레이(Multi-Display)가 활용되고 있다. 종래에는 SDI(Serial Digital Interface) 비디오 전송 프로토콜을 기반으로 멀티 디스플레이에 영상 데이터를 전송하고 있다.
그러나, 종래의 SDI 기반의 영상 데이터 전송 방식은 4K, 8K(UHD)로 발전하는 초고해상도 영상 데이터를 고속으로 전송하기 어려우며, 데이터 전송율의 한계로 인해 초고해상도 대형 멀티 디스플레이를 구현하는데 제약이 따르고 있다. 또한, 종래의 SDI 기반의 영상 데이터 전송 방식은 유선으로 영상 데이터를 전송하기 때문에 케이블 연결을 필요로 하며, 그로 인해 멀티 디스플레이 설치 비용이 증가하고 설치 시간이 지연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종래의 멀티 디스플레이는 타일링 방식의 복수의 디스플레이의 배열을 자유롭게 변경하기 어려워, 영상 데이터의 표시 영역을 자유롭고 다양하게 변경하기 어려운 제약이 있다.
본 발명은 영상 데이터를 고속으로 무선 전송하여 다수의 서브 디스플레이 유닛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음과 동시에 다수의 서브 영상 데이터를 동기화하여 다수의 서브 디스플레이 유닛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는 다중제어 디스플레이 시스템, 다중제어 디스플레이 방법 및 기록 매체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케이블 연결을 필요로 하지 않아 설치 비용을 절감하고 설치 시간을 단축할 수 있으며, 영상 데이터의 표시 영역을 자유롭고 다양하게 변경할 수 있는 다중제어 디스플레이 시스템, 다중제어 디스플레이 방법 및 기록 매체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된 과제로 제한되지 않는다. 언급되지 않은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이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중제어 디스플레이 시스템은 2차원 배열 구조 또는 3차원 적층 구조를 가지는 다수의 서브 디스플레이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다수의 서브 디스플레이 유닛의 다수의 표시 화면에 다수의 서브 영상 데이터를 포함하는 영상 데이터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 사용자 입력에 따라 상기 다수의 서브 디스플레이 유닛의 표시 화면들 중에서 상기 다수의 서브 영상 데이터를 표시할 상기 다수의 표시 화면을 선택하는 표시 화면 선택부; 상기 다수의 서브 디스플레이 유닛에 일대일 대응되게 마련되고, 상기 다수의 서브 영상 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다수의 서브 영상 데이터를 상기 다수의 표시 화면에 표시하는 다수의 영상 컨트롤러; 상기 다수의 서브 영상 데이터를 상기 다수의 영상 컨트롤러 중 상기 표시 화면 선택부에 의해 선택된 상기 다수의 표시 화면에 대응되는 영상 컨트롤러들로 무선 전송하는 무선 전송부; 및 상기 다수의 표시 화면에 상기 다수의 서브 영상 데이터가 동기화되어 표시되도록 동기화 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영상 컨트롤러들로 출력하는 동기화부를 포함한다. 상기 영상 컨트롤러들은 상기 동기화 신호에 따라 상기 다수의 서브 영상 데이터를 동기화하여 상기 다수의 표시 화면에 표시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무선 전송부는 NDI(Network Digital Interface) 기반의 네트워크 멀티캐스트를 사용하여 상기 다수의 서브 영상 데이터를 상기 영상 컨트롤러들로 무선 전송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다수의 서브 디스플레이 유닛은 3차원 적층되는 다수의 큐브형 디스플레이 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표시 화면들은 상기 다수의 큐브형 디스플레이 유닛의 외부에 노출된 표시 화면들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표시 화면 선택부는 상기 사용자 입력에 따라 상기 다수의 큐브형 디스플레이 유닛의 외부에 노출된 각 표시 화면을 활성화 상태 및 비활성화 상태 중의 어느 하나로 설정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무선 전송부는 상기 표시 화면 선택부에 의해 상기 활성화 상태로 설정된 표시 화면들에 대응되는 상기 영상 컨트롤러들로 상기 다수의 서브 영상 데이터를 무선 전송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동기화부는, 상기 표시 화면들에 표시되는 상기 다수의 서브 영상 데이터의 표시 시각들을 측정하는 측정부; 및 상기 측정부에 의해 측정된 표시 시각들을 기반으로 상기 영상 컨트롤러들로 상기 동기화 신호를 출력하는 출력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측정부는 상기 영상 데이터의 프레임 속도보다 빠른 속도로 상기 표시 시각들을 측정하는 고속 영상 카메라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동기화부는 상기 표시 시각들을 기반으로 상기 다수의 서브 영상 데이터의 전송 시점을 조절하도록 상기 무선 전송부를 제어하는 전송 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중제어 디스플레이 방법은, 2차원 배열 구조 또는 3차원 적층 구조를 가지는 다수의 서브 디스플레이 유닛과 상기 다수의 서브 디스플레이 유닛에 일대일 대응되게 마련되는 다수의 영상 컨트롤러를 포함하는 다중제어 디스플레이 시스템에 의해 영상 데이터를 디스플레이하는 다중제어 디스플레이 방법으로서, 표시 화면 선택부에 의해, 사용자 입력에 따라 상기 다수의 서브 디스플레이 유닛의 표시 화면들 중에서 상기 다수의 서브 영상 데이터를 표시할 다수의 표시 화면을 선택하는 단계; 무선 전송부에 의해, 상기 다수의 서브 영상 데이터를 상기 다수의 영상 컨트롤러 중 상기 표시 화면 선택부에 의해 선택된 상기 다수의 표시 화면에 대응되는 영상 컨트롤러들로 무선 전송하는 단계; 동기화부에 의해, 상기 다수의 표시 화면에 상기 다수의 서브 영상 데이터가 동기화되어 표시되도록 동기화 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영상 컨트롤러들로 출력하는 단계; 및 상기 영상 컨트롤러들에 의해, 상기 동기화 신호에 따라 상기 다수의 서브 영상 데이터를 동기화하여 상기 다수의 표시 화면에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무선 전송하는 단계는 NDI(Network Digital Interface) 기반의 네트워크 멀티캐스트를 사용하여 상기 다수의 서브 영상 데이터를 상기 영상 컨트롤러들로 무선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다수의 서브 디스플레이 유닛은 3차원 적층되는 다수의 큐브형 디스플레이 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다수의 표시 화면을 선택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 입력에 따라 상기 다수의 큐브형 디스플레이 유닛의 외부에 노출된 표시 화면들 중에서 상기 다수의 표시 화면을 선택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다수의 표시 화면을 선택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 입력에 따라 상기 다수의 큐브형 디스플레이 유닛의 외부에 노출된 각 표시 화면을 활성화 상태 또는 비활성화 상태로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무선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활성화 상태로 설정된 표시 화면들에 대응되는 상기 영상 컨트롤러들로 상기 다수의 서브 영상 데이터를 무선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동기화 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영상 컨트롤러들로 출력하는 단계는, 상기 표시 화면들에 표시되는 상기 다수의 서브 영상 데이터의 표시 시각들을 측정하는 단계; 및 상기 측정부에 의해 측정된 표시 시각들을 기반으로 상기 영상 컨트롤러들로 상기 동기화 신호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중제어 디스플레이 방법은, 상기 동기화부에 의해, 상기 표시 시각들을 기반으로 상기 다수의 서브 영상 데이터의 전송 시점을 조절하도록 상기 무선 전송부를 제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다중제어 디스플레이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영상 데이터를 고속으로 무선 전송하여 다수의 서브 디스플레이 유닛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음과 동시에 다수의 서브 영상 데이터를 동기화하여 다수의 서브 디스플레이 유닛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는 다중제어 디스플레이 시스템, 다중제어 디스플레이 방법 및 기록 매체가 제공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케이블 연결을 필요로 하지 않아 설치 비용을 절감하고 설치 시간을 단축할 수 있으며, 영상 데이터의 표시 영역을 자유롭고 다양하게 변경할 수 있는 다중제어 디스플레이 시스템, 다중제어 디스플레이 방법 및 기록 매체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효과는 상술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는다. 언급되지 않은 효과들은 본 명세서 및 첨부된 도면으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히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중제어 디스플레이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중제어 디스플레이 시스템을 구성하는 서브 디스플레이 유닛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중제어 디스플레이 시스템을 구성하는 서브 디스플레이 유닛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중제어 디스플레이 시스템을 구성하는 서브 디스플레이 유닛의 부분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중제어 디스플레이 시스템의 개념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중제어 디스플레이 시스템을 구성하는 표시 화면 선택부의 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중제어 디스플레이 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중제어 디스플레이 시스템을 구성하는 동기화부의 구성도이다.
도 10은 도 9의 단계 S130의 순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중제어 디스플레이 시스템의 예시도로서, 다중 제어 LED 전광판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중제어 디스플레이 시스템의 예시도로서, 다중 제어 표출 적층형 큐브 스크린을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의 다른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하는 실시예를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만일 정의되지 않더라도,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기술 혹은 과학 용어들을 포함)은 이 발명이 속한 종래 기술에서 보편적 기술에 의해 일반적으로 수용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갖는다. 공지된 구성에 대한 일반적인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지 않기 위해 생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도면에서 동일하거나 상응하는 구성에 대하여는 가급적 동일한 도면부호가 사용된다.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도면에서 일부 구성은 다소 과장되거나 축소되어 도시될 수 있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가지다" 또는 "구비하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 전체에서 사용되는 '~부'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로서, 예를 들어 소프트웨어, FPGA 또는 ASIC과 같은 하드웨어 구성요소를 의미할 수 있다. 그렇지만 '~부'가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에 한정되는 의미는 아니다. '~부'는 어드레싱할 수 있는 저장 매체에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고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프로세서들을 재생시키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일 예로서 '~부'는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객체지향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클래스 구성요소들 및 태스크 구성요소들과 같은 구성요소들과, 프로세스들, 함수들, 속성들, 프로시저들, 서브루틴들, 프로그램 코드의 세그먼트들, 드라이버들, 펌웨어, 마이크로 코드, 회로, 데이터, 데이터베이스, 데이터 구조들, 테이블들, 어레이들 및 변수들을 포함할 수 있다. 구성요소와 '~부'에서 제공하는 기능은 복수의 구성요소 및 '~부'들에 의해 분리되어 수행될 수도 있고, 다른 추가적인 구성요소와 통합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중제어 디스플레이 시스템 및 방법은 2차원 배열 구조 또는 3차원 적층 구조를 가지는 다수의 서브 디스플레이 유닛에 의해 다수의 서브 영상 데이터를 동기화하여 디스플레이하는 것으로, 사용자 입력에 따라 다수의 서브 디스플레이 유닛의 표시 화면들 중에서 다수의 서브 영상 데이터를 표시할 다수의 표시 화면을 자유롭게 선택할 수 있도록 구성되고, 다수의 영상 컨트롤러 중 선택된 다수의 표시 화면에 대응되는 영상 컨트롤러들에 의해 다수의 서브 영상 데이터가 다수의 표시 화면에 동기화되어 디스플레이되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영상 데이터를 고속으로 무선 전송하여 다수의 서브 디스플레이 유닛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음과 동시에 다수의 서브 영상 데이터를 동기화하여 다수의 서브 디스플레이 유닛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또한, 케이블 연결을 필요로 하지 않아 설치 비용을 절감하고 설치 시간을 단축할 수 있으며, 영상 데이터의 표시 영역을 자유롭고 다양하게 변경할 수 있다.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중제어 디스플레이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중제어 디스플레이 시스템(100)은 영상 서버(110), 표시 화면 선택부(120), 무선 전송부(130), 디스플레이부(140), 영상 컨트롤러(도 4의 도면부호 150) 및 동기화부(160)를 포함할 수 있다.
영상 서버(110)는 무선 전송부(130)로 서브 영상 데이터를 포함하는 영상 데이터를 전송한다. 영상 서버(110)는 예를 들어 고속으로 영상 데이터를 무선 전송할 수 있는 NDI(Network Device Interface) 영상 서버(PC 영상 플레이어)로 제공될 수 있다. 영상 서버(110)는 NDI 기반으로 네트워크 와이파이(Network-WIFI) 무선 통신에 의해 서브 영상 데이터를 무선 전송부(130)로 전송할 수 있다.
NDI는 IP 전송 프로토콜의 일종으로, 무(無)손실, 압축, 제로(Zero) 딜레이, 멀티캐스트 전송 특성을 가지며, 기존의 비디오 전송 프로토콜인 SDI(Serial Digital Interface)를 대신하여 네트워크에서 사용 가능한 형태로 제작된 네트워크 비디오 전송용 코덱이다. NDI 규격으로 만들어진 소스는 NDI 채널로 불리며 동일한 네트워크에 존재하고 있는 NDI 지원 중계 시스템이나 출력 모듈을 통해 처리될 수 있다. NDI 채널은 1:1 연결뿐만 아니라 1:N 연결도 지원하며 네트워크 방송(Network Broadcast)을 지원하기 때문에 여러 대의 장비에서 동일한 NDI 소스 채널을 동시에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표시 화면 선택부(120)는 사용자 입력에 따라 다수의 큐브형 디스플레이 유닛의 외부에 노출된 각 표시 화면(144)을 활성화 상태 및 비활성화 상태 중의 어느 하나로 설정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표시 화면 선택부(120)는 사용자 입력을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부(User Interface)를 포함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키보드(keyboard), 마우스(mouse), 터치 패드(touch pad), 터치 패널(touch panel)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무선 전송부(130)는 다수의 서브 영상 데이터를 다수의 영상 컨트롤러(도 4의 도면부호 150) 중 표시 화면 선택부(120)에 의해 선택된 다수의 표시 화면(144)에 대응되는 영상 컨트롤러들로 무선 전송할 수 있다. 무선 전송부(130)는 NDI(Network Digital Interface) 기반의 네트워크 멀티캐스트를 사용하여 네트워크 와이파이(Network-WIFI) 무선 통신에 의해 다수의 서브 영상 데이터를 영상 컨트롤러들(도 4의 도면부호 150)로 전송하는 무선 공유기로 제공될 수 있다.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중제어 디스플레이 시스템을 구성하는 서브 디스플레이 유닛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중제어 디스플레이 시스템을 구성하는 서브 디스플레이 유닛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중제어 디스플레이 시스템을 구성하는 서브 디스플레이 유닛의 부분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디스플레이부(140)는 다수의 서브 디스플레이 유닛(142)을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40)는 다수의 서브 디스플레이 유닛(142)의 다수의 표시 화면(144)에 영상 데이터를 표시할 수 있다. 서브 디스플레이 유닛(142)의 표시 화면(144)은 LED(Light Emitting Diode) 디스플레이 화면으로 제공될 수 있다. 실시예에서, 서브 디스플레이 유닛(142)은 3차원 적층되는 다수의 큐브형 디스플레이 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각 큐브형 디스플레이 유닛은 NDI 클라이언트에 해당한다.
각 큐브형 디스플레이 유닛은 소형 육면체(큐브) 형상을 가지며, 모든 방향으로 서브 영상 데이터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도록 복수개의 표시 화면들(144)을 가질 수 있다. 각 큐브형 디스플레이 유닛은 인접한 큐브형 디스플레이 유닛과 탈부착을 위해 자석(142a)을 구비하고, 인접한 큐브형 디스플레이 유닛의 자석에 의해 부착될 수 있는 자석 금구류(142b)를 구비할 수 있다.
각 큐브형 디스플레이 유닛은 블록 형태로 자유롭게 쌓을 수 있는 체결 구조로 제공될 수 있으며, 큐브형 디스플레이 유닛들 간에 자석에 의해 쉽고 빠르게 체결/설치 또는 분리/해체 가능한 구조를 갖는다. 또한, 큐브형 디스플레이 유닛의 적층 구조를 변경하여 다양한 형태의 3D 형상을 제작할 수 있다. 큐브형 디스플레이 유닛은 용이한 체결/분리를 위해 약 120 mm 이하의 크기로 제공될 수 있다.
큐브형 디스플레이 유닛은 상면과 하면을 제외한 4개의 측면에 각각 표시 화면(144)을 가질 수 있다. 다수의 서브 영상 데이터를 포함하는 영상 데이터는 다수의 서브 디스플레이 유닛(142)의 외부에 노출된 표시 화면들(144)에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다수의 큐브형 디스플레이 유닛 상호 간에 결합되는 측면들은 외부에 노출되지 않으므로, 다수의 큐브형 디스플레이 유닛 상호 간에 결합되는 측면들에 위치한 표시 화면들(144)에는 서브 영상 데이터가 디스플레이되지 않을 수 있다. 이상에서 다수의 큐브형 디스플레이 유닛이 3차원 적층된 디스플레이부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디스플레이부는 2차원(평면) 배열 구조를 가지는 서브 디스플레이 유닛들로 제공될 수도 있다.
영상 서버(110)에서 영상 데이터를 네트워크에 공유하면, 다수의 서브 디스플레이 유닛(142)에 내장된 PC에서 네트워크를 통하여 서브 영상 데이터를 수신하고 처리하여 서브 영상 데이터를 각 서브 디스플레이 유닛(142)의 표시 화면(144)에 표시하게 된다. 이를 위해, 영상 서버(110)는 각 서브 영상 데이터 마다 서브 영상 데이터를 표시할 서브 디스플레이 유닛(142)에 대응되는 IP 주소를 할당하여 IP 네트워크를 통해 서브 영상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큐브형 디스플레이 유닛 내의 거치대에는 리눅스 기반으로 IP 네트워크를 통해 데이터를 받아 영상 컨트롤러로 전송하는 영상플레이어, HDMI(High 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데이터를 입력받아 표시 화면(144)으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영상 컨트롤러,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 안정적인 전원 구동을 위해 전원을 분리하여 공급하는 전원 컨트롤러 등이 장착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중제어 디스플레이 시스템의 개념도이다.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다수의 영상 컨트롤러(150)는 다수의 서브 디스플레이 유닛(142)에 일대일 대응되게 마련될 수 있다. 다수의 영상 컨트롤러(150)는 다수의 서브 영상 데이터를 수신하고, 다수의 서브 영상 데이터를 다수의 표시 화면(144)에 표시할 수 있다.
도 6의 실시예는 다수의 제1 서브 디스플레이 유닛(142)으로 이루어지는 제1 디스플레이부(140a)의 표시 화면들 중의 제1 표시 화면(144a)에 제1 서브 영상 데이터(IM1)가 표시되고, 다수의 제1 디스플레이부(140a)의 표시 화면들 중의 제2 표시 화면(144a)에 제2 서브 영상 데이터(IM2)가 표시되고, 다수의 제2 서브 디스플레이 유닛(142)으로 이루어지는 제2 디스플레이부(140b)의 표시 화면들 중의 제3 표시 화면들(144c)에 제3 서브 영상 데이터(IM3)가 표시되는 것을 나타낸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중제어 디스플레이 시스템은 제1 디스플레이부(140a)와 같이 다수의 큐브형 디스플레이 유닛의 표시 화면들에 서로 다른 서브 영상 데이터를 각각 전송하여 디스플레이하거나, 제2 디스플레이부(140b)와 같이 서로 전기신호적으로 연결되지 않은 하나의 그룹에 속하는 다수의 큐브형 디스플레이 유닛에 NDI를 통해 영상 데이터를 공유하게 함으로써 다수의 큐브형 디스플레이 유닛이 동기화된 영상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중제어 디스플레이 시스템은 표시 화면 선택부(120)에 의해 다양하게 설정되는 N개(N은 2 이상의 정수)의 큐브형 디스플레이 유닛을 그룹으로 묶어 다양한 퍼포먼스를 표현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연결 케이블을 필요로 하지 않으며 케이블 연결 작업도 필요로 하지 않아 디스플레이(전광판) 설치 비용을 절감하고 설치 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또한, 기존의 유선 방식의 컨트롤러의 경우 컨트롤러에 고장 발생시 컨트롤러와 데이터 케이블이 연결된 모든 다른 컨트롤러들에 불량이 발생하지만,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다중 무선 제어 방식에 의해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므로 불량 컨트롤러를 제외한 다른 컨트롤러들을 통해 영상을 정상적으로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다수의 영상 장치에서 영상 데이터를 받아 다중으로 표출하는 것도 가능하며, 어느 하나의 영상 장치가 고장 났을 경우 자체적으로 다른 영상 장치로 변경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중제어 디스플레이 시스템을 구성하는 표시 화면 선택부의 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중제어 디스플레이 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1,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 표시 화면 선택부(120)는 사용자 입력에 따라 영상 서버(110)의 디스플레이 화면(112)에 표시되는 디스플레이부(140)에 해당하는 2차원 또는 3차원 이미지(122)에서 영상 데이터를 표시할 표시 화면(144)을 선택할 수 있다(S110).
사용자는 예를 들어 마우스 포인터(mouse pointer)(P)를 서브 영상 데이터를 표시할 표시 화면(144)에 위치시킨 후 클릭하는 등의 방법으로, 표시 화면(144)을 선택(활성화 또는 비활성화)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 영상 서버(110)의 디스플레이 화면(112)에는 디스플레이부(140)에 해당하는 이미지(122)를 3차원 회전시키기 위한 오브젝트(124, 126)가 표시될 수 있으며, 오브젝트(124, 126)의 클릭 등을 통해 이미지(122)를 좌/우, 상/하 등으로 회전시키면서 표시 화면(144)을 선택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표시 화면 선택부(120)에 의해 디스플레이부(140)의 후방 측의 표시 화면(144)을 서브 영상 데이터를 표시하는 활성화 상태의 화면(146) 또는 서브 영상 데이터를 표시하지 않는 비활성화 상태의 화면(148) 간에 전환할 수 있다. 사용자는 마우스 포인터(P)를 드래그한 영역 내의 표시 화면들(144)을 일괄하여 활성화 또는 비활성화 상태 간에 전환할 수도 있다.
표시 화면 선택부(120)에 의해 영상 데이터를 표시할 다수의 표시 화면이 선택되면, 무선 전송부(130)는 IP 네트워크를 통해 표시 화면 선택부(120)에 의해 활성화 상태로 설정된 표시 화면들에 대응되는 영상 컨트롤러들(150)로 다수의 서브 영상 데이터를 무선 전송할 수 있다(S120). 무선 전송부(130)는 표시 화면 선택부(120)에 의해 비활성화 상태로 설정된 표시 화면들에 대응되는 영상 컨트롤러들(150)에는 데이터를 전송하지 않을 수 있다.
동기화부(160)는 표시 화면 선택부(120)에 의해 선택된 활성화 상태의 다수의 표시 화면(144)에 다수의 서브 영상 데이터가 동기화되어 표시되도록 동기화 신호를 생성하여 활성화 상태의 다수의 표시 화면(144)에 대응되는 영상 컨트롤러들(150)로 동기화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S130).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중제어 디스플레이 시스템을 구성하는 동기화부의 구성도이다. 도 10은 도 9의 단계 S130의 순서도이다. 도 1, 도 8 내지 도 10을 참조하면, 동기화부(160)는 측정부(162), 출력부(164) 및 전송 제어부(166)를 포함할 수 있다.
측정부(162)는 디스플레이부(140)의 다수의 표시 화면(144)에 표시되는 다수의 서브 영상 데이터의 표시 시각들을 측정할 수 있다(S132). 측정부(162)는 영상 데이터의 프레임 속도보다 빠른 속도로 표시 시각들을 측정하는 고속 영상 카메라를 포함할 수 있다. 다수의 서브 디스플레이 유닛(120) 간의 표시 시각 차이는 고속 영상 카메라의 프레임 단위로 측정될 수 있다.
출력부(164)는 측정부(162)에 의해 측정된 표시 시각들을 기반으로 영상 컨트롤러들로 동기화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S134). 전송 제어부(166)는 측정부(162)에 의해 측정된 표시 시각들을 기반으로 다수의 서브 영상 데이터의 전송 시점을 조절하도록 무선 전송부(130)를 제어할 수 있다(S136). 동기화 신호를 수신한 영상 컨트롤러들(150)은 동기화 신호에 따라 다수의 서브 영상 데이터를 동기화하여 다수의 표시 화면(144)에 표시할 수 있다(S140).
다수의 서브 디스플레이 유닛(142)의 서브 영상 데이터 표시 시각에 차이가 발생하는 이유는 다수의 서브 영상 데이터가 무선 전송되는 과정에서 전송 시간에 차이가 발생하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서브 디스플레이 유닛(142)의 표시 시각이 다수의 표시 화면의 표시 시각들 중 가장 늦은 표시 시각과 △T 만큼의 표시 시각 차이를 가지는 경우, 동기화부(160)는 서브 디스플레이 유닛(142)의 서브 영상 데이터 표시 시각을 △T 만큼 지연시킨 후 서브 영상 데이터를 디스플레이하도록 영상 컨트롤러를 제어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다수의 서브 디스플레이 유닛(142)의 표시 시각들을 기반으로 서브 영상 데이터를 동기화하여 표시함으로써, 전체 영상 데이터를 일체감 있게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또한, 동기화부(160)는 서브 디스플레이 유닛(142)의 표시 시각이 다수의 표시 화면의 표시 시각들 중 가장 늦은 표시 시각과 △T 만큼의 표시 시각 차이를 가지는 경우에, 무선 전송부(130)에 의해 서브 디스플레이 유닛(142)으로 전송되는 서브 영상 데이터의 전송 시각을 △T 만큼 지연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다수의 서브 디스플레이 유닛(142)의 영상 컨트롤러들로 서브 영상 데이터가 수신되는 시간이 동일해지므로, 영상 컨트롤러들에서 서브 영상 데이터의 표시 시각을 지연시키지 않고 서브 영상 데이터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중제어 디스플레이 시스템의 예시도로서, 다중 제어 LED 전광판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중제어 디스플레이 시스템의 예시도로서, 다중 제어 표출 적층형 큐브 스크린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1 및 도 1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중제어 디스플레이 시스템은 다중 제어 LED 전광판, 다중 제어 표출 적층형 큐브 스크린 등의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중제어 디스플레이 시스템은 다중 제어 LED 전광판이나 다중 제어 표출 적층형 큐브 스크린 등의 2차원 또는 3차원 디스플레이부 화면 상의 상이한 표시 영역들에 다양한 단말기(PC 서버, 스마트폰, 기타 영상 장비 등)에서 제공하는 다양한 영상들을 디스플레이하는 것도 가능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다수의 영상 장치에서 영상 데이터를 받아 디스플레이부에 다중으로 디스플레이할 수 있으며, 어느 하나의 영상 장치가 고장난 경우에도 자체적으로 다른 영상 장치로 변경하여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 것도 가능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중제어 디스플레이 방법의 단계들 중 적어도 일부는 컴퓨터에서 실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으로 작성 가능하고,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를 이용하여 상기 프로그램을 동작시키는 범용 디지털 컴퓨터에서 구현될 수 있다.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SRAM(Static RAM), DRAM(Dynamic RAM), SDRAM(Synchronous DRAM) 등과 같은 휘발성 메모리, ROM(Read Only Memory), PROM(Programmable ROM), EPROM(Electrically Programmable 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and Programmable ROM), 플래시 메모리 장치, PRAM(Phase-change RAM), MRAM(Magnetic RAM), RRAM(Resistive RAM), FRAM(Ferroelectric RAM)과 같은 불휘발성 메모리, 플로피 디스크, 하드 디스크 또는 광학적 판독 매체 예를 들어 시디롬, 디브이디 등과 같은 형태의 저장매체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이상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제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지 않으며,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가능한 실시예들도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임을 이해하여야 한다.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며,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청구범위의 문언적 기재 그 자체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실질적으로는 기술적 가치가 균등한 범주의 발명까지 미치는 것임을 이해하여야 한다.
100: 다중제어 디스플레이 시스템
110: 영상 서버
120: 표시 화면 선택부
130: 무선 전송부
140: 디스플레이부
142: 서브 디스플레이 유닛
144: 표시 화면
150: 영상 컨트롤러
160: 동기화부
162: 측정부
164: 출력부
166: 전송 제어부

Claims (16)

  1. 2차원 배열 구조 또는 3차원 적층 구조를 가지는 다수의 서브 디스플레이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다수의 서브 디스플레이 유닛의 다수의 표시 화면에 다수의 서브 영상 데이터를 포함하는 영상 데이터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
    사용자 입력에 따라 상기 다수의 서브 디스플레이 유닛의 표시 화면들 중에서 상기 다수의 서브 영상 데이터를 표시할 상기 다수의 표시 화면을 선택하는 표시 화면 선택부;
    상기 다수의 서브 디스플레이 유닛에 일대일 대응되게 마련되고, 상기 다수의 서브 영상 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다수의 서브 영상 데이터를 상기 다수의 표시 화면에 표시하는 다수의 영상 컨트롤러;
    상기 다수의 서브 영상 데이터를 상기 다수의 영상 컨트롤러 중 상기 표시 화면 선택부에 의해 선택된 상기 다수의 표시 화면에 대응되는 영상 컨트롤러들로 무선 전송하는 무선 전송부; 및
    상기 다수의 표시 화면에 상기 다수의 서브 영상 데이터가 동기화되어 표시되도록 동기화 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영상 컨트롤러들로 출력하는 동기화부를 포함하고,
    상기 영상 컨트롤러들은 상기 동기화 신호에 따라 상기 다수의 서브 영상 데이터를 동기화하여 상기 다수의 표시 화면에 표시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무선 전송부는 NDI(Network Digital Interface) 기반의 네트워크 멀티캐스트를 사용하여 상기 다수의 서브 영상 데이터를 상기 영상 컨트롤러들로 무선 전송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동기화부는,
    상기 표시 화면들에 표시되는 상기 다수의 서브 영상 데이터의 표시 시각들을 측정하는 측정부;
    상기 측정부에 의해 측정된 표시 시각들을 기반으로 상기 영상 컨트롤러들로 상기 동기화 신호를 출력하는 출력부; 및
    상기 표시 시각들을 기반으로 상기 다수의 서브 영상 데이터의 전송 시점을 조절하도록 상기 무선 전송부를 제어하는 전송 제어부를 포함하는 다중제어 디스플레이 시스템.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서브 디스플레이 유닛은 3차원 적층되는 다수의 큐브형 디스플레이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표시 화면들은 상기 다수의 큐브형 디스플레이 유닛의 외부에 노출된 표시 화면들인 다중제어 디스플레이 시스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화면 선택부는 상기 사용자 입력에 따라 상기 다수의 큐브형 디스플레이 유닛의 외부에 노출된 각 표시 화면을 활성화 상태 및 비활성화 상태 중의 어느 하나로 설정하도록 구성되는 다중제어 디스플레이 시스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전송부는 상기 표시 화면 선택부에 의해 상기 활성화 상태로 설정된 표시 화면들에 대응되는 상기 영상 컨트롤러들로 상기 다수의 서브 영상 데이터를 무선 전송하도록 구성되는 다중제어 디스플레이 시스템.
  6. 삭제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측정부는 상기 영상 데이터의 프레임 속도보다 빠른 속도로 상기 표시 시각들을 측정하는 고속 영상 카메라를 포함하는 다중제어 디스플레이 시스템.
  8. 삭제
  9. 2차원 배열 구조 또는 3차원 적층 구조를 가지는 다수의 서브 디스플레이 유닛과 상기 다수의 서브 디스플레이 유닛에 일대일 대응되게 마련되는 다수의 영상 컨트롤러를 포함하는 다중제어 디스플레이 시스템에 의해 다수의 서브 영상 데이터를 포함하는 영상 데이터를 디스플레이하는 다중제어 디스플레이 방법으로서,
    표시 화면 선택부에 의해, 사용자 입력에 따라 상기 다수의 서브 디스플레이 유닛의 표시 화면들 중에서 상기 다수의 서브 영상 데이터를 표시할 다수의 표시 화면을 선택하는 단계;
    무선 전송부에 의해, 상기 다수의 서브 영상 데이터를 상기 다수의 영상 컨트롤러 중 상기 표시 화면 선택부에 의해 선택된 상기 다수의 표시 화면에 대응되는 영상 컨트롤러들로 무선 전송하는 단계;
    동기화부에 의해, 상기 다수의 표시 화면에 상기 다수의 서브 영상 데이터가 동기화되어 표시되도록 동기화 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영상 컨트롤러들로 출력하는 단계; 및
    상기 영상 컨트롤러들에 의해, 상기 동기화 신호에 따라 상기 다수의 서브 영상 데이터를 동기화하여 상기 다수의 표시 화면에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무선 전송하는 단계는 NDI(Network Digital Interface) 기반의 네트워크 멀티캐스트를 사용하여 상기 다수의 서브 영상 데이터를 상기 영상 컨트롤러들로 무선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동기화 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영상 컨트롤러들로 출력하는 단계는,
    상기 동기화부의 측정부에 의해, 상기 표시 화면들에 표시되는 상기 다수의 서브 영상 데이터의 표시 시각들을 측정하는 단계;
    상기 동기화부의 출력부에 의해, 상기 측정부에 의해 측정된 표시 시각들을 기반으로 상기 영상 컨트롤러들로 상기 동기화 신호를 출력하는 단계; 및
    상기 동기화부의 전송 제어부에 의해, 상기 표시 시각들을 기반으로 상기 다수의 서브 영상 데이터의 전송 시점을 조절하도록 상기 무선 전송부를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다중제어 디스플레이 방법.
  10. 삭제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서브 디스플레이 유닛은 3차원 적층되는 다수의 큐브형 디스플레이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다수의 표시 화면을 선택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 입력에 따라 상기 다수의 큐브형 디스플레이 유닛의 외부에 노출된 표시 화면들 중에서 상기 다수의 표시 화면을 선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다중제어 디스플레이 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표시 화면을 선택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 입력에 따라 상기 다수의 큐브형 디스플레이 유닛의 외부에 노출된 각 표시 화면을 활성화 상태 또는 비활성화 상태로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다중제어 디스플레이 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활성화 상태로 설정된 표시 화면들에 대응되는 상기 영상 컨트롤러들로 상기 다수의 서브 영상 데이터를 무선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다중제어 디스플레이 방법.
  14. 삭제
  15. 삭제
  16. 제9항, 제11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다중제어 디스플레이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KR1020190121008A 2019-09-30 2019-09-30 다중제어 디스플레이 시스템 및 다중제어 디스플레이 방법 KR10212127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21008A KR102121272B1 (ko) 2019-09-30 2019-09-30 다중제어 디스플레이 시스템 및 다중제어 디스플레이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21008A KR102121272B1 (ko) 2019-09-30 2019-09-30 다중제어 디스플레이 시스템 및 다중제어 디스플레이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21272B1 true KR102121272B1 (ko) 2020-06-11

Family

ID=710706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21008A KR102121272B1 (ko) 2019-09-30 2019-09-30 다중제어 디스플레이 시스템 및 다중제어 디스플레이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21272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147511A1 (en) * 2020-12-31 2022-07-07 Cubios, Inc. Graphic user interface using kinematic inputs on transformable display device
WO2022164177A1 (ko) * 2021-01-29 2022-08-04 삼성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모듈 및 디스플레이 모듈의 제어 신호 전송 방법
CN115002525A (zh) * 2022-05-20 2022-09-02 宁波视睿迪光电有限公司 显示装置及显示装置的控制方法
KR20220153211A (ko) * 2021-05-11 2022-11-18 주식회사 애즈원 무선 멀티 패널 전광판 서비스 제공 방법 및 그를 위한 장치 및 시스템
US11594173B1 (en) 2020-12-21 2023-02-28 Cirrus Systems, Inc. Modular display system with wireless mesh networking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20050613A1 (en) * 2010-08-31 2012-03-01 Canon Kabushiki Kaisha Method of synchronization, corresponding system and device
KR20150057421A (ko) * 2013-11-19 2015-05-28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다중화면 디스플레이 시스템 및 이를 위한 영상신호 보정방법
KR101616439B1 (ko) * 2010-01-20 2016-04-29 엘지전자 주식회사 멀티디스플레이 장치, 전자 기기 및 멀티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
KR20160082368A (ko) * 2014-12-26 2016-07-08 전자부품연구원 네트워크 기반 멀티 디스플레이에서 콘텐츠 간 동기화 방법 및 시스템
KR101732306B1 (ko) * 2015-03-18 2017-05-02 가부시키가이샤 야스카와덴키 스크린 장치, 화상 표시 시스템, 화상 표시 방법
KR20170046989A (ko) * 2015-10-22 2017-05-04 삼성전자주식회사 다중 디스플레이 시스템을 구성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101960541B1 (ko) * 2018-11-16 2019-03-21 주식회사 이노벡스 멀티 디스플레이 시스템 및 방법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16439B1 (ko) * 2010-01-20 2016-04-29 엘지전자 주식회사 멀티디스플레이 장치, 전자 기기 및 멀티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
US20120050613A1 (en) * 2010-08-31 2012-03-01 Canon Kabushiki Kaisha Method of synchronization, corresponding system and device
KR20150057421A (ko) * 2013-11-19 2015-05-28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다중화면 디스플레이 시스템 및 이를 위한 영상신호 보정방법
KR20160082368A (ko) * 2014-12-26 2016-07-08 전자부품연구원 네트워크 기반 멀티 디스플레이에서 콘텐츠 간 동기화 방법 및 시스템
KR101732306B1 (ko) * 2015-03-18 2017-05-02 가부시키가이샤 야스카와덴키 스크린 장치, 화상 표시 시스템, 화상 표시 방법
KR20170046989A (ko) * 2015-10-22 2017-05-04 삼성전자주식회사 다중 디스플레이 시스템을 구성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101960541B1 (ko) * 2018-11-16 2019-03-21 주식회사 이노벡스 멀티 디스플레이 시스템 및 방법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594173B1 (en) 2020-12-21 2023-02-28 Cirrus Systems, Inc. Modular display system with wireless mesh networking
WO2022147511A1 (en) * 2020-12-31 2022-07-07 Cubios, Inc. Graphic user interface using kinematic inputs on transformable display device
WO2022164177A1 (ko) * 2021-01-29 2022-08-04 삼성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모듈 및 디스플레이 모듈의 제어 신호 전송 방법
KR20220153211A (ko) * 2021-05-11 2022-11-18 주식회사 애즈원 무선 멀티 패널 전광판 서비스 제공 방법 및 그를 위한 장치 및 시스템
KR102540649B1 (ko) * 2021-05-11 2023-06-07 주식회사 애즈원 무선 멀티 패널 전광판 서비스 제공 방법 및 그를 위한 장치 및 시스템
CN115002525A (zh) * 2022-05-20 2022-09-02 宁波视睿迪光电有限公司 显示装置及显示装置的控制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21272B1 (ko) 다중제어 디스플레이 시스템 및 다중제어 디스플레이 방법
KR102142643B1 (ko) 3차원 텔레프레즌스 시스템
US9830884B2 (en) Multi-display device, display system including the same and display method thereof
CN104216671B (zh) 一种在多套拼接显示屏上实现同步协同显示的方法
US10623609B1 (en) Virtual video environment display systems
KR102229927B1 (ko) 멀티스크린 시스템, 영상분할서버 및 그 영상분할방법, 분할영상단말기 및 멀티스크린 제어방법
US20140062974A1 (en) Synchronous media display through automatic hardware profiles across multiple display units
CN103856770A (zh) 用于3d显示装置的同步的方法和设备
CN110609668B (zh) 电子设备和用于控制该电子设备的方法
US10129500B2 (en) Multi-display apparatus
US20200371736A1 (en) Wireless Content Delivery for a Tiled LED Display
CN105684066A (zh) 多视觉及其控制方法
JP2017072644A (ja) 表示制御装置
TW202019149A (zh) 影像控制裝置以及使用該裝置之電視牆系統與輸出影像至電視牆的控制方法
US20120154559A1 (en) Generate Media
KR101085554B1 (ko) 초고화질 영상을 위한 실시간 입출력 모듈 시스템
US20170301128A1 (en) System for synchronizing 3d image multiple screens in real-time
US20130194399A1 (en) Synchronization of shutter signals for multiple 3d displays/devices
TW201828040A (zh) 同步控制多個顯示器的方法
KR101513413B1 (ko) 안드로이드 기반 uhd 매트릭스 영상 배열 장치
CN101916556A (zh) 立体拼屏显示系统及方法
CN106484355A (zh) 一种led屏幕一屏多模显示方法及系统
KR101960541B1 (ko) 멀티 디스플레이 시스템 및 방법
CN105549931B (zh) Usb视频拼接播放系统
JP2017016041A (ja) 静止画送受信同期再生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