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55083A - 무선 랜의 액세스 포인트간의 패킷 브리징 시스템 및방법, 그 프로그램이 저장된 기록매체 - Google Patents

무선 랜의 액세스 포인트간의 패킷 브리징 시스템 및방법, 그 프로그램이 저장된 기록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55083A
KR20040055083A KR1020020081678A KR20020081678A KR20040055083A KR 20040055083 A KR20040055083 A KR 20040055083A KR 1020020081678 A KR1020020081678 A KR 1020020081678A KR 20020081678 A KR20020081678 A KR 20020081678A KR 20040055083 A KR20040055083 A KR 2004005508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ccess point
access points
access
bridging
chann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816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470070B1 (ko
Inventor
김윤주
노경주
전영애
안재영
Original Assignee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자통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to KR10-2002-00816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70070B1/ko
Publication of KR200400550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5508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700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70070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92/00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92/16Interfaces between hierarchically similar devices
    • H04W92/20Interfaces between hierarchically similar devices between access poi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4/00Network topologies
    • H04W84/02Hierarchically pre-organised networks, e.g. paging networks, cellular networks, W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 or WLL [Wireless Local Loop]
    • H04W84/10Small scale networks; Flat hierarchical networks
    • H04W84/12W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Small-Scale Network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무선 랜의 액세스 포인트간의 패킷 브리징 시스템 및 방법, 그 프로그램이 저장된 기록매체에 관한 것으로서,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지역 기본 서비스 셋(Basic Service Set, BSS)에 사용하는 채널과 각 액세스 포인트간 전송을 위해 할당된 무선 링크의 채널이 할당되고, 유선망에 연결되며 자신의 BSS을 독립적으로 운용하는 액세스 포인트와, 이러한 액세스 포인트와 시간 정보 및 채널 동기화되어 무선 링크에 의해 연결되고 유선망과 독립적으로 BSS를 운용하는 인접 액세스 포인트, 및 액세스 포인트들 사이에 이루어지는 패킷 브리징 서비스를 제공받도록 각 액세스 포인트의 지역 BSS를 구성하는 단말들을 포함함으로써, 액세스 포인트들이 지역 BSS 서비스를 운용하면서 유선 링크를 통하여 패킷 브리징 기능을 제공하고, IEEE 802.11이 정의하는 매체 접근 제어(MAC) 규격의 접근 제어 방식에 따라 운용되는 인접 액세스 포인트와 무선 패킷 브리징 기능을 지원할 수 있고, 또한 무선 패킷 브리징 기능을 제공하는 액세스 포인트들을 통해 다양한 무선 랜 구성이 가능하고, 이를 통해 지역 BSS에 연결되어 있는 단말들에게 제공하는 패킷 전송 서비스의 수준을 개선할 수 있다.

Description

무선 랜의 액세스 포인트간의 패킷 브리징 시스템 및 방법, 그 프로그램이 저장된 기록매체{System for packet bridging between access points of wireless LAN and method thereof, its program storing recording medium}
본 발명은 무선 랜의 액세스 포인트간의 패킷 브리징 시스템 및 방법, 그 프로그램이 저장된 기록매체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지역 기본 서비스 셋 서비스와 인접한 액세스 포인트 사이에서의 패킷 브리징 기능을 동시에 지원하는 무선 랜의 액세스 포인트간의 패킷 브리징 시스템 및 방법, 그 프로그램이 저장된 기록매체에 관한 것이다.
무선 랜은 이동이 가능한 단말인 무선 기기들과 무선 단말들의 접속 장치인 액세스 포인트(Access Point, AP)를 포함하고 있다. 기본적으로, 각 구성요소들은 무선 매체에 대해 적합하게 적용될 수 있도록 IEEE(Institute of Electrical and Electronics Engineers) 802.11에서 규정하고 있는 매체 접근 제어(Medium Access Control, MAC) 프로토콜과 물리 계층의 규격을 지원하며, 네트워크 카드(Network Card, NIC)를 통해 무선 랜을 형성한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실시예의 액세스 포인트가 운용하는 지역 기본 서비스 셋(BBS)의 무선 랜 구성을 도시한 것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 기술에 따른 실시예의 무선 랜은 액세스 포인트(1), 액세스 포인트(1)와 무선 연결되는 무선 단말(2, 3)들을 포함한다.
이때, 액세스 포인트(1)와 무선 단말(2, 3)간 연결은 IEEE 802.11에서 규정하고 있는 MAC 규격과 물리 계층 규격을 따른다.
이렇게 무선랜을 구성하는 액세스 포인트(1)와 무선 단말(2, 3)들은 분산 정합 기능(Distributed Coordination Function, DCF), 또는 중심 정합 기능(Point Coordination Function, PCF)을 수행하여 무선 매체를 통해 패킷을 전송한다.
IEEE 802.11의 MAC 규격에서 정의하는 DCF는 반송파 감지 다중 접속/충돌 회피(Carrier Sensing Multiple Access/Collision Avoidance, CSMA/CA) 알고리즘으로 알려져 있다. 이 DCF에서 패킷을 전송하고자 하는 무선 단말들은 다른 무선 단말에 의해 무선 매체가 사용되고 있는지 감지하여 무선 매체가 사용되고 있지 않는다고 판단되는 경우에 전송을 시작한다.
IEEE 802.11의 MAC 규격에서 정의하는 PCF에서 액세스 포인트는 전송을 허용하는 무선 단말을 선택하는 메시지(Polling message)와 PCF의 접근 우선 기법(Access Priority Mechanisms)을 사용하는 가상 반송파 감지 기법(Virtual Carrier-sensing Mechanisms)에 따라 매체 할당량(Network Allocation Vector, NAV)을 설정한 비컨 메시지를 송신함으로써 무선랜을 구성하는 다른 무선 단말들의 전송 과정을 중지시키고, 선택된 무선 단말과의 패킷 교환을 수행한다.
도 1에서 액세스 포인트(1)는 단말과 동일한 기능을 갖으며, 무선 랜 서비스 영역과 기존 유선 랜의 연동 서비스를 제공함으로써 각 단말들이 분산 시스템(Distribution System, DS)에 접근할 수 있도록 연계한다.
이때, 액세스 포인트(1)는 한 개 이상의 유선 랜 또는 한 개 이상의 무선 랜을 포함하고 있다.
무선 브리징(Bridging) 기능은 데이터 링크 계층의 패킷 중계 장치에서 수행되며, 단말의 MAC 주소를 식별하여 중계해야 할 패킷을 전송하도록 한다.
위에서 설명한 액세스 포인트의 연계 기능은 이러한 무선 브리징 기능을 수행하여 이루어지며, 이를 위해 액세스 포인트(1)는 기존 유선 랜의 패킷을 무선 랜으로 전달하는 MAC 브리징 형태의 패킷 전달 동작을 수행한다.
도 2는 종래 기술에 따른 실시예의 유선 망을 통하여 액세스 포인트의 패킷 브리징 서비스를 제공하는 무선 랜의 구성을 도시한 것이다.
도 2에 나타나 있듯이, 종래 기술에 따른 실시예에서는 액세스 포인트들(1, 4)을 중심으로 무선 단말(2, 3, 5, 6)들이 무선 링크를 통하여 독립적인 BSS 무선 랜을 구성하고, 유선 망(7)을 전송 매체로 하여 액세스 포인트의 브리징 기능을 수행한다.
무선 랜은 액세스 포인트의 브리징 기능과 이동성을 지니는 무선 단말(2, 3, 5, 6)을 통하여 다양한 네트워크 구성 및 서비스 영역의 확장이 용이하다는 장점을 지니고 있다.
그런데, 액세스 포인트(1, 4)에서 지원하는 무선 브리징 기능은 하나 이상의 유선 랜을 이용하거나, 또는 자신의 지역 BSS 서비스를 지원하지 않는 경우에만 무선 랜 서비스의 확장 및 네트워크 구성이 가능하다.
즉, 하나의 네트워크 카드를 갖는 액세스 포인트의 무선 브리징 기능은 각각 다른 채널을 통해 자신의 지역 BSS를 운용하는 액세스 포인트가 동시에 인접한 액세스 포인트간의 패킷 브리징을 수행할 수 없다는 한계를 갖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위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지역 기본 서비스 셋과 인접한 액세스 포인트 사이에 무선 매체를 통해 패킷 브리징 기능을 동시에 지원하기 위한 무선 랜의 액세스 포인트간의 패킷 브리징 시스템 및 방법, 그 프로그램이 저장된 기록매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실시예의 액세스 포인트가 운용하는 지역 기본 서비스 셋(BBS)의 무선 랜 구성을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종래 기술에 따른 실시예의 유선 망을 통하여 액세스 포인트의 패킷 브리징 서비스를 제공하는 무선 랜의 구성을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의 무선 랜의 액세스 포인트간의 패킷 브리징 시스템의 구성을 간략히 도시한 것이다.
도 4는 시간의 흐름에 따른 채널 동기화 및 패킷 브리징 과정을 도시한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의 무선랜의 액세스 포인트간의 패킷 브리징 방법에서 각 액세스 포인트 사이에 무선 네트워크를 구성하기 위한 초기화 과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의 무선랜의 액세스 포인트간의 패킷 브리징 방법에서 각 액세스 포인트 사이에 무선 패킷 브리징 기능을 수행하는 과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무선랜의 액세스 포인트간의 패킷 브리징 시스템의 특징은, a) 액세스 포인트에 지역 기본 서비스 셋(Basic Service Set, BSS)을 운용하기 위한 채널 주파수, 및 인접 액세스 포인트(Access Point, AP)간의 무선 통신을 위해 지정된 채널 주파수가 할당되는 단계; b) 상기 a) 단계에서 채널 주파수가 할당된 액세스 포인트는 전원이 켜지면 인접 액세스 포인트의 정보를 얻어 무선 통신이 되도록 채널 탐색을 수행하는 단계; c) 상기 b)의 채널 탐색이 완료되면, 상기 무선 통신을 위해 지정된 채널 주파수를 통해 액세스 포인트들간에 연결을 수행하는 단계; d) 상기 c) 단계를 통해 무선 네트워크를 구성한 후 일정 시간 경과 후에, 상기 지역 BSS를 운용하기 위한 채널 주파수로 변환하고, 각 액세스 포인트에 연결된 단말과 연결되어 지역 BSS를 구성하는 단계; 및 e) 상기 d) 단계를 통해 지역 BSS 서비스가 완료되면, 각 액세스 포인트간의 무선 통신을 위한 채널로 변환하여 액세스 포인트간의 패킷 브리징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a) 단계에서 액세스 포인트들은, 상기 지역 BSS와 패킷 브리징 서비스를 동시에 제공하는 장비임을 명시하기 위한 상태 정보와 일련 번호(ID)를 부여받는다.
상기 b) 단계에서 채널 탐색을 수행하는 단계는,
가) 상기 각 액세스 포인트는 인접한 액세스 포인트들에게 시험 요청 메시지를 송수신하는 단계; 나) 상기 가) 단계에서 송수신되는 시험 요청 메시지를 이용해 무선 네트워크를 운용할 마스터 액세스 포인트와 인접 액세스 포인트를 결정하고, 상기 마스터 액세스 포인트가 인접 액세스 포인트로 시험 응답 메시지에 송신하는 단계; 및 다) 상기 나) 단계에서 인접 액세스 포인트들이 시험 응답 메시지를 수신함으로써 채널 탐색을 완료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나) 단계 및 다) 단계에서 액세스 포인트들은 시험 요청 메시지와 시험 응답 메시지에 명기된 액세스 포인트의 일련번호(ID)를 판독하고, 그 판독된 정보를 기록한다.
상기 c) 단계에서 액세스 포인트들 간에 연결을 수행하는 단계는,
가) 상기 액세스 포인트들 간의 무선 네트워크의 운용하는 마스터 액세스 포인트가 각 인접 액세스 포인트들로 비컨 메시지(Beacon message)를 전송하여 각 인접 액세스 포인트들이 채널 동기화 및 시간 정보를 동기화되는 단계; 및 나) 상기 가) 단계에서 동기화된 인접 액세스 포인트가 상기 마스터 액세스 포인트로 연결을 요청하고, 상기 마스터 액세스 포인트가 이 연결에 응답함으로써 상호 연결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가) 단계에서 비컨 메시지를 송수신하는 단계는, IEEE(Institute of Electrical and Electronics Engineers) 802.11의 매체 접근 제어(Medium AccessControl, MAC) 규격에 따라 DTIM(Delivery Traffic Indication Message), TIM(Traffic Indication Map), TIM 간격(Interval)과 같은 시간 정보 및 채널을 동기화하여 기록한다.
상기 d) 단계에서 지역 BSS를 구성하는 단계는,
가) 각 액세스 포인트들은 지역 BSS 운용을 위해 할당된 채널 주파수로 변환한 후에 비컨 메시지를 송출하고, 상기 비컨 메시지를 수신한 단말들과의 연결이 이루어지는 단계; 및 나) 상기 가) 단계를 통해 지역 BSS가 구성되면, 각 액세스 포인트들은 동일한 시간이 경과된 후에 자신의 지역 BSS에 속하는 단말들의 매체 할당량(Networl Allocation Vector)을 설정하여 상기 지역 BSS 운용을 위해 할당된 채널 주파수를 통한 메시지 송수신을 중지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가) 단계에서 액세스 포인트들은 자신의 독립적인 BSS를 운용하도록 각기 다른 채널 주파수를 갖고 동작한다. 상기 나) 단계에서 액세스 포인트들 각각의 시간 정보가 동일하다. 상기 나) 단계에서 액세스 포인트들은 IEEE 802.11의 MAC 규격의 PCF(Point Coordination Function)를 수행한다.
상기 e) 단계에서 패킷 브리징을 수행하는 단계는,
가) 상기 액세스 포인트들은 지역 BSS 운용을 위한 채널 주파수에서 무선 통신을 위한 채널 주파수로 변환하고, 브리징 테이블을 관리하기 위한 메시지를 교환하는 단계; 나) 상기 가) 단계를 통해 각 액세스 포인트들은 자신의 지역 BSS 구성 정보를 송수신하여 브리징 테이블을 구성하는 단계; 및 다) 상기 나) 단계에서 브리징 테이블이 구성되면, 각 액세스 포인트들은 패킷 브리징을 통해 데이터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다) 단계에서 데이터 전송은 IEEE 802.11의 MAC 규격의 DCF(Distributed Coordination Function) 접근 제어 방식에 따라 진행된다.
상기 e) 단계에서 패킷 브리징 과정이 완료되면, 각 액세스 포인트들은 다시 채널을 전환하여 지역 BSS 서비스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무선 랜의 액세스 포인트간의 패킷 브리징 시스템의 특징은, 지역 기본 서비스 셋(Basic Service Set, BSS)에 사용하는 채널과 각 액세스 포인트간 전송을 위해 할당된 무선 링크의 채널이 할당되고, 유선망에 연결되며 자신의 BSS을 독립적으로 운용하는 제1 액세스 포인트; 상기 제1 액세스 포인트와 시간 정보 및 채널 동기화되어 상기 제1 액세스 포인트와 무선 링크에 의해 연결되고, 상기 유선망과 독립적으로 BSS를 운용하는 제2 액세스 포인트; 및 상기 제1 액세스 포인트와 제2 액세스 포인트 사이에 이루어지는 패킷 브리징 서비스를 제공받도록 각 액세스 포인트들의 지역 BSS를 구성하는 단말들을 포함한다.
상기 제1 및 제2 액세스 포인트들은 상태 정보와 일련 번호(ID)를 부여받는다. 상기 제1 액세스 포인트와 제2 액세스 포인트는 상기 일련 번호에 따라 무선 링크를 운용할 마스터 액세스 포인트와 인접 액세스 포인트로 결정된다.
상기 제1 액세스 포인트와 제2 액세스 포인트는 상기 지역 BSS에서 사용하는 채널과 상기 무선 링크의 채널 간의 동기화를 번갈아 수행하며 IEEE 802.11의 MAC 규격의 DCF 또는 PCF를 수행한다.
한편, 무선 랜의 액세스 포인트간의 패킷 브리징 방법을 구현한 프로그램이저장된 기록매체의 특징은, 액세스 포인트에 지역 기본 서비스 셋(Basic Service Set, BSS)을 운용하기 위한 채널 주파수, 및 인접 액세스 포인트(Access Point, AP)간의 무선 통신을 위해 지정된 채널 주파수가 할당되는 제1 기능; 상기 채널 주파수가 할당된 액세스 포인트는 전원이 켜지면 인접 액세스 포인트의 정보를 얻어 무선 통신이 되도록 채널 탐색을 수행하는 제2 기능; 상기 채널 탐색이 완료되면, 상기 무선 통신을 위해 지정된 채널 주파수를 통해 액세스 포인트들간에 연결을 수행하는 제3 기능; 상기 무선 네트워크를 구성한 후 일정 시간 경과 후에, 상기 지역 BSS를 운용하기 위한 채널 주파수로 변환하고, 각 액세스 포인트에 연결된 단말과 연결되어 지역 BSS를 구성하는 제4 기능; 및 상기 지역 BSS 서비스가 완료되면, 각 액세스 포인트간의 무선 통신을 위한 채널로 변환하여 액세스 포인트간의 패킷 브리징을 수행하는 제5 기능을 포함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는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어느 한 실시예에서 언급한 내용 중 다른 실시예에도 적용할 수 있는 내용은 다른 실시예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아도 이를 적용할 수 있는 것은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의 무선 랜의 액세스 포인트간의 패킷 브리징 시스템의 구성을 간략히 도시한 것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의 시스템은 액세스 포인트들(10, 20), 단말들(11, 12, 21, 22)을 포함하고 있다.
액세스 포인트들(10, 20)은 지역 BSS(15, 25)에 사용하는 채널과 각 액세스 포인트(10, 20)간 전송을 위해 할당된 무선 링크의 채널(N2)이 할당되고, 운용자에 의해 설치되며 패킷 브리징을 수행하는 장비임을 명시하기 위해 상태 정보와 일련 번호(ID)를 부여받는다.
제1 액세스 포인트(10)는 유선망(N1)에 연결되며, 단말들(11, 12)과 무선으로 연결되고, 자신의 BSS(15)을 독립적으로 운용한다. 제2 액세스 포인트(20)는 IEEE 802.11의 MAC 규격에서 정의하는 접근 제어 방식인 PCF와 DCF의 운용 과정에 따라 제1 액세스 포인트(10)와 시간 정보 및 채널 동기화되어 제1 액세스 포인트와 무선 링크에 의해 연결되고, 유선망(N1)과 독립적으로 자신의 BSS(25)를 운용한다.
도 4는 시간의 흐름에 따른 채널 동기화 및 패킷 브리징 과정을 도시한 것이다.
도 4에 나타나 있듯이, 액세스 포인트들(10, 20)은 운용자에 의해 설치된 후 전원이 켜지면 T0동안 인접한 액세스 포인트의 정보를 얻어 무선 통신을 할 수 있도록 채널 탐색을 수행하고, 인접 액세스 포인트와의 무선 네트워크를 구성한다.(101)
한편, 단말들(11, 12, 21, 22)은 제1 액세스 포인트(10)와 제2 액세스 포인트(20)사이에 이루어지는 패킷 브리징 서비스를 제공받는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무선 랜의 액세스 포인트간의 패킷 브리징 시스템의 동작을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의 무선랜의 액세스 포인트간의 패킷 브리징 방법에서 각 액세스 포인트 사이에 무선 네트워크를 구성하기 위한 초기화 과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의 방법은 운용자에 의해 설치되고 전원이 켜진 각 액세스 포인트들은 인접한 액세스 포인트에 대한 정보를 얻기 위하여 시험 요청(Probe Request) 메시지를 송출한다.(S1) 또한, 다른 액세스 포인트는 인접한 액세스 포인트에서 송출된 시험 요청 메시지를 수신한다.(S2)
그리고, 시험 요청 메시지를 수시한 액세스 포인트는 메시지에 명기된 액세스 포인트의 일련번호(ID)를 판단하고(S3), 인접 액세스 포인트들 간의 무선 네트워크를 운용할 마스터 액세스 포인트와 인접 액세스 포인트를 결정한다.
위에서 결정된 내용에 따라 마스터 액세스 포인트는 수신한 시험 요청 메시지에 명시된 액세스 포인트의 정보를 기록한 후(S4), 시험 응답 메시지를 인접 액세스 포인트로 송출한다.(S5)
인접 액세스 포인트는 시험 응답 메시지가 수신되면(S6), 이 시험 응답 메시지에 명기된 액세스 포인트의 ID를 판독하고(S7), 무선 네트워크를 운용할 마스터 액세스 포인트 및 인접 액세스 포인트의 정보를 기록한다( S8).
위의 과정을 통해 채널 탐색이 완료되면, 마스터 액세스 포인트는 액세스 포인트들 간의 무선 통신을 위해 할당된 채널(N2) 주파수 fa을 통해 비컨메시지(Beacon Message)를 송출한다(S9).
그러면, 인접 액세스 포인트는 마스터 액세스 포인트의 비컨 메시지를 수신하고(S10), IEEE 802.11의 MAC 규격에 정의된 바와 같이 비컨 메시지의 정보를 판독하여 DTIM(Delivery Traffic Indication Message), TIM(Traffic Indication Map), TIM 간격(interval)과 같은 시간 정보 및 채널을 동기화하여 기록한다.(S11).
그 후, 인접 액세스 포인트는 마스터 액세스 포인트에게 자신의 정보를 담은 연결 요청(Association Request) 메시지를 송출한다.(S12) 마스터 액세스 포인트는 인접 액세스 포인트로부터 연결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고(S13), 이 메시지를 송신한 인접 액세스 포인트의 정보를 판독한 후 이를 기록한다(S14).
마스터 액세스 포인트는 인접 액세스 포인트의 연결 요청에 대한 응답 메시지를 송출한다.(S15). 인접 액세스 포인트는 연결 응답 메시지를 수신한 후 연결 성공 여부 및 연결 정보를 판독하고 이를 기록한다.(S17)
위의 과정은 도 4의 101에 해당하는 채널 탐색으로서, 이후 도 4의 102에 해당하는 무선 네트워크 구성 과정을 살펴본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의 무선랜의 액세스 포인트간의 패킷 브리징 방법에서 각 액세스 포인트 사이에 무선 패킷 브리징 기능을 수행하는 과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6에 나타나 있듯이, 채널 탐색이 완료되면 각 액세스 포인트는 기본적으로 지원하는 지역 BSS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하여 T1에 다다르기 전까지 주파수 변환 및 BSS 무선 네트워크를 구성을 수행한다.
모든 액세스 포인트들은 지역 BSS를 운용하기 위하여 채널을 fa에서 지역 BSS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할당된 채널 주파수(fb)로 변환하고, IEEE 802.11 MAC 규격에 정의된 것과 동일하게 비컨 메시지를 브로드캐스트(Broadcast)로 송출하며, 이 비컨 메시지를 수신한 단말들은 액세스 포인트와 연결되어 지역 BSS를 구성한다.
자신의 독립적인 BSS를 운용하는 각 액세스 포인트들은 각기 다른 채널 주파수를 갖고 동작하며, 각 액세스 포인트의 시간 정보는 마스터 액세스 포인트의 시간 정보와 일치한다.
따라서 각 액세스 포인트들은 동일한 시간 T1이 지난 후에 PCF를 수행하기 위하여 자신의 지역 BSS에 속하는 단말들의 NAV(Network Allocation Vector)를 설정하여 fb를 통한 메시지 송수신을 중단한다.
그리고 액세스 포인트 간의 무선 통신을 위해 채널 주파수를 fa로 변환하고(S21, 22), 브리징 테이블을 관리하기 위하여 IEEE 802.1D 규격에서 정의한 BPDU(Bridge Protocol Control Unit) 메시지를 교환한다.
이 때 마스터 액세스 포인트는 지역 BSS의 정보를 요청하는 메시지(Polling Message)를 인접 액세스 포인트들로 송출하고(S23), 이를 수신한 인접 액세스 포인트는 자신의 지역 BSS 구성 정보(Configuration BPDU) 메시지를 마스터 액세스 포인트로 송출한다(S24, S25).
마스터 액세스 포인트는 지역 BSS 구성 정보 메시지를 수신한 후에 이 메시지의 정보를 판독하고 브리징 테이블을 구성한다(S26, S27). 인접한 모든 액세스 포인트로부터 지역 BSS 구성 메시지를 수신한 마스터 액세스 포인터는 마지막으로 자신의 BSS 구성 메시지를 인접 액세스 포인트로 송출하고(S28), 각 액세스 포인트들은 이를 수신하고 판독한 후 브리징 테이블을 구성한다(S29, S30).
각 액세스 포인터들은 액세스 포인터 간의 무선 네트워크에서 각각 단말과 동일하게 작동하며, 패킷 브리징을 통해 전송할 데이터가 존재하는 경우에(S31) IEEE 802.11이 정의하는 MAC 규격의 DCF 접근 제어 방법에 따라 데이터를 전송한다.(S32).
그리고 마스터 액세스 포인트는 인접 액세스 포인트에서 데이터를 수신하고(S33), 브리징 테이블을 통해 수신한 데이터 메시지의 패킷 브리징 처리를 수행한다(S34).
액세스 포인트들 간의 패킷 브리징 과정은 도 4의 T2에 도달하기 전까지 수행되며(도 4의 103, 105 해당), 도 4의 시간 T2와 T4는 최대 PCF 구간의 값과 일치한다.
액세스 포인트들 간의 무선 패킷 브리징 과정을 완료한 각 액세스 포인트들은 다시 채널을 변환하여 지역 BSS 서비스를 제공하여(도 4의 104, 106 해당) IEEE802.11에서 정의한 MAC 규격의 DCF 접근 제어 방안을 따른다.
상기 도면과 발명의 상세한 설명은 단지 본 발명의 예시적인 것으로서, 이는 단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이지 의미한정이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무선 랜의 액세스 포인트간의 패킷 브리징 시스템 및 방법, 그 프로그램이 저장된 기록매체는 액세스 포인트들이 지역 BSS 서비스를 운용하면서 유선 링크를 통하여 패킷 브리징 기능을 제공하고, IEEE 802.11이 정의하는 매체 접근 제어(MAC) 규격의 접근 제어 방식에 따라 운용되는 인접 액세스 포인트와 무선 패킷 브리징 기능을 지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무선 랜의 액세스 포인트간의 패킷 브리징 시스템 및 방법, 그 프로그램이 저장된 기록매체는 무선 패킷 브리징 기능을 제공하는 액세스 포인트들을 통해 다양한 무선 랜 구성이 가능하고, 지역 BSS에 연결되어 있는 단말들에게 제공하는 패킷 전송 서비스의 수준을 개선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18)

  1. a) 액세스 포인트에 지역 기본 서비스 셋(Basic Service Set, BSS)을 운용하기 위한 채널 주파수, 및 인접 액세스 포인트(Access Point, AP)간의 무선 통신을 위해 지정된 채널 주파수가 할당되는 단계;
    b) 상기 a) 단계에서 채널 주파수가 할당된 액세스 포인트는 전원이 켜지면 인접 액세스 포인트의 정보를 얻어 무선 통신이 되도록 채널 탐색을 수행하는 단계;
    c) 상기 b)의 채널 탐색이 완료되면, 상기 무선 통신을 위해 지정된 채널 주파수를 통해 액세스 포인트들간에 연결을 수행하는 단계;
    d) 상기 c) 단계를 통해 무선 네트워크를 구성한 후 일정 시간 경과 후에, 상기 지역 BSS를 운용하기 위한 채널 주파수로 변환하고, 각 액세스 포인트에 연결된 단말과 연결되어 지역 BSS를 구성하는 단계; 및
    e) 상기 d) 단계를 통해 지역 BSS 서비스가 완료되면, 각 액세스 포인트간의 무선 통신을 위한 채널로 변환하여 액세스 포인트간의 패킷 브리징을 수행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무선 랜의 액세스 포인트간의 패킷 브리징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a) 단계에서 액세스 포인트들은,
    상기 지역 BSS와 패킷 브리징 서비스를 동시에 제공하는 장비임을 명시하기 위한 상태 정보와 일련 번호(ID)를 부여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랜의 액세스 포인트간의 패킷 브리징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에서 채널 탐색을 수행하는 단계는,
    가) 상기 각 액세스 포인트는 인접한 액세스 포인트들에게 시험 요청 메시지를 송수신하는 단계;
    나) 상기 가) 단계에서 송수신되는 시험 요청 메시지를 이용해 무선 네트워크를 운용할 마스터 액세스 포인트와 인접 액세스 포인트를 결정하고, 상기 마스터 액세스 포인트가 인접 액세스 포인트로 시험 응답 메시지에 송신하는 단계; 및
    다) 상기 나) 단계에서 인접 액세스 포인트들이 시험 응답 메시지를 수신함으로써 채널 탐색을 완료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무선 랜의 액세스 포인트간의 패킷 브리징 방법.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나) 단계 및 다) 단계에서 액세스 포인트들은 시험 요청 메시지와 시험 응답 메시지에 명기된 액세스 포인트의 일련번호(ID)를 판독하고, 그 판독된 정보를 기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랜의 액세스 포인트간의 패킷 브리징 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c) 단계에서 액세스 포인트들 간에 연결을 수행하는 단계는,
    가) 상기 액세스 포인트들 간의 무선 네트워크의 운용하는 마스터 액세스 포인트가 각 인접 액세스 포인트들로 비컨 메시지(Beacon message)를 전송하여 각 인접 액세스 포인트들이 채널 동기화 및 시간 정보를 동기화되는 단계; 및
    나) 상기 가) 단계에서 동기화된 인접 액세스 포인트가 상기 마스터 액세스 포인트로 연결을 요청하고, 상기 마스터 액세스 포인트가 이 연결에 응답함으로써 상호 연결되는 단계
    무선 랜의 액세스 포인트간의 패킷 브리징 방법.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가) 단계에서 비컨 메시지를 송수신하는 단계는,
    IEEE(Institute of Electrical and Electronics Engineers) 802.11의 매체 접근 제어(Medium Access Control, MAC) 규격에 따라 DTIM(Delivery Traffic Indication Message), TIM(Traffic Indication Map), TIM 간격(Interval)과 같은 시간 정보 및 채널을 동기화하여 기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랜의 액세스 포인트간의 패킷 브리징 방법.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d) 단계에서 지역 BSS를 구성하는 단계는,
    가) 각 액세스 포인트들은 지역 BSS 운용을 위해 할당된 채널 주파수로 변환한 후에 비컨 메시지를 송출하고, 상기 비컨 메시지를 수신한 단말들과의 연결이 이루어지는 단계; 및
    나) 상기 가) 단계를 통해 지역 BSS가 구성되면, 각 액세스 포인트들은 동일한 시간이 경과된 후에 자신의 지역 BSS에 속하는 단말들의 매체 할당량(Networl Allocation Vector)을 설정하여 상기 지역 BSS 운용을 위해 할당된 채널 주파수를 통한 메시지 송수신을 중지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무선 랜의 액세스 포인트간의 패킷 브리징 방법.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가) 단계에서 액세스 포인트들은 자신의 독립적인 BSS를 운용하도록 각기 다른 채널 주파수를 갖고 동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랜의 액세스 포인트간의 패킷 브리징 방법.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나) 단계에서 액세스 포인트들 각각의 시간 정보가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랜의 액세스 포인트간의 패킷 브리징 방법.
  10.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나) 단계에서 액세스 포인트들은 IEEE 802.11의 MAC 규격의 PCF(PointCoordination Function)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랜의 액세스 포인트간의 패킷 브리징 방법.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e) 단계에서 패킷 브리징을 수행하는 단계는,
    가) 상기 액세스 포인트들은 지역 BSS 운용을 위한 채널 주파수에서 무선 통신을 위한 채널 주파수로 변환하고, 브리징 테이블을 관리하기 위한 메시지를 교환하는 단계;
    나) 상기 가) 단계를 통해 각 액세스 포인트들은 자신의 지역 BSS 구성 정보를 송수신하여 브리징 테이블을 구성하는 단계; 및
    다) 상기 나) 단계에서 브리징 테이블이 구성되면, 각 액세스 포인트들은 패킷 브리징을 통해 데이터를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무선 랜의 액세스 포인트간의 패킷 브리징 방법.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다) 단계에서 데이터 전송은 IEEE 802.11의 MAC 규격의 DCF(Distributed Coordination Function) 접근 제어 방식에 따라 진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랜의 액세스 포인트간의 패킷 브리징 방법.
  1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e) 단계에서 패킷 브리징 과정이 완료되면, 각 액세스 포인트들은 다시 채널을 전환하여 지역 BSS 서비스를 제공하는 무선 랜의 액세스 포인트간의 패킷 브리징 방법.
  14. 지역 기본 서비스 셋(Basic Service Set, BSS)에 사용하는 채널과 각 액세스 포인트간 전송을 위해 할당된 무선 링크의 채널이 할당되고, 유선망에 연결되며 자신의 BSS을 독립적으로 운용하는 제1 액세스 포인트;
    상기 제1 액세스 포인트와 시간 정보 및 채널 동기화되어 상기 제1 액세스 포인트와 무선 링크에 의해 연결되고, 상기 유선망과 독립적으로 BSS를 운용하는 제2 액세스 포인트; 및
    상기 제1 액세스 포인트와 제2 액세스 포인트 사이에 이루어지는 패킷 브리징 서비스를 제공받도록 각 액세스 포인트들의 지역 BSS를 구성하는 단말들
    을 포함하는 무선 랜의 액세스 포인트간의 패킷 브리징 시스템.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액세스 포인트들은 상태 정보와 일련 번호(ID)를 부여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랜의 액세스 포인트간의 패킷 브리징 시스템.
  16. 제 14 항 또는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액세스 포인트와 제2 액세스 포인트는 상기 일련 번호에 따라 무선링크를 운용할 마스터 액세스 포인트와 인접 액세스 포인트로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랜의 액세스 포인트간의 패킷 브리징 시스템.
  1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액세스 포인트와 제2 액세스 포인트는 상기 지역 BSS에서 사용하는 채널과 상기 무선 링크의 채널 간의 동기화를 번갈아 수행하며 IEEE 802.11의 MAC 규격의 DCF 또는 PCF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랜의 액세스 포인트간의 패킷 브리징 시스템.
  18. 액세스 포인트에 지역 기본 서비스 셋(Basic Service Set, BSS)을 운용하기 위한 채널 주파수, 및 인접 액세스 포인트(Access Point, AP)간의 무선 통신을 위해 지정된 채널 주파수가 할당되는 제1 기능;
    상기 채널 주파수가 할당된 액세스 포인트는 전원이 켜지면 인접 액세스 포인트의 정보를 얻어 무선 통신이 되도록 채널 탐색을 수행하는 제2 기능;
    상기 채널 탐색이 완료되면, 상기 무선 통신을 위해 지정된 채널 주파수를 통해 액세스 포인트들간에 연결을 수행하는 제3 기능;
    상기 무선 네트워크를 구성한 후 일정 시간 경과 후에, 상기 지역 BSS를 운용하기 위한 채널 주파수로 변환하고, 각 액세스 포인트에 연결된 단말과 연결되어 지역 BSS를 구성하는 제4 기능; 및
    상기 지역 BSS 서비스가 완료되면, 각 액세스 포인트간의 무선 통신을 위한채널로 변환하여 액세스 포인트간의 패킷 브리징을 수행하는 제5 기능
    를 포함하는 프로그램이 저장된 기록매체.
KR10-2002-0081678A 2002-12-20 2002-12-20 무선 랜의 액세스 포인트간의 패킷 브리징 시스템 및방법, 그 프로그램이 저장된 기록매체 KR10047007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81678A KR100470070B1 (ko) 2002-12-20 2002-12-20 무선 랜의 액세스 포인트간의 패킷 브리징 시스템 및방법, 그 프로그램이 저장된 기록매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81678A KR100470070B1 (ko) 2002-12-20 2002-12-20 무선 랜의 액세스 포인트간의 패킷 브리징 시스템 및방법, 그 프로그램이 저장된 기록매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55083A true KR20040055083A (ko) 2004-06-26
KR100470070B1 KR100470070B1 (ko) 2005-02-05

Family

ID=373478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81678A KR100470070B1 (ko) 2002-12-20 2002-12-20 무선 랜의 액세스 포인트간의 패킷 브리징 시스템 및방법, 그 프로그램이 저장된 기록매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70070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0466550C (zh) * 2006-09-13 2009-03-04 杭州华三通信技术有限公司 实现多业务板架构的方法、装置和系统
KR100938658B1 (ko) * 2008-01-16 2010-01-25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무선 메쉬 네트워크 구조 및 무선 메쉬 네트워크상에서의데이터 전송방법
US7672254B2 (en) * 2004-08-04 2010-03-02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frame bridge of wireless local area network
US8711816B2 (en) 2005-03-04 2014-04-29 Nokia Corporation Link establishment in a wireless communication environment
US10296064B2 (en) 2004-10-15 2019-05-21 Nokia Technologies Oy Reduction of power consumption in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s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74926B1 (ko) * 2013-12-04 2020-02-07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무선랜에서 채널 할당 방법 및 장치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672254B2 (en) * 2004-08-04 2010-03-02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frame bridge of wireless local area network
US10296064B2 (en) 2004-10-15 2019-05-21 Nokia Technologies Oy Reduction of power consumption in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s
US8711816B2 (en) 2005-03-04 2014-04-29 Nokia Corporation Link establishment in a wireless communication environment
CN100466550C (zh) * 2006-09-13 2009-03-04 杭州华三通信技术有限公司 实现多业务板架构的方法、装置和系统
KR100938658B1 (ko) * 2008-01-16 2010-01-25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무선 메쉬 네트워크 구조 및 무선 메쉬 네트워크상에서의데이터 전송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470070B1 (ko) 2005-02-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30355B1 (ko) 무선 랜에서의 프레임 브리지 제공 장치 및 그 방법
US10034178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ulti-channel operation in wireless local area network system
JP6080637B2 (ja) 支援データを送達するための方法およびシステム
JP5358737B2 (ja) 無線ranシステムにおけるチャネルスキャニング方法
JP5779621B2 (ja) ワイヤレスローカルエリアネットワークにおける近傍スキャン
US7706337B2 (en) Method for performing neighbor discovery in a multi-tier WLAN
US8144722B2 (en) Multi-channel scheduling method for WLAN devices with a single radio interface
US9609664B2 (en) Layered channel access method and apparatus in wireless local area network system
WO2006047055A2 (en) A method for propagating beacons in a multi-tier wlan
JP2004364260A (ja) マルチチャンネルを用いた無線lan通信方法
US7450597B2 (en) Wireless network device and method for reassociation between wireless networks using the wireless network device
KR100470070B1 (ko) 무선 랜의 액세스 포인트간의 패킷 브리징 시스템 및방법, 그 프로그램이 저장된 기록매체
JP3599032B2 (ja) 無線通信システム、無線通信方法及び無線局
JP4276150B2 (ja) 無線パケット通信システムの周波数チャネル選択方法および無線パケット通信装置
KR100621079B1 (ko) 무경쟁 구간의 무선 랜 통신 방법
JP2003333054A (ja) 無線ローカルエリアネットワークシステム
KR101878248B1 (ko) 액세스 포인트에서 단말의 무선 접속을 차단하는 방법 및 그 장치
JP2004235710A (ja) 無線周波数選択方法、無線通信システム、無線端末局装置および無線基地局装置
WO2014142565A1 (ko) 무선랜 시스템에서 링크 설정 방법 및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06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30

Year of fee payment: 18