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97721A - 무선통신을 이용한 엘이디 광고판 제어 시스템 - Google Patents

무선통신을 이용한 엘이디 광고판 제어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97721A
KR20120097721A KR1020110017102A KR20110017102A KR20120097721A KR 20120097721 A KR20120097721 A KR 20120097721A KR 1020110017102 A KR1020110017102 A KR 1020110017102A KR 20110017102 A KR20110017102 A KR 20110017102A KR 20120097721 A KR20120097721 A KR 2012009772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d
wireless
billboard
advertisement
led billboar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171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동신
신상갑
Original Assignee
이동신
신상갑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동신, 신상갑 filed Critical 이동신
Priority to KR10201100171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20097721A/ko
Publication of KR201200977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9772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CTRANSMISSION SYSTEMS FOR MEASURED VALUES, CONTROL OR SIMILAR SIGNALS
    • G08C23/00Non-electrical signal transmission systems, e.g. optical systems
    • G08C23/04Non-electrical signal transmission systems, e.g. optical systems using light waves, e.g. infrared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9/0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 G09F9/3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 G09F9/33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being semiconductor devices, e.g. diod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9/0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for selectively calling a substation from a main station, in which substation desired apparatus is selected for applying a control signal thereto or for obtaining measured values therefro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2209/0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 H04Q2209/4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using a wireless architectur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Control Of El Displays (AREA)
  • Control Of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 Ray Tubes (AREA)
  • Controls And Circuits For Display Devi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LED 광고판 제어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그 구성은 LED 광고판, 무선 입력장치, 무선수신모듈, 전자태그, 사용자단말 및 운영서버로 구성된 LED 광고판 제어 시스템에 있어서, LED 패널상에 사용자가 무선입력장치를 이용하여 입력한 광고문구, 광고영상 등의 광고물을 표시하는 LED 광고판, 무선입력장치는 사용자가 상기 LED 광고판에 표시할 광고문구, 영상물 및 구동시간, 변환조건을 입력하여 무선수신모듈로 전송하여 LED 광고판에 해당 광고물이 표시되도록 입력하는 무선입력장치와, 상기 LED 광고판의 일측에 구성되어 상기 무선입력장치를 통해 입력되는 광고문구, 광고영상의 광고물을 수신하는 것으로, 상기 무선입력장치와 RF통신을 통해 해당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무선수신모듈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해, 입력장치의 RF 통신을 이용하여 LED 광고판에 광고문구 및 영상물을 전송하여 사용자가 거리적 제약에 광고문구 등의 수정 및 문제점을 신속히 해결할 수 있도록 하고, LED 패널의 난반사를 통한 LED 광고판의 휘도가 떨어지는 문제, LED 광고판을 구성하는 LED 픽셀의 휘도값을 보정함으로 LED 광고판의 데이터 입력 및 통신상의 제약을 극복할 수 있고 LED 광고판의 현재상황을 원격지에서도 실시간으로 감시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무선통신을 이용한 엘이디 광고판 제어 시스템{Management System Of LED Advertising Device using wireless communnication}
본 발명은 LED 광고판 제어 기술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입력장치의 RF 통신을 이용하여 LED 광고판에 광고문구 및 영상물을 전송하여 사용자가 거리적 제약에 광고문구 등의 수정 및 문제점을 신속히 해결할 수 있는 무선통신을 이용한 LED 광고판 제어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광고판 또는 전광게시판은 각종 정보를 가시적인 정지 또는 동영상상태로 표시하기 위한 시스템이다. 이러한 광고판은 광고상업용, 경기장용, 멀티비전용, 교통신호용, 정보 및 메시지 전달용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고, 적용되는 용도나 대상 또는 위치에 따라 그 크기 및 적용 시스템이 각각 달라질 수 있다.
상기 광고상업용은 실내 또는 실외에 사용되거나 컬러 또는 듀얼 컬러용이 주로 사용되고, 경기장용은 메인 스타디움이나 경마장, 축구장, 야구장 또는 수영장 등에 적용되며, 멀티비전용은 회의장, 소극장, 경마중계 또는 차량탑재용 등에 사용되며, 교통신호용은 승강장, 개찰구, 대합실 및 통로 등을 갖는 철도용이나 시내도로, 고속도로 또는 유도램프 등이 포함된 도로용에 사용된다.
또한, 정보 및 메시지 전달용은 주가시세판이나 주식상황판 등의 증권시장용, 도착이나 출발을 알리는 공항용, 환경오염상태를 나타내는 환경정보용에 사용된다.
이러한 광고판의 디스플레이용으로 사용되는 수단이나 소자로 초기에는 전구가 널리 사용되었고, 그 후에 전구의 사용전력량을 감안하여 형광등을 주로 사용하였다.
그러나 전구나 형광등과 같은 수단의 경우에는 그 크기를 줄이는데 한계가 있고 영상을 표시하기에 부적합하여, 근래에는 CRT(음극선관)나 FDT 등이 사용되었으나, CRT나 FDT의 대형화에 대한 한계로 최근에는 대부분이 LED로 소자가 변경 및 전환되어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LED 스크린 즉, LED 광고판은 대형에서 중소형으로, 저화질에서 고화질로, 광고위주에서 정보전달용으로 그리고 차량의 소통이 많은 교차로 등에서 유동인구가 많은 광장 등에 대부분 설치가 되고 있다.
상기 LED 광고판의 수명은 하루 6시간을 사용하는 것을 기준으로 하면 70,000시간 이상이고, 밝기는 2,000cd/cm 2이며, LED의 간극을 62.5m/m정도로 구성하여 디지털 방식으로 영상의 구현이 용이하다.
상기 LED 광고판은 수많은 LED가 배열되고, 이러한 LED는 빛의 3원색인 적색(R), 녹색(G), 및 청색(B)이 한 조로 배열되며, 발광되는 LED의 조합에 의해 수많은 컬러를 구현함으로써 컬러의 동영상을 디스플레이하게 된다.
한편, LED 광고판은 다수의 LED를 매트릭스 형태로 배열(column)하고, 매트릭스 형태로 배열(column)된 다수의 LED가 이미지를 표시하기 위한 픽셀을 형성함으로써, 영상의 표시가 가능하게 되는데, LED 광고판을 형성하는 기초 프레임인 LED 패널에는 실리콘 재질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며, LED 패널에 형성된 실리콘 재질에 의해 LED소자에서 조사된 빛에 대한 난반사가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즉, LED 패널의 각각 끝 부분이 실리콘에 형성된 실리콘 재질 때문에, LED 패널은 플랫(Flat)하게 구성되다가 각 끝단은 위로 올라오게 될 수밖에 없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LED 패널을 다수 개로 연결시 햇빛에 의해 실리콘의 실리콘 재질의 특성상 난반사가 발생하고, 연결된 부분이 블랙(black) 색상으로 표시되어 휘도를 떨어뜨리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LED 광고판을 구성하는 LED는 LED 픽셀의 휘도값을 일정하게 유지시키지는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이는 LED 광고판을 구성하는 개별 LED 픽셀의 휘도값이 일정하지 않을 경우 이에 의해 제작된 LED 광고판은 얼룩진 영상을 구현하게 되므로 종래에는 LED 픽셀을 불규칙하게 배열하여 인위적인 혼색효과를 형성하거나 모듈 단위로 밝기를 조정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LED 광고판을 제작하는 과정에서 개별 LED 픽셀의 휘도값을 보정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방법으로 LED 광고판을 제작하는 경우 LED 픽셀단위의 휘도차이를 조금이나마 극복할 수 있으나, LED 광고판을 구성하는 모든 LED 픽셀의 휘도값을 측정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또한, 상업용으로 사용되는 LED 광고판의 경우 광고판의 일측에 구성된 무선수신모듈에 광고물 입력장치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필요한 광고문구 또는 영상물을 입력하게 되는데, 이때 입력장치와 무선수신모듈)간 통신은 적외선(IR) 신호로 통신을 하게 된다.
적외선(IR)신호의 경우, 근거리에 있을 경우 편리하게 입력할 수 있는 장점은 있지만, LED 광고판과 입력장치간 거리가 일정거리 이상 떨어지면 데이터 입력 및 수신상의 제약이 있는 것이 현실이다.
따라서, 본원발명은 LED 패널의 난반사를 통한 LED 광고판의 휘도가 떨어지는 문제, LED 광고판을 구성하는 LED 픽셀의 휘도값을 보정하고, LED 광고판의 데이터 입력 및 통신상의 제약을 극복하고, 원격에서 LED 광고판의 장애발생시 신속하게 조치할 수 있는 제반적인 사항을 제안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입력장치의 RF 통신을 이용하여 LED 광고판에 광고문구 및 영상물을 전송하여 사용자가 거리적 제약에 광고문구 등의 수정 및 문제점을 신속히 해결할 수 있도록 하고, LED 패널의 난반사를 통한 LED 광고판의 휘도가 떨어지는 문제, LED 광고판을 구성하는 LED 픽셀의 휘도값을 보정함으로 LED 광고판의 데이터 입력 및 통신상의 제약을 극복할 수 있고 LED 광고판의 현재상황을 원격지에서도 실시간으로 감시할 수 있는 무선통신을 이용한 LED 광고판 제어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광고물 일측에 구성된 전자태그에 무선 통신방식이 가능한 송수신모듈을 구비하여 운영자 단말과 전자태그 사이에 쌍방향 통신이 가능하여 LED 광고판의 장애 발생 여부를 전자태그로 인지할 수 있어 해당 광고물 정보를 운영자 단말로 송신할 수 있고, 운영자 단말에서 전송되는 정보를 전자태그에서 수신하여 해당 정보를 업데이터할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실시간 장애를 해소할 수 있는 무선통신을 이용한 LED 광고판 제어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무선 통신을 통해 기존의 통신 기능에 네트웍 기능을 구현할 수 있어 실시간 또는 주기적인 모니터링, 무선 모듈내에 인식기능을 제공하여 각 광고물의 특성, 상태를 구분하여 정형화된 관리체계가 가능하고 사용자 및 운영자의 선택에 따라 용도를 다양하게 변형할 수 있는 무선통신을 이용한 LED 광고판 제어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목적들은 상기에 언급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LED 광고판, 무선 입력장치, 무선수신모듈, 전자태그, 사용자단말 및 운영서버로 구성된 LED 광고판 제어 시스템에 있어서, LED 패널상에 사용자가 무선입력장치(120)을 이용하여 입력한 광고문구, 광고영상 등의 광고물을 표시하는 LED 광고판, 무선입력장치(120)는 사용자가 상기 LED 광고판(100)에 표시할 광고문구, 영상물 및 구동시간, 변환조건을 입력하여 무선수신모듈로 전송하여 LED 광고판에 해당 광고물이 표시되도록 입력하는 무선입력장치와, 상기 LED 광고판의 일측에 구성되어 상기 무선입력장치를 통해 입력되는 광고문구, 광고영상의 광고물을 수신하는 것으로, 상기 무선입력장치와 RF통신을 통해 해당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무선수신모듈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무선통신을 이용한 LED 광고판 제어 시스템을 제공한다.
이때, 본 발명의 부가적인 특징에 따르면, 상기 LED 광고판의 난반사를 방지하기 위해 상기 패널케이스는 다수의 LED 소자가 균일 간격으로 매트릭스(Matrix) 형태의 행(RAW)과 열(column)로 장착되고, 다수의 LED소자가 형성된 구역을 제외하고는 실리콘에 의해 외부면이 한층 적층되어 형성된 LED 패널 케이스에 다수의 LED소자가 균일 간격으로 매트릭스(Matrix) 형태의 행(RAW)과 열(column)로 장착된 LED 패널; 실리콘이 형성된 LED 패널의 상부로 우레탄 재질의 검정색 필터로 LED소자의 개수만큼 LED 소자의 구성에 따라 타공되어 적층되는 난반사 패드; 및 상기 난반사 패드와 동일하게 상기 LED소자의 개수만큼 타공되며, 상기 LED소자가 이루는 각 행(RAW)의 상단부에 햇빛에 의해 상기 LED소자의 행(RAW)에서 조사되는 빛의 밝기를 보다 밝게 보이기 위한 차단막인 선캡이 형성되어 상기 난반사 패드 상부에 적층되는 선섀이드(sunshade);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LED 광고판은 상기 LED 광고판의 온도를 감지하는 상기 온도센서감지부, 상기 LED 광고판에 공급되는 전류값과 LED 광고판을 구동시키기 위해 전송되는 데이터 전송량을 감지하는 전류센서 감지부 및 상기 LED 광고판에 LED 픽셀의 작동여부를 감지하는 LED 픽셀 단선 감지부를 포함하는 감지부를 통해 각 LED 픽셀을 구동시켜 LED 휘도를 보정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부가적인 특징에 따르면, 상기 무선입력장치는 LED 광고판의 무선수신모듈과 자외선(IR) 및 RF 방식을 혼용하여 사용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의한 무선통신을 이용한 LED 광고판 제어 시스템 LED 광고판과 광고문구 및 영상물을 입력 및 전송하는 입력장치간에 RF 통신을 이용함으로 사용자의 거리적 제약없이 광고문구 등의 수정 및 문제점을 신속히 해결할 수 있도록 하고, LED 패널의 난반사를 통한 LED 광고판의 휘도가 떨어지는 문제, LED 광고판을 구성하는 LED 픽셀의 휘도값을 보정함으로 LED 광고판의 데이터 입력 및 통신상의 제약을 극복할 수 있고 LED 광고판의 현재상황을 원격지에서도 실시간으로 감시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LED 광고판 일측에 운영자 단말과 전자태그 사이에 쌍방향 통신이 가능한 전자태그를 구성하여 LED 광고판의 장애 발생 여부를 전자태그로 인지할 수 있어 해당 광고물 정보를 운영자 단말로 송신할 수 있고, 운영자 단말에서 전송되는 정보를 전자태그에서 수신하여 해당 정보를 업데이터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실시간 LED 광고판의 장애를 해소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무선 통신을 네트웍 기능에 구현할 수 있어 실시간 또는 주기적인 모니터링, 무선 모듈내에 인식기능을 제공하여 각 LED 광고판의 특성, 상태를 구분하여 정형화된 관리체계가 가능하고 사용자 및 운영자의 선택에 따라 용도를 다양하게 변형할 수 있다.
또한, LED 광고판의 LED 패널상에 우레탄 재질의 난반사 패드로 LED 패널의 상면에 LED소자들만 도출되도록 하며, 우레탄 재질의 난반사 패드를 검정색 필터로 사용함으로써, 전자판 차단 및 내구성을 증가할 수 있다.
뿐만아니라, 본 발명은 LED 광고판을 촬영하고 이 이미지를 분석한 후 그 결과에 따라 LED 광고판을 구성하는 개별 LED 픽셀의 점멸시간을 조절하여 LED 픽셀의 휘도값을 보정함으로써 적은 비용으로도 제작자가 원하는 고화질의 영상을 얻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무선통신을 이용한 LED 광고판 제어 시스템의 LED 광고판과 입력장치간 RF 신호 입력상태를 도시한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로서 무선통신을 이용한 LED 광고판 제어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시스템 구성도
도 3은 도 2에 따른 LED 광고판 패널에 난반사 방지를 위한 LED 광고판의 분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무선 통신모듈의 LED 광고판의 휘도를 보정하는 LED 픽셀의 블록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무선통신이 구성된 전자태그의 세부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로서 무선통신 태그와 연동하는 운영자 단말의 세부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
도 7은 무선통신 모듈 구성된 전자태그와 연동하는 운영서버의 세부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의 상세한 설명은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할 것이다.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는 어느 하나의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로 데이터 또는 신호를 '전송'하는 경우에는 구성요소는 다른 구성요소로 직접 상기 데이터 또는 신호를 전송할 수 있고, 적어도 하나의 또 다른 구성요소를 통하여 데이터 또는 신호를 다른 구성요소로 전송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무선통신을 이용한 LED 광고판 제어 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무선통신을 이용한 LED 광고판 제어 시스템은 LED 광고판(100), 무선수신모듈(110), 무선수신 전자태그(200) 및 무선 입력장치(120)을 포함한다.
LED 광고판(100)는 본 발명에 따른 무선통신을 이용한 LED 광고판의 관리를 위해 LED 패널상에 사용자가 무선 입력장치(120)을 이용하여 입력한 광고문구, 광고영상 등의 광고물을 표시하거나, LED 광고판(100)의 장애시 하기에 기술될 운용자단말, 운영서버로 해당 정보를 송출하는 등 LED 광고에 따른 제반적인 동작을 표시하는 유닛이다.
무선입력장치(120)는 사용자가 상기 LED 광고판(100)에 표시할 광고문구, 영상물 및 구동시간, 변환조건 등을 입력하여 상기 무선수신모듈(110)로 전송하여 LED 광고판에 해당 광고물이 게진되도록 하는 유닛이다(이하, '리모콘'이라 칭함).
한편, 상기 LED 광고판(100)에 구동될 광고문구, 광고영상의 광고물은 상기 무선입력장치(120)을 통해 입력하거나, 하기에 기술될 LED 광고판(100)의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운영자 단말(300) 또는 운영서버(400)를 통해 해당 광고물을 입력할 수도 있다.
무선수신모듈(110)는 LED 광고판(100)의 일측에 구성되어 상기 리모콘(120)을 통해 입력되는 광고문구, 광고영상 등의 광고물을 수신하는 것으로서, 상기 리모콘(120)과 무선수신모듈(110)는 RF통신을 이용하여 해당 데이터를 송수신하도록 구성된다.
무선수신 전자태그(200)는 본 발명에 따른 무선통신을 이용한 LED 광고판 제어를 위해 상기 리모콘(120)을 통해 사용자가 입력한 광고물의 동작상태 및 LED 광고판(100)의 손상, 장애 발생시 신속하게 조치하기 위해 하기에 기술될 운영자단말(300) 또는 운영서버(400)로 해당 정보를 송출하게 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로서 무선통신을 이용한 LED 광고판 제어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시스템 구성도로서, 무선통신 전자태그(200)를 통해 LED 광고판(100)의 장애, 현 상태 등을 관리하는 시스템 LED 광고판(100), 무선수신모듈(110), 무선 입력장치(120), 전자태그(200), 운영자단말(300), 통신망 및 운영서버(400)을 포함한다.
이는 상기에서 제시된 상기 LED 광고판(100), 무선수신모듈(110), 무선입력장치(120)와, 무선모듈이 구성된 무선통신 전자태그(200)와 상기 전자태그(200)로부터 무선으로 전송된 신호를 인식하여 상기 LED 광고판(100)에 게진된 광고물의 정보를 열람하는 운영자 단말(300) 및 광고물 허가시 상기 전자태그(200)의 이력정보, 상태정보 및 동작상태를 확인하기 위해 광고물 정보를 데이터베이스화 하거나 상기 전자태그(200)의 인증번호, 고유ID를 발급하여 관리하는 운영서버(400)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운영자단말(300)과 운영서버(400)간은 통신망을 통해 연결되는데, 통신망은 대용량, 장거리 음성 및 데이터 서비스가 가능한 대형 통신망의 고속 기간 망인 통신망이며, 인터넷(Internet) 또는 고속의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차세대 유선 및 무선 망일 수 있다. 통신망이 이동통신망일 경우 동기식 이동 통신망일 수도 있고, 비동기식 이동 통신망일 수도 있다. 비동기식 이동 통신망의 일 실시 예로서, WCDMA(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방식의 통신망을 들 수 있다. 이 경우 도면에 도시되진 않았지만, 이동통신망은 RNC(Radio Network Controller)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WCDMA망을 일 예로 들었지만, 3G LTE망, 4G망 등 차세대 통신망, 그 밖의 IP를 기반으로 한 IP망일 수 있다. 이동통신망은 동기식 이동 통신망일 수도 있고, 비동기식 이동 통신망일 수도 있다. 비동기식 이동 통신망의 일 실시 예로서, WCDMA(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방식의 통신망을 들 수 있다. 이 경우 도면에 도시되진 않았지만, 이동통신망은 RNC(Radio Network Controller), 및 비동기식 MSC(Mobile Switching Center)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WCDMA망을 일 예로 들었지만, 3G LTE망, 4G망 등 차세대 이동통신망으로 변경될 수 있음은 주지의 사실이다. 통신망은 운영자단말(300)과 운영서버(400) 그 밖의 시스템 상호 간의 신호 및 데이터를 상호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첨부된 도 3은 도 2에 따른 LED 광고판 패널에 난반사 방지를 위한 LED 광고판의 분해 사시도로서, 상기 LED 광고판(100)은 다수개의 LED 패널이 연결되어 구성될 수 있다. LED 패널은 자외선에 의해 난반사 발생하여 LED 광고판(100)의 광고문구 또는 광고영상이 식별이 되지 않는 경우가 있다. 이를 극복하기 위해 LED 패널에 난반사를 방지하는 구성을 부가할 수 있다.
난반사 방지를 위한 구성에는 패널케이스(130), LED 소자(140)와 실리콘(150)로 구성된 LED 패널과 LED 패널에 적층되는 난반사 패드(160)와 난반사 패드 상부에 적층되는 선섀도우(170)로 구성된다.
상기 패널케이스(130)는 다수의 LED 소자(140)가 균일 간격으로 매트릭스(Matrix) 형태의 행(RAW)과 열(column)로 장착되고, 다수의 LED소자(140)가 형성된 구역을 제외하고는 실리콘(150)에 의해 외부면이 한층 적층되어 형성된다.
LED 패널에 형성된 실리콘(150)에 형성된 실리콘 재질에 의해 LED 소자(140)에서 조사된 빛에 대한 난반사가 발생하는데, 난반사를 방지하기 위해 실리콘(150)이 형성된 LED 패널의 상부로 우레탄 재질의 검정색 필터로 LED소자(140)의 개수만큼 LED 소자의 구성에 따라 타공된 난반사 패드(160)가 적층된다. 이후, 난반사 패드(160)가 적층된 뒤, 햇빛을 차단하기 위한 선섀이드(sunshade, 170)가 적층되는데, 이때, 선섀이드(170)도 난반사 패드(160)와 동일하게 LED소자의 개수만큼 LED 소자의 구성에 따라 타공되어 LED소자(140)가 이루는 각 행(RAW)의 상단부에 햇빛에 의해 LED소자(140)의 행(RAW)에서 조사되는 빛의 밝기를 보다 밝게 보이기 위한 차단막인 선캡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LED 광고판(100)는 LED 광고판(100)의 휘도를 보정할 수 있는데, 이는 도 4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무선 통신모듈의 LED 광고판의 휘도를 보정하는 LED 픽셀의 블록도로서 그 구성은 하기에 기술될 LED 광고판 구동부(250)에 의해 상기 LED 광고판(100)을 구성하는 각 LED 픽셀을 구동시켜 광고문구 또는 광고영상을 구현하는 LED 픽셀 구동부(190)를 통해 원격지에서 실시간으로 구비한 LED 광고판(100)을 감시제어할 수 있는데, 이때, LED 광고판(100) 내부에 구성된 감지부(180)을 통해 LED 패널의 상태를 감지하여 하기에 기술될 운영자 단말(300) 및 운영서버(400)로 해당 상태 정보를 전송하여 원격지에서 LED 광고판(100)을 감시제어할 수 있다. 상기 LED 광고판(100)의 감지부(180)는 온도센서감지부(181), 전류센서감지부(183), LED 픽셀단선 감지부(185)로 구성된다.
상기 온도센서감지부(181)는 상기 LED 광고판(100)의 온도를 감지하며, 전류센서 감지부(183)는 상기 LED 광고판(100)에 공급되는 전류값과 LED 광고판(100)을 구동시키기 위해 전송되는 데이터 전송량을 감지하고, LED 픽셀 단선 감지부(185)는 상기 LED 광고판(100)을 구성하는 LED 픽셀의 작동여부를 감지한다. 상기 감지부(181)(183)(185)로부터 공급되는 데이터를 분석하여 상기 LED 광고판(100)의 현재 상황을 판단하고, 이를 무선통신 전자태그(200)을 통해 상기 운영자단말(300) 및 운영서버(400)로 전송하여 원격지에서 LED 광고판을 원격지에서 실시간으로 감시, 제어할 수 있다.
첨부된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무선통신을 이용한 LED 광고판 제어 시스템의 무선통신 전자태그(200)의 세부구성을 도시한 것으로 무선통신 전자태그(200)는 상기 운영자 단말(300) 및 상기 운영서버(400)에 광고문구 또는 광고영상의 광고물에 대한 상태정보, 이력정보 또는 장애정보를 송출하거나 상기 운영자 단말(300) 및 운영서버(400)에서 전송되는 광고물 게재 수정정보, 이력정보를 수신하여 입력신호에 따라 광고물에 게제되거나 변경할 수 있는데, 그 세부구성과 LED 광고판(100)의 동작상태를 살펴보면, 참조번호 210은 제 1 제어부로서, 상기 무선통신 전자태그(200)의 데이터 송수신, 에러상태 전송, 전원상태 관리, 전송된 데이터의 수신, 수신된 데이터의 상태 표시, 옥외광고판에 광고물을 출력하는 등 무선통신 전자태그(2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참조번호 220은 메모리부로서, 상기 제 1 제어부(210)의 제어신호에 따라, 무선수신 전자태그(200)의 고유의 식별코드, ID가 부여되고 LED 광고판에 게재될 문자, 영상광고물의 정보에 따라 지역별, 기간별, 업종별, 크기별로 인식정보가 저장되고, 무선수신 전자태그(200)의 전원 구동정보, 에러상태 정보, 전자태그의 구동시 상태 전송 주기정보가 저장되고, 상기 운영자 단말(300) 또는 운영서버(400)에서 전송된 데이터를 저장하게 되다.
또한, 참조번호 230은 무선 송수신모듈로서, 상기 메모리부(220)에 설정된 해당 정보를 상기 제 1 제어부(210)의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운영자 단말(300) 또는 운영서버(400)와 실시간 또는 주기적으로 네트워킹하여 일정주기에 따라 전자태그의 상태를 상기 운영자 단말(300) 또는 운영서버(400)로 송신하거나 운영자 단말(300)의 요청신호에 따라 필요정보 또는 상태정보를 무선전송하거나, 상기 운영서버(400)의 요청신호에 따라 필요정보 또는 상태정보를 송출하거나, 상기 운영서버(400) 또는 운영자 단말에서 전송된 광고물에 게재될 변경사항 등을 수신하고, 240은 상기 제 1 제어부(210)의 제어신호에 따라 반응하여 상기 무선(Zigbee) 송수신모듈(230)의 동작에 따라 상기 운영자 단말(300) 또는 상기 운영서버(400)에서 전송되는 광고물 구성 및 변경정보, 업데이터 정보 등을 수신하여 표시하는 데이터 표시부(240)를 나타낸다.
참조번호 250은 LED 구동부로서, 상기 제 1 제어부(210)의 제어신호에 따라 반응하여 상기 무선 송수신모듈(230)과 운영자 단말(300) 또는 운영서버(400)간 네트워킹에 따라 수신된 변경 정보에 따라 해당 정보를 옥외광고판 또는 광고물로 데이터를 전송하고, 260은 상기 제 1 제어부(210)의 제어신호에 따라 반응하여 상기 운영자 단말(300) 또는 상기 운영서버(400)에서 옥외광고판 또는 광고물의 휘도 변경정보가 상기 무선수신 전자태그(200)의 무선 송수신모듈(230)을 통해 전송되면, 해당 입력신호에 따라 광고물의 밝기 여부의 휘도를 조절하는 휘도조절부(260)를 나타낸다.
참조번호 170은 상태표시부로서, 상기 제 1 제어부(210)의 제어신호에 따라 반응하며 상기 메모리부(220)의 상태정보, 상기 무선 송수신모듈(230)과 상기 운영자 단말(300) 및 상기 데이터 표시부(140)를 통해 수신되는 상태정보, 상기 LED 광고판 구동부(250)에서 옥외광고판 또는 광고물로 전송되는 상태정보, 상기 휘도조절부(160)의 휘도정보, 상기 전자태그에 인가되는 전원상태 또는 전자태그의 에러상태 등을 표시하게 된다.
한편, 상기의 제 1 제어부(210)은 상기 LED 광고판 구동부(250)에 의해 상기 LED 광고판(100)을 구성하는 각 LED 픽셀을 구동시켜 상기 감지부, 즉 온도센서감지부(181), 전류센서 감지부(183), LED 픽셀단선 감지부(185)의 감지된 신호에 따라 LED 광고판에 게진될 광고문구, 광고영상을 영상을 구현하는 LED 픽셀 구동부(190)를 구비하여 원격지에서 LED 광고판을 실시간으로 감시제어할 수 있다.
한편, 첨부된 도 6은 도 5의 무선수신 전자태그(200)와 무선으로 연동하여 상기 전자태그(210)와 무선통신을 통해 전자태그(200)의 상태정보, 광고물의 상태를 확인하거나 이력을 관리할 수 있는 운영자 단말(300)로서, 그 세부구성은 제 2 제어부(310), 무선송수신부(320), 메모리부(330), 입력부(340), 디스플레이부(350), 경고부(360) 및 인터넷송수신부(370)로 구성된다.
상기 제 2 제어부(310)는 상기 전자태그(200)의 구동 및 상태를 파악을 위해 전자태그(200)의 상태정보 수신, 필요 데이터 전송, 수신된 데이터의 상태표시 및 상기 운영서버(400)로 전자태그(200)에서 수신된 상태 정보를 전송하거나, 전자태그(200)에 수정 및 변경한 정보를 인터넷 또는 무선통신망을 전송하여 이력관리를 할 수 있도록 운영자 단말(3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고, 상기 제 2 제어부(310)의 제어신호에 따라서 반응하며, 상기 전자태그(200)의 무선 송수신 모듈(130)을 통해 전자태그(200)의 상태정보, 에러정보 등을 수신하거나 전자태그(200)의 동작, 수정 및 업데이터 정보에 대해 상기 운영자 단말(300)의 제어신호를 상기 무선 송수신모듈(230)로 전송하는 무선 송수신부(320)와,
상기 제 2 제어부(310)의 제어신호에 따라 반응하며, 상기 전자태그(200)의 이력정보, 상태정보, 메모리부(220)의 각 ID 정보 등이 저장되고, 각 무선 송수신부(320)을 통해 수신된 전자태그(200)의 제어에 필요한 정보가 저장되고, 하기에 기술될 입력부(340)을 통해 수정, 변경된 전자태그(200)의 전송 정보가 저장되거나, 운영서버(400)에서 전송된 전자태그(200)의 변경, 요청 또는 업데이터 정보를 저장하는 메모리부(330)와, 상기 제 2 제어부(310)의 제어신호에 반응하여 상기운영자 단말(300)의 전원(미도시)을 인가할 때 해당 상태를 표시하거나, 상기 제 2 제어부(310)의 제어신호에 따라 반응하며 상기 전자태그(200)에 전송된 상태정보를 표시하거나 하기에 기술될 입력부(340)의 입력신호의 해당 상태정보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350)와, 상기 제 2 제어부(310)의 제어신호에 반응하여 운영자 단말(300)에서 상기 전자태그(200)로 무선신호를 송신함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부(330)에 저장된 전자태그(200)의 상태정보, 이력정보, 휘도등의 운영정보를 수정, 변경하거나 전자태그(200)의 장애정보에 따라 장애 해소를 위해 설정된 다수개의 버튼으로 구성되어 상기 전자태그(200)의 수정, 변경 또는 업데이터의 필요정보에 대해 송신할 데이터를 입력하는 입력부(340)와, 상기 제 2 제어부(310)의 제어신호에 따라 반응하며 상기 전자태그(200)의 장애 발생시 상기 무선 송수신 모듈(130)을 통해 전송된 장애 상태정보를 수신하여 표시하거나 상기 운영서버(400)에서 전송되는 호출 및 상태정보를 표시하거나 운영서버(400)와 운영자 단말(300)의 인터넷 또는 무선 접속 여부를 표시하는 경고부(360)와, 상기 전자태그(200)에서 수신된 데이터를 상기 운영서버(400)로 전송하거나 상기 운영서버(400)에 상기 전자태그(200)의 운영 및 변경에 따른 정보를 수신하는 인터넷 송수신부(370)로 구성된다.
상기 경고부(360)는 상기 전자태그(200)의 장애 및 호출신호, 운영서버(400)의 호출 또는 접속 여부를 운영자에게 알려주기 위한 것으로, 발광신호에 의한 LED(281), 호출음을 내는 부저(283), 진동을 발생하는 진동발생수단(285)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단말기의 제조에 따라 기능의 삽입 여부를 결정할 수 있는 등 다양한 구성으로 제조될 수 있다.
상기 입력부(340)는 운영자 단말(300)에서 상기 전자태그(200)로 무선신호를 송신함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부(330)에 저장된 전자태그(200)의 상태정보, 이력정보, 휘도등의 운영정보 수정, 변경하거나 전자태그(200)의 장애정보에 따라 장애 해소를 위해 설정된 다수개의 버튼으로 제작될 수 있으며, 운영자가 입력하는 해당 버튼의 서비스 내용에 대해 상기 운영자 단말(300)에서 수신하여 상기 무선 송수신부(320)를 통해 상기 전자태그(200)로 전송하거나 상기 전자태그(200)로 전송된 수정, 변경, 장애해소 정보를 인터넷망 또는 무선통신망을 이용하여 상기 운영서버(400)로 전송하게 된다.
여기서, 운영자 단말(300)은 전자태그에 대한 리더기 역할을 담당하고, 휴대 인터넷 단말, 이동 통신 단말, PDA등 무선 통신 또는 무선 인터넷 접속이 가능한 단말은 무엇이나 전용단말로 이용될 수 있다.
상기 인터넷 송수신부(370)는 상기 운영서버(30)와 무선 통신망 또는 인터넷망을 통해 통신을 수행하고, 이를 통해 운영자의 광고물 단속 정보, 표지 광고물의 교체 또는 수리 정보 등을 운영서버(400)로 전송할 수 있으며, 운영서버(400)에서 저장된 광고물의 정보 또는 운영서버(400)에서 전자태그(200)의 단속, 교체, 수정된 정보를 전송받을 수 있다.
첨부된 도 7은 무선 통신모듈이 구성된 전자태그와 연동하는 운영서버의 세부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로서, 상기 운영서버(400)는 상기 광고물이 불법 광고물이거나 훼손 또는 교체가 필요한 표지 광고물인 경우 상기 운영자 단말(300)로부터 불법 광고물에 대한 단속정보, 표지 광고물에 대한 훼손 또는 교체, 수정등의 통지 정보를 수신하여 저장하거나, 상기 전자태그(200)와 무선 연동하여 전자태그(200)의 상태정보, 이력정보, 장애정보 등을 수신하거나, 광고물의 수정, 변경 등의 정보, 허가기간 갱신정보 등을 무선으로 상기 전자태그(200)로 전송하여 수정, 변경할 수 있다.
상기 운영서버(400)의 세부구성 및 동작을 살펴보면, 광고물의 정보, 허가기간 갱신정보, 교체/수리 정보, 전자태그(200)의 장애 정보에 따른 수정, 보완, 변경 및 운영자 단말(300)과의 정보교환등 광고물의 운영에 따른 운영서버(4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제 3 제어부(410)와, 상기 제 3 제어부(410)의 제어신호에 따라 반응하며 각 전자태그(200)내에 저장된 광고물의 세부정보, 허가기간 갱신정보, 광고물 단속 정보, 광고물의 교체/수리 정보, 전자태그(200)의 메모리부(220)의 식별정보, ID 정보와, 각 운영자 단말(300)의 상태정보, 일련정보등을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320)와, 상기 제 3 제어부(410)의 제어신호에 따라 반응하며, 상기 운영자 단말(300)의 인터넷 송수신부(370)와 접속 여부를 허용하며, 운영자 단말(300)의 접속에 대한 인증절차, 데이터 송수신 등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웹서버(430)와, 상기 제 3 제어부(410)의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전자태그(200)의 무선 송수신 모듈(130)과 무선으로 전자태그(200)의 상태정보, 이력정보, 장애정보를 수신하거나, 전자태그(200)에 수정, 변경될 광고물의 세부정보를 전송하는 무선송수신부(440)가 구성된다.
한편, 운영서버(400)의 상태표시부(450)는 상기 제 3 제어부(410)의 제어신호에 따라 동작하며, 상기 웹서버(430)을 통해 각 운영자 단말(300)의 동작여부, 장애상황 등이 표시되고, 또한, 상기 무선송수신부(440)을 통해 각 전자태그(200)의 장애여부, 구동여부가 표시된다.
이때, 상기 상태표시부(450)는 세부적으로 각 운영자 단말(300) 또는 전자태그(200)의 이력정보들을 모니터할 수 있고, 하기에 기술될 전자태그(200)의 정보수정에 따른 정보와 운영자 단말(100)에서 수신된 전자태그(200)의 정보수정, 장애내역이 표시된다.
또한, 상태출력부(470)는 상기 무선 송수신부(440)을 통해 수신되는 전자태그(200)의 장애상태가 발광신호에 의한 LED형태, 호출음을 내는 경고음형태로 상태가 출력되거나, 운영자 단말(300)에서 전송된 상기 전자태그(200)의 장애요소가 출력된다.
또한, 데이터 입력부(460)는 상기 무선 송수신부(440) 또는 운영자 단말(300)에서 수신된 전자태그(200)의 장애요소에 따라 해당 장애요소 해소를 위해 필요정보를 입력하거나, 광고물의 수정, 휘도조절, 변경정보를 입력하게 된다.
이때, 상기 데이터 입력부(460)에 입력된 해당 정보는 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310)의 제어신호에 상기 무선 송수신부(440)을 통해 전자태그(200)로 전송되거나, 상기 웹서버(430)을 통해 운영자 단말(300)의 해당 단말로 전송되게 된다.
상기 인터넷 송수신부(370)는 운영서버(400)와 무선 통신망 또는 인터넷망을 통해 통신을 수행하고, 이를 통해 운영자의 광고물 단속 정보, 표지 광고물의 교체 또는 수리 정보 등을 운영서버(400)로 전송할 수 있으며, 운영서버(400)에서 저장된 광고물의 정보 또는 운영서버(400)에서 전자태그(200)의 단속, 교체, 수정된 정보를 전송받을 수 있다.
상기의 구성에서 전자태그(200)의 메모리부(220)에 저장되어 설정된 월별, 주별, 일별 또는 시간대별 주기에 따라 주기적으로 상기 제 1 제어부(210)의 제어신호에 따라 무선 송수신모듈(230)을 통해 상기 운영자 단말(300)의 송수신 모듈(220) 또는 운영서버(400)의 무선송수신부(440)로 해당 전자태그(200)의 상태, 이력정보, 에러정보 등이 전송한다.
또한, 상기 운영자 단말(300)의 제 2 제어부(310)의 제어신호에 따라 상시 무선송수신부(220)을 통해 전자태그(200)의 무선 송수신모듈(230)로 전자태그(200)의 상태, 이력, 에러정보의 요청신호를 전송할 수 있고, 상기 운영서버(400)의 마이크로프로세(310)의 제어신호에 따라 무선송수신부(440)를 통해 전자태그(200)의 무선 송수신모듈(230)로 전자태그(200)의 상태, 이력, 에러정보의 요청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상기의 요청신호에 따라 상기 전자태그(200)의 무선 송수신모듈(230)은 해당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제어부(110)의 제어신호에 따라 전자태그(200)의 상태, 이력, 에러정보를 무선송수신부(220, 340)로 전송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전자태그(200)의 일정 주기별로 광고물에 부여된 상태, 이력 또는 에러정보를 상기 운영자 단말(300) 또는 운영서버(400)로 전송하거나, 운영자 단말(300) 또는 운영서버(400)의 요청신호에 따라 전자태그(200)의 부여된 광고물의 상태, 이력 또는 에러정보를 전송함으로써, 각 장치간 양방향 통신이 가능하여 광고물의 상태를 일정주기 또는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어 장애, 이력관리, 정보수정에 따른 신속한 조치 및 대응이 가능하다.
한편, 상기에서 운영자 단말(300)에서 상기 전자태그(200)로 정보 요청 또는 전자태그(200)에 전송된 정보를 상기 운영자 단말(300)의 인터넷송수신부(290)를 통해 상기 웹서버(430)로 전송하여 이중적으로 전자태그(200)의 상태 및 이력을 확인할 수 있으며, 상기 운영서버(400)에서 전자태그(200)로 요청한 정보 또는 전자태그(200)에서 전송된 정보에 대해 상기 운영서버(400)는 웹서버(430)을 통해 상기 인터넷송수신부(290)로 전송하여 해당 운영자 단말(300)에서 수신하여 이력관리를 할 수 있어 실시간으로 전자태그(200)의 정보를 업데이터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 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으며, 또한 캐리어 웨이브(예를 들어, 인터넷을 통한 전송)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을 구현하기 위한 기능적인(functional) 프로그램, 코드 및 코드 세그먼트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프로그래머들에 의해 용이하게 추론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명세서와 도면에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개시하였으며, 비록 특정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일반적인 의미에서 사용된 것이지,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 예 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 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100 : LED 광고판 110 : 무선수신모듈
120 : 무선 입력장치 130 : 패널케이스
140 : LED 소자 150 : 실리콘
160 : 난반사 패드 170 : 선섀도우
180 : 감지부 181 : 온도센서감지부
183 : 전류센서 감지부 185 : LED 픽셀단선 감지부
190 : LED 픽셀 구동부 200 : 전자태그
210 : 제 1 제어부 220 : 메모리부
230 : 무선 송수신모듈 240 : 데이터표시부
250 : LED 광고판 구동부 260 : 휘도조절부
270 : 상태표시부 300 : 운영자단말
310 : 제 2 제어부 320 : 무선송수신부
330 : 메모리부 340 : 입력부
350 : 디스플레이부 360 : 경고부
370 : 인터넷송수신부 400 : 운영서버
410 : 제 3 제어부 420 : 데이터베이스
430 : 웹서버 440 : 무선송수신부
450 : 상태표시부 460 : 데이터입력부
470 : 상태출력부

Claims (4)

  1. LED 광고판, 무선 입력장치, 무선수신모듈, 전자태그, 사용자단말 및 운영서버로 구성된 LED 광고판 제어 시스템에 있어서,
    LED 패널상에 사용자가 무선입력장치를 이용하여 입력한 광고문구, 광고영상 등의 광고물을 표시하는 LED 광고판,
    무선입력장치는 사용자가 상기 LED 광고판에 표시할 광고문구, 영상물 및 구동시간, 변환조건을 입력하여 무선수신모듈로 전송하여 LED 광고판에 해당 광고물이 표시되도록 입력하는 무선입력장치와,
    상기 LED 광고판의 일측에 구성되어 상기 무선입력장치를 통해 입력되는 광고문구, 광고영상의 광고물을 수신하는 것으로, 상기 무선입력장치와 RF통신을 통해 해당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무선수신모듈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통신을 이용한 LED 광고판 제어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LED 광고판의 난반사를 방지하기 위해
    상기 패널케이스는 다수의 LED 소자가 균일 간격으로 매트릭스(Matrix) 형태의 행(RAW)과 열(column)로 장착되고, 다수의 LED소자가 형성된 구역을 제외하고는 실리콘에 의해 외부면이 한층 적층되어 형성된 LED 패널 케이스에 다수의 LED소자가 균일 간격으로 매트릭스(Matrix) 형태의 행(RAW)과 열(column)로 장착된 LED 패널;
    실리콘이 형성된 LED 패널의 상부로 우레탄 재질의 검정색 필터로 LED소자의 개수만큼 LED 소자의 구성에 따라 타공되어 적층되는 난반사 패드; 및
    상기 난반사 패드와 동일하게 상기 LED소자의 개수만큼 타공되며, 상기 LED소자가 이루는 각 행(RAW)의 상단부에 햇빛에 의해 상기 LED소자의 행(RAW)에서 조사되는 빛의 밝기를 보다 밝게 보이기 위한 차단막인 선캡이 형성되어 상기 난반사 패드 상부에 적층되는 선섀이드(sunshade);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통신을 이용한 LED 광고판 제어 시스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LED 광고판은
    상기 LED 광고판의 온도를 감지하는 상기 온도센서감지부,
    상기 LED 광고판에 공급되는 전류값과 LED 광고판을 구동시키기 위해 전송되는 데이터 전송량을 감지하는 전류센서 감지부 및
    상기 LED 광고판에 LED 픽셀의 작동여부를 감지하는 LED 픽셀 단선 감지부를 포함하는 감지부를 통해 각 LED 픽셀을 구동시켜 LED 휘도를 보정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통신을 이용한 LED 광고판 제어 시스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입력장치는 LED 광고판의 무선수신모듈과 자외선(IR) 및 RF 방식을 혼용하여 사용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통신을 이용한 LED 광고판 제어 시스템.
KR1020110017102A 2011-02-25 2011-02-25 무선통신을 이용한 엘이디 광고판 제어 시스템 KR2012009772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17102A KR20120097721A (ko) 2011-02-25 2011-02-25 무선통신을 이용한 엘이디 광고판 제어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17102A KR20120097721A (ko) 2011-02-25 2011-02-25 무선통신을 이용한 엘이디 광고판 제어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97721A true KR20120097721A (ko) 2012-09-05

Family

ID=471088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17102A KR20120097721A (ko) 2011-02-25 2011-02-25 무선통신을 이용한 엘이디 광고판 제어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20097721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78104B1 (ko) * 2012-11-29 2014-12-31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산학협력단 초광대역 무선통신기반형 led 블러틴 보드용 디지털 사이니지 제어장치
KR20220153211A (ko) * 2021-05-11 2022-11-18 주식회사 애즈원 무선 멀티 패널 전광판 서비스 제공 방법 및 그를 위한 장치 및 시스템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78104B1 (ko) * 2012-11-29 2014-12-31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산학협력단 초광대역 무선통신기반형 led 블러틴 보드용 디지털 사이니지 제어장치
KR20220153211A (ko) * 2021-05-11 2022-11-18 주식회사 애즈원 무선 멀티 패널 전광판 서비스 제공 방법 및 그를 위한 장치 및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49516B1 (ko) 엘이디 전광판을 원격지에서 실시간으로 감시제어하기 위한 시스템
KR100376893B1 (ko) 주야 변환용 멀티 광고판
US20040174597A1 (en) Remotely programmable electro-optic sign
MX2007002300A (es) Anuncio de red de diodo emisor de luz.
KR100707698B1 (ko) Led 모듈 배치 방법, led 모듈을 이용하여 동영상을표시하기 위한 데이터 변환 방법 및 그를 위한 데이터 변환장치
KR101870136B1 (ko) 근거리 무선 통신 방식을 이용한 led 디스플레이 시스템
KR100779703B1 (ko) 엘이디동영상 광고용 간판을 이용한 광고시스템 및 광고방법
CN106448486A (zh) 一种基于智慧城市的显示终端
US20120188146A1 (en) Display screen system and components thereof
US9196180B2 (en) Identification system for a surface
GB2453540A (en) Wirelessly controlled light unit for use as part of a multi-light unit array
KR20120097721A (ko) 무선통신을 이용한 엘이디 광고판 제어 시스템
KR101595972B1 (ko) 노면표출형 디지털 사이니지모듈을 통한 상황별 컨텐츠 실시간 노면표출장치
KR100981578B1 (ko) 가시광 통신에서 가시광 정보 방송 장치 및 방법
KR101589964B1 (ko) 디지털 사이니지 신호체계를 갖는 led 전광판을 이용한 지능형 전자게시대의 모바일 제어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000074497A (ko) 전광판용 엘이디 디스플레이 시스템
KR102653522B1 (ko) 콘텐츠 공유가 가능한 엘이디전광판 시스템
KR102287749B1 (ko) 야외 영상 출력 시스템
KR102194503B1 (ko) 슬림형 led 전광판 및 그 전광판의 제조방법
KR102170822B1 (ko) 사물 인터넷 기반의 dmx-512 조명 통합 제어 장치 및 방법
KR20190065722A (ko) 스마트 조명 장치
KR102655406B1 (ko) Led모듈의 고장 진단이 가능한 전광판 시스템
KR20010010147A (ko) 액정 프로젝터를 이용한 전광판시스템
KR102185685B1 (ko) 자기 점검기능을 갖는 led 모듈 시스템
JP2003177692A (ja) 背面投写型プロジェクターによる屋外表示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